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439A -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439A
KR20230077439A KR1020210164707A KR20210164707A KR20230077439A KR 20230077439 A KR20230077439 A KR 20230077439A KR 1020210164707 A KR1020210164707 A KR 1020210164707A KR 20210164707 A KR20210164707 A KR 20210164707A KR 20230077439 A KR20230077439 A KR 20230077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meter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584B1 (ko
Inventor
최훈기
장성우
이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드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드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드롭
Priority to KR102021016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584B1/ko
Priority to EP22200879.9A priority patent/EP4187850B1/en
Priority to US18/056,828 priority patent/US20230164879A1/en
Publication of KR2023007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다수의 통신단말기가 특정 측정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안정적으로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는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은 특정 측정기와 무선 연결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통신단말기가 특정 측정기와 무선 연결을 시도할 때, 먼저 무선 연결된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새로운 통신단말기와 특정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MANAGING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ECKING DEVICE}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장착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블루투스 통신모듈은 버전에 따라 1:7 또는 1:15까지 동시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장치의 용도에 따라 특정 장치는 1:1로만 연결되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먼저 연결된 무선 연결이 존재할 경우, 다른 장치가 무선 연결을 시도할 경우 기존 연결을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연결을 구축할 것인지 관리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050호
본 명세서는 다수의 통신단말기가 특정 측정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안정적으로 연결 및 해제할 수 있는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은, (a) 제어부가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이하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b) 제어부가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c)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시작 시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추가 업데이트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측정 시작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동 시간의 경과 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전인 경우,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불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측정 시작 시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게 더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 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 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제어부가 상기 특정 측정기와 연결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인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단말기가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포함되었을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마스터 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승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승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 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 할 때,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강제 종료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강제 종료 허용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각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성되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는,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이하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이하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먼저 연결된 통신단말기의 무선 연결을 안전하게 해제한 후 다음 통신단말기의 무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먼저 연결된 통신단말기를 통해 측정기가 사용 중인 경우에는 다른 통신단말기가 연결되지 않게 관리하여, 측정기의 안정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리스트에 미리 등록된 통신단말기만 측정기와 연결이 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자 권한이 있는 마스터 통신단말기를 통해 측정기와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진단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증폭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구성한 블럭도이다.
도 3은 튜브의 색상이 변화한 예시도이다.
도 4는 튜브 색상에 따른 결과 해석의 예시표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진단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진단시스템(10)은 검사기기(200) 및 통신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기기(200)는 호흡기에서 채취한 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이다. 상기 검사기기(200)는 분자진단장비이거나 항원진단장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검사기기(200)의 일 예로 분자진단방법을 통해 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측정기(200)를 제시한다. 분자진단방법이란 유전자 증폭 기술을 통해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사람의 검체(타액, 혈액 등)에서 DNA 혹은 RNA를 추출한 후 증폭하여 질병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유전자 증폭 방법에 따라 PCR, RT-PCR, 고리매개 등온증폭법(LAMP) 등 다양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감염 의심 환자의 비인두 또는 비강에서 채취한 샘플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유전자(S gene, N gene)를 고리매개 등온증폭법(LAMP)으로 정성하여 감염 여부를 측정하는 측정기(200)를 예시로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예시에 의해 검사기기가 분자진단 또는 LAMP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200)를 사용하여 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검사 키트(kit)가 필요할 수 있다. 검사 키트란, 검사에 필요한 도구, 시약 및 소모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파우치(100)에 밀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왑(110), 샘플 튜브(120),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왑(110), 샘플 튜브(120),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는 피검사자 1인에게 1회 사용을 목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검사 및 반복 검사를 위해서 상기 스왑(110), 샘플 튜브(120),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는 매 검사마다 새로운 구성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왑(110), 샘플 튜브(120),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는 멸균 상태로 제작되고, 파우치(100)에 밀봉되어 유통될 수 있다.
상기 스왑(110)은 피검사자가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도구(샘플채취도구)이다. 상기 스왑(110)의 길이 및 두께는 검체를 채취하기에 적합한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샘플 튜브(120)는 핵산 추출용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산 추출용 용액은 완충 용액,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코스모트로픽 염 및 지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산 추출용 용액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용액은 Tris-버퍼액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 용액은 pH 8 내지 pH 9, 또는 pH 8.3 내지 pH 8.6의 Tris-HCl일 수 있다. 상기 완충 용액의 농도는 1.0 mM 내지 2 mM일 수 있다.
상기 핵산 추출용 용액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Tween형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Tween 20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0.05 vol% 내지 0.5 vol% 또는 0.07 vol% 내지 0.2 vol%일 수 있다.
상기 핵산 추출용 용액에 있어서, 상기 코스모트로픽 염은 황산암모늄, 염화칼륨 및 황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스모트로픽 염은 황산암모늄, 염화칼륨 및 황산마그네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황산암모늄의 농도는 5 mM 내지 20 mM, 또는 7.5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화칼륨의 농도는 20 mM 내지 100 mM, 또는 40 mM 내지 60 mM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황산 마그네슘의 농도는 3 mM 내지 10 mM, 또는 4 mM 내지 8 mM일 수 있다.
상기 핵산 추출용 용액에 있어서, 상기 지시제는 Cresol RED 및 Phenol RE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지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핵산 추출용 용액은 구아니딘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산 추출용 용액이 구아니딘을 더 포함하는 경우, 이의 농도는 10 mM 내지 80 mM, 또는 30 mM 내지 50 mM일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는 고리매개 등온증폭법(Loop-mediated isothermal amplication, LAMP)을 위한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튜브(130)에 포함된 프라이머와 상기 컨트롤 튜브(140)에 포함된 프라이머는 서로 다른 프라이머이다. 상기 테스트 튜브(130)에 포함된 프라이머는 감염 여부 확인 대상인 바이러스의 핵산을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이고, 상기 컨트롤 튜브(140)에 포함된 프라이머는 일반적인 사람에게서 채취될 수 있는 핵산을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이다.
또한,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에는 0.1~1νM Primer mix, 32KU/T Bst polymerase, 12.5mU/T RNase inhibitor, 20~200uM dNTPs, 20νg/T BSA, 1.2νg/T Trehalose, 1.6νg Sample buffer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정기(200)는 상기 통신단말기(300)와 통신하며 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200)는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뚜껑을 열었을 때 내부에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는 구별을 쉽게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모양(예: 원통형과 사각통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측정기(200) 내부 역시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의 모양에 대응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기(200)는 고리매개 등온증폭법(LAMP)을 이용하여 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바, 고리매개 등온증폭법(LAMP)에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증폭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구성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200)는 측정기제어부(210), 측정부(220), 통신부(230), 표시부(240), 가열부(250) 및 전원 공급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제어부(210)는 고리매개 등온증폭법(LAMP)을 이용하여 검체에 대한 검사 수행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제어부(210)는 상기 측정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면, 상기 각 구성 요소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필요한 연산, 저장, 처리 등의 프로세싱이 가능하다.
상기 측정부(220)는 검체에 대한 검사 수행 절차에 따라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후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핵산의 유무에 따라 핵산이 증폭되면서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에 포함된 용액의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20)는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의 색상을 측정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210)에게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부(220)는 스펙트럼센서(221) 및/또는 광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30)는 상기 측정기(200)와 상기 통신단말기(3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30)는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부(23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측정기(200)의 상태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측정기(200)의 외부 정면에 설치된 2개의 LED일 수 있다. 제1 LED는 상기 측정기(200)와 상기 통신단말기(300) 사이의 통신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LED는 상기 측정기(200)가 충전 상태, 정상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50)는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50)는 상기 측정기제어부(2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260)로부터 전력을 받아서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코일(coil)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미리 설정된 온도로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상기 컨트롤 튜브(140)를 가열할 수 있도록 길이 및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부(250)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제어부(210)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출력된 온도 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60)는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2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260)는 전원단자(261) 및 배터리(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62)는 1차 전지 및 2차 전지 모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262)는 2차 전지이다. 상기 전원단자(261)는 외부 전력 공급원(예: 상용 전력망, 충전용 배터리 등)과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일 예로, 상기 전원단자는 USB 입출력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60)는 상기 전원단자(261)를 통해 인가된 전력으로 상기 배터리(262)를 충전시킬 수 있다. 검체에 대한 검사 수행을 위해 상기 배터리(262)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단자(261)로부터 직접 전력을 받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통신단말기(300)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통신단말기(300)는 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단말기(300) 역시 상기 측정기(200)의 통신부(23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통신단말기(300)에 포함된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측정기(200)의 통신부(230)의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모듈인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기(200)와 상기 통신단말기(300)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겠다. 한편, 상기 통신단말기(300)는 상기 측정기(200) 외 다른 통신단말기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또는 외부 서버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단말기(300)의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200)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이때, 상기 측정기(200)에 포함된 배터리는 완전 충전된 상태이며, 상기 평가 장치(300)에는 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먼저, 측정기(200)의 정면에 위치한 (전원)버튼을 눌러서 전원을 켤 수 있다. 그리고 평가 장치(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측정기(200)와 평가 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검사자는 스왑(110)을 코 안쪽 비인두(nasopharnx)까지 밀어넣어 샘플을 채취할 수 있다. 샘플 채취가 끝난 스왑(110)을 상기 샘플 튜브(120)에 넣고 약 20~30 회 정도 충분히 흔들어서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샘플 튜브(120)를 충분히 흔들어서 혼합된 검체를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에 미리 설정된 양(예: 50ul)을 넣을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를 상기 측정기(200)에 각각 자리에 장착하고, 상기 측정기(200)의 뚜겅을 닫는다. 상기 측정기(200)의 뚜껑이 닫히면, 미리 설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가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전체 시간 중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상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평가 장치(300)의 화면에는 구동 완료 화면으로 전환되며, 화면에는 판독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기(200)의 측정부(220)는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의 색상 변화에 대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20)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측정기제어부(210)의 메모리(211)에 저장될 수 있으면, 상기 측정기제어부(210)는 상기 메모리(211)에 저장된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230)를 통해 상기 평가 장치(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장치(300)는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의 색상 변화에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염 여부에 대한 결과를 판정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튜브의 색상이 변화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튜브 내 용액이 노란색이고, 도 3의 (b)를 참조하면 튜브 내 용액이 빨간색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에는 pH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약이 포함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예시에서 "노란색"은 검출 대상 핵산이 포함된 "양성"을 의미하고, "빨간색"은 검출 대상 핵산이 포함되지 않은 "음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튜브 색상에 따른 결과 해석의 예시표이다.
도 4의 표를 참조하면, 컨트롤 튜브가 노란색으로 측정된 경우 샘플 추출이 잘 되었으며, LAMP 반응 역시 잘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 컨트롤 튜브가 빨간색으로 측정된 경우 샘플 추출이 잘 안 되었거나, LAMP 반응 잘 이루어진 것으로서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검사 무효로서 재검사가 권장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튜브가 노란색이며 테스트 튜브가 노란색이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이다. 즉, 피검자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자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 컨트롤 튜브가 노란색이며 테스트 튜브가 빨간색이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것이다. 즉, 피검자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미감염자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튜브(130) 및 컨트롤 튜브(140)에 포함되는 시약의 종류에 따라 색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 따른 진단시스템을 이용하여 감염여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기(200)와 통신단말기(300) 사이의 무선 연결이 필요하다. 다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는 측정기(200)와 통신단말기(300)가 1:1로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한 경우이다. 사용 환경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측정기(200)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1대의 측정기(200)를 구입하고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회사에서 1대의 측정기(200)를 구입하고 회사원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학교나 유치원에서 반별로 1대의 측정기(200)를 구입하고 학생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경우, 측정기(200)에는 1대의 통신단말기만 무선 연결되어야 하며, 앞서 연결된 통신단말기와 무선 연결이 해제된 후에 다음 통신단말기의 무선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앞선 사용자의 감염 여부를 측정하는 동안에는 다음 사용자의 통신단말기와 무선 연결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처럼 1대의 측정기와 다수의 통신단말기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무선 통신 연결을 형성하고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할 것인지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시스템은 제1 통신단말기(300-1), 제2 통신단말기(300-2) 및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와 제2 통신단말기(300-2)는 앞서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단말기(300)와 동일하다. 다만, 제1 통신단말기(300-1)와 제2 통신단말기(300-2)는 서로 다른 통신단말기이며, 설명의 편의상 상기 측정기(200)와 먼저 무선 연결된 통신단말기를 "제1 통신단말기", 이후에 상기 측정기(200)와 무선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단말기를 "제2 통신단말기"라고 명명한다.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가 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또 다른 통신단말기가 상기 측정기(200)와 무선 연결을 시도할 때에는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가 "제1 통신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 "제1" 및 "제2"는 서로 다른 통신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용어일 뿐, 상기 "제1" 및 "제2"는 우선순위나 상하위 개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산출 및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제어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는 판매된 모든 측정기 또는 접속 관리가 필요한 측정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하나의 측정기(200)에 서로 다른 통신 단말기(300-1, 300-2)가 무선 연결을 시도하려는 상황을 중심으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가 어떻게 측정기의 접속을 관리하는지 설명하겠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은 특정 측정기(200)에 대한 관리 방법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측정기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란, 통신단말기(300)가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연결을 위해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송신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연결 허용 요청 신호는 특정 측정기(2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1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에게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가능 신호"란, 연결 허용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연결 허용 요청 신호에 포함된 고유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측정기(200)가 현재 무선 연결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려 주는 신호이다.
다음 단계 S12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란,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단말기(300)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는 현재 무선 연결된 통신단말기의 존재 여부, 연결된 통신단말기의 식별 정보, 연결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와 특정 측정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것으로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이후, 제2 통신단말기(300-2)의 사용자가 상기 특정 측정기(200) 사용을 위해 제2 통신단말기(300-2)와 상기 특정 측정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상황을 가정하겠다. 이때, 단계 S130에서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는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제2 통신단말기(300-2)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연결된 통신단말기가 존재하며, 연결된 통신단말기가 제1 통신단말기(300-1)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4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단말기(300-2)로부터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사용자가 특정 측정기(200)의 사용을 완료하였는지 아직 사용중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연결 해제 요청 신호'란, 현재 무선 연결된 통신단말기에게 무선 연결을 해제하고 다음 통신단말기의 무선 연결이 가능한지 문의하는 신호이다.
본 예시에서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사용자는 상기 특정 측정기(200)의 사용이 완료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연결을 해제하고, 단계 S15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해제 확인 신호'란, 상기 연결 해제 요청 신호의 응답으로서, 자신의 무선 연결이 해제되었을 알리는 신호이다.
단계 S16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7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는 현재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와 특정 측정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것으로 정보가 변경된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부분 비슷하되, 단계 S110과 S120 사이에 단계 S111이 추가되고, 단계 S160과 S170 사이에 단계 S161이 추가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동일한 단계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된 단계 S111과 S161에 대해서만 추가 설명하겠다.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연결 가능 신호를 수신한 후(단계 S110),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통신 연결이 완료된 후, 상기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연결 완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완료 신호"란,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통신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방전, 무선 통신 프로토콜 오류 등 다양한 기술적 문제로 인해 실제 무선 통신 연결에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상기 특정 측정기(200) 사이에 실제 무선 통신이 안정적으로 완료되었을 알리기 위해 "연결 완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 신호를 발신한 후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 내에 상기 연결 완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 할 경우,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와 상기 특정 측정기(200) 사이에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 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 업데이트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161에서 이루어지는 연결 완료 신호는 단계 S111과 비교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와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 사이에 이루어지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 단계 S111과 동일한 과정이 진행된다.
한편, 특정 측정기(200)가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사용자와 관련된 검사를 진행 중인 상태에서, 제2 통신단말기(300-2)가 무선 연결된 시도한 상황을 가정해보겠다. 앞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특정 측정기(200)가 사용 중이면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단계 S140), 연결 해제를 거부할 수 있다. 반면, 제1 통신단말기(300-1)의 개입없이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서 상기 특정 측정기(200)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의 연결 허용 요청을 거부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계 S120까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21에서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측정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정보를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에 무선 통신이 연결되지 마자 측정이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사용자는 샘플 채취 및 버퍼 용액 처리 등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 후, 실제 테스트 튜브를 측정기(200)에 넣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측정 시작이 입력된 시간을 상기 "측정 시작 시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측정 시작이 입력된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예상 측정 소요 시간(예: 30분) 후인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22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측정 시작 시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추가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측정 시작 시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측정 시작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예상 측정 소요 시간(예: 30분) 후인 측정 종료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입력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30에서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가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31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제2 통신단말기(300-2)로부터 상기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측정 시작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동 시간의 경과 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측정기(200)가 사용 중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특정 측정기(200)가 사용 중이 아니라면(단계 S131의 'NO'),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단계 S140 내지 단계 S170에 따라 제2 통신단말기(300-2)의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8의 'A'). 반면, 만약 상기 특정 측정기(200)가 사용 중이라면(단계 S131의 'YES'), 단계 S132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에게 연결 불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불가 신호"란, 상기 연결 허용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서, 특정 측정기(200)와 연결이 불가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측정 시작 시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에게 더 송신할 수 있다(단계 S133). 이를 통해,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는 상기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이후에 다시 무선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실시예에서 연결 해제 요청을 받은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가 응답신호를 보내준 경우이다. 그러나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 제1 통신단말기(300-1)가 꺼져 있거나 통신망에 장애가 있는 경우 등 다양한 문제로 인해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가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단계 S140까지 동일하므로, 동일한 단계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단계 S141부터 설명하겠다. 단계 S141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단계 S141의 'YES'),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60으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60 및 S170은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단계 S141의 'NO'),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42으로 이행할 수 있다.
단계 S142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응답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단계 S142의 'NO'),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41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응답 시간 경과 전에는 단계 S141 및 단계 S142를 반복실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응답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142의 'YES'),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60으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60 및 S170은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2 통신단말기(300-2)의 접속 자격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 만약 상기 특정 측정기(200)가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만 사용되도록 제한된 경우, 그룹에 속하지 않는 사용자의 무선 접속 연결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90에서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연결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인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00 내지 단계 S120은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포함된 통신단말기인 것을 전제로 한다.
이후 단계 S13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로부터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34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가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단계 S134의 'NO'),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에게 연결 불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S135). 반면,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가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단계 S134의 'YES'),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40으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40 내지 단계 S170은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시스템은 제1 통신단말기(300-1), 제2 통신단말기(300-2),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 및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1 통신단말기(300-1), 제2 통신단말기(300-2) 및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앞서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단말기(300)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 및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와 다른 통신단말기이며, 상기 특정 측정기(200)에 대한 관리자 권리를 가진 통신단말기이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임의의 통신단말기가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연결을 시도할 때, 연결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01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에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허용 여부 확인 요청 신호"란,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에게 임의의 통신단말기와 특정 측정기(200) 사이에 무선 연결을 허용하는지 문의하기 위해 송신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연결 허용 여부 확인 요청 신호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도 10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가 포함된 경우에 단계 S101로 이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와 특정 측정기(200) 사이의 무선 연결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허용 여부 결정은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의 메모리에는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연결이 허용되는 통신단말기에 대한 리스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가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단계 S102에서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연결 허용 승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로부터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연결 허용 승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에게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S110).
다음 단계 S12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30에서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는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제2 통신단말기(300-2)로부터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단계 S136에서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에게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의 연결 허용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37에서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의 연결 허용 승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도 10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가 포함된 경우에 단계 S136으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로부터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의 연결 허용 승인 신호를 수신할 때, 단계 S14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는 상기 특정 측정기(200)와 무선 연결을 해제하고, 단계 S15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70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300-2)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00 내지 단계 S140은 앞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 해제 요청을 받은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가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못한 상황이다.
단계 S141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단계 S141의 'YES'),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60으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60 및 S170은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단계 S141의 'NO'),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42으로 이행할 수 있다.
단계 S142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응답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단계 S142의 'NO'),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41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응답 시간 경과 전에는 단계 S141 및 단계 S142를 반복실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응답 시간이 경과한 경우(단계 S142의 'YES'),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단계 S143으로 이행할 수 있다.
단계 S143에서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에게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연결 강제 종료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강제 종료 여부 확인 요청 신호"는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에게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알리는 정보 신호이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연결을 강제로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강제 해제 여부 결정은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의 메모리에는 상기 특정 측정기(200)의 사용 여부와 관련 정보(예: 측정 종료 예상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상기 연결 강제 종료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상기 측정 종료 예상 시간이전인 경우, 연결 강제 해제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연결을 강제로 해제하지 말아야 할 조건이 없는 경우,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는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에게 상기 제1 통신단말기(300-1)의 연결 강제 종료 허용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S144). 이후, 단계 S160 및 S170은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 도 12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각 실시예의 특징을 서로 분리하여 설명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이 반드시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2이상의 실시예가 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도 7, 8, 10의 실시예는 마스터 통신단말기(300-M)가 포함된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도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 도 12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허용 요청 신호(S100)를 수신할 때부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까지(S120) 제2 통신단말기(300-2)로부터 연결 허용 요청 신호(S130)가 수신된 경우를 고려하지 않았다. 이 경우, 상기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는 먼저 수신된 제1 통신단말기(300-1)로부터 연결 허용 요청 신호(S100)에 따른 처리를 마칠 때까지, 제2 통신단말기(300-2)로부터 수신된 연결 허용 요청 신호(S130)에 대한 처리를 큐(queue)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각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성되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C++, C#, JAVA, Python,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분자진단시스템
100 : 파우치
110 : 스왑, 샘플채취도구 120 : 샘플 튜브
130 : 테스트 튜브 140 : 컨트롤 튜브
200 : 측정기
210 : 제어부 211 : 메모리
220 : 측정부 221 : 카메라
222 : 광원 230 : 통신부
240 : 표시부 250 : 가열부
260 : 전원 공급부 261 : 전원단자
262 : 배터리
300 : 통신단말기
300-1 : 제1 통신단말기 300-2 : 제2 통신단말기
300-M : 마스터 통신단말기
400 :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

Claims (11)

  1. (a) 제어부가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이하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b) 제어부가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c)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완료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측정 시작 시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추가 업데이트하는 단계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간이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측정 시작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동 시간의 경과 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전인 경우,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불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측정 시작 시간 또는 측정 종료 예상 시간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게 더 송신하는 단계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 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 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제어부가 상기 특정 측정기와 연결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인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단말기가 상기 연결 가능 통신단말기 리스트에 포함되었을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마스터 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승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허용 승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응답 시간 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 할 때,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강제 종료 여부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통신단말기의 연결 강제 종료 허용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
  10. 컴퓨터에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측정기 접속 관리 방법의 각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작성되어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프로그램.
  11.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이하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이하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제2 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측정기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허용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통신단말기에게 연결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단말기로부터 연결 해제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2 통신단말기의 연결 가능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측정기 연결 상태 정보에 상기 제2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측정기 접속 관리 서버.
KR1020210164707A 2021-11-25 2021-11-25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KR102548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07A KR102548584B1 (ko) 2021-11-25 2021-11-25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EP22200879.9A EP4187850B1 (en) 2021-11-25 2022-10-11 Managing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asuring device
US18/056,828 US20230164879A1 (en) 2021-11-25 2022-11-18 Managing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as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07A KR102548584B1 (ko) 2021-11-25 2021-11-25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39A true KR20230077439A (ko) 2023-06-01
KR102548584B1 KR102548584B1 (ko) 2023-06-29

Family

ID=8404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707A KR102548584B1 (ko) 2021-11-25 2021-11-25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64879A1 (ko)
EP (1) EP4187850B1 (ko)
KR (1) KR1025485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050A (ko) 2010-01-13 2011-07-20 (주)이월리서치 블루투스 단말기의 페어링 기능을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28357A (ko) * 2014-05-09 2015-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KR20190102894A (ko) * 2018-02-27 2019-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의 무결절성 멀티 전자 기기 연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5331B2 (en) * 2019-10-15 2022-03-0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Bluetooth hub device mediating connections between mobile device and controlled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050A (ko) 2010-01-13 2011-07-20 (주)이월리서치 블루투스 단말기의 페어링 기능을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28357A (ko) * 2014-05-09 2015-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KR20190102894A (ko) * 2018-02-27 2019-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에서의 무결절성 멀티 전자 기기 연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584B1 (ko) 2023-06-29
US20230164879A1 (en) 2023-05-25
EP4187850B1 (en) 2024-09-04
EP4187850A1 (en)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el et al. Report from the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COVID-19 International Summit, 23 March 2020: value of diagnostic testing for SARS–CoV-2/COVID-19
Moran et al. Detection of SARS-CoV-2 by use of the Cepheid Xpert Xpress SARS-CoV-2 and Roche cobas SARS-CoV-2 assays
Jarrom et al. Effectiveness of tests to detect the presence of SARS-CoV-2 virus, and antibodies to SARS-CoV-2, to inform COVID-19 diagnosis: a rapid systematic review
Moore et al. Comparison of two commercial molecular tests and a laboratory-developed modification of the CDC 2019-nCoV reverse transcriptase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SARS-CoV-2
Semper et al. Performance of the GeneXpert Ebola assay for diagnosis of Ebola virus disease in Sierra Leone: a field evaluation study
Toskin et al. Advancing prevention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through point-of-care testing: target product profiles and landscape analysis
Nelson et al. Current and future point-of-care tests for emerging and new respiratory viruses and future perspectives
Abeynayake et al. Commutability of the Epstein-Barr virus WHO international standard across two quantitative PCR methods
Peters et al. Evaluation of Alere i RSV for rapid detection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 children hospitalized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
Hayden et al. Multicenter evaluation of a commercial cytomegalovirus quantitative standard: effects of commutability on interlaboratory concordance
KR20220150546A (ko) Covid-19 자가 진단용 장치 및 사용 방법
KR102548584B1 (ko) 통신단말기와 측정기 사이의 무선 연결 관리 방법
US20140232554A1 (en) Medical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system
Luo et al. COVID‐19‐another influential event impacts on laboratory medicine management
US202401200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nucleic acid amplification result data made by measuring instrument
JP7554195B2 (ja) 分子診断法で使用するシーケンシング機器および試薬の定量化
KR20220011085A (ko) 혈액 측정용 동글 장치
EP4215903A1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infection is present using ratio of color change of reagent
WO201900598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ATA MANAGEMENT
KR20240040221A (ko) 저농도 시약과 고농도 시약을 이용하여 검출 대상 핵산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KR20230077811A (ko) 검체 채취의 신뢰도 평가 장치 및 방법
WO2020018490A1 (en) Seamless interfacing of laboratory instruments
US202203958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pathogens
Toppings et al. Saliva-Dry LAMP: A Rapid Near-Patient Detection System for SARS-CoV-2.
US20210409386A1 (en) IoT PCR FOR DISEASE AND VACCINATION DETECTION AND ITS SPREAD MONITORING USING SECURE BLOCKCHAIN DATA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