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732U -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 Google Patents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732U
KR20110003732U KR2020090013157U KR20090013157U KR20110003732U KR 20110003732 U KR20110003732 U KR 20110003732U KR 2020090013157 U KR2020090013157 U KR 2020090013157U KR 20090013157 U KR20090013157 U KR 20090013157U KR 20110003732 U KR20110003732 U KR 201100037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ase
gear
earphone wir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648Y1 (ko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2020090013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64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이어폰선을 알맞은 길이로 늘이거나 자동으로 감아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기기에 부착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선이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어폰선을 감거나 풀어주도록 설치되는 권선부재를 포함하는 이어폰선 권선기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태엽스프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권선부재와, 상기 권선부재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이어폰선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권선부재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해제버튼부와, 상기 이어폰이 사용되는 전자기기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폰, 케이스, 이어폰선, 권선부재

Description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AUTOMATIC WINDING DEVICE FOR WIRES OF EAR-PHONES}
본 고안은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이어폰선을 알맞은 길이로 늘이거나 자동으로 감아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기기에 부착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 및 음향기기에는, 범용 이어폰이나 리모컨이 장착된 이어폰을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는 통화용 이어폰이 사용된다.
상기한 이어폰은, 이어폰선이 정리되지 않아 휴대 및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이어폰선은, 주머니나 가방 안에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넣을 경우 엉키거나 꼬여 단락되는 사례가 많고, 이로 인하여 음질 및 음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폰선이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어폰선 감개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이어폰선 감개는 이어폰선을 단순히 감아서 이어폰선이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어폰선 감개는 이어폰선을 정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어폰선을 직접 감거나 풀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상기한 이어폰선 감개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케이스에 내장된 권선부재에 이어폰선을 권선시킨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는, 이어폰을 이용하는 전자기기와 별도로 주머니에 넣거나 목에 걸어야 하는 등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어폰이 사용되는 전자기기 및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가, 분리된 상태로 따로 휴대됨에 따라, 전자기기 사용시 이어폰을 찾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어폰선을 이어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알맞은 길이로 늘일 수 있고 자동으로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이 사용되는 전자기기에 후크로 부착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는,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선이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이어폰선을 감거나 풀어주도록 설치되는 권선부재를 포함하는 이어폰선 권선기에 있 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태엽스프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권선부재와, 상기 권선부재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이어폰선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권선부재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해제버튼부와, 상기 이어폰이 사용되는 전자기기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케이스는, 상하부케이스와, 상기 상하부케이스에 권선부재가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상하부 케이스의 다수 측면에 이어폰 및 이어폰잭이 삽입되고 이어폰선이 출입하도록 형성된 이어폰선 구멍과,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측면에 전자기기에 한 몸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부들이 설치되는 후크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권선부재는, 케이스에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치합되고 상부의 탄성부재로 지지되면서 해제버튼에 의하여 기어에서 분리되는 걸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어부는, 하부케이스의 축돌기에 삽입되고 이어폰선이 통과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삽입되고 이어폰선이 감기는 축관을 형성한 기어와, 상기 축돌기 및 축관에 각 단부가 연결되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걸쇠부는, 기어에 치합되도록 단부에 형성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들을 3방향의 각 단부에 형성한 T자형의 걸쇠몸체와, 상기 걸쇠몸체를 누르도록 각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팽창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버튼부는, 하부케이스의 일측면에 승강을 유도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과, 걸쇠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버튼지지대와, 상기 버튼지지대의 양측에 가이드홀을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버튼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된 버튼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부는, 케이스의 후크구멍 측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설치되는 당김 탄성부재와, 상기 당김 탄성부재의 단부에 연결되고 후크구멍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어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이어폰선을 알맞은 길이로 늘이거나 버튼 조작만으로 이어폰선을 자동으로 감아서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어폰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후크를 사용해 부착시킬 수 있어 전자기기와 한 몸체로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E)을 연결하는 이어폰선(L)이 수용되는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상기한 케이스(10)는, 상하부케이스(11)(12)를 구비한다. 상기 상하부케이스(11)(12)에는, 권선부재(20)가 설치되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케이스(11)(12)의 다수 측면에는, 이어폰(E) 및 이어폰잭(J)이 삽입되고 이어폰선(L)이 출입하도록 이어폰선 구멍(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11)(12)의 측면에는, 전자기기에 한 몸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후크구멍(15)을 통해 후크부(70)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내에 태엽스프링(21)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권선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한 케이스(10) 내부의 권선부재(20)는, 이어폰선(L)을 감거나 풀어준다.
상기한 권선부재(20)는, 케이스(1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기어부(21G)와, 상기 기어부(21G)가 일방향으로 만 회전할 수 있도록 치합되고 상부의 팽창 탄성부재(22)로 지지되면서 해제버튼부(50)에 의하여 기어(24)에서 분리되는 걸쇠부(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부(21G)에는, 하부케이스(12)의 축돌기(16)에 삽입되고 이어폰선(L)이 통과하는 받침판(25)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판(25)에는, 이어폰선(L)이 감기는 기어(24)의 축관(26)이 삽입된다. 상기한 축관(26)에는, 걸쇠부(23)에 의하여 일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기어(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돌기(16) 및 축관(26)에는, 일방향으로 감긴 태엽스프링(21)이 연결된다. 상기한 태엽스프링(21)은, 이어폰선(L)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방향에 맞추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걸쇠부(23)는, 기어(24)에 치합되도록 단부에 걸쇠(27)가 형성된다. 상기 걸쇠(27)들은, T자형 걸쇠몸체(28)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T자 형 걸쇠몸체(28)는, 기어부(21G)의 배치에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걸쇠몸체(28)에는, 각 단부의 상부에 팽창 탄성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팽창 탄성부재(22)는, 걸쇠몸체(28)를 상부에서 상시 누르도록 설치되어 있어 기어(24)와 맞물리는 상태가 상시 유지되도로 한다.
상기한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2)는, 상기 권선부재(2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이어폰선(L)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2)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권선부재(2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해제버튼부(50)를 구비한다.
상기 해제버튼부(50)는, 하부케이스(12)의 일측에 승강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5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52)에는, 가이드홀(51)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쇠몸체(28)의 하부에는, 버튼지지대(53)가 연결된다. 상기 버튼지지대(53)의 양측에는, 가이드홀(51)을 미끄러질 수 있도록 가이드핀(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지지대(53)의 단부에는, 눌러서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외부에 버튼몸체(55)가 노출 형성된다.
상기한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2)는, 이어폰(E)을 사용하는 전자기기(62)에 부착시켜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후크부(70)가 설치된다. 상기한 후크부(70)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부 양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후크부(70)는, 케이스(10)의 후크구멍(15) 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7)에 당김 탄성부재(7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당김 탄성부재(71)의 단부 에는, 후크구멍(15)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72)가 연결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케이스(10)를 잡고 노출된 이어폰(E) 및 이어폰잭(J)을 당겨 이어폰선(L)을 적당한 길이로 연장시킨다.
상기한 이어폰(E) 및 이어폰잭(J)을 당기면, 기어부(20G)의 기어(24)는 걸쇠부(23)의 걸쇠(27)를 타고 넘어 회전을 한다.
상기한 이어폰선(L)이 당겨져 회전하는 기어(24)는, 하부케이스(12)의 축돌기(16)에 연결된 태엽스프링(21)을 축돌기(16)에 긴밀히 감기도록 한다.
상기 축돌기(16)에 감겨 발생하는 태엽스프링(21)의 탄성력은, 기어(24)가 걸쇠(27)에 의하여 걸려 있기 때문에 기어(24)에 작용하지 못한다.
즉, 태엽스프링(21)이 축돌기(16)에서 감김으로써, 기어(24)에서 길게 풀린 이어폰선(L)의 단부에 연결된 이어폰잭(J)은 전자기기(62)에 삽입하고 이어폰(E)은 귀에 꽂아 청취하면 된다.
<이어폰선을 정리하는 경우>
상기 이어폰(E)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 케이스(10)의 측면에 돌출된 버튼몸체(55)을 누른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몸체(55)는, 버튼지지대(53)를 내부로 밀게 된다. 상기한 버튼지지대(53)가 내부로 밀릴 때 가이드 핀(54)은, 가이드 브라켓(52)의 경사진 가이드홀(51)을 미끄러져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버튼지지대(53)의 선단이 가이 드홀(51)에 의하여 상승함으로써, 걸쇠부(23)를 위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쇠부(23)는, 팽창 탄성부재(2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부케이스(11)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걸쇠부(23)의 상승은, 각 기어(24)에서 걸쇠몸체(28)의 각 단부에 형성된 걸쇠(27)가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한 걸쇠(24)가 분리된 기어(24)는, 축돌기(16)에 감겨 수축상태에 있는 태엽스프링(21)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어(24)는, 이어폰선(L)이 풀릴 때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기어(24)의 회전으로 이어폰선(L)은, 기어(24)의 축관(26)에 다시 감기게 된다. 상기 이어폰선(L)이 기어(24)의 축관(26)에 감겨 이어폰(E) 및 이어폰잭(J)이 케이스(10)에 밀착 상태가 되면 누르던 버튼몸체(55)를 멈춘다.
또한, 이어폰선(L)을 최종적으로 감는 단계에서 버튼몸체(55)를 약하게 자주 눌러주면, 이어폰선(L)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어폰(E) 및 이어폰잭(J)은 이어폰선 구멍(14)에 가볍게 걸리게 됨으로써 다음 사용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후크부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기기(62)에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2)의 케이스(10) 측면에 돌출된 후크부(70)의 후크(72)를 당긴다.
후크(72)를 당기면 후크구멍(15)을 통해 케이스(10) 내부의 고정돌기(17)에 감겨있는 당김 탄성부재(17)의 길이가 길게 연장된다.
이때, 당김 탄성부재(17)에 연결되는 후크(72)를 전자기기(62)의 4곳에 걸어 주면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2)는 용이하게 전자기기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2)는, 전자기기(62)에 함게 부착시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어폰의 사용 여부에 따라 이어폰선을 알맞은 길이로 늘이거나 자동으로 감아 길이를 줄일 수 있고, 기기에 부착시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어폰 제조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권선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후크부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 이어폰(Earphone) L: 이어폰선(Earphone Line)
J: 이어폰잭 10: 케이스(Case)
14: 이어폰선 구멍 15: 홀더(Holder)구멍
17: 고정돌기 20: 권선부재
21G: 기어부 22: 탄성부재
23: 걸쇠부 24: 기어
28: 걸쇠몸체 21G: 태엽스프링
50: 해제버튼 51: 가이드홀
52: 가이드 브라켓(Guide Bracket)
53: 버튼지지대 70: 후크부
71: 당김 탄성부재 72: 후크(Hook)

Claims (7)

  1. 이어폰(E)과, 상기 이어폰(E)을 연결하는 이어폰선(L)이 수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이어폰선(L)을 감거나 풀어주도록 설치되는 권선부재(20)를 포함하는 이어폰선 권선기에 있어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내에 태엽스프링(21)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권선부재(20)와, 상기 권선부재(2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이어폰선(L)과,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권선부재(2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설치되는 해제버튼부(50)와, 상기 이어폰(E)이 사용되는 전자기기(62)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후크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상하부케이스(11)(12)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1)(12)에 권선부재(20)가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공간부(13)와, 상기 상하부 케이스(11)(12)의 다수 측면에 이어폰(E) 및 이어폰잭(J)이 삽입되고 이어폰선(L)이 출입하도록 형성된 이어폰선 구멍(14)과, 상기 상하부케이스(11)(12)의 측면에 전자기기(62)에 한 몸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부(70)들이 설치되는 후크구멍(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재(20)는, 케이스(10)에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기어부(21G)와, 상기 기어부(21G)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치합되고 상부의 탄성부재(22)로 지지되면서 해제버튼(50)에 의하여 기어(24)에서 분리되는 걸쇠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21G)는, 하부케이스(12)의 축돌기(16)에 삽입되고 이어폰선(L)이 통과하는 받침판(25)과, 상기 받침판(25)에 삽입되고 이어폰선(L)이 감기는 축관(26)을 형성한 기어(24)와, 상기 축돌기(15) 및 축관(26)에 각 단부가 연결되는 태엽스프링(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23)는, 기어(24)의 치에 치합되도록 단부에 형성되는 걸쇠(27)와, 상기 걸쇠(27)들을 3방향의 각 단부에 형성한 T자형의 걸쇠몸체(28)와, 상기 걸쇠몸체(28)를 누르도록 각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팽창 탄성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50)은, 하부케이스(12)의 일측면에 승강을 유도하는 가이드 홀(51)이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52)과, 걸쇠몸체(28)의 하부에 연결되는 버튼지지대(53)와, 상기 버튼지지대(53)의 양측에 가이드홀(51)을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이드핀(52)과, 상기 버튼지지대(53)의 단부에 형성된 버튼몸체(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70)는, 케이스(10)의 후크구멍(15) 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7)에 설치되는 당김 탄성부재(71)와, 상기 당김 탄성부재(71)의 단부에 연결되고 후크구멍(15)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KR2020090013157U 2009-10-09 2009-10-09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KR200456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157U KR200456648Y1 (ko) 2009-10-09 2009-10-09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157U KR200456648Y1 (ko) 2009-10-09 2009-10-09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732U true KR20110003732U (ko) 2011-04-15
KR200456648Y1 KR200456648Y1 (ko) 2011-11-10

Family

ID=4420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157U KR200456648Y1 (ko) 2009-10-09 2009-10-09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6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975B1 (ko) * 2010-08-20 2012-04-09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CN107525854A (zh) * 2017-08-16 2017-12-29 江苏洛克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新型超声波探伤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05B1 (ko) * 2013-08-29 2015-01-13 김현준 이어독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00Y1 (ko) * 1999-08-06 2000-02-15 박진수 휴대폰용 보조 송/수신장치
KR200181887Y1 (ko) 1999-12-07 2000-05-15 최은석 이어폰 권취장치
KR200364568Y1 (ko) * 2004-07-28 2004-10-15 권혁우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이어폰
KR200420542Y1 (ko) 2006-04-10 2006-07-04 최동현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975B1 (ko) * 2010-08-20 2012-04-09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CN107525854A (zh) * 2017-08-16 2017-12-29 江苏洛克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新型超声波探伤仪
CN107525854B (zh) * 2017-08-16 2023-12-26 江苏洛克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新型超声波探伤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648Y1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96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winding a portable cord
KR101970190B1 (ko) 사용자 제공 헤드폰용 권취기 릴 조립체를 갖는 휴대장치 케이스
KR101289244B1 (ko)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KR101538300B1 (ko) 줄의 자동감김 장치
JP2008288960A5 (ko)
KR200456648Y1 (ko) 이어폰선 자동 권선기
KR200461079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187262B1 (ko) 핸드폰용 이어폰 권취장치
KR101216318B1 (ko) 이어폰 줄의 감김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US9615160B1 (en) Earphone system with retractable cables
CN201167407Y (zh) 耳机
CN203206438U (zh) 拉线耳机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KR200420804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420542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US20060035684A1 (en) Two-way au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170029119A (ko) 이어폰용 권취릴
KR200342921Y1 (ko) 악세사리형 핸즈프리
JP5580161B2 (ja) 電線コード巻取り装置
KR101479605B1 (ko) 이어독 이어폰
KR101410537B1 (ko) 휴대용 이어폰 수납구
KR200180892Y1 (ko) 휴대전화용 이어폰
KR100389694B1 (ko) 송.수화부 간격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CN209949366U (zh) 一种具有防耳机线缠绕功能的耳机
KR101118058B1 (ko) 휴대 단말기용 이어폰 인입 및 인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