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007A -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007A
KR20150145007A KR1020140074192A KR20140074192A KR20150145007A KR 20150145007 A KR20150145007 A KR 20150145007A KR 1020140074192 A KR1020140074192 A KR 1020140074192A KR 20140074192 A KR20140074192 A KR 20140074192A KR 20150145007 A KR20150145007 A KR 20150145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s
grinding
thickness
gap adjusting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1403B1 (ko
Inventor
김준
이영
Original Assignee
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 filed Critical 이영
Priority to KR102014007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4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 B24B7/1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end-faces, e.g. of gauges, rollers, nuts, piston rings for simultaneously grinding opposite and parallel end faces, e.g. double disc gr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홀더와, 상기 홀더들 중 일 홀더의 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타 홀더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연삭팁과, 상기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상기 주축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들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소재의 가공면을 연삭하는 연삭 공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로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삭팁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며, 간격이 조절된 연삭팁들을 이용하여 소재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연삭 가공할 수 있는 연삭 공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Grinding tool and machining device}
본 발명은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의 가공 단계 및 가공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삭 공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machine tools)는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소재를 목적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는 장치이며, 그 중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CNC lathe)은 가공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주축대(head stock)에 고정된 소재의 가공면을 공구대(turret)에 장착된 공구(tool)로 절삭 및 연삭 가공하는 공작 기계이다.
상기의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이하, CNC 선반)은 현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예컨대 실용신안공보 제20-1991-0001542호에 4축 제어 CNC선반의 회전센터가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980호에 정밀부품 가공용 씨엔씨 선반용 척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7245호에 CNC 선반용 제어 공구대가 개시되어 있다.
CNC 선반은 소재의 외경가공, 내경가공, 테이퍼가공, 단면가공, 홈가공 및 나사가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공작 기계이나, 소재의 양측 단면을 연삭 가공하는데 있어서는 부득이하게 일측 단면을 가공하는 1차 가공과 타측 단면을 가공하는 2차 가공으로 그 단계를 나누어 수행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CNC 선반은 먼저 연삭 공구와 마주하는 소재의 일측 단면을 1차 가공하고, 다음으로 소재의 타측 단면이 연삭 공구와 마주하도록 소재의 장착 방향을 바꾸어 재 장착시키고, 마지막으로 연삭 공구와 마주하는 소재의 타측 단면을 2차 가공하였다. 이처럼 종래에는 1차 가공과 2차 가공의 사이에 소재의 재 장착 및 연삭 공구의 위치 정렬 단계를 수행하였으며, 소재의 재 장착 및 연삭 공구 위치 정렬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은 전체 공정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한편, 상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면의 연삭가공에 사용되는 공구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후 이들을 용접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와 같이 용접에 의해 임시 제작된 공구는 그 제작 시 가공 가능한 수치가 정해지게 되어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1991-0001542 Y1 KR 10-2014-0056980 A KR 10-2009-0067245 A
본 발명은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 및 두께의 소재를 가공할 수 있는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재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연삭 가공할 수 있는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소재의 평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재의 가공 단계 및 가공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삭 공구는 소재의 가공면을 연삭하는 연삭 공구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홀더; 상기 홀더들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연삭팁; 및 상기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들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홀더들의 사이에서 상기 홀더들에 각각 결합되는 간격조절볼트; 및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들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들은 상기 홀더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면이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고정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너트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고정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홀더들의 사이에서 상기 홀더들에 각각 결합되는 간격조절볼트; 및 상기 홀더들의 사이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간격조절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블록들은 상기 홀더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일 단부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타 단부에는 지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간격조절블록들 중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에 상기 일 간격조절블록을 마주하는 타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홈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들 중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와 마주하는 일 홀더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 가능한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홀더들 중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와 마주하는 타 홀더에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한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블록들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상기 간격조절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간격조절블록들의 두께에 따라 상기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홈의 두께는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두께는 상기 지지홈의 두께보다 작거나, 상기 지지홈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들 각각에는 상기 연삭팁으로부터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가 상기 결합공들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들 중 일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들 중 타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일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결합공의 단차에 삽입 가능한 볼트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일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타 결합공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나사산의 피치에 따라 상기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공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연삭 공구가 장착되는 가공 장치로서, 소재가 장착되는 주축대; 및 상기 주축대가 향하는 주축방향 및 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 주축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공구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구대에 상기 연삭 공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삭 공구의 간격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삭팁들 사이의 간격을 상기 소재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소재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연삭 가공하거나, 상기 연삭팁들 사이의 간격을 상기 소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소재의 일측 단면과 타측 단면을 순차적으로 연삭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고 연삭팁이 장착된 복수개의 홀더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재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연삭 가공할 수 있다. 이로부터 소재의 가공 단계 및 가공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소재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가공함에 따라 소재를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고, 소재의 평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의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형상 및 두께의 소재를 연삭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소재의 평행도 치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홀더들과 간격조절부재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서로 분리 및 결합되며, 이에 각 구성부가 분리 및 결합되기 용이한 구조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필요시에만 서로 결합되어 소재의 양측 단면을 함께 가공 가능한 연삭 공구를 형성하여 소재의 양면을 가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그 외의 경우에는 분리되어 일반적인 단면의 연삭가공 공구로 전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격조절볼트의 나사산 피치에 따라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며, 나사산 피치의 치수와 간격조절볼트의 회전수로부터 홀더들 사이의 간격 변화 정도를 용이하게 산출 가능하다. 이로부터 소재의 평행도 치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목적하는 치수를 만족하도록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간격조절블록들을 조합하여 간격조절볼트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연삭팁들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절블록은 그 치수의 규격화가 가능함에 따라, 소재의 양측 단면의 평행도 치수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삭 공구가 CNC 선반에 적용되는 경우, 연삭 공구는 CNC 선반의 공구대에 장착되며, CNC 선반은 연삭 공구로 소재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연삭 가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보다 소재의 가공 단계를 간소화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가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즉, CNC 선반의 공구대에 장착된 하나의 연삭 공구를 이용한 한 번의 연삭 공정만으로도 소재의 양측 단면을 함께 가공할 수 있고, 따라서, CNC 선반의 소재 가공 공정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구성부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인하여, 연삭 공구는 소재의 양측 단면을 연삭 가공하는 공구로도 사용할뿐만 아니라, 소재의 일측 단면만을 연삭 가공하는 공구로도 활용 가능함에 따라 CNC 선반의 단면가공 공구를 대체 가능하다. 즉, CNC 선반에 구비된 기존의 단면가공용 연삭 공구를 대체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CNC 선반은 공구들의 개수가 늘어나지 않으면서도 소재의 양측 단면을 연삭 가능하게 그 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를 이용한 소재의 연삭 가공을 도시한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그 크기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를 구비하는 가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를 이용한 소재의 연삭 가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의 개략도,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의 개략도,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 장치(1000)는 소재(1)의 가공면을 절삭 가공 및 연삭 가공하는 장치이며, 예컨대 CNC 선반일 수 있다. 가공 장치(1000)의 구성은 기계적 구성부인 선반부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분될 수 있다. 선반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대(100), 베드(200), 왕복대(300) 및 공구대(400)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연삭 공구(500, 500')는 공구대(4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어기(controller)와 이에 내장되는 CNC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주축대(head stock, 100)는 소재(1)가 장착되며, 장착된 소재(1)를 주축(12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성부로서, 소재(1)를 고정시키는 척(chuck, 110)과 척(110)을 회전시키는 주축(spindle, 120)을 구비할 수 있다. 소재(1)는 척(110)에 고정되어 주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소재(1)의 가공면에 접촉되는 연삭 공구(500)에 의하여 연삭 가공될 수 있다. 베드(bed, 200)는 왕복대(300)와 공구대(400)가 장착 지지되는 구성부로서, 주축(120)과 평행한 안내면을 구비하고, 안내면은 연삭 공정 중 발생되는 칩(chip)이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왕복대(300)는 주축대(100)가 향하는 방향인 주축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베드(200)의 경사진 안내면에 장착될 수 있고, 공구대(turret, 400)는 왕복대(300)의 상부면상에서 주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주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은 왕복대(300)의 안내면을 따라 공구대(400)가 왕복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공구대(400)에는 소재(1)의 가공면에 접촉하여 가공면을 연삭 가능하도록 공구대(400)의 중심축(41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연삭 공구(500, 500')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연삭 공구는 공구대(400)에 볼팅(bolting)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홀더(510a, 510a')와 공구대(400)와의 볼팅에 의하여 공구대(400)에 장착 고정되는 연삭 공구(500, 500')를 예시한다. 물론, 공구대(400)에는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연삭 공구뿐만 아니라, 소재(1)의 내경가공, 외경가공, 테이퍼가공, 단면가공, 홈가공 및 나사가공을 수행 가능한 별도의 공구들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장착되는 연삭 공구 및 별도의 공구들은 공구대(400)의 중심축(41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공구대(400)는 각각의 가공 단계에 적합한 공구를 소재(1)의 가공면에 위치시키도록, 주축(120)과 평행한 공구대(400)의 중심축(4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면, 공구대(400)는 주축방향 및 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의 주축방향과 평행한 공구대(400)의 중심축(4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연삭 공구는 중심축(4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구대(4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공구대(400)를 왕복 및 회전시켜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연삭 공구의 연삭팁(520)을 소재(1)의 가공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500)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연삭 공구(5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각 구성의 형상 및 위치관계를 '길이방향' 및 '주축방향'을 사용하며 설명하며, 이들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길이방향'은 연삭 공구(500)의 홀더(5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도면상의 z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주축방향'은 연삭 공구(500)가 장착되는 가공 장치(1000)의 주축(spindle, 120)이 향하는 방향으로 도면상의 x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상기의 방향 정의에 의하면, 소재(1)는 y-z 평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하며, 소재(1)의 가공면들 중 일측 단면(1a)과 타측 단면(1b)는 y-z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연삭 공구(500)는 주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소재(1)의 가공면 예컨대 일측 단면(1a) 및 타측 단면(1b)을 연삭하는 공구로서, 길이방향 예컨대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주축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홀더(510), 홀더(510)들 중 일 홀더의 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타 홀더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연삭팁(520),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주축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홀더(510)들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530)를 포함한다.
홀더(5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홀더(510a)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홀더(510a)로부터 주축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홀더(510b)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510)들은 각각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각 막대의 형상을 가지는 홀더(510)들을 예시하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홀더(510)들의 단부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구부러지며, 굴곡된 단부에는 각각 연삭팁(520)이 장착 가능하도록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마련된다.
홀더(510)들 각각에는 연삭팁(520)으로부터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는 결합공(511: 511a, 511b)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홀더(510a)의 타 단부에는 제1 결합공(511a)이 구비되며, 이에 인접하는 제2 홀더(510b)의 타 단부에는 제2 결합공(511b)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공(511a)은 제1 홀더(510a)를 주축방향으로 관통하며, 내주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공(511b)은 제2 홀더(510b)를 주축방향으로 관통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공(511b)은 제2 홀더(510b)의 일부만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전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공(511b)의 관통 길이는 제2 홀더(510b)의 주축방향으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고, 또는, 제2 홀더(510b)의 주축방향으로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제2 결합공(511b)을 마주하는 제1 결합공(511a)의 일 단부와, 제2 결합공(511b)의 내경의 크기는 서로 대응되며, 이들은 후술하는 간격조절부재(530)의 간격조절볼트(531)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의 크기를 가진다. 제1 결합공(511a)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단차는 제1 결합공(511a)의 일 단부보다 내경의 크기가 크며, 후술하는 간격조절볼트(531)의 볼트헤드(531a)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의 크기를 가진다.
연삭팁(520)은 홀더(510)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소재(1)의 가공면에 접촉하여 이를 연삭 가능하도록 홀더(510)들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연삭팁(520)은 제1 홀더(510a)의 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제2 홀더(510b)의 단부에 장착되며, 소재(1)의 단면 가공에 용이하도록 그 날끝이 주축방향에 교차하는 평면 예컨대 y-z평면에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삭팁(520)은 홀더(510)에 클램핑부재(521)에 의해 장착 고정될 수 있으며, 클램핑부재(521)는 예컨대 연삭팁(520)과 홀더(510)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530)는 홀더(510)들의 사이에서 홀더(510)들에 각각 결합되는 간격조절볼트(531) 및 간격조절볼트(53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홀더(510)들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532)를 포함할 수 있고,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조절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간격조절볼트(531)는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재로서,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가 상술한 결합공(511)들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간격조절부재(530)의 일 단부가 제1 결합공(511a)에 삽입되고, 타 단부가 제2 결합공(511b)에 결합될 수 있다. 간격조절볼트(531)의 양 단부 중 일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제1 결합공(511a)의 단차에 삽입 가능한 볼트헤드(53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볼트(531)의 양 단부 중 상기의 일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일부에 상술한 제2 결합공(511b)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조절볼트(531)의 일 단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볼트헤드(531a)는 제1 결합공(511a)의 단차에 삽입되며, 제1 홀더(510a)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소재(1)가 가공되는 동안, 연삭 공구(500)에는 제1 홀더(510a)를 공구대(400)에 장착된 제2 홀더(510b)로부터 멀어지게 하려는 힘이 작용될 수 있으나, 이는 간격조절볼트(531)의 볼트헤드(531a)와 나사산(531b)에 의하여 상쇄될 수 있다. 간격조절볼트(531)의 볼트헤드(531a)에는 치구를 삽입 가능한 육각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육각 홈을 통하여 접속된 치구는 간격조절볼트(53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간격조절볼트(531)의 일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531b)은 제2 결합공(511b)의 나사산에 결합되며, 그 결합에 의해 간격조절볼트(531) 및 이에 결합된 제1 홀더(510a)를 지지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간격조절볼트(531)의 나사산은 그 나사산의 피치(pitch)의 치수에 따라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다음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의 나사산의 피치가 3mm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간격조절볼트(531)를 나사산이 풀리는 방향으로 10회 회전시키면,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초기 간격보다 30mm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피치의 치수를 더욱 작게 하는 경우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간격조절볼트(531)의 외주면에는 홀더(51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면(531c)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간격조절볼트(531)의 일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외주면 즉, 나사산(531b)이 형성된 외주면을 나사산(531b)을 주축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고정면(531c)을 예시한다. 고정면(531c)에는 후술하는 고정볼트(533)가 밀착된다.
고정너트(532)는 복수개 구비되며, 결합공(511)들의 사이에서 간격조절볼트(53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홀더(51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물론, 고정너트(532)의 장착위치 및 장착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고정너트(532)는 주축방향에 교차하는 제1 홀더(510a)의 양측면 및 제2 홀더(510b)의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너트(532: 532a, 532b)는 간격조절볼트(531)의 나사산(531b)에 나사결합되며, 홀더(510)들의 조절된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홀더(510)들과 간격조절볼트(531)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부재로서, 상기의 나사산(531b)에 나사결합됨과 함께 제1 홀더(510a)와 제2 홀더(510b)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제1 홀더(510a)에 밀착되는 제1 고정너트(532a)는 간격조절볼트(531)의 볼트헤드(531a)와 함께 제1 홀더(510a)를 양측면에서 이를 밀착 고정시켜 제1 홀더(510a)의 목적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소재(1)가 가공되는 동안, 연삭 공구(500)에는 제1 홀더(510a)를 간격조절볼트(53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될 수 있으나, 이는 상술한 제1 홀더(510a)와 제1 고정너트(532a) 및 볼트헤드(531a)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부재(530)와 제1 홀더(510a)와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이들의 결속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홀더(510b)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532b)는 제2 홀더(510b)와의 밀착에 의하여 간격조절볼트(531)와 제2 홀더(510b)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이들의 결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530)는 그 단부가 고정면(531c)에 밀착되도록, 제2 고정너트(532b)를 주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즉, 고정면(531c)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볼트(533)는 제2 고정너트(532b)를 관통하여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그 단부가 간격조절볼트(531)의 고정면(531c)에 밀착됨으로써, 간격조절볼트(531)와 제2 고정너트(532b)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고정볼트(533)는 복수개 구비되며, 간격조절볼트(531)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그 결합 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고정너트(532) 및 고정볼트(533)는 홀더(510)들과 간격조절볼트(531)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서, 연삭팁(520)이 회전하는 소재(1)를 연삭 가공하는 동안, 제1 홀더(510a) 및 이에 결합된 간격조절부재(530)가 제2 홀더(510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간격조절부재(530)는 결합공(511)을 통하여 홀더(510)에 예컨대 나사 결합으로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소재(1)의 양측 단면 가공이 요구되는 공정 시에 상기의 각 구성부가 결합되어 소재(1)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는 연삭 공구(500)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소재(1)의 양측 단면을 가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그 외의 공정 예컨대 소재(1)의 양측 단면 가공을 요하지 않는 공정 시에는 각 구성부가 서로 분리되어 소재(1)의 일측 단면만을 가공하는 일반적인 연삭 공구로 전환 이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연삭 공구는 하기의 제2 실시 예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500')를 설명한다. 이때, 상기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그 구조 및 기술적 특징이 동일한 구성부는 아래에서 그 설명이 중복되어 기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거나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500')는 주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홀더(510')와, 홀더(510')들의 단부에 장착되는 연삭팁(520)과, 홀더(510')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530')를 포함한다.
홀더(510')는 주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주축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홀더(510a') 및 제2 홀더(5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510a')에는 제1 홀더(510a')의 타 단부를 주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결합공(511a')이 구비되고, 제2 홀더(510b')에는 제2 홀더(520b')의 타 단부를 주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결합공(511b')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결합공(511a')의 내주면에는 단차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결합공(511b')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홀더(510')들 중 후술하는 간격조절블록(534)의 지지돌기(534a)와 마주하는 일 홀더에는 상기의 지지돌기가 삽입 가능한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의 홀더(510')들 중 간격조절블록(534)의 후술하는 지지홈(534b)와 마주하는 타 홀더에는 상기의 지지홈에 삽입 가능한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결합홈은 제1 결합공(511a')의 양 단부 중 제2 결합공(511b')을 마주보는 제1 결합공(511a')의 일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의 지지홈(534b)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는 제2 결합공(511b')의 양 단부 중 제1 결합공(511a')을 마주보는 제2 결합공(511b')의 일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의 지지돌기(534a)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결합홈과 결합돌기에는 간격조절블록(534)의 지지돌기(534a)와 지지홈(534b)이 각각 삽입 지지되며, 이를 통하여 홀더(510')들과 간격조절부재(53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부재(530')는 홀더(510')들의 사이에서 홀더(510')들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볼트(531') 및 홀더(510')들의 사이에서 간격조절볼트(531')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간격조절블록(5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절블록(534)들은 홀더(51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간격조절볼트(531')는 홀더(510')들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주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일 단부가 제1 결합공(511a')에 삽입연결되고, 타 단부가 제2 결합공(511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간격조절볼트(531')의 일 단부의 외주면에는 제1 홀더(510a')의 주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볼트헤드(531a')가 구비되고, 타 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 홀더(510b')의 제2 결합공(511b')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531b')이 구비될 수 있다.
간격조절블록(534)은 결합공(511': 511a', 511b')들의 사이에서 간격조절볼트(531')에 끼움 결합되어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홀더(510')들 사이의 조절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부재로서, 소정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블록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중심을 주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구비되는 간격조절블록(534)를 예시하며, 중심의 관통구를 통하여 간격조절볼트(531')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한편, 간격조절블록(534)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관통구를 중심으로 좌우 또는 상하 분리되는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홀더(510')들과 간격조절볼트(531')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간격조절블록(531')의 일 단부에는 지지돌기(534a)가 형성되고, 타 단부에는 지지홈(534b)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돌기(534a)와 지지홈(534b)이 구비되는 간격조절블록(531')의 일 단부와 타 단부는 홀더(510')들을 각각 마주보는 간격조절블록(531')의 일 단부와 타 단부를 의미한다. 간격조절블록(531')들 중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에 상기의 일 간격조절블록을 마주하는 타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간격조절블록(534)들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마련된 지지돌기(534a)와 지지홈(534b)의 끼움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간격조절블록(534)들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여 서로 이웃하는 간격조절블록(534)들 사이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도록, 지지홈(534b)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고, 지지돌기(534a)의 외주면에는 상기의 지지홈의 내주면에 대응되며, 상기의 지지홈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간격조절블록(534)의 관통구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의 관통구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이 벌집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돌기(534a)와 지지홈(534b)을 예시한다. 즉, 지지돌기(534a)와 지지홈(534b)의 외주면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돌기(534a) 및 지지홈(534b)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평면에 의하여 서로 이웃하는 간격조절블록(534)들은 주축방향으로의 상대적인 회전이 서로 구속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홀더(510a')의 결합홈과 이를 마주보는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534a)의 끼움 결합 및 제2 홀더(510b')의 결합돌기와 이를 마주보는 타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534b)의 끼움 결합에 의하여, 홀더(510')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소재(1)가 가공되는 동안, 연삭 공구(500')에는 제1 홀더(510a')를 간격조절볼트(53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될 수 있다. 제1 홀더(510a')를 간격조절볼트(53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은 상술한 지지돌기(534a)와 지지홈(534b)의 끼움결합 및 결합홈과 지지돌기(534a)의 끼움결합 및 결합돌기와 지지홈(534b)의 끼움결합에 의하여 그 작용이 상쇄될 수 있다. 이에 제1 홀더(510a')가 간격조절볼트(531') 및 이를 지지하는 제2 홀더(510b')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지지돌기(534a) 및 지지홈(534b)의 외주면의 형상은 상술한 형상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홈(534b)과 지지돌기(534a)의 외주면의 형상은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만족시키는 다양한 형상 예컨대 원주 형상일 수 있다.
한편, 간격조절블록(534)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주축방향으로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지지홈(534b)의 두께는 간격조절블록(534)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지지돌기(534a)의 두께는 지지홈(534b)의 두께보다 작거나 지지홈(534b)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534a)가 이를 마주보는 타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534b)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 두께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블록(534)의 각 구성의 두께를 더욱 상세하게 예시한다. 물론 아래에서 예시하는 각 수치들은 본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는 일 예일 뿐이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그 수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간격조절블록(534)들 중 어느 하나(이하, '일 간격조절블록')의 두께를 D0라 하고,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534b)의 두께를 D1이라 하며,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534a)의 두께를 D2라 할 경우에, 일 간격조절블록(534)의 두께 D0는 3mm, 4mm 및 5mm 중 어느 하나이고,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534b)의 두께 D1은 2.5mm 이상 D0 미만의 범위를 가지며,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534a)의 두께 D2는 2mm 이상 D1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예컨대 일 간격조절블록의 두께 D0가 3mm 일 경우에, 이에 형성된 지지홈의 두께 D1은 2.5mm 이상 3mm 이하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홈의 두께 D1이 2.7mm로 형성된다고 가정하면, 상술한 일 간격조절블록에 형성된 지지돌기의 두께 D2는 2mm 이상 2.7mm 이하의 범위로 형성된다. 물론, 각 간격조절블록(534)들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서로 다른 두께의 간격조절블록이 결합되었을 때, 지지돌기(534a)와 지지홈(534b)이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그 두께의 수치 범위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지지돌기의 하한 두께인 2mm와 지지홈의 하한 두께인 2.5mm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간격조절블록(534)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이에 결합되는 지지홈과 지지돌기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면적을 확보 가능한 최소한의 두께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간격조절블록(534)들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간격조절블록의 서로 다른 두께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3mm, 4mm 및 5mm의 수치를 예시하며, 이들 수치 중 3mm의 의미는 간격조절블록에 지지홈을 형성가능한 최소 두께를 의미한다. 이어서 4mm 와 5mm의 의미는 간격조절블록들을 조합하여 치수를 정하는 경우 목적하는 치수를 조합하기 용이한 기본 치수를 의미한다. 예컨대, 연삭팁(또는 홀더) 사이의 간격을 초기값보다 3mm 또는 4mm 또는 5mm 증가시키는 경우 기 결합된 간격조절블록에 각각 3mm의 두께를 가지는 간격조절블록을 추가 결합시키거나, 4mm의 두께를 가지는 간격조절블록을 추가 결합시키거나, 5mm의 두께를 가지는 간격조절블록을 추가 결합시켜 그 수치를 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삭팁(또는 홀더) 사이의 간격을 초기값보다 6mm 또는 7mm 증가시키는 경우 기 결합된 간격조절블록들에 3mm의 두께를 가지는 간격조절블록을 두개 추가 결합시키거나, 3mm의 두께를 가지는 간격조절블록과 4mm의 두께를 가지는 간격조절블록을 추가 결합시킴으로써 그 수치를 달성할 수 있다. 수치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 수치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간격조절블록들을 조합하여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목적하는 단위두께 예컨대 1mm로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부재(530')에는 보조블록(53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보조블록(535)은 결합돌기의 형성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홀더(510b')와 제2 홀더(510b')의 결합돌기에 끼움 결합되는 간격조절블록(534)의 사이에서 제2 홀더(510b')의 결합돌기에 끼움 결합되어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보조블록(535)은 지지돌기(534a)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간격조절블록(534)들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지지돌기(534a)에 끼움 결합되어 홀더(510')들 사이의 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보조블록(535)은 판 형상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고, 중심을 주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의 관통구의 내주면의 크기 및 형상은 상술한 결합돌기에 끼움 결합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보조블록(535)은 간격조절블록(534)의 면적과 동일한 소정 면적을 가지며, 그 두께는 상기의 결합돌기의 형성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블록의 두께는 예컨대 0.5mm 내지 1.5mm의 두께일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0.5mm 또는 1.0mm 또는 1.5m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보조블록(535)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개의 보조블록은 서로 같은 두께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 예에 따른 간격조절부재(530')에는 세 개의 보조블록이 구비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0.5mm, 1.0mm 및 1.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 장치(1000)가 연삭 공구(500)를 이용하여 소재(1)를 가공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삭 공구를 이용한 소재의 연삭 가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a)는 연삭 공구를 이용하여 소재(1)의 양측 단면을 황삭 가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4(b)는 연삭 공구를 이용하여 황삭 가공이 완료된 소재(1)의 타측 단면(1b)을 정삭 가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c)는 연삭 공구를 이용하여 타측 단면(1b)의 정삭 가공이 완료된 소재(1)의 일측 단면을 정삭 가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황삭은 소재의 불필요한 영역을 빠르게 제거하는 가공을 의미하며, 정삭은 설계상의 치수를 만족하도록 소재를 정밀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소재(1)는 황삭 가공 이후 정삭 가공을 수행하여 설계상의 형상 및 치수로 가공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소재(1)를 연삭 가공함에 있어, 황삭 가공과 정삭 가공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가공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때 황삭 가공은 소재(1)의 양측 단면에서 동시에 수행되며, 정삭 가공은 소재(1)의 각 단면별로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 예에 따른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정삭 가공 또한 소재(1)의 양측 단면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정삭 가공 및 황삭 가공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소재(1)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가공하도록 수행될 수 있고, 각 단면별로 순차적으로 가공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우선, 간격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연삭팁(520)들 사이의 간격을 소재(1)의 목적하는 황삭 치수(t1)로 조절한다. 이후 절삭 공구가 소재(1)의 양측 단면을 가공 가능하도록 절삭 공구를 소재(1)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절삭 공구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소재(1)의 양측 단면을 가공한다. 이에 소재(1)는 그 두께가 초기 치수(t0)에서 황삭 치수(t1)로 가공된다. 이어서, 절삭 공구가 소재(1)의 타측 단면(1b)을 가공 가능하도록 절삭 공구를 주축방향 중 예컨대 도면상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소재(1)의 타측 단면을 가공한다. 이때, 절삭 공구는 제어부에 의하여 소재(1)의 타측 단면을 목적하는 정삭 치수(t2)로 가공하도록 그 이동거리가 제어될 수 있다. 이어서, 절삭 공구가 소재(1)의 일측 단면(1a)을 가공 가능하도록 절삭 공구를 주축방향 중 예컨대 도면상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소재(1)의 일측 단면을 목적하는 정삭 치수(t2)로 가공한다. 물론, 소재(1)를 황삭 치수(t1)으로 가공한 이후에 다시 간격조절부재(530)로 연삭팁(520) 사이의 간격을 정삭 치수(t2)로 조절한 후 소재(1)의 양측 단면을 한번에 정삭 가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연삭 공구는 가공 장치(1000)에 장착되어 가공장치(1000) 내에 마련된 소재(1)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가공하거나, 이들 중 일측 단면을 먼저 가공하고, 대기시간 없이 연속하여 타측 단면을 가공할 수 있다. 이는 연삭 공구의 구성부인 간격조절부재의 간격 조절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고, 이에 종래에 비하여 연삭 단계 및 연삭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가공 장치(1000)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들은 CNC 선반에 장착되는 연삭 공구의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이외의 다양한 공작 기계의 소재 연삭 및 절삭 등의 가공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소재 100: 주축대
400: 공구대 500: 연삭 공구
510: 홀더 511: 결합공
520: 연삭팁 530: 간격조절부재
531: 간격조절볼트 532: 고정너트
533: 고정볼트 534: 간격조절블록

Claims (16)

  1. 소재의 가공면을 연삭하는 연삭 공구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홀더;
    상기 홀더들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연삭팁; 및
    상기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들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연삭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홀더들의 사이에서 상기 홀더들에 각각 결합되는 간격조절볼트; 및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들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연삭 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들은 상기 홀더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밀착되는 연삭 공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면이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고정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너트들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고정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연삭 공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홀더들의 사이에서 상기 홀더들에 각각 결합되는 간격조절볼트; 및
    상기 홀더들의 사이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간격조절블록;을 포함하는 연삭 공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블록들은 상기 홀더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서로 밀착되는 연삭 공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일 단부에는 지지돌기가 구비되고, 타 단부에는 지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간격조절블록들 중 일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에 상기 일 간격조절블록을 마주하는 타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연삭 공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홈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되는 연삭 공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홀더들 중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지지돌기와 마주하는 일 홀더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 가능한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홀더들 중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지지홈와 마주하는 타 홀더에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 가능한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연삭 공구.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블록들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상기 간격조절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블록들의 두께에 따라 상기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삭 공구.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두께는 상기 간격조절블록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두께는 상기 지지홈의 두께보다 작거나, 상기 지지홈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삭 공구.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들 각각에는 상기 연삭팁으로부터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가 상기 결합공들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삭 공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들 중 일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들 중 타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일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일 결합공의 단차에 삽입 가능한 볼트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일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타 결합공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삭 공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의 나사산의 피치에 따라 상기 홀더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삭 공구.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삭 공구가 장착되는 가공 장치로서,
    소재가 장착되는 주축대; 및
    상기 주축대가 향하는 주축방향 및 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 주축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공구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구대에 상기 연삭 공구가 장착되는 가공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연삭 공구의 간격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연삭팁들 사이의 간격을 상기 소재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소재의 양측 단면을 동시에 연삭 가공하거나, 상기 연삭팁들 사이의 간격을 상기 소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소재의 일측 단면과 타측 단면을 순차적으로 연삭 가공하는 가공 장치.
KR1020140074192A 2014-06-18 2014-06-18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 KR10167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192A KR101671403B1 (ko) 2014-06-18 2014-06-18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192A KR101671403B1 (ko) 2014-06-18 2014-06-18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007A true KR20150145007A (ko) 2015-12-29
KR101671403B1 KR101671403B1 (ko) 2016-11-01

Family

ID=5650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192A KR101671403B1 (ko) 2014-06-18 2014-06-18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77B1 (ko) * 2022-12-05 2024-01-02 이영화 성형몰드 작업용 다중공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542A (ko) 1989-06-12 1991-01-31 야마모또 다꾸마 정보 처리 장치의 비교 체크 기능 검사를 위한 시스템
KR100751908B1 (ko) * 2006-02-07 2007-08-23 박명환 원통형 연마석 성형용 가공장치
KR20090067245A (ko) 2007-12-21 2009-06-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Cnc 선반용 제어 공구대
KR20090091943A (ko) * 2008-02-26 2009-08-31 백차현 다목적 디스크 연마기
KR20140056980A (ko) 2012-11-02 2014-05-12 조대일 정밀부품 가공용 씨엔씨 선반용 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542A (ko) 1989-06-12 1991-01-31 야마모또 다꾸마 정보 처리 장치의 비교 체크 기능 검사를 위한 시스템
KR100751908B1 (ko) * 2006-02-07 2007-08-23 박명환 원통형 연마석 성형용 가공장치
KR20090067245A (ko) 2007-12-21 2009-06-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Cnc 선반용 제어 공구대
KR20090091943A (ko) * 2008-02-26 2009-08-31 백차현 다목적 디스크 연마기
KR20140056980A (ko) 2012-11-02 2014-05-12 조대일 정밀부품 가공용 씨엔씨 선반용 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77B1 (ko) * 2022-12-05 2024-01-02 이영화 성형몰드 작업용 다중공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403B1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4565B (zh) 万能夹具机床
CN201579591U (zh) 车铣磨复合机
JP7113756B2 (ja) 歯端縁で材料除去を創成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に設計された装置
KR101484626B1 (ko) 금속 판재용 다면 연속 가공 장치
KR20150004296A (ko) 양면 드레서
JP2021164988A (ja) ワークの面取り加工装置、それを備えた歯加工センタ、およびワークの面取り加工装置を用いた加工方法
RU23259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и закрепления турбинных лопаток и способ их фрезерования с помощью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6062380B2 (ja) 板状体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M515440U (zh) Cnc車銑綜合加工中心機
KR20150092327A (ko)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0017769A (ja) 薄板形状ワーク加工方法
JP2010029947A (ja) 複合エンドミル及び複合エンドミルを用いた加工方法
TW201341088A (zh) 向車床的轉塔頭的工具安裝結構以及車削工具保持器
TWI642498B (zh) Cnc單刀塔雙主軸雙倍加工效率之金屬加工機
TWI555606B (zh) 工作機械
KR101671403B1 (ko) 연삭 공구 및 가공 장치
JP4712586B2 (ja) Nc工作機械
CN206982222U (zh) 一种可调式夹紧装置
TWM558143U (zh) Cnc單刀塔雙主軸雙倍加工效率之金屬加工機
KR101625844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호닝 툴
JP2016097458A (ja) 工作機械用芯出し冶具
JP6542591B2 (ja) 機械加工装置及び機械加工方法
CN208976919U (zh) 大型同步电动机转子轴人字形磁钢安装槽加工用的铣床
CN114029710B (zh) 横梁支架加工工装及工艺
JP2020114616A (ja) 歯車加工装置及び歯車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