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812A - 굴착기용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굴착기용 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812A
KR20150105812A KR1020140027814A KR20140027814A KR20150105812A KR 20150105812 A KR20150105812 A KR 20150105812A KR 1020140027814 A KR1020140027814 A KR 1020140027814A KR 20140027814 A KR20140027814 A KR 20140027814A KR 20150105812 A KR20150105812 A KR 20150105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oom
link
excavator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493B1 (ko
Inventor
정진호
조윤근
Original Assignee
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호 filed Critical 정진호
Priority to KR102014002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49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4Booms only for booms with cable suspension arrangements; Cable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붐의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용공간 내에 집게를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함으로써 버킷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집게장치의 미사용시 집게의 분리보관이 필요 없으므로 집게의 분리보관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됨과 동시에 굴착기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는 굴착기의 붐 상부 일측에 버킷회동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붐의 상부 타측에 집게회동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붐의 하부에는 회전핀에 의해 퀵 커플러의 상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퀵 커플러의 타측은 제1링크에 의해 상기 버킷회동실린더에 연결된 채로 하측이 버킷과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된 상기 버킷회동실린더의 로드 단부는 제2링크에 의해 상기 회전핀의 상측인 상기 붐 상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회동실린더가 상기 붐의 상부 타측에 설치하되, 상기 붐의 타측 면 상에 함몰 형성된 수용공간의 상측 내면에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토록 연결하는 연결브래킷; 및 일측이 상기 회전핀에 의해 축설되고 상기 회전핀이 축설되는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이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의 하단과 연동핀을 매개로 축설되거나, 일측이 상기 회전핀에 의해 축설되고 상기 회전핀이 축설되는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이 상기 연결핀과 연동핀 사이에 링크 연결되는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매개로 축설되되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의 하단이 상기 상부링크의 제1링크핀에 의해 축설되는 한편,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붐의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집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굴착기용 집게장치{Tongs apparatus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착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붐의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용공간 내에 집게를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함으로써 버킷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으며, 이를 통하여 집게장치의 미사용시 집게의 분리보관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굴착기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굴착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착기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착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굴착기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 굴착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킷(Bucket),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러셔 등이 굴착기에 주로 사용되는 작업 장치이다.
한편, 최근에는 버킷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움직일 수 없는 커다란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서 운반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굴착기에 별도의 집게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굴착기의 암(또는 붐이라 칭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굴착기의 집게장치는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버킷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집게장치의 집게를 굴착기의 암에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밀착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집게의 밀착될 일면이 오히려 암에 밀착되지않아 집게장치가 방해 구조물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굴착기의 암에 집게장치의 집게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들뜬 상태로 고정된 구조에 의해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착한 집게장치의 집게가 오히려 굴착기의 기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버킷의 작업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08774호 2012.11.29.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굴착기의 집게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 굴착기의 집게장치는 집게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버킷만 사용할 때 집게를 굴착기의 암에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버킷을 이용하여 굴착작업을 할 때 버킷의 작업을 집게가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선된 종래 굴착기의 집게장치는 집게장치의 집게를 굴착기의 암에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밀착 고정함에도 집게가 굴착기의 암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밀착 고정됨에 따라 여전히 버킷만을 사용할 때 버킷의 작업에 대하여 집게가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버킷만의 작업시 집게가 작업상 방해가 됨에 따라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집게를 굴착기로부터 분리보관하여야 하므로, 집게장치의 미사용시 집게를 분리 보관하여야 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작업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버킷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으며, 이를 통하여 집게장치의 미사용시 집게의 분리보관에 따른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의 낭비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굴착기용 집게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08774호 2012.11.29.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킷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도록 한 굴착기용 집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버킷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도록 함으로써 집게장치의 미사용시 집게의 분리보관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굴착기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는 굴착기의 붐 상부 일측에 버킷회동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붐의 상부 타측에 집게회동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붐의 하부에는 회전핀에 의해 퀵 커플러의 상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퀵 커플러의 타측은 제1링크에 의해 상기 버킷회동실린더에 연결된 채로 하측이 버킷과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연결된 상기 버킷회동실린더의 로드 단부는 제2링크에 의해 상기 회전핀의 상측인 상기 붐 상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회동실린더가 상기 붐의 상부 타측에 설치하되, 상기 붐의 타측 면 상에 함몰 형성된 수용공간의 상측 내면에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토록 연결하는 연결브래킷; 및 일측이 상기 회전핀에 의해 축설되고 상기 회전핀이 축설되는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이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의 하단과 연동핀을 매개로 축설되거나, 일측이 상기 회전핀에 의해 축설되고 상기 회전핀이 축설되는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이 상기 연결핀과 연동핀 사이에 링크 연결되는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매개로 축설되되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의 하단이 상기 상부링크의 제1링크핀에 의해 축설되는 한편,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붐의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집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집게는 상기 버킷의 일단부와 맞물리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의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집게부가 상기 붐의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붐의 상기 수용공간 외측 면과 밀착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집게는 상기 집게부가 한 쌍으로 대향되어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집게부 중 어느 하나의 내면 일측에 걸림핀이 형성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붐의 수용공간은 상기 붐의 상기 회전핀이 축설되는 부분 상부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집게부가 연결되는 반대 측 단부가 상기 회전핀에 의해 상기 퀵 커플러의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상부링크는 상기 연결핀에 의해 일단이 축설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링크와 제2링크핀에 의해 축설되며, 상기 연결핀과 상기 제2링크핀이 축설되는 양측의 사이에 상기 제1링크핀에 의해 상기 집게회동실린더의 로드 하단이 축설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붐의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용공간 내에 집게를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함으로써 버킷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붐의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수용공간 내에 집게를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는 구성을 통해 버킷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도록 함으로써 집게장치의 미사용시 집게의 분리보관이 필요 없으므로 집게의 분리보관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됨과 동시에 굴착기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요부인 집게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1실시예로서, 집게의 미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 및 단면구성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1실시예로서, 집게의 사용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1실시예로서, 집게의 미사용 상태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1실시예로서, 집게가 붐의 수용공간 내에 고정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2실시예로서, 집게의 미사용 상태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요부인 집게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1실시예로서, 집게의 미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 및 단면구성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1실시예로서, 집게의 사용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1실시예로서, 집게의 미사용 상태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1실시예로서, 집게가 붐의 수용공간 내에 고정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서 붐의 하단부에 연결설치된 제2실시예로서, 집게의 미사용 상태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는 굴착기의 붐(100) 상부 일측에 버킷회동실린더(200)가 설치되고, 상기 붐(100)의 상부 타측에 집게회동실린더(300)가 설치되며, 상기 붐(100)의 하부에는 회전핀(150)에 의해 퀵 커플러(500)의 상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퀵 커플러(500)의 타측은 제1링크(610)에 의해 상기 버킷회동실린더(200)에 연결된 채로 하측이 버킷(700)과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610)와 연결된 상기 버킷회동실린더(200)의 로드(210) 단부는 제2링크(620)에 의해 상기 회전핀(150)의 상측인 상기 붐(100) 상에 연결핀(650)으로 연결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굴착기용 집게장치는 특히, 연결브래킷(810) 및 집게(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브래킷(810)은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가 상기 붐(100)의 상부 타측에 설치하되, 상기 붐(100)의 타측 면 상에 함몰 형성된 수용공간(110)의 상측 내면에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토록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게(900)는 일측이 상기 회전핀에(150) 의해 축설되고 상기 회전핀(150)이 축설되는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이 상기 연결핀(650)과 연동핀(850) 사이에 링크 연결되는 상부링크(410)와 하부링크(450)를 매개로 축설되되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310)의 하단이 상기 상부링크(410)와 제1링크핀(420)에 의해 축설되는 한편,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붐(100)의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링크(410)는 상기 연결핀(650)에 의해 일단이 축설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링크(450)와 제2링크핀(430)에 의해 축설되며, 상기 연결핀(650)과 상기 제2링크핀(430)이 축설되는 양측의 사이에 상기 제1링크핀(420)에 의해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로드(310) 하단이 축설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집게(900)는 상기 버킷(700)의 일단부와 맞물리는 집게부(910) 및 상기 집게부(910)의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집게부(910)가 상기 붐(100)의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삽입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붐(100)의 상기 수용공간(110) 외측 면과 밀착되는 스토퍼부(9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950)는 상기 집게부(910)가 연결되는 반대 측 단부가 상기 회전핀(150)에 의해 상기 퀵 커플러(500)의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집게(900)는 상기 집게부(910)가 한 쌍으로 대향되어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집게부(910) 중 어느 하나의 내면 일측에 걸림핀(9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집게(900)가 상기 붐(100)의 수용공간(110) 상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붐(100)의 수용공간(110)은 상기 붐(100)의 상기 회전핀(150)이 축설되는 부분 상부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930)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고정부재(13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30)는 예컨대 걸림고리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1 및 1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집게회동실린더(300)의 로드(310) 단부가 상부링크(410)와 하부링크(450)가 없이 집게(900)의 일측과 직접 축설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집게(900)는 일측이 회전핀(150)에 의해 축설되고 회전핀(150)이 축설되는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이 집게회동실린더(300)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310)의 하단과 연동핀(850)을 매개로 축설된다.
다시 말하면, 별도의 상부링크나 하부링크가 없이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로드가 상기 연동핀(850)을 매개로 상기 집게(900)의 일측, 특히 상기 집게(900) 중 집게부(910)의 일측과 축설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굴착기용 집게장치에 의하면, 상기 붐(100)의 내측에 수용공간(110)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 집게(900)를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함으로써 버킷(700)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900)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붐(100)의 내측에 수용공간(110)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 집게(900)를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는 구성을 통해 버킷(700)만의 작업시 집게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집게(900)에 의한 작업상 방해가 없도록 함으로써 집게장치의 미사용시 집게(900)의 분리보관이 필요 없으므로 집게(900)의 분리보관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됨과 동시에 굴착기의 작업능률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붐
110: 수용공간 130: 고정부재
150: 회전핀 200: 버킷회동실린더
210: 로드 300: 집게회동실린더
310: 로드 410: 상부링크
420: 제1링크핀 430: 제2링크핀
450: 하부링크 500: 퀵 커플러
610: 제1링크 620: 제2링크
650: 연결핀 700: 버킷
810: 연결브래킷 850: 연동핀
900: 집게 910: 집게부
930: 걸림핀 950: 스토퍼부

Claims (6)

  1. 굴착기의 붐(100) 상부 일측에 버킷회동실린더(200)가 설치되고, 상기 붐(100)의 상부 타측에 집게회동실린더(300)가 설치되며, 상기 붐(100)의 하부에는 회전핀(150)에 의해 퀵 커플러(500)의 상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퀵 커플러(500)의 타측은 제1링크(610)에 의해 상기 버킷회동실린더(200)에 연결된 채로 하측이 버킷(700)과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610)와 연결된 상기 버킷회동실린더(200)의 로드(210) 단부는 제2링크(620)에 의해 상기 회전핀(150)의 상측인 상기 붐(100) 상에 연결핀(650)으로 연결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가 상기 붐(100)의 상부 타측에 설치하되, 상기 붐(100)의 타측 면 상에 함몰 형성된 수용공간(110)의 상측 내면에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토록 연결하는 연결브래킷(810); 및
    일측이 상기 회전핀(150)에 의해 축설되고 상기 회전핀(150)이 축설되는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이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310)의 하단과 연동핀(850)을 매개로 축설되거나, 일측이 상기 회전핀에(150) 의해 축설되고 상기 회전핀(150)이 축설되는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타측이 상기 연결핀(650)과 연동핀(850) 사이에 링크 연결되는 상부링크(410)와 하부링크(450)를 매개로 축설되되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하측에 구비된 로드(310)의 하단이 상기 상부링크(410)와 제1링크핀(420)에 의해 축설되는 한편,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작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붐(100)의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집게(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900)는 상기 버킷(700)의 일단부와 맞물리는 집게부(910) 및
    상기 집게부(910)의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집게부(910)가 상기 붐(100)의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삽입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붐(100)의 상기 수용공간(110) 외측 면과 밀착되는 스토퍼부(9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900)는 상기 집게부(910)가 한 쌍으로 대향되어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집게부(910) 중 어느 하나의 내면 일측에 걸림핀(9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붐(100)의 수용공간(110)은 상기 붐(100)의 상기 회전핀(150)이 축설되는 부분 상부로부터 상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930)이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고정부재(1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950)는 상기 집게부(910)가 연결되는 반대 측 단부가 상기 회전핀(150)에 의해 상기 퀵 커플러(500)의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410)는 상기 연결핀(650)에 의해 일단이 축설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링크(450)와 제2링크핀(430)에 의해 축설되며, 상기 연결핀(650)과 상기 제2링크핀(430)이 축설되는 양측의 사이에 상기 제1링크핀(420)에 의해 상기 집게회동실린더(300)의 로드(310) 하단이 축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기용 집게장치.
KR1020140027814A 2014-03-10 2014-03-10 굴착기용 집게장치 KR101566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814A KR101566493B1 (ko) 2014-03-10 2014-03-10 굴착기용 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814A KR101566493B1 (ko) 2014-03-10 2014-03-10 굴착기용 집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812A true KR20150105812A (ko) 2015-09-18
KR101566493B1 KR101566493B1 (ko) 2015-11-10

Family

ID=5424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814A KR101566493B1 (ko) 2014-03-10 2014-03-10 굴착기용 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1078A (en) * 2021-09-27 2023-03-29 Caterpillar Inc Boom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241A (ko) 2019-11-26 2021-06-04 주식회사 호룡 굴착기의 유압호스 클램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511A (ja) 2001-06-26 2003-01-0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装置および作業機械
US7818901B2 (en) * 2007-09-21 2010-10-26 Acs Industries, Inc. Progressive linkage for excavator thumb
JP2010112094A (ja) * 2008-11-07 2010-05-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1078A (en) * 2021-09-27 2023-03-29 Caterpillar Inc Boom assembly
GB2611078B (en) * 2021-09-27 2024-03-20 Caterpillar Inc Boom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493B1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6866A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US20230193598A1 (en) Modular ground engagement tooling system
KR101383847B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101566493B1 (ko) 굴착기용 집게장치
KR101870173B1 (ko)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200469569Y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US9751472B2 (en) Tool rack attachment
JP6387503B2 (ja) バケット装置
KR101208774B1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KR101254193B1 (ko)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JP3151621U (ja) 掘削用リッパ
KR101870713B1 (ko)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연결구조체
KR101459242B1 (ko) 굴삭기용 니퍼 겸용 집게 장치
JP2017114608A (ja) フックのロック構造及び作業機械
KR101621169B1 (ko) 중장비용 집게장치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US10731319B2 (en) Auger connection mechanism
JP5961441B2 (ja) 鋼矢板埋設用掘削装置、及び鋼矢板の埋設方法
KR101446714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KR20130058127A (ko) 굴삭기 집게장치의 보조 작업구
KR101542545B1 (ko)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KR102382424B1 (ko) 굴삭기용 회전링크
KR20220157052A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20160006540A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