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272A -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272A
KR20150110272A KR1020140138920A KR20140138920A KR20150110272A KR 20150110272 A KR20150110272 A KR 20150110272A KR 1020140138920 A KR1020140138920 A KR 1020140138920A KR 20140138920 A KR20140138920 A KR 20140138920A KR 20150110272 A KR20150110272 A KR 20150110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light
luminescent pane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가네코
준야 하야시
도모아키 사와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6Series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패널(10)과, 반사부(43)를 포함하는 발광모듈(15)이 제공된다. 상기 발광패널(10)은 제1 전극(21), 제2 전극(22), 및 유기층(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22)은 상기 제2 전극(21)과 대향한다. 상기 제2 전극(22)은 급전부(22a)와 광투과부(22b)를 갖는다. 상기 유기층(30)은 상기 제1 전극(21)과 상기 제2 전극(22)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유기층(30)은 발광층(32)을 갖는다. 상기 반사부(43)는 상기 발광패널(10)의 제1 전극(21)과 대향하여 설치된다.

Description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하는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가 있다. 그 중에, 통상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불투명한 재료로 구성되는 음극을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적절한 공극이 있는 형상으로 하고, ITO 등으로 이루어진 투과성의 양극과의 사이에 유기층을 끼고 구성한 OLED가 있다. 상기 OLED는 소등시는 투과성, 즉 양극측으로부터도 음극측으로부터도 OLED를 통하여 반대측을 볼 수 있고, 점등시는 한쪽은 발광, 다른쪽은 투과성, 즉 양극측은 발광하고, 음극측은 OLED를 통하여 반대측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OLED는 사각형이고, 원형이나 원호를 포함하는 형상은 절단 방법이나 소자 구조 자체의 재검토가 필요해지고, 이형으로 발광하는 OLED의 제작에는 과제가 있다. 또한, OLED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용도가 기대되고 있고, 참신한 발광이 얻어지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용이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신규의 발광을 얻는 것이 가능한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패널과, 반사부를 포함하는 발광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발광패널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과, 유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한다. 상기 제2 전극은 반사부와 광투과부를 갖는다.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유기층은 발광층을 갖는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패널의 제1 전극과 대향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이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신규의 발광을 얻는 것이 가능한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기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실시형태의 발광모듈은 발광패널과,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패널은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유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한다. 상기 제2 전극은 급전부와 광투과부를 갖는다.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유기층은 발광층을 갖는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패널의 제1 전극과 대향하여 설치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 또는 개념적인 것이고, 각 부분의 두께와 폭의 관계, 부분간의 크기의 비율 등은 반드시 현실의 것과 동일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동일 부분을 나타내는 경우이어도, 도면에 따라 상호의 크기나 비율이 다르게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와 각 도면에서 이미 나온 도면에 관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a)는 발광모듈(15)을 예시하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1~A2선 단면을 예시하고 있다.
발광모듈(15)은 발광패널(10)과, 케이스(40)(모듈 외각)를 포함한다. 발광패널(10)은 제1 면(10a) 및 제2 면(10b)을 갖는다. 제2 면(10b)은 제1 면(10a)과 반대측의 면이다. 예를 들어, 제1 면(10a) 및 제2 면(10b)의 형상은 사각형이다. 제1 면(10a)은 발광면(10c)을 포함한다.
발광패널(10)은 케이스(40)에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발광패널(10)의 단부가 케이스(40)에 접촉된다. 케이스(40)는 본체부(41), 개구부(42) 및 반사부(43)를 포함한다.
케이스(40)는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일부에 반사부(43)를 통하여 접촉되는 제1 면(40a)과, 발광패널(10)의 측면에 접촉되는 제2 면(40b)을 갖는다. 제1 면(40a) 및 제2 면(40b)은 본체부(41)에 형성되어 있다. 발광패널(10)이 제1 면(40a) 및 제2 면(40b)에 의해 케이스(40)에 접촉되므로 발광패널(10)은 케이스(40)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1매의 베이스 기판 내에 양극, 유기층 및 음극을 형성하고, 베이스 기판과 밀봉부재를 밀봉함으로써 복수의 발광패널(10)이 형성된다. 복수의 발광패널(10)은 스크라이브 장치 등으로 절단되어 개개로 나누어진다.
도 1(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발광패널(10)의 발광면(10c)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상 및 타원형상을 포함) 원형상이다.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형상은 사각형이다. 케이스(40)의 개구부(42)의 형상을 원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패널(10)의 발광면(10c)의 형상이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일부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43)는 예를 들어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일부에 접촉되도록, 발광패널(10)과 본체부(4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조사면측에 설치된 케이스(40)의 내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 중 적어도 하나의 각부 등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부(43)는 정방형의 중심영역을 원형으로 오려낸 형상이고,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각 각(角)부 및 단가장자리를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형성된다.
반사부(43)는 예를 들어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단부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4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반사부(43)는 예를 들어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발광면(10c)을 제외한 부분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형성되어도 좋다.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반사면측에 설치된 케이스(40)의 내측에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형성된 반사부(43)에 의해 거울면 반사 또는 확산 반사된다. 반사부(43)에 의해 반사된 광은 발광패널(10)의 제2 면(10b)측에 돌아서 들어간다.
반사부(43)는 예를 들어 은(Ag) 또는 알루미늄(Al) 등의 시트를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반사부(43)는 거울면 반사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반사부(43)에 의해 거울면 반사된다. 「거울면 반사성」이라는 것은 입사각(θ)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각(θ)으로 반사되는 면을 의미하지만, 반사각이 θ±5° 등, 다소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다. 반사부(43)는 케이스(40)와는 별도로 알루미늄 증착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반사부(43)는 예를 들어 미세한 요철 구조 및, 산화마그네슘이나 황산 바륨 등의 백색 확산 반사 도료를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설치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반사부(43)를 형성하면,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반사부(43)에 의해 확산 반사된다.
반사부(43)는 예를 들어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주로 거울면 반사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형성된다. 반사부(43)에 의해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거울면 반사되므로,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반사부(43)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단면, 즉 패널의 두께 부분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단면으로부터 누출되는 광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발광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반사부(43)는 예를 들어 발광패널(10)과의 사이에 굴절률 조정부재를 통하여 설치되어도 좋다. 발광패널(10)의 기판이 유리이면 굴절률 1.5 정도의 굴절률 조정 오일 등의 광학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리기판 내를 도파하여 외부에 취출할 수 없는 광을 외부에 취출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의 일부를 예시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a)에서 발광패널(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서 발광패널(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발광패널(10)에는 기판(20), 제1 전극(21), 제2 전극(22), 유기층(30), 밀봉부재(24), 밀봉체(25) 및 절연막(26)이 설치된다. 유기층(30)은 발광층(32)을 포함한다.
기판(20)은 제1 면(20a) 및 제2 면(20b)을 갖는다. 제2 면(20b)은 제1 면(20a)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밀봉부재(24)는 제1 면(24a) 및 제2 면(24b)을 갖는다. 제2 면(24b)은 제1 면(24a)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기판(20)의 제1 면(20a)은 밀봉부재(24)의 제1 면(24a)과 대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20a, 24a)과, 제2 면(20b 및 24b)의 형상은 사각형이다.
기판(20)의 제2 면(20b)은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에 대응한다. 밀봉부재(24)의 제2 면(24b)은 발광패널(10)의 제2 면(10b)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기판(20)상에 제2 전극(22)이 설치된다. 제2 전극(22)과 기판(20) 사이에, 제1 전극(21)이 설치된다. 유기층(30)은 제1 전극(21)과 제2 전극(22) 사이에 설치된다. 유기층(30)의 측면과 제2 전극(22) 사이, 및 제1 전극(21)의 단부와 제2 전극(22) 사이에는 절연막(26)이 설치된다.
기판(20)상에 밀봉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20)과 밀봉부재(24) 사이에, 밀봉체(25)가 설치된다. 밀봉체(25)는 기판(20)과 밀봉부재(24) 사이의 영역의 주위에서 연속하여 설치된다.
기판(20)은 예를 들어 광투과성이다. 기판(20)은 예를 들어 투명기판이다. 예를 들어, 기판(20)으로서 유리기판이 사용된다. 기판(20)에는 예를 들어 투명수지기판(예를 들어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이 사용된다.
제1 전극(21)은 광투과성이다. 제1 전극(21)은 예를 들어 투명전극이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1)에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또는 도전성 고분자 등이 사용된다.
제2 전극(22)은 예를 들어 은(Ag)막 또는 알루미늄(Al)막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광투과율은 기판(20)의 광투과율보다 낮다. 제2 전극(22)의 광투과율은 예를 들어 제1 전극(21)의 광투과율보다 낮다. 제2 전극(22)은 예를 들어 광반사성이다.
제2 전극(22)은 광반사부(22a)와 광투과부(22b)를 갖고 있다. 광반사부(22a)는 급전과 반사의 기능을 갖는 막이다. 광투과부(22b)는 광을 투과시키는 부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투과부(22b)는 개구이다. 개구는 제2 전극(22)을 가는 선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막은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투과성이 얻어지므로, 예를 들어 은막의 두께를 10㎚~30㎚으로 함으로써 광투과부(22b)를 형성하고, 은막의 두께를 30㎚~200㎚으로 함으로써 광반사부(22a)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광반사부(22a)와 광투과부(22b)의 폭 및 비율은 희망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유기층(30)에는 예를 들어 정공수송층(31)과, 발광층(32)과, 전자수송층(33)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1)상에 정공수송층(31)이 설치된다. 정공수송층(31)상에 발광층(32)이 설치된다. 발광층(32)상에 전자수송층(33)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전극(22)은 기판(20)의 표면의 일부상에도 설치된다. 제2 전극(22)은 기판(20)의 표면과 유기층(30)의 상면과의 사이의 단차를 덮도록 연속하여 설치된다.
발광패널(10)에서는 예를 들어 제2 전극(22)으로부터 전자수송층(33)을 통하여 발광층(32)으로 전자가 주입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1)으로부터 정공수송층(31)을 통하여 발광층(32)으로 정공이 주입된다. 발광층(32)에 주입된 전자와 주입된 정공이 재결합한다. 재결합에 따라서 발광층(32)으로부터 광이 방출된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이라는 것은 발광층(32)의 광에 대해서 투과성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투명」이라는 것은 광투과율이 100%인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파장 550㎚에서의 광투과율이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불투명」이라는 것은 발광층(32)으로부터 방출된 광에 대하여 차광성 또는 반사성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불투명」이라는 것은 발광층(32)으로부터 방출된 광에 대한 광투과율이 0%인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불투명」이라는 것은 「투명」한 영역보다 광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파장 550㎚에서의 광투과율이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 예에서는 제2 전극(22)은 발광층(32)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실질적으로 투과시키지 않는 두께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22)은 광에 대하여 높은 반사성을 갖는다. 발광층(32)으로부터 방출되어, 제2 전극(22)측을 향하는 광은 제2 전극(22)에서 반사되어, 광투과성의 제1 전극(21)을 통과한다. 발광패널(10)에서는 발광층(32)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기판(20)측으로부터 취출된다.
밀봉부재(24)는 예를 들어 광투과성이다. 예를 들어, 밀봉부재(24)는 유기층(3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킨다. 밀봉부재(24)로서는 유리기판 및 투명수지기판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사용된다. 실시형태에서 밀봉부재(24)는 비광투과성이어도 좋다. 밀봉체(25)에는 예를 들어 수지가 사용된다.
발광면(10c)의 형상을 원형상 등으로 하기 위해서는 절연막(26)을 포토리소그래피 등에 의해 원형으로 패터닝하고, 절연막(26)으로 발광면(10c)을 규정한다. 기판의 외형은 사각형이므로, 기판면적에 대한 발광면(10c)의 면적의 비율이 저하된다. 또한, 외형을 원형으로 하는 경우, 발광패널(10)은 스크라이브 장치 등에 의해 원형상이나 별모양 등 임의의 형상으로 절단된다. 이와 같은 경우, 스크라이브 장치는 원형상 등의 원호나 별모양 등을 포함하는 형상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발광패널(10)을 사각형으로 절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크라이브 장치의 제어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발광패널(10)을 원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전극으로의 배선 등 발광패널(10)내에 설치되어 있는 소자의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발광패널(10)은 상기와 같은 구조이므로, 소등시에는 제1 면(10a)측으로부터 발광패널(10)을 보았을 때 제2 면(10b)측이 투과하고, 제2 면(10b)측으로부터 발광패널(10)을 보았을 때 제1 면(10a)측이 투과한다. 한편, 점등시에는 제1 면(10a)은 발광하지만, 제2 면(10b)측으로부터 발광패널(10)을 보았을 때에는 제1 면(10a)측이 투과하는, 편면 조사형이고 또한 투명한 패널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한쪽 발광패널의 제1 면(10a)측에 반사부(43)를 설치함으로써 제1 면(10a)을 원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경우, 발광시에서의 제1 면(10a)의 발광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도 1(a)의 경우, 제2 면(10b)의 발광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사선은 발광하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점등시에 제1 면(10a)측 및 제2 면(10b)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a)와 같이, 제1 면(10a)측은 반사부(4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케이스(40)의 개구부(42)를 발광패널(10)의 형상(예를 들어, 사각형상)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원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 발광면(10c)으로부터 발광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반사부(43)에 의해 통상은 발광하지 않는 편측 발광패널의 제2 면(10b)측도 발광시킬 수 있다. 그 발광은 반사부(43)의 형상에 의존한다. 즉, 도 3(b)와 같이, 반사부(43)에 대향하는 제2 면(10b)의 영역이 발광한다. 단, 제2 면(10b)의 영역의 발광은 제1 전극(21), 유기층(30), 제2 전극(22)을 통하여 제2 면(10b)으로부터 광이 출광하게 되므로, 반사나 투과 손실에 의해 제1 면(10a)의 발광휘도보다 낮아진다. 또한, 발광 중, 반사부(43)에 대향하고 있지 않은 영역, 즉 제1 면(10a)에서는 발광하고 있는 영역에서는 제2 면(10b)측으로부터 발광패널(10)을 통하여 제1 면(10a)측을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이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고 또한 신규의 발광을 하는 발광모듈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a)~도 4(c)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기구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조명기구(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도 4(a)의 경우, 발광시에서의 제1 면(10a)의 발광을 나타내고 있다. 도 4(c)는 도 4(a)의 경우, 제2 면(10b)의 발광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사선은 발광하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4(b) 및 도 4(c)는 점등시에 제1 면(10a)측 및 제2 면(10b)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a)~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각 케이스(40)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패널(10)이 평면상에 배치되어 조명기구(100)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발광패널(10)을 3개 세로로 나열하고, 그 중 한가운데의 발광패널(10)은 제1 면(10a)과 제2 면(10b)을 반전시켜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조명기구(100)의 제1 면(10a) 및 제2 면(10b)은 각각 도면과 같이 발광한다. 발광패널(10)의 수 및 배치 레이아웃은 도 4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이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고, 또한 신규의 발광을 얻을 수 있는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제2 실시형태)
도 5(a) 및 도 5(b)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모듈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a)는 발광모듈(15)을 예시하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A1-A2선 단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6(a)는 도 5(a)의 경우, 발광시에서의 제1 면(10a)의 발광을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도 5(a)의 경우, 제2 면(10b)의 발광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사선은 발광하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점등시에 제1 면(10a)측 및 제2 면(10b)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패널(10)의 발광면(10c)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호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형상은 사각형이다. 케이스(40)의 개구부(42)의 형상을, 원호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패널(10)의 발광면(10c)의 형상을, 원호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발광면(10c)이 원호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발광패널(10)과, 발광면(10c)이 사각형상을 갖는 발광패널(10)이 배치되어도 좋다.
발광모듈(15)에서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일부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43)는 예를 들어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일부에 접촉되도록, 발광패널(10)과 본체부(4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43)의 외측에는 광흡수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43) 및 광흡수부(44)는 발광패널(10)의 조사면측에 설치된 케이스(40)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점등 중, 제1 면(10a) 및 제2 면(10b)은 각각 도 6(a) 및 도 6(b)와 같은 발광이 된다. 제2 면(10b)은 광 흡수부(44)에 의해 사각형과 반원형을 조합시킨 형상의 바깥 가장자리가 라인 형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적어도 하나의 각부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부(43)는 발광패널(10)의 제1 면(10a)의 각부에 대향하도록 케이스(40)의 제1 면(40a)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용이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고, 또한 신규의 발광을 얻을 수 있는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이상,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명기구에 포함되는 발광패널, 발광모듈, 기판, 발광층, 유기층, 밀봉부재, 케이스 및 반사부 등의 각 요소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당업자가 공지의 범위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을 동일하게 실시하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구체예 중 어느 2개 이상의 요소를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로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조명기구를 기초로 하여 당업자가 적절하게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모든 조명기구도,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자라면 각종의 변경예 및 수정예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고, 그 변경예 및 수정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것으로 양해된다.
지금까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했지만, 이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사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규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예들에서의 다양한 생략, 치환 및 변경이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첨부한 청구항들과 그 균등물은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 속하는 그와 같은 형태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10: 발광패널 10a: 발광패널의 제1 면
10b: 발광패널의 제2 면 15: 발광모듈
21: 제1 전극 22: 제2 전극
30: 유기층 32: 발광층
43: 반사부 100: 조명기구

Claims (5)

  1. 제1 전극(21)과, 상기 제1 전극(21)과 대향하고 급전부(22a)와 광투과부(22b)를 갖는 제2 전극(22)과, 상기 제1 전극(21)과 상기 제2 전극(22)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발광층(32)을 갖는 유기층(30)을 포함하는 발광패널(10); 및
    상기 발광패널(10)의 제1 전극(21)과 대향하여 설치된 반사부(43);
    를 구비한, 발광모듈(15).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패널(10)은 상기 제1 전극(21)측에 위치하는 제1 면(10a) 및 상기 제2 전극(22)측에 위치하는 제2 면(10b)을 갖고, 소등시에는 상기 제1 면(10a)측으로부터 상기 발광패널(10)을 보았을 때 상기 제2 면(10b)측이 투과하고 상기 제2 면(10b)측으로부터 상기 발광패널(10)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면(10a)측이 투과하고, 점등시에는 상기 제1 면(10a)이 발광하고 상기 제2 면(10b)측으로부터 상기 발광패널(10)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면(10a)측이 투과하는, 발광모듈(15).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43)는 거울면 반사성을 갖고, 상기 제1 면(10a)으로부터 출광한 광을 거울면 반사하며, 상기 제1 전극(21), 상기 유기층(30), 상기 제2 전극(22)을 통하여 상기 제2 면(10b)으로부터 상기 광을 출광시키는, 발광모듈(15).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43)는 상기 제1 면(10a)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점등시, 상기 제1 면(10a)은 상기 반사부(4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발광하고, 상기 제2 면(10b)은 상기 반사부(43)에 대향하는 영역이 발광하며, 상기 반사부(43)에 대향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면(10a)측이 투과하여 보이는, 발광모듈(15).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모듈(15)을 구비한 조명기구(100).
KR1020140138920A 2014-03-20 2014-10-15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 KR201501102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8921A JP2015185603A (ja) 2014-03-20 2014-03-20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JPJP-P-2014-058921 2014-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272A true KR20150110272A (ko) 2015-10-02

Family

ID=5157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920A KR20150110272A (ko) 2014-03-20 2014-10-15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70511A1 (ko)
EP (1) EP2922110A1 (ko)
JP (1) JP2015185603A (ko)
KR (1) KR20150110272A (ko)
CN (1) CN20423030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443B1 (ko) * 2015-04-17 2022-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거울형 표시 장치
CN107624200A (zh) * 2015-04-29 2018-01-23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用于oled照明应用的密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8292A (ja) * 1999-09-08 2001-05-29 Denso Corp 有機el素子
DE10353992B4 (de) * 2003-11-19 2009-03-19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ganischen Leuchtflächenelements und organisches Leuchtflächenelement
US20100237374A1 (en) * 2009-03-20 2010-09-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CN103329625B (zh) * 2011-02-07 2015-11-25 夏普株式会社 有机el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230304U (zh) 2015-03-25
JP2015185603A (ja) 2015-10-22
US20150270511A1 (en) 2015-09-24
EP2922110A1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49541A (ja) 発光パネル
KR20150110272A (ko) 발광모듈 및 조명기구
JP5846345B1 (ja) 面状発光ユニット
JP2015011884A (ja) 照明器具
JP5854173B2 (ja) 面発光ユニット
WO2015079912A1 (ja) 面状発光ユニット
KR20170101942A (ko) 무전극 유기발광장치 및 이를 이용한 lcd 시스템
WO2015083483A1 (ja) 面発光ユニット
JP5891962B2 (ja) 面発光体
JP6475018B2 (ja) 有機el発光装置
US20160308167A1 (e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US20150001491A1 (en) Light Emitting Panel and Lighting Apparatus
JP5983894B2 (ja) 面発光モジュール
JP2016066547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11025750A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2016177967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照明装置
US20160377790A1 (en) Light source assembly, backlight and display device
KR20140131680A (ko)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JP2016066494A (ja) 照明装置
JP2016066492A (ja) 照明装置
KR20160132175A (ko) 자동차용 조명장치
JP6528513B2 (ja) 面発光モジュール
JP2016066491A (ja) 照明装置
JP2016181361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照明装置
JP2016066537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