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169B1 - 중장비용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집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1169B1 KR101621169B1 KR1020140147601A KR20140147601A KR101621169B1 KR 101621169 B1 KR101621169 B1 KR 101621169B1 KR 1020140147601 A KR1020140147601 A KR 1020140147601A KR 20140147601 A KR20140147601 A KR 20140147601A KR 101621169 B1 KR101621169 B1 KR 1016211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 mounting bracket
- coupled
- arm
- brackets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5224 forefinger Anatomy 0.000 title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장비의 아암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일측에 장공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과 이격된 중장비의 아암에 상호간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 1,2 브라켓; 마운팅브라켓의 장공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 집게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 1,2 브라켓에 고정핀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서포트바; 및 집게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집게를 마운팅브라켓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집게의 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상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서포트바가 하부의 제 1 브라켓에 결합되어 집게를 고정시키고, 비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서포트바가 상부의 제 2 브라켓에 결합되어 집게를 아암에 밀착 고정시키는 중장비용 집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장비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의 아암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집게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집게를 아암에 접이식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 중에서 굴삭기(이하, 중장비의 일례로 "굴삭기"를 예로 들어 설명키로 한다)는 토목, 건축,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굴삭기는 토사와 암석의 상태, 작업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작업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일반 굴삭 및 토사 운반을 위한 버켓(Bucket), 단단한 지면, 암석 등의 파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의 해체 및 파쇄에 사용하는 크라샤 등이 굴삭기에 주로 사용되는 작업 장치이다.
한편, 최근에는 버켓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움직일 수 없는 커다란 바위나 나무 등을 집어서 운반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굴삭기에 별도의 집게장치를 굴삭기의 아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한국 등록특허 제10-1208774호(명칭 : 굴삭기의 집게장치)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5983호(명칭 :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에는 각각 굴삭기의 아암에 장착된 집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에 개시된 집게장치는, 굴삭기의 아암에 집게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집게는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회전 작동된다.
특히, 집게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선행기술문헌의 등록특허공보 제10-1208774호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가 집게를 상방향으로 최대한 끌어당겨 굴삭기의 아암에 접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집게장치는 집게의 사용 시나 보관 시 모두 유압실린더에 의해서만 작동되는데, 이는 기존의 버켓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라인과는 별개로 집게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라인을 더 추가하여 구성해야 하므로, 굴삭기 및 아암의 무게가 고중량화가 될 뿐 아니라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고가의 유압라인을 별도로 더 구성해야 하므로 그만큼 더 많은 비용이 발생되고, 추가적인 유압라인의 구성으로 인해 고장이 잦으며, 수리 시에는 별도의 유압 전문가가 필요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굴삭기용 집게장치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의 아암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집게장치를 기구적 구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전환토록 함으로써 굴삭기 및 아암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단순화되며, 고장율이 낮아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중장비용 집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중장비의 아암에 상호간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 및 제 1,2 브라켓; 마운팅브라켓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 및 집게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 1,2 브라켓에 고정핀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집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술한 목적은, 중장비의 아암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일측에 장공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의 장공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 및 집게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집게를 마운팅브라켓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집게의 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상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어 집게를 고정시키고, 비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어 집게를 아암에 밀착 고정시키는 중장비용 집게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목적은, 중장비의 아암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일측에 장공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과 이격된 중장비의 아암에 상호간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 1,2 브라켓; 마운팅브라켓의 장공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 집게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 1,2 브라켓에 고정핀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서포트바; 및 집게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집게를 마운팅브라켓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집게의 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상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서포트바가 하부의 제 1 브라켓에 결합되어 집게를 고정시키고, 비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서포트바가 상부의 제 2 브라켓에 결합되어 집게를 아암에 밀착 고정시키는 중장비용 집게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2 브라켓은 집게의 비사용 시 집게와 서포트바를 아암에 밀착시켜 구비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운팅브라켓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장공은 집게의 비사용 시 집게를 아암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경사도로 형성되고, 마운팅브라켓의 장공 상단부에는 아암 측으로 상향 연장되어 집게의 힌지핀이 삽입되는 연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에 의하면, 굴삭기의 아암에 구비되는 집게장치를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내리거나 올린 상태로 고정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유압라인이 필요치 않고, 이에 따라 굴삭기 및 아암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조가 단순화되고, 고장율이 낮아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줄 수 있으며, 집게장치의 교체가 용이하여 호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의 사용 시와 비사용 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의 사용 시와 비사용 시의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로서, 사용 시와 비사용 시의 집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의 사용 시와 비사용 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의 사용 시와 비사용 시의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로서, 사용 시와 비사용 시의 집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는 중장비(이하 "굴삭기"라 한다)의 아암(10)에 집게(10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집게(10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아암(10) 측으로 수동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 집게장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아암(10) 하단부에는 유압실린더(30)에 의해 작동되는 버켓(20)이 장착되고, 아암(10)의 후면부(운전자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호간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300)과 제 1,2 브라켓(310)(320)이 구비된다.
이러한 마운팅브라켓(300)과 제 1,2 브라켓(310)(320)에는 각각 후술될 힌지핀(111)과 고정핀(330)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301)(311)(321)이 아암(10)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마운팅브라켓(300)에는 집게(1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바, 집게(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이 만곡된 복수의 집게바(110)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구비되고, 집게바(110)의 일단부는 마운팅브라켓(300)의 결합공(301)에 힌지핀(111)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버켓(20)의 포크와 마주하여 결합되는 포크(115)가 형성된다.
또한, 양 집게바(110) 사이의 일측에는 후술될 서포트바(200)가 연결핀(112)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집게(100)를 아암(10) 측으로 접을 때 서포트바(200)가 양 집게바(110) 사이로 삽입되어 구비되고, 버켓(20)과 마주하는 양 집게바(110)의 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돌기(114)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11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위나 나무 등의 운반 시 파지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각돌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집게(100)와 아암(10) 사이에는 집게(10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서포트바(20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서포트바(200)는 그 양단부가 각각 연결부(210)와 장착부(220)로 형성되고, 서포트바(200)의 연결부(210)는 집게(100)의 중앙부 일측에 연결핀(112)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는 제 1,2 브라켓(310)(320)의 결합공(311)(321)에 고정핀(330)을 매개로 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집게(100)의 사용 시는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가 하부의 제 1 브라켓(310)에 결합되어 집게(100)를 지지하고, 집게(100)의 비사용 시는 상부의 제 2 브라켓(320)에 결합되어 집게(100)를 아암(10)의 후면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집게(100)를 아암(10)의 후면부에 밀착시켜 고정할 시는 서포트바(200)와 집게(100)가 서로 겹치도록 접히면서 서포트바(200)가 양 집게바(110) 사이로 삽입되어 위치됨으로써 집게(100)의 비사용 시 집게(100)와 서포트바(200)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 브라켓(320)은 집게(100)의 비사용 시 집게(100)와 서포트바(200)를 아암(10)에 밀착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제 1 브라켓(310)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즉, 집게(100)와 서포트바(200)를 아암(10) 측으로 접을 때 아암(10)의 후면부에 접하여 집게(100)와 평행하게 세워지는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 위치를 고려하여 제 1 브라켓(310)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브라켓(3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서포트바(200)는 제 2 브라켓(320)에 결합되는 장착부(220)가 집게(100) 위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집게(100)와의 간섭을 피한다.
한편,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를 제 1,2 브라켓(310)(32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고정핀(330)은 제 1,2 브라켓(310)(320)의 결합공(311)(321)에 억지끼움될 수 있고, 또는 제 1,2 브라켓(310)(32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핀(330)의 양단부에 C링 또는 E링을 체결하여 고정핀(330)을 제 1,2 브라켓(310)(320)에 고정시킴으로써 고정핀(330)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집게장치의 사용 시는 상부의 제 2 브라켓(320)과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에 관통 결합된 고정핀(330)을 소정의 작업공구 등을 이용하여 빼내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를 제 2 브라켓(320)에서 분리시킨다.
이후, 집게(100)를 버켓(20) 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를 하부의 제 1 브라켓(310)에 위치시킨 후,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핀(330)을 제 1 브라켓(310)의 결합공(311)과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에 관통 결합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된 서포트바(200)는 그 양단부가 각각 굴삭기 아암(10)과 집게(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집게(100)를 지지함으로써 집게(100)를 이용한 작업을 견고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집게(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하부의 제 1 브라켓(310)과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에 결합된 고정핀(330)을 빼내 분리한 후, 집게(100)를 아암(10) 측으로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서포트바(200)가 집게(100)의 양 집게바(110) 사이로 삽입되면서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가 상부의 제 2 브라켓(320) 상에 위치되면, 도 3에서와 같이 고정핀(330)을 제 2 브라켓(320)의 결합공(321)과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에 관통 결합시킨다.
따라서, 집게(100)의 비사용 시는 집게(100)와 서포트바(200)가 절첩되게 접힌 상태로 굴삭기 아암(10)의 후면부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버켓(20)을 이용한 작업 시 집게(100)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 아암(10)의 후면부(운전자와 마주하는 면)에 마운팅브라켓(400)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마운팅브라켓(400)에는 장공(410)이 아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장공(410)은 마운팅브라켓(400)에 굴삭기 아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길게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이 경사진 장공(410)은 집게(100)의 비사용 시 집게(100)를 아암(10)에 밀착시켜 구비할 수 있는 경사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장공(410)의 경사도는 굴삭기 아암(10)의 후면부에 접하는 집게(100)의 만곡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바, 집게(100)의 만곡 정도가 클 경우에는 장공(410)의 경사진 기울기는 작고, 집게(100)의 만곡 정도가 작을 경우에는 장공(410)의 경사진 기울기가 크게 형성되어, 집게(100)의 비사용 시 집게(100)를 최대한 굴삭기 아암(10)의 후면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공(410)의 상단부에는 아암(10) 측으로 상향 연장되는 전방 연장공(411)과, 전방 연장공(411)과 반대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후방 연장공(41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 연장공(411)에는 집게(100)의 사용 시 집게(100)의 힌지핀(111)이 삽입되어 걸림되고, 후방 연장공(412)에는 집게(100)의 비사용 시 집게(100)를 관통하는 고정핀(430)이 삽입되어 집게(10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장공(410)과 이격된 마운팅브라켓(400)의 하단부에는 집게(100)의 사용 시 집게(100)를 관통하는 고정핀(430)이 결합되는 결합공(420)이 형성되되, 이때 고정핀(43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연결핀(112)이 결합되는 집게(100)의 연결공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의 사용 시는, 집게(100)를 관통하여 마운팅브라켓(400)의 후방 연장공(412)에 결합된 고정핀(430)을 소정의 작업공구 등을 이용하여 빼낸 후, 집게(100)를 버켓(20) 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집게(100)의 힌지핀(111)은 장공(41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이동되고, 집게(100)의 연결공을 마운팅브라켓(400)의 결합공(420)에 일치시키면, 집게(100)의 힌지핀(111)이 장공(410)의 전방 연장공(411) 측으로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핀(430)을 집게(100)와 마운팅브라켓(400)의 결합공(420)에 관통 결합시키면, 집게(100)는 힌지핀(111)과 고정핀(430)을 통해 마운팅브라켓(400)의 전방 연장공(411)과 결합공(420)에 결합된 상태로 구속되어 고정됨으로써 집게(100)를 이용한 작업을 견고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집게(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집게(100)와 마운팅브라켓(400)의 결합공(420)에 결합된 고정핀(430)을 빼내 분리한 후, 집게(100)를 아암(10) 측으로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집게(100)의 힌지핀(111)은 장공(410)의 전방 연장공(411)으로부터 분리되어 장공(4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이동되고, 집게(100)의 결합공(420)을 마운팅브라켓(400)의 후방 연장공(412)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430)을 다시 관통 결합시킨다.
따라서, 고정핀(430)에 의해 집게(100)가 마운팅브라켓(400)에 구속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집게(100)가 굴삭기의 아암(10) 후면부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버켓(20)을 이용한 작업 시 집게(100)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집게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제 1,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집게장치와, 제 2 실시예의 집게장치를 병용한 것이다.
즉, 굴삭기 아암(10)의 후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일측에 아암(1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장공(410)을 갖는 마운팅브라켓(400)과, 마운팅브라켓(400)과 상향 이격된 굴삭기의 아암(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호 간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제 1,2 브라켓(310)(320)과, 마운팅브라켓(400)의 장공(410)에 힌지핀(111)을 매개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100)와, 집게(100)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 1,2 브라켓(310)(320)에 고정핀(330)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서포트바(200)와, 집게(10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집게(100)를 마운팅브라켓(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핀(43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부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 1,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실시에에 따른 집게장치의 사용 시는 도 7에서와 같이, 집게(100)의 힌지핀(111)이 장공(410)의 전방 연장공(411)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430)을 마운팅브라켓(400) 하부의 결합공(420)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를 하부의 제 1 브라켓(310)에 고정핀(330)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집게(100)를 버켓(20)에 대향되게 고정한 상태로 사용하고, 집게(100)의 비사용 시는 도 8에서와 같이, 집게(100)의 힌지핀(111)이 장공(410)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430)을 마운팅브라켓(400)의 장공(410) 상부의 후방 연장공(412)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서포트바(200)의 장착부(220)를 상부의 제 2 브라켓(320)에 고정핀(330)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집게(100)를 굴삭기 아암(10)의 후면부에 밀착 고정시킨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집게(100)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집게(100)를 마운팅브라켓(400)과 서포트바(200)로서 이중으로 고정시키는 고정구조를 가짐으로써 집게(1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아암 20 : 버켓
30 : 유압실린더 100 : 집게
110 : 집게바 111 : 힌지핀
112 : 연결핀 114 : 돌기
115 : 포크 200 : 서포트바
210 : 연결부 220 : 장착부
300 : 마운팅브라켓 310,320 : 제 1,2 브라켓
301,311,321 : 결합공 330 : 고정핀
400 : 마운팅브라켓 410 : 장공
411,412 : 전,후방 연장공 420 : 결합공
430 : 고정핀
30 : 유압실린더 100 : 집게
110 : 집게바 111 : 힌지핀
112 : 연결핀 114 : 돌기
115 : 포크 200 : 서포트바
210 : 연결부 220 : 장착부
300 : 마운팅브라켓 310,320 : 제 1,2 브라켓
301,311,321 : 결합공 330 : 고정핀
400 : 마운팅브라켓 410 : 장공
411,412 : 전,후방 연장공 420 : 결합공
430 : 고정핀
Claims (6)
- 삭제
- 중장비의 아암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일측에 장공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의 장공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 및
집게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집게를 마운팅브라켓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집게의 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상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되어 집게를 고정시키고, 비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어 집게를 아암에 밀착 고정시키는 중장비용 집게장치.
- 중장비의 아암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일측에 장공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과 이격된 중장비의 아암에 상호간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 1,2 브라켓;
마운팅브라켓의 장공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집게;
집게에 그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 1,2 브라켓에 고정핀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서포트바; 및
집게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집게를 마운팅브라켓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집게의 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상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서포트바가 하부의 제 1 브라켓에 결합되어 집게를 고정시키고, 비사용 시는 힌지핀이 장공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핀이 마운팅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서포트바가 상부의 제 2 브라켓에 결합되어 집게를 아암에 밀착 고정시키는 중장비용 집게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제 1,2 브라켓은 집게의 비사용 시 집게와 서포트바를 아암에 밀착시켜 구비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중장비용 집게장치.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마운팅브라켓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장공은 집게의 비사용 시 집게를 아암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경사도로 형성되는 중장비용 집게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마운팅브라켓의 장공 상단부에는 아암 측으로 상향 연장되어 집게의 힌지핀이 삽입되는 연장공이 형성되는 중장비용 집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7601A KR101621169B1 (ko) | 2014-10-28 | 2014-10-28 | 중장비용 집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7601A KR101621169B1 (ko) | 2014-10-28 | 2014-10-28 | 중장비용 집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9861A KR20160049861A (ko) | 2016-05-10 |
KR101621169B1 true KR101621169B1 (ko) | 2016-05-13 |
Family
ID=5602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7601A KR101621169B1 (ko) | 2014-10-28 | 2014-10-28 | 중장비용 집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116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5305B1 (ko) * | 2022-03-15 | 2022-06-08 | 김수철 | 다목적 집게작업이 가능한 굴삭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1476A (ja) | 2002-04-12 | 2003-10-24 | Akira Matsuda | バックホーアタッチメント |
US20120163950A1 (en) | 2010-12-22 | 2012-06-28 | Caterpillar Inc. | Excavator thumb assembly |
US20120301257A1 (en) * | 2011-05-26 | 2012-11-29 | Caterpillar, Inc. | Excavator Thumb |
-
2014
- 2014-10-28 KR KR1020140147601A patent/KR1016211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1476A (ja) | 2002-04-12 | 2003-10-24 | Akira Matsuda | バックホーアタッチメント |
US20120163950A1 (en) | 2010-12-22 | 2012-06-28 | Caterpillar Inc. | Excavator thumb assembly |
US20120301257A1 (en) * | 2011-05-26 | 2012-11-29 | Caterpillar, Inc. | Excavator Thumb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5305B1 (ko) * | 2022-03-15 | 2022-06-08 | 김수철 | 다목적 집게작업이 가능한 굴삭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9861A (ko) | 2016-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06215B2 (en) | Combination excavating bucket having a retractable tooth arm | |
JPS6037338A (ja) | ロ−ダ−の付属品 | |
US2017014565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work tool to a machine | |
CN102301074A (zh) | 挖掘机的夹钳装置 | |
US20070289173A1 (en) | Material handling assembly | |
WO2007025065A3 (en) | Boom extension for a construction vehicle | |
KR101621169B1 (ko) | 중장비용 집게장치 | |
US9751472B2 (en) | Tool rack attachment | |
US20150176241A1 (en) | Combination excavating bucket having a retractable tooth arm | |
US20090290966A1 (en) | Thumb Accessory for Extendable Dipper Stick | |
US20170037597A1 (en) | System for securing implements to the bucket of an earth-moving vehicle | |
US7491027B1 (en) | Pivoting loader attachment system | |
KR20140012337A (ko) | 파손방지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써레 | |
KR20190121420A (ko) | 프론트 로더 퀵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로더 | |
KR20180003062U (ko) |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 |
CN105714868B (zh) | 具有紧凑锁定构型的工具联接器 | |
US11466424B2 (en) | Bracket for reversibly mounting an excavator bucket on an articulated arm | |
US10414633B1 (en) | Grappling assembly for use with utility equipment | |
US11255073B2 (en) | Stabilizer pad for work machine stabilizer arm | |
KR101566493B1 (ko) | 굴착기용 집게장치 | |
KR200493426Y1 (ko) |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 |
US10745890B2 (en) | Adapter system for cutting tooth | |
KR20140002072U (ko) | 굴삭기의 유압호스 가이드 구조 | |
US20100319225A1 (en) | Digging/trenching attachment or assembly that is horizontally movable with detachable tree boom for pivoting front end loader type machines | |
JP2004332406A (ja) | ショベル系掘削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