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897A -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 Google Patents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897A
KR20150142897A KR1020140071473A KR20140071473A KR20150142897A KR 20150142897 A KR20150142897 A KR 20150142897A KR 1020140071473 A KR1020140071473 A KR 1020140071473A KR 20140071473 A KR20140071473 A KR 20140071473A KR 20150142897 A KR20150142897 A KR 20150142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u
asp
gly
ala
mu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526B1 (ko
Inventor
이정걸
찬드라 수잔 싱델
김태수
이정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526B1/ko
Priority to PCT/KR2014/005218 priority patent/WO2015190633A1/ko
Priority to US15/318,172 priority patent/US10253341B2/en
Publication of KR20150142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2Mono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n isomerase, e.g. fructo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90Isomerases (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자역학 및 분자역학 기술과 부분 돌연변이기술을 이용하여 대장균 O157:H7 (Escherichia coli O157:H7) 유래 당 이성질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자역학 및 분자역학에 기반한 스크리닝을 통해 효소 안정성에 영향을 끼치는 잔기를 찾고, 탐색된 잔기의 돌연변이에 의해 효소활성이 개량된 당 이성질화 효소, 이를 코딩하는 핵산 분자,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 상기 당 이성질화 효소의 돌연변이체 및 개량된 당 이성질화 효소를 이용하여 L-굴로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A mutant of Escherichia coli sugar isomerase improved in its activity and production of L-gulose using the said enzyme}
본 발명은 분자역학 및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를 이용하여 대장균 O157:H7 (Escherichia coli O157:H7) 유래 당 이성질화 효소의 효소 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연변이에 의해 효소활성이 개량된 당 이성질화 효소, 이를 코딩하는 핵산 분자,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 상기 당 이성질화 효소의 돌연변이체 및 개량된 당 이성질화 효소를 이용한 L-굴로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분야에서 L-탄수화물 및 그의 뉴클레오사이드 유도체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는 유용한 항바이러스제로서 상당한 잠재성을 보이고 있다. L-굴로스는 L-리보뉴클레오사이드, L-올리고리보뉴클레오사이드 및 많은 치료용 제재의 합성에 있어서 골격을 구성하는 핵심 오탄당이다. L-뉴클레오사이드는 D-뉴클레오사이드와 비교할 때, 체내의 뉴클레아제 등의 공격으로부터 높은 안정성을 가지므로 치료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성이 높은 후보 물질이다. L-굴로스가 항바이러스제 및 항생제 등 의약품의 제조 원료로서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 더욱 주목이 집중되고 있어 L-굴로스의 고효율 생물학적 제조방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L-굴로스는 자연계에 소량 존재할 뿐만 아니라, L-굴로스를 생산할 수 있는 효소의 안정성 및 전환효율이 낮아 사업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생촉매를 사용하여 L-굴로스를 생산하는 효소적 생산방법은 효소의 안정성과 높은 활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선행 특허 문헌]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7-0018725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당인 L-굴로스의 생물전환에 작용하는 당 이성질화 효소를 실제 산업용 효소로 활용하기 위해서 부위특이적 돌연변이법을 통하여 효소의 활성을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개량된 당 이성질화 효소 유전자를 포함한 재조합 발현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개량된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재조합 대장균을 포함하는 모든 형질전환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개량된 효소가 형질전환된 재조합 대장균을 이용한 재조합 당 이성질화 효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상기 효소를 이용하여 당 이성질화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잔기를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3의 당 이성질화 효소의 56번째 아미노산, 92번째 아미노산 및 112번째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돌연변이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돌연변이체는 56번째 아미노산인 트리오닌은 메티오닌으로 치환되고, 92번째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은 류신으로 치환되며, 112번째 아미노산인 아이소류신은 시스테인으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대장균 O157:H7 (Escherichia coli O157:H7) 유래된 것이 바람직하나 화학합성법이나 유전공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당 이성질화 효소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돌연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5, 7, 9, 11 또는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서열에 하나 이상의 치환, 결손, 역위, 전좌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는 돌연변이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6, 8, 10, 12 또는 14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서열에 하나 이상의 치환, 결손, 역위, 전좌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는 돌연변이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재조합벡터를 미생물에 형질전환시켜서 형질전환체를 제조하여 상기 본 발명의 효소를 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의 돌연변이체 효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돌연변이체를 이용하여 L-소르보스부터 L-굴로스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돌연변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L-굴로스 생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당 이성질화 효소를 이용하여 효소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몇몇 잔기를 제시함으로써, 당 이성질화 효소의 활성 결정인자 규명에 대한 기반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를 이용하여 고활성 당 이성질화 효소를 제공하고 이는 L-굴로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열번호 6, 8, 10, 12 및 14는 본 발명의 변이된 당 이성질화 효소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5, 7, 9, 11 및 13은 상기 유전자가 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표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폴리펩티드가 당 이성질화 효소 활성을 가지는 한, 수 개의 아미노산에 대해서 결실, 치환, 부가 등의 변이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자는 서열번호 5, 7, 9, 11및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가진 것에 첨가하여, 축중 코돈에 있어서만 상이한 동일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축중 이성체도 포함한다. 여기서 결실, 치환, 부가 등의 변이는, 부위돌연변이 도입방법(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1권, 811페이지, 1994년) 등에 의해 도입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된 미생물은 본 발명의 재조합벡터를 상기 재조합벡터를 제작할 때에 사용한 발현벡터에 적합한 숙주 속에 도입함으로써 얻게 된다. 예를 들면 대장균 등의 세균을 숙주로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관한 재조합벡터는 그 자신이 숙주 속에서 자율복제 가능한 동시에, 프로모터, 당 이성질화 효소 유전자를 함유하는 DNA, 전사종결서열 등의 발현에 필요한 구성을 가진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발현벡터로서는 pET-28a를 사용하였으나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는 발현벡터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프로모터는, 숙주 속에서 발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trp프로모터, trc프로모터, tac프로모터, lac프로모터, PL프로모터, PR프로모터, T7프로모터, T3프로모터 등의 대장균이나 파지 등에서 유래하는 프로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재조합 DNA의 세균내로의 도입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염화칼슘법이나 일렉트로포레이션법 등이 이용가능하다.
또한 재조합벡터에는 발현의 억제, 증폭, 유도를 위한 각종의 기능을 가진 단편이나, 형질전환체의 선택을 위한 마커나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유전자 또는 균체 밖으로의 분비를 목적으로 한 시그널을 코딩하는 유전자 등을 추가로 가진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변이된 당 이성질화 효소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변이된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가진 재조합벡터로 숙주를 형질전환해서 얻은 형질전환체를 배양하고, 배양물 (배양균체 또는 배양상청액) 속에 유전자 산물인 당 이성질화 효소를 생성 및 축적시켜, 배양물로부터 당 이성질화 효소를 취득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하는 방법은 숙주의 배양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프로모터가 유도성의 발현벡터를 사용해서 형질전환한 미생물을 배양하는 경우는 프로모터의 종류에 적합한 유도물질을 배지에 첨가하면 된다.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베타-D-티오갈락토피라노시드(IPTG), 카나마이신을 유도물질로서 들 수 있다.
변이된 당 이성질화 효소의 취득 및 정제는, 얻게 되는 배양물로부터 균체 또는 상청액을 원심 회수한 후, 균체파쇄, 추출, 친화성크로마토그래피, 양이온 또는 음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겔여과 등을 단독으로 또는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얻어진 정제물질이 목적의 효소인 것의 확인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SDS-폴리아크릴아미드겔 전기영동, 웨스턴블로팅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숙주로서 미생물을 사용한 형질전환체의 배양, 형질전환체에 의한 당 이성질화 효소의 생산과 균체 내에의 축적 및 균체로부터의 당 이성질화 효소의 회수는 상기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고활성 효소를 확보하고 효소의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몇몇 잔기를 제시하고자 대장균 O157:H7로부터 당 이성질화 효소의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전기 유전자를 삽입한 재조합 균주가 높은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몇몇 잔기를 제시하고, 해당 잔기를 돌연변이하여 얻어진 돌연변이 효소를 사용하여 재조합 균주가 L-소르보스로부터 L-굴로스를 제조하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활성을 나타내는 여러 당 이성질화 효소 변이체를 이용하여 기질에 대한 결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당 이성질화 효소의 낮은 효소활성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당 혼합물로부터 L-굴로스의 경제적인 생산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기존에 당 이성질화 효소에 의해 생성되는 L-굴로스는 항바이러스제 등 의약학적으로 유용한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해당 효소의 불안정성과 낮은 효소활성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장균 O157:H7 (Escherichia coli O157:H7) 유래의 당 이성질화 효소의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잔기를 돌연변이 시킴으로써 기질이 효소에 결합하는 능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효소의 활성이 증가된 개량된 효소를 개발함에 있다. 또한 상기 당 이성질화 효소의 돌연변이체 및 개량된 당 이성질화 효소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L-굴로스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대장균 O157:H7 균주로부터 유래된 야생형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고활성 변이체인 EcSI, I112C, T56M, M92L, I112C T56M 및 I112C T56M M92L의 SDS-폴리아크릴아미드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2는 분자역학적(molecular mechanics) 기반으로 분석된 EcSI의 기질이 결합하는 활성부위에 대한 컴퓨터 분석. (A) 야생형균주 (B) 삼중변이체 EcSI I112C T56M M92L
도 3은 야생형 EcSI 효소의 동역학적 매개변수 그래프.
도 4는 EcSI I112C T56M 변이체의 대한 동역학적 매개변수 그래프.
도 5는 EcSI I112C T56M M92L 변이체의 대한 동역학적 매개변수 그래프.
도 6은 대장균 O157:H7 유래의 당 이성질화 효소의 최적화된 조건에서의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 시간대 별 L-굴로스의 생산량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당 이성질화 효소의 유전자 클로닝
대장균 O157:H7를 37℃에서 배양하고, 원심분리(8000xg, 10분)하여 균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균체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고, 대장균 O157:H7의 당 이성질화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프라이머 EcSI F-5'- GGA TCC ATG AAA CGC TCC GCT A-3' (서열번호 1) EcSI R-5'-GTC GAC GCG GAA CTG GCG GTA T-3' (서열번호 2)를 제작하여 PCR을 행하였다. PCR 산물 즉, 대장균 O157:H7에서 증폭된 당 이성질화 효소를 포함한 유전자를 pGEM T-easy 벡터에 삽입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서열번호 4).
실시예 2: 재조합 발현 벡터 및 재조합 균주 제조
실시예 1에 따른 당 이성질화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이용하여 전기 당 이성질화 효소를 대장균에서 대량으로 발현시키기 위하여, 발현 벡터 pET-28a(Novagen, 독일)의 BamHI과 SalI 부위에 상기 효소 유전자를 삽입한 후 대장균 BL21(DE3)(NEB, 영국)에 형질 전환시켰다.
실시예 3: 재조합 당 이성질화 효소의 발현 및 순수 분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재조된 재조합 균주를 LB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SDS-PAGE 젤에서 발현된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도 1).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발현시킨 재조합 당 이성질화 효소를 정제하기 위하여, 재조합 균주 배양액을 원심분리 (8000xg, 10분)하여 균체만을 모은 후, 초음파 처리하여 대장균의 세포벽을 파쇄하고, 20,000x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균체)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최종적으로 Ni-NTA Super flow 컬럼 (GE Healthcare, 영국)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재조합 당 이성질화 효소를 순수 분리하였다.
실시예 4: 고활성을 가진 당 이성질화 효소의 변이체 제작
실시예 4-1: 활성에 중요 역할을 하는 잔기의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순수 분리한 당 이성질화 효소를 이용하여 고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잔기를 탐색하기 위해 Discovery Studio 3.1과 Meterials Studio 6.0 (Accelrys Inc. San Diego, CA, 미국)의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분자역학(molecular mechanics)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2와 같이 효소의 기질 결합부위의 잔기들을 치환한 돌연변이체의 결합에너지(Kcal/mol)를 야생 효소의 결합에너지와 비교하였다. 결합에너지는 그 값이 낮을수록 결합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 1과 같이, I112C, T56M, M92L 변이효소가 야생 효소보다 결합력이 낮았으며, I112 T56, M92 잔기를 돌연변이를 위한 목적 잔기로 선정하였다.
효소 결합에너지
(Kcal/mol)
WT -188
I112C -194
T56M -192
M92L -189
실시예 4-2: I112C , T56M , M92L 변이체의 동역학적 매개변수
상기 실시 예 4-1에서와 같이 기질 결합부위의 잔기 중 돌연변이 시에 낮은 결합에너지 에너지를 나타낸 잔기인 112번째 잔기인 아이소류신을 시스테인으로, 56번째 잔기인 트레오닌을 메티오닌으로 치환하였고, 92번째 잔기인 메티오닌을 류신으로 치환하였다. 해당 변이체를 site-directed mutagenesis kit (Stratagene, 미국)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I112C 변이체와 T56M 변이체가 기질에 대한 결합력이 증가하면서 동시에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장 동역학 계수가 높은 잔기를 선별하여 이중변이체인 I112C T56M와 삼중변이체인 I112C T56M M92L 돌연변이체를 제작하고 대사회전율을 확인한 결과 단일 변이체에 비하여 대사회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표 2는 당 이성질화 효소의 고유 활성도에 대한 표이다.
효소 Km (mM) kcat (S-1) kcat/Km (mM-1S-1)
EcSI 133 84 0.63
I112C 95 88 0.92
T56M 118 101 0.85
M92L 149 105 0.70
I112C T56M 94 144 1.53
I112C T56M M92L 107 245 2.28
실시예 5: 대장균 O157 : H7 유래 당 이성질화 효소를 이용한 최적 조건에서의 L- 굴로스 생산
당 이성질화 효소를 이용한 최대 L-굴로스 생산을 위하여 최적 조건에서 이성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0.2 M glycin-NaOH pH 8 buffer에서 반응을 진행하였고, 10 mg의 당 이성질화 효소, 40℃, 기질인 L-소르보스 74 g/L의 존재 하에 200 rpm으로 교반배양하여 L-굴로스 생산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L-굴로스의 최대 생산 시간은 90분이었으며 EcSI의 경우 22 g/L의 생산량을 보였으며, 이중변이체인 I112C T56M에서는 28 g/L, 삼중변이체인 I112C T56M M92L에서는 36 g/L의 생산율을 보였다. 이러한 최종 수율은 L-소르보스부터 L-굴로스 생산에서 만니톨 1-탈수소효소를 사용한 선행문헌의 결과 (0.9 g/L)에 비해 매우 우수한 수치이다.
<110>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Corp <120> A mutant of Escherichia coli sugar isomerase improved in its activity and production of L-gulose using the said enzyme <130> HY140604 <160> 1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gatccatga aacgctccgc ta 22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gtcgacgcgg aactggcggt at 22 <210> 3 <211> 227 <212> PRT <213> Escherichia coli <400> 3 Met Lys Arg Ser Ala Ile Asn Asp Ile Leu Gly His Thr Arg Gln Phe 1 5 10 15 Phe Ser Gln His Asp Val His Leu Pro Pro Phe Ala Ser Phe Ser Pro 20 25 30 Ala Gln Trp Gln Gln Leu Asp Thr Ala Ala Trp Glu Glu Val Phe Asp 35 40 45 Leu Lys Leu Gly Trp Asp Val Thr Ala Phe Gly Arg Asn Asn Phe Ala 50 55 60 Ala His Gly Leu Thr Leu Phe Thr Leu Arg Asn Gly Ser Ala Lys Gly 65 70 75 80 Met Pro Tyr Val Lys Cys Tyr Ala Glu Lys Ile Met His Val Arg Asp 85 90 95 Ala Gln Val Thr Pro Met His Phe His Trp Arg Lys Arg Glu Asp Ile 100 105 110 Ile Asn Arg Gly Gly Gly Asn Leu Ile Val Glu Leu Trp Asn Ala Asp 115 120 125 Ser Asn Glu Gln Thr Ala Asp Ser Asp Ile Thr Val Val Ile Asp Gly 130 135 140 Cys Arg Gln Lys His Thr Ala Gly Ser Gln Leu Arg Leu Ser Pro Gly 145 150 155 160 Glu Ser Ile Cys Leu Pro Pro Gly Leu Tyr His Ser Phe Trp Ala Glu 165 170 175 Ala Gly Phe Gly Asp Val Leu Val Gly Glu Val Ser Ser Val Asn Asp 180 185 190 Asp Asp His Asp Asn His Phe Leu Gln Pro Leu Asp Arg Tyr Asn Leu 195 200 205 Ile Asp Glu Asp Glu Pro Ala Gln Leu Val Leu Cys Asn Glu Tyr Arg 210 215 220 Gln Phe Arg 225 <210> 4 <211> 681 <212> DNA <213> Escherichia coli <400> 4 atgaaacgct ccgctataaa cgacattctc ggccatacac ggcaattctt ttcgcaacat 60 gacgtacatc tgccgccctt tgccagtttc tcgcctgctc aatggcagca gctcgacacc 120 gccgcgtggg aggaggtttt tgatcttaaa ctcggctggg atgttaccgc ttttggtcgc 180 aacaactttg cagcacacgg gctgacgctg tttaccctac gtaacggctc agcaaaagga 240 atgccgtatg tgaaatgtta cgccgagaag atcatgcatg tgcgcgatgc gcaggtcacg 300 ccaatgcatt ttcactggcg taagcgtgag gacattatca atcgcggcgg cggtaattta 360 attgttgaac tgtggaatgc cgatagtaac gagcaaacgg ctgatagtga cattacggtg 420 gtgatagacg gctgccgcca gaaacatact gcaggctctc agttgcgcct gtctcccggc 480 gaaagtatct gcctgccgcc cggcctgtat cacagctttt gggcagaagc cggttttggc 540 gatgtgctgg ttggcgaagt ctcttctgtt aatgacgacg accacgataa ccacttttta 600 cagccactgg accgctacaa cctgattgac gaagacgaac ctgcacagtt ggtattgtgt 660 aacgaatacc gccagttccg c 681 <210> 5 <211> 2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5 Met Lys Arg Ser Ala Ile Asn Asp Ile Leu Gly His Thr Arg Gln Phe 1 5 10 15 Phe Ser Gln His Asp Val His Leu Pro Pro Phe Ala Ser Phe Ser Pro 20 25 30 Ala Gln Trp Gln Gln Leu Asp Thr Ala Ala Trp Glu Glu Val Phe Asp 35 40 45 Leu Lys Leu Gly Trp Asp Val Met Ala Phe Gly Arg Asn Asn Phe Ala 50 55 60 Ala His Gly Leu Thr Leu Phe Thr Leu Arg Asn Gly Ser Ala Lys Gly 65 70 75 80 Met Pro Tyr Val Lys Cys Tyr Ala Glu Lys Ile Met His Val Arg Asp 85 90 95 Ala Gln Val Thr Pro Met His Phe His Trp Arg Lys Arg Glu Asp Ile 100 105 110 Ile Asn Arg Gly Gly Gly Asn Leu Ile Val Glu Leu Trp Asn Ala Asp 115 120 125 Ser Asn Glu Gln Thr Ala Asp Ser Asp Ile Thr Val Val Ile Asp Gly 130 135 140 Cys Arg Gln Lys His Thr Ala Gly Ser Gln Leu Arg Leu Ser Pro Gly 145 150 155 160 Glu Ser Ile Cys Leu Pro Pro Gly Leu Tyr His Ser Phe Trp Ala Glu 165 170 175 Ala Gly Phe Gly Asp Val Leu Val Gly Glu Val Ser Ser Val Asn Asp 180 185 190 Asp Asp His Asp Asn His Phe Leu Gln Pro Leu Asp Arg Tyr Asn Leu 195 200 205 Ile Asp Glu Asp Glu Pro Ala Gln Leu Val Leu Cys Asn Glu Tyr Arg 210 215 220 Gln Phe Arg 225 <210> 6 <211> 6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6 atgaaacgct ccgctataaa cgacattctc ggccatacac ggcaattctt ttcgcaacat 60 gacgtacatc tgccgccctt tgccagtttc tcgcctgctc aatggcagca gctcgacacc 120 gccgcgtggg aggaggtttt tgatcttaaa ctcggctggg atgttatggc ttttggtcgc 180 aacaactttg cagcacacgg gctgacgctg tttaccctac gtaacggctc agcaaaagga 240 atgccgtatg tgaaatgtta cgccgagaag atcatgcatg tgcgcgatgc gcaggtcacg 300 ccaatgcatt ttcactggcg taagcgtgag gacattatca atcgcggcgg cggtaattta 360 attgttgaac tgtggaatgc cgatagtaac gagcaaacgg ctgatagtga cattacggtg 420 gtgatagacg gctgccgcca gaaacatact gcaggctctc agttgcgcct gtctcccggc 480 gaaagtatct gcctgccgcc cggcctgtat cacagctttt gggcagaagc cggttttggc 540 gatgtgctgg ttggcgaagt ctcttctgtt aatgacgacg accacgataa ccacttttta 600 cagccactgg accgctacaa cctgattgac gaagacgaac ctgcacagtt ggtattgtgt 660 aacgaatacc gccagttccg c 681 <210> 7 <211> 2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7 Met Lys Arg Ser Ala Ile Asn Asp Ile Leu Gly His Thr Arg Gln Phe 1 5 10 15 Phe Ser Gln His Asp Val His Leu Pro Pro Phe Ala Ser Phe Ser Pro 20 25 30 Ala Gln Trp Gln Gln Leu Asp Thr Ala Ala Trp Glu Glu Val Phe Asp 35 40 45 Leu Lys Leu Gly Trp Asp Val Thr Ala Phe Gly Arg Asn Asn Phe Ala 50 55 60 Ala His Gly Leu Thr Leu Phe Thr Leu Arg Asn Gly Ser Ala Lys Gly 65 70 75 80 Met Pro Tyr Val Lys Cys Tyr Ala Glu Lys Ile Leu His Val Arg Asp 85 90 95 Ala Gln Val Thr Pro Met His Phe His Trp Arg Lys Arg Glu Asp Ile 100 105 110 Ile Asn Arg Gly Gly Gly Asn Leu Ile Val Glu Leu Trp Asn Ala Asp 115 120 125 Ser Asn Glu Gln Thr Ala Asp Ser Asp Ile Thr Val Val Ile Asp Gly 130 135 140 Cys Arg Gln Lys His Thr Ala Gly Ser Gln Leu Arg Leu Ser Pro Gly 145 150 155 160 Glu Ser Ile Cys Leu Pro Pro Gly Leu Tyr His Ser Phe Trp Ala Glu 165 170 175 Ala Gly Phe Gly Asp Val Leu Val Gly Glu Val Ser Ser Val Asn Asp 180 185 190 Asp Asp His Asp Asn His Phe Leu Gln Pro Leu Asp Arg Tyr Asn Leu 195 200 205 Ile Asp Glu Asp Glu Pro Ala Gln Leu Val Leu Cys Asn Glu Tyr Arg 210 215 220 Gln Phe Arg 225 <210> 8 <211> 6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8 atgaaacgct ccgctataaa cgacattctc ggccatacac ggcaattctt ttcgcaacat 60 gacgtacatc tgccgccctt tgccagtttc tcgcctgctc aatggcagca gctcgacacc 120 gccgcgtggg aggaggtttt tgatcttaaa ctcggctggg atgttaccgc ttttggtcgc 180 aacaactttg cagcacacgg gctgacgctg tttaccctac gtaacggctc agcaaaagga 240 atgccgtatg tgaaatgtta cgccgagaag atcctgcatg tgcgcgatgc gcaggtcacg 300 ccaatgcatt ttcactggcg taagcgtgag gacattatca atcgcggcgg cggtaattta 360 attgttgaac tgtggaatgc cgatagtaac gagcaaacgg ctgatagtga cattacggtg 420 gtgatagacg gctgccgcca gaaacatact gcaggctctc agttgcgcct gtctcccggc 480 gaaagtatct gcctgccgcc cggcctgtat cacagctttt gggcagaagc cggttttggc 540 gatgtgctgg ttggcgaagt ctcttctgtt aatgacgacg accacgataa ccacttttta 600 cagccactgg accgctacaa cctgattgac gaagacgaac ctgcacagtt ggtattgtgt 660 aacgaatacc gccagttccg c 681 <210> 9 <211> 2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9 Met Lys Arg Ser Ala Ile Asn Asp Ile Leu Gly His Thr Arg Gln Phe 1 5 10 15 Phe Ser Gln His Asp Val His Leu Pro Pro Phe Ala Ser Phe Ser Pro 20 25 30 Ala Gln Trp Gln Gln Leu Asp Thr Ala Ala Trp Glu Glu Val Phe Asp 35 40 45 Leu Lys Leu Gly Trp Asp Val Thr Ala Phe Gly Arg Asn Asn Phe Ala 50 55 60 Ala His Gly Leu Thr Leu Phe Thr Leu Arg Asn Gly Ser Ala Lys Gly 65 70 75 80 Met Pro Tyr Val Lys Cys Tyr Ala Glu Lys Ile Met His Val Arg Asp 85 90 95 Ala Gln Val Thr Pro Met His Phe His Trp Arg Lys Arg Glu Asp Cys 100 105 110 Ile Asn Arg Gly Gly Gly Asn Leu Ile Val Glu Leu Trp Asn Ala Asp 115 120 125 Ser Asn Glu Gln Thr Ala Asp Ser Asp Ile Thr Val Val Ile Asp Gly 130 135 140 Cys Arg Gln Lys His Thr Ala Gly Ser Gln Leu Arg Leu Ser Pro Gly 145 150 155 160 Glu Ser Ile Cys Leu Pro Pro Gly Leu Tyr His Ser Phe Trp Ala Glu 165 170 175 Ala Gly Phe Gly Asp Val Leu Val Gly Glu Val Ser Ser Val Asn Asp 180 185 190 Asp Asp His Asp Asn His Phe Leu Gln Pro Leu Asp Arg Tyr Asn Leu 195 200 205 Ile Asp Glu Asp Glu Pro Ala Gln Leu Val Leu Cys Asn Glu Tyr Arg 210 215 220 Gln Phe Arg 225 <210> 10 <211> 6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10 atgaaacgct ccgctataaa cgacattctc ggccatacac ggcaattctt ttcgcaacat 60 gacgtacatc tgccgccctt tgccagtttc tcgcctgctc aatggcagca gctcgacacc 120 gccgcgtggg aggaggtttt tgatcttaaa ctcggctggg atgttaccgc ttttggtcgc 180 aacaactttg cagcacacgg gctgacgctg tttaccctac gtaacggctc agcaaaagga 240 atgccgtatg tgaaatgtta cgccgagaag atcatgcatg tgcgcgatgc gcaggtcacg 300 ccaatgcatt ttcactggcg taagcgtgag gactgtatca atcgcggcgg cggtaattta 360 attgttgaac tgtggaatgc cgatagtaac gagcaaacgg ctgatagtga cattacggtg 420 gtgatagacg gctgccgcca gaaacatact gcaggctctc agttgcgcct gtctcccggc 480 gaaagtatct gcctgccgcc cggcctgtat cacagctttt gggcagaagc cggttttggc 540 gatgtgctgg ttggcgaagt ctcttctgtt aatgacgacg accacgataa ccacttttta 600 cagccactgg accgctacaa cctgattgac gaagacgaac ctgcacagtt ggtattgtgt 660 aacgaatacc gccagttccg c 681 <210> 11 <211> 2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11 Met Lys Arg Ser Ala Ile Asn Asp Ile Leu Gly His Thr Arg Gln Phe 1 5 10 15 Phe Ser Gln His Asp Val His Leu Pro Pro Phe Ala Ser Phe Ser Pro 20 25 30 Ala Gln Trp Gln Gln Leu Asp Thr Ala Ala Trp Glu Glu Val Phe Asp 35 40 45 Leu Lys Leu Gly Trp Asp Val Met Ala Phe Gly Arg Asn Asn Phe Ala 50 55 60 Ala His Gly Leu Thr Leu Phe Thr Leu Arg Asn Gly Ser Ala Lys Gly 65 70 75 80 Met Pro Tyr Val Lys Cys Tyr Ala Glu Lys Ile Met His Val Arg Asp 85 90 95 Ala Gln Val Thr Pro Met His Phe His Trp Arg Lys Arg Glu Asp Cys 100 105 110 Ile Asn Arg Gly Gly Gly Asn Leu Ile Val Glu Leu Trp Asn Ala Asp 115 120 125 Ser Asn Glu Gln Thr Ala Asp Ser Asp Ile Thr Val Val Ile Asp Gly 130 135 140 Cys Arg Gln Lys His Thr Ala Gly Ser Gln Leu Arg Leu Ser Pro Gly 145 150 155 160 Glu Ser Ile Cys Leu Pro Pro Gly Leu Tyr His Ser Phe Trp Ala Glu 165 170 175 Ala Gly Phe Gly Asp Val Leu Val Gly Glu Val Ser Ser Val Asn Asp 180 185 190 Asp Asp His Asp Asn His Phe Leu Gln Pro Leu Asp Arg Tyr Asn Leu 195 200 205 Ile Asp Glu Asp Glu Pro Ala Gln Leu Val Leu Cys Asn Glu Tyr Arg 210 215 220 Gln Phe Arg 225 <210> 12 <211> 6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12 atgaaacgct ccgctataaa cgacattctc ggccatacac ggcaattctt ttcgcaacat 60 gacgtacatc tgccgccctt tgccagtttc tcgcctgctc aatggcagca gctcgacacc 120 gccgcgtggg aggaggtttt tgatcttaaa ctcggctggg atgttatggc ttttggtcgc 180 aacaactttg cagcacacgg gctgacgctg tttaccctac gtaacggctc agcaaaagga 240 atgccgtatg tgaaatgtta cgccgagaag atcatgcatg tgcgcgatgc gcaggtcacg 300 ccaatgcatt ttcactggcg taagcgtgag gactgtatca atcgcggcgg cggtaattta 360 attgttgaac tgtggaatgc cgatagtaac gagcaaacgg ctgatagtga cattacggtg 420 gtgatagacg gctgccgcca gaaacatact gcaggctctc agttgcgcct gtctcccggc 480 gaaagtatct gcctgccgcc cggcctgtat cacagctttt gggcagaagc cggttttggc 540 gatgtgctgg ttggcgaagt ctcttctgtt aatgacgacg accacgataa ccacttttta 600 cagccactgg accgctacaa cctgattgac gaagacgaac ctgcacagtt ggtattgtgt 660 aacgaatacc gccagttccg c 681 <210> 13 <211> 2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13 Met Lys Arg Ser Ala Ile Asn Asp Ile Leu Gly His Thr Arg Gln Phe 1 5 10 15 Phe Ser Gln His Asp Val His Leu Pro Pro Phe Ala Ser Phe Ser Pro 20 25 30 Ala Gln Trp Gln Gln Leu Asp Thr Ala Ala Trp Glu Glu Val Phe Asp 35 40 45 Leu Lys Leu Gly Trp Asp Val Met Ala Phe Gly Arg Asn Asn Phe Ala 50 55 60 Ala His Gly Leu Thr Leu Phe Thr Leu Arg Asn Gly Ser Ala Lys Gly 65 70 75 80 Met Pro Tyr Val Lys Cys Tyr Ala Glu Lys Ile Leu His Val Arg Asp 85 90 95 Ala Gln Val Thr Pro Met His Phe His Trp Arg Lys Arg Glu Asp Cys 100 105 110 Ile Asn Arg Gly Gly Gly Asn Leu Ile Val Glu Leu Trp Asn Ala Asp 115 120 125 Ser Asn Glu Gln Thr Ala Asp Ser Asp Ile Thr Val Val Ile Asp Gly 130 135 140 Cys Arg Gln Lys His Thr Ala Gly Ser Gln Leu Arg Leu Ser Pro Gly 145 150 155 160 Glu Ser Ile Cys Leu Pro Pro Gly Leu Tyr His Ser Phe Trp Ala Glu 165 170 175 Ala Gly Phe Gly Asp Val Leu Val Gly Glu Val Ser Ser Val Asn Asp 180 185 190 Asp Asp His Asp Asn His Phe Leu Gln Pro Leu Asp Arg Tyr Asn Leu 195 200 205 Ile Asp Glu Asp Glu Pro Ala Gln Leu Val Leu Cys Asn Glu Tyr Arg 210 215 220 Gln Phe Arg 225 <210> 14 <211> 6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tant <400> 14 atgaaacgct ccgctataaa cgacattctc ggccatacac ggcaattctt ttcgcaacat 60 gacgtacatc tgccgccctt tgccagtttc tcgcctgctc aatggcagca gctcgacacc 120 gccgcgtggg aggaggtttt tgatcttaaa ctcggctggg atgttatggc ttttggtcgc 180 aacaactttg cagcacacgg gctgacgctg tttaccctac gtaacggctc agcaaaagga 240 atgccgtatg tgaaatgtta cgccgagaag atcctgcatg tgcgcgatgc gcaggtcacg 300 ccaatgcatt ttcactggcg taagcgtgag gactgtatca atcgcggcgg cggtaattta 360 attgttgaac tgtggaatgc cgatagtaac gagcaaacgg ctgatagtga cattacggtg 420 gtgatagacg gctgccgcca gaaacatact gcaggctctc agttgcgcct gtctcccggc 480 gaaagtatct gcctgccgcc cggcctgtat cacagctttt gggcagaagc cggttttggc 540 gatgtgctgg ttggcgaagt ctcttctgtt aatgacgacg accacgataa ccacttttta 600 cagccactgg accgctacaa cctgattgac gaagacgaac ctgcacagtt ggtattgtgt 660 aacgaatacc gccagttccg c 681

Claims (9)

  1. 서열번호 3의 당 이성질화 효소의 56번째 아미노산, 92번째 아미노산 및 112번째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된 돌연변이체: 여기서 상기 돌연변이체는 56번째 아미노산인 트리오닌은 메티오닌으로 치환되고, 92번째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은 류신으로 치환되며, 112번째 아미노산인 아이소류신은 시스테인으로 치환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대장균 O157:H7(Escherichia coli O157 : H7) 유래 당 이성질화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연변이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연변이 효소는 서열번호 5, 7, 9, 11 또는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연변이체.
  4. 제 1항의 돌연변이체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6, 8, 10, 12 또는 14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6. 제 4항 또는 제 5항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벡터.
  7. 제 6항의 재조합벡터를 미생물에 형질전환시켜서 형질전환체를 제조하여 제1항의 효소를 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돌연변이체 효소의 제조방법.
  8. 제 1항의 돌연변이체를 이용하여 L-소르보스부터 L-굴로스 생산성을 향상하는 방법.
  9. 제 1항의 돌연변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L-굴로스 생산용 조성물.


KR1020140071473A 2014-06-12 2014-06-12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KR10161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473A KR101617526B1 (ko) 2014-06-12 2014-06-12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PCT/KR2014/005218 WO2015190633A1 (ko) 2014-06-12 2014-06-13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US15/318,172 US10253341B2 (en) 2014-06-12 2014-06-13 Mutant sugar isomerase with improved activity, derived from E. coli, and production of L-gulos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473A KR101617526B1 (ko) 2014-06-12 2014-06-12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897A true KR20150142897A (ko) 2015-12-23
KR101617526B1 KR101617526B1 (ko) 2016-05-11

Family

ID=5483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473A KR101617526B1 (ko) 2014-06-12 2014-06-12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3341B2 (ko)
KR (1) KR101617526B1 (ko)
WO (1) WO20151906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83A (ko) 2021-11-25 2023-06-01 광동제약 주식회사 식물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인삼 및 인삼 클론 대량생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2596B2 (ja) 1996-05-16 2007-11-21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L−リボースイソメラーゼ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WO2008020659A1 (en) * 2006-08-17 2008-02-21 Yu-Ryang Pyun Thermophilic l-ribose isomerase and use thereof
EP2103625B1 (en) 2006-11-20 2014-05-07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Thermostable l-ribose isomeras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WO2009015268A2 (en) 2007-07-24 2009-01-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Engineered glycosyltransferases with expanded substrate specificity
WO2013003219A1 (en) * 2011-06-30 2013-01-03 Codexis, Inc. Pentose fermentation by a recombinant microorg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83A (ko) 2021-11-25 2023-06-01 광동제약 주식회사 식물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인삼 및 인삼 클론 대량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53341B2 (en) 2019-04-09
KR101617526B1 (ko) 2016-05-11
US20170191098A1 (en) 2017-07-06
WO2015190633A1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53178B (zh) 热稳定性和活性增强的烟酰胺核糖激酶突变体及其编码基因和应用
CN111254129B (zh) 一种多聚磷酸激酶突变体及其应用
CN107858340B (zh) 高催化活性的d-果糖-6-磷酸醛缩酶a突变体、重组表达载体、基因工程菌及其应用
CN113774036B (zh) 一种亚胺还原酶突变体及其应用
CN113025592B (zh) 一种高性能多聚磷酸激酶突变体及其应用
KR102069301B1 (ko) 과당으로부터 알로오스를 생산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알로오스 생산방법
JP6870102B2 (ja) プロリン水酸化酵素及びその応用
KR101617526B1 (ko) 활성이 개선된 대장균 유래의 돌연변이 당 이성질화 효소 및 그를 이용한 l-굴로스의 생산
KR100914525B1 (ko) 신규 n―아세틸글루코사민―2―에피머라아제 및 이를 이용한 cmp―n―아세틸뉴라민산의 제조방법
CN106834244B (zh) 脯氨酸羟化酶及其应用
CN114277020B (zh) 一种腈水解酶突变体、工程菌及其应用
CN115896081A (zh) 天冬氨酸酶突变体及其应用
CN105154457B (zh) 一种来源于丁香假单胞菌的山梨醇脱氢酶基因及其应用
KR101617527B1 (ko) 활성이 개선된 엔테로박터 에어로게네스균 유래의 돌연변이 리비톨 탈수소효소 및 그 용도
KR20200045978A (ko) 신규 알코올 탈수소효소와 그 돌연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알데히드 화합물의 생산 방법
KR101411920B1 (ko) 신규 리비톨 탈수소화효소 및 이를 이용한 l-리불로스의 생산방법
KR101778878B1 (ko) 박테로이데스 속 미생물 유래의 gaba 생성 고활성 글루탐산탈탄산효소 및 이의 용도
KR101613013B1 (ko) 활성화 에너지 기반의 신규 효소 스크리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활성이 개선된 다중돌연변이 l-아라비톨 탈수소효소
KR101479136B1 (ko) 활성이 개선된 네우로스포라 크라사 유래의 신규한 돌연변이 l-아라비톨 탈수소효소
KR101479135B1 (ko) 아스페르기루스 플라버스 유래 솔비톨 탈수소화효소와 nadh 산화효소와의 커플링에 의한 l-자일룰로스의 생산
CN116926033A (zh) 一类提高β-烟酰胺单核苷酸产量的突变体,其编码基因、氨基酸序列及其应用
CN112055751A (zh) 修饰型酯酶和其用途
KR101223664B1 (ko) 나이트릴레이즈 rmn1을 이용한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101223663B1 (ko) 나이트릴레이즈 vmn1을 이용한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101223666B1 (ko) 나이트릴레이즈 orn을 이용한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