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324A - 바 또는 스틱형 식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 또는 스틱형 식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324A
KR20150138324A KR1020157031293A KR20157031293A KR20150138324A KR 20150138324 A KR20150138324 A KR 20150138324A KR 1020157031293 A KR1020157031293 A KR 1020157031293A KR 20157031293 A KR20157031293 A KR 20157031293A KR 20150138324 A KR20150138324 A KR 20150138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hocolate
stick
bar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오 다무라
신고 와타나베
다케시 아이하라
히로아키 아시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5013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003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or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1/005Moulding, shaping, cutting, or dispensing chocolate
    • A23G1/0053Processes of shaping not covered elsewhere
    • A23G1/0063Processe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f by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1/0066Processes for laying down material in moulds or drop-by-drop on a surface,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 A23G1/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laminat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63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65Processes for making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 A23G3/007Processes for making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the material being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s on a surface or an article being completed
    • A23G3/0072Processes for laying down the liquid, pasty or solid materials in moulds or drop-by-drop, on a surface or an article being completed,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ro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이 갖는 「하나의 제품을 먹었을 때의 만족감」 및 「운반의 손쉬움」을 갖추고 있는 것과 함께, 다 먹을 때까지 싫증을 느끼게 하지 않는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라고 하는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것.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한 기다란 바 또는 스틱형 식품(스틱 초콜릿)(1)이다. 이 식품(1)은, 그 길이방향(X)을 따라서, 2종류의 상이한 초콜릿(2, 3)이 비스듬하게 조합되어 있다. 그에 따라, 해당 식품(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섭취를 실시할 때의 맛 및/또는 식감이, 경사형상(4)으로 조합된 초콜릿(2, 3)의 비율 변화에 근거하여 변화한다. 바 또는 스틱형 식품에 있어서, 먹기 시작하고 나서 다 먹을 때까지, 싫증을 느끼게 하지 않는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라고 하는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 또는 스틱형 식품 및 그 제조방법 {BAR- OR STICK-TYPE FOOD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바 또는 스틱형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식품이 과자, 보다 특정적으로는 초콜릿 식품인, 바 또는 스틱형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복수 생지 초콜릿 과자 제조방법」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초콜릿 과자의 제조방법은, 「오목형상의 형재 내에 2종류 이상의 초콜릿 소재를 충전하여 복수 생지의 초콜릿 과자를 제조하는 복수 생지 초콜릿 과자 제조방법으로서,
(1) 형재 내에 형틀을 장입하여 하나의 초콜릿 소재를 충전하고, 그 하나의 초콜릿 소재를 냉각 경화시키는 공정과,
(2) 형재 내로부터 형틀을 꺼내 상기 하나의 초콜릿 소재의 단면을 노출시키는 공정과,
(3) 이 노출된 단면에 외부로부터 열풍을 분사하여 이 단면을 용해시키는 공정과,
(4) 형재 내에 다른 초콜릿 소재를 충전하여, 냉각 경화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 및 제3도 및 그 설명을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3-103144호 공보
식품의 일례로서, 과자에 있어서의 바 또는 스틱형의 제품은 「하나의 제품을 먹었을 때에 얻을 수 있는 만족감」 및 「운반의 손쉬움」이라는 형상 특유의 메리트를 가진다. 또 동시에, 한 번 섭취를 시작하면, 그 중단이 어렵고, 먹던 것을 보관해 두는 것도 곤란하기 때문에, 한 번의 섭취로 다 먹을 필요가 있다고 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제품 특성이 있는 한편, 종래의 바 또는 스틱형의 제품은, 먹기 시작해서부터 다 먹을 때까지, 제품의 「맛」 및/또는 「식감」이 한결같고, 다 먹기까지 질려 버리는 경우가 있는 일도 지적되고 있었다.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초콜릿 식품은, 복수 생지의 초콜릿 식품이지만, 그 전체 형상이 바 또는 스틱형의 것이 아니고,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을 위한 제조방법으로서는 적용이 곤란하다.
이 발명은, 이러한 배경 아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이 가지는 「하나의 제품을 먹었을 때의 만족감」 및 「운반의 손쉬움」을 갖추고 있는 것과 함께, 다 먹을 때까지 싫증을 느끼게 하지 않는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라고 하는 새로운 가치를, 식품에 부여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한 기다란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이며, 해당 식품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2종류 이상의 식품소재가 경사형상으로 조합되어 있고, 그에 따라, 해당 식품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섭취를 실시할 때의 맛 및/또는 식감이, 경사형상으로 조합된 식품소재의 비율 변화에 근거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2종류의 식품소재가 경사형상으로 조합되어 있고, 각 식품소재의 중량%는, 식품 전체의 5%~95%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식품은 초콜릿 식품을 포함하며, 상기 2종류의 식품소재는, 종류가 다른 초콜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식품은, 식품소재로 형성된 겉껍데기를 형성하는 쉘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한, 기다랗고 상부면이 개방된 수용 오목부를 가지는 틀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한 틀의 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 일단 부근에, 점성 및 유동성을 갖춘 제1 식품소재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틀에 진동을 부여하여 투입한 제1 식품소재를 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 일단 부근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경사형상으로 유동시키는 단계와, 틀의 수용 오목부의 제1 식품소재가 들어가 있지 않은 빈 영역에 제2 식품소재를 충전하는 단계와, 틀의 수용 오목부에 충전한 제2 식품소재의 상부면이 평면이 되도록, 제2 식품소재의 상부면을 수용 오목부의 개방 상부면에 따르도록 긁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제조방법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제1 식품소재를 투입하기 전에, 수용 오목부의 내벽면을 따라서 쉘을 작성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제조방법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긁어내는 단계를 대신하여, 제2 식품소재를 충전한 후, 틀에 진동을 부여하여 제2 식품소재의 상부면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제2 식품소재의 상부면을 쉘 형성용 식품소재로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제조방법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쉘 형성용 식품소재로 덮은 후, 틀에 진동을 부여하여 덮여진 쉘 형성용 식품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제조방법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바 또는 스틱형(즉,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한 기다란 형상)의 식품에 있어서, 해당 식품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2종류 이상의 식품소재가 경사형상으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식품의 일단으로부터 섭취를 개시하면, 섭취의 진행 상황에 따라 경사형상으로 조합된 식품소재의 비율이 변화하여, 섭취시의 맛 및/또는 식감이 변화한다.
또한, 경사형상이란, 한 쪽의 식품소재와 다른 쪽의 식품소재가, 거의 비스듬하게 맞닿음 또는 접합 등에 의해 조합되어 있는 것이며, 경사의 조합면이, 거칠거나, 만곡되어 있어도 좋고, 전체적으로 대략 경사 상태로 조합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에 있어서, 식품을 먹기 시작하고 나서 다 먹을 때까지, 싫증을 느끼게 하지 않는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라고 하는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 식품은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한 기다란 바 또는 스틱형이기 때문에, 그러한 형태의 식품이 가지는 「하나의 제품을 먹었을 때의 만족감」 및 「운반의 손쉬움」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해당 특징에 대하여 상기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라고 하는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식품이 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각 식품소재의 중량%를 식품 전체의 5% ~ 95%의 범위로 함으로써,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를 양호하게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바 또는 스틱형의 초콜릿에,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라고 하는 새로운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새로운 섭취 방식을 제안할 수 있어 과자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식품은 쉘로 덮여 있기 때문에, 식품의 외관 형상은 종래와 같은 바 또는 스틱형이면서, 섭취시에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를 즐길 수 있어 섭취자에게 놀라움을 부여할 수 있는 식품이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을 효율 좋게 또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식품소재는 점성 및 유동성을 갖춘 식품소재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종래기술로 소개한 바와 같은 형틀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틀에 진동을 부여한다고 하는 단순하고 간단한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서, 틀의 수용 오목부 내에 제1 식품소재를 경사형상으로 충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식품이 초콜릿 식품으로서, 식품소재가 종류의 다른 초콜릿인 경우에 있어서, 해당 초콜릿을 템퍼링 후 용해상태로 한 채, 식품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경사형상으로 조합할 수 있어, 조합하기 위한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각 초콜릿 소재의 부분용해 등의 처리를 생략하고, 미각이 향상된 맛있는 초콜릿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쉘로 덮인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바 또는 스틱형의 초콜릿 식품(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바 또는 스틱형의 초콜릿 식품(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바 또는 스틱형의 초콜릿 식품(2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바 또는 스틱형의 초콜릿 식품(1)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바 또는 스틱형의 초콜릿 식품(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바 또는 스틱형의 초콜릿 식품(2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바 또는 스틱형의 초콜릿 식품(이하 「스틱 초콜릿」이라고도 한다.)(1)의 사시도이다.
스틱 초콜릿(1)은,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으로 가다랗고, 저면 측이 약간 넓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고, 화살표 X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이다. 치수는 일례로서 길이방향이 약 100mm, 사다리꼴 단면의 상부변이 약 8.5mm, 하부변이 약 11mm, 높이가 약 6mm이며, 중량은 일례로서 약 7.0g이다. 스틱 초콜릿(1)은, 길이방향, 즉 X방향을 따라서, 제1 초콜릿(2)과 제2 초콜릿(3)이 경사형상(4)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스틱 초콜릿(1)의 기다란 상부면에는, 필요하다면, 그 길이방향(X방향)으로 뻗어있는 완만하게 만곡된 모양선(5)이 형성되어도 괜찮다. 모양선(5)은, 예를 들어 작은 오목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스틱 초콜릿(1)은, 통상, 개별포장되어 있지만, 그 포장을 벗기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X방향)으로 경사형상(4)으로 조합된 제1 초콜릿(2) 및 제2 초콜릿(3)을 외측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다. 스틱 초콜릿(1)에서는, 제1 초콜릿(2)의 색과 제2 초콜릿(3)의 색이 차이가 난다. 제1 초콜릿(2)은, 녹색 또는 복숭아색, 제2 초콜릿(3)은 갈색(초콜릿색)을 하고 있어, 외형에서 색 변화도 느껴지는, 참신한 색채 감각의 스틱 초콜릿(1)이 된다.
또, 섭취자가, 스틱 초콜릿(1)의 예를 들어 우측끝(도 1에 있어서 우측끝)을 파지하고, 스틱 초콜릿(1)의 좌측끝으로부터 섭취를 개시했을 경우, 한 입째에는 제1 초콜릿(2)의 맛 및 식감을 즐길 수 있고, 두 입째에는 경사형상(4)의 부분을 섭취하게 되어, 제1 초콜릿(2) 및 제2 초콜릿(3)이 서로 섞인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섭취를 계속하면, 세 입째에는 제2 초콜릿(3)의 맛 및 식감, 예를 들어 농후한 초콜릿의 맛 및 식감을 즐길 수 있고, 그것이 네 입째에 계속된다고 하는 맛 및 식감의 변화를 즐길 수 있다. 스틱 초콜릿(1)을 반대쪽 끝부로부터 섭취 하면, 반대의 방향으로 맛 및 식감의 변화를 즐길 수 있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10)의 사시도로서, 그 내부구조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틱 초콜릿(10)의 외관 형상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틱 초콜릿(1)의 외관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상부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모양선(5)이 들어가 있다.
스틱 초콜릿(10)의 외관 형상은 쉘 초콜릿(11)으로 덮여 있다. 그리고 쉘 초콜릿(11) 내부에, X방향을 따라서, 2종류의 초콜릿, 즉 제1 초콜릿(12) 및 제2 초콜릿(13)이 경사형상(14)으로 조합되어 충전되어 있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20)의 사시도로서, 그 내부구조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틱 초콜릿(20)은 화살표 X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한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으로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틱 초콜릿(1)의 외관 형상이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틱 초콜릿(10)의 외관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상부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모양선(5)이 들어가 있다. 치수는 일례로서 길이방향이 약 130mm, 사다리꼴 단면의 상부변이 약 10mm, 하부변이 약 13mm, 높이가 약 8mm이며, 중량은 일례로서 약 15.5g이다. 스틱 초콜릿(20)의 겉껍데기는 쉘 초콜릿(21)으로 덮여 있다. 그리고 쉘 초콜릿(21) 내에는, X방향으로 기다랗게 뻗어있는 제1 초콜릿(22) 및 센터 페이스트로 구성된 제2 과자재료(23)가 경사형상(24)으로 조합되어 충전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1)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스틱 초콜릿(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틀(30)을 준비한다. 틀(30)은, 예를 들어 금형이며,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한, 기다랗고 상부면이 개방된 수용 오목부(31)를 가지고 있다. 수용 오목부(31)는, 스틱 초콜릿(1)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로서, 스틱 초콜릿(1)의 외관 형상과 동일한 형상(단, 위아래가 스틱 초콜릿(1)과는 거꾸로 되어 있다.)을 하고 있다. 개방된 상부면은, 스틱 초콜릿(1)의 저면과 대응하고 있다.
틀(30)의 수용 오목부(31) 내에, 제1 초콜릿, 예를 들어 소정의 맛이 부여된 맛 초콜릿(예를 들어 가루차 초콜릿 또는 스트로베리 초콜릿)(2)이 투입된다. 즉, 수용 오목부(31)의 길이방향 한쪽 끝 부근에, 용해상태의 템퍼링된 제1 초콜릿(맛 초콜릿)(2)이 투입된다. 다시 말해서, 틀(30)의 수용 오목부(31)의 길이방향 일단 부근에, 용해상태의 템퍼링된 초콜릿이 충전된다. 용해 초콜릿의 충전은, 틀(30)의 수용 오목부(31)의 길이방향 일단측(31a)과 길이방향 중앙부와의 사이에 토출 노즐이 위치되도록 하여, 일단측(31a) 근처 부분이 산의 정점이 되도록 하여 행해진다. 충전된 초콜릿은 점성 및 유동성을 갖추고 있다.(도 4의 (A))
그 다음에, 틀(30)에 진동을 부여하고, 이 진동에 의해 수용 오목부(31)에 충전된 제1 초콜릿(맛 초콜릿)(2)은 수용 오목부(31)의 길이방향 일단측(31a)으로부터 타단측(31b)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천천히 흐르듯이 유동하여, 수용 오목부(31) 내에서 펼쳐진다. 즉 그 상부면이 경사형상(4)이 된 상태로, 수용 오목부(31) 내의 일단측을 중심으로 퍼진다.(도 4의 (B))
다음에, 펼쳐진 제1 초콜릿(2)의 성상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틀(30)의 냉각이 행해진다. 그리고 제2 초콜릿(3), 예를 들어 세피아 초콜릿이, 틀(30)의 수용 오목부(31)에 있어서의 제1 초콜릿(2)이 들어가 있지 않은 빈 영역에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 오목부(31)는 제1 초콜릿(2) 및 제2 초콜릿(3)으로 채워진다.(도 4의 (C))
다음에 제2 초콜릿(3)의 상부면이 평면이 되도록, 제2 초콜릿(3)의 상부면을 틀(30)의 수용 오목부(31)의 개방 상부면을 따르도록 긁어내는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틀(30)이 냉각되어 수용 오목부(31) 내에서 2종류의 초콜릿이 굳어짐으로써,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1)이 완성된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우선은, 수용 오목부(31)를 갖춘 틀(30)이 준비된다.
그리고, 냉각 가압 제법이라고 하는 제법에 의해, 수용 오목부(31)의 내벽을 따라서 쉘 초콜릿(11)이 작성된다.
냉각 가압 제법은 이미 공지이지만,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용 오목부(31) 내에 쉘을 형성하는 템퍼링된 용해 초콜릿이 투입되고, 그 후, 수용 오목부(31)와 쉘의 틈새 크기만큼 떨어진 누름 틀(32)이 수용 오목부(31) 내에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용해된 쉘 초콜릿(11)은 수용 오목부(31)의 내벽을 따라서 퍼지고, 또한 냉각되어 고화된다. 누름 틀(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동 등의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제이고, 이 누름 틀이 냉각된 상태로 쉘 초콜릿(11)을 가압하므로, 냉각 가압 제법이라고 불리고 있다.(도 5의 (A))
다음에, 쉘 초콜릿(11)이 형성된 수용 오목부(31)의 일단측(31a)에, 용해상태의 템퍼링된 제1 초콜릿(12)(이 초콜릿(12)은 맛 초콜릿으로서,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 초콜릿 또는 애플티 초콜릿 등을 예시할 수 있다)가 투입되어 충전된다.(도 5의 (B))
그 다음에, 틀(30)에 진동이 부여되고, 충전된 제1 초콜릿(12)이 펼쳐진다.(도 5의 (C))
그 후, 필요에 따라서 틀(30)의 냉각을 행하고, 수용 오목부(31)의 빈 영역에 제2 초콜릿(13)이 충전되고, 그 상부면을 긁어냄에 의해 평면화한다.(도 5의 (D))
그리고 틀(30)을 통해 초콜릿 전체가 냉각되어 고화됨으로써, 제2 초콜릿 식품(10)이 완성된다.
도 6은, 이 발명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20)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1),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10)의 제조방법과 마찬가지로, 우선, 수용 오목부(31)를 갖춘 틀(30)을 준비한다.
그리고, 냉각 가압 제법에 의해 쉘 초콜릿(21)을 작성한다.(도 6의 (A))
다음에, 수용 오목부(31)의 일단(31a) 부근에, 제1 초콜릿(22)의 충전을 실시한다.(도 6의 (B))
그리고, 틀(30)에 진동을 부여하여, 제1 초콜릿(22)을 펼친다.(도 6의 (C))
그 후, 필요에 따라서 틀(30)의 냉각을 행하고, 초콜릿 식품(20)의 내부 주요부를 구성하는 제2 과자재료로서의 센터 페이스트(23)가, 수용 오목부(31)의 빈 영역에 충전된다.(도 6의 (D))
그리고, 틀(30)에 재차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센터 페이스트(23)가 빈 영역에 넓게 충전되고, 펼쳐진다.(도 6의 (D))
그 후, 수용 오목부(31)에 수용된 재료의 표면에 스프레이 초콜릿(25)을 분무하여, 제1 초콜릿(22) 및 센터 페이스트(23)의 혼합물 위에 피막을 형성한다.(도 6의 (E))
이 상태로, 틀(30)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31)의 상부면에는, 얼마 안 되는 간극이 남아 있다.
거기서, 그 부분에 바닥 초콜릿(26)이 충전되고 틀(30)에 진동이 부여됨으로써, 바닥 초콜릿(26)이 펼쳐지고, 덮개(27)가 형성된다.(도 6의 (F))
이 덮개(27)는 냉각 가압 제법에 따라 제조된 쉘 초콜릿(21)과 그 주연부에 연결되어, 쉘 초콜릿(21)으로 덮인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20)이 완성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스틱 초콜릿(1)의 구체적인 재료와, 제1 초콜릿(2) 및 제2 초콜릿(3)과의 제품 중량에서 차지하는 중량비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의 (B)는, 스틱 초콜릿(1)에 있어서의 제1 초콜릿(2)의 구성성분을 나타낸다.
제1 초콜릿(2)으로서는, 말차 초콜릿 또는 스트로베리 초콜릿을 사용할 수 있다.
말차 초콜릿 또는 스트로베리 초콜릿의 원재료는, 표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다.
스틱 초콜릿(1)의 제2 초콜릿(3)으로서는, 세피아 초콜릿을 사용할 수 있다. 세피아 초콜릿의 원재료는, 표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다.
스틱 초콜릿(1)에 있어서의 제1 초콜릿(2)과 제2 초콜릿(3)의 비율은, 표 1의 (C) 또는 (D)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2 실시예)
표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10)의 원재료와 그 배합비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ct00002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틱 초콜릿(10)에서는, 쉘 초콜릿(11)과 제2 초콜릿(센터 초콜릿 및 바닥 초콜릿)(13)은 동일한 배합으로 만들어진다.
표 2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초콜릿(12)은, 제품에 따라, 에스프레소 초콜릿 또는 애플티 초콜릿이 이용되고 있다.
쉘 초콜릿(11), 에스프레소 초콜릿(제1 초콜릿(12)) 및 센터 초콜릿과 바닥 초콜릿(제2 초콜릿(13))의 제품비율은, 표 2의 (C)와 같고, 쉘 초콜릿, 애플티 초콜릿(제1 초콜릿(12)) 및 센터 초콜릿과 바닥 초콜릿(제2 초콜릿(13))의 제품비율은 표 2의 (D)와 같다.
(제3 실시예)
표 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20)의 성분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pct00003
표 3의 (A)는, 쉘 초콜릿(21) 및 바닥 초콜릿(26)의 원재료 비율, 센터 생초콜릿(제1 초콜릿(22))의 원재료 비율, 스프레이 초콜릿(25)의 원재료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표 3의 (B)는, 제품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예의 관능평가를 행하였을 때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제2 실시예에서 제조한 스틱 초콜릿(10)(에스프레소 초콜릿을 이용한 것)과,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배합 조성이 쉘 초콜릿(충전 초콜릿과 같은 배합) 100.0%로 이루어지는 비교 초콜릿의 2종류의 초콜릿을 이용하여, 일반소비자 50명에 각각 1개씩 시식시켜, (I) 맛의 변화 및 재미를 느낄 수 있었는지, (II) 기분이 신선했는지의 2항목에 대한 앙케이트를 실시했다. 결과를 이하의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4로부터, 제2 실시예의 초콜릿을 시식한 경우가, 비교 초콜릿을 시식한 경우보다, (I) 맛의 변화 및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고 회답하는 사람의 비율, 및, (II) 기분이 신선했다고 회답하는 사람의 비율이, 분명하게 많은 결과가 되었다.
(2) 제1 실시예에서 제조한 스틱 초콜릿(1)(스트로베리 초콜릿을 이용한 것)과,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틀을 이용하여 제조한, 배합 조성이 세피아 초콜릿 100.0%로 이루어지는 비교 초콜릿 1을 각각 준비하였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틀을 이용하여, 동일한 배합 조성에서, 충전한 스트로베리 초콜릿을 틀 안에 수평으로 놓은 후, 그 위에 세피아 초콜릿을 충전하고, 수평으로 놓아서 제조한 비교 초콜릿 2를 준비하였다. 이들 3종류의 초콜릿을 이용하여, 훈련된 전문 패널 5명에게 각각 1개씩 시식시켜, (I) 맛의 재미가 있는지, (II) 식감의 재미가 있는지, (III) 섭취 후의 신선한 느낌이 있는지의 3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으로서는, 「맛의 재미」, 「식감의 재미」, 「섭취 후의 신선한 느낌」이 「매우 있다」를 5, 「약간 있다」를 4, 「있다고도 없다고도 말할 수 없다」를 3, 「별로 없다」를 2, 「거의 없다」를 1로서 각각 5단계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5로부터, 제1 실시예의 초콜릿을 시식한 경우가, 비교 초콜릿 1 및 비교 초콜릿 2를 시식한 경우보다, (I) 맛의 재미, (II) 식감의 재미, (III) 섭취 후의 신선한 느낌의 모든 항목에 대해 분명하게 높은 평가결과로 되었다. 또, 전문 패널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초콜릿을 시식한 후의 평가로서는, 「뇌가 활성화되는 것 같다」, 「깨어나는 감각이 있다」, 「종래에 없는 맛과 식감의 놀라움으로부터, 섭취 후에 고양감을 맛볼 수 있다」는 등의 의견을 볼 수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은, 2종류의 식품을 경사형상으로 조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3종류, 4종류 등, 3종류 이상의 식품을 경사형상으로 조합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맛 및/또는 식감의 변화가 더 한 층 베리에이션이 풍부한, 지금까지 없는 맛 및/또는 식감을 가지는 식품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을 구성하는 식품은, 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은 초콜릿이나 페이스트에 한정되지 않고, 비스킷, 크래커, 쿠키, 스폰지 케이크, 파이, 도너츠, 와플, 빵, 푸딩, 버터크림, 카스타드 크림, 슈크림, 카라멜, 누가, 하드 캔디, 소프트 캔디, 구미, 정과 등의 각종 양과자, 양갱, 물양갱, 금옥, 젤리, 카스테라, 엿, 전병, 뻥튀기, 아라레, 오코시, 규히(求肥), 떡류, 만쥬, 우이로, 팥고물류 등의 각종 일본식 과자, 플라워 페이스트, 땅콩 페이스트, 프루츠 페이스트 등의 페이스트류, 마말레이드, 잼, 시럽절임 등의 과실, 야채의 가공 식품류, 과실의 시럽절임, 빙밀(氷蜜) 등의 시럽류, 햄, 소세지 등의 축육 제품류, 어육 햄, 어육 소세지, 어묵, 치쿠와, 튀김 등의 어육 제품, 식초 다시마, 구운 오징어(사키스루메), 대구, 도미, 새우 등의 뎀부 등의 각종 진미류, 곤약, 김, 말린 오징어, 작은 물고기, 조개 등의 해산물 조림, 합성주, 음양주, 과실주, 양주, 일본주 등의 주류, 커피, 코코아, 주스, 탄산음료, 유산균 음료 등의 청량음료 등, 여러가지 것을 적절히 조합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형상은, 도 1 ~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정육면체 형상, 직육면체 형상, 마름모 형상, 불규칙한 4각형 모양의 직육면체 형상이어도 좋다. 또, 삼각기둥 형상, 오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그 이상의 다각 기둥 형상, 원기둥 형상, 타원기둥 형상, 단면이 별 모양, 하트형, 클로버형, 스페이드형 등의 불규칙한 모양의 기둥 형상, 또 정사각뿔 형상, 종 형상, 엽권(葉卷) 형상, 줄줄이 엮은 형상 등의 형태이어도 좋다. 치수도, 일단을 손으로 들어 섭취를 즐길 수 있는 적절한 사이즈라면,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1, 10, 20: 초콜릿 식품(스틱 초콜릿)
2, 12, 22: 제1 초콜릿
3, 13: 제2 초콜릿
4, 14, 24: 경사형상(의 구획 부분)
5: 모양선
11, 21: 쉘 초콜릿
23: 제2 과자재료
25: 스프레이 초콜릿
26: 바닥 초콜릿
27: 덮개
30: 틀
31: 수용 오목부
31a: 수용 오목부의 일단
31b: 수용 오목부의 타단
32: 누름틀

Claims (8)

  1.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한 기다란 바 또는 스틱형 식품으로서,
    해당 식품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2종류 이상의 식품소재가 경사형상으로 조합되어 있고,
    그에 따라, 해당 식품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섭취를 실시할 때의 맛 및/또는 식감이, 경사형상으로 조합된 식품소재의 비율의 변화에 근거하여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2종류의 식품소재가 경사형상으로 조합되어 있고,
    각 식품소재의 중량%는, 식품 전체의 5% ~ 95%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초콜릿 식품을 포함하며,
    상기 2종류의 식품소재는, 종류가 다른 초콜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식품소재로 형성된 겉껍데기를 형성하는 쉘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
  5. 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한, 기다랗고 상부면이 개방된 수용 오목부를 가지는 틀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한 틀의 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 일단 부근에, 점성 및 유동성을 갖춘 제1 식품소재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틀에 진동을 부여하여 투입한 제1 식품소재를 수용 오목부의 길이방향 일단 부근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경사형상으로 유동시키는 단계와,
    틀의 수용 오목부의 제1 식품소재가 들어가 있지 않은 빈 영역에 제2 식품소재를 충전하는 단계와,
    틀의 수용 오목부에 충전한 제2 식품소재의 상부면이 평면이 되도록, 제2 식품소재의 상부면을 수용 오목부의 개방 상부면에 따르도록 긁어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식품소재를 투입하기 전에, 수용 오목부의 내벽면을 따라서 쉘을 작성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긁어내는 단계를 대신하여, 제2 식품소재를 충전한 후, 틀에 진동을 부여하여 제2 식품소재의 상부면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제2 식품소재의 상부면을 쉘 형성용 식품소재로 덮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쉘 형성용 식품소재로 덮은 후, 틀에 진동을 부여하여 덮여진 쉘 형성용 식품소재를 평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또는 스틱형 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57031293A 2013-04-04 2014-03-26 바 또는 스틱형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8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9005 2013-04-04
JP2013079005A JP6304702B2 (ja) 2013-04-04 2013-04-04 バー・スティックタイプの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4/058534 WO2014162948A1 (ja) 2013-04-04 2014-03-26 バー・スティックタイプの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324A true KR20150138324A (ko) 2015-12-09

Family

ID=5165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293A KR20150138324A (ko) 2013-04-04 2014-03-26 바 또는 스틱형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82250B1 (ko)
JP (1) JP6304702B2 (ko)
KR (1) KR20150138324A (ko)
PL (1) PL2982250T3 (ko)
TW (1) TWI642358B (ko)
WO (1) WO20141629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04A (ko) 2017-11-16 2019-05-24 한설 스틱형 딸기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4517B2 (ja) * 2014-10-31 2019-01-16 株式会社ロッテ 多くの可食物を内部に均一に有した板状チョコレート菓子の製法および製品
CN110381744B (zh) * 2017-03-13 2022-12-16 日清奥利友集团株式会社 加入了抹茶的巧克力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144A (ja) * 1989-09-14 1991-04-30 Kanebo Ltd 複数生地チョコレート菓子製造方法
JP2888611B2 (ja) * 1990-06-26 1999-05-10 鐘紡株式会社 チョコレートシェ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749214B2 (ja) * 1991-05-23 1998-05-13 明治製菓株式会社 気泡含有センタークリーム入りチョコレートの製法
JPH0630740A (ja) * 1992-07-10 1994-02-08 Yukio Sawara 多色豆腐の製造方法
FR2716341B1 (fr) * 1994-02-23 1996-05-10 Gervais Danone Sa Composition alimentaire comportant un biscuit ou une coque de chocolat et un fourrage à base de produit laitier, fermenté ou non .
JP3052194B2 (ja) * 1997-05-28 2000-06-12 芥川製菓株式会社 チョコレート菓子を製造するノズルとそのノズルを使用したチョコレート菓子の製造方法
JP3233606B2 (ja) * 1998-02-27 2001-11-26 芥川製菓株式会社 チョコレ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チョコレートを製造するノズル
JP2003235453A (ja) * 2002-02-20 2003-08-26 Osa Kikai Kk 模様付チョコレート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2006101744A (ja) * 2004-10-04 2006-04-20 Akutagawa Seika Kk 複数色模様食品の製造方法
JP2012065611A (ja) * 2010-09-24 2012-04-05 Lotte Co Ltd 内容物充填チョコレ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チョコレ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04A (ko) 2017-11-16 2019-05-24 한설 스틱형 딸기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2250A1 (en) 2016-02-10
EP2982250A4 (en) 2016-11-30
TW201517806A (zh) 2015-05-16
EP2982250B1 (en) 2018-11-21
WO2014162948A1 (ja) 2014-10-09
TWI642358B (zh) 2018-12-01
PL2982250T3 (pl) 2019-05-31
JP6304702B2 (ja) 2018-04-04
JP2014200198A (ja)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4377A1 (en) Creative edible assembly kit
CN102742627A (zh) 一种水果月饼及其制作工艺
CN104026323B (zh) 一种多层多味球形糖果及其制作方法
JPS593171B2 (ja) パン被覆をした新規食品の製造法
KR20150138324A (ko) 바 또는 스틱형 식품 및 그 제조방법
ES2564405T3 (es) Bolas de aperitivo de picar con sabor a galleta
AU2011351669A1 (en) Food products containing aroma compounds
RU2688817C2 (ru) Съедобные разноцветные твердые пероральны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жировой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80102726A (ko) 국내농산물을 이용한 초콜릿 코팅방법
JP2007259777A (ja) 複合油性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RU2813600C1 (ru)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шоколадная "бомбочка" для помещения в горячий напиток
JP2004201510A (ja) 冷菓及びその製造方法
RU2164756C1 (ru) Сахаристое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JPS6075236A (ja) ゼリ−を載置したチヨコレ−ト菓子の製造法
JP2001045959A (ja) シュー生地並びにそれを用いた菓子類及びその製造方法
TWM504797U (zh) 造型冰淇淋
RU2341097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шоколадной конфеты
JPH05268878A (ja) 組み合せ菓子
KR20230000765A (ko) 젤리맛 호두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07895B1 (ko) 과실 내용물을 제거한 과실껍질을 용기로 활용하는 과실빙과 제조방법 및 그 과실빙과
JP2004081060A (ja) チョコレート菓子
CN113678862A (zh) 一种蛋挞皮及其制作方法和蛋挞
JP3003219U (ja) りんごを芯に入れたドーナツ
RU225977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ливочной помады
Schacht I Scream Sandwich!: Inspired Recipes for the Ultimate Frozen Tr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