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48A -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Google Patents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1048A KR20160001048A KR1020140078740A KR20140078740A KR20160001048A KR 20160001048 A KR20160001048 A KR 20160001048A KR 1020140078740 A KR1020140078740 A KR 1020140078740A KR 20140078740 A KR20140078740 A KR 20140078740A KR 20160001048 A KR20160001048 A KR 201600010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t
- frame
- cover
- module
- slid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가 제공된다. 루프박스는, 차량의 지붕에 고정되는 몸체, 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몸체와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캐리어모듈, 및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프레임, 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 및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텐트부재를 포함하여 커버 개방시 펼쳐지고 커버의 폐쇄시 접히는 텐트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지붕에 장착되는 차량용 루프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탑 텐트와 루프박스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들은 모두 크고 작은 적재공간을 가진다. 적재공간은 차량에 내장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며 화물차와 같이 보다 넓은 공간이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화물운반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차량이 아닌 대부분의 일반 차량들은 대개 트렁크 형태로 제공된 한정된 적재공간을 갖는다.
트렁크에 원하는 만큼의 짐을 다 실을 수 없는 경우, 탑승공간을 적재공간으로 활용하는 불편을 감수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차량 외부에 추가적으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기구를 장착한다. 루프박스(roof box)는 개폐가 가능한 일종의 적재함으로 차량 지붕에 장착되어 차량의 적재공간을 확장시킨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8881호 등에 이러한 루프박스 들이 개시되어 있다.
루프박스는 안전을 위해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탈착이 쉽지 않다. 따라서, 루프박스를 장착하면 적재공간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으나 차량 지붕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차량 지붕의 상대적으로 넓고 평평한 공간을 이용하여 루프탑 텐트와 같은 레저장비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나, 루프박스가 설치된 경우 이를 해체하고 다시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 루프박스나 루프탑 텐트 같은 차량용 레저장비가 자주 활용되는 바 이는 커다란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루프탑 텐트와 루프박스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는, 차량의 지붕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캐리어모듈; 및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프레임, 상기 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텐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개방시 펼쳐지고 상기 커버의 폐쇄시 접히는 텐트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와 상기 제1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1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1슬라이딩 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2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슬라이딩 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제1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2슬라이딩 홈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의 외측에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및 상기 몸체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노출시키는 해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트모듈이 상기 해치부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해치부는 상기 커버 및 상기 몸체의 절개된 일부가 상기 커버 및 상기 몸체의 나머지 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단부가 상기 텐트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텐트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는 견인와이어, 및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텐트모듈의 내측에 고정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상기 텐트부재와 상기 풀리사이의 상기 견인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이 상기 텐트부재의 내측을 향할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굴절 가능하게 개재되는 지지링크, 및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지지링크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완충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어려운 해체작업이나 설치작업 없이도 필요에 따라 루프박스 또는 루프탑 텐트를 매우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공간의 확장을 원하는 경우에는 루프박스를 사용하고 별도의 휴식공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루프탑 텐트를 사용하여 더 많은 물품을 운반하거나, 더 안락하게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루프박스나 루프탑 텐트로의 전환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텐트 전환시에도 개폐작용만으로 신속히 펼쳐지거나 컴팩트하게 접혀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이 결합되어 함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의 루프박스의 텐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루프박스의 텐트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7b는 텐트모듈의 개폐과정을 평면도와 측면도를 활용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이 결합되어 함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의 루프박스의 텐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루프박스의 텐트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7b는 텐트모듈의 개폐과정을 평면도와 측면도를 활용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이 결합되어 함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는 차량의 지붕에 고정되는 몸체(110), 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0), 및 몸체(110)와 커버(120)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01)을 포함하는 캐리어모듈(10),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01)에 삽입되고, 몸체(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프레임(210), 커버(1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220), 및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텐트부재(230)를 포함하는 텐트모듈(20)을 포함한다. 텐트모듈(20)은 커버(120) 개방시 커버(120)와 함께 펼쳐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를 형성하고, 커버(120) 폐쇄시에 접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모듈(10) 내측에 완전히 갈무리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는 캐리어모듈(10) 및 텐트모듈(2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텐트모듈(20)을 캐리어모듈(10)에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루프탑 텐트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캐리어모듈(10)에서 텐트모듈(20)을 분리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모듈(10)의 수납공간(101)에 각종 화물을 적재하는 루프박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텐트모듈(20)은 캐리어모듈(10)이 닫힌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부(111, 121) 등을 열어 손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박스 또는 루프탑 텐트 중 어느 용도로도 손쉽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의 각 구성부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캐리어모듈(10)은 몸체(110), 커버(120), 및 몸체(110)와 커버(120)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01)을 포함하고, 텐트모듈(20)은 몸체(110)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210), 커버(120)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220), 및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 연결되는 텐트부재(230)를 포함한다. 캐리어모듈(10)의 수납공간(101)은 텐트모듈(20)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갖는다.
캐리어모듈(10)의 몸체(110)는 차량 지붕의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는 이러한 몸체(1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자유롭게 개폐된다. 몸체(110)와 커버(120)는 서로 짝맞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닫혔을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밀폐되고, 열렸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납공간(101)을 외부로 완전히 노출할 수 있다.
캐리어모듈(10)의 몸체(110)와 커버(120)는 차량 주위로 유동하는 공기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경사를 이루거나, 곡면을 형성하거나,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모듈(10)은 내부 수납공간(101)을 최대한 크게 하고 동시에 공기저항은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몸체(110)와 커버(120)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링크(131), 및 적어도 일단부가 지지링크(131)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완충실린더(132)가 설치된다. 즉, 몸체(110)와 커버(120)는 단순히 힌지 결합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지링크(131)와 완충실린더(132)의 조합으로 적절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지지링크(131)는 커버(120)가 개방되었을 때 펼쳐지고, 커버(120)가 폐쇄되었을 때 완전히 접힐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를 포함하고, 완충실린더(132)는 끝단부가 이러한 굴절부에 연결되어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지지링크(131)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완충실린더(132)는 내부에 작동유체가 매입된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모듈(10)과 텐트모듈(20)은 홈과 돌기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착탈 방식으로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몸체(110)와 제1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 홈(11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슬라이딩 홈(112)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도 5b의 211 참조)가 형성되며, 또한, 캐리어모듈(10)의 커버(120)와 텐트모듈(20)의 제2프레임(220) 중 어느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 홈(도 2의 122 참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2슬라이딩 홈(122)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캐리어모듈(10)과 텐트모듈(20)은 제1슬라이딩 홈(112)과 제1결합돌기(211)의 쌍, 그리고 제2슬라이딩 홈(122)과 제2결합돌기(221)의 쌍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슬라이딩 홈(1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 형성되고, 제1결합돌기(211)는 제1프레임(210)에 형성되며, 제2슬라이딩 홈(122)은 커버(120)에 형성되고, 제2결합돌기(221)는 제2프레임(220)에 형성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제1슬라이딩 홈(112)과 제1결합돌기(211)의 쌍, 및 제2슬라이딩 홈(122)과 제2결합돌기(221)의 쌍은 각각 몸체(110)와 제1프레임(210), 및 커버(120)와 제2프레임(220) 상에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슬라이딩 홈(112)과 제1결합돌기(211), 제2슬라이딩 홈(122)과 제2결합돌기(221)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슬라이딩 홈(112) 및 제2슬라이딩 홈(122)은 캐리어모듈(10)의 몸체(110) 및 커버(120) 각각에 만입되어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 홈(112) 및 제2슬라이딩 홈(122)은 각각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좁고 내측이 넓게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돌기(211) 또는 제2결합돌기(221)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돌기(도 2의 221a 참조)가 제1슬라이딩 홈(112) 또는 제2슬라이딩 홈(122)의 내측에 걸려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캐리어모듈(10)의 일 측에는 해치부(111, 121)가 형성되어 커버(1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내부 수납공간(101)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해치부(111, 121)는 커버(120) 및 몸체(110)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 및 몸체(110)의 절개된 일부분을 커버(120) 및 몸체(110)의 나머지 부분에 힌지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해치부(111, 1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손쉽게 개방되어, 내부 수납공간(101)과 제1슬라이딩 홈(112), 및 제2슬라이딩 홈(122)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텐트모듈(20)은 이와 같이 개방된 해치부(111, 121)를 통해 수납공간(101) 내부에 삽입되고 수납공간(10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텐트모듈(20)이 반드시 해치부(111, 121)를 통해 삽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커버(120) 전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도 텐트모듈(20)을 수납공간(101)에 삽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부(111, 121)를 개방하여 제1슬라이딩 홈(112)과 제2슬라이딩 홈(122)의 단부를 손쉽게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해치부(111, 121)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텐트모듈(20)을 삽입하고 각각의 슬라이딩 홈에 결합돌기를 결합할 수 있다.
텐트모듈(20)의 제1프레임(210)은 몸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프레임(220)은 커버(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캐리어모듈(10)의 몸체(110)와 커버(120)에 각각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 또는 커버(120)에 경사나 곡면부가 형성되면,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 역시 대응하는 위치에 경사나 곡면부가 형성되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유격 없이 견고하게 밀착되는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서로 짝이 맞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힌지 결합되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에는 제1결합돌기(도 5b의 211 참조)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220)에는 제2결합돌기(221)가 형성되어 캐리어모듈(10)의 몸체(110)와 커버(120)에 각각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는 각각 제1슬라이딩 홈(112) 및 제2슬라이딩 홈(122)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21) 외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도 2의 221a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돌기(211) 및 제2결합돌기(221)가 제1슬라이딩 홈(112) 및 제2슬라이딩 홈(122)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면, 걸림돌기(221a)가 각각의 슬라이딩 홈 내측에 걸려 고정된다. 이를 통해 텐트모듈(20)이 캐리어모듈(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텐트부재(23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사이에 연결되며, 직물로 형성되어 접철이 가능하다. 텐트부재(230)는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로 직조된 기능성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정도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의 사이가 멀어지면 텐트부재(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져 루프탑 텐트를 형성한다. 텐트모듈(20)의 구체적인 작동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텐트모듈(20)에는 일단부가 텐트부재(2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텐트모듈(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견인와이어(241) 및 견인와이어(24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지지되고 텐트모듈(20)의 내측에 고정되는 풀리(242a)가 설치된다. 풀리(24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 측이 개구되고 소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방향전환부(242) 내측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방향전환부(242) 주위로는 고리 형상의 가이드부재(243)가 설치되어 견인와이어(241)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인와이어(241)와 견인와이어(241)의 일 측에 지지되는 풀리(242a)를 이용하여 텐트부재(230)와 풀리(242a) 사이의 견인와이어(241)에 텐트부재(230)의 내측을 향하는 장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견인와이어(241)를 외부에서 당기는 경우 텐트부재(230)가 장력에 의해 텐트모듈(20)의 내측으로 매우 컴팩트하게 접힐 수 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텐트모듈(2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도 2의 루프박스의 텐트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2의 루프박스의 텐트모듈의 측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7b는 텐트모듈의 개폐과정을 평면도와 측면도를 활용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텐트모듈(2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는 텐트부재(230)가 연결된다. 텐트부재(2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서로 접혀 인접한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모듈(20)의 내측으로 접혀 완전히 갈무리된다.
견인와이어(241)는 일단부가 텐트부재(23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프레임(220)에 형성된 개구부 등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노출된 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41a)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견인와이어(2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242)를 통과하여 텐트부재(230)에 연결되며, 방향전환부(242)를 중심으로 굴절되어 방향이 전환된다. 즉, 견인와이어(241)는 방향전환부(242)에 위치하는 풀리(242a)와 접촉하면서 굴절되어 타단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텐트모듈(2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의 장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향전환부(242) 및 풀리(242a)는 텐트모듈(20)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향전환부(242)가 제2프레임(220)에 설치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방향전환부(242)는 제1프레임(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방향전환부(242) 및 풀리(242a)는 견인와이어(241)의 일부를 굴절시켜 텐트모듈(2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방향전환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제1결합돌기(211) 및 제2결합돌기(22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결합돌기(211) 및 제2결합돌기(221)는 텐트모듈(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슬라이딩 홈(도 2의 112 참조) 및 제2슬라이딩 홈(도 2의 122 참조)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결합돌기가 각각의 슬라이딩 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하, 텐트모듈(20)의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텐트모듈(2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일 측으로 열려 개방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이에 대응하여 텐트부재(230)가 펼쳐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쳐지면 양단부가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에 연결된 채 팽팽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텐트모듈(20) 내측에 들어가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텐트모듈(20)이 완전히 펼쳐지면, 견인와이어(241)는 텐트부재(230)에 연결된 일단부가 당겨져 텐트모듈(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때, 텐트부재(230)에 연결된 견인와이어(241)의 일단부와 방향전환부(242) 사이는 직선형태로 당겨져 긴장될 수 있다. 견인와이어(241)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이러한 상태에서도 견인와이어(241)의 타단부가 텐트모듈(20)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고리(241a)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텐트모듈(20)은 캐리어모듈(도 2의 10 참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텐트모듈(20)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를 고정하는 별도의 지지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견인와이어(241)를 당기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에 의해 텐트부재(230)가 견인되고 동시에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서로 접힌다. 즉, 고리(241a)가 형성된 견인와이어(241)의 타단부가 당겨지면, 방향전환부(242) 내측의 풀리(242a)에 의해 견인와이어(241)에 걸리는 장력의 방향이 전환되고, 텐트부재(230)에 연결된 견인와이어(241)의 일단부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부재(230)를 텐트모듈(20)의 내측으로 당겨 밀착시킨다. 따라서, 텐트부재(230)의 양 단에 연결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텐트부재(230)를 따라 서로를 향해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견인와이어(241)를 당기는 것만으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서로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텐트모듈(20)을 편리하게 접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텐트부재(230)를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의 내측으로 당겨 컴팩트하게 갈무리할 수 있다. 텐트모듈(20)은 이와 같이 텐트부재(230)가 내측으로 컴팩트하게 접혀 고정되므로 캐리어모듈(도 2의 10참조)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되고, 또한 분리 후 보관하였다가 매우 손쉽게 캐리어모듈(10)에 결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의 루프박스의 캐리어모듈과 텐트모듈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A)의 지붕에 설치된다. 특히, 캐리어모듈(10)의 몸체(110) 저면에 볼트나 클립, 클램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고정장치(30)를 장착하고 차량(A) 상부의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활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차량(A)에 고정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캐리어모듈(10)과 텐트모듈(도 2의 20 참조)이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텐트모듈(20)을 분리하고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화물(B)을 적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캐리어모듈(10)의 커버(120)를 열어 내부 수납공간(101)을 개방하고, 적절한 양의 화물(B)을 적재한 뒤 다시 커버(120)를 닫아 수납공간(101)을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를 화물(B)을 적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를 텐트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텐트모듈(20)을 캐리어모듈(10) 내부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 때, 제1결합돌기(211) 및 제2결합돌기(221)가 캐리어모듈(10)의 제1슬라이딩 홈(도 2의 112 참조) 및 제2슬라이딩 홈(도 2의 122 참조)에 각각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캐리어모듈(10)의 해치부(111, 121)를 열어 매우 간편하게 텐트모듈(20)을 캐리어모듈(10)에 결합할 수 있다.
텐트모듈(20)과 캐리어모듈(10)이 결합된 상태로 커버(120)를 개방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부재(230)가 펼쳐져 루프탑 텐트가 형성된다. 이 때, 텐트모듈(20)의 제1프레임(도 2의 210 참조)은 몸체(110)에 고정되고, 제2프레임(도 2의 220 참조)은 커버(120)에 고정되어 함께 움직이며, 텐트부재(23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이 서로 멀어짐에 따라 펼쳐져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루프탑 텐트를 형성하여 야외에서 매우 편리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펼쳐진 텐트부재(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견인와이어(241)를 당겨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접을 수 있다. 견인와이어(241)의 장력과 텐트모듈(도 5a의 20 참조) 내측에 배치된 풀리(도 5a의 242a 참조)에 의해 텐트부재(230)는 매우 컴팩트하게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 내부로 접혀 갈무리된다. 이와 동시에 텐트부재(230)의 양단부에 연결된 제1프레임(도 2의 210 참조)과 제2프레임(도 2의 220 참조),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에 각각 결합된 몸체(110)와 커버(120)는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120)를 눌러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가 완전히 밀폐된다. 따라서, 차량(A)을 운행하여 원하는 또 다른 목적지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목적지에서는 다시 커버(120)를 열고 루프탑 텐트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휴식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1)를 화물을 적재하는 일반적인 루프박스나, 또는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루프탑 텐트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10: 캐리어모듈
20: 텐트모듈 30: 고정장치
101: 수납공간 110: 몸체
111, 121: 해치부 112: 제1슬라이딩 홈
120: 커버 122: 제2슬라이딩 홈
131: 지지링크 132: 완충실린더
210: 제1프레임 211: 제1결합돌기
220: 제2프레임 221: 제2결합돌기
221a: 걸림돌기 230: 텐트부재
241: 견인와이어 241a: 고리
242: 방향전환부 242a: 풀리
243: 가이드부재
A: 차량 B: 화물
20: 텐트모듈 30: 고정장치
101: 수납공간 110: 몸체
111, 121: 해치부 112: 제1슬라이딩 홈
120: 커버 122: 제2슬라이딩 홈
131: 지지링크 132: 완충실린더
210: 제1프레임 211: 제1결합돌기
220: 제2프레임 221: 제2결합돌기
221a: 걸림돌기 230: 텐트부재
241: 견인와이어 241a: 고리
242: 방향전환부 242a: 풀리
243: 가이드부재
A: 차량 B: 화물
Claims (7)
- 차량의 지붕에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캐리어모듈; 및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프레임, 상기 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텐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개방시 펼쳐지고 상기 커버의 폐쇄시 접히는 텐트모듈; 을 포함하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제1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1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1슬라이딩 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제2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제2슬라이딩 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돌기는 각각 상기 제1슬라이딩 홈과 상기 제2슬라이딩 홈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의 외측에 상기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2결합돌기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몸체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노출시키는 해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트모듈이 상기 해치부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부는 상기 커버 및 상기 몸체의 절개된 일부가 상기 커버 및 상기 몸체의 나머지 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형성되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텐트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텐트모듈의 외부로 노출되는 견인와이어, 및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텐트모듈의 내측에 고정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상기 텐트부재와 상기 풀리 사이의 상기 견인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이 상기 텐트부재의 내측을 향하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굴절 가능하게 개재되는 지지링크, 및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지지링크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완충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740A KR101652942B1 (ko) | 2014-06-26 | 2014-06-26 |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740A KR101652942B1 (ko) | 2014-06-26 | 2014-06-26 |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9363A Division KR20160001718A (ko) | 2015-07-13 | 2015-07-13 |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048A true KR20160001048A (ko) | 2016-01-06 |
KR101652942B1 KR101652942B1 (ko) | 2016-09-01 |
Family
ID=5516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8740A KR101652942B1 (ko) | 2014-06-26 | 2014-06-26 |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294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613U (ko) * | 2017-08-31 | 2019-03-08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
US11346123B2 (en) * | 2018-08-27 | 2022-05-31 | Ikamper Co., Ltd. | Rooftop tent for vehicle |
JP7096994B2 (ja) | 2018-02-02 | 2022-07-07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素子 |
KR102596420B1 (ko) * | 2022-08-26 | 2023-10-31 |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 캠핑카 팝업텐트의 전자래치와 스트라이커 체결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4647B1 (ko) | 2021-09-29 | 2023-12-15 | (주)캠핑카 랜드 | 솔라 패널 기반의 자체 전원을 구비한 캠핑카용 멀티 루프탑 |
KR20230114958A (ko) | 2022-01-26 | 2023-08-02 | (주)캠핑카 랜드 | 캠핑카 대여 중개 시스템 |
KR102646650B1 (ko) | 2022-01-26 | 2024-03-18 | 이민원 | 캠핑카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684865B1 (ko) | 2022-09-07 | 2024-07-15 | 이민원 | 캠핑용 차량에 탑재되는 편의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0643A (ja) * | 1996-04-25 | 1997-11-11 | Honda Motor Co Ltd | 可動ルーフ装置 |
JP2000185556A (ja) * | 1998-12-22 | 2000-07-04 | Webasto Japan Kk | 昇降ルーフのテント装置 |
KR20140068881A (ko) | 2011-07-17 | 2014-06-09 | 에스이에스 솔루션스 게엠베하 |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
-
2014
- 2014-06-26 KR KR1020140078740A patent/KR1016529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0643A (ja) * | 1996-04-25 | 1997-11-11 | Honda Motor Co Ltd | 可動ルーフ装置 |
JP2000185556A (ja) * | 1998-12-22 | 2000-07-04 | Webasto Japan Kk | 昇降ルーフのテント装置 |
KR20140068881A (ko) | 2011-07-17 | 2014-06-09 | 에스이에스 솔루션스 게엠베하 |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613U (ko) * | 2017-08-31 | 2019-03-08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
JP7096994B2 (ja) | 2018-02-02 | 2022-07-07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素子 |
US11346123B2 (en) * | 2018-08-27 | 2022-05-31 | Ikamper Co., Ltd. | Rooftop tent for vehicle |
KR102596420B1 (ko) * | 2022-08-26 | 2023-10-31 |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 캠핑카 팝업텐트의 전자래치와 스트라이커 체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2942B1 (ko) | 2016-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2942B1 (ko) |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
US9421850B2 (en) | Folding tonneau cover system secondary hinge assembly | |
RU2696189C2 (ru) | Система ящика для хранения (варианты),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отделения для хранения | |
CN107640098B (zh) | 车顶行李架组件和车辆 | |
US10479280B2 (en) | Motor vehicle | |
KR20140068881A (ko) |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 |
US9937867B2 (en) | Deployable, expandable storag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 |
KR20160001718A (ko) |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 |
KR101376300B1 (ko) | 캠핑카의 지붕 천막 절첩 유도장치 | |
US9931989B2 (en) | Light weight low cost stretching load cover | |
US20220041112A1 (en) | Roof cargo system | |
CA3058103C (en) | Foldable tent comprising two umbrella structures | |
KR20160120367A (ko) |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장치 | |
US20040094984A1 (en) | Motor vehicle luggage net that can be adapted to multiple attached states | |
US20100154684A1 (en) | Tray table and related methods | |
KR101043845B1 (ko) |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 |
GB2554664A (en) | Luggage Support System for a vehicle | |
JP2006213240A (ja) | 自転車かごカバー | |
KR200293752Y1 (ko) | 화물보호용 지지대 | |
JP3245290U (ja) | 車室天井用カーゴネット | |
KR101896925B1 (ko) | 자전거 캠핑용 텐트 캐리어 | |
CN220865327U (zh) | 一种汽车座椅的储物结构 | |
JP2020111308A (ja) | 折りたたみ式カヌー | |
AU2013101776A4 (en) | Laundry Basket Assembly | |
KR200309725Y1 (ko) | 화물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