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867A -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867A
KR20150096867A KR1020140017682A KR20140017682A KR20150096867A KR 20150096867 A KR20150096867 A KR 20150096867A KR 1020140017682 A KR1020140017682 A KR 1020140017682A KR 20140017682 A KR20140017682 A KR 20140017682A KR 20150096867 A KR20150096867 A KR 20150096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vent
image data
imag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280B1 (ko
Inventor
성동한
임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1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2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충격, 급감속 등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가 되면 소정 시간 동안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서 종료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정 이벤트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센서; 소정 영역을 대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휘발성 저장매체; 및 상기 이벤트 센서에 의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차량 움직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보관 시작 및 종료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충격, 급감속 등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가 되면 소정 시간 동안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서 종료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1가구 1자동차 시대라고 할 정도로 자동차의 보급은 상용화되었으며, 주행 중 다른 차량과의 접촉 사고, 주차 시 도난범의 차량 절도, 타인에 의한 흠집과 같은 차량 손괴 등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사고 대두에 따라 최근에는 블랙박스(Blackbox)라 불리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대중화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보관된 카메라 촬영 영상을 통해, 차량 사고 정황을 파악해, 접촉 사고의 시시비비를 가리거나, 차량 절도를 시도한 도난범의 인상 착의를 확보하거나, 차량에 어떠한 손괴가 가해졌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의 요구 증대 및 기술 발달로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4 채널(전/후/좌/우) 카메라가 장착되거나, Full-HD급 등의 고화질 카메라가 탑재되고 있으며, 수많은 영상 데이터 저장을 위한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가 탑재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촬영 영상을 녹화하면서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스마트폰에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등 각종 편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
한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상시 녹화 모드와 이벤트 녹화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시 녹화 모드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전원 공급이 시작될 때 부터 전원 공급이 종료될 때 까지 카메라에서 촬영한 모든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 등에 모두 저장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에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전원이 연결된 경우에 상시 녹화 모드에서는 주행, 주정차와 관계없이 24 시간 내내 촬영한 영상이 저장되게 된다.
이벤트 녹화 모드는 모든 영상을 항상 저장하지 않는 대신에, 카메라를 구동시켜 영상을 계속 촬영하며, G 센서로 충격 발생 여부를 센싱하다가 임계값 이상의 충격값이 센싱되면 해당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 등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종래기술의 상시 녹화 모드는 접촉 사고, 차량 절도, 차량 손괴 등 차량과 관련된 사고[이하 '차량 사고'라 통칭함]의 영상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상시 녹화 모드는 많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에 따른 저장용량 부족 문제, 최신 영상 데이터 덮어쓰기로 인한 중요한 영상 데이터 소실 문제 등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의 상시 녹화 모드는 무수히 많은 영상 데이터 저장 시 데이터 쓰기 제한 횟수가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 단축 문제가 있다. 이는 소비자가 차량 사고 영상 확보를 위해 플래시 메모리를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6개월 마다 새로 구매해 교체해야 되는 비용 지출, 번거로움을 주고 있다.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는 충격이 발생되면 해당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상시 녹화 모드에 비해 플래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는 충격 등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해당 이벤트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write)로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쓰기 횟수를 상시 녹화 모드에 비해 줄일 수 있어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는 한국기술표준원의 KS 표준에 그 규격사항이 정의되어 있는데, 충격 등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 전후 각각 15초 동안의 카메라 촬영 영상 저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벤트 전후로 30초 동안의 영상이 저장되어야 한다고 정의하고 있을 뿐, 어떠한 조건, 환경 등에서 어떤 차량 정보와 연계해 어떻게 제어 처리해 영상 저장을 시작하고 종료해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차량 주행 중에 타차와 충돌이 발생된 후에 자차는 도로를 빙글빙글 돌거나 제3의 타차에 의한 2차 사고에 당할 상황 등, 이후의 충돌 이벤트가 없는 환경에서 짧게는 수 십 초에서 길게는 수 분 동안에도 사고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충돌 이벤트 발생 후의 15초 동안의 영상만을 저장하는데, 이 15초 후가 차량 사고 종료 시점이 아닌 것이다.
따라서, 차량 주행 중에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이벤트 발생 전후 소정 시간 동안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저장하되, 차량 사고 상황을 전체적으로 종합해 파악할 수 있는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차량 사고 종료 시점의 영상까지도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충격, 급감속 등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가 되면 소정 시간 동안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서 종료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계속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면서, 차량측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부터 보관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보관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차량 움직임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로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 까지를 보관하고서 영상 데이터 보관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특정 이벤트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센서; 소정 영역을 대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휘발성 저장매체; 및 상기 이벤트 센서에 의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차량 움직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보관 시작 및 종료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이벤트(예; 차량 사고) 발생 전 부터 이벤트 발생 당시, 이벤트 발생 후 까지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어, 충분한 이벤트 영상 확보로 차량 사고 상황을 전체적으로 종합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의 시점 파악을 통해 사고 상황 종료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 이후로는 영상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저장용량 부족 문제, 데이터 덮어쓰기로 인한 중요한 영상 데이터 소실 문제, 데이터 쓰기 제한 횟수에 따른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이벤트 센서(11), 카메라(12), 제어부(13), 임시 저장부(14), 비휘발성 저장매체(15), 전원부(16), 차량 움직임 판별부(17) 등을 포함한다.
도 1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자가용과 같은 승용차, 트럭과 같은 상용차,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 고속철도, 전철 등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도 1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를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벤트 센서(11)는 차량측, 바람직하게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발생되는 특정 이벤트를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이벤트란 예를 들어 물체의 충격, 물체의 근접, 차량의 급감속 또는 급가속, 차량의 에어백 전개, 차량의 도어 열림, 차량의 풋(또는 핸드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 차량의 급제동, 사전에 설정한 속도 초과, 차량의 급핸들링, 운전자의 졸음 운전 등 영상 보관을 시작하는 트리거(trigger)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이벤트 또는 서로 다른 다수의 이벤트들을 센싱하는 경우에 영상 보관을 시작한다. 즉, 충격 센싱 시 영상 보관을 시작하거나, 충격과 에어백 전개 시 영상 보관을 시작하거나, 충격 센싱 또는 근접 센싱과 같이 어느 하나의 특정 이벤트 센싱 시 영상 보관을 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벤트를 설명하는데 있어 충격 이벤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이벤트 센서(11)는 충격 센서일 수 있는데, 충격 센서는 차량측에 가해지는 충격값 또는/및 충격 여부를 센싱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충격 센서는 3축 모션, 6축 모션, 가속도, 자이로, 관성, 지자기, 압력, 진동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 센서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장착되거나, 차량의 특정 부분 또는 전/후/좌/우측의 범퍼, 도어 등에 다수 개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는 차량의 외부 또는/및 차량의 내부를 촬영해 컬러, 흑백, 적외선 등의 영상을 획득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카메라 또는 다수 개의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1 채널의 전방 카메라만이 장착되거나, 차량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2 채널의 카메라가 장착되거나, 차량 전후좌우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다채널의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정 각도(예; 180도, 360도 등)으로 회전하여 파노라마 등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장착될 수도 있다.
제어부(13)는 MCU, CPU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메라 구동 드라이버 제어, 센싱 판별, 데이터 저장 등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로직을 수행한다. 카메라(12)에서 획득한 영상의 신호 처리 기능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13)의 주요 기능,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임시 저장부(14)는 카메라(12)에서 획득한 영상이 임시 저장되는 버퍼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휘발성 저장매체로서 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휘발성 저장매체(15)는 제어부(13)의 데이터 쓰기(write)로 카메라(12)에서 획득한 영상, 바람직하게는 임시 저장부(14)에 임시 저장되어 또는/및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보관되는 데이터 저장부로서, SD 카드, USB 메모리 등의 플래시 메모리, EEPROM,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6)는 차량 배터리에 상시 전원으로 연결되거나 차량 시거잭 연결, 차량 USB 포트 연결 등으로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차량 움직임 판별부(17)는 차량의 움직임 상태, 특히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와 상관없이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차량 클러스터 정보 또는 모션 센서의 가속도 센싱 기능을 이용한 이벤트 센싱 정보 등을 이용해 차량의 속도가 제로(0, zero)가 되는 경우를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한다. 다른 예로,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에 현재 위치 변화가 없으면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로, 시동 스위치 오프가 소정 시간 동안에 지속되는 경우를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하거나, 클러스터 주행거리 변화가 없는 경우를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하거나, 주유량 변화가 없는 경우를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하거나, 차바퀴 센서로 차바퀴 회전 변화가 없는 경우를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하거나, 카메라 촬영 영상 프레임 간을 비교하여 변화가 없는 경우를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차량 움직임 상태를 판별하는데 있어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파악하면 족하기 때문에 정밀한 측위는 필요하지 않다. 즉, GPS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위치 변화 여부만 판별하면 되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거리 센서로도 차량 움직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도 1의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와 구별되게 하기 위해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2의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차량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연동된다. 즉, 도 1의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와 대비해 이벤트 센서, 차량 움직임 판별부를 장치 내부에 구현하지 않는 대신에, 차량 시스템의 이벤트 센서, 차량 ECU로부터 이벤트 센싱값, 차량 움직임 상태 정보 등을 제공받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카메라(33), 제어부(34), 임시 저장부(35), 비휘발성 저장매체(36), 전원부(37), 통신부(38) 등을 포함한다.
차량 시스템은 이벤트 센서(51), 차량 ECU(5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벤트 센서(51)는 차량 시스템이 아닌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센서가 서로 다른 종류의 이벤트를 센싱하는 센서들로 구현되는 경우에, 충격 센서를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구성하고, GPS 또는 차속 센서를 차량 시스템에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의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해서는, 도 1의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대비해 다른 구성요소, 기능,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38)는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와 차량 시스템 간의 신호,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모듈로서, 예시적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규격에 따른 트랜시버, 드라이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4)는 통신부(38)를 통해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이벤트 센싱 데이터(예; 물체 충격값 또는/및 물체 충격 여부 등), 차량 움직임 상태 정보(예; 차속 데이터 또는 차량 움직임 없음 등)을 제공받는다. 여기서, 차량 시스템이 센싱 데이터 등을 로 데이터(raw data) 또는 CAN 메시지 형식 등으로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4)가 차량 시스템의 데이터를 해석해 처리한다. 다른 예로, 차량 시스템이 센싱 데이터 등을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가 인식할 수 있게 가공된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차량들(자차와 타차) 간에 충돌 사고가 나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주행 중인 자차로 타차가 중앙선을 침범하여 이 타차에 의해 자차에 충격이 발생되고, 이어서 이 충격에 의해 자차는 빙글빙글 돌다가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가 주행 중인 자차에서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면서, 차량 충격 등과 같은 이벤트가 센싱되면 계속적으로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쓰기(write)로 보관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격 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점 전, 즉 t1 시간의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부터 이벤트 발생 당시 시점 t2 시간의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이벤트 발생 시점 후의 t3 시간의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기록하여 저장하다가,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의 t4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에 이 영상 데이터 데이터 쓰기를 종료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격 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 전/당시/후와 같이 이벤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보관하되,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에 놓이는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 까지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보관해 확보하는 것이다.
그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해서는 도 1의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주행 상태에서, 제어부(13)는 이벤트 센서(11)를 구동시켜 충격 등 이벤트 센싱이 동작되도록 하고(S401), 카메라(12)를 구동시켜 영상이 계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하고(S402), 이 카메라(12)를 통해 계속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14)에 버퍼링 등으로 임시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403). 이때 제어부(13)는 카메라(12)를 통해 계속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비휘발성 저장매체(15)에 데이터 쓰기(write)로 기록해 저장하지 않는다. 한편, 차량 주행 상태에서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시동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배터리 방전 문제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영상을 계속적으로 촬영해도 무방하다. 이벤트 센싱 동작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거나, 소정 시간 주기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그러다가, 이벤트 센서(11)를 통해 충격 등의 이벤트가 센싱되면(S404), 제어부(13)는 카메라(12)로 촬영되어 임시 저장부(14)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이벤트 발생 전/당시의 영상 데이터] 부터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15)에 보관하기 시작한다(S405). 이때, 영상 데이터 보관을 시작하는 과정은, 충격 등의 이벤트를 센싱한 시점에 임시 저장부(14)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모든 영상 데이터 부터 데이터 쓰기를 시작하거나, 충격 등의 이벤트를 센싱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예; 15초) 전부터 임시 저장되어 있던 영상 데이터 부터 데이터 쓰기를 시작할 수 있다.
그런후, 비휘발성 저장매체(15)에 영상 데이터 보관을 계속하다가, 차량 움직임 판별부(17)를 통해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판별하면(S406), 제어부(13)는 이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예; 10초 등) 동안에 카메라(12)를 통해 촬영되어 임시 저장부(14)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까지를 비휘발성 저장매체(15)에 보관하다가 데이터 쓰기를 종료한다(S407). 이때, 영상 데이터 보관을 종료하는 과정은,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판별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에 임시 저장부(14)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모든 영상 데이터를 비휘발성 저장매체(15)에 모두 데이터 쓰기를 한 후에 종료하거나, 임시 저장부(14)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영상 데이터와 무관하게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판별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에 데이터 쓰기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를 센싱하여 비휘발성 저장매체(15)에 영상 데이터 보관을 계속하다가, 이 이벤트 센싱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예; 15초 등) 이내에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판별하지 못하면, 예컨대 10km/h 등 낮은 속도로도 차량이 주행 중이면 비휘발성 저장매체(15)로의 데이터 쓰기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벤트 발생 후에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에 놓이지 않더라도 영상 데이터가 계속적으로 기록되는 것을 방지해 비휘발성 저장매체(15)로의 데이터 쓰기 제한 횟수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이러한 예시는 차량이 도로의 과속 방지턱을 넘고서 계속 주행하는 환경에서 충격을 센싱해 영상을 보관하다가 차량 속도가 제로(zero)가 되지 않는 경우에 영상 저장을 종료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후, 제어부(13)는 이벤트 센싱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하면서 이벤트를 센싱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에 놓이더라도 또 다른 차량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이 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2차 사고와 관련된 영상도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확장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판별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의 영상을 확보하는데 있어, 다채널의 카메라로 차량 전후좌우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촬영하거나, 카메라를 소정 각도(예; 180도, 360도 등)으로 회전 및 정지를 반복시켜 가면서 파노라마 등의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사고 후에 차량의 다양한 주변 영상을 확보해 사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데, 모든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지 않고서 영상 오브젝트 인식 등을 통해 물체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만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물체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신(scene) 자체가 아닌 영상 프레임 내의 물체, 차량 등이 포함된 소정 영역만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욱더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데이터 쓰기 횟수를 줄이고 저장용량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실시간 처리 보장, 불필요한 신호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영상 데이터 보관 종료 시간은 메뉴 등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즉, 2차 사고 발생 영상도 한꺼번에 확보하기 위해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을 10초 이상의 충분한 시간으로 셋팅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센서, 카메라가 여러 대 장착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센서 장착 위치/방향 정보와 카메라 장착 위치/방향 정보를 이용해 센싱 동작이 이루어진 센서와 이 센서에 대응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만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센서가 고장나는 경우에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면 전술한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일반적인 상시 영상 촬영 녹화 모드로 전환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면 사용자에게 센서 교체/수리 등을 받을 것을 알리고, 센서가 정상 동작되기 전까지는 상시 영상 촬영 녹화 모드가 수행됨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6축 모션 방식 등의 G 센서로 충격 등의 이벤트를 센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별도의 이벤트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서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카메라 또는 별도로 차량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 충돌 등의 이벤트를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이벤트 센서 12: 카메라
13: 제어부 14: 임시 저장부
15: 비휘발성 저장매체 16: 전원부
17: 차량 움직임 판별부

Claims (13)

  1.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계속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면서, 차량측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결과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부터 보관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 보관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차량 움직임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로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 까지를 보관하고서 영상 데이터 보관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결과로 차량 움직임이 있는 주행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 보관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보관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을 센싱한 시점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영상 데이터 부터 데이터 쓰기를 시작하거나, 상기 이벤트 발생을 센싱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전부터 임시 저장되어 있던 영상 데이터 부터 데이터 쓰기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보관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판별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영상 데이터 까지를 데이터 쓰기한 후에 종료하거나, 상기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판별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에 데이터 쓰기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관하는 과정은,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특정 물체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 또는 특정 물체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소정 영역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6.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특정 이벤트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센서;
    소정 영역을 대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휘발성 저장매체; 및
    상기 이벤트 센서에 의한 특정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차량 움직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보관 시작 및 종료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를 판별한 경우에 상기 차량 움직임이 없는 정지 상태 시점 이후의 소정 시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 까지를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보관하고서 영상 데이터 보관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센서를 통해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을 모니터링한 경우에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부터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보관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센서는 차량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되,
    상기 차량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의 연동으로 특정 이벤트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소정 각도로 회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회전 및 정지를 반복시켜 가면서 영상이 촬영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센서의 장착 위치/방향 정보, 상기 카메라의 장착 위치/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센싱이 이루어진 이벤트 센서와 이 이벤트 센서에 대응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물체의 충격, 물체의 근접, 차량의 급감속, 차량의 급가속, 차량의 에어백 전개, 차량의 도어 열림, 차량의 풋(또는 핸드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 차량의 급제동, 사전에 설정한 속도 초과, 차량의 급핸들링, 운전자의 졸음 운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센싱 정보, 차량 속도 정보, 클러스터 주행거리 정보, 위치 정보, 시동 스위치 동작 정보, 주유량 변화 정보, 차바퀴 회전 변화 정보, 카메라 촬영 영상 프레임 변화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움직임 상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KR1020140017682A 2014-02-17 2014-02-17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82A KR101557280B1 (ko) 2014-02-17 2014-02-17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82A KR101557280B1 (ko) 2014-02-17 2014-02-17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867A true KR20150096867A (ko) 2015-08-26
KR101557280B1 KR101557280B1 (ko) 2015-10-05

Family

ID=5405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682A KR101557280B1 (ko) 2014-02-17 2014-02-17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181A (ko) * 2016-06-21 2017-12-29 오토아이티(주) 자동차 기록장치에 탑재된 파일 관리 시스템 및 상기 파일 관리 시스템에서의 파일 재생 방법
CN115984990A (zh) * 2022-11-18 2023-04-18 北京思维实创科技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角的车辆驾驶员驾驶事故追溯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73B1 (ko) * 2007-02-07 2008-06-09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캔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블랙박스 시스템
KR100983777B1 (ko) * 2010-04-15 2010-09-27 (주)사라다 객체 촬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3181A (ko) * 2016-06-21 2017-12-29 오토아이티(주) 자동차 기록장치에 탑재된 파일 관리 시스템 및 상기 파일 관리 시스템에서의 파일 재생 방법
CN115984990A (zh) * 2022-11-18 2023-04-18 北京思维实创科技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角的车辆驾驶员驾驶事故追溯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280B1 (ko)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9218A1 (en) Audio-video recorder for vehicles
KR101354157B1 (ko) 차량 충돌체 감지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5920158B2 (ja) 移動体用画像記憶装置
JP2000043764A (ja) 車両用走行状況記録装置及び車両状況監視装置
JP2005500931A (ja) 車両に設置された警報信号の発信に追従して映像シーケンスを蓄積する装置
JP2010134745A (ja) ドライブレコーダ及びドライブレコーダの映像記録方法
JP2010128610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101125131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038229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ー
WO2020136941A1 (ja) 車両用記録制御装置、車両用記録装置、車両用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3381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95927B2 (en) On-vehicle recording control apparatus, on-vehicle recording apparatus, on-vehicl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557280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CN103440689A (zh) 一种全方位行车数字影像记录仪
JP7259661B2 (ja) 車両用記録制御装置、車両用記録装置、車両用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98039A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JP7370446B2 (ja) 車載映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36284B1 (ko)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9246B1 (ko) 가변 임계값을 이용한 이벤트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2155771B1 (ko)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KR20140000486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5610B1 (ko) 블랙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58253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JP7287010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撮影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