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376A -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376A
KR20150119376A KR1020157025478A KR20157025478A KR20150119376A KR 20150119376 A KR20150119376 A KR 20150119376A KR 1020157025478 A KR1020157025478 A KR 1020157025478A KR 20157025478 A KR20157025478 A KR 20157025478A KR 20150119376 A KR20150119376 A KR 2015011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navigation
user
width
road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821B1 (ko
Inventor
리 리
치앙 딩
지아 루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5Timing of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396Determining accuracy or reliability of position or pseudorange measur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navigation planning route information)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navigation prompt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행자를 위한 정확한 내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PEDESTRIAN NAVIG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의 인기와 발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단말기에 제공된 편리한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사용자의 우선적인 조건이 되었다.
종래기술에서,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터닝 프롬프트(turning prompt) 및 경로-재설정 프롬프트(route-replanning prompt)의 2가지 관점에서 사용자에게 내비게이션 프롬프트를 주로 제공한다. 터닝 프롬프트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교차로 범위에 도착하면,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미리 전환 방향을 알려주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음성 프롬프트, 문자 프롬프트, 및 방향 화살표 아이콘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경로-재설정 프롬프트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에서 벗어난 후,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경로를 재설정 할지를 사용자에게 물어보아야 하는데, 예를 들어, 다이얼로그 박스가 표시되고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를 벗어났습니다. 내비게이션 경로를 재설정하시겠습니까?"로 사용자에게 물어본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터닝 프롬프트에 있어서, 사용자는 두 번째 교차로에서 전환해야 하지만, 단말기는 첫 번째 교차로의 교차로 범위에서 사용자에게 전환하도록 알려주거나 단말기는 사용자가 두 번째 교차로를 지난 다음에 전환하도록 알려주며; 경로-재설정 프롬프트에 있어서, 단말기는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를 벗어났다는 것을 빈번하게 알려주거나,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에서 먼 거리를 벗어난 후에야, 단말기는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를 벗어났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러므로 보행자를 위해 어떻게 정확한 내비게이션을 수행할지가 시급한 기술적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비게이션 정확도를 상당히 높이는 데 사용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1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navigation planning route information)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navigation prompt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confidence level)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임 - ; 및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상기 결정된 수직 거리에 대해 가중 평균을 수행하는 단계; 및 가중 평균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차수, 수직 거리의 분산, 및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결정됨 - ; 및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및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고 상기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는 상기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이고, 상기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도로 구획과 다음 도로 구획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조정된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들어오면, 터닝 프롬프트 시간이 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8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는 상기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고, 상기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위치가 조정된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넘어서면, 경로-재설정 프롬프트 시간(route-replanning prompt time)이 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참조하여, 제9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경도 및 위도와,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서의 모든 도로 구획의 시작점의 경도 및 위도와 종료점의 경도 및 위도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로 구획 결정 모듈 -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 상기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고,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모듈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 및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에 의해 송신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모듈를 포함한다.
제2 관점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요구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며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임 - ,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상기 결정된 수직 거리에 대해 가중 평균을 수행하며, 가중 평균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며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차수, 수직 거리의 분산, 및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결정됨 - ,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및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고 상기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는 상기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이고, 상기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도로 구획과 다음 도로 구획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조정된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들어오면, 터닝 프롬프트 시간이 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8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는 상기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고, 상기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조정된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넘어서면, 경로-재설정 프롬프트 시간이 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참조하여, 제9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도로 구획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경도 및 위도와,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서의 모든 도로 구획의 시작점의 경도 및 위도와 종료점의 경도 및 위도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단말기 및 네트워크 측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고 -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요구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며;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며,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및 단말기를 제공하며, 이것들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고, 그런 다음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고,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추가로 결정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의 도로 구획마다,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이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구획 간의 도로 폭 차이에 의해 생기는 종래기술의 부정확한 내비게이션의 문제를 해결하며, 이에 의해 내비게이션 안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방법 실시예에서 터닝 프롬프트에 특정된 조정 프로세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방법 실시예에서 터닝 프롬프트에 특정된 다른 조정 프로세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방법 실시예에서 경로-재설정 프롬프트에 특정된 조정 프로세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3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S101.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navigation planning route information)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S102.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한다.
S103.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한다.
S104.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navigation prompting)을 수행한다.
기존의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단말기는 사전설정된 일정한 프롬프트 임계값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하는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터닝 프롬프트를 예로 사용함으로써, 터닝 프롬프트 범위를 단말기에 사전설정할 수 있으며,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일반적으로 교차점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다. 예를 들어, 영역 범위는 원형의 영역 범위일 수도 있고 사각형의 영역 범위일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해서, 터닝 프롬프트 시간은 사용자가 터닝 교차점의 터닝 프롬프트 범위로 걸어들어가는 순간이다. 사용자가 터닝 프롬프트 범위로 걸어들어간 후, 단말기는 사용자를 위한 터닝 프롬프트를 수행한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에서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크기가 하나만 설정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교차점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반경이 R인 원형의 영역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며, 즉 모든 터닝 교차점을 동일하게 설정된 터닝 프롬프트 범위를 가진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도로 구획에 있어서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너무 넓고,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도로 구획의 터닝 교차점과 이전의 도로 구획의 논-터닝 교차점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는 이전의 도로 구획의 논-터닝 교차점에서 방향을 바꾸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하며, 이것은 사용자가 부정확하게 방향을 바꾸게 한다. 상대적으로 넓은 도로 구획에 있어서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더 좁을 수 있고, 단말기는 사용자가 터닝 교차점에 가까이 있을 때만 또는 심지어 사용자가 터닝 교차점을 지난 후에 방향을 바꾸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어, 적절하지 않은 때에 알려주게 된다.
경로-재설정 프롬프트를 예로 사용함으로써, 인접 도로 구획 영역도 단말기에 사전설정될 수 있는데,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일반적으로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다. 예를 들어, 영역 범위는 사각형 범위 영역일 수 있고 타원형 또는 원형의 영역 범위일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여, 경로-재설정 프롬프트 시간은 사용자가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걸어나오는 순간이다. 사용자가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걸어나온 후, 단말기는 사용자를 위해 경로-재설정 프롬프팅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걸어나온 후 특정한 시간 주기 내에 사용자에게 촉구한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인접 도로 구획 영역 크기가 하나만 설정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영역이 S인 사각형 영역 범위가 설정되어 있고, 즉 모든 도로 구획은 동일하게 설정된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가지며, 도로 구획의 중심선은 도로 구획의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의 선이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도로 구획에 있어서는,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너무 넓을 수도 있으며, 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 도로 구획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벗어난 후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어, 적절하지 않은 때에 알려주게 된다. 상대적으로 넓은 도로 구획에 있어서는,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너무 좁을 수 있으며, 단말기는 사용자가 약간의 거리만 벗어날 때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하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빈번하게 알려주게 된다.
분석에 따르면,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도로 폭 차이는 내비게이션 정확도에 비교적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인 보행 도로는 예를 들어 학교, 공원, 거주 지역, 및 블록, 또는 경로의 내부 도로이고, 절반 도로 폭(즉, 전체 도록 폭의 절반)은 대체로 1-10 미터이며; 대도시의 간선 도로에 있어서, 절반 도로 폭은 10미터 이상일 수 있다. 그렇지만, 위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의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프로세스에서는, 사전설정된 설정 경로 상의 도로 구획 간의 도로 폭 차이가 고려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도로 구획 폭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내비게이션이 필요할 때, 사용자는 단말기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사전설정할 수 있거나, 단말기에 출발지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목적지를 설정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설정 방식은 문자 입력 방식, 음성 입력 방식, 지도 위를 클릭하고 선택하는 방식 등일 수 있다. 특정한 설정 프로세스는 기존의 내비게이션 설정 프로세스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출발지와 목적지가 결정되면,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제3자 서비스를 불러냄으로써, 예를 들어, 바이두 맵 또는 구글 맵을 불러냄으로써, 출발지와 목적지에 따라,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도로 구획은 예를 들어 도로 구획의 출발점과 종료점의 위도 및 경로로 표시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프로세스에서, 단말기는 포지셔닝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로 약칭) 포지셔닝 기능을 사용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베이두오 포지셔닝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 기능이 작동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말기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포지셔닝 정확도, 예를 들어, GPS 포지셔닝 정확도를 더 획득할 수 있고, GPS 포지셔닝 정확도는 예를 들어 포지셔닝 반경을 사용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포지셔닝 반경은 예를 들어 5m, 10m, 또는 15m일 수 있고, 반경이 작을수록 포지셔닝 정확도가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서의 모든 도로 구획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한 후, 단말기는,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 프로세스는 이하의 2가지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제1 방식: 단말기는 로컬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한다.
제2 방식: 단말기는,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송신하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고, 그 획득된 도로 폭을 단말기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는 이하의 프로세싱 처리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싱글-포지셔닝 방식: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도로 구획 상의 사용자의 위치에서 도로 구획의 중심선까지의 수직 거리를 계산하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은 수직 거리의 2배이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포지셔닝 정확도를 신뢰도로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신뢰도는 이때 도로 폭을 추정하는 정확도를 나타낸다.
멀티플-포지셔닝 방식: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도로 구획 상의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위치에서 도로 구획의 중심선까지의 수직 거리를 계산하며, 포지셔닝 결과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상기 수직 거리에 대해 가중 평균을 수행하며, 여기서 현재의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은 가중 평균값의 2배이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포지셔닝 차수(quantity of positioning times), 계산에 의해 획득된 도로 폭의 분산(variance), 및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신뢰도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도로 폭을 획득한 후, 단말기는 도로 폭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고,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닝 프롬프트를 예로 사용함으로써, 단말기는 도로 폭에 따라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폭에 따라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큰지를 결정하고,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면, 도로 폭에 따라 터닝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작거나 같으면, 도로 폭에 따라 터닝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도로 폭에 따라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크기를 조정할 때, 단말기는 전술한 신뢰도를 더 고려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큰지 그리고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큰지를 결정하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고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크면,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도로 폭에 따라 확장되고, 그렇지 않으면,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도로 폭에 따라 좁아지거나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사용된다.
전술한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는 복수의 통상적인 도로 샘플을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이 상대적으로 넓으면, 터닝 프롬프트 범위를 약간 더 크게 조정하여,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너무 좁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닝 교차점에 가까이 있을 때만 또는 심지어 사용자가 터닝 교차점을 지난 후에 단말기가 방향을 바꾸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제때에 촉구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이 상대적으로 좁으면,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더 좁게 될 수 있거나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사용될 수 있어,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단말기가 이전의 도로 구획의 논-터닝 교차점에서 사용자가 방향을 바꾸도록 촉구하는 문제를 회피하며, 이것은 사용자가 부정확하게 방향을 바꾸지 않게 한다.
단말기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터닝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여, 터닝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터닝 프롬프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걸어들어온 후, 단말기는 사용자를 위한 터닝 프롬프팅을 수행한다.
경로-재설정 프롬프트를 예로 사용함으로써, 단말기는 도로 폭에 따라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폭에 따라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큰지를 결정하고,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면, 도로 폭에 따라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확대하고,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작거나 같으면, 도로 폭에 따라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좁히거나 디폴트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사용하는 단계이다.
또한, 도로 폭에 따라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의 크기를 조정할 때, 단말기는 전술한 신뢰도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큰지 그리고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은지를 결정하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고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으면,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도로 폭에 따라 확대되고, 그렇지 않으면,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도로 폭에 따라 좁아지거나 디폴트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사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이 상대적으로 넓으면,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약단 더 크게 조정하여,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너무 작기 때문에 단말기가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사용자에게 빈번하게 촉구하는 문제를 회피한다.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이 상대적으로 좁으면,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더 작게 조정될 수 있거나 디폴트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사용되어,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너무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교적 먼 거리를 설정 도로 구획에서 벗어난 후 단말기가 경로를 재설정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문제를 회피하며, 이것은 제때에 프롬프팅을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터닝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여, 터닝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터닝 프롬프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걸어들어온 후, 단말기는 사용자를 위한 터닝 프롬프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이 결정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이 획득되고, 도로 폭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이 추가로 결정되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이 사용자를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의 도로 구획마다,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이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구획 간의 도로 폭 차이에 의해 생기는 종래기술의 부정확한 내비게이션의 문제를 해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S201.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라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를 획득한다.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및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한 세트의 복수의 경로점을 포함할 수 있고 모든 2개의 인접 경로점 간의 선은 도로 구획으로 표시된다. 각각의 경로점은 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를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설정 경로의 총 길이 및 설정 경로의 경로점의 수일 수 있다.
S202.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한 세트의 경로점을 획득한다.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로부터 한 세트의 경로점{P0, P1,..., PK- 1}을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K는 설정 경로의 경로점의 총량이고, P0는 출발지에 대응하는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며, PK-1은 목적지에 대응하는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낸다.
S203. 한 세트의 경로점에 따라 한 세트의 도로 구획을 결정한다.
한 세트의 경로점이 결정된 후, 단말기는 한 세트의 도로 구획{Sec0, Sec1,..., SecK - 2}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로 구획 Seci(0≤i≤N-2)가 한 세트의 경로점 내의 경로점 Pi 및 Pi+1에 의해 결정된다.
S204.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도로 구획의 집합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한다.
S205.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Pi 및 Pi+1을 포함하는 도로 구획 Seci를 보행 중이면, N개의 주기 포지셔닝 결과는 (L,Rad)={(L0,Rad0),(L1,Rad1),...,(LN - 1,RadN -1)}이며, 여기서 L은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고, Rad는 포지셔닝 결과를 나타내고, 포지셔닝 반경은 포지셔닝 정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포지셔닝 반경이 클수록 포지셔닝 정확도가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로 폭 Seci의 도로 폭 Wi는 N개의 포지셔닝 결과와 도로 구획 Seci의 도로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의 가중 평균이다. 구체적으로, Wi는 식(1)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ωk는 가중 인자이고, Dist(Seci,Lk)는 k번째 포지셔닝 결과와 도로 구획 Seci의 도로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이다. ωk=1일 때, Wi는 복수의 계산 결과의 평균값이다:
Figure pct00002
바람직하게, 가중 인자는 포지셔닝 반경의 감소하는 함수로서 설정될 수 있고, 포지셔닝 반경이 작을수록 포지셔닝 정확도는 더 높고 대응하는 도로 폭 추정 결과의 기여도는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로 구획 Seci를 보행중이면, 획득된 3개의 포지셔닝 결과는 각각 (L,Rad)={(L0,Rad0),(L1,Rad1),...,(LN - 1,RadN -1)}이고, 도로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는 각각 Dist={13.2m, 14.7m, 12.6m}이며, 가중 인자의 값은 다음과 같을 수 있고:
추정에 의해 획득된 도로 폭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5
신뢰도 Confi는 포지셔닝 차수 N, 모든 Dist(Seci,Lk)의 분산, 및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와 관계 있으며, 포지셔닝 차수가 너무 작거나, Dist(Seci,Lk)는 급격하게 변동하거나,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가 너무 낮으면, 이번에 추정된 도로 폭의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본 실시예에서의 신뢰도 Confi는 이하의 2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1) 다음의 식(2)을 사용하여 신뢰도 Confi를 획득한다:
Figure pct00006
; 또는
(2) 다음의 식(3)을 사용하여 신뢰도 Confi를 획득한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계수는 α123=1을 충족하고,
Figure pct00008
는 포지셔닝 차수 N의 증가 함수이고,
Figure pct00009
는 모든 Dist(Seci,Lk)의 분산 var(Dist)의 감소 함수이며,
Figure pct00010
는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 mean(Rad)의 증가 함수(평균 포지셔닝 반경의 감소 함수)이다.
S206. 도로 폭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동적으로 조정하고,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을 수행한다.
터닝 프롬프트를 예로 사용함으로써:
제1 조정 방법: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사용자가 방향을 바꾸기 전에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고정적으로 조정되고, 도로 폭이 증가하면, 터닝 프롬프트 범위도 증가하며, 도로 폭이 감소하면, 터닝 프롬프트 범위도 감소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도로 구획의 연결점과 다음 도로 구획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고, 영역은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음 형상일 수 있다.
제2 조정 방법: 추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을 때에만, 사용자가 방향을 바꾸기 전에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고정적으로 조정되며, 그렇지 않으면, 사전설정된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사용된다.
제3 조정 방법: 도로의 어느 한쪽을 보행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면 추정에 의해 획득된 도로 폭은 실제의 도로 폭보다 작기 때문에, 다음 터닝 프롬프트 범위
Figure pct00011
는 비교적 넓은 도로 구획에 특정되게 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12
, 여기서
Figure pct00013
여기서 도로 폭의 기준값 Wref는 규칙적인 도로와 비교적 넓은 도로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고, Wi≤Wref를 충족하는 규칙적인 도로에 있어서는,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 범위
Figure pct00014
가 사용되고, Wi>Wref를 충족하는 비교적 넓은 도로에 있어서는, W의 증가 함수 Rturn(Wi)가 셋팅을 위해 사용된다. Wref는 복수의 통상적인 보행 도로 샘플을 추출한 후 통계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 범위
Figure pct00015
는 복수의 통상적인 보행 도로 샘플을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통상적인 보해 도로에 대해 더 나은 프롬프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4 조정 방법: 추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전술한 제3 조정 방법에 대해서, 추정에 의해 획득된 도로 폭의 신뢰도가 추가로 동시에 고려될 수 있다. 추정에 의해 획득된 결과의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고,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클 때에만 동적 조정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 범위가 사용된다:
Figure pct00016
, 여기서
Figure pct00017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방법 실시예에서 터닝 프롬프트에 특정된 조정 프로세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경로점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원형의 영역일 수 있고, 원형 영역의 반지름 r은 방향을 바꾸기 전의 도로 구획, 즉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2개의 경로점 P1와 P2 사이에 있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특정하여, 전술한 4가지 조정 방법에 대응하는 이하의 방식들이 구체적으로 실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조정 방법: ri=Φ(Wi), 여기서 Φ(.)는 도로 폭 Wi의 비감소 함수이고, 특정한 함수 형태는 도로 폭의 선형 비감소 함수일 수 있다:
ri=Φ(Wi)=β·(Wi), s.t. β>0
예를 들어, ri=Φ(Wi)=2(Wi)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반경이 도로 폭의 2배임을 나타낸다.
Φ(.)의 특정한 함수 형태에 있어서, 도로 폭의 편적-선형 함수(piecewise-linear function)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데, 즉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반경은 상이한 도로 폭 간격 내의 도로 폭과는 상이한 성장 속도(growth rate)를 가진다:
Figure pct00018
예를 들어,
Figure pct00019
선형 함수 외에, Φ(.)는 또한 멱 함수, 지수 함수, 대수 함수일 수 있거나, 양의 실수 영역 또는 그 변환 내의 다른 비증가 함수일 수 있다. 전술한 식에서의 β에 있어서, 상이한 도로 폭 및 대응하는 바람직한 터닝 프롬프트 범위 반경을 포함하는 관측 데이터 페어(W,r)가 복수의 도로 구획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전술한 선형 함수에서의 β는 선형 적합 방식(linear fitting manner)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2 조정 방법:
Figure pct00020
, 여기서
Figure pct00021
여기서 rturn(Wi)는 도로 폭의 비증가 함수이고,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22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 범위 반경
Figure pct00023
는 복수의 통상적인 보행 도로 샘플을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통상적인 보해 도로에 대해 더 나은 프롬프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식에서의 α에 있어서, 상이한 도로 폭 및 대응하는 바람직한 터닝 프롬프트 범위 반경을 포함하는 관측 데이터 페어(W,r)가 복수의 비교적 넓은 도로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전술한 선형 함수에서의 α는 선형 적합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4 조정 방법: 제3 조정 방법에 기초하여, 신뢰도의 검토 인자가 추가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방법 실시예에서 터닝 프롬프트에 특정된 다른 조정 프로세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경로점 P2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직사각형 영역일 수 있고 직사각형 영역의 양측 길이는 각각 2a(a는 절반 폭) 및 2b(b는 절반 높이)이다. 직사각형 영역의 길이는 터닝 프롬프트 시간을 한정하고(고속 또는 저속), 직사각형 영역의 폭은 터닝 프롬프트의 유효 범위를 한정한다(프롬프팅은 범위를 넘어서는 수행되지 않는다). 더 나은 효과를 내기 위해, 양측 길이는 사용자가 방향을 바꾸기 전에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특정하여, 전술한 4가지 조정 방법에 대응하는 이하의 방식이 실행을 위해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조정 방법:
Figure pct00024
,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는 도로 폭의 비감소 함수이고, 특정한 함수 형태는 도로 폭의 선형 비감소 함수일 수 있다:
Figure pct00027
바람직하게,
Figure pct00028
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의 특정한 함수 형태에 있어서, 도로 폭의 편적-선형 함수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데, 즉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절반 폭 ai 및 절반 높이 bi는 상이한 도로 폭 간격 내의 도로 폭과는 상이한 성장 속도를 가진다:
Figure pct00031
선형 함수 외에,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는 또한 멱 함수, 지수 함수, 대수 함수일 수 있거나, 양의 실수 영역 또는 그 변환 내의 다른 증가 함수일 수 있다. 전술한 식에서의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에 있어서, 상이한 도로 폭 및 바람직한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절반 폭 및 절반 높이를 포함하는 관측 데이터 페어(W,a,b)가 복수의 도로 구획을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전술한 선형 함수에서의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은 선형 적합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2 조정 방법: 제1 조정 방법에 기초하여, 신뢰도의 검토 인자가 추가된다.
제3 조정 방법:
Figure pct00038
여기서,
Figure pct00039
이고, Aturn(Wi)및 Bturn(Wi)는 도로 폭의 비감소 함수이고,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ct00040
디폴트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절반 폭
Figure pct00041
및 절반 높이
Figure pct00042
는 복수의 통상적인 보행 도로 샘플을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통상적인 보해 도로에 대해 더 나은 프롬프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식에서의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에 있어서, 상이한 도로 폭 및 바람직한 터닝 프롬프트 범위의 절반 폭 및 절반 높이를 포함하는 관측 데이터 페어(W,a,b)가 복수의 도로 구획을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전술한 선형 함수에서의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는 선형 적합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4 조정 방법: 제3 조정 방법에 기초하여, 신뢰도의 검토 인자가 추가된다.
터닝 프롬프트를 예로 사용함으로써:
제1 조정 방법: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고정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도로 폭이 증가하면, 인접 도로 구획 영역도 증가하며, 도로 폭이 감소하면, 인접 도로 구획 영역도 감소한다.
제2 조정 방법: 추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전술한 제1 조정 방법에서의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을 때에만, 도로 폭에 따라 고정적으로 조정되며, 그렇지 않으면, 디폴트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사용된다.
제3 조정 방법: 도로의 어느 한쪽을 보행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면 추정에 의해 획득된 도로 폭은 사용자가 실제의 도로 폭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인접 도로 구획 영역
Figure pct00047
는 비교적 넓은 도로 구획에 특정되게 처리될 수 있다:
Figure pct00048
, 여기서
Figure pct00049
여기서 도로 폭의 기준값 Wref는 규칙적인 도로와 비교적 넓은 도로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고, Wi≤Wref를 충족하는 규칙적인 도로에 있어서는, 디폴트 인접 도로 구획 영역
Figure pct00050
가 사용되고, Wi>Wref를 충족하는 비교적 넓은 도로에 있어서는, W의 증가 함수 Rdev(Wi)가 셋팅을 위해 사용된다. Wref는 복수의 통상적인 보행 도로 샘플을 추출한 후 통계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디폴트 인접 도로 구획 영역
Figure pct00051
는 복수의 통상적인 보행 도로 샘플을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통상적인 보해 도로에 대해 더 나은 프롬프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4 조정 방법: 추정 결과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전술한 제3 조정 방법에 대해서, 추정에 의해 획득된 도로 폭의 신뢰도가 추가로 동시에 고려될 수 있다. 추정에 의해 획득된 결과의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고,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클 때에만 동적 조정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디폴트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 사용된다:
Figure pct00052
, 여기서
Figure pct00053
전술한 조정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기초하여,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이것은 상이한 도로 구획 폭에 특정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히 촉구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 방법 실시예에서 경로-재설정 프롬프트에 특정된 조정 프로세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직사각형 영역과 원형 영역의 중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직사각형 영역은 도로 구획 중심선을 축으로 사용하고, 직사각형 영역의 높이는 도로 구획 점들로 이루어진 선의 길이며, 원형 영역은 도로 구획 종료점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원형 영역의 반경은 편차 임계값 Devi이다. 편차 임계값 Devi는 사용자가 방향을 바꾸기 전에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전술한 4가지 조정 방법에 대응하는 이하의 방식이 실행을 위해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조정 방법: Devi = Θ(Wi) = λ·Wi, s.t. λ>0
예를 들어, Devi = Θ(Wi) = 2Wi는 편차 임계값이 도로 폭의 4배임을 나타낸다.
Θ(Wi)의 특정한 함수 형태에 있어서, 도로 폭의 편적-선형 함수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데, 즉 편차 임계값은 상이한 도로 폭 간격 내의 도로 폭과는 상이한 성장 속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54
선형 함수 외에, Θ(Wi)는 또한 멱 함수, 지수 함수, 대수 함수일 수 있거나, 양의 실수 영역 또는 그 변환 내의 다른 증가 함수일 수 있다. 전술한 식에서의 λ에 있어서, 상이한 도로 폭 및 바람직한 편차 임계값을 포함하는 관측 데이터 페어(W,Dev)가 복수의 도로를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식에서의 λ은 선형 적합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2 조정 방법: 제1 조정 방법에 기초하여, 신뢰도의 검토 인자가 추가된다.
제3 조정 방법:
Figure pct00055
, 여기서
Figure pct00056
여기서, Ω(Wi)는 도로 폭의 비감소 함수이고,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Ω(Wi) = Devdefault + ω·(Wi-Wref), s.t. ω>0
디폴트 편차 임계값 Devdefault는 복수의 통상적인 보행 도로 샘플을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통상적인 보해 도로에 대해 더 나은 프롬프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식에서의 ω에 있어서, 상이한 도로 폭 및 대응하는 바람직한 편차 임계값을 포함하는 관측 데이터 페어(W,Dev)가 복수의 비교적 넓은 도로를 테스트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식에서의 ω는 선형 적합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제4 조정 방법: 제3 조정 방법에 기초하여, 신뢰도의 검토 인자가 추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기(100)는: 도로 구획 결정 모듈(11),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12),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 및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모듈(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로 구획 결정 모듈(11)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12)은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은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12)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고,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모듈(1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모듈(14)은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모듈(14)에 의해 송신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그 실행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기(200)는, 도 6에 도시된 단말기에 기초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 설정 모듈(15),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획득 모듈(16), 및 포지셔닝 모듈(17)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내비게이션이 필요할 때, 사용자는 출발지 및 목적지 설정 모듈(15)을 사용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미리 설정할 수 있거나, 단말기에 디폴트 출발지가 있으면, 사용자는 목적지만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설정 방식은 문자 입력 방식, 음성 입력 방식, 지도 위를 클릭하고 선택하는 방식 등일 수 있다. 특정한 설정 프로세스는 기존의 내비게이션 설정 프로세스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출발지와 목적지가 결정된 후,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획득 모듈(16)을 사용하여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자 서비스를 불러냄으로써, 예를 들어, 바이두 맵 또는 구글 맵을 불러냄으로써,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프로세스에서, 포지셔닝 모듈(17)의 포지셔닝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GPS 포지셔닝 기능을 사용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베이두오 포지셔닝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 기능이 작동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포지셔닝 모듈(17)은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포지셔닝 모듈(17)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정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지셔닝 모듈(17)은 포지셔닝 정확도, 예를 들어, GPS 포지셔닝 정확도를 더 획득할 수 있고, GPS 포지셔닝 정확도는 예를 들어 포지셔닝 반경을 사용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포지셔닝 반경은 예를 들어 5m, 10m, 또는 15m일 수 있고, 반경이 작을수록 포지셔닝 정확도가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로 구획 결정 모듈(11)은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획득 모듈(16) 및 포지셔닝 모듈(17)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 구획 결정 모듈(11)은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의 위도 및 경도와,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서의 모든 도로 구획의 출발점의 위도 및 경도와 종료점의 위도 및 경도를 매칭시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12)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도록 네트워크 측 기기에 요구하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방식에서,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12)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며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임 - ,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방식에서,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12)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상기 결정된 수직 거리에 대해 가중 평균을 수행하며, 가중 평균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상응하여,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며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차수, 수직 거리의 분산, 및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결정됨 - ,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2가지의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은 구체적으로: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면,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은 구체적으로: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고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으면,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한 실시에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가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이면, 여기서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도로 구획과 다음 도로 구획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조정된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들어오면, 터닝 프롬프트 시간이 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가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면, 여기서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13)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조정된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넘어서면, 경로-재설정 프롬프트 시간이 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서의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그 실행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3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기(300)의 하드웨어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고, 단말기는: 프로세서(21), 메모리(22), GPS 포지셔닝 모듈(23), 무선 통신 모듈(24), 및 휴먼-컴퓨터 상호작용 인터페이스(25)를 포함할 수 있다. 휴먼-컴퓨터 상호작용 인터페이스(25)는 입력 모듈(251), 디스플레이 모듈(252), 및 음성 프롬프트 모듈(25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2)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먼-컴퓨터 상호작용 인터페이스(25)의 입력 모듈(251)을 사용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프로세서(21)에 입력할 수 있고, GPS 포지셔닝 모듈(23)은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찾을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메모리(22) 내의 소프트웨어 코드를 불러냄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비게이션 프로세싱 처리를 실행하고, 음성 프롬프트 모듈(253)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24)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와의 상호작용을 수행하여, 내비게이션 프로세스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계산하도록 네트워크 측 기기에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24)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바이두 맵 또는 구글 맵을 불러냄으로써 제3자 서비스를 더 불러내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실행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시스템(400)은 단말기(1) 및 네트워크 측 기기(2)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1)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고 -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2)에 송신하여,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2)에 요구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며;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2)는: 상기 단말기(1)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며,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기(1)에 있어서는, 전술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에서의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측 기기(2)는 예를 들어 기존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와 같은 임의의 네트워크 측 기기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및 단말기를 제공하며, 이것들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고, 그런 다음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고,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추가로 결정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의 도로 구획마다,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이 도로 구획의 도로 폭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구획 간의 도로 폭 차이에 의해 생기는 종래기술의 부정확한 내비게이션의 문제를 해결하며, 이에 의해 내비게이션 안내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인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는 모두 실시예에서의 동일한 부분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었으므로, 이러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의 구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개시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거나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이는 그 부분들이 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의 필요에 따라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장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서, 모듈 간의 접속 관계는 모듈들이 서로 통신 접속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것은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케이블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도 전술한 실시예를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방식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외에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거나, 전용의 집적회로, 전용의 CPU, 전용의 메모리, 전용의 컴포넌트 등을 포함한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모든 기능은 대응하는 하드웨어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한 하드웨어 구조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전용 회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과 관련해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실행이 대부분의 경우에 더 나은 실행 방식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 기술적 솔루션 또는,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 예를 들어, 컴퓨터의 플로피 디스크, USB 플래시 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수정, 또는 기술적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등가의 대체는 대응하는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러한 변형 또는 대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navigation planning route information)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navigation prompting)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confidence level)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임 - ; 및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상기 결정된 수직 거리에 대해 가중 평균을 수행하는 단계; 및
    가중 평균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차수(quantity of position times), 수직 거리의 분산(variance), 및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결정됨 - ; 및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고 상기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8. 제4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는 상기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turning prompt range)이고, 상기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도로 구획과 다음 도로 구획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조정된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들어오면, 터닝 프롬프트 시간이 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9. 제4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는 상기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고, 상기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위치가 조정된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넘어서면, 경로-재설정 프롬프트 시간(route-replanning prompt time)이 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경도 및 위도와,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서의 모든 도로 구획의 시작점의 경도 및 위도와 종료점의 경도 및 위도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방법.
  11. 단말기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로 구획 결정 모듈 -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
    상기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고,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모듈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 및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에 의해 송신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모듈
    를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요구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며, 상기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며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하나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임 - ,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구획 폭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위치의 각각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중심선 간의 수직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상기 결정된 수직 거리에 대해 가중 평균을 수행하며, 가중 평균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수직 거리를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의 절반 도로 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거나, 상기 도로 폭 및 도로 폭의 신뢰도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조정하며 - 상기 도로 폭의 신뢰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포지셔닝 결과의 포지셔닝 차수, 수직 거리의 분산, 및 평균 포지셔닝 정확도에 따라 결정됨 - , 상기 조정된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17.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폭이 사전설정된 폭보다 크고 상기 신뢰도가 사전설정된 신뢰도보다 높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확대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좁히거나 디폴트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18. 제14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는 상기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터닝 프롬프트 범위이고, 상기 터닝 프롬프트 범위는 도로 구획과 다음 도로 구획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조정된 터닝 프롬프트 범위에 들어오면, 터닝 프롬프트 시간이 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19. 제14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범위는 상기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이고, 상기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은 도로 구획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영역 범위이며,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위치가 조정된 인접 도로 구획 영역을 넘어서면, 경로-재설정 프롬프트 시간이 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구획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경도 및 위도와,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서의 모든 도로 구획의 시작점의 경도 및 위도와 종료점의 경도 및 위도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
  21.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시스템으로서,
    단말기 및 네트워크 측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도로 구획을 결정하고 - 상기 내비게이션 설정 경로 정보는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모든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요구하고,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수신하며; 상기 도로 폭에 따라, 도로 구획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내비게이션 프롬프트 시간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롬프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가 도로 구획을 걸을 때 획득된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포지셔닝 결과 및 상기 도로 구획의 경로 정보에 따라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획득하며, 상기 도로 구획의 도로 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처리 시스템.
KR1020157025478A 2013-03-04 2013-11-25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KR101752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67786.4A CN104034327B (zh) 2013-03-04 2013-03-04 行人导航处理方法、终端设备和系统
CN201310067786.4 2013-03-04
PCT/CN2013/087759 WO2014134933A1 (zh) 2013-03-04 2013-11-25 行人导航处理方法、终端设备和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376A true KR20150119376A (ko) 2015-10-23
KR101752821B1 KR101752821B1 (ko) 2017-07-11

Family

ID=5146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478A KR101752821B1 (ko) 2013-03-04 2013-11-25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62328A1 (ko)
EP (2) EP2950047B1 (ko)
JP (2) JP6259840B2 (ko)
KR (1) KR101752821B1 (ko)
CN (1) CN104034327B (ko)
WO (1) WO20141349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369B1 (ko) * 2019-11-21 2020-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 추측 항법을 위한 이동 방향 추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1275B (zh) * 2014-11-21 2018-06-19 高德软件有限公司 一种导航方法及装置
CN104765817A (zh) * 2015-04-03 2015-07-08 南通理工学院 实时动态校园导航及社交系统
CN104731961A (zh) * 2015-04-03 2015-06-24 南通理工学院 基于导航软件的校园社交系统
JP6432572B2 (ja) * 2016-08-22 2018-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
CN106776988B (zh) * 2016-12-06 2020-12-04 北京中交兴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时间聚合的停靠点确定方法及装置
JP6939234B2 (ja) 2017-08-14 2021-09-2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誘導装置、誘導方法、及び誘導プログラム
CN107515008A (zh) * 2017-08-16 2017-12-26 城市生活(北京)资讯有限公司 一种步行导航方法及导航设备
CN110836674A (zh) * 2018-08-17 2020-02-25 腾讯大地通途(北京)科技有限公司 路线导航中路口提示的方法、装置、机器设备和存储介质
CN109029489A (zh) * 2018-08-28 2018-12-18 深圳市有钱科技有限公司 手机人行导航方法、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US11443272B2 (en) * 2019-08-28 2022-09-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xpedited order pickup systems and methods
CN112435498B (zh) * 2020-11-23 2021-09-14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方向性诱导的城市路网最短路径获取方法
CN112906946B (zh) * 2021-01-29 2024-03-29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道路信息提示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KR102505077B1 (ko) 2022-07-19 2023-03-02 모빌리전트 주식회사 차량, 모빌리티 및 보행자에 대한 통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345B2 (ja) * 1992-07-31 2001-08-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経路誘導装置
JP2000258179A (ja) * 1999-03-12 2000-09-22 Denso Corp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084357A (ja) * 1999-09-14 2001-03-30 Hitachi Ltd 道路幅員データの抽出方法
EP1130358B1 (en) * 2000-03-01 2006-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avigation device
JP4127774B2 (ja) * 2002-07-10 2008-07-30 エヌ・ティ・ティ・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歩行者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7522995B2 (en) * 2004-02-05 2009-04-21 Nortrup Edward H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vel time information
JP2006242643A (ja) * 2005-03-01 2006-09-14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70219718A1 (en) * 2006-03-17 2007-09-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presenting a navigation route
JP2008070221A (ja) * 2006-09-14 200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位置情報提供装置及び位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08197703A (ja) * 2007-02-08 2008-08-2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情報提供装置
JP4502335B2 (ja) * 2007-03-30 2010-07-14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地図表示システム、端末装置、地図表示サーバ及び地図表示方法
DE112008000783T5 (de) * 2007-04-05 2010-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Routenführungsvorrichtung
JP2009014555A (ja) * 2007-07-05 2009-01-22 Panasonic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TW200931284A (en) * 2008-01-07 2009-07-16 Mitac Int Corp Method of planning pedestrian navigation route
US20090216431A1 (en) * 2008-02-26 2009-08-27 Tien Vu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istance for generating maneuver instruction for navigation system
JP5428189B2 (ja) * 2008-04-17 2014-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TWI374257B (en) * 2008-04-29 2012-10-11 Ind Tech Res Inst Method for modifying navigation information and navig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5411284B2 (ja) * 2008-11-06 2014-02-12 ボルボ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実際の軌道を進行している車両の横方向のずれを、推定された仮想道路に基づいて決定し、横方向のずれに基づき運転者の横方向制御能力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8335647B2 (en) * 2008-12-04 2012-12-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avigation based on popular user-defined paths
US8896686B2 (en) * 2009-06-23 2014-11-25 Here Global B.V. Determining a geometric parameter from a single image
JP2011191135A (ja) * 2010-03-12 2011-09-29 Fujitsu Ltd 移動端末、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1124271A1 (en) * 2010-04-09 2011-10-13 Tomtom International B.V. Method of generating a route
US8442763B2 (en) * 2010-04-16 2013-05-14 CSR Technology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aphically aid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olution
JP2011232042A (ja) * 2010-04-23 2011-11-17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
US20110320114A1 (en) * 2010-06-28 2011-12-29 Microsoft Corporation Map Annotation Messaging
JP2012127745A (ja) * 2010-12-14 2012-07-05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45066B2 (en) * 2011-07-08 2014-02-04 General Motors Llc. Variable corridor navigation
CN102538814B (zh) * 2012-01-09 2015-07-01 深圳市凯立德欣软件技术有限公司 即时转弯提示方法及位置服务终端
US8874279B2 (en) * 2012-09-07 2014-10-28 General Motors Llc Vehicle-incident detection method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369B1 (ko) * 2019-11-21 2020-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 추측 항법을 위한 이동 방향 추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0047A4 (en) 2016-03-02
JP2018031783A (ja) 2018-03-01
CN104034327A (zh) 2014-09-10
EP2950047A1 (en) 2015-12-02
EP3557185A1 (en) 2019-10-23
JP6535375B2 (ja) 2019-06-26
KR101752821B1 (ko) 2017-07-11
CN104034327B (zh) 2016-08-31
US20150362328A1 (en) 2015-12-17
JP6259840B2 (ja) 2018-01-10
WO2014134933A1 (zh) 2014-09-12
JP2016510873A (ja) 2016-04-11
EP2950047B1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821B1 (ko)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처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EP32278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EP2365719B1 (en) Positioning terminals and server
EP26627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of user
CN104596500B (zh) 一种导航方法、装置及终端
JP5066246B2 (ja) 移動端末、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156171A5 (ko)
CN104023313A (zh) 基于路网确定可达区域的方法和装置
CN107135244B (zh) 基于位置的业务实现方法和装置
WO20141441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o use geo-fencing by using straight-line distances between locations
JPWO2012018131A1 (ja) 行動特徴抽出装置、行動特徴抽出システム、行動特徴抽出方法、及び行動特徴抽出プログラム
CN105352493A (zh) 一种导航路线生成方法及用户终端
JP6110608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経路案内方法
CN103916435A (zh) 判断信息真实性的方法和装置
CN105021203A (zh) 一种用于移动终端导航的系统及方法
JP5986028B2 (ja) 携帯端末を所持したユーザの短時間滞留地を推定する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20200124420A1 (en) Portable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CN102288187B (zh) 实时路况路线规划方法及设备
CN115866751B (zh) 基于固定信标和室内地图的定位方法及装置
CN104236580A (zh) 一种交通信息提示方法及导航设备
JP2015219113A (ja) 歩行者検知システム、車載装置、中継装置、歩行者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028445B (zh) 定位精准度的确定方法和装置
JP2006184287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50051830A1 (en) Enhanced navigation
JP565433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を有するスマートフォン内のバッテリを効率的に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