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358A -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 Google Patents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358A
KR20150143358A KR1020150083443A KR20150083443A KR20150143358A KR 20150143358 A KR20150143358 A KR 20150143358A KR 1020150083443 A KR1020150083443 A KR 1020150083443A KR 20150083443 A KR20150083443 A KR 20150083443A KR 20150143358 A KR20150143358 A KR 20150143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antigen
ser
val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364B1 (ko
Inventor
고기성
김득수
고기남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14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57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gene products, e.g. pharmaceutical products, interferon
    • C12N15/8258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gene products, e.g. pharmaceutical products, interferon for the production of oral vaccines (antigens) or immunoglobul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61K39/0011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48Tumour specific antigens; Tumour rejection antigen precursors [TRAP], e.g. M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07K16/3046Stomach, Intest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immunoglobulins
    • C07K16/428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immunoglobulins against an allotypic or isotypic determinant on I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6Hybrid immunoglobul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9/00Hybrid peptides, i.e. peptides covalently bound to nucleic acids, or non-covalently bound protein-protein comple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1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 C07K2317/13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isola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1Complete heavy chain or Fd fragment, i.e. VH + CH1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15Complete light chain, i.e. VL + C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07K2317/522CH1 dom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07K2317/53Hi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ys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체 및 상기 식물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형질전환 식물체를 통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항원-항체 복합체)은 거대 4차원 구조를 지님으로서 면역 반응 증폭(boosting) 효과가 뛰어나서, 면역보조제(adjuvant)의 사용 없이도, 숙주 동물에서 항체 생성 능력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Preparation method for transgenic plant producing immunogenic complex protein and immunogenic complex protein obtained therefrom}
본 출원은 2014년 6월 12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7160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체 및 상기 식물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백신은 병원균 감염에 대한 방어를 목적으로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약품으로서 최근 개발되고 있는 백신들은 주로 재조합 단백질(recombinant protein)을 항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재조합 단백질은 사균 백신이나 약독화 생백신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지만 면역원성이 낮으므로 감염 방어에 충분한 면역력을 생성하기 위해 면역보조제를 함께 사용한다. 면역보조제는 그 스스로는 특이적인 항원-항체 면역반응을 가지지 않으면서 백신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자극시켜 증강된 면역력을 유도할 수 있는 일종의 백신 첨가제로서 라틴어로 ‘돕다’또는‘강화하다’라는 뜻을 가진‘adjuvare'에서 유래되었다.
면역보조제는 작용기전에 따라 크게 항원의 전달체, 면역증강제, 면역반응을 자극하는 동시에 항원에 대한 매트릭스로서 작용하는 것 등의 세 가지 종류로 구별된다. 면역보조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1) 재조합 항원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키고, (2) 항원 투여량을 줄이거나 면역화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3) 면역력이 약한 유아와 노인에게서 면역원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 유럽 및 미국에서 승인을 받아 백신에 사용되고 있는 면역보조제로는 알루미늄염, MF59, AS03, AS04 등이 있다. 1926년에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백신의 면역보조제로 개발된 알루미늄염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면역보조제로서 지난 80여 년 동안 사람 백신에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염은 여러 백신에 널리 사용되며 매우 안전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고 신경독성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항체가 매개된 체액성 면역반응은 강하게 유도하나 세포성 면역반응은 거의 유도하지 못하며, 동결보존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예방 접종(또는 백신 접종, vaccination)을 할 때 면역보조제(adjuvant)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부작용 [예를 들면,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과 allergy등의 여러 가지의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adjuvant free 백신에 대한 요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4851
Zhe Lu, Kyung-Jin Lee, Yingxue Shao, Jeong-Hwan Lee, Yangkang So, Young-Kug Choo, Doo-Byoung Oh, Kyung-A Hwang, Seung Han Oh, Yeon Soo Han, and Ki sung Ko, Expression of GA733-Fc Fusion Protein as a Vaccine Candidate for Colorectal Cancer in Transgenic Plants, Journal of Biomedicine and Biotechnology. Volume 2012, Article ID 364240, 11 pages.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면역보조제 비첨가 백신(adjuvant free vaccine) 생산에 관해 연구하던 중, 각각 항원 및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타가수분하여 생산된 1 세대 식물체에서 생산된 항원-항체 복합체가 면역보조제 없이도 고(高)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식물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체로부터 유래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식물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식물체로 부터 유래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단계에서는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한다.
상기 본 발명의 용어 '항원'은 적당한 세포와 접촉하여 유입됨에 따라 민감성 및/또는 면역 반응성 상태를 유도시키고, 생체 내 또는 시험관 내에서 이와 같이 감작된 대상체의 면역 세포 및/또는 항체와 입증 가능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모든 물질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원'은 '면역원'이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통칭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숙주 면역 체계가 그 항원에 특이적인 분비성, 체액성 및/또는 세포성 면역 반응을 일으키도록 촉진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분자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항원성' 또는 '면역원성'은 상기 항원 또는 면역원의 성질을 뜻하는 것으로 분비성, 체액성 및/또는 세포성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성질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면역 반응'이란 동물 체내에 존재하는 자기방어체계로서, 외부로부터 침입해오는 각종 물질이나 생명체를 자기 자신과 구별해내어 이 침입자를 제거하는 생물학적 현상이다. 이러한 자기방어를 위한 감시체계는 크게 두 가지 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체액성 면역, 그리고 다른 하나는 세포성 면역이다. 체액성 면역은 혈청 내에 존재하는 항체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항체는 침입한 외부 항원물질과 결합하여 그것을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한편, 세포성 면역은 림프계에 속하는 몇 종류의 세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세포는 침입해온 세포나 조직을 직접 파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하여 체액성 면역은 주로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단백질, 복합탄수화물과 같은 외부물질에 대해 효과적이며, 세포성 면역은 각종 기생충, 조직, 세포 내 감염, 암세포 등에 그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이중 방어체계는 B 세포나 T 세포 등의 주로 두 종류 림프구에 의해 수행되는데 B 세포는 항체를 생산하고, T 세포는 세포성 면역에 가담하고 있다. 이러한 B 세포나 T 세포에 의한 면역 반응은 일단 체내로 침입한 항원에 대하여 반응을 하되, 반드시 같은 종류의 항원이 계속 존재하거나 반복 침입해 왔을 경우에 작용하는 면역체계이다. 따라서, 이러한 면역 반응은 특정 항원에 대한 특이한 반응이다. 이러한 항원특이적 면역 반응 이외에도 체내에는 어떤 항원에 대해 노출되어진 경험이 없는 경우라도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공격세포를 파괴하는 일종의 자연 면역 반응도 있는데, 이러한 면역 반응에는 neutrophil, macrophage, NK(natural killer) 세포 등이 관여하여 공격대상 세포의 종류에 별로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에피토프'는 복잡한 항원 분자 상의 가장 간단한 형태의 항원 결정기를 지칭하고, 이는 항체 또는 T 세포 수용체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의 특이적 부분이다.
본 발명의 항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비단백질 분자 및 이들의 단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항원은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및 이의 단편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의 항원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면역원성 물질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박테리아 항원 또는 에피토프, 진균 항원 또는 에피토프, 식물 항원 또는 에피토프, 사상균 항원 또는 에피토프, 바이러스 항원 또는 에피토프, 종양(암) 세포 항원 또는 에피토프, 독소 항원 또는 에피토프, 화학적 항원 또는 에피토프 및 자가 항원 또는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항원은 바람직하게 종양-연관 항원일 수 있다. 상기 종양-연관 항원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종양(또는 암) 연관 항원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유방암 항원, 난소암 항원, 전립선암 항원, 자궁경부암 항원, 췌장암 항원, 폐암 항원, 방광암 항원, 결장암 항원, 고환암 항원, 교모세포종 암 항원, B 세포 악성 종양과 관련된 항원,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된 항원, 비-호지킨 림프종과 관련된 항원,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과 관련된 항원 또는 대장암 항원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종양-연관 항원은 A33; ADAM-9; ALCAM; B1; BAGE; 베타-카테닌; CA125; 카르복시펩티다아제 M; CD5; CD19; CD20; CD22; CD23; CD25; CD27; CD28; CD32B; CD36; CD40; CD45; CD46; CD56; CD79a; CD79b; CD103; CD154; CDK4; CEA; CTLA4; 사이토케라틴 8; EGF-R; 에프린 수용체; ErbB1; ErbB3; ErbB4; GAGE-1; GAGE-2; GD2; GD3; GM2; gplOO; HER-2/neu;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E6;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E7; 인테그린 알파-V-베타-6; JAM-3; KID3; KID31; KSA(17-1A); LUCA-2; MAGE-1; MAGE-3; MART; MUC-1; MUM-1; N-아세틸글루코사미닐트랜스퍼라아제; 온코스타틴 M(온코스타틴 수용체 베타); p15; PIPA; PSA; PSMA; RAAG1O; ROR1;SART; sTn; TES7; TNF-α 수용체; TNF-β 수용체; TNF-γ 수용체; 트랜스페린 수용체; VEGF 수용체 또는 GA73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원은 바람직하게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인 GA733일 수 있으며, 상기 GA733은 상피세포 부착분자(EpCAM: 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또는 17-1A 항원, KSA, EGP40, GA733-2, ks 1-4 및 esa로도 불린다)이다. EpCAM은 간단한 상피세포(epithelial cell) 및 이로부터 유도된 종양세포(tumorous cell)에 의해 발현된 표면 당단백질(surface glycoprotein)이다. EpCAM 분자는 건강한 조직으로부터의 세포 표면에 보이지만, 그 발현은 악성조직에서 상향조절된다. EpCAM은 배향되고 매우 정렬된 형태로 상피세포에 고착하는 기능을 한다(Litvinov, J Cell Biol. 1997, 139, 1337-1348).
본 발명의 상기 GA733은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항원'은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endoplasmic reticlum signal peptide, 소포체 표적화 서열과 같은 의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ER 신호 서열)는 세포질 세망 상의 신호 인식 입자에 의해 단백질이 인식되는 것을 허용하여 단백질이 ER 내강 내에 전위되게 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식물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라면 그 종류 및 아미노산 서열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US 20130295065, WO 2009158716 등의 문헌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는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3, 서열번호 28, 서열번호 29, 서열번호 30, 서열번호 31 및 서열번호 3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의 결합 위치는 식물세포 내에서 발현 또는 합성을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의 N-말단에 추가(또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의 항원은 바람직하게 항체 Fc 단편과 융합(fusion)된 형태로 제공 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융합(fusion)'은 화학적 또는 유전적 융합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유전적 융합을 지칭한다. 상기 '유전적 융합'이란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 서열의 유전적 발현을 통해서 형성된 선형(linear)의 공유결합으로 이루어진 연결(link)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로 제공되는 항원을 본원 발명에서는 키메릭 항원(chimeric antigen)이라 지칭한다. 즉, 본원 발명의 항원은 바람직하게 하기의 (i) 및 (ii)를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chimeric antigen)이다; (i) 항원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 반응 도메인(immune response domain, IRD) 및 (ii) 항체 Fc 단편(Fc antibody fragment)을 포함하는 표적 결합 도메인(target binding domain, TBD).
상기 (i)에서 면역 반응 도메인(immune response domain, IRD)은 항원성 단백질의 전체 또는 단편을 포함하여 실제적인 면역 반응, 즉 체액성 및/또는 T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항원성 단백질이란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 종류의 항원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항원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ii)에서 표적 결합 도메인(target binding domain, TBD)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체 Fc 단편유래 CH2 도메인 및 CH3 도메인을 포함하며, 항원제시세포(antigen-presenting cell, APC)와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는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이하, "Ig"로 표기)'과 혼용하여 사용되며, 항원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생체 면역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총칭이다. 항체는 경쇄 및 중쇄의 2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항체의 경쇄 및 중쇄는 여러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이다. 전체 항체(whole antibody)에서, 각각의 중쇄는 중쇄 가변 부위(VH) 및 중쇄 불변 부위를 포함한다. 중쇄 불변 부위는 중쇄 불변 도메인 CH1, CH2 및 CH3(항체 부류 IgA, IgD 및 IgG) 및 임의로 중쇄 불변 도메인 CH4(항체 부류 IgE 및 IgM)를 포함한다. 각각의 경쇄는 경쇄 가변 도메인(VL) 및 경쇄 불변 도메인(CL)을 포함한다. 하나의 자연 발생적 전체 항체인 IgG 항체의 구조는 예를 들어 도 2에 제시되어 있다. 가변 도메인 VH 및 VL은 보다 보존된, 골격 부위(FR)라 불리는 부위 내에 산재된 상보성 결정 부위(CDR)라 불리는 과가변성 부위로 보다 세분될 수 있다. 각각의 VH 및 VL은 3개의 CDR 및 4개의 FR로, 아미노-말단에서 카르복시-말단으로 배열된 하기 순서: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로 구성되어 있다(Janeway, C.A., Jr. 등 (2001). Immunobiology., 5th ed., Garland Publishing; and Woof, J., Burton, D., Nat Rev Immunol 4 (2004) 89-99). 중쇄 및 경쇄의 2개의 쌍(HC/LC)은 동일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체 항체는 2가, 단일특이성 항체이다.
그리스 문자 α, δ, ε, γ, 및 μ로 표시된 5가지 유형의 포유류 항체 중쇄가 존재한다(Janeway, C.A.,Jr., 등, (2001). Immunobiology., 5th ed., Garland Publishing). 존재하는 중쇄의 유형이 항체의 부류를 정의한다; 이러한 사슬은 각각 IgA, IgD, IgE, IgG 및 IgM 항체에서 발견된다(Rhoades R.A., Pflanzer RG(2002). Human Physiology, 4th ed., Thomson Learning). 구별되는 중쇄는 크기 및 조성이 상이하다; α및 γ는 대략 45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한편, μ 및 ε는 대략 550 개의 아미노산을 갖는다. 각각의 중쇄는 불변 부위과 가변 부위인 2개의 부위를 갖는다. 불변 부위는 동일한 동형의 모든 항체에서 일치하나, 상이한 동형의 항체에서 상이하다. 중쇄 γ, α 및 δ는 3개의 불변 도메인 CH1, CH2 및 CH3 (일렬로)으로 구성된 불변 도메인, 및 유연성을 더하기 위한 힌지 부위를 갖고 (Woof, J., Burton, D., Nat Rev Immunol 4 (2004) 89-99); 중쇄 μ 및 ε는 4개의 불변 도메인 CH1, CH2, CH3 및 CH4로 구성된 불변 부위를 갖는다(Janeway, C.A., Jr., 등, (2001). Immunobiology., 5th ed., Garland Publishing). 중쇄의 가변 부위는 상이한 B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항체에서는 상이하나, 단일 B 세포 또는 B 세포 클론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항체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각각의 중쇄의 가변 부위는 대략 110개의 아미노산 길이이고, 단일 항체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포유류에는 람다(λ) 및 카파(κ)로 불리는 오직 2가지 종류의 경쇄가 존재한다. 경쇄는 1개의 불변 도메인 CL 및 1개의 가변 도메인 VL의 2개의 연속 도메인을 갖는다. 경쇄의 대략적인 길이는 211 내지 217개의 아미노산이다.
본원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IgG를 항체의 대표적인 기본 구조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Fc 단편은 IgG, IgA, IgD, IgE 및 Ig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유래된 것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IgG 유래의 Fc 단편일 수 있다. 상기 IgG는 다시 IgG1, IgG2, IgG3 및 IgG4로 나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Fc 단편은 가장 바람직하게 IgG1 유래의 Fc 단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Fc 단편'은 면역글로불린(Ig) 분자를 파파인으로 분해시킬 때 얻어지는 분절로, 경쇄의 가변영역(VL)과 불변 영역(CL) 및 중쇄의 가변영역(VH)과 중쇄 불변영역 1(CH1)이 제거된 영역이다. 즉, 상기 Fc 단편은 두개의 CH2 -CH3 도메인 사슬의 이량체(dimer of two CH2-CH3 chain)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두 사슬은 이황화결합에 의해 이량체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Fc 단편은 중쇄 불변영역에 경첩영역(hinge region) 펩타이드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천연형과 실질적으로 동등하거나 향상된 효과를 갖는 한, 중쇄 불변영역 1(CH1) 및/또는 경쇄 불변영역 1(CL1)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하는 확장된 Fc 단편일 수 있다. 또한, CH2 및/또는 CH3에 해당하는 상당히 긴 일부 아미노산 서열이 제거된 단편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항체 Fc 단편은, 상기 키메릭 항원을 포함하는 분자 또는 조성물이 투여될 숙주(대상체)와 동일한 종으로부터 유래되거나 또는 숙주에 대해 이종형인 항체 Fc 단편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숙주가 인간인 경우, 상기 항체 Fc 단편은 인간 항체로 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고, 이종형 항체 Fc 단편에 대해서는 비인간 포유류 동물, 예를 들어 소, 염소, 돼지, 마우스, 토끼, 햄스터, 랫트, 기니피그 또는 마우스 유래 항체 Fc 단편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체 Fc 단편'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항체 Fc 단편 펩타이드라면 그 종류 및 아미노산 서열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고(인간 IgG1의 Fc 단편 서열), 또한 상기 서열에 경첩영역(hinge region)이 부가된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항원제시세포'는 항원을 내재화하고, 항원을 프로세싱하며,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부류 I 또는 II 분자 맥락에서 항원성 에피토프를 림프구에 제시함으로써 주로 기능하는 항원-유도성 사건의 보조 세포를 지칭한다. APC와 항원 간의 상호 작용은 면역 유도에 있어 필수적 단계인데, 이는 이로써 림프구가 항원성 분자와 접촉하고 이를 인식하여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시적 APC에는 대식 세포, 단구, 랑게르한스(Langerhans) 세포, 서로 맞물려 있는 수지상세포, 소포성 수지상세포, 및 B 세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표적 결합성 도메인(TBD)'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체 Fc 단편유래 CH2 및 CH3 도메인을 포함하므로, APC 상의 Fc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다. 항체 Fc 단편은 Fc receptor binding site를 가지며, 상기 Fc receptor binding site에서 APC 상의 Fc 수용체와 결합한다.
상기 면역 반응 도메인(IRD)과 표적 결합성 도메인(TBD)은 유전적 융합 수단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키메릭 항원은 IRD를 TBD에 연결시켜 주는 연결성 분자의 사용을 포함한다. 예시되는 링커 분자에는 루이신 지퍼, 및 바이오틴/아비딘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상기 키메릭 항원에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링커는 펩티드 서열이다. 이러한 펩티드 링커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약 2 내지 약 40개 아미노산(예를 들어, 약 4 내지 10개 아미노산)이다. 예시되는 펩티드 링커에는 아미노산 서열 'SRPQGGGS'이 포함된다. 기타 링커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이들이 연결시키는 영역들 간의 가요성을 고려하여 글리신 및/또는 알라닌이 풍부하다.
본 발명의 키메릭 항원은 단량체성이거나(즉, 이들은 IRD 및 TBD를 포함하는 단일 단위를 함유한다), 또는 이들은 다량체성일 수 있다(즉, 이들은 각각 IRD 및 TBD를 포함하는 다중 단위를 함유한다). 다량체는, 예를 들어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육량체, 칠량체 또는 팔량체일 수 있다. 이러한 다량체에서는 개개의 단위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거나, 또는 몇몇은 동일하고 다른 것은 상이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키메라 항원은 바람직하게 이량체성이며, 도 1은 본 발명의 이량체성 키메릭 항원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량체성 키메라 항원에 대해서는 US 8,465,745; US 8,029,803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4851 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키메릭 항원은 바람직하게
(i) 항원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 반응 도메인(immune response domain, IRD); 및
(ii) 항체 경첩 영역(hinge region), CH2 도메인 및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표적 결합 도메인(target binding domain, TBD)을 포함하고,
상기 면역 반응도메인의 C-말단이 상기 표적결합 도메인의 N-말단에서 펩티드 결합(peptide linkage)에 의해 연결된 이량체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항원'은 소포체 저장 유도서열(또는 소포체 잔류 신호 펩타이드, ER retention signal peptid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체 저장 유도서열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식물 소포체 저장 유도서열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WO 2009158716 및 하기의 문헌 등을 참조로 할 수 있다; Pagny et al., Signals and mechanisms for protein retention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Vol. 50, No. 331, pp. 157-64, February 1999.
본 발명의 상기 소포체 저장 유도서열은 바람직하게 KDEL(서열번호 8), HDEL(서열번호 23) 및 상기 서열에 1 내지 5개의 아미노산이 부가된 것일 수 있으며(예를 들어 서열번호 24의 SEKDEL, 서열번호 25의 KHDEL, 서열번호 26의 KEEL, 서열번호 27의 SEHDEL 등등), 가장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KDEL 일 수 있다.
상기 KDEL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특정 유전자(본 발명에서는 항원 발현 유전자) 내에 삽입함으로서, 최종산물의 아미노산 서열 말단에 KDEL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생산된 단백질이 식물 세포 외부로 분비되지 않고 형질전환된 세포 내의 소포체에 존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특정 유전자가 도입된 숙수 세포 속에서 생산되는 단백질은 KDEL 서열에 의하여 소포체 내에 저장되고 식물체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번역 후 과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거친다. 이는 세포 내 항체단백질의 발현량 증가와 이종간 면역 반응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종간 당구조 차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KDEL 서열에 의해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저장과정을 거쳐 생성된 항체에서는 high-mannnose 당사슬 구조(high-mannnose glycan structure)가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단백질에서 ER-type 당사슬(또는 oligomannose glycan-type 이라고도 한다)이 수지상세포 또는 대식세포에서 만노오스 수용체를 통하여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Zhe Lu, et al.,Expression of GA733-Fc Fusion Protein as a Vaccine Candidate for Colorectal Cancer in Transgenic Plants, Journal of Biomedicine and Biotechnology Volume 2012, Article ID 364240, 11 pages, doi:10.1155/2012/364240).
상기 소포체 저장 유도서열(KDEL)의 삽입부위는 항원의 면역원성 또는 항체 결합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그 부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원이 전술한 바와 같은 키메릭 항원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소포체 저장 유도서열의 삽입부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항체 Fc 단편의 C-말단 부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의 항원은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GA733-FcK 키메릭 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A733-FcK 키메릭 항원은, 소포체 신호 펩타이드가 연결된 대장암 세포 표면 GA733 단백질, hinge region을 포함한 인간 IgG1의 Fc 단편 및 소포제 저장 유도 서열(K로 표시)이 연결된 이량체 단백질로서(도 1 참조),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10-1054851을 참고로 한다.
상기 용어 '형질전환(transformation)'은 외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도입됨에 의한 숙주 세포의 유전자형의 변형을 의미하며, 그 형질전환에 사용된 방법과 상관없이 외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숙주 세포 내로 도입된 것을 의미한다. 숙주 세포 내로 도입된 외래성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 세포의 게놈 내로 통합되어 유지되거나 통합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양자 모두 포함한다.
상기 용어 '도입'은 유전자 또는 유전자군을 인위적으로 표적하는 세포에 삽입하여 그 유전자군을 발현시키거나 또는 그 세포의 게놈(genome)에 다른 유전자(군)을 부가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전자의 도입은 박테리오파아지에 의한 형질도입(세균), 토양세균인 Agrobacterium spp.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방법, 유전자 총(genegun), 전기자극(electroporation), 현미주입법(microinjection) 등에 의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표적 세포 및 삽입 유전자의 특징에 따라 당업자가 공지된 유전자 도입 기술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에서 형질전환이란, 항원(특히 항원성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들를 식물 세포에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a) 단계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 제조'는 공지의 식물세포 형질전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원하는 유전자를 벡터(vertor)에 삽입하여 재조합 벡터를 만들고, 상기 재조합 벡터를 Agrobacterium 속의 균주에 형질전환 시킨 다음, 상기 균주를 식물 세포에 감염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벡터는 일반적으로 시그날 서열, 복제 기원, 하나 이상의 마커 유전자, 인핸서 요소, 프로모터 및 전사 종결 서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발현 벡터이다. 상기 발현벡터(expression vector)는 선택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발현할 수 있는 벡터의 한 형태이다. 하나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시퀀스는, 조절 시퀀스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시퀀스의 발현(예를 들어, 수준, 타이밍 또는 발현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경우, 상기 조절 시퀀스(regulatory sequence)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조절 시퀀스는 그것이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핵산의 발현(예를 들어, 수준, 타이밍 또는 발현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서열이다. 상기 조절 시퀀스는, 예를 들어, 조절된 핵산에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분자들(예를 들어, 상기 조절 시퀀스 및/또는 상기 핵산에 결합하는 폴리펩티드들)의 작용을 통하여 그의 영향이 미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 시퀀스에는 프로모터(promoters), 인핸서(enhancers) 및 다른 발현 조절 요소들이 포함된다.
상기의 당 분야에 공지된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표준 재조합 DNA 및 분자 클로닝 기술은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있다(Sambrook, J., Fritsch, E. F. and Maniatis, T.,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1989; by Silhavy, T. J., Bennan, M. L. and Enquist, L. W., Experiments with Gene Fusion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1984; and by Ausubel, F. M.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published by Greene Publishing Assoc. and Wiley-lnterscience , 1987).
안정한 형질전환 후, 이어 형질전환된 식물을 번식시킨다. 상기 번식은 식물의 개체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식물의 번식은 재생 식물의 특성과 모(母) 유전자 이식 식물이 발현하는 특성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방법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미세증식일 수 있다.
상기 미세증식은 선택된 모 식물 또는 재배종으로부터 잘라낸 단일 조직 샘플로부터 제 2 세대 식물을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해 바람직한 조직을 가지며 목적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는 식물의 대량 재생산이 가능하다. 새로 생성된 식물은 최초 식물과 유전학적으로 동일하고 최초 식물의 특징 모두를 가진다. 미세증식은 단기간에 우수 식물 재료의 대량 생산을 가능케 하고, 최초 유전자이식 또는 형질전환 식물의 특징을 보존하면서 선택된 작물을 신속하게 증식 가능케 한다. 식물 클로닝 방법의 이점으로 식물 증식의 신속성 및 생성된 식물의 우수성 및 균일성이 포함된다.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한다.
상기 '항체'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용어 '특이적'이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분자의 한쪽 분자가 그 하나 또는 복수의 결합하는 상대방 분자 이외의 분자에 대해서는 전혀 유의한 결합을 나타내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항체가 오직 하나의 항원에만 결합할 수 있는 특이성을 의미하며, 또한 항원 결합 도메인이 어떤 항원 중에 포함되는 복수의 에피토프 중 특정 에피토프에 대해 특이적인 경우에도 사용된다. 또한 항원 결합 도메인이 결합하는 에피토프가 복수의 상이한 항원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당해 항원 결합 도메인을 갖는 항원 결합 분자는 당해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다양한 항원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는 IgG, IgA, IgD, IgE 및 IgM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류일 수 있으며, 천연에서 유래되는 전체 항체(whole antibody) 형태로 제공 될 수 있다. 또한 상기(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는 단일클론항체(모노클로날 항체) 및 다클론항체(폴리클로날 항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단일클론항체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일클론항체'란 단일한 항원성 부위(단일 에피토프)에 대해서 지시되어 이와 특이적인 결합을 하는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실질적으로 동질(상동성) 항체의 집단으로부터 수득된 항체를 나타내며, 즉, 집단을 구성하는 개개의 항체는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단일클론항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공지의 단일클론항체 생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문헌(참조: Kohler et al. (1975) Nature 256: 495)에 처음 기재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거나, 또는 재조합 DNA 방법(참조: 미국 특허 제4,816,567호)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문헌(참조: Clackson et al. (1991) Nature 352: 624-628 및 Marks et al. (1991) J. Mol. Biol. 222: 581-597 및 Presta (2005) J. Allergy Clin. Immunol. 116:731)에 기술된 기술을 사용하여 파아지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다클론항체'란 단일클론항체가 2개 이상 포함되는 항체 혼합물을 의미하며, 복수의 에피토프에 반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는 다가 항체(multivalent antibody)를 모두 포함하나, 바람직하게 이가 항체(2가 항체, bivalent antibody) 일 수 있다. 상기 이가 항체는 동일한 ABS를 2개 지니는 양-팔 항체(two armed antibody)의 구조를 띠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다가' 항체는 2 이상의 항원-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항체이다. 다가 항체는 2가, 3가, 4가, 5가, 6가, 7가 또는 고차 결합가 항체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키메릭 항원이 사용되는 경우, (b) 단계의 항체는 상기 키메릭 항원에 포함된 Fc 단편이 유래된 항체와 같은 종류의 항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 단계에서 IgG 유래 Fc 단편을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을 사용하는 경우, (b) 단계의 항체는 상기 (a)단계의 키메릭 항원에 특이적인 IgG 이다.
상기 (b) 단계의 항체는, 상기 (a) 단계의 키메릭 항원을 포함하는 분자 또는 조성물이 투여될 숙주(대상체)와 동일한 종으로부터 유래되거나 또는 숙주에 대해 이종형인 항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숙주가 인간인 경우, 상기 항체는 인간으로 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고, 이종형 항체에 대해서는 비인간 포유류 동물, 예를 들어 소, 염소, 돼지, 마우스, 토끼, 햄스터, 랫트, 기니피그 또는 마우스 유래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b) 단계에서 상기 항체는 소포체 저장 유도서열(KDEL)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체 저장 유도 서열에 관하여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삽입부위는 항체의 항원 인식 및 결합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항체 단백질 펩타이드 서열의 말단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항체 단백질 펩타이드 서열의 C-말단 부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의 항체는 서열번호 11(중쇄) 및 13(경쇄)으로 표시되는, 상기 GA733-FcK 키메릭 항원에 특이적인 이가 항체(이량체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A733-FcK 키메릭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는 실제적인 항원성 부위인 GA733 단백질에 대한 항체로서 CO17-1A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의 항체는 바람직하게 상기 서열번호 11의 중쇄 C-말단에 소포체 저장서열을 포함하는 서열번호 12(중쇄) 및 서열번호 13(경쇄)으로 표시되는 이가 항체로서, 본 명세서에서 CO17-1AK(도 2 참조)로 명명되었다.
상기 (b) 단계에서 형질전환은 상기 항체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식물 세포에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형질전환' 및 형질전환 식물의 번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c) 단계에서는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한다.
상기 '교배(mating)'는 유성생식을 위하여 암수 또는 서로 다른 교배형(mating type)의 두 개체 사이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정이 이루어지고, 암수 양배우자가 접합하여 접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말하며, 이 때 양친의 유전자형이 같고 다름은 문제로 하지 않는다. 유전자형이 다른 두 개체의 교배는 교잡(crossing)이라고 하는데, 본 발명의 '교배'는 교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교배는 공지의 교배 또는 교잡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타가수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a) 내지 (c) 단계에서 상기 '식물'의 종들은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사용된 식물이 동종이고 이들이 교배된 (c) 단계의 식물도 동종인 경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사용된 식물이 서로 이종이고 이들이 교배된 (c) 단계의 식물도 이종(특히, 잡종)인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사용된 식물이 동종이고 이들이 교배된 (c) 단계의 식물도 동종인 경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a) 내지 (c) 단계에서 상기 '식물'은 외래 유전자가 도입될 수 있는 식물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단자엽 식물인 벼, 밀, 보리, 죽순, 옥수수, 토란, 아스파라거스, 양파, 마늘, 파, 부추, 달래, 마 및 생강이 있다. 쌍자엽 식물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애기 장대, 가지, 담배, 고추, 토마토, 우엉, 쑥갓, 상추, 도라지, 시금치, 근대, 고구마, 샐러리, 당근, 미나리, 파슬리, 배추, 양배추, 갓무, 수박, 참외, 오이 호박, 박, 딸기, 대두, 녹두, 강낭콩, 버즈풋 트레포일, 감자, 개구리밥, 들깨, 비둘기콩 및 완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담배(Nicotiana tabacum)일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생산된 교배식물에서는 부모 세대 식물체(즉 (a) 및 (b) 단계의 식물) 각각에서 생산되는 이종의 단백질들이 동시에 발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종 단백질들의 전체 또는 일부 도메인이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융합 단백질이 생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생산되는 새로운 형태의 융합단백질은 (a) 단계의 키메릭 항원 및 (b) 단계의 항체 각각에서 일부 도메인이 융합된 단백질을 의미하며, 도 10c에서 그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c의 구조를 가지는 융합 단백질을 본 명세서에서‘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Fab arm exchanged fusion protein)’로 칭하며, 구체적으로
(i) 항원성 단백질;
(ii) 상기 (i)의 항원성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 Fab 단편; 및
(iii) 항체 Fc 단편(Fc antibody fragment)을 포함하는 구조의 융합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항원성 단백질’및‘항체 Fc 단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항체 Fab 단편(또는 팔, arm)’이란, 하나의 경쇄 및 하나의 중쇄의 CH1(제1 불변 도메인) 및 가변 영역으로 이루어진 항체 단편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중쇄의 VH 및 CH1 도메인 및 경쇄의 VL 및 CL 도메인을 포함하며 항원에 대한 단일특이성을 나타내는 단편이다. 항체를 파파인으로 분해하면 각각 단일 항원-결합 부위를 갖는‘Fab’ 단편으로 불리는 2개의 동일한 항원 결합 단편, 및 나머지 "Fc" 단편 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Fab 팔 교환(Fab arm exchange)’이란 일측의 Fab 단편을 포함하는 항체 반-분자(half-molecule, 즉 하나의 중쇄 및 이에 부착된 경쇄)가 교환(swap)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본원 발명의‘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Fab arm exchanged fusion protein)’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iii) 항체 Fc 단편은 대칭축을 기준으로 일측 CH2 및 CH3 도메인이 상기 (i)의 항원성 단백질과 연결되고, 다른 일측의 CH2 및 CH3 도메인은 상기 (ii)의 Fab 단편에 연결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0c 참조).
이때 (iii) 항체 Fc 단편의 일측 CH2 및 CH3 도메인 및 상기 (i)의 항원성 단백질은 (a) 단계의 키메릭 항원으로부터 유래하고, (iii)항체 Fc 단편의 다른 일측 CH2 및 CH3 도메인 및 상기 (ii)의 Fab 단편은 (b) 단계의 항체로부터 유래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바람직하게 본원 발명의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은, 상기 GA733-FcK 키메릭 항원 및 GA733-FcK 키메릭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즉, 상기 CO17-1AK)에서 일부 도메인이 융합되어 생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i) 대장암 세포 표면 단백질인 GA733;
(ii) 상기 (i)의 GA733 단백질에 특이적인 IgG Fab 단편; 및
(iii) IgG Fc 단편(Fc antibody fragment)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일 수 있고, 이때 (iii) IgG Fc 단편의 일측 CH2 및 CH3 도메인 및 상기 (i)의 GA733은 (a) 단계의 GA733-FcK 키메릭 항원으로부터 유래하고, (iii) IgG Fc 단편의 다른 일측 CH2 및 CH3 도메인 및 상기 (ii)의 Fab 단편은 (b) 단계의 GA733-FcK 키메릭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즉, CO17-1AK)로부터 유래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생산된 교배식물에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이 식물세포 속에서 발현되는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immunogenic complex protein)'이란 항원의 에피토프 및 항체의 항원결합부위(ABS)가 결합하여 항원-항체 복합체(complex)를 이루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의 키메릭 항원 단백질의 에피토프 부위(이하, '항원성 부위로 칭함')가 상기 (b) 단계 항체의 항원결합부위(ABS)에서 결합하여 단백질 복합체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항원성 단백질의 에피토프 부위가 및 항체의 항원결합부위가 결합하는 것'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바람직하게 비공유적 결합(noncovalent bond)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항원성 부위의 에피토프와 항체의 항원결합부위(ABS)에서만 결합이 일어나는 것으로, 전술한 융합(fusion)의 의미와 구별된다.
상기 (a) 단계의 키메릭 항원 및 (B) 단계의 항체 2가지 조합은 항원-항체 복합체의 구체적인 형태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하나의 키메릭 항원 및 하나의 항체가 결합된 키메릭 항원-항체 단분자(도 10a에 도시), 항체가 가교(브릿지, bridge) 역할을 하여 키메릭 항원들 사이의 연결을 매개(즉, 키메릭 항원과 항체가 서로 교차 결합)하는 선형 구조(도 10b에 도시) 및 상기 키메릭 항원-항체 단분자가 중합(polymerization)된 다량체 구조(예를 들어 상기 키메릭 항원-항체 단분자의 오량체 구조)를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전술한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이 2개 결합된 형태(도 10d에 도시), 또는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로만 이루어지며 2개 이상이 결합된 선형 구조의 형태(도 10e에 도시)일 수 있다. 또한, 도 10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키메릭 항원, 이에 특이적인 항체 및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이 함께 선형 구조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의 구조적 다양성은 상기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이 항원과 그 항원에 특이적인 항원결합부위(antigen binding site)를 동시에 가지는 구조적 특징에 기인한다.
상기 여러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조합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대 단백질 4차 구조를 지니게 된다.
단백질의 구조는 1차, 2차, 3차 및 4차 구조로 정의된다. 1차 구조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정보를 지칭하고, 2차 구조는 아미노산 잔기(residue)들이 모여 일정한 패턴인 나선구조(helix), 병풍구조(strand) 또는 비정형구조(random coil)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또한 3차 구조는 2차 구조들이 모여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을 말하며, 4차 구조는 몇 개의 단백질사슬(chain)이 모여 서로 상호작용하는 형태를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은, 이에 따라 제조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체들이 강한 결합을 이루며 상기한 바와 같이 선형 구조(linear form) 또는 환상 구조(circular form)로 거대한 4차 분자 구조 형태를 형성하는 전략을 통해 궁극적으로 옵소닌작용(opsonization)과 유사하게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로 들어가 효율적으로 antigen presenting이 될 수 있는 vaccine 구조를 식물체 내에서 구축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잘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실시예 4>에서는,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IgM과 유사하게 키메릭 항원-항체 단분자의 오량체 구조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의 백신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식물체를 제공한다.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구체적으로 GA733-FcK 키메릭 항원 및 이에 특이적인 항체에 대한 키메릭 항원-항체 복합체일 수 있고, 상기 항원-항체 복합체의 조합(즉,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조합) 및 형태(구조)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체로부터 유래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상기 (a) 내지 (c)단계를 거쳐 제조된 식물체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체로부터 단백질을 수득'하는 것은 공지의 식물 세포 유래 단백질 수득 방법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교배 식물을 파쇄 및 분쇄하여 추출 버퍼(buffer, 완충용액)에 균질화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추출 버퍼는 공지의 식물 단백질 추출 버퍼에 의한 것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일 수 있고, 또는 트리스-HCl pH 8, 디티오트레이톨(DTT), 프로테아제 억제제(예를 들어 애프로티닌(aprotinin), 펩스태틴(pepstatin), 루펩틴(leupeptine), 페닐메틸설포닐 플로오라이드(phenyl methyl sulphonyl fluoride) 및 [(N-(N-(L-3-트랜스-카복시옥시레인(carboxyoxirane)-2-카보닐)-L루실)-애그맨틴(agmantine)]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여기에 단백질 정제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정제'는 통상의 방식으로 정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염석(예를 들어 황산암모늄 침전, 인산나트륨 침전), 용매 침전(아세톤, 에탄올 등을 이용한 단백질 분획 침전), 투석, 겔 여과, 이온 교환, 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한외여과 등의 기법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Deutscher, M., Guide to Protein Purification Methods Enzymology, vol. 182. AcademicPress. Inc., San Diego, CA(1990)). 상기 단백질 정제 과정에 의해 본원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즉, 거대 4차 구조 항원-항체 복합체)만을 고농도로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상기 면역원성 복합단백질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a)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하는 단계;및
(d) 상기 교배 식물로부터 단백질 성분을 수득하는 단계;
또한, 상기 방법은 추가적으로
(e) 상기 (d) 단계에서 수득된 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의 조합 및 형태(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도 10 내지 도 11 참조), 구체적으로 선형 구조 또는 환상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환상 구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대 4차원 구조(large quaternary structure)를 지니는 것이 그 특징으로, 선형 구조(linear form)을 가지는 경우에는 단량체로 존재하는 단백질보다는 크기가 크며, 환상 구조(circular form)를 형성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환상 구조를 갖는 단백질보다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이 환상 구조(circular form)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직경 10nm 내지 50nm, 가장 바람직하게는 항원제시에 더욱 바람직한 직경 20nm 내지 30n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대 4차원 구조를 지님으로서 면역 반응 증폭(boosting)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기존에 문제가 되어오던 면역보조제(adjuvant)의 사용 없이도, 숙주 동물에서 항체 생성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기존에 in vitro 상에서 항원과 항체를 동일 지점에 두었을 때 생성되는 항원-항체 결합보다도, 본원 발명의 식물 교배에 의해 생성된 항원-항체 복합체는 더욱 강력한(tight) 결합으로 복합체를 이루고 있어, 면역증강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백신' 또는 '백신 조성물'은 면역응답(immuno response)을 자극하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면역원성 조성물과 동일한 의미로서 본 명세서에서 혼용되어 사용된다. 상기 백신은 예방 백신과 치료 백신을 모두 포함한다. 예방 백신은 개체가 항원에 노출될 때 더 큰 면역 반응을 내재하게 하기 위해, 항원을 포함하는 물질에 노출되기 전에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따라서 항원을 운반하는 물질 또는 세포에 저항하는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 백신은 백신의 항원과 관련된 질환을 이미 가지고 있는 개체에 투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치료 백신은 항원을 운반하는 질환 또는 세포와 싸우기 위한 증가된 능력을 제공하여 항원에 대한 개체의 면역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백신 조성물이 목적으로 하는 대상 질환은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포함되는 실질적인 면역 반응 도메인에 의해 결정되며, 예를 들어 상기 면역 반응 도메인이 종양-연관 항원인 경우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해당 종양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대상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백신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carrier)"라 함은 세포 또는 조직 내로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펩티드 제제에 대한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또한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유효량으로 투여하여 면역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체(subject)’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개체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일 수 있다.
상기 ‘면역화(immunization)’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개체에 투여했을 때, 개체 내에서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대한 분비성, 체액성 및/또는 세포성 면역 반응이 유발되는 것으로, 이 같은 면역화를 통해 대상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 대상 질환은 본 발명에 따른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포함되는 항원, 즉 실질적인 면역 반응 도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질병을 유발하는 항원이 알려져 있는 질환, 즉 질병 유발 항원을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포함하여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그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종양 질환, 자가면역질환, 대사성 질환, 퇴행성 질환, 바이러스성 또는 세균성 감염, 프리온 질환(prion disease), 운동신경질환(monor neuron disease, MND) 등일 수 있다.
상기 대상 질환은 구체적으로는 흑색종, 아데노칼시노마(adenocarsinoma), 폐암, 소세포성 폐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전립선암, 방광암, 결장암, 대장암, 고환암, B 세포 악성 종양,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근육암, 췌장암, 뇌종양, 교모세포종암(astroblastoma), 교아세포종암(glioblastoma), 유방암, 척삭종, 알러지, 천식,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요실금, 골다공증,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시뉴클레인(synuclein) 단백질 이상으로 발생하는 루이소체병(lewy body disorder, LBD), 파킨슨씨병(Parkinson's disease, PD), 다발성 신경계 위축(multiple system atrophy, MSA)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B형 또는 C형 간염바이러스로 유발되는 간염,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에 의한 감염과 이로 유발되는 종양, 폐렴 클라디미아(Chlamydia pneumonia)에 의한 감염,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의한 감염,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가 유발하는 위궤양, 말라리아, 결핵,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 칸디다에 의한 감염, 탄저병(anthrax), 패혈증(sepsis), 변형 크루이츠펠트-야콥병(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vCJD), 진저병(scrapie),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ic lateral sclerosis, ALS) 등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백신 조성물의 대상 질환은 종양 질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장암 또는 결장암일 수 있다.
상기 ‘유효량’은 본 발명의 상기 백신 조성물의 대상 질환에 대한 예방이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양으로, 투여된 개체에서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대한 분비성, 체액성 및/또는 세포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es)으로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투여 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도 있다. 상기 유효 용량은 대상 질환의 유형 및 중증도, 투여 경로 및 투여 횟수뿐 만 아니라 투여가 필요한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각 개체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을 투여한 후 면역 세포의 활성을 결정해주는 검정 방법(assay) 또는 널리 알려진 생체내 검정을 사용하여 요법의 효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백신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백신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대상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형질전환 식물체를 통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체로 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항원-항체 복합체)은 거대 4차원 구조를 지님으로서 면역 반응 증폭(boosting) 효과가 뛰어나서, 면역보조제(adjuvant)의 사용 없이도, 숙주 동물에서 항체 생성 능력이 뛰어나다.
도 1은 키메릭 항원을 도시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GA733-FcK)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항원에 대한 단일 특이성 2가 항체를 도시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에 특이적인 항체(CO17-1AK)의 구조를 타나낸다.
도 3은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GA733-FcK)와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의 항체(CO17-1AK)를 각각 발현하는 식물체를 타가수분을 통해 T1 세대의 식물을 얻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4는 T1 세대 식물체들(1 내지 13번)에서 PCR을 이용하여 두 가지의 유전자(GA733-FcK와 CO17-1AK)를 가지는 식물체를 선별한 결과를 나타낸다(GA: 표준GA733-FcK, CO: 표준 mAb CO17-1AK, NT: Non-Transgenic plant, HC: CO17-1AK의 중쇄, LC: CO17-1AK의 경쇄).
도 5는 각각 3, 4, 6, 9 및 11번 식물체에서 각각 GA733-FcK 유전자(A)와 CO17-1AK 유전자(B)의 발현을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SDS-PAGE를 이용하여 T1 세대 식물 4번 식물체에서 두 가지의 단백질 (GA733-FcK와 CO17-1AK)의 정제 유무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T1 세대 식물 4번 식물체에서 정제된 단백질 샘플에서 two color western blot으로 두 가지의 단백질(GA733-FcK와 CO17-1AK)이 동시에 발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a는 sandwich ELISA에서 capture antibody와 항원(본원 발명의 키메릭 항원, 구체적으로 GA733-FcK 단백질)과의 결합 및 상기 결합된 항원-항체 complex를 인지하는 detection antibody의 결합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capture antibody: 초록색으로 표시, detection antibody: 파란색으로 표시).
도 8b는 sandwich ELISA에서, 동일한 capture antibody(COM 또는 COP) 위에 각각의 서로 다른 단백질 시료(GAP, GAP+COP, GAP×COP)를 처리하여, 이들의 결합 signal을 대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a는 GAP가 고정된 chip에 COM, COP, GAP+COP, GAP×COP시료를 처리하고 SPR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b는 COP가 고정된 chip에 GAM, GAP, GAP+COP, GAP×COP시료를 처리하고 SPR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 T1 세대 식물에서 발현되는 면역원성 복합체 단백질 중, 선형 구조를 나타내는 복합체 구조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T1 세대 식물에서 발현되는 키메릭 항원-항체 복합체 중, 가장 간단한 형태의 키메릭 항원-항체 이합체 구조(dimeric form)를 도시한다.
도 10b는 T1 세대 식물에서 발현되는 키메릭 항원-항체 복합체 중, 선형 구조(linear form)의 키메릭 항원-항체 복합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c는 T1 세대 식물에서 발현되는 융합단백질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로 칭하는 융합단백질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d는 상기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에 의한 단백질 이합체 구조(dimeric form)를 나타낸다.
도 10e는 상기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에 의한 단백질 복합체 중, 선형 구조(linear form)로 된 복합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f는 상기 'Fab 팔 교환 융합단백질'에 의한 단백질 복합체 중, 선형 구조(linear form)로 된 복합체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 T1 세대 식물에서 발현되는 면역원성 복합체 단백질 중, 환상 구조를 나타내는 복합체 구조를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T1 세대 식물에서 발현되는 키메릭 항원-항체 단분자가 환상(circular)으로 중합된 형태 중, 오량체(pentamer)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b는 T1 세대 식물에서 발현되는 키메릭 항원-항체 단분자가 환상(circular)으로 중합된 형태 중, 오량체(pentamer) 구조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도 12는 GA733-FcK(키메릭 항원)를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부모 세대의 식물체에서 수득한 단백질 시료의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을 나타낸다. 사진 속 흰색 가로막대로 표시된 scale bar는 10nm를 나타낸다.
도 13은 T1 세대 식물에서 수득한 단백질 시료의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을 나타낸다. 사진 속 흰색 가로막대로 표시된 scale bar는 10nm를 나타낸다.
도 14는 각각의 단백질 시료를 면역보조제(어쥬번트) 없이 마우스에 주입한 후, 백신 접종 효과(혈청 내 항체 생성 효과)를 SPR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각각의 단백질로 백신 접종한 마우스에서 인터류킨-4(IL-4)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각각의 단백질로 백신 접종한 마우스에서 인터류킨-10(IL-10)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각각의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한 마우스들로부터 수득한 혈청에서 항-대장암 항체의 활성을 확인한 것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대장암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GAP(GA733-FcK), COP(CO17-1AK), GAP×COP(GA733-FcK × CO17-1AK)를 식물에서 정제하여 각각의 당 구조를 mass 분석한 것으로, 타가수분을 통해 얻은 GAP×COP는 부모 세대의 식물과 비슷한 당 구조 패턴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항원 발현 형질전환 식물 및 항체 발현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GA733-FcK antigen)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10-1054851 및 Zhe Lu et al.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제작되었다.
간략하게 30-aa plant ER signal peptide(서열번호 3)로 N-terminal extension된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 GA733(서열번호 1)과 IgG Fc C-터미널(C-terminal)에 소포체 잔류 시그널 펩타이드(ER retention signal, 서열번호 8)가 추가된 human IgG1 Fc 서열(서열번호 6)을 코딩하는 유전자들을 배치하여, GA733-FcK 재조합 융합 단백질(서열번호 9)을 발현할 수 있도록 유전자 서열을 배열하였다(서열번호 10 참조). 콜리플라워 모자이크 바이러스(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와 담배 에치 바이러스 5-leader sequence(tobacco etch viral 5-leader sequence, TEV)를 GA733-FcK 유전자 서열 앞에 위치하게 하여 발현 카세트(expression cassette)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 발현 카세트를 제한효소 HindⅢ를 사용하여 pBINPlus 벡터에 삽입하여 식물 발현벡터를 만들었다.
상기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GA733)에 대한 항체로 알려진 mAb CO17-1A(중쇄: 서열번호 11, 경쇄: 서열번호 13 참조)를 식물에서 발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mAb CO17-1A의 IgG 중쇄의 C-터미널(C-terminal)에 소포체 잔류 시그널(ER retention signal)유전자 서열을 추가하였고 이를 mAb CO17-1AK(중쇄: 서열번호 12, 경쇄: 서열번호 13 참조)로 명명하였다. 상기 mAb CO17-1AK의 중쇄 및 경쇄를 코딩하는 유전자 서열을 pBI121 식물 발현벡터에 삽입한다. 상기 중쇄 유전자 앞에 콜리플라워 모자이크 바이러스(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와 알파파 모자이크 바이러스 언트랜스레이트 리더 시퀀스(alfalfa mosaic virus untranslated leader sequence, AMV) 유전자를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potato proteinase inhibitor II promoter(Pin2p)를 경쇄 유전자 앞에 삽입하여 발현 카세트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중쇄 및 경쇄 발현 카세트를 HindⅢ와 EcoRⅠ으로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식물 발현벡터 pBI121에 넣어준다.
상기에서 제조된 식물 발현벡터들은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을 이용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각각 도입하였고, 삽입된 유전자를 보유하는 Agrobacterium을 선별 및 배양하였다. 배양된 Agrobacterium에 담배의 어린잎을 1~3cm 정도 상처를 낸 후 넣어주었다. 그리고 식물의 잎은 고체 식물배지에 옮긴 후, 캘러스(callus)가 생성될 수 있도록 NAA(acetic acid), BA (6-benzyl-amino-purine) 등의 호르몬과 카나마이신(100mg/L)이 첨가된 Murashige and Skoog solid medium(Dachfu, Haarlem, Netherland)에 배양해 주었다. 배양 3~4주 후에 새로운 transformant 식물들이 생성되었다.
< 실시예 2>
항원발현 식물체 및 항체발현 식물체의 교배 및 부모 세대의 형질을 동시에 발현하는 1 세대 식물체 스크리닝
상기 <실시예 1>에서 생산된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GA733-FcK antigen)를 발현하는 식물체의 꽃봉오리에 인위적으로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의 antibody(mAb CO17-1AK antibody)의 수술을 묻혀서 타가수분을 한다(도 3 참조). 상기 타가수분을 통해 얻은 씨앗을 23℃의 조건에서 발아 및 식물체를 유도하여 총 13개의 T1 세대(GA733-FcK × CO17-1AK) 식물체들을 수득하였다. 상기 T1 세대 식물체들에서 PCR 방법을 이용해 두 가지의 유전자 유무를 확인하여 하나의 식물 개체에서 두 가지의 유전자를 가지는 식물들을 선별하는 스크리닝(screening)을 하였다(도 4 참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GA733-FcK antigen)를 발현하는 식물과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의 antibody(mAb CO17-1AK antibody)를 발현하는 식물, 그리고 이 두 식물을 타가수분을 통해 얻은 식물(GA733-FcK × CO17-1AK)의 잎으로부터 genomic DNA를 Dneasy kit(Quiagen, Hilden, Germany)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식물의 잎은 대략 90~100g을 채취하여 액체질소(liquid nitrogen)를 넣어 순간적으로 동결시킨 후 파쇄하였다. 파쇄한 후 Dneasy kit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순수한 식물 genomic DNA를 정제하였다. 분리한 각각의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GA733-FcK antigen)의 프라이머(primer)와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의 antibody(mAb CO17-1AK antibody)의 중쇄 및 경쇄의 프라이머(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잎에서 분리한 gennomic DNA(1μl)와 iTaq premix(Intron Biotechnol. Inc., Seongnam, Korea)를 혼합하고, 10pmol/μl 농도로 GA733-FcK의 forward primer 5'-GTCGACACGGCGACTTTTGCCGCAGCT-3'(서열번호 17)와 reverse primer 5'-GAGTTCATCTTTACCCGGGGACAG-3(서열번호 18)을 함께 넣어주었다. PCR의 반응 조건은 94℃에서 30초, 67℃에서 30초, 72℃에서 30초의 denaturation-annealing -elongation 과정을 30회 반복 수행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mAb CO17-1AK의 중쇄 forward primer 5'-ATGGAATGGAGCAGAGTCTTT-3'(서열번호 19)와 reverse primer 5'-ATCGATTTTACCCGGAGTCCG-3(서열번호 20), 그리고 CO17-1AK 의 경쇄 forward primer 5'-ATGGGCATCAAGATCGAATCA-3'(서열번호 21)와 reverse primer 5'-ACACTCATTCCTGTTGAAGCT-3(서열번호 22)를 이용하여 PCR을 각각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4번, 6번, 11번의 식물체에서 GA733-FcK 및 CO17-1AK가 모두 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선별된 T1 세대 식물체에서 유전자 발현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선별된 식물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항원 및 항체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3-1> 웨스턴 블롯
상기 <실시예 1>의 형질전환 식물 GA733-FcK, CO17-1AK 및 상기 <실시예 2>의 GA733-FcK × CO17-1AK (T1 세대 식물들) 각각에서 100mg의 신선한 잎을 채취하여 300μl의 1x PBS(NaCl, KCl, Na2HPO4, KH2PO4)에 넣어준 후 충분히 파쇄해 준다. 파쇄한 잎의 상층액을 10% SDS-PAGE 겔에 전기영동을 하였다. 니크로섬유소막(nitrocellulose)에 transfer를 거친 후 5%의 스킴밀크(skim milk, Fluka, Buchs, Switzerland)를 이용하여 4℃에서 16시간 동안 blocking을 하였다. Secondary antibody는 각각 anti-EpCAM/TROP1(R&D system, Minneapolis, MN)와 anti-mouse IgG H+L(Bethyl, Montgomerty, TX)를 1:5,000 비율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1x PBS(Tween 0.1%) 버퍼로 10분씩 3번 membrane washing을 하였다. Membrane에 있는 버퍼를 제거한 후, Supersignal chemiluminescence substrate(Thermo, Fisher Scientific, Roskilde, Rosilde, Denmark)을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 X-ray 필름에 감광하였다.
상기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실험을 통해, T1 세대 중 4번, 6번, 11번의 식물체에서 항원(도 5A)과 항체(도 5B)가 모두 동시에 높은 발현율을 가짐을 확인했다.
<3-2> 전기 영동 및 two color western blot
상기 실시예 <3-1>에서 항원과 항체가 모두 발현함이 확인된 식물 중, 4번 식물체를 in vivo condition(greenhouse)에서 키웠다. 형질전환된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정제 후 단백질의 molecular size를 통해 확인했으며, two color western blot을 통해 두 가지의 유전자를 발현하는 식물체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관 내 조건(in vitro condition)에서 확인한 식물 개체 4, 6, 11 line을 육모용 상토(Sunshine Mix5, Agawam, MA)에 심었다. 그린하우스의 온도는 7~9월 평균 34℃이며, 습도는 64% RH이었다. 식물이 성체가 되어서 꽃이 피었을 때 잎만 모아서 수확하여 영하 70℃에 보관하였다. 그리고 모아둔 잎을 이용하여 항원-항체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식물 정제는 단백질 G column(GE healthcare, Little Chalfont, United Kingdom)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각각의 시료에서 GAM은 상기 GA733 단백질과 R&D systems사에서 판매하는 'Anti-Human EpCAM/TROP1 MAb [Clone 158210](Mouse IgG2A, CATALOG# MAB960)'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키메릭 항원 단백질이며, COM은 마우스 유래 mAbM CO17-1A를 의미하고, GAP(GA733P-FcK), COP(mAbP CO17-1AK), GAP×COP(GA733P-FcK × mAbP CO17-1AK)는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각각의 키메릭 항원과 이에 대한 항체를 발현하는 식물과 이들의 타가수분을 통해 얻은 식물로 부터 수득한 재조합 단백질이다.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을 10% 젤로 만들어 상기 각각의 단백질 시료들에 대해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Two color western blot은 정제한 각각의 시료 GAM(GA733과 Anti-Human EpCAM/TROP1 MAb의 키메릭 항원), GAP(GA733P-FcK) , COM(mAbM CO17-1A), COP(mAbP CO17-1AK), GAP×COP(GA733P-FcK × mAbP CO17-1AK)의 0.5μg/μl 농도를 8ul와 5x loading buffer 2μl를 혼합한다. 10% SDS-PAGE을 전기영동을 수행하며, 니크로섬유소막(nitrocellulose)에 transfer를 거친 후 5%의 스킴밀크(skim milk, Fluka, Buchs, Switzerland) 버퍼에 membrane을 4℃에서 16시간 동안 blocking을 하였다. Secondary antibody 처리는 goat anti-human IRDye 800 CW(LI-COR, Lincoln, NE)와 goat anti-mouse IRDye 680 LT(LI-COR, Lincoln, NE)을 1:15,000 비율로 skim milk와 섞어준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해주었다. 1x PBS(Tween 0.1 %) 버퍼로 10분씩 3번 membane washing을 하였다. 그리고 membrane의 버퍼를 제거한 후, 적외선 이미지 시스템(Infrared Imaging System) Odyssey(LI-COR, Lincoln, NE) detector를 사용하여 단백질 밴드(protein bands)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SDA-PAGE를 이용하여 T1 세대 식물에서 GA733-FcK와 CO17-1AK의 두 가지 단백질이 정제됨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또한 T1 세대 식물로부터 정제된 샘플을 two color western blot하여, GA733-FcK와 CO17-1AK의 두 가지 단백질이 동시에 발현됨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 실시예 4>
단백질의 형태 및 구조 확인
<4-1> Sandwich ELISA 를 통한 단백질 복합체 구조 예측
또한 상기 실시예 <3-2>에서 정제한 샘플을 사용하여 sandwich ELISA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 각각의 well에 capture antibody로서 COM(mAbM CO17-1A), 또는 COP(mAbP CO17-1AK)를 5ng/μl 농도로 100μl씩 분주하여 4℃에서 overnight 시켜주었다. 바인딩되지 않은 항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well로부터 상기에서 처리한 용액을 제거한 후 1x PBS로 plate well을 3번 washing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3% BSA 용액을 150μl씩 분주하고 4℃에서 overnight해주었다. 처리한 3% BSA를 제거 후, 1x PBS로 200μl씩 3번 well을 washsing 해주고, 식물에서 정제한 antigen GAP(GA733P-FcK), GAP+COP(GA733P-FcK + mAbP CO17-AK, 식물로부터 정제된 동량의 단백질을 in vitro 상에서 혼합한 것), GAP×COP(GA733P-FcK × mAbP CO17-1AK, T1 세대 4번 식물에서 정제한 단백질)을 시료별 700ng, 350ng, 125ng, 62.5ng을 처리한 후, 37℃에서 한 시간 삼십 분 동안 incubation 시켜주었다. 그리고 1x PBS로 3번 washing을 반복하였다. Detection antibody인 anti-human Fc-HRP(Jackson ImmunoReseach Labs, west grove, PA)과 3% BSA 용액을 1:10,000 비율로 각각 well에 150μl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incubation 시켜주었다. Incubation 후 TMB(3.3, 5.5-tetramethylbenzidine) substrate(KPL, Gaithersburg, MD, USA)를 처리하였다. 그리고 흡광도 450nm에서 결과 확인하였다. 상기 sandwich ELISA에서 capture antibody와 항원(본원 발명의 키메릭 항원, 구체적으로 GA733-FcK 단백질)과의 결합 및 상기 결합된 항원-항체 complex를 인지하는 detection antibody의 결합 형태를 도 8a에서 보여준다.
그 결과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GAP 및 GAP+COP 보다, GAP×COP에서 높은 흡광도 값을 얻었다. 특히 GAP+COP 의 흡광 신호는 GAP 에 비하여 작았는데, 이는 GAP×COP가 GAP과 비교하여 높은 흡광도를 나타낸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GAP+COP 에서는 거대 4차 구조가 생성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이로서, 일반적으로 in vitro 상에서 항원 및 항체의 인위적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항원-항체 복합체(complex)보다, 본원 발명의 상기 T1 세대 형질전환 식물(특히, 4번 식물체)에서 정제된 단백질의 항원-항체 복합체가 강력한 complex를 이루며 거대 분자를 형성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4-2> 표면 플라스몬 공명( surface plasmon resonance , SPR )을 통한 단백질 복합체 구조 예측
본원 발명의 상기 T1 세대 형질전환 식물(특히, 4번 식물체)에서 정제된 단백질의 항원-항체 복합체가 강력한 complex를 이루며 거대 분자를 형성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GA 또는 항-GA항체로 코팅된 SPR chip으로 SP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SPR은 ProteOn XPR36 surface instrument(Bio-Rad)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Amine coupling chemistry를 이용하는 GLC sensor chip(Bio-Rad)에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GAM(R&D systems) 또는 COM을 고정하였다. RU(resonance unit)은 약 1,6001,800였다. 상기 chip의 안정화는 60초 동안 100μL/min의 유량(flow rate)으로 PBS-T buffer를 흘려주며 수행되었다. pH 6.0상태에서 고정된 리셉터에 대하여 25℃, 50μL/min 의 유량으로 각각의 시료(15μg/mL) 를 흘려주었다. 각각의 측정 후에, sensor chip의 표면은 phosphoric acid를 사용하여 재생되었다. 모든 실험에 있어서, 데이터들은 0 및 표준 채널(standard channel)에 따라 조정되었다. 분해(dissociation) 및 속도 상수(rate constant)는 Proteon Manager (Bio-Rad)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그 결과,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GA로 코팅된 SPR chip에서, GAP×COP 및 GAP+COP의 kinetic signal은 COP 및 COM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았다. 게다가,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GA 항체로 코팅된 SPR chip에서 GAP×COP 의 신호 수준이 GAP+COP보다 낮았다. 이는 본 발명의 T1 세대 식물에서 거대 4차 구조를 이루는 항원-항체 복합체가 생성되었음을 뒷받침한다.
<4-3> 전자현미경 관찰
상기 실시예 <4-1> 및 실시예 <4-2>의 결과로부터, T1 세대 식물에서 도 10 내지 도 11의 거대 4차 구조들이 생겨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부모 세대의 항원 발현 식물체(GA733-FcK antigen)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작한 자손 T1 세대의 식물체로부터 수득한 단백질 시료 각각에 대하여, 염색 및 전자현미경으로 단백질 구조와 형태를 확인하였다. 단백질 샘플은 한 시간 동안 37℃에서 incubation하였다. 원심분리한 후,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견본(specimen) 준비용 PBS에 재분산시켰다. 샘플 용액은 glow ejection으로 친수성(hydrophilic)을 갖게 된 탄소 필름 코팅된 TEM grid에 로딩하였다. 90초 후, 과다한 샘플 용액은 증류수로 닦아내었다. 음성염색(negative staining)을 위하여 1% uranyl acetate를 grid에 1 분간 로딩한 후, 과다한 염색 용액은 거름종이(filter paper)로 닦아내었다. 샘플은 bio-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로 촬영하였다.
도 12는 부모 세대의 식물체에서 발현된 GA733-FcK 단백질(항원)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3은 상기 GA733-FcK와 이에 대한 항체(CO17-1AK)가 동시에 발현된 T1 세대의 식물체에서 수득한 단백질의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GA733-FcK 단백질(항원)은 Y모양(~15nm) 및 다양한 형태가 관찰되며, 단독으로 존재하는 항원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또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T1 세대의 식물체에서 수득한 단백질 시료에서는 도 11에서 도시하는 고리 모양의 환상 구조(20nm 내지 30nm)가 관찰되며, 공 모양의 구조와 30nm 이상의 집합체도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GA733-FcK antigen)를 발현하는 식물과 상기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Fc의 antibody(mAb CO17-1AK antibody)를 발현하는 식물의 타가수분을 통해 생산된 자손 세대(A733-FcK × CO17-1AK)의 식물체에서 항원과 항체가 다양한 형태의 거대 4차 구조를 가지는 복합체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5>
백신 효과 측정
<5-1> 백신 접종에 따른 면역화 측정(체내 항체 생성량 측정)
마우스에 4가지 단백질 시료를 주입하여 백신 접종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4가지 단백질 시료는 다음과 같다: GAM(GA733 단백질과 R&D systems사에서 판매하는 'Anti-Human EpCAM/TROP1 MAb [Clone 158210](Mouse IgG2A, CATALOG#. MAB960)'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키메릭 항원 단백질), GAP(GA733P-FcK), GAM+COM(GA733과 anti-Human EpCAM/TROP1 MAb의 키메릭 항원 및 mAbM CO17-1A의 동량 단백질을 in vitro 상에서 혼합한 것), GAP × COP(GA733P-FcK × mAbP CO17-1AK)
각 그룹당 5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면역보조제 없이 상기 4가지의 단백질 시료를 주입하였다. 대조군에는 1x PBS를 투여하였다. 시료 주입 후 각 그룹의 혈청을 수득하였고, 실시예 <4-2>와 같이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 방법으로 각 그룹별 혈청 내 생성된 항체의 양을 확인하였다. 간략하게, 표면 플라스몬 공명(SPR)은 골드칩 위에 대장암 후보 단백질 GAP(GA733-FcK)를 붙인 후 상기에서 백신 접종을 한 마우스들의 혈청을 각각 10μl씩 흘려보냈다.
마우스의 혈청 안에 생성된 항체의 양을 측정하여 그룹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x PBS(negative control)를 주입한 마우스의 혈청이 가장 낮은 signal을 보였으며, GAP×COP가 다른 실험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GAP×COP가 다른 백신 후보군들에 비해 높은 면역 반응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in vitro 상에서 제조한 면역복합체(immune complex)인 GAM+COM의 투여 효과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 식물체로부터 수득한 면역복합체인 GAP×COP가 뛰어난 면역증강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in vitro 상에서 항원과 항체를 동일 지점에 두었을 때 생성되는 항원-항체 결합보다도, 본원 발명의 식물 교배에 의해 생성된 항원-항체 복합체가 더욱 강력한 결합으로 복합체를 이루고 있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5-2> 면역세포 활성화 측정(사이토카인 생성 측정)
상기 실시예 <5-1>에서 백신 접종된 각각의 마우스 비장을 적출하여 배지와 같이 파쇄한 후, 수지상세포와 항원인 GA733-FcK를 함께 공동배양 하였다. 공동배양된 플라스크를 37℃에 3일 동안 배양을 하였다. 배양 후, IL-4 및 IL-10에 대하여 FAC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T cell의 CD4+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한 실험으로서, CD4+는 classic Th1/Th2/Th17 반응으로 나눌 수 있으며, IL-4와 IL-10은 Th2에 포함되는 인자이다.
그 결과 도 15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x PBS, GAM, GAP 또는 GAM+COM으로 면역화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GAP×COP를 주입한 마우스의 비장에서 가장 높은 IL-4와 IL-10 cytokine 수치를 보였다. 이는 GAP×COP를 주입한 마우스에서 T 세포 활성화가 증가되었음을 제시한다. 이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거대 분자 항원-항체 복합체가 CD4+를 높이고, 더 나아가 항체 형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3> in vivo 암 성장 억제효과 비교
인간 결장암 세포인 SW 620 세포(1x106 cell)를 6주령 BALB nu/nu mice(각 그룹당 3마리씩, Japan SLC Inc., Hamamatsu, Shizuoka, Japan)의 등에 피내(i.d.) 접종하여 종양이식 마우스 모델을 제작하였다. 1x PBS, GAM, GAP, GAM+COM 또는 GAP×COP으로 각각 면역화된 BALB/c mice로부터 수득된 혈청 40μl를, 상기 종양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의 6개 그룹에 3일 간격으로 총 4회에 걸쳐 복강 내 주사하였다(7일 동안 총 160μl 투여됨),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그룹에는 정제한 mAb CO17-1A(COM)를 100μg 주사하였다. 종양의 성장 즉, 종양 부피는 최초 암세포 주입일 후 8, 10, 12 및 15일째에 기록되었고, graduated calipers로 측정된 3개의 주요한 지름(diameter)에 기초하여 하기의 식에 의하여 계산되었다; (mm3) = width × length × height.
상기 실험 결과는 도 17에서 나타낸다. SW 620 인간 결장암 세포가 이종이식되고 1x PBS, GAM, GAP, GAM+COM 또는 GAP×COP 으로 각각 면역화된 BALB/c mice로부터 수득된 혈청을 주입한 누드 마우스(nude mouse)에서, 종양의 징후는 최초의 암세포 이식 후로부터 8일째에 나타났다. 그 이후로, 다른 실험군과 비교하여 1x PBS처리군의 종양 크기는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GAP×COP 혈청 또는 COP 혈청 투여군과 비교하여 GAM 혈청, GAP 혈청, GAM+COM 혈청 투여군에서는 종양이 상당히 빠르게 성장하였고, 15일째에서 GAP×COP 혈청 투여군의 종양 크기는 다른 실험군과 비교하여 상당히 작았으며, GAP×COP 혈청 투여군에서의 이러한 종양 성장 억제효과는 COP 혈청 투여군과 유사하였다.
< 실시예 6>
1세대 단백질의 당 조성 분석
GAP, COP 및 GAP×COP 의 N-glycan profile을 비교하기 위하여 mass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모 세대(GAP, COP) 및 T1 세대(GAP×COP)의 식물로부터 각각 정제한 재조합 단백질 샘플들을, 먼저 pepsin을 이용하여 당펩티드(glycopeptide)로 분해하였다. PNGas A(Roche)를 사용하여 상기 당펩티드로부터 N-glycan을 방출시켰고, Carbograph(Alltech)으로부터의 graphitized carbon resin을 사용하여 상기 방출된 N-glycan을 정제하였다. 90μL dimethyl sulfoxide (DMSO), 2.7μL water 및 35μL iodomethane의 혼합용액에 상기 정제된 glycan을 재현탁한 후, spin column method(Goetz JA et al., 2009)를 이용하여 solid phase permethylation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permethylated glycan을 동량의 10mg/mL 2,5-dihydroxybenzoic acid 용액(prepared in 1 mM of a sodium acetate solution)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matrix-assisted laser-desorption-ionization (MALDI) MSP96 ground steel target plate에 적용하여 건조한 후, MALDI-TOF mass spectrometry를 수행하였다. 모든 mass spectra는 20 kV의 가속전압에서 수득되었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mass 분석 결과, 모든 샘플들에서 올리고만노스 글리칸(oligomannose glycan, Man 79)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COP는 주로 Man 7의 글라이칸 구조를 가지며, GAP는 Man 79 oligomannose 글리칸 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COP 및 GAP와 같이, GAP×COP 또한 올리고만노스 글리칸 구조를 가졌다. 게다가, GAP×COP 에서 Man 7 및 Man 9의 상대적 비율(4:1)은 COP 및 GAP의 각각을 합한 것과 유사하였다. 이로서 T1 세대에서 발현된 면역 복합체는 부모 세대들의 단백질과 거의 동일한 글리칸 구조를 함유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체 및 상기 식물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a)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형질전환 식물체를 통해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체로 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항원-항체 복합체)은 거대 4차원 구조를 지님으로서 면역 반응 증폭(boosting) 효과가 뛰어나서, 면역보조제(adjuvant)의 사용 없이도, 숙주 동물에서 항체 생성 능력이 뛰어나다.
<110>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120> Preparation method for transgenic plant producing immunogenic complex protein and immunogenic complex protein obtained therefrom <130> NP15-0041 <150> KR 10-2014-0071607 <151> 2014-06-12 <160> 3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4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733 (amino acid sequence) <400> 1 Thr Ala Thr Phe Ala Ala Ala Gln Glu Glu Cys Val Cys Glu Asn Tyr 1 5 10 15 Lys Leu Ala Val Asn Cys Phe Val Asn Asn Asn Arg Gln Cys Gln Cys 20 25 30 Thr Ser Val Gly Ala Gln Asn Thr Val Ile Cys Ser Lys Leu Ala Ala 35 40 45 Lys Cys Leu Val Met Lys Ala Glu Met Asn Gly Ser Lys Leu Gly Arg 50 55 60 Arg Ala Lys Pro Glu Gly Ala Leu Gln Asn Asn Asp Gly Leu Tyr Asp 65 70 75 80 Pro Asp Cys Asp Glu Ser Gly Leu Phe Lys Ala Lys Gln Cys Asn Gly 85 90 95 Thr Ser Thr Cys Trp Cys Val Asn Thr Ala Gly Val Arg Arg Thr Asp 100 105 110 Lys Asp Thr Glu Ile Thr Cys Ser Glu Arg Val Arg Thr Tyr Trp Ile 115 120 125 Ile Ile Glu Leu Lys His Lys Ala Arg Glu Lys Pro Tyr Asp Ser Lys 130 135 140 Ser Leu Arg Thr Ala Leu Gln Lys Glu Ile Thr Thr Arg Tyr Gln Leu 145 150 155 160 Asp Pro Lys Phe Ile Thr Ser Ile Leu Tyr Glu Asn Asn Val Ile Thr 165 170 175 Ile Asp Leu Val Gln Asn Ser Ser Gln Lys Thr Gln Asn Asp Val Asp 180 185 190 Ile Ala Asp Val Ala Tyr Tyr Phe Glu Lys Asp Val Lys Gly Glu Ser 195 200 205 Leu Phe His Ser Lys Lys Met Asp Leu Thr Val Asn Gly Glu Gln Leu 210 215 220 Asp Leu Asp Pro Gly Gln Thr Leu Ile Tyr Tyr Val Asp Glu Lys Ala 225 230 235 240 Pro Glu Phe Ser Met Gln Gly Leu Lys 245 <210> 2 <211> 74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733 (nucleotide sequence) <400> 2 acggcgactt ttgccgcagc tcaggaagaa tgtgtctgtg aaaactacaa gctggccgta 60 aactgctttg tgaataataa tcgtcaatgc cagtgtactt cagttggtgc acaaaatact 120 gtcatttgct caaagctggc tgccaaatgt ttggtgatga aggcagaaat gaatggctca 180 aaacttggga gaagagcaaa acctgaaggg gccctccaga acaatgatgg gctttatgat 240 cctgactgcg atgagagcgg gctctttaag gccaagcagt gcaacggcac ctccacgtgc 300 tggtgtgtga acactgctgg ggtcagaaga acagacaagg acactgaaat aacctgctct 360 gagcgagtga gaacctactg gatcatcatt gaactaaaac acaaagcaag agaaaaacct 420 tatgatagta aaagtttgcg gactgcactt cagaaggaga tcacaacgcg ttatcaactg 480 gatccaaaat ttatcacgag tattttgtat gagaataatg ttatcactat tgatctggtt 540 caaaattctt ctcaaaaaac tcagaatgat gtggacatag ctgatgtggc ttattatttt 600 gaaaaagatg ttaaaggtga atccttgttt cattctaaga aaatggacct gacagtaaat 660 ggggaacaac tggatctgga tcctggtcaa actttaattt attatgttga tgaaaaagca 720 cctgaattct caatgcaggg tctaaaa 747 <210> 3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R signal peptide <400> 3 Met Ala Thr Gln Arg Arg Ala Asn Pro Ser Ser Leu His Leu Ile Thr 1 5 10 15 Val Phe Ser Leu Leu Ala Ala Val Val Ser Ala Glu Val Asp 20 25 30 <210> 4 <211> 19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c fragment of IgG1 (amino acid sequence) <400> 4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1 5 10 15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20 25 30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35 40 45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50 55 60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65 70 75 80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85 90 95 Leu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100 105 110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115 120 125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130 135 140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145 150 155 160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165 170 175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180 185 190 <210> 5 <211> 57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c fragment of IgG1 (nucleotide sequence) <400> 5 cggacccctg aggtcacatg cgtggtggtg gacgtgagcc acgaagaccc tgaggtcaag 60 ttcaactggt acgtggacgg cgtggaggtg cataatgcca agacaaagcc gcgggaggag 120 cagtacaaca gcacgtaccg tgtggtcagc gtcctcaccg tcctgcacca ggactggctg 180 aatggcaagg agtacaagtg caaggtctcc aacaaagccc tcccagcccc catcgagaaa 240 accatctcga aagccaaagg gcagccccga gaaccacagg tgtacaccct gcccccatcc 300 cgggaggaga tgaccaagaa ccaggtcagc ctgacctgcc tggtcaaagg cttctatccc 360 agcgacatcg ccgtggagtg ggagagcaat gggcagccag agaacaacta caagaccacg 420 cctcccgtgc tggactccga cggctccttc ttcctctata gcaagctcac cgtggacaag 480 agcaggtggc agcaggggaa cgtcttctca tgctctgtga tgcatgaggc tctgcacaac 540 cactacacgc agaagagcct ctccctgtcc ccgggt 576 <210> 6 <211> 2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c fragment of IgG1 containing hinge region (amino acid sequence) <400> 6 Ala Ala Ala Asp Leu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1 5 10 15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20 25 30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35 40 45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50 55 60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65 70 75 80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85 90 95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100 105 110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115 120 125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130 135 140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145 150 155 160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165 170 175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180 185 190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195 200 205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210 215 220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225 230 235 <210> 7 <211> 7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c fragment of IgG1 containing hinge region (nucleotide sequence) <400> 7 gcggccgcag atctcgttga gcccaaatct tgtgacaaaa ctcacacatg cccaccgtgc 60 ccagcacctg aactcctggg gggaccgtca gtcttcctct tccccccaaa acccaaggac 120 accctcatga tctcccggac ccctgaggtc acatgcgtgg tggtggacgt gagccacgaa 180 gaccctgagg tcaagttcaa ctggtacgtg gacggcgtgg aggtgcataa tgccaagaca 240 aagccgcggg aggagcagta caacagcacg taccgtgtgg tcagcgtcct caccgtcctg 300 caccaggact ggctgaatgg caaggagtac aagtgcaagg tctccaacaa agccctccca 360 gcccccatcg agaaaaccat ctcgaaagcc aaagggcagc cccgagaacc acaggtgtac 420 accctgcccc catcccggga ggagatgacc aagaaccagg tcagcctgac ctgcctggtc 480 aaaggcttct atcccagcga catcgccgtg gagtgggaga gcaatgggca gccagagaac 540 aactacaaga ccacgcctcc cgtgctggac tccgacggct ccttcttcct ctatagcaag 600 ctcaccgtgg acaagagcag gtggcagcag gggaacgtct tctcatgctc tgtgatgcat 660 gaggctctgc acaaccacta cacgcagaag agcctctccc tgtccccggg t 711 <210> 8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DEL for ER retention signal (amino acid sequence) <400> 8 Lys Asp Glu Leu 1 <210> 9 <211> 5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733-FcK (amino acid sequence) <400> 9 Met Ala Thr Gln Arg Arg Ala Asn Pro Ser Ser Leu His Leu Ile Thr 1 5 10 15 Val Phe Ser Leu Leu Ala Ala Val Val Ser Ala Glu Val Asp Thr Ala 20 25 30 Thr Phe Ala Ala Ala Gln Glu Glu Cys Val Cys Glu Asn Tyr Lys Leu 35 40 45 Ala Val Asn Cys Phe Val Asn Asn Asn Arg Gln Cys Gln Cys Thr Ser 50 55 60 Val Gly Ala Gln Asn Thr Val Ile Cys Ser Lys Leu Ala Ala Lys Cys 65 70 75 80 Leu Val Met Lys Ala Glu Met Asn Gly Ser Lys Leu Gly Arg Arg Ala 85 90 95 Lys Pro Glu Gly Ala Leu Gln Asn Asn Asp Gly Leu Tyr Asp Pro Asp 100 105 110 Cys Asp Glu Ser Gly Leu Phe Lys Ala Lys Gln Cys Asn Gly Thr Ser 115 120 125 Thr Cys Trp Cys Val Asn Thr Ala Gly Val Arg Arg Thr Asp Lys Asp 130 135 140 Thr Glu Ile Thr Cys Ser Glu Arg Val Arg Thr Tyr Trp Ile Ile Ile 145 150 155 160 Glu Leu Lys His Lys Ala Arg Glu Lys Pro Tyr Asp Ser Lys Ser Leu 165 170 175 Arg Thr Ala Leu Gln Lys Glu Ile Thr Thr Arg Tyr Gln Leu Asp Pro 180 185 190 Lys Phe Ile Thr Ser Ile Leu Tyr Glu Asn Asn Val Ile Thr Ile Asp 195 200 205 Leu Val Gln Asn Ser Ser Gln Lys Thr Gln Asn Asp Val Asp Ile Ala 210 215 220 Asp Val Ala Tyr Tyr Phe Glu Lys Asp Val Lys Gly Glu Ser Leu Phe 225 230 235 240 His Ser Lys Lys Met Asp Leu Thr Val Asn Gly Glu Gln Leu Asp Leu 245 250 255 Asp Pro Gly Gln Thr Leu Ile Tyr Tyr Val Asp Glu Lys Ala Pro Glu 260 265 270 Phe Ser Met Gln Gly Leu Lys Ala Ala Ala Asp Leu Val Glu Pro Lys 275 280 285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290 295 300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305 310 315 320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325 330 335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340 345 350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355 360 365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370 375 380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385 390 395 400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405 410 415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420 425 430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435 440 445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450 455 460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465 470 475 480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485 490 495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500 505 510 Leu Ser Pro Gly Lys Asp Glu Leu 515 520 <210> 10 <211> 15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733-FcK (nucleotide sequence) <400> 10 atggctactc aacgaagggc aaaccctagc tctctccatc taattactgt attctctctg 60 ctagctgctg tcgtctccgc tgaggtcgac acggcgactt ttgccgcagc tcaggaagaa 120 tgtgtctgtg aaaactacaa gctggccgta aactgctttg tgaataataa tcgtcaatgc 180 cagtgtactt cagttggtgc acaaaatact gtcatttgct caaagctggc tgccaaatgt 240 ttggtgatga aggcagaaat gaatggctca aaacttggga gaagagcaaa acctgaaggg 300 gccctccaga acaatgatgg gctttatgat cctgactgcg atgagagcgg gctctttaag 360 gccaagcagt gcaacggcac ctccacgtgc tggtgtgtga acactgctgg ggtcagaaga 420 acagacaagg acactgaaat aacctgctct gagcgagtga gaacctactg gatcatcatt 480 gaactaaaac acaaagcaag agaaaaacct tatgatagta aaagtttgcg gactgcactt 540 cagaaggaga tcacaacgcg ttatcaactg gatccaaaat ttatcacgag tattttgtat 600 gagaataatg ttatcactat tgatctggtt caaaattctt ctcaaaaaac tcagaatgat 660 gtggacatag ctgatgtggc ttattatttt gaaaaagatg ttaaaggtga atccttgttt 720 cattctaaga aaatggacct gacagtaaat ggggaacaac tggatctgga tcctggtcaa 780 actttaattt attatgttga tgaaaaagca cctgaattct caatgcaggg tctaaaagcg 840 gccgcagatc tcgttgagcc caaatcttgt gacaaaactc acacatgccc accgtgccca 900 gcacctgaac tcctgggggg accgtcagtc ttcctcttcc ccccaaaacc caaggacacc 960 ctcatgatct cccggacccc tgaggtcaca tgcgtggtgg tggacgtgag ccacgaagac 1020 cctgaggtca agttcaactg gtacgtggac ggcgtggagg tgcataatgc caagacaaag 1080 ccgcgggagg agcagtacaa cagcacgtac cgtgtggtca gcgtcctcac cgtcctgcac 1140 caggactggc tgaatggcaa ggagtacaag tgcaaggtct ccaacaaagc cctcccagcc 1200 cccatcgaga aaaccatctc gaaagccaaa gggcagcccc gagaaccaca ggtgtacacc 1260 ctgcccccat cccgggagga gatgaccaag aaccaggtca gcctgacctg cctggtcaaa 1320 ggcttctatc ccagcgacat cgccgtggag tgggagagca atgggcagcc agagaacaac 1380 tacaagacca cgcctcccgt gctggactcc gacggctcct tcttcctcta tagcaagctc 1440 accgtggaca agagcaggtg gcagcagggg aacgtcttct catgctctgt gatgcatgag 1500 gctctgcaca accactacac gcagaagagc ctctccctgt ccccgggtaa agatgaactc 1560 1560 <210> 11 <211> 46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of CO17-1A (amino acid sequence) <400> 11 Met Glu Trp Ser Arg Val Phe Ile Phe Leu Leu Ser Val Thr Ala Gly 1 5 10 15 Val His Ser Gln Val Gln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Val Arg 20 25 30 Pro Gly Thr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35 40 45 Thr Asn Tyr Leu Ile Glu Trp Val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50 55 60 Glu Trp Ile Gly Val Ile Asn Pro Gly Ser Gly Gly Thr Asn Tyr Asn 65 70 75 80 Glu Lys Phe Lys Gly Lys Ala Thr Leu Thr Ala Asp Lys Ser Ser Ser 85 90 95 Thr Ala Tyr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Asp Asp Ser Ala Val 100 105 110 Tyr Phe Cys Ala Arg Asp Gly Pro Trp Phe Ala Tyr Trp Gly Gln Gly 115 120 125 Thr Leu Val Thr Val Ser Ala Ala Lys Thr Thr Ala Pro Ser Val Tyr 130 135 140 Pro Leu Ala Pro Val Cys Gly Asp Thr Thr Gly Ser Ser Val Thr Leu 145 150 155 160 Gly Cys Leu Val Lys Gly Tyr Phe Pro Glu Pro Val Thr Leu Thr Trp 165 170 175 Asn Ser Gly Ser Leu Se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180 185 190 Gln Ser Asp Leu Tyr Thr Leu Ser Ser Ser Val Thr Val Thr Ser Ser 195 200 205 Thr Trp Pro Ser Gln Ser Ile Thr Cys Asn Val Ala His Pro Ala Ser 210 215 220 Ser Thr Lys Val Asp Lys Lys Ile Glu Pro Arg Gly Pro Thr Ile Lys 225 230 235 240 Pro Cys Pro Pro Cys Lys Cys Pro Ala Pro Asn Leu Leu Gly Gly Pro 245 250 255 Ser Val Phe Ile Phe Pro Pro Lys Ile Lys Asp Val Leu Met Ile Ser 260 265 270 Leu Ser Pro Ile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Glu Asp Asp 275 280 285 Pro Asp Val Gln Ile Ser Trp Phe Val Asn Asn Val Glu Val His Thr 290 295 300 Ala Gln Thr Gln Thr His Arg Glu Asp Tyr Asn Ser Thr Leu Arg Val 305 310 315 320 Val Ser Ala Leu Pro Ile Gln His Gln Asp Trp Met Ser Gly Lys Glu 325 330 335 Phe Lys Cys Lys Val Asn Asn Lys Asp Leu Pro Ala Pro Ile Glu Arg 340 345 350 Thr Ile Ser Lys Pro Lys Gly Ser Val Arg Ala Pro Gln Val Tyr Val 355 360 365 Leu Pro Pro Pro Glu Glu Glu Met Thr Lys Lys Gln Val Thr Leu Thr 370 375 380 Cys Met Val Thr Asp Phe Met Pro Glu Asp Ile Tyr Val Lys Trp Thr 385 390 395 400 Asn Asn Gly Lys Thr Glu Leu Asn Tyr Lys Asn Thr Glu Pro Val Leu 405 410 415 Asp Ser Asp Gly Ser Tyr Phe Met Tyr Ser Lys Leu Arg Val Glu Lys 420 425 430 Lys Asn Trp Val Glu Arg Asn Ser Tyr Ser Cys Ser Val Val His Glu 435 440 445 Gly Leu His Asn His His Thr Thr Lys Ser Phe Ser Arg Thr Pro Gly 450 455 460 Lys Ile Asp 465 <210> 12 <211> 47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of CO17-1AK (amino acid sequence) <400> 12 Met Glu Trp Ser Arg Val Phe Ile Phe Leu Leu Ser Val Thr Ala Gly 1 5 10 15 Val His Ser Gln Val Gln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Val Arg 20 25 30 Pro Gly Thr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Ala Phe 35 40 45 Thr Asn Tyr Leu Ile Glu Trp Val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50 55 60 Glu Trp Ile Gly Val Ile Asn Pro Gly Ser Gly Gly Thr Asn Tyr Asn 65 70 75 80 Glu Lys Phe Lys Gly Lys Ala Thr Leu Thr Ala Asp Lys Ser Ser Ser 85 90 95 Thr Ala Tyr Met Gln Leu Ser Ser Leu Thr Ser Asp Asp Ser Ala Val 100 105 110 Tyr Phe Cys Ala Arg Asp Gly Pro Trp Phe Ala Tyr Trp Gly Gln Gly 115 120 125 Thr Leu Val Thr Val Ser Ala Ala Lys Thr Thr Ala Pro Ser Val Tyr 130 135 140 Pro Leu Ala Pro Val Cys Gly Asp Thr Thr Gly Ser Ser Val Thr Leu 145 150 155 160 Gly Cys Leu Val Lys Gly Tyr Phe Pro Glu Pro Val Thr Leu Thr Trp 165 170 175 Asn Ser Gly Ser Leu Se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180 185 190 Gln Ser Asp Leu Tyr Thr Leu Ser Ser Ser Val Thr Val Thr Ser Ser 195 200 205 Thr Trp Pro Ser Gln Ser Ile Thr Cys Asn Val Ala His Pro Ala Ser 210 215 220 Ser Thr Lys Val Asp Lys Lys Ile Glu Pro Arg Gly Pro Thr Ile Lys 225 230 235 240 Pro Cys Pro Pro Cys Lys Cys Pro Ala Pro Asn Leu Leu Gly Gly Pro 245 250 255 Ser Val Phe Ile Phe Pro Pro Lys Ile Lys Asp Val Leu Met Ile Ser 260 265 270 Leu Ser Pro Ile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Glu Asp Asp 275 280 285 Pro Asp Val Gln Ile Ser Trp Phe Val Asn Asn Val Glu Val His Thr 290 295 300 Ala Gln Thr Gln Thr His Arg Glu Asp Tyr Asn Ser Thr Leu Arg Val 305 310 315 320 Val Ser Ala Leu Pro Ile Gln His Gln Asp Trp Met Ser Gly Lys Glu 325 330 335 Phe Lys Cys Lys Val Asn Asn Lys Asp Leu Pro Ala Pro Ile Glu Arg 340 345 350 Thr Ile Ser Lys Pro Lys Gly Ser Val Arg Ala Pro Gln Val Tyr Val 355 360 365 Leu Pro Pro Pro Glu Glu Glu Met Thr Lys Lys Gln Val Thr Leu Thr 370 375 380 Cys Met Val Thr Asp Phe Met Pro Glu Asp Ile Tyr Val Lys Trp Thr 385 390 395 400 Asn Asn Gly Lys Thr Glu Leu Asn Tyr Lys Asn Thr Glu Pro Val Leu 405 410 415 Asp Ser Asp Gly Ser Tyr Phe Met Tyr Ser Lys Leu Arg Val Glu Lys 420 425 430 Lys Asn Trp Val Glu Arg Asn Ser Tyr Ser Cys Ser Val Val His Glu 435 440 445 Gly Leu His Asn His His Thr Thr Lys Ser Phe Ser Arg Thr Pro Gly 450 455 460 Lys Ile Asp Lys Asp Glu Leu 465 470 <210> 13 <211> 2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of CO17-1A or light chain of CO17-1AK (amino acid sequence) <400> 13 Met Gly Ile Lys Met Glu Ser Gln Thr Leu Val Phe Ile Ser Ile Leu 1 5 10 15 Leu Trp Leu Tyr Gly Ala Asp Gly Asn Ile Val Met Thr Gln Ser Pro 20 25 30 Lys Ser Met Ser Met Ser Val Gly Glu Arg Val Thr Leu Thr Cys Lys 35 40 45 Ala Ser Glu Asn Val Val Thr Tyr Val Ser Trp Tyr Gln Gln Lys Pro 50 55 60 Glu Gln Ser Pro Lys Leu Leu Ile Tyr Gly Ala Ser Asn Arg Tyr Thr 65 70 75 80 Gly Val Pro Asp Arg Phe Thr Gly Ser Gly Ser Ala Thr Asp Phe Thr 85 90 95 Leu Thr Ile Ser Ser Val Gln Ala Glu Asp Leu Ala Asp Tyr His Cys 100 105 110 Gly Gln Gly Tyr Ser Tyr Pro Tyr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115 120 125 Glu Ile Lys Arg Ala Asp Ala Ala Pro Thr Val Ser Ile Phe Pro Pro 130 135 140 Ser Ser Glu Gln Leu Thr Ser Gly Gly Ala Ser Val Val Cys Phe Leu 145 150 155 160 Asn Asn Phe Tyr Pro Lys Asp Ile Asn Val Lys Trp Lys Ile Asp Gly 165 170 175 Ser Glu Arg Gln Asn Gly Val Leu Asn Ser Trp Thr Asp Gln Asp Ser 180 185 190 Lys Asp Ser Thr Tyr Ser Met Ser Ser Thr Leu Thr Leu Thr Lys Asp 195 200 205 Glu Tyr Glu Arg His Asn Ser Tyr Thr Cys Glu Ala Thr His Lys Thr 210 215 220 Ser Thr Ser Pro Ile Val Lys Ser Phe Asn Arg Asn Glu Cys 225 230 235 <210> 14 <211> 14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of CO17-1A (nucleotide sequence) <400> 14 atggaatgga gcagagtctt tatctttctc ctatcagtaa ctgcaggtgt tcactcccag 60 gtccagttgc agcagtctgg agctgagctg gtaaggcctg ggacttcagt gaaggtgtcc 120 tgcaaggctt ctggatacgc cttcactaat tacttgatag agtgggtaaa gcagaggcct 180 ggacagggcc ttgagtggat tggggtgatt aatcctggaa gtggtggtac taactacaat 240 gagaagttca agggcaaggc aacactgact gcagacaaat cctccagcac tgcctacatg 300 cagctcagca gcctgacatc tgatgactct gcggtctatt tctgtgcaag agatggtccc 360 tggtttgctt actggggcca agggactctg gtcactgtct ctgcagccaa aacaacagcc 420 ccatcggtct atccactggc ccctgtgtgt ggagatacaa ctggctcctc ggtgactcta 480 ggatgcctgg tcaagggtta tttccctgag ccagtgacct tgacctggaa ctctggatcc 540 ctgtccagtg gtgtgcacac cttcccagct gtcctgcagt ctgacctcta caccctcagc 600 agctcagtga ctgtaacctc gagcacctgg cccagccagt ccatcacctg caatgtggcc 660 cacccggcaa gcagcaccaa ggtggacaag aaaattgagc ccagagggcc cacaatcaag 720 ccctgtcctc catgcaaatg cccagcacct aacctcttgg gtggaccatc cgtcttcatc 780 ttccctccaa agatcaagga tgtactcatg atctccctga gccccatagt cacatgtgtg 840 gtggtggatg tgagcgagga tgacccagat gtccagatca gctggtttgt gaacaacgtg 900 gaagtacaca cagctcagac acaaacccat agagaggatt acaacagtac tctccgggtg 960 gtcagtgccc tccccatcca gcaccaggac tggatgagtg gcaaggagtt caaatgcaag 1020 gtcaacaaca aagacctccc agcgcccatc gagagaacca tctcaaaacc caaagggtca 1080 gtaagagctc cacaggtata tgtcttgcct ccaccagaag aagagatgac taagaaacag 1140 gtcactctga cctgcatggt cacagacttc atgcctgaag acatttacgt gaagtggacc 1200 aacaacggga aaacagagct aaactacaag aacactgaac cagtcctgga ctctgatggt 1260 tcttacttca tgtacagcaa gctgagagtg gaaaagaaga actgggtgga aagaaatagc 1320 tactcctgtt cagtggtcca cgagggtctg cacaatcacc acacgactaa gagcttctcc 1380 cggactccgg gtaaaatcga t 1401 <210> 15 <211> 141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of CO17-1AK (nucleotide sequence) <400> 15 atggaatgga gcagagtctt tatctttctc ctatcagtaa ctgcaggtgt tcactcccag 60 gtccagttgc agcagtctgg agctgagctg gtaaggcctg ggacttcagt gaaggtgtcc 120 tgcaaggctt ctggatacgc cttcactaat tacttgatag agtgggtaaa gcagaggcct 180 ggacagggcc ttgagtggat tggggtgatt aatcctggaa gtggtggtac taactacaat 240 gagaagttca agggcaaggc aacactgact gcagacaaat cctccagcac tgcctacatg 300 cagctcagca gcctgacatc tgatgactct gcggtctatt tctgtgcaag agatggtccc 360 tggtttgctt actggggcca agggactctg gtcactgtct ctgcagccaa aacaacagcc 420 ccatcggtct atccactggc ccctgtgtgt ggagatacaa ctggctcctc ggtgactcta 480 ggatgcctgg tcaagggtta tttccctgag ccagtgacct tgacctggaa ctctggatcc 540 ctgtccagtg gtgtgcacac cttcccagct gtcctgcagt ctgacctcta caccctcagc 600 agctcagtga ctgtaacctc gagcacctgg cccagccagt ccatcacctg caatgtggcc 660 cacccggcaa gcagcaccaa ggtggacaag aaaattgagc ccagagggcc cacaatcaag 720 ccctgtcctc catgcaaatg cccagcacct aacctcttgg gtggaccatc cgtcttcatc 780 ttccctccaa agatcaagga tgtactcatg atctccctga gccccatagt cacatgtgtg 840 gtggtggatg tgagcgagga tgacccagat gtccagatca gctggtttgt gaacaacgtg 900 gaagtacaca cagctcagac acaaacccat agagaggatt acaacagtac tctccgggtg 960 gtcagtgccc tccccatcca gcaccaggac tggatgagtg gcaaggagtt caaatgcaag 1020 gtcaacaaca aagacctccc agcgcccatc gagagaacca tctcaaaacc caaagggtca 1080 gtaagagctc cacaggtata tgtcttgcct ccaccagaag aagagatgac taagaaacag 1140 gtcactctga cctgcatggt cacagacttc atgcctgaag acatttacgt gaagtggacc 1200 aacaacggga aaacagagct aaactacaag aacactgaac cagtcctgga ctctgatggt 1260 tcttacttca tgtacagcaa gctgagagtg gaaaagaaga actgggtgga aagaaatagc 1320 tactcctgtt cagtggtcca cgagggtctg cacaatcacc acacgactaa gagcttctcc 1380 cggactccgg gtaaaatcga taaggacgaa ctt 1413 <210> 16 <211> 7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of CO17-1A or light chain of CO17-1AK (nucleotide sequence) <400> 16 atgggcatca agatggaatc acagactctg gtcttcatat ccatactgct ctggttatat 60 ggagctgatg ggaacattgt aatgacccaa tctcccaaat ccatgtccat gtcagtagga 120 gagagggtca ccttgacctg caaggccagt gagaatgtgg ttacttatgt ttcctggtat 180 caacagaaac cagagcagtc tcctaaactg ctgatatacg gggcatccaa ccggtacact 240 ggggtccccg atcgcttcac aggcagtgga tctgcaacag atttcactct gaccatcagc 300 agtgtgcagg ctgaagacct tgcagattat cactgtggac agggttacag ctatccgtac 360 acgttcggag gggggaccaa gctggaaata aaacgggctg atgctgcacc aactgtatcc 420 atcttcccac catccagtga gcagttaaca tctggaggtg cctcagtcgt gtgcttcttg 480 aacaacttct accccaaaga catcaatgtc aagtggaaga ttgatggcag tgaacgacaa 540 aatggcgtcc tgaacagttg gactgatcag gacagcaaag acagcaccta cagcatgagc 600 agcaccctca cgttgaccaa ggacgagtat gaacgacata acagctatac ctgtgaggcc 660 actcacaaga catcaacttc acccattgtc aagagcttca acaggaatga gtgttag 717 <210> 17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A733-FcK <400> 17 gtcgacacgg cgacttttgc cgcagct 27 <210> 1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A733-FcK <400> 18 gagttcatct ttacccgggg acag 24 <210> 1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heavy chain of CO17-1AK <400> 19 atggaatgga gcagagtctt t 21 <210> 2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heavy chain of CO17-1AK <400> 20 atcgatttta cccggagtcc g 21 <210> 2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light chain of CO17-1AK <400> 21 atgggcatca agatcgaatc a 21 <210> 2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light chain of CO17-1AK <400> 22 acactcattc ctgttgaagc t 21 <210> 23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DEL for ER retention signal (amino acid sequence) <400> 23 His Asp Glu Leu 1 <210> 2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KDEL for ER retention signal (amino acid sequence) <400> 24 Ser Glu Lys Asp Glu Leu 1 5 <210> 2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HDEL for ER retention signal (amino acid sequence) <400> 25 Lys His Asp Glu Leu 1 5 <210> 26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EEL for ER retention signal (amino acid sequence) <400> 26 Lys Glu Glu Leu 1 <210> 27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HDEL for ER retention signal (amino acid sequence) <400> 27 Ser Glu His Asp Glu Leu 1 5 <210> 28 <211> 3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rabidopsis derived ABPI endoplasmic reticulum targeting signal peptide <400> 28 Met Ile Val Leu Ser Val Gly Ser Ala Ser Ser Ser Pro Ile Val Val 1 5 10 15 Val Phe Ser Val Ala Leu Leu Leu Phe Tyr Phe Ser Glu Thr Ser Leu 20 25 30 <210> 29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R signal sequence of alpha carbonic anhydrase I gene (NP_850685) <400> 29 Met Lys Ile Met Met Met Ile Lys Leu Cys Phe Phe Ser Met Ser Leu 1 5 10 15 Ile Cys Ile Ala Pro Ala Asp Ala 20 <210> 30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R signal sequence from an unnamed protein (BAG87020) <400> 30 Met Ala Ala Ser His Gly Asn Ala Ile Phe Val Leu Leu Leu Cys Thr 1 5 10 15 Leu Phe Leu Pro Ser Leu Ala Cys 20 <210> 31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R signal sequence of ribophorin I (AT2G01720) <400> 31 Met Ala Ala Arg Ile Gly Ile Phe Ser Val Phe Val Ala Val Leu Leu 1 5 10 15 Ser Ile Ser Ala Phe Ser Ser Ala 20 <210> 32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R signal sequence from A. thaliana basic chitinase <400> 32 Met Lys Thr Asn Leu Phe Leu Phe Leu Ile Phe Ser Leu Leu Leu Ser 1 5 10 15 Leu Ser Ser Ala Glu 20

Claims (16)

  1. (a) 항원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의 식물체를 교배하여 교배식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은 하기의 (i) 및 (ii)를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chimeric antig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 항원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면역 반응 도메인(immune response domain); 및
    (ii) 항체 Fc 단편(Fc antibody fragment)을 포함하는 표적 결합 도메인(target binding domain).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i) 표적 결합 도메인은 면역글로불린 경첩영역(hinge region), 중쇄 CH1 도메인 또는 링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항원은 대장암 세포 표면 단백질인 GA7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i)의 항체 Fc 단편은 GA733에 특이적인 IgG의 경첩영역(hing region), CH2 도메인 및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항원은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GA733-FcK 키메릭 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항체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항체는 이가(bivalent)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항체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중쇄 및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경쇄를 포함하는, GA733-FcK 키메릭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항원 및 (b)단계의 항체는 소포체 저장 유도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담배(Nicotiana tabac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식물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GA733-FcK 키메릭 항원 및 이에 특이적인 항체의 항원-항체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14. 제12항의 식물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은 키메릭 항원-항체 단분자 구조, 상기 키메릭 항원-항체 단분자가 중합(polymerization)된 오량체 및 키메릭 항원과 항체가 서로 교차 결합된 선형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16. 제14항의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KR1020150083443A 2014-06-12 2015-06-12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KR101596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607 2014-06-12
KR20140071607 2014-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358A true KR20150143358A (ko) 2015-12-23
KR101596364B1 KR101596364B1 (ko) 2016-02-23

Family

ID=5483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443A KR101596364B1 (ko) 2014-06-12 2015-06-12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59066A1 (ko)
JP (1) JP6633002B2 (ko)
KR (1) KR101596364B1 (ko)
CN (1) CN106572645A (ko)
WO (1) WO2015190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3676B (zh) * 2022-02-28 2024-04-05 东莞市朋志生物科技有限公司 抗肺炎支原体的抗体、检测肺炎支原体的试剂和试剂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51B1 (ko) 2008-06-16 2011-08-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형질전환 식물에서의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항체복합체 생산
KR20140034139A (ko) * 2011-01-17 2014-03-19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식물에서의 단백질 발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6084D0 (en) * 1999-11-03 2000-01-12 King S College London Recombinant fusion molecules
US8007805B2 (en) * 2003-08-08 2011-08-30 Paladin Labs, Inc. Chimeric antigens for breaking host tolerance to foreign antigens
KR20100015187A (ko) * 2008-08-04 2010-02-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형질전환 식물체를 이용한 돼지 콜레라 백신 및 그의제조방법
KR20120124963A (ko) * 2011-05-06 2012-11-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유래 재조합 단백질 소재에 의해 숙지된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대장암 면역 치료제
US8846042B2 (en) * 2011-05-16 2014-09-30 Fabion Pharmaceuticals, Inc. Multi-specific FAB fusion proteins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51B1 (ko) 2008-06-16 2011-08-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형질전환 식물에서의 대장암 세포 표면 특이 단백질-항체복합체 생산
KR20140034139A (ko) * 2011-01-17 2014-03-19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식물에서의 단백질 발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Biomedicine and Biotechnology, Volume 2012, Article ID 364240, 11 pages(2012년) *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PCTOC), 113권, 1호, 41-49쪽(2013년) *
Zhe Lu, Kyung-Jin Lee, Yingxue Shao, Jeong-Hwan Lee, Yangkang So, Young-Kug Choo, Doo-Byoung Oh, Kyung-A Hwang, Seung Han Oh, Yeon Soo Han, and Ki sung Ko, Expression of GA733-Fc Fusion Protein as a Vaccine Candidate for Colorectal Cancer in Transgenic Plants, Journal of Biomedicine and Biotechnology. Volume 2012, Article ID 364240, 11 p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4346A (ja) 2017-08-31
CN106572645A (zh) 2017-04-19
WO2015190885A1 (ko) 2015-12-17
KR101596364B1 (ko) 2016-02-23
US20170159066A1 (en) 2017-06-08
JP6633002B2 (ja)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808B1 (ko) 면역활성화 항원 결합 분자
KR101777077B1 (ko) 세포상해 유도 치료제
KR101901458B1 (ko) Tcr 복합체 면역치료제
US20190002563A1 (en) Bispecific Monovalent Diabodies That are Capable of Binding B7-H3 and CD3, and Uses Thereof
TWI418363B (zh) 血漿中動態經改善之磷脂醯肌醇蛋白聚醣3抗體
CN107484416A (zh) 能够结合cd19和cd3的双特异性单价双抗体及其用途
US20180171017A1 (en) Combined use of immune activators
KR20140019385A (ko) 이중특이성 및 단일특이성, 비대칭성 항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11990A (zh) 使用CD32B x CD79B结合分子治疗炎症性疾病和病症的方法
PT2193803E (pt) Ácidos nucleicos que codificam imunoglobulinas que possuem epítopos de gp100 e trp2
KR101924485B1 (ko) 혈중 반감기 연장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KR101913743B1 (ko) 혈중 반감기 연장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KR20180113904A (ko) 혈중 반감기 연장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KR101596364B1 (ko)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면역원성 복합 단백질
CN101896502B (zh) 抗人TNFα单抗、分子进化及其应用
KR101985863B1 (ko) ADCC 향상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
KR101792205B1 (ko) 혈중 지속성 연장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KR20190044347A (ko) 세포막 유동성을 이용한 다중체 단백질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792191B1 (ko) 연장된 혈중 반감기를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CN114480413B (zh) 一种活化肿瘤免疫应答的基因修饰干细胞制备方法
CN114990129B (zh) 表达αPDL1:Fc融合蛋白的间充质干细胞的制备及应用
CN117242096A (zh) 结合psma和cd3的异二聚体双特异性抗体
KR20230117379A (ko) 이종이량체 psma 및 cd3-결합 이중특이적 항체
CN116348593A (zh) 特异性结合糖基化ceacam5的抗体
KR20180114859A (ko) 고면역원성 다량체 항원 단백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식물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