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645A -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645A
KR20150097645A KR1020157018984A KR20157018984A KR20150097645A KR 20150097645 A KR20150097645 A KR 20150097645A KR 1020157018984 A KR1020157018984 A KR 1020157018984A KR 20157018984 A KR20157018984 A KR 20157018984A KR 20150097645 A KR20150097645 A KR 2015009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electric heating
heating layer
plate glass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700B1 (ko
Inventor
당 쿠옹 판
보잔 디미트리제빅
귄터 샬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5009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183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 B32B17/10192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patterned in the form of columns or gr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8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embedded in a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05B3/265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the insulating bas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e.g. ceram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05B3/26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the insulating base being an organic material, e.g. plast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7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multiple electrically connected resistive elements or resistive z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8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with layout including a portion free of resistive material, e.g. communication windo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the windscreen wiper are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19Brus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표면(III)을 갖는 제1 판유리(1);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비코팅된 대역(8)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층(3); 버스바(5.1, 5.2) 사이에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11)가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층(3)에 연결된, 전압원(14)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버스바(5.1, 5.2); 및 전기 층(3)을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10.n, 10.n+1)로 전기적으로 세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9.n) (여기서, n은 ≥ 1의 정수임)을 적어도 포함하는, 전기 가열층(3)을 갖는 판유리(100)에 관한 것이다.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1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며 안내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10.n)가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본 발명은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창문, 특히 앞유리창의 시야는 얼음 및 응결이 없게 유지되어야 한다. 내연기관을 갖는 자동차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엔진 열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 스트림을 창문으로 보낼 수 있다.
별법으로, 창문은 전기 가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개개의 판유리 중 하나의 내부측 표면 상에 투명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갖는 복합 유리 판유리가 알려져 있다. 외부 전압원을 이용해서, 코팅 및 그것과 함께 판유리를 가열하는 전류가 전기 전도성 코팅을 통해 전도될 수 있다. WO2012/052315 A1은 예를 들어 금속을 기재로 하는 이러한 가열가능한 전기 전도성 코팅을 게재한다.
US 2007/0020465 A1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가열층의 전기적 접촉은 전형적으로 버스바를 통해 수행된다. 버스바는 예를 들어 인쇄되어 소성된 은 페이스트로부터 제조된다. 버스바는 전형적으로 판유리의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뻗는다. 버스바는 전기 전도성 코팅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를 집전하고, 그것을 전압원에 연결된 외부 급전선에 전도한다.
보통 구불구불한 전류 경로의 형성을 위해서 분리선 또는 분리 대역에 의해 전기 가열층의 패턴화가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의 산업적 연속 제조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것은 전기 저항이 증가될 수 있고 전류 경로가 상대적으로 작은 연결 전극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허 문헌에서, 이러한 표면 가열기는 예를 들어 독일 공개 특허 출원 DE 19860870 A1에 기술되어 있다.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는 전자기 복사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강하게 차폐되고, 이렇게 해서, 특히, 가열가능한 앞유리창을 갖는 자동차에서 무선 데이터 트래픽이 상당히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가능한 앞유리창에 비코팅된 및 이렇게 해서, 코팅이 없는 대역 ("통신창")이 빈번하게 제공된다. 비코팅된 대역은 적어도 전자기 스펙트럼의 특정 범위에 대해 쉽게 투과성이고, 이 방식으로, 판유리를 통해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 데이터 트래픽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 장치, 예컨대 센서, 카메라 등이 위치하는 비코팅된 대역은 종종 판유리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 배열되고, 여기서 비코팅된 대역은 상부 차폐 스트립에 의해 쉽게 가려질 수 있다.
그러나, 비코팅된 대역은 가열층의 전기적 성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가열층을 통해서 흐르는 가열 전류의 전류 밀도 분포에 적어도 국소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사실상, 비코팅된 대역은 고도로 불균질한 가열 전력 분포를 야기하고, 비코팅된 대역 아래 및 부근에서 가열 전력이 상당히 감소한다. 한편으로는, 특히 높은 전류 밀도를 갖는 스팟(spot)이 발달하고, 여기서는 가열 전력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화상의 위험이 되는 매우 높은 국소적 판유리 온도가 발생할 수 있고, 판유리에 높은 열 응력을 부과할 수 있다. 추가로, 이것은 부착의 결합 부위의 해리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하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전기 가열층 뿐만 아니라 비코팅된 대역, 및 적어도 거의 균일한 가열 전력 분포를 갖는 개선된 판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에 따른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드러난다.
전기 가열층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적어도 다음 특징:
- 표면을 갖는 제1 판유리,
-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비코팅된 대역을 포함하는, 제1 판유리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제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층,
-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가 버스바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층에 연결된, 전압원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버스바, 및
- 전기 가열층을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로 전기적으로 세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
을 포함하고,
여기서,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을 두르며 안내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 특히, 비코팅된 대역에 바로 인접하는 세그먼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을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다.
전류 경로는 특히 비코팅된 대역 위 및/또는 아래 영역에서 안내되고, "위" 및 "아래"는 각 경우에서 전류 경로, 즉, 버스바 사이의 가장 짧은 연결의 방향과 관련된다.
전기 가열층은 적어도 하나의 비코팅된 대역을 포함한다. 이것은 비코팅된 대역이 전기 가열층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비코팅된 대역은 전기 가열층의 가장자리 영역과 접경할 수 있거나, 또는 비코팅된 스트립을 통해 전기 가열층의 가장자리 영역을 지나서 연장될 수 있다.
분리선이 없는 선행 기술에 따른 전기 가열층 및 비코팅된 대역을 갖는 판유리는 보통 매우 불균질한 가열 전력 분포를 갖는다. 가열 동안, 그것은 특히 비코팅된 대역 위 및/또는 아래 영역에서 낮은 온도를 갖는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은 분리선에 의해 전류 경로의 최적화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의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 비코팅된 대역의 일부를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의 형성을 통해, 전류 경로가 더 낮은 온도를 갖는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것은 더 균질한 가열 전력 분포 및 온도 분포를 초래한다.
비코팅된 대역이 클수록 및 분리선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그먼트가 많을수록, 본 발명은 더 효과적이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전기 가열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을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분리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0개의 분리선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가 밝히는 바와 같이, 가열층 내부에서 중심에 배열되는 비코팅된 대역의 예를 들어 양쪽에서 뻗는 대략 10개의 분리선이면 가열 전력 분포의 적정한 균질화를 얻기에 충분하다. 동시에, 분리선의 도입을 위한 패턴화 노력이 여전히 시간적으로 및 재정적으로 허용된다.
동시에, 판유리를 통한 시야에 부정적 영향을 가능한 한 적게 미치기 위해서는 분리선이 특히 얇게 실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분리선의 폭(d)은 3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40 ㎛이다. 이것은 이러한 작은 폭을 갖는 분리선이 판유리를 통한 시야에 부정적 영향을 아주 적게 미치거나 또는 전혀 미치지 않는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비코팅된 대역과 가장 가까운 분리선 사이 및/또는 두 인접 분리선 사이의 세그먼트의 폭은 1 ㎝ 내지 15 ㎝이다. 이것은 전기 가열층의 가열 전력 분포의 균질성의 특히 유리한 개선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비코팅된 대역의 면적은 0.5 d㎡ 내지 15 d㎡, 바람직하게는 2 d㎡ 내지 8 d㎡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선이 없고 이 크기의 비코팅된 대역을 갖는 선행 기술에 따른 판유리는 특히 불균질한 가열 전력 분포를 제공하고, 나쁜 날씨 조건 하에서 얼음, 눈 및 응결이 단지 부적정하게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선의 이용을 통해, 이러한 큰 비코팅된 대역으로 판유리의 가열 특성의 특히 높고 유리한 개선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각 세그먼트의 평균 길이는 평균 길이들의 평균값으로부터 25%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의 편차가 있다. 한 세그먼트의 평균 길이는 전압 인가시 그 세그먼트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 경로의 방향에서의 그 세그먼트의 평균 길이를 기술한다. 평균 길이들의 평균값은 모든 평균 길이를 더한 후 세그먼트의 수로 나눔으로써 얻어진다.
특히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세그먼트의 모든 평균 길이는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평균 길이는 또한 세그먼트의 곡률에 의존하기 때문에, 개선된 가열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의 버스바 또는 저임피던스 브리지에 의해서 세그먼트를 통하는 전류 경로를 단축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제3 버스바가 제1 버스바 또는 제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촉해서 배열되고, 세그먼트 및 분리선 밖의 전류 경로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서, 바람직하게는 모든 세그먼트에서 전류 경로의 길이를 단축시킨다. 이 경우, 제3 버스바는 다수의 세그먼트 또는 모든 세그먼트와 접촉할 수 있다. 제3 버스바에 의해 예를 들어 각 세그먼트의 평균 길이가 단축된다.
별법으로, 각 세그먼트는 그 자신의 추가의 버스바를 가질 수 있다. 추가의 버스바의 저항은 각 세그먼트가 정해진 전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것이 특히 유리한 가열 전력 분포를 생성하도록 폭, 두께 및 모양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30 ㎜, 특히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20 ㎜, 특히, 10 ㎜ 내지 20 ㎜이다. 더 얇은 버스바는 작동 동안 버스바의 지나치게 높은 전기저항 및 이렇게 해서, 지나치게 높은 가열을 초래한다. 게다가, 더 얇은 버스바는 인쇄 기술, 예컨대 스크린 인쇄를 이용해서 제조하기 어렵다. 더 두꺼운 버스바는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물질 이용을 요구한다. 게다가, 더 두꺼운 버스바는 관통해서 볼 수 있는 판유리의 영역의 지나치게 큰 비미학적 감소를 초래한다. 버스바의 길이는 전기 가열층의 치수에 의해 좌우된다. 전형적으로 스트립 형태로 실시되는 버스바의 경우, 그의 치수 중 더 긴 치수를 길이라고 부르고, 그의 치수 중 덜 긴 치수를 폭이라고 부른다. 또한, 제3 버스바 또는 추가의 버스바는 더 얇게, 바람직하게는 0.6 ㎜ 내지 5 ㎜로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버스바 및 제2 버스바는 전기 전도성 코팅 상에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열되고, 특히, 서로 거의 평행하게 뻗는다. 버스바의 길이는 전형적으로 전기 가열층의 측부 가장자리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지만, 또한, 약간 더 클 수 있거나 또는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2개 초과의 버스바가 전기 전도성 코팅 상에 바람직하게는 전기 가열층의 대향하는 두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심지어 2개 초과의 버스바가 전기 가열층 상에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독립적인 가열장(heating field)를 두르며 배열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는 인쇄되어 소성된 전도성 구조로서 실시된다. 인쇄된 버스바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금속 합금, 금속 화합물 및/또는 탄소, 특히 바람직하게는 귀금속, 특히 은을 함유한다. 인쇄 페이스트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입자, 금속 입자 및/또는 탄소 및 특히, 귀금속 입자, 예컨대 은 입자를 함유한다. 전기전도도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입자에 의해 얻어진다. 입자는 유기 및/또는 무기 기질, 예컨대 페이스트 또는 잉크, 바람직하게는 유리 프릿을 갖는 인쇄 페이스트 중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된 버스바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20 ㎛, 및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12 ㎛이다. 이 두께를 갖는 인쇄된 버스바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버스바의 비저항 ρa은 바람직하게는 0.8 μohm·㎝ 내지 7.0 μoh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μohm·㎝ 내지 2.5 μohm·㎝이다. 이 범위의 비저항을 갖는 버스바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그러나, 별법으로, 버스바는 또한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그 경우, 버스바는 예를 들어 적어도 알루미늄, 구리, 주석으로 도금된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그의 합금을 함유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다. 이 두께를 갖는 전기 전도성 호일로 제조된 버스바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스트립은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를 통해,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또는 직접 배치에 의해 전기 전도성 구조에 전기 전도성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전류 경로를 따라 전기 저항이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서의 저임피던스 브리지에 의해 감소된다. 저임피던스 브리지는 전기 가열층의 물질보다 낮은 시트 저항을 갖는다. 저임피던스 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버스바의 물질로 제조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인쇄된다. 저임피던스 브리지가 반드시 버스바 중 하나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는 없고, 단지 전기 가열층을 통해 버스바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임피던스 브리지에 의해서, 한 세그먼트 내의 전류 경로 및 전압 강하는 판유리의 가열 성질이 특별히 개선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제1 판유리를 포함하고, 제1 판유리 상에 전기 가열층이 배열된다. 전기 가열층의 물질에 의존해서, 가열층을 보호층, 예를 들어 라커, 중합체 필름 및/또는 제2 판유리로 보호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전기 가열층이 배열되는 제1 판유리의 표면은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해 제2 판유리에 면 결합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및 사용 조건 하에서 열 안정성 및 화학 안정성일 뿐만 아니라 치수 안정성인 모든 전기절연 기판이 제1 판유리 및 임의로, 제2 판유리로서 적당하다.
제1 판유리 및/또는 제2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또는 맑은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강직성 맑은 플라스틱,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판유리 및/또는 제2 판유리는 특히 자동차의 앞유리창 또는 뒤쪽 창문으로서의 판유리의 용도 뿐만 아니라 높은 빛 투과율이 요망되는 다른 용도를 위해 투명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명"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70% 초과의 투과율을 갖는 판유리를 의미한다. 그러나, 또한, 운전자의 교통과 관련된 시야에 위치하지 않는 판유리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지붕 판유리의 경우에는, 투과율이 훨씬 더 낮을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과이다.
판유리의 두께는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개개의 경우의 요건에 이상적으로 맞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1.4 ㎜ 내지 2.5 ㎜의 표준 두께를 갖는 판유리가 자동차에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4 ㎜ 내지 25 ㎜가 가구, 장치 및 건물, 특히 전열기에 이용된다. 판유리의 크기는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제1 판유리 및 임의로, 제2 판유리는 예를 들어 자동차 부문 및 건축 부문에서 200 ㎠ 내지 20 ㎡의 관례적인 면적을 갖는다.
판유리는 어떠한 3차원 모양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모양은 음영 대역을 가지지 않고, 이렇게 해서, 그것은 예를 들어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은 평면이거나, 또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공간 방향에서 약간 또는 크게 굴곡된다. 특히, 평면 기판이 이용된다. 판유리는 무색일 수 있거나 또는 틴팅될 수 있다.
다수의 판유리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함유한다. 그러나, 열가소성 중간층은 또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PE),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세테이트 수지, 캐스팅 수지,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린화된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함유한다. 열가소성 중간층은 하나의 열가소성 필름 또는 심지어, 차곡차곡 쌓이게 배열되는 다수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5 ㎜ 내지 1 ㎜, 전형적으로 0.38 ㎜ 또는 0.76 ㎜이다.
제1 판유리, 중간층 및 제2 판유리로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에서, 전기 가열층은 직접적으로 제1 판유리 상에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또는 중간층 자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는 각 경우에서 내부측 표면 및 외부측 표면을 갖는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의 내부측 표면은 서로 향하고,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의 외부측 표면은 서로 먼 쪽으로 및 열가소성 중간층으로부터 먼 쪽으로 향한다. 전기 전도성 코팅은 제1 판유리의 내부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물론, 또 다른 전기 전도성 코팅이 제2 판유리의 내부측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유리의 외부측 표면은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에서 두 판유리를 구별하기 위해 선택된다. 기하학적 배열에 관한 서술은 이 용어와 관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자동차 또는 건물의 개구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1 판유리가 내부 또는 외부 환경에 향할 수 있다.
전기 가열층은 전기 전도성 코팅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코팅은 예를 들어 DE 20 2008 017 611 U1, EP 0 847 965 B1 또는 WO2012/052315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것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전기 전도성 기능성 층을 함유한다. 기능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예를 들어 은, 금, 구리, 니켈 및/또는 크롬 또는 금속 합금을 함유한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금속,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금속을 함유한다. 기능성 층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은 함유 합금을 함유한다. 이러한 기능성 층은 특히 유리한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동시에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높은 투과율을 갖는다. 기능성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25 ㎚이다. 기능성 층의 두께의 이 범위에서,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유리하게 높은 투과율 및 특히 유리한 전기전도도가 얻어진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이 각 경우에서 가열가능한 코팅의 두 인접 기능성 층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유전체층이 제1 기능성 층 아래에 및/또는 마지막 기능성 층 위에 배열된다. 유전체층은 예를 들어 질화물, 예컨대 규소 질화물 또는 산화물, 예컨대 알루미늄 산화물을 함유하는 유전체 물질로 제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층을 함유한다. 그러나, 또한, 유전체층은 다수의 개개의 층, 예를 들어 개개의 유전체 물질층, 평활층, 매칭층, 저지제층 및/또는 반사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내지 200 ㎚이다.
이 층 구조는 일반적으로 진공 방법, 예컨대 자기 증강 음극 스퍼터링을 이용해서 수행되는 일련의 침착 절차를 통해 얻는다.
다른 적당한 전기 전도성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플루오린으로 도핑된 주석 산화물(SnO2:F), 또는 알루미늄으로 도핑된 아연 산화물(ZnO:Al)을 함유한다.
원리적으로, 전기 가열층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어떠한 코팅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 영역의 판유리의 경우처럼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가 그것을 통한 시야를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되는 경우, 전기 전도성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복사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300 ㎚의 파장의 전자기 복사선 및 특히, 가시광에 대해 투명하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은 하나의 층이거나 또는 다수의 개개의 층들의 층 구조이고, 2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의 총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전기 전도성 코팅은 0.4 ohm/□ 내지 10 ohm/□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코팅은 0.5 ohm/□ 내지 1 ohm/□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이러한 시트 저항을 갖는 코팅은 12 V 내지 48 V의 전형적 온보드 전압으로 자동차 창문 판유리의 가열에 또는 500 V 정도의 큰 전형적 온보드 전압을 갖는 전기 자동차에 특히 아주 적합하다.
전기 가열층은 제1 판유리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별법으로, 또한, 전기 가열층은 제1 판유리의 표면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 있다. 전기 가열층은 바람직하게는 제1 판유리의 내부측 표면의 적어도 50%에 걸쳐,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에 걸쳐,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에 걸쳐 연장된다.
전기 가열층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비코팅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영역은 전자기 복사선, 예를 들어 적외 복사선, 또는 레이더 파에 대해 특히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창 또는 통신창으로서 알려져 있다.
복합 판유리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제1 판유리의 내부측 표면은 전기 전도성 코팅이 제공되지 않은 2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20 ㎜의 폭을 갖는 주변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영역을 갖는다. 그러면, 전기 전도성 코팅은 분위기와 접촉하지 않고, 판유리의 내부에서 열가소성 중간층에 의해 손상 및 부식으로부터 유리하게 보호된다.
버스바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급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급전선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호일 전도체 (편평 전도체, 리본 케이블)로서 실시된다. 이것은 두께보다 상당히 더 큰 폭을 갖는 전기 전도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주석으로 도금된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또는 그의 합금을 함유하거나 또는 그것으로 제조된 스트립 또는 밴드이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2 ㎜ 내지 16 ㎜의 폭 및 0.03 ㎜ 내지 0.1 ㎜의 두께를 갖는다. 호일 전도체는 절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를 기재로 하는 외피를 가질 수 있다. 판유리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의 접촉에 적당한 호일 전도체는 불과 예를 들어 0.3 ㎜의 총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얇은 호일 전도체는 개개의 판유리 사이의 열가소성 중간층에 수월하게 내장될 수 있다.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다수의 전도성 층이 호일 전도체 밴드에 위치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한, 얇은 금속 와이어가 전기 급전선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는 특히,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 중 적어도 2개의 합금을 함유한다. 또한, 합금은 몰리브덴, 레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또는 백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전기 급전선은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접촉 스트립에 연결된다. 그 다음, 접촉 스트립은 버스바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접촉 스트립은 급전선의 연장이고, 이렇게 해서 접촉 스트립과 버스바 사이의 연결 영역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영역을 의미하고, 이 연결 영역을 지나서 버스바의 연장 방향으로 거리 a가 뻗는다.
접촉 스트립은 유리하게 버스바의 전류 운반 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버스바와 급전선 사이의 접촉점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이 접촉 스트립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급전선이 이미 형성된 버스바에 연결될, 예를 들어 납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촉 스트립은 전기 급전선에 의한 버스바의 전기적 접촉을 단순화한다.
접촉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 주석으로 도금된 구리, 은, 금, 알루미늄,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을 함유한다. 이것은 접촉 스트립의 전기전도도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접촉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언급된 원소 및 임의로, 다른 원소를 함유하는 합금, 예를 들어 황동 또는 청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얇은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실시된다. 접촉 스트립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200 ㎛,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100 ㎛이다. 이 두께를 갖는 호일은 제조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쉽게 입수가능하고, 또한 유리하게 낮은 전기 저항을 갖는다.
접촉 스트립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4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 ㎜, 특히 20 ㎜ 내지 60 ㎜이다. 이것은 접촉 스트립의 좋은 취급성 뿐만 아니라 버스바와 접촉 스트립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적정하게 큰 접촉 면적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접촉 스트립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30 ㎜이다. 이것은 접촉 스트립과 버스바 사이의 접촉 면적 및 전기 급전선에 접촉 스트립의 간단한 연결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접촉 스트립의 "길이" 및"폭"이라는 용어는 각 경우에서 버스바의 "길이" 또는 "폭"이 나타내는 동일한 방향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접촉 스트립은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버스바와 직접 접촉한다. 이 경우, 접촉 스트립은 버스바 상에 배치된다. 특별한 이점은 판유리의 간단한 제조 및 접촉 표면으로서 접촉 스트립의 전체 표면의 이용에 있다.
접촉 스트립은 버스바 상에 간단히 배치될 수 있고, 라미네이팅된 판유리 내부에 의도된 위치에서 내구성 있게 안정하게 고정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적어도
(a) 제1 판유리의 표면 상에 비코팅된 대역을 갖는 전기 가열층을 형성하고,
(b) 버스바 사이에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가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층에 연결되는, 전압원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버스바를 형성하고,
(c) 전기 가열층을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로 전기적으로 세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을 도입하는 것
을 포함하고,
여기서,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을 두르며 안내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을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되는 것인,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공정 단계 (a)에서 전기 가열층의 전기 전도성 코팅의 형성은 그 자체가 알려진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자기 증강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판유리의 간단하고 빠르고 경제적이고 균일한 코팅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또한, 전기 전도성 코팅은 예를 들어 증착, 화학적 증착(CVD), 플라즈마 증강 화학적 증착(PECVD)에 의해, 또는 습식 화학적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유리는 공정 단계 (a) 후 온도 처리를 받을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갖는 제1 판유리는 적어도 2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의 온도로 가열된다. 온도 처리는 전기 전도성 코팅의 투과율을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 시트 저항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제1 판유리는 공정 단계 (a) 후 전형적으로 5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구부릴 수 있다. 편평 판유리를 코팅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더 간단하기 때문에, 이 절차는 제1 판유리를 구부려야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그러나, 별법으로,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코팅이 손상 없이 구부림 공정을 견디기에 부적합한 경우에는, 또한 제1 판유리를 공정 단계 (a) 전에 구부릴 수 있다.
공정 단계 (b)에서 버스바 형성은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 또는 잉크젯 방법으로 전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소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별법으로, 버스바는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전기 전도성 코팅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배치될 수 있거나, 납땜될 수 있거나 또는 접착제로 붙일 수 있다.
스크린 인쇄 방법에서, 외측부(lateral) 형상화는 금속 입자를 갖는 인쇄 페이스트가 프레싱되어 통과하는 메쉬를 차폐함으로써 수행된다. 차폐의 적당한 형상화에 의해, 예를 들어 버스바의 폭(b)을 미리 정할 수 있고, 간단한 방식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코팅에서 개개의 분리선의 탈코팅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서 수행된다. 얇은 금속 호일을 패턴화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EP 2 200 097 A1 또는 EP 2 139 049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탈코팅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특히, 70 ㎛ 내지 140 ㎛이다. 이 범위에서, 레이저 빔을 이용해서 특히 깨끗하고 잔류물이 없는 탈코팅이 발생한다. 레이저 빔을 이용한 탈코팅은 탈코팅된 선들이 광학적으로 매우 눈에 띄지 않고 외관 및 판유리를 통한 시야가 부정적 영향을 아주 미미하게 받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레이저 절단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선의 탈코팅은 레이저 빔으로 선을 따라서 반복 시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선 폭이 증가함에 따라 공정의 기간 및 비용이 증가한다. 별법으로, 탈코팅은 기계적 어블레이션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화학적 또는 물리적 에칭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개선은 적어도 다음 추가의 단계를 포함한다:
(d) 제1 판유리의 코팅된 표면 상에 열가소성 중간층을 배열하고, 열가소성 중간층 상에 제2 판유리를 배열하는 단계, 및
(e)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해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를 결합하는 단계.
공정 단계 (d)에서, 제1 판유리를 전기 가열층이 제공된 제1 판유리의 표면 중 하나가 열가소성 중간층에 향하도록 배열한다. 이렇게 해서, 이 표면은 제1 판유리의 내부측 표면이 된다.
열가소성 중간층은 단일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또는 차곡차곡 쌓이게 면적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공정 단계 (e)에서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 하에서 수행된다. 그 자체가 알려진 방법은 판유리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른바 오토클레이브 방법은 약 10 bar 내지 15 bar의 승압 및 130℃ 내지 145℃의 온도에서 약 2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그 자체가 알려진 진공 백 또는 진공 링 방법은 예를 들어 약 200 mbar 및 80℃ 내지 110℃에서 실시된다. 또한, 제1 판유리, 열가소성 중간층 및 제2 판유리를 캘린더에서 적어도 1 쌍의 롤러 사이에서 프레싱하여 판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유형의 시스템은 판유리 제조용으로 알려져 있고, 보통 프레싱 설비 이전의 상류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 터널을 갖는다. 프레싱 절차 동안의 온도는 예를 들어 40℃ 내지 150℃이다. 캘린더링 및 오토클레이빙 방법의 조합은 실제로 특히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별법으로, 진공 라미네이팅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가열가능하고 진공화가능한 챔버로 이루어지고, 챔버에서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가 예를 들어 약 60 분 이내에 0.01 mbar 내지 800 mbar의 감소된 압력 및 8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라미네이팅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건물, 특히 출입구 영역, 창문 영역, 지붕 영역, 또는 파사드 영역에서, 가구 및 장치의 빌트인(built-in) 부품으로서,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 수단에서, 특히 열차, 선박 및 자동차에서, 예를 들어 앞유리창, 뒤쪽 창문, 옆쪽 창문 및/또는 지붕 판유리로서 전기적 접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용도를 포함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을 도면 및 예시 실시양태와 관련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개략적 표현이고, 비율에 충실하지 않는다. 도면은 본 발명을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
도 1a는 전기 가열층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판유리의 절단선 A-A'을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세부사항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비교 실시예로서 선행 기술에 따른 판유리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비교 실시예의 가열 전력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의 비교 실시예의 온도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가열 전력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온도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양태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a는 전기 가열층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예시 실시양태의 평면도를 묘사한다. 도 1b는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절단선 A-A'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를 묘사한다. 판유리(100)는 열가소성 중간층(4)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를 포함한다.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자동차 창문 및 특히, 자동차의 앞유리창이다. 제1 판유리(1)는 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에 향하도록 의도된다.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는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된다. 제1 판유리(1)의 두께는 예를 들어 1.6 ㎜이고, 제2 판유리(2)의 두께는 2.1 ㎜이다. 열가소성 중간층(4)은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되고, 0.76 ㎜의 두께를 갖는다.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제조되는 전기 가열층(3)이 제1 판유리(1)의 내부측 표면(III) 상에 형성된다. 전기 가열층(3)은 예를 들어 유전체층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3개의 전기 전도성 은층을 함유하는 층 시스템이다. 전류가 전기 가열층(3)을 통해 흐를 때, 전기 가열층이 그의 전기 저항 및 줄열(Joule heat) 발달 때문에 가열된다. 따라서, 전기 가열층(3)은 판유리(100)의 능동 가열에 이용될 수 있다.
전기 가열층(3)은 예를 들어 8 ㎜의 폭을 갖는 주변을 둘러싸는 프레임형 비코팅된 영역을 뺀 제1 판유리(1)의 전체 표면(III)에 걸쳐서 연장된다. 비코팅된 영역은 전류 운반 전기 가열층(3)과 차량 차체 사이의 전기 절연에 이용된다. 비코팅된 영역은 중간층(4)에 접착제로 붙임으로써 허메틱 밀폐되어 전기 가열층(3)을 손상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한다.
전기적 접촉을 위해, 각 경우에서, 제1 버스바(5.1)가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되고; 또 다른 제2 버스바(5.2)가 전기 가열층(3) 상의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된다. 버스바(5.1), (5.2)는 예를 들어 은 입자를 함유하고,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 다음 소성된다. 버스바(5.1), (5.2)의 길이는 전기 가열층(3)의 치수에 거의 상응한다.
전기 전압이 버스바(5.1) 및 (5.2)에 인가될 때, 균일한 전류가 전기 가열층(3)을 통해서 버스바(5.1), (5.2) 사이에서 흐른다. 급전선(7)이 각 버스바(5.1), (5.2) 상에 거의 중심에 배열된다. 급전선(7)은 그 자체가 알려진 호일 전도체이다. 급전선(7)은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에 의해, 전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또는 판유리(100) 내부에 간단한 배치 및 압력 형성에 의해 접촉 표면을 통해 버스바(5.1), (5.2)에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10 ㎜의 폭 및 0.3 ㎜의 두께를 갖는 주석으로 도금된 구리 호일을 함유한다. 버스바(5.1), (5.2)는 전기 급전선(7)을 통해 연결 케이블 (13)을 통해 전압원(14)에 연결되고, 전압원(14)은 자동차에 관례적인 온보드 전압, 바람직하게는 12 V 내지 15 V 및 예를 들어, 약 14 V를 제공한다. 별법으로, 전압원(14)은 심지어 더 높은 전압, 예를 들어 35 V 내지 45 V, 특히, 42 V를 가질 수 있다.
제2 버스바(5.2)에 전기 전도성 연결되는 반원형 선 모양의 제3 버스바(5.3)가 예를 들어 판유리(100)의 상부 가장자리 상에 배열된다. 별법으로, 제3 버스바(5.3)는 직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다른 모양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3 버스바(5.3)는 예를 들어 10 ㎜의 폭을 갖는다.
비코팅된 대역(8)이 판유리(100)의 상부 영역에 판유리 폭에 대해 거의 중심에 배열된다. 비코팅된 대역(8)은 전기 가열층(3)의 전기 전도성 물질을 가지지 않는다. 비코팅된 대역(8)은 예를 들어 전기 가열층(3)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별법으로, 비코팅된 대역(8)은 전기 가열층(3)의 가장자리에 배열될 수 있다. 비코팅된 대역(8)의 면적은 예를 들어 1.5 d㎡이다. 비코팅된 대역(8)의 길이는 예를 들어 18 ㎝이다. 여기서, "길이"라는 용어는 판유리를 통하는 전류 경로의 방향, 즉, 버스바(5.1), (5.2) 사이의 가장 짧은 연결선 방향으로 뻗는 방향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도 1의 자동차 창문의 예에서, 비코팅된 대역(8)의 길이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폭은 버스바(5.1), (5.2)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다. 비코팅된 대역(8)은 그의 상부 말단에서 버스바(5.3)에 인접한다.
묘사된 예에서, 버스바(5.1), (5.2), (5.3)는 예를 들어 약 10 ㎛의 일정한 두께 및 예를 들어 2.3 μohm·㎝의 일정한 비저항을 갖는다.
전기 가열층(3)은 4개의 분리선(9.1), (9.1'), (9.2), (9.2')을 가지고, 이 4개의 분리선은 예를 들어 비코팅된 대역(8)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배열된다. 분리선(9.1), (9.1'), (9.2), (9.2')의 영역에서, 전기 가열층(3)은 전기적으로 단속된다. 분리선(9.1), (9.1'), (9.2), (9.2')은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되고, 전기 가열층(3)에 세그먼트(10.1), (10.1'), (10.2), (10.2')를 형성한다. 전기 가열층(3)에서 세그먼트(10.1), (10.1'), (10.2), (10.2')에 의해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는 전류 경로(11)가 안내된다. 특히, 세그먼트(10.1), (10.1')에서는 전류 경로(11)가 비코팅된 대역(8)의 바로 인근에서 비코팅된 대역(8) 아래 영역(12)으로 안내된다. 이 영역(12)에서, 분리선이 없는 선행 기술에 따른 전기 가열층(3)에서는 아주 적은 가열 전력이 얻어질 것이다 (참고: 도 2b의 선행 기술에 따른 가열 전력 분포).
도 1b는 절단선 A-A'에 따라서 절단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분리선(9.1), (9.1'), (9.2), (9.2')은 예를 들어 100 ㎛의 폭(d1), (d1'), (d2) 및 (d2')을 가지고, 예를 들어 레이저 패턴화에 의해 전기 가열층(3)에 도입된다. 이러한 작은 폭을 갖는 분리선(9.1), (9.1'), (9.2), (9.2')은 광학적으로 거의 인지할 수 없고, 판유리(100)를 통한 시야에 조금 지장을 줄 뿐이고, 이것은 특히 자동차에 이용하기 위해 운전 안전에 특히 중요하다.
차폐 인쇄물로서 그 자체가 알려진 불투명 잉크 층에 의해, 제3 버스바(5.3)의 영역이 관찰자에게 보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차폐 인쇄물 (여기에는 나타내지 않음)은 예를 들어 제2 판유리(2)의 내부측 표면(II) 상에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스트립 (여기에는 나타내지 않음)이 급전선(7)과 버스바(5.1), (5.2)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접촉 스트립은 외부 급전선(7)에 버스바(5.1), (5.2)의 간단한 연결에 이용되고, 예를 들어, 급전선(7)에 직교하여 버스바(5.1), (5.2)의 긴 방향 (6)으로 배열된다. 접촉 스트립은 유리하게 버스바(5.1), (5.2)의 전류 운반 용량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해서, 버스바(5.1), (5.2)로부터 급전선(7)으로의 전류 통과가 더 큰 면적에 걸쳐서 분포되고, 국지적 과열, 이른바 핫스팟(hotspot)이 방지된다. 접촉 스트립은 예를 들어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버스바(5.1), (5.2)와 접촉한다. 접촉 스트립은 예를 들어 판유리(100) 제조 동안에 버스바(5.1), (5.2) 상에 배치되고, 열가소성 층(4)에 의해 버스바(5.1), (5.2) 상에 내구성 있게 안정하게 고정된다. 접촉 스트립은 예를 들어 구리로 제조되고, 100 ㎛의 두께, 8 ㎜의 폭 및 5 ㎝의 길이를 갖는다. 접촉 스트립 및 버스바(5.1), (5.2)는 바람직하게는 직접 접촉한다. 이렇게 해서, 전기적 연결이 납땜 컴파운드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형성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판유리(100)의 제조 방법이 상당히 단순화된다. 추가로, 예를 들어 납땜의 경우에 또는 납땜된 접합부에 응력을 가하는 경우에 존재하는 버스바(5.1), (5.2)의 손상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도 1c는 비코팅된 대역(8) 및 비코팅된 대역(8) 왼쪽에 배열되는 분리선(9.1), (9.2)의 영역의 세부 사항의 확대도를 묘사한다. 분리선(9.1) 및 (9.2) 사이의 세그먼트(10.2)는 예를 들어 사선을 평행하게 그어서 나타낸다. 모든 분리선(9.1), (9.2)은 비코팅된 영역(8) 아래의 선(6)에서 끝난다. 게다가, 세그먼트(10.1)의 평균 길이(L1) 및 세그먼트(10.2)의 평균 길이(L2)를 나타낸다. 평균 길이 L1는 예를 들어 25 ㎝이다. 평균 길이 L2는 예를 들어 28 ㎝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평균 길이(L1) 및 (L2)는 거의 동일하게 실시된다. 세그먼트(10.1), (10.2)의 평균 길이(L)는 일반적으로 분리선의 곡률에 의해서 및 이렇게 해서, 세그먼트의 곡률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상부 버스바(5.2) 및 아마도, 제3 버스바(5.3)의 위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균질한 가열 전력 분포를 위한 세그먼트(10.1), (10.2)의 최적 평균 길이(L)는 간단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2a는 선행 기술에 따른 판유리(100)를 묘사한다. 판유리(100)는 열가소성 중간층(4)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를 포함한다.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자동차 창문 및 특히, 자동차의 앞유리창이다. 제1 판유리(1)는 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에 향하도록 의도된다.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는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된다. 제1 판유리(1)의 두께는 예를 들어 1.6 ㎜이고, 제2 판유리(2)의 두께는 2.1 ㎜이다. 열가소성 중간층(4)은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되고, 0.76 ㎜의 두께를 갖는다. 도 1a의 전기 가열층(3)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제조되는 전기 가열층(3)이 제1 판유리(1)의 내부측 표면(III) 상에 형성된다. 도 1a와 대조적으로, 판유리(100)의 하부 가장자리 상에 배열되는 버스바(5.1)가 2개의 급전선(7.1), (7.2)을 갖는다. 버스바(5.1), (5.2)는 각 경우에서 예를 들어 10 ㎛의 일정한 두께 및 예를 들어 2.3 μohm·㎝의 일정한 비저항을 갖는다. 게다가, 선행 기술에 따른 판유리(100)는 전기 가열층(3)에 분리선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와 상이하다.
전기 가열층(3)의 면적은 약 0.98 ㎡이다. 전기 가열층(3)은 판유리의 상부 1/3에서 판유리의 폭에 대해 거의 중심에 비코팅된 영역(8)을 갖는다. 비코팅된 영역(8)은 예를 들어 21 ㎝의 최대 폭, 24 ㎝의 최대 길이 및 400 ㎠의 총 면적을 갖는다.
판유리는 상부 가장자리 상에 버스바(5.2)를 갖는다. 전류는 화살표로 식별되는 바와 같이 급전선(7)을 통해서 버스바(5.2)에 공급된다. 전류는 전기 가열층(3)을 통해서 판유리(100)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열되는 버스바(5.1)로 흐른다. 버스바(5.1)는 그의 오른쪽 말단 및 그의 왼쪽 말단에서 각각 급전선(7.1), (7.2)에 연결된다. 버스바(5.1), (5.2)는 예를 들어 16 ㎜의 폭 및 10 ㎛의 두께를 갖는다. 전기 가열층(3)은 예를 들어 0.9 ohm/□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유한 요소 시뮬레이션을 위해, 하부 급전선(7.1) 및 (7.2)과 상부 급전선(7) 사이에 14 V의 전압 및 22℃의 주위 온도를 가정한다. 게다가, 시뮬레이션에서는 12 분의 가열 시간을 가정한다.
도 2b는 전기 가열층(3)에 분리선이 없는 도 2a의 선행 기술에 따른 판유리(100)의 가열 전력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묘사한다. 판유리의 전기 출력은 318 W이다.
도 2c는 도 2a의 선행 기술에 따른 비교 실시예의 온도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묘사한다. 판유리(100) 상에서 최대 온도 Tmax는 50.7℃이고, 비코팅된 대역(8) 아래 영역(12)에서 평균 온도 Tmitt는 26.2℃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평면도를 묘사한다. 제1 판유리(1), 제2 판유리(2), 전기 가열층(3), 열가소성 중간층(4) 및 외부 급전선(7), (7.1), (7.2)은 도 2a에서처럼 구성된다. 전기 가열층(3)은 비코팅된 대역(8)을 가지고, 이 비코팅된 대역은 도 2a의 비코팅된 대역에 상응한다. 제3 버스바(5.3)가 판유리(100)의 상부 영역에 배열된다. 게다가, 전기 가열층(3)은 각 경우에서 비코팅된 대역(8)의 양쪽에 8개의 분리선(9.1)-(9.8), (9.1')-(9.8')을 갖는다. 분리선(9.1)- 9.8), (9.1')-(9.8')에 의해서, 비코팅된 대역(8)의 양쪽 각각에 8개의 세그먼트(10.1)-(10.8), (10.1')-(10.8')가 형성되고, 그것을 통해서 전류 경로가 버스바(5.2) 또는 제3 버스바(5.3)로부터 비코팅된 대역(8) 아래 영역으로 안내된다. 이렇게 해서, 다음 시뮬레이션이 입증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가열 전력 분포 및 온도 분포의 균질화를 얻을 수 있다. 분리선(9)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패턴화에 의해 전기 가열층(3)에 도입된다. 개개의 분리선(9)의 폭은 예를 들어 100 ㎛이고, 그 결과로 판유리(100)를 통한 관측이 최소한으로만 영향받는다.
도 3b는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가열 전력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묘사한다. 판유리의 전기 출력은 312 W이다.
도 3c는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온도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묘사한다. 판유리(100) 상에서 최대 온도 Tmax는 54.2℃이고, 비코팅된 대역(8) 아래 영역(12)에서 평균 온도 Tmitt는 32.2℃이다.
표 1은 다시 시뮬레이션 결과를 요약한다.
Figure pct00001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는 도 2a의 비교 실시예의 선행 기술에 따른 판유리(100)에 비해 분명히 개선된 가열 성질을 나타낸다. 특히, 비코팅된 대역(8) 아래 영역(12)에서, 선행 기술에 따른 판유리는 불과 < 150 W/㎡의 가열 전력 및 약 26.2℃의 평균 온도를 갖는다. 가열 전력 분포의 불균질성은 판유리(100)의 단지 불만족스러운 서리제거 및 안개제거 기능을 초래한다. 비코팅된 대역(8) 아래 영역(12)에서의 중심 시야에서는, 가열 성질이 겨울 날씨 조건에서 판유리(100)를 통해 문제가 없는 관측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는 비코팅된 대역(8) 아래의 임계 영역(12)에서 개선된 가열 성질을 갖는다. 이렇게 해서, 시뮬레이션은 시뮬레이션 조건 하에서 300 W/㎡ 초과의 가열 전력 및 약 32.2℃의 평균 온도로의 가열을 초래하였다. 판유리를 통한 관측은 분리선의 낮은 폭 때문에 부정적 영향을 최소한으로만 받고, 자동차 글레이징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이 결과는 관련 분야 기술자에게 예상 밖이었고 놀라운 것이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세부사항의 평면도를 묘사한다. 전기 가열층(3)을 갖는 제1 판유리(1), 제2 판유리(2), 열가소성 중간층(4) 및 외부 급전선(7), (7.1), (7.2)은 도 3a에서처럼 구성된다. 전기 가열층(3)은 비코팅된 대역(8) 및 분리선(9.1)-(9.4), (9.1')-(9.4')을 가지고, 이 분리선은 전기 가열층(3)을 다수의 세그먼트(10.1)-(10.4), (10.1')-(10.4')로 세분한다. 세그먼트(10.1)-(10.4), (10.1')-(10.4')는 비코팅된 대역(8)의 양쪽에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다. 게다가, 각 세그먼트(10.1)-(10.4), (10.1')-(10.4')는 또 다른 버스바(5.3)-(5.6), (5.3')-(5.6')를 갖는다. 각 버스바(5.3)-(5.6), (5.3')-(5.6')는 버스바(5.2)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세그먼트(10.1)-(10.4), (10.1')-(10.4')의 곡률 때문에, 각 세그먼트(10.1)-(10.4), (10.1')-(10.4')를 통하는 전류 경로(11)가 길어지고; 전기 가열층(3)의 일정한 면비저항(specific sheet resistance) 때문에, 세그먼트(10.1)-(10.4), (10.1')-(10.4')를 통한 옴 저항이 증가한다. 이것은 분리선(9.1)-(9.4), (9.1')-(9.4')에 의해 형성되는 세그먼트(10.1)-(10.4), (10.1')-(10.4') 밖의 전류 경로에 비해 불균질한 가열 전력 분포를 초래할 것이다. 세그먼트(10.1)-(10.4), (10.1')-(10.4')로 공급되는 전류가 통과하는 또 다른 버스바(5.3)-(5.6), (5.3')-(5.6')에 의해 세그먼트(10.1)-(10.4), (10.1')-(10.4')를 통과하는 전류 경로(11)의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가열되는 판유리(100)의 가열 전력 분포 및 온도 분포의 추가의 균질화를 얻을 수 있다. 버스바(5.3)-(5.6), (5.3')-(5.6')의 길이 및 그의 치수, 예컨대 두께 및 폭은 간단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묘사된 예에서, 버스바(5.4)-(5.6), (5.4')-(5.6')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고, 버스바(5.4), (5.4')는 버스바(5.5), (5.5')보다 두껍게 구성되고, 또, 버스바(5.5), (5.5')는 버스바(5.6), (5.6')보다 두껍게 구성된다. 그 결과로, 버스바(5.4), (5.4')는 버스바(5.5), (5.5')보다 낮은 저항을 가지고, 또, 버스바(5.5), (5.5')는 버스바(5.6), (5.6')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평면도를 묘사한다. 전기 가열층(3)을 갖는 제1 판유리(1) 및 외부 급전선(7), (7.1), (7.2)은 도 4에서처럼 구성된다. 전기 가열층(3)은 비코팅된 대역(8) 및 분리선(9.1)-(9.4), (9.1')-(9.4')을 가지고, 이 분리선은 전기 가열층(3)을 다수의 세그먼트(10.1)-(10.4), (10.1')-(10.4')로 세분한다. 세그먼트(10.1)-(10.4), (10.1')-(10.4')는 비코팅된 대역(8)의 양쪽에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다. 비코팅된 대역(8)으로부터 가장 멀리에 배열되는 세그먼트(10.4) 및 (10.4')는 각 경우에서 제3 버스바(5.3) 및 (5.3')를 가지고, 이 제3 버스바는 버스바(5.2)에 직접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게다가, 안쪽에 위치하는 다른 세그먼트(10.1)-(10.3), (10.1')-(10.3')는 각 경우에서 저임피던스 브리지(15.4)-(15.6), (15.4')-(15.6')를 가지고, 이 저임피던스 브리지는 각 세그먼트를 통과하는 전류 경로의 전기 저항을 저하시킨다. 저임피던스 브리지(15.4)-(15.6), (15.4')-(15.6')는 예를 들어 버스바(5.2)의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전기 가열층(3)보다 더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 전기 저항을 갖는다. 저임피던스 브리지(15.4)-(15.6), (15.4')-(15.6')는 버스바(5.2)에 직접 전기 전도성 연결되지 않고,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전기 가열층(3)에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세그먼트(10.1)-(10.4), (10.1')-(10.4')의 곡률 때문에, 각 세그먼트(10.1)-(10.4), (10.1')-(10.4')를 통과하는 전류 경로(11)가 길어지고; 전기 가열층(3)의 일정한 면비저항 때문에, 세그먼트(10.1)-(10.4), (10.1')-(10.4')를 통한 옴 저항이 증가된다. 이것은 분리선(9.1)-(9.4), (9.1')-(9.4')에 의해 형성되는 세그먼트(10.1)-(10.4), (10.1')-(10.4') 밖의 전류 경로에 비해 불균질한 가열 전력 분포를 초래할 것이다. 저임피던스 브리지(15.4)-(15.6), (15.4')-(15.6')를 통해 전류 경로(11)의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가열되는 판유리(100)의 가열 전력 분포 및 온도 분포의 추가의 균질화를 얻을 수 있다. 저임피던스 브리지(15.4)-(15.6), (15.4')-(15.6')의 길이 및 그의 최적 전기 저항은 간단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판유리(10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 실시양태의 흐름도를 묘사한다.
분리선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가 분명히 개선된 가열 성질, 가열 전력 분포의 개선된 균질성, 및 판유리의 특히 중요한 구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더 균일한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동시에, 판유리(100)를 통한 관측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선에 의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한으로만 받는다.
이 결과는 관련 분야 기술자에게 예상 밖이었고 놀라운 것이었다.
(1): 제1 판유리
(2): 제2 판유리
(3): 전기 가열층
(4): 열가소성 중간층
(5.1), (5.2), (5.3), (5.4), (5.5): 버스바
(5.1'), (5.2'), (5.3'), (5.4'), (5.5'): 버스바
(6): 선
(7): 급전선
(8): 비코팅된 대역
(9.1), (9.2), (9.3), (9.4), (9.5), (9.6), (9.7), (9.8): 분리선
(9.1'), (9.2'), (9.3'), (9.4'), (9.5'), (9.6'), (9.7'), (9.8'): 분리선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세그먼트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세그먼트
(11): 전류 경로
(12): 영역
(13): 연결 케이블
(14): 전압원
(15.4), (15.5), (15.6), (15.4'), (15.5'), (15.6'): 저임피던스 브리지
(100): 판유리
(II): 제2 판유리(2)의 표면
(III): 제1 판유리의 표면
(b), (b1), (b2): 세그먼트(10), (10.1), (10.2)의 폭
(d), (d1), (d2): 분리선(9)의 폭
(L), (L1), L2): 세그먼트(10), (10.1), (10.2)의 길이
(A-A'): 절단선

Claims (15)

  1. 적어도
    - 표면(III)을 갖는 제1 판유리(1),
    -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되고, 비코팅된 대역(8)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층(3),
    - 버스바(5.1, 5.2) 사이에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11)가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층(3)에 연결된, 전압원(14)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버스바(5.1, 5.2), 및
    - 전기 가열층(3)을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10.n, 10.n+1)로 전기적으로 세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9.n) (여기서, n은 ≥ 1의 정수임)
    을 포함하고,
    여기서,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1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며 안내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10.n)가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 것인,
    전기 가열층(3)을 갖는 판유리(100).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가열층(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된 세그먼트(10.n)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분리선(9.1, 9.2), 바람직하게는 4 내지 30개의 분리선을 갖는 것인 판유리(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선(9.1, 9.2)의 폭(d)이 3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40 ㎛인 판유리(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코팅된 대역(8)과 가장 가까운 분리선(9.1) 사이의 세그먼트(10.1)의 폭(b1) 및/또는 두 인접 분리선(9.n, 9.n+1) 사이의 폭(bn)이 1 ㎝ 내지 15 ㎝인 판유리(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코팅된 대역(8)의 면적이 0.5 d㎡ 내지 15 d㎡, 바람직하게는 2 d㎡ 내지 8 d㎡인 판유리(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그먼트(10.n)의 평균 길이(Ln)가 평균 길이들의 평균값 Lm으로부터 25%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의 편차가 있는 것인 판유리(100).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버스바(5.3)가 제1 버스바(5.1) 또는 제2 버스바(5.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10.n)의 평균 길이(Ln) 및 바람직하게는 모든 세그먼트(10.n)의 평균 길이(Ln)를 단축시키는 것인 판유리(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류 경로를 따라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저임피던스 브리지(15.n)가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10.n)에 배열된 것인 판유리(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스바(5) 및/또는 저임피던스 브리지(15.n)가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입자, 금속 입자 및/또는 탄소 입자 및 특히 은 입자를 함유하는 소성된 인쇄 페이스트로서 실시되고, 바람직하게는 0.8 μohm·㎝ 내지 7.0 μoh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μohm·㎝ 내지 2.5 μohm·㎝의 비저항 ρa을 갖는 것인 판유리(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판유리(1)의 표면(III)이 열가소성 중간층(4)을 통해 제2 판유리(2)에 면 결합된 것인 판유리(1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판유리(1) 및/또는 제2 판유리(2)가 유리, 바람직하게는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또는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판유리(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가열층(3)이 투명 전기 전도성 코팅이고/이거나, 0.4 ohm/□ 내지 10 ohm/□, 바람직하게는 0.5 ohm/□ 내지 1 ohm/□의 시트 저항을 갖고/갖거나, 은(Ag), 인듐 주석 산화물(ITO), 플루오린으로 도핑된 주석 산화물(SnO2:F), 또는 알루미늄으로 도핑된 아연 산화물(ZnO:Al)을 함유하는 것인 판유리(100).
  13. 적어도
    (a) 판유리(1)의 표면(III) 상에 비코팅된 대역(8)을 갖는 전기 가열층(3)을 형성하고,
    (b) 버스바(5.1, 5.2) 사이에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11)가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층(3)에 연결되는, 전압원(14)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2개의 버스바(5.1, 5.2)를 형성하고,
    (c) 전기 가열층(3)을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10.n, 10.n+1)로 전기적으로 세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9.n)을 도입하는 것 (여기서, n은 ≥ 1의 정수임)
    을 포함하고,
    여기서,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1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며 안내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10.n)가 비코팅된 대역(8)을 두르는 스트립 형태로 배열되는 것인,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100)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분리선(9)을 레이저 패턴화에 의해 도입하는 것인 방법.
  15.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 수단에서의, 특히 자동차에서의, 예를 들어 앞유리창, 뒤쪽 창문, 옆쪽 창문 및/또는 지붕 판유리로서 뿐만 아니라 기능성 개별 피스로서의, 및 가구, 장치 및 건물에서의 빌트인 부품으로서의, 특히 전열기로서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판유리(100)의 용도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창으로서의 비코팅된 대역(8)의 용도.
KR1020157018984A 2012-12-20 2013-11-07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KR101782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8362.1 2012-12-20
EP12198362 2012-12-20
PCT/EP2013/073219 WO2014095152A1 (de) 2012-12-20 2013-11-07 Scheibe mit elektrischer heizschic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645A true KR20150097645A (ko) 2015-08-26
KR101782700B1 KR101782700B1 (ko) 2017-09-27

Family

ID=4763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984A KR101782700B1 (ko) 2012-12-20 2013-11-07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0159115B2 (ko)
EP (1) EP2936925B1 (ko)
JP (2) JP6316839B2 (ko)
KR (1) KR101782700B1 (ko)
CN (1) CN104919893B (ko)
BR (1) BR112015012309A2 (ko)
CA (1) CA2894012C (ko)
EA (1) EA029120B1 (ko)
ES (1) ES2880827T3 (ko)
HU (1) HUE055429T2 (ko)
MX (1) MX349508B (ko)
PL (1) PL2936925T3 (ko)
WO (1) WO20140951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629A (ko) * 2016-05-24 2017-12-04 서재홍 자동차 유리 보호용 강화유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905361T4 (tr) 2012-12-20 2019-05-21 Saint Gobain Elektrikli ısıtma katmanlı cam levha.
CN103228069B (zh) * 2013-04-18 2015-05-13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加热的透明窗板
CN103770799B (zh) * 2014-02-24 2016-08-17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 一种高速机车挡风玻璃及其制备方法
BR112016023702B1 (pt) 2014-04-17 2022-09-13 Saint-Gobain Glass France Placa de vidro transparente tendo um revestimento aquecível
PL3189707T3 (pl) 2014-09-04 2020-03-31 Saint-Gobain Glass France Przezroczysta szyba z powłoką grzejną
JP6395044B2 (ja) * 2014-10-24 2018-09-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737693B1 (ko) * 2015-07-02 2017-05-18 구각회 저전력 고열 면상 발열체
FR3038249B1 (fr) * 2015-07-02 2021-11-26 Saint Gobain Vitrage chauffant a feuille de verre exterieure amincie et couche chauffante a lignes de separation de flux
CN105376883B (zh) * 2015-09-17 2018-08-17 福建省万达汽车玻璃工业有限公司 带有通讯窗无膜层区域可均匀电加热的汽车夹层玻璃
CN105338671A (zh) * 2015-09-17 2016-02-17 福建省万达汽车玻璃工业有限公司 带有通讯窗加热组件设有导电端子的电加热汽车玻璃
RU2683074C1 (ru) 2015-10-13 2019-03-26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Нагреваемое ламинированное стек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улучшенным распределением тепла
EP4156421B1 (en) 2015-12-14 2024-05-15 Molex, LLC Backplane connector omitting ground shields and system using same
KR20190028529A (ko) * 2016-07-18 2019-03-18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관찰자용 이미지 정보 표시를 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GB201617577D0 (en) 2016-10-17 2016-11-30 Pilkington Group Limited Vehicle glazing
FR3059939B1 (fr) * 2016-12-14 2019-01-25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ayant une couche electroconductrice a ligne d'ablation dont les bords sont exempts de bourrelet et en pente douce
CN109561526B (zh) * 2017-09-26 2023-04-25 杜邦电子公司 加热元件和加热装置
WO2019078258A1 (ja) * 2017-10-20 2019-04-25 Agc株式会社 車両用合わせガラス
CN108966386B (zh) * 2018-07-31 2020-11-17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电加热的前挡风玻璃
JP7162462B2 (ja) * 2018-08-02 2022-10-28 日東電工株式会社 ヒータ及びヒータ付物品
CN109041308A (zh) * 2018-09-21 2018-12-18 苏州本瑞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加热功能玻璃及显示模组
DE102018221876A1 (de) * 2018-12-17 2020-06-18 Robert Bosch Gmbh Beheizbare Abdeckvorrichtung
CN110422312B (zh) * 2019-07-26 2021-06-11 北京神导科讯科技发展有限公司 直升机风挡玻璃的加热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22177338A (ja) * 2019-10-30 2022-12-01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GB201916522D0 (en) * 2019-11-13 2019-12-25 Pilkington Group Ltd Glazing having a data tranmission window,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JP2023501260A (ja) * 2019-11-18 2023-01-18 エージーシー グラス ユーロップ 積層グレイジング
GB202000785D0 (en) 2020-01-20 2020-03-04 Pilkington Group Ltd Glazing having a coated print portio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WO2021160388A1 (de) 2020-02-12 2021-08-19 Saint-Gobain Glass France Fahrzeugscheibe mit integriertem temperatursensor
JPWO2021220596A1 (ko) * 2020-04-30 2021-11-04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8357A (en) * 1956-07-13 1959-03-17 Gen Dynamics Corp Electric heated laminated glass panel
JPS4513979Y1 (ko) * 1969-06-03 1970-06-13
US3794809A (en) * 1972-12-29 1974-02-26 Ford Motor Co Vehicle windshield
KR870005921A (ko) 1985-12-26 1987-07-07 노부오 사수가 전도성 유리판
JPH0362492A (ja) * 1989-07-28 1991-03-18 Unitika Ltd 透明面状発熱体
JP3759539B2 (ja) 1995-09-25 2006-03-29 エスペック株式会社 貫通孔等のある導電膜付きガラス
FR2757151B1 (fr) 1996-12-12 1999-01-08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comprenant un substrat muni d'un empilement de couches minces pour la protection solaire et/ou l'isolation thermique
DE19860870A1 (de) 1998-12-31 2000-07-06 Heiko Gros Scheibenheizung für Scheiben in Fenstern und Türen
JP2002020142A (ja) * 2000-06-29 2002-01-23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59419B1 (en) * 2001-08-03 2003-05-06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Multi-zone arrangement for heatable vehicle window
GB0121118D0 (en) * 2001-08-31 2001-10-24 Pilkington Plc Electrically heated window
US6734396B2 (en) * 2001-09-07 2004-05-11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Heatable vehicle window with different voltages in different heatable zones
JP3994259B2 (ja) * 2001-12-06 2007-10-17 旭硝子株式会社 導電膜付き自動車用窓ガラスおよび自動車用電波送受信構造
US20050089691A1 (en) * 2001-12-25 2005-04-28 Tatsuya Noguchi Windshield glass
US7132625B2 (en) * 2002-10-03 2006-11-07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article having a configured heating member
US6891517B2 (en) * 2003-04-08 2005-05-10 Ppg Industries Ohio, Inc. Conductiv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utilizing arc and line elements
GB0427749D0 (en) * 2004-12-18 2005-01-19 Pilkington Plc Electrically heated window
US7335421B2 (en) 2005-07-20 2008-02-26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windshield
DE102006002636B4 (de) * 2006-01-19 2009-10-2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ansparente Scheibe mit einem beheizbaren Schichtsystem
GB0612698D0 (en) * 2006-06-27 2006-08-09 Pilkington Plc Heatable vehicle glazing
DE102008018147A1 (de) * 2008-04-10 2009-10-15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und niederohmigen leitenden Strukturen
ES2374685T3 (es) 2008-06-25 2012-02-21 Atec Holding Ag Dispositivo de estructuración de un módulo solar.
EP2200097A1 (en) 2008-12-16 2010-06-23 Saint-Gobain Glass France S.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voltaic device and system for patterning an object
DE202008017611U1 (de) 2008-12-20 2010-04-2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Scheibenförmiges, transparentes, elektrisch beheizbares Verbundmaterial
DE102009026200A1 (de) 2009-07-17 2011-02-1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Elektrisch großflächig beheizbarer, transparenter Gegensta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EP2334141A1 (de) 2009-12-11 2011-06-15 Saint-Gobain Glass France Beschichtete Scheibe mit beheizbarem Kommunikationsfenster
BR112013003961B1 (pt) * 2010-09-09 2020-11-03 Saint-Gobain Glass France vidraça transparente tendo um revestimento aquecível e método para produzir uma vidraça transparente
EP2444381A1 (de) 2010-10-19 2012-04-25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e Scheibe
TR201905361T4 (tr) 2012-12-20 2019-05-21 Saint Gobain Elektrikli ısıtma katmanlı cam levh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629A (ko) * 2016-05-24 2017-12-04 서재홍 자동차 유리 보호용 강화유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12309A2 (pt) 2017-07-11
WO2014095152A1 (de) 2014-06-26
JP6526863B2 (ja) 2019-06-05
JP2018123053A (ja) 2018-08-09
MX349508B (es) 2017-08-02
CN104919893B (zh) 2017-09-26
EA201591161A1 (ru) 2015-11-30
US20190141792A1 (en) 2019-05-09
US20150351160A1 (en) 2015-12-03
EA029120B1 (ru) 2018-02-28
ES2880827T3 (es) 2021-11-25
PL2936925T3 (pl) 2021-11-08
CA2894012C (en) 2018-05-22
CN104919893A (zh) 2015-09-16
KR101782700B1 (ko) 2017-09-27
EP2936925B1 (de) 2021-05-05
EP2936925A1 (de) 2015-10-28
JP6316839B2 (ja) 2018-04-25
US10159115B2 (en) 2018-12-18
JP2016508108A (ja) 2016-03-17
HUE055429T2 (hu) 2021-11-29
MX2015007950A (es) 2015-10-08
CA2894012A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700B1 (ko)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KR101818829B1 (ko) 전기 가열층을 갖는 판유리
KR101901077B1 (ko)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US9100996B2 (en) Transparent panel having a heatable coating
JP6381780B2 (ja) 電気加熱層を備えた透明窓板、透明窓板の製造方法及び透明窓板の使用
JP6351826B2 (ja) 電気加熱層を備えた透明窓板、透明窓板の製造方法及び透明窓板の使用
KR101976910B1 (ko)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패널
US20190141791A1 (en) Transparent pane with heatable coating
KR101980023B1 (ko) 열 코팅을 갖는 투명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