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13U -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13U
KR20190000613U KR2020170004607U KR20170004607U KR20190000613U KR 20190000613 U KR20190000613 U KR 20190000613U KR 2020170004607 U KR2020170004607 U KR 2020170004607U KR 20170004607 U KR20170004607 U KR 20170004607U KR 20190000613 U KR20190000613 U KR 201900006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hock absorber
plate
side plate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153Y1 (ko
Inventor
민길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민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민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2020170004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5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어느 한쪽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힌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상품 신뢰도가 높은,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일측이 제1고정체에 연결되는 제1바; 상기 제1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제2고정체에 연결되는 제2바; 일단은 상기 제2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에 연결되는 쇽업쇼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Roof box Of Vehicle}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어느 한쪽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힌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상품 신뢰도가 높은,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수납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루프박스는 바닥판 및 바닥판에 힌지연결되어 바닥판에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바닥판과 상판은 힌지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만큼 루프박스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힌지장치는 통상 좌우에 각각 설치된다. 즉 2개 이상의 힌지장치가 사용된다.
힌지장치는 가스쇽업쇼바를 이용한 방식이 있고 스프링을 이용한 방식이 있다. 이들은 각자 장단점이 있다. 쇽업쇼바의 경우에는 가스가 누설되는 경우 적은 힘으로 힌지장치를 동작시킬 수 없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스프링을 이용한 힌지장치는 가스가 누설되는 문제는 없지만 작동이 부드럽지 못하고 소음이 생길 우려가 있으며, 적은 힘으로 동작시키기가 쉽지 않다.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의 힌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지만, 쇽업쇼바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의 예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0894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10401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7014295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가스쇼바(쇽업쇼바)를 이용한 힌지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비틀림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으며, 가스가 부분적으로 누설된다 하여도 힌지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강도가 뛰어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일측이 제1고정체에 연결되는 제1바(bar); 상기 제1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제2고정체에 연결되는 제2바; 일단은 상기 제2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에 연결되는 쇽업쇼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01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1횡판과 제1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02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2횡판과 제2측판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쇽업쇼바의 일측은 제1바의 제1측판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쇽업쇼바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타측은 제2바의 제2측판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2쇽업쇼바핀에 힌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03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1횡판과 제1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04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2횡판과 제2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양단 연결부가 상기 제1,2바의 내부에 인입되되; 상기 쇽업쇼바의 양단 연결부가 좌우로 탄성적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2바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쇽업쇼바의 연결부의 양측에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힌지장치에 의하면, 제1바와 제2바의 힌지작용에 의해 제1,2고정체는 기본적으로 힌지운동하면서 열리고 닫히며, 여기에 쇽업쇼바가 더 설치됨으로써 차량용 루프박스에서의 덮개판의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쇽업쇼바와 제1,2바가 서로 연동되어 있음으로써 서로의 기능을 보완해주는 힌지장치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의 사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또는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용 루프박스에 사용될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차량용 루프박스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사용처에 사용되는 경우도 미쳐야 할 것이다. 다만 여기서는 차량용 루프박스에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기로 한다.
차량용 루프박스는 차량 루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적재공간을 제공하는 하판과, 하판에 뚜껑처럼 덮여져 고정되는 덮개판으로 구성된다. 덮개판은 힌지장치에 의해 위로 들리면서 개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덮개판과 하판 사이에 힌지장치가 설치되며 설치개수는 2개가 일반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고정체(미도시됨)는 하판이 될 수 있고, 제2고정체(미도시됨)는 덮개판이 될 수 있다.
막대 형태로 된 제1바(bar, 10)의 일측이 제1고정체에 연결된다. 막대 형태로 된 제2바(20)의 일측이 제2고정체에 연결된다. 제2바(20)는 제1바(10)의 타측에 힌지 연결된다. 제1바(10)와 제2바(20)는 메인힌지핀(15)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바(10)는 기다란 판재를 "
Figure utm00005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1횡판(11)과 제1측판(12,13)으로 구성된다. 제2바(20) 역시 기다란 판재를 "
Figure utm00006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2횡판(21)과 제2측판(22,23)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바(10)와 제2바(20)는 폭이 상이하여 "
Figure utm00007
" 의 형태가 되도록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3 참조). 특히 제1바(10)의 폭이 더 넓음으로써 제2바(20)가 제1바(10)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이런 구조는 힌지장치의 강성을 크게 높이는데 유리하다.
메인힌지핀(15)은 제1,2바의 각 측판(12,13,22,23)을 관통하여 너트 또는 분할핀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쇽업쇼바(30, shock absorber)가 제1바(10)와 제2바(20) 사이에 연결된다. 쇽업쇼바(30)의 실린더(31)측이 되는 일단은 제1바(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스톤(32)측이 되는 타단은 제2바(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쇽업쇼바(30)는 제1바(10)와 제2바(20)의 내부에 안착되는 직경과 길이를 가진다. 쇽업쇼바(30)의 일측은 제1바의 측판(12,13)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쇽업쇼바핀(40')에 힌지 연결되며, 쇽업쇼바(30)의 타측은 제2바(20)의 측판(22,23)에 마련된 핀홀(23a, 도 5 참조)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2쇽업쇼바핀(40)에 힌지 연결된다. 측판(12,13,22,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쇽업쇼바(30)가 연결되는 부위는 다른 곳보다 높이가 높게 되어 강성을 유지토록 할 수 있다.
쇽업쇼바(30)의 양단에는 각각 핀홀(34a, 도 5 참조)이 마련된 연결부(33,34)가 제공된다. 이 핀홀(34a)에는 제1쇽업쇼바핀(40')과 제2쇽업쇼바핀(40)이 각각 끼워진다. 쇽업쇼바(30)의 양단 연결부(33,34)가 제1,2바(10,20)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어느 정도 허용하기 위하여 쇽업쇼바의 연결부(33,34)의 양측에는 코일스프링(42)이 설치된다. 코일스프링(42)은 제1,2쇽업쇼바핀(40',40)의 중간지점에 쇽업쇼바의 연결부(33,34)가 위치되도록 하며, 쇽업쇼바(30)가 좌우방향으로 뒤틀리거나 편심하중을 받는 경우에도 다시 중심부로 위치되도록 하는 복원기능을 부여한다. 쇽업쇼바(30)의 양측 연결부(33,34)가 모두 도 5와 같은 구조로 연결된다. 높은 강성을 갖는 제1,2바(10,20)의 내부에 쇽업쇼바(30)가 내장되는 형식이어서 쇽업쇼바(30)를 충격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제1바의 제1측판(12,13)에는 제2바의 제2쇽업쇼바핀(40)의 헤드 또는 이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43, 도 5 참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쇽업쇼바핀 회피홈(14)이 마련된다.
제1바(10)의 일측은 제1고정핀(51에 의해 제1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바(20)의 일측은 제2고정핀(52)에 의해 제2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고정핀(51)과 제2고정핀(52)에는 각각 브래킷(53,54)이 설치되며, 이 브래킷(53,54)은 각각 제1,2고정체에 고정 설치된다. 브래킷(53,54)에는 고정볼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마련된다. 브래킷(53,54)은 제1,2바(10,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은 제1,2바(10,20)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하며, 도 4는 제1,2바(10,20)를 완전히 펼친 상태를 도시한다. 쇽업쇼바(30)는 그 사이에 개입되어 제1,2바(10,20)의 힌지 운동을 보조 내지 제한하게 된다. 쇽업쇼바(30)의 길이 이상으로 제1,2바(10,20)가 펼쳐지지는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익히 알려진 쇽업쇼바(30)의 기능에 따라 제2고정체를 들어올리면 어느 정도 이상만 들어올리면 쇽업쇼바(30)의 팽창력이 작용하여 제2고정체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고정체를 닫을 때는 쇽업쇼바(30)가 제2고정체의 무게를 지탱함으로써 제2고정체는 무리없이 천천히 닫힐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2고정체는 제1,2바(10,20)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힌지장치는 제1,2고정체를 서로 힌지 연결하는 동시에 개폐작용이 쉽도록 보조하는 2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바 11 : 제1횡판
12,13 : 제1측판 14 : 제2쇽업쇼바핀 회피홈
15 : 메인힌지핀 20 : 제2바
21 : 제2횡판 22,23 : 제2측판
30 : 쇽업쇼바 40',40 : 제1,2쇽업쇼바핀
42 : 코일스프링 51,52 : 제1,2고정핀

Claims (4)

  1. 일측이 제1고정체에 연결되는 제1바(bar);
    상기 제1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제2고정체에 연결되는 제2바;
    일단은 상기 제2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에 연결되는 쇽업쇼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08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1횡판과 제1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09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2횡판과 제2측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10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1횡판과 제1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11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2횡판과 제2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일측은 제1바의 제1측판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쇽업쇼바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타측은 제2바의 제2측판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2쇽업쇼바핀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12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1횡판과 제1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바는 판재를 "
    Figure utm00013
    " 의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제2횡판과 제2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쇽업쇼바의 양단 연결부(33,34)가 상기 제1,2바의 내부에 인입되되;
    상기 쇽업쇼바의 양단 연결부(33,34)가 좌우로 탄성적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2바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쇽업쇼바의 연결부(33,34)의 양측에는 코일스프링(4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KR2020170004607U 2017-08-31 2017-08-31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KR200489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07U KR200489153Y1 (ko) 2017-08-31 2017-08-31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07U KR200489153Y1 (ko) 2017-08-31 2017-08-31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13U true KR20190000613U (ko) 2019-03-08
KR200489153Y1 KR200489153Y1 (ko) 2019-05-10

Family

ID=6572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607U KR200489153Y1 (ko) 2017-08-31 2017-08-31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1123A (zh) * 2019-08-23 2019-11-15 合肥市第二人民医院 一种新型垃圾分类垃圾箱及智能语音提示系统
KR102315710B1 (ko) * 2021-03-26 2021-10-21 오세철 자동차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831B1 (ko) 2021-06-03 2023-01-13 오세철 지붕 밀착형 자동차용 루프박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883A (ja) * 1983-02-08 1984-08-21 株式会社リコー 開閉体用のヒンジ
KR20030078137A (ko) * 2002-03-28 2003-10-08 호일정공 주식회사 도어용 힌지
KR20040008944A (ko)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오토콘 타이어의 바코드 인쇄방법
KR20070104017A (ko) 2006-04-21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
KR20160001048A (ko) * 2014-06-26 2016-01-06 유기성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883A (ja) * 1983-02-08 1984-08-21 株式会社リコー 開閉体用のヒンジ
KR20030078137A (ko) * 2002-03-28 2003-10-08 호일정공 주식회사 도어용 힌지
KR20040008944A (ko)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오토콘 타이어의 바코드 인쇄방법
KR20070104017A (ko) 2006-04-21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
KR20160001048A (ko) * 2014-06-26 2016-01-06 유기성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1123A (zh) * 2019-08-23 2019-11-15 合肥市第二人民医院 一种新型垃圾分类垃圾箱及智能语音提示系统
KR102315710B1 (ko) * 2021-03-26 2021-10-21 오세철 자동차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153Y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153Y1 (ko) 차량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EP2947246B1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CN101395332B (zh) 家具铰链
US20180179799A1 (en) Active hood hinge with upstop
US9994192B2 (en) Vehicle pop-up hood device
EP2105562B1 (en) Snap hinge for supporting a closure element
US10882385B2 (en) Cover apparatus for truck cargo box
US20100102494A1 (en) Damping device for a hatch in a military vehicle
US7387181B2 (en) Hood lift system
CN108862060B (zh) 伸缩式吊杆和移动式起重机
ITMI20072213A1 (it) Cerniera a scatto per mobili
ITMI980485A1 (it) Dispositivo di ordinazione per abitacolo interno di veicolo in particolare autoveicolo
ITMI20112012A1 (it) Dispositivo ammortizzatore per cerniere per mobili, in particolare per cerniere del tipo a ginocchiera, e cerniera per mobili, in particolare cerniera del tipo a ginocchier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ammortizzatore
CN103832484A (zh) 一种汽车行李箱弹起机构
KR100877699B1 (ko)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토바이
KR100428451B1 (ko) 적재함 화물 보호용 가이드
JP6395814B2 (ja) 自動車の車体に回動可能に取り付けるための改良したアバットメントを有するテールゲート
EP3978364A1 (en) Link mechanism, vehicle upper storage-rack structure, and seat suspension mechanism
US2306815A (en) Lid construction
JP4849231B2 (ja) 荷保管用ラックの荷支持装置
JP6303985B2 (ja) ドア開閉補助装置
KR200307971Y1 (ko) 화물차량용 공구함
KR100558411B1 (ko) 4절 링크를 가지는 트렁크 리드의 댐퍼용 볼조인트 결합구조
US20130257135A1 (en) Non-circular cylinder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a dump truck tailgate
KR20190001427U (ko) 화물차 또는 특장차의 윙 도어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