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204B1 -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204B1
KR100641204B1 KR1020050066400A KR20050066400A KR100641204B1 KR 100641204 B1 KR100641204 B1 KR 100641204B1 KR 1020050066400 A KR1020050066400 A KR 1020050066400A KR 20050066400 A KR20050066400 A KR 20050066400A KR 100641204 B1 KR100641204 B1 KR 10064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peaker
terminal
headset
wireless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8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for a headse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 측으로 개방된 헤드셋수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단말기본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유니트와, 상기 스피커유니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셋수용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무선 헤드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망실의 우려가 없고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WIRELESS HEADSE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무선 헤드셋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무선 헤드셋의 스피커하우징의 인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
도 8은 도 7의 스피커하우징의 철회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4의 무선 헤드셋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단말기본체 120,140 : 근거리무선통신모듈
121 : 헤드셋수용부 125 : 스피커홀
127 : 헤드셋접속단자 129,139 : 스피커단자
130 : 무선 헤드셋 131 : 케이스
133 : 마이크홀 134 : 본체접속단자
135 : 하우징수용부 137 : 리시버단자
141 : 배터리 151 : 스피커유니트
161 : 스피커하우징 163 : 접촉단자
165 : 커버부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망실의 우려가 없고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및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각 전자기기의 통신기기가 소형화되면서 서로 근거리에 배치된 통신기기를 무선으로 연결시켜 통신기기 간의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서로 근거리에 배치된 각 통신기기를 서로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으로는 소위 블루투스(BLUETOOTH)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블루투스를 채택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단말기 또는 프린터 등 기기 간의 정보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즈프리킷으로 블루투스모듈 등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단말 기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 헤드셋의 이용이 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헤드셋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11) 및 폴더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부(11)의 내부에는 블루투스모듈 등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15)이 내장되어 있다.
무선 헤드셋(20)은, 내부에 근거리무선통신모듈(26)이 내장되는 바디(21)와, 바디(21)의 일 측에 사용자의 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어폰(23)과, 바디(21)의 타측에 음향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마이크로폰(25)을 구비하고 있다. 바디(21)의 외면 일 측에는 통화 및 음량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버튼(27)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 헤드셋에 있어서는, 무선 헤드셋(20)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휴대 시 무선 헤드셋(20)을 별도로 지참해야하므로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휴대 중 무선 헤드셋(20)의 망실의 우려가 있고 별도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망실의 우려가 없고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 측으로 개방된 헤드셋수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단말기본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유니트와, 상기 스피커유니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셋수용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무선 헤드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헤드셋은 내부에 상기 스피커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스피커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우징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수용부에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되고 상기 스피커유니트가 리시버로 동작되는 리시버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철회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스피커로 동작하는 스피커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외면에는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접촉단자와 각각 접촉되는 리시버단자 및 스피커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셋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스피커유니 트가 상기 단말기본체의 스피커와 동일한 음향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스피커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노출 단부의 외각에 형성되는 연질부재로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직육면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피커유니트는 상기 케이스의 일 측 단부에 인접된 판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 단부 중 상기 스피커유니트로부터 멀리 이격된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단말기본체 및 상기 무선 헤드셋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본체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셋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접속단자와 접촉되는 헤드셋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유니트와; 상기 스피커유니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이 제공된다.
여기서, 내부에 상기 스피커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하우징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하우징에는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수용부에는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스피커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되는 리시버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철회되는 스피커위치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리시버단자 및 스피커단자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노출단부의 외각을 둘러싸도록 연질부재로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모듈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케이스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피커유니트는 상기 케이스의 일 판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 단부 중 상기 스피커유니트와 멀리 이격된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무선 헤드셋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무선 헤드셋의 스피커하우징의 인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스피커하우징의 철회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4의 무선 헤드셋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 측으로 개방된 헤드셋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10)와, 헤드셋수용부(121)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무선 헤드셋(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10)의 전면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1)의 하측에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113)가 배치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10)의 전면 상측 및 하측에는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리시버홀(115) 및 마이크홀(11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119)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단말기본체(110)의 내부에는 블루투스모듈로 구현된 근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수용 설치되어 있으며, 단말기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폭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헤드셋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셋수용부(121)의 일 측 연부에는 헤드셋수용부(121)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캡(123)이 구비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헤드셋수용부(121)의 내부에 수용된 무선 헤드셋(13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스피커홀(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셋수용부(121)의 내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무선 헤드셋(130)이 접속될 수 있도록 헤드셋접속단자(127) 및 스피커단자(12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무선 헤드셋(130)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31)와, 케이스(131)의 내부에 수용되어 단말기본체(110)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120)과 무선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140)과,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13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141)와, 케이스(131)의 일 측 판면으로부터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케이스(131)에 결합되는 스피커유니트(151)와, 케이스(131)의 일 측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171)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31)의 전면 일 측에는 내부에 스피커유니트(151)를 수용하여 케이스(131)의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 및 철회되는 스피커하우징(161)이 결합되어 있으며, 케이스(131)에는 스피커하우징(161)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수용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스피커하우징(161)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이 가능하게 원반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스피커유니트(151)가 수용 설치되는 삽입부(162a)와, 삽입부(162a)의 배후에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삽입부(162a)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62b)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162a)의 외측에는 귀에 삽입되는 경우 귀를 보호함과 아울러 불시에 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실리콘고무 등의 연질부재로 삽입부(162a)를 감싸도록 커버부(165)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162b)의 단부측 외면에는 접촉단자(163)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수용부(135)의 내부에는 스피커하우징(161)이 돌출되어 통화 시 리시버로 동작되는 리시버위치와, 스피커하우징(161)이 하우징수용부(135)의 내부로 철회되어 단말기본체(110)의 스피커(미도시)와 동일한 내용을 출력하도록 동작되는 스피커위치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접촉단자(163)와 접촉가능하게 리시버단자(137) 및 스피커단자(13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피커단자(139)는 케이스(131)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무선 헤드셋(130)이 헤드셋수용부(121)가 삽입 결합되는 경우 헤드셋수용부(121)의 스피커단자(129)와 접촉됨으로써 스피커유니트(151)가 단말기본체(110)의 스피커와 동일한 음향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케이스(131)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 단부 중 스피커하우징(161)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단부에는 마이크홀(133)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마이크홀(133)을 통과한 음향 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폰(171)이 설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폰(171)의 일 측에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140)이 설치되어 있다. 근거리무선통신모듈(140)의 일 측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141)가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근거리무선통신모듈(140)에는 마이크로폰(171) 및 스피커유니트(151)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131)의 전면에는 헤드셋수용부(121)의 내부에 삽입 시 헤드셋접속단자(127)와 접촉되어 무선 헤드셋(130)의 결합 여부를 인식하는 인식기능과, 무선 헤드셋(130)의 배터리(141)와 단말기본체(110)의 배터리(119)의 각 전압을 검출하여 무선 헤드셋(130) 배터리(141)의 전압이 단말기본체(110)의 배터리(119)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 무선 헤드세(130)의 배터리(141)를 충전시키는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본체접속단자(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무선 헤드셋(130)이 스피커하우징(161)이 스피커위치로 철회된 상태로 헤드셋수용부(121)의 내부에 삽입되면, 무선 헤드셋(130)의 본체접속단자(134) 및 스피커단자(139)는 헤드셋접속단자(127) 및 스피커단자(129)와 각각 접속된다. 이에 의해, 단말기본체(110)의 디지털베이스밴드(미도시)는 무선 헤드셋(130)이 헤드셋수용부(12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인식하여 단말기본체(110)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120) 및 무선 헤드셋(130)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141)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단말기본체(110)의 배터리(119) 및 무선 헤드셋 (130)의 배터리(141)의 두 전압을 비교하여 무선 헤드셋(130)의 배터리(141)의 전압이 단말기본체(110)의 배터리(119)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 단말기본체(110)의 배터리(119)를 이용하여 무선 헤드셋(130)의 배터리(141)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스피커유니트(151)는 무선 헤드셋(130)의 스피커단자(139)와 단말기본체(110)의 스피커단자129)의 접속에 의해 단말기본체(110)의 스피커와 동일한 음향 정보를 동시에 출력하여 단말기본체(110)의 보조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무선 헤드셋(130)을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할 때는, 먼저 헤드셋수용부(121)로부터 무선 헤드셋(130)이 인출되도록 한다. 무선 헤드셋(130)이 단말기본체(110)로부터 인출되면 단말기본체(110)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120) 및 무선 헤드셋(130)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140)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인콰이어링(inquiring)을 실시하여 상호 통신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이 때, 하우징수용부(135)로부터 스피커하우징(161)을 인출하면 스피커하우징(161)의 접촉단자(163)가 리시버단자(137)와 연결되고 스피커유니트(151)는 리시버로 동작되며, 마이크로폰(171) 및 리시버로 동작되는 스피커유니트(141)를 이용하여 통화를 실시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측으로 개방된 헤드셋수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단말기본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어 단말기본체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유니트와, 스피커유니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케이스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헤드셋수용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무선 헤드셋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망실의 우려가 없고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유니트와; 상기 스피커유니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망실의 우려가 없고 휴대가 간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무선 헤드셋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센 헤드셋을 위한 별도의 충전기를 사용함이 없이 단말기본체의 충전 시 무선 헤드셋의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15)

  1. 일 측으로 개방된 헤드셋수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는 단말기본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유니트와, 상기 스피커유니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셋수용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무선 헤드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헤드셋은 내부에 상기 스피커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스피커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우징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수용부에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되고 상기 스피커유니트가 리시버로 동작되는 리시버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철회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스피커로 동작하는 스피커위치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외면에는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접촉단자와 각각 접촉되는 리시버단자 및 스피커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스피커유니트가 상기 단말기본체의 스피커와 동일한 음향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스피커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노출 단부의 외각에 형성되는 연질부재로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직육면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피커유니트는 상기 케이스의 일 측 단부에 인접된 판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 단부 중 상기 스피커유니트로부터 멀리 이격된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본체 및 상기 무선 헤드셋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본체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셋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접속단자와 접촉되는 헤드셋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0.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유니트와; 상기 스피커유니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11. 제10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스피커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피커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하우징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하우징에는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수용부에는 상기 접촉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스피커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되는 리시버위치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철회되는 스피커위치를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리시버단자 및 스피커단자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노출단부의 외각을 둘러싸도록 연질부재로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피커유니트는 상기 케이스의 일 판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 단부 중 상기 스피커유니트와 멀리 이격된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KR1020050066400A 2005-07-21 2005-07-21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400A KR100641204B1 (ko) 2005-07-21 2005-07-21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400A KR100641204B1 (ko) 2005-07-21 2005-07-21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204B1 true KR100641204B1 (ko) 2006-11-02

Family

ID=3764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400A KR100641204B1 (ko) 2005-07-21 2005-07-21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2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82B1 (ko) * 2007-05-11 2008-07-07 (주)와이즈앤블루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용 핸드 스트랩
WO2008112689A1 (en) * 2007-03-14 2008-09-18 Singh Sanjeev K A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etainer port for removably coupling an attachable wireless audiophone thereto
KR101401872B1 (ko) * 2007-03-15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용 확장모듈 장착구조
DE202014004831U1 (de) * 2014-06-12 2014-09-01 Sinan Kuru Hardware integrierte Bluetooth Freisprecheinrichtung in Verbindung mit z. B. einem Smartphone/Tablet/PC/Notebook oder anderen elektronischen Geräten
KR101510002B1 (ko) * 2013-12-06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탈식 핸즈프리 장치
KR101736770B1 (ko) * 2012-12-04 2017-05-17 이창선 이어후크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241395B1 (ko) * 2020-05-08 2021-04-19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CN114172988A (zh) * 2021-12-15 2022-03-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2689A1 (en) * 2007-03-14 2008-09-18 Singh Sanjeev K A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etainer port for removably coupling an attachable wireless audiophone thereto
KR101401872B1 (ko) * 2007-03-15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용 확장모듈 장착구조
KR100844482B1 (ko) * 2007-05-11 2008-07-07 (주)와이즈앤블루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용 핸드 스트랩
KR101736770B1 (ko) * 2012-12-04 2017-05-17 이창선 이어후크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510002B1 (ko) * 2013-12-06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탈식 핸즈프리 장치
DE202014004831U1 (de) * 2014-06-12 2014-09-01 Sinan Kuru Hardware integrierte Bluetooth Freisprecheinrichtung in Verbindung mit z. B. einem Smartphone/Tablet/PC/Notebook oder anderen elektronischen Geräten
KR102241395B1 (ko) * 2020-05-08 2021-04-19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WO2021225299A1 (ko) * 2020-05-08 2021-11-11 주식회사 바리센 무선 이어폰 및 이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기기
CN114172988A (zh) * 2021-12-15 2022-03-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204B1 (ko) 무선 헤드셋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82929B1 (ko)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US9406913B2 (en)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s
US8942748B2 (en) Adapters for facilitating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in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s, and systems comprising same
KR101221592B1 (ko) 안테나 겸용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그를 갖는 휴대단말기
CN105706021A (zh) 带有集成输入/输出接口的电源适配器单元以及带有用于多功能电源适配器的收纳凹槽的便携式电子装置
US20100150371A1 (en) Bluetooth headset with a retractable structure
US20230067147A1 (en) Cradle and portable sound device
TWI275287B (en) Bluetooth mobile phone having a detachable bluetooth earpiece
KR200456228Y1 (ko) 입력장치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US20090197649A1 (en) Mobile phone with headset docking station
KR2003001114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장치
KR101992221B1 (ko) 비콘을 이용하는 휴대폰 거치용 무선충전 장치
FI122442B (fi) Radiotekniikalla solukkoverkossa operoiva laite ja siihen kiinnitettävä handsfree-laite
CN220307384U (zh) 一种穿戴式设备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83743B1 (ko)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안테나를 구비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65985A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
KR20070097630A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KR20070029339A (ko) 다기능 블루투스 수신기
KR1005757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20050021100A (ko) 연결 단자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30030617A (ko) 무선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CN116709150A (zh) 一种穿戴式设备
KR20030054205A (ko) 블루투스 헤드셋의 밧데리 보조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