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514A -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및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및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514A
KR20150114514A KR1020157023101A KR20157023101A KR20150114514A KR 20150114514 A KR20150114514 A KR 20150114514A KR 1020157023101 A KR1020157023101 A KR 1020157023101A KR 20157023101 A KR20157023101 A KR 20157023101A KR 20150114514 A KR20150114514 A KR 2015011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value
battery voltage
correlation
lambda senso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065B1 (ko
Inventor
히로유키 미쓰타니
Original Assignee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봇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163Systems checking the operation of, or calibrating, the measur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67Means for heat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id electroly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93Details
    • F02D41/1494Control of sensor he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09Oxygen concentration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17Systems using cells, i.e. more than one cell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19Measuring voltages or currents with a combination of oxygen pumping cells and oxygen concentration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24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the control switching a load after time-on and time-off pulses
    • F02D2041/2027Control of the current by pulse width modulation or duty cyc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3Battery correction, i.e. corrections as a function of the state of the battery, its output or it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300/00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 F02N2300/10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utput, i.e. means or parameters used as a control output or target
    • F02N2300/108Duty cycle control or pulse width modulation [PWM]

Abstract

예열 제어에 있어서 소망되는 실효 전압을 확실하게 확보 가능하게 한다. 연산 제어부(52)는 미리 기억된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Vb)과 보정값(c)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보정시의 배터리 전압(Vb)에 대한 보정값(c)을 판독하고(S104, S106), 그 보정값(c)을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 산출된 듀티비에 가산함으로써 펄스 전압의 실효값 저하를 보상하고, 예열 제어에 있어서 소망되는 실효 전압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및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LAMBDA SENSOR PREHEATING CONTROL METHOD AND LAMBDA SENSOR DRIV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 가스 중 등의 산소 농도를 검출하는 람다 센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예열 제어의 신뢰성 향상 등을 도모한 것에 관한 것이다.
센서 소자의 온도를 활성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람다 센서에 있어서는 산소 농도의 검출 동작 전에 히터의 예열 제어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예열 제어의 신뢰성,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서 다양한 제어 방법, 장치가 제안, 실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히터 저항값과 온도의 상관에 착목하여 히터 저항값을 검출하고, 그 저항값으로부터 센서 전체가 검출 동작을 행하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한 수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그런데, 람다 센서의 히터로의 통전(通電)은 소정 폭의 펄스 전압을 소정의 반복 주기로 인가하는 방법이 취해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펄스 폭은 펄스 전압 파형이 직사각형인 것을 전제로서 정해지지만, 실제로는 구동 회로의 신호 지연이나 반도체 소자의 전기 특성 등에 기인하여 펄스의 상승 시간, 하강 시간에 지연이 생긴다.
그러므로, 히터의 인가 전압에 요구되는 실효 전압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예열의 과부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88082호(제 4-13페이지, 도 1 내지 도 10)
그런데, 상기에 언급한 종래 기술과 같이, 히터 저항값을 검출하는 것만으로 히터 온도의 적부를 판단하는 것만으로는 규정대로의 실효 전압이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요구되는 실효 전압을 확실하게 유지하고, 예열의 과부족을 초래하지 않는 예열 제어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람다 센서는 예열할 때에 여분의 수분을 확실하게 배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래의 실효 전압으로 충분한 예열이 확보되지 않은 채로 예열을 끝내고, 통상의 가열 상태로 이행한 경우에는, 람다 센서의 수명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또한, 과잉 예열도 람다 센서의 수명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열 제어에 있어서 소망되는 실효 전압을 확실하게 확보하고, 신뢰성이 높은 예열 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및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은,
람다 센서의 내부 히터로 PWM 제어에 의한 펄스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내부 히터의 예열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람다 센서 예열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으로서,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펄스 전압의 듀티비에 대하여, 상기 펄스 전압에 발생하는 상승 및 하강 시간의 지연에 기인하는 상기 듀티비에 있어서의 펄스 전압의 실효값 저하를 보상하는 보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는,
람다 센서의 내부 히터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연산 제어부와,
상기 연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히터로 PWM 제어에 의한 펄스 전압의 인가에 의해 통전을 행하는 통전 구동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펄스 전압의 듀티비에 대하여, 상기 펄스 전압에 발생하는 상승 및 하강 시간의 지연에 기인하는 상기 듀티비에 있어서의 펄스 전압의 실효값 저하를 보상하는 보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히터로 인가되는 펄스 전압의 실효값을 가능한 한 본래의 값으로서 통전을 행할 수 있으므로, 예열의 과부족을 초래하지 않고 신뢰성, 안정성이 있는 예열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작은 듀티비에서의 구동이 부득이할 경우에는, 펄스 전압의 실효값 저하에 의한 영향이 큰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실효값의 저하를 확실하게 억압하고, 보다 신뢰성, 안정성이 있는 예열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서브루틴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서브루틴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서브루틴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ECU 온도마다 설치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ECU 온도마다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마다 설치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부재, 배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는 차량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전자 제어 유닛(도 1에서는 「ECU」라고 표기)(100)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자 제어 유닛(100), 배터리 전압 검출부(51)와, 연산 제어부(도 1에서는 「CPU」라고 표기)(52)와, 통전 구동부(53)를 주된 구성 요소로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배터리 전압 검출부(51)는 차량용 배터리(도시 생략)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검출 전압을 연산 제어부(52)에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배터리 전압 검출부(51)는 도시되지 않은 차량용 배터리와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검출용 제 1 및 제 2 저항기(2,3)와, 버퍼 증폭기(4)를 주된 구성 요소로서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검출용 제 1 저항기(2)와 검출용 제 2 저항기(3)의 상호 접속점은 버퍼 증폭기(4)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Vb)에 대응한 분할 전압이 버퍼 증폭기(4)를 개재하여 연산 제어부(52)에 입력되고, 연산 제어부(52)에서의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처리 등에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연산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공지·주지의 구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도시 생략)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중심으로 RAM이나 ROM 등의 기억 소자(도시 생략)를 갖는 동시에, 통전 구동부(53)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도시 생략) 등을 주된 구성 요소로서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산 제어부(52)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람다 센서(1)로 인가되는 펄스 전압의 듀티비 연산 등의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처리 등이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통전 구동부(53)는 구동 회로(도 1에서는 「DRV」라고 표기)(53a)와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를 가지고 이루어지고, 연산 제어부(5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회로(53a)에 의해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가 구동 제어됨으로써 람다 센서(1)의 내부 히터(1a)의 통전 제어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는 예를 들면 MOS FET 등이 사용되고, 그 드레인은 람다 센서(1)의 내부 히터(1a)의 일단에 접속되는 한편, 소스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고, 게이트는 구동 회로(53a)의 출력단에 접속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부 히터(1a)의 타단에는 차량용 배터리(도시 생략)의 배터리 전압(Vb)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는 구동 회로(53a)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로서의 게이트 전압에 따라, 그 도통, 비도통이 제어되고, 그에 따라 내부 히터(1a)의 통전이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람다 센서(1)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와이드 밴드 람다 센서 등이다.
이러한 람다 센서(1)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히터(1a)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으로, 안정된 검출 신호를 얻기 위하여 검출 신호를 얻기 전에 내부 히터(1a)에 의해 예열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람다 센서(1)에 의해 검출된 산소 농도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의 출력 부분에 대하여는 도시를 생략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서는 전자 제어 유닛(100) 안의 적당한 부위에 온도 센서(6)가 설치되는 것이 전제가 된다. 이 온도 센서(6)의 검출 신호는 전자 제어 유닛(100) 내부의 온도로서 연산 제어부(52)에 입력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 2 실시예에서의 람다 센서 예열 제어 처리 등에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연산 제어부(52)에 의해 실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람다 센서 예열 제어 처리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낸 서브루틴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낸 서브루틴 플로우 차트는 연산 제어부(52)에 있어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실행되는 람다 센서(1)의 통전 구동 제어 등과 함께 실행되는 1개의 서브루틴 처리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도 2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는 차량 엔진(도시 생략)의 기동에 따라 개시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연산 제어부(52)에 의해 처리가 개시되면, 최초로 차량 엔진(도시 생략)의 기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인 tdr이 0으로 초기화된다(도 2의 스텝 S102 참조). 또한, 연산 제어부(52)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잘 알려져 있는, 소위 시간 측정 프로그램이 차량 엔진의 기동으로부터 실행 개시되어 기동시부터의 경과 시간이 측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도시되지 않은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Vb)의 측정이 행하여진다(도 2의 스텝 S104 참조). 연산 제어부(52)에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검출용 제 2 저항기(3)에서의 전압 강하가 입력되지만, 이 전압은 배터리 전압(Vb)에 비례하기 때문에, 배터리 전압(Vb)은 연산 제어부(52)에 있어서 검출용 제 2 저항기(3)에서의 전압 강하를 기초로 연산 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배터리 전압(Vb)을 기초로, 내부 히터(1a)에 인가되는 펄스 전압의 듀티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이 연산 제어부(52)의 적당한 기억 영역에 미리 기억된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도시 생략)으로부터 판독된다(도 2의 스텝 S106 참조).
우선, 내부 히터(1a)의 통전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가 구동 회로(53a)를 개재하여 연산 제어부(5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됨으로써 소정의 반복 주기로 펄스 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고, 소위 PWM 제어에 의한 통전 제어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펄스 전압의 펄스 폭은 연산 제어부(52)에 있어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별도 실행되도록 되어 있는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처리에 있어서, 하기하는 식 1에 의해 산출되는 듀티비(Dc)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Dc=[(Vheff_tar)2×100]/Vb2 ···식 1
여기에서, 듀티비(Dc)는 펄스의 반복 주기(T)에 대한 펄스 폭의 비를 백분률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Vheff_tar은 내부 히터(1a)의 목표로 하는 양단의 전압을 실효값으로 나타낸 목표 실효 전압이고, Vb는 스텝 S104의 처리로 얻어진 배터리 전압의 실제의 값(실 배터리 전압)이다.
또한, 상술한 식 1에 있어서, (Vheff_tar)2×100 대신에, 간이적으로 (Vb_nom)2×Dc_nom으로 치환하여 하기하는 식 2에 의해 듀티비(Dc)를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Vb_nom은 차량용 배터리(도시 생략)의 배터리 전압의 공칭값이고, Dc_nom은 내부 히터(1a)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 또한 구동 회로(53a) 등이 설계대로의 특성을 갖고, 배터리 전압(Vb)이 정규의 값으로 한 경우에 내부 히터(1a)의 예열을 행할 경우에 필요로 하는 듀티비이고, 편의적으로 “히터 기준 구동 ON 듀티비”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Dc=(Vb_nom)2/Vb2×Dc_nom ···식 2
상술한 듀티비는 펄스 전압 파형이 구형파(矩形波)라는 전제하에, 목표 실효 전압(Vheff_tar)을 얻기 위하여 설정되어야 할 값이다. 그렇지만, 실제의 펄스 전압 파형은 구형파이면, 본래, 상승이나 하강 시간이 0이 되어야 하는바, 구동 회로(53a)에서의 다양한 반도체 소자의 온·오프 지연이나, 그들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의 영향을 받아 어느 정도의 상승이나 하강 시간이 존재하고, 소위 상승, 하강 파형의 둔화가 생기고, 필요로 하는 듀티비(Dc)가 실질적으로 작아져 확보되지 않게 되어버린다.
본원 발명자는 예의 연구의 결과, 이 듀티비(Dc)의 감소가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Vb)이 커질수록 현저해지는 것을 견지하기에 이르러, 이러한 견지에 기초하여 더욱 예의 연구한 결과, 배터리 전압(Vb)에 따라, 식 1에 보정항을 부가함으로써 실 배터리 전압(Vb)의 영향에 의한 듀티비(Dc)의 변동,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표 실효 전압(Vheff_tar)의 저하를 보상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기에 이르렀다.
즉, 하기하는 식 3으로 표시되는 듀티비(Dc)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Dc=[(Vheff_tar)2×100]/Vb2+c(Vb) ···식 3
여기에서, c(Vb)는 보정항이고, 보정값(c)이 배터리 전압(Vb)의 함수로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양한 배터리 전압(Vb)에 대하여, 적절한 보정값(c)을 시험이나 시뮬레이션 결과 등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배터리 전압(Vb)을 입력 파라미터로서, 입력된 배터리 전압(Vb)에 따른 보정값(c)이 판독 가능하게 구성된 맵(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 미리 연산 제어부(52)의 적당한 기억 영역에 기억, 보존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 S106에서는 스텝 S104의 처리로 얻어진 배터리 전압(Vb)에 대응하는 보정값(c)이 연산 제어부(52)에 미리 기억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으로부터 판독되게 된다.
이어서, 예열 통전을 위한 듀티비(Dc)의 산출이 행하여진다(도 2의 스텝 S108 참조).
즉, 앞의 식 3에 기초하여 보정된 듀티비(Dc)가 산출되고, 그 듀티비(Dc)에서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의 구동이 이루어지고, 내부 히터(1a)의 예열이 행하여지게 된다.
이어서, 기동 후로부터의 경과 시간(tdr)이 미리 정해진 예열 기간을 초과하는지 여부가 판정되고(도 2의 스텝 S110 참조), 경과 시간(tdr)이 예열 기간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NO의 경우)에는 내부 히터(1a)의 예열이 계속되게 된다. 한편, 경과 시간(tdr)이 예열 기간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된 경우(YES의 경우)에는 예열 종료되고, 듀티비(Dc)는 별도 정해진 연산식에 기초하여 통상시의 값으로 되돌려지고(도 2의 스텝 S112 참조), 일련의 처리가 종료되어 도시되지 않은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렇게 듀티비(Dc)의 보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열 부족을 초래하지 않는 예열 제어가 실현되게 된다. 또한, 듀티비(Dc)의 보정은 이렇게 확실하게, 즉 과부족 없이 정밀도 좋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같이, 보정항을 배터리 전압의 함수로 함으로써 보정항이 단순한 정수인 경우에 비하여, 지나치게 보정하여 예열이 과잉이 되는 사태를 회피하고, 예열 과잉에 의한 람다 센서 수명에 대한 악영향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3에 나타낸 서브루틴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전자 제어 유닛(100) 안에 온도 센서(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전제이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스텝 S202, S204에서의 처리는 각각 앞서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서의 스텝 S102, S104에서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재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스텝 206의 처리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스텝 S206에서는 전자 제어 유닛(100) 안의 온도(이하, 「ECU 온도」라고 칭함) 측정이 행하여진다. 즉, 온도 센서(6)의 검출 신호가 연산 제어부(52)에 판독되어, 적당한 기억 영역에 잠정적으로 기억, 유지된다.
이어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의 결정과, 맵에 의한 보정값 판독이 행하여진다(도 3의 스텝 S208 참조).1
즉,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갖는 점은 동일하지만, 앞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은 전자 제어 유닛(100) 내부의 온도가 표준 온도(예를 들면, 24℃)에 있다고 한 경우에 있어서의 것이다.
이에 대하여,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전압(Vb)에 대한 보정값(c)이 보다 엄밀하게는 ECU 온도, 특히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가 놓이는 온도 환경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감안하여, 다양한 ECU 온도에서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시험, 시뮬레이션 결과 등을 기초로 작성하여, 미리 연산 제어부(52)의 적당한 기억 영역에 기억시켜 두고, 스텝 S206에서 얻어진 ECU 온도에 따른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선택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5에는 연산 제어부(52)에 기억된 복수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이 도면에 있어서 mp(1) 내지 mp(n)은 ECU 온도마다 설치된 복수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나타내고 있다. 즉, 각 맵 mp(1) 내지 mp(n)은 전제가 되는 ECU 온도가 다르고, 예를 들면, mp(1)은 ECU 온도가 t1인 경우에 있어서의 다양한 배터리 전압(Vb)에 대한 보정값(c)이 판독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고, 또한, mp(2)는 ECU 온도가 t2인 경우에 있어서의 다양한 배터리 전압(Vb)에 대한 보정값(c)이 판독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온도 t1과 t2 사이에 대하여는 소위 보간법 등에 의해 보정값(c)을 연산 산출하도록 하면 적합하다.
그리고, ECU 온도에 따른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 선택되면, 스텝 S204에서 측정된 배터리 전압(Vb)에 따른 보정값이 판독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 점은 앞의 도 2에 있어서의 S106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이어서, 예열 통전을 위한 듀티비(Dc)의 산출이 행하여진다(도 3의 스텝 S210 참조).
또한, 이 스텝 S210 이후 스텝 S214까지의 처리는 기본적으로 도 2에 있어서의 스텝 S108, S110, S112와 각각 동일한 처리 내용이므로 여기에서의 재차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제 2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ECU 온도에 대응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설치하고, ECU 온도에 적합한 보정값을 사용하여 듀티비(Dc)를 산출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에 비해 보다 적절한 듀티비(Dc)의 보정이 행하여지고, 내부 히터(1a)의 보다 적절한 예열이 행하여지게 된다.
따라서, 보정을 행하여도 지나치게 보정하여 예열이 과잉이 되는 사태가 더욱 확실하게 회피되고, 예열 과잉에 의한 람다 센서 수명에 대한 악영향을 더욱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도 4에 나타낸 서브루틴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3 실시예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의 보정값이, 특히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 개개의 전기적 특성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감안하여,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마다, 또는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그룹 구분(예를 들면, 제조 로트에 의한 구분)하고, 그 그룹마다, 다양한 ECU 온도에 대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작성하고, 연산 제어부(52)에 기억시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앞의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 제어 유닛(100) 안에 온도 센서(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전제이다.
연산 제어부(52)에 의해 처리가 개시되면, 최초로 차량 엔진(도시 생략)의 기동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인 tdr이 0으로 초기화된다(도 4의 스텝 S302 참조). 또한, 이 스텝 S302의 처리는 도 2에 있어서의 스텝 S102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처리이므로 여기에서의 상세한 것은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의 출하 데이터의 판독이 행하여진다(도 의 스텝 S304 참조).
즉,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의 선택(상세한 것은 후술)을 위하여,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를 특정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식별 번호나 식별 부호(이하, 설명의 편의상 「출하 데이터」라고 칭함), 또는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5)가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지를 특정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출하 데이터가 연산 제어부(52)의 적당한 기억 영역에 기억,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 스텝 S304에서는 그 출하 데이터의 판독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판독된 출하 데이터를 지표로서, 연산 제어부(5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의 복수의 그룹 중에서 하나의 그룹이 결정되게 된다(도 4의 스텝 S306 참조).
도 6에는 연산 제어부(5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의 구성예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하, 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제 3 실시예에서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 도면에서 mp(1) 내지 mp(n)은 다양한 ECU 온도에 대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인 점은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예와 같다.
이 도면에서 g1 내지 gn은 그룹을 나타내는 식별 부호이다.
예를 들면,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가 n개 있고, 개개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마다, 다양한 ECU 온도에 대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이를 연산 제어부(52)에 기억할 경우에는, g1 내지 gn은 n개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구분하는 식별 번호, 또는 식별 부호 그 자체, 또는 이들 식별 번호, 또는 식별 부호에 대응하기 위하여 별개로 정해진 번호 등이다.
따라서, 각 그룹 g1 내지 gn에 있어서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은 각각 대응하는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다양한 ECU 온도에 대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개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마다, 다양한 ECU 온도에 대한 복수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설치하도록 하는 것 대신에,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그 전기적 특성 등을 지표로서 복수의 그룹 g1 내지 gn로 구분하고, 각 그룹마다, 복수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에 대한 복수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적합하다.
즉, 이 경우, 각 그룹 g1 내지 gn에 있어서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은 각보정값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 에 대한 표준값으로서 정해진 것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를 들면, 그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 중 표준적인 전기적 특성을 갖는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내부 히터(1a)를 통전한 경우에 실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한 것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표준적인 전기적 특성을 갖는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기초로 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 대신에,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각각에 대하여 실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얻고, 각각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에 의해 얻어지는 보정값에 대하여, 그 평균값이나 2승 평균값 등을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를 보정값으로 하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으로서도 적합하다.
또한, 그룹 구분으로서는 이외에, 예를 들면, 사용될 수 있는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가 복수의 소위 제조 로트로 구분될 경우, 이 제조 로트마다 구분하여도 적합하다.
여기에서 다시 도 4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 결정된 후에는 차량용 배터리(도시 생략)의 배터리 전압(Vb)의 측정이 행하여진다(도 4의 스텝 S308 참조).
또한, 이 스텝 S308 이후 스텝 S318까지의 처리는 도 3에서의 스텝 S204 이후 스텝 S214까지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각 처리에 대하여 여기에서의 재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앞의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 제어 유닛(100) 안에 온도 센서(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전제이다.
우선, 앞의 제 3 실시예는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에 대하여,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작성할지, 또는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제조 로트 등에서의 그룹 구분을 행하고,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그룹의 표준이 되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작성하고, 연산 제어부(52)의 적당한 기억 영역에 미리 기억시켜, 각 차량마다 사용되는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가 특정되었을 때에, 그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 등을 연산 제어부(52)에 기억시켜 두고, 차량이 사용에 제공될 때에는 기억된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의 식별 번호 등에 의해 그 식별 번호 등에 대응하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선택하고, 듀티비의 보정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제 4 실시예는 차량마다 사용되는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가 특정되었을 때에, 그 특정된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경우에 적합한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을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하고, 그것을 연산 제어부(52)의 적당한 기억 영역에 기억시켜 듀티비의 보정에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산 제어부(5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 제 3 실시예와 다르고, 미리 특정된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에 적합한 것이고, 그러므로, 출하 데이터에 의한 그룹의 선택(도 4의 스텝 S304, S306 참조)이 불필요하게 되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에서의 처리 순서와 동일하고, 따라서, 각 처리 내용에 관한 재차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듀티비(Dc)의 보정항의 값의 설정에 사용되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 ECU 온도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나,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 더하여져 더욱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 개개의 특성이나 그룹의 특성에 대응한 경우를 언급하였지만, 이들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더한 구성으로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듀티비의 보정항의 보정값의 설정에 사용되는 배터리 전압·보정값 맵이 통전 제어용 반도체 소자 개개의 특성에 대응하고 있지만, ECU 온도에는 대응하지 않고 있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신뢰성, 안정성이 높은 람다 센서의 예열 제어가 소망되는 차량 등에 적합하다.

Claims (10)

  1. 람다 센서의 내부 히터로 PWM 제어에 의한 펄스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내부 히터의 예열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람다 센서 예열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으로서,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펄스 전압의 듀티비에 대하여, 상기 펄스 전압에 발생하는 상승 및 하강 시간의 지연에 기인하는 상기 듀티비에 있어서의 펄스 전압의 실효값 저하를 보상하는 보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은 상기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 산출된 듀티비에 보정항을 가산함으로써 행하여지고, 상기 보정항은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보정시의 배터리 전압에 대하여 정해지는 보정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는 상기 내부 히터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근방의 온도에 따라 각각 설정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 근방의 온도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히터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근방의 온도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를,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마다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동시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마다 그룹 구분하여 설치하고, 차량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가 특정되었을 때에, 상기 특정된 반도체 소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부여된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보정을 행할 때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의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를,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마다 그룹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 대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반도체 소자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 구분하고, 상기 그룹마다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를 설치하고,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는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소자를 각각 사용한 경우의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에 대한 표준값으로서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6. 람다 센서의 내부 히터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연산 제어부와,
    상기 연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히터로 PWM 제어에 의한 펄스 전압의 인가에 의해 통전을 행하는 통전 구동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펄스 전압의 듀티비에 대하여, 상기 펄스 전압에 발생하는 상승 및 하강 시간의 지연에 기인하는 상기 듀티비에 있어서의 펄스 전압의 실효값 저하를 보상하는 보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 산출된 듀티비에 보정항을 가산함으로써 상기 보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동시에, 미리 기억된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보정시의 배터리 전압에 대한 보정값을 상기 보정항으로서 구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는 상기 내부 히터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근방의 온도에 따라 각각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반도체 소자 근방의 온도에 따라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히터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근방의 온도에 따라 각각 설정되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는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마다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마다 그룹 구분하여 설치된 것인 한편,
    연산 제어부는,
    차량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가 특정되었을 때에, 상기 특정된 반도체 소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부여된 데이터가 기억되고, 상기 보정을 행할 때에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의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는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마다 그룹 구분하여 설치한 것 대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반도체 소자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 구분하고, 상기 그룹마다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는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소자를 각각 사용한 경우의 차량용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과 보정값의 상관 관계에 대한 표준값으로서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KR1020157023101A 2013-02-27 2014-02-13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및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KR101717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7567 2013-02-27
JP2013037567 2013-02-27
PCT/JP2014/053305 WO2014132804A1 (ja) 2013-02-27 2014-02-13 ラムダセンサ予熱制御方法及びラムダセンサ駆動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514A true KR20150114514A (ko) 2015-10-12
KR101717065B1 KR101717065B1 (ko) 2017-03-16

Family

ID=5142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101A KR101717065B1 (ko) 2013-02-27 2014-02-13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및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14917B2 (ko)
EP (1) EP2993465B1 (ko)
JP (1) JP5948485B2 (ko)
KR (1) KR101717065B1 (ko)
CN (1) CN105074446B (ko)
WO (1) WO20141328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78A (ko) * 2018-02-08 2019-08-19 도요타 지도샤(주) 센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1013B2 (ja) * 2016-02-17 2019-09-2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ガス検出装置
CN108732212B (zh) * 2018-05-23 2020-12-15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多效应检测集成气体传感器制造方法的制造方法、传感器及其应用
JP7452477B2 (ja) 2021-03-18 202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ガス濃度検出装置
CN113266484B (zh) * 2021-06-30 2022-08-23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氧传感器的保护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478A (ja) * 2002-07-22 2004-02-19 Honda Motor Co Ltd 排ガスセンサの温度制御装置
JP2004093386A (ja) * 2002-08-30 2004-03-25 Denso Corp ガス濃度検出装置
US20050241361A1 (en) * 2004-04-28 2005-11-03 Smith James C Compensated open-loop control of oxygen sensor heater
JP2008232961A (ja) * 2007-03-23 2008-10-02 Denso Corp センサ加熱制御装置及びセンサ情報取得装置及び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JP2009288082A (ja) 2008-05-29 2009-12-10 Toyota Motor Corp ガス濃度センサの暖機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4984B2 (ja) * 2002-09-06 2006-09-20 三菱電機株式会社 排気ガスセンサの温度制御装置
JP2007225560A (ja) * 2006-02-27 2007-09-06 Denso Corp ガスセンサのヒータ制御装置
JP2009294006A (ja) * 2008-06-04 2009-12-17 Bosch Corp 車両用センサのヒータを制御するためのヒータ制御装置及びヒータ制御方法
DE102012214717A1 (de) * 2012-08-20 2014-02-2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eistungssteuerung oder Spannungssteuerung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JP6001411B2 (ja) * 2012-10-29 2016-10-0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ヒータ制御装置及びセンサ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478A (ja) * 2002-07-22 2004-02-19 Honda Motor Co Ltd 排ガスセンサの温度制御装置
JP2004093386A (ja) * 2002-08-30 2004-03-25 Denso Corp ガス濃度検出装置
US20050241361A1 (en) * 2004-04-28 2005-11-03 Smith James C Compensated open-loop control of oxygen sensor heater
JP2008232961A (ja) * 2007-03-23 2008-10-02 Denso Corp センサ加熱制御装置及びセンサ情報取得装置及び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JP2009288082A (ja) 2008-05-29 2009-12-10 Toyota Motor Corp ガス濃度センサの暖機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78A (ko) * 2018-02-08 2019-08-19 도요타 지도샤(주) 센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3465A1 (en) 2016-03-09
EP2993465A4 (en) 2016-07-13
CN105074446B (zh) 2017-03-22
CN105074446A (zh) 2015-11-18
US20150377827A1 (en) 2015-12-31
JPWO2014132804A1 (ja) 2017-02-02
EP2993465B1 (en) 2018-04-11
KR101717065B1 (ko) 2017-03-16
US9714917B2 (en) 2017-07-25
JP5948485B2 (ja) 2016-07-06
WO2014132804A1 (ja)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065B1 (ko) 람다 센서 예열 제어 방법 및 람다 센서 구동 제어 장치
US8386155B2 (en) Fault analysis method for a lambda probe
US20140216384A1 (en) Method of diagnosing glow plug and glow plug drive control device
US8803497B2 (en) Current detector of inductive load
JP5691883B2 (ja) 負荷駆動回路
JP5904136B2 (ja) 検出温度誤差補正方法、及び検出温度誤差補正システム
US20150346312A1 (en) Method for setting up a current sensor
CN116699352B (zh) 一种功率半导体模块高温反偏测试的测试温度确定方法
US1149709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urrent of a light-emitting diode
JP5153473B2 (ja) グローシステム、制御部およびグロープラグの出力制御方法
CN104871027A (zh) 用于校准电流传感器的方法
JP2017129526A (ja) 電流補正回路
JP5995993B2 (ja) グロープラグ診断方法及び車両用グロープラグ駆動制御装置
TWI721637B (zh) 電源調整系統
US2020011679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sensor, and battery sensor
US9341156B2 (en) Glow plug, new glow plug determination method, and glow plug driving control device
US9740260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US20190074122A1 (en) Linear solenoid driving device
CN108368806B (zh) 燃料喷射阀驱动特性校正方法及车辆用控制装置
JP2014175456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WO2014122956A1 (ja) ラムダセンサ予熱制御方法及びラムダセンサ駆動制御装置
CN106468683B (zh) 用于控制单单元线性氧传感器的电路和方法
JP2016065732A (ja) 制御装置
JP2014109238A (ja) グロープラグの電圧・電流算出方法及びグロープラグ駆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