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541A -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541A
KR20150101541A KR1020140022961A KR20140022961A KR20150101541A KR 20150101541 A KR20150101541 A KR 20150101541A KR 1020140022961 A KR1020140022961 A KR 1020140022961A KR 20140022961 A KR20140022961 A KR 20140022961A KR 20150101541 A KR20150101541 A KR 2015010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lfur
feed
du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586B1 (ko
Inventor
정홍균
Original Assignee
정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균 filed Critical 정홍균
Priority to KR102014002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5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586B1/ko

Links

Landscapes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a) 1 ~ 90일까지 제1차 배합사료 98.8 ~ 99.0 중량%와 유황 0.8 ~ 1.0 중량%이 함유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b) 91 ~ 180일까지 제2차 배합사료 97.5 ~ 98 중량%와 유황 2.5 ~ 2.0 중량%가 함유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c) 181 ~ 270일까지 제3차 배합사료 96.5 ~ 97 중량%와 유황 3.0 ~ 3.5 중량%을 함유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d) 271 ~ 360일까지 제1차 배합사료 96.5 ~ 97 중량%와 유황 3.0 ~ 3.5 중량%을 함유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폐사율이 낮고 양질의 유황오리를 대량사육할 수 있음은 물론, 해독 기능이 있는 곡물이나 재료를 사료로 활용하여 최종 소비자의 건강 증진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Method of breeding sulfur duck using rice bran and natural conjugated materials}
본 발명은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리는 기원전 2,000 ~ 3,000년경부터 이집트, 중국, 우리나라 신라 및 고구려에서 사육된 기록이 문헌에 전해지며,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우수하여 근래에는 보양식품으로 널리 사육되고 있다. 특히, 유황오리는 중금속 및 농약 해독 등의 효과가 있어 널리 사육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사육방법은 유황의 독성을 제거하지 못한 상태로 사육되어 높은 폐사율과 함께 지방이 많은 저급 오리를 양산하는 근원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61452호(등록일자: 2002. 11. 5., 발명의 명칭: 유황이 함유된 오리사료 조성물)는 옥수수, 박피대두, 밀, 대두박, 당밀, 미강등으로 혼합된 오리사료에 있어서, 상기 오리사료 중량대비 1중량% 유안비료와 0.5중량% 유황분말이 혼합된 유황이 함유된 오리사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59672호(등록일자: 2011. 8. 19., 발명의 명칭: 유황성분이 함유된 오리알 산란이 가능한 오리 사육 방법 및 그 사육 방법에 의해 생산된 오리알)는 통상의 양계용 또는 오리용 사료와 유황을 배합하여 오리에게 급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하일로부터 6주차까지 오리에게 통상의 양계용 또는 오리용 사료와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 곰팡이가 포함된 생균제재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내지 60시간을 발효시킨 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7주차부터 8주차까지 상기 양계용 또는 오리용 사료와 별개로 미강, 청미, 깻묵, 홍삼박, 인삼 및 상기 생균제재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내지 60시간을 발효시킨 홍삼박발효사료를 각각 1:1 비율로 배합된 혼합홍삼박 발효사료 99중량% 내지 99.5중량%와 유황 1중량% 내지 0.5중량%를 혼합하되 혼합홍삼박발효사료와 유황의 총 중량%가 100중량% 넘지 않게하여 급여하는 단계; 9주차에는 상기 혼합홍삼박발효사료 98중량% 내지 98.9중량%와 유황 2중량% 내지 1.1중량%를 혼합하되 혼합홍삼박발효사료와 유황의 총 중량%가 100중량% 넘지 않게하여 급여하는 단계; 10주차부터 28주차까지 상기 혼합홍삼박발효사료 97.5중량% 내지 97.9중량%와 유황 2.5중량% 내지 2.1중량%를 혼합하되 혼합홍삼박발효사료와 유황의 총 중량%가 100중량% 넘지 않게하여 급여하는 단계; 및 29주차부터 오리의 산란이 가능한 시기까지 상기 혼합홍삼박발효사료 95중량% 내지 97.4중량%와 유황 5중량% 내지 2.6중량%를 혼합하되 혼합홍삼박발효사료와 유황의 총 중량%가 100중량% 넘지 않게하여 급여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성분이 함유된 오리알 산란이 가능한 오리 사육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8267호(등록일자: 2013. 10. 8., 발명의 명칭: 음식 및 수산 폐기물을 이용한 유황 오리용 사료 제조 방법)는 전체 사료 중량에 대해서 생후 2주일간은 매일 0.1~0.2%을, 2주 이후부터 7주까지는 매일 0.2~0.3%을, 7주 이후부터 4개월까지는 매일 0.3~1.0%를, 4개월 이후에는 매일 3 내지 5%의 유황을 생선 및 물과 함께 끓여 어죽을 만들고, 상기 어죽을 수산물이 포함된 잔반과, 수산물 가공으로 인한 수산 폐기물, 미강, 보리와 1:1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74도씨 내지 79도씨에서 18시간 내지 24시간 발효과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및 수산 폐기물을 이용한 유황 오리용 사료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유황오리 사료 또는 사육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오리 폐사율이 높고 지방비율이 높은 저급 유황오리 사육에 지나지 않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사율이 매우 낮으며 고품질의 육질 생산이 가능한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1 ~ 90일까지 제1차 배합사료 98.8 ~ 99.0 중량%와 유황 0.8 ~ 1.0 중량%이 함유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b) 91 ~ 180일까지 제2차 배합사료 97.5 ~ 98 중량%와 유황 2.5 ~ 2.0 중량%가 함유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c) 181 ~ 270일까지 제3차 배합사료 96.5 ~ 97 중량%와 유황 3.0 ~ 3.5 중량%을 함유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d) 271 ~ 360일까지 제1차 배합사료 96.5 ~ 97 중량%와 유황 3.0 ~ 3.5 중량%을 함유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로 이루어되, 상기 (a) 및 (d)단계의 제1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18 ~ 22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복분자 0.1 ~ 0.9 중량부, 유자 껍데기 1 ~ 5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1 ~ 5 중량부로 조성되고, 상기 (b)단계의 제2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23 ~ 40 중량부, 옥수수 잎 및 줄기 10 ~ 13 중량부, 녹두 3 ~ 5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3 ~ 5 중량부로 조성되고, 상기 (c)단계의 제3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23 ~ 40 중량부, 옥수수 잎 및 줄기 5 ~ 10 중량부, 녹두 3 ~ 5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3 ~ 5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유황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 30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60 ~ 90분간 가열한 후 서냉하는 과정을 적어도 5회 이상 반복하되, 반복 과정마다 정제수 50 ~ 6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공급한 후 최종적으로 열풍 건조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a)단계 ~(d)단계의 사육기간 내에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깨 깻묵 또는 들깨 깻묵 1 ~ 1.5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b)단계의 상기 옥수수 잎 및 줄기는 25 ~ 35mm 크기로 파쇄된 것이고, 상기 (c)단계의 상기 옥수수 잎 및 줄기는 13 ~ 20mm 크기로 파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폐사율이 낮고 양질의 유황오리를 대량사육할 수 있음은 물론, 해독 기능이 있는 곡물이나 재료를 사료로 활용하여 최종 소비자의 건강 증진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함유율이 낮아 음료 가공이 용이한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오리사육 방법
(1) 1 ~ 90일까지 제1차 배합사료 98.8 ~ 99.0 중량%와 유황 0.8 ~ 1.0 중량%이 함유된 오리사료를 오리에게 먹여 사육한다.
여기서, 제1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18 ~ 22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복분자 0.1 ~ 0.9 중량부, 유자 껍데기 1 ~ 5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1 ~ 5 중량부로 조성되어 있다.
특히, 구찌뽕은 부종치료에 효과가 좋으며 동맥경화 예방, 숙취 해소, 당뇨 개선, 자양효과는 물론 항암 효과가 우수한 약재이며 특히 유황의 독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복분자는 다량의 항산화제를 함유하고 있어 오리의 불포화지방산과 함께 다이어트 및 피부미용에 상승작용을 한다.
그리고, 유자 껍데기는 레몬이나 귤 보다 2배 이상의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피로물질인 젖산의 축적을 저해하고, 스트레스 물질 생성을 방해하는 특징이 있다.
황토 분말은 향균 및 해독작용이 우수하여 유황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역활을 하며, 특히 황토 분말은 200 ~ 450 메쉬인 것을 사용하여야 오리의 소화작용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유황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 30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60 ~ 90분간 가열한 후 서냉하는 과정을 적어도 5회 이상 반복하되, 반복 과정마다 정제수 50 ~ 6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최종적인 과정이 완료되면 열풍 건조하여 순수한 유황을 획득하며 이렇게 처리된 유황을 본 실시예의 유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정제수와 혼합 후 반복적인 가열에 의해 유황 특유의 독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천연복합물은 발효 용기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검정콩 10 ~ 15 중량부, 감초 5 ~ 7 중량부, 갈근 분말 0.5 ~ 0.9 중량부, 무즙 10 ~ 25 중량부, 생강즙 1 ~ 1.5 중량부 및 설탕 10 ~ 2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밀폐시켜 5 ~ 15℃ 온도에서 3 ~ 6개월 동안 음지에서 발효시킨 후 여과한 것이다. 여기서, 천연복합물에 들어가는 검정콩, 감초, 갈근, 무즙 및 생강즙은 모두 해독작용이 우수한 약재들이다.
(2) 91 ~ 180일까지 제2차 배합사료 97.5 ~ 98 중량%와 유황 2.5 ~ 2.0 중량%가 함유된 오리사료를 오리에게 먹여 사육한다.
여기서, 제2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23 ~ 40 중량부, 25 ~ 35mm 크기로 파쇄된 옥수수 잎 및 줄기 10 ~ 13 중량부, 녹두 3 ~ 5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3 ~ 5 중량부로 조성되어 있다. 녹두는 해독효과가 우수한 작물이다.
그리고, 유황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 30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60 ~ 90분간 가열한 후 서냉하는 과정을 적어도 5회 이상 반복하되, 반복 과정마다 정제수 50 ~ 6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최종적인 과정이 완료되면 열풍 건조하여 순수한 유황을 획득하며 이렇게 처리된 유황을 본 실시예의 유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정제수와 혼합 후 반복적인 가열에 의해 유황 특유의 독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3) 181 ~ 270일까지 제3차 배합사료 96.5 ~ 97 중량%와 유황 3.0 ~ 3.5 중량%을 함유한 오리사료를 오리에게 먹여 사육한다.
여기서, 제3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23 ~ 40 중량부, 13 ~ 20mm 크기로 파쇄된 옥수수 잎 및 줄기 5 ~ 10 중량부, 녹두 3 ~ 5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3 ~ 5 중량부로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황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 30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60 ~ 90분간 가열한 후 서냉하는 과정을 적어도 5회 이상 반복하되, 반복 과정마다 정제수 50 ~ 6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최종적인 과정이 완료되면 열풍 건조하여 순수한 유황을 획득하며 이렇게 처리된 유황을 본 실시예의 유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정제수와 혼합 후 반복적인 가열에 의해 유황 특유의 독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 271 ~ 360일까지 제1차 배합사료 96.5 ~ 97 중량%와 유황 3.0 ~ 3.5 중량%을 함유한 오리사료를 오리에게 먹여 사육한다.
제1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18 ~ 22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복분자 0.1 ~ 0.9 중량부, 유자 껍데기 1 ~ 5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1 ~ 5 중량부로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황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 30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60 ~ 90분간 가열한 후 서냉하는 과정을 적어도 5회 이상 반복하되, 반복 과정마다 정제수 50 ~ 6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최종적인 과정이 완료되면 열풍 건조하여 순수한 유황을 획득하며 이렇게 처리된 유황을 본 실시예의 유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정제수와 혼합 후 반복적인 가열에 의해 유황 특유의 독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사육기간 내에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깨 깻묵 또는 들깨 깻묵 1 ~ 1.5 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깻묵은 해독기능이 우수하고 다량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폐사율과 지방함유율 비교
오리 250 마리를 동일 조건의 사육장에서 종래 기술에서 제안하고 있는 유황 오리사육 방법(대조구)과 본 실시예의 오리사육 방법으로 1년간 사육하여 오리의 폐사율과 지방함유율의 결과치를 표 1에 기록하였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지방함유율(%)은 대조구의 지방함유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상대적인 지방함유율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육방법은 폐사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낮고, 지방함유율(%) 또한 대조구에 비하여 7 ~ 17% 정도 낮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양질의 유황오리를 대량 사육할 수 있는 양호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Claims (4)

  1. (a) 1 ~ 90일까지 제1차 배합사료 98.8 ~ 99.0 중량%와 유황 0.8 ~ 1.0 중량%이 함유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b) 91 ~ 180일까지 제2차 배합사료 97.5 ~ 98 중량%와 유황 2.5 ~ 2.0 중량%가 함유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c) 181 ~ 270일까지 제3차 배합사료 96.5 ~ 97 중량%와 유황 3.0 ~ 3.5 중량%을 함유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와;
    (d) 271 ~ 360일까지 제1차 배합사료 96.5 ~ 97 중량%와 유황 3.0 ~ 3.5 중량%을 함유한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는 단계로 이루어되,
    상기 (a) 및 (d)단계의 제1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18 ~ 22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복분자 0.1 ~ 0.9 중량부, 유자 껍데기 1 ~ 5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1 ~ 5 중량부로 조성되고,
    상기 (b)단계의 제2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23 ~ 40 중량부, 옥수수 잎 및 줄기 10 ~ 13 중량부, 녹두 3 ~ 5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3 ~ 5 중량부로 조성되고,
    상기 (c)단계의 제3차 배합사료는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강 23 ~ 40 중량부, 옥수수 잎 및 줄기 5 ~ 10 중량부, 녹두 3 ~ 5 중량부, 바실러스 및 유산균이 포함된 생균제재 5 ~ 10 중량부, 구찌봉 분말 2 ~ 8 중량부, 황토 분말 0.05 ~ 0.2 중량부 및 천연복합물 3 ~ 5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 30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60 ~ 90분간 가열한 후 서냉하는 과정을 적어도 5회 이상 반복하되, 반복 과정마다 정제수 50 ~ 6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공급한 후 최종적으로 열풍 건조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d)단계의 사육기간 내에 보리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깨 깻묵 또는 들깨 깻묵 1 ~ 1.5 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상기 옥수수 잎 및 줄기는 25 ~ 35mm 크기로 파쇄된 것이고, 상기 (c)단계의 상기 옥수수 잎 및 줄기는 13 ~ 20mm 크기로 파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KR1020140022961A 2014-02-27 2014-02-27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KR10155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961A KR101550586B1 (ko) 2014-02-27 2014-02-27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961A KR101550586B1 (ko) 2014-02-27 2014-02-27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541A true KR20150101541A (ko) 2015-09-04
KR101550586B1 KR101550586B1 (ko) 2015-09-08

Family

ID=5424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961A KR101550586B1 (ko) 2014-02-27 2014-02-27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5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4121A (zh) * 2017-10-25 2018-01-19 柳州科讯科技有限公司 一种肉鸭饲料
CN108450414A (zh) * 2018-05-20 2018-08-28 阮金朋 一种营养肉鸭的饲养方法
CN113100168A (zh) * 2021-04-15 2021-07-13 南京市畜牧家禽科学研究所(南京市畜牧技术推广站) 一种改善笼养淘汰蛋鸭肉质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3987A (zh) * 2015-12-14 2016-04-20 绵阳市天倍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稻鸭共育与专用肥生产有机大米的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4121A (zh) * 2017-10-25 2018-01-19 柳州科讯科技有限公司 一种肉鸭饲料
CN108450414A (zh) * 2018-05-20 2018-08-28 阮金朋 一种营养肉鸭的饲养方法
CN113100168A (zh) * 2021-04-15 2021-07-13 南京市畜牧家禽科学研究所(南京市畜牧技术推广站) 一种改善笼养淘汰蛋鸭肉质的方法
CN113100168B (zh) * 2021-04-15 2024-03-22 南京市畜牧家禽科学研究所(南京市畜牧技术推广站) 一种改善笼养淘汰蛋鸭肉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586B1 (ko)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247B1 (ko)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
CN101642172B (zh) 青稞麦绿茶及其制备方法
KR101782110B1 (ko) 오메가-3 지방산 강화 사료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가축사육방법
CN103478420B (zh) 一种蚕蛹鸡饲料
CN103598432A (zh) 一种改善肉鸡肉质的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550586B1 (ko) 미강과 천연복합물을 이용한 유황오리 사육방법
CN104489367A (zh) 一种快速育肥牛饲料
CN104026356A (zh) 一种增强免疫力的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963185B1 (ko) 굼벵이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굼벵이 사육 방법
KR101950337B1 (ko) 유황오리를 이용한 약간장 제조방법
CN107455562A (zh) 一种利用米糠油替代豆油生产的猪饲料
EP3536162B1 (en) Fe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077896A (ko) 인삼꽃을 이용한 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1922053B1 (ko) 멸치 어분을 이용한 양어사료 제조공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양어사료
CN104012848A (zh) 一种虾蛄保健保鲜年糕及其制备方法
KR102182126B1 (ko) 굼벵이 먹이용 발효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방법
CN106387407A (zh) 一种提高消化能综合利用海带黑猪饲料添加剂
CN105661091A (zh) 一种无抗生素的育肥型鸡饲料的制备方法
CN104026364B (zh) 一种提高食欲的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937711A (zh) 一种防治仔猪水肿病的饲料及其制作方法
CN106036104A (zh) 一种提高猪肌内脂肪含量猪饲料添加剂
CN104273364A (zh) 一种提高鹅肉品质、缩短出栏周期的肉鹅饲料
CN109303175A (zh) 一种生态猪饲料
JP7266305B2 (ja) 鶏用飼料、鶏用飼料の製造方法及び鶏の飼育方法
CN106962608A (zh) 一种秋葵籽加工生产秋葵油、复合饲料和菌类基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