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357A -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357A
KR20150128357A KR1020140055642A KR20140055642A KR20150128357A KR 20150128357 A KR20150128357 A KR 20150128357A KR 1020140055642 A KR1020140055642 A KR 1020140055642A KR 20140055642 A KR20140055642 A KR 20140055642A KR 20150128357 A KR20150128357 A KR 20150128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connection
terminal
vehicle
bluetooth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925B1 (ko
Inventor
예성수
김지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925B1/ko
Priority to US14/507,279 priority patent/US9451549B2/en
Publication of KR20150128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357A/ko
Priority to US14/987,431 priority patent/US948002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ACC OFF) 단계,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상기 블루투스 연결의 연결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의 전송 후,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상기 시간 동안 대기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해제 명령에 응답하는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의 수신 여부의 판단결과,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sleep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CONNECTION}
본 발명은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시 발생하는 전원의 변동에 대하여 단말에 정확하고 안정된 연결 또는 해제 정보를 제공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 중 통화는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의 손을 자유롭게 하여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 통화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폰을 홀더에 거치시키는 유선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휴대폰을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둔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블루투스는 IEEE 802.15.1 규격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서, 약 10m 내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기, 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폰, 헤드셋, PDA, 프린터, 마우스, 키보드 등의 전자기기들이 상호간에 저비용,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블루투스 핸즈프리는 페어링(pairing)된 휴대폰이나 MP3플레이어에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또한 휴대폰 통화 기능의 이용 시에는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휴대폰으로 전송해준다.
종래의 블루투스의 스팩은 연결에 대한 요청이 오면 연결을 해제하고 연결 해제 요청이 오면 연결을 해제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사양에 근거하여 대부분의 블루투스의 연결성은 한쪽 디바이스의 오류로 인해서 연결이 해제되면 연결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가 되어 다시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블루투스 기술이 차량에 적용되는 과정에서도 이러한 연결 안됨 및 연결 끊어짐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는 차량 고객의 불만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시동에 따라 블루투스의 안정적인 연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복적인 블루투스 연결 해제 및 연결을 배제하고 블루투스 연결 해제시에 연결 해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여 안정화된 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ACC OFF) 단계,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상기 블루투스 연결의 연결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의 전송 후,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상기 시간 동안 대기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해제 명령에 응답하는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의 수신 여부의 판단결과,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sleep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수신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캔 네트워크(CAN network)가 셧 다운(shut down)되는 시간 또는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상기 단말과의 상기 블루투스 연결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시스템이 리부팅되는 단계, 상기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인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과 단말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시도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이 아닌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과 단말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시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리부팅 전에 연결된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과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의 해제 동작이 안정적으로 완료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에 따라 블루투스의 안정적인 연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복적인 블루투스 연결 해제 및 연결을 배제하고 블루투스 연결 해제시에 연결 해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여 안정화된 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에서, ACC Off 시 블루투스 연결 해제 명령 전송 및 5초 대기 후 헤드 유닛이 Sleep 모드에 진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에서, 헤드 유닛의 리부팅시 10초 대기 후에 자동 연결을 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통신, 특히 차량과 단말 간의 블루투스는 무선 통신의 특성상 연결과 끊어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연결 및 해제의 동작은 문제가 없으나,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무선 통신의 한계 또는 차량과 단말 간에 발생하는 통신 문제로 인해서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 되어 단말의 제어나 사용이 제한되면, 차량의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고, 단말 또는 차량의 통신 모듈의 고장으로 인식하게 되어 사용 불만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블루투스 스팩에는 차량용으로 별도로 개발되거나 관리되는 사양이 정해져 있지 않고, 차량의 전원과 관련하여 어떻게 동작하고 설계가 되어야 하는지 확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블루투스 기술이 차량에 적용되면서 일반적인 전자장치와 달리,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음 차량의 시동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을 이용하므로, ACC ON 및 OFF의 순간과 같이 순간적으로 차량의 배터리(battery) 전원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에, 블루투스 연결에 대한 처리 또는 안정화 방법에 대한 사양이 정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차량의 ACC ON 및 OFF에 대하여 블루투스 연결 및 연결의 관리 등의 일련의 연결 관리 프로세스를 통하여 차량과 단말 간의 안정된 블루투스 연결을 유지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차량은 단말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장치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헤드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에서, ACC Off 시 블루투스 연결 해제 명령 전송 및 5초 대기 후 헤드 유닛이 Sleep 모드에 진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블루투스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독립적인 디바이스를 연결 하는 것이다. 특히, 차량의 입장에서 블루투스 연결의 대상이 되는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의 성능은 예측이 불가능하고, 반복되는 연결 또는 해제의 요청에 대해서 해당 단말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수행 시간이 필요한지 또는 반복되는 연결 또는 해제 요청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대응이 가능한지 예측하기가 어렵다.
실제로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을 구비하는 헤드 유닛의 전원을 끊을 경우(예를 들어, ACC OFF), 많은 단말에서는 여전히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태로 판단하여 해당 블루투스 연결에 대한 링크를 점유하기 때문에 차량에서도 폰에서도 다른 새로운 장치로 연결함에 있어서 링크의 점유가 방해가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기존의 차량과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 및 관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 링크의 점유가 일정시간 동안 계속해서 유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방법에서는 차량 시동의 ACC OFF 시(S110), 현재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시스템에 블루투스를 통해서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후, S1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 차량과 블루투스를 통해서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으로부터 블루투스 연결의 해제에 관한 명령을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S130).
이후, 차량의 블루투스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한다(S140). 여기서,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은 차량 사용자의 ACC OFF 동작에 따른 차량에 구비된 캔 네트워크(CAN network)가 셧 다운(shut down)되는 시간일 수 있고, 또한, 해당 대기 시간 동안 블루투스 시스템은 S130 단계에서 판단된 블루투스 연결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경우 차량의 블루투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5초 동안 대기 모드로 대기할 수 있다.
이후, S140 단계의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 후, 차량의 블루투스 시스템은 단말로부터 S130 단계에서 전송된 연결 해제 명령에 응답하는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이후, S150 단계에서의 수신 여부의 판단결과,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가 해당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차량의 블루투스 시스템은 sleep 모드로 진입한다(S160).
이와 달리 S150 단계에서의 수신 여부의 판단결과,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S130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과 차량의 블루투스 연결이 정상적인 종료 프로세스(연결해제 요청 및 응답)를 거쳐 종료하기 때문에, 이후 차량과 단말은 블루투스 연결시 이전 연결의 비 정상적인 종료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연결 안됨 및 끊김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에서, 헤드 유닛의 리부팅시 10초 대기 후에 자동 연결을 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의 베터리 노후 등으로 인해 시동시(ACC ON) 베터리 레벨이 떨어지는 경우 또는 헤드 유닛 자체의 오류로 인해 헤드 유닛이 리셋될 경우 차량용 블루투스 시스템을 구비하는 헤드 유닛이 리부팅될 수 있다(S210).
기존의 차량과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 및 관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헤드 유닛의 리부팅 후, 블루투스 자동연결이 바로 실행되고, 그 결과 중복되는 블루투스 연결의 요청에 따라 단말의 오동작 또는 블루투스 연결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방법에서는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시스템이 리부팅되는 경우(S210), 해당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S210 단계에서 헤드 유닛의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인 경우, 차량의 블루투스 시스템과 단말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시도된다(S240).
그러나 S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S210 단계에서 헤드 유닛의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이 아닌 경우, 차량의 블루투스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한다(S230). 여기서, 여기서,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은 S210 단계의 리부팅 전에 연결된 블루투스 시스템과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의 해제 동작이 안정적으로 완료되는 시간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차량의 블루투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10초 동안 대기 모드로 대기할 수 있다.
이후, S230 단계의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차량의 블루투스 시스템과 해당 단말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시도된다(S240).
이와 같이, 블루투스 시스템이 리부팅 되었을 때, 블루투스 연결의 자동 연결이 바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0초)의 대기 동작 후, 자동 연결이 실행되기 때문에, 차량의 헤드 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블루투스 연결에 관련된 연결요청의 중복으로 인한 단말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의 ACC OFF 또는 ACC ON 시 블루투스 연결의 안정적인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복적인 연결해제 또는 연결의 반복을 배제할 수 있고, 블루투스 연결의 해제시, 연결 해제에 관한 정확한 연결 해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여 이후에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에 있어서 안정화된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laims (5)

  1.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ACC OFF) 단계;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상기 블루투스 연결의 연결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의 전송 후,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상기 시간 동안 대기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해제 명령에 응답하는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의 수신 여부의 판단결과,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sleep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수신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연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연결 해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캔 네트워크(CAN network)가 셧 다운(shut down)되는 시간 또는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상기 단말과의 상기 블루투스 연결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4. 차량에 구비된 블루투스 시스템이 리부팅되는 단계;
    상기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인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과 단말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시도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리부팅이 정상적인 리부팅이 아닌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과 단말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시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리부팅 전에 연결된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과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연결의 해제 동작이 안정적으로 완료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KR1020140055642A 2014-05-09 2014-05-09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KR10158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42A KR101583925B1 (ko) 2014-05-09 2014-05-09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US14/507,279 US9451549B2 (en) 2014-05-09 2014-10-06 Method for controlling a bluetooth connection
US14/987,431 US9480020B2 (en) 2014-05-09 2016-01-04 Method for controlling a bluetooth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42A KR101583925B1 (ko) 2014-05-09 2014-05-09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57A true KR20150128357A (ko) 2015-11-18
KR101583925B1 KR101583925B1 (ko) 2016-01-08

Family

ID=5436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642A KR101583925B1 (ko) 2014-05-09 2014-05-09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451549B2 (ko)
KR (1) KR101583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4097B2 (en) 2017-03-02 2019-06-04 Abov Semiconductor Co., Ltd. Method of connecting multiple apparatuses using low-power bluetooth
KR20230077439A (ko) *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원드롭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8758B2 (ja) * 2015-02-03 2018-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機
CN105611649A (zh) * 2015-12-30 2016-05-25 深圳市鼎芯东方科技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中蓝牙自动配对与解除的方法及装置
US9948643B2 (en) * 2016-01-05 2018-04-17 Xevo Inc. Connection management of smart devices with automobile head unit
CN106211361B (zh) * 2016-08-01 2020-01-1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蓝牙兼容处理方法及系统
US10951651B1 (en) 2017-10-30 2021-03-16 EMC IP Holding Company LLC Container life cycle management with retention rate adjustment based on detected anomalies
US10791144B1 (en) * 2017-10-30 2020-09-29 EMC IP Holding Company LLC Container life cycle management with honeypot service
US11134098B1 (en) 2017-10-30 2021-09-28 EMC IP Holding Company LLC Container life cycle management with session dilution time
CN108377484B (zh) * 2018-02-01 2021-06-0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控制器功耗控制方法和装置
CN109144029A (zh) * 2018-08-24 2019-01-04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can总线的局部休眠唤醒的方法及系统
CN110139260A (zh) * 2019-05-21 2019-08-16 深圳云里物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通信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13665498A (zh) * 2020-05-15 2021-11-1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蓄电池防馈电系统和蓄电池防馈电系统的控制方法
CN113613200B (zh) * 2021-07-30 2024-04-16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控制方法、系统及汽车
CN115226028B (zh) * 2021-10-08 2023-12-2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蓝牙连接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127A (ko) * 2006-03-31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22465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 복구 방법
KR20130052862A (ko) * 2011-11-14 2013-05-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2230A (ko) * 2012-10-23 201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내 휴대 단말 기기 방치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6710B2 (en) 2001-07-31 2006-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optimized request response communication protocol with timer mechanism to enforce client to generate request
US7079015B2 (en) 2003-06-24 2006-07-18 Ford Motor Company System for connecting wireless devices to a vehicle
WO2005069675A1 (ja) 2004-01-20 2005-07-28 Omron Corporation 運転中における電話使用時の電話対策装置及び電話対策方法
JP4225222B2 (ja) 2004-03-15 2009-0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JP2005286827A (ja) 2004-03-30 2005-10-13 Denso Corp ハンズフリー装置
JP4534904B2 (ja) 2004-10-21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ブルートゥース無線機、近距離無線通信機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34661B1 (ko) 2006-08-0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의 이동 통신 단말 자동 연결 방법및 장치
KR100936136B1 (ko) 2007-12-05 2010-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시스템의 연결 제어방법
KR20100066949A (ko) 2008-12-10 201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기기 및 그의 신호보정방법
JP5062210B2 (ja) 2009-03-26 2012-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メール操作装置
JP5275928B2 (ja) 2009-07-07 2013-08-28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
JP5011424B2 (ja) * 2009-08-06 2012-08-2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載端末装置及び車載端末装置用の無線接続プログラム
US20110177780A1 (en) 2010-01-15 2011-07-21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10114042A (ko) 2010-04-12 2011-10-19 (주) 지.티 텔레콤 마운팅형 송수신 블루투스유니트
JP5472002B2 (ja) 2010-05-17 2014-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
KR101623477B1 (ko) 2010-08-19 2016-06-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12204845A (ja) 2011-03-23 2012-10-22 Denso Corp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KR20130019916A (ko) 2011-08-18 2013-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1998A (ko) 2011-08-24 2013-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시동 시 블루투스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유지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방법
JP6074257B2 (ja) 2012-12-26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03368573U (zh) 2013-07-26 2013-12-25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车载装置与手机终端自动匹配的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127A (ko) * 2006-03-31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22465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의 상태 복구 방법
KR20130052862A (ko) * 2011-11-14 2013-05-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52230A (ko) * 2012-10-23 2014-05-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내 휴대 단말 기기 방치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4097B2 (en) 2017-03-02 2019-06-04 Abov Semiconductor Co., Ltd. Method of connecting multiple apparatuses using low-power bluetooth
KR20230077439A (ko) *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원드롭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0020B2 (en) 2016-10-25
US20160119878A1 (en) 2016-04-28
US9451549B2 (en) 2016-09-20
US20150327173A1 (en) 2015-11-12
KR101583925B1 (ko)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925B1 (ko)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US8761673B2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9680986B2 (en) Automatically disabling the on-screen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JP5273214B2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KR101543161B1 (ko)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JP5585545B2 (ja) 近距離通信システム、車両用機器および携帯通信端末
US9106309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vehic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S20070129116A1 (en) On-vehicle hands-free device and system
US9241363B2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JP2007281652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プロファイル検出方法
US952596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Bluetooth connection
CN107835518B (zh) 选择性连接和搜索蓝牙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4496911B2 (ja) 無線通信装置
KR20080104835A (ko) 휴대형 전자기기와 충전기 및 이들을 이용한 휴대형전자기기의 자동 동기화 방법
KR102410941B1 (ko) 차량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67278B1 (ko)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KR20130021998A (ko) 차량 시동 시 블루투스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유지하는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45525A (ko) 근거리 네트워크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491381B1 (ko) 블루투스 연결 제어방법
KR101551152B1 (ko)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CN112954657B (zh) 一种基于蓝牙的处理信息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JP5459428B2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KR20230103307A (ko) 차량 접속 장치의 핸즈프리 자동 재접속 방법
KR20100021942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41242A (ja) 通信切替システム、通信切替方法および通信切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