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35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353A
KR20150140353A KR1020157031921A KR20157031921A KR20150140353A KR 20150140353 A KR20150140353 A KR 20150140353A KR 1020157031921 A KR1020157031921 A KR 1020157031921A KR 20157031921 A KR20157031921 A KR 20157031921A KR 20150140353 A KR20150140353 A KR 20150140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etecting member
wall portion
peripheral wall
loc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873B1 (ko
Inventor
나오타카 다니카와
아키라 나카시마
노리히토 하시모토
시게토 카타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커넥터는, 단자 수용부(11)를 둘레벽부(17)로 포위한 형태의 제1 하우징(10)과, 제1 하우징(10)과 감합(嵌合) 가능한 제2 하우징(60)과, 단자 수용부(11)와 둘레벽부(17) 사이의 공간 내에서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40)와, 둘레벽부(17)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를 절결한 형태이며, 검지 부재(40)를 외주측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2)와, 둘레벽부(17)와 검지 부재(40)에 형성되며, 서로 감합됨으로써, 검지 부재(40)의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둘레벽부(17)가 개구부(22)의 개구폭을 변화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을 규제하는 변형 규제부(23, 5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수형측 하우징과 암형측 하우징의 감합(嵌合) 작업을 끝냈을 때에, 암형측 하우징에 설치한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양 하우징의 감합 상태를 검지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303782호 공보
암형측 하우징은, 단자 수용부와, 단자 수용부를 포위하는 둘레벽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검지 부재는, 단자 수용부의 외면과 둘레벽부의 내면 사이의 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단자 수용부와 검지 부재와 둘레벽부가 배열되는 방향에 관하여, 암형측 하우징의 치수가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며, 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자 수용부를 둘레벽부로 포위한 형태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감합(嵌合) 가능한 제2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둘레벽부 사이의 공간 내에서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와,
상기 둘레벽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를 절결한 형태이며, 상기 검지 부재를 외주측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검지 부재에 형성되며, 서로 감합됨으로써, 상기 검지 부재의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둘레벽부가 상기 개구부의 개구폭을 변화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을 규제하는 변형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둘레벽부의 개구부는 검지 부재를 외주측으로 노출시키도록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검지 부재의 외주측에는 둘레벽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지 부재의 외주측에 둘레벽부가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면, 제1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둘레벽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둘레벽부가 개구부의 개구폭을 변화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이 염려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둘레벽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의 변형 규제부와, 검지 부재에 형성한 변형 규제부를 감합시킴으로써, 둘레벽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하우징에 검지 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감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어,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감합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의 A-A선의 높이에서 절단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어,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 변위한 상태에 있어서, 도 1의 A-A선의 높이에서 절단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9는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 있어서, 도 2의 B-B선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감합이 도 13의 상태로부터 더욱 진행된 상태에 있어서, 도 2의 B-B선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감합이 도 14의 상태로부터 더욱 진행된 상태에 있어서, 도 2의 B-B선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과 동일한 상태에 있어서, 도 1의 D-D선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3 및 도 16과 동일한 상태에 있어서, 도 1의 D-D선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고, 검지 부재를 초기 위치로 변위시켜 로크 아암을 로크 해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도 2의 B-B선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둘레벽부측의 상기 변형 규제부를 구성하며,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리브와,
상기 검지 부재측의 상기 변형 규제부를 구성하며, 상기 리브를 대략 둘레 방향으로 사이에 끼고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상기 리브를 대략 직경 방향으로 사이에 낀 형태의 홈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가 둘레 방향으로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검지 부재가 둘레벽부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는 것도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둘레벽부 사이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감합 상태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 아암이 배치되고,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로크 아암이 배열되는 방향에 관하여, 상기 검지 부재와 상기 로크 아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형태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 수용부와 로크 아암이 배열되는 방향에 관하여, 검지 부재와 로크 아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기 때문에, 제1 하우징을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합성 수지제의 제1 하우징(10)과, 제1 하우징(10)에 부착한 합성 수지제의 검지 부재(40)와, 제1 하우징(10)에 부착한 금속제의 스프링 부재(56)와, 합성 수지제의 제2 하우징(6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10)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은, 단자 수용부(11)와, 단자 수용부(11)를 포위하는 둘레벽부(17)로 이루어진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1)는, 하우징 본체(12)와, 하우징 본체(12)의 전단부에 조립한 프론트 부재(13)로 구성된다. 단자 수용부(11)에는, 좌우 한 쌍의 암형 단자 피팅(14)이 수용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1)[하우징 본체(12)]의 상면(15)에는, 폭 방향 중앙부를 단차 형상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제1 스토퍼(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토퍼(16)는, 후술하는 검지 부재(40)가 스프링 부재(56)에 의해 검지 위치측으로 압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검지 부재(4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둘레벽부(17)>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벽부(17)는, 단자 수용부(11)의 하면과 대향하는 하벽부(18)와, 단자 수용부(11)의 측면과 대향하는 좌우 한 쌍의 측벽부(19)와, 양 측벽부(19)의 상단 가장자리[하벽부(18)와는 반대측 단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돌출부(20)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1)의 외주면과 둘레벽부(17)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은, 제2 하우징(60)의 후드부(62)를 감입(嵌入)시키기 위한 감합 공간(21)으로 되어 있다. 감합 공간(21)은, 제1 하우징(10)의 전방(정면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둘레벽부(17)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상면부)가 절결된 형태이며, 이 절결된 부분은, 감합 공간(21) 및 검지 부재(40)를 둘레벽부(17)의 외주측(상방)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2)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양 하우징(10, 60)의 감합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22)의 형성 범위는, 둘레벽부(17)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는 전체 영역이며, 개구부(22)는 제1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벽부(17)의 전단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단자 수용부(11)의 전단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둘레벽부(17)의 후단은, 단자 수용부(1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 있어서, 단자 수용부(11)의 외주에 연속해 있다. 즉, 둘레벽부(17)는, 전방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벽부(17)에는, 좌우 대칭의 한 쌍의 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23)는, 돌출부(20)의 연장단 가장자리, 즉, 개구부(22)의 개구 영역에서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리브(23)는, 둘레벽부(17)의 외주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이 리브(23)는, 둘레벽부(17)가 개구부(22)의 개구폭을 변화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과, 검지 부재(40)를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벽부(17)에는, 돌출부(20)의 전단 가장자리(정면측의 단가장자리)로부터 내주측[감합 공간(21)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덮개부(24)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24)는, 좌우 대칭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덮개부(24)의 형성 영역은, 측벽부(19)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부(20)의 전체 영역에 걸친 범위이다. 제1 하우징(10)의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즉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방향과 평행하게 투영한 가상 투영면(도시 생략) 상에 있어서, 덮개부(24)는, 검지 부재(40)의 전면벽(前面壁; 50)과 대응하는 형상·배치로 되어 있다.
<로크 아암(25)>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1)를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12)에는, 로크 아암(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25)은, 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으로부터 돌출된 좌우 한 쌍의 다리부(26)와, 다리부(26)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단자 수용부(11)의 외면을 따르도록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된 대략 평판형의 아암부(27)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로크 아암(25)은, 감합 공간(21) 내에서, 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과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25)은, 다리부(26)를 지지점으로 해서, 시소형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크 아암(25)의 전단부[제1 하우징(10)의 정면측의 단부]에는, 하방[단자 수용부(11)]을 향해 돌출되는 로크 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돌기(28)의 폭 방향[로크 아암(25)의 탄성 변위 방향 및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방향의 양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는, 로크 아암(25)의 중앙부만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5)의 전단부에는, 로크 돌기(2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폭 방향 양단부를 절결한 형태의 좌우 한 쌍의 절결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아암(25)의 전단부 중 양 절결부(29) 사이에 있어서 로크 돌기(28)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협폭부(30)로 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5)의 후단부에는, 단자 수용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로크 돌기(28)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로크 해제 조작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과 로크 아암(25)이 대향하는 방향(이하, 「높이 방향」이라고 함)에 있어서, 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을 기준으로 하는 로크 해제 조작부(31)의 외면(31S)의 높이는, 아암부(27)의 외면보다 높다. 즉, 로크 해제 조작부(31)의 외면(31S)은, 로크 아암(25) 중 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로크 해제 조작부(31)의 외면(31S)은, 둘레벽부(17)의 리브(23)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아암부(27)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검지 부재(40)가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검지 위치에 도달한 검지 부재(40)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2 스토퍼(3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을 기준으로 하는 제2 스토퍼(32)의 외면(상면)의 위치는, 로크 해제 조작부(31)의 외면(31S)보다 낮으나, 리브(23)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높은 위치이다. 제2 스토퍼(3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는, 로크 아암(25)의 중앙부만이며, 제2 스토퍼(32)의 폭 치수는, 협폭부(30)의 폭 치수보다 작다.
<검지 부재(40)>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부재(40)는, 검지 부재(40)의 외면(40S)을 구성하는 프레임부(41)와, 연결부(54)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부(41)는, 길이 방향을 폭 방향으로 향하게 한 프론트 프레임(42)과, 프론트 프레임(42)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대칭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3)으로 이루어진다. 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42) 및 사이드 프레임(43)의 상면은, 검지 부재(40)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외면(40S)으로 되어 있다. 이 외면(40S)의 높이는, 로크 아암(25)의 외면(31S)과 거의 동일한 높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42)은, 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과 대략 평행한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룬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42)의 전단 가장자리는, 검지 부재(40)의 가장 전단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거의 똑바르게 연장되어 있다. 프론트 프레임(42)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폭 방향 중앙부에서 작고,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에서 커지고 있다. 그리고, 프론트 프레임(42)의 폭 방향 양단측 부분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한 쌍의 보강부(44)로 되어 있다. 이 보강부(44)는, 사이드 프레임(43)의 전단부에 연속해 있으며, 프론트 프레임(42)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한 쌍의 보강부(4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영역은, 로크 아암(25)의 절결부(29)와 대응하는 영역, 즉 협폭부(30)와 비대응의 범위이다.
도 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42) 중 한 쌍의 보강부(44) 사이에 끼인 중앙 부분은, 검지 부재(40)가 스프링 부재(56)의 압박에 의해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측으로 눌려 움직여졌을 때에, 제2 스토퍼(32)에 접촉함으로써 검지 부재(40)를 검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42)의 전폭 영역은, 로크 위치의 로크 아암(25)이 로크 해제 위치로 탄성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로크 해제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9, 도 10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43)은, 좌우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45)를 구비한다. 스프링 수용부(45)는, 축선을 전후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후단이 후면벽(47)에 의해 부분적으로 막힌 원통부(46)와, 원통부(46)의 전단에 동일면 형상으로 연속해 있는 원호형부(48)로 구성된다. 원호형부(48)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영역은, 원통부(46)를 상하 좌우의 4개의 사분원호 영역으로 가상적으로 분할했을 때에, 상부의 사분원호 영역과, 2개의 측부 중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의 사분원호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이다.
도 9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46)와 원호형부(48)로 포위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공간은, 스프링 수용 공간(49)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 공간(49) 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56)가 동축 형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원호형부(48)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전면벽(50)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벽(50)의 전면(前面)은, 프론트 프레임(42)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한다. 전면벽(50)은, 스프링 수용 공간(49)의 전단의 개구 영역을 부분적으로 덮어 가린다. 스프링 부재(56)는, 후면벽(47)과 전면벽(50) 사이에서 끼임으로써, 스프링 수용 공간(49)으로부터의 이탈이 규제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56)의 전단부 중, 전면벽(50)과 비대응의 영역은, 전방(정면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43)은, 스프링 수용부(45)에 일체 형성된 수직벽부(51)를 갖는다. 수직벽부(51)는, 스프링 수용부(45)의 상면에 있어서의 내측의 측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한 형태이며, 전후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직벽부(51)의 상단 가장자리는, 프론트 프레임(42)의 좌우 양단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연속해 있다. 사이드 프레임(43)은, 수직벽부(51)에 일체 형성된 차양부(52)를 갖는다. 차양부(52)는, 수직벽부(5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스프링 수용부(45)에 접근하도록 비스듬히 하방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차양부(52)도, 수직벽부(51)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직벽부(51)의 상단 가장자리와 차양부(52)의 상단면은, 프론트 프레임(42)의 상면과 마찬가지로, 검지 부재(40)의 외면(40S)을 구성한다.
사이드 프레임(43)은, 좌우 한 쌍의 홈부(53)를 갖는다. 홈부(53)는, 스프링 수용부(45)의 상면과, 수직벽부(51)와, 차양부(52)로 둘러싸인 형태이며, 전단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홈부(53)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으로도 개방되어 있다. 홈부(53)는, 리브(23)와 협동함으로써, 둘레벽부(17)가 개구부(22)의 개구폭을 변화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과, 검지 부재(40)를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4)는, 사이드 프레임(43)의 후단에 있어서의 하단부끼리[원통부(46)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검지 부재(40)는, 이 연결부(54)와 프레임부(41)에 의해, 평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54)에는, 전방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의 휨 걸림편(55)이 형성되어 있다. 휨 걸림편(55)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단자 수용부(11)의 상면(15)에 대해 접근·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검지 부재(40)는, 제1 하우징(10)에 대해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초기 위치는, 검지 부재(40)의 변위 범위에 있어서의 전단에 설정되고, 검지 위치는, 검지 부재(40)의 변위 범위에 있어서의 후단에 설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부재(40)는, 제1 하우징(10)의 후방으로부터 홈부(53)를 리브(23)에 감합시키도록 하여 조립된다. 리브(23)와 홈부(53)의 감합에 의해, 검지 부재(40)는,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된다.
검지 부재(40)가 제1 하우징(10)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스프링 수용부(45)의 적어도 전단측 영역이 감합 공간(21) 내에 위치하고, 수직벽부(51)가 개구부(22)를 관통하며, 프론트 프레임(42) 전체와 차양부(52) 전체가 둘레벽부(17)보다 외주측[감합 공간(21)의 외부]에 위치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 사이드 프레임(43)의 내측의 가장자리부는, 로크 아암(25)[아암부(27)]의 좌우 양 외측 가장자리보다 약간 폭 방향 외방에 위치한다.
또한, 도 12,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5)이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높이 방향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25) 전체가 검지 부재(4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높이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위치한다. 연결부(54)의 전단부와 휨 걸림편(55) 전체는, 로크 아암(25)의 하방[로크 아암(25)과 단자 수용부(11) 사이]에 위치한다. 프론트 프레임(42)은, 로크 아암(25)의 아암부(27)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검지 부재(4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43)의 스프링 수용부(45)의 전단면(45F)이 둘레벽부(17)의 덮개부(24)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접촉하고, 휨 걸림편(55)의 전단부가 제1 스토퍼(16)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걸린다. 이 덮개부(24)에의 접촉과 제1 스토퍼(16)에의 걸림에 의해, 검지 부재(40)는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스프링 수용부(45)의 전단면(45F)은, 수직벽부(51)와 프론트 프레임(42)의 최전단면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휨 걸림편(55)이 제1 스토퍼(16)로부터 떨어지고, 프론트 프레임(42)이 제2 스토퍼(32)에 대해 전방(초기 위치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 접촉 작용에 의해, 검지 부재(40)는, 검지 위치보다 후방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검지 부재(4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42)이 로크 아암(25)의 전단 가장자리의 전방에 위치한다. 즉, 프론트 프레임(42)의 후측 가장자리 중 보강부(4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앙부의 후측 가장자리가 로크 아암(25)의 협폭부(30)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5)은, 로크 돌기(28)가 형성되어 있는 전단측 영역을 상방으로 변위시켜 프레임부(41)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진출시키는 로크 해제 위치로 탄성 변위할 수 있다.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42)이 로크 아암(25)의 전단 가장자리의 상방에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로크 아암(25)이 로크 해제 위치로 탄성 변위하려고 해도, 프론트 프레임(42)에 접촉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25)은, 로크 해제 위치로의 탄성 변위가 규제되어, 로크 위치에 유지된다.
<제2 하우징(60)>
도 2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60)은, 단자 유지부(61)와, 단자 유지부(61)로부터 정면측을 향해 각통(角筒) 형상으로 연장되는 후드부(62)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드부(62)를 구성하는 상면벽(63)에는, 그 외면(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로크용 수용부(64)가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62)의 상면벽(63)에는, 로크용 수용부(64)를 폭 방향으로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 쌍의 압박부(6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양 하우징(10, 60)을 감합할 때에는, 후드부(62)가 감합 공간(21) 내에 감입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
양 하우징(10, 60)을 감합할 때에는, 미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부재(4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해 둔다. 그리고, 후드부(62)를 감합 공간(21)에 진입시킴으로써, 양 하우징(10, 60)의 감합이 개시된다. 감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5)의 전단부[협폭부(30)]에 로크용 수용부(64)가 부딪친다. 이 로크용 수용부(64)의 압박 작용에 의해, 로크 아암(25) 중 다리부(26)보다 전방의 영역이 상방(로크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게 되어 프레임부(41)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진출하고, 로크 돌기(28)가 로크용 수용부(64)에 올라앉게 된다.
양 하우징(10, 60)의 감합이 개시되고 나서 도 13의 상태까지 감합이 진행되는 동안,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56)가 후드부(62)의 압박부(65)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눌려 후면벽(47)과의 사이에서 탄성 수축 변형하게 된다. 이 스프링 부재(56)의 탄성 변형에 의해, 검지 부재(40)에는,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압박력이 부여된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휨 걸림편(55)은 제1 스토퍼(16)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검지 부재(40)는, 검지 위치측으로 압박된 채로, 초기 위치에 머물고 있다.
도 13의 상태로부터 감합이 약간 진행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돌기(28)가 로크용 수용부(64)를 통과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25)은 탄성 복귀하여, 로크 돌기(28)가 로크용 수용부(64)에 걸린다. 이 걸림 작용에 의해, 양 하우징(10, 60)이 이탈 규제 상태로 로크되지만, 걸린 시점에서는, 제1 하우징(10)의 전단면과 제2 하우징(60)의 단자 유지부(61)의 전단면[후드부(62)의 안쪽 단부면] 사이에, 한층 더 감합 동작을 계속할 수 있게 하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상태에서는, 후드부(62)의 상면벽(63)의 선단 가장자리가 휨 걸림편(55)의 전단에 접촉함으로써, 휨 걸림편(55)이 약간 상방으로 탄성 변위하여, 휨 걸림편(55)과 제1 스토퍼(16)의 걸림 여유(margin)가 감소한다.
그리고, 도 14의 상태로부터 감합이 진행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60)이 부딪쳐 감합 동작이 정지된다. 이 동안에, 휨 걸림편(55)이 후드부(62)의 상면벽(63)에 의해 더욱 상방으로 변위하게 되기 때문에, 휨 걸림편(55)이 제1 스토퍼(16)로부터 완전히 떨어진다. 그러면, 검지 부재(40)가 스프링 부재(56)의 압박에 의해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단숨에 이동하고, 도 16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프레임(42)이 제2 스토퍼(32)에 접촉하여,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에서 정지한다.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로 변위한 것은, 육안 확인 및, 프론트 프레임(42)과 제2 스토퍼(32)의 충돌음에 의해 알 수 있다.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로 변위하면, 양 하우징(10, 60)의 감합이 완료된다. 만약에 양 하우징(10, 60)의 감합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감합 작업을 중단한 경우에는,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초기 위치에 머문 채로 있다. 따라서, 검지 부재(40)가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이동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작업자는, 양 하우징(10, 60)이 정규 감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 하우징(10, 60)의 감합을 개시하고 나서 감합 완료에 이르는 과정에서, 먼저, 양 하우징(10, 60)이 로크 아암(25)에 의해 정규 감합 상태로 로크되고, 그 후에, 검지 부재(40)의 검지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감합 작업을 반감합(半嵌合) 상태에서 중단한 경우에는, 검지 부재(40)가 초기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검지 부재(40)를 검지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감합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양 하우징(10, 60)이 정규 감합되어 로크 아암(25)에 의해 이탈 규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로크 아암(25)의 전단부는, 검지 부재(40)의 프론트 프레임(42)에 의해 로크 해제 방향[로크용 수용부(64)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탄성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해제 조작부(31)를 눌러 조작하거나, 로크 해제 조작부(31)에 대해 다른 부재가 간섭하여 압박력을 부여해도, 로크 돌기(28)가 로크용 수용부(64)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어, 로크 아암(25)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감합 상태로 로크되어 있는 양 하우징(10, 60)을 이탈시킬 때에는, 로크 아암(25)을 로크 해제 조작하기 전에, 먼저, 검지 위치에 있는 검지 부재(40)를 스프링 부재(56)의 압박에 대항하면서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로크 아암(25)의 전단부가 프론트 프레임(42)에 의한 변위 규제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로크 아암(25)은 로크 해제 방향으로의 탄성 변위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검지 부재(40)를 눌러 초기 위치에 잡아 둔 상태인 채로, 로크 해제 조작부(31)를 하방으로 눌러 조작하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25)이 시소형으로 탄성 변위하여, 로크 돌기(28)가 로크용 수용부(64)로부터 분리되어, 로크 아암(25)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다. 이후에는, 로크 아암(25)을 로크 해제 위치로 변위시킨 상태인 채로, 양 하우징(10, 60)을 분리시키면 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단자 수용부(11)를 둘레벽부(17)로 포위한 형태의 제1 하우징(10)과, 제1 하우징(10)과 감합 가능한 제2 하우징(60)과, 단자 수용부(11)와 둘레벽부(17) 사이의 감합 공간(21) 내에서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둘레벽부(17)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를 절결한 형태이며 검지 부재(40)를 외주측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2)와, 둘레벽부(17)와 검지 부재(40)에 형성되며, 서로 감합됨으로써, 검지 부재(40)의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둘레벽부(17)가 개구부(22)의 개구폭을 변화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을 규제하는 변형 규제부[리브(23)와 홈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둘레벽부(17)의 개구부(22)는 검지 부재(40)를 외주측으로 노출시키도록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검지 부재(40)의 외주측에는 둘레벽부(17)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지 부재의 외주측에 둘레벽부가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면,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제1 하우징(1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둘레벽부(17)에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면, 둘레벽부(17)가 개구부(22)의 개구폭을 변화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이 염려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둘레벽부(17)에 있어서의 개구부(22)의 개구 가장자리의 리브(23)와, 검지 부재(40)에 형성한 홈부(53)를 감합시킴으로써, 둘레벽부(17)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둘레벽부(17)의 변형 규제부인 리브(23)는, 개구부(22)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검지 부재(40)측의 변형 규제부인 홈부(53)는, 리브(23)를 대략 둘레 방향으로 사이에 끼고 개구부(22)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리브(23)를 대략 직경 방향으로 사이에 낀 형태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구부(22)가 둘레 방향으로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검지 부재(40)가 둘레벽부(17)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는 것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수용부(11)와 둘레벽부(17) 사이의 감합 공간(21) 내에는, 양 하우징(10, 60)을 감합 상태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 아암(25)이 배치되고, 단자 수용부(11)와 로크 아암(25)이 배열되는 상하 방향(높이 방향)에 관하여, 검지 부재(40)와 로크 아암(2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단자 수용부(11)와 로크 아암(25)이 배열되는 방향에 관하여, 검지 부재(40)와 로크 아암(2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짐으로써, 제1 하우징(10)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로크 아암(25)과 검지 부재(40)는, 제1 하우징(10)의 상면(15)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검지 부재(40)는, 검지 부재(40)의 외면(40S)을 구성하며, 로크 아암(25)을 둘러싸고 로크 아암(25)의 외면(31S)을 노출시키는 형태의 프레임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41)는, 제1 하우징(10)의 상면(15)과 로크 아암(25)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높이 방향)에 있어서, 로크 아암(25)의 외면(31S)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하우징(10)의 상면(15)과 로크 아암(25)이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과정에서, 제2 하우징(60)의 압박부(65)에 의해 눌림으로써 검지 부재(40)를 검지 위치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56)와,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과정에서는 검지 부재(40)를 스프링 부재(56)의 압박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에 유지하고, 양 하우징(10, 60)이 감합되면 검지 부재(40)의 유지를 해제하는 제1 스토퍼(16)와, 프레임부(41)를 구성하며, 검지 부재(40)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프론트 프레임(42)과, 제1 스토퍼(16)의 유지로부터 해방된 검지 부재(40)가 스프링 부재(56)의 압박에 의해 검지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프론트 프레임(42)을 접촉시킴으로써 검지 부재(40)를 검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제2 스토퍼(32)를 구비한다. 이 프론트 프레임(42)에는, 제1 하우징(10)의 상면(15)과 로크 아암(25)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으로 덧대진 형태의 보강부(4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론트 프레임(42) 전체로서의 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제1 하우징(10)의 상면(15)과 로크 아암(25)이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42)의 두께를 얇게 하여, 한층 더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지 부재(40)에는,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아암(25)의 로크 해제 방향으로의 탄성 변위를 규제하고, 또한 검지 부재(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로크 아암(25)의 로크 해제 방향으로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는 로크 해제 규제부로서의 프론트 프레임(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아암(25)에는, 검지 부재(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노출 상태가 되어, 직접적인 수작업에 의한 로크 해제 조작이 가능해지는 로크 해제 조작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감합 상태의 양 하우징(10, 60)을 이탈시킬 때에는, 먼저, 검지 위치에 있는 검지 부재(40)를 스프링 부재(56)의 압박에 대항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후, 로크 해제 조작부(31)를 직접적인 수작업에 의해 로크 해제 조작하여, 로크 아암(25)을 로크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위시키며, 이 상태에서, 양 하우징(10, 60)을 분리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로크 아암(25)에 의한 로크를 해제할 때에, 검지 부재(40)를 검지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과, 검지 부재(40)로부터 손을 떼어 로크 해제 조작부(31)를 조작하는 작업을 따로따로 행하는 조작, 즉 투 액션(two action)의 조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검지 부재(40)나 로크 해제 조작부(31)에 대해 한 방향으로 압박한 것만으로는, 로크는 해제되지 않아, 양 하우징(10, 60)을 로크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해 둘 수 있다.
또한,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전에는, 검지 부재(40)가 감합 공간(21) 내에서의 정면측 개구 영역에 가까운 초기 위치에 배치되고, 양 하우징(10, 60)이 정규 감합되면, 검지 부재(40)는 감합 공간(21) 내에서의 안쪽의 검지 위치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감합 공간(21)의 정면측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덮개부(24)가 검지 부재(40)를 정면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과정에서, 후드부(62)가 감합 공간(21) 내의 검지 부재(40)를 향해 나아가도, 후드부(62)는, 검지 부재(40)에 도달하기 전에 덮개부(24)에 접촉하기 때문에, 양 하우징(10, 60)이 미감합(未嵌合)이나 반감합인 동안에, 검지 부재(40)가 후드부(62)에 의해 검지 위치로 압입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검지 부재(40)가 후드부(62)에 의해 눌리는 것에 기인하여 검지 동작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4)는, 둘레벽부(1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를 둘레벽부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한 경우에 비하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4)는, 검지 부재(40)가 검지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변위했을 때에, 초기 위치에서 검지 부재(40)의 전방 이동을 막는 형태이다. 즉, 덮개부(24)는, 검지 부재(40)에 대한 후드부(62)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과, 초기 위치에서 검지 부재(40)의 전방 이동을 막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따라서, 검지 부재(40)의 전방 이동을 막는 수단을 덮개부(24)와는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면, 제1 하우징(10)과 검지 부재(40)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둘레벽부측의 변형 규제부가 돌출 형태의 리브이고, 검지 부재측의 변형 규제부가 움푹 패인 형태의 홈부이지만, 이와는 반대로, 둘레벽부측의 변형 규제부를 홈부로 하고, 검지 부재측의 변형 규제부를 리브로 해도 좋으며, 또한, 둘레벽부측의 리브와 검지 부재측의 리브를 둘레 방향으로 대향시켜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개구부가 둘레벽부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는 전체 영역에 걸쳐 개구되어 있으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형성 영역은, 둘레벽부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는 영역 중의 일부분만이어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 수용부와 로크 아암이 배열되는 방향에 관하여, 검지 부재와 로크 아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형태로 하였으나, 단자 수용부와 로크 아암이 배열되는 방향에 관하여, 검지 부재와 로크 아암이 겹쳐지지 않는 형태로 해도 좋다.
10: 제1 하우징 11: 단자 수용부
17: 둘레벽부 22: 개구부
23: 리브(둘레벽부측의 변형 규제부) 40: 검지 부재
53: 홈부(검지 부재측의 변형 규제부)
60: 제2 하우징

Claims (3)

  1. 단자 수용부를 둘레벽부로 포위한 형태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감합(嵌合) 가능한 제2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둘레벽부 사이의 공간 내에서 초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와,
    상기 둘레벽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를 절결한 형태이며, 상기 검지 부재를 외주측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검지 부재에 형성되며, 서로 감합됨으로써, 상기 검지 부재의 초기 위치와 검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둘레벽부가 상기 개구부의 개구폭을 확대시키도록 변형하는 것을 규제하는 변형 규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부측의 상기 변형 규제부를 구성하며,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리브와,
    상기 검지 부재측의 상기 변형 규제부를 구성하며, 상기 리브를 대략 둘레 방향으로 사이에 끼고 상기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상기 리브를 대략 직경 방향으로 사이에 낀 형태의 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둘레벽부 사이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감합 상태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 아암이 배치되고,
    상기 단자 수용부와 상기 로크 아암이 배열되는 방향에 관하여, 상기 검지 부재와 상기 로크 아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57031921A 2013-05-08 2013-05-08 커넥터 KR101661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2971 WO2014181410A1 (ja) 2013-05-08 2013-05-0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353A true KR20150140353A (ko) 2015-12-15
KR101661873B1 KR101661873B1 (ko) 2016-09-30

Family

ID=5186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921A KR101661873B1 (ko) 2013-05-08 2013-05-08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4684B2 (ko)
EP (1) EP2996208A4 (ko)
JP (1) JP5885096B2 (ko)
KR (1) KR101661873B1 (ko)
CN (1) CN105191012A (ko)
WO (1) WO2014181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4655B2 (ja) * 2015-04-29 2018-07-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5825B2 (ja) * 2016-01-21 2019-05-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13583B2 (ja) * 2016-01-27 2017-10-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69131B2 (ja) * 2016-04-26 2019-09-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JP6417369B2 (ja) * 2016-07-29 2018-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5495B2 (ja) * 2016-07-29 2018-1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17370B2 (ja) * 2016-07-29 2018-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35834B1 (ja) * 2017-01-20 2017-05-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部材
JP2018181787A (ja) * 2017-04-21 2018-11-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283904B2 (en) * 2017-08-04 2019-05-0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JP2019050169A (ja) * 2017-09-12 2019-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080270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30739B2 (ja) * 2019-08-09 2023-03-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393296B2 (ja) 2020-05-15 2023-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390A (ja) * 1997-08-05 1999-04-23 Sumitomo Wiring Syst Ltd 嵌合検知コネクタ
JP2001085111A (ja) * 1999-09-10 2001-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077590A (ja) * 2001-09-06 200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80044510A (ko) * 2006-11-16 2008-05-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53849B (en) 1996-11-29 1999-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to-mechanical-to-acoustic converter and portable terminal unit
EP0896396B1 (en) 1997-08-05 2007-10-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itting detecting connector
US5910027A (en) * 1997-10-08 1999-06-08 Ut Automotive Dearborn,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P0975066B1 (en) 1998-07-22 2011-08-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itting detecting connector
JP3506215B2 (ja) 1998-09-07 2004-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US6261116B1 (en) * 1999-11-22 2001-07-17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element with lock protection feature
JP3593959B2 (ja) 2000-08-10 2004-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435895B1 (en) * 2001-04-27 2002-08-20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3609379B2 (ja) * 2002-01-31 2005-01-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US6780045B2 (en) * 2002-03-06 2004-08-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4039199B2 (ja) 2002-10-10 2008-01-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241275A (ja) * 2003-02-06 2004-08-26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4179129B2 (ja) 2003-10-09 2008-11-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5008585B4 (de) * 2004-02-25 2013-05-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Verbinderanordnung
JP4544065B2 (ja) * 2005-07-13 2010-09-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26074B1 (en) * 2006-12-06 2008-02-05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a connector assembly incorporating th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008159504A (ja) 2006-12-26 2008-07-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8882528B2 (en) * 2010-12-15 2014-11-1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8628344B2 (en) * 2011-10-12 2014-01-14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nd terminal position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390A (ja) * 1997-08-05 1999-04-23 Sumitomo Wiring Syst Ltd 嵌合検知コネクタ
JP2001085111A (ja) * 1999-09-10 2001-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077590A (ja) * 2001-09-06 200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20080044510A (ko) * 2006-11-16 2008-05-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64875A1 (en) 2016-03-03
KR101661873B1 (ko) 2016-09-30
JP5885096B2 (ja) 2016-03-15
EP2996208A4 (en) 2016-04-20
CN105191012A (zh) 2015-12-23
JPWO2014181410A1 (ja) 2017-02-23
US9484684B2 (en) 2016-11-01
WO2014181410A1 (ja) 2014-11-13
EP2996208A1 (en)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873B1 (ko) 커넥터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751196B2 (ja) コネクタ
JP6119670B2 (ja) コネクタ
JP2014099332A (ja) コネクタ
JP2013187116A (ja) コネクタ
JP6839293B2 (ja) 部材の係止構造
CN110098527B (zh) 电线盖及连接器
JP6344321B2 (ja) コネクタ
CN110622367B (zh) 连接器
JP2019091610A (ja) コネクタ
JP2020144987A (ja) コネクタ
JP2006086090A (ja) コネクタ
JP2016225027A (ja) コネクタ
JP2009037835A (ja) コネクタ
JP2019091608A (ja) コネクタ
WO2014181413A1 (ja) コネクタ
JP6712495B2 (ja) コネクタ
JP2006221921A (ja) コネクタ
KR101723328B1 (ko) 커넥터
JP4826513B2 (ja) コネクタ
JP2015005490A (ja) コネクタ
JP2019091609A (ja) コネクタ
JP5971203B2 (ja) コネクタ
JP201705459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