KR100630045B1 - 이어폰수납식휴대폰 - Google Patents

이어폰수납식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045B1
KR100630045B1 KR1019980056221A KR19980056221A KR100630045B1 KR 100630045 B1 KR100630045 B1 KR 100630045B1 KR 1019980056221 A KR1019980056221 A KR 1019980056221A KR 19980056221 A KR19980056221 A KR 19980056221A KR 100630045 B1 KR100630045 B1 KR 10063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obile phone
function
rotating plat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560A (ko
Inventor
조용인
가쯔미 마쯔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0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이 휴대폰 내부에 수납되어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 기능을 휴대폰 내부에 수납된 이어폰 하나로 겸용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기능과 이어폰 기능을 겸용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은; 상기 휴대폰 내부에 설치되며, 이어폰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겨 수납되도록 하는 제1회전판과, 스파이럴 스프링의 내측단이 고정부에 고정되고, 외측단이 상기 제1회전판에 고정되며, 상기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회전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이어폰 수납장치와; 상기 이어폰 수납수단의 일측에 일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타단은 가압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받도록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레버와, 상기 휴대폰 본체의 외측면 적소에 상기 레버의 타단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버튼으로 구성되는 버튼장치와; 일단이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이어폰에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 수납장치의 외주면에 감겨 있는 이어폰 와이어와; 상기 이어폰을 스피커 기능으로 사용시 상기 이어폰이 상기 휴대폰 본체 정면 상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이어폰 홈과; 상기 이어폰 와이어의 상기 휴대폰 내/외부 출입을 위해 상기 이어폰 홈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구멍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이 휴대폰 내부에 수납되어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 기능을 휴대폰 내부에 수납된 이어폰 하나로 겸용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음성청취를 위해 스피커를 휴대폰에 설치하여 통화시 이를 이용하여 음성을 청취하거나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알람음, 키 비프음 등을 출력하였다. 그래서 휴대폰 사용자는 스피커를 통해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청취하고, 마이크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상대방으로 송신하기 위해 입력하였다. 또한, 차량 운전중이나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 통화를 할 때 운전에 방해받지 않고 통화를 하기 위해서나 주위의 소음으로부터 상대방의 음성을 청취하기 위하여 휴대폰에는 이어폰 잭이 구비되어 필요할 때 이어폰을 이어폰 잭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휴대폰은 이어폰을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어폰을 이용하려는 휴대폰 이용자는 이어폰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휴대폰 이용자는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이어폰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 이어폰 기능이 유명무실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이어폰 기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 기능을 겸용할 수 있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피커 기능과 이어폰 기능을 겸용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내부에 설치되며, 이어폰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겨 수납되도록 하는 제1회전판과, 스파이럴 스프링의 내측단이 고정부에 고정되고, 외측단이 상기 제1회전판에 고정되며, 상기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회전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이어폰 수납장치와; 상기 이어폰 수납수단의 일측에 일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타단은 가압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받도록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레버와, 상기 휴대폰 본체의 외측면 적소에 상기 레버의 타단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버튼으로 구성되는 버튼장치와; 일단이 이어폰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이어폰에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 수납장치의 외주면에 감겨 있는 이어폰 와이어와; 상기 이어폰을 스피커 기능으로 사용시 상기 이어폰이 상기 휴대폰 본체 정면 상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이어폰 홈과; 상기 이어폰 와이어의 상기 휴대폰 내/외부 출입을 위해 상기 이어폰 홈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구멍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의 내부 블록구성도로서,
제어부(11)는 상기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듀플렉서 112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수신부(13)로 출력하며, 무선 송신부(15)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상가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13)는 데이터 수신시 이를 제어부(11)로 출력하고, 통화모드시 수신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음성 처리부(16)로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14)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수신 채널에 대응하여 수신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캐리어 제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로 출력하며, 송신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5)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15)는 통화모드시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 처리부(16)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주파수 합성부(14)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12)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16)는 상기 무선 수신부(13)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복조하여 스위치부(17)를 통해 증폭부(18)로 출력하며, 상기 증폭부(18)는 입력되는 음성을 소정 증폭하여 이어폰부(300)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114)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17)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5)로 출력한다.
링거부(20)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링 신호 수신시 링거음을 출력한다. 메모리부(21)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 및 메모리 다이얼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로 구분된다. 키입력부(23)은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로 출력한다. LCD(22)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이어폰부(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내부에 수납되는 이어폰 장치(200)와 이어폰 길이를 조절하는 버튼(234)으로 구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서 이어폰을 스피커 기능으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서 이어폰을 이어폰 기능으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은 이어폰(201)을 스피커 기능으로 사용될 때에는 휴대폰 본체(111)의 상부에 형성된 이어폰 홈(116)에 삽입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이어폰(201)을 이어폰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어폰(201)만 휴대폰 본체(111)로부터 이탈되도록 사용자는 상기 버튼(234)을 누른 상태에서 이어폰 와이어 관통구멍(117)으로부터 상기 이어폰 와이어(241)를 손으로 인출하는 길이만큼 외부로 이탈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상기 버튼(234)은 상기 이어폰(201)을 도 3과 같은 이어폰 기능으로 사용하다가 스피커 기능으로 전환할 때, 즉 이어폰 와이어(241)를 되감기 할 때도 사용되어 지며, 이때에는 상기 버튼(234)을 누르면 상기 이어폰 와이어(241)가 자동으로 되감기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6의 설명시 상세히 거론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의 부분 내측면도로서, 이어폰 장치(200)가 휴대폰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어폰 장치(200)는 휴대폰 내부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PCB(121) 후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우선 PCB(도 4의 121) 후면 적소에는 스프링 고정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211)에는 스파이럴 스프링(Spiral Spring)(221)이 감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21)의 내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 고정부(211)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스프링 고정부(211)의 외주에는 원형의 2단회전판(222)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2단회전판(222)은 제1회전판(223)과 제2회전판(224)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판(223)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21)의 외측단부가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는 이어폰(201)의 이어폰 와이어(241)가 감긴다. 즉, 상기 스프링 고정부(211)에 스파이럴 스프링(211)이 감기고 그 외주면에 상기 2단회전판(222)이 설치되어 상기 2단회전판(222)이 회전할 때,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11)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회전판(224)의 외주면에는 일정각도로 돌출된 다수개의 걸림턱(224a)이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판(224)의 직경은 상기 제1회전판(223)에 감긴 이어폰 와이어(241)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1회전판(22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그후, 상기 PCB(121) 후면에 설치된 2단회전판(222)의 일측에는 상기 2단회전판(222)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레버(Lever)(230)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230)는 힌지결합으로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230a)을 중심으로 레버(230)의 일단부(231)는 상기 2단회전판(222)의 제2회전판(222)에 형성된 걸림턱(224a)에 걸려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231a)가 형성되며, 타단부(232)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돌기(231a)를 상기 힌지축(230a)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가압스프링(23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버(230)의 타단부(232)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어폰 와이어(24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휴대폰 본체(111)의 상측 프레임 상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버튼(234)을 설치한다. 즉, 상기 버튼(234)을 누름으로써 상기 레버(230)의 타단부(232)는 하측으로 가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2단회전판(222)에는 그 외주면에 감겨있는 이어폰 와이어(241)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225)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225)에는 상기 이어폰 와이어(241)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225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어폰 장치(200)는 이어폰 와이어의 길이를 사용자의 편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이어폰 잭은 도시되지 않은 휴대폰 PCB(121) 내측의 이어폰 단자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의 작동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이어폰(201)을 이어폰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 와이어(241)를 상기 장치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시키기 위하여 휴대폰 외부 일 측면에 위치한 버튼(234)을 누른다. 상기 버튼(234)이 도 6에서처럼 하강하게 되면, 그 하측에 위치한 레버(230)의 타단부(232)가 가압스프링(233)을 가압하면서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회전판(224)의 걸림턱(224a)에 걸려있던 레버 일단부 (231)의 걸림돌기(231a)는 상기 힌지축(230a)을 중심으로 상승하게 되므로써 상기 걸림돌기(231)a는 걸림턱(224a)에서 이탈되게 된다. 즉, 상기 2단회전판(222)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후, 사용자는 상기 버튼(234)을 누른 상태에서 이어폰 와이어(241)를 필요한 길이로 인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2단회전판(222)은 회전하게 되고 그 내측에 설치된 스파이럴 스프링(221)은 스프링 고정부(211)를 중심으로 감기면서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그후,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만큼 상기 이어폰 와이어(241)를 인출시킨 뒤 버튼(234)에서 손을 떼면 상기 레버(230)의 타단부(232)는 그 하측에 설치된 가압스프링(233)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230)의 일단부(231)는 하강하게 되어 상기 레버의 걸림돌기(231a)는 상기 2단회전판(222)의 걸림턱(224a)에 걸려서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이어폰(201)을 스피커 기능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201)을 이어폰 기능으로 상기 휴대폰 외부 측면에 위치한 상기 버튼(234)을 누르게 되며, 상기 레버(230)는 힌지축(230a)을 중심으로 타단부(232)는 하강하고, 일단부(231)는 상승하게 되어 상기 2단회전판(222)은 상기 이어폰 와이어(241)의 인출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21)이 가지고 있는 탄성력이 상기 2단회전판(222)을 회전시키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이어폰(201)은 휴대폰 본체(111)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구멍(117)보다 지름이 크기 때문에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이어폰 홈(116)에 삽입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사용자는 직접 휴대폰을 귀에 대고 통화를 하고자 할 때에는 스피커 기능으로 동작하는 상기 이어폰(201)이 이어폰 홈(116)에 삽입된 구조에서 통화를 수행하고, 운전중이나 소음이 심한 곳에서 이어폰을 귀에 꽂고 통화를 하고자 할 때는 이어폰 와이어(241)를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이어폰 와이어(241)의 인출시에나 되감기할 때 상기 버튼(234)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이어폰을 스피커 기능과 이어폰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에 이어폰 하나를 가지고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 기능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이어폰 기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의 내부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서 이어폰을 스피커 기능으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서 이어폰을 이어폰 기능으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의 부분 내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장치의 구성도

Claims (4)

  1. 스피커 기능과 이어폰 기능을 겸용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이어폰 와이어가 외주면에 감겨 수납되는 제1회전판과, 외주면에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회전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이어폰 수납장치와;
    일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타단은 가압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는 레버와, 상기 휴대폰 본체의 외측면 적소에서 상기 레버의 타단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버튼으로 구성되는 버튼장치와,
    상기 휴대폰 본체에 형성된 와이어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이어폰 스피커 기능으로 사용시 휴대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이어폰 홈에 삽입 되고, 상기 이어폰을 이어폰 기능으로 사용시 상기 이어폰만 휴대폰 본체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이어폰 와이어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이어폰 와이어를 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수납장치는 외주면에 감겨있는 이어폰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커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치의 상기 제1회전판의 직경은 상기 제2회전판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은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스피커 기능이나 이어폰 기능 중 원하는 기능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수납식 휴대폰.
KR1019980056221A 1998-12-18 1998-12-18 이어폰수납식휴대폰 KR10063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221A KR100630045B1 (ko) 1998-12-18 1998-12-18 이어폰수납식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221A KR100630045B1 (ko) 1998-12-18 1998-12-18 이어폰수납식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560A KR20000040560A (ko) 2000-07-05
KR100630045B1 true KR100630045B1 (ko) 2006-12-22

Family

ID=1956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221A KR100630045B1 (ko) 1998-12-18 1998-12-18 이어폰수납식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95B1 (ko) 2020-05-08 2021-04-19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20220134397A (ko)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95B1 (ko) * 2000-12-11 2007-02-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감김 방식에 의한 이어마이크로폰
KR100762643B1 (ko) * 2001-10-18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의 전자파 비 흡수율 저감 장치
KR20030051916A (ko) * 2001-12-20 200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이어-마이크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KR20030056058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어마이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33639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핸즈프리 어셈블리
KR100800103B1 (ko) 2007-02-01 2008-01-31 디지아나 주식회사 헤드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968A (ko) * 1998-07-07 1998-10-26 이춘수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968A (ko) * 1998-07-07 1998-10-26 이춘수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395B1 (ko) 2020-05-08 2021-04-19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20210136838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20220134397A (ko)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560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9018B2 (ja) 電話機の自動音量調整装置
KR100575963B1 (ko) 외부음향기기를 통해 음성신호와 알림음을 출력하는휴대폰 제어방법
JPH01143529A (ja) 無線電話装置
KR10040720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JP3535481B2 (ja) 移動通信端末
US6292563B1 (en) Volume attenuator for flip-style hand-held phone
KR100630045B1 (ko) 이어폰수납식휴대폰
JPH10233826A (ja) 携帯電話装置
KR100584453B1 (ko) 무선 스피커폰 기능 구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1309002A (ja) 携帯型移動通信端末
KR19980087808A (ko) 핸들 일체형 핸드폰장치
KR20000017832U (ko) 휴대폰용 초소형 라디오
JP4152219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5175746A (ja) 携帯通信端末機
KR200194772Y1 (ko) 휴대폰용 무선 이어폰
JP2001197180A (ja) 巻き取りコード式イヤホンを有する可搬型無線電話機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49138B1 (ko) 무선 헤드셋
JP3042241U (ja) ラジオ付き携帯型電話器
JP3073076U (ja) 巻き取りコード式イヤホンを有する可搬型無線電話機
KR200285673Y1 (ko) 휴대폰의 안테나를 이용한 이어마이크폰
KR200231335Y1 (ko) 오토바이 다용도 헬멧
KR20020095622A (ko) 이동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48194A (ko) 졸음운전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졸음운전방지 방법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