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237A - 정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237A
KR20150103237A KR1020157020879A KR20157020879A KR20150103237A KR 20150103237 A KR20150103237 A KR 20150103237A KR 1020157020879 A KR1020157020879 A KR 1020157020879A KR 20157020879 A KR20157020879 A KR 20157020879A KR 20150103237 A KR20150103237 A KR 2015010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quot
mass
group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397B1 (ko
Inventor
노리코 후지이
마사노리 오카모토
가즈키 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15010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성분 A)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와, 점토 광물(성분 B)과,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성분 C1), 및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이타콘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네오데칸산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성분(C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성분 C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발제 조성물{HAIR STYL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을 정돈하는 정발제에 적절하게 사용되는 정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을 정돈하기 위해서, 액상, 젤상, 크림상 및 고형상 등의 다양한 성상의 정발제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정발제 조성물에 주 기능인 정발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피막 형성 중합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효량의 피막 형성 중합체를 배합하면 정발 직후의 초기 정발력이 높아지는 한편, 모발 상에서의 정발제 조성물의 발림성 및 흡수성이 나빠지거나, 끈적임이 발생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막 형성 중합체를 사용한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정발 후에, 피막 형성 중합체에서 유래되어 모발의 표면에 피막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모발을 자연스러운 상태로 정돈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정발 후에 손 또는 빗 등으로 모발에 자극을 주면, 모발의 표면으로부터 피막이 박리되어(소위, 플레이킹이 발생하여) 정발력이 크게 저하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피막 형성 중합체에서 유래되어 형성되는 피막의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피막 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정발제 조성물에 있어서, 가소제로서 실리콘류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또한, 피막 형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과는 다른 방법이 검토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분체를 사용하여 정발제 조성물에 정발력을 부여하는 것도 검토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비표면적이 50m2/g 이상인 미립자 분말을 0.1 내지 10질량%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정발제 조성물)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특정한 상기 미립자 분말을 특정한 상기 함유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감촉이 얻어지고, 우수한 정발력이 얻어지고, 또한 양호한 감촉을 장시간 지속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재정발성이 얻어진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05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213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피막 형성 중합체에서 유래되어 형성된 피막의 유연성이 어느 정도 높아진다. 그 결과로서, 정발제 조성물의 사용감이 어느 정도 양호하게 된다. 그러나, 피막의 유연성 향상에 수반하여, 정발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정발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정발했을 때, 정발 유지력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미립자 분말을 포함하는 정발제 조성물을 사용해서 정발한 경우에도, 정발 유지력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조성물의 점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않고, 정발 시의 조성물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경우나, 조성물 중에서 분체와 액상 성분의 분리가 발생하거나 하여 보존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발 유지력, 도포성 및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정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하기 성분(A)과, 하기 성분(B)과, 하기 성분(C1) 및 하기 성분(C2)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인 성분(C)을 포함하고,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정발제 조성물이다.
성분(A):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
성분(B): 점토 광물
성분(C1):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
성분(C2):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이타콘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네오데칸산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상기 성분(B)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C)의 함유량의 합계량이 0.2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상기 성분(B)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C)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1:1 내지 3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하기 성분(D)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D): 폴리옥시알킬렌알킬글루코시드 및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하기 성분(E)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E): 폴리에틸렌글리콜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특정한 성분(A), (B), (C)을 포함하고, 또한 성분(A)의 함유량이 특정한 범위 내이기 때문에, 정발 시의 도포성이 양호하고, 정발 후에는 우수한 정발 유지력을 발휘한다. 또한,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중합체를,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로 한다. 제2 중합체를,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이타콘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네오데칸산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와, 점토 광물과, 상기 제1 중합체 및 상기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를 「성분(A)」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점토 광물」을 「성분(B)」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 중합체 및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성분(C)」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합체」를 「성분(C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제2 중합체」를 「성분(C2)」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폴리옥시알킬렌알킬글루코시드 및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알킬글루코시드 및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성분(D)」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알킬글루코시드」를 「성분(D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성분(D2)」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성분(E)」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A)과 성분(B)과 성분(C)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D) 및 성분(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성분(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A), 성분(B), 성분(C), 성분(D) 및 성분(E)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성분, 예를 들어 성분(A), 성분(B), 성분(C), 성분(D) 및 성분(E)이나 다른 성분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성분(C)은 성분(C1) 및 성분(C2)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적어도 하나의 중합체)이다. 또한, 상기 성분(D)은 성분(D1) 및 성분(D2)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C1), 성분(C2), 성분(D1), 성분(D2)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성분(A))
상기 성분(A)은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이다. 상기 성분(A)은 주로 끈적임을 억제하고, 초기 정발력 및 정발 유지력(특히, 정발 유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상기 성분(A)의 사용에 의해, 피막 형성 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일단 정발한 후에 정발을 다시 행하는 것을 쉽게 하여 재정발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성분(A)으로서는, 그 중에서도 정발 성능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실리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적어도 하나의 입자)가 바람직하고, 실리카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적어도 하나의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A)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실리카>
상기 실리카로서, 공지 관용의 실리카(무수 규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소수화 처리되어 있지 않은 무수 규산(친수성의 실리카)이어도 되고, 소수화 무수 규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리카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또는 레시틴 등으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리카는 소위 이(易)붕괴성 실리카 입자여도 된다. 상기 실리카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소수화 무수 규산은 무수 규산(예를 들어, 미처리의 무수 규산)이 소수화 처리된 물질이다. 소수화 처리에 사용되는 처리제로서는, 유기 실릴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실릴 화합물로서는,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트리메틸클로로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메틸트리알콕시실란, 디메틸디알콕시실란, 트리메틸알콕시실란, 에틸트리클로로실란, 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헥실트리클로로실란, 장쇄 알킬 트리클로로실란, 에틸트리알콕시실란, 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헥실트리알콕시실란, 장쇄 알킬 트리알콕시실란, 메타크릴실란, 플루오로알킬실란 및 퍼플루오로알킬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실리콘 오일),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및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수화 처리의 방법으로서,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소수화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액상법, 기상법 및 오토클레이브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수화 무수 규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디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 옥틸실록실화 무수 규산, 실리콘 오일 처리 무수 규산 및 메타크릴실록실화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붕괴성 실리카 입자는 복수의 실리카 1차 입자가 집합해서 형성된 입자이다. 상기 실리카 1차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구상 실리카 입자, 인편상 실리카 입자 및 부정형 실리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카 1차 입자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붕괴성 실리카 입자는 실리카 이외의 성분을 내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리카 이외의 성분(이하, 「내포 성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 고급 알코올, 당 알코올, 실리콘유, 금속 이온 봉쇄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 엑기스, 염료, 안료, 향료, 보습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및 청량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미노산류, 실리콘유, 비타민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디라우로일글루탐산리신Na(예를 들어,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 제조, 상품명 「페리세아」), 트리메틸글리신 및 글루탐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붕괴성 실리카 입자가 상기 내포 성분을 내포함으로써, 정발 시에 상기 이붕괴성 실리카 입자가 붕괴되면 내포 성분이 방출되어, 내포 성분의 종류에 따른 효과가 발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붕괴성 실리카 입자가 아미노산류를 내포함으로써 모발의 대미지 케어 기능이 발휘된다.
상기 이붕괴성 실리카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의 흡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mL/10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mL/100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mL/100g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mL/10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mL/100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mL/100g 이하이다. 상기 실리카의 흡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초기 정발력, 정발 유지력 및 재정발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흡유량은 JIS K5101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해서 측정된다.
상기 실리카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수 규산인 후지 시리시아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사이리시아 320」, 상품명 「사이리시아 310P」, 상품명 「사이리시아 250」, 상품명 「사이리시아 250N」, 상품명 「사이리시아 350」, 상품명 「사이리시아 370」, 상품명 「사이리시아 380」, 상품명 「사이리시아 420」, 상품명 「사이리시아 430」, 상품명 「사이리시아 440」, 상품명 「사이리시아 450」 및 상품명 「사이리시아 470」; 무수 규산인 닛본에어로실사 제조, 상품명 「에어로실(AEROSIL) 50」, 상품명 「에어로실 90G」, 상품명 「에어로실 130」, 상품명 「에어로실 150」, 상품명 「에어로실 200」, 상품명 「에어로실 300」, 상품명 「에어로실 380」, 상품명 「에어로실 200V」 및 상품명 「에어로실 OX50」; 무수 규산인 AGC 에스아이테크사 제조, 상품명 「선스피어 H-31」, 상품명 「선스피어 H-51」, 상품명 「선스피어 H-121」, 상품명 「선스피어 H-201」, 상품명 「선스피어 H-32」, 상품명 「선스피어 H-52」, 상품명 「선스피어 H-122」, 상품명 「선스피어 H-33」 및 상품명 「선스피어 H-53」; 디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인 닛본에어로실사 제조, 상품명 「에어로실 R972」, 상품명 「에어로실 R974」 및 상품명 「에어로실 R9200」; 트리메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인 닛본에어로실사 제조, 상품명 「에어로실 RX200」, 상품명 「에어로실 R8200」, 상품명 「에어로실 RX300」 및 상품명 「에어로실 R812S」; 옥틸실록실화 무수 규산인 닛본에어로실사 제조, 상품명 「에어로실 R805」; 실리콘 오일 처리 무수 규산인 닛본에어로실사 제조, 상품명 「에어로실 R202」, 상품명 「에어로실 RY200」, 상품명 「에어로실 RY200S」 및 상품명 「에어로실 RY300」; 메타크릴실록실화 무수 규산인 닛본에어로실사 제조, 상품명 「에어로실 R711」; 상기 이붕괴성 실리카인 미요시 가세이사 제조, 상품명 「실리카 비즈 SB-705」; 상기 이붕괴성 실리카인 스즈키 유시사 제조, 상품명 「갓 볼 SF-16C」, 상품명 「갓 볼 AF-6C」 및 상품명 「갓 볼 AF-16C」 등을 들 수 있다.
<탄산칼슘>
상기 탄산칼슘은, 예를 들어 INCI명 「CALCIUM CARBONATE」로 표현된다. 상기 탄산칼슘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탄산칼슘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까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칼마루 SCS M5」; 시라이시 칼슘사 제조, 상품명 「후와칼」 등을 들 수 있다.
<탄산마그네슘>
상기 탄산마그네슘은, 예를 들어 INCI명 「MAGNESIUM CARBONATE」로 표현된다. 상기 탄산마그네슘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탄산마그네슘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미타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경질 탄산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상기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예를 들어 INCI명 「HYDROXYAPATITE」로 표현된다. 상기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히드록시아파타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상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판상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비정질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정발 성능을 발휘하는 관점에서 구상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헤이 가가꾸 산교사 제조, 상품명 「판상 HAP」, 상품명 「구상 HAP」, 상품명 「HAP-100」, 상품명 「HAP-200」 및 상품명 「HAP-300」 등을 들 수 있다.
<산화티타늄>
상기 산화티타늄은, 예를 들어 INCI명 「TITANIUM DIOXIDE」로 표현된다. 상기 산화티타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미립자 산화티타늄이어도 되고, 안료 티타늄이어도 된다. 상기 산화티타늄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티타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시하라 산교사 제조, 상품명 「TTO-55(A)」 및 상품명 「CR-50」 등을 들 수 있다.
<산화아연>
상기 산화아연은, 예를 들어 INCI명 「ZINC OXIDE」로 표현된다. 상기 산화아연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아연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까이 가가꾸 고교사 제조, 상품명 「FINEX-30S-LP2」 등을 들 수 있다.
<규산칼슘>
상기 규산칼슘은, 예를 들어 INCI명 「CALCIUM SILICATE」로 표현된다. 상기 규산칼슘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규산칼슘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미타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플로우라이트 R」; 니혼 인슐레이션사 제조, 상품명 「조노트라이트 파우더 XJ」 및 상품명 「토버모라이트 파우더 TK」 등을 들 수 있다.
<규산마그네슘>
상기 규산마그네슘은, 예를 들어 INCI명 「MAGNESIUM SILICATE」로 표현된다. 상기 규산마그네슘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규산마그네슘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미타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규산마그네슘(경질)」 등을 들 수 있다.
<규산알루미늄>
상기 규산알루미늄은, 예를 들어 INCI명 「ALUMINUM SILICATE」로 표현된다. 상기 규산알루미늄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규산알루미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성 규산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합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명반에 Na2SiO3을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을 건조시키는 방법이나, 전기 투석법에 의해 규산 졸을 만들고, 이에 의해 젤을 생성하는 방법, 및 물유리에 알루미늄염의 수용액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규산알루미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미타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합성 규산알루미늄(중질)」 등을 들 수 있다.
<수산화마그네슘>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은, 예를 들어 INCI명 「MAGNESIUM HYDROXIDE」로 표현된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미타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수산화마그네슘(중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은 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4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임으로써, 정발 유지력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고, 또한 끈적임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임으로써, 보존 안정성(장기 보관시의 안정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발 후의 감촉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A)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실리카의 함유량, 및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의 함유량(합계 함유량)은 각각 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4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성분(B))
상기 성분(B)은 점토 광물이다. 상기 성분(B)의 사용에 의해, 특히 상기 성분(B)과 상기 성분(C)을 병용함으로써 정발제 조성물이 적절하게 증점되기 때문에, 상기 성분(A)의 분산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져 보존 안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또한, 정발 시의 도포성이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B)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B)은 천연물이어도 되고, 합성물이어도 된다. 상기 성분(B)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카올린족 점토 광물, 안티고라이트족 점토 광물, 파이로필라이트족 점토 광물, 운모족 점토 광물, 스멕타이트족 점토 광물, 버미큘라이트족 점토 광물, 녹니석족 점토 광물 및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올린족 점토 광물로서는, 카올린, 나크라이트, 딕카이트 및 할로이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티고라이트족 점토 광물로서는, 안티고라이트, 에임자이트 및 크론스테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파이로필라이트족 점토 광물로서는, 파이로필라이트 및 탈크(활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운모족 점토 광물로서는, 일라이트, 해녹석, 셀라도나이트, 셀리사이트, 마이카(운모), 백운모, 크롬 백운모 및 흑운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멕타이트족 점토 광물로서는,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 논트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및 루센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버미큘라이트족 점토 광물로서는, 버미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녹니석족 점토 광물로서는, 녹니석(클로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변성 점토 광물로서는, 스멕타이트족 점토 광물 또는 버미큘라이트족 점토 광물 등이 유기 변성 처리된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변성 처리에는, 제4급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 활성제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제4급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상기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 및 염화벤잘코늄 등을 들 수 있다.
정발제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나 사용감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B)은 합성 규산염 및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점토 광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규산염 및 그의 유도체란, 적지 않게 불순물이 포함되는 천연 유래의 규산마그네슘이나 규산(나트륨/마그네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규산염 광물이 아니라, 합성에 의해 얻어지는 규산염 및 규산염의 유도체를 말한다.
상기 합성 규산염 및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2권, CTFA, 2012년, p.3076): SODIUM MAGNESIUM SILICATE로 표기되는 합성 규산(나트륨/마그네슘),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2권, CTFA, 2012년, p.1793): MAGNESIUM FLUOROSILICATE로 표기되는 플루오로규산마그네슘,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2권, CTFA, 2012년, p.3076): SODIUM MAGNESIUM FLUOROSILICATE로 표기되는 플루오로규산(나트륨/마그네슘),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2권, CTFA, 2012년, p.1799): MAGNESIUM POTASSIUM FLUOROSILICATE로 표기되는 플루오로규산(마그네슘/칼륨),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2권, CTFA, 2012년, p.1800): MAGNESIUM SODIUM FLUOROSILICATE로 표기되는 플루오로규산(마그네슘/나트륨),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1권, CTFA, 2012년, p.156): ALUMINUM SILICATE로 표기되는 합성 규산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B)으로서는, 그 중에서도 합성 규산(나트륨/마그네슘), 플루오로규산(나트륨/마그네슘) 및 플루오로규산(나트륨/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점토 광물(적어도 하나의 점토 광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B)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로크 우드사 제조, 상품명 「라포나이트 XLG」 및 상품명 「라포나이트 XL21」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상기 성분(B)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B)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정발제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및 도포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또한, 정발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B)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정발제 조성제의 도포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B)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B)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성분(C))
상기 성분(C)은, 상기 성분(C1) 및 상기 성분(C2)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이다. 상기 성분(C)의 사용에 의해, 정발 유지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또한, 정발제 조성물이 분리되기 어려워져 보존 안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성분(C)과 상기 성분(B)을 병용함으로써 정발제 조성물이 적절하게 증점되기 때문에, 상기 성분(A)의 분산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져 보존 안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성분(C)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성분(C1), 상기 성분(C2)도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C)으로서, 상기 성분(C1) 및 상기 성분(C2) 중 어느 한쪽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상기 성분(C1)과 상기 성분(C2)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C1)의 중합체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단량체 성분은,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단량체를 적어도 포함한다. 즉, 상기 성분(C1)은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구성 단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성분(C1)과 상기 성분(C2)의 양쪽에 해당될 수 있는 중합체는 성분(C1)이 아니라, 성분(C2)로 한다.
상기 성분(C1)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1권, CTFA, 2012년, p.60 내지 61)으로 「ACRYLATES COPOLYMER(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표기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C1)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우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아큘린 33」 및 상품명 「아큘린 33A」; 세픽(SEPPIC)사 제조, 상품명 「SepiMAX ZE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C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기성 물질로 중화되어 있거나, 또는 염기성 물질로 중화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및 모노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류;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 염기 화합물;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성 물질의 첨가량은, 충분히 중화된 성분(C1)이 되는 양이거나, 또는 상기 성분(C1)을 중화하는데 충분한 양이며, 상기 성분(C1) 및 상기 염기성 물질의 종류나 상기 성분(C1)의 사용량에 따라서 적절히 배합하면 된다.
상기 성분(C2)의 중합체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단량체 성분은,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성분(c2a)과, (메트)아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이타콘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네오데칸산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 성분(c2b)을 적어도 포함한다. 즉, 상기 성분(C2)은 상기 단량체 성분(c2a)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와 상기 단량체 성분(c2b)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를 적어도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상기 단량체 성분(c2a), 상기 단량체 성분(c2b)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C2)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1권, CTFA, 2012년, p.66 내지 67)으로 「ACRYLATES/STEARETH-20 METHACRYLATE COPOLYMER((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테아레스-20) 공중합체)」라 표기되는 화합물;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1권, CTFA, 2012년, p.67)으로 「ACRYLATES/STEARETH-20 METHACRYLATE CROSSPOLYMER((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테아레스-20) 크로스폴리머)」라고 표기되는 화합물;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1권, CTFA, 2012년, p.57)으로 「ACRYLATES/BEHENETH-25 METHACRYLATE COPOLYMER((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베헤네스-25) 공중합체)」로 표기되는 화합물;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1권, CTFA, 2012년, p.68 내지 69)으로 「ACRYLATES/VINYL NEODECANOATE CROSSPOLYMER((아크릴레이트/네오데칸산비닐) 크로스폴리머)」로 표기되는 화합물;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1권, CTFA, 2012년, p.66)으로 「ACRYLATES/STEARETH-20 ITACONATE COPOLYMER((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스테아레스-20) 공중합체)」로 표기되는 화합물;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4판, 제1권, CTFA, 2012년, p.60)으로 「ACRYLATES/CETETH-20 ITACONATE COPOLYMER((아크릴레이트/이타콘산 세테스-20) 공중합체)」로 표기되는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C2)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우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아큘린 22」, 상품명 「아큘린 88」, 상품명 「아큘린 28」 및 상품명 「아큘린 38」; 아쿠조 노벨사 제조, 상품명 「STRUCTURE 2001」 및 상품명 「STRUCTURE 300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C2)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기성 물질로 중화되어 있거나, 또는 염기성 물질로 중화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염기성 물질로서는, 상술한 염기성 물질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성 물질의 첨가량은, 충분히 중화된 성분(C2)이 되는 양이거나, 또는 상기 성분(C2)을 중화하는데 충분한 양이며, 상기 성분(C2) 및 상기 염기성 물질의 종류나 상기 성분(C2)의 사용량에 따라서 적절히 배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상기 성분(C)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C)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정발제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및 도포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C)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도포성이 보다 한층 향상되고, 모발의 감촉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C)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C)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상기 성분(B)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C)의 함유량의 합계량(즉, 합계 함유량)은 정발제 조성물의 도포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B)과 상기 성분(C)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정발제 조성물의 도포시의 성분(A)에 의한 버석거림이 보다 한층 억제되어, 도포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한, 정발제 조성물에 틱소트로피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도포 시에는 점도가 낮아, 보다 한층 양호한 도포성을 나타내고, 도포 후에는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정발 유지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상기 성분(B)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C)의 함유량의 합계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정발제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B)과 상기 성분(C)의 질량비(상기 성분(B)의 함유량:상기 성분(C)의 함유량)는 0.1:1 내지 30:1인 것이 바람직하고, 0.2:1 내지 2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1 내지 10: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를 충족하면, 정발제 조성물의 분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정발제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장기 보관시의 안정성), 특히 장기간 보관했을 때의 보존 안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성분(D))
상기 성분(D)은, 상기 성분(D1) 및 상기 성분(D2)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D)의 사용에 의해 플레이킹을 보다 한층 억제하고, 또한 정발 후의 세정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높은 초기 정발력을 유지하면서 정발 후의 머리카락에 양호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모발에 정발제 조성물이 부여되어 모발이 충분히 정발되어 있는 상태라도, 정발제 조성물이 부착되어 있는 위화감이 억제되어 자연스러운 상태로 정발할 수 있다. 상기 성분(D)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성분(D1), 상기 성분(D2)도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D)으로서, 상기 성분(D1) 및 상기 성분(D2) 중 어느 한쪽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상기 성분(D1)과 상기 성분(D2)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D1)은 폴리옥시알킬렌알킬글루코시드이다. 상기 성분(D1)에서의 옥시알킬렌기로서는, 옥시에틸렌기 및 옥시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D1)에서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상기 성분(D1)에서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다. 상기 성분(D1)에서의 알킬기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D1)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에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및 폴리옥시프로필렌에틸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높은 초기 정발력을 유지하면서 정발 후의 머리카락에 보다 한층 양호한 감촉을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D1)은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D2)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이다. 상기 성분(D2)에서의 지방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이다. 상기 성분(D2)에서의 옥시알킬렌기로서는, 옥시에틸렌기 및 옥시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D2)에서의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높은 초기 정발력을 유지하면서 정발 후의 머리카락에 보다 한층 양호한 감촉을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D2)에서의 지방산은 분지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성분(D2)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 분지 지방산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초기 정발력을 유지하면서 정발 후의 머리카락에 보다 한층 양호한 감촉을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 분지 지방산에스테르에서의 분지 지방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 분지 지방산에스테르에서의 분지 지방산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이소노난산, 이소팔미트산 및 이소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 분지 지방산에스테르로서는, 특히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D1)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니찌유사 제조, 상품명 「맥비오브라이드 MG-10P」; 노베온(Noveon)사 제조, 상품명 「글루캄 E-10」 및 상품명 「글루캄 E-20」; 아마콜사 제조, 상품명 「글루캄 P-1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D2)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노이겐 GIS-125」; 니혼 에멀전사 제조, 상품명 「EMALEX GWIS-115」, 상품명 「EMALEX GWIS-120」, 상품명 「EMALEX GWIS-125」 및 상품명 「EMALEX GWIS-13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상기 성분(D)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D)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플레이킹이 보다 한층 억제되고, 또한 정발 후의 세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지고, 또한 정발 후의 머리카락에 보다 한층 양호한 감촉이 부여된다. 상기 성분(D)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끈적임이 보다 한층 경감된다. 상기 성분(D)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D)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상기 정발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성분(A)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D)의 함유량의 질량비(상기 성분(A)의 함유량:상기 성분(D)의 함유량)는 1:0.2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면, 정발력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성분(D)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면, 모발의 감촉이나 정발제의 세발 시의 세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실리카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D)의 함유량과의 질량비, 및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의 함유량(합계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D)의 함유량과의 질량비는 각각 1:0.2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내지 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E))
상기 성분(E)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상기 성분(E)의 사용에 의해, 높은 정발성을 유지하면서 정발 후의 머리카락에 양호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성분(E)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사용되어도 된다.
머리카락에 대해 양호한 감촉을 부여하는 효과를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E)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0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상기 성분(E)의 함유량은 0.3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E)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임으로써, 머리카락에 대해 양호한 감촉을 부여하는 효과가 보다 한층 향상된다. 상기 성분(E)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임으로써, 정발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상기 성분(E)의 함유량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E)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다른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화장료에 사용되는 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 2 내지 5의 저급 알코올(특히,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 100질량% 중, 저급 알코올(특히, 에탄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어 비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의 계면 활성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및 올레일알코올 등의 탄소수 12 내지 18의 고급 알코올; 소르비톨, 말티톨 및 트레할로오스 등의 당 알코올; 크산탄 검, 카라기난, 구아검, 젤란 검 등의 다당계 화합물; 실리콘유; 금속 이온 봉쇄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 엑기스; 염료; 안료; pH 조정제; 향료; 방부제; 용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정발제 조성물의 다른 상세)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의 성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액상, 젤상, 크림상, 고형상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정발제 조성물은 액상 또는 젤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발제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00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m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mPa·s 이하이다. 상기 점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도포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또한 플레이킹의 발생 및 끈적임이 보다 한층 억제되고, 또한 초기 정발력 및 정발 유지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상기 점도가 상기 상한 이하임으로써, 유동성이 높아도 플레이킹의 발생 및 끈적임을 억제하고, 또한 초기 정발력 및 정발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점도는 점도계를 사용하고, No.4 로터를 사용해서 회전 속도 12rpm, 회전 시간 1분간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상기 점도계로서는 도끼 산교사 제조, TV-22형 점도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공지된 정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성분(A)과 성분(C)과 물을 디스퍼 믹서로 교반한 후, 패들 믹서로 교환해서 교반하면서 다른 성분을 배합 및 균일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A)과 성분(B)과 성분(C)을 적어도 포함한다. 성분(A)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우수한 정발 유지력을 발휘한다. 또한, 성분(A)만으로는 도포된 모발이 버석거린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포성이 향상된다. 또한, 성분(B)과 성분(C)의 병용에 의해, 성분(B)과 성분(C)의 가교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이라고 추정되는데, 정발제 조성물이 적절하게 증점된다. 또한, 정발제 조성물이 틱소트로피성을 나타내고, 전단 응력 하에서는 점도가 저하된다. 이에 의해, 성분(A)이 침강되거나 응집되거나 하기 어려워져, 정발제 조성물이 장기간 보관되었을 때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도포성이 향상된다. 상기 효과는 성분(B)과 성분(C)의 배합비를 특정한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한, 성분(B)과 성분(C)의 병용에 의해, 성분(C)이 물을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라 추정되는데, 정발제 조성물의 분리(액상 성분의 이액)를 억제할 수 있어 보존 안정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한, 성분(D)을 배합함으로써 정발력, 및 플레이킹의 억제 효과가 보다 한층 향상되고, 또한 정발 후의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는 효과, 및 세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E)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E)의 사용에 의해, 높은 정발성을 유지하면서 정발 후의 머리카락에 양호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성분(E)만으로는 끈적임이 발생하는 것에 반해, 성분(A)과 성분(E)을 병용함으로써, 끈적임을 억제하면서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양호하게 정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발된 상태를 장기간 양호하게 지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발제 조성물은 보존 안정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제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용기에 충전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로서는, 보틀 용기, 자 용기 및 튜브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보틀 용기 또는 튜브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다음의 성분을 사용하였다.
(성분(A))
상품명 「사이리시아 320」: 실리카, 후지 시리시아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에어로실 200」: 실리카, 닛본에어로실사 제조
상품명 「구상 HAP」: 히드록시아파타이트(다이헤이 가가꾸 산교사 제조)
상품명 「플로우라이트 R」: 규산칼슘(도미타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합성 규산알루미늄(중질)」: 규산알루미늄(도미타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수산화마그네슘(중질)」: 수산화마그네슘(도미타 세야꾸사 제조)
(성분(B))
상품명 「라포나이트 XL21」: 플루오로규산(나트륨/마그네슘), 로크 우드사 제조
상품명 「라포나이트 XLG」: 합성 규산(나트륨/마그네슘), 로크 우드사 제조
(성분(C))
상품명 「아큘린 22」: 아크릴산알킬·메타크릴산알킬·메타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20E. O.) 공중합체 에멀전, 다우 케미컬사 제조, 30질량% 수용액
상품명 「아큘린 28」: 아크릴산알킬·메타크릴산알킬·메타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25E. O.) 공중합체 에멀전, 다우 케미컬사 제조, 20질량% 수용액
상품명 「아큘린 33A」: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전, 다우 케미컬사 제조, 28질량% 수용액
상품명 「아큘린 38」: 아크릴산알킬·네오데칸산비닐 크로스 폴리머, 다우 케미컬사 제조, 29질량% 수용액
(성분(D))
상품명 「노이겐 GIS-125」: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 제조
상품명 「맥비오브라이드 MG-10P」: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니찌유사 제조
(성분(E))
상품명 「PEG #1000」: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라이온사 제조
(실시예 1 내지 42 및 비교예 1 내지 9)
다음의 표 1 내지 6에 나타내는 배합 성분을 배합(배합 단위는 질량%)하여, 정발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2에서 얻어진 정발제 조성물의 성상은 모두 젤상이었다. 또한, 표 중의 배합량은 실배합량(상품의 배합량)으로 나타냈다.
얻어진 정발제 조성물을 플라스틱제 용기 내에 충전하였다.
(시험예 1: 보존 안정성의 평가)
상기 정발제 조성물을 용적 60mL의 투명 유리 용기에 충전하고, 40℃로 유지한 항온조 내에서 1개월간 보관하였다. 1개월 보관 후의 상기 투명 유리 용기 내의 정발제 조성물을 육안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보존 안정성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응집물이나 침강물의 발생, 및 정발제 조성물의 분리 모두가 나타나지 않음
△(양호): 응집물이나 침강물의 발생, 및 정발제 조성물의 분리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약간 나타남
×(불량): 응집물이나 침강물의 발생, 및 정발제 조성물의 분리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명백하게 나타남
(시험예 2: 도포성의 평가)
전문 패널 20명이 상기 정발제 조성물을 가발(레슨 마네킹: 유카리재팬사 제조)의 모발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가발의 형상을 따르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머리카락을 곱게 매만지듯이 정발을 실시한 후, 도포 용이성을 회답하였다. 또한, 정발 시에 걸림이나 버석거림을 느끼지 못한 경우에, 도포하기 용이하다고 판정하였다. 상기 회답으로부터, 다음의 기준으로 도포성을 평가하였다.
<도포성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20명 중 16명 이상이 도포하기 쉽다고 회답
△(양호): 20명 중 10 내지 15명이 도포하기 쉽다고 회답
×(불량): 20명 중 9명 이하가 도포하기 쉽다고 회답
(시험예 3: 정발 유지력의 평가)
전문 패널 20명이 상기 시험예 2(도포성의 평가) 후, 6시간 경과 후에 정발을 실시한 가발의 모발을 관찰하여, 정발 유지력의 유무를 회답하였다. 또한, 시험예 2의 정발된 머리카락의 형상이 계속해서 유지되어 있는 것을 정발 유지력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상기 회답으로부터, 다음의 기준으로 정발 유지력을 평가하였다.
<정발 유지력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20명 중 16명 이상이 정발 유지력이 있다고 회답
△(양호): 20명 중 10 내지 15명이 정발 유지력이 있다고 회답
×(불량): 20명 중 9명 이하가 정발 유지력이 있다고 회답
결과를 다음의 표 1 내지 6에 나타내었다. 표 1 내지 6의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의 배합 성분의 합계는 100질량%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0과 실시예 22와 실시예 41에서 얻어진 정발제 조성물에 대해서는, 다음의 플레이킹과 세정성의 평가도 행하였다.
(시험예 4: 플레이킹의 평가)
전문 패널 20명이 상기 시험예 3(정발 유지력의 평가) 후, 가발의 모발을 손끝으로 모발의 뿌리부터 모발 끝으로 연속해서 5회 빗질하여, 플레이킹의 유무를 회답하였다. 또한, 모발 위에 흰 가루가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 플레이킹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상기 회답으로부터, 다음의 기준으로 플레이킹을 평가하였다.
<플레이킹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20명 중 16명 이상이 플레이킹이 없다고 회답
△(양호): 20명 중 10 내지 15명이 플레이킹이 없다고 회답
×(불량): 20명 중 9명 이하가 플레이킹이 없다고 회답
(시험예 5: 세정성의 평가)
전문 패널 20명이 상기 시험예 4(플레이킹의 평가) 후, 가발의 모발을 샴푸(상품명 「루시도 샴푸」, 만다무사 제조)를 사용해서 미지근한 물로 세발한 후, 건조하고, 세정성의 양부(良否)를 회답하였다. 또한, 세발 시의 모발의 버석거림이나 끈적이는 느낌이 없는 경우에, 세정성이 좋다고 판정하였다. 상기 회답으로부터, 다음의 기준으로 세정성을 평가하였다.
<세정성의 평가 기준>
○(매우 양호): 20명 중 16명 이상이 세정성이 좋다고 회답
△(양호): 20명 중 10 내지 15명이 세정성이 좋다고 회답
×(불량): 20명 중 9명 이하가 세정성이 좋다고 회답
평가의 결과, 실시예 1과 실시예 22에서 얻어진 정발제 조성물은 플레이킹, 세정성 모두 평가 결과가 「○(매우 양호)」였다. 한편, 실시예 20과 실시예 41에서 얻어진 정발제 조성물은 플레이킹, 세정성 모두 평가 결과가 「△(양호)」였다.

Claims (5)

  1.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와, 하기 성분 C1 및 하기 성분 C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인 성분 C를 포함하고,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이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제1항에 기재된 정발제 조성물.
    성분 A: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입자
    성분 B: 점토 광물
    성분 C1: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
    성분 C2: 필수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이타콘산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네오데칸산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의 합계량이 0.2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정발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1:1 내지 30:1인, 정발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 D를 더 포함하는 정발제 조성물.
    성분 D: 폴리옥시알킬렌알킬글루코시드 및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 E를 더 포함하는 정발제 조성물.
    성분 E: 폴리에틸렌글리콜
KR1020157020879A 2013-03-29 2014-03-27 정발제 조성물 KR101789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3967 2013-03-29
JPJP-P-2013-073966 2013-03-29
JPJP-P-2013-073967 2013-03-29
JP2013073966 2013-03-29
JP2013163394 2013-08-06
JPJP-P-2013-163393 2013-08-06
JPJP-P-2013-163394 2013-08-06
JP2013163393 2013-08-06
PCT/JP2014/058986 WO2014157564A1 (ja) 2013-03-29 2014-03-27 整髪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237A true KR20150103237A (ko) 2015-09-09
KR101789397B1 KR101789397B1 (ko) 2017-10-23

Family

ID=516245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879A KR101789397B1 (ko) 2013-03-29 2014-03-27 정발제 조성물
KR1020157020860A KR101763501B1 (ko) 2013-03-29 2014-03-27 정발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860A KR101763501B1 (ko) 2013-03-29 2014-03-27 정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092365B2 (ko)
KR (2) KR101789397B1 (ko)
CN (2) CN105025867B (ko)
WO (2) WO2014157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0714B2 (ja) * 2013-11-19 2017-06-21 株式会社マンダム 乳化整髪剤組成物
JP6192502B2 (ja) * 2013-11-19 2017-09-06 株式会社マンダム 乳化整髪剤組成物
CN105792803A (zh) * 2014-03-28 2016-07-20 株式会社漫丹 整发剂组合物
JP6243014B2 (ja) * 2014-05-16 2017-12-06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JP6628487B2 (ja) * 2015-03-31 2020-01-08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JP7045130B2 (ja) * 2015-12-15 2022-03-31 株式会社ミルボン 毛髪用処理剤、毛髪処理方法
JP6723771B2 (ja) * 2016-03-10 2020-07-15 ジャパンコーティングレジン株式会社 整髪剤用アクリル系樹脂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整髪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23772B2 (ja) * 2016-03-10 2020-07-15 ジャパンコーティングレジン株式会社 整髪剤組成物
JP6662547B2 (ja) * 2016-05-20 2020-03-11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JP6679169B2 (ja) * 2016-05-20 2020-04-15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剤組成物
CN109890353B (zh) 2016-11-08 2022-05-31 株式会社资生堂 化妆品组合物
CN110167520B (zh) * 2017-04-27 2022-05-03 株式会社漫丹 整发剂组合物
JP7178684B2 (ja) * 2018-02-23 2022-11-28 ホーユー株式会社 整髪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55992A (en) * 1979-09-17 1983-10-25 Jean Dupre Thickening agent for aqueous compositions
JP2000204025A (ja) * 1999-01-11 2000-07-25 Kose Corp 泡沫状整髪料
JP2000256139A (ja) * 1999-03-10 2000-09-19 Kose Corp 毛髪化粧料
JP2002220315A (ja) * 2001-01-24 2002-08-09 Shiseido Co Ltd ゲル状組成物
JP2002275039A (ja) * 2001-03-21 2002-09-25 Nonogawa Shoji Kk 整髪剤組成物
JP2003342130A (ja) * 2002-05-30 2003-12-03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4532814B2 (ja) * 2002-08-06 2010-08-25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4709965B2 (ja) * 2003-09-11 2011-06-29 株式会社アリミノ 水性整髪料
JP2007320872A (ja) * 2006-05-31 2007-12-13 Mandom Corp 頭髪化粧料
WO2008019917A1 (en) * 2006-08-16 2008-02-21 Unilever Plc Hair treatment composition
JP5574621B2 (ja) * 2009-05-21 2014-08-20 株式会社マンダム 整髪用化粧料
JP5328032B2 (ja) * 2009-08-12 2013-10-30 株式会社マンダム 洗浄剤組成物
WO2011025025A1 (ja) * 2009-08-31 2011-03-03 株式会社資生堂 整髪用化粧料
US20130164246A1 (en) * 2010-06-25 2013-06-27 Shiseido Company, Ltd. Hair Styling Cosmetic Composition
JP5823114B2 (ja) * 2010-11-11 2015-11-25 株式会社マンダム ジェル状整髪剤用組成物
JP5794776B2 (ja) * 2010-12-15 2015-10-14 株式会社マンダム 泡沫状整髪剤
JP5837330B2 (ja) * 2011-05-23 2015-12-24 株式会社マンダム 粘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7887B (zh) 2018-08-31
JP6013587B2 (ja) 2016-10-25
JPWO2014157563A1 (ja) 2017-02-16
CN105007887A (zh) 2015-10-28
WO2014157563A1 (ja) 2014-10-02
WO2014157564A1 (ja) 2014-10-02
JP6092365B2 (ja) 2017-03-08
CN105025867A (zh) 2015-11-04
KR101763501B1 (ko) 2017-07-31
CN105025867B (zh) 2017-08-04
KR101789397B1 (ko) 2017-10-23
JPWO2014157564A1 (ja) 2017-02-16
KR20150103233A (ko)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397B1 (ko) 정발제 조성물
KR101789395B1 (ko) 정발제 조성물 및 정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851166B1 (ko) 정발제 조성물
JP6518152B2 (ja) 整髪剤組成物及び整髪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721351B1 (ko) 정발제 조성물
JP6192502B2 (ja) 乳化整髪剤組成物
JP6425710B2 (ja) 整髪剤組成物
JP6147914B2 (ja) 整髪剤組成物及び整髪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6425711B2 (ja) 整髪剤組成物
JP6689555B2 (ja) 整髪剤組成物
JP2020164475A (ja) 乳化整髪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