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580A -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 - Google Patents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580A
KR20150143580A KR1020157031815A KR20157031815A KR20150143580A KR 20150143580 A KR20150143580 A KR 20150143580A KR 1020157031815 A KR1020157031815 A KR 1020157031815A KR 20157031815 A KR20157031815 A KR 20157031815A KR 20150143580 A KR20150143580 A KR 2015014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ic compound
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ionic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반쿠마르 아두리
파라수 베라 우파라
비스와나스 코트라
만게시 사크할카르
비부티 두칸데
비벡 프라브하카르 라제
Original Assignee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IN2014/00025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184803A2/en
Publication of KR2015014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77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mprising ionic liquids, as components in catalyst systems or catalysts per se, the ionic liquid compounds being used in the molten state at the respective reaction temperature
    • B01J31/0278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mprising ionic liquids, as components in catalyst systems or catalysts per se, the ionic liquid compounds being used in the molten state at the respective reaction temperature containing nitrogen as cationic centre
    • B01J31/0281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mprising ionic liquids, as components in catalyst systems or catalysts per se, the ionic liquid compounds being used in the molten state at the respective reaction temperature containing nitrogen as cationic centre the nitrogen being a ring member
    • B01J31/0284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mprising ionic liquids, as components in catalyst systems or catalysts per se, the ionic liquid compounds being used in the molten state at the respective reaction temperature containing nitrogen as cationic centre the nitrogen being a ring member of an aromatic ring, e.g. pyrid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77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mprising ionic liquids, as components in catalyst systems or catalysts per se, the ionic liquid compounds being used in the molten state at the respective reaction temperature
    • B01J31/0278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mprising ionic liquids, as components in catalyst systems or catalysts per se, the ionic liquid compounds being used in the molten state at the respective reaction temperature containing nitrogen as cationic centre
    • B01J31/0281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mprising ionic liquids, as components in catalyst systems or catalysts per se, the ionic liquid compounds being used in the molten state at the respective reaction temperature containing nitrogen as cationic centre the nitrogen being a ring member
    • B01J31/028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mprising ionic liquids, as components in catalyst systems or catalysts per se, the ionic liquid compounds being used in the molten state at the respective reaction temperature containing nitrogen as cationic centre the nitrogen being a ring member of an aliphatic ring, e.g. morphol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2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in addition, inorganic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J31/02 - B01J31/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4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2/5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to saturated hydrocarbons or to hydrocarbon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
    • C07C2/64Addition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66Catalyt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5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31/00Catalytic reactions performed with catalyst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231/30Addition reactions at carbon centres, i.e. to either C-C or C-X multiple bonds
    • B01J2231/32Addition reactions to C=C or C-C triple bonds
    • B01J2231/323Hydrometalation, e.g. bor-, alumin-, silyl-, zirconation or analoguous reactions like carbometalation, hydrocarb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C07C2527/06Halogens; Compounds thereof
    • C07C2527/125Compounds comprising a halogen and scandium, yttrium, aluminium, gallium, indium or thall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4Recycling of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활성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을 제공한다. 이 공정은 불활성화된 이온 화합물을 초산 에틸과 같은 적어도 한 개의 용매와 혼합하고 트리에틸아민과 tert-부틸 아민과 같은 적어도 한 개의 염기로 중화하여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동반한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여 잔류물을 수득하며 이는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로 세척하여 이온 화합물을 수득한다.

Description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A PROCESS FOR REGENERATING IONIC COMPOUND}
본 발명은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할로 금속 기반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온 화합물은 이온들, 즉 양이온들과 음이온들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이온 화합물들은 알킬화 반응과 중합, 이량화, 올리고머화, 아세틸화, 복분해, 공중합 반응에서 촉매로 그리고 용매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가장 통상적인 이온 화합물들은 유기 기반 양이온과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들로 부터 제조된 것들이다. 피리디늄과 이미다졸륨은 자주 사용되는 양이온이고 한편BF4-과 PF6-, Al2Cl7 - 과 Al2Br7 을 포함한 할로알루민산염, 알킬 유산염(RSO3 -), 카르본산염(RCO2 -)과 같은 음이온들이 통상적으로 채용된다. 촉매적으로 흥미있는 이온 화합물은 할로겐화암모늄과 AlCl3, TiCl4, SnCl4, FeCl3 과 같은 Lewis 산에서 유도된 화합물들이다.
할로 알루민산 이온 화합물들은 알킬화 반응에 이용되는 할로겐화암모늄과AlCl3로 부터 유도된 이온 화합물이다. 예를 들어,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브로마이드는 AlCl3 과 반응하여 알킬화 반응에 촉매로 이용되는 용융 [BMIM]Al2Cl6 Br 이온 화합물을 형성한다. 결합 중합체들은 이온 화합물 촉매를 채용하는 알킬화 반응 과정에 부산물로서 형성된다. 이 부산물들은 이온 화합물 촉매로 복합물을 형성하여 이온 화합물 촉매를 불활성화한다. 이온 화합물 촉매의 활성은 이온 화합물 촉매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과정에 감소되는데 일정한 회수의 재순환 이용후에는 교체하여야 한다. 부산물에 의한 이온 화합물 촉매의 불활성화가 문제점으로 되며 알킬화 반응의 경제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알킬화 반응을 위한 이온 화합물 촉매의 상업적 이용은 이들을 효율적으로 재생하고 재순환 할 수 있을때에만 경제적으로 될 것이다.
결합 중합체를 제거하고 이온 화합물 촉매를 재생하는 방법은 거이나 전해진 것이 없다.
US 특허 No. 7651970, 7678727, 7691771 과 7884045는 이용한 클로로 알루민산염 이온 액체 촉매를 재생하는 공정을 개시한다. 이 공정은 이용한  클로로 알루민산염 이온 액체 촉매와 수소를 반응 구역에서 수소화 조건에서 이온 액체 촉매를 재활성화하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금속 또는 동종의 또는 지지된 수소화 촉매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US 특허 No. 7674740는 이용한 이온 액체를 반응 구역에서 이소파라핀 포함 스트림과 브뢴스테드 산과 접촉시켜 이용한 이온 액체를 재생하는 공정을 개시한다.
US 특허No. 7732364 과 WO 2009/085450는 이용한 이온 액체를 수소의 존재하에서 알루미늄 금속과 접촉시켜 결합 중합체를 유리시킴으로써 이용한 이온 액체를 재생하는 공정을 개시한다. US 특허No. 20100278699는 반응 추출 컬럼에서의 상기 방법을 개시한다.
WO 2001/15175는1-메틸-3-에틸이미다졸륨과 같은 이미다졸륨 기반 이온 액체를 250 oC에서 3시간동안2mm Hg에서 열분해 처리하여 재생하는 공정을 개시한다.
US 특허no. 7737067는1-부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를C5 - C8의 불활성 탄화수소와 함께 첨가하여 불활성화된1-부틸-피리디늄헵타클로로 알루민산염을 재생하는 공정을 개시한다. 이렇게 방출된 결합 중합체는 불활성 탄화수소 층에서 동시에 용해된다. 얻어진 1-부틸-피리디늄헵타클로로 알루민산염은 차후AlCl3으로 처리하여 촉매의 활성을 충분히 복귀한다.
US 특허No. 7956002는 이용한 산성 이온 액체 촉매를 재생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이용한 이온 액체 촉매를 재생 구역에서 수소의 존재하에서 재생 조건하에서 이온 액체를 활성화하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적어도 한 개의 금속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용한 이온 액체의 재생은 탄화수소 용매의 존재하에서도 실행 될 수 있다.
US 특허No. 8088338는 결합 중합체에 의하여 불활성화된 이온 액체 촉매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이동bed로 되어있고 이온 액체와 알루미니움 금속의 슬러리가 여기에 공급된다. 용매와 수소 기체 (선택적임)는 반응기의 바닥으로 공급되어 결합 중합체를 제거하고 이온 액체를 재생한다.
US 특허 No. 8597517는 유황 화합물에 대한 추출 작용물질로 이용된 후 이온 액체를 재생하는 공정을 개시한다. 이 공정은 이온 액체를 아세톤에서 용해하는 단계, pH를 수산화나트륨으로 조절하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단계, 이 용액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이 용액에서 제거하는 단계, 증류법으로 낮은 압력에서 이 용매를 여과물에서 제거하는 단계, 아세톤에서 수득된 잔류물을 용해하는 단계, 이 용액을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 염화수소산을 첨가하여 이 용액의pH를 2-7의 pH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 재생된 이온 액체를 낮은 압력에서 마를 때까지 70-80° C로 가열하는 단계를 동반하다. US8597517에서 개시된 공정은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강한 염기를 채용하는데 이는 알루미늄을Al(OH)3로 침전시키고HCl를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삼염화 알루미늄의 회복과 재순환이 어렵다.
종래 기술의 공정과 관련한 결점들은 회복된/재생된 촉매의 순도가 낮고 일정한 한계를 넘어 재생/재순환 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공정들의 일부는 특별한 장치를 요하며 이는 막대한 설비 투자에로 이어진다. 더우기, 종래 기술 의 일부 공정들에서 이용되는 조건들이 엄밀하고 따라서 에너지상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순도가 높고 재생 가능성이 높으면서도 이온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재생 할 수 있는 대용 용매와 염기들을 이용하는 단순하고 경제적인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에 대한 수요가 제기된다.
적어도 한 개의 실시 방식이 만족시키는, 본 발명의 일부 목적들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율적이고 단순하고 경제적인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수득률의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 순도의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결합 중합체들, 적어도 한 개의 염화 금속의 부가생성물로 부터 화학식A의 이온 화합물과 B의 이온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이온 화합물을 재생하는 공정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01
화학식 A 화학식 B
여기에서 R1와 R2은 독립적으로 알킬기이고 X는 할로겐이며,
상기 공정은 하기 단계들:
a) 초산 에틸을 상기 부가 생성물에 첨가하여 결합 중합체들을 초산 에틸에서 용해하고 적어도 한 개의 염기를 합체하여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염화 금속, 염기의 고체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복합물을 여과하여 복합물 잔류물과 결합 중합체를 함유한 초산 에틸을 분리하는 단계;
c) 적어도 한번 상기 복합물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염화 금속과 염기의 부가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R1와 R2은 독립적으로 메틸과 에틸, 프로필, 부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할로겐은 브롬과 염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염화 금속은 삼염화 알루미늄이다.
전형적으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과 tert-부틸 아민,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암모늄, 이들의 결합물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단계(a)는20oC - 50oC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전형적으로, 이 공정은 또한 초산 에틸과 디클로로메탄의 회복과 재순환 단계들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단계(a)는 7-7.5의 범위에서 pH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공정은 이온 화합물의 회복률이 60-99%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불활성화되거나 소모된 이온 화합물을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재생하는 공정을 제공한다.
불활성화되거나 소모된 이온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결합 중합체들로 오염되었다. 이온 화합물의 재생 공정은 불활성화된 이온 화합물을 초산 에틸과 같은 적어도 한 개의 용매와 혼합하는 단계와 적어도 한 개의 염기로 중화하여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동반한다.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로 세척하여 이온 화합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은 두개의 용매 체계를 이용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된 제1용매는 초산 에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불활성화된 이온 화합물을 희석하고 결합 중합체를 용해한다. 그러나, 이온 화합물은 제1용매에서 용해 불가능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트리에틸아민과 tert-부틸 아민,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암모늄과 이들의 결합물들과 같은 특정한 유기 염기를 이용하여 이온 화합물을 중화하고 이 염기로 이온 화합물과 염화 금속의 복합물을 형성한다.
초산 에틸에 용해된 결합 중합체는 여과법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온 화합물은 또 다른 용매, 다시 말해서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복합물에서 유리된다. 염기-염화 금속 부가 생성물은 부산물로 형성되고 이는 다른 응용에서 이용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염화 금속은 또한 부가 생성물에서 분리 될 수 있다.
두개의 서로 다른 용매들의 결합이 불활성화된 이온 화합물에서 이온 화합물을 수득하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NaOH 와 KOH와 같은 강한 염기들을 이용하면 금속을 침전시키고 즉 알루미늄이HCl을 유리시켜 Al(OH)3으로 침전되며 삼염화 알루미늄을 회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이 공정은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결합 중합체들, 적어도 한 개의 염화 금속의 부가생성물로 부터 화학식A 의 이온 화합물과 화학식B의 이온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재생하는 공정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02
화학식 A 화학식 B
여기에서R1  와 R2은 독립적으로 알킬기이고X는 할로겐이며,
한가지 실시방식에서, R1  과 R2는 독립적으로 메틸과 에틸, 프로필, 부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며 할로겐은 브롬 및 염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이 공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1단계에서, 초산 에틸을 상기 부가 생성물에 첨가하여 부가 생성물의 결합 중합체들을 초산 에틸에서 용해하고 적어도 한 개의 염기를 합체하여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염화 금속, 염기의 고체 복합물을 형성한다.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는20oC - 50oC의 온도에서 실행되고 이는 pH 값을 7-7.5의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채용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 tert-부틸 아민,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암모늄과 이들의 결합물들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서 염화 금속은 삼염화 알루미늄이다.
수득된 복합물은 여과되어 복합물 잔류물과 결합 중합체를 함유한 초산 에틸을 분리한다.
다음 단계에서, 복합물 잔류물을 적어도 한번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염화 금속과 염기의 부가생성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은 또한 초산 에틸과 디클로로메탄을 회복하고 재생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정은 비제한적인 도(도1)에 의하여 예시되며 여기에서,
(102) 는 예비-혼합기를 나타내며, 예비-혼합기는 교반 용기 또는 정지 혼합기 또는 제트 혼합기 또는 펌프 혼합기가 될 수 있다;
(104) 는 중화 반응기를 나타내며, 중화 반응기는 교반 탱크 반응기 또는 정지 반응기 또는 이들의 결합이 될 수 있다;
(106)은 제1여과기를 나타내며, 여과기(106)은 원심분리 또는 누체압력여과기(pressure nutsche filter) 또는 교반누체여과건조기(agitated nutsche filter dryer) 또는 교반박막건조기(agitated thin film dryer)가 될 수 있다;
(108)은 추출기를 나타내며, 추출기는 단순한 교반 용기 또는 역 흐름 추출기가 될 수 있다;
(110)은 제2여과기를 나타내며, 여과기(110)은 원심분리 또는 누체압력여과기 또는 교반누체여과건조기 또는 교반박막건조기가 될 수 있다;
(112)는 증류 컬럼을 나타내며, 증류 컬럼(112)는 트레이 컬럼(tray column) 또는 충전탑 또는 강하 경막 증발기가 될 수 있다;
(114)는 증발기를 나타내며, 증발기(114)는 단일 효과 또는 다중 효과 증발기 또는 강하 경막 증발기 또는 교반 박막 증발기 또는 강하 경막증발기, 이어 교반 박막 증발기가 될 수 있다;
(116)은 중화 반응기를 나타낸다;
(118)은 제3 여과기를 나타내며, 여과기 (118)은 원심분리 또는 누체압력여과기 또는 교반누체여과건조기 또는 교반박막건조기가 될 수 있다;
(120)은 증류 컬럼을 나타내며, 증류 컬럼은 트레이 컬럼 또는 충전탑 또는 강하 경막 증발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은 이하에서 서술된다. 불활성 이온 화합물은 제1의 적합한 용매와 예비 혼합기 (102)에서 예비 혼합되어 혼합물을 수득한다. 불활성 이온 화합물과의 혼합을 위하여 이용되는 적합한 용매는 초산 에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혼합물을 중화 반응기 (104) 에 이송하고 제1의 적합한 염기를 중화 반응기 (104)에 공급하며 여기에서 이온 화합물의 중화 반응이 일어난다. 이온 혼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중화 반응은 20oC-50oC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혼합물을 중화하는데 이용되는 제1 염기는 트리에틸아민과 tert-부틸 아민,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암모늄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화 공정 동안 염기-금속 복합물이 침전된다. 염기-금속 복합물을 포함하는 반응물은 여과기 (106)을 거쳐 여과되며 반응물는 잔류물과 여과물로 분리된다. 잔류물은 세척 용매로 반복 세척하여 결합 중합체의 완전한 제거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여과후에 수득된 여과물은 용매와 용해된 결합 중합체를 함유하며 이는 증류 컬럼 (112)에서 증류 처리되어 용매를 회복한다. 회복된 용매는 다음 재순환되어 차후 사용된다.
여과후에 수득된 잔류물을 다음 제2의 적합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기 (108)에서 추출하고 이어 여과기 (110)을 거쳐 여과하여 이온 화합물을 제거하고 염기-금속 복합물을 함유한 잔류물과 제2 용매와 이온 화합물을 함유한 여과물을 수득한다. 잔류물을 반복하여 세척 용매로 세척하여 이온 화합물의 흔적이 확실하게 잔류물에 남아있지 않도록 한다. 잔류물을 세척하는데 이용되는 세척 용매가 추출에 이용되는 제2 용매와 다를수 있으나, 같은 용매를 추출과 세척에 다 이용하는 것은 경제성과 공정 편리성의 견지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용매와 이온 화합물 염을 함유한 여과물을 증발기 (114)에 공급하고 여기에서 용매가 회복된다. 다음 회복된 용매는, 선택적으로, 차후 정화한 후 본 발명의 공정에로 재순환 될 수 있다. 용매의 회복후 수득된 화합물은 재생된 이온 화합물이다.
염기-금속 복합물을 함유한 잔류물은 희석된 제2염기의 메타놀 용액과 중화 반응기 (116)에서 접촉시키고 여기에서 복합물이 제2염기와 반응하여 금속 수산화물 고체물질과 염기, 메타놀을 함유한 슬러리를 제공한다. 염기-금속 복합물과 반응하는데 이용되는 제2염기는 강한 염기로서 이는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염기와 복합물과의 반응은 20oC-50oC 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슬러리 물질은 다음 여과기 (118)을 거쳐 여과되어 금속 수산화물 고체물질과 제1 염기를 분리한다. 여과후 수득된 여과물은 제1염기와 메타놀의 혼합물을 함유하며 이는 차후 컬럼 (120)에서 분리된다. 컬럼 (120)에서 분리된 제1염기는 차후 불활성 이온 화합물을 함유한 혼합물의 중화반응에로 재순환 될 수 있다. 분리된 메타놀은 또한 재순환 및 재이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자료는 이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실시례들에 의하여 더 서술된다.
실시례1 :
이 실험에서, 클로로알루미네이트 기반 이온 화합물이 제조되었으며 이는 알킬화 반응에서 반복 사용되어 불활성화되었고 다음 불활성화된 이온 화합물은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재생되었다.
단계 i: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브로마이드[BMIM]Br를 이용한 클로로알루미네이트 이온 화합물의 제조
장치는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되고 0-5 oC의 얼음 욕조에 배치된 5 L 3 목 RB 플라스크로 되어있다. 이 플라스크는 고정되어 교반하에서 안정성을 제공하였다. 전체 어셈블리는 질소 대기하에서 보관되었다. 680gm의 [BMIM]Br를 무게를 달아 조심히 깔때기를 거쳐 플라스크에 채웠다. 830gm의 AlCl3 을 무게를 달아 서서히 플라스크에 계속 저으면서 첨가하였다. AlCl3 채우기는 1.5시간안에 완결되었다. 차후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하여 원료들을 제대로 혼합하였다. 최종 촉매를 질소 조건하에서 유지하였다.
단계 ii: 알킬화 반응에 반복 이용하여 단계 (i)에서 제조된 이온 화합물의 불활성화
10-15%의 C10-C14올레핀을 함유한 92lit의 올레핀 스트림과 36lit 의 벤젠을250lit 둥근 바닥 반응기에 첨가하고 가열맨틀에 보관하였다. 교반기를 시동하고 가열 코일의 스위치를 켰다. 혼합물이45 oC의 온도에 도달하면 단계 (i)에서 제조된 1.3kg의 촉매를 채우고 10분동안 교반하였다. 10분후에 탄화수소와 촉매 층들이 분리되고 바닥 촉매 층이 같은 양의 새 올레핀 스트림과 벤젠과 함께 재순환되었다.
단계 iii: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트리에틸아민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의 재생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브로마이드를 가진 불활성화된 209gm의 클로로알루미네이트 이온 화합물 촉매를 (단계ii 에서 수득) 269.1gm의 초산 에틸과 함께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2lit 중화 반응기 (104)에 채웠고, 반응기를 25-30oC에서 유지되는 수욕조에 놓았다. 이 혼합물을 5분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을 서서히 반응물의 pH가 산성(pH: 1-2)에서 중성(pH: 7-7.5)으로 변할 때까지 중화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대략적으로 192.13gm의 트리에틸아민이 1시간 주기동안 첨가되었다. 일단 중성pH가 달성되면 트리에틸아민 첨가가 정지되고 차후 반응물을 45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5시간동안 교반하지 않고 유지하여 고체물질이 바닥에 가라앉게 하였다. 다음 반응물을 반응기에서 누체 여과기 (106)에로 이송하고 진공하에서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640.45gm의 초산 에틸로 세척하였다. 누체 여과기(106)에서 수득된 여과물을 증류 컬럼 (112)에 채웠고 여기서 초산 에틸이 대기 조건에서 증류물로 분리된다. 바닥 잔류물은 26gm의 결합 중합체와 탄화수소 혼합물을 함유한다.
누체 여과기 (106)에서 수득된 잔류물을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추출기 (108)에 채웠다. 여기에 532gm의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온도를 25-30oC로 유지하였다. 추출기에서 수득된 슬러리를 누체 여과기 (110)에 채우고 진공하에서 여과하였다. 여과 동안에 잔류물을308gm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누체 여과기 (110)에서 수득된 여과물(디클로로메탄 층)을 수평 응축기가 설치된 증발 컬럼 (114)에 채웠다. 디클로로메탄을 증류법으로 회복하였다. 82.5gm의 잔류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Br 및 Al함유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득률이 78%였다.
여과기 (110)에서 수득된 274gm의 케이크를 중화 반응기 (116)에 채웠고 이어 375gm의 20% 메타놀 KOH 용액 을 첨가하고 30분 주기동안 교반하여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슬러리는 다음 누체 여과기 (118)를 거쳐 진공하에서 여과되었다. 수득된 여과물을 증류 컬럼 (120)에서 처리하여 메타놀을 증류물로180gm의 트리에틸아민(90% 순도)을 바닥 생성물로 회복하고, 차후 별개의 컬럼에서 증류하여 순수한 TEA를 얻을수 있다.
실시례2 :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하여 새 촉매로 부터 [BMIM]Br 회복
이 실험에서, 본 발명의 공정의 효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실험1의 단계(i)에서 제조된 이온 화합물을 직접 불활성화 하지 않고 재생하였다.
실험1의 단계(i)에서 수득된10.0gm의 새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29oC에서 유지되는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 12.6gm의 트리에틸아민을 1시간 주기 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초산 에틸층을 분리하였다. 수득된 고체물질을lot 식으로 200ml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BMIM]Br를 고체 혼합물에서 추출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4gm의 [BMIM]Br 염을 얻었다. 수득률이 88%였다.
실시례 3: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탄산나트륨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 [BMIM]Br의 재생
이 실험에서 이용된 공정은 탄산나트륨 용액이 트리에틸아민 대신에 이용된 것을 제외하고 실험 1의 단계(iii)에서 서술된 것과 같다.
실험 1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0gm의 불활성화된 촉매를500ml 원추 플라스크에 채웠다. 133.3gm의 Na2CO3과 350ml 물을 혼합하여 Na2CO3 용액을 제조하고 놓아두었다. 제조된 Na2CO3 용액을 서서히 불활성 촉매를 함유한 원추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결되면 100ml 의 초산 에틸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고 1시간동안 가라 앉혔다. 물과 초산 에틸층들을 분리하고 물층을 증류 처리하여 고체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고체 혼합물을 75ml 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BMIM]Br 을 추출하고 수득된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25gm의 [BMIM]Br 염을 얻었다. 초산 에틸층을 증류해버려11gm의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제공하였다. 수득된 [BMIM]Br염을 Br 및 Al 함유량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얻어진 수득률은 62.5%였다.
실시례4 :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tert-부틸아민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 [BMIM]Br의 재생
이 실험에서 이용한 공정은 트리에틸 아민대신에 tert-부틸아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 1의 단계(iii)에서 서술한 것과 같다.
실험 1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19gm의 불활성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되고 29 oC에 유지되는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25ml 의 tert-부틸아민을 1시간 주기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후 얻어진 초산 에틸 층은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함유한다. 얻어진 고체물질을100ml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고체 혼합물에서 [BMIM]Br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1.1gm의 [BMIM]Br 염을 얻었다.
실시례5 :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암모니아 용액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 [BMIM]Br의 재생
이 실험에서 이용한 공정은 트리에틸 아민 대신에 암모니아 용액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1의 단계(iii)에서 서술한 것과 같다.
실험 1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09gm의 불활성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되고 29oC에 유지되는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4.25gm의 25% NH3용액을 1시간 주기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후 얻어진 초산 에틸 층은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함유한다. 얻어진 고체물질을200ml 디클로로메탄으로lot식으로 세척하여 고체 혼합물에서 [BMIM]Br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1.1gm의 [BMIM]Br 염을 얻었다.
실시례6 :
이 실험에서, 클로로알루미네이트 기반 이온 화합물이 제조되었으며 이는 알킬화 반응에서 반복 사용되어 불활성화되었고 다음 불활성화된 이온 화합물은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재생되었다.
단계 i: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BMIM]Cl을 이용한 클로로알루미네이트 이온 화합물의 제조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5L3목 RB 플라스크로 된 장치를 0-5oC의 얼음 욕조에 배치하였다. 이 플라스크는 고정되어 교반하에서 안정성을 제공하였다. 전체 어셈블리는 질소 대기하에서 보관되었다. 542gm의 [BMIM]Cl을 무게를 달아 조심히 깔때기를 거쳐 플라스크에 채웠다. 830gm의 AlCl3 을 무게를 달아 서서히플라스크에 계속 저으면서 첨가하였다. AlCl3 채우기는 1.5시간안에 완결되었다. 차후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하여 원료들을 제대로 혼합하였다. 최종 촉매(이온 화합물)를 질소 조건하에서 보관하였다.
단계 ii: 알킬화 반응에 반복 이용하여 단계 (i)에서 제조된 이온 화합물의 불활성화
10-15% 의 C10-C14올레핀을 함유한 92lit의 올레핀 스트림과 36lit의 벤젠을250lit의 둥근 바닥 반응기에 첨가하고 가열맨틀에 보관하였다. 교반기를 시동하고 가열 코일의 스위치를 켰다. 혼합물이45oC의 온도에 도달하면 단계 (i)에서 제조된 1.3kg의 촉매를 채우고 10분동안 교반하였다. 10분후에 탄화수소와 촉매 층들이 분리되고 바닥 촉매 층이 같은 양의 새 올레핀 스트림과 벤젠과 함께 재순환되었다.
단계 iii: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트리에틸아민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의 재생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브로마이드를 가진 불활성화된 209gm의 클로로알루미네이트 이온 화합물 촉매 (단계ii 에서 수득) 와 269. 1gm의 초산 에틸을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2lit 중화 반응기 (104)에 채웠고 반응기를 25-30 oC에서 유지되는 수욕조에 놓았다. 혼합물을 5분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을 서서히 반응물의 pH가 산성(pH: 1-2) 에서 중성 (pH: 7-7.5)으로 변할 때 까지 중화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대략적으로 192.13gm의 트리에틸아민이 1시간 주기동안 첨가되었다. 일단 중성pH가 달성되면 트리에틸아민 첨가가 정지되고 차후 반응물을 45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5시간동안 교반하지 않고 유지하여 고체물질이 바닥에 가라앉게 하였다. 다음 반응물을 반응기에서 누체 여과기 (106)에로 이송하고 진공하에서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640.45gm의 초산 에틸로 세척하였다. 누체 여과기 (106)에서 수득된 여과물을 증류 컬럼 (112)에 채웠고 여기서 초산 에틸이 대기 조건에서 증류물로 분리된다. 바닥 잔류물은 26gm의 결합 중합체와 탄화수소 혼합물을 함유한다.
누체 여과기 (106)에서 수득된 잔류물을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추출기 (108)에 채웠다. 여기에 532gm의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온도를25-30 oC에서 유지하였다. 추출기에서 수득된 슬러리를 누체 여과기 (110)에 채우고 진공하에서 여과하였다. 여과동안에 잔류물을308gm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누체 여과기 (110)에서 수득된 여과물(디클로로메탄층)을 수평 응축기가 설치된 증발 컬럼 (114)에 채웠다. 디클로로메탄을 증류법으로 회복하였다. 82.5gm의 잔류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Br 및 Al함유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득률이 80%였다.
여과기 (110)에서 수득된 274gm의 잔류물을 중화 반응기 (116)에 채웠고 이어 375gm의 20% 메타놀 KOH 용액을 첨가하고 30분 주기동안 교반하여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슬러리는 다음 누체 여과기 (118)을 거쳐 진공하에서 여과되었다. 수득된 여가물을 증류 컬럼 (120)에서 처리하여 메타놀을 증류물로180gm의 트리에틸아민(90% 순도)을 바닥 생성물로 회복하였다.
실시례7 :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하여 새 촉매로 부터 [BMIM]Cl 회복
이 실험에서, 본 발명의 공정의 효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실시례6의 단계 (i)에서 제조된 이온 화합물을 직접 불활성화 하지 않고 재생하였다.
실시례6의 단계(i)에서 수득된10.0gm의 새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29oC에서 유지되는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 12.6gm의 트리에틸아민을 1시간 주기 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초산 에틸층은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함유한다. 수득된 고체물질을lot 식으로 200ml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BMIM]Cl를 고체 혼합물에서 추출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3.8gm의 [BMIM]Cl염을 얻었다. 수득률이 87%였다.
실시례 8: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탄산나트륨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 [BMIM] Cl의 재생
이 실험에서 이용된 공정은 탄산나트륨 용액이 트리에틸아민 대신에 이용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례6의 단계(iii)에서 서술된 것과 같다.
실시례6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0gm의 불활성화된 촉매를500ml 원추 플라스크에 채웠다. 133.3gm의 Na2CO3 과 350ml 물을 혼합하여 Na2CO3 용액을 제조하고 놓아두었다. 제조된 Na2CO3 용액을 서서히 불활성 촉매를 함유한 원추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결되면 100ml 의 초산 에틸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고 1시간동안 가라 앉혔다. 물과 초산 에틸층들을 분리하고 물층을 증류 처리하여 고체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고체 혼합물을 75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BMIM]Cl을 추출하고 수득된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24gm의 [BMIM]Cl염을 얻었다. 초산 에틸층을 증류해버려11gm의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제공하였다. 수득된 [BMIM] Cl염을Cl및 Al 함유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얻어진 수득률은 63%였다.
실시례9: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tert-부틸아민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 [BMIM] Cl의 재생
이 실험에서 이용한 공정은 트리에틸 아민대신에 tert-부틸아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례6의 단계(iii)에서 서술한 것과 같다.
실시례6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19gm의 불활성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되고 29oC에 유지되는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25ml의 tert-부틸아민을 1시간 주기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후 얻어진 초산 에틸 층은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함유한다. 얻어진 고체물질을100ml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고체 혼합물에서 [BMIM] Cl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1.2gm의 [BMIM] Cl염을 얻었다.
실시례10 :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암모니아 용액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 [BMIM] Cl의 재생
이 실험에서 이용한 공정은 트리에틸 아민 대신에 암모니아 용액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례6의 단계(iii)에서 서술한 것과 같다.
실시례6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09gm의 불활성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되고 29oC에 유지되는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4.25gm의 25% NH3용액을 1시간 주기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후 얻어진 초산 에틸 층은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함유한다. 얻어진 고체물질을200ml 디클로로메탄으로lot식으로 세척하여 고체 혼합물에서 [BMIM]Cl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1.2gm의 [BMIM] Cl 염을 얻었다.
실시례11 :
이 실험에서, 클로로알루미네이트 기반 이온 화합물이 제조되었으며 이는 알킬화 반응에서 반복 사용되어 불활성화되었고 다음 불활성화된 이온 화합물은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재생되었다.
단계 i: 1-부틸-4-메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BMPy]Cl을 이용한 클로로알루미네이트 이온 화합물의 제조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5 L 3 목 RB 플라스크로 된 장치를 0-5oC의 얼음 욕조에 배치하였다. 이 플라스크는 고정되어 교반하에서 안정성을 제공하였다. 전체 어셈블리는 질소 대기하에서 보관되었다. 576.2gm의 [BMPy]Cl을 무게를 달아 조심히 깔때기를 거쳐 플라스크에 채웠다. 830gm의 AlCl3 을 무게를 달아 서서히플라스크에 계속 저으면서 첨가하였다. AlCl3 채우기는 1.5시간안에 완결되었다. 차후 혼합물을 2시간동안 교반하여 원료들을 제대로 혼합하였다. 최종 촉매(이온 화합물)를 질소 조건하에서 보관하였다.
단계 ii: 알킬화 반응에 반복 이용하여 단계 (i)에서 제조된 이온 화합물의 불활성화
10-15% 의 C10-C14올레핀을 함유한 92lit의 올레핀 스트림과 36lit의 벤젠을250lit 의 둥근 바닥 반응기에 첨가하고 가열맨틀에 보관하였다. 교반기를 시동하고 가열 코일의 스위치를 켰다. 혼합물이45oC의 온도에 도달하면 단계 (i)에서 제조된 1.3kg의 촉매를 채우고 10분동안 교반하였다. 10분후에 탄화수소와 촉매 층들이 분리되고 바닥 촉매 층이 같은 양의 새 올레핀 스트림과 벤젠과 함께 재순환되었다.
단계 iii: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트리에틸아민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의 재생
1-부틸-4-메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를 가진 불활성화된 209gm의 클로로알루미네이트 이온 화합물 촉매 (단계ii 에서 수득)와 269.1gm의 초산 에틸을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2lit 중화 반응기 (104)에 채웠고 반응기를 25-30 oC에 유지되는 수욕조에 놓았다. 혼합물을 5분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에틸아민을 서서히 반응물의 pH가 산성(pH: 1-2) 에서 중성 (pH:7-7.5)으로 변할 때 까지 중화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대략적으로 192.13gm의 트리에틸아민이 1시간 주기동안 첨가되었다. 일단 중성pH가 달성되면 트리에틸아민 첨가가 정지되고 차후 반응물을 45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5시간동안 교반하지 않고 유지하여 고체물질이 바닥에 가라앉게 하였다. 다음 반응물을 반응기에서 누체 여과기 (106)에로 이송하고 진공하에서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640.45gm의 초산 에틸로 세척하였다. 누체 여과기(106)에서 수득된 여과물을 증류 컬럼 (112)에 채웠고 여기서 초산 에틸이 대기 조건에서 증류물로 분리된다. 바닥 잔류물은 26gm의 결합 중합체와 탄화수소 혼합물을 함유한다.
누체 여과기 (106)에서 수득된 잔류물을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추출기 (108)에 채웠다. 여기에 532gm의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온도를25-30oC에서 유지하였다. 추출기에서 수득된 슬러리를 누체 여과기 (110)에 채우고 진공하에서 여과하였다. 여과동안에 잔류물을308gm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였다. 누체 여과기 (110)에서 수득된 여과물 (디클로로메탄 층) 을 수평 응축기가 설치된 증발 컬럼 (114)에 채웠다. 디클로로메탄을 증류법으로 회복하였다. 84.5gm의 잔류물을 수득하였고 이는 Cl 및 Al함유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득률이 83%였다.
여과기 (110)에서 수득된 274gm의 잔류물을 중화 반응기 (116)에 채웠고 이어 375gm의 20% 메타놀 KOH 용액을 첨가하고 30분 주기동안 교반하여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슬러리는 다음 누체 여과기 (118)을 거쳐 진공하에서 여과되었다. 수득된 여과물을 증류 컬럼 (120)에서 처리하여 메타놀을 증류물로180gm의 트리에틸아민(90% 순도)을 바닥 생성물로 회복하였다.
실시례12: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하여 새 촉매로 부터[BMPy]Cl회복
이 실험에서, 본 발명의 공정의 효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실시례11의 단계(i)에서 제조된 이온 화합물을 직접 불활성화 하지 않고 재생하였다.
실시례6의 단계(i)에서 수득된11.0gm의 새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29 oC에서 유지되는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된 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 12.9gm의 트리에틸아민을 1시간 주기 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초산 에틸층은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함유한다. 수득된 고체물질을lot 식으로 200ml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BMPy]Cl을 고체 혼합물에서 추출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3.7gm의 [BMPy]Cl염을 얻었다. 수득률이 85%였다.
실시례13 :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탄산나트륨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BMPy]Cl의 재생
이 실시례에서 이용된 공정은 탄산나트륨 용액이 트리에틸아민 대신에 이용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례6의 단계(iii)에서 서술된 것과 같다.
실시례6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0gm의 불활성화된 촉매를500ml 원추 플라스크에 채웠다. 133.3gm의 Na2CO3 과 350ml 물을 혼합하여 Na2CO3 용액을 제조하고 놓아두었다. 제조된 Na2CO3 용액을 서서히 불활성 촉매를 함유한 원추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결되면 100ml 의 초산 에틸을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하고 1시간동안 가라 앉혔다. 물과 초산 에틸층들을 분리하고 물층을 증류 처리하여 고체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고체 혼합물을 75ml 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BMPy]Cl을 추출하고 수득된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23gm의 [BMPy]Cl염을 얻었다. 초산 에틸층을 증류해버려 11gm의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제공하였다. 수득된 [BMPy]Cl염을Cl및 Al 함유량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얻어진 수득률은 62%였다.
실시례14 :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tert-부틸아민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BMPy]Cl의 재생
이 실시례에서 이용한 공정은 트리에틸 아민대신에 tert-부틸아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례11의 단계(iii)에서 서술한 것과 같다.
실시례11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5gm의 불활성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되고 29oC에 유지되는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25ml의 tert-부틸아민을 1시간 주기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후 얻어진 초산 에틸 층은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함유한다. 얻어진 고체물질을100ml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고체 혼합물에서 [BMPy]Cl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 1.3gm의 [BMPy]Cl염을 얻었다.
실시례15 :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한 암모니아 용액을 채용한 이온 화합물[BMPy]Cl의 재생
이 실시례에서 이용한 공정은 트리에틸 아민 대신에 암모니아 용액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례11의 단계(iii)에서 서술한 것과 같다.
실시례6의 단계(ii)에서 수득된10.5gm의 불활성 촉매를 50ml 초산 에틸과 함께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가 설치되고 29oC에 유지되는250ml RB 플라스크에 채웠다. 서서히4.4gm의 25% NH3용액을 1시간 주기동안 첨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후 얻어진 초산 에틸 층은 결합 중합체와 유기물질을 함유한다. 얻어진 고체물질을200ml 디클로로메탄으로lot식으로 세척하여 고체 혼합물에서 [BMPy]Cl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해버려1.3gm의 [BMPy]Cl염을 얻었다.
이 설명서 전반에 걸쳐 용어 "포함하다(comprise)", 또는 "comprises" 또는 "comprising"과 같은 변형들은 언급된 요소 또는 정수, 단계, 또는 요소들 또는 정수들, 단계들의 그룹의 포함을 의미하지만, 임의의 다른 요소 또는 정수, 단계, 또는 요소들 또는 정수, 단계들의 그룹의 배제를 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표현 "적어도"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사용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들 또는 성분들 또는 양들의 사용을 암시하는데, 그것은 이 사용이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서 실행되어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바람직한 목적들 또는 결과들을 달성하기때문이다.
이 설명서에 포합된 문헌들, 재료들, 장치들, 제품들 등의 론의는 단지 본 발명의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뿐이다. 이는 이들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가 청구의 우선권 날짜이전에 임의의 곳에 존재한 것으로 하여 이들이 종래 기술 기반의 한 부분이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으로 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여러가지 파라미터 또는 크기들, 양들에 대하여 언급된 수값들은 근사값들에 불과하며 파라미터 또는 크기들, 양들에 할당된 수값들 보다 크거나/작은 값들도 이 설명서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은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예상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방식의 특징들에 상당한 강조를 주었으나 많은 추가 특징들이 추가 될 수 있고 많은 변화들이 본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바람직한 실시방식들에 가해질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의 이들 또는 기타 변화들은 이 설명서로 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것으로 하여 앞선 설명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서술한 것에 불과하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백히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결합 중합체들, 적어도 한 개의 염화 금속의 부가생성물로 부터 화학식A 의 이온 화합물과 B의 이온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이온 화합물을 재생하는 공정에 있어서,
    Figure pct00003

    화학식 A 화학식 B
    R1  와 R2은 독립적으로 알킬기이고X는 할로겐이며,
    상기 공정은 하기 공정들:
    a) 초산 에틸을 상기 부가 생성물에 첨가하여 결합 중합체들을 초산 에틸에서 용해하고 적어도 한 개의 염기를 합체하여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염화 금속, 염기의 고체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복합물을 여과하여 복합물 잔류물과 결합 중합체를 함유한 초산 에틸을 분리하는 단계;
    c) 적어도 한번 상기 복합물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여 화학식A 또는 B의 이온 화합물과 염화 금속과 염기의 부가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은 독립적으로 메틸과 에틸, 프로필, 부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 제1항에 있어서, 할로겐은 브롬 및 염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 제1항에 있어서, 염화금속은 삼염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5. 제1항에 있어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과 tert-부틸 아민,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암모늄, 이들의 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6. 제1항에 있어서, 단계(a)는20oC -50oC의 온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7. 제1항에 있어서, 초산 에틸 및 디클로로메탄을 회복하고 재생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8. 제1항에 있어서, 단계(a)는pH 값을 7-7.5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이온 화합물의 회복이 60-99%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KR1020157031815A 2013-04-19 2014-04-21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 KR20150143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457/MUM/2013 2013-04-19
IN13MU1457 2013-04-19
PCT/IN2014/000253 WO2014184803A2 (en) 2013-04-19 2014-04-21 A process for regenerating ionic comp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580A true KR20150143580A (ko) 2015-12-23

Family

ID=5712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815A KR20150143580A (ko) 2013-04-19 2014-04-21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35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5880B2 (en) On-site drying of aqueous salt for ionic liquid make-up
US9561499B2 (en) Process for regenerating ionic compound
KR101208293B1 (ko) 이온성 액체 촉매의 재순환 방법
KR20170030553A (ko) 이온성 액체의 회수 방법 및 이의 시스템
CN104080761A (zh) 二烯丙基双酚类的连续制造方法
JP7359141B2 (ja) ヘキサフルオロ-1,3-ブタジエンの製造方法
KR20150143580A (ko) 이온 화합물 재생 공정
RU2594744C2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аминов из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потоков
TWI667203B (zh) 鹵化鋅水溶液的製造方法
JP7060152B1 (ja) イオン液体のカチオン成分の回収方法およびイオン液体の再生方法
JP2537099B2 (ja) 6―メチルアミノピリジ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H0791211B2 (ja) 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EP1258475A2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perfluorinated sulphonic acids from spent acid residue
WO2016005846A1 (en) Treatment of deactivated ionic liquids
JP2722686B2 (ja) チオホスゲンの製造方法
JPS61129164A (ja) インド−ルの精製方法
TW201733677A (zh) 再活化芳族碳酸酯催化劑之方法
TW201605536A (zh) 失活離子液體的處理
CN102976913A (zh) 一种以三氯化铑制备高纯度乙酰丙酮羰基铑的方法
JPS6028956A (ja) 芳香族アミンの製造方法
JP2005068106A (ja) 1,3−ジ(メタ)アリル尿素の製造方法及び精製方法
JPH02142769A (ja) インドールの回収方法
JPH04210659A (ja) クレゾール類中の窒素化合物の除去方法
JP2000273052A (ja) 溶媒の回収方法
JPS60228446A (ja) 芳香族アミン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