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821A - 회전 전기기계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821A
KR20150133821A KR1020157030473A KR20157030473A KR20150133821A KR 20150133821 A KR20150133821 A KR 20150133821A KR 1020157030473 A KR1020157030473 A KR 1020157030473A KR 20157030473 A KR20157030473 A KR 20157030473A KR 20150133821 A KR20150133821 A KR 2015013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clamper
core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312B1 (ko
Inventor
료지 나가타니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Abstract

회전 전기기계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난 샤프트(14)와, 회전자(15)와, 축받이(13)와, 회전자(15) 외측을 둘러싸는 개구(20)가 형성된 고정자 철심(16)을 구비한 고정자(12)와, 축받이(13) 및 고정자(12)를 지지하는 프레임(11)을 갖는다. 회전자(15)는, 회전자 철심(21)과, 회전자 철심(21) 내에 삽입된 복수의 영구자석(22)과, 회전자 철심(21)을 축방향으로 끼우고 배치된 클램퍼(23, 24)와, 선단 클램퍼(23)에 배치되고, 선단 클램퍼(23) 및 회전자 철심(21)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고정자 철심(16)보다도 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활주부(30)를 갖는다. 회전자(15)를 고정자(12)의 내측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을 개선하고, 또한, 회전자(15)와 고정자 철심(16)이 충돌함에 의해 생기는 금속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전기기계{DYNAMO-ELECTRIC MACHINE}
본 발명은, 회전자에 영구자석을 이용한 회전 전기기계에 관한 것으로, 회전자의 삽입(揷入) 조립 작업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회전 전기기계(電機)에 관한 것이다.
이너 로터를 구비한 전동기 등의 회전 전기기계에서는, 고정자와 그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자가 좁은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회전 전기기계를 제조 공장 내에서 제조할 때에, 고정자의 내측에 회전 부분을 삽입하는데 있어서는, 전용의 치구(治具)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회전 전기기계의 보수 등을 위해, 회전 전기기계의 제조 공장의 밖에서, 전용의 치구를 이용하지 않고서, 고정자의 내측부터 회전 부분을 취출(取出)하고 재차 고정자의 내측에 삽입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일본 특개2003-47188호 공보
이너 로터의 회전자에 영구자석이 사용되고 있는 회전 전기기계에 있어서, 회전자를 고정자의 내측에 삽입할 때에,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회전자가 고정자 철심에 끌어 당겨지는 일이 있다. 그 경우에, 회전자와 고정자 철심이 충돌하여, 고정자 철심의 내면에 흠집이 생길 우려가 있고,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회전자와 고정자 철심이 충돌한 때에 생기는 금속분(金屬粉)이 회전 전기기계의 성능 열화의 원인이 된 일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너 로터의 회전자에 영구자석이 사용되고 있는 회전 전기기계에 있어서, 회전자를 고정자의 내측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을 개선하고, 또한, 회전자와 고정자 철심이 충돌함에 의해 생기는 금속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축받이와, 상기 회전자의 반경 방향 외측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자의 반경 방향 외측을 둘러싸는 거의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넓어진 강판(鋼板)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고정자 철심을 구비한 고정자와, 상기 축받이 및 상기 고정자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샤프트에 부착된 상기 회전자를 상기 고정자 철심의 상기 개구에 축방향으로 삽입함에 의해 조립 가능한 회전 전기기계로서, 상기 회전자는,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넓어진 복수의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회전자 철심과, 상기 회전자 철심 내에 삽입된 복수의 영구자석과, 상기 회전자 철심을 축방향으로 끼워서 배치되고 각각이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넓어진 평원판형상(平圓板狀)의 2장의 클램퍼와, 상기 2장의 클램퍼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걸리도록 배치된 복수의 체결 볼트와, 상기 2장의 클램퍼 중에서 상기 회전자를 상기 고정자 철심의 상기 개구에 축방향으로 삽입할 때에 먼저 삽입되는 측의 선단 클램퍼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 클램퍼 및 상기 회전자 철심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고정자 철심보다도 연(軟)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활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너 로터의 회전자에 영구자석이 사용되고 있는 회전 전기기계에 있어서, 회전자를 고정자의 내측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을 개선하고, 또한, 회전자와 고정자 철심이 충돌함에 의해 생기는 금속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조립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입면도(立面圖)로서, 상반을 단면도로, 하반을 외형도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 시작 전의 상황을 도시하는 전체 입단면도(立斷面圖).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초기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종기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2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초기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2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종기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3의 실시 형태에서의 내부 팬의 선단 상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4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초기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조립 완료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입면도로서, 상반을 단면도로, 하반을 외형도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 시작 전의 상황을 도시하는 전체 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초기(初期)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종기(終期)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기계인 전동기(10)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 내에 고정자(12)가 부착되고, 2개의 축받이(13)가 프레임(11)에 지지되어 있다. 수평 방향으로 늘어난 샤프트(14)가, 축받이(13)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14)의 외측에 회전자(15)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자(12)는, 고정자 철심(16)과, 고정자 코일(17)을 갖는다. 고정자 철심(16)은, 회전축에 수직하게 넓어지는 다수매의 강판을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 철심(16)에는,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슬롯(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이들의 슬롯 내에 고정자 코일(17)(도 2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자 코일(17)의 축방향 단부(端部)는 코일 엔드(19)로 서로 접속된다. 고정자 철심(16)의 반경 방향 중심부에는 거의 원형의 개구(20)가 형성되고, 이 개구(20) 내에, 회전자(15)가 반경 방향의 갭을 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회전자(15)는, 회전축에 수직하게 넓어지는 다수매의 강판을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된 회전자 철심(21)과, 회전자 철심(21) 내에 삽입된 복수개의 영구자석(22)을 갖는다. 회전자 철심(21)의 축방향의 양단에 선단 클램퍼(23)와 후단 클램퍼(24)가 배치되어 있다. 선단 클램퍼(23)와 후단 클램퍼(24)는 중앙에 개구를 갖고서 회전축에 수직하게 넓어지는 원판형상이고, 회전자 철심(21)을 구성하는 각 강판보다도 판두께가 두껍다.
선단 클램퍼(23)와 후단 클램퍼(24)는, 그들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 볼트(25)와 이들에 나사결합하는 너트(26)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체결되어 있고, 그 결합력에 의해, 회전자 철심(21)을 구성하는 다수매의 강판이 서로 체결되어 있다.
이 개구(20) 내에 축방향으로부터, 회전자(15)가, 샤프트(14) 및 축받이(13)와 함께 삽입되어 조립된다. 이때, 프레임(11)의 부하측 단부로부터 회전자(15) 등이 삽입되고, 반부하측의 클램퍼인 선단 클램퍼(23)가 속측(奧側)이 된다.
선단 클램퍼(23)의 외주에 따라 활주부(30)가 부착되어 있다. 활주부(30)는 환상(環狀)이고, 선단 클램퍼(23) 및 회전자 철심(21)의 외주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활주부(30)는, 고정자 철심(16)의 개구(20)나 코일 엔드(19)에 접한 부분에 당접(當接)하여도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를 손상시키진 않도록,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보다도 연한 재료로 하여, 어느 정도의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열성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수지제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플론(상품명), MC나일론(상품명) 등이 알맞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활주부(30)는, 고정자 철심(16)과 반대측의 축방향(즉 반부하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선단부에는 모따기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모따기부(31)에서는, 축방향 선단을 향하여 점차로 가늘어지고 있다. 또한, 이 활주부(30)는, 선단 클램퍼(23)에 나사(3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14)의 반부하측 선단 부근에는 외부 팬(60)이 부착되고, 외부 팬(60)의 외측은 팬 커버(61)로 덮여 있다.
이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기계를 설치한 후에, 보수 등의 목적으로, 회전자(15) 등을 프레임(11) 밖으로 취출하고, 재차 프레임(11) 내로 되돌리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재조립의 경우에, 비로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14)에 회전자(15) 및 축받이(13)를 부착한 상태로, 고정 부분과 회전 부분의 축을 맞추고, 회전 부분을 축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한다. 또한, 이때, 팬 커버(61)는 프레임(11)으로부터 떼어져 있고, 외부 팬(60)은 샤프트(14)로부터 떼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자(12)의 개구(20)와 회전자 철심(21)과의 사이의 반경 방향 갭은 작고, 게다가 회전자 철심(21)에 영구자석(22)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 철심(21) 또는 선단 클램퍼(23)가 고정자(12)의 개구(20)의 표면에 충돌하는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활주부(30)가 선단 클램퍼(23)의 반경 방향 외측 및 축방향 선단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자(12)의 개구(20)의 표면이나 코일 엔드(19)에 충돌하는 것은, 활주부(30)가 된다. 활주부(30)는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보다도 연한 재료이기 때문에, 이 충돌이 있어도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의 손상에 의한 금속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금속분의 발생에 의한 회전 전기기계의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활주부(30)는 나사(3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활주부(30)의 손상이 진행된 경우는 활주부(30)를 신품과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활주부(30)의 선단에 모따기부(31)가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활주부(30)의 선단이 고정자 철심(16)에 충돌하기 어렵고, 또한, 충돌한 경우에도, 고정자 철심(16)이나 활주부(30)의 선단의 손상이 적게 끝난다. 또한, 회전부의 삽입 작업이 원활히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활주부(30)는 선단 클램퍼(23)에 나사(3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반드시 착탈이 가능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접착제로 부착하여도, 또한, 코팅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고정자 철심(16)의 손상과, 금속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활주부(30)는 고정자 철심(16) 및 코일 엔드(19)보다도 연한 재료라고 하였지만, 회전자(15) 등을 고정자(12) 내에 삽입할 때에 코일 엔드(19)와의 간섭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는, 활주부(30)는 고정자 철심(16)보다도 연한 재료라면 좋다.
[제2의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2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초기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2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종기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기계의 선단 클램퍼(23)의 회전자 철심(21)의 반대측 즉 반부하측에는 내부 팬(40)이 부착되어 있다. 내부 팬(40)은, 회전자 철심(21)의 반대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 팬(40)은, 활주부(30)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고, 게다가 축방향 선단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내부 팬(40)은, 회전자(15)와 함께 회전하고 프레임(11)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서고 냉각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내부 팬(40)을 구비한 회전 전기기계에서도,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자(15) 등을 고정자(12) 내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의 손상과, 금속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내부 팬(40)의 선단을 끝이 가늘게 하였기 때문에, 내부 팬(40)의 선단이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의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3의 실시 형태에서의 내부 팬의 선단 상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입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제2의 실시 형태의 변형으로서, 내부 팬(40)의 외측 선단에 모따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모따기부(41) 주변에 완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42)는,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보다도 연한 재료로 하고, 어느 정도의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열성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수지제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플론(상품명), MC나일론(상품명) 등이 알맞다. 완충부(42)는, 내부 팬(40)의 표면에, 나사 고정이나 접착에 의해 부착하든지, 코팅에 의해 부착시켜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회전자(15) 등을 고정자(12) 내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제2의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의 손상과, 금속분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제4의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 전기기계의 제4의 실시 형태에서의 회전자 삽입 작업의 초기의 회전자 선단 상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입단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는 제1의 실시 형태의 변형이고, 선단 클램퍼(23)의 회전자 철심(21)의 반대측에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안내부(50)가 부착되어 있다. 안내부(50)는, 외주 직경이 활주부(30)의 외주 직경보다도 작은 거의 원통형이고, 선단을 향하고 가늘어져 있다. 안내부(50)는, 나사(32)에 의해, 활주부(30)와 함께 선단 클램퍼(23)에 부착되어 있다.
안내부(50)는, 고정자 철심(16)의 개구(20) 내에 삽입될 때에,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에 당접하여도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를 손상시키진 않도록,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보다도 연한 재료로 하고, 어느 정도의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열성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수지제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플론(상품명), MC나일론(상품명) 등이 알맞다.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안내부(50)가 축방향 선단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자(15) 등을 고정자(12) 내에 삽입할 때에, 고정자(12)의 개구(20)의 표면이나 코일 엔드(19)에 처음에 충돌한 것은, 안내부(50)가 된다. 안내부(50)는 선단을 향하고 가늘어져 있기 때문에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에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회전부의 삽입 작업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가령 접촉하여도, 안내부(50)가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보다도 연한 재료이기 대문에, 이 충돌이 있어도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 철심(16)이나 코일 엔드(19)의 손상에 의한 금속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금속분의 발생에 의한 회전 전기기계의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50)는 활주부(30)와 마찬가지로 나사(3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부(50)의 손상이 진행된 경우는 안내부(50)를 신품과 교환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 형태는, 그 밖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가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면 마찬가지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 전동기
11 : 프레임
12 : 고정자
13 : 축받이
14 : 샤프트
15 : 회전자
16 : 고정자 철심
17 : 고정자 코일
19 : 코일 엔드
20 : 개구
21 : 회전자 철심
22 : 영구자석
23 : 선단 클램퍼
24 : 후단 클램퍼
25 : 체결 볼트
26 : 너트
30 : 활주부
31 : 모따기부
32 : 나사
40 : 내부 팬
41 : 모따기부
42 : 완충부
50 : 안내부
60 : 외부 팬
61 : 팬 커버

Claims (13)

  1.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부착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축받이와,
    상기 회전자의 반경 방향 외측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자의 반경 방향 외측을 둘러싸는 거의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넓어진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고정자 철심을 구비한 고정자와,
    상기 축받이 및 상기 고정자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샤프트에 부착된 상기 회전자를 상기 고정자 철심의 상기 개구에 축방향으로 삽입함에 의해 조립 가능한 회전 전기기계로서,
    상기 회전자는,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넓어진 복수의 강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회전자 철심과,
    상기 회전자 철심 내에 삽입된 복수의 영구자석과,
    상기 회전자 철심을 축방향으로 끼워서 배치되고 각각이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넓어진 평원판형상의 2장의 클램퍼와,
    상기 2장의 클램퍼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걸리도록 배치된 복수의 체결 볼트와,
    상기 2장의 클램퍼 중에서 상기 회전자를 상기 고정자 철심의 상기 개구에 축방향으로 삽입할 때에 먼저 삽입되는 측의 선단 클램퍼에 배치되어, 상기 선단 클램퍼 및 상기 회전자 철심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고정자 철심보다도 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활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상기 선단 클램퍼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상기 선단 클램퍼에 상기 고정자 철심보다도 연한 재료를 코팅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상기 회전자를 상기 고정자 철심의 상기 개구에 축방향으로 삽입할 때에 먼저 삽입되는 측의 선단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클램퍼의 상기 회전자 철심과 반대측의 면에 부착되고, 상기 활주부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 내부 팬을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은, 축방향 선단을 향하여 끝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팬의 축방향 선단의 외주부에 완충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클램퍼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자 철심과 반대측의 축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고정자 철심보다도 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안내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선단 클램퍼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고정자 철심보다도 연한 재료를 코팅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회전자를 상기 고정자 철심의 상기 개구에 축방향으로 삽입할 때에 먼저 삽입되는 측의 선단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기계.
KR1020157030473A 2013-04-25 2013-04-25 회전 전기기계 KR101819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2828 WO2014174552A1 (ja) 2013-04-25 2013-04-25 回転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21A true KR20150133821A (ko) 2015-11-30
KR101819312B1 KR101819312B1 (ko) 2018-01-16

Family

ID=5179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473A KR101819312B1 (ko) 2013-04-25 2013-04-25 회전 전기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89100B2 (ko)
KR (1) KR101819312B1 (ko)
CN (1) CN105191084B (ko)
WO (1) WO2014174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7672B1 (en) * 2017-08-25 2022-02-0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gine & Turbocharger, Ltd. Motor assembling method, centering jig, and electric motor
CN114337160B (zh) * 2021-12-24 2023-08-22 国网河南省电力公司超高压公司 调相机转子穿装辅助工装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1750A (ja) * 1984-11-15 1986-06-09 Fanuc Ltd 同期モ−タにおける回転子溶接方法
JPS61142950A (ja) * 1984-12-15 1986-06-30 Fanuc Ltd 永久磁石界磁回転子
JPS62236343A (ja) * 1986-04-04 1987-10-16 Toshiba Corp 横軸回転子の插入方法
JPS6366081U (ko) * 1986-10-17 1988-05-02
JPH0888955A (ja) * 1994-09-13 1996-04-02 Toyo Electric Mfg Co Ltd 電動機の冷却ファン
JPH10336962A (ja) * 1997-05-26 1998-12-18 Ebara Corp 電動機
JPH11267934A (ja) * 1998-03-20 1999-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片持取付式永久磁石回転電機の挿脱装置
DE10058409A1 (de) * 2000-11-24 2002-05-29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ontage eines Außenläufers
JP4481024B2 (ja) * 2004-01-30 2010-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製造治具および電動機の製造方法
JP3969418B2 (ja) * 2004-10-18 2007-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09207212A (ja) * 2008-02-26 2009-09-10 Nissan Motor Co Ltd モータ/ジェネレータ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CN202309273U (zh) * 2010-07-15 2012-07-04 富士电机株式会社 永磁铁型旋转电机的转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91084B (zh) 2018-06-08
JP6089100B2 (ja) 2017-03-01
WO2014174552A1 (ja) 2014-10-30
CN105191084A (zh) 2015-12-23
KR101819312B1 (ko) 2018-01-16
JPWO2014174552A1 (ja)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4489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including a cylindrical member to provide improved attachment between a rotor core and a drive shaft with a tapered surface fitted to the cylindrical member
US20150162805A1 (en) Rotor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10862381B2 (en) Rotary electrical machine
JP6220651B2 (ja) 同期電動機の回転子
JP6531830B2 (ja) 電動過給機
US11005322B2 (en) Rotor assemblies for axial flux machines
JP2006174554A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のロータ構造
JP6280761B2 (ja) ステータコアおよび永久磁石型モータ
US10027189B2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JPWO2014046101A1 (ja) ステータの固定構造
KR101992818B1 (ko) 모터 구조
JP5573109B2 (ja) 永久磁石式電動機の回転子
US20170179779A1 (en) Rotor laminations having reduced stress magnet stop
US20180123436A1 (en) Permanent magnet rotor and permanent magnet rotary assembly
KR101819312B1 (ko) 회전 전기기계
JP2013207930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構造
JP2020501490A (ja) 回転発電機の改良
JP5883061B2 (ja) 軸受部品の飛散防止部材を備える電動機
JP2013138588A (ja) 永久磁石回転子
US20140154114A1 (en) Switched reluctance mo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9853520B2 (en) Molded motor and air-conditioning outdoor unit
JP2011167007A (ja) 電動機
US20080054754A1 (en) End plate for electric motor
JP2016154407A (ja) アウタロータ型モータ
JP2016029876A (ja) 電動機の回転子、電動機、および電動機を備えた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