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881A -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881A
KR20140068881A KR1020147004047A KR20147004047A KR20140068881A KR 20140068881 A KR20140068881 A KR 20140068881A KR 1020147004047 A KR1020147004047 A KR 1020147004047A KR 20147004047 A KR20147004047 A KR 20147004047A KR 20140068881 A KR20140068881 A KR 20140068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x
component
roof
roof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999B1 (ko
Inventor
쎄르레 에스피그
Original Assignee
에스이에스 솔루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1110051891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1051891A1/d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에스 솔루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이에스 솔루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6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 B60J7/162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63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non-convertible vehicles
    • B60J7/165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non-convertible vehicles at least a major part of the roof pivo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 B60J7/162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66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convertible vehicles
    • B60J7/167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convertible vehicles the roof pivo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 B60J7/162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66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convertible vehicles
    • B60J7/169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convertible vehicles the roof being movable by a linkag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한 내부공간과, 루프박스를 구비한 차량루프및 루프박스를 내장한 차량을 형성하기 위한, 차량용 루프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능한 큰 저장공간을 둔, 동시에 차량소음과 연료소비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루프박스(1)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공간(6)의 체적변화를 위한 체적변화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루프박스(1)는 차량의 루프에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루프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a roof boxes, roof box fitted car and roof boxes built-in car}
본 발명은 유용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루프박스와, 루프박스를 구비한 차량루프 및 루프박스를 내장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루프박스는 스키장비와 같은 부가적인 짐을 운반할 수 있도록 잠겨 있거나, 잠글 수 있는, 차량의 꽉 찬 내부공간 이외에 마치 트렁크와 같은 보관용기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법적으로 차량의 루프 위에 조립되며, 제조사에서 제작해 놓은 루프레일을 활용할 수 있다. 루프박스는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바람의 저항을 더해주기 때문에 연료소비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차량소음이 증가되고 자동차의 최고속도가 감소된다. 이 부가적인 별도의 짐을 위한 루프박스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 이것을 다시 떼어내어 별도로 보관해야만 한다. 만약에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가 들어갈 수 있는 주차장 또는 주차공간이 없을 경우에도 큰 문제가 생긴다.
독일특허 제 DE 60 2005 002 301 T2호 에 따르면 자동차의 자동차 루프본체부는 차량의 외부에서 여닫을 수 있는 개폐식 커버(덮개)로 만들어진 저장공간이며 보관용기로써 알려진다. 이 보관용기는 그것을 위해서 자동차의 루프 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 보관용기는 붙였다 떼었다, 즉, 착탈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연료소비량과 차량소음을 경감시킨다. 이 보관용기의 높이가 자동차루프의 두께로 제한이 되기 때문에 단지 제한된 저장공간만 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능한 큰 저장공간을 둔, 동시에 차량소음과 연료소비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루프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의 루프박스의 유용한 내부공간을 만들기 위해 루프박스가 자동차의 루프에 통합되고 즉, 루프에 루프박스를 일체로 형성하며 내부공간의 체적(볼륨)변경을 위한 체적변화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루프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박스를 자동차의 루프에 통합(루프와 일체로 형성)하는 일은 상기 루프박스를 독립적 용기로써 지지장비를 통하여 자동차의 루프 위에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자동차루프 안에 통합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특히 시각적인 측면에서는 이 루프박스는 차량루프의 일부가 된다. 자동차루프인 차량루프에 통합이 되어 배치된 루프박스는 사용자가 더 이상 조립하여 부착하거나 다시 떼어낼 필요가 없다. 이 차량루프에 차량의 일부로써 통합된 루프박스는 사용자를 위해서 언제나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준비되어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를 위해 편리함을 주게 된다. 이 루프박스는 자체 폐쇄적(독립적으로 닫혀진) 보관용기의 형태이며, 특히 자동차의 내부에서 이용할 수 없고 외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체적변화(변경)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루프박스의 내부공간의 볼륨인 체적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루프박스의 크기가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루프박스는 체적변화수단에 의해 최대의 체적을 갖는 내부공간이 확장상태와 최소의 체적을 갖는 내부공간이 축소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루프박스의 저장공간이 필요할 경우에 사용자는 루프박스를 확장상태로 놓는다. 루프박스 안의 물건을 보관하는 일이 끝난 후 루프박스는 다시 축소상태로 놓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루프박스는 사용자가 실제로 루프박스를 사용할 때, 최대체적 다시 말해 최대 체적의 크기가 된다. 루프박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것은 축소상태가 되고 공기저항이 낮아지며 차량소음과 연료소비가 줄어든다. 축소상태에서 루프박스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거나 약간만 비춰질 수 있다. 자동차의 루프에 통합된 루프박스를 이용해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에서의 자동차의 공기저항은 루프박스가 없는 자동차의 공기저항과 비교할 때의 차이가 없거나 그리 커지지는 않는다.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에서의 최소체적은 루프박스가 확장되었을 때의 최대체적의 50%보다 작을 때가 바람직하고, 25%보다 작을 때도 더욱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한 것은 10%보다 작을 때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보다 작을 때이다. 루프박스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최소한의 공기저항만 생긴다는 것이 보장된다. 이 루프박스는 자동차가 주차하고 있을 때도, 주행하고 있을 때도, 확장상태 또는 축소 상태에 놓여질 수 있다.
루프박스라는 용어는 전술한 내용과 관련할 때 자동차의 루프 안에 또는 루프에 마련된 보관용기라고 이해되며 이 보관용기가 적어도 확장되어 있을 때는 유용한 내부공간, 즉 수납공간이 된다. 다시 말해 물건을 정리해 놓거나 적재하기 위한 물건 보관함이 되는 것이다. 이 내부공간은 그 경우에 루프박스의 내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루프박스 내부의 적재공간이다. 이 루프박스의 내벽은 그 경우에 여러 가지의 내벽부재인 벽부재들을 사용해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벽부재(벽부재)는 예를 들어 바닥부재인 베이스부재, 천정부재, 후벽 및/또는 한 개의 또는 여러 장의 측벽을 포함한다. 앞의 내용과 관련해서 자동차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활용을 위해 적합한 모든 엔진을 달고 있으며, 물론 자동차루프가 있는 차량이다. 하지만 레일 위를 달리는 기차나 전차를 말하지는 않는다. 특히 여기에는 승용차, 트럭, 컨버터블(오픈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벽 및/또는 그 측벽 및/또는 그 천정구성요소가 루프박스의 모든 상태에서, 특히 루프박스가 축소상태나 확장상태에서 바닥구성요소에 밀착되거나 인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적에 맞게 적어도 하나의 내벽부재, 또는 루프박스의 내벽부재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자동차의 루프로부터 형성된다. 여기에서 한편으로는 루프박스의 제작이 단순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루프박스가 자동차루프에 통합된 모양이 더 강화되는 것이다. 특히 루프박스의 바닥구성요소가 자동차루프의 구성요소로써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전체 루프박스의 내벽부재들이 자동차루프의 구성요소들로써 형성될 수 있다. 루프박스가 확실히 위치고정되게 하기 위해서는 루프 안에 루프박스를 확실히 고정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는 루프박스를 캐리어부재나 루프짐캐리어(루프랙)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확장상태의 루프박스에 사용자가 쉽게 짐싣기(적재,적하), 즉 로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캐리어부재나 루프짐캐리어(루프랙)가 경우에 따라 위치변경(변위, 이동)될 수 있다.
원하는 데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루프박스의 체적을 변화시키거나, 루프박스를 축소상태와 확장상태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체적변경수단인 체적변화수단을 작동시키거나 활성화시키거나 작동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팅수단(활성화수단)인 작동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액추에이팅수단은 예컨대, 전기모터, 특히, 서보모터, 스프링, 공압 제어 가능한 가스쿠션, 특히 에어쿠션인 공기쿠션, 자석 및/또는 전자석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 할 수 있다. 모터와 더불어 에어쿠션 그리고 전자석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 액추에이팅수단이 목적에 부합하게 제공된다. 여기서 이 루프박스는 축소상태에서 확장상태의 작동 또는 확장상태에서 축소되는 상태의 작동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되어진다. 에어쿠션의 사용은 특히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서 견고함을 높여주고 이동하는 물건들을 위해 쿠션을 제공하며, 에어쿠션은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일 경우 짐 등의 수하물을 위한 체적공간을 아주 필요 없거나 조금밖에 필요로 하지 않으며, 루프내부공간을 향한 체적변화수단의 측에 구비될 경우 손상보호나 스크래치 보호를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쿠션은 특정조건에 그 형태에 알맞게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스쿠션은 이들에 에어쿠션을 인접한 부품형태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 리세스, 노치, 홈등을 구비한다. 이들 부품은 예를 들어 내벽부재, 선회(회동, 피봇)수단, 또는 프레임 또는 다른 지지부재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가스쿠션은 대응하는 밸브와 제어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챔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택한 시간에 상기 가스쿠션의 정확하게 부위별로 수축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체적변화수단은 방향전환수단인 피봇(선회, 회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피봇수단을 통해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내벽부재 및/또는 내벽부재들의 부분들이 회동될 수 있다.내벽부재들의 마주 붙는 것 또는 내벽부재들의 주름은 개별적인 내벽부재의 도달 가능한 변화성을 통해서 내벽부재로부터 혹은 내벽부재의 부분으로부터 서로 상호간에 도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루프박스를 축소되게 하기 위해서 이 내벽부재의 변화성을 이용해 서로간에 마주 포개질 수 있게 하거나 서로서로간에 접힐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후벽들, 천정부재와 측벽들은 피봇수단을 구비하며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런 벽부재들은 선회수단인 피봇수단을 이용해 바닥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이 후벽 및/또는 측벽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체수단으로써 천정부재와 변화(회동, 선회)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피봇수단들은 기본적인 기술로부터 벽구성요소(또는 벽부재)들의 회동을 위한 공지된 적당한 수단들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피봇수단(회동수단)인 선회수단들은 힌지(조인트, 링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하나의 또는 여러 개의 힌지(조인트)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이 피봇수단은 탄성 및/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재료부분을 포함한다. 이 재료부분은 피봇가능한 내벽부재들에 알맞게 일체로 만들어진다. 특히 총체적인 내벽부재 또는 총제적인 내벽부재의 부분은 탄성변형 및/또는 소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이런 재료는 특히 내벽부재를 접는 곳에 적합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부분 또는 벽부재에는 접힘이 제공되므로, 상기 접힘은 이러한 방법으로 또는 이러한 이음부분 주위에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몇 개의 피봇수단의 영역에 작동기기인 액추에이팅수단(장치)이 배치되므로, 상기 액추에이팅수단은 피봇수단과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임의의 원하는 시간에 특정한 내벽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액추에이팅수단을 통해 이룰 수 있다. 액추에이팅수단의 형성에 따라 내벽부재의 영역에 이런 것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할 수 있다. 상기 피봇수단, 특히 힌지의 영역에 액추에이팅수단을 제공할 때, 스프링, 자석, 전자석 그리고 가스쿠션, 특히 에어쿠션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박스가 축소상태, 즉 접힌 상태에서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에 있다. 에어쿠션의 팽창으로 피봇수단은 회동되고 스프링은 가압되어 긴장된 상태가 된다. 확장상태(펼쳐진 상태)가 되어 지면 이 전자석은 활성화되고 펼쳐진 위치에 상기 피봇수단을 래칭한다(고정한다, 잠근다). 다시 선회하기 위해서(축소상태가 되기 위해서) 전자석이 비활성화 되고 래칭상태가 풀려서 앞으로 당겨졌던 스프링은 피봇수단을 다시 피봇(회동), 선회하게 만든다. 그 때 에어쿠션은 공기를 뺀다. 추가적으로 펌프 등을 이용해서 에어쿠션의 공기를 뺄 수도 있다. 에어쿠션은 피봇수단을 변화시키는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적합하게 배치되었을 경우, 특히 피봇수단의 내부에 배치되었으면 손상 또는 스크래치 방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예에서 내벽부재의 작동을 위한 체적변화수단들 또는 내벽부재의 부분들의 작동을 위한 체적변화수단들은 링크나 전자식 혹은 기계식 실린더를 제공하지 않는다. 링크나 실린더를 내벽부재의 선회 또는 접음(접힘)을 위해 사용할 경우 특히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에서 자리를 크게 차지하게 되므로 그와 같은 재료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그런 방식의 시스템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확장상태에서는 루프박스의 저장공간이 축소된다.
상기 루프박스는 두 개의 측벽과 하나의 후벽, 하나의 바닥부재 그리고 하나의 천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종래의 루프박스에 있어서 후벽과 평행으로 정렬이 되고 루프박스가 앞을 향해 막혀 있도록 특히 전면측벽 또는 전면벽이 제공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부합하는 루프박스에 있어서 천정부재는 오히려 비스듬히 종방향 아래로 이어지며 그 전면 에지가 바닥부재에 직접 닿게 된다. 특히 바닥부재에 인접한 천정부재의 부분의 평면은 자동차루프의 평면에 대해 평균치 값으로, 60도 이하(즉 최고 60도), 바람직하게 45도 이하(즉 최고 45도), 더욱 바람직하게 40도 이하(최고 40도)의 각도를 제공한다. 이것의 결과 루프박스의 공기역학적인 형태가 나오게 되고 그것은 별개의 전면벽을 필요 없게 한다.
후벽, 양 측벽 및/또는 천정구성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인 세그먼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두 개의 후방세그먼트, 두 개의 측벽세그먼트 및/또는 두 개의 천정세그먼트이다. 특히 이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를 가지고 그 전체의 각각 내벽부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가 각각 하나의 상부 세그먼트와 하부 세그먼트를 가지게 된다. 이 최소한 두 개의 세그먼트가 각각 피봇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양 세그먼트는 서로 회동가능하거나 접힐 수 있게 되어있다. 바람직하게 두 개의 후벽세그먼트(후벽부분) 및/또는 그 적어도 두 개의 측벽세그먼트가 내부를 향해, 즉 내부공간을 향한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후벽 또는 측벽세그먼트를 접는 경우, 후벽 또는 측벽의 유효 높이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 루프박스는 접이식으로 디자인된다. 천정부재는 후벽(또는 후벽부재)과 양 측벽에 목적에 부합하게 피봇수단(상부)을 통해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세그먼트가 접힐 때 내려진다. 즉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루프박스가 접히게 된다. 천정구성요소는 각각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피봇수단과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된 두 개 혹은 여러 개의 천정세그먼트를 가지고 있기에 자동차루프의 전체적인 곡면을 어느 정도 상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루프박스가 접힌 상태에서는 아주 작은 공간만 필요하다.
그 양측벽세그먼트 및/또는 그 양후벽 세그먼트 및/또는 그 양 천정세그먼트를 서로서로 연결하는, 피봇축을 갖는 피봇수단은, 이 피봇축이 근본적으로 수평적으로 정렬되는 곳에서 그 주위에 양 세그먼트가 서로 회동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피봇축의 기본적인 수평적 정렬을 통해 개별적인 세그먼트 또는 벽부재의 접힘이 자동차루프의 상부표면 위에서 가능해진다. 이는 자동차루프의 상부표면이 통상적으로 곡선적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수평적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몇 개의 실시 예에서 종종 특히 이 두 개의 측벽에 최소한 두 개,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두 개, 측벽세그먼트(측벽부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의 세로방향, 즉 종방향으로 두 개의 측벽세그먼트중 첫 번째인 제1의 세그먼트가 전방영역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측벽의 전방영역은 루프박스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 자동차의 전방부분 방향으로 향하며 측벽의 전방폐쇄를 형성한다. 특히 측벽의 전방영역은 측벽의 높이와 관련하여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측벽의 상단까지를 말한다. 다시 말해 전방영역의 측벽의 전체 높이를 말한다. 이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인 제2 측벽세그먼트인 제2 측벽부분은 이 측벽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측벽의 전방영역은 첫 번째 측벽세그먼트인 제1 측벽부분으로부터 형성된다. 측벽의 세로(종)방향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관찰했을 때 측벽의 전방영역은 자동차위에 루프박스가 부착된 상태일 경우 대략 시작하는 영역은, 위에서 관찰했을때 자동차의 루프표면이 밖으로 굽혀지기 시작하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현대시대의(모던) 자동차의 루프표면은 사각형으로 연장되지 않고, 특히 루프표면의 측면에지가 한 정확한 지점으로부터 (가볍게) 밖으로 굽혀지기를 시작한다. 루프표면의 후방 부분에서 중간 지점까지는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 루프모서리에서 구부러짐이 안쪽으로 주어진다.
밖으로 향한 측면 루프모서리의 전방영역의 곡면 때문에 단지 첫 번째 세그먼트인 제1부분(세그먼트)을 통해서만 그 측벽전방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두 개의 세그먼트 내의 측벽 전방영역의 분기점에서 그 양 측벽세그먼트가 그 곡면 부분과 함께 루프박스가 겹쳐지거나 접힐 때 서로 마주보며 상방향의 곡면부위가 연달아 놓여지게 되며 그에 따라서 그런 형태의 빈공간을 만들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함께 접힌 상태의 측벽세그먼트가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측벽 전방부의 형성이 오로지 제1측 측벽세그먼트로만 이루어질시 이것은 루프평면상에서 접힌 상태에서의 곡면 평면을 루프평면상에서 펼친다. 루프평면 부분도 마찬가지로 곡면이다. 왜냐면 전방영역의 루프가 밖으로만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전반부 방향으로도 이미 형성되어 있는 곡면하부를 향해 내려오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자동차루프의 평면의 곡면과 이 제1측 측벽세그먼트의 곡면은 측벽 전방영역에서 같은 방향을 보여준다. 즉 이 두 개의 곡면부분은 거의 서로 형태에 딱 맞는 하나의 형태를 만들며 서로 놓이고 단지 아주 작은 공간만 필요하게 된다.
측벽의 전방영역은 측벽의 세로방향에서 보면 앞에서 뒤로 측벽의 중간영역에 인접하고 즉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그 측벽의 중간영역은 다시 측벽의 후반 영역에 인접하고 즉 연결되어있다. 측벽은 전방영역, 중반영역과 후반영역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것은 세 영역만이 연결되어 전체 측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2부분인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는 전방영역에 놓여지기 보다는 중반영역에만 또는 중반영역 및 후반영역에 함께 놓여지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특히 제2 측벽세그먼트는 오로지 중간영역에 놓이는 것이 좋다.
영역에 놓여지고 혼자서 전방영역을 형성하는 이 제1 측벽세그먼트인 첫 번째 측벽세그먼트는 중간영역이나 후반영역에도 놓여진다. 이 제1 측벽세그먼트는 모든 세가지 영역에 다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방영역, 중간영역, 후반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영역은 바람직하게 루프박스가 부착되는 자동차루프상의 루프모서리가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측벽의 영역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모서리는 후반영역의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볼 때 안쪽으로 곡선을 그릴 수도 있다. 이것은 각 자동차 모델마다 자동차 루프의 형상에 달려있다. 그 측벽의 중간영역에서 전체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제1의 첫 번째 측벽세그먼트와 제2의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가 함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거의 곡면이 없는 평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루프박스가 접힌 상태에서 과도한 공간이 필요되지 않고 쉽게 접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측벽 후반영역 또는 이 영역의 루프형태가 곡면을 보여줄 때는 그곳에는 첫 번째 측벽세그먼트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이 첫 번째 측벽세그먼트가 혼자서 이 측벽의 후반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측벽의 전반부 영역과 관련하여 전술된 이와 같은 장점을 알 수 있게 된다.
이 제2의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가 측벽의 중반영역 및/또는 후반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히 측벽의 중반영역에만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 측벽세그먼트의 바람직한 모서리 수(에지 수)는 최소한 세 모서리이며 네 모서리가 바람직하다.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가 하나의 사다리꼴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 또 하나의 방법이다. 여러 개의 모서리가 있는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의 한 모서리는 측벽의 하부모서리의 한 부분을 만들고 대안적으로 측벽의 상부의 한 부분을 만들 수도 있다.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의 이 외의 모든 나머지 모서리들은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서 첫 번째 측벽세그먼트에 인접하는 것 또는 맞닿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는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가 측벽의 중간영역에서만 배치될 때 특히 부합하는 것이다. 측벽의 평면도에서 볼 때 측벽의 중반부 옆의 오른쪽과 왼쪽에 배치된 측벽의 전방과 후방영역들이 첫 번째 측벽세그먼트로만 형성되며, 다시 말해 이 영역에서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의 모서리들이 첫 번째 측면 세그먼트와 경계를 이루게 된다. 두 번째 측벽세그먼트 상부 또는 하부 영역도 첫 번째 측면 세그먼트로부터 형성된다. 즉 여기서 이 양 세그먼트의 모서리들도 서로 경계를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자동차들의 여러 루프형태들에 맞게 측벽 세그먼트는 루프박스의 최대로 납작하게 접힌 상태 또는 축소상태에 관련하여 최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피봇수단은 이 피봇수단이 연결하는 내벽부재들 또는 내벽부재 세그멘트들 사이에서 병진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이 병진운동은 이 피봇수단의 피봇축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가적인 병진운동기능은 피봇수단의 적절한 구조화를 통하거나 또는 피봇수단 내에서의 충분한 여유틈(공간, 간격)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피봇수단이 예를 들어 힌지(조인트)인 경첩으로 만들어졌을 경우 이 양 힌지 부분의 소켓(부싱)들 사이에 여유 공간이 주어질 수 있는 데이를 통하여 힌지를 가지고 연결된 내벽부재들의 병진 운동이 힌지의 피봇축을 따라서 일어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른 적합한 베어링 사용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전 슬리브 베어링(플레이인 베어링)과 같이 그것은 종 방향 및 회전 또는 방향전환운동인 선회, 회동을 가능한 베어링을 의미한다. 특히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 있어서는 측벽과 천정 구성요소 사이의 피봇수단이 전술한 전술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부가적으로 병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측벽들은 그의 상부 모서리를 따라서 천정 구성요소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것은 루프박스가 접힐 때 이 천정 구성요소가 측벽(또는 측벽부재)과의 서로 간의 관계에 있어서 루프박스가 인장을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 루프박스를 위해서 최소한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횡방향부재와 두 개의 종방향부재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을 제공한다. 이 프레임은 목적에 부합하게 적어도 하나의 피봇수단을 통해서 후벽과 연결되거나 또는 최소한 각각의 하나의 피봇수단을 통해 양측벽과 연결된다. 이 천정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 최소한 하나의 전방천정 구성요소힌지를 통해 프레임과 연결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은 최소한 하나의 피봇수단을 통해서 바닥구성요소와 연결되는 것이 유익하며 루프박스를 열거나 닫기 위해서 측벽과, 후벽과 그리고 천정 구성요소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이 프레임, 이 후벽, 이 천정 구성요소 그리고 이 측벽은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바닥구성요소로 형성되는 하부부분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하나의 상부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이 상부부분은 그 루프박스를 위한 덮개를 형성한다. 다른 대안으로는 프레임이 후벽과측벽과 후벽 그리고 바닥부재와 하나의 하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혼자 상부부분을 구성하는) 천정구성요소는 윗 경우와 비슷한 방법으로 하부부분과 마주보고 루프박스의 열림과 닫힘을 조정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천정세그먼트가 상향회동을 할 수 있게 만들어지고 그것을 가지고 루프박스가 열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그 경우 단지 천정 구성요소의 일부분만이 루프박스의 덮개가 되는 것이다.
루프박스의 로딩을 위해서 상부부분을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기 위한 리프팅장치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조건에서 상부부분은 리프팅장치를 가지고 루프박스가 열린 지점(개방위치)과 닫힌 지점(폐쇄위치, 폐쇄상태) 사이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 리프팅장치는 예를 들어 승강장치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 승강장치는 적합한 승강실린더를 포함한다. 이것의 대안으로 수동 리프팅장치를 만들 수 있고 상부부분을 수동으로 열고 닫게 한다. 이 경우에는 여기에 맞는 손잡이, 브래킷 및/또는 잠금장치가 제공이 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데 열린 지점(개방위치)에서 상부부분을 고정했다가 이 수단을 가지고 고정을 풀면 다시 닫혀진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부부분은 피봇수단을 가지고 하부부분과 연결되거나, 자주 하부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바닥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상부부분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변화(회동)가 가능하다. 상부부분과 하부부분 사이의 실링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팅의 제작은 상부부분이 가로(측면으로)로 변화(회동) 가능하도록, 또는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리프팅이 바닥구성요소의 돌출된 가장자리(엣지)에서 수동의 변화와 비교할 때 상부부분의 변화를 쉽게 하고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루프박스가 잘못 열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루프박스가 잠금 위치에서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가지고 루프박스의 상부부분(덮개)이 원치 않게 열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독립된 부품으로서의 잠금장치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피봇수단이 그 부가적인 잠그는 기능을 동시에 수반할 수 있고 그것을 통해서 동시에 잠금수단인 래칭장치 역할을 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피봇수단은 특히 상부부분을 회동(즉,선회, 회전, 피봇)시키는 피봇수단을 의미한다.
상부부분이 루프박스 전체의 내부체적의 최소한 40%, 최소한 60%, 우선적으로 최소한 80%를 가질 수 있을 경우 바람직하다. 근원적으로 상부부분은 더 큰 체적 즉 루프박스 전체체적의 최소한 85%, 최소한 90% 또는 95%까지 가질 수도 있다. 이런 실시의 예는 바람직하다. 왜냐면 하부부분이 열린 상태에서 근본적으로 상부로 서있는(돌출된) 가장자리가 없거나 비교적 낮게 돌출되고 둘러져 있는 가장자리를 가지게 되고 하부부분은 근본적으로 평평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것을 통해서 이 루프박스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물건을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왜냐면 그 물건들이 비교적 평평한 하부부분보다 높게 올려지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상부부분의 내부체적이 상부부분의 아래 가장자리에 인접한 가상 선 또는 평면에 둘러싸인다. 대안으로 전술한 이유에서 그 상부부분은 루프박스의 전체높이의 최소한 50%, 우선적으로 최소한 65%, 특히 최소한 85%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전술한 퍼센트는 그 경우에 루프박스의 확장상태에 맞추어진다.
양 측벽들은 루프박스의 앞면(전방측면)으로 그 높이가 점점 줄어든다 즉, 점점 낮아진다. 즉 이 측벽들 상에 배열된, 각각의 자동차의 루프형태에 상응하는, 만곡(굽혀지게)되게 형성된 즉 곡면의 천청부재와 함께 대략 쐐기 형태, 공기 역학적 형태를 만들며, 그것을 통해서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서 스스로 루프박스의 공기저항을 적게 만든다. 이 공기역학적 형태는 그 천정 구성요소가 전방영역에서 직접적으로 바닥구성요소에 연결되고 더 이상 어떤 전방벽 또는 그와 비슷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통해서 이룩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예를 들어 따로 자동차루프 위에 탑재되는 일반 루프박스의 경우와 같다. 오히려 천정부재는 바닥구성요소와 연결지점으로부터 비스듬히 뒤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이를 통해 총체적으로 공기역학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체적변화수단은 가역적으로, 즉 반복적으로 벽구성요소 또는 벽 구성요소의 부분을 형변환하기 위한 형태변화수단을 포함한다. 즉 내벽부재의 반복적인 형태변화와 또한 내벽부재의 부분적인 변화를 말한다. 이 형태변화수단은 특히 각각의 변형되어야 하는 내벽부재 또는 부분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내벽부재 또는 이 부분영역은 루프박스의 축소상태에 대응하는 정해진 제1 형태변화상태와 루프박스의 확장상태에 대응하는 제2 형태변화상태 사이에서 특히 형태변화가 가능하다. 즉 이 내벽부재 또는 부분영역은 첫 번째 형태변화상태에서 이 두 번째 형태변화상태로 또한 그 반대로 전환될 수 있다. 그 형태변화를 작동시키기 위한 활성화장치인 액추에이팅수단을 제공한다. 이것을 통해서 그 내벽부재 또는 그 부분영역 또는 형태변화수단이 각각 형태변화를 원하는 시점에서 형변화 또는 원하는 형태변화의 상태로 정확하게 조정되어 질 수 있다. 다른 부가적인 피봇수단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 실행형태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다. 이 실행형태에서 루프박스가 축소상태로부터 확장상태로 옮겨지기 위해 또는 그와 반대로 되어지기 위해 단 하나의 내벽부재가 형 변화될 수 있게 형성되어도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형태변화수단은 천정 구성요소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단지 하나의 바닥구성요소와 하나의 천정 구성요소로 전체의 루프박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루프박스의 특별히 간단한 제작이 가능해진다.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와 확장상태 사이에서 그 루프박스가 원하는 형태로 되어지기 위해서는 변화가 되는 내벽부재 또는 여기에 근접하는 내벽부재들을 조정하는(가이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방법으로 형태의 변화가 진행되는 동안에 그 변화되는 내벽부재는 그 각각의 원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어진다. 이 내벽부재는 전적으로 한가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은 여러 종류의 재료를 가지고 복합구성이 가능하다. 그것은 바람직하게 부분영역이 내벽부재의 나머지 부분과는 다른 재료로 구성될 경우이다.
특히 이 실시예의 경우에서 형 변화될 내벽부재 또는 형 변화될 내벽부재의 일부 영역이형상 기억(세이프메머리)합금이나 형상기억 폴리머(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재료들에 에너지를 가하면 이전의 지정한 상태로 액티브하게 형태변화가 이루어지고 또한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변형될 수 있습니다. 그런 재료들은 일반적으로 "기계적 활성 물질"로 명명한다. (열)에너지를 가하여 이 물질은 원래의 상태로부터 변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내벽부재는 공급되는 에너지의 양에 따라서 그 중간상태의 형태가 이루어지는 것이 근본적으로 가능하다.
또 다른 대안은 이 내벽부재 또는 내벽부재의 부분영역이 연성이 있는 재료,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수성을 지닌, 신축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형변화수단은 내벽부재 또는 내벽부재의 일부 영역을 늘어난 상태로 그리고 늘어나지 않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이 형변화수단이 늘어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 늘어날 수 있는 재료에 힘을 주는 것을 말한다. 즉 팽창이 되는 것이다. 이 팽창을 통해서 루프박스 내부에는 짐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내벽부재 또는 내벽부재의 부분영역을 다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외부 층이 늘어나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늘어나는 재료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루프박스를 안정(견고)되게 하기 위해 안쪽 층은 다른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견고하거나 또는 견고하고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축소상태에서 이 안쪽 층은 서로 접힐 수 있고 이 늘어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바깥층은 견고(타이트)하게 안쪽 층위에 놓여진다. 다시 말해 시각적으로 매끄러운(스무스한) 루프박스의 외부표면을 이루게 된다.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서 이 바깥층은 늘어나고 이 안쪽층은 펼쳐(언폴딩)진다. 다시 말해 짐을 실을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도 또한 루프박스의 매끄러운(스무스한) 외부표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실시예에서 내벽부재나 내벽부재의 일부 영역에 하나 혹은 다수의 공칭굽힘선 또는 공칭굽힘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영역에서 다시 말해 내벽부재의 재료나 내벽부재의 부분영역을 이루는 재료를 굴곡하는 것이 이루어진다. 이 내벽부재의 부가적인 영역 안에서는 어떤 굴곡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 부가적인 영역이란 공칭굽힘점이나 공칭굽힘선의 영향권을 벋어난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구부려지는 재료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평범한 차제금속판, 기존의 금속판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을 통해서 간단한 방법으로 목표하는 형태변화를 이룰 수 있고 원하는 만큼 다시 반복할 수 있다. 이 내벽부재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루프박스의 종방향으로 강도가 상승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한다. 이것은 내벽부재의 다양한 영역 안에서의 다양한 재료사용, 다양한 두께의 재료사용 등을 통해서 이룰 수 있다. 내벽부재의 굽힘각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루프박스의 종방향을 따라서 줄어드는 특별한 경우 이것은 적합하다.
이 실시 예에서 이 피봇수단이 한 개의 또는 여러 개의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압전소자는 우선적으로 최소한 하나의 형변화되어질 내벽부재에 통합 배치된다, 즉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 활성화장치는 목적에 부합하는 수단으로 압전소자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해서 내벽부재를 여러 가지 형태의 위치로 놓기 위한 압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 형변화수단은 전기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전기 접속부를 통해서 내벽부재에나 내벽부재에 들어있는 가열재료, 즉 전열선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전기를 통해서 내벽부재에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특히 기계적활성 물질 또는 형상기억 물질들이 목적에 부합한다. 액추에이팅수단을 만드는 것에 하나의 또 다른 가능성은 기계적인 조절수단의 제공이다. 예를 들어 리프팅실린더, 텔레스콥픽로드, 변화(회동) 가능한 봉(바) 등, 하나의 이런 실행의 예는 특히 연신 가능한 재료의 활용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계속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 바닥구성요소는 하나의 둘러 쌓인 바닥벽을 제공한다. 이 바닥벽은 둘러싸는 프레임의 의미로써 바닥구성요소의 가장자리에 둘러싸여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바닥벽의 높이는 특히 아래와 같은 상태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 루프박스가 바닥벽으로부터 둘러 쌓인 공간 안에서 상부방향으로 하나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절첩된 표면이 생겨지게 겹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이 바닥벽을 통해 루프박스가 확장되고 열린 상태에서 폐쇄 가장자리를 만들어 낸다. 그것으로 인해서 루프박스 안에 보관된 짐이 원치 않게 루프박스 밖으로 미끄러져 나오지 않게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체적변화수단은 변위수단(Verschiebemittel, 슬라이드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개별적 내벽부재들이 서로서로 시프팅(shift)되어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축소상태에서 몇 개의 내벽부재들 또는 내벽부재의 세그먼트가 이 것을 통해서 변위 될 수 있게 된다. 그것을 통해서 하나의 매우 컴팩트한 구조와 공간절약 구조가 나오게 된다. 이 내벽의 평면이 천청평면의 기본형태에 알맞게 맞추어 질 경우 이 내벽의 평면은 자주 곡면의 평면 그리고 평평하지 않은 평면을 만들게 되는 것이 이것의 근본 이유가 되는 것이다. 두 개의 내벽들 혹은 내벽의 부분들의 표면이 비슷한 방향으로 및 비슷한 강도로 만곡되어 있고, 하나의 평면이 다른 평면을 위에 놓여있게 밀어서 변위되는 것이 루프의 형태에 따라서 유리할 수 있다. 왜냐면 그 경우 이 만곡이 한 평면을 다른 평면의 만곡안으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며 그렇게 이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에서 가능한 납작하게 되기 때문이다. 후벽은 천정 구성요소 아래가 바람직하다, 특히 그 후방 천정 세그먼트 아래서, 밀릴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것은 특히 루프박스를 통합할 때 쿠페형 자동차와 그와 유사한 자동차의 형태에 유용할 수 있다. 이 변위(슬라이딩)수단은 기존의 기술에 알려진 모든 상기 서술된 목적을 위한 적적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궤도(가이드레일), 스토퍼 장치 등이 변위수단은 피봇수단과 조합이 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치가 하나의 변위기능뿐만 아니라 회동기능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이 지지부재는 하나의 또는 여러 개의 내벽부재에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의 도움으로 이 내벽부재는 루프박스의 확장상태에서 서로서로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그것은 강한 구조를 만든 것이다. 내벽부재에 제공되는 지지부재는 특히 하나의 내벽부재가 이웃하는 내벽부재를 지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이 지지부재는 예를 들어 각도, 내벽부재의 만곡된 판금부분 등으로 형성된다. 이 지지부재는 동시에 내벽부재가 변화할 때 스토퍼(정지수단)를 제공하기도 한다.
목적에 부합하게 제어(래칭, 멈춤)수단이 제공된다. 개별적인 내벽부재가 루프박스의 축소상태 및/또는 확장상태에서 이 제어수단을 통해서 각각의 제공되는 지점에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을 통해서 개별적인 내벽부재가 원치 않게 변화되거나 다르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어수단들이 각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이 제어수단들이 지지부재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이 제어수단은 전자석, 전자기 변위잠금장치 등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는 루프박스의 내부공간 안에서 운반하는 물건들의 상태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것을 통해서 운반도중 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물건의 상태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예를 들어 가스, 특히 공기가, 채워진 쿠션, 걸쇠 혹은 짐에 상응하게 형성된 패딩(깔개)이 될 수 있다. 이 짐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특히 가스쿠션은 지정된 대상물건을 위해서 리세스, 홈부 혹은 그 외의 수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구성요소 위에 평면으로 배열된 가스쿠션은 스키장비를 위해서나 그와 유사한 것을 위해서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가스쿠션은 여러 개의 챔버를 포함하며 이것은 각각에 상응하는 밸브 및 제어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지시한 시간에 오로지 지정한 가스쿠션의 영역에만 팽창 또는 수축되게 할 수 있다. 이 가스쿠션은 여러 가지의 물건들을 수용하기 위해 이것을 통해 알맞게 조절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센서부재가 루프박스의 축소상태 또는 확장상태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써 또는, 루프박스의 위치 측정(열림위치 또는 닫힘위치)하는 수단으로써 및/또는, 루프박스가 채워져 있는지를 파악하는 수단으로써 또한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혹은 부가적으로 루프박스의 내부공간을 비추는 조명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조명수단은 분석된 시그널을 바탕으로 또는 센서소자의 입력된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센서부재와 조명수단과 연결된 제어장치가 센서소자를 통해 루프박스가 열림위치(개방위치)에 위치해 있는지를 인식하면 이 조명수단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예는 최소한 하나의 내벽부재 및/또는 최소한 하나의 내벽부재의 세그먼트가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만들어진다. 이 투명한 형태는 특히 투명한 내벽부재나 투명한 내벽부재의 세그먼트를 통해서 위로부터 자동차의 내부로 빛이 들어오는 것을 자동차의 사용자가 원할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내벽부재나 내벽부재의 세그먼트를 투명하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특히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최소한 하나의 내벽부재 및/또는 하나의 내벽부재의 세그먼트의 색상을 변화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색상변화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색상변화수단을 가지고 최소한 하나의 내벽부재 및/또는 하나의 내벽부재의 세그먼트가 투명한 상태에서 컬러의 상태로 변화될 수 있고 또한 그 반대로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이 색상변화수단이 최소한 하나의 내벽부재 및/또는 최소한 하나의 내벽부재의 세그먼트(부분) 안에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색상변화수단은 열코팅이나 그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루프박스의 바닥구성요소 및/또는 천정구성요소 안에서 투명한 내벽부재의 세그먼트를 제공함에 있어서 아래의 사항이 바람직하다. 바닥구성요소안에서 투명한 내벽부재를 제공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천정부재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커버수단(덮개수단)을 포함하는 보완 개구부가 제공거나 또는 천정구성요소 안에서 투명한 내벽부재를 제공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바닥부재에 특히 바람직하게 하나의 커버수단을 포함하는 보완 개구부가 제공된다. 이 커버수단은 유리하게 아래의 방법으로 견고히 만들어진다. 이 커버수단은 운반될 물건을 담는데 적합하고 이 커버수단은 특히 지지수단, 우선적으로 지지바 및/또는 지지디스크(지지핀)를 제공한다.
바닥구성요소의 기본평면(베이스)은 다각형 특히 사각형이 아니고 및/또는 루프박스가 장착되는 각 차량의 루프박스의 루프평면 형태에 맞게 바닥구성요소의 기본평면(베이스)형태이 형성된다. 기술적으로 잘 알려진 기존의 루프박스의 경우에는 바닥구성요소의 기본평면(베이스)이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제작된다. 현대적인 자동차의 루프평면은 상면에서 봤을 때 보통사각형으로 만들어지지 않고 루프평면의 측면모서리가 오히려 곡면으로 제공된다. 특히 이 루프평면은 자주 전방영역으로 넓어지게 연장되는데 이 루프평면의 측면모서리의 전방영역이 그 경우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된다. 이런 관점에서 한편으로는 사각형의 기본평면(베이스)을 가진 루프박스가 이런 루프평면을 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루프박스가 시각적으로 사각형이 아닌 루프기본평면(베이스)하고는 확연히 차이를 이룬다. 즉 시각적으로 통합되지 않은 전체이미지를 만든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이런 단점이 제거된다.
바닥구성요소의 기본평면(베이스)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의 측면모서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 혹은 모든 측면모서리가 만곡될 수 있는 곡면의 측면모서리를 제공될 수 있다. 이 것을 통해서 루프평면 위에서 체적변화가 가능한 루프박스를 위해 최대 공간이 만들어진다. 특히 바닥구성요소의 기본평면(베이스)이 루프평면의 형태와 일치할 경우 하나의 통합된 전체이미지가 형성된다. 특히 바닥구성요소의 기본평면(베이스)이 실질적으로 루프평면과 사이즈(크기, 치수)측면에서 일치하는 것이 여기에서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이 체적변화수단은 최소한 하나의 지지대(빔,로드) 특히 최소한 하나의 회전브라켓(회전브라켓)을 제공한다.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와 확장상태 사이를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서 루프박스가 이동하기 위해 로드가 제공된다. 회전브라켓은 그 양 끝에 조인트인 힌지나 링크를 제공한다. 그 조인트를 가지고 목적에 부합하게 루프박스의 바닥구성요소에 고정시킨다. 특히 루프박스의또는 자동차의 횡방향에 최소한 하나의 지지대를 배치할 수 있다. 축소상태(즉 수축상태)에서 이 회전브라켓은 납작하게 루프위 에나 루프박스의 바닥구성요소 위에 놓여진다. 루프박스가 밖으로 나온 상태(즉 확장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회전브라켓은 그 양 조인트를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60도부터 120도 사이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70도에서 100도 사이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지지대의 회전(회동)이나 회전브라켓의 회전을 통해서 지지대 위에 배치된 내벽부재, 예를 들어 천정구성요소 또는 측벽(또는 측벽부재)이 세워진다. 그리고 루프박스가 펼쳐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 천정구성요소는 세 부분으로 형성되며, 루프박스는 하나의 후벽, 두 개의 측벽 그리고 하나의 바닥구성요소를 제공한다. 회전브라켓(스위벨브라켓)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구성요소는 각각 그 양 바깥쪽과 중간 천정세그먼트사이의 결합부와 평행하게 정렬되고 이 결합부의 천정구성요소의 안쪽면과 인접하게 놓인다. 이 측벽들은 그 경우 각각, 하나의 부분 또는 하나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구성요소를 마주보며 오로지 전체적으로 함께 방향전환(변화, 회동)을 할 수 있다. 특히 이 측벽들은 플랜지나 그와 유사한 것을 통해 천장부재의 가장자리 영역을 넘게되고 지지대가 상향선회할 때 그것을 통해서 천정구성요소가 상향선회를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 측벽들은 같이 세워진다. 이 측벽들은 루프박스가 밖으로 나온 상태인 확장상태에서 수직으로 정렬될 필요가 없고 비스듬하게 수직으로 서 있게 된다. 확장상태의 루프박스를 견고하게 지키기 위해서 지지대(로드)에 래칭수단이 구비되며 이 래칭수단은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서 내벽부재의 래칭수단 대응부에 맞물려 고정된다. 특히 래칭수단은 지지대(로드)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벽부재에서 대응하는 슬롯에 결합(래칭)된다. 모서리들은 부가적인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그 프레임은 후벽과, 천정구성요소와 그리고 측벽들과 함께 상부부분을 형성한다. 전술한 내벽부재들은 모두 프레임과 인접하고 및/또는 프레임과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최소한 하나의 지지대(로드)는 프레임에 바닥구성요소 대신에 선회할 수 있도록 놓여있다. 프레임과 측벽과 후벽 그리고 천정구성요소로부터 형성된 상부부분은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서 바닥구성요소를 상대로 루프박스를 열 수 있도록 선회 변위될 수 있다.
루프박스의 최소한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gegeneinander)으로 변위(이동)가능한 이웃하는 부품들 사이에서, 특히 이웃하는 내벽부재들 사이에 및/또는 이웃하는 내벽부재의 세그먼트들 및/또는 하나의 프레임과 하나의 내벽부재 사이에서 하나의 밀봉(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밀봉부재는 루프박스의 상기 두개의 부품이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통해서 습기가 들어오는 것, 먼지 또는 그 밖의 원치 않는 입자 같은 것들이 루프박스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두 개의 부품들 사이에서 중복이 되게 하기 위해서 중복영역 안의 두 개의 부품들 중 하나에 있어서 하나를 끌어 들이거(Einziehung)나 그 밖에 휘거나 구부러진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이 밀봉부재는 두 개의 부품들의 서로 중첩된 부분들 가운데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근간이 되는 과제는 자동차의 루프를 통해서 해결된다. 그것은 전술한 루프박스를 루프 안에 통합 배치시키는 것이다. 또한 그런 루프는 루프박스의 수용을 위해서 루프공간을 슬롯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루프슬롯은 축소상태의 루프박스가 상부 폐쇄(덮는)평면과 루프의 그 외 움푹 파이지(들어가지) 않은 부분과 같은 높이를 가지게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루프박스는 최소한 80%,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95%, 최고 바람직하게는 100%의 자동차 루프 전체평면을 덮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통해서 가능한 큰 저장공장을 위한 최적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루프박스가 루프 안에 통합될 수 있다. 위에 기록된 퍼센트영역 범위안에 있는 덮개(커버)는 루프박스가 축소상태나 밖으로 나온 확장상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두가지 방법은 이 실시예에서만 적용된다. 이 경우 그 주어진 평면이 단지 하나의 내벽부재로 덮이는 것도 충분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자동차루프는 쿠페 또는 스포츠카의 용도로 만들어진 자동차의 루프로 만들어지거나 해치백을 가진 자동차의 루프로 만들어진다. 특히 해치나 해치백의 영역에 가이드수단이 구비되며 그것을 따라 이 루프박스가 변위(이동)할 수 있다. 이것을 통해서 이 루프박스는 확장상태에서나 축소상태에서 차량루프의 상부영역에 위치한 주행위치에서 그 위치보다 훨씬 낮은 자동차의 해치 근처에 놓인 하역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을 통해서 루프박스안에 짐을 싣는 것이 하역위치에서는 루프박스가 자동차 루프의 가장 높은 장소에 놓인 주행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사용자를 위해서 편리하게 된다. 특히 이것을 위해서 이 가이드수단에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레일이 제공되는데 이 레일은 각각의 프로파일, 유리하게는 너트(긴 홈)의 형태나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루프박스에서 레일의 프로파일 형태에 맞게(form-fitting) 연결될 수 있게 프로파일 대응부가 구비되어 있다. 루프박스의 자동 변위(이동, 운행)를 위한 구동장치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근간이 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루프박스가 루프에 통합되어 배치된 자동차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되며 더 유익한 세부적인 사항은 도면으로 도시하였다.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들은 그 경우 그와 동일한 관련기호로 표시된다. 상기 도면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루프는 쿠페 또는 스포츠카의 용도로 만들어진 자동차의 루프로 만들어지거나 해치백을 가진 자동차의 루프로 만들며, 특히 해치나 해치백의 영역에 가이드수단이 구비되며 그것을 따라 이 루프박스가 변위(이동)할 수 있고, 이것을 통해서 이 루프박스는 확장상태에서나 축소상태에서 차량루프의 상부영역에 위치한 주행위치에서 그 위치보다 훨씬 낮은 자동차의 해치 근처에 놓인 하역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것을 통해서 루프박스안에 짐을 싣는 것이 하역위치에서는 루프박스가 자동차 루프의 가장 높은 장소에 놓인 주행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사용자를 위해서 편리하게 된다.
특히 이것을 위해서 이 가이드수단에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레일이 제공되는데 이 레일은 각각의 프로파일, 유리하게는 너트(긴 홈)의 형태나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루프박스에서 레일의 프로파일 형태에 맞게(form-fitting) 연결될 수 있게 프로파일 대응부가 구비되어 있어 루프박스의 자동 변위(이동, 운행)를 위한 구동장치 또는 그와 유사해 효과가 있다.
도 1은 정면에서 본 루프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배면에서 본 루프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루프박스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개방상태의 루프박스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5는 부분적으로 접힌 후벽이 있는 루프박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에 있는 루프박스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서 열린 상태의 루프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리프팅장치가 있는 바닥구성요소의 사시도(루프박스의 측면개방을 위해서)이다.
도 10은 천정구성요소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부분적으로 확장된 후벽을 도시한 천정구성요소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2는 접힌 후벽이 있는 천정구성요소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3은 축소된 도 12의 후벽을 도시하였다.
도 14a, 도 14b, 도 14c는 연속으로 펼쳐진 루프박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5는 컨퍼터블에 축소되어 통합된 루프박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6은 부분적으로 인출상태에 있는 도 15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17는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돌출된 도 15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18은 완전히 확장되어 돌출된 도 15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19는 선루프가 있는 자동차를 위한 도 15의 루프박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20은 완전히 확장되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 15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21은 완전히 확장되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 15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22는 컨퍼터블 루프는 접혀 있고 루프박스는 확장되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15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23은 컨퍼터블 루프는 접혀 있고 루프박스는 수축되어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 15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24는 루프박스가 완전히 축소되어 통합된 상태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천정구성요소가 없는 도 24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높게 접는 후벽이 있는 도 25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루프박스가 확장되어 통합된 상태의 도 24~26의 차량루프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축소상태로 자동차에 통합된 루프박스의 측면사시도이다.
도 29는 확장상태로 루프박스를 도시한 도 28의 측면사시도이다.
도 30는 확장된 루프박스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 28~29의 사시도이다.
도 31는 축소상태로 통합된 루프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차량루프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확장되어 닫혀진 상태의 도 31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33은 확장되어 열린 상태의 도 31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34는 천정구성요소가 없는 상태의 도 31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35는 천정구성요소가 없는 상태의 도 32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36은 천정구성요소가 없는 상태의 도 33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37은 쿠페로부터 확장되어 통합된 상태의 루프박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38은 루프박스가 열려있고 짐을 싣는 상태를 도시한 도 37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루프박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0은 지지대가 있는 도 42의 루프박스프레임을 도시하였다.
도 41은 실링부재가 있는 내벽부재의 중첩된 영역의 상세도이다.
도 42는 루프박스가 확장되어 나와있는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열린 상태의 루프박스를 도시한 도 42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2~43의 루프박스의 분해도이다.
도 45는 선루프를 장착하고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인 자동차의 실시예이다.
도 46은 루프박스가 밖으로 확장되어 나온 확장상태를 도시한 도 45의 루프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5의 루프박스의 중간 천정구성요소를 도시하였다.
도 48은 개구부와 덮개수단이 있는 루프박스 도 45의 바닥구성요소를 도시하였다.
도 49는 도 45의 루프박스를 위해 개구부가 있는 자동차를 도시하였다.
도 50은 선루프가 있는 자동차를 위한 확장되어 나온 상태의 루프박스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1은 축소되어 들어간 상태의 도 50의 루프박스를 도시하였다.
도 52는 도 50의 루프박스에 대한 접힌 측벽들을 도시하였다.
도 53은 도 50의 루프박스에 대한 버팀지지대를 도시하였다.
도 54는 진행되는 상태인 도 53의 버팀지지대를 도시하였다.
도 55는 좀 더 진행되는 상태인 도 53의 버팀지지대 도시하였다.
도 56은 도 50의 루프박스의 바닥구성요소 상세도이다.
도 1은 정면에서 볼 때 루프박스(1)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2는 후면에서 볼 때 루프박스(1)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 루프박스(1)의 몇 가지 부품들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서로 떠있는 상태로 표현되는 것이 분해도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힌지를 가지고 두 개의 부분이 그들의 모서리 영역에서 움직이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조인트로 이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개의 힌지(조인트)들이 두 개로 나뉘어져 떠있는 부분으로 분해도에서 보여진다. 이 루프박스(1)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하부 바닥구성요소(2)를 제공한다. 이 바닥구성요소는 어느 정도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되었고 그 후면의 모서리와 양측면 모서리가 하나의 바닥벽을 제공한다. 자동차루프의 부가적인 형태에 맞추기 위해서는 바닥구성요소(2)가 앞쪽으로 사다리꼴형태로 펼쳐질 수 있거나 하나의 곡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바닥구성요소(2) 위에서 어느정도 사각형의 두 개의 종방향빔(14, 14')이 있고 횡방향빔인 가로방향빔(13,13')이 있는 프레임(15)이 배치된다. 프레임(15)의 외부치수는 바닥벽(19)의 외부치수보다 다소 작은 것이 선택된다. 즉 바닥벽(19) 내의 프레임이 바닥구성요소(2)의 위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프레임(15)은 바닥구성요소(2)가 있는 종방향부재(14)에 전방과 후방 프레임힌지(17,17')를 가지고 조인하여 고정된다. 이 프레임(15)위에 두 개의 측벽(5,5')이 배치된다. 이 두 개의 측벽(5,5')는 각각 하부 사다리꼴 측벽세그먼트(11,11')와 상부 측벽세그먼트(12,12')를 제공한다. 이것들은 하나의 중간조인트(10)를 가지고 연결된다. 그 측벽(5,5')의 하부 측벽세그먼트(11,11')는 각각 하나의 하부 측벽힌지(7)에 의해서 프레임(15)의 종방향빔(14,14')과 연결된다. 그 양 측벽(5,5') 그리고 전방 가로방향빔 위에서 하나의 천정구성요소(3)가 배치된다. 이 측벽(5)의 상부 측벽세그먼트(12,12')는 상부 측벽힌지(8,8')를 가지고 천정구성요소(3)에 고정된다. 이 측벽(5,5')은 그 경우 천정구성요소(3)을 마주보고 그 상부 모서리를 따라서, 즉 종방향빔(14,14')을 따라서 밀치며 형성된다. 이 상부 측벽힌지(8,8')는 이러한 목적으로 천정구성요소(3) 또는 측벽(5,5')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해서. 또 다른 하나의 방법은 이 힌지(8,8') 자체가 종방향으로 움직임이 있고 그 것을 통해서 천정구성요소(3)와 측벽(5,5')가 종방향으로 마주보고 밀쳐지는 경우이다.
이 천정구성요소(3)는 전면(3a), 중심(3b) 및 후면의 천정세그먼트(3c)를 제공한다. 이 것들은 천정세그먼트힌지(18,18')로 서로서로 연결된다. 이 전방 천정세그먼트(3a)는 그밖에 전면 천정구성요소힌지(16,16')로 그 프레임을 연결한다.
양 측벽(5) 및 양 측벽부분인 측벽세그먼트(12,12')는 그 높이에서 전방을 향에 점점 가늘어진다. 그 천정구성요소(3), 특히 전방 천정세그먼트(3a)의 영역에서, 이와 대응하여 만곡된다. 이 것을 통해서 이 루프박스(1)는 하나의 어느 정도 받침대모양의 공기역학적인 형태를 제공한다.
이 양 측벽(5)은 마찬가지로 뒷부분에서 가늘어지고 그 위에 후방 천정세그먼트(3c)가 배치된다. 천정세그먼트(3c)와 하나의 후벽(4)이 두 개의 후벽힌지(9,9')로 연결된다.
상술한 루프박스(1)의 부분은 플라스틱, 금속, 특히 알루미늄, 티탄, 탄소, 또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프레임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힌지는 여러 부분으로 또는 한 부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힌지 또는 유연한 필름형 힌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힌지는 상응하는 부분에 고착시키거나 일체화 될 수 있다. 이 루프박스(1)를 위한 모서리의 영역에서 내부공간(6)이 습기와 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밀봉(실링)재료를 제공해야 한다.
그 프레임(15)의 빔(캐리어)(13,14)이 중공일 경우, 그 내부에 (도시하지 않음)전원공급장치 및 제어 또는 압축공기의 압축공기배관이 배치 될 수 있다.
도 3은 측벽(5)와 바닥구성요소(2) 및 천정구성요소(3)으로 이루어져 펼져져 있거나 닫혀있는 상태의 루프박스(1)의 사시도이다. 이 바닥구성요소(2)는 추가적으로(도시하지 않음) 이 루프박스(1)을 자동차의 천정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제공한다.
도 4는 측면으로 열린 상태인 루프박스의 사시도다. 이것은 루프박스(1)로부터 만들어졌고 유용한 내부공간(6)을 표시한다. 프레임(15)는 두 개의 종방향빔(14')중 하나에 두 개의 프레임힌지(17,17')를 제공하고 이것을 통해서 프레임이 바닥구성요소(2)와 연결이 된다. 측벽(5), 후벽(4)과 천정구성요소(3)가 프레임(15) 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 부재들이 프레임(15)과 함께 상부로 혹은 하부로 접힐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은 루프박스(1)를 열거나 닫기 위함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도시되지 않음) 프레임힌지가 마주보는 방향의 종방향부재(14) 위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한 쪽 뿐만 아니라 다른 쪽 방향으로도 필요에 따라서 루프박스(1)가 열리게 배치시킬 수 있기 위해서이다.
그 밖에 잠금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되는데 이것을 가지고 루프박스(1)가 잠긴 상태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5는 부분적으로 접혀있는 후벽(4)이 있는 루프박스의 배면사시도다. 이 루프박스(1)가 접히려면, 우선적으로 후벽(4)이 후벽힌지(9.9')를 수단으로 내부공간(6)으로 접히게 된다. 이 후벽(4)은 이 목적을 위해서 잠금장치(도시하지 않은)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이전에는 열려 있었다. 도 5에서 이 근본적으로사각형 후벽(4)이 부분적으로 접히게 묘사되었는데,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이것은 근본적으로 사각형인, 후면의 천정세그먼트(3d)에 완전히 붙게 된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후벽(4)과 후면의 천정구성요소(3c)는 대략 동일한 크기를 제공한다. 즉 양 부분의 평면이 거의 동일하다.
도 6은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에 있는 루프박스(1)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이 후벽(4)은 이미 내부로 완전히 접혀서 후반부 천정세그먼트(3c)에 붙게 된다(도시하지 않음). 다음 단계로 (11.11')의 하부와 측벽세그먼트(12,12')의 상부가 함께 하부의 측벽세그먼트(11,11')까지 바닥구성요소(2)에 붙게 내부로 접히고, 또한 상부측벽세그먼트(12)까지 천정구성요소(3)에 붙게 내부로 접힌다. 측벽세그먼트(11,11', 12,12')를 접을 때 중간부 천정세그먼트(3b)가 아래로 내려 앉는다. 왜냐하면 이것이 상부 측벽세그먼트(12,12')를 올려놓고 그 것을 가지고 상부 측벽힌지(8,8')를 이용해 연결하기 때문이다. 이 측벽세그먼트(11,11')가 완전히 내부로 접힐 수 있기 위해서는, 이 측벽힌지(8,8')가 예를 들어 탄성 필름힌지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 측벽세그먼트(11,11')는 중간부 천정세그먼트(3b)에 비교하여 접힐 때 가볍게 내려 앉는다.
전면부 천정세그먼트(3a)가 전면부모서리에 전면부 천정구성요소힌지(16,16')를 가지고 프레임(15)에 연결되고, 천정세그먼트조인트(18)가 후반부 모서리에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b)를 연결하기 때문에 그 전방세그먼트(3a)가 피봇축을 따라서 변화한다. 이 것은 천정구성요소힌지(16,16')의 영역에 놓여있고 바닥구성요소(2)의 하부방향에 있다. 전방 천정세그먼트(3a)의 변화를 통해서 그 것이 내려 앉을 때 중반부(3b)와 후반부 천정세그먼트(3c)를 가지고 상부측벽세그먼트(12,12')를 따라서 후반부로 인도한다. 종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그 힌지(8,8')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하나의 힌지를 가지고 활주가 가능하게 고정시키거나 종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고정시킨다.
루프박스(1)는 전술된 방식은 수동으로 열고 닫고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힌지에 또는 움직이는 부분에(도시하지 않은) 전자석이나 또는 공기쿠션이나 또는 서보모터가 제공되는데, 이 것들은 전기적인 흐름제어로부터 조정이 되어진다. 이 흐름제어의 조정을 목적으로 루프박스(1)를 위한 센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센서들이 움직이는 부분들의 상태를 전달한다. 그 것을 통해서 열림/닫힘 및/또한 접힘/펼침이 완전 자동화로, 예를 들어 원격조정이나 무선원격조정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루프박스(1)는 이것을 위해서 전기선이나 또는 자동차의 데이터버스( Datenbus )에 연결될 수 있다. 루프박스(1)는 그밖에 하나의 내부나 또는 외부의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전원공급은 저장장치를 갖춘 통합된 솔라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이룰 수 있고 이 것은 천정구성요소(3) 위에 배치된다.
접히거나 펼쳐진 특정 위치 안에서 작동하는 부분을 붙잡기 위해서 자석이나 전자석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벽(4)과 천정구성요소(3)에 그 밖에 적절한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센서는 운전자에게 루프박스(1)의 상태를 알리거나 경고신호를 준다. 예를 들어 루프박스(1)가 주차장안으로 진입할 때 허용높이를 넘어서는 경우 또는 루프박스의 내부에 배치된 대상들이 그 것을 위해서 제공된 안전장치를 가지고, 예를 들어 벨트, 안전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다른 센서들은 적재된 짐의 무게를 나타낼 수 있거나 루프박스(1)가 닫혀있거나 열려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계속해서 예를 들어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카메라는 운행시에 루프박스(1)의 내부를 감시한다. 자동차의 데이터 버스를 가지고 연결하는 것을 통해서 모든 데이터들은 계기판에 보여지고 감시 되어진다. 연료소비량도 보여진다. 도난의 경우에 루프박스(1)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송신기와 결합된 통합 GPS-위치시스템이 가능하다.
도 7은 루프박스(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것은 특별히 이동식 루프랙에 적합하다. 이 것은 루프박스(1)를 (이동할 수 있는)루프랙이나 빔프레임에(도시되지 않음)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20)을 제공한다. 이 고정수단(20)이나 다른 적당한 잠금장치에 대하여 이 루프박스(1)는 그 밖에 전기나 압축공기를 수단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보드컴퓨터(25)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루프박스(1)가 양쪽으로부터 열릴 수 있는 것이다. 이 것은 예를 들어 루프박스(1)의 각 측면에 2개씩 즉 총 4개의 조인트래치(23)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서 가능해질 수 있다. 닫혀진 상태에서 이 조인트래치(23)가 루프박스(1)을 잠근다, 예를 들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통해, 그 것이 한 측면에서 열린 경우에 맞은편에 놓여있는 조인트래치(23)가 힌지로서, 마치 이 것이 도 12에 묘사된 것처럼 역할을 수행한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관절 조인트(21)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앞서 제공되지 않은) 가능성은 두 개의 겹쳐져 배열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인 것이다. 즉 그 하부 프레임이 피봇수단을 이용해 바닥구성요소의 맞은편에 루프박스의 측면으로 변화가 가능 한 곳에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그 곳을 통해서 루프박스가 열리게 된다. 이 루프박스가 다른 측면으로 열려야 할 경우에, 그 상부 프레임은 피봇수단을 수단으로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어진다. 이 경우에 그 하부 프레임은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있으며 단지 상부 프레임이 비교적 하부 프레임 쪽으로 변화된다. 이 두 프레임 사이의 피봇수단은 피봇수단의 맞은편 측면위에서 하부 프레임과 바닥구성요소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계속해서 공기쿠션(22)이 공급될 수 있다. 운반하는 물건들을 위해서 홈(24)이 제공된다. 이 공기쿠션(22)은 그밖에 전술한 것처럼 루프박스(1)를 펼치거나 접거나 할 때에 공압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어를 위해서 (제공하지 않은) 압력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압력센서는 그밖에 루프박스(1)에 있는 물건들의 중량을 측정하고 보드컴퓨터를 이용해 측정값을 보여줄 수 있다.
이 바닥구성요소(2)는 자동차의 루프형태에 맞추기 위해서 종방향으로 약간 만곡되었다.
도 8은 루프박스(1)를 제공하는데 이 루프박스는 우선적으로 하부부재(2)를 제공한다. 이 하부부재는 다소 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되었으며, 그것의 후면이나 전면의 모서리와 그의 양 측면모서리들이 하나의 연속적인 바닥벽(19)을 보여준다. 자동차천정의 부수적인 형태에 맞추기 위해서 바닥구성요소(2)는 또한 사다리꼴형태로 전방을 향해서 확장되거나 만곡을 보여준다. 바닥구성요소(2) 위에서 두 개의 종방향빔과 두 개의 가로빔이 있는 어느 정도 사각형의 프레임이 배치된다. 이 프레임(15)의 외부 치수는 바닥벽(19)의 내부치수보다 다소 낮게 선택된다. 즉 프레임(15)이 바닥구성요소의 내부에 2공간을 가진다.
프레임(15) 위에 두 개의 측벽(5)이 배치된다. 이 두 개의 측벽(5)은 각각의 경우에 하부의 어느 정도 사다리꼴모양의 하부측벽세그먼트(11)과 하나의 상부측벽세그먼트(12)를 제공한다. 이 것들은 중간조인트(10)를 가지고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 측벽(5)의 하부측벽세그먼트(11)는 각각의 경우에 하부 측벽힌지(7)를 가지고 프레임을 결합한다. 양 측벽(5)와 전방 측벽(5) 위에 천정구성요소(3)이 배치된다. 이 측벽(5)의 상부측벽세그먼트(12)는 상부측벽힌지(8)을 통해서 천정구성요소(3)에 체결된다. 이 천정구성요소(3)는 그밖에 전방의 전방천정구성요소조인트(16)를 가지고 횡방향부재(13)와 결합된다. 그밖에 후벽(4)은 천정구성요소(3)에 접힐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 것을 통해서 상부(30)가 접힐 수 있게 된다. 함께 접히는 상부(30)가 바닥구성요소(2)의 바닥벽(19)의 높이 내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그 상부(30)를 하강 및 상승시키도록 바닥구성요소(2)를 위한 승강장치(31)를 제공한다. 펼쳐진 상태에서 이 승강장치(31)은 거기에 배치된 상부(30)와 함께 그 위로 올려진 상태에 있고 상부(30)는 한줄로 바닥벽(19)의 상부모서리에 결합한다. 이 프레임(15)은 다시 바닥구성요소(2)에 체결되는 승강장치(31)에 근접해 있고 이 것과 프레임조인트(17)를 통해서 이음쇠로 체결한다. 이 것을 통해서 프레임(15)은 전체 상부(30)와 상부방향으로(측면의)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이 승강장치(31)는 특히 그러한 측면으로 열릴 수 있는 루프박스의 경우에 유리하다. 루프박스의 후반부 부분을 들어 올려서 전방 이음쇠 주위를 돌며 열리는 루프박스의 경우에는 리프팅장치를 제공하지 않는다.
도 9는 부분적으로 하강한 승강장치(31)와 비교한 바닥구성요소(2)의 사시도이다. 승강장치(31)의 하강을 통해서나 접힌 상부부분의 하강을 통해서 이 것은 후벽조인트(9)를 가진 바닥구성요소(2)의 내부에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이 바닥구성요소(2)는 종방향으로 약간 굽어있다. 이것은 자동차의 루프형태에 맞추기 위함이다.
도 10은 천정구성요소(3)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 천정구성요소(3)는 전반부(3a), 중반부(3b), 그리고 후반부 천정세그먼트(3c)를 제공한다. 이 세그먼트들은 천정세그먼트조인트(18)를 통해 서로서로 결합된다. 후반부 천정세그먼트(3c) 아래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한 후벽(4)이 배치되어 있다. 이 후벽(4)는 천정세그먼트(3c)를 통해서 후방으로 나갈 수 있게 되거나 하부로 접힐 수 있다(이 상태는 도 8에 보여진다). 천정세그먼트(3)나 후벽(4)의 만곡시에 장점으로는, 루프박스가 접힌 상태에서 이 두 부재가 특별히 단단한 배열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11은 마치 도 10에서 부분적으로 후방으로 나간 후벽(4)과 같이, 데크부재인 천정구성요소(3c)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2는 펼쳐진 후벽(4)이 있는 천정세그먼트(3c)의 다른 실행 예를 제공한다. 예증으로 이 부재들이 다른 것 위에 떠있는 모습으로 도시된다. 이 천정구성요소(3c)와 후벽(4)은 조인트(32)로 결합된다. 이 조인트(32)는 루프박스(1)가 펴질 때, 즉 확장될 때 후벽(4)의 슬라이딩이 어느 정도 수평방향으로 후방을 따라서 가능하게 되고, 그 후에 후벽(4)가 아래로 접히도록 한다. 이 루프박스(1)가 접힐 때 우선적으로 수평위치에서 아래로 접히고, 그 경우 후벽(4)의 슬라이딩은 천정세그먼트(3c) 아래의 자동차 운행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 것은 특히 후벽(4)와 천정세그먼트(3)의 평면이나 측벽(5) 영역의 평면에 후벽이 붙어있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이 후벽은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에 있는 후벽이다. 비슷한 곡률방향 과 비슷한 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한 이유는 이 곡률형성된(만곡된) 평면들이 서로서로 맞잡아서 즉 결합되어 공간을 절약하기 때문이다.
도 13은 도 5와 같이 천정구성요소(3)을 제공한다. 이 후벽(4)은 천정세그먼트(3c)의 내부에서 안으로 들어가거나 공간을 절약하도록 배치된다.
도 14a, 도 14b 그리고 도 14c는 루프박스의 각각 다른 실시예에서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4a, 14b 및 14c는 그 펼치는 과정인 확장과정이 반복적으로 도시된다. 이 루프박스(1)는 3개가 서로서로 결합되는 천정구성요소(3)를 포함하고, 루프박스(1)의 종방향으로 차례로 정렬되어있는 천정세그먼트(3f,3g,3h)를 포함하는 천정구성요소(3)을 포함한다. 루프박스(1)의 천정구성요소 안이나 자동차의 루프 안이던지 어떤 경우에든 잘 어울리는 유리 또는 다른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진 세그먼트나 개구부가 제공된다(도시하지 않는다). 자동차루프의 경우에는 이 부재들은 특히 선루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4a는 바닥벽(19)이 부분적으로 접힌다. 도 14b는 접힌 바닥벽(19)와 부분적으로 접힌 측벽(5)와 접힌 루프벽(3)이 있는 중간단계를 제공한다. 도 14c는 완전히 펼쳐진 루프박스(1)을 제공한다. 루프박스(1)이 확장상태에서 측벽(5)는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비스듬히 내부로 이어진다.
도 15는 금속재료로 만든 컨버터블루프(25)가 있는 컨퍼터블 자동차의(카브리올렛) 상부영역을 제공한다. 이러한 컨버터블루프(25)들은 직물로 만들어진 루프의 대안으로서 오늘날 사용된다. 이 루프박스(1)는 컨버터블루프(25) 위에 완전히 접힌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가 없다. 천정구성요소(3)만이 유일하게 볼 수 있으나 눈에 띄지는 않는다.
도 16부터 도 18까지는 루프박스(1)가 확장되는 즉 펼져지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우선적으로 천정구성요소(3)가 상부로 접힌다. 이것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두 개의 봉(33)을 수단으로 삼아서 이루게 되는데, 이 두 개의 봉(33)은 루프박스의 양 측벽의 영역안에서 배치된다. 이 봉(33)은 공동 힌지점(34)에서 조인되어 서로서로 연결된다. 이 지지대의 끝은 각각 움직이며, 루프표면(28)으로부터 형성된 천정구성요소(3)나 바닥구성요소에 장착된다. 즉 이 봉(33)의 변화가 힌지점(조인트점)(34)의 주위를 서로 마주보며 펼쳐지기 위해서나 루프박스의 접혀짐을 위해서 이루어진다. 이 측벽들은 변형가능한 소재로, 직물과 같은, 특히 기존에 접이식루프에 사용하던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 천정구성요소(3)는 컨버터블루프(25)에 전방조인트(26)로 움직이며 결합한다. 이 후벽(4)은 천정구성요소(3) 아래에 배치되어 놓여진다.
도 17은 천정구성요소(3)이 펼쳐지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상부로 펼쳐지고 후벽(4)는 천정구성요소(3)의 하부중간으로 내려온다. 도 18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후벽은 아래로 펼쳐진다. 이 것은 적절한 후방조인트(27)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이 후벽(4)는 단단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부드러운 재료 직물, 변형가능한 재료, 특히 측벽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까지는 그밖에 양 측벽(5)가 펼쳐지는 것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루프박스(1)가 하나의 잠긴 유용 가능한 내부공간과 함께 형성되어지고 이 내부공간은 천정구성요소(3)를 통해서 이 양 측벽(5)과 이 후벽(4)이 구분되어진다. 이 양 측벽(5)의 하부부분과 후벽(4)에 이 프레임(15)이 결합한다.
이것을 통해서 펼쳐진 상태에 있는 루프박스(1)가 상부로 전방조인트(26)를 따라 전반부로 높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를 위해 루프박스(1)의 내부공간이 준비되어 사용자가 짐을 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루프박스(1)의 바닥부는 루프표면(28)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기 위해서는 이 제공한 그리고 기술한 과정들이 역순으로 발생합니다. 이 전체적인 과정들을 자동화 및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공압적으로 자동동할 수 있다.
도 18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있는 루프박스(1)를 제공한다. 이 도 20과 도 21은 그 펼쳐진 루프박스(1)를 나타낸다. 전방조인트(26)를 수단으로 상부로 펼쳐진 다시 말해 열린다. 이 상태에서 루프박스(1)는 짐(화물)을 담을 수 있다.
도 19는 장착된 루프박스(1)가 닫혀진 자동차루프임에도 불구하고 루프를 통해서 햇볕이 직접 자동차 내부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실행의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투명재질의 천정구성요소(3)는 특히 유리로 만들어진다. 단지 이 천정구성요소(3)의 부분영역만이 투명재질로 만들어진다. 컨버터블루프(25) 내에 차량루프개구부(35)가 제공된다. 이 개구부는 하나의 통합된 후드(36)를 수단으로 열리고 다시 닫혀질 수 있다. 이 후드(36)는 활차(37)로 열고 닫을 수 있다. 그 후드(36)은 특히 롤러-블라인드 종류나 감아 올리는 커튼 종류가 될 수 있다. 루프를 형성하는 재료는 충분히 강하고 견고해야 목적에 부합한다. 왜냐하면 루프박스(1)가 짐을 실은 상태에서 직접 후드(36)위에 놓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루프박스(1) 안에 짐이 없을 경우 그 후드(36)는, 차량루프개구부(35)가 열리게, 뒤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경우 이것을 통해서 투명한 천정구성요소(3)으로 인해서 햇볕이 자동차 내부로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루프박스는 카브리오렛의 컨버터블루프(25) 위에 배치되어 있거나, 이 것에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컨버터블루프(25)가 열린 트렁크덮개(카버)(29)에 부분적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통해서, 마치 도 22와 도 23에 묘사된 것과 같이, 편리한 짐싣기가 가능해진다. 도 22는 루프박스(1)이 그 경우 낮게 배치되고 간단하게 열리고 짐을 실을 수 있도록 되는 것을 보여준다. 짐을 실은 후 이 루프박스(1)는, 마치 도 23에 묘사된 것처럼, 다시 잠긴다. 그 후 이 컨버터블루프(25)는 상부로 이동되어 잠긴다. 이 컨버터블루프(25)가 그러므로 루프박스(1)를 위해서 승강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24는 승용차의 차량루프(41)의 사시도이다(도시되지 않음). 차량루프(41) 안에 루프박스(1)가 통합 배치된다. 이 루프박스(1)는 접힌 상태에 있고, 그런 상태에서는 그 루프박스(1)에 어떤 짐도 실어 운송되어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통합된 형태로 인해서, 이 루프박스(1)은 시각적으로 인식이 되질 않는다. 루프박스의 천정구성요소(3)는 외부로부터 알아볼 수 있다. 천정구성요소(3)는 평평한 금속판으로 만들어 졌고 차량루프(41)의 형태에 알맞다. 천정구성요소(3)는 근본적으로 이 차량루프(41)의 전체 루프평면을 커버한다.
도 25는 도 24로부터, 천정구성요소가 생략된 곳에, 차량루프(41)가 묘사된다. 이 차량루프(41)은 동시에 루프박스(1)를 위한 바닥구성요소를 형성하고 하나의 오목한 홈을 제공하는데, 그 것은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서 천정구성요소(3)와 후벽(4)이 함께 루프박스(1)의 내부공간을 만든 것, 둘러쌓은 것을 말한다. 이 오목한 홈은 차량루프(41)의 차량루프의 리딩에지(41a)의 영역안에서, 그 것은 승용차의 전방부분을 위해 정렬시킨 것(도시되지 않음), 최대로 확장된 상태를 제공한다. 이 오목한 홈부(42)의 가장 좁은 부분은 차량루프(41)의 트레일링에지(41b) 영역에 위치한다. 이 가장 좁은 부분에 후벽(4)이 배열되고, 이 후벽(4)은 도 25의 묘사에서 이 오목한 홈부(42) 위에 아래로 접히고, 평평하게 이 곳에 놓인다. 이 후벽(4)은 사다리꼴모양을 제공한다. 이 사다리꼴모양은 이 오목한 트레일링에지 홈부(42a)에 양쪽면으로 길게 한 줄로 놓인다. 이 오목한 레터럴에지 홈부(42c)는 이 오목한 트레일링에지 홈부(42a)로부터 약간 비스듬히 밖으로 향해 뻗어 있다. 그 경우 이 레터럴에지 홈부(42c)는 근본적으로 직선으로 뻗어 있지 않고 약간 아치형으로 뻗어있음을 보여준다.
도 26은 도 25와 비슷한 묘사를 보여준다. 이 도 26에는 후벽(4)이 높게 펼쳐져 있다. 이 후벽(4)은 그 주위에 후방모서리와 오목한 홈부(42)에 붙어있는, 하부의 긴 측면에 높게 펼치기 위해서 변화된다. 이 것을 위해서 이와 부응하는 힌지가(도시되지 않은) 제공된다.
도 27은 도 24부터 도 26까지로부터 루프박스(1)의 다른 묘사를 보여준다. 여기서 천정구성요소(3)은 그곳에 다시 있으며 루프박스(1)는 확장상태에 있다. 이 천정구성요소(3)는 도 24로부터의 묘사와 반대방향으로, 그의 차량루프(41)의 홈부(42) 안에 속해있는 부분을 변위방향(43)에 의해서 보여지는 방향 안쪽 방향으로 밀었다. 이것을 통해서 천정구성요소(3)는 위를 향해서 아치형이 된다. 즉 바닥구성요소로써 활용되는 차량루프(41)와 천정구성요소(3) 사이에서 하나의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 빈공간은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짐을 적하하는 공간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 형성되는 빈 공간의 개구부는 높게 펼쳐져 있는 후벽(4)에 의해서 접힌다. 즉 닫혀진 짐 적재 공간이 형성된다. 천정구성요소(3)의 재료는 상응하는 실행을 할 때 이미 정해진 방식 안에서 그 형태를 변화하도록 만들었다. 루프박스의 밖으로 펼쳐진 확장상태를 만들기 위한 실행에서 천정구성요소(3)는 이 것을 통해서 함께 밀고 들어간다. 특히 이 변형은 두 개의 차량루프(41)의 종방향 안에서 이어져있는 처짐곡선(3aa) 주위에서 이루어진다. 즉 확장상태에서 짐을 싣는 공간의 상부부분에 형성되는 천정구성요소(3)의 상부측 데크부재(3bb)와 두 개의 측면패널 천정세그먼트(3cc)이 생성된다. 천정구성요소(3)에 활용된 영역 차량루프(41)의 차량루프의 리딩에지(41a)는 변화되지 않고 있다. 즉 승용차의 운행방향으로 펼져진 상태에서 비교적 공기역적적으로 경제적인 루프의 형태나 루프박스의 형태를 생성한다.
도 28부터 도 30까지는 각각 통합된 루프박스(1)를 가진 차량(40)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루프박스(1)는 도 24에서 도 27까지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도 28에서 루프박스(1)는 축소상태를 보여준다. 도 29에서는 확장상태가 묘사된다. 도 30은 루프박스(1)의 확장상태이다. 즉 천정구성요소(3)가 처짐곡선(3aa) 주위를 따라 만곡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천정구성요소(3)의 후면 부분(3d)은 자동차루프의 맞은편 상부방향으로 높게 펼쳐있다. 천정구성요소(3)의 전반부 영역 전면 천정세그먼트(3e)는 계속적으로 자동차루프 위에 놓여있고 이 것과 강하게 결합된다. 천정구성요소(3)가 부분적으로 높게 펼쳐지는 것은, 실행수단을 통해서 천정구성요소(3)의 변화를 이룩하게 하는 것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 변화된 천정구성요소(3)의 회동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전반부 모서리에 배열된 회동수단의 주위에서 가능하다. 이 루프박스(1)는 높게 펼쳐진 상태에서 짐을 싣을 수 있게 된다. 대안적으로 또한 후벽(4)이 밖으로 나온 확장상태에서 아래로 펼쳐질 수 있다. 이 루프박스(1)은 개구부를 통해서 뒷부분에 짐을 싣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천정구성요소(3)가 높게 펼쳐지는 것은 그 경우 필요하지 않다. 그 천정구성요소(3)는 확장상태에서 그런 종류의 주어진 형태안에서 구부러진다. 그것은 오목한 종방향(래터럴)에지 홈부(42c)를 가지고서 그의 외부의 주변영역 안에서 일렬로 잠근다. 이 천정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그렇게 만들어진다. 실행시에 예를 들어 루프박스(1)에 설치된 전력선(도시되지 않음)으로 천정구성요소(3)에 전력을 주게 되고 기존의 정확한 형태 내에서 구부러지게 된다. 이 루프박스나 천정구성요소나 바닥구성요소는 우선적으로 투명한 소재를 가지고 만들 수 있다. 새로운 실행이 생길 경우 그 것은 다시 원래로 그의 출구지점으로 구부러진다. 이 것을 통해서 조인트나 힌지 없이 그리고 그와 동일하게 함께 서로서로 접힐 수 있는 루프박스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31부터 도 36까지는 발명기준에 따르는 루프박스(1)의 다른 실행의 예를 보여준다. 도 31은 승용차의 차량루프(41)의 사시도이다. 차량루프(41) 내에서 루프박스(1)는 통합적으로 배치된다. 이 루프박스(1)는 축소상태이고 그 루프박스(1) 안에 어떤 짐도 싣고 운행할 수 없다. 이런 상태에서 통합된 형상으로 인해 이 루프박스(1)는 근본적으로 시각적 인식이 불가능하다. 외부로부터 이 루프박스(1)의 천정구성요소(3)는 인식할 수 있다. 이 것은 차량루프(41)의 형태나 사이즈에 부합한다. 이 천정구성요소(3)는 기본적으로 차량루프(41)의 전체 루프평면을 커버한다. 그리고 평평하게 차량루프(41) 위에 놓인다. 이 천정구성요소(3)는 탄성적으로 변화가 가능한 적당한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진 재료를 포함한다. 스트레치 소재인 신축성소재로 만들어 외부로 보일 수 있는 상태, 단단하지만 접을 수 있는 소재로 만든 다른 상태, 특히 플라스틱이나 그와 유사한 것으로 만들어진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4는 천정구성요소가 없이 축소상태의 루프박스(1)를 보여준다. 이 바닥구성요소(2)는 루프표면으로 만들어지고 이 루프표면은 다시 오목한 홈부(42)를 제공한다. 이 루프박스는 하나의 프레임(15)를 제공한다. 종방향웨브프레임(15b)의 짧은 횡방향웨브프레임(15a)들 사이에서 둘은 확장되고 이격이 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수평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회전브라켓(45), 이 것은 그 양 끝단에서 각각 회전브라켓 조인트(46)를 도구로 횡방향웨브프레임(15a)과 결합된다. 이 회전브라켓은 그래서 대략 수평으로 프레임(1)의 종방향웨브프레임(15b)을 따라서 확장된다. 양 회전브라켓(45)는 바닥구성요소(2) 위에 평평하게 놓인다. 그리고 그들의 회전브라켓 조인트(46)으로부터 내부로 선회된다. 이 양 회전브라켓(45) 사이에 두 개의 스프링클립(47)이 제공된다. 이 것은 도 34에 보여진 상태로 앞에 매달게 된다. 두 개의 스프링브라켓 사이에서 확장 가능한 유지밴드를 제공되고 이 것은 도 34에 보여진 상태에서는 이완이 되어있다.
도 35에서 회전브라켓(45)이 상부로 선회되어 돌려진다. 특히 도 34내의 그 지점에 마주하여 45도에서 90도까지의 각도. 이 스프링클립(47)은 이완이 되고 지지고정스트랩(48)이 확장된 상태에 있다. 이 회전브라켓(45)의 선회는 이 스프링클립(47)의 매다는 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 32는 도 32에서 하나의 천정구성요소(3)가 묘사된 것에서 도 35처럼 동일한 상황을 보여준다. 즉 회전브라켓은 아직 인식되어지지 않는다. 이 루프박스(1)는 확장된 상태입니다. 천정구성요소(3)의 재료는 확장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천정구성요소는 축소상태(도 31)와 마주하여 세워지고 만곡된 평면을 제공한다. 이 심한 만곡부분은 처짐라인이며, 굽힘라인인 굴곡라인(44)를 따라서 배치한다. 이 것들은 세워져 있는 회전브라켓(45)과 어울린다.
도 33과 도 36은 확장상태의 루프박스(1)을 제공한다. 이 개구부는 횡방향웨브프레임(15a)과 바닥구성요소(2) 사이에 배열된 조인트들이(여기서 제공되지 않음) 나온다. 즉 이 열려있는 상태의 루프박스(1)는 특히 뒤로부터 짐을 싣을 수 있다. 이 통합된 프레임(15)은 거기에 배열된 천정구성요소(3)와 함께 횡방향웨브프레임(15a)에 배치된 조인트 주변 상부방향으로 선회한다.
도 37은 차량루프(41)가 있는 하나의 쿠페 차량(40)을 보여준다. 그 것이 이 경우 차량(40)의 해치백이 함께 둘러싼다. 차량루프(41) 위에서 루프박스(1)이 배치된다. 이 것은 구동지점(루프의 상부부분)과 짐 싣는 지점(루프의 하부영역에, 특히 해치백의 하부영역 사이에서 운행할 수 있다. 이 도 37의 묘사에서 루프박스(1)가 확장상태나 구동위치에 있다. 특히 이 루프박스(1)는 두 개의 측벽(5), 하나의 후벽(4)과 하나의 천정구성요소(3)를 제공한다. 차량루프(41)은 상부 부분으로부터 하부와 후방 부분까지의 진행에 있어서 안내를 제공한다. 이 안내는 두 개의 상반되어 놓여있는 배열된 기본적으로 평행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 레일(49)을 포함한다. 이러한 레일(49)은 루프홈부(50)의 가장자리 긴 측면부 내에 관계된다. 그 것은 차량(40)의 전체적인 해치백을 통해서 뻗어있다. 이런 레일(49)은 루프홈부(50)의 가장자리 종방향 측면으로 들어오게 되고, 차량(40) 전체의 해치백에 걸쳐서 연장된다. 이 레일(49) 안에서 자료분석이(도시되지 않음) 제공된다. 레일(49)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 루프박스(1)의 자료분석 대상 내에서 관여된다.
도 38 내에서 이 루프박스(1)은 도 37의 묘사와 반하여 짐싣는 상태에서 레일(49)을 따라서 아래로 이동되었다. 루프박스(1)가 부가적으로 천정구성요소(3), 후벽(4) 그리고 측벽(5)에 하나의 바닥구성요소(2)를 제시하며, 차량루프(41) 위에 그 것과 함께 놓인다. 이 측벽(5), 후벽(4) 그리고 천정구성요소(3)는 함께 루프박스(1)의 상부(30)을 만든다. 이 상부부분은 도 38내에서 보여준 상태에서는 열려 있다. 즉 이 상부(30)는 상부 회전조인트(도시되지 않음) 주위에서 바닥구성요소(2)를 마주하여 상부로 선회된다. 즉 루프박스(1)의 내부공간이 주어지고, 이 짐 싣는 곳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짐을 실을 수 있도록 된다. 이 도 37과 도 38에 묘사된 루프박스는, 마치 또한 기 서술된 실시예에서 처럼, 축소상태에서 함께 접힐 수 있다. 루프박스(1)는 각각 하나의 부부인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두 개의 측벽을 제공한다. 그의 천정구성요소(3) 위에 활용된 측벽(5)은 하나의 플랜지(5a)를 제공한다. 이 플랜지는 천정구성요소(3)의 개별 천정세그먼트(부분)(3f,3g,3h)로부터 특정 세부영역에 속하는 것이 있다. 또한 후벽(4)이 제공된다.
도 40은 도 39로 부터의 루프박스(1)의 프레임(15)을 보여준다. 이 프레임 위에 후벽(4), 천정구성요소(3) 그리고 측벽(5)가 놓인다. 부가적으로 이 경계에(도시되지 않음). 이 프레임(15)의 종방향웨브프레임(15b) 사이에 두 개의,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서로 마주보며 정돈된 스웨벨브라켓(45)이 배치되고, 이 것은 각각 그의 끝부분에 회전브라켓 조인트(46)을 제공한다. 이 것들을 가지고 회전브라켓이 프레임(15)에나 부가적으로 프레임(15)의 종방향웨브프레임(15b)에 선회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40에 보여진 상태에서 이 회전브라켓(45)가 측면으로 선회되고 자동차루프 위에 놓이거나 부가적으로 루프박스의 바닥구성요소 위에(도시되지 않음) 놓인다. 이 루프박스(1)는 축소상태에 있다. 이 회전브라켓(45)가 상부로 세워지도록 선회하는 경우, 루프박스(1)은 확장상태가 된다. 이 회전브라켓(45)은 프레임(15)의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횡방향웨브프레임(15a)에 배치된 중앙웹(45a)을 제공한다. 이 중앙웹(45a)에 각 측면부로 각 각의 외부웹이 연결한다. 이 외부웹은 중앙웹(45a)와 비교해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각각 수위벨브라켓조인트(46)에서 끝난다. 중앙웹(45a)와 외부웹(45b) 사이의 연결지점에서 상부로 돌출한 비드(51)로써 각각 형성된 제동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 회전브라켓(45)는 그러한 두 개의 비드(51)를 제공한다. 이 비드(51)는 상응하는 대응비드(52)에, 부가적으로 측벽(5)의 플렌지(5a)에, 기계적 메커니즘을 형성하기 위해서, 꼭 끼워진다. (루프박스(1)가 축소상태에서). 루프박스(1)가 확장상태에서 이 것을 통해 견고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1은 두 개의 측벽세그먼트(11,12)가 서로서로 인접한 영역 안의 단면도 내에서 하나의 상세도면을 보여준다. 이 측벽세그먼트(11,12)는 확장상태에 있다. 상부측면세그먼트(12)의 하부 끝단에 내부로 그리고 하부로 돌출한, 가두리를 세운 챔퍼링부(12a)가 제공된다. 이 하부측벽세그먼트(11)는 이 영역에서 수평으로 이 가두리를 세운 챔퍼링부(12a)에 배치된다. 즉 이 영역에서 오버랩부(54)가 형성된다. 이 오버랩부(54)에서 하나의 실링(53)이 제공된다. 이 개스킷은 한편으로는 하부측벽세그먼트(11)의 내부에 다른 한편으로는 가두리를 세운 챔퍼링부(12a)의 외부측면에 놓여서 오버랩부(54)를 밀봉한다.
도 42는 차량(40)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 자동차는 SUV로 만들어진 것이다. 차량(40)의 루프 위에 하나의 루프박스(1)가 배치된다. 이 루프박스는 확장상태에 있다. 이 루프박스(1)의 설치 그리고 이 루프박스(1)의 접히거나 펼쳐지는 원리는 도 1부터 7까지 묘사된 루프박스의 실시 예와 기본적으로 상응한다. 도 43은 자동차 없는 도 42로부터의 루프박스(1)를 보여주고, 이 루프박스(1)가 도 42에서 묘사된 닫혀진 상태에 반하여 확장상태에서와 열린 상태에서 보여준다. 도 44는 동일한 루프박스(1)가 분해도 안에서 묘사된다. 이 루프박스(1)는 천정구성요소(3)를 제공한다. 이 천정구성요소는 3개의 종방향으로 한 줄로 배열된 그리고 천정세그먼트조인트 (18)를 도구로 서로서로 선회하도록 결합된 천정세그먼트(3f,3g,3h)로 구성된다. 이 양 측벽(5)는 각각 하나의 상부측벽세그먼트(12)를 포함한다. 이 측벽세그먼트는 측벽의 전체 길이를 거슬러 연장된다. 그리고 하나의 하부측벽세그먼트(11)는, 사다리꼴모양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단지 측벽5의 중간 영역에 배치된다. 이 하부측벽세그먼트(11)은 측벽(5)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되지 않고 단지 대략 중간까지만 연장된다. 또한 이 루프박스(1)는 하나의 후벽(4), 하나의 바닥구성요소(2) 그리고 하나의 프레임(15)을 포함하고 이 프레임에 후벽경첩을 도구로 후벽(4)을 선회하도록 결합한다. 즉 후벽(4)이 접혀지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바닥구성요소(2)위에서 선회한다. 확장상태에서 이 측벽(5)의 세그먼트(11,12)가 프레임(15)에 붙는다. 그 프레임(15)은 루프박스(1)의 전방부 모서리에 배치된 경첩들을 도구로, 부가적인 선회도구로, 바닥구성요소(2) 위로 높게 선회할 수 있다. 즉 이 프레임(15)의 횡방향웨브프레임(15a)(Quersteg)이 또한 루프박스(1)의 열린 상태에서 항상 바닥구성요소(2)와 연결되어 있다. 이 루프박스(1)는 열린 상태에서 목적에 부합하게 뒤로부터 짐을 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루프박스(1)는 하나의 상부에어쿠션(22a)과 하나의 하부에어쿠션(22b)를 포함한다. 이 하부에어쿠션(22b)은 U자형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긴 U-다리와, 이 두 개의 긴 다리는 각각 바닥구성요소(2)의 긴 모서리를 따라서 그 위에 놓인다, 그리고 하나의 짧은 사선다리를 제공한다. 이 짧은 다리는 바닥구성요소(2)의 후방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다. 이 하부에어쿠션(22b)은 팽창된 상태에서 바닥구성요소(2)의 외부모서리와 마주보며 약간 내부로 이동해 배치된다. 그 상부에어쿠션(22a)는 상측 에어쿠션(221)을 제공한다. 이 상부측면은 팽창된 상태에서 천정구성요소(3)의 내부측면으로 어느 정도 일렬로 놓이며, 기본적으로 천정구성요소(3)의 전체적인 내부평면을 커버한다. 루프박스(1)의 종측면의 외부 모서리에 그리고 루프박스(1)의 후방측면에 상부에어쿠션(22a)의 상측 에어쿠션(221)으로부터 하부로 에지에어쿠션(222)가 돌출한다. 이 에지에어쿠션(222)의 종측면에서 각각 두 개의 홈이 제공된다. 이 홈은 하부 방향으로 열려있다. 이 에어쿠션의 요홈부(223)는 상부측벽세그먼트(12)의 가두리를 친 챔퍼링부(12a)가 있는 곳에 있으며, 이 것은 상부측벽세그먼트(12)와 하부측벽세그먼트(11) 사이의 경계영역에 놓인다. 이 가두리를 친 챔퍼링부(12a)는 루프박스(1)가 확장상태에서 하부 측벽세그먼트의 부분영역과 포개어진다. 즉 여기서 예상치 않았던 입자들, 가스, 액체 등등이 루프박스(1)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이 가두리를 친, 내부로 연장된 챔퍼링부(12a)는 에어쿠션의 요홈부(223)의 영역에 놓인다. 즉 이것은 상부에어쿠션(22a)을 망가뜨리지 않을 수 있다.
도 45부터 48까지는 루프박스(1)의 다른 실시 예와 부가적으로 이 루프박스(1)의 개별 구성요소를 묘사한다. 이것은 선루프를 장착한 자동차나 그 밖에 개구부를 자동차루프에 장착한 자동차를 위해 햇볕이나 신선한 공기가 자동차의 내부로 들어오도록 만들어진다. 도 49에서는 그러한 차량의 루프가, 그것을 위해서 루프박스(1)가 형성되었으며 도시되었다. 도45는 이 루프박스(1)가 접혀서 축소된 상태이다. 이 천정구성요소(3)은 3개의 중간의 뒤를 이어 배치된 천정세그먼트(3f,3g,3h)를 마치 이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f, 3g, 3h)의 각 측면에 배치된 천정구성요소측면부(3i) 처럼 포함한다. 이 것은 각각 루프박스의 전체 길이 위에서 확장된다. 도45는 바닥구성요소(2)를 알 수 있다.
도 46은 도 45의 확장상태에서 이 루프박스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부가적으로 후벽(4)와 측벽(5)을 알 수 있으며, 여기서 이 측벽(5)이 서로서로 접힐 수 있는 두 개의 측벽세그먼트를 제공한다.
도 47은 그 측면으로 그들을 구분 지은 천정구성요소측면부(3i)가 없이 그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f, 3g, 3h)가 고립된 것을 보여준다. 이 바닥구성요소(2)는 단지 암시적으로 묘사되어있다. 이 전반부와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f)는 투명한 재료로, 특히 유리로 제조된다. 이 후반부 천정세그먼트(3h)는 보통의 투명하지 않는 재료, 예를 들어 금속분야 또는 그와 유사한 분야의 재료를 만들어 진다. 자동차의 사용자가 선루프나 혹은 그 밖의 자동차 개구부를 가지고 자동차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넣으려고 하면, 운전자는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에서 이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f,3g)를 후방으로 옮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천정세그먼트(3f)의 하부에 이동스키드(55)가 묘사된다. 이 이동스키드를 가지고 천정세그먼트(3f)가 바닥구성요소(2) 위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이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g)는 동시에 그러한 이동스키드(55)를 제공할 수 있다.(여기 도시되지 않음). 실행버젼에 따라서 전반부 천정세그먼트(3f)는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g) 위에나 아래에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여기서 이 천정세그먼트는 수평이동의 의미로 이동된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서로서로 잇달아 일렬로 놓인다. 필요한 경우에는 격리판, 에어쿠션이나 그와 유사한 것들이 제공된다. 즉 유리에 스크래치를 내거나 유리를 손상시키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천정세그먼트(3f)외 필요한 경우에는 천정세그먼트(3g)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동장치는 기존의 실행의 예에서 케이블로 만들어 지고 참조부호(37)로 표기되었다. 다른 적당한 구동장치도 선택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천정구성요소(3f)와 필요한 경우 천정세그먼트(3g)를 통해서, 자동차 개구부를 이용한 개방된 통로를 만드는 것과 루프박스(1)의 천정구성요소(3) 내에서 그 밀리는 천정세그먼트(3f,3g)를 이용해서 만든 개구부를 외부 방향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루프박스(1)를 통해 외부로 통하는 그러한 통로는 도48에 묘사된 바닥구성요소(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바닥 구성요소 개구(2a)를 제공한다. 이 바닥구성요소 개구(2a)는 그의 사이즈에 있어서 양 중간부 천정세그먼트(3f,3g)가 모두 합쳐진 평면의 크기에 상응한다 그리고 베니션블라인드(56)로 만들어진 덮개수단이 이용될 수 있거나 또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베니션블라인드(56)는 적당한 구동수단과 롤(57)에 의해 감거나 풀릴 수 있습니다. 이 베니션블라인드(56)은 충분히 튼튼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목적에 부합한다. 거기에 운반되는 물건 위에서 블라인드를 망가뜨려지거나 어떤 것들이 블라인드를 뚫고 자동차 내부로 절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소재로 베니션블라인드는 만들어져야 한다.
도 49는 자동자의 홈부를 제공하는 차량루프(41)을 제공한다. 그 안에 루프박스(1)이 형태에 알맞게 꽉 끼워진다. 또한 차량루프(41) 안에서 하나의 개구부(41c)가 제공된다. 이 것은 부닥부재(2)의 바닥구성요소개구(2a)의 사이즈와 또는 양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f,3g)가 합쳐진 평면의 사이즈와 상응한다. 이 차량루프의 개구부(41c)는 롤러블라인드(58)를 커버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것으로 덮거나 열거나 할 수 있다. 이 롤러블라인드(58)은 하나의 롤(57)을 수단으로 접거나 풀 수있다. 이 롤러블라인드(58)이 베니션블라인드(56) 그리고 중반부 천정세그먼트(3f)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가적으로 천정세그먼트(3g)를 뚫린위치로 운행할 경우에, 자동차 내부로부터 뚫린 통로는 바닥구성요소개구(41c, 2a) 그리고 천정구성요소(3)에서 외부방향으로 열린 개구부를 통해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상태에서 또한 이 천정세그먼트(3f, 3g)가 운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부의 공기가 그 설명한 개구부를 통해서 차량내부로 드러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햇볕은 들어오게 할 수 있다.
도 50부터 도 56까지는 루프박스(1)의 다른 실행 예의 여러 가지 도면을 보여준다 또한 선루프나 그 외의 자동차루프의 개구부를 제공한 자동차의 활용을 위한 알맞은 부품들을 여기서 보여준다.
도 50은 확장상태의 루프박스(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천정구성요소(3)에 하나의 약간 오른쪽 구석의 천정세그먼트 개구(3j)이 제공된 것은 알아볼 수 있다. 이 천정세그먼트 개구(3j)는 도50의 묘사에 있어서 하나의 베니션블라인드(56)를 가지고 덮거나 잠글 수 잇다. 이 베니션블라인드(56)은 천정세그먼트 개구(3j)를 위해서 덮개수단으로써 활용되고 선택적으로 당겨질 수 있거나 다시 되돌려질 수 있다. 특히 이 베니셜블라인드(56)는 롤러 블라인드 방식으로 감아올릴 수 있게 된다.
도 51은 축소상태의 루프박스(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또한 이 베니션블라인드가 말아 올려지고 다시 되돌려진다, 즉 그 것이 천정구성요소(3)에서 천정세그먼트 개구(3j)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천정세그먼트 개구(3j)를 통해서 바닥구성요소(2)의 두 개의 투명바닥구성요소(2b,2c)를 볼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유리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구성요소(2b, 2c) 아래에 자동차루프 안의 하나의 개구부가 제공된다(여기서 묘사하지 않음). 이 개구부는 목적에 부합하게 적당한 덮개수단을 이용해 덮어 놓을 수 있다. 이 루프박스(1)이 도안51에 보여진 상태에서 자동차루프에 설치되고 그 개구부를 자동차루프에 놓을 경우, 햇볕은 투명바닥구성요소(2b, 2c) 를 통해서 자동차 내부로 도달한다. 선택적으로 이 투명바닥구성요소(2b, 2c) 는 또한 하나의 해제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즉 그 경우 바닥구성요소(2)에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천정구성요소 안의 천정세그먼트 개구(3j)와 자동차루프의 개구부를 가지고 함께 협력하여, 그것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자동차 내부로 하나의 뚫린 통로가 형성된다.
도 52는 바닥구성요소(2) 위에 배열되어 접힌 측벽이 있는 바닥구성요소(2)을 보여준다. 여기서 이 접힌 상태 내에서는 단지 상부측벽세그먼트(12)만 볼 수 있다. 왜내하면 그 작은 것은 측벽(5)의 중간부에 배열되고, 측벽세그먼트 아래에 상부측벽세그먼트(12)의 하부중간에 바닥구성요소(2)와 상부측벽세그먼트(12)의 사이에 놓인다. 상부측벽세그먼트(12)에 하부측벽세그먼트(11)의 수용을 위한 오목부의 구석영역에서 가두리를 친 챔퍼링부(12a)를 볼 수 있다. 이 영역은 내부로 즉 접힌 상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한다.
도 53은 베니션블라인드(56)을 위한 프레임의 상세도면을 보여준다. 이 베니션블라인드(56)은 프레임(60)에 결합된 롤(61) 위에서 감아 올릴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60)을 따라서 운행될 수 있다. 이 프레임(60)은 천정구성요소(3)의 천정세그먼트 개구(3j)에서 우선적으로 배열된다.
도 54는 지지바(59)의 세부도면을 보여준다. 이 지지바는 천정구성요소(3)의 천정세그먼트 개구(3j)의 영역에, 그러나 천정세그먼트 개구(3j)와 프레임(60)의 하부중간에 배치된다. 이 지지바(59)는 전면 크로스바(59a)와 후면크로스바(59b)를 마치 두 개의 연결하는 축방향바(56c,59d) 처럼 포함한다. 이 지지바(59)는 특히 천정구성요소(3)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축방향바(59c,59d)로부터 측면으로 외부 스태빌라이저(62)를 향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것들은 크로스 형태로 배치된 크로스로드(63)과 외부로 평행하게 축방향바(59c,59d)에 배치된 최후로드(64)로 형성된다. 이 양 크로스로드(63)은 하나의 중반부 조인트(65)에 부드럽게 서로서로 결합된다.
도 55는 지지바(59)의 다른 운행상태를 묘사한다. 이 축방향바(59c,59d)가 서로 연달아 내부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양 축방향바(59c,59d)의 끝단이 전반부와 후반부 크로스바(59a,59b)를 따라 움직인다. 이 스태빌라이저(62)는 도 54의 묘사에 비해서 더 확장됩니다. 이 상태에서 지지바(59)는 확장되어 나온 스태빌라이저와 밀려지는 축방향바(59c,59d)와 협력하여 거기에 놓여지는 베니션블라인드(56)을 지지한다. 다시 말해 이 것은 손상이 없도록 비교적 큰 힘을 수용할 수 있다.
도 56은 바닥구성요소(2)의 양 투명바닥구성요소(2b, 2c)를 보여준다. 또한 바닥구성요소(2)b의 왼쪽 반쪽에 대해서 하나의 보호커버가 이동되는 것이 묘사된다. 이 보호커버(66)은 롤(67)로부터 처리되고 계속적인 운행에 있어서 그 전체의 투명바닥구성요소(2b, 2c)를 카버한다. 이 보호카버(66)은 예를 들어 어떤 직물 도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이 보호커버(66)가 가스쿠션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제공한다. 이 보호커버(66)으로 투명바닥구성요소(2b, 2c)를 덮는 것은 특히 루프박스 안으로 어떤 것들이 들어올 경우에 목적에 부합한다. 다시 말해 유리로 만들어진 투명바닥구성요소(2b, 2c)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1 루프박스
2 바닥구성요소
2a 바닥구성요소 개구
2b, 2c 투명 바닥구성요소
3 천정구성요소
3a 천정세그먼트
3aa 처짐곡선
3b 천정세그먼트
3bb 상부측 데크부재
3c 천정세그먼트
3cc 측면패널 천정세그먼트
3d 후면 천정세그먼트
3e 전면 천정세그먼트
3f, 3g, 3h 천정세그먼트
3i 천정구성요소측면부
3j 천정세그먼트 개구
4 후벽
5 측벽
5a 플랜지
6 내부공간
7 하부측벽조인트(힌지)
8 상부측벽조인트(힌지)
9 후벽조인트(힌지)
10 중간조인트(힌지)
11 하부측벽세그먼트
12 상부 측벽세그먼트
12a 챔퍼링부
13 크로스(횡방향)부재
14 종방향부재
15 프레임
15a 횡방향웨브프레임
15b 종방향웨브프레임
16 전방천정구성요소 조인트(힌지)
17 프레임 조인트(힌지)
18 천정세그먼트조인트(힌지)
19 바닥벽
20 고정수단
21 관절조인트(힌지)
22 에어쿠션
22a 상부에어쿠션
22b 하부에어쿠션
221 상측 에어쿠션
222 에지에어쿠션
223 에어쿠션의 요홈부
23 조인트(힌지)래치
24 홈
25 컨버터블 루프
26 전방조인트(힌지)
27 후방조인트(힌지)
28 루프표면
29 트렁크덮개
30 상부
31 승강장치
32 조인트(힌지)
33 봉(바)
34 힌지점
35 차량루프개구부
36 후드(데크)
37 케이블
40 차량
41 차량루프
41a 차량루프의 리딩에지
41b 차량루프의 트레일링에지
41c 차량루프의 개구부
42 홈부
42a 트레일링에지 홈부
42b 리딩에지 홈부
42c 래터럴에지 홈부
43 변위방향
44 처짐라인(굽힘라인, 굴곡라인)
45 회전브라켓
45a 중앙웹
45b 외부웹
46 회전브라켓 조인트(힌지)
47 스프링 클립
48 지지고정스트랩
49 레일
50 루프홈부
51 비드
52 대응비드
53 실링
54 오버랩부
55 이동스키드
56 베니션 블라인드
57 롤
58 롤러 블라인드
59 지지바
59a 전면 크로스바
59b 후면 크로스바
59c, 59d 축방향바
60 프레임
61 롤
62 스태빌라이저
63 크로스로드
64 최후로드
65 조인트(힌지)
66 보호카버
67 롤

Claims (43)

  1. 자동차의 루프에 루프박스(1)가 일체로 형성되어 유용한 내부공간(6)을 형성하는 차량용 루프박스에 있어서,
    내부공간(6)의 체적변화를 위한 체적변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는 체적변화수단에 의해 내부공간(6)이 최대체적을 갖는 확장상태와 내부공간(6)이 최소체적을 갖는 축소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특히 상기 최소체적은 최대체적의 50%보다 작고, 25%보다 작으면 바람직하고, 10%보다 작으면 더욱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차량용 루프박스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는 상기 내부공간(6)을 형성하기 위한 벽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벽구성요소는 바닥구성요소(2), 천정구성요소(3), 후벽(4) 및/또는 측벽(5)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부분이 차량의 루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는 상기 체적변화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는 내부공간(6)을 형성하기 위한 벽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벽구성요소는 바닥구성요소(2), 천정구성요소(3), 후벽(4) 및/또는 측벽(5)를 포함하는,
    상기 체적변화수단은 피봇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피봇수단은 각각의 벽구성요소를 회동시키기 위해 및/또는 각각의 벽구성요소의 부분을 회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에 로딩장치, 루프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상기 지지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랙은 상기 지지장치가 차량(200)의 양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4), 상기 측벽(5) 또는 상기 천정구성요소(3)는 적어도 2개의 후벽부분, 적어도 2개의 측벽부분(11,12) 또는 적어도 2개의 천정부분(3a, 3b, 3c)을 구비하며, 상기 후벽(4)의 적어도 2개의 후벽부분, 상기 측벽(5)의 적어도 2개의 측벽부분(11,12) 또는 상기 천정구성요소(3)의 적어도 2개의 천정부분(3a, 3b, 3c)는 피봇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후벽(4)의 적어도 2개의 후벽부분 또는 상기 측벽(5)의 적어도 2개의 측벽부분(11,12)은 내부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수단은 상기 2개의 측벽부분(11,12) 및/또는 상기 2개의 측벽부분(11,12) 또는 상기 2개의 천정부분(3a, 3b, 3c)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피봇축 주위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5)은 각각 2개의 측벽부분(11,12)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5)의 종방향으로, 루프박스(1)가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측을 향하는 제1측벽부분(12)이 측벽(5)의 전방영역으로 연장하며, 제2측벽부분(11)은 이 측벽의 전방영역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상기 측벽(5)의 전방영역이 차량의 루프표면이 밖으로 굽혀지기 시작하는 영역에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5)의 종방향으로, 상기 측벽(5)의 전방영역이 상기 측벽(5)의 중간영역과 인접하거나 상기 측벽(5)의 중간영역이 상기 측벽(5)의 후방영역과 인접하며, 상기 측벽(5)은 전방영역, 중간영역 및 후방영역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영역 또는 중간영역에서 상기 제2 측벽부분(11)은 바람직하게는 중간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또는 상기 제1 측벽부분(12)은 전방영역과 중간영역 또는 후방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전방영역과 중간영역 또는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5)은 각각 제1 측벽부분(12)과 제2 측벽부분(11)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측벽부분(11)은 적어도 세모서리, 바람직하게는 네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을 구비하며, 다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측벽부분(11)의 모서리(에지)는 상기 측벽(5)의 하부에지 또는 상부 에지의 부분을 이루며, 상기 제2 측벽부분(11)의 다른 모든 에지는 루프박스(1)가 외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제1 측벽부분(12)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3.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수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벽구성요소 또는 벽부분 사이에서 병진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이 같은 피봇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5) 및 상기 천정구성요소(3) 사이에서 추가로 병진운동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횡방향부재(13)와 두 개의 종방향부재(14)를 포함하는 프레임(15)을 구비하며, 상기프레임(15)은 상기 피봇수단에 의해 상기 후벽(4), 상기 측벽(5) 및/또는 상기 천정구성요소(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5.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5)은 루프박스(1)의 전방측면으로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며, 차량의 루프형태에 상응하여 만곡되게 형성된 천정구성요소(5)와 함께 대략 쐐기형태, 공기역학적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6.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는 내부공간(6)을 형성하기 위해 벽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체적변화수단은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부분을 루프박스가 축소상태에 대응하는 주어진 제1 형태변화상태로부터 루프박스가 확장상태에 대응하는 제2 형태변화상태로 가역적으로 형태 변환하기 위한 형태변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형태변화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기기가 구비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부분의 형태변화는 상기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부분의 굽힘을 포함하며, 상기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부분에 굽힘이 이루어도록 공칭굽힘위치와 공칭굽힘선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변화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벽구성요소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개 이상의 압전소자를 포함하며, 수용수단(119,140)은 래칭장치(119,140)를 포함하며, 전기접점 또는 텔레스코핑로드 또는 피봇가능한 링크와 같은 기계적 형태변화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부분은 형상기억합금 또는 형상기억폴리머 등과 같은 형상기억재료를 포함하거나, 상기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부분을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확장된 상태로 또한 그 반대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부분은 신축성있는 재료로 구성되며 형태변화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0. 제16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6)은 바닥구성요소(2)와 천정구성요소(3)로 형성되며, 상기 형태변화수단은 상기 천정구성요소(3)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1. 제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수단은 상기 루프박스(1)가 접힌상태와 확장된상태 사이를 이동하도록 특히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공압제어 가능한 가스쿠션, 특히 에어쿠션, 전기모터, 서버모터, 스프링,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팅수단은 피봇수단 또는 벽구성요소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피봇수단은 에어쿠션, 전자석 및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는 바닥구성요소(2), 및/또는 후벽(4) 또는 측벽(5)으로 형성되는 상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박스(1)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31)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30)는 상기 양 위치 사이의 이동시, 상기 피봇수단에 의해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자체 폐쇄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은 상기 상부(30)에 대한 폐쇄를 형성하며 폐쇄상태에서 상기 상부(30)와 함께 루프박스(1)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이 폐쇄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폐쇄수단은 상기 상부(30)를 회동시키기 위한 피봇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4. 제22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30)는 내부체적이 루프박스(1)의 전체체적의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성요소(2)는 주위바닥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6. 제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변화수단은 각 벽구성요소를 서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벽(4)은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천정구성요소(3)의 하부로 이동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7. 제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가 확장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벽구성요소에 인접하는 벽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동시에 상기 벽구성요소의 회동시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8. 제2항 내지 제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를 축소상태 또는 확장상태에서 래칭하기 위한 래칭수단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칭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래칭수단은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6)에 이송될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특히 가스쿠션, 홀더 또는 대응되어 형성된 쿠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의 수축상태 또는 확장상태 또는 상기 루프박스(1)의 위치 또는 상기 루프박스(1)의 화물충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재가 구비되며, 또는 상기 루프박스(1)의 내부공간(6)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센서부재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는 내부공간(6)을 형성하기 위한 벽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벽구성요소 또는 벽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또는 상기 벽구성요소의 적어도 부분분은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구성요소 또는 상기 벽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색상변경수단은 투명한 상태에서 칼라상태로 또 그 반대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1)의 상기 바닥구성요소(2) 또는 상기 천정구성요소(3)에는 투명한 벽구성요소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구성요소(2) 특히 상기 천정구성요소(3)에 상기 투명한 벽구성요소를 제공할 때 상보개구가 구비되며, 또는 상기 천정구성요소(3)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구성요소(2)에 상기 투명한 벽구성요소를 제공할 때 상보개구가 구비되며 이 개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카버수단은 상기 이송물품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도록 안정되게 형성되며, 상기 카버수단은 특히 바람직하게 지지로드 또는 지지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4. 제2항 내지 제3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성요소(2)의 베이스는 다각형이 아니며 사각형이 아니며 또는 상기 바닥구성요소(2)의 베이스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루프표면의 형태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5. 제3항 내지 제3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변화수단은 각각의 벽구성요소 또는 각각의 벽구성요소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링크 또는 전자기계시 실린더 또는 기계식 실린더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6. 제5항 내지 제3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변화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링크, 회전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체적변화수단은 루프박스의 외부유출상태와 유입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며 상기 링크는 루프박스(1)의 확장상태 또는 루프박스(1)의 수축상태에서 래칭하기 위한 래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7. 제3항 내지 제3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동가능하고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루프박스(1)의 2개의 부분 사이 인접한 벽부분 사이 또는 벽부분의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 또는 프레임과 벽구성요소 사이에는 상기 루프박스(1)의 2개부분의 중첩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박스.
  38. 차량의 루프에 있어서,
    상기 루프에는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박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상기 루프박스(1)를 수용하기 위한 루프홈부(2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는 상기 루프의 표면 전체의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41. 제38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쿠페, 스포츠웨건, 해치백으로 형성된 차량용으로 형성되며 상기 루프의 후단부 영역에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를 따라 루프박스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프로파일, 그루브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박스에 상기 프로파일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대응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42.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는 제32항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차량루프(41)에는 상기 루프박스(1)의 바닥구성요소(2) 또는 천정구성요소(3)의 개구와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되는 차량루프개구(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
  43.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제38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47004047A 2011-07-17 2012-07-17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KR102073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51891 DE102011051891A1 (de) 2011-07-17 2011-07-17 Dachbox und verfahrbarer Dachgepäckträger für Kraftfahrzeuge
DE102011051891.6 2011-07-17
DE102011054802.5 2011-10-25
DE102011054802 2011-10-25
DE102011055543 2011-11-21
DE102011055543.9 2011-11-21
DE102011055848 2011-11-29
DE102011055848.9 2011-11-29
DE102011055847 2011-11-29
DE102011055847.0 2011-11-29
DE102012106103 2012-07-06
DE102012106103.3 2012-07-06
PCT/EP2012/064038 WO2013011041A2 (de) 2011-07-17 2012-07-17 Dachbox, kraftfahrzeugdach mit dachbox sowie kraftfahrzeug mit dach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881A true KR20140068881A (ko) 2014-06-09
KR102073999B1 KR102073999B1 (ko) 2020-02-05

Family

ID=4654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047A KR102073999B1 (ko) 2011-07-17 2012-07-17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93306B2 (ko)
EP (1) EP2755857B1 (ko)
JP (1) JP6147253B2 (ko)
KR (1) KR102073999B1 (ko)
CN (1) CN103974852B (ko)
ES (1) ES2677847T3 (ko)
WO (1) WO201301104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718A (ko) 2015-07-13 2016-01-06 유기성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KR20160001048A (ko) 2014-06-26 2016-01-06 유기성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KR20190009044A (ko) * 2017-07-18 2019-01-28 김기환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7082A2 (de) * 2013-03-18 2014-09-25 Serle Espig VERFAHREN ZUR ÜBERSTELLUNG VON TRANSPORTGUT IN EINEM ABSCHLIEßBAREN TRANSPORTBEHÄLTER, ABSCHLIEßBARER TRANSPORTBEHÄLTER UND TRANSPORTSYSTEM
CN106032153B (zh) * 2015-03-20 2019-03-01 天翊公司 复合机能车
CN107750212A (zh) * 2015-04-13 2018-03-02 Ses解决方案股份有限公司 虚拟的全景车顶或天窗组件
CN104786788A (zh) * 2015-04-30 2015-07-22 柳州杰龙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汽车盖板
US20180370449A1 (en) * 2015-12-22 2018-12-27 Avriel BAR JOSEPH Device for mounting suitcase to car and suitcase containing same
WO2017134047A1 (de) 2016-02-01 2017-08-10 SEs Solutions GmbH Faltbarer dachbehälter für ein kraftfahrzeug
GB201602805D0 (en) * 2016-02-17 2016-03-30 Purple Line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folding campers
WO2017199270A1 (de) * 2016-05-17 2017-11-23 Roberto AMORIELLO Dachbox zum transportieren von gepack auf dem dach eines fahrzeuges
US10543771B2 (en) * 2016-06-05 2020-01-28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US9884627B1 (en) * 2016-07-31 2018-02-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vehicle fuel efficiency based on an altered vehicle surface area
CN106114389B (zh) * 2016-08-25 2018-12-04 绍兴市上虞简单袜业有限公司 货运轿车
CN106143334B (zh) * 2016-08-25 2019-04-05 新昌县怡海顾建农业开发有限公司 运货家用车
CN106218523B (zh) * 2016-08-25 2018-10-02 嘉兴欧祥通讯设备有限公司 扩展式乘用车
CN106143333B (zh) * 2016-08-25 2018-08-24 新沂城北新区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装载式运输车
CN106427805A (zh) * 2016-09-29 2017-02-22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上下推拉式车顶储物箱
DE102016012708A1 (de) * 2016-10-25 2018-04-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zum Steuern zumindest einer Fahrzeugfunktion einer Fahrzeuganordnung und Fahrzeuganordnung
US10369857B2 (en) 2016-12-01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vehicle tilt
CN106639732B (zh) * 2016-12-26 2019-07-02 天津科技大学 一种自动双开门车顶箱及其控制系统
DE102018204527A1 (de) 2017-09-18 2019-03-21 SEs Solutions GmbH Dachhalterung für ein Automobil
CN107891820A (zh) * 2017-10-26 2018-04-10 深圳市奈士迪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便于放置行李的具有防潮功能的太阳能汽车
CN109754540B (zh) * 2017-11-07 2021-01-1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闸门机构及存取款设备
RU187067U1 (ru) * 2018-03-13 2019-02-18 Игорь Вячеславович Андреев Надувно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бокс
EP3546321B1 (en) * 2018-03-29 2023-01-18 Volvo Car Corporation A method for forming a vehicle assembly
CN109131115A (zh) * 2018-08-13 2019-01-04 倪晋挺 汽车行李架保护装置
CN109572570A (zh) * 2019-01-17 2019-04-05 重庆创穗科技发展有限公司 车辆顶置多功能箱及房车
ES2778949A1 (es) * 2019-02-12 2020-08-12 Salas Luis Jose Diaz Cofre portaequipajes plegable mejorado
DE102019105339A1 (de) * 2019-03-04 2020-09-10 Hbpo Gmbh Dachmodul für autonome Fahrzeuge
US10857948B2 (en) * 2019-03-11 2020-12-08 Stephen Sophorn Lim Convertible vehicle storage container
NL2022930B1 (en) 2019-04-11 2020-10-20 Onak Bvba Roof box system, motor vehicle with roof box system and method for roof box manufacturing and assembly
US11180086B2 (en) * 2019-11-20 2021-11-23 Toni Theobald Rooftop storage compartment
US11472346B2 (en) * 2020-02-21 2022-10-18 Dorian Reed, SR. Modular automotive side body storage assembly
CN111546990B (zh) * 2020-04-17 2023-04-1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安装的车载式工器具管理箱
CN111546991B (zh) * 2020-04-17 2023-04-1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车载式工器具管理箱
KR102349073B1 (ko) 2020-04-29 2022-01-10 김린 공기 유입 저감형 자동차 루프박스
KR102403642B1 (ko) 2020-04-29 2022-05-27 김린 밀착형 자동차 루프 박스
DE102020004864B4 (de) * 2020-08-10 2023-03-23 Viktor Rakoczi Dachkoffer, Dachgepäckträger und Dachkoffersystem
US11976487B2 (en) * 2020-09-22 2024-05-07 Flated Llc Inflatable cargo carrier for a vehicle roof
CN113442842B (zh) * 2021-07-23 2024-03-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可溃缩变形的机盖隔音棉装置、汽车机盖总成及汽车
US11667245B2 (en) * 2021-07-30 2023-06-06 Tony Neesham Expendable roof top cargo carrier for a vehicle
CN113602202A (zh) * 2021-08-02 2021-11-05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行李箱和具有其的车辆
CN115158146B (zh) * 2022-07-14 2024-03-08 沈阳得乐仪器设备研发有限公司 房车车厢升降装置
DE102022123782A1 (de) 2022-09-16 2024-03-21 Audi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Trägersystem, Kraftfahrzeug und Kommunikations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7516A1 (de) * 1977-04-20 1978-10-26 Holz Wolfgang Wohnmobil
JPH05254374A (ja) * 1992-03-14 1993-10-05 Kiyatsutsu Hanzu Kk 車両用キャリングケース
US20090001773A1 (en) * 2007-06-26 2009-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otor vehicle ro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36981A (fr) * 1967-05-19 1968-08-23 Renault Dispositif pour convertir un véhicule automobile de tourisme en véhicule utilitaire
US3596977A (en) * 1969-08-13 1971-08-03 Howard P Bunger Foldable car top shelter
US3879080A (en) * 1973-06-07 1975-04-22 Del Page Freeman Hatchback automobile accessory
CA1005096A (en) * 1974-02-27 1977-02-08 Michael Gogush Elevating mechanism for the roofs or tops of vans and the like
BE875141A (fr) * 1979-03-28 1979-09-28 Benit Claude Porte-bagages, respectivement coffre auxiliaire a bagages pour vehicules automobiles
DE2921264A1 (de) * 1979-05-25 1980-12-04 Weinsberg Karosseriewerke Mindestens einseitig hochstellbare dachanordnung fuer ein fahrzeug
DE3036100A1 (de) * 1980-09-25 1982-05-06 Karosseriewerke Weinsberg Gmbh, 7102 Weinsberg Wohnfahrzeug
JPS60152554U (ja) * 1984-03-22 1985-10-11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トラツクのル−フキヤリア
DE10341558A1 (de) 2003-09-09 2005-03-31 Webasto Ag Kraftfahrzeugdach mit einer sich in Dachlängsrichtung erstreckenden Mittelkonsole
FR2871753B1 (fr) 2004-06-18 2007-10-12 Plastic Omnium Cie Piece de carrosserie de toit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elle piece de carrosserie
US7699372B2 (en) * 2007-03-12 2010-04-20 Chrysler Group Llc Integrated car top carrier
US20080245834A1 (en) * 2007-04-09 2008-10-09 Abramczyk William M Collapsible storage system
DE102007042345B3 (de) * 2007-09-06 2009-04-16 Hs Genion Gmbh Fahrzeug mit einem Fahrzeugdach mit wenigstens einem aufstellbaren Dachteil
JP2011110416A (ja) * 2009-11-26 2011-06-09 Sanji Okuhisa 折り畳み式洗面器
US8419120B2 (en) * 2011-03-21 2013-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a panel that is moveable to provide increased head room above a rear row of sea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7516A1 (de) * 1977-04-20 1978-10-26 Holz Wolfgang Wohnmobil
JPH05254374A (ja) * 1992-03-14 1993-10-05 Kiyatsutsu Hanzu Kk 車両用キャリングケース
US20090001773A1 (en) * 2007-06-26 2009-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otor vehicle ro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48A (ko) 2014-06-26 2016-01-06 유기성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KR20160001718A (ko) 2015-07-13 2016-01-06 유기성 텐트겸용 차량용 루프박스
KR20190009044A (ko) * 2017-07-18 2019-01-28 김기환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74852B (zh) 2018-12-28
ES2677847T3 (es) 2018-08-07
JP6147253B2 (ja) 2017-06-14
CN103974852A (zh) 2014-08-06
WO2013011041A2 (de) 2013-01-24
US9193306B2 (en) 2015-11-24
KR102073999B1 (ko) 2020-02-05
WO2013011041A3 (de) 2013-04-25
JP2014521544A (ja) 2014-08-28
US20140132022A1 (en) 2014-05-15
EP2755857A2 (de) 2014-07-23
EP2755857B1 (de)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8881A (ko)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CN207106653U (zh) 用于车辆货物区域的工作表面装置和车辆
US9738143B2 (en) Self-storing folding tonneau cover
US8474896B2 (en) Vehcile topper that encloses the cargo bed of a vehicle such as a pickup truck, yet provides convenient open access thereto
US7182380B2 (en) Tailgate extender systems
CN107640098B (zh) 车顶行李架组件和车辆
KR102027016B1 (ko) 차량용 이동 루프랙
US7543875B2 (en) Tailgate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US10864858B2 (en) Roof box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case for a roof box system
US11951819B2 (en) Skeleton for truck bed and convertible top
CN102596696A (zh) 减阻设备
US9108685B1 (en) Apparatus for reducing vehicle drag and covering a tonneau of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WO2003057527A2 (en) Recreational vehicle
US11046159B2 (en) Skeleton for truck bed and convertible top
CA2834605C (en) Flexible folding cover
US3680909A (en) Tent camper
US3756648A (en) Tent camper
CN209888761U (zh) 货车置物结构及安装有货车置物结构的货车
US20130307287A1 (en) Tonneau cover locking clamp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46578B1 (ko) 화물자동차 화물덮개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