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775A -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775A
KR20150097775A KR1020157019692A KR20157019692A KR20150097775A KR 20150097775 A KR20150097775 A KR 20150097775A KR 1020157019692 A KR1020157019692 A KR 1020157019692A KR 20157019692 A KR20157019692 A KR 20157019692A KR 20150097775 A KR20150097775 A KR 2015009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optical fiber
light
light emit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490B1 (ko
Inventor
미치야 카토우
제니치로우 하라
카츠시 미와
Original Assignee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44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the mechanical casing of the compu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G06F11/3093Configuration details thereof, e.g. installation, enabling, spatial arrangement of the prob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 G06F11/326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for error or online/offline st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2Recognising information on displays, dials, c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과제] 서버의 상태를 종래보다도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서버 감시 장치에서는, 서버의 동작 상황을 점등 태양에 의해 나타내는 복수의 발광 소자에 복수의 광파이버가 광학적으로 결합하고, 그들 복수의 광파이버의 발광 소자와 반대측의 끝면이 미리 정해진 배열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광파이버의 끝면의 발광 패턴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어, 그 화상이 감시자에게 송신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SERVER MONITORING DEVICE AND SERVER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 가능한 서버를 원격지에서 감시하는 서버 감시 시스템 및 그것에 사용되는 서버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버를 원격지에서 감시하기 위해서는, 서버의 설치 장소에 파견한 작업원에게 서버의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램프의 점등 태양을 확인시킴으로써 서버의 상태를 파악한다고 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4-21362호 공보(단락 [0002])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술한 서버의 감시 방법에서는, 작업원에 의한 램프의 확인에 시간이 걸려, 서버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서버의 상태를 종래보다도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해진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른 서버 감시 장치(10)는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하여 액세스 가능한 서버(90)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 감시 장치(10)로서, 서버(90)의 전면에 설치되어 서버(90)의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92)에 대하여, 복수의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광학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광파이버 시단(始端) 고정 수단(70, 74, 81A, 84, 85, 94)과, 복수의 광파이버(20)의 타단부의 끝면을 미리 정해진 배열이 되도록 유지하는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22)과, 그들 광파이버(20)의 끝면 무리의 배열의 발광 패턴을 촬상하는 카메라(30)와, 발광 패턴의 화상을 서버(90)의 감시자(101)에게 송신하기 위한 화상 송신 수단(40)을 구비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통신 네트워크」로서는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LAN), WAN(WAN) 등을 들 수 있고, 유선 회선이어도 무선 회선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는 흑백으로 촬상하는 것이어도 되고, 컬러로 촬상하는 것이어도 된다. 컬러로 촬상하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의 발광색의 차이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는 발광 패턴을 동영상으로 촬상해도 되고, 정지 화상으로 촬상해도 된다. 동영상으로 촬상하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가 점멸에 의해 서버의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이어도, 그 점등 태양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에 의한 촬상은 정기적으로 실행되어도 되고, 감시자로부터의 요구가 있을 때에만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카메라가 동영상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항상 촬상해도 된다.
또한 「화상 송신 수단」은 정기적으로 화상을 송신하도록 해도 되고, 감시자로부터 요구가 있을 때에만 화상을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동영상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항상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화상 송신 수단이 화상을 감시자에게 송신하는 경로로서는, 상술의 「통신 네트워크」이어도 되고, 그것과는 다른 전용 회선이어도 된다. 또한, 이 전용 회선에 대해서도, 유선, 무선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22) 및 카메라(30)를 수용하고,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차광 박스(31)와,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22)에 설치되어, 카메라(30)의 촬상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복수의 광파이버(20)의 끝면이 나열되는 기준 위치에서 발광 가능한 복수의 기준 발광 소자(24)를 구비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서버(90)를 수용한 서버 래크(93)에 부착되어, 서버(90)의 전면을 덮는 것이 가능한 개폐 도어(94)에, 복수의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삽입통과 가능한 복수의 광파이버 삽입통과 구멍(94A)을 관통 형성하고, 그 개폐 도어(94)를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94)으로 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닫힌 상태의 개폐 도어(94)를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출사 수단(28, 29)과, 출사 수단(28, 29)으로부터 출사되어 닫힌 상태의 개폐 도어(29)에서 반사된 광을, 일단부의 끝면에서 수광하여 타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반사광용 광파이버(27)를 구비하고,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22)은 반사광용 광파이버(27)로부터 출사된 광이 카메라(30)로 촬상되도록 반사광용 광파이버(27)의 타단부를 유지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서버(90)를 수용한 서버 래크(93)에 부착되어, 서버(90)의 전면(91Z)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어느 한쪽인 제 1 방향에 평행하게 뻗은 1쌍의 직동 가이드(81A)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어느 하나의 타방인 제 2 방향으로 뻗어 1쌍의 직동 가이드(81A)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걸쳐진 복수의 가교 바(83)와, 각 가교 바(83)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발광 소자(92)에 광학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제 1 광파이버 유지 부재(84, 85)가,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81A, 84, 85)으로서 구비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제 1 광파이버 유지 부재(84, 85)는 광파이버(20)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발광 소자(20)를 덮는 고정 어댑터(85)와, 각 가교 바(83)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어, 서버(90)의 전면(91Z)과의 사이에서 고정 어댑터(85)를 협지하는 쿠션 부재(84)로 이루어지고, 고정 어댑터(85)는 발광 소자(20)와의 대향면에 함몰 형성된 전면 오목부(85A)를 갖고, 전면 오목부(85A)의 안쪽으로부터 광파이버(20)의 끝면을 발광 소자(92)에 대향시킨 상태로 광파이버(2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서버(90)를 수용한 서버 래크(93)에 부착되는 프레임체(71)의 내측에 망체(72)를 펼쳐서 이루어지는 지지망반(支持網盤)(70)과, 망체(72)의 임의의 망목(72A)에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고정하고,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발광 소자(92)에 광학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제 2 광파이버 유지 부재(74)가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70, 74)으로서 구비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제 2 광파이버 유지 부재(74)는 망체 (72)의 임의의 망목(72A)에 삽입 통과되고 또한 내측에 광파이버(20)를 삽입통과 가능한 지지 파이프(74C)와, 지지 파이프(74C)의 선단에 고정되고, 서버(90)의 전면(91Z)에 꼭 맞게 대어져 발광 소자(20)를 덮는 선단 헤드부(74A)와, 지지 파이프(74C)의 외측에 삽입통과되어 망체(72)와 선단 헤드부(74A) 사이에서 밀쳐내는 상태가 되어, 선단 헤드부(74A)를 서버(90)의 전면(91Z)으로 꽉 누르는 압축 코일 스프링(74B)으로 이루어지고, 선단 헤드부(74A)는 발광 소자(92)와의 대향면에 함몰 형성된 전면 오목부(74D)를 갖고, 전면 오목부(74D)의 안쪽으로부터 광파이버(20)의 끝면을 발광 소자(20)에 대향시킨 상태로 광파이버(2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에 있어서, 서버(90)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실(95)의 실내광을 일단부의 끝면으로부터 받아들여 타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출력하는 환경광용 광파이버(26)를 갖고,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22)은 환경광용 광파이버(26)의 타단부의 끝면이 카메라(30)에서 촬상되도록 환경광용 광파이버(26)를 유지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른 서버 감시 시스템(100)은,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10)와, 서버 감시 장치(1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광 패턴의 화상을 수신하고, 서버(90)의 상태를 판정하는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1, 10의 발명]
청구항 1, 10의 발명에서는, 서버(90)의 동작 상황을 점등 태양에 의해 나타내는 복수의 발광 소자(92)에 복수의 광파이버(20)의 일단부가 광학적으로 결합하고, 그들 복수의 광파이버(20)의 타단부의 끝면이 미리 정해진 배열이 되도록 유지되므로, 그들 광파이버(20)의 끝면 무리의 배열의 발광 패턴으로부터 서버(90)의 동작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그 발광 패턴이 카메라(30)에 의해 촬상되고, 그 화상이 서버(90)의 감시자(101)에 송신되므로, 종래와 같이, 서버(90)의 설치 장소에 파견한 작업원이 발광 소자(92)를 확인할 수고가 줄어, 서버(90)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항 10의 서버 감시 시스템(100)에서는, 카메라(30)에 의해 촬상된 발광 패턴으로부터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가 서버(90)의 상태를 판정하므로, 감시자(101)에 의한 발광 패턴의 시인 미스를 없앨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차광 박스(31)에 의해, 발광 패턴이 외부광의 영향을 받아 인식하기 어렵게 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기준 발광 소자(24)의 발광을 기준으로 하여, 발광하고 있는 광파이버(20)를 특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파이버(20)를 고정한 개폐 도어(94)를 닫음으로써 그들 복수의 광파이버(20)를 복수의 발광 소자(92)와 광학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반사광용 광파이버(27)의 발광에 의해 개폐 도어(94)가 닫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광파이버(20)와 발광 소자(92)가 광학적으로 결합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8의 발명]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임의의 수의 가교 바(83)를 1쌍의 직동 가이드(81A)의 길이 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걸침과 아울러, 임의의 수의 제 1 광파이버 유지 부재(84, 85)를 각 가교 바(83)의 길이 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하여, 각 제 1 광파이버 유지 부재(84, 85)에 광파이버(20)를 유지시키면, 서버(90)의 임의의 수 및 배치의 발광 소자(92)의 각각에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광학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서버(90)의 전면에 대향 배치된 망체(72)의 임의의 망목(72A)에 임의의 수의 광파이버(20)를 삽입통과시키고 제 2 광파이버 유지 부재(74)로 고정함으로써 서버(90)의 임의의 수 및 배치의 발광 소자(92)의 각각에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광학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청구항 6 및 8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 어댑터(85) 또는 선단 헤드부(74A)의 전면 오목부(85A, 74D) 내에서 발광 소자(92)와 광파이버(20)의 끝면을 대향시키므로, 외란의 광이 광파이버(20)에 받아들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서버실(95)의 실내광이 광파이버(20)에 받아들여진 경우이어도, 감시자(101)는 그 실내광의 영향을 빼고 발광 패턴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서버 및 서버 감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서버 기기의 정면도,
도 4는 개폐 도어의 측단면도,
도 5는 차광 박스 및 유지 부재의 평단면도,
도 6은 표시 보드를 이면측에서 본 도면,
도 7은 투영판의 발광 패턴의 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프레임, 가교 바 등의 사시도,
도 9는 광파이버를 발광 소자에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망반 및 파이버 홀더 등의 사시도,
도 11은 파이버 홀더의 측단면도,
도 12는 지지 파이프가 망목을 관통한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파이버 홀더의 측단면도,
도 14는 파이버 홀더의 측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의 1실시형태를 도 1∼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서버 감시 시스템(100)은 렌탈 서버 업자로부터 서버(90)를 빌린 차주(借主)(101)가 그 서버(90)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버(90)는 서버(90)의 차주(101)(이하, 「감시자(101)」라고 함)가 소유하는 단말(104)로부터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하여 액세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버 감시 시스템(100)은 서버(9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서버(90)의 상태를 감시하는 서버 감시 장치(10)와, 이 서버 감시 장치(10)에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하여 접속되어 서버(90)의 상태를 감시자(101)에게 통지하는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서버(90)는 서버(90)의 렌탈 서버 업자가 소유하는 서버실(95)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버(90)는 복수의 서버 기기(91)로 이루어지고, 그들 서버 기기(91)는 상하로 나열된 상태에서 서버 래크(9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서버 래크(93)의 전측에는, 그 일측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개폐 도어(94)가 설치되고, 그 개폐 도어(94)에 의해 복수의 서버 기기(91)의 전면이 덮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서버실(95)에는, 예를 들면, 상기 서버(90)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서버가 구비되고, 감시자(101) 이외의 제3자에 의해 렌탈되어 있다.
각 서버 기기(91)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그 전면(91Z)(서버(90)의 전면이기도 함)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92A∼92E)(이하, 「발광 소자(92A∼92E)」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92)」라고 함)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에는 서버 기기(91)의 전면(91Z)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의 발광 소자(92A)는 전원 램프이며, 서버 기기(91)에 전원이 들어와 있을 때에, 예를 들면, 적색으로 점등하고, 전원이 들어와 있지 않을 때에는 소등하게 되어 있다. 발광 소자(92B)는 고장 램프이며, 서버 기기(91)가 고장나면, 예를 들면, 황색으로 점등하고, 고장이 아닐 때에는, 소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도시하는 서버 기기(9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91A)를 복수 갖고,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91A)에는 발광 소자(92C, 92D)가 설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92C)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91A)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 예를 들면, 녹색으로 점등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91A)가 비작동일 때는, 소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92D)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91A)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예를 들면, 황색으로 점멸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91A)가 통신 네트워크(103)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예를 들면, 녹색으로 점멸하게 되어 있다. 발광 소자(92E)는 LAN 응답 램프이며, 서버 기기(91)가 LAN 포트(91L)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LAN의 통신 상황이 양호할 때는, 예를 들면, 녹색으로 점등하고, LAN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는, 소등하게 되어 있다. 즉 발광 소자(92)는, 서버 기기(91)의 상태에 따라, 소등하거나 또는 점등·점멸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92)의 점등 태양은 서버(9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서버실(95)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발광 소자(92)의 점등 태양을 촬상하면, 서버(90)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실(95)에는 감시자(101) 이외의 제3자의 서버도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큐러티상의 관점에서, 서버실(95) 내의 모습을 카메라로 촬상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서버 감시 장치(10)는 세큐러티상의 문제를 피하면서, 발광 소자(92)의 점등 태양을 촬상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서버 감시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버 감시 장치(10)는 서버(90)에 구비한 복수의 발광 소자(92)와 광학적으로 결합 가능한 복수의 광파이버(20)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94)에는, 각 발광 소자(92)와 대향한 위치에 광파이버 삽입통과 구멍(94A)이 관통 형성되고, 광파이버(20)는 광파이버 삽입통과 구멍(94A)을 삽입통과한 상태에서, 선단부에 부착된 홀더(21)에 의해 개폐 도어(94)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홀더(21)는 전체가 기둥 형상을 이루고, 선단면에 수용 오목부(21A)를 가지고 있다. 수용 오목부(21A)의 안쪽 면에는 광파이버(20)를 삽입통과하여 고정하는 부착 구멍(21B)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94)가 닫혀졌을 때에, 수용 오목부(21A)에 발광 소자(92)가 수용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파이버(20)를 서버 기기(91)(서버(90))에 직접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발광 소자(92)나 서버 기기(91)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도어(94)와 홀더(21)가 본 발명에 따른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에 상당한다.
광파이버(20) 중 발광 소자(92)와 반대측의 끝부는, 외부로부터의 입광을 차단하는 차광 박스(31)의 내부에서 표시 보드(22)(본 발명의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에 상당함)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보드(22)는 복수의 광파이버 접속 구멍(22A)(도 6 참조)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하여 구비하고, 그들 광파이버 접속 구멍(22A)군의 일단이 표시 보드(22)의 표면측에 포개진 투영판(22B)에 의해 폐색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광파이버(20)의 종단부가 미리 정해진 배열에 따라 복수의 광파이버 접속 구멍(22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광파이버(20)에 의해 전달된 발광 소자(92)의 광이 투영판(22B)에 투영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광파이버(20)는 서버 기기(91)마다 상기 매트릭스 형상 배열의 각각의 단의 광파이버 접속 구멍(22A)에 삽입되고, 하나의 서버 기기(91)가 갖는 발광 소자(92)에 결합한 광파이버(20)의 끝면이 매트릭스 형상 배열의 하나의 단에 횡렬로 배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동일 단에 배치된 광파이버(20)는 결합한 발광 소자(92)의 종류마다, 각각의 광파이버 접속 구멍(22A)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즉 표시 보드(22)(투영판(22B))에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서 서버 기기(91)의 종류를 나타내고, 가로 방향의 위치에서 발광 소자(92)의 종류를 나타내는 2차원 좌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보드(22)를 이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우상귀, 우하귀, 좌하귀의 3 위치에는, 투영판(22B) 상의 기준 위치(도 7에서의 좌상귀 위치, 좌하귀 위치, 우하귀 위치, 부호 32A를 참조)에서 발광 가능한 기준 발광 소자(2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투영판(22B) 상에서의 좌표축이 결정되므로, 예를 들면, 광파이버(20) 중 1점만이 발광하는 경우이어도, 그 발광의 투영판(22B) 상에서의 위치를, 좌표 위치에서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기준 발광 소자(24)는 항상 발광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감시자(101)로부터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발광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보드(22)에는, 환경광용 광파이버(26)가 접속되어 있다. 환경광용 광파이버(26)의 표시 보드(22)와 반대측의 끝부는 서버실(95) 내에 배치되어, 서버실(95)의 실내광을 받아들이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환경광용 광파이버(26)의 기단부는 광파이버 접속 구멍(22A)에 삽입통과되어, 서버실(95)의 실내광이 투영판(22B)에 투영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표시 보드(22)에 접속한 각종 광파이버(구체적으로는, 광파이버(20)와, 환경광용 광파이버(26)와, 다음에 기술하는 반사광용 광파이버(27) 및 출사광용 광파이버(28))의 선 직경이 과장되게 크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 박스(31) 내에는, 광원(29)이 구비되고, 광원(29)과 광학적으로 결합하여 광원(29)의 광을 전달하는 출사광용 광파이버(28)가 차광 박스(3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출사광용 광파이버(28)의 광원(29)과 반대측의 끝부는 서버실(95)에 고정되어 서버 래크(93)의 개폐 도어(94)와 대치된 유지 부재(33)에 유지되어 있다. 이 유지 부재(33)는 출사광용 광파이버(28)와는 별도로, 반사광용 광파이버(27)를 유지하고 있다. 반사광용 광파이버(27)는, 개폐 도어(94)가 닫힘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만, 출사광용 광파이버(28)로부터의 광이 개폐 도어(94)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표시 보드(22)를 향하여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반사광용 광파이버(27)의 유지 부재(33)와 개폐 도어(94)와 반대측의 끝부는 광파이버 접속 구멍(22A)에 삽입통과되고, 반사광용 광파이버(27)로부터의 광이 투영판(22B)에 투영되게 되어 있다(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투영판(22B)의 발광 패턴으로 개폐 도어(94)가 닫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원(29)과 출사광용 광파이버(28)로부터, 본 발명의 「출사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 박스(31)에는, 투영판(22B)의 발광 패턴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30)가 수용되어 있다. 카메라(30)는 화상 송신 단말(40)에 접속되고, 이 화상 송신 단말(40)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투영판(22B)을 촬상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화상 송신 단말(40)에 송신하게 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30)는 컬러의 동영상을 촬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광 박스(31)는 서버실(95)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서버실(95)의 밖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1에는, 서버실(95) 내에 설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음).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30)는 차광 박스(31)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차광 박스(31)가 서버실(95)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카메라(30)에 의해 서버실(95) 내의 모습이 촬상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30)가 제3자의 서버를 촬상해 버린다고 하는 세큐러티상의 문제는 회피되고 있다.
도 7에는 카메라(30)에 의해 촬상된 투영판(22B)의 발광 패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R」, 「Y」, 「G」는 각각 적색, 황색, 녹색의 점등을 나타내고, 「RB」, 「YB」, 「GB」는 각각 적색, 황색, 녹색의 점멸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최상단의 좌귀와 최하단의 양끝에 있는 3개의 휘점(32A)은 기준 발광 소자(24)로부터의 발광이다. 최상단의 휘점(32A)의 좌측 옆에 있는 2개의 휘점(32B, 32C) 중 휘점(32B)은 환경광용 광파이버(26)로부터의 발광으로 서버실(95)의 실내광과 동일한 색으로 점등하고, 휘점(32C)은 반사광용 광파이버(27)로부터의 발광으로 광원(29)의 발광과 동일한 색으로 점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투영판(22B)에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서 서버 기기(91)의 종류를 나타내고, 가로 방향의 위치에서 발광 소자(92)의 종류를 의미한 2차원 좌표가 형성되어 있고, 3귀의 기준 발광 소자(24)에 기초한 좌표계와 투영판(22B)의 발광 패턴으로부터, 어느 발광 소자(92)가 소등하고 있는지, 또는 어느 색으로 점등·점멸하고 있는지를 특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준 발광 소자(24)를 3귀에 배치함으로써 카메라의 줌이나 카메라와 투영판(22B)의 각도 등이 화상에 따라 불규칙하게 되어 있어도, 좌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서버 기기(91)에서의 복수의 발광 소자(92)의 점등 태양, 즉 서버(9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30)는 화상 송신 단말(40)(본 발명의 「화상 송신 수단」에 상당함)에 네트워크 접속되어, 촬상한 화상의 데이터를 화상 송신 단말(40)에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JPEG 파일과 같이 정지 화상의 데이터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MPEG 파일과 같이 동영상의 데이터이어도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송신 단말(40)은 통신 네트워크(103)를 통하여 카메라(30)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에 송신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화상 송신 단말(40)은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카메라(30)에 촬상의 지시를 보내고, 카메라(3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게 되어 있다. 이상이 서버 감시 장치(10)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다.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는, 예를 들면, 감시자(101)가 갖는 퍼스널 컴퓨터이며, 투영판(22B)의 발광 패턴의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한다. 또한 감시자(101)는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로부터 카메라(30)에 촬상의 지시를 보내거나, 기준 발광 소자(24)를 점등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에서는, 화상 송신 단말(40)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영판(22B)의 발광 패턴을 해석하고, 서버(90)의 상태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패턴의 화상으로부터, 기준 발광 소자(24)의 발광을 기준으로 하여 각 광파이버(20)의 점등 태양을 해석하고, 각 서버 기기(91)의 상태를 판정한다. 어느 서버 기기(91)에도 고장이 없는 경우에는, 정상인 취지를 통지하고, 어느 하나의 서버 기기(91)에 고장이 있는 경우에는, 고장나 있는 서버 기기(91)와 고장 원인(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의 고장이나 네트워크의 접속 에러 등)을 통지한다. 또한, 발광 패턴을 해석하고, 서버(90)의 상태를 판정하고 있을 때의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가 본 발명의 「서버 상태 판정 장치」에 상당한다. 또한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는 발광 패턴에 있어서의 좌표와 발광 소자(92)의 할당을 임의로 변경하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각 서버 기기(91)의 전원 램프만을 골라내어 확인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각 서버 기기(91)의 상태를 상황에 따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서버 감시 장치(10) 및 서버 감시 시스템(100)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서버 감시 장치(10) 및 서버 감시 시스템(100)에 의하면, 서버(90)의 동작 상황을 점등 태양에 의해 나타내는 복수의 발광 소자(92)에 복수의 광파이버(20)가 광학적으로 결합하고, 그들 복수의 광파이버(20)의 발광 소자(92)와 반대측의 끝면이 미리 정해진 배열에 따라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들 끝면의 발광 패턴으로부터, 서버(90)의 동작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그 발광 패턴이 카메라(30)에 의해 촬상되고, 그 화상이 감시자(101)에 송신되므로, 종래와 같이, 서버(90)의 설치 장소에 파견한 작업원이 발광 소자(92)를 확인할 수고가 줄어들어, 서버(90)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복수의 발광 소자(92)끼리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그들 복수의 발광 소자(92)의 점등 태양을 1개의 화상 속에 넣을 수 있으므로, 서버(90)의 상태 확인을 보다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원에 의한 발광 소자(92)의 확인 미스가 없어지므로, 서버(90)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서버(90)에 구비된 발광 소자(92)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서버(90)에, 예를 들면, 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감시자(101)에게 송신하는 기능을 부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존의 서버(90)에 서버 감시 장치(10)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서버 감시 시스템(100)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광파이버(20)군의 일단부를 발광 소자(92)에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서버 래크(93)는 4귀에 앵글 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주(93A)를 구비하고 있고, 서버 래크(93)의 전면측의 좌우의 지주(93A, 93A)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부착 구멍(93C)이 상하 일렬로 나열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서버(90)를 구성하는 각 서버 기기(91)에는 양측면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측방에 1쌍의 부착편(91K, 91K)이 내붙여져 있고, 그들 각 부착편(91K)에는 1쌍의 부착 구멍(91L, 91L)이 상하로 나열되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버 기기(91)의 부착 구멍(91L)을 서버 래크(93)의 부착 구멍(93C)에 포개고, 그것들에 볼트(B1)를 관통시키고 너트(N)와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각 서버 기기(91)가 서버 래크(93)에 고정되어 있다.
서버 기기(91)의 각 부착편(91K)과 지주(93A) 사이에 각각 브래킷(96)이 함께 조여져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96)은, 예를 들면, 소정 길이로 절단한 앵글 부재의 일방의 평판부(96L)에 부착 구멍(93C)과 동일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절결부(96A)를 구비하는 한편, 타방의 평판부(96M)에 1쌍의 나사구멍(96B, 96B)을 상하에 나열하여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브래킷(96) 중 복수의 절결부(96A)를 갖는 평판부(96L)가 부착편(91K)과 지주(93A) 사이에 끼워져 있고, 타방의 평판부(96M)가 서버 래크(93)의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고정되고, 그 평판부(96M)에 지지 프레임(80)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0)은, 가로로 긴 프레임체(81)의 좌우의 양변에 1쌍의 가이드 지지부(82, 82)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프레임체(81)의 각 변은 띠판 형상을 이루고 판 두께 방향이 프레임체(81)의 내외 방향을 향하고 있다. 각 가이드 지지부(82)는, 판금을 U자 형상으로 만곡시켜 이루어지고, 그 U자의 1변에 상당하는 일방의 평판부(82C)에 프레임체(81)의 단변의 외면이 포개지고 또한 U자의 만곡부가 프레임체(81)의 전방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프레임체(81)와 가이드 지지부(82, 82)가 용접 또는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지지부(82) 중 타방의 평판부(82B)에는, 선단부를 오목 형상으로 절결하여 이루어지는 부착홈(82A)이 상하에 복수 나열되어 구비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0)은 브래킷(96)의 각 나사 구멍(96B)에 조인 각 볼트(B2)의 헤드부와 브래킷(96)과의 사이에서 평판부(82B)에서의 부착홈(82A)의 가장자리를 사이에 끼고 서버 래크(93)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체(81)가 서버 기기(91)의 전면(91Z)의 전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예를 들면, 서버 기기(91)의 양쪽 부착편(91K, 91K)으로부터 문형(門型)의 손잡이부(도시 생략)가 돌출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손잡이부를 가이드 지지부(82, 82)의 만곡 구조의 내측에 수용한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80)이 브래킷(96, 96)에 고정된다.
프레임체(81)의 1쌍의 장변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1쌍의 직동 가이드(81A, 81A)에 상당하고, 그들 1쌍의 직동 가이드(81A, 81A)의 사이에, 임의의 수의 본 발명에 따른 가교 바(83)를 걸친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가교 바(83)는 상하로 뻗은 띠 형상의 레일부(83D)의 양단부에 가이드 장착부(83C, 83C)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장착부(83C)는 1쌍의 협지편(83A, 83B)으로 이루어지고, 1쌍의 직동 가이드(81A, 81A)에 대하여 서버 기기(91)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끼워넣으면, 그들 협지편(83A, 83B) 사이에 직동 가이드(81A)가 협지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교 바(83)는 띠 형상 판금의 상하 양단부를 세로로 2분할하여 상하에 2개씩 계 4개의 돌기를 형성하고, 그들 돌기를 레일부(83D)의 일방측에 직각으로 굽히고 또한 이웃한 돌기의 구부림 부분을 상하로 비켜놓음으로써 1쌍의 상기 협지편(83A, 83B)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장착부(83C)를 레일부(83D)의 양단부에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직동 가이드(81A)에는 도시하지 않은 걸음 돌조가 형성되어 있고, 협지편(83A, 83B)에는 상기 걸음 돌조에 걸어지는 걸음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교 바(83)는 가이드 장착부(83C)에 자석을 넣어, 프레임체(81)에 흡착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직동 가이드(81A, 81A)의 사이에 걸쳐진 가교 바(83)의 레일부(83D)에는, 임의의 수의 쿠션 클립(84)(본 발명의 「쿠션 부재」에 상당함)을 부착할 수 있다. 쿠션 클립(84)은 띠 형상의 스프링판을 만곡시켜 이루어지고, 반원 형상으로 만곡된 원호부(84B)의 일단부를 원호부(84B)의 반원의 직경 방향으로 구부려 제 1 협지편(84C)을 형성하고, 그 제 1 협지편(84C)의 선단을 원호부(84B)와는 반대측으로 헤어핀 형상으로 뒤집어 꺾어 제 2 협지편(84A)으로 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과 제2 협지편(84A, 84C) 사이에서 레일부(83D)를 사이에 끼고 레일부(83D)의 길이 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20)의 선단부에는, 각각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한 고정 어댑터(85)가 부착되어 있고, 그 고정 어댑터(85)가 가교 바(83)에 부착된 쿠션 클립(84)과 서버 기기(91)의 전면(91Z)에 협지된다. 그 고정 어댑터(85)는, 예를 들면,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서버 기기(91)의 전면(91Z)에 꼭 맞게 대어진 면에 전면 오목부(85A)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고정 어댑터(85)에는, 전면 오목부(85A)에 연통한 연통 구멍(85B)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85B)은 고정 어댑터(85)의 일측면으로부터 중심부까지 뻗고 나서 굴곡되어 전면 오목부(85A)의 안쪽 면까지 뻗고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어댑터(85)의 일측면측으로부터 연통 구멍(85B)으로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삽입하고, 그 광파이버(20)의 끝면을 전면 오목부(85A)의 안쪽 면에 배치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지지 프레임(80)을 사용하여, 광파이버(20)를 서버 기기(91)의 발광 소자(92)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우선은, 서버 기기(91)의 전면(91Z)에 구비한 발광 소자(92)의 수 및 배치에 따라, 임의의 수의 가교 바(83)를 1쌍의 직동 가이드(81A, 81A)의 길이 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걸쳐 둔다. 그리고, 그들 가교 바(83)에 임의의 수의 쿠션 클립(84)을 임의의 위치에 장착하고, 광파이버(20)의 선단에 부착한 고정 어댑터(85)를 각 쿠션 클립(84)과 서버 기기(91)의 서버 기기(91Z)의 사이에 협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발광 소자(92)의 각각에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광학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어댑터(85)의 전면 오목부(85A) 내에서 발광 소자(92)와 광파이버(20)의 끝면을 대향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외란의 광이 광파이버(20)에 받아들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고정 어댑터(85)는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하며, 고정 어댑터(85)를 부착한 상태에서도 외부로부터 발광 소자(92)의 점등 상황을 시인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도 10∼도 12에 도시되어 있고, 광파이버(20)군의 일단부를 발광 소자(92)에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 제 2 실시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망반(70)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망반(70)은 횡으로 긴 직사각형의 프레임체(71)의 내측에 망체(72)를 펼쳐서 이루어진다. 또한 프레임체(71)의 횡방향의 양단부에서는, 1쌍의 부착편(71A, 71A)이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고, 그들 부착편(71A, 71A)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부착홈(82A)과 동일한 복수의 부착홈(71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지지 프레임(80)과 마찬가지로, 지지망반(70)이 브래킷(96)을 통하여 서버 래크(93)에 고정되고, 망체(72)가 서버 기기(91)의 전면(91Z) 전체에 대향하고 있다.
망체(72)에는 그 임의의 위치에 파이버 홀더(74)를 장착할 수 있다. 파이버 홀더(74)는, 지지 파이프(74C)의 선단에 선단 헤드부(74A)를 고정하여 구비함과 아울러, 지지 파이프(74C)의 외측에 압축 코일 스프링(74B)과 와셔(73)를 차례로 삽입통과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망체(72)에서의 임의의 망목(72A)에 대하여 서버 기기(91)측으로부터 지지 파이프(74C)의 기단부(선단 헤드부(74A)와 반대측의 끝부)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헤드부(74A)와 와셔(73) 사이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74B)이 압축되고 그 탄성 반발력에 의해 선단 헤드부(74A)가 서버 기기(91)의 전면(91Z)으로 밀어 붙여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지지 파이프(74C)의 단면 형상은, 망목(72A)보다 크게 되어 있어, 지지 파이프(74C)를 망목(72A)에 밀어 넣으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망체(72)를 구성하는 선재(72B)가 휘고, 그 반력으로 지지 파이프(74C)가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헤드부(74A)는, 예를 들면,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서버 기기(91)의 전면(91Z)에 꼭 맞게 대어지는 면에 전면 오목부(74D)를 갖고, 지지 파이프(74C)의 내부에 연통된 고정 구멍(74E)이 전면 오목부(74D)의 안쪽 면에 개구된 구조로 되고 있다. 그리고, 지지 파이프(74C)의 기단부측으로부터 고정 구멍(74E)으로 광파이버(20)가 삽입되고, 광파이버(20)의 선단면이 파이버 홀더(74D)의 안쪽 면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지지망반(70)을 사용하여 광파이버(20)를 서버 기기(91)의 발광 소자(92)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우선은, 서버 기기(91)의 전면(91Z)에 구비한 발광 소자(92)의 수 및 배치에 따라, 망체(72)의 임의의 망목(72A)에 파이버 홀더(74)의 지지 파이프(74C)를 삽입하고, 망체(72)와 서버 기기(91)의 전면(91Z) 사이에 파이버 홀더(74)를 고정해 둔다. 그리고, 각 파이버 홀더(74)의 지지 파이프(74C)에 기단측으로부터 광파이버(20)를 삽입하고, 파이버 홀더(74) 내의 고정 구멍(74E)에 광파이버(20)의 선단부를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발광 소자(92)의 각각에 광파이버(20)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광학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며, 또한 하기 이외에도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의 서버 감시 장치(10) 및 서버 감시 시스템(100)은 렌탈 서버 업자가 다른 사람에게 대출한 서버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되고, 원격지에 자체의 서버를 소유하는 자가 자기의 서버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2) 카메라(30)로부터 화상 송신 단말(40)로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은 카메라(30)가 촬상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행해져도 된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30)로부터 발광 패턴의 화상을 취득한 화상 송신 단말(40)이 감시자(101)에게 송신하고 있었지만, WEB 서버 기능을 내장한 카메라를 사용하여 카메라로부터 직접, 감시자(101)에게 화상을 송신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WEB 서버 기능을 내장한 카메라가 본 발명의 「카메라」 및 「화상 송신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카메라(30)로부터 화상 송신 단말(40)으로는, 네트워크 접속에 의해 화상을 송신하고 있었지만, USB 케이블 등으로 접속하여 송신해도 된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30)를 1쌍만 구비한 구성이었지만, 카메라(30)를 복수대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카메라(30)가 고장난 경우이어도, 발광 패턴을 촬상할 수 있다.
(5) 카메라(30)의 동작 확인 램프의 발광을 광파이버로 받아들이고, 그 광파이버의 끝면으로부터의 발광을 카메라(30) 자신으로 촬상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3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6) 복수의 발광 소자(92)에 일련번호를 붙여 두고, 복수의 광파이버(20)를 결합한 발광 소자(92)의 번호순으로 나열해도 된다. 또한, 광파이버(20)의 나열 방법은 일렬로 차례로 나열해도 되고, 1개의 열로 10개씩 나열하도록 해도 된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가 서버(90)의 상태를 판정하고 있었지만, 서버 상태 판정 장치(105)에서 카메라(30)가 촬상한 발광 패턴의 화상을 본 감시자(101)가 서버(90)의 상태를 판정해도 된다.
(8)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상기 가교 바(83)는 직동 가이드(81A, 81A)에 대하여 서버 기기(91)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장착되어 있었지만, 가교 바(83)를 직동 가이드(81A, 81A)에 대하여 서버 기기(91)측으로부터 장착해도 된다. 이 경우, 걸음 돌조나 걸음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쿠션 클립(84)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가교 바(83)를 직동 가이드(81A, 81A)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장착할 수 있다.
(9)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서버 기기(91)의 전면(91Z)과 쿠션 클립(84) 사이에서 광파이버(20)의 선단의 고정 어댑터(85)를 사이에 끼고 고정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면, 가교 바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한 클립에 고정 어댑터를 고정해 두고, 그 고정 어댑터를 서버 기기에 밀어붙이지 않아도, 발광 소자에 대향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0)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경하고, 와셔(73V)로부터 망목(72A)에 밀어 넣어지는 슬리브(73T)를 돌출시켜 두고, 망체(72)를 사이에 끼고 와셔(73V)와 반대측으로부터 슬리브(73T)에 서브 와셔(73U)를 압입하여, 와셔(73V)와 서브 와셔(73U) 사이에서 망체(72)를 협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망체(72)에 대한 파이버 홀더(74)의 고정이 강고하게 된다.
(11)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경하여, 지지망반(70)의 프레임체(71)(도 10 참조)에 1쌍의 망체(72, 72)를 대향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파이프(74C)가 그들 망체(72, 72)의 양쪽 망목(72A, 72A)에 삽입통과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지지 파이프(74C)의 수평 자세의 유지가 강고하게 된다.
(12) 서버 기기(91)의 발광 소자(92) 이외에도 온도, 습도, 전압, 지진 검지 등의 상태를 각각 센서를 사용하여 데이터화하고, 화상 데이터와 아울러 송신해도 된다.
(1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준 발광 소자(24)를 3개 설치하고 있었지만, 기준 발광 소자(24)를 설치하지 않아도, 또한 3개 이외의 개수 형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고, 촬영 범위나 촬영 방향이 일정한 경우에는, 기준 발광 소자(24)가 없어도 좌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기준 발광 소자(24)가 1개인 경우에는, 카메라의 줌이나 촬영 방향이 일정하면 촬영 범위가 벗어나 있어도 좌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기준 발광 소자(24)가 2개인 경우에는, 촬영 방향이 일정하면 카메라의 줌이 상이해도 좌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1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어댑터(85)는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했지만, 불투명이어도 되고, 불투명으로 한 경우에는, 외란의 광이 광파이버(20)에 받아들여지는 것을 더욱 막을 수 있다.
10 서버 감시 장치
20 광파이버
22 표시 보드(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
24 기준 발광 소자
26 환경광용 광파이버
27 반사광용 광파이버
28 출사광용 광파이버(출사 수단)
29 광원(출사 수단)
30 카메라
31 차광 박스
40 화상 송신 단말(화상 송신 수단)
70 지지망반(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
71 틀
72 망체
72A 망목
74 파이버 홀더(제 2 광파이버 유지 부재,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
74A 선단 헤드부
74B 압축 코일 스프링
74C 지지 파이프
74D 전면 오목부
81A 직동 가이드
83 가교 바
84 쿠션 클립(쿠션 부재,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
85 고정 어댑터
85A 전면 오목부
90 서버
92 발광 소자
93 서버 래크
94 개폐 도어
94A 광파이버 삽입통과 구멍
95 서버실
100 서버 감시 시스템
101 차주(감시자)
103 통신 네트워크
105 서버 상태 판정 장치

Claims (10)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 가능한 서버의 상태를 원격지로부터 감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서버 감시 장치로서,
    상기 서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의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하여, 복수의 광파이버의 일단부를 광학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과,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의 타단부의 끝면을 미리 정해진 배열이 되도록 유지하는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과,
    그들 광파이버의 끝면 무리의 상기 배열의 발광 패턴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상기 발광 패턴의 화상을 상기 서버의 감시자에게 송신하기 위한 화상 송신 수단을 구비한 서버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 및 상기 카메라를 수용하고,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차광 박스와,
    상기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상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복수의 상기 광파이버의 끝면이 나열되는 기준 위치에서 발광 가능한 복수의 기준 발광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감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를 수용한 서버 래크에 부착되어, 상기 서버의 전면을 덮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광파이버의 일단부를 삽입통과 가능한 복수의 광파이버 삽입통과 구멍이 관통 형성된, 상기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으로서의 개폐 도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감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닫힌 상태의 상기 개폐 도어를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출사 수단과,
    상기 출사 수단으로부터 출사되어 닫힌 상태의 상기 개폐 도어에서 반사한 광을, 일단부의 끝면에서 수광하고 타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출사하는 반사광용 광파이버와,
    상기 반사광용 광파이버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카메라로 촬상되도록 상기 반사광용 광파이버의 타단부를 유지한 상기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감시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를 수용한 서버 래크에 부착되어, 상기 서버의 전면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어느 일방인 제 1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상기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으로서의 1쌍의 직동 가이드와,
    상기 좌우 방향 또는 상기 상하 방향의 어느 타방인 제 2 방향으로 뻗어 상기 1쌍의 직동 가이드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걸쳐진, 상기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가교 바와,
    각 상기 가교 바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광파이버의 일단부를 상기 발광 소자에 광학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상기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으로서의 제 1 광파이버 유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감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 소자를 덮는 고정 어댑터와, 각 상기 가교 바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서버의 전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 어댑터를 협지하는 쿠션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광파이버 유지 부재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면에 함몰 형성된 전면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전면 오목부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광파이버의 끝면을 상기 발광 소자에 대향시킨 상태로 상기 광파이버를 유지하는 상기 고정 어댑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감시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를 수용한 서버 래크에 부착되는 프레임체의 내측에 망체를 펼쳐서 이루어지는, 상기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으로서의 지지망반과,
    상기 망체의 임의의 망목에 광파이버의 일단부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광파이버의 일단부를 상기 발광 소자에 광학적으로 결합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상기 광파이버 시단 고정 수단으로서의 제 2 광파이버 유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감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임의의 상기 망목에 삽입통과되고 또한 내측에 상기 광파이버를 삽입통과 가능한 지지 파이프와, 상기 지지 파이프의 선단에 고정되어, 상기 서버의 전면에 꼭 맞게 대어져 상기 발광 소자를 덮는 선단 헤드부와, 상기 지지 파이프의 외측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망체와 상기 선단 헤드부 사이에서 밀쳐내는 상태로 되어, 상기 선단 헤드부를 상기 서버의 전면에 밀어붙이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광파이버 유지 부재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면에 함몰 형성된 전면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전면 오목부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광파이버의 끝면을 상기 발광 소자에 대향시킨 상태로 상기 광파이버를 유지하는 상기 선단 헤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감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실의 실내광을 일단부의 끝면으로부터 받아 들여 타단부의 끝면으로부터 출력하는 환경광용 광파이버와,
    상기 환경광용 광파이버의 타단부의 끝면이 상기 카메라로 촬상되도록 상기 환경광용 광파이버를 보유한 상기 광파이버 종단 고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감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버 감시 장치와,
    상기 서버 감시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발광 패턴의 화상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상태를 판정하는 서버 상태 판정 장치를 구비한 서버 감시 시스템.


KR1020157019692A 2012-05-09 2014-02-24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 KR101661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7244 2012-05-09
JPJP-P-2013-036660 2013-02-27
JP2013036660A JP5914385B2 (ja) 2012-05-09 2013-02-27 サーバ監視装置及びサーバ監視システム
PCT/JP2014/054277 WO2014132908A1 (ja) 2012-05-09 2014-02-24 サーバ監視装置及びサーバ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775A true KR20150097775A (ko) 2015-08-26
KR101661490B1 KR101661490B1 (ko) 2016-09-30

Family

ID=4995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692A KR101661490B1 (ko) 2012-05-09 2014-02-24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59189B2 (ko)
EP (1) EP2963551B1 (ko)
JP (1) JP5914385B2 (ko)
KR (1) KR101661490B1 (ko)
CN (1) CN105027086B (ko)
SG (1) SG11201505750PA (ko)
WO (1) WO2014132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4385B2 (ja) 2012-05-09 2016-05-11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サーバ監視装置及びサーバ監視システム
KR101533006B1 (ko) * 2013-12-11 2015-07-02 (주)한경아이넷 서버랙용 냉방 장치 및 열감지 시스템
KR101533008B1 (ko) * 2013-12-11 2015-07-02 (주)한경아이넷 조립식 냉기 토출구가 결합된 플렉서블 덕트를 구비한 서버랙
US10055612B2 (en) * 2014-12-15 2018-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hentication using optically sensed relative position
US9525483B2 (en) * 2015-03-17 2016-12-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ctively monitored optical fiber panel
JP6638264B2 (ja) * 2015-08-31 2020-01-29 富士通株式会社 光表示部監視装置、光表示部監視システム及び光表示部監視プログラム
JP6677094B2 (ja) * 2016-06-20 2020-04-08 富士通株式会社 ラック監視装置、光表示部監視システム及びラック監視プログラム
JP6904223B2 (ja) * 2017-11-10 2021-07-14 オムロン株式会社 異常状態検出装置、異常状態検出方法、及び、異常状態検出プログラム
US10684928B1 (en) * 2017-12-28 2020-06-16 Softiron Limited Intelligent storage media tray for identification and replacement of failed storage device in distributed storage systems
JP7143705B2 (ja) * 2018-09-26 2022-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構成管理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62389B2 (en) 2018-10-03 2021-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chine status detection
JP2020107245A (ja) * 2018-12-28 2020-07-09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携帯端末、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49407A (ja) * 2019-03-14 2020-09-17 株式会社東芝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JP7116029B2 (ja) * 2019-09-19 2022-08-09 太平洋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フォルダ
CN111865677B (zh) * 2020-07-13 2022-11-04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服务器节点id地址识别的装置
US11671311B2 (en) * 2020-10-23 2023-06-06 Netapp, Inc. Infrastructure appliance malfunction detection
KR102568392B1 (ko) 2023-03-08 2023-08-18 강원석 동적 상황판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0310A (ja) * 1992-10-16 1994-05-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線路切替装置
JP2003174273A (ja) * 2001-12-06 2003-06-20 Hitachi Ltd コンソールユニット
JP2004021362A (ja) 2002-06-13 2004-01-22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サーバの動作状態確認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5242916A (ja) * 2004-02-27 2005-09-08 Japan Network Storage Laboratory Inc コンピュータ関連機器用ラック
JP2012238116A (ja) * 2011-05-10 2012-12-06 Japan Novel Corp ラック内デバイス管理ソフトウェア、これを格納した記録媒体、及びラック内デバイス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88698A (en) * 1978-03-31 1981-04-29 Milligan Electronics Ltd Lighting system supervisory apparatus
JPH02115810A (ja) * 1988-10-25 1990-04-27 Nec Corp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754112A (en) * 1995-09-28 1998-05-19 Sun Microsystems, Inc. Power on, mated, and activity indicator fo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torage devices
US5790374A (en) * 1996-12-06 1998-08-04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activity and fault light support using light conduits for single connector architecture (SCA) disk drives
IES20000322A2 (en) * 2000-04-28 2001-11-14 Viveen Ltd Apparatus for testing a light source
JP2002016947A (ja) * 2000-06-27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メンテナンス装置および機器リモート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US6924780B1 (en) * 2000-08-09 2005-08-02 3Ware, Inc. Spatial display of disk drive activity data
US6919816B2 (en) * 2001-06-07 2005-07-19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mputer system status information
US6867701B2 (en) * 2002-04-18 2005-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server rack enclosure fault light diagnostic system
JP2004008505A (ja) * 2002-06-07 2004-01-15 Kun:Kk パチンコ台等の稼働台数検出システム
JP2004021632A (ja) 2002-06-17 2004-01-22 Gaia:Kk 記録媒体の未使用領域を有する記録単位に対して特定の情報を記録再生する方法
JP4017155B2 (ja) * 2003-01-14 2007-12-05 株式会社アイエスエイ 機器状態報知装置
US20060097863A1 (en) * 2004-10-21 2006-05-11 Eric Horowitz Tracking equipment
RU2323054C2 (ru) * 2006-05-29 2008-04-27 Череповец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ЧГУ) Фото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линейных размеров и контроля положения изделий
US20080011514A1 (en) * 2006-07-14 2008-01-17 Tenvera, Inc. Optical Fiber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TWI390194B (zh) * 2006-11-10 2013-03-21 Hon Hai Prec Ind Co Ltd 主機板發光二極體測試裝置及方法
JP4518097B2 (ja) * 2007-04-13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フロント構造
US7857214B2 (en) * 2007-04-26 2010-12-28 Liebert Corporation Intelligent track system for mounting electronic equipment
JP5115272B2 (ja) * 2008-03-28 2013-01-09 富士通株式会社 多数の電子機器をラック搭載した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の電子機器の特定処理方法。
JP5042136B2 (ja) * 2008-06-18 2012-10-03 株式会社大崎コンピュータエンヂニアリング 警報装置と警報方法並びに警報プログラム
US8264354B2 (en) * 2009-10-14 2012-09-11 Attend Systems, Llc Data center equipment location and monitoring system
JP2011105637A (ja) * 2009-11-17 2011-06-02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リルクロライドおよびジクロロヒドリンの製造方法
CN102263807A (zh) * 2010-05-31 2011-11-30 国际商业机器公司 在存储区域网络保持通信路径畅通的方法和存储区域网络
US20120166693A1 (en) * 2010-07-26 2012-06-28 Raritan Americas, Inc. Intelligent Asset Management System
GB2488569A (en) * 2011-03-02 2012-09-05 Feasa Entpr Ltd Testing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s in a climate controlled chamber
US20120229633A1 (en) * 2011-03-10 2012-09-13 Thomas J Boucino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Equipment Rack Having Camera
AU2011383713B2 (en) * 2011-12-20 2016-12-15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Intelligent rack enclosure
JP5914385B2 (ja) * 2012-05-09 2016-05-11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サーバ監視装置及びサーバ監視システム
CN102650668A (zh) * 2012-05-15 2012-08-29 孙临秋 利用光纤作为传输介质的led状态在线监测方法及装置
CN203104923U (zh) * 2013-02-01 2013-07-31 马戎 一种用于测量网络交换机网口led灯状态的机器识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0310A (ja) * 1992-10-16 1994-05-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線路切替装置
JP2003174273A (ja) * 2001-12-06 2003-06-20 Hitachi Ltd コンソールユニット
JP2004021362A (ja) 2002-06-13 2004-01-22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サーバの動作状態確認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5242916A (ja) * 2004-02-27 2005-09-08 Japan Network Storage Laboratory Inc コンピュータ関連機器用ラック
JP2012238116A (ja) * 2011-05-10 2012-12-06 Japan Novel Corp ラック内デバイス管理ソフトウェア、これを格納した記録媒体、及びラック内デバイス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47259A1 (en) 2015-12-03
WO2014132908A1 (ja) 2014-09-04
EP2963551B1 (en) 2017-10-11
JP5914385B2 (ja) 2016-05-11
CN105027086A (zh) 2015-11-04
EP2963551A1 (en) 2016-01-06
US9959189B2 (en) 2018-05-01
CN105027086B (zh) 2017-07-28
EP2963551A4 (en) 2016-11-09
JP2013254481A (ja) 2013-12-19
SG11201505750PA (en) 2015-09-29
KR101661490B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490B1 (ko) 서버 감시 장치 및 서버 감시 시스템
US10262656B2 (en) Multi-tier intelligent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s for communications systems and related equipment and methods
US9983373B2 (en) Optical module
CN110392525B (zh) 昆虫诱捕器及方法
US6522737B1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a telecommunications patch system
US20160110980A1 (en) Multi-condition sensing device including an ir sensor
CN107810368A (zh) 具有包含成角度的电路板的外壳的用户控制装置
KR101153272B1 (ko) 바형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디스플레이장치
JP5759929B2 (ja) 捕虫装置、捕虫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虫の監視方法
CN107517082B (zh) 一种光模块
JP2014212438A (ja) 監視システム
US10761281B1 (en) Optical module plug for open optical module port
JP5696600B2 (ja) 誤作業防止システム
JP6722526B2 (ja) 情報発信アダプタ
JP2016051725A (ja) 電気機器のケーブル保持構造
JP6654767B1 (ja) Led照明システム
WO2014009466A2 (en) Presence detection using leds in rfid physical layer management system
KR101876512B1 (ko) 광 접속 함체 및 광 선로 감시 시스템
JP7080211B2 (ja) Led照明システム
KR20130010782A (ko) 디스플레이 상태 감시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53317A (ko) 섬유 검사 장치 및 섬유 검사 방법
JP2016177893A (ja) 壁設置装置
JP2021125422A (ja) 判定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照明装置
KR20110070671A (ko) 조명모듈,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TW201111706A (en) Illumin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