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594A -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594A
KR20150125594A KR1020150058863A KR20150058863A KR20150125594A KR 20150125594 A KR20150125594 A KR 20150125594A KR 1020150058863 A KR1020150058863 A KR 1020150058863A KR 20150058863 A KR20150058863 A KR 20150058863A KR 20150125594 A KR20150125594 A KR 20150125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mposition
slump
concrete
water
soluble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576B1 (ko
Inventor
히데카즈 고니시
츠토무 야마카와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6/285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2Segregation-preventing agents; Sedimentation-preven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2Segregation-preventing agents; Sedimentation-preventing agents
    • C04B2103/0083Bleeding-prevent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물, 시멘트, 세골재, 조골재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이며,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20℃에서의 2질량%의 수용액 점도가 3 내지 1,000mPa·s이고, 또한 슬럼프비(A/B)가 0.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 분리 저항성이 우수하고, 또한 소정 시간 정치 후 유동성의 저하가 적고, 시공시 펌프 압송성의 경시 변화가 적은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조성물 {CONCRE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 분리 저항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시적인 유동성 저하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의 수화 반응의 진행에 따라, 혼련 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유동성을 점차 상실하기 때문에, 시공성·작업성이 경시적으로 저하된다. 콘크리트의 펌프 압송에 관해서는, 휴식이나 작업 순서 변경 등에 의해 압송을 일시 중단하고, 그 후 압송을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 배관 중의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있으면, 압송 재개시의 펌프압이 급격하게 상승, 더 심해지면 배관 내에서 콘크리트가 폐색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 수경성 조성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혼화제에는, 리그닌술폰산계 감수제, 폴리카르복실산염계 감수제,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염 등의 나프탈렌계 감수제, 멜라민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염 등의 멜라민계 감수제 등의 감수제나 유동화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혼화제는 유동성이 우수하지만, 슬럼프 손실(경시적인 유동성 저하)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프레시 물성의 경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슬럼프 유지제나 응결 지연제, 응결 촉진제의 양이나 종류에 따라 조절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5-213651호 공보(특허문헌 1)에서는, 분산제와 아질산칼슘 등의 응결 촉진제를 병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9-025149호 공보(특허문헌 2) 및 일본 특허 공개 (평)9-040447호 공보(특허문헌 3)는, 옥시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으로 구성되는 슬럼프 유지제와 당 및 당알코올과 같은 응결 지연제를 병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2136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0251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04044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양쪽 첨가제의 비율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재료 분리 저항성과 슬럼프 손실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3의 방법에서는, 단속적으로 혼련했을 때 60분 후의 슬럼프 손실은 작지만, 시공이 일시 중단된 경우 등에는, 시공 재개시에 펌프 압송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콘크리트에 적당한 점성을 부여함과 함께, 셀룰로오스에테르가 가진 윤활 작용에 의해, 골재끼리의 교합을 억제하고, 유동성의 경시적인 저하를 개선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특정한 수용액 점도 및 슬럼프비를 가짐으로써, 상기 과제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를 발현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1〕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물, 시멘트, 세(細)골재, 조(粗)골재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이며,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20℃에서의 2질량%의 수용액 점도가 3 내지 1,000mPa·s이고, 또한 슬럼프비(A/B)가 0.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2〕 상기〔1〕에 있어서, JIS A 1101에 의한 혼련 직후의 슬럼프값이 5 내지 24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3〕 상기〔1〕또는〔2〕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첨가량이 콘크리트 조성물 1m3당 0.01 내지 5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4〕 상기〔1〕내지〔3〕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5〕 상기〔1〕내지〔4〕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시멘트비가 35 내지 7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 분리 저항성이 우수하고, 또한 소정 시간 정치 후의 유동성 저하가 적고, 시공시 펌프 압송성의 경시 변화가 적은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은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물, 시멘트, 세골재 및 조골재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는 20℃에서의 2질량%의 수용액 점도가, B-H형 점도계의 20rpm에 있어서 3 내지 1,000mPa·s,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mPa·s이다.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20℃에서의 2질량%의 수용액 점도가 1,000mPa·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혼련 직후의 유동성이 현저히 악화된다. 한편, 3mPa·s 미만인 경우에는, 블리딩이 발생하고, 골재가 침강하여, 경화 후의 강도가 불균일해진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로는, 메틸기의 치환도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이고, 히드록시프로필기의 치환 몰수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40이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로는, 메틸기의 치환도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이고, 히드록시에틸기의 치환 몰수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5,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40이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는, 히드록시에틸기의 치환 몰수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2.90이다.
또한, 상기 알킬기의 치환도 및 히드록시알킬기의 치환 몰수의 측정 방법으로는, 제16 개정 일본 약전에 기재된 히프로멜로오스(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치환도 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조성물 1m3당,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k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kg,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kg이다. 첨가량이 5kg을 초과하면, 점성이 너무 강한 것에 의한 유동성의 저하, 및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응결 지연 작용에 의해 초기 재령 강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첨가량이 0.01kg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재료 분리 저항성이 얻어지지 않으며, 블리딩이 일어나고, 골재가 침강하여, 경화 후의 강도가 균일하게 되지 않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시멘트로는 표준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 열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시멘트, 실리카 시멘트, 플라이애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초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등의 각종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조성물 중 물/시멘트비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2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3질량%이다. 물/시멘트비가 72질량%를 초과하면 재료 분리를 야기하거나, 경화가 현저히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35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감수제 등을 사용하여도 충분한 유동 유지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골재로서 조골재 및 세골재를 함유한다. 조골재는 강자갈, 산자갈, 육지자갈, 쇄석 등이 바람직하다. 세골재로는 강모래, 산모래, 육지모래, 부순 모래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의 관점에서 강자갈 및 강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골재는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5mm이하이고, 조골재는 이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40m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mm이하이다.
골재(세골재+조골재)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조성물 1m3당,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300kg,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0 내지 2,150kg이다. 세골재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1m3당,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100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kg이다. 조골재의 첨가량은 콘크리트 1m3당,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kg, 더욱 바람직하게는 650 내지 1,150kg이다.
골재 중에서의 세골재율(용적 백분율)은, 유동성 또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51%,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9%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은 수량으로 높은 유동 유지성을 얻기 위해, 감수제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감수제는, 폴리카르복실산계로는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와 가교 중합체의 복합체,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와 배향 중합체의 복합체,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와 고변성 중합체의 복합체, 폴리에테르카르복실산계 고분자 화합물, 말레산 공중합물, 말레산에스테르 공중합물, 말레산 유도체 공중합물,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에테르계, 말단 술폰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기 함유 다원 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계 화합물, 폴리카르복실산에테르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민계로는 멜라민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멜라민술폰산염 축합물, 멜라민술폰산염폴리올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리그닌계로는 리그닌술폰산염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감수 효과, 유동성·유동 유지성의 관점에서 폴리카르복실산계의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수제의 첨가량은, 시멘트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고, 종류·종목 등에 따라 최적량이 결정된다. 감수제는 가능한 한 적은 수량으로 우수한 유동성을 얻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되지만,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블리딩이나 골재 침강 등의 재료 분리를 야기하여, 강도 저하로 이어질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의 공기량을 확보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얻기 위해, AE제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AE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계, 양이온 계면활성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계, 양쪽성 계면활성제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계로는 카르복실산형, 황산에스테르형, 술폰산형, 인산에스테르형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계로는 아민염형, 제1급 아민염형, 제2급 아민염형, 제3급 아민염형, 제4급 아민염형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계로는 에스테르형, 에스테르·에테르형, 에테르형, 알칸올아미드형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계로는 아미노산형, 술포베타인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기 연행성의 관점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계의 AE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E제의 첨가량은, 시멘트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질량부이다. 1질량부를 초과하면, 콘크리트 중의 공기량이 과잉이 되어, 강도 저하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첨가량이 0.0001질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양의 공기를 연행시킬 수 없으며, 내동해성의 개선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혼련시, 과잉으로 빨려들어간 공기에 의한 강도 저하 방지를 목적으로, 소포제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소포제로는, 옥시알킬렌계, 실리콘계, 알코올계, 광유계, 지방산계, 지방산 에스테르계 등이 사용된다. 옥시알킬렌계 소포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류; 디에틸렌글리콜헵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2-에틸헥실에테르, 탄소 원자수 8 이상의 고급 알코올이나 탄소수 12 내지 14의 2급 알코올로의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프로필렌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릴에테르류;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 2,5-디메틸-3-헥신-2,5-디올, 3-메틸-1-부틴-3-올 등의 아세틸렌알코올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 중합시킨 아세틸렌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올레산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라우르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르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페놀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류;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인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인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류; 폴리옥시알킬렌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소포제로는, 예를 들면 디메틸실리콘유, 실리콘 페이스트, 실리콘 에멀전, 유기 변성 폴리실록산(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플루오로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계 소포제로는, 예를 들면 옥틸알코올, 2-에틸헥실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아세틸렌알코올, 글리콜류 등을 들 수 있다. 광유계 소포제로는, 예를 들면 등유,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계 소포제로는, 예를 들면 올레산, 스테아르산, 이들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리시놀레이트, 알케닐숙신산 유도체, 소르비톨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톨트리올레에이트, 천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포 성능의 관점에서 옥시알킬렌계의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포제의 첨가량은, 시멘트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질량부이다. 첨가량이 0.5질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여도 소포 효과의 향상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0.001질량부 미만이면 빨려들어간 공기가 탈포하지 않고, 강도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염화칼슘, 염화리튬, 포름산칼슘 등의 응결 촉진제나, 시트르산나트륨, 글루콘산나트륨 등의 응결 지연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반죽 혼합 직후의 프레시 물성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고, 목적에 따른 물질을 상용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화·건조에 의한 수축 균열, 시멘트의 수화 반응열에 의한 온도 응력에 수반되는 균열 방지를 위해, 팽창재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팽창재로는, 남방석(Hauyne)계나 석회계를 들 수 있고, 목적에 따른 물질을 상용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재료 분리 또는 유동성 관점에서, JIS A 1101에 의한 혼련 직후의 슬럼프값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4cm,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1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cm이다.
또한, 상기 슬럼프값을 5 내지 24cm로 하기 위해서는, 단위 시멘트량, 단위 수량, 감수제 첨가량 등에 의해 컨트롤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펌프 압송에 있어서, 휴식이나 작업 순서 변경 등에 의해 압송을 일시 중단하고, 그 후 압송을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 배관 중의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에 의한 펌프압의 급격한 상승, 또한 배관 내에서 콘크리트의 폐색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의 슬럼프비(A/B)는 0.50 이상, 바람직하게는 0.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럼프비(A/B)의 상한은 1.00이다.
여기서, 콘크리트 조성물을 혼련 종료 후, 30분 경과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슬럼프를 정치 슬럼프(A)라 하고, 30분간 정치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30초간 재혼련한 직후의 슬럼프를 재혼련 슬럼프(B)라 한다. A/B가 0.50 미만인 경우에는, 정치 상태에서의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일단 압송을 중단한 경우, 재혼련이라는 과정이 추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럼프비(A/B)를 0.5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20℃에서의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2질량% 수용액 점도값을 기초로, 그의 첨가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저점도인 경우에는 첨가량을 많게 하고, 고점도인 경우에는 첨가량을 적게 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예에서,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사용 재료>
(1) 시멘트(C); 표준 포틀랜드 시멘트(타이헤이요 시멘트 제조)
밀도; 3.16g/cm3
(2) 세골재(S); 최대 입경 5mm의 모래, 니가타현 묘코시 시모니고리가와산(産)
흡수율; 2.29%, 표건 밀도; 2.57g/cm3, 조립률; 2.81%
(3) 조골재(G); 최대 입경 25mm의 쇄석, 니가타현 묘코시 시모니고리가와산
흡수율; 2.05%, 표건 밀도; 2.61g/cm3, 조립률; 6.62%
(4) 물(W); 수돗물
(5)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CE)
(6) 감수제; 추폴(CHUPOL) HP-8
다케모토 유시사 제조 폴리카르복실산계 감수제
(7) AE제; 마이크로에어 303A
바스프(BASF) 재팬사 제조 음이온 계면활성제
(8) 소포제; SN 디포머 14HP
산노푸코사 제조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HPM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EMC;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HE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콘크리트 혼련>
100리터의 강제 2축 혼련 믹서에, 표 1 및 2에 나타내는 콘크리트 배합에 따라, 시멘트, 세골재, 조골재, 소포제, 표 3에 나타내는 각종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를 넣고, 건식 혼련을 30초간 행하였다. 그 후, 물, 감수제, AE제를 넣어 90초간 축 회전수 60rpm으로 혼련하여 콘크리트를 얻었다. 1배치당 콘크리트의 반죽 혼합은 70리터로 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공기량이 4.5±1.5%가 되도록, AE제 및 소포제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였다.
<평가 방법>
1. 콘크리트 온도
콘크리트의 반죽 완성 온도는 20±3℃가 되도록 재료 온도를 조정하였다.
2. 공기량
JIS A 1128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3. 슬럼프 시험
1) 혼련 직후의 슬럼프
JIS A 1101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2) 슬럼프비
정치 슬럼프(A)와 재혼련 슬럼프(B)를 이하와 같이 정의하고, 그의 비를 슬럼프비(A/B)로 하였다.
·정치 슬럼프(A)
혼련 종료 후, 슬럼프콘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30분간 정치 후에 JIS A 1101에 준하여 측정한 값을 정치 슬럼프 A라 하였다.
·재혼련 슬럼프(B)
혼련 종료 후, 30분간 정치한 콘크리트 50리터를, 100리터의 강제 2축 혼련 믹서에서 축 회전수 60rpm으로 30초간 재혼합을 행하였다. 얻어진 콘크리트 조성물을 JIS A 1101에 준하여 측정한 슬럼프값을 재혼련 슬럼프(B)라 하였다.
또한, 정치 중 콘크리트 조성물 온도는 20±3℃가 되도록 시험을 행하였다.
4. 블리딩률
JIS A 1123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블리딩률이 낮은 것이 재료 분리 저항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시험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점도를 갖는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를 소정의 첨가량 사용한 경우, 슬럼프비가 높고, 블리딩률도 낮았다. 이 결과는, 안정된 유동성을 일정 시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재료 분리가 적기 때문에, 펌프 압송성·시공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조성물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표 5에 나타낸 비교예 1에서는,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수용액 점도가 청구항 범위보다도 낮기 때문에, 슬럼프비는 낮고, 블리딩률은 높아졌다. 한편, 비교예 2에서는,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수용액 점도가 청구항 범위보다도 높기 때문에, 블리딩률은 낮고, 슬럼프비는 낮아졌다.

Claims (5)

  1.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 물, 시멘트, 세(細)골재, 조(粗)골재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이며,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20℃에서의 2질량%의 수용액 점도가 3 내지 1,000mPa·s이고, 또한 슬럼프비(A/B)가 0.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JIS A 1101에 의한 혼련 직후의 슬럼프값이 5 내지 24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의 첨가량이 콘크리트 조성물 1m3당 0.01 내지 5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셀룰로오스에테르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의 물/시멘트비가 35 내지 7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150058863A 2014-04-30 2015-04-27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47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3585 2014-04-30
JPJP-P-2014-093585 2014-04-30
JPJP-P-2014-129774 2014-06-25
JP2014129774A JP6206340B2 (ja) 2014-04-30 2014-06-25 コンクリート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594A true KR20150125594A (ko) 2015-11-09
KR102047576B1 KR102047576B1 (ko) 2019-11-21

Family

ID=5301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863A KR102047576B1 (ko) 2014-04-30 2015-04-27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9570B2 (ko)
EP (1) EP2939990B1 (ko)
JP (1) JP6206340B2 (ko)
KR (1) KR102047576B1 (ko)
CN (1) CN105016659B (ko)
TW (1) TWI6551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7641A1 (en) * 2015-11-30 2019-05-02 Growth Partner, Limited Agent for decreasing fluidity of solid-liquid mix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low-fluidity mixture
JP6654932B2 (ja) * 2016-03-03 2020-02-26 太平洋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強度グラウト組成物および高強度グラウト材
JP6551267B2 (ja) * 2016-03-10 2019-07-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セメントモルタル組成物
JP6651990B2 (ja) * 2016-06-10 2020-02-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の製造方法
US10035728B2 (en) * 2016-11-01 2018-07-31 Shin-Etsu Chemical Co., Ltd. Concrete composition and making method
EP3351517A1 (en) * 2017-01-20 2018-07-25 Shin-Etsu Chemical Co., Ltd. Hydraulic composition
JP7011248B2 (ja) * 2017-06-16 2022-01-26 竹本油脂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
CN108192045A (zh) * 2017-12-29 2018-06-22 中科院广州化学有限公司 一种含纤维素醚类单体的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45450A (ko) * 2021-02-19 2023-10-1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전압 콘크리트 적용을 위한 윤활 첨가제로서 셀룰로스 에테르를 함유하는 건조 혼합물과 시멘트 및 이들의 사용 방법
JP2023154194A (ja) * 2022-04-06 2023-10-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651A (ja) 1991-10-18 1993-08-24 Wr Grace & Co Connecticut 腐食抑制性水硬性セメント添加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JPH07172890A (ja) * 1993-11-04 1995-07-11 Lion Corp セメント混和剤及び該混和剤を含有するスラリー状コンクリート
JPH0925149A (ja) 1995-07-12 1997-01-28 Kao Corp コンクリート混和剤
JPH0940447A (ja) 1995-07-25 1997-02-10 Kao Corp コンクリート混和剤
JP2000102917A (ja) * 1998-09-29 2000-04-11 Shin Etsu Chem Co Ltd セメント系マトリクスのフレッシュ性状のコントロール方法
JP2009155184A (ja) * 2007-12-27 2009-07-16 Taiheiyo Materials Corp 高流動超早強性混和剤および高流動超早強性コンクリート
US20100229761A1 (en) * 2007-07-30 2010-09-16 Ciments Francais Cement composition for self-levelling concrete and self-levelling concrete containing such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7653A (ja) * 1985-04-23 1986-11-04 株式会社 オカニシ 流動性生コンクリ−ト
JPH06305804A (ja) * 1993-04-21 1994-11-01 Shin Etsu Chem Co Ltd コンクリート混練物の調製方法
JP4577521B2 (ja) * 2006-08-01 2010-11-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
JP4725742B2 (ja) * 2007-02-19 2011-07-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
US20090158970A1 (en) 2007-12-20 2009-06-25 Icrete, Llc Concrete compositions optimized for high workability
US20090158965A1 (en) * 2007-12-20 2009-06-25 Icrete, Llc Concrete having high workability through control of fine-to-coarse particulates ratio
FR2938532B1 (fr) 2008-11-14 2011-08-12 Lafarge Sa Utilisation d'au moins un ether de cellulose pour reduire le retrait et/ou la fissuration plastique dans le beton
JP5768430B2 (ja) * 2011-03-24 2015-08-26 宇部興産株式会社 高流動モルタル組成物
JP2014093585A (ja) 2012-11-01 2014-05-19 Fujitsu Semiconductor Ltd 半導体集積回路
JP2014129774A (ja) 2012-12-28 2014-07-10 Mitsubishi Heavy Ind Ltd 油圧機械および風力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651A (ja) 1991-10-18 1993-08-24 Wr Grace & Co Connecticut 腐食抑制性水硬性セメント添加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JPH07172890A (ja) * 1993-11-04 1995-07-11 Lion Corp セメント混和剤及び該混和剤を含有するスラリー状コンクリート
JPH0925149A (ja) 1995-07-12 1997-01-28 Kao Corp コンクリート混和剤
JPH0940447A (ja) 1995-07-25 1997-02-10 Kao Corp コンクリート混和剤
JP2000102917A (ja) * 1998-09-29 2000-04-11 Shin Etsu Chem Co Ltd セメント系マトリクスのフレッシュ性状のコントロール方法
US20100229761A1 (en) * 2007-07-30 2010-09-16 Ciments Francais Cement composition for self-levelling concrete and self-levelling concrete containing such composition
JP2009155184A (ja) * 2007-12-27 2009-07-16 Taiheiyo Materials Corp 高流動超早強性混和剤および高流動超早強性コンクリ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15080A1 (en) 2015-11-05
CN105016659A (zh) 2015-11-04
EP2939990A2 (en) 2015-11-04
CN105016659B (zh) 2019-11-08
US9469570B2 (en) 2016-10-18
JP6206340B2 (ja) 2017-10-04
TW201546017A (zh) 2015-12-16
JP2015221743A (ja) 2015-12-10
KR102047576B1 (ko) 2019-11-21
TWI655165B (zh) 2019-04-01
EP2939990A3 (en) 2015-12-02
EP2939990B1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5594A (ko) 콘크리트 조성물
EP2966049B1 (en) One-component water-reducing agent, and preparation of hydraulic composition
JP6651990B2 (ja) 水硬性組成物の製造方法
US20190330109A1 (en) Preparation of water-reducing composition, water-reducing composition and hydraulic composition
KR20140138045A (ko) 셀프 레벨링재
US20200157004A1 (en) Water-reducing composition, hydraul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808594B2 (ja) 水中不分離性高流動セメント組成物
KR102567460B1 (ko) 수경성 조성물용 증점제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경성 조성물
JP7230740B2 (ja) 減水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水硬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3653590A1 (en) Water-reducing composition, hydraul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3351517A1 (en) Hydraulic composition
JP2018118897A (ja) 水硬性組成物
JP7008427B2 (ja) 流動性の高いコンクリート
JP2021004146A (ja) 減水剤組成物、水硬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06682A (ja) セメント用添加剤及びセメント組成物
JP2020196638A (ja) 減水剤組成物並びに水硬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96637A (ja) 減水剤組成物並びに水硬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