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127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127A
KR20070098127A KR1020060029392A KR20060029392A KR20070098127A KR 20070098127 A KR20070098127 A KR 20070098127A KR 1020060029392 A KR1020060029392 A KR 1020060029392A KR 20060029392 A KR20060029392 A KR 20060029392A KR 20070098127 A KR20070098127 A KR 2007009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bluetooth device
bluetooth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197B1 (ko
Inventor
김상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1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 중 정상적이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정상적이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환경 변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환경 변수에 따라 재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동연결에 대한 환경설정을 하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블루투스, 페이징, 자동연결, 환경설정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CONNECTION WITH BLUETOOTH EQUIPMENT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연결 환경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연결 환경설정 모드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 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중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을 자동으로 재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블루투스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되는 여러 부가기능들 중 하나로,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존재하는 단말기와 단말기,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 간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헤드셋, 프린팅, 파일전송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 간에 조회(Inquiry), 페어링(Pairing), 페이징(Paging)과 같은 통신 절차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조회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기기의 목록을 만들기 위해 검색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고, 상기 검색신호를 수신한 블루투스 기기는 이에 대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페어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조회한 블루투스 기기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코드 등을 이용한 인증절차를 통해 상호 간 통신을 허가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상기 페이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조회 및 페어링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상기 블루투스 기기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통신의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 간의 연결절차는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는 상술한 통신 절차를 통해 상호 간 통신이 연결되면, 상호 간 통신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결을 확인하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만일, 상기 통신중인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 간에 정상적인 연결 해제 신호가 송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연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 환경 등의 문제에 의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 연결 유지를 위해 연결 해제 직전에 가지고 있던 연결 정보 및 페어링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징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자동연결이라 한다.
상기 자동연결을 통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 간에 통신 연결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통신을 원하는 두 장치 중 한 장치는 페이지 스캔 모드(Page Scan Mode)에 있어야하고, 다른 한 장치는 페이징을 수행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 스캔 모드는 하나의 장치가 상대편 장치에서 송신하는 연결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사용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는 대부분 페이징 모드와 페이지 스캔 모드가 모두 가능하다. 하지만 하나의 장치에서는 페이징 모드와 페이지 스캔 모드가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는 자동연결을 위해 각 장치의 고정된 설정에 따라 페이징 모드와 페이지 스캔 모드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설정에 따르는 자동연결 수행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 불능 상태에 있어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통신 불능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지속해서 페이징을 수행하는 경우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의 페이징 모드와 페이지 스캔 모드의 반복주기가 상이한 경우,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가 동시에 페이징을 수행하거나 동시에 페이지 스캔을 수행할 경우, 페이징은 실패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의 전원을 리셋하지 않는 한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을 재연결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 중 정상적이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정상적이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환경 변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환경 변수에 따라 재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는, 재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환경 변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 중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환경 변수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재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말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신 중인 블루투스 기기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할 경우,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연결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 간에 통신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시 사용자의 요청 없이 재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환경 변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기기 로부터의 페이징 허용 여부, 페이징의 주기, 다수의 블루투스 기기가 존재할 때 페이징의 우선순위 및 페이징 제한 횟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셀룰러 전화기(Cellu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1), 입력부(103), 표시부(105), 통신부(107), 블루투스 모듈(109) 및 사용자 환경설정 저장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루투스 모듈(109)로부터 비정상 연결 해제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저장부(111)에 저장된 환경 변수를 통하여 자동연결을 위한 절차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비정상 연결 해제 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109)이 블루투스 기기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를 확인하는 경우 제어부(101)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상기 입력부(103)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5)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숫자, 문자 및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통신부(107)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09)은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를 받아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1)에 비정상 연결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저장부(111)에 저장된 자동연결 환경 변수에 따라 자동연결의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저장부(111)는 상기 입력부(103)를 통해 제공받은 자동연결 환경 변수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01)의 요청시 상기 저장된 자동연결 환경 변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연결 환경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자동연결 환경설정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자동연결 환경설정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모드(예 :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반면, 자동연결 환경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 계로 진행하여 자동연결 환경설정 화면을 상기 표시부(105)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가능한 자동연결 환경 변수를 상기 표시부(105)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자동연결 환경설정 화면을 표시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자동연결 환경 변수의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입력부(103)를 통해 자동연결 환경 변수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주기의 설정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시도 주기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페이징 주기 값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또한 페이징 우선순위의 설정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정보를 가지는 블루투스 기기의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페이징 우선순위를 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자동연결 환경 변수를 저장할 것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저장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예' 또는 '아니오'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아니오'가 선택되면, 즉, 상기 설정한 자동연결 환경 변수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3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예'가 선택되면, 즉, 상기 설정한 자동연결 환경 변수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자동연결 환경 변수를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저장부(111)에 저장하고, 본 절차를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1단계에서 통신중인 블루투스 기기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연결 해제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연결 상태의 확인을 위해 주고 받는 연결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연결 해제가 발생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환경설정 저장부(111)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자동연결 환경 변수(예 : 블루투스 기기로부터의 페이징 허용, 페이징 주기, 페이징 우선순위 및 페이징 제한 횟수)를 확인한다.
상기 자동연결 환경 변수를 확인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연결신호를 송신할 시점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신호를 송신할 시점은 상기 페이징 주기마다 소멸되는 타이머를 구동시켜 상기 타이머가 소멸되는지 확인하여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연결신호를 송신할 시점이 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 블루투스 기기들로 순차적으로 연결신호를 송신한다. 즉, 상기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에게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실시한 페이징 횟수를 증가(n=n+1)시킨다.
상기 실시한 페이징 횟수를 증가시킨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연결신호를 송신한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을 연결한 후 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페이징 제한 횟수(N)와 실시한 페이징 횟수(n)를 비교한다. 만일, 상기 제한 횟수보다 실시한 페이징 횟수가 많거나 같다면(N≤n),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상기 페이징 제한 횟수보다 실시한 페이징 횟수가 적다면(N>n),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음 순서의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405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405단계에서 상기 연결신호를 송신할 시점이 아니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자동연결의 허용 여부에 따라 페이지 스캔 모드로 전환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자동연결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405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자동연결을 허용한다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기기로부터의 연결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페이지 스캔 모드로 전환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페이징 주기가 되기 전까지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연결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405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연결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본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의 자동연결 과정에 대한 투명성을 제공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 현상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을 재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 중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재연결에 따른 사용자 설정 환경 변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환경 변수에 따라 재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소정시간 동안 상기 연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연결 해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변수는,
    블루투스 기기로부터의 페이징 허용 여부, 페이징 주기, 페이징 우선순위 및 페이징 제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은,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연결신호를 송신할 시점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신호를 송신할 시점이 되면,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 페이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하는 과정은,
    설정된 횟수 반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하는 과정은,
    적어도 두 개의 블루투스 기기들에 대한 연결 정보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에게 순차적으로 페이징하는 과 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의 연결신호를 수신을 허용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의 연결신호 수신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페이지 스캔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 페이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휴대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재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환경 변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 중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환경 변수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재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변수는,
    블루투스 기기로부터의 페이징 허용 여부, 페이징 주기, 페이징 우선순위 및 페이징 제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연결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소정시간 동안 상기 연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연결 해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029392A 2006-03-31 2006-03-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6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92A KR101168197B1 (ko) 2006-03-31 2006-03-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92A KR101168197B1 (ko) 2006-03-31 2006-03-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127A true KR20070098127A (ko) 2007-10-05
KR101168197B1 KR101168197B1 (ko) 2012-07-25

Family

ID=3880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392A KR101168197B1 (ko) 2006-03-31 2006-03-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19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36B1 (ko) * 2007-12-05 2010-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시스템의 연결 제어방법
KR100971769B1 (ko) * 2009-06-30 2010-07-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선 통신 환경의 상호 장치간의 재 연결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수록한 저장매체
WO2015069093A1 (ko) * 2013-11-11 2015-05-1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50128357A (ko) * 2014-05-09 2015-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WO2015182896A1 (ko) * 2014-05-30 2015-12-03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US9467800B2 (en) 2014-07-02 2016-10-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new Bluetooth device
US9525962B2 (en) 2014-11-12 2016-12-20 Hyundai Motor Company Head unit of vehicle for supporting bluetooth conn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65786A (ko) * 2017-12-04 2019-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재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36B1 (ko) * 2007-12-05 2010-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블루투스 통신시스템의 연결 제어방법
KR100971769B1 (ko) * 2009-06-30 2010-07-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선 통신 환경의 상호 장치간의 재 연결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수록한 저장매체
WO2015069093A1 (ko) * 2013-11-11 2015-05-14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CN105706379B (zh) * 2013-11-11 2019-04-05 Lg电子株式会社 用于蓝牙连接的方法和设备
US10045181B2 (en) 2013-11-11 2018-08-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 connection
CN105706379A (zh) * 2013-11-11 2016-06-22 Lg电子株式会社 用于蓝牙连接的方法和设备
US9480020B2 (en) 2014-05-09 2016-10-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a bluetooth connection
US9451549B2 (en) 2014-05-09 2016-09-20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a bluetooth connection
KR20150128357A (ko) * 2014-05-09 2015-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 연결 제어 방법
KR20170002452A (ko) * 2014-05-30 2017-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US9888504B2 (en) 2014-05-30 2018-02-06 Lg Electronics Inc.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5182896A1 (ko) * 2014-05-30 2015-12-03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US9467800B2 (en) 2014-07-02 2016-10-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new Bluetooth device
US9525962B2 (en) 2014-11-12 2016-12-20 Hyundai Motor Company Head unit of vehicle for supporting bluetooth conn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65786A (ko) * 2017-12-04 2019-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재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12268A1 (ko) * 2017-12-04 2019-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재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75569B2 (en) 2017-12-04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connecting Bluetooth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197B1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19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기기와 자동연결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471859B (zh) 无线通信装置及无线通信方法
KR101544436B1 (ko) 듀얼 스탠바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EP17809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unlicensed network failure
JP3670541B2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7742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JP2002186022A (ja) ウェアブル端末システム
US8554143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KR2008007529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KR2012001782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5020896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 uni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GSM/W-CDMA communication
CN101820481A (zh) 无线通信终端和无线通信方法
CN201657087U (zh) 一种通过耳机控制调频收音机的手机
US20100118848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age data transfer method
KR1016264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5112502A1 (ja) 移動通信端末の通信モード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4193641A (ja) 自動車電話装置
JP2005303465A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224109B1 (ko) 유.무선 링크를 동시에 이용하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 등록방법
JP6246353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075997B1 (ko) 다중 모드 단말기에서 서비스 등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5094442A (ja) 無線通信装置及び音情報伝達装置
EP1715665A1 (en) Base station with wireless modes for short range and long range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KR2003004426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심카드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661562B1 (ko) 통화이력 자동 저장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