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975B1 -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 Google Patents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975B1
KR101132975B1 KR1020100080869A KR20100080869A KR101132975B1 KR 101132975 B1 KR101132975 B1 KR 101132975B1 KR 1020100080869 A KR1020100080869 A KR 1020100080869A KR 20100080869 A KR20100080869 A KR 20100080869A KR 101132975 B1 KR101132975 B1 KR 10113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tal pad
reel
driving wheel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918A (ko
Inventor
장지헌
Original Assignee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filed Critical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Priority to KR102010008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9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으로 청취하는 동안 전원부의 전원이 소진될 경우 유선으로 청취를 계속할 수 있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은 제1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블루투스가 내장된 제1 스피커 모듈과, 제1 스피커 모듈과 함께 스테레오를 구현하며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제2 스피커 모듈과, 그리고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필요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직접 유선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BLUETOOTH EARPHONE HAVING WIRE AND WIRELESS TYPES TOGETHER}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선과 무선 타입을 함께 가지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귀, 목, 또는 머리에 장착할 수 있게 설계된 소형 스피커로서, MP3(엠피쓰리)나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악이나 통화음을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어폰은 선의 유무에 따라 유선 이어폰과 무선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무선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무선 전송기인 블루투스가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나아가, 무선 이어폰에 마이크까지 장착된다면 휴대폰 사용시 핸즈프리(hands-free; 사용자가 휴대폰을 들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상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이어폰은 스피커 모듈의 수에 따라, 모도 이어폰과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스테레오 이어폰은 양이효과(binaural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 휴대전화보다는 MP3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원을 들을 때 유용하다.
또한, 이러한 이어폰은 장착 형태에 따라, 귀에 거는 이어 타입 이어폰과, 목에 거는 넥 타입 이어폰과, 머리에 거는 헤드 타입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한편, 유선 이어폰은 와이어로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됨에 따라 와이어부가 사용자의 몸에 감기거나 주위 물품에 걸리는 등 와이어 관리가 어렵고, 그리고 핸즈 프리 구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유선 이어폰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무선 이어폰의 개발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이어폰은 제1 스피커와 전원부와 그리고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제1 스피커 모듈과, 제2 스피커와 제어부(ECU; Electric Control Unit)와 마이크를 포함하는 제2 스피커 모듈과, 그리고 스테레오 구현을 위해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신된 음성신호를 블루투스가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음성신호는 제1 및 제2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바뀐다. 이 때, 블루투스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된다.
하지만, 종래의 무선 이어폰은 전원부의 전원이 소진될 경우 무선 이어폰의 기능이 정지되는 문제가 있다. 즉, 전원이 소진되어 블루투스의 구동이 정지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청취하고 있었다면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 난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으로 청취하는 동안 전원부의 전원이 소진될 경우 유선으로 청취를 계속할 수 있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은 제1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블루투스가 내장된 제1 스피커 모듈; 상기 제1 스피커 모듈과 함께 스테레오를 구현하며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제2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휴대용 단말기에 직접 유선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은 몸체; 상기 몸체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및 제4 와이어부; 상기 제3 및 제4 와이어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직접 유선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상기 제1 와이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부가 감기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1 릴; 상기 제2 와이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가 감기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2 릴; 상기 제3 와이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와이어부가 감기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3 릴; 상기 제4 와이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와이어부가 감기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4 릴; 상기 제1 및 제2 릴, 또는 상기 제3 및 제4 릴에 기어 맞물림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릴, 또는 상기 제3 및 제4 릴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톱니바퀴 형상의 구동휠; 상기 제1 중심축과 상기 제3 중심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금속 패드부; 상기 제2 중심축과 상기 제4 중심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금속 패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절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절환부는 상기 제1 금속 패드부에 연장되는 제3 금속 패드부; 상기 제2 금속 패드부에 연장되는 제4 금속 패드부; 상기 구동휠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5 금속 패드부; 상기 몸체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휠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5 금속 패드부가 상기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와 연결되는 지점에 상기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연결용 안착홈; 및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5 금속 패드부가 상기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와 분리되는 지점에 상기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분리용 안착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청취 가능한 음파로 바꾸는 제1 스피커; 상기 블루투스 및 상기 제1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블루투스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될 때에는 상기 제1 와이어부는 출력 회로와 연결되도록 모드 절환하고, 상기 플러그의 연결을 통해 유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될 때에는 상기 제1 와이어부는 입력 회로와 연결되도록 모드 절환하는 제2 절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스피커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부의 전원 잔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잔량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상기 전원부의 전원 잔량에 대한 잔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잔량 신호가 참조 신호보다 작으면 상기 알림부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구동휠이 상기 제1 및 제2 릴, 또는 상기 제3 및 제4 릴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휠의 축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동휠이 상기 제1 및 제2 릴에 기어 맞물릴 경우 상기 구동휠을 정지시키는 제1 단턱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동휠이 상기 제3 및 제4 릴에 기어 맞물릴 경우 상기 구동휠을 정지시키는 제2 단턱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구동휠의 축에 결합된 상기 손잡이가 상기 구동휠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무선으로 청취하는 동안 전원부의 전원이 소진되더라도 유선으로 청취를 계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청취하던 중 전원이 소진될 경우,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고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1 및 제2 와이어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스피커 모듈과 제2 스피커 모듈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3 및 제4 와이어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스피커 모듈과 휴대용 단말기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을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에서 제1 및 제2 리드판으로 이루어진 2층 패턴 구조를 각각 갖는 제1, 제2,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에서 제1 및 제2 극으로 이루어진 2극 구조를 각각 갖는 제1, 제2, 제3 및 제4 릴을 나타냄과 함께 제1 극은 제1 리드판에 제2 극은 제2 리드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에서 제1 및 제2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2층 구조를 갖는 제5 금속 패드부를 나타냄과 함께 제1 연결 부재는 제1 리드판에 제2 연결부재는 제2 리드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블루투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되는 상태에서, 스테레오 구현을 위해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가 제1 절환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3 및 제4 와이어부가 인출되어 플러그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되는 상태를 나타냄과 함께 제1 및 제2 와이어부가 각각 제3 및 제4 와이어부에 만 연결되도록 제1 절환부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부의 연결을 차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제1 절환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가 제5 금속 패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제1 절환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의 연결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3 및 제4 와이어부를 감기 위해 구동휠이 제3 및 제4 릴에 기어 맞물림되도록 제3 및 제4 릴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및 제2 와이어부를 감기 위해 구동휠이 제1 및 제2 릴에 기어 맞물림되도록 제1 및 제2 릴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이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의 양면에 각각 포개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이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의 양면에 각각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을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에서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에서 제1 및 제2 리드판(400a)(400b)으로 이루어진 2층 패턴 구조를 각각 갖는 제1, 제2,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10)(420)(431)(432)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에서 제1 및 제2 극(300a)(300b)으로 이루어진 2극 구조를 각각 갖는 제1, 제2, 제3 및 제4 릴(350)(360)(370)(380)을 나타냄과 함께 제1 극(300a)은 제1 리드판(400a)에 제2 극(300b)은 제2 리드판(400b)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3의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에서 제1 및 제2 연결 부재(433a)(433b)로 이루어진 2층 구조를 갖는 제5 금속 패드부(433)를 나타냄과 함께 제1 연결 부재(433a)는 제1 리드판(400a)에 제2 연결 부재(433b)는 제2 리드판(400b)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모듈(100) 과, 제2 스피커 모듈(200) 과, 그리고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을 포함한다.
제1 스피커 모듈(100) 은 제1 와이어부(110)와, 제1 스피커(130)와, 전원부(140)와, 감지부(160)와, 제2 절환부(150)와, 그리고 블루투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60)는 제1 스피커 모듈(100) 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배치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제1 스피커 모듈(100) 이 아닌 제2 스피커 모듈(200) 에 포함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하, 제1 스피커 모듈(100) 의 각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와이어부(110)는 후술하는 제2 와이어부(210)와 함께 제1 스피커 모듈(100) 과 제2 스피커 모듈(200)을 연결하여 스테레오를 구현하게 된다. 나아가, 제1 와이어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절연된 양극선(100a)과 접지선(100c)을 포함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선(100a)은 후술하는 제1 릴(350)의 제1 중심축(351)의 제1 극(3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접지선(100c)은 후술하는 제1 릴(350)의 제1 중심축(351)의 제2 극(30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스피커(130)는 후술하는 블루투스(12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유선 연결시에는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바꾸는 것으로서, 크리스털리시버 또는 마그네틱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40)는 무선 연결시 블루투스(120)를 구동시키기 위해 블루투스(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전원부(140)의 전원의 잔량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어부(230)에 그 감지된 잔량 신호를 보내게 된다. 참고로, 제어부(230)는 그 잔량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잔량 신호가 참조 신호보다 작으면 후술하는 알림부(24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2 절환부(150)는 제1 와이어부(110)가 출력 회로(미도시) 또는 입력 회로(미도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모드를 절환하는 것이다. 특히, 블루투스(120)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될 때에는 제2 절환부(150)에 의해 제1 와이어부(110)는 출력 회로와 연결되고, 그리고 후술하는 플러그(340)의 연결을 통해 유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될 때에는 제2 절환부(150)에 의해 제1 와이어부(110)는 입력 회로와 연결된다. 참고로, 이렇게 제2 절환부(150)를 통해 모드를 절환하는 이유는 무선 데이터 교환시 제1 와이어부(110)가 출력 회로에 연결되도록 하여 블루투스(120)에서 발신되는 음성 신호를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를 통해 제2 스피커(220)에 보내 스테레오 구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 때, 제1 절환부(430)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는 서로 연결된다. 또한 유선 데이터 교환시에는 제1 와이어부(110)가 입력 회로에 연결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10)에서 발신되는 음성 신호를 제3 와이어부(320) 및 제1 와이어부(110)를 통해 제1 스피커(130)에 전달하기 위함이며, 이때 제1 절환부(430)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의 연결은 차단된다.
블루투스(120)는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발신된 무선 데이터(특히,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이며, 그리고 제1 및 제2 스피커(130)(220)에 그 수신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제2 스피커 모듈(200) 에 후술하는 마이크(250)가 더 포함될 경우, 블루투스(120)는 마이크(250)의 음성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특히, 휴대폰)에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2 스피커 모듈(200)을 구제적으로 설명한다.
제2 스피커 모듈(200) 은 제2 와이어부(210)와, 제2 스피커(220)와, 제어부(230)와, 그리고 알림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30) 및 알림부(240)는 제2 스피커 모듈(200) 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배치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제2 스피커 모듈(200) 이 아닌 제1 스피커 모듈(100) 에 포함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스피커 모듈(200) 은 마이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2 스피커 모듈(200) 의 각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와이어부(210)는 제1 와이어부(110)와 함께 상술한 제1 스피커 모듈(100) 과 제2 스피커 모듈(200)을 연결하여 스테레오를 구현하게 된다. 나아가, 제2 와이어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절연된 음극선(100b)과 접지선(100c)을 포함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100b)은 후술하는 제2 릴(360)의 제2 중심축(361)의 제1 극(3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접지선(100c)은 후술하는 제2 릴(360)의 제2 중심축(361)의 제2 극(30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스피커(220)는 제1 스피커(130)와 같이 블루투스(12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유선 연결시에는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바꾸는 것으로서, 크리스털리시버 또는 마그네틱리시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술한 감지부(160)에서 감지된 전원 잔량 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잔량 신호가 참조 신호보다 작으면 후술하는 알림부(24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부(23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설정된 프로그램은 감지부(160)에 감지된 전원부(140)의 전원 잔량에 대한 잔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수신된 잔량 신호가 참조 신호보다 작으면 알림부(240)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알림부(240)의 메시지(예를 들어, 음성 또는 경고램프)에 따라 유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전원이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미리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알림부(240)는 제어부(230)의 경고 신호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음성 또는 램프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마이크(250)는 사용자의 소리를 음성 신호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더 구비되는 마이크용 와이어부(미도시)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마이크(250)는 휴대용 단말기(10) 중 휴대폰 사용시 핸즈 프리 구현을 위해 유용하며 본 발명에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은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100)(200)을 필요시(전원부(140)의 전원 잔량이 부족하거나 소진된 때) 휴대용 단말기(10)에 직접 유선연결함과 더불어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부(110)(210)(320)(3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몸체(310)와, 제3 와이어부(320)와, 제4 와이어부(330)와, 플러그(340)와, 제1 릴(350)과, 제2 릴(360)과, 제3 릴(370)과, 제4 릴(380)과, 구동휠(390)과, 제1 금속 패드부(410)와, 제2 금속 패드부(420)와, 그리고 제1 절환부(430)를 포함한다.
몸체(310)는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의 외장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311)와 하부 케이스(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312)에는 구동휠(390)이 제1 및 제2 릴(350)(360), 또는 제3 및 제4 릴(370)(380)로 이동되도록 구동휠(390)의 축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휠(390)이 제1 및 제2 릴(350)(360)에 기어 맞물릴 경우 구동휠(390)을 정지시키는 제1 단턱부(314)가 상기 제1 가이드홈(31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휠(390)이 제3 및 제4 릴(370)(380)에 기어 맞물릴 경우 구동휠(390)을 정지시키는 제2 단턱부(315)가 제1 가이드홈(31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휠(390)의 축에 결합된 손잡이(434)가 구동휠(390)과 함께 이동되도록 손잡이(434)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316)이 상부 케이스(31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는 몸체(310)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하는 제3 및 제4 릴(370)(380)에 각각 감긴다. 나아가, 제3 와이어부(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절연된 양극선(100a)과 접지선(100c)을 포함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선(100a)은 제3 릴(370)의 제3 중심축(371)의 제1 극(3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접지선(100c)은 제3 릴(370)의 제3 중심축(371)의 제2 극(30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4 와이어부(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절연된 음극선(100b)과 접지선(100c)을 포함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100b)은 후술하는 제4 릴(380)의 제4 중심축(381)의 제1 극(3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접지선(100c)은 후술하는 제4 릴(380)의 제4 중심축(381)의 제2 극(30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340)는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조립시켜 유선 연결을 요할시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를 휴대용 단말기(10)의 단자홀(10a)에 직접 연결한다. 예를 들어, 플러그(340)가 3극 구조를 가질 경우 플러그(340)의 제1 극에는 제3 와이어부(320)의 양극선(100a)을 연결하고, 플러그(340)의 제2 극에는 제4 와이어부(330)의 음극선(100b)을 연결하며, 그리고 플러그(340)의 제3 극에는 제3 와이어부(320)의 접지선(100c)과 제4 와이어부(330)의 접지선(100c)을 함께 연결하면, 서로 절연된 상태로 플러그(340)에 연결된다.
제1 릴(350)은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하는 구동휠(390)과 기어 맞물림되도록 톱니바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릴(350)은 상술한 제1 와이어부(110)가 감길 수 있도록 외주면의 가운데가 외주를 따라 움푹 들어간 형상(도 5 참조)을 갖는다. 또한, 제1 릴(350)은 제1 와이어부(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중심축(351)을 포함한다. 일예로, 제1 릴(350)은 구동휠(390)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릴(3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300c)에 의해 서로 절연된 제1 및 제2 극(300a)(300b)으로 이루진 2극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릴(350)의 제1 중심축(351)의 제1 극(300a)에는 후술하는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1 리드판(4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릴(350)의 제1 중심축(351)의 제2 극(300b)에는 후술하는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2 리드판(4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릴(360)은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하는 구동휠(390)과 기어 맞물림되도록 톱니바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릴(360)은 상술한 제2 와이어부(210)가 감길 수 있도록 외주면의 가운데가 외주를 따라 움푹 들어간 형상(도 5 참조)을 갖는다. 또한, 제2 릴(360)은 제2 와이어부(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중심축(361)을 포함한다. 일예로, 제2 릴(360)은 구동휠(390)을 기준으로 도면상 우측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릴(3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300c)에 의해 서로 절연된 제1 및 제2 극(300a)(300b)으로 이루진 2극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2 릴(360)의 제2 중심축(361)의 제1 극(300a)에는 후술하는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1 리드판(4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릴(360)의 제2 중심축(361)의 제2 극(300b)에는 후술하는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2 리드판(4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릴(370)은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하는 구동휠(390)과 기어 맞물림되도록 톱니바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3 릴(370)은 상술한 제3 와이어부(320)가 감길 수 있도록 외주면의 가운데가 외주를 따라 움푹 들어간 형상(도 5 참조)을 갖는다. 또한, 제3 릴(370)은 제3 와이어부(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중심축(371)을 포함한다. 일예로, 제3 릴(370)은 구동휠(390)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3 릴(3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300c)에 의해 서로 절연된 제1 및 제2 극(300a)(300b)으로 이루진 2극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3 릴(370)의 제3 중심축(371)의 제1 극(300a)에는 후술하는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1 리드판(4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릴(370)의 제3 중심축(371)의 제2 극(300b)에는 후술하는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2 리드판(4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4 릴(380)은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하는 구동휠(390)과 기어 맞물림되도록 톱니바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4 릴(380)은 상술한 제4 와이어부(330)가 감길 수 있도록 외주면의 가운데가 외주를 따라 움푹 들어간 형상(도 5 참조)을 갖는다. 또한, 제4 릴(380)은 제4 와이어부(3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중심축(381)을 포함한다. 일예로, 제4 릴(380)은 구동휠(390)을 기준으로 도면상 우측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4 릴(3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300c)에 의해 서로 절연된 제1 및 제2 극(300a)(300b)으로 이루진 2극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4 릴(380)의 제4 중심축(381)의 제1 극(300a)에는 후술하는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1 리드판(4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릴(380)의 제4 중심축(381)의 제2 극(300b)에는 후술하는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2 리드판(4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휠(390)은 상술한 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술한 제1 및 제2 릴(350)(360) 모두에, 또는 상술한 제3 및 제4 릴(370)(380) 모두에 필요에 따라 기어 맞물림되어 제1 및 제2 릴(350)(360) 모두에, 또는 제3 및 제4 릴(370)(380) 모두에 구동력을 공급하도록 톱니바퀴 형상을 갖는다. 일예로, 구동휠(390)은 상술한 제1 가이드홈(31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그리고 제1, 제2, 제3 및 제4 릴(350)(360)(370)(380)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술하는 손잡이(434)를 잡고 구동휠(390)을 제1 가이드홈(313)을 따라 제1 및 제2 릴(350)(360)로 이동시키면 구동휠(390)은 제1 단턱부(314)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릴(350)(360)에 기어맞물림되고, 사용자가 구동휠(39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및 제2 릴(350)(360)은 각각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를 감거나 풀게 된다. 궁극적으로,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의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술하는 손잡이(434)를 잡고 구동휠(390)을 제1 가이드홈(313)을 따라 제3 및 제4 릴(370)(380)로 이동시키면 구동휠(390)은 제2 단턱부(315)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제3 및 제4 릴(370)(380)에 기어맞물림되고, 사용자가 구동휠(39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3 및 제4 릴(370)(380)은 각각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를 감거나 풀게 된다. 궁극적으로,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의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고,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와 플러그(340)를 통해 유선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동휠(390)에 의해 제1 및 제2 릴(350)(360)이 동시에 회동되므로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가 항상 동일한 길이로 조절되고,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 또한 항상 동일한 길이로 조절됨에 따라,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의 몸체(310)는 항상 중심에 있게 되므로 몸체(310)를 사용자의 목에 걸치는데 수월할 수 있다.
제1 금속 패드부(410)는 제1 중심축(351)과 제3 중심축(37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나아가, 제1 금속 패드부(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312)의 평면에 묻히는 제1 리드판(400a)과 그리고 하부 케이스(312)의 평면 아래에 묻히는 제2 리드판(400b)으로 이루진 2층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1 리드판(400a)의 일단에는 상술하는 제1 릴(350)의 제1 극(3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2 리드판(400b)의 일단에는 상술한 제1 릴(350)의 제2 극(3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1 리드판(400a)의 타단에는 상술한 제3 릴(370)의 제1 극(3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2 리드판(400b)의 타단에는 상술한 제3 릴(370)의 제2 극(3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금속 패드부(420)는 제2 중심축(361)과 제4 중심축(3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나아가, 제2 금속 패드부(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312)의 평면에 묻히는 제1 리드판(400a)과 그리고 하부 케이스(312)의 평면 아래에 묻히는 제2 리드판(400b)으로 이루진 2층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1 리드판(400a)의 일단에는 상술하는 제2 릴(360)의 제1 극(3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2 리드판(400b)의 일단에는 상술한 제2 릴(360)의 제2 극(3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1 리드판(400a)의 타단에는 상술한 제4 릴(380)의 제1 극(3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2 리드판(400b)의 타단에는 상술한 제4 릴(380)의 제2 극(3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절환부(430)는 제1 및 제2 금속 패드부(410)(420)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즉, 블루투스(120)를 통한 무선 연결시에는 제1 및 제2 금속 패드부(410)(420)를 연결하여 제1 와이어부(110)와 제2 와이어부(210)가 연결되도록 하고, 그리고 플러그(340)를 통한 유선 연결시에는 제1 및 제2 금속 패드부(410)(420)의 연결을 차단하여 제1 와이어부(110)와 제2 와이어부(210)의 연결을 차단한다.
이하, 도 1, 도 6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제1 절환부(4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절환부(430)는 제3 금속 패드부(431)와, 제4 금속 패드부(432)와, 제5 금속 패드부(433)와, 손잡이(434)와, 연결용 안착홈(435)과, 그리고 분리용 안착홈(436)을 포함한다.
제3 금속 패드부(431)는 제1 금속 패드부(410)에 연장된다. 나아가, 제3 금속 패드부(4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312)의 평면에 묻히는 제1 리드판(400a)과 그리고 하부 케이스(312)의 평면 아래에 묻히는 제2 리드판(400b)으로 이루진 2층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제3 금속 패드부(431)의 제1 리드판(400a)에는 상술하는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1 리드판(4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금속 패드부(431)의 제2 리드판(400b)에는 상술한 제1 금속 패드부(410)의 제2 리드판(4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4 금속 패드부(432)는 제2 금속 패드부(420)에 연장된다. 나아가, 제4 금속 패드부(4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312)의 평면에 묻히는 제1 리드판(400a)과 그리고 하부 케이스(312)의 평면 아래에 묻히는 제2 리드판(400b)으로 이루진 2층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제4 금속 패드부(432)의 제1 리드판(400a)에는 상술하는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1 리드판(4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금속 패드부(432)의 제2 리드판(400b)에는 상술한 제2 금속 패드부(420)의 제2 리드판(4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5 금속 패드부(433)는 필요시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구동휠(390)에 구비된다. 나아가, 제5 금속 패드부(4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39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1 연결 부재(433a)와 그리고 구동휠(390)의 축에 구비된 제2 연결 부재(433b)로 이루진 2층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필요시 제5 금속 패드부(433)의 제1 연결 부재(433a)에는 상술하는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의 제1 리드판(40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제5 금속 패드부(433)의 제2 연결 부재(433b)에는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의 제2 리드판(400b)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손잡이(434)는 상부 케이스(311)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술한 제2 가이드홈(316)을 통해 구동휠(390)의 축에 결합되어 구동휠(390)을 회전시킨다.
연결용 안착홈(435)은 상부 케이스(311)의 외면에 형성되되 제5 금속 패드부(433)가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와 연결되는 지점에 손잡이(434)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손잡이(434)를 고정시킨다.
분리용 안착홈(436)은 상부 케이스(311)의 외면에 형성되되 제5 금속 패드부(433)가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와 분리되는 지점에 손잡이(434)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손잡이(434)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블루투스(120)를 통한 무선 연결시에는 손잡이(434)를 연결용 안착홈(435)에 안착 고정시켜 제5 금속 패드부(433)를 통해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가 연결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제1 및 제2 와이어부(210)를 연결시켜 무선 연결시 스테레오 구현이 가능하게 되고, 그리고 플러그(340)를 통한 유선 연결시에는 손잡이(434)를 분리용 안착홈(436)에 안착 고정시켜 제5 금속 패드부(433)가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와 연결되지 못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제1 와이어부(110)는 제3 와이어부(320)에만 연결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제1 음성 신호를 받도록 하고, 제2 와이어부(210)는 제4 와이어부(330)에만 연결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제2 음성 신호를 받도록 하여 유선 연결시 또한 스테레오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당업자가 와이어(미도시)가 더 추가된 타입의 이어폰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당업자는 상술한 2층 패턴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10)(420)(431)(432)와, 2극 구조의 제1, 제2, 제3 및 제4 릴(350)(360)(370)(380)과, 그리고 2층 구조를 갖는 제5 금속 패드부(433)를 통해 그 이어폰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의 동작을 구제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블루투스(1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와 무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되는 상태에서, 스테레오 구현을 위해 제1 와이어부(110)와 제2 와이어부(210)가 제1 절환부(43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8은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가 인출되어 플러그(34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와 유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그리고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가 각각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에 만 연결되도록 제1 절환부(430)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의 연결을 차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제1 절환부(43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가 제5 금속 패드부(43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9b는 제1 절환부(43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의 연결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를 감기 위해 구동휠(390)이 제3 및 제4 릴(370)(380)에 기어 맞물림되도록 제3 및 제4 릴(370)(380)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11은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를 감기 위해 구동휠(390)이 제1 및 제2 릴(350)(360)에 기어 맞물림되도록 제1 및 제2 릴(350)(360)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200) 이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의 양면에 각각 포개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13은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100)(200) 이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의 양면에 각각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블루투스(1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와 무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되는 상태(이하, "무선 연결 상태"라 칭함)에서, 스테레오 구현을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40)는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되고, 제1 와이어부(110)와 제2 와이어부(210)는 제1 절환부(4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구동휠(390)에 구비된 제5 금속 패드부(433)가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3 금속 패드부(4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금속 패드부(410)와 제1 와이어부(110)는 제4 금속 패드부(4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금속 패드부(420)와 제2 와이어부(210)에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블루투스(120)에 수신된 제1 음성 신호는 제1 스피커(130)에 전송됨과 동시에 블루투스(120)에 수신된 제2 음성 신호는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를 통해 제2 스피커(220)에 전송되므로 스테레오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선 연결 상태에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34)를 연결용 안착홈(435)에 안착되면, 구동휠(390)의 저면에 구비된 제5 금속 패드부(433)는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에 연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무선 연결 상태에서, 제2 절환부(150)에 의해 제1 와이어부(110)는 출력 회로와 연결된다. 따라서, 무선 연결 상태에서 제1 와이어부(110)가 출력 회로에 연결됨에 따라 블루투스(120)에서 발신되는 제2 음성 신호는 제1 와이어부(110) 및 제2 와이어부(210)를 통해 제2 스피커(220)에 전달되므로 블루투스(120)에서 발신되는 제1 음성 신호를 전달 받은 제1 스피커(130)와 함께 스테레오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가 인출되어 플러그(34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와 유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되는 상태(이하, "유선 연결 상태"라 칭함)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러그(340)를 잡아 당기거나 손잡이(434)를 잡고 구동휠(390)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를 몸체(310)로부터 인출시킨 후 플러그(340)를 휴대용 단말기(10)의 단자홀(10a)에 연결시키면 된다. 이때, 제1 와이어부(110)와 제2 와이어부(210)는 제1 절환부(4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구동휠(390)에 구비된 제5 금속 패드부(433)가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로부터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됨에 따라, 제3 금속 패드부(4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금속 패드부(410) 및 제1 와이어부(110)는 제4 금속 패드부(4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금속 패드부(420) 및 제2 와이어부(210)와 분리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제3 와이어부(320)를 통해 수신된 제1 음성 신호는 제3 중심축(371)과 제1 금속 패드부(410)와 제1 중심축(351)과 그리고 제1 와이어부(110)를 거쳐 제1 스피커(130)에 전송됨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제4 와이어부(330)를 통해 수신된 제2 음성 신호는 제4 중심축(381)과 제2 금속 패드부(420)와 제2 중심축(361)과 그리고 제2 와이어부(210)를 거쳐 제2 스피커(220)에 전송되므로 스테레오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선 연결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34)를 분리용 안착홈(436)에 안착되면, 구동휠(390)에 구비된 제5 금속 패드부(433)는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431)(432)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유선 연결 상태에서, 제2 절환부(150)에 의해 제1 와이어부(110)는 입력 회로와 연결된다. 따라서, 유선 연결 상태에서 제1 와이어부(110)가 입력 회로에 연결됨에 따라 제3 와이어부(320)를 통해 전송되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제1 음성 신호는 제1 와이어부(110)를 통해 제1 스피커(130)에 전달된다.
다른 한편, 유선 연결 상태를 종료하여 무선 연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390)을 도면상 상부로 이동시켜 제3 및 제4 릴(370)(380)에 기어 맞물림시킨 후 구동휠(390)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는 감기게 되고 플러그(340)는 몸체(310)에 형성된 삽입홈(311a)에 삽입된다.
또 다른 한편, 유무선 연결 상태를 모두 종료한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을 보관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 상태에서 구동휠(390)을 도면상 하부로 이동시켜 제1 및 제2 릴(350)(360)에 기어 맞물림시킨 후 구동휠(390)을 시계 방향을 돌리면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는 감기게 된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을 보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의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 모듈(100)을 화살표 방향으로 포개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의 몸체(310)의 정면(도면상 정면)에 위치시키고, 제2 스피커 모듈(200)을 화살표 방향으로 포개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의 몸체(310)의 배면(도면상 배면)에 위치시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첩된 형상이 되고, 이 상태로 보관하면 이어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이 구비됨에 따라, 무선으로 청취하는 동안 전원부(140)의 전원이 소진되더라도 유선으로 청취를 계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중요한 정보를 청취하던 중 전원이 소진될 경우,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고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300)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부(110)(210)(320)(3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1 및 제2 와이어부(110)(2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 스피커 모듈(100) 과 제2 스피커 모듈(20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3 및 제4 와이어부(320)(3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스피커 모듈(100,200)과 휴대용 단말기(10)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휴대용 단말기 100: 제1 스피커 모듈
110: 제1 와이어부 120: 블루투스
130: 제1 스피커 140: 전원부
150: 제2 절환부 200: 제2 스피커 모듈
210: 제2 와이어부 220: 제2 스피커
300: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
310: 몸체 320: 제3 와이어부
330: 제4 와이어부 340: 플러그
350: 제1 릴 351: 제1 중심축
360: 제2 릴 361: 제2 중심축
370: 제3 릴 371: 제3 중심축
380: 제4 릴 381: 제4 중심축
390: 구동휠 410: 제1 금속 패드부
420: 제2 금속 패드부 430: 제1 절환부
431: 제3 금속 패드부 432: 제4 금속 패드부
433: 제5 금속 패드부 434: 손잡이
435: 연결용 안착홈 436: 분리용 안착홈

Claims (3)

  1. 제1 와이어부를 포함하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블루투스가 내장된 제1 스피커 모듈;
    상기 제1 스피커 모듈과 함께 스테레오를 구현하며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제2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휴대용 단말기에 직접 유선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절환용 와이어 공급 유닛은
    몸체;
    상기 몸체에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및 제4 와이어부;
    상기 제3 및 제4 와이어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직접 유선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상기 제1 와이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부가 감기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1 릴;
    상기 제2 와이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가 감기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2 릴;
    상기 제3 와이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와이어부가 감기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3 릴;
    상기 제4 와이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중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와이어부가 감기는 톱니바퀴 형상의 제4 릴;
    상기 제1 및 제2 릴, 또는 상기 제3 및 제4 릴에 기어 맞물림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릴, 또는 상기 제3 및 제4 릴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톱니바퀴 형상의 구동휠;
    상기 제1 중심축과 상기 제3 중심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금속 패드부;
    상기 제2 중심축과 상기 제4 중심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금속 패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금속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절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환부는
    상기 제1 금속 패드부에 연장되는 제3 금속 패드부;
    상기 제2 금속 패드부에 연장되는 제4 금속 패드부;
    상기 구동휠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5 금속 패드부;
    상기 몸체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휠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5 금속 패드부가 상기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와 연결되는 지점에 상기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연결용 안착홈; 및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5 금속 패드부가 상기 제3 및 제4 금속 패드부와 분리되는 지점에 상기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분리용 안착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스피커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청취 가능한 음파로 바꾸는 제1 스피커;
    상기 블루투스 및 상기 제1 스피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블루투스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될 때에는 상기 제1 와이어부는 출력 회로와 연결되도록 모드 절환하고, 상기 플러그의 연결을 통해 유선으로 데이터가 교환될 때에는 상기 제1 와이어부는 입력 회로와 연결되도록 모드 절환하는 제2 절환부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스피커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부의 전원 잔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잔량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되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상기 전원부의 전원 잔량에 대한 잔량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잔량 신호가 참조 신호보다 작으면 상기 알림부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구동휠이 상기 제1 및 제2 릴, 또는 상기 제3 및 제4 릴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휠의 축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휠이 상기 제1 및 제2 릴에 기어 맞물릴 경우 상기 구동휠을 정지시키는 제1 단턱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휠이 상기 제3 및 제4 릴에 기어 맞물릴 경우 상기 구동휠을 정지시키는 제2 단턱부가 상기 제1 가이드홈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구동휠의 축에 결합된 상기 손잡이가 상기 구동휠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심에 형성되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KR1020100080869A 2010-08-20 2010-08-20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KR10113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869A KR101132975B1 (ko) 2010-08-20 2010-08-20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869A KR101132975B1 (ko) 2010-08-20 2010-08-20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18A KR20120017918A (ko) 2012-02-29
KR101132975B1 true KR101132975B1 (ko) 2012-04-09

Family

ID=4583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869A KR101132975B1 (ko) 2010-08-20 2010-08-20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78U (ko) 2018-04-02 2018-10-08 (주)파트론 이어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19B1 (ko) 2014-06-30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KR101637369B1 (ko) * 2015-11-16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WO2019160213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765Y1 (ko) 2005-06-08 2005-10-28 편준범 백 헤드 타입 블루투스 유무선 겸용 이어셋
KR20060110063A (ko) * 2005-04-19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접속형 스테레오 헤드 셋
KR20110003732U (ko) * 2009-10-09 2011-04-15 안송길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063A (ko) * 2005-04-19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접속형 스테레오 헤드 셋
KR200399765Y1 (ko) 2005-06-08 2005-10-28 편준범 백 헤드 타입 블루투스 유무선 겸용 이어셋
KR20110003732U (ko) * 2009-10-09 2011-04-15 안송길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78U (ko) 2018-04-02 2018-10-08 (주)파트론 이어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18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9696B (zh) 一种与耳机盒建立交互的无线耳机
US200600395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inductive interface
CN110519671A (zh) 无线耳机
KR101132975B1 (ko)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US20200007971A1 (en) Headset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nd headset charging system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mprising same
KR102121185B1 (ko)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
CN205987281U (zh) 一种无线耳机
US20200221228A1 (en) Wireless handset
JP2016144214A (ja) 両耳の補聴のための聴取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US20230224624A1 (en) Wireless head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headphone
WO2013068644A1 (en) Headphones measuring heart-rate
CN203151719U (zh) 太阳能充电式蓝牙耳机及装有该蓝牙耳机的车辆
CN205232420U (zh) 一种耳机、具有通话功能的设备和装置
CN209914022U (zh) 一种降噪耳机
CN204948300U (zh) 一种无线有线双模式耳塞
US20230224626A1 (en) Head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phone
CN204425598U (zh) 多功能蓝牙耳机及车载蓝牙装置
CN216563275U (zh) 一种锂电池卷芯结构
TW201424411A (zh) 整合耳機與揚聲器的電子裝置
JP2004129253A (ja) 接続ブッシュを備えるワイヤレスヘッドホン
KR101914539B1 (ko) 이어폰 장치 및 제어 방법
CN212013028U (zh) Tws耳机独立供电电路和充电盒
WO2017141581A1 (ja) 携帯電話とヘッドセットを脱着可能に接続する装置
CN109996140B (zh) 一种适用于噪音环境下的头戴式骨传导即时音频传输装置
CN103209371B (zh) 便携式蓝牙立体声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