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832A - 고형 투석용제 - Google Patents

고형 투석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832A
KR20150110832A KR1020157025958A KR20157025958A KR20150110832A KR 20150110832 A KR20150110832 A KR 20150110832A KR 1020157025958 A KR1020157025958 A KR 1020157025958A KR 20157025958 A KR20157025958 A KR 20157025958A KR 20150110832 A KR20150110832 A KR 20150110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organic acid
solid organic
dialysis solvent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484B1 (ko
Inventor
요시히로 스기야마
유이치 이와이
미치토 스미카와
나오타카 구로다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47/4808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8Phosphates or phosphonates, e.g. bone-see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8Plasma substitutes; Perfusion solutions; Dialytics or haemodialytics; Drugs for electrolytic or acid-base disorders, e.g. hypovolemic sho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 조정제로서 아세트산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고체 유기산을 사용한 분말 투석 제제에 있어서, 포도당의 분해를 억제한 고형 투석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며,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으로서, 미분말 상태의 함유량이 적은 고형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 제제이며, 구체적으로는 입자 직경 250㎛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인 고형 유기산, 또는 입자 직경 150㎛ 이하의 입자가 10% 이하인 고형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이며, 바람직하게는, 고체 유기산이 시트르산인 고형 투석용제이다.

Description

고형 투석용제{Solid dialysis preparation}
본 발명은, 고형 투석용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함유하는 포도당의 분해를 억제시킨 고형 투석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 투석에 사용되는 투석액은, 종래의 아세트산 투석액으로부터, 최근에는 환자의 부담이 적은 중탄산 투석액으로 변해 오고 있다. 그러나, 중탄산 투석 제제는, 함유하는 성분인 중탄산 이온이, 전해질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칼슘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중탄산칼슘, 중탄산마그네슘 등의 중탄산금속염)을 생성하기 때문에, 일제화(一劑化)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로 인해, 칼슘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 등을 포함하는 전해질 성분,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포도당 및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농후액 「A제」와, 중탄산 이온의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분말의「B제」의 2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투석용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당해 농후액 「A제」는, 통상 약 5 내지 15L 정도의 농후액이 폴리에틸렌 용기에 충전되어 있고, 그 크기 및 중량으로부터, 수송 비용, 병원에서의 보관 공간 및 사용후의 폐기 방법 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A제를 분말제로서 제공하는 것이 생각되게 되었고, 이미 제품화도 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분말 투석 제제는, 투석 제제를 구성하는 각 원료 성분(분말)을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인더액을 첨가하여 조립하고, 건조시키고 정립하여 분말 내지 과립 제제로서 제공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제제에서는, 함유하는 성분 자체가 미분말상의 것이 많으며, 제제를 용해 장치에 투입할 때에 분진이 발생하거나, 또한, pH 조정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아세트산에 의한 아세트산 냄새가 강해지거나 하기 때문에, 제조 현장, 의료현장 등에서의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pH 조정제로서 소량 함유되는 아세트산은, 본래는 생체내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0.1mEq/L 이하)이며, 또한 최근이 되어서 아세트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투석 중의 두통이나, 혈압 저하 등의 임상 증상의 발현이 문제시되고 있다.
즉, 중탄산 투석 제제에 pH 조정제로서 첨가되는 8 내지 12mEq/L 정도의 소량의 아세트산은 문제없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투석 요법의 장기화나, 다이어라이저 성능의 향상 등에 의해, 첨가된 아세트산 자체가 과도하게 부하되게 되어 순환기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며, 또한 아세트산불내증 등, 아세트산의 부작용은 예상 이상으로 강한 것이 인식되게 되었다. 그래서 아세트산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시트르산 등의 고체 유기산을 사용한 투석 제제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특허문헌 2, 3).
그런데 함유되는 pH 조정제로서의 시트르산 등의 고체 유기산은, 포도당과 함께 접촉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존하면, 그 강산성으로 인해 포도당의 분해가 발생하고, 포도당 분해물인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 등의 생성이 일어나고, 특히 수분 과다의 경우에는 이러한 분해가 심하다.
종래의 pH 조정제로서 아세트산-아세트산염(아세트산나트륨)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아세트산이 고형상의 아세트산나트륨에 신속하게 침투하여 pH 4 내지 5로 중화되는 점에서, 아세트산 자체가 포도당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 상기의 점은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pH 조정제로서 아세트산 이외의 고체 유기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큰 문제이며, 이러한 포도당의 분해를 억제한 분말 투석용 제제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소)57-88116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301875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3024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pH 조정제로서 아세트산을 함유하지 않는 고체 유기산을 사용한 분말 투석 제제에 있어서, 포도당의 분해를 억제한 고형 투석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고체 유기산에 관해서, 미세 분말 상태의 고형 유기산 함유량을 저감하는 것과, 구체적으로는 함유시키는 고형 유기산에 관해서, 특정한 입자 직경 이하의 입자의 비율을 제어하는 것, 또는 고체 유기산을 코팅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 하나의 기본적 형태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으로서, 그 입자 직경 150μm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인 고체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이다.
보다 바람직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으로서, 그 입자 직경 150μm 이하의 입자가 10% 이하인 고형 투석용제이다.
또한, 다른 기본적 형태로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은,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이 코팅된 고체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각 형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1) 고체 유기산이 시트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에 기재된 고형 투석용제;
(2) 고체 유기산의 코팅을 시트르산나트륨 용액으로 실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에 기재된 고형 투석용제;
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형태로서,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이며, 구체적으로는,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전해질 성분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으로서, 그 입자 직경이 250μm 이하인 입자가 10% 이하인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이며,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전해질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으로서, 시트르산나트륨에 의해 코팅한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이며, 특히 고체 유기산이 시트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기본적 형태로서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으로서, 미분말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고형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 제제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자 직경 250μm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인 고형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고체 유기산이 시트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고형 투석용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형태로서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전해질 성분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으로서, 미분말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고형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이며, 바람직하게는, 입자 직경 250μm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인 고형 유기산, 또는 입자 직경 150μm 이하의 입자가 10% 이하인 고형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전해질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으로서, 시트르산나트륨에 의해 코팅한 미분말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이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서, 상기에 기재된 고형 투석용제를,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B제와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신장 투석용제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고형 투석용제는, pH 조정제로서 아세트산을 함유하지 않고 고체 유기산을 사용함으로써, 아세트산불내증 등의 부작용이 없는 동시에, 포도당 분해물인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 등의 생성을 억제한, 보다 안정성이 높은 분말 투석용제가 제공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시험예 1에 있어서의, 100메쉬패스(150μm패스)의 시트르산의 첨가 비율을 변경한 경우에 있어서의,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의 생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시험예 2에 있어서의, 100메쉬패스(150μm패스)의 시트르산의 함유 비율의 변동에 의한,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의 생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시험예 2에 있어서의, 60메쉬패스(250μm패스)의 시트르산의 함유 비율의 변동에 의한,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의 생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시험예 3에 있어서의, 시트르산 첨가전의 조립물에 있어서의 미세 분쇄물의 함유량에 의한,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의 생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는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고형 투석용제란, 전해질 성분, pH 조정제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A제」이며,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B제」와 함께, 적절한 농도로 희석, 혼합한 후, 혈액 투석용 관류액으로서 사용된다.
이 때의 각 성분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이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Na+ 130 내지 145mEq/L
K+ 0 내지 4mEq/L
Ca++ 0 내지 4mEq/L
Mg++ 0 내지 2mEq/L
Cl- 55 내지 135mEq/L
HCO3 - 20 내지 45mEq/L
고체 유기산 이온 0.02 내지 10mEq/L
포도당 0 내지 2.0g/L
특히 바람직한 전해질 성분으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이지만, 그 밖의 전해질 성분도 필요에 따라서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정제인 고체 유기산으로서는, 시트르산 외, 예를 들면 락트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석신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등의 고체 유기산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이들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시트르산을 pH 조정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는, pH 조정제로서 사용하는 상기의 고체 유기산으로서는, 미분쇄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고형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미분쇄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고형 유기산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함께 배합되는 포도당, 또는 전해질 성분인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등의 염화물과의 접촉을 없애거나, 또는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서, 입자 직경 250μm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함유량인 고형 유기산, 또는 입자 직경 100μm 이하의 입자가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함유량인 고형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다른 수단으로서, 이러한 pH 조정제로서의 고체 유기산을 코팅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코팅은 예를 들면, 고체 유기산을 포도당 용액, 또는 pH 조정제인 시트르산나트륨 용액에 의해, 그 표면을 포도당, 또는 시트르산나트륨으로 코팅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코팅의 방법으로서는, 유동층, 전동층, 코팅팬 등 일반적인 코팅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고형 투석용제는,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특이적인 고체 유기산을 함유하는 분말 제제이지만, 그 제조 방법은, 전해질 성분, 및 필요에 따라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실시된다.
이러한 조립 공정은, 고형 투석용제를 조립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조립 방법, 조립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인더액을 첨가하면서, 연합, 조립, 건조시키는 습식 조립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때, 사용하는 장치로서는, 균일하게 연합, 조립할 수 있는 혼합 장치가 양호하며, 예를 들면, 버티컬 그래뉼레이터(VERTICAL GRANULATOR)나, 하이 스피드 믹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립에 있어서는, 염화칼슘 및/또는 염화마그네슘을, 물 및/또는 에탄올로 용해하여 바인더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원료 총중량의 약 0.2 내지 2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 정도의 물 및/또는 에탄올에 용해하는 것이 양호하다. 바인더의 수분량을 약 0.2% 이하로 한 경우에는, 각 입자의 부착 응집 작용이 작고, 조립이 진행되기 어렵다. 한편, 수분량이 20% 이상이 되면, 조립 장치 내에서 분말이 습윤하여 엿상으로 되어 조립이 곤란하다.
조립물의 입도로서는, 150μm 이상 1700μm 이하의 입자가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μm 이상 1400μm 이하의 입자가 9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μm 이상 1200μm 이하의 입자가 95% 이상인 것이, 사용되는 고체 유기산과 혼합했을 때의 균일성의 양호함 및 사용할 때의 가루 발생에 의한 주위의 오염(또는 기계 등의 부식)의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원료 총중량이란, 투석용제의 구성 성분인 전해질 성분, pH 조정제 중, 조립에 제공하는 성분을 모두 합친 중량을 말한다.
또한, 원료 총중량에 따라서는 물 및/또는 에탄올의 양이 적어지고, 염화칼슘 및/또는 염화마그네슘을 용해시키면 포화 상태가 되어 전량을 용해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염화칼슘 또한 염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일부를 용해시켜 바인더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인더액에 용해되지 않은 나머지의 염화칼슘 및/또는 염화마그네슘에 관해서는, 다른 성분과 함께 분쇄하여 조립을 실시하는 것이 양호하다.
바인더액의 첨가 방법은, 조대 입자의 형성을 방지하여, 함유량의 균일성이 우수한 제제로 하기 위해서, 바인더액이 고루 미치도록 첨가하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교반 혼합하고 있는 분말에 분무하거나, 적가하거나 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해성이 있는 염화칼슘 및/또는 염화마그네슘을 바인더액으로서 사용함으로써, 함유 균일성이 우수한 고형 투석용제를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원료 총중량의 약 0.2 내지 20% 정도의 물 및/또는 에탄올에 용해시킴으로써, 물 및/또는 에탄올의 함유량을 감소시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효율도 양호하며, 분해가 적은 제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립전의 각 성분을 약 1.5mm 이하의 입자가 되도록 분쇄하고, 일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하는 해쇄 공정을 편입시킬 수도 있다. 이 결과, 다음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함량 균일성이 우수한 투석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해쇄 공정에서는, 투석용제의 구성 성분인 전해질 성분 중, 바인더로 하는 염화칼슘 및/또는 염화마그네슘 이외의 성분을 약 1.5mm 이하의 입자가 되도록 해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하는 해쇄 장치로서는, 각 성분을 1.5mm 이하의 크기로 해쇄할 수 있는 것이면, 일반적인 해쇄형 정립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조립물로서는, 평균 입도가 표준체로 12 내지 100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이러한 해쇄 공정에 있어서는, 염화나트륨만을 별도로 약 1.5mm 정도 이하로 해쇄해 두어도 양호하다. 즉, 염화나트륨을 제외한 전해질 성분을 조립, 정립, 건조시켜 염화나트륨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투석용제의 조립물을 제조한 후, 해쇄한 염화나트륨을 혼합, 또는 분포(分包)하여 투석용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는, 함유 성분 중 염화나트륨은 원료 총중량의 약 60 내지 80% 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에, 염화나트륨을 제외한 조립물에서는 장치의 규모를 작게 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삭감이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중간 칸막이가 되어 있는 복수실로 분리된 봉지에, 염화나트륨을 제외한 조립물을 넣음으로써, 개봉할 때에 한번에 개봉할 수 있어 성분을 넣는 것을 잊어버리거나, 잘못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성도 양호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이렇게 하여 조립, 정립된 조립물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건조기로서는, 일반적으로 고형 투석용제의 정립·건조 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건조 장치, 예를 들면, 유동층 건조기나, 진동식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특이적인 고체 유기산인 pH 조정제를, 상기에서 건조된 조립물과 혼합한다. 전해질 성분 등의 조립물의 건조후에, 고체 유기산을 혼합함으로써, 포도당 분해물인 5-HMF 등의 생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어 안정된 고형 투석용제가 수득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의 혼합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양호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도당은 고체 유기산을 코팅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도당을 미리 전해질 성분과 함께 조립해 두는 것이 양호하다. 또는, 건조시킨 전해질 성분의 조립물에, pH 조정제인 고체 유기산을 혼합할 때에, 함께 혼합시킬 수도 있다.
또는, 고체 유기산을 혼합하기 전에, 포도당을 건조시킨 전해질 성분의 조립물과 혼합시켜 두는 것도 양호하다.
이렇게 하여 조제된 본 발명의 고형 투석용제는, 적당한 용기 포장재에 의해 포장되어, 투석용「A제」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포장용재로서는, 수증기 및 가스의 투과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투습도(40℃, 90%RH)가 1.0g/㎡/24시간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적층재를 들 수 있다. PET/유리 증착 PET/PE, PET/산화알루미늄/나일론, PET/SiOx/CPP, PET/SiOx/나일론/CPP 및 OPP/SiOx/CPP 등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시험예, 실시예 등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험예 1: pH 조정제로서 고체 시트르산에 관해서, 입자 직경이 150㎛ 이하인 시트르산의 존재에 의한 포도당 분해에 미치는 영향
하기 표 1에 기재된 처방으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로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포도당 및 시트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건조 조립물에, pH 조정제로서, 100메쉬패스(150μm 이하)의 고체 유기산인 시트르산을, 첨가 비율을 바꾸어 혼합하여, 고형 투석용제를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01
각 혼합물을 50℃에서 보존하고, 보존 개시후 3, 5 및 10일째에, 생성되는 포도당 분해물인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5-HMF의 생성량은, 시료 2.9g을 물 21mL에 용해하고, 분광 광도계에 의해 284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값에 의해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면 중에 도시한 결과로부터 판명되는 바와 같이, 100메쉬패스(150μm 이하)의 시트르산의 첨가율이 많을 수록, 포도당 분해물인 5-HMF의 생성이 많고, 20% 이하에서 5-HMF의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되며, 10% 이하에서는 그 효과는 특히 현저한 것이었다.
시험예 2: 미분쇄상의 시트르산(입자 직경이 250㎛ 이하, 또는 150㎛ 이하)의 존재에 의한 포도당 분해에 미치는 영향
하기 표 2에 기재하는 60메쉬패스(250μm 이하) 및 100메쉬패스(150μm 이하)의 미분쇄 상태의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시트르산 4.9g을 사용하고, 후기하는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건조 조립물 400g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60℃에서 20시간 보존하고, 생성되는 포도당 분해물인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포도당 농도가 2.5%가 되도록 용해하고, 분광 광도계에 의해 284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값에 의해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함께 표 2 중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의 표의 결과에 기초하여, 10O메쉬패스(150μm 이하)의 미분쇄 상태의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시트르산을 기준으로 한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60메쉬패스(250μm 이하)의 미분쇄 상태의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시트르산을 기준으로 한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표 2, 및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결과로부터도 판명되는 바와 같이, 미세 분말상의 시트르산의 함유량이 많은 시트르산을 첨가함으로써, 5-HMF의 생성이 많고, 100메쉬패스(150μm 이하)의 시트르산의 함유율이 낮을 수록 5-HMF의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되며, 10% 이하에서는 그 효과는 특히 현저한 것이 이해된다.
한편, 60메쉬패스(250μm 이하)의 시트르산의 함유율에 관해서는, 그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에서 5-HMF의 생성 억제 효과가 현저한 것이 이해된다.
시험예 3: 시트르산을 혼합하기 전의 건조 조립물에 있어서의 미세 분체물이 포도당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의 검토
후기하는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건조 조립물에 관해서, 그 미세 분체물 [100메쉬패스(150μm 이하)]의 함유량이 상이한 검체 A 내지 C를, 60℃에서 20시간 보존하고, 생성되는 포도당 분해물인 5-하이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의 생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검체 A 내지 C의 미세 분체물[100메쉬패스(150μm 이하)]의 함유량은, 이하의 표 3에 기재하는 바와 같았다.
Figure pat00003
5-HMF의 측정은, 포도당 농도가 2.5%가 되도록 용해하고, 분광 광도계에 의해 284nm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값에 의해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함께 표 3 중에 기재하였다.
상기의 표 3의 결과에 기초하여, 100메쉬패스(150μm 이하)의 미분쇄 상태의 건조 조립물을 함유하는 각 검체의 5-HMF의 흡광도를 도면에 도시하면 도 4와 같아진다.
도면 중에 도시한 결과로부터도 판명되는 바와 같이, 시트르산을 첨가하기 전의 조립물에 관해서는, 그 조립물을 미분쇄화한 것이 존재했다고 해도, 포도당의 분해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는 것이 판명된다.
이상의 시험예 1 내지 3의 결과로부터, 미분쇄화된 시트르산의 첨가량을 적게하는 것, 즉,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 예를 들면 시트르산으로서, 미분쇄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시트르산을 사용함으로써, 포도당의 분해를 억제한 안정된 고형 투석 제제가 되는 본원 발명의 특징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1: 고형 투석용제의 조제
염화나트륨 9429g, 염화칼륨 228g, 염화칼슘 338g, 시트르산나트륨 42g 및 포도당 2305g을, 버티컬·그래뉼레이터(VG-25형, 파우렉스사 제조)로 혼합한 혼합물에, 염화마그네슘 158g을 물 117(1%)에 용해하고, 바인더액으로서 첨가하고, 연합, 혼합하여, 이 조립물을 유동층 건조기로 건조시켰다.
이어서, 당해 건조 조립물 2848g을 사용하고, 입자 직경이 150μm 이하인 입자가 5% 미만인 시트르산 34g을 V형 혼합기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고형 투석용제를 수득하였다.
이상 기재와 같이, 본 발명은,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포도당의 분해를 억제한 안정된 분말 투석용제가 제공된다고 하는 점에서, 의료상의 가치는 매우 큰 것이다.

Claims (17)

  1.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으로서, 입자 직경 150μm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인 고체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
  2. 전해질 성분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조립물, 및 pH 조정제로서의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이, 입자 직경 150μm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을 제어한 시트르산, 또는 코팅한 시트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
  3.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이 코팅된 고체 유기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유기산에 포함되는 입자 직경 150μm 이하의 입자가 10% 이하인 고형 투석용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유기산이 시트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
  6. 제3항에 있어서, 고체 유기산의 코팅을 시트르산나트륨 용액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
  7.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전해질 성분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으로서, 입자 직경 250μm 이하의 입자가 10% 미만인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
  8.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전해질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으로서, 시트르산나트륨에 의해 코팅된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고체 유기산이 시트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
  10.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함유되는 고체 유기산으로서, 미분말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고체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 250μm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인 고체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고체 유기산이 시트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
  13.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전해질 성분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으로서, 미분말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 250μm 이하의 입자가 20% 이하인 고체 유기산, 또는 입자 직경 150μm 이하의 입자가 10% 이하인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
  15. 전해질 성분, 포도당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지는 고형 투석용제에 있어서, 전해질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된 조립물에, 고체 유기산으로서, 시트르산나트륨에 의해 코팅한 미분말 상태의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고체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유기산이 시트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투석용제의 제조 방법.
  17.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제10항 및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고형 투석용제를,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B제와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신장 투석용제.

KR1020157025958A 2007-05-31 2008-05-30 고형 투석용제 KR101645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45676 2007-05-31
JPJP-P-2007-145676 2007-05-31
PCT/JP2008/059979 WO2008149788A1 (ja) 2007-05-31 2008-05-30 固形透析用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348A Division KR101594790B1 (ko) 2007-05-31 2008-05-30 고형 투석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832A true KR20150110832A (ko) 2015-10-02
KR101645484B1 KR101645484B1 (ko) 2016-08-04

Family

ID=400936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348A KR101594790B1 (ko) 2007-05-31 2008-05-30 고형 투석용제
KR1020157025958A KR101645484B1 (ko) 2007-05-31 2008-05-30 고형 투석용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348A KR101594790B1 (ko) 2007-05-31 2008-05-30 고형 투석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9333B2 (ko)
EP (1) EP2151247B1 (ko)
JP (3) JP5800121B2 (ko)
KR (2) KR101594790B1 (ko)
CN (1) CN101678110B (ko)
TW (1) TWI516284B (ko)
WO (1) WO2008149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1228B2 (ja) * 2010-02-16 2014-05-14 御木本製薬株式会社 染色液および染色方法
EP2585076B1 (en) * 2010-06-23 2015-03-04 Gambro Lundia AB Dialysis precursor composition
BR112012033044A2 (pt) * 2010-06-23 2016-12-20 Gambro Lundia Ab composição de precursor de diálise
FR2975302B1 (fr) 2011-05-18 2013-05-10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Connecteur pour recipient de dialyse, recipient muni d'un tel connecteur, procede de fabrication et de remplissage de tels connecteurs et recipients
US9821102B2 (en) 2011-06-20 2017-11-21 Gambro Lundia Ab Dialysis precursor composition
KR102001689B1 (ko) 2011-06-20 2019-07-18 감브로 룬디아 아베 투석 전구 조성물
FR2978914B1 (fr) 2011-08-11 2013-08-16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Recipient pour dialyse
CN104010645B (zh) 2011-12-21 2017-03-01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透析前体组合物
KR101978010B1 (ko) 2011-12-21 2019-05-13 감브로 룬디아 아베 투석 전구체 조성물
SE536913C2 (sv) 2012-03-08 2014-10-28 Gambro Lundia Ab Komposition för dialys
JP5376480B1 (ja) * 2012-10-10 2013-12-25 富田製薬株式会社 酢酸及び酢酸塩を含む透析用a剤、及びそれを用いた2剤型透析用剤
AU2013201546B2 (en) 2012-12-18 2014-10-23 Gambro Lundia Ab Dialysis composition
EP2905039A1 (en) * 2014-02-07 2015-08-12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Dry Acid Concentrate in Granulate form
CN105434461A (zh) * 2015-12-09 2016-03-30 广州骐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碳酸氢盐透析液干粉组合物
JP7450957B2 (ja) 2022-04-08 2024-03-18 富田製薬株式会社 血液透析用a剤及び血液透析用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8116A (en) 1980-11-21 1982-06-01 Tomita Seiyaku Kk Preparation of mixed powder of electrolytic compound for bicarbonate dialysis
JPH09301875A (ja) 1996-05-10 1997-11-25 Shimizu Seiyaku Kk 血液透析製剤
JP2005330241A (ja) 2004-05-21 2005-12-02 Ajinomoto Co Inc 固形透析用剤の製造方法
EP1731183A1 (en) * 2004-03-30 2006-12-13 Nipro Corporation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dialysi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9921B2 (ja) * 1996-09-13 2005-02-16 富田製薬株式会社 重炭酸固形透析用剤
EP1059083B1 (en) * 1999-06-07 2004-04-14 Nipro Corporation A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dialysi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951284B2 (ja) * 1999-06-07 2007-08-01 ニプロ株式会社 透析用固形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51695B2 (ja) * 2000-05-23 2008-02-27 ニプロ株式会社 固形重曹透析用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99506B2 (ja) * 2000-09-27 2007-03-28 ニプロ株式会社 固形透析用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93742B2 (ja) * 2001-06-25 2009-07-08 日機装株式会社 透析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39853A (ja) * 2002-05-27 2003-12-02 Shimizu Pharmaceutical Co Ltd 安定な透析用剤
JP4647953B2 (ja) 2003-12-26 2011-03-09 マナック株式会社 一剤型重炭酸透析用固形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23657A (ja) * 2005-02-18 2006-08-31 Nikkiso Co Ltd 透析用剤
JP2007037601A (ja) * 2005-07-29 2007-02-15 Ajinomoto Co Inc 溶解性を向上させた固形透析用a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8116A (en) 1980-11-21 1982-06-01 Tomita Seiyaku Kk Preparation of mixed powder of electrolytic compound for bicarbonate dialysis
JPH09301875A (ja) 1996-05-10 1997-11-25 Shimizu Seiyaku Kk 血液透析製剤
EP1731183A1 (en) * 2004-03-30 2006-12-13 Nipro Corporation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dialysis
JP2005330241A (ja) 2004-05-21 2005-12-02 Ajinomoto Co Inc 固形透析用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8110B (zh) 2017-04-26
KR20100028586A (ko) 2010-03-12
WO2008149788A1 (ja) 2008-12-11
JP6104328B2 (ja) 2017-03-29
EP2151247A1 (en) 2010-02-10
TWI516284B (zh) 2016-01-11
US20100120702A1 (en) 2010-05-13
CN101678110A (zh) 2010-03-24
JP2015221815A (ja) 2015-12-10
KR101645484B1 (ko) 2016-08-04
JP5800121B2 (ja) 2015-10-28
JPWO2008149788A1 (ja) 2010-08-26
TW200911287A (en) 2009-03-16
EP2151247A4 (en) 2010-10-13
US9029333B2 (en) 2015-05-12
JP2014074075A (ja) 2014-04-24
EP2151247B1 (en) 2016-09-07
KR101594790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84B1 (ko) 고형 투석용제
AU2020202781B2 (en) Granulated anthelmintic preparations and delivery systems
US20070190161A1 (en) Solid formulation for dialysi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530235B2 (ja) 血液透析用剤
JP4483406B2 (ja) 固形透析用剤の製造方法
JP2809971B2 (ja) 血液透析用製剤
JP4001062B2 (ja) 固形透析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41607B2 (ko)
JPH06335527A (ja) 重曹透析用剤
JP4626718B2 (ja) 固形透析用剤
US6407070B1 (en)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dialysate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385802B2 (ja) 粉末透析剤の製造方法
JPH0242811B2 (ko)
JP2005194199A (ja) 固形透析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NZ758849A (en) Drenching platform or system, consumables thereof and related aspects
NZ758849B2 (en) Drenching platform or system, consumables thereof and related asp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