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077B1 -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077B1
KR101901077B1 KR1020177006019A KR20177006019A KR101901077B1 KR 101901077 B1 KR101901077 B1 KR 101901077B1 KR 1020177006019 A KR1020177006019 A KR 1020177006019A KR 20177006019 A KR20177006019 A KR 20177006019A KR 101901077 B1 KR101901077 B1 KR 10190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ase portion
length
plate glass
electric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280A (ko
Inventor
귄터 샬
발렌틴 슐츠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4832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010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7003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1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trimming or tuning of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183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5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multiple resistive elements or resistive zones isolat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8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with layout including a portion free of resistive material, e.g. communication windo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1Heaters using laterally extending conductive material as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 표면(III), 길이 l1을 갖는 제1 밑변부(1.1) 및 길이 l2를 갖는 제2 밑변부(1.2)를 가지며 밑변부(1.1, 1.2)의 길이의 비 v인 v = h:l1:l2가 0.70 : 1 내지 0.98 : 1인 실질적 사다리꼴 형상의 제1 패널(1), -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코팅(6), -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가 제1 패널(1)의 제1 밑변부(1.1)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가 제1 패널(1)의 제2 밑변부(1.2)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의 비 b1 : b2가 v : 0.99 내지 v : 0.50인, 적어도 하나의 분할선(9)에 의해 전기 전도성 코팅(6)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할된 실질적 사다리꼴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 영역(3), - 가열 전류의 전류 경로(11)가 버스바(5.1, 5.2) 사이에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 영역(3)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6)에 연결되는, 전압원(14)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버스바(5.1, 5.2)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 영역(3)을 갖는 패널(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PANEL HAVING ELECTRICAL HEATING AREA}
본 발명은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판유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모터 차량 판유리, 특히 앞유리창의 시야부(field of vision)는 결빙 및 결로가 없게 유지되어야 한다. 내연 기관을 갖는 모터 차량에서는, 예를 들어, 엔진 열에 의해 가열된 기류를 판유리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별법으로, 판유리가 전기 가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US 3,409,759 A 및 EP 0 788 294 A1은 얇은 와이어가 복합 판유리 내에 적층된 복합 판유리를 개시한다. 외부 전압원에 의해서, 와이어를 가열하고 이러해서 판유리를 가열하는 전류가 와이어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개개의 판유리 중 하나의 내표면 상에 투명한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갖는 복합 판유리가 추가로 알려져 있다. 외부 전압원에 의해서, 코팅을 가열하고 이러해서 판유리를 가열하는 전류가 전기 전도성 코팅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O2012/052315 A1은 금속을 기재로 하는 그러한 가열가능한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개시한다.
US 2007/0020465 A1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코팅의 전기적 접촉은 전형적으로 집전체를 통해 달성된다. 집전체는 예를 들어 인쇄되어 소성된 은 페이스트로부터 제조된다. 집전체는 전형적으로 판유리의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를 따라서 진행된다. 집전체는 전기 전도성 코팅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를 모으고 그 전류를 전압원에 연결된 외부 공급선으로 안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하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더 균일한 가열 출력 분포를 갖는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개선된 판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1에 따른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판유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으로부터 드러난다.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적어도 다음 특징:
- 표면(III), 길이 l1을 갖는 제1 밑변부 및 길이 l2를 갖는 제2 밑변부를 가지고 밑변부의 길이의 비 v인 v = l1 : l2가 0.70 : 1 내지 0.98 : 1인 실질적 사다리꼴 제1 판유리,
-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코팅,
- 전기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가 제1 판유리의 제1 밑변부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전기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가 제1 판유리의 제2 밑변부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 되며 주어진 비 v에서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의 길이 b2의 비 b1 : b2가 v : 0.99 내지 v : 0.50인,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에 의해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 사다리꼴 전기 가열 영역,
- 가열 전류의 전류 경로가 집전체 사이에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 영역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에 연결되는, 전압원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집전체
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질적 사다리꼴 판유리"라는 용어는 거의 사다리꼴 윤곽을 갖는 판유리를 서술한다. 통례대로, 이하에서는 사다리꼴의 평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변을 밑변부라고 부르고, 인접하는 (일반적으로 평행하지 않는) 두 변을 레그(leg)라고 부른다.
판유리의 실질적 사다리꼴 윤곽은 1개의 또는 복수의 굴곡된 또는 굽은 옆면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해서, 많은 그러한 판유리에서는, 어느 경우이든 사다리꼴의 밑변부가 굴곡된다. 대조적으로, 레그는 종종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게다가, 판유리의 귀퉁이는 둥글 수 있다. 실질적 사다리꼴 가열 영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집전체는 직선 코스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밑변부를 따라서 진행되고 그의 곡률을 모방할 수 있다. 또한, 집전체와 판유리의 밑변부 사이에 거리가 있을 수 있고, 여기에는 예를 들어 또 다른 전기 가열 영역, 예컨대 앞유리창 와이퍼 가열장이 배열될 수 있다.
분리선이 없는 선행 기술의 판유리에서는, 전기 가열 영역이 전기 전도성 코팅의 영역에 상응한다. 그러한 판유리는 보통 매우 불균질한 가열 출력 분포를 갖는다. 그러한 판유리는 가열 동안에, 특히 긴 밑변부의 영역에서, 더 낮은 가열 출력 및 이러해서 더 낮은 온도, 뿐만 아니라 더 빈약한 제빙 및 김 제거(defogging) 거동을 갖는다.
본 발명은 분리선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열 영역이 구현되고, 이것에 의해서 전류 경로의 최적화를 얻을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이것은 더 균질한 가열 출력 분포 및 온도 분포를 초래한다. 동시에, 분리선 도입을 위한 패터닝 노력이 경제적 관점에서 여전히 시간적으로 및 재정적으로 허용된다.
판유리를 통한 가시성(vision)을 가능한 한 적게 손상시키기 위해, 분리선은 특히 가늘게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분리선의 폭 d는 3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40 ㎛이다. 이것은 그러한 낮은 폭을 갖는 분리선이 판유리를 통한 가시성을 손상시키지 않거나 또는 아주 조금 손상시킨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길이 l1을 갖는 제1 밑변부 및 길이 l2를 갖는 제2 밑변부를 가지고, 밑변부의 길이의 비 v인 v = l1 : l2가 0.70 : 1 내지 0.98 : 1이다.
제1 판유리의 각각의 밑변부의 길이는 옆면 에지의 경로를 따라서 및 이러해서, 판유리의 가능한 곡률을 따라서 계산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코팅은 예를 들어 에지 탈코팅부 및 아마도, 통신창으로 쓰이는 탈코팅된 영역을 뺀,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 상에, 특히 판유리의 전체 표면(III) 상에 형성된다.
실질적 사다리꼴 전기 가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에 의해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할된다. 정확히 1개의 분리선에 의한 분할의 경우, 분리선은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의 윤곽을 그린다. 그러면, 집전체가 분리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전부 또는 일부 배열된다. 2개 이상의 분리선에 의한 분할의 경우, 분리선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가열 영역의 밑변부 사이에서 및 집전체 사이에서 진행된다.
전기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가 제1 판유리의 제1 밑변부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전기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가 제1 판유리의 제2 밑변부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여기서, "바로 인접"은 전기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가 전기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와 제1 판유리의 제2 밑변부 사이에 배열되고, 전기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와 판유리의 제1 밑변부 사이에 배열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가 제1 판유리의 제1 밑변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제1 판유리의 두 밑변부 중 짧은 밑변부의 길이가 가열 영역의 바로 인접하는 밑변부의 길이에 에지 탈코팅부의 폭 r을 더한 것에 상응하고, 다시 말해서, l1/2가 대략 b1/2 + 2r과 같다. 이것은 판유리가 가능한 한 그의 표면의 많은 부분에서 전기 가열될 수 있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는다.
전압원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 특히 정확히 2개의 집전체가 전기 가열 영역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에 연결되고, 이렇게 해서 집전체 사이에 전압을 가할 때 가열 전류의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판유리의 관련 부분과 함께 가열 영역을 가열한다.
집전체는 적어도 그것이 배열된 가열 영역의 밑변부의 길이를 갖는다. 제1 판유리의 밑변부의 길이의 주어진 비 v에서,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의 길이 b2의 본 발명에 따른 비 b1 : b2는 v : 0.99 내지 v : 0.50이다.
가열 영역의 각 밑변부의 길이는 각 집전체의 연장 방향 (즉, 긴 치수)을 따라서 및 이러해서, 밑변부의 가능한 곡률을 따라서 계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제1 판유리 및/또는 전기 가열 영역은 대칭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유리하고 균질한 가열 출력 분포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의 길이 b2의 비는 1이 아니며, 다시 말해서, 전기 가열 영역은 직사각형이 아니다. 사실, 직사각형 가열 영역은 균질한 가열 출력 분포를 갖지만 사다리꼴 가열 영역보다 시각적으로 더 눈에 띄고, 사다리꼴 가열 영역이 판유리의 3-차원 곡률에 더 쉽게 시각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의 길이 b2의 비 b1 : b2는 v : 0.99 내지 0.99이다.
이것은 두 밑변부 중 긴 밑변부의 영역에서 판유리의 옆면 영역을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가열하기 위해서 및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더 균질한 가열 출력 분포를 얻기 위해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의 길이 b2의 비 b1 : b2는 1.01 내지 v : 0.50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통신창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탈코팅된 또는 무코팅 영역이 전기 가열 영역 내에 배열될 때 가열 출력 분포의 균질성의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히 유리하고, 탈코팅된 또는 무코팅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판유리의 중심에 배열된다.
또한, 이것은 전기 가열 영역의 중심에서의 집전체 사이의 거리 h1가 전기 가열 영역의 바깥쪽 에지 상에서의 집전체 사이의 거리 h2보다 클 때 특히 유리하다. 물론, 탈코팅된 또는 무코팅 영역은 또한 h2에 비해 더 큰 거리 h1을 갖게 조합될 수 있다.
제1 집전체 및 제2 집전체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3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4 mm 내지 20 mm, 특히 10 mm 내지 20 mm이다. 더 얇은 집전체는 작동 중에 지나치게 높은 전기 저항을 초래하고, 이러해서, 집전체의 지나치게 높은 가열을 초래한다. 게다가, 더 얇은 집전체는 인쇄 기술, 예컨대 스크린인쇄를 이용해서 어렵게 제조될 수 있을 뿐이다. 더 두꺼운 집전체는 바람직하지 않게 높은 물질 이용을 요구한다. 게다가, 더 두꺼운 집전체는 판유리의 반대편이 비치는 영역의 지나치게 큰 비심미적(un-aesthetic) 제한을 초래한다. 집전체의 길이는 전기 가열 영역의 규모(extent)에 의해 좌우된다. 전형적으로 스트립 형태로 구현되는 집전체의 경우, 그의 치수 중 더 긴 치수를 길이라고 부르고, 그의 치수 중 덜 긴 치수를 폭이라고 부른다. 추가의 집전체가 존재해야 하는 경우, 이것들은 훨씬 더 얇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6 mm 내지 5 mm이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집전체는 인쇄되어 소성된 전도성 구조로서 구현된다. 인쇄된 집전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금속, 금속 합금, 금속 화합물, 및/또는 탄소, 특히 바람직하게는 귀금속, 특히 은을 함유한다. 인쇄 페이스트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입자, 금속 입자, 및/또는 탄소, 특히 귀금속 입자, 예컨대 은 입자를 함유한다. 전기 전도도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입자에 의해 달성된다. 입자는 유기 및/또는 무기 매트릭스, 예컨대 페이스트 또는 잉크, 바람직하게는 유리 프릿을 갖는 인쇄 페이스트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된 집전체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20 ㎛,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내지 12 ㎛이다. 이 두께를 갖는 인쇄된 집전체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집전체의 비저항 ρa는 바람직하게는 0.8 μohm·cm 내지 7.0 μohm·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μohm·cm 내지 2.5 μohm·cm이다. 이 범위의 비저항을 갖는 집전체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별법으로, 그러나, 집전체는 또한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집전체는 예를 들어 적어도 알루미늄, 구리, 주석도금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그의 합금을 함유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다. 이 두께를 갖는 전기 전도성 호일로 제조된 집전체는 실현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유리한 전류 운반 용량을 갖는다. 스트립은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를 통해,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통해, 또는 직접 놓기에 의해 전기 전도성 구조에 전기 전도성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는 제1 판유리를 포함하고, 제1 판유리 상에 전기 전도성 코팅이 배열된다. 전기 전도성 코팅의 물질에 의존해서, 그 코팅을 보호 코팅, 예를 들어 바니시, 중합체 필름, 및/또는 제2 판유리로 보호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전기 전도성 코팅이 위에 배열된 제1 판유리의 표면이 열가소성 중간 층을 통해 제2 판유리에 면결합으로(areally) 결합된다. 별법으로, 전기 전도성 코팅은 제1 판유리 상에 배열될 수 있고, 그것이 캐리어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상에 형성되고, 이것이 중간 층, 예를 들어 폴리비닐 부티랄 (PVB) 필름을 통해 제1 판유리에 결합된다.
원칙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제조 및 이용 조건 하에서 열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치수적으로 안정한 모든 전기 절연 기판이 제1 판유리 및 임의로, 제2 판유리로서 적당하다.
제1 판유리 및/또는 제2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또는 맑은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강직성 맑은 플라스틱,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제1 판유리 및/또는 제2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모터 차량의 앞유리창 또는 뒷 창문으로서 판유리의 용도 또는 높은 광 투과율이 요망되는 다른 용도를 위해 투명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명"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70% 초과의 투과율을 갖는 판유리를 의미한다. 그러나, 운전자의 교통-관련 시야부 내에 위치하지 않는 판유리, 예를 들어 루프 패널의 경우에는, 투과율이 훨씬 낮을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과일 수 있다.
판유리의 두께는 폭넓게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해서 개개의 경우의 요건에 탁월하게 맞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터 차량 유리에는 1.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1.4 mm 내지 2.5 mm의 표준 두께를 갖는 판유리가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가구, 가전제품 및 건물, 특히 전기 히터에는 4 mm 내지 25 mm의 표준 두께를 갖는 판유리가 이용된다. 판유리의 크기는 폭넓게 다양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용도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 제1 판유리 및 임의로, 제2 판유리는 예를 들어 모터 차량 산업 및 건축 부문에서는 200 ㎠ 내지 20 ㎡의 통례적인 면적을 갖는다.
판유리는 임의의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형상은 음영 구역을 갖지 않고, 이렇게 해서 그것은 예를 들어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은 평면일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공간 방향에서 약간 또는 크게 굽을 수 있다. 특히, 평면형 기판이 이용된다. 판유리는 무색 또는 유색일 수 있다.
다수의 판유리가 적어도 하나의 중간 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 (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를 함유한다. 그러나, 열가소성 중간 층은 또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PU),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PE), 폴리카르보네이트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세테이트 수지, 캐스팅 수지, 아크릴레이트, 플루오린화 에틸렌 프로필렌,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그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함유한다. 열가소성 중간 층은 하나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또는 심지어, 차곡차곡 쌓아 올려 배열된 복수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5 mm 내지 1 mm, 전형적으로 0.38 mm 또는 0.76 mm이다.
제1 판유리, 제1 중간 층 및 제2 판유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에서는, 전기 전도성 코팅이 직접 제1 판유리 상에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또는 중간 층 그 자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는 각 경우에 내표면 및 외표면을 갖는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의 내표면은 서로를 향해 향하고, 열가소성 중간 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의 외표면은 서로 반대쪽으로 향하고 열가소성 중간 층 반대쪽으로 향한다. 전기 전도성 코팅은 제1 판유리의 내표면 상에 형성된다. 물론, 또한, 또 다른 전기 전도성 코팅이 제2 판유리의 내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유리의 외표면이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에서 두 판유리를 구별하기 위해 선택된다. 기하학적 배열에 관한 진술이 그 용어와 관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가 예를 들어 모터 차량 또는 건물의 개구에 내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1 판유리가 내부 쪽으로 또는 외부 환경 쪽으로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코팅은 예를 들어 DE 20 2008 017 611 U1, EP 0 847 965 B1, 또는 WO2012/052315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것은 전형적으로 1개, 또는 복수,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전기 전도성 기능성 층을 함유한다. 기능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예를 들어 은, 금, 구리, 니켈, 및/또는 크롬,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금속,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금속을 함유한다. 기능성 층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은-함유 합금을 함유한다. 그러한 기능성 층은 특히 유리한 전기 전도도를 가지고, 동시에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높은 투과율을 갖는다. 기능성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8 nm 내지 25 nm이다. 기능성 층의 두께의 이 범위에서,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유리하게 높은 투과율 및 특히 유리한 전기 전도도가 얻어진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1개의 유전 층이 각 경우에 전기 전도성 코팅의 2개의 인접하는 기능성 층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또 다른 유전 층이 첫 번째 기능성 층 아래에 및/또는 마지막 기능성 층 위에 배열된다. 유전 층은 유전 물질로 제조된, 예를 들어 질화물, 예컨대 규소 질화물 또는 산화물, 예컨대 알루미늄 산화물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층을 함유한다. 그러나, 유전 층은 또한 복수의 개개의 층, 예를 들어 개개의 유전 물질 층, 평활 층, 정합 층, 차단 층, 및/또는 반사방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nm 내지 200 nm이다.
이 층 구조는 일반적으로 진공 방법, 예컨대 자기장 증진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수행되는 일련의 침착 절차에 의해 얻어진다.
다른 적당한 전기 전도성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인듐 주석 산화물 (ITO), 플루오린-도핑된 주석 산화물 (SnO2:F), 또는 알루미늄-도핑된 아연 산화물 (ZnO:Al)을 함유한다.
원칙적으로, 전기 전도성 코팅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의도된 임의의 코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가 예를 들어 창문 부문의 판유리의 경우처럼 그것을 통한 가시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코팅이 투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복사선에 대해 투명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300 nm의 파장의 전자기 복사선, 특히 가시광에 대해 투명하다.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은 2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의 총 두께를 갖는 1개의 층이거나 또는 복수의 개개의 층의 층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유리한 전기 전도성 코팅은 0.4 ohm/sq 내지 10 ohm/sq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성 코팅은 0.5 ohm/sq 내지 1 ohm/sq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그러한 시트 저항을 갖는 코팅은 12 V 내지 48 V의 전형적인 온보드 전압으로 모터 차량 판유리를 가열하거나 또는 전기 차량의 경우 500 V 이하의 전형적인 온보드 전압으로 가열하기에 특히 적당하다.
전기 전도성 코팅은 제1 판유리의 전체 표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별법으로, 또한, 전기 가열 층이 제1 판유리의 표면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 있다. 전기 가열 층은 바람직하게는 제1 판유리의 내표면의 적어도 50%에 걸쳐,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에 걸쳐,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에 걸쳐 연장된다.
전기 전도성 코팅은 전기 가열 영역 내에 및/또는 전기 가열 영역 밖에 1개의 또는 복수의 비코팅된, 탈코팅된, 또는 무코팅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영역은 전자기 복사선, 예를 들어 적외 복사선 또는 레이더 파에 대해 특히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창 또는 통신창으로 알려져 있다.
복합 판유리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제1 판유리의 내표면은 전기 전도성 코팅이 제공되지 않은 2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20 mm의 폭 r을 갖는 주변 에지 영역을 갖는다. 그래서, 전기 전도성 코팅이 분위기와 접촉하지 않고, 판유리의 내부에서 유리하게 열가소성 중간 층에 의해 손상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집전체들은 1개의 또는 복수의 공급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공급선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호일 전도체 (편평 전도체, 편평-밴드 전도체)로서 구현된다. 이것은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전기 전도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구리, 주석도금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또는 그의 합금을 함유하거나 또는 그것으로 제조된 스트립 또는 밴드이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2 mm 내지 16 mm의 폭 및 0.03 mm 내지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호일 전도체는 절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기재, 외피를 가질 수 있다. 판유리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과 접촉하기에 적당한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불과 0.3 mm의 총 두께를 갖는다. 그러한 얇은 호일 전도체는 개개의 판유리 사이에서 열가소성 중간 층 내에 수월하게 매립될 수 있다.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다수의 전도성 층이 하나의 호일 전도체 스트립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별법으로, 또한, 얇은 금속 와이어가 전기 공급선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는 특히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들 금속 중 적어도 2종의 합금을 함유한다. 합금은 또한 몰리브데넘, 레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또는 백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는, 전기 공급선이 접촉 밴드에 예를 들어 땜납 컴파운드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해서 연결된다. 그래서, 접촉 밴드가 집전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접촉 밴드는 공급선의 연장이고, 이렇게 해서 접촉 밴드와 집전체 사이의 연결 표면은 접촉 표면으로부터의 거리 a가 집전체의 긴 방향으로 진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 표면을 의미한다.
접촉 밴드는 유리하게 집전체의 전류 운반 용량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집전체와 공급선 사이의 접촉 지점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이 접촉 밴드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이미 형성된 집전체에 공급선이 연결될, 예를 들어 납땜될 필요 없기 때문에, 접촉 밴드는 전기 공급선에 의한 집전체의 전기적 접촉을 단순화한다.
접촉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금속,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 주석도금 구리, 은, 금, 알루미늄,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을 포함한다. 이것은 접촉 밴드의 전기 전도도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접촉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1종의 또는 복수의 언급된 원소 및 임의로, 다른 원소를 함유하는 합금, 예를 들어 황동 또는 청동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얇은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구현된다. 접촉 밴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200 ㎛,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100 ㎛이다. 이 두께를 갖는 호일은 제조하기가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쉽게 입수가능하고, 추가로, 유리하게 낮은 전기 저항을 갖는다.
접촉 밴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40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00 mm, 특히 20 mm 내지 60 mm이다. 이것은 접촉 밴드의 좋은 취급에 관해서 및 전기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집전체와 접촉 밴드 사이의 충분히 큰 접촉 표면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접촉 밴드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4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30 mm이다. 이것은 접촉 밴드와 집전체 사이의 접촉 표면 및 접촉 밴드와 전기 공급선의 간단한 연결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접촉 밴드의 "길이" 및 "폭"이라는 표현은 각 경우에 집전체의 길이 또는 폭을 나타내는 동일한 확장 방향에서의 치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접촉 밴드는 집전 레일과 직접적 전표면 접촉을 한다. 이 목적으로, 접촉 밴드는 집전체 상에 놓인다. 특별한 이점은 판유리의 간단한 제조 및 접촉 표면으로서 접촉 밴드의 전체 표면의 이용에 있다.
접촉 밴드는 간단히 집전체 상에 놓일 수 있고, 적층된 판유리 내부에 의도된 위치에 내구성 있게 안정하게 고정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적어도
(a) 표면(III), 길이 l1을 갖는 제1 밑변부 및 길이 l2를 갖는 제2 밑변부, 및 0.70 : 1 내지 0.98 : 1의 밑변부의 길이의 비 v (여기서, v = l1 : l2)를 갖는 실질적 사다리꼴 제1 판유리를 제조하고,
(b) 제1 판유리의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 상에 전기 전도성 코팅을 형성하고,
(c) 전기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가 제1 판유리의 제1 밑변부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전기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가 제1 판유리의 제2 밑변부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며 주어진 비 v에서 가열 영역의 제1 밑변부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의 제2 밑변부의 길이 b2의 비 b1 : b2가 v : 0.99 내지 v : 0.50으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 사다리꼴 전기 가열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에 의해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할하고,
(d) 가열 전류의 전류 경로가 집전체 사이에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 영역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에 연결되는, 전압원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집전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판유리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 (b)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의 형성은 알려진 그 자체의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자기장 증진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판유리의 간단하고 빠르고 경제적이고 균일한 코팅에 관해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또한, 전기 전도성 코팅은 예를 들어 증착, 화학 증착 (CVD), 플라즈마 증진 화학 증착 (PECVD), 또는 습식 화학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유리는 방법 단계 (a) 또는 (b) 후에 온도 처리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는,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갖는 제1 판유리가 적어도 2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0℃의 온도로 가열된다. 온도 처리는 전기 전도성 코팅의 투과율을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 전기 전도성 코팅의 시트 저항을 감소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방법 단계 (b) 후에 제1 판유리를 전형적으로 500℃ 내지 700℃의 온도에서 굽힐 수 있다. 편평 판유리를 코팅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더 간단하기 때문에, 이 접근법은 제1 판유리를 굽혀야 할 때 유리하다. 그러나, 별법으로, 전기 전도성 코팅이 굽힘 공정을 손상 없이 견뎌내기에 적당하지 않을 때는 또한 제1 판유리를 방법 단계 (b) 전에 굽힐 수 있다.
방법 단계 (d)에서 집전체의 형성은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인쇄 방법으로 또는 잉크젯 방법으로 전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소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별법으로, 집전체는 전기 전도성 코팅 상에 바람직하게는 놓인, 납땜된 또는 접착 결합된 전기 전도성 호일의 스트립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인쇄 방법에서는, 금속 입자를 갖는 인쇄 페이스트가 프레싱되어 통과하는 직물을 마스킹함으로써 횡방향 형상화(lateral shaping)를 달성한다. 마스킹의 적당한 형상화에 의해서, 예를 들어 집전체의 폭을 특히 간단히 명기할 수 있고 변화시킬 수 있다.
방법 단계 (c)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에 개개의 분리선의 탈코팅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빔을 이용해서 달성된다. 얇은 금속 필름의 패터닝 방법은 예를 들어 EP 2 200 097 A1 또는 EP 2 139 049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탈코팅부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10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특히 70 ㎛ 내지 140 ㎛이다. 이 범위에서, 레이저 빔에 의한 특히 깨끗하고 잔류물이 없는 탈코팅이 일어난다. 레이저 빔에 의한 탈코팅은 탈코팅된 선이 광학적으로 그다지 눈에 띄지 않고 판유리를 통한 외관 및 가시성을 아주 조금 손상시키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레이저 절개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선의 탈코팅은 레이저 빔으로 선을 따라서 여러 번 통과함으로써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공정 기간 및 비용은 선 폭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한다. 별법으로, 탈코팅은 기계적 제거에 의해 뿐만 아니라 화학적 또는 물리적 에칭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개선은 적어도 다음 추가 단계:
(e) 제1 판유리의 코팅된 표면 상에 열가소성 중간 층을 배열하고, 열가소성 중간 층 상에 제2 판유리를 배열하는 단계, 및
(f)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를 열가소성 중간 층을 통해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방법 단계 (e)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 판유리를 전기 전도성 코팅이 제공된 그의 표면 중 한 표면이 열가소성 중간 층 쪽으로 향하도록 배열한다. 이러해서, 그 표면은 제1 판유리의 내표면이 되고, 전기 전도성 코팅이 밀폐 봉지되고 보호된다.
열가소성 중간 층은 단일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또는 심지어, 차곡차곡 위로 쌓여 면결합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방법 단계(f)에서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 하에서 달성된다. 알려진 방법 그 자체가 판유리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른바 오토클레이브 방법이 예를 들어 대략 10 bar 내지 15 bar의 승압 및 130℃ 내지 145℃의 온도에서 대략 2 시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알려져 있는 그 자체의 진공 백 또는 진공 링 방법은 예를 들어 대략 200 mbar 및 80℃ 내지 110℃에서 가동된다. 또한, 제1 판유리, 열가소성 중간 층, 및 제2 판유리를 캘린더에서 적어도 한 쌍의 롤러 사이에서 프레싱하여 판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유형의 시스템이 판유리 제조를 위해 알려져 있고, 보통은 프레싱 플랜트로부터 상류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 터널을 갖는다. 프레싱 절차 동안의 온도는 예를 들어 40℃ 내지 150℃이다. 특히, 실제로는 캘린더 및 오토클레이브 방법의 조합이 그의 가치를 입증한다. 별법으로, 진공 적층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1개의 또는 복수의 가열가능하고 진공화가능한 챔버로 이루어지고, 이 챔버 내에서 0.01 mbar 내지 800 mbar의 감소된 압력 및 80℃ 내지 170℃의 온도에서 예를 들어 대략 60분 이내에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가 적층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건물에서, 특히 입구 영역, 창문 영역, 지붕 영역, 또는 파사드 영역에서, 가구 및 가전 제품의 빌트인 성분으로서,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수단에서, 특히 열차, 선박 및 모터 차량에서, 예를 들어 앞유리창, 뒷 창문, 옆 창문, 및/또는 루프 패널로서 전기적 접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용도를 포함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을 도면 및 범례적인 실시양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개략적 표현이고, 비율에 충실하지 않는다. 도면은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a는 전기 가열 층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실시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판유리를 통하는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a는 비교예로서 선행 기술의 판유리의 상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비교예의 온도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온도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양태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1a는 전기 가열 영역(3)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범례적인 실시양태의 상면도를 묘사한다. 도 1b는 절단선 A-A'에 따라 절단된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단면도를 묘사한다. 판유리(100)는 열가소성 중간 층(4)을 통해 서로 결합된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를 포함한다.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모터 차량 판유리, 특히 승용차의 앞유리창이다. 제1 판유리(1)는 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 쪽으로 향하도록 의도된다.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는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된다. 제1 판유리(1)의 두께는 예를 들어 1.6 mm이고, 제2 판유리(2)의 두께는 2.1 mm이다. 열가소성 중간 층(4)은 폴리비닐 부티랄 (PVB)로 제조되고, 0.76 mm의 두께를 갖는다. 전기 전도성 코팅(6)이 제1 판유리(1)의 내표면(III) 상에 형성된다. 전기 전도성 코팅(6)은 유전 층에 의해 서로 분리된 예를 들어 3개의 전기 전도성 은 층을 함유하는 층 시스템이다. 전류가 전기 가열 영역(3)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6)을 통해 흐를 때, 전기 전도성 코팅이 그의 전기 저항 및 줄 가열 때문에 가열된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 코팅(6)은 판유리(100)의 능동 가열에 이용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코팅(6)은 예를 들어 10 mm의 폭 r을 갖는 주변의 프레임형 비코팅된 영역, 이른바 에지 탈코팅부(8)를 뺀 제1 판유리(1)의 전체 표면(III)에 걸쳐 연장된다. 에지 탈코팅부(8)는 전압 운반 전기 전도성 코팅(6)과 모터 차량 차체 사이의 전기 절연에 쓰인다. 전기 전도성 코팅(6)을 손상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에지 탈코팅부(8)의 영역이 중간 층(4)과의 접착 결합에 의해 허메틱 밀봉된다.
전기적 접촉을 위해, 각 경우에서, 전기 가열 영역(3)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6) 상에 판유리(100)의 상부 에지 영역에 제1 집전체(5.1)가 배열되고, 하부 에지 영역에 또 다른 제2 집전체(5.2)가 배열된다. 집전체(5.1, 5.2)는 예를 들어 은 입자를 함유하고, 스크린인쇄 방법에 의해 형성된 후 소성된다. 묘사된 예에서는, 집전체(5.1, 5.2)가 예를 들어 대략 10 ㎛의 일정한 두께 및 예를 들어 2.3 μohm·cm의 일정한 비저항을 갖는다.
전기 가열 영역(3)은 사다리꼴 윤곽을 갖는 분리선(9)에 의해 전기 전도성 코팅(6)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할된다. 이것은 분리선(9)이 전기 가열 영역(3)에서의 전기 전도성 코팅(6)을 전기 전도성 코팅(6)으로부터 갈바니 격리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 상에 배열되는 집전체(5.1)는 예를 들어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을 가지고, 전기 가열 영역(3)의 하부 제2 밑변부(3.2) 상에 배열되는 집전체(5.2)는 여기서는 예를 들어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를 갖는다.
묘사된 범례적인 실시양태에서,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1.1)의 길이 l1은 예를 들어 900 mm이고, 제2 밑변부(1.2)의 길이 l2는 예를 들어 1000 mm이다. 이러해서, 길이의 비 v인 l1 : l2는 v = 900 mm : 1000 mm = 0.90 : 1 = 0.90이다.
이 예에서, 분리선(9)은 여기서는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이 b1 = 880 mm이도록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에 총 2 x 10 mm = 20 mm의 왼쪽 및 오른쪽 에지 탈코팅부의 폭을 더한 것이 제1 판유리(1)의 두 밑변부 중 짧은 밑변부의 길이 l1에 상응하고, 다시 말해서 l1 = b1 + 2 x 10 mm이다.
이 예에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는 b2 = 910 mm이다. 이러해서, b1 : b2의 비 = 880 mm : 910 mm = 0.97.
따라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는 0.97의 길이의 비 b1 : b2가 v : 0.99 (= 0.90 : 0.99 = 0.91) 내지 v : 0.50 (= 0.90 : 0.50 = 1.8)의 범위 내이도록 선택된다. 0.97의 길이의 비 b1 : b2는 실제로 v : 0.99 (= 0.90 : 0.99 = 0.91) 내지 0.99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범위 내이다.
전기 전압을 집전체(5.1, 5.2)에 인가할 때, 집전체(5.1, 5.2) 사이의 전기 가열 영역(3)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6)을 통해 전류 경로(11)를 따라서 균일한 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예를 들어, 공급선(7)이 각 집전체(5.1, 5.2) 상에 대략 중심에 배열된다. 공급선(7)은 알려진 그 자체의 호일 전도체이다. 공급선(7)은 예를 들어 납땜 컴파운드에 의해, 전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또는 판유리(100) 내부에 간단히 놓기 및 압력에 의해 접촉 표면을 통해 집전체(5.1, 5.2)에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호일 전도체는 예를 들어 10 mm의 폭 및 0.3 mm의 두께를 갖는 주석도금 구리 호일을 함유한다. 전기 공급선(7)을 통해, 집전체(5.1, 5.2)가 모터 차량에 통례적인 온보드 전압, 바람직하게는 12V 내지 15 V, 예를 들어 대략 14V를 제공하는 전압원(14)에 연결 케이블(13)을 통해 연결된다. 별법으로, 전압원(14)은 또한 더 높은 전압, 예를 들어 35V 내지 45V, 특히 42V를 가질 수 있다.
0.97의 본 발명에 따른 비 b1 : b2의 선택에 의해, 전체 전기 전도성 코팅(6)이 가열되는 선행 기술의 판유리에 비해 전기 가열 영역(3)에 가열 출력 분포의 균질성의 상당한 개선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b는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분리선(9)은 예를 들어 100 ㎛의 폭 d를 가지고, 예를 들어 레이저 패터닝에 의해 전기 전도성 코팅(6)에 도입된다. 그러한 낮은 폭을 갖는 분리선(9)은 시각적으로 거의 인식할 수 없고, 판유리(100)를 통한 가시성을 아주 조금 방해하고, 이것은 특히 모터 차량에서의 응용을 위해 운전 안전에 특별히 중요하다.
차단 인쇄물로서 알려진 그 자체의 불투명한 색 층에 의해, 집전체(5.1, 5.2)의 영역이 관찰자에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 인쇄물(여기에는 나타내지 않음)은 예를 들어 제2 판유리(2)의 내표면(II) 상에 프레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는 선행 기술의 판유리(100)를 묘사한다. 판유리(100)는 열가소성 중간 층(4)을 통해 서로 결합된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를 포함한다. 판유리(100)는 예를 들어 모터 차량 판유리, 특히 승용차의 앞유리창이다. 제1 판유리(1)는 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 쪽으로 향하도록 의도된다.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는 소다 석회 유리로 제조된다. 제1 판유리(1)의 두께는 예를 들어 1.6 mm이고, 제2 판유리(2)의 두께는 2.1 mm이다. 열가소성 중간 층(4)은 폴리비닐 부티랄 (PVB)로 제조되고, 0.76 mm의 두께를 갖는다. 도 1a의 전기 전도성 코팅(6)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전기 전도성 코팅(6)이 제1 판유리(1)의 내표면(III) 상에 형성된다. 도 1a와 대조적으로, 도 2a에서 판유리(100)의 하부 에지에 배열된 제2 집전체(5.2)는 오직 1개의 공급선 대신에 2개의 공급선(7)을 갖는다.
게다가, 도 2a의 선행 기술 판유리(100)는 전기 전도성 코팅(6)에 분리선(9)이 도입되지 않고; 따라서, 전기 가열 영역(3)이 전기 전도성 코팅(6)의 전체 영역에 상응한다는 점에서 도 1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와 상이하다.
묘사된 선행 기술 비교예에서는,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1.1)의 길이 l1이 예를 들어 1220 mm이고, 제2 밑변부(1.2)의 길이 l2가 예를 들어 1440 mm이다. 이러해서, 길이의 비 v인 l1 : l2는 v = 1220 mm : 1440 mm = 0.85 : 1 = 0.85이다.
선행 기술 비교예에서는, 분리선에 의한 분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 가열 영역(3)이 전기 전도성 코팅(6)의 전체 영역에 상응한다. 따라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이 b1 = 1200 mm이고,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가 b2 = 1420 mm이고, 에지 탈코팅부(8)의 폭 r = 10 mm이다. 이러해서, 비는 b1 : b2 = 1200 mm : 1420 mm = 0.85이다. 이러해서, 0.85의 길이의 비 b1 : b2는 v : 0.99 (= 0.85 : 0.99 = 0.86) 내지 v : 0.50 (= 0.85 : 0.50 = 1.69)의 본 발명에 따른 범위 밖이다.
묘사된 비교예에서는, 전기 가열 층(3)이 판유리의 상부 1/3에서 판유리의 폭의 대략 중심에 통신창으로 쓰일 수 있는 3개의 무코팅 영역(12)을 갖는다.
판유리는 상부 에지 상에 제1 집전체(5.1)를 갖는다. 전류가 공급선(7)을 통해 이 제1 집전체(5.1) 내로 급송된다. 전류는 전기 가열 영역(3)을 통해 판유리(100)의 하부 영역에 배열된 제2 집전체(5.2) 내로 흐른다. 제2 집전체(5.2)는 그의 오른쪽 말단에서 및 그의 왼쪽 말단에서 각 경우에서 1개의 공급선(7)에 연결된다. 집전체(5.1, 5.2)는 예를 들어 16 mm의 폭 및 10 ㎛의 두께를 갖는다. 전기 전도성 코팅(6)은 예를 들어 0.9 ohm/sq의 시트 저항을 갖는다. 유한 요소 시뮬레이션을 위해, 하부 공급선(7)과 상부 공급선(7) 사이의 14V의 전압 및 22℃의 주변 온도를 가정한다. 추가로, 시뮬레이션에서는 12분의 가열 시간을 가정한다.
도 2b는 도 2a의 선행 기술 비교예의 온도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묘사한다. 공급선(7)의 위치는 화살표로 나타낸다. 온도 분포가 특히 임계 중심 시야부(10)에서 불균일하다. 중심 시야부(10)의 하부 에지에서, 비교예에 따른 판유리(100)는 T4 = 30.0℃ 내지 32.5℃의 아주 낮은 온도를 갖는다. 상부 왼쪽 및 오른쪽 귀퉁이에서는, 대조적으로 온도가 T6 = 35.0℃ 내지 37.5℃의 범위내이다. 빠르고 균일한 제빙 및 김 제거 기능을 위해서는, 더 균일한 온도 분포가 필요하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상면도를 묘사한다. 제1 판유리(1), 제2 판유리(2), 전기 전도성 코팅(6), 열가소성 중간 층(4), 및 외부 공급선(7)은 도 2a에서처럼 구성된다. 도 2a의 선행 기술 비교예와의 본질적인 차이는 분리선(9)에 의해 전기 가열 영역(3)이 전기 전도성 코팅(6)으로부터 분리된다는 점이다. 이 분리선(9)은 제1 집전체(5.1)로부터 대향하는 제2 집전체(5.2)로의 전류 흐름을 제한한다. 다음 시뮬레이션이 묘사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임계 중심 시야부(10)에서 가열 출력 분포 및 온도 분포의 균질화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분리선(9)은 레이저 패터닝에 의해 전기 가열 층(3)에 도입된다. 개개의 분리선(9)의 폭은 예를 들어 100 ㎛이고, 그 결과로 판유리(100)를 통한 가시성 및 그의 시각적 외관이 최소한으로만 영향 받는다.
묘사된 범례적인 실시양태에서는,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1.1)의 길이 l1이 예를 들어 1220 mm이고 제2 밑변부(1.2)의 길이 l2가 예를 들어 1440 mm이며, 도 2a의 비교예에 상응한다. 이러해서, 길이의 비 v인 l1 : l2는 v = 1220 mm : 1440 mm = 0.85 : 1 = 0.85이다.
이 예에서, 분리선(9)은 여기서는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가 b1 = 1200 mm이도록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에 총 2 x 10 mm = 20 mm의 왼쪽 및 오른쪽 에지 탈코팅부의 폭을 더한 것이 제1 판유리(1)의 두 밑변부(3.1, 3.2) 중 짧은 밑변부의 길이 l1에 상응하고, 즉 l1 = b1 + 2 x 10 mm이다.
이 예에서, 마찬가지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는 b2 = 1200 mm이다. 이러해서, b1 : b2의 비 = 1200 mm : 1200 mm = 1.00.
따라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는 1.00의 길이의 비 b1 : b2가 v : 0.99 (= 0.85 : 0.99 = 0.86) 내지 v : 0.50 (= 0.85 : 0.50 = 1.69)의 본 발명에 따른 범위 내이도록 선택된다.
도 3b는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온도 분포의 시뮬레이션을 묘사한다. 12분 후, 전체 중심 시야부(10)에 걸쳐 T5 = 32.5℃ 내지 35.0℃의 온도를 갖는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는다. 날씨-관련 결빙 또는 결로의 경우, 짧은 시간 내에 중심 시야부(10) 전부에서 결빙 또는 결로가 완전히 제거될 것이고, 판유리를 통한 손상되지 않은 가시성이 야기될 것이다.
표 1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요약한다.
<표 1>
Figure 112017021503946-pct00001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는 도 2a의 비교예의 선행 기술 판유리(100)와 비교해서 분명히 개선된 가열 특성을 제공한다.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350.9 W/㎡과 비교해서 비교예의 351.5 W/㎡의 전기 가열 영역(3)에서의 거의 동일한 평균 비 가열 출력(specific heating power)으로,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는 비교예보다 더 균일하고 더 높은 중요 중심 시야부(10)의 가열을 갖는다.
특히, 임계 중심 시야부(10)에서, 시뮬레이션 조건 하에서 선행 기술 판유리는 하부 에지에서 30.0℃ 내지 32.5℃의 온도 T4 및 상부 왼쪽 및 오른쪽 귀퉁이에서 35.0℃ 내지 37.5℃의 온도를 갖는 넓은 영역을 갖는다. 이 불균질성은 중심 시야부(10)에서 판유리(100)의 오로지 불만족스러운 제빙 및 김 제거 기능을 초래한다. 중심 시야부(10)에서 가열 특성은 겨울철 날씨 조건 하에서 판유리(100)를 통한 빠르고 문제 없는 가시성을 보장하기에 불충분하다.
도 3a의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는 임계 중심 시야부(10)에서 개선된 가열 특성을 갖는다. 이러해서, 비교예에서와 동일한 12분의 기간 후, 시뮬레이션은 전체 중심 시야부(10)에서 32.5℃ 내지 35.0℃의 평균 온도 T5로 균일한 가열을 야기한다. 작은 폭의 분리선(9)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를 통한 가시성이 최소한으로 손상될 뿐이고, 모터 차량 글레이징의 요건을 만족시킨다.
이 결과는 관련 분야 기술자에게 예상 밖이고 놀라운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상면도를 묘사한다. 전기 전도성 코팅(6)을 갖는 제1 판유리(1)는 그의 구조 및 그의 치수에 있어서 도 1a의 판유리(100)에 상응하고, 여기서는 분리선(9)의 상이한 루트 설정(routing)에 의해 전기 가열 영역(3)만 상이하게 구현된다. 게다가, 전기 전도성 코팅(6)은 전기 가열 영역(3)에 3개의 무코팅 영역(12)을 가지고, 이 무코팅 영역들은 제1 판유리(1)의 상부 영역에 밑변부(1.1, 1.2)에 대해 거의 중심에 배열된다.
묘사된 범례적인 실시양태에서는, 도 1a에서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1.1)의 길이 l1이 예를 들어 900 mm이고, 제2 밑변부(1.2)의 길이 l2가 예를 들어 1000 mm이다. 이러해서, 길이의 비 v인 l1 : l2는 v = 900 mm : 1000 mm = 0.90 : 1 = 0.90이다.
이 예에서, 분리선(9)은 여기서는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이 b1 = 880 mm이도록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에 총 2 x 10 mm = 20 mm의 왼쪽 및 오른쪽 에지 탈코팅부(8)의 폭을 더한 것이 제1 판유리(1)의 두 밑변부 중 짧은 밑변부의 길이 l1에 상응하고, 즉 l1 = b1 + 2 x 10 mm이다.
도 1a와 대조적으로, 이 예에서는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가 b2 = 800 mm이다. 이러해서, 비는 b1 : b2 = 880 mm : 800 mm = 1.10이다.
따라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역에서 1.10의 길이의 비 b1 : b2가 v : 0.99 (= 0.90 : 0.99 = 0.91) 내지 v : 0.50 (= 0.90 : 0.50 = 1.8)이도록 선택된다.
1.10의 길이의 비 b1 : b2는 실제로 1.01 내지 v : 0.50 (= 0.90 : 0.50 = 1.80)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 해결책이 전기 가열 영역(3)이 무코팅 영역(12)을 가질 때 전기 가열 영역(3)에 특히 균질한 가열 출력 분포를 초래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의 또 다른 실시양태의 상면도를 묘사한다. 전기 전도성 코팅(6)을 갖는 제1 판유리(1)는 그의 구조 및 그의 치수에 있어서 도 3a의 판유리에 상응하고, 여기서는 분리선(9)의 상이한 루트 설정에 의해 전기 가열 영역(3)만 상이하게 구현된다.
묘사된 전형적인 실시양태에서는, 전기 가열 영역(3)의 중심에서의 집전체(5.1, 5.2) 사이의 거리 h1이 전기 가열 영역(3)의 바깥쪽 에지 상에서의 집전체(5.1, 5.2) 사이의 거리 h2보다 크다. 거리 h1은 예를 들어 900 mm이고, 거리 h2는 800 mm이다.
묘사된 전형적인 실시양태에서는, 도 3a의 비교예에서처럼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1.1)의 길이 l1이 예를 들어 1220 mm이고, 제2 밑변부(1.2)의 길이 l2가 예를 들어 1440 mm이다. 이러해서, 길이의 비 v인 l1 : l2는 v = 1220 mm : 1440 mm = 0.85 : 1 = 0.85이다.
이 예에서, 분리선(9)은 여기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이 b1 = 1200 mm이도록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에 총 2 x 10 mm = 20 mm의 왼쪽 및 오른쪽 에지 탈코팅부의 폭을 더한 것이 제1 판유리(1)의 두 밑변부 중 짧은 밑변부의 길이 l1에 상응하고, 즉 l1 = b1 + 2 x 10 mm이다.
이 예에서는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가 b2 = 1000 mm이다. 이러해서, 비 b1 : b2 = 1200 mm : 1000 mm = 1.20.
따라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는 1.20의 길이의 비 b1 : b2가 v : 0.99 (= 0.85 : 0.99 = 0.86) 내지 v : 0.50 (= 0.85 : 0.50 = 1.69)의 본 발명에 따른 범위 내이도록 선택된다. 이러해서, 1.2의 길이의 비 b1 : b2가 실제로 1.01 내지 v : 0.50 (= 0.85 : 0.50 = 1.69)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범위 내에 속한다.
1.01 내지 v : 0.50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범위 내의 그러한 길이의 비 b1 : b2는 전기 가열 영역(3)의 중심에서의 집전체(5.1, 5.2) 사이의 거리 h1이 전기 가열 영역(3)의 바깥쪽 에지 상에서의 집전체(5.1, 5.2) 사이의 거리 h2보다 큰 전기 가열 영역(3)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전압 인가시에 b1 : b2가 본 발명에 따른 범위 밖인 선행 기술의 판유리보다 상당히 더 균질한 가열 출력 분포 및 더 균일한 온도 분포를 야기한다.
도 6은 전기에 의해 가열가능한 판유리(10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례적인 실시양태의 흐름도를 묘사한다.
분리선(9)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100)가 판유리의 특히 중요한 영역에서 상당히 개선된 가열 특성, 가열 출력 분포의 개선된 균질성 및 더 높은 온도를 갖는 더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는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분리선(9)에 의해서는 판유리(100)를 통한 가시성이 최소한으로만 손상된다.
이 결과는 관련 분야 기술자에게 예상 밖이고 놀라운 것이다.
1: 제1 판유리
1.1: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
1.2: 제1 판유리(1)의 제2 밑변부
2: 제2 판유리
3: 전기 가열 영역
3.1: 전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
3.2: 전기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
4: 열가소성 중간 층
5.1, 5.2: 집전체
6: 전기 전도성 코팅
7: 공급선
8: 에지 탈코팅부
9: 분리선
10: 영역
11: 전류 경로
12: 무코팅 영역
13: 연결 케이블
14: 전압원
100: 판유리
II: 제2 판유리(2)의 표면
III: 제1 판유리(1)의 표면
b1, b2: 전기 가열 영역(3)의 밑변부의 길이
d: 분리선(9)의 폭
l1, l2: 제1 판유리(1)의 밑변부의 길이
h1, h2: 전기 가열 영역(3)의 높이
r: 에지 탈코팅부(8)의 폭
A-A': 절단선

Claims (25)

  1. - 표면(III), 길이 l1을 갖는 제1 밑변부(1.1) 및 길이 l2를 갖는 제2 밑변부(1.2)를 가지고 밑변부(1.1, 1.2)의 길이의 비 v인 v = l1 : l2가 0.70 : 1 내지 0.98 : 1인 실질적 사다리꼴 제1 판유리(1),
    -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코팅(6),
    -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가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1.1)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가 제1 판유리(1)의 제2 밑변부(1.2)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9)에 의해 전기 전도성 코팅(6)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 사다리꼴 전기 가열 영역(3),
    - 가열 전류의 전류 경로(11)가 집전체(5.1, 5.2) 사이에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 영역(3)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6)에 연결되는, 전압원(14)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집전체(5.1, 5.2)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9)은 제1 집전체(5.1)로부터 대향하는 제2 집전체(5.2)로의 전류 흐름을 제한하고,
    상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의 비인 b1 : b2가 v : 0.99 내지 v : 0.50인,
    전기 가열 영역(3)을 갖는 판유리(100).
  2. 제1항에 있어서, b1 : b2가 v : 0.99이거나, 또는 b1 : b2가 1.01 내지 v : 0.50인 판유리(100).
  3. 제1항에 있어서, 제1 판유리(1), 또는 전기 가열 영역(3), 또는 제1 판유리(1) 및 전기 가열 영역(3)이 대칭형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 판유리(10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가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1.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것인 판유리(10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판유리(1)의 두 밑변부(1.1, 1.2) 중 짧은 밑변부의 길이가 가열 영역(3)의 바로 인접하는 밑변부(3.1, 3.2)의 길이에 에지 탈코팅부(8)의 폭 r을 더한 것에 상응하는 것인 판유리(10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선(9)의 폭 d가 30 ㎛ 내지 200 ㎛인 판유리(100).
  7. 제6항에 있어서, 분리선(9)의 폭 d가 70 ㎛ 내지 140 ㎛인 판유리(100).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전체(5)가 소성된 인쇄 페이스트로서 구현되는 판유리(100).
  9. 제8항에 있어서, 소성된 인쇄 페이스트가 금속성 입자, 또는 금속 입자, 또는 탄소 입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판유리(100).
  10. 제9항에 있어서, 소성된 인쇄 페이스트가 은 입자를 함유하는 판유리(100).
  11. 제9항에 있어서, 소성된 인쇄 페이스트가 0.8 μohm·cm 내지 7.0 μohm·cm의 비저항 ρa를 갖는 것인 판유리(100).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판유리(1)의 표면(III)이 열가소성 중간 층(4)을 통해 제2 판유리(2)에 면결합으로 결합된 것인 판유리(100).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판유리(1), 또는 제2 판유리(2), 또는 제1 판유리(1) 및 제2 판유리(2)가 유리, 편평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소다 석회 유리,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판유리(100).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코팅(6)이 투명한 판유리(100).
  15. 제14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코팅(6)이 0.4 ohm/sq 내지 10 ohm/sq의 시트 저항을 갖는 판유리(100).
  16. 제14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코팅(6)이 0.5 ohm/sq 내지 1 ohm/sq의 시트 저항을 갖는 판유리(100).
  17. 제14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코팅(6)이 은 (Ag), 인듐 주석 산화물 (ITO), 플루오린-도핑된 주석 산화물 (SnO2:F), 또는 알루미늄-도핑된 아연 산화물 (ZnO:Al)을 함유하는 것인 판유리(100).
  18.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코팅(6)이 전기 가열 영역(3) 내에 적어도 하나의 무코팅 영역(12)을 갖는 것인 판유리(10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코팅 영역(12)은 통신창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 판유리(100).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코팅 영역(12)은 제1 판유리(1)의 밑변부(1.1, 1.2)의 중심에 배열된 것인 판유리(100).
  21. 제2항에 있어서, 전기 가열 영역(3)의 중심에서의 집전체(5.1, 5.2) 사이의 거리 h1이 전기 가열 영역(3)의 바깥쪽 에지 상에서의 집전체(5.1, 5.2) 사이의 거리 h2보다 큰 것인 판유리(100).
  22. (a) 표면(III), 길이 l1을 갖는 제1 밑변부(1.1) 및 길이 l2를 갖는 제2 밑변부(1.2)를 가지며, 밑변부(1.1, 1.2)의 길이의 비 v인 v = l1 : l2가 0.70 : 1 내지 0.98 : 1인 실질적 사다리꼴 제1 판유리(1)를 제조하고,
    (b) 제1 판유리(1)의 표면(III)의 적어도 일부 상에 전기 전도성 코팅을 형성하고,
    (c)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가 제1 판유리(1)의 제1 밑변부(1.1)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가 제1 판유리(1)의 제2 밑변부(1.2)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며 가열 영역(3)의 제1 밑변부(3.1)의 길이 b1 대 가열 영역(3)의 제2 밑변부(3.2)의 길이 b2의 비인 b1 : b2가 v : 0.99 내지 v : 0.50으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 사다리꼴 전기 가열 영역(3)을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9)에 의해 전기 전도성 코팅(6)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할하고,
    (d) 집전체(5.1, 5.2) 사이에 가열 전류의 전류 경로(11)가 형성되도록 전기 가열 영역(3)에서 전기 전도성 코팅에 연결되는, 전압원(14)에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집전체(5.1, 5.2)를 형성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선(9)은 제1 집전체(5.1)로부터 대향하는 제2 집전체(5.2)로의 전류 흐름을 제한하는,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판유리(100)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분리선(9)이 레이저 패터닝에 의해 도입되는 것인,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판유리(100)의 제조 방법.
  2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유리는 육상, 공중 또는 수상 이동을 위한 수송 수단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100).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유리는 모터 차량에서의 앞유리창, 뒷 창문, 옆 판유리, 또는 루프 패널로서 뿐만 아니라 기능성 개개의 부재로서 가구, 가전제품 및 건물에서의 빌트인 성분, 전기 히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100).
KR1020177006019A 2014-09-04 2015-08-19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KR101901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3518 2014-09-04
EP14183518.1 2014-09-04
PCT/EP2015/069001 WO2016034413A1 (de) 2014-09-04 2015-08-19 Scheibe mit elektrischem heizberei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280A KR20170039280A (ko) 2017-04-10
KR101901077B1 true KR101901077B1 (ko) 2018-09-20

Family

ID=5148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019A KR101901077B1 (ko) 2014-09-04 2015-08-19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638550B2 (ko)
EP (1) EP3189706B1 (ko)
JP (1) JP2017535025A (ko)
KR (1) KR101901077B1 (ko)
CN (1) CN106416422B (ko)
BR (1) BR112017003514B1 (ko)
CA (1) CA2958706C (ko)
EA (1) EA033562B1 (ko)
ES (1) ES2701341T3 (ko)
MX (1) MX360834B (ko)
PL (1) PL3189706T3 (ko)
PT (1) PT3189706T (ko)
TR (1) TR201818863T4 (ko)
WO (1) WO2016034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1983B2 (ja) * 2014-07-29 2017-11-01 株式会社デンソー 輻射ヒータ装置
MX2019000738A (es) * 2016-07-18 2019-05-02 Saint Gobain Sistema de visualizacion superior para representar informacion de imagenes para un observador.
CN107097489A (zh) * 2017-06-06 2017-08-29 成都固泰电子有限责任公司 汽车前车门加热玻璃及加热方法
JP6869882B2 (ja) * 2017-12-21 2021-05-12 株式会社ニフコ 面状発熱体、および、車両用ウインドシールド装置
JP7162462B2 (ja) * 2018-08-02 2022-10-28 日東電工株式会社 ヒータ及びヒータ付物品
CN113170540A (zh) 2018-10-10 2021-07-23 旭硝子欧洲玻璃公司 可加热的嵌装玻璃面板
RU197515U1 (ru) * 2019-10-21 2020-05-12 Михаил Юрьевич Смирнов Лобовое стекло STOPСКОЛ автомобиля
CN112356642B (zh) * 2020-11-06 2022-05-10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加热夹层玻璃
CN113660745B (zh) * 2021-07-06 2022-06-14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总成
EP4340540A1 (de) * 2022-09-13 2024-03-20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lektrisch leitfähiger sprühschich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1230A (ja) * 2009-04-20 2010-11-04 Fujifilm Corp 電熱窓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9759A (en) 1966-07-21 1968-11-05 Libbey Owens Ford Glass Co Laminated transparent panel incorporating electrical heating wir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870005921A (ko) * 1985-12-26 1987-07-07 노부오 사수가 전도성 유리판
JPS62172660U (ko) 1986-04-24 1987-11-02
US5414240A (en) 1988-12-27 1995-05-09 Ppg Industries, Inc. Electrically heatable transparency
DE4316575C1 (de) 1993-05-18 1994-07-07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bogenen Verbundglasscheibe, insbesondere Autoglasscheibe
GB9601865D0 (en) 1996-01-30 1996-04-03 Pilkington Glass Ltd Electrically heated window
FR2757151B1 (fr) 1996-12-12 1999-01-08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comprenant un substrat muni d'un empilement de couches minces pour la protection solaire et/ou l'isolation thermique
JP2000138093A (ja) 1998-11-02 2000-05-16 Asahi Glass Co Ltd 電熱防曇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4564400A (en) 1999-05-20 2000-12-12 Glaverbel Automotive glazing panel having an electrically heatable solar control coating layer
GB0121118D0 (en) 2001-08-31 2001-10-24 Pilkington Plc Electrically heated window
US7132625B2 (en) 2002-10-03 2006-11-07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article having a configured heating member
GB0501197D0 (en) 2005-01-20 2005-03-02 Pilkington Plc Heatable vehicle glazing
US7335421B2 (en) 2005-07-20 2008-02-26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windshield
CN2891574Y (zh) 2006-03-30 2007-04-18 崔海宁 一种电加热除霜风挡玻璃
DE202008017848U1 (de) 2008-04-10 2010-09-2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und niederohmigen leitenden Schichten
DE102008029986B4 (de) 2008-06-24 2017-03-2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ES2374685T3 (es) 2008-06-25 2012-02-21 Atec Holding Ag Dispositivo de estructuración de un módulo solar.
EP2200097A1 (en) 2008-12-16 2010-06-23 Saint-Gobain Glass France S.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voltaic device and system for patterning an object
DE202008017611U1 (de) 2008-12-20 2010-04-2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Scheibenförmiges, transparentes, elektrisch beheizbares Verbundmaterial
DE102009026200A1 (de) 2009-07-17 2011-02-1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Elektrisch großflächig beheizbarer, transparenter Gegensta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EP2334141A1 (de) 2009-12-11 2011-06-15 Saint-Gobain Glass France Beschichtete Scheibe mit beheizbarem Kommunikationsfenster
KR101493577B1 (ko) * 2010-05-10 2015-02-13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가열가능한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EA025002B1 (ru) * 2010-07-07 2016-11-30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Композитное оконное стекло с электрически нагреваемым покрытием
US9526130B2 (en) 2010-09-09 2016-12-20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 panel having a heatable coating
EP2444381A1 (de) 2010-10-19 2012-04-25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e Scheibe
US10124770B2 (en) * 2011-02-16 2018-11-13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 pane with an electrical heating lay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US9491806B2 (en) 2011-09-30 2016-11-08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transparency
CN203151777U (zh) * 2012-08-24 2013-08-21 法国圣戈班玻璃公司 玻璃、夹层玻璃和汽车
CA2893808C (en) 2012-12-20 2018-08-21 Saint-Gobain Glass France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1230A (ja) * 2009-04-20 2010-11-04 Fujifilm Corp 電熱窓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3514A2 (pt) 2017-12-05
CN106416422B (zh) 2019-09-20
CA2958706C (en) 2019-12-31
EA201790523A1 (ru) 2017-06-30
US20170251526A1 (en) 2017-08-31
CA2958706A1 (en) 2016-03-10
PT3189706T (pt) 2018-12-18
TR201818863T4 (tr) 2019-01-21
WO2016034413A1 (de) 2016-03-10
EP3189706A1 (de) 2017-07-12
BR112017003514B1 (pt) 2023-05-09
ES2701341T3 (es) 2019-02-21
PL3189706T3 (pl) 2019-03-29
MX2017002786A (es) 2017-05-30
EP3189706B1 (de) 2018-09-26
JP2017535025A (ja) 2017-11-24
US10638550B2 (en) 2020-04-28
KR20170039280A (ko) 2017-04-10
EA033562B1 (ru) 2019-10-31
CN106416422A (zh) 2017-02-15
MX360834B (es)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077B1 (ko) 전기 가열 영역을 갖는 패널
US10728959B2 (en)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JP6526863B2 (ja) 電気加熱層を備えているガラス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660161B2 (en) Transparent pane having an electrical heating layer,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6351826B2 (ja) 電気加熱層を備えた透明窓板、透明窓板の製造方法及び透明窓板の使用
US10694586B2 (en) Transparent pane having a heatable coating
US20190141791A1 (en) Transparent pane with heatable coating
CN114271026A (zh) 具有用于传感器和摄像系统的可电加热的通信窗口的玻璃板
US10645761B2 (en) Transparent pane with heated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