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830A - 밑창 - Google Patents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830A
KR20150108830A KR1020157019001A KR20157019001A KR20150108830A KR 20150108830 A KR20150108830 A KR 20150108830A KR 1020157019001 A KR1020157019001 A KR 1020157019001A KR 20157019001 A KR20157019001 A KR 20157019001A KR 20150108830 A KR20150108830 A KR 20150108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buffer
bottom piece
buffer element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878B1 (ko
Inventor
하랄트 바그너
Original Assignee
디럭스 스포타티겔 핸델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럭스 스포타티겔 핸델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디럭스 스포타티겔 핸델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0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43B13/226Profiled soles the profile being made in the foot 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2Mountain boots 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01Snowboard bo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슈우, 특히 스포츠 슈우/하이킹 슈우 또는 스키 부츠/스노우보드 부츠를 위한 밑창(1)은 상기 밑창(1)의 외부(3) 상에 배치된 완충 프로파일(5)을 갖는 것으로 제안된다. 상기 밑창(1)은 상기 완충 프로파일(5)이 상기 밑창(1)의 내부(7) 위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Description

밑창{SO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슈우, 특히 스포츠 슈우/하이킹 슈우 또는 스키 부츠/스노우보드 부츠를 위한 밑창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논의되는 타입의 밑창이 원칙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예컨대 러닝 슈즈의 경우에 지면을 가격할 때에 발에 대한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완충 프로파일을 종종 갖는다. 종래의 슈즈의 경우에는, 이러한 타입의 완충 프로파일이 외측부, 즉 지면에 면하는 밑창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한편, 밑창의 내부, 즉 발에 면하는 측부는 평탄하고 프로파일은 갖지 않는다. 이로써, 밑창에 대한 발의 편안한 베딩(bedding)이 보장되도록 의도된다. 그 결과, 충격에 대한 완충은 밑창 재질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밑창은 소정 한계 내에서만, 특히 2차원적으로만 완충될 수 있고, 선택된 지점에서는 완충될 수 없다. 고무로 이루어진 밑창의 최소 재료 두께가 일반적으로 2 mm이기 때문에, 완충 프로파일은 2 mm보다는 상당히 두꺼운 재료 두께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완충 프로파일은 중량이 많아지는 것과 관련된 재료의 소비를 증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개선된 완충 특성과 더불어, 낮은 재료 소비를 갖는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밑창에 의해 성취된다. 상기 밑창은 슈우, 특히 스포츠 슈우/하이킹 슈우 또는 스키 부츠/스노우보드 부츠의 제조를 맞고, 밑창의 외부 상에 위치된 완충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밑창은 완충 프로파일이 밑창의 내부 위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본 개념은 밑창의 내부를 평탄하게 하는 것이 설계 관점으로부터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한편으로는, 완충 프로파일이 밑창의 내부 위로 연장될 때 발의 편안한 베딩이 성취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슈우 상부가 그 에지에서만 밑창에 접착됨으로써 밑창을 슈우 상부에 접착하기 위해 밑창의 내부를 반드시 평탄하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밑창의 내부 위로 연장되는 완충 프로파일의 또 다른 이점은, 그로써 성취될 수 있는 부분적인 기계적 완충을 야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완충은 압력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정확히 일어난다. 밑창의 양측부 상에 형성된 완충 프로파일로 인해, 밑창을 위한 재료 및 중량의 견지에서의 절약이 산출되는데, 그 이유는 완충 프로파일이 밑창 내에 완전히 통합됨으로써 완충 프로파일을 위해 추가적인 재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양측부 상에 형성된 완충 프로파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완충 요소의 형성을 허용함으로써, 하중 하에서 메인 압력 지점에 핀포인트 완충(pinpoint cushioning)을 허용한다.
상기 밑창의 양측부 상에 형성된 완충 프로파일이 하나 이상의 완충 요소를 포함한다면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완충 요소는 재료의 랜드(lands)/일부(portions)를 거쳐 또 다른 완충 요소에 결합될 수 있는 탄성 변형가능한 중공형 바디를 갖는다. 완충 요소의 구성을 중공형 바디의 형태로 함으로써, 개선된 완충 특성에 더불어, 밑창의 재료 및 그에 따른 중량의 견지에서의 절약이 산출된다. 그 결과, 상기 밑창은 더욱 값싸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완충 요소는 상기 밑창 내에 탄력적으로 완전히 통합되어 2차원 스프링 요소를 형성한다. 이로써, 중공형 바디로서 설계되는 상기 완충 요소는 대응하는 연결 랜드 및 홀딩 랜드를 가짐으로써, 상기 밑창 내의 완충 요소에 대한 탄성 베딩을 일으킨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완충 요소는 밑창 평면에 수직인 양자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스프링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완충 프로파일이 서로 독립적인 복수의 완충 요소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완충 요소는 2개 이상의 메인 완충 요소와, 다수의 2차 완충 요소를 포함하는 밑창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메인 완충 요소가 뒷발 영역 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메인 완충 요소가 상기 밑창의 앞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완충 요소는 적어도 영역들 내에서 2차 완충 요소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뒷발 영역 및/또는 상기 앞발 영역 내에는 그립 프로파일(grip profile)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 프로파일은, 마찬가지로, 적어도 영역들 내에서 상기 메인 완충 요소 및/또는 상기 2차 완충 요소에 인접하여, 복수의 핌플형 돌출부를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 요소는 3차원, 특히 핌플형 방식(pimple-like manner)으로 엠보싱되며, 다각형, 특히 육각형 또는 원형 컵 형상 또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완충 요소의 중공형 바디 형태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완충 프로파일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밑창에 결합, 특히 원피스로 결합되는 프레임이 제공되어 밑창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밑창의 러닝 평면으로부터의 거리, 특히 대략 2 mm의 거리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밑창에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완충 요소는 상기 프레임과 독립적으로 스프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대응하는 완충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밑창은 적어도 대략 2 mm 두께이며, 바람직하게 2 mm의 연속적인 재료 두께를 가지지만, 상기 밑창의 실제 높이를 위해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재료의 견지에서의 절약뿐만 아니라, 밑창의 중량도 감소시킨다.
상기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청구항 14의 특징을 갖는 슈우, 특히 스포츠 슈우/하이킹 슈우 또는 스키 부츠/스노우보드 부츠는 청구항 1 내지 13 중 하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민창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을 갖는 슈우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의 종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완충 요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의 외부의 평면도,
도 6은 초기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의 종단면도,
도 7은 내측방향으로 지향된 완충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의 종단면도,
도 8은 외측방향으로 지향된 완충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밑창의 종단면도.
도 1은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 밑창(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밑창(10)은 상부(20)에 결합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종래의 밑창(10)이 그 외부(30) 상에 완충 프로파일(50)을 갖는 한편, 그 내부(70)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을 명확히 한다.
도 2는 상부(2)에 결합되도록 의도되며, 임의의 슈우, 특히 스포츠 슈우/하이킹 슈우 또는 스키 부츠/스노우보드 부츠를 제조하도록 기능하는 밑창(1)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밑창 설계는 임의의 슈우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경우에,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 부츠를 위한 밑창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종래의 밑창과는 달리, 완충 프로파일(5)은 외부(3) 위로뿐만 아니라, 밑창(1)의 내부(7) 위로 연장된다. 따라서, 완충 프로파일은 밑창을 관통하도록 실제로 설계된다. 본 경우에서의 밑창의 "외부"(3)는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의 측부를 의미하는 한편, 밑창(1)의 내부(7)는 발에 면하는 측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결과, 내부(7)는 평탄하게 설계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3)에 따라서, 완충 프로파일(5)의 구조, 즉 대응하는 높이 및 오목부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밑창은 밑창을 안정화시키는 프레임(9)을 구비하여, 양측부 상에 형성되는 완충 프로파일로 인해 종래의 밑창보다는 더욱 가요성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9)은 밑창(1)과 원피스로 설계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방식, 특히 접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9)은 밑창(1)의 외측 에지에 결합되어, 밑창(1)을 바람직하게 완전히 둘러싼다. 프레임(9)의 하측 에지(R)는 밑창(1)의 러닝 평면(L)으로부터의 거리(a)에 배치된다. 하측 에지(R)가 지면에 면하는 프레임(9)의 일부인 한편, 러닝 평면(L)은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의 평면이다. 프레임(9)의 하측 에지(R)와 러닝 평면(L) 사이의 거리(a)는 적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 mm 이상일 수 있다. 하측 에지(R)와 러닝 평면(L) 사이의 충분히 큰 거리(a)는, 완충 프로파일의 완충 운동을 방해하는 프레임 없이 완충이 방해받지 않고서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은 프레임(9)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밑창(1)을 갖는 슈우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3의 슈우의 종단면도와, 본 발명에 따른 밑창(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와 마찬가지로, 도 4a는 완충 프로파일(5)이 외부(3) 위로 그리고 밑창(1)의 내부(7) 위로 연장되는 것을 명확히 한다. 바람직하게, 완충 프로파일(5)은 밑창(1)의 총 영역의 메인부 위로 연장되어, 그 내에 일체 형성된다. 이는 재료의 영역을 거쳐 함께 결합되어 밑창의 메인부를 적어도 형성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복수의 완충 요소(11)를 갖는다.
완충 요소(11) 및 그 작동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경우, 완충 요소(11)가 중공형 바디(13)를 갖는 것이 명백하다. 예컨대 단지 형상(pot-shape)일 수 있는 중공형 바디 형태는 본 예에서 베이스(13a)에 의해 제조되어, 상승형 측면부(ascending flank)(13b)에 의해 둘러싸인다. 베이스(13a)와 측면부(13b)는 발 측을 향해 개방되는 캐비티를 에워싼다. 베이스와 측면부의 재료 두께는 동일할 수 있고, 특히 2 mm일 수 있다. 또한, 동등물이 밑창을 형성하는 재료, 랜드 및 측면부의 다른 영역에 적용된다.
중공형 바디(13) 또는 완충 요소(11)는 밑창(1) 내에 탄력적으로 통합되고, 이러한 방식에서, 2차원 스프링 요소를 형성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창 평면(E)에 수직이고 양자의 방향(19, 19')으로의 스프링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단지 형상의 중공형 바디(13)는 경사진 측면부, 단면으로 볼 때 V자 형상 또는 Z자 형상인 측면부를 거쳐 또 다른 완충 요소로의 연결을 나타내는 재료의 영역에 결합된다. 구체적인 용어, 예컨대 연결 랜드(15)와 홀딩 랜드(17)가 제공되며, 중공형 바디를 홀딩 랜드에 결합하는 연결 랜드는 재료의 영역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영역을 형성한다.
랜드 및 중공형 바디는 탄성 변형가능하고, 밑창(1) 내의 완충 요소의 탄력적인 베딩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완충 요소(11)는 밑창 평면(E)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양자의 방향(19, 19')으로의 스프링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로딩 상황(loading situation)에 따라, 완충 요소(11)는 화살표 방향(19 또는 19')으로의 변위와 관련된 탄성 변형을 받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밑창(1)의 외부(3)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한 밑창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그 완충 프로파일은 복수의 완충 요소를 갖는다. 완충 요소는 메인 완충 요소(21)와 2차 완충 요소(23)로 이루어진다. 본 경우의 하나의 메인 완충 요소(21)는 밑창(1)의 뒷발 영역(25)에 배치되고, 하나의 메인 완충 요소(21)는 밑창(1)의 앞발 영역(27)에 배치됨으로써, 선택된 지점에서 메인 로딩 지대에서의 압력 완화 및 완충을 성취한다. 메인 완충 요소(21)는 2차 완충 요소(2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메인 완충 요소(21)와 비교할 때, 2차 완충 요소(23)는 실질적으로 더욱 작은 영역 또는 더욱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메인 완충 요소(21)보다 많은 개수의 2차 완충 요소(23)가 밑창(1)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략 100개 이상의 2차 완충 요소(23)가 2개의 메인 완충 요소(21)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구성 및 작동 방법이 관심사인 한, 메인 및 2차 완충 요소(21, 23)는 도 4a 및 4b에 도시한 완충 요소(11)에 대응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 메인 또는 2차 완충 요소는 육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상이한 다각형 형상, 원형 형상 또는 변형적으로 (반)구형 형상이 고려가능하다. 중공형 바디 형태를 제조하는 완충 요소가 3차원, 특히 핌플형 방식(pimple-like manner)으로 엠보싱되며, 특히 컵 형상 또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완충 요소는 밑창의 내부(7)를 향해 개방되고 밑창의 외부를 향해 폐쇄되는 중공형 바디를 형성하는 것이 결정적이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밑창(1)의 실시예에서, 상기 밑창은 뒷발 영역(25)과 앞발 영역(27) 양자에서 각각의 경우에 그립 프로파일(29)을 가짐으로써, 프로파일 핌플로서의 프로파일이 그립에 배타적이고 임의의 완충 작용을 전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는 중공형 바디로서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중실형 바디에 의해 유리하게 형성된다. 그립 영역(29)은 선택적이며, 또한 완충 요소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으로써, 전체의 밑창은 완충 요소와, 그들 사이에 배치된 재료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상이한 사이즈의 완충 요소의 영역이 제공될 수 있음을 더욱 명확히 한다. 이에 따라, 모든 2차 완충 요소(23)와 메인 완충 요소(21)는 결코 동일한 치수를 가지지 않는다. 오히려, 2차 완충 요소는 상이한 사이즈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메인 완충 요소도 역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지지 않아야 한다. 또한, 완충 요소의 육각형 형상은 각각의 완충 요소를 위해 필수적으로 적용되지 않아야 한다. 원칙적으로, 상이하게 형성, 예컨대 다각형 및 원형의 완충 요소의 혼합이 고려가능하다.
2차 완충 요소와 메인 완충 요소는 그 의도된 목적 및 그 완충 작용 면에서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증가된 완충 작용을 갖는 메인 완충 요소가 높은 인가된 압력의 지대, 즉 특히 뒷발 및 앞발 영역에 배치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완충 요소에 의해 임의의 설계가 구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밑창은 완충 요소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만 관통될 수 있으며, 상이한 타입의 완충 요소의 분포는 임의의 슈우 및 의도된 목적에 개별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탄력적으로 베딩된 완충 요소(11)의 작동 방법은 도 6~8에 따라 밑창(1)의 종단면도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6~8에 도시된 종단면도는 도 4a 또는 4b에 도시한 완충 요소(11)에 대응하는 도 5에 도시한 메인 완충 요소(21)를 통해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도 6은 밑창(1)이 논-로딩된 상태로 도시된 초기 상황을 도시한다.
한편, 도 7은 완충 요소(11)가 밑창(1)의 내부(7)를 향해 완충 작용을 전개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완충 요소의 탄력적으로 베딩된 중공형 바디는 밑창(1)의 내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이 경우, 중공형 바디(특히, 측면부(13b) 및 중공형 바디에 결합하는 측면부(들)의 둘러싸는 밑창 재료로의 탄성 변형이 일어난다.
한편, 도 8에는, 완충 요소(11)의 외부를 향하는 완충 작용이 도시된다. 여기서, 중공형 바디(13)는 화살표 방향(19')으로 밑창(1)의 외부(3)를 향해 변위된다. 이 경우, 완충 요소의 변위는 각 경우에 경사진 연결 랜드(15)의 변형에 의해 일어난다.
그 결과, 특히 응력을 받는 영역에 의한 핀포인트 완충은 밑창(1) 내의 완충 요소의 적절한 통합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밑창 평면에 수직인 양자의 방향으로 완충 요소의 스프링 운동에 대한 스프렁 베딩(sprung bedding) 및 그 결과적인 가능성은 부분적인 기계적 완충을 허용한다. 그러나, 중공형 바디의 형태인 완충 요소의 구성으로 인해, 완충 요소의 스프링 베딩에 의해 특히 양호한 완충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완충 요소의 이러한 구성은 밑창의 재료 및 중량의 견지에서도 절약하게 한다. 그에 따라, 종래의 밑창보다 값싸게 제조된다. 결국, 완충 요소의 표면 커버링 구성의 경우에서의 밑창은 다수의 2차원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여, 그 엠보싱 정도에 따라서 상이한 완충 작용을 전개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요소는 재료의 영역 위로 서로 별개로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즉 서로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게 완충 작용을 성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밑창은 슈우 및 그 대응하는 적용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완충 요소의 구성 및 배치가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밑창 재료가 원칙적으로 임의의 구성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밑창은 고무, 또는 변형적으로 밑창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은 제조될 수 있는 (중공형 바디의 형태인) 완충 요소 및 양측부 상의 프로파일링으로 인해, 한편으로 재료 및 중량의 견지에서의 절약과, 다른 한편으로 최적의 핀포인트 압력 완화 및 완충을 성취하는 특히 유리한 밑창을 제공한다.
1: 밑창
2: 상부
3: 외부
5: 완충 프로파일
7: 내부
9: 프레임
10: 밑창
11; 완충 요소
13: 중공형 바디
13a: 베이스
13b: 상승형 측면부
15: 연결 랜드
17: 홀딩 랜드
19, 19': 화살표
20: 상부
21: 메인 완충 요소
23: 2차 완충 요소
25: 뒷발 영역
27: 앞발 영역
29: 그립 영역
30: 외부
50: 완충 프로파일
70: 내부
a: 거리
L: 밑창 러닝 평면
R: 프레임 하측 에지
E: 밑창 평면

Claims (14)

  1. 슈우, 특히 스포츠 슈우/하이킹 슈우 또는 스키 부츠/스노우보드 부츠를 위한 밑창(1)에 있어서,
    상기 밑창(1)의 외부(3) 상에 배치된 완충 프로파일(5)을 갖고,
    상기 완충 프로파일(5)은 상기 밑창(1)의 내부(7) 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프로파일(5)은 하나 이상의 완충 요소(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충 요소(11)는 재료의 랜드(lands)/일부(portions)를 거쳐 또 다른 완충 요소에 결합될 수 있는 탄성 변형가능한 중공형 바디(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완충 요소(11)는 상기 밑창 내에 탄력적으로 통합되어 2차원 스프링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프로파일(5)은 서로 독립적인 복수의 완충 요소(21, 23)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완충 요소(21, 23)는 2개 이상의 메인 완충 요소(21)와, 다수의 2차 완충 요소(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메인 완충 요소(21)가 뒷발 영역(25) 내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메인 완충 요소(21)가 상기 밑창의 앞발 영역(27)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완충 요소(21)는 적어도 영역들 내에서 2차 완충 요소(23)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뒷발 영역(25)과 상기 앞발 영역(27) 중 하나 이상 내에는 그립 프로파일(29)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요소(11)는 3차원, 특히 핌플형 방식(pimple-like manner)으로 엠보싱되며, 다각형, 특히 육각형 또는 원형 컵 형상 또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평면(E)에 수직인 양자의 방향(19, 19')으로 완충 요소(11)가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스프링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에는 프레임(9)이 결합되어 상기 완충 프로파일(5)을 안정화시키도록 상기 밑창(1)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9)은 상기 밑창(1)의 러닝 평면(L)으로부터의 거리(a)를 두고, 특히 대략 2 mm의 거리(a)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1)은 적어도 대략 2 mm 두께이며, 바람직하게 2 mm의 연속적인 재료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밑창을 갖는 슈우, 특히 스포츠 슈우/하이킹 슈우 또는 스키 부츠/스노우보드 부츠.
KR1020157019001A 2013-01-16 2013-12-10 밑창 KR102110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0432.6 2013-01-16
DE102013100432.6A DE102013100432A1 (de) 2013-01-16 2013-01-16 Sohle
PCT/EP2013/076005 WO2014111202A1 (de) 2013-01-16 2013-12-10 Soh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830A true KR20150108830A (ko) 2015-09-30
KR102110878B1 KR102110878B1 (ko) 2020-05-15

Family

ID=4977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001A KR102110878B1 (ko) 2013-01-16 2013-12-10 밑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51491A1 (ko)
EP (1) EP2945506B1 (ko)
JP (1) JP2016503701A (ko)
KR (1) KR102110878B1 (ko)
DE (1) DE102013100432A1 (ko)
WO (1) WO2014111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4766B1 (en) * 2015-01-12 2022-06-29 Under Armour, Inc. Sole structure with bottom-loaded compression
CN210611192U (zh) * 2019-04-03 2020-05-26 霍尼韦尔国际公司 具有阻力元件的鞋类外底
USD925877S1 (en) * 2020-09-14 2021-07-27 Skechers U.S.A., Inc. Ii Outsole
USD968061S1 (en) * 2021-05-13 2022-11-01 Quanzhou Yuzhen Clothing Trading Co., Ltd. Shoe so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795A (en) * 1987-02-06 1989-05-30 Reebok Group International Ltd. Outsole construction for athletic shoe
WO1997036508A1 (en) * 1996-03-29 1997-10-09 D.B.A. S.R.L. A sole for footwear
US20080313924A1 (en) * 2004-12-07 2008-12-25 Tn & Co Di Lucio Righetto Footwear Sole and Footwear Having Said Sol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7558A (en) * 1927-10-24 1930-10-07 Harold A Freeman Pneumatic rubber shoe sole
US2553616A (en) * 1946-12-26 1951-05-22 George V Walls Rubber shoe sole
US2710461A (en) * 1952-07-14 1955-06-14 Hack Shoe Company Resilient shoe soles
US4161828A (en) * 1975-06-09 1979-07-24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Outer sole for shoe especially sport shoes as well as shoes provided with such outer sole
CH611140A5 (ko) * 1975-06-09 1979-05-31 Dassler Puma Sportschuh
JPS5421142Y2 (ko) * 1976-04-14 1979-07-27
DE3305160A1 (de) * 1982-02-22 1983-09-01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mit einer federelastischen laufsohle aus kunststoff
JPS63147401A (ja) * 1986-12-12 1988-06-20 アキレス株式会社 中空突起を靴底に備えた靴及びその製造方法
DE8908100U1 (ko) * 1989-07-03 1989-08-10 Lowa-Schuhfabrik Lorenz Wagner Gmbh & Co Kg, 8069 Jetzendorf, De
US5461800A (en) * 1994-07-25 1995-10-31 Adidas Ag Midsole for shoe
DE9416333U1 (de) * 1994-10-11 1995-07-13 Adidas Ag Laufsohle für einen Sportschuh, insbesondere Tennisschuh
US5926974A (en) * 1997-01-17 1999-07-27 Nike, Inc. Footwear with mountain goat traction elements
JP3979765B2 (ja) * 2000-05-15 2007-09-1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装置
ITMI20010125A1 (it) * 2001-01-24 2002-07-24 Vibram Spa Suola per calzature con mezzi di guida del piede
US6763611B1 (en) * 2002-07-15 2004-07-20 Nike, Inc. Footwear sole incorporating a lattice structure
US7200955B2 (en) *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JP3868440B2 (ja) * 2004-07-14 2007-01-17 ゼット株式会社 スパイクシューズ
KR100683242B1 (ko) * 2005-06-03 2007-02-15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 밑창
US7797856B2 (en) * 2007-04-10 2010-09-21 Reebok International Ltd. Lightweight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DE202008006494U1 (de) * 2008-05-08 2008-07-17 Oehler, Michael Schuhsohle aus elastischem Material
US9392843B2 (en) * 2009-07-21 2016-07-19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ndulating sole
US9125453B2 (en) * 2010-05-28 2015-09-08 K-Swiss Inc. Shoe outsole having tubes
CH703926A1 (de) * 2010-10-07 2012-04-13 Glide N Lock Gmbh Laufsohle.
US8677657B2 (en) * 2011-05-12 2014-03-25 Acushnet Company Golf shoe outsole
US9629415B2 (en) * 2012-07-24 2017-04-2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795A (en) * 1987-02-06 1989-05-30 Reebok Group International Ltd. Outsole construction for athletic shoe
WO1997036508A1 (en) * 1996-03-29 1997-10-09 D.B.A. S.R.L. A sole for footwear
US20080313924A1 (en) * 2004-12-07 2008-12-25 Tn & Co Di Lucio Righetto Footwear Sole and Footwear Having Said S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5506A1 (de) 2015-11-25
US20150351491A1 (en) 2015-12-10
DE102013100432A1 (de) 2014-07-31
WO2014111202A1 (de) 2014-07-24
KR102110878B1 (ko) 2020-05-15
EP2945506B1 (de) 2019-05-01
JP2016503701A (ja) 201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0367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KR200443485Y1 (ko)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US20070220778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lightweight foam midsole
US20190069634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breathability, flexibility and water displacement
US20100263228A1 (en) Sole for shoes enabling exchange of shock-absorbing member
JP2014524332A (ja) ウェーブ技術
US20080115389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Capability
JPWO2018155103A1 (ja) 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KR102110878B1 (ko) 밑창
US20200170336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flexibility and traction
AU2019387058A1 (en) Running shoe sole comprising a soft-elastic midsole
CN203482948U (zh) 一种真空减震橡胶鞋底
US20140109444A1 (en) Shoe outsole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JP2016503701A5 (ko)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200489122Y1 (ko) 등산화 밑창
US20200170337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flexibility, and shock absorption
CN210299723U (zh) 一种鞋底及鞋
KR101452162B1 (ko) 족부피로저감과 체압분산형 지지패드가 설치된 신발안창
JPWO2019073533A1 (ja) 靴底、及び該靴底を備える靴
KR101535470B1 (ko)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RU2786607C1 (ru) Подошва обуви для бега, содержащая мягкоэластичную межподошву
CN203897424U (zh) 轻质减震鞋底
KR100885066B1 (ko) 벌집형 충격흡수층이 중창에 구비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