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818B1 - 모터 구조 - Google Patents

모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818B1
KR101992818B1 KR1020150034290A KR20150034290A KR101992818B1 KR 101992818 B1 KR101992818 B1 KR 101992818B1 KR 1020150034290 A KR1020150034290 A KR 1020150034290A KR 20150034290 A KR20150034290 A KR 20150034290A KR 101992818 B1 KR101992818 B1 KR 10199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de
side bracket
frame
moto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7654A (ko
Inventor
토시히토 미야시타
마나부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Abstract

모터 구조는, 스테이터 및 로터를 수용하는 프레임과, 출력측 브래킷과, 출력측 베어링과, 상기 프레임의 출력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브래킷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 볼록부가 되는, 상기 출력측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와, 상기 프레임의 반출력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부와, 반출력측 베어링과, 상기 반출력측 베어링을 수용하기 위한 반출력측 브래킷과,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개구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모터 구조 {MOTOR STRUCTURE}
본 개시는, 모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스테이터(고정자)부, 로터(회전자)부, 출력측(부하측) 브래킷, 및 반(反)출력측(반부하측) 브래킷으로 대별할 수 있다. 출력측 및 반출력측의 브래킷은, 하우징부를 갖고 있다. 하우징부는, 출력측 및 반출력측의 베어링을 지지한다. 출력측 및 반출력측의 베어링은, 로터의 회전축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탱한다. 출력측의 베어링은, 부하 하중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손상이 많은 부분이다.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에 관한 기술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843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알루미늄제 모터 브래킷에서는, 모터 회전자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하우징부에, 컵형의 복수의 관통하는 작은 구멍을 갖는 철 부시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0531호에는, 이너 로터 브러시리스 모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모터에서는, 출력측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가 프레임(케이스)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의 일방이 개구되고, 당해 개구측에 케이스 덮개 및 센서 기판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덮개에, 반출력측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84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05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8438호의 기술에 의하면, 알루미늄제의 브래킷에 동일 재질의 컵형 하우징부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강의 경도는 높기 때문에, 베어링의 외륜과 하우징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경도가 낮은 하우징부측에 마모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당해 알루미늄제의 하우징부에 철제 부시를 녹여 주입함으로써, 하우징부의 마모를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를 구비한 브래킷과 프레임은, 별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부와 프레임에 있어서의 로터의 코어 어긋남(예를 들어, 하우징부의 내경의 중심(축심(軸芯))과 프레임의 내경의 중심(축심)이 서로 어긋나는 것)이 발생하기 쉽다. 로터의 코어 어긋남에 의해, 베어링에 과대한 모멘트 하중이 걸리면, 베어링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0531호의 기술에 의하면, 출력측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는, 프레임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프레임에는, 엔코더 등의 장치에 모터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 장착판이 나사 고정된다.
그러나, 모터의 직경 방향 사이즈가 작은 경우, 모터 장착판과 프레임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장소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이 곤란해진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목적은,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와 프레임의 로터 코어 형성(예를 들어, 하우징부의 내경의 중심(축심)과 프레임의 내경의 중심(축심)을 일치 혹은 대략 일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모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목적은, 출력측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의 마모를 방지 혹은 억제하는 것, 및, 모터의 직경 방향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도, 모터 장착판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모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모터 구조는, 스테이터 및 로터를 수용하는 프레임과, 출력측 브래킷과, 출력측 베어링과, 상기 프레임의 출력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브래킷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 볼록부가 되는, 상기 출력측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와, 상기 프레임의 반출력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부와, 반출력측 베어링과, 상기 반출력측 베어링을 수용하기 위한 반출력측 브래킷과,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개구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갖는다.
이 모터 구조에서는, 프레임의 하우징부(제1 끼워맞춤 볼록부)가 출력측 브래킷에 끼워맞춰진다. 또한, 플랜지부의 개구부에 반출력측 브래킷의 볼록부가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이 모터 구조에 의하면,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와 프레임의 로터 코어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출력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력측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력측 베어링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반출력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출력측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후의 사시도이다.
하기의 상세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개시된 실시형태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위해 다양하고 자세한 내용이 명기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실시형태가 이와 같은 구체적인 설명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주지의 구조와 장치들을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에서는, 프레임의 끼워맞춤 볼록부에 출력측 브래킷이 끼워맞춰진다. 또한, 플랜지부의 개구부에 반출력측 브래킷의 볼록부가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부와 프레임의 로터 코어 형성이 용이한 모터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모터 구조의 구성]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력측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력측 베어링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을 반출력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출력측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는, 특히, 작은 직경 방향 사이즈를 갖는 모터에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모터(100)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 프레임(1), 스테이터(도시 생략), 로터(2), 출력측 브래킷(3) 및 반출력측 브래킷(4)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은, 대체로 원통체상의 금속 부재이다. 프레임(1) 내에는, 스테이터(도시 생략) 및 로터(2)를 수용하기 위한 원기둥상의 공간이 구획되어 있다. 즉, 프레임(1)은, 스테이터 및 로터(2)를 수용한다.
프레임(1)의 축방향의 출력측단에는, 출력측 베어링(3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11)의 내외경은, 프레임(1)의 내외경보다 작다. 하우징부(11)는, 출력측 브래킷(3)에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 볼록부(11a)(제1 끼워맞춤 볼록부)로서, 출력측에 돌출되어 있다. 즉, 하우징부(11)은, 프레임(1)의 출력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출력측 브래킷(3)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 볼록부가 된다. 당해 하우징부(11)(끼워맞춤 볼록부(11a))와 프레임(1)의 최외경 원통부(1a) 사이에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오목부(12)는, 프레임(1)에 출력측 브래킷(3)을 끼워맞출 때에 사용된다. 즉, 프레임(1)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오목부(12)는, 프레임(1)과 출력측 브래킷(3)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 위치 결정 구조의 일부이다.
프레임(1)의 축방향의 반출력측단에는,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부(1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3)는, 대체로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플랜지부(13)는, 프레임(1)의 최외경 원통부(1a)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비어져 나와 있다. 플랜지부(13)의 네모서리에는, 장착 구멍(14)이 개구되어 있다. 당해 장착 구멍(14)은, 원호상의 컷아웃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11) 및 플랜지부(13)를 포함하는 프레임(1)은, 철계의 강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즉, 프레임(1)은, 스테이터 코어로서 기능함과 함께, 모터(100)의 자기 회로도 겸하는 구조를 갖는다. 프레임(1)을 철계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강한 부하가 걸리는 출력측 베어링(3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11)의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하우징부(11)의 마모를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 프레임(1)은, 백 요크 코어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프레임(1)은, 자력선을 닫아, 전자 유도 효과를 최대로 한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1)은, 모터의 주변 기기가, 전자 유도에 의한 자계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 혹은 억제한다는 기능도 갖는다. 이와 같이, 프레임(1)은, 백 요크 코어를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의 내경과 출력측 베어링(31)의 동축 정밀도(예를 들어, 스테이터 코어의 내경의 중심(축심)과 출력측 베어링(31)의 중심(축심)의 일치 정밀도)가 향상된다.
로터(2)는, 회전축(21)의 주위에 권회된 코일(22)을 갖는다. 로터(2)는, 프레임(1) 내에 스테이터와 간극을 두고 수용된다.
프레임(1)의 끼워맞춤 볼록부(11a)에는, 출력측 브래킷(3)이 끼워맞춰진다. 즉, 출력측 브래킷(3)의 마주침면에는, 프레임(1)의 끼워맞춤 볼록부(11a)에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 오목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측 브래킷(3)의 프레임(1)과의 접촉면에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볼록부(32)는, 당해 프레임(1)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12)에 걸어맞춰진다. 즉, 위치 결정용 볼록부(32)는, 프레임(1)과 출력측 브래킷(3)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 위치 결정 구조의 일부이다. 출력측 브래킷(3)의 네모서리에는, 후술하는 관통 볼트(7)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대각에 위치하는 2개의 삽입 통과 구멍(33)의 주변에는, 관통 볼트(7)의 헤드부가 착좌하기 위한 좌면(座面)(34)이 형성되어 있다.
출력측 베어링(31)은, 프레임(1)의 하우징부(11) 내에 수용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00)는, 예압 스프링(6)을 갖고 있다. 예압 스프링(6)은, 출력측 베어링(31)과 출력측 브래킷(3)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출력측 베어링(31)과 출력측 브래킷(3) 사이에 예압 스프링(6)을 끼워 넣음으로써, 출력측 베어링(31)에 축방향의 압력이 부여된다.
또한, 예압 스프링(6)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프레임(1)의 하우징부(11) 내에 들어가 있다. 예압량은, 출력측 브래킷(3)의 반출력측의 마주침면의 위치에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예압 스프링(6)을 설정(배치)함으로써, 당해 예압 스프링(6)의 외주부가, 출력측 베어링(31)의 외륜 접합부에 물려 들어간 상태에서 모터(100)를 조립해 버리는 것이 방지 혹은 억제된다.
플랜지부(13)에는, 직사각형 블록상의 반출력측 브래킷(4)이 장착된다. 반출력측 베어링(41)은, 반출력측 브래킷(4)에 수용된다. 반출력측 베어링(41)은, 반출력측 브래킷(4)과 베어링 볼트(5) 사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고정된다. 즉, 모터(100)는, 베어링 볼트(5)를 갖고 있다. 반출력측 베어링(41)은, 베어링 볼트(5)에 의해 반출력측 브래킷(4) 내에 고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3)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3)의 반출력측 브래킷(4)과의 마주침면에는, 끼워맞춤 볼록부(15)(제2 끼워맞춤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15)는, 반출력측 브래킷(4)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15)는, 대각에 위치하는 2개의 장착 구멍(14) 근방의 2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출력측 브래킷(4)의 중앙부에는, 링상 볼록부(4a)가 반출력측 브래킷(4)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링상 볼록부(4a)는, 플랜지부(13)의 원형 개구부(13a)에 끼워맞춰지는 부위이다. 반출력측 브래킷(4)의 플랜지부(13)와의 마주침면에는, 끼워맞춤 오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45)는, 반출력측 브래킷(4)의, 플랜지부(13)의 끼워맞춤 볼록부(15)에 대응하는 2지점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3)의 끼워맞춤 볼록부(15)는, 반출력측 브래킷(4)의 끼워맞춤 오목부(45)에 끼워맞춰진다. 즉, 끼워맞춤 볼록부(15) 및 끼워맞춤 오목부(45)는, 플랜지부(13)와 반출력측 브래킷(4)의 위치 결정을 위한 제2 위치 결정 구조에 포함된다. 반출력측 브래킷(4)의 네모서리에는, 삽입 통과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 구멍(43)에는, 후술하는 관통 볼트(7) 및 장착 볼트(9)가 삽입 통과된다.
프레임(1)의 플랜지부(13)와 반출력측 브래킷(4)을 조립할 때에는, 플랜지부(13)의 원형 개구부(13a)에 반출력측 브래킷(4)의 링상 볼록부(4a)가 끼워맞춰진다. 또한, 반출력측 브래킷(4)의 끼워맞춤 오목부(45)에, 플랜지부(13)의 끼워맞춤 볼록부(15)가 끼워맞춰진다. 이에 의해, 반출력측 브래킷(4)과 플랜지부(13)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반출력측 브래킷(4)의 마주침면에 끼워맞춤 볼록부를 형성하고, 플랜지부(13)의 마주침면에 끼워맞춤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모터(100)는, 2개의 관통 볼트(7)를 갖고 있다. 출력측 브래킷(3)부터 반출력측 브래킷(4)에 이르기까지는, 2개의 관통 볼트(7)에 의해 체결된다. 2개의 관통 볼트(7)는, 출력측 브래킷(3)의 좌면(34)에 당해 관통 볼트(7)의 헤드부가 착좌하도록 삽입 통과된다. 2개의 관통 볼트(7)에 의해, 출력측 브래킷(3), 프레임(1) 및 반출력측 브래킷(4)이 일체적으로 조립된다. 출력측 베어링(31) 및 반출력측 베어링(41)에는, 로터(2)의 회전축(21)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탱된다. 즉, 관통 볼트(7)는, 출력측 브래킷(3)과 반출력측 브래킷(4) 사이에 프레임(1)이 끼워 넣어지도록, 출력측 브래킷(3) 및 반출력측 브래킷(4)에 출력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되어, 출력측 브래킷(3)과 반출력측 브래킷(4)을 체결한다.
[모터 구조의 작용]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에서는, 프레임(1)의 축방향의 출력측단에, 출력측 베어링(3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11)가 프레임(1)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의 하우징부(11)에는, 출력측 베어링(31)이 수용된다.
하우징부(11)는, 출력측 브래킷(3)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볼록부(11a)로서, 출력측에 돌출되어 있다. 당해 하우징부(11)(끼워맞춤 볼록부(11a))에, 출력측 브래킷(3)의 끼워맞춤 오목부(도시 생략)가 끼워맞춰진다. 출력측 브래킷(3)과 프레임(1)의 끼워맞춤시에, 프레임(1)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12)에 출력측 브래킷(3)의 위치 결정용 볼록부(32)가 걸어맞춰진다.
프레임(1)은, 스테이터 코어와 백 요크 코어를 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 내경과 출력측 베어링(31)의 동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1)이, 철계의 강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강한 부하가 걸리는 출력측 베어링(3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11)의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하우징부(11)의 마모를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에 의하면, 출력측 베어링(3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11)의 재질이 고경도이다. 이 때문에, 당해 하우징부(11)의 마모를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출력측 베어링(3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11)와 프레임(1)이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로터 코어 형성을 하기 쉽다.
또한, 출력측 베어링(31)과 출력측 브래킷(3) 사이에 예압 스프링(6)이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출력측 베어링(31)에 축방향의 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는, 프레임(1)의 플랜지부(13)와 반출력측 브래킷(4)의 위치 결정을 위한 구조(제2 위치 결정 구조)를 갖고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플랜지부(13)는, 프레임(1)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출력측 베어링(41)은, 반출력측 브래킷(4)의 하우징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테이터 코어의 내경과 반출력측 베어링(41)의 동축 정밀도(예를 들어, 스테이터 코어의 내경의 중심(축심)과 반출력측 베어링(41)의 중심(축심)의 일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구조는, 간단히 모터(모터(100))라고 표현되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후의 사시도이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 구조는, 모터(100), 모터 장착판(8) 및 장착 볼트(9)를 구비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장착판(8)은, 모터(100)의 출력측 브래킷(3)에 마주치도록 조립된다. 즉, 모터 장착판(8)은, 출력측 브래킷(3)에 마주치도록 배치된다. 모터 장착판(8)의 중앙부에는, 회전축(21)의 출력단을 노출시키기 위한 원형의 개구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개구부(81)에는, 출력측 브래킷(3)의 출력측단면에 형성된 볼록형상 링부(35)가 끼워맞춰진다.
또한, 모터 장착판(8)의 개구부(81) 근방에는, 장착 볼트(9)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82)는, 대각에 위치하는 2개의 삽입 통과 구멍(33)에 대응하도록, 2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모터 장착판(8)의 장착 볼트(9)는, 반출력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된다. 반출력측 브래킷(4)에는, 장착 볼트(9)의 헤드부가 착좌하는 좌면(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반출력측 브래킷(4)에, 모터 장착판(8)의 장착 볼트(9)의 좌면을 배치함으로써, 모터 장착판(8)에 대한 모터(100)의 장착을 반출력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즉, 장착 볼트(9)는, 반출력측 브래킷(4) 및 모터 장착판(8)에 반출력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되어, 반출력측 브래킷(4)(즉, 모터(100))과 모터 장착판(8)을 체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에서는, 모터 장착판(8)에 대한 모터(100)의 장착을 반출력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터 장착판(8)에 대한 모터(100)의 장착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비교예로서, 종래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후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300)와 모터 장착판(308)의 조립 작업은, 당해 모터(300)의 출력측으로부터 행하여진다. 즉, 모터 장착판(308)측으로부터 모터(300)의 출력측단에 장착 볼트(309)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당해 모터 장착판(308)에 장착 볼트(309)의 헤드부가 착좌한다.
그러나, 종래의 모터 장착판의 조립 구조는, 출력측으로부터 조립 작업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모터의 직경 방향 사이즈가 작은 경우, 및/또는, 좁은 장소에 모터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조립 작업의 작업성이 매우 나빴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장착 볼트를 반출력측으로부터 체결 가능한 모터 장착판의 조립 구조(모터 구조)가, 모터의 사용자로부터 요망되고 있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모터 장착판(8)의 조립 구조에서는, 모터 장착판(8)의 장착 작업을 반출력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터 직경 방향 사이즈가 작은 경우, 및/또는, 좁은 장소에 모터를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모터 장착판(8)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이들은, 본 개시의 설명을 위한 예시이며, 본 개시의 기술 범위를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하기 위한 서술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른 여러 양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모터 구조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 구조 및 모터 장착판의 조립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 구조는, 이하의 제1~제8 모터 구조여도 된다.
제1 모터 구조는, 프레임, 스테이터, 로터, 출력측 브래킷, 및 반출력측 브래킷을 구비하는 모터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의 출력측단에, 출력측 베어링의 하우징부를 일체 형성함과 함께, 당해 하우징부의 외경을 끼워맞춤 볼록부로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반출력측단에,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부를 일체 형성함과 함께, 반출력측 베어링을 수용하기 위한 반출력측 브래킷에, 상기 플랜지부의 개구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일체 형성하고,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에 상기 출력측 브래킷을 끼워맞춤과 함께, 상기 플랜지부의 개구부에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의 볼록부를 끼워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모터 구조는, 제1 모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와 상기 출력측 브래킷은,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모터 구조는, 제1 혹은 제2 모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베어링과 상기 출력측 브래킷 사이에 예압 스프링을 끼워 넣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모터 구조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은,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모터 구조는, 제1~제4 중 어느 하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출력측 베어링은, 베어링 볼트에 의해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모터 구조는, 제1~제5 중 어느 하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에 상기 출력측 브래킷을 끼워맞춤과 함께,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을 마주치게 하여, 상기 플랜지부의 개구부에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의 볼록부를 끼워맞추고, 상기 출력측 브래킷과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 사이에 상기 프레임을 끼워 넣고, 출력측으로부터 관통 볼트를 삽입 통과시켜 체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모터 구조는, 제1~제6 중 어느 하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철계의 강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모터 구조는, 제1~제7 중 어느 하나의 모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에 모터 장착판의 장착 볼트의 좌면을 형성하고, 반출력측으로부터 상기 장착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모터 장착판에 모터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상세설명은 사례를 설명하고 상세묘사를 위하여 제시되었다. 상기 제시된 내용에 입각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한 대상은 포괄적으로 설명하거나 혹은 개시된 명확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의도하지는 않았다. 대상은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행위에 있어서 구체적인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대상은 상기 설명된 구체적인 구조 또는 행위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상기 설명된 구체적 구조와 행위는 첨부된 청구항을 실행하기 위한 예시형태로 개시되었다.

Claims (10)

  1. 스테이터 및 로터를 수용하는 프레임과,
    출력측 브래킷과,
    출력측 베어링과,
    상기 프레임의 출력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출력측 브래킷에 끼워맞춰지는 제1 끼워맞춤 볼록부가 되는, 상기 출력측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부와,
    상기 프레임의 반출력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플랜지부와,
    반출력측 베어링과,
    상기 반출력측 베어링을 수용하기 위한 반출력측 브래킷과,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개구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갖는 모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출력측 브래킷의 위치 결정을 위한 제1 위치 결정 구조를 더 갖는 모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결정 구조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오목부와,
    상기 출력측 브래킷의 상기 프레임과의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 결정용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를 갖는 모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베어링과 상기 출력측 브래킷 사이에 끼워 넣어진 예압 스프링을 더 갖고 있는 모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의 위치 결정을 위한 제2 위치 결정 구조를 더 갖는 모터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결정 구조는,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의 상기 플랜지부와의 마주침면에 형성된 끼워맞춤 오목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과의 마주침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 볼록부를 갖는 모터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볼트를 더 갖고 있고,
    상기 반출력측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볼트에 의해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 내에 고정되는 모터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브래킷과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 사이에 상기 프레임이 끼워 넣어지도록, 상기 출력측 브래킷 및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에 출력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되어, 상기 출력측 브래킷과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을 체결하는 관통 볼트를 더 구비하고 있는 모터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철계의 강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모터 구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브래킷에 마주치도록 배치되는 모터 장착판과,
    장착 볼트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이 상기 장착 볼트의 좌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장착 볼트가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 및 상기 모터 장착판에 반출력측으로부터 삽입 통과되어, 상기 반출력측 브래킷과 상기 모터 장착판을 체결하는 모터 구조.
KR1020150034290A 2014-03-14 2015-03-12 모터 구조 KR101992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2708A JP6316035B2 (ja) 2014-03-14 2014-03-14 モータ構造
JPJP-P-2014-052708 2014-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654A KR20150107654A (ko) 2015-09-23
KR101992818B1 true KR101992818B1 (ko) 2019-06-25

Family

ID=5407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290A KR101992818B1 (ko) 2014-03-14 2015-03-12 모터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99889B2 (ko)
JP (1) JP6316035B2 (ko)
KR (1) KR101992818B1 (ko)
CN (1) CN104917325B (ko)
TW (1) TWI6870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0346B1 (ja) * 2016-01-15 2016-09-14 山洋電気株式会社 モータ
TWM546630U (zh) * 2017-03-21 2017-08-01 Szu-Ying Lee 固定座一體式之中空馬達
EP3645915B1 (en) * 2017-06-28 2021-04-07 Linak A/S Linear actuator
DE102018121058A1 (de) * 2018-08-29 2020-03-05 Wabco Gmbh Kompressoraggregat, Druckluftversorgungssystem,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mit einem Druckluftversorgungssystem
JP6830996B1 (ja) * 2019-12-26 2021-02-17 山洋電気株式会社 同期電動機のフレーム構造並びにフレーム及び電機子の製造方法
KR20220142716A (ko) * 2021-04-15 2022-10-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US20240116173A1 (en) * 2022-10-07 2024-04-11 Kubota Corporation Robotic arm mount assembly including rack and pin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7733A1 (en) * 2005-06-29 2008-08-21 Hans-Juergen Oberle Electric Motor and Transmission Drive Unit For Actuators In A Motor Vehicle
US20110169362A1 (en) * 2010-01-08 2011-07-14 Maxon Motor Ag Connection module for dc motors
US20110187215A1 (en) * 2010-02-02 2011-08-04 Asmo Co., Ltd. Dynamo-electric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80297A (ko) * 1943-06-30 1900-01-01
US2774026A (en) * 1953-07-31 1956-12-11 Northrop Aircraft Inc Digital servomotor
US3599024A (en) * 1968-10-08 1971-08-10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mb-shaped pole-type dynamoelectric machines
JPS53114007U (ko) * 1977-02-18 1978-09-11
JPS53114007A (en) 1977-03-15 1978-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Special cage induction motor
JPH02107278U (ko) * 1989-02-14 1990-08-27
JPH0638438A (ja) 1992-07-13 1994-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ブラケット
JP3466295B2 (ja) * 1994-09-26 2003-11-10 先生精機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3014812U (ja) * 1995-02-16 1995-08-22 国産電機株式会社 モータ
JP3262716B2 (ja) * 1996-08-02 2002-03-04 山洋電気株式会社 モールド型モータ
KR200170580Y1 (ko) * 1997-10-07 2000-03-02 전주범 가스보일러용 팬의 구동모터구조
JPH11332166A (ja) * 1998-03-19 1999-11-30 Toshiba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枠
JP3563650B2 (ja) * 1999-10-25 2004-09-0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回転電機
JP4022731B2 (ja) * 2002-04-23 2007-12-19 日本精工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TWI283103B (en) * 2004-02-06 2007-06-21 Yamaha Motor Co Ltd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ally driven vehicle
JP2009100531A (ja) 2007-10-16 2009-05-07 Mabuchi Motor Co Ltd インナーロータ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94771A (ko) * 2011-02-17 2012-08-27 한라공조주식회사 내전형 bldc 모터
JP6148509B2 (ja) * 2013-03-22 2017-06-14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減速機付モ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7733A1 (en) * 2005-06-29 2008-08-21 Hans-Juergen Oberle Electric Motor and Transmission Drive Unit For Actuators In A Motor Vehicle
US20110169362A1 (en) * 2010-01-08 2011-07-14 Maxon Motor Ag Connection module for dc motors
US20110187215A1 (en) * 2010-02-02 2011-08-04 Asmo Co., Ltd. Dynamo-electric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77653A (ja) 2015-10-05
TW201535940A (zh) 2015-09-16
CN104917325A (zh) 2015-09-16
US20150263582A1 (en) 2015-09-17
US9899889B2 (en) 2018-02-20
TWI687028B (zh) 2020-03-01
CN104917325B (zh) 2019-06-21
KR20150107654A (ko) 2015-09-23
JP6316035B2 (ja)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818B1 (ko) 모터 구조
US10749402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US9856943B2 (en) Reduction motor
JP5840151B2 (ja) 回転電機
US9166457B2 (en) Rota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reduction device with common rotating shaft
US20080247689A1 (en) Motor
US9300174B2 (en) Stator-core fixing structure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KR20120089599A (ko) 회전 장치
WO2014170940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回転電機のロータ保持構造
WO2017013920A1 (ja) 電動モータ
US11303168B2 (en) Rotor of rotary electric machine
US9190884B2 (en) Electric actuator
JP2006038808A (ja) レゾルバのステータ固定構造
WO2019111879A1 (ja) モータ付きギアシステム
EP3457541A1 (en) Drive device
EP3457540A1 (en) Drive device
JP2009183058A (ja) ステータコアの固定方法、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50133821A (ko) 회전 전기기계
JP2006280042A (ja) 回転装置
KR20160076730A (ko)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모터
JP201105138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254495B1 (ko) 모터
CN114402507A (zh) 转子
JP2016154407A (ja) アウタロータ型モータ
JP2019176668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