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89B1 -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89B1
KR101861689B1 KR1020160179178A KR20160179178A KR101861689B1 KR 101861689 B1 KR101861689 B1 KR 101861689B1 KR 1020160179178 A KR1020160179178 A KR 1020160179178A KR 20160179178 A KR20160179178 A KR 20160179178A KR 101861689 B1 KR101861689 B1 KR 10186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ire
housing
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용혁
강정연
이재영
유태훈
한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89B1/ko
Priority to PCT/KR2017/014758 priority patent/WO2018124560A1/en
Priority to PCT/KR2017/015013 priority patent/WO2018124589A1/en
Priority to EP17208772.8A priority patent/EP3340644A1/en
Priority to EP17210265.9A priority patent/EP3340645B1/en
Priority to CN201711417911.4A priority patent/CN108260047B/zh
Priority to US15/854,049 priority patent/US10433061B2/en
Priority to US15/854,056 priority patent/US1044814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이퀄라이징 효과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이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실장하는 전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장부의 제1 면에 베이스 홀 및 플랫 홀을 구비하는 이어 하우징,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제2 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 홀 또는 상기 플랫 홀을 개폐하는 개폐 홀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 홀은 상기 제1 면의 내측면 일 지점에 형성된 내부 홀과 연결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EAR UNIT AND PORTABLE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 유닛 및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와 음향 신호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사용자의 귀에 직접 착용하는 이어 유닛을 구비한다. 이어 유닛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넥밴드 하우징에 안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이유에 따라 이어 유닛은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들의 음질에 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이어 유닛의 음질을 조절하거나 향상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음질을 향상시키는 등 기타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실장하는 전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장부의 제1 면에 베이스 홀 및 플랫 홀을 구비하는 이어 하우징,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제2 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 홀 또는 상기 플랫 홀을 개폐하는 개폐 홀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 홀은 상기 제1 면의 내측면 일 지점에 형성된 내부 홀과 연결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면 및 제2 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홀 및 플랫 홀에 대응되는 연결 홀을 구비하는 실링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어 하우징은,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결합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결합 플랜지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 후크부는, 상기 결합 플랜지의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의 후크 돌기 및 상기 복수의 후크 돌기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복수의 후크 돌기를 벌리는 지지 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어 하우징 및 회전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을 제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회전 각 일단으로 회전한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홀이 상기 베이스 홀 전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회전 각 타단으로 회전한 제2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홀이 상기 플랫 홀 전 영역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개폐 홀을 상기 베이스 홀 및 플랫 홀의 각 일부 영역을 동시에 개방하는 제3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어 하우징은, 상기 제1 면 외측을 형성하는 홀 플레이트, 상기 홀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내부 홀을 구비하는 댐퍼 레이어, 상기 내부 홀과 상기 플랫 홀을 연결하도록 상기 홀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로 홈을 더 포함하는 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라이버 유닛을 실장하는 이어 하우징 및 상기 이어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이어 유닛, 일단이 상기 이어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하는 이어 유닛 와이어, 제1 길이 방향의 전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어 유닛 와이어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넥밴드 하우징 및 상기 제1 길이 방향에 대해 특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된 안착면 및 상기 이어 유닛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여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 유닛의 후면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이어 유닛의 상부 전체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착면은 상기 안착부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안착부의 제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는 개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개방 영역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안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착 브라켓은,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개방 영역 내측의 상면, 하면 및 일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넥밴드 하우징 상부와 하부를 결합하는 결합 보스가 관통하는 지지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넥밴드 하우징 양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 와이어, 상기 도선 와이어를 지지하고 일측이 상기 넥밴드 하우징에 체결되는 와이어 브라켓, 상기 와이어 브라켓을 감싸 외관을 형성하는 와이어 케이스 및 상기 와이어 케이스 및 와이어 브라켓을 체결하는 제1 스크류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류 홀은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일단, 중단 및 타단 세 지점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 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스크류 홀에 대응되는 영역이 일측으로 치우친 굴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케이스는,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일면을 감싸는 내측 와이어 케이스 및 상기 내측 와이어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타면을 감싸는 외측 와이어 케이스 및 상기 내측 와이어 케이스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스크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하우징은, 상부 넥밴드 하우징, 상기 상부 넥밴드 하우징에 결합하는 하부 넥밴드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넥밴드 하우징의 제3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스크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이고, 상기 외측 와이어 케이스 및 상부 넥밴드 하우징은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내측 와이어 케이스 및 하부 넥밴드 하우징은 분리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단에 상기 와이어 브라켓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케이스와 연속면을 이뤄 외관을 형성하는 탄성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 케이스의 경계는 임의의 방향에 대해 곡선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탄성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 케이스의 경계는 'S'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착면 내측에 구비된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 중심에 구비된 제2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이퀄라이징 효과를 선택하여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음 영역의 출력이 감소된 플랫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이퀄라이징 효과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회전부와 이어 하우징의 결합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이퀄라이징 효과를 수행하기 위한 회전부의 회전을 확실히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이스 강조의 이퀄라이징 효과와 플랫한 이퀄라이징 효과의 사이를 오갈 때 자연스럽게 이퀄라이징 효과가 변화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어 유닛에 결합된 이어 유닛 와이어가 손상될 여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어 유닛이 넥밴드 하우징에 안착된 경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에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충격을 감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넥밴드 하우징의 제조 공정을 최적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넥밴드 하우징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넥밴드 하우징에 머리카락이 끼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 유닛의 드라이버 유닛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 유닛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 유닛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내측 케이스의 외측 및 외측 케이스의 내측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회전부의 배면 사시도, 도 8(b)는 이어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이어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회전부가 회전한 정도를 달리하는 몇 가지 상태를 나타내는 이어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배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 일 영역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바라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사용자의 귀에 직접 착용하는 이어 유닛을 구비한다. 이어 유닛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넥밴드 하우징에 안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이유에 따라 이어 유닛은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들의 음질에 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이어 유닛의 음질을 조절하거나 향상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60) 및 전원 공급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음향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1), 위치정보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휴대용 음향기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단말기 등을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감지된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 등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2)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2)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 microphone, 121),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2,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2)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통화 버튼,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및 음향케이블을 메인 바디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2)는 통화 버튼,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시작/정지(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122)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을 확대할 수도 있다.
마이크(121)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활용되거나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휴대용 음향기기 내 정보, 휴대용 음향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근접센서(13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3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microphone, 121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음향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이어폰이 홀더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상기 자기 센서 등이 대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향 출력부(141), 햅틱 모듈(142), 광 출력부(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1)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폰 및 이어폰을 끼지 않은 상태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있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7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정면 사시도이다.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크게 양측에 구비되는 넥밴드 하우징(210), 양 넥밴드 하우징(210)을 연결하는 와이어부(201) 및 이어 유닛(300)을 포함한다.
와이어부(201) 및 넥밴드 하우징(210)은 메인 바디(200)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목에 안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메인 바디(200)는 일측이 개방된 'U'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인체 공학적인 만곡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넥밴드 하우징(210)은 배터리 및 메인 기판 등의 주요 부품이 실장되는 전장부를 형성한다.
이어 유닛(300)은 소리를 직접적으로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닛을 실장한다. 이어 유닛(300)은 이어 유닛 와이어(301)를 통해 넥밴드 하우징(210)의 전자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 유닛 와이어(301)는 이어 유닛(300)의 사용시 넥밴드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고 비 사용시 넥밴드 하우징(210)에 인입될 수 있다. 이어 유닛(300)은 사용시 넥밴드 하우징(210)의 안착부에서 이탈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고 비 사용시 넥밴드 하우징(210)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 유닛(3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질을 변화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특징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 유닛(400)의 드라이버 유닛(401)의 단면 개략도이다.
이어 유닛(400)의 물리적인 성향과 관련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의 특정 음역대의 출력 정도는 리시버의 통기량이 하나의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드라이버 유닛(401)을 실장하고 있는 이어 유닛(400)의 하우징(4001)에 있어서, 하우징(4001) 내부로 출입하는 공기의 출입량이 오디오의 특정 음역대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401)의 진동판(410)이 압축되면 드라이버 유닛(401) 내부가 압축되어 외부로 공기가 나가게 되고, 도 3(b)와 같이 드라이버 유닛(401)의 진동판(410)이 팽창되면 드라이버 유닛(401) 내부가 팽창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도 3(a)와 도 3(b)의 진동판(410)이 압축 및 팽창 과정을 반복하는 진동 과정을 통해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진동판(410)의 진동 변위가 커질수록 특정 주파수 대역의 출력이 커질 수 있고 진동판(410)의 진동 변위가 작아지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출력이 감소할 수 있다.
진동판(410)의 진동 변위는 드라이버 유닛(401)에 출입할 수 있는 공기의 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드라이버 유닛(401)에 출입할 수 있는 공기량이 많은 상태, 즉 통기량이 높은 상태에는 드라이버 유닛(401)에 작용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진동판(410)의 진동 변위가 클 수 있어 특정 음역대의 출력이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드라이버 유닛(401)에 출입되는 공기량이 적은 상태, 즉 통기량이 낮은 상태에는 드라이버 유닛(401)에 작용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진동판(410)의 진동 변위가 커질 수 없어 특정 음역대의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 유닛(300)의 사시도이다.
음향 출력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대적인 음색을 조절하는 기능을 이퀄리이징이라 한다. 예를 들어, 저주파수 대역의 출력을 줄여 고주파수 대역의 출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고음 강조(Treble booster)를 구현할 수 있고, 또는 저주파수 대역의 출력을 높여 울림을 증가시키는 저음 강조(Bass booster)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이퀄라이징 기능은 출력하는 음원의 신호를 가공 또는 변형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방식과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성질을 변화시켜서 조절하는 하드웨어를 통한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를 통한 이퀄라이징 방식을 제시한다.
이어 유닛(300)은 이어 하우징(310)부 및 회전부(320)를 포함한다. 회전부(320)는 이어 하우징(310)부에 결합하여 이어 하우징(310)부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부(3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이퀄라이징 상태를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이퀄라이징 상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퀄라이징은 저음 강조(Bass Booster)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이퀄라이징은 고음 강조(Treble Boost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부(320)의 회전 각은 360도 계속해서 돌아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회전 각이 제한될 수 있다. 즉, 회전부(320)는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각도 범위의 일단으로 회전시 제1 이퀄라이징이 수행되고 타단으로 회전시 제2 이퀄라이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부(320)가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이퀄라이징이 수행되는지 또는 제2 이퀄라이징이 수행되는지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다.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 유닛(300)의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회전부(320)는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구현될 필요가 있다. 회전부(320)는 이어 하우징(310)의 후면 전체를 원판 형태로 덮을 수 있다. 이어 하우징(310) 후면 전체를 덮으므로 일측 손으로 이어 하우징(310)을 파지하고 타측 손으로 회전부(320)를 파지하여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 회전부(320)의 외주면에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마찰력이 높은 경우 회전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 유닛(300)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어 하우징(310)부는 베이스 홀(331) 및 플랫 홀(332)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홀(331) 및 플랫 홀(332)은 이어 하우징(310)부의 제1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면은 이어 하우징(310)의 후면이 될 수 있다.
후면에 구비됨으로 인해 후면에 결합된 회전부(320)의 회전에 따라 이퀄라이징이 선택될 수 있다.
회전부(320)에는 개폐 홀(326)이 구비된다. 개폐 홀(326)은 회전부(320)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 홀(331) 또는 플랫 홀(332)을 개폐하여 서로 다른 이퀄라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개폐 홀(326)이 베이스 홀(331)을 개방하는 경우 저음 강조(Bass Booster)의 특성을 갖는 이퀄라이징을 수행하고, 개폐 홀(326)이 플랫 홀(332)을 개방하는 경우 고음 강조(Treble Booster)의 특성을 갖는 이퀄라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저음 강조 또는 고음 강조는 이퀄라이징 형태의 몇 가지 실시 예를 말하는 것일 뿐 홀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이퀄라이징 특성이 바뀔 수 있다.
개폐 홀(326)은 회전부(320)의 제2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면은 이어 하우징(310)의 제1 면에 대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제2 면은 회전부(320)의 내측 브라켓(321)이 구현할 수 있다.
내측 브라켓(321)은 이어 하우징(310)과 집적적으로 고정되는 역할 및 회전을 가이드 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베이스 홀(331) 및 플랫 홀(332)은 이어 하우징(310)의 인클로져에 대해 서로 다른 통기량을 갖는다. 베이스 홀(331)은 상대적으로 큰 홀의 면적을 가짐으로써 통기량이 플랫 홀(332)의 그것 보다 상대적으로 많다. 플랫 홀(332)은 상대적으로 작은 홀의 면적을 가질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관로 형상의 구조에 의해 통기량이 베이스 홀(331)의 그것 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일반적으로 통기량을 적게 할수록 저음 특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홀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달성 가능하나, 홀 가공 측면에서 홀 직경을 무제한으로 작게 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따라서 통기량의 조절을 위해 관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 유닛(3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내측 케이스(311)의 외측 및 외측 케이스(312)의 내측의 정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 및 도 7을 동시에 참조한다.
이어 하우징(310)은 드라이버 유닛(314) 등의 부품을 실장하는 전장부(3101)를 직접적으로 형성하는 내측 케이스(311)와 내측 케이스(311)의 외측면(3111)을 감싸 결합하는 외측 케이스(312)로 분리될 수 있다. 외측 케이스(312)의 내측면(3121)은 내측 케이스(311)의 외측면(3111)에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 홀(332)의 크기를 무한대로 작게 할 수 없으므로 외측 케이스(312), 특히 홀 플레이트(3122)에 구비된 플랫 홀(332)과 내측 케이스(311), 특히 댐퍼 레이어(3112)에 구비된 내부 홀(333)을 통해 통기량을 작게 만들 수 있다.
내측 케이스(311)에 외측 케이스(312)가 결합한 상태에서 플랫 홀(332) 및 내부 홀(333)은 동일 지점에 구비되지 않는다. 즉, 플랫 홀(332) 및 내부 홀(333)은 내측 케이스(311) 내측면(3121)에 형성된 관로 홈(334)에 의해 연결된다.
외측 케이스(312)의 내측면(3121)은 관로 홈(334)을 제외한 영역에 대해 내측 케이스(311)의 외측면(3111)에 의해 밀폐 된다. 따라서 드라이버 유닛(314)이 구비된 전장부(3101), 즉 인클로져의 공기는 내부 홀(333), 관로 홈(334) 및 플랫 홀(332) 순서대로 이어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나가거나 또는 반대 경로로 들어올 수 있다.
관로 홈(334)은 외측 케이스(312)의 내측면(3121)에 함몰된 영역을 형성한다. 관로 홈(334)의 형상은 내부 홀(333) 및 플랫 홀(332)을 연결하기 위해 '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관로의 길이 요건에 따라 다른 형상을 띨 수도 있다.
반면 내측 케이스(311)의 베이스 홀(331)과 외측 케이스(312)의 베이스 홀(331)은 내측 케이스(311) 및 외측 케이스(312)가 결합한 상태에서 동일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내측 케이스(311)의 베이스 홀(331)과 외측 케이스(312)의 베이스 홀(331)은 서로 별도의 경로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장부(3101)의 공기는 내측 케이스(311)와 외측 케이스(312)의 각 베이스 홀(331)을 통해 곧바로 출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홀(332)을 포함하는 경로를 지나는 경우보다 인크로져를 출입하는 공기의 양, 즉 통기량이 많아질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실링 개스킷(341)은 이어 하우징(310)의 제1 면 및 회전부(320)의 제2 면 사이에 구비된다. 실링 개스킷(341)은 개폐 홀(326)이 플랫 홀(332) 또는 베이스 홀(331)을 개방하였을 때 개방하지 않은 다른 영역으로 공기가 새어 예상하지 못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개스킷(341)은 플랫 홀(332) 및 베이스 홀(331)과 대응되는 각 지점에 동일한 형상의 홀을 구비하여 이어 하우징(310)의 제1 면 외측에 결합할 수 있다. 실링 개스킷(341)과 이어 하우징(310) 사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어 하우징(310)의 제1 면 외측에는 고정 돌기(342)가, 실링 개스킷(341)에는 고정 돌기(342)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 홈(343)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320)의 내측 브라켓(321)은 회전 다이얼(346)과 결합하여 함께 회전한다. 내측 브라켓(321)에 구비된 개폐 홀(326)은 베이스 홀(331) 또는 플랫 홀(332)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여 인클로져의 공기가 두 홀(331, 332) 중 하나만을 통해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개폐 홀(326)에 제1 통기 메쉬(344)가 결합하여 통기량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내측 브라켓(321)의 후면에는 회전 다이얼(346)이 결합할 수 있다. 회전 다이얼(346)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패턴이 형성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회전 다이얼(346)은 통기량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3441) 및 이를 덮는 제2 통기 메쉬(34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a)는 회전부(320)의 배면 사시도, 도 8(b)는 이어 하우징(31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9는 이어 유닛(300)의 종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320)는 이어 하우징(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어 하우징(310)은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결합 플랜지(313)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320)의 회전 후크부(322)는 결합 플랜지(313)에 체결, 즉 후크(3222) 결합하여 결합 플랜지(313) 내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회전 후크부(322)의 외주면(3221)과 결합 플랜지(313)의 내주면은 서로 맞물려 회전부(320)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회전 후크부(322)의 후크(3222)는 결합 플랜지(313)의 내측에 걸쳐져 결합 플랜지(313)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부(320)의 회전 각도는 회전부(320)의 가이드 단차부(323) 및 이어 하우징(310)의 제1 면에 구비된 고정 돌기(342)를 포함하는 가이드부(327)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 단차부(323)의 양측 경계는 회전부(320)가 제1 각도 일단 또는 타단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정 돌기(342)에 걸려 제1 각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후크부(322)는 복수의 후크 돌기(322a)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후크 돌기(322a)는 서로 구획됨으로써 후크 결합을 위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회전부(320)가 이어 하우징(310)에 결합할 때 복수의 후크 돌기(322a)는 서로 모여 결합 플랜지(313)의 개구부를 통과하고 회전부(320)가 이어 하우징(310)에 결합한 이후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조 공차 또는 회전 후크부(322)의 재료에 기인한 물리적 변형에 의해 원 상태로 완전히 복원되지 않아 회전부(320)가 이어 하우징(310)에 완전하게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유격 또는 유동의 문제뿐만 아니라 통기량에 영향을 주어 소리 출력에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지지 러버(324)는 복수의 후크 돌기(322a)를 외측으로 벌려주어 복수의 후크 돌기(322a)가 재료 물성에 의해 압축된 이후 원 위치로 벌어지지 않거나 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러버(324)는 탄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후크 돌기(322a)가 충분히 벌어짐에 따라 회전부(320)의 제1 면과 이어 하우징(310)의 제2 면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여 소리 출력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 시킨다.
또한 지지 러버(324)는 결과적으로 회전부(320)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더 크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와 사용자가 충분한 힘을 주었을 때 회전부(3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회전부(320)가 회전한 정도를 달리하는 몇 가지 상태를 나타내는 이어 유닛(300)의 배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320)는 이어 하우징(310)에 대해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각도 범위는 고정 돌기(342) 및 가이드 단차부(323)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도 10(a)는 회전부(320)가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일단으로 회전한 제1 상태를, 도 10(c)는 회전부(320)가 제1 각도 범위 내에서 타단으로 회전한 제2 상태를, 도 10(b)는 도 10(a) 및 도 10(c) 사이의 제3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인 제1 상태에서 개폐 홀(326)은 베이스 홀(331)을 개방하고 플랫 홀(332)을 막는다. 따라서 공명 공간을 형성하는 이어 하우징(310) 전장부(3101)는 베이스 홀(331)을 통해서만 공기를 출입시킨다. 개폐 홀(326)의 형상 및 크기는 베이스 홀(331)의 그것보다 같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홀(331)보다 개폐 홀(326)이 같거나 큰 경우에 공기가 출입할 때 개폐 홀(326)이 베이스 홀(331)이 의도한 공기의 출입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0(c)인 제2 상태에서 개폐 홀(326)은 플랫 홀(332)을 개방하고 베이스 홀(331)을 막는다. 따라서 공명 공간을 형성하는 이어 하우징(310) 전장부(3101, 도 9참조)는 플랫 홀(332)을 통해서만 공기를 출입시킨다. 플랫 홀(332)을 통해 출입하는 공기의 경로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도 10(a)의 개폐 홀(326)의 형상 및 크기는 플랫 홀(332)의 그것보다 같거나 크도록 형성될수 있다. 그 이유는 상술한 개폐 홀(326)의 형상 및 크기가 베이스 홀(331)의 그것보다 같거나 큰 이유와 동일하다.
도 10(b)인 제3 상태에서 개폐 홀(326)은 베이스 홀(331) 및 플랫 홀(332)의 각 일부 영역을 동시에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전부(320)가 회전할 때 개폐 홀(326)이 베이스 홀(331) 및 플랫 홀(332)의 모든 영역을 모두 닫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개폐 홀(326)이 베이스 홀(331) 및 플랫 홀(332) 모두를 막는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전혀 의도하지 않은 이퀄라이징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이질적인 소리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 형상 및 크기의 특징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자연스럽고 신속하게 변환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이어 유닛 와이어(301)는 이어 유닛(300)과 메인 바디(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어 유닛 와이어(301)는 이어 하우징(310)의 전장부(3101)의 전자 부품과 연결된다. 이어 하우징(310)으로부터 인출된 이어 유닛 와이어(301)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 지지부(302)에 의해 일정 길이 감싸진다.
이어 유닛 와이어(301)의 인출되는 부분 및 와이어 지지부(302)는 이어 하우징(310)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는 회전부(320)의 회전을 고려하여 회피 설계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어 유닛 와이어(301)가 이어 하우징(310)의 측면에 인출되는 경우 이어 유닛(300) 전체의 폭 방향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된다. 이는 메인 바디(200)에 이어 유닛(300)이 안착되는 경우에 영향을 미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 유닛(300)은 선택적으로 메인 바디, 특히 넥밴드 하우징(210)에 안착된다. 동시에 이어 유닛(300)의 이어 유닛 와이어(301)는 넥밴드 하우징(210)으로 인입 또는 인출된다.
넥밴드 하우징(210)은 이어 유닛(30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220)를 포함한다.
안착부(220)는 이어 유닛(300)이 안착되어 직접적으로 닿는 면인 안착면(221)을 포함한다. 안착면(221)은 특히 이어 유닛(300)의 후면, 즉 회전부(320)의 후면이 맞닿을 수 있다.
안착부(220)는 이어 유닛(300)의 이어 유닛 와이어(301)가 넥밴드 하우징(210) 전장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관통 홀(222)을 포함한다.
종래의 경우 유닛 와이어(301)가 이어 유닛(300)의 후방에 구비되므로 이어 유닛(300)의 폭이 넓게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어 유닛(300)의 길이 방향과 넥밴드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이하 제1 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이 평행하도록 안착시켰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이어 유닛 와이어(301)가 이어 유닛(300), 특히 이어 하우징(3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이어 유닛의 폭 D1이 종래에 비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어 유닛(300)의 길이 방향과 제1 길이 방향이 평행하도록 안착시키는 경우 넥밴드 하우징(210)의 너비 D3가 과도하게 넓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어 유닛 와이어(301)가 넥밴드 하우징(210)의 전장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과 이어 유닛(300)에서 인출되어 나오는 방향의 각도가 커서 이어 유닛 와이어(301)의 내구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어 유닛(300)의 길이 방향은 넥밴드 하우징(210)의 제1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이어 유닛(300)이 안착부(22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안착면(221)이 넥밴드 하우징(210)의 제1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어 유닛(300)의 기울어진 폭 D2는 이어 유닛(300)의 너비방향 폭 D1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결과적으로 넥밴드 하우징(210)의 너비 D3도 좁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어 유닛 와이어(301)의 이어 유닛(300)으로부터의 인출 방향과 넥밴드 하우징(210)의 전장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과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깝게 배치 시킬 수 있어 이어 유닛 와이어(301)의 내구도에 악영향이 끼치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어 유닛 와이어(301)이 이어 유닛(300)의 측면에 치우쳐 구비됨으로 인해 안착면(221)과 관통 홀(222)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안착면(221)이 안착부(220)의 제1 영역에, 관통 홀(222)이 안착부(220)의 제2 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넥밴드 하우징(210)의 너비, 특히 안착부(220)의 폭 D3은 기울어진 이어 유닛(300)의 폭 D2를 충분히 포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안착부(220)는 특히 이어 유닛(300)의 상부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어 유닛(300)이 넥밴드 하우징(210)의 안착부(220)에 안착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상면에서 봤을 때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이어 유닛(300)이 안착된 경우 외부 충격이 발생한 경우 충격이 직접적으로 이어 유닛(30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안착부(220)는 이어 유닛(300)의 측면 일부 영역을 감싸 이어 유닛(300)을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이어 유닛(300)의 안착부(220) 착탈에 방해되지 않도록 바깥쪽 측면은 안쪽 측면보다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안착부(220)는 이어 유닛(300)의 하부를 감싸지 않고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이어 유닛(300)의 착탈에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한다.
전장부(3101)를 형성하는 넥밴드 하우징(210)은 상부 하우징(2101)과 하부 하우징(2102)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01)과 하부 하우징(2102)의 결합 단부는 개방 영역(2103)을 형성할 수 있다.
안착부(220), 특히 안착부(220)의 안착 브라켓(2201)은 넥밴드 하우징(210)의 단부 개방 영역(210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안착 브라켓(2201)이 넥밴드 하우징(210)에 별도로 결합하는 구조는 안착부(220)에 가해지는 충격이 넥밴드 하우징(2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메인 바디(200)의 파편화를 통해 각 영역이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223)는 넥밴드 하우징(210) 개방 영역(2103) 내측의 상면, 하면 및 일 측면을 지지하여 삼면을 지지하여 충분한 지지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안착 브라켓(2201)이 넥밴드 하우징(210)에 대해 유격이 발생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 브라켓(2201)은 지지 홀(224)을 통해 넥밴드 하우징(210)과 더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홀(224)은 넥밴드 하우징(210)의 상부와 하부를 결합하는 결합 보스(2104)가 관통할 수 있다.
안착 브라켓(2201)은 하면에 개방부(2231)를 포함하여 넥밴드 하우징(210)에 구비된 돌출부(2105)를 회피하여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개방부(2231)의 크기를 돌출부(2105)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하여 지지부(223)가 돌출부(2105)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안착면(221) 및 관통 홀(222)은 안착 브라켓(2201)에 구비될 수 있다. 안착 브라켓(2201)의 외측 상단에는 상단 커버(2202)가 결합하여 안착부(220)의 상단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데코 링(225)이 넥밴드 하우징(210)과 안착 브라켓(2201) 사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안착면(221) 내측에는 이어 유닛(300)의 안착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자성부(25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자성부(251)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 자성부(325)는 이어 유닛(300)에 실장된다. 제2 자성부(325)는 특히 회전부(320)의 회전축 중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320)가 회전하더라도 제2 자성부(325)와 제1 자성부(251)의 상대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분해 배면 사시도이다.
도선 와이어(231)는 넥밴드 하우징(210) 양측의 전자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선 와이어(231)는 와이어 브라켓(232)에 의해 고정되어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와이어 케이스(233)는 와이어 브라켓(232)을 감싸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와이어 케이스(233)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만곡부 내측을 향하는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외측을 향하는 외측 와이어 케이스(233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외측 와이어 케이스(2332)는 상호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브라켓(232)은 넥밴드 하우징(210)에 고정되기 위한 자바라(2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가 감싼 와이어 브라켓(232)은 자바라(241) 영역이 노출된다.
탄성 와이어부(234)는 양쪽의 넥밴드 하우징(210) 또는 양쪽의 와이어 케이스(233)를 연결하는 영역을 가리킨다. 탄성 와이어부(234)는 탄성을 가져 휘어질 수 있다. 탄성 와이어부(234)는 탄성 와이어(2341) 및 탄성 와이어 튜브(2342)를 포함한다.
탄성 와이어(2341)는 일정 힘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힘이 제거되면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탄성 와이어(2341)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 튜브(2342)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며, 탄성 와이어(2341) 및 도선 와이어(231)를 실장할 수 있는 중공부를 형성한다. 탄성 와이어 튜브(2342)는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탄성 와이어(2341)와 함께 변형되었다 복원될 수 있다.
탄성 와이어부(234)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된 경우 뒷 목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배면 사시도이다.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외측 와이어 케이스(2332)는 제2 방향에 대해 적층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만곡부 내측에서 외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는 제2 방향에 수직한 면에서 기울기가 서서히 제3 방향에 수직한 면으로 변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곡면형상은 사용자의 목에 자연스럽게 접하는 영역이 되며,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외측 와이어 케이스(2332)의 경계가 사용자의 목에 닿아 이물감을 주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3 방향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 하면에서 상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장부(3101)를 형성하는 넥밴드 하우징(210)의 상부 하우징(2101) 및 하부 하우징(2102)은 제3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01), 하부 하우징(2102), 메인 기판을 모두 제3 방향으로 적층함에 따라 전자 부품의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며, 조립 공정이 편리하다.
제1 스크류는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와이어 브라켓(232), 외측 와이어 케이스(2332)를 고정한다. 제1 스크류 홀(242)은 제1 스크류가 고정되는 상대면을 형성한다. 반면 제2 스크류는 하부 넥밴드 하우징(210) 및 상부 넥밴드 하우징(210)을 고정한다. 제2 스크류 홀(243)은 제2 스크류가 고정되는 상대면을 형성한다.
제1 스크류 홀(242)은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외측 와이어 케이스(2332)의 적층 방향에 따라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2 스크류 홀(243)은 하부 넥밴드 하우징(210) 및 상부 넥밴드 하우징(210)의 적층 방향에 따라 제3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하부 넥밴드 하우징(210) 각각의 제1 스크류 홀(242) 및 제2 스크류 홀(243)은 각 구성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홀(242)과 제2 스크류 홀(243)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하부 넥밴드 하우징(210)은 분리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하부 넥밴드 하우징(210)은 금형에 의해 사출 형성되며, 스크류 홀 때문에 각 구성의 금형 방향을 달리해야 한다. 따라서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 및 하부 넥밴드 하우징(210)은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반면, 외측 와이어 케이스(2332) 및 상부 하우징(2101)은 홀이 구성을 관통하는 것이 아니므로 스크류 홀의 방향은 금형 방향과 무관하다. 따라서 일체형으로 제조 및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류는 복수, 특히 세 지점에 구비되어 와이어 브라켓(232) 및 외측 와이어 케이스(2332)를 더 단단하게 체결할 수 있다.
다만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에는 복수의 제1 스크류 중 하나의 제1 스크류만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는 사용자의 목에 직접적으로 닿는 영역이 되므로 스크류가 노출되는 영역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와이어 브라켓(232)에는 도선 와이어(231)의 유동을 최소화 하기 위해 도선 와이어(231)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 홈(235)을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 안착 홈(235)은 제1 스크류 홀(242)을 회피하는 굴곡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굴곡 영역을 갖는 와이어 안착 홈(235)은 도선 와이어(231)가 안착된 경우 안착되는 표면적을 최대화 하여 더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길이 방향의 장력에 의한 도선 와이어(231)의 단선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 일 영역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바라본 것이다.
도 14에서 설명한 결합 형태를 전제로 설명한다. 탄성 와이어부(234), 특히 탄성 와이어 튜브(2342)의 외면은 와이어 케이스(233)의 외면과 연속면을 이룬다. 사용자의 목에 안착된 경우 이물감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함이다. 특히, 탄성 와이어부(234)와 내측 와이어 케이스(2331)의 경계(261)는 사용자의 목이 직접적으로 닿을 확률이 더 높은 영역이므로 더 정확하게 연속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탄성 와이어부(234)와 와이어 케이스(233)의 경계(261)는 임의의 방향에 대해 곡선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방향이라 함은 임의로 지정하는 모든 방향을 의미하며 어떤 방향에서 보더라도 직선을 갖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곡선 형상의 경계는 사용자의 머리카락이 경계 틈에 끼는 문제를 방지한다.
탄성 와이어부(234)와 와이어 케이스(233)의 경계는 특히 'S'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S' 형상의 경계는 직선 영역을 최소화 하므로 머리카락이 틈에 낄 확률을 더 줄인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휴대용 음향기기 200: 메인 바디
201: 와이어부 210: 넥밴드 하우징
2101: 상부 하우징 2102: 하부 하우징
2103: 개방 영역 2104: 결합 보스
2105: 돌출부 220: 안착부
2201: 안착 브라켓 2202: 상단 커버
221: 안착면 222: 관통 홀
223: 지지부 2231: 개방부
224: 지지 홀 225: 데코 링
231: 도선 와이어 232: 와이어 브라켓
233: 와이어 케이스 2331: 내측 와이어 케이스
2332: 외측 와이어 케이스 234: 탄성 와이어부
2341: 탄성 와이어 2342: 탄성 와이어 튜브
235: 와이어 안착 홈 241: 자바라
242: 제1 스크류 홀 243: 제2 스크류 홀
251: 제1 자성부 261: 경계
300: 이어 유닛 301: 이어 유닛 와이어
302: 와이어 지지부 310: 이어 하우징
3101: 전장부 311: 내측 케이스
3111: 내측 케이스 외측면 3112: 댐퍼 레이어
312: 외측 케이스 3121: 외측 케이스 내측면
3122: 홀 플레이트 313: 결합 플랜지
314: 드라이버 유닛 320: 회전부
321: 내측 브라켓 322: 회전 후크부
3221: 후크부 외주면 3222: 후크
322a: 후크 돌기 323: 가이드 단차부
324: 지지 러버 325: 제2 자성부
326: 개폐 홀 327: 가이드부
331: 베이스 홀 332: 플랫 홀
333: 내부 홀 334: 관로 홈
341: 실링 개스킷 342: 고정 돌기
343: 고정 홈 344: 제1 통기 메쉬
3441: 홀 346: 회전 다이얼
348: 제2 통기 메쉬 400: 이어 유닛
4001: 하우징 401: 드라이버 유닛
410: 진동판

Claims (18)

  1.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실장하는 전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장부의 제1 면에 베이스 홀 및 플랫 홀을 구비하는 이어 하우징;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제2 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 홀 또는 상기 플랫 홀을 개폐하는 개폐 홀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 홀은 상기 제1 면의 내측면 일 지점에 형성된 내부 홀과 연결되어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이어 하우징은,
    내측 케이스;
    상기 내측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하는 외측 케이스;
    상기 외측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면을 형성하는 홀 플레이트;
    상기 내측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홀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대향하여 구비되고 상기 내부 홀을 구비하는 댐퍼 레이어; 및
    상기 내부 홀과 상기 플랫 홀을 연결하도록 상기 홀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제2 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홀 및 플랫 홀에 대응되는 연결 홀을 구비하는 실링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하우징은,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결합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결합 플랜지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후크부는,
    상기 결합 플랜지의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복수의 후크 돌기; 및
    상기 복수의 후크 돌기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복수의 후크 돌기를 벌리는 지지 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하우징 및 회전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을 제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회전 각 일단으로 회전한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홀이 상기 베이스 홀 전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회전 각 타단으로 회전한 제2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홀이 상기 플랫 홀 전 영역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개폐 홀을 상기 베이스 홀 및 플랫 홀의 각 일부 영역을 동시에 개방하는 제3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
  7. 삭제
  8. 드라이버 유닛을 실장하는 이어 하우징 및 상기 이어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이어 유닛;
    일단이 상기 이어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하는 이어 유닛 와이어;
    제1 길이 방향의 전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어 유닛 와이어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넥밴드 하우징; 및
    상기 제1 길이 방향에 대해 특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된 안착면 및 상기 이어 유닛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여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 유닛의 후면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이어 유닛의 상부 전체를 감싸고,
    상기 넥밴드 하우징 양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 와이어;
    상기 도선 와이어를 지지하고 일측이 상기 넥밴드 하우징에 체결되는 와이어 브라켓;
    상기 와이어 브라켓을 감싸 외관을 형성하는 와이어 케이스; 및
    상기 와이어 케이스 및 와이어 브라켓을 체결하는 제1 스크류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류 홀은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일단, 중단 및 타단 세 지점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케이스는,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내측면을 감싸는 내측 와이어 케이스; 및
    상기 내측 와이어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 와이어 케이스; 및
    상기 내측 와이어 케이스에 만곡부의 내측에서 외측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스크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하우징은,
    상부 넥밴드 하우징;
    상기 상부 넥밴드 하우징에 결합하는 하부 넥밴드 하우징; 및
    상기 하부 넥밴드 하우징의 제3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스크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이고, 상기 외측 와이어 케이스 및 상부 넥밴드 하우징은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내측 와이어 케이스 및 하부 넥밴드 하우징은 분리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상기 안착부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안착부의 제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단부는 개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개방 영역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안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브라켓은,
    상기 넥밴드 하우징의 개방 영역 내측의 상면, 하면 및 일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넥밴드 하우징 상부와 하부를 결합하는 결합 보스가 관통하는 지지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2. 삭제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 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안착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 홈은,
    상기 제1 스크류 홀에 대응되는 영역이 일측으로 치우친 굴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4. 삭제
  15. 제8 항에 있어서,
    양단에 상기 와이어 브라켓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케이스와 연속면을 이뤄 외관을 형성하는 탄성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 케이스의 경계는 임의의 방향에 대해 곡선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 케이스의 경계는 'S'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7.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 내측에 구비된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 중심에 구비된 제2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8.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실장하는 전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장부의 제1 면에 베이스 홀 및 플랫 홀을 구비하는 이어 하우징;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제2 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이스 홀 또는 상기 플랫 홀을 개폐하는 개폐 홀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 홀은 상기 제1 면의 내측면 일 지점에 형성된 내부 홀과 연결되어 관로를 형성하고,
    상기 이어 하우징 및 회전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을 제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회전 각 일단으로 회전한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홀이 상기 베이스 홀 전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회전부를 상기 회전 각 타단으로 회전한 제2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 홀이 상기 플랫 홀 전 영역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유닛.
KR1020160179178A 2016-12-26 2016-12-26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61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178A KR101861689B1 (ko) 2016-12-26 2016-12-26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
PCT/KR2017/014758 WO2018124560A1 (en) 2016-12-26 2017-12-14 Earphone
PCT/KR2017/015013 WO2018124589A1 (en) 2016-12-26 2017-12-19 Ear unit and portable sound device
EP17208772.8A EP3340644A1 (en) 2016-12-26 2017-12-20 Earphone
EP17210265.9A EP3340645B1 (en) 2016-12-26 2017-12-22 Ear unit for a portable sound device
CN201711417911.4A CN108260047B (zh) 2016-12-26 2017-12-25 耳机
US15/854,049 US10433061B2 (en) 2016-12-26 2017-12-26 Ear unit and portable sound device
US15/854,056 US10448141B2 (en) 2016-12-26 2017-12-26 Ear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178A KR101861689B1 (ko) 2016-12-26 2016-12-26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689B1 true KR101861689B1 (ko) 2018-05-28

Family

ID=6078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178A KR101861689B1 (ko) 2016-12-26 2016-12-26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33061B2 (ko)
EP (1) EP3340645B1 (ko)
KR (1) KR101861689B1 (ko)
WO (1) WO2018124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4634S1 (en) * 2017-10-17 2021-03-30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JP1617786S (ko) * 2017-12-27 2018-11-12
USD870067S1 (en) * 2019-08-29 2019-12-17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USD933633S1 (en) * 2019-12-20 2021-10-19 Yamaha Corporation Earphone
USD978827S1 (en) * 2021-04-13 2023-02-21 Zongxiang Gao Neckband headph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64B1 (ko) * 2013-11-14 2015-01-08 주식회사 티피오스 저음 조절이 가능한 투웨이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6591C3 (de) 1987-04-13 1994-04-14 Beltone Electronics Corp Hörgerät mit Ohrschmalzschutz
JP3742330B2 (ja) * 2001-10-31 2006-02-01 スター精密株式会社 挿入型イヤホン
NZ550745A (en) * 2002-07-26 2008-09-26 Oakley Inc An eyeglass or spectacles incorporating a wireless interactive headset
US7616772B2 (en) 2004-11-09 2009-11-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arphone for sound reproduction
US8107665B2 (en) * 2006-01-30 2012-01-31 Etymotic Research, Inc. Insert earphone using a moving coil driver
TW200803584A (en) * 2006-06-29 2008-01-01 Cotron Corp In-ear type earphone with adjustable area of sound hole on housing behind speaker
US8594351B2 (en) * 2006-06-30 2013-11-26 Bose Corporation Equalized earphones
CN101785326A (zh) 2007-03-27 2010-07-21 未来声能学公司 用于耳机设备的系统和方法
CN101785327B (zh) * 2007-07-23 2013-11-20 艾瑟斯技术有限责任公司 折声学声音转换连接耦合器和耳塞
US8348010B2 (en) 2007-10-19 2013-01-08 Apple Inc. Invertible ear tips for an ear piece
DE202007016881U1 (de) * 2007-12-03 2009-04-09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Hörer
KR100968406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웨이브가이더가 장착된 헤드폰
KR100962169B1 (ko) 2008-09-01 2010-06-10 필스전자 주식회사 밀착형 이어폰
KR101039813B1 (ko) * 2009-03-30 2011-06-13 주식회사 보니아코퍼레이션 골전도와 공기전도 기능을 갖는 듀얼 이어폰
US8913738B2 (en) 2009-06-30 2014-12-1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wideband earpiece response
EP2306755B1 (en) 2009-09-03 2015-06-03 AKG Acoustics GmbH In-ear earphone
JP2011151793A (ja) * 2009-12-25 2011-08-04 Victor Co Of Japan Ltd イヤーピース及びイヤホン
KR20110125346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두성 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된 이어폰
US20120051574A1 (en) * 2010-08-31 2012-03-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In-ear headphone
US8422717B2 (en) * 2010-10-19 2013-04-1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djustable audio headphone
US9451351B2 (en) * 2011-06-16 2016-09-20 Sony Corporation In-ear headphone
KR101165663B1 (ko) * 2011-12-27 2012-07-16 필스전자 주식회사 인클로져 개폐형 이어폰
US8565467B1 (en) * 2012-03-30 2013-10-2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arphone
US9215536B2 (en) * 2012-10-30 2015-12-15 Dexin Corporation Earphone device having integrated antenna
TWM469709U (zh) * 2013-07-05 2014-01-01 Jetvox Acoustic Corp 調音耳機
CN206181373U (zh) * 2013-11-20 2017-05-17 索诺瓦公司 用于耳机的声管、声管布置,耳机及听力设备
US9544676B2 (en) * 2014-03-10 2017-01-10 Klipsch Group, Inc. Oval shaped in-ear headphone
EP2919482B1 (en) * 2014-03-13 2019-11-0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ear piece
KR102163919B1 (ko) * 2014-06-30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US9877103B2 (en) * 2014-07-18 2018-01-23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US9055364B1 (en) * 2014-08-18 2015-06-09 Bulecom Co., Ltd. Earset having an automatic rewinding unit of ball/wire spring type
CN205213013U (zh) 2015-11-18 2016-05-04 江西联创宏声万安电子有限公司 一种可调音质耳机
KR101673414B1 (ko) * 2015-12-24 2016-11-07 주식회사 블루콤 와이어 단선 방지를 위해 리트랙터블 구조가 개선된 블루투스 이어폰
CN106165442A (zh) * 2016-04-29 2016-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可调节音效的耳机
KR101763600B1 (ko) * 2016-12-08 2017-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64B1 (ko) * 2013-11-14 2015-01-08 주식회사 티피오스 저음 조절이 가능한 투웨이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0645A3 (en) 2018-08-22
US20180184205A1 (en) 2018-06-28
WO2018124589A1 (en) 2018-07-05
EP3340645B1 (en) 2019-11-06
US10433061B2 (en) 2019-10-01
EP3340645A2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689B1 (ko) 이어 유닛 및 휴대용 음향기기
US11930313B2 (en) In-ear headphone
CN109547588B (zh) 移动终端
KR10183533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1209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US10959009B2 (en) Wearable personal acoustic device having outloud and private operational modes
KR20200069650A (ko) 스피커와 마이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63975B2 (en) Mobile terminal
KR20200045281A (ko) 이물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45284B2 (en) Portable audio equipment
CN108156567A (zh) 无线听力设备
JP6234082B2 (ja) 計測システム
KR20220011019A (ko) 음향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19801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8002423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5994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JP5255391B2 (ja) 電子機器
KR10203459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WO2023068741A1 (ko) 웨어러블 장치 장착 가이드 방법
KR1019493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55330A (ko) 웨어러블 장치 장착 가이드 방법
KR20240026805A (ko)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30165656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170035054A (ko)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