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128A -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 Google Patents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128A
KR20150094128A KR1020140015020A KR20140015020A KR20150094128A KR 20150094128 A KR20150094128 A KR 20150094128A KR 1020140015020 A KR1020140015020 A KR 1020140015020A KR 20140015020 A KR20140015020 A KR 20140015020A KR 20150094128 A KR20150094128 A KR 2015009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
yarn
polyester
yarns
den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312B1 (ko
Inventor
박군호
이강범
Original Assignee
박군호
이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군호, 이강범 filed Critical 박군호
Priority to KR102014001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3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protein-based, e.g. wool or silk
    • D03D15/235Cashmere or sil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4Silk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교직하되 경사로 실크 15∼30데니어의 단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폴리에스테르사는 15∼25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사 2올과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와 24합의 15∼25데니어 폴리에스테르사 1올을 서로 강연사한 실을 사용하며, 상기 경사로 사용되는 실크 원사의 밀도는 105∼130본/인치로 하고, 상기 위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의 밀도는 85본/인치∼95본/인치로 교직하여 실크 고유의 광택과 촉감에 최대한 가깝게 제직할 수 있으면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USING SILK AND POLYESER UNION CLOTH}
본 발명은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크직물은 고치실을 원료로 하여 만든 비단실로 직조한 것으로서 한복의 안감이나 드레스용 등으로 많이 이용된다.
실크직물에 사용되는 실크는 고유의 광태과 촉감을 가지고 있어 고급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가이므로 경제성의 문제가 있고, 실크의 특성인 수분에 약하고 일광견뢰도 및 마찰견뢰도 등에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실크직물의 대체 소재로 폴리에스테르 등을 이용한 한복소재가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실크와 유사한 점이 많으며, 실크에 비하여 저가로서 실크 대체 소재로 활용은 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물세탁이 가능하고 구김 등의 발생이 적어 실크 소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나 폴리에스테르 고유의 광택과 촉감이 저가 이미지를 주며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는 등 고급제품에는 많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가격이 실크의 1/20 정도이면서 실크에 비하여 우수한 성질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소재를 적절한 가공을 통하여 실크와 교직함으로써 실크의 광택과 촉감을 유지할 수 있는 실크 교직물을 제직할 수 있다면 섬유업계에 많은 호응이 예상될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03282호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신축성 편,직물”
따라서 본 발명은 실크와 적절한 조건으로 가공한 폴리에스테르사를 교직하여 실크의 촉감 및 광택을 유지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에서도 우수한 실크 교직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사로 실크 15∼30데니어의 단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폴리에스테르사는 15∼25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사 2올과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와 24합의 15∼25데니어 폴리에스테르사 1올을 서로 강연사한 실을 사용하며, 상기 경사로 사용되는 실크 원사의 밀도는 105∼120본/인치로 하고, 상기 위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의 밀도는 85본/인치∼95본/인치로 교직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조된 교직물을 수지가공 처리하되, 교직물을 수지액에 적신 후 175∼185℃의 온도가 유지되는 챔버내부를 15∼20m/min의 속도로 1∼2분 고온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사를 실크 원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되, 굵기를 달리하는 폴리에스테르사를 강연사하여 사용함과 아울러 제직시 경사와 위사의 밀도를 한정하여 교직물을 제직함에 따라 실크 고유의 광택과 촉감에 최대한 가깝게 제직할 수 있으면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크와 폴리에스테르사를 교직하여 실크의 촉감 및 광택을 유지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에서도 우수한 실크 교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크 교직물은 실크의 촉감과 광택을 발현하기 위하여 원사조건, 직조조건 및 가공조건을 가진다.
먼저 실크 교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원사를 준비하되 경사로 사용될 실크 원사와 위사로 사용될 폴리에스테르사를 별도로 준비한다.
경사로 사용되는 실크 원사는 15∼25데니어의 단사를 염색하여 사용하며, 단사는 꼬임 처리를 하지 않은 무연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는 15∼25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사 2올과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와 24합의 15∼25데니어 폴리에스테르사 1올을 서로 강연사(합사)한 실을 사용한다.
이럴 경우 15∼25데니어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프르사 2올과 24합의 폴리에스테르사 1올을 강연사(합사)한 3합의 실이 된다. 즉 위사는 15∼25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와 24합의 15∼25데니어 폴리에스테르사를 갯수(올수)를 2:1 비율로 한 번에 서로 강연사(합사)한 실을 사용한다.
상기 24합의 15∼25데니어 폴리에스테르사란 대략 0.6데니어∼0.8데니어 굵기의 모노필라멘트사 24올(가닥)을 연사하여 15∼25데니어 굵기를 실로 된 폴리에스테르사를 의미한다.
위사로 사용되는 15∼25데니어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프르사 2올과 24합의 15∼25데니어 폴리에스테르사 1올을 서로 1,000∼1,600T/M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1,400T/M로 강연사 한 실을 사용한다.
상기 3합의 실로 강연사된 위사는 강연을 하는 차이게 따라 그 굵기가 대략 50∼65데니어 정도의 굵기가 된다.
위사인 폴리에스테르사를 강연하는 이유는 폴리에스테르의 광택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제직되는 실크 교직물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상기 준비된 경사 및 위사를 사용하여 기존 실크직물과 같이 평직으로 제직하여 실크 촉감과 광택을 가지는 실크 교직물로 제직할 수 있다.
이때 실크의 촉감과 광택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으로 조건으로 경사로 사용되는 실크 원사와 위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의 밀도도 중요한 바, 경사의 밀도는 105∼130본/인치로 하고, 위사 밀도는 85본/인치∼95본/인치로 제직한다.
상기 경사와 위사의 밀도를 특정하는 수치의 임계적 의의는 촉감과 광택이 실크 직물에 최대한 가깝게 교직되게 하면서도 폴리에스테르사를 교직함에 따른 경제성을 부여하는 조건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임계적 있음을 본원 발명자는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직시 위사를 위입함에 있어 위사의 연방향은 우연사(S꼬임사)과 좌연사(Z꼬임사)를 경사의 개구시 교대로 위입한다. 이럴 경우 제직된 교직물의 밀림 현상인 필링(peeling)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위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실크 원사에 비해서 유연도가 높아 교직했을 때 한복의 풍부한 볼륨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드레이프성을 높여주어야 한다. 따라서 드레이프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와 같이 교직 후 수지가공 처리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크 교직물은 주로 한복이나 의류의 안감 등에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한복에 사용하기 위해서 직물이 뻣뻣한 태를 유지해야 한복 고유의 볼륨감을 유지할 수 있다.
수지가공 시에는 기존 실크에 적용되는 수지액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교직된 원단을 수지액에 적신 후 고온 처리하여 원단 내에 수지가 배어들게 한다.
고온처리를 위해서는 챔버내부를 통과시키는데, 챔버내부의 온도는 175∼185℃가 되도록 하고, 챔버 내부를 15∼20m/min의 속도로 비교적 저속 이동하도록 가공하며 챔버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은 대략 1∼2분 내외로 한다.
만약 챔버내부의 온도가 175℃ 이하일 경우에는 제직된 교직물에 배어든 수지액의 물성변화가 없거나 미비하여 수지가공 처리가 잘 되지 않으며, 185℃ 이상일 경우에는 실크나 폴리에스테르가 열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수지액이 너무 딱딱해져 원하는 교질물을 얻기가 힘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크원단을 제직함에 있어 경사를 실크 원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되, 굵기를 달리하는 폴리에스테르사를 강연사하여 사용함과 아울러 제직시 경사와 위사의 밀도를 한정하여 교직물을 제직함에 따라 실크 고유의 광택과 촉감에 최대한 가깝게 제직할 수 있으면서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직된 교직물에 별도의 수지가공처리함에 따라 드레이프성을 높여 한복 등의 의류에 사용시 풍부한 볼륨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2)

  1. 경사로 실크 15∼30데니어의 단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폴리에스테르사는 15∼25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사 2올과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와 24합의 15∼25데니어 폴리에스테르사 1올을 서로 강연사한 실을 사용하며, 상기 경사로 사용되는 실크 원사의 밀도는 105∼130본/인치로 하고, 상기 위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의 밀도는 85본/인치∼95본/인치로 교직된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된 교직물을 수지가공 처리하되, 교직물을 수지액에 적신 후 175∼185℃의 온도가 유지되는 챔버내부를 15∼20m/min의 속도로 1∼2분 고온처리된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KR1020140015020A 2014-02-10 2014-02-10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KR101558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20A KR101558312B1 (ko) 2014-02-10 2014-02-10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20A KR101558312B1 (ko) 2014-02-10 2014-02-10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128A true KR20150094128A (ko) 2015-08-19
KR101558312B1 KR101558312B1 (ko) 2015-10-12

Family

ID=5405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020A KR101558312B1 (ko) 2014-02-10 2014-02-10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8480A (zh) * 2015-12-15 2016-05-11 桐乡市亿源鞋业有限公司 高弹性面料
KR101666385B1 (ko) * 2015-12-24 2016-10-14 서영환 실크원단 제직용 폴리에스테르 융착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195B1 (ko) * 2019-01-07 2020-10-28 김종겸 실크직물을 이용한 한복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8480A (zh) * 2015-12-15 2016-05-11 桐乡市亿源鞋业有限公司 高弹性面料
KR101666385B1 (ko) * 2015-12-24 2016-10-14 서영환 실크원단 제직용 폴리에스테르 융착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312B1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1845B (zh) 一种高支顺毛双面呢及生产工艺
CN105696149B (zh) 观感和性能如针织物那样的机织物及其制造方法
CN103255570B (zh) 一种经编弹力麂皮绒织物
CN205467702U (zh) 一种单面麂皮绒面料
CN101624744B (zh) 可机洗抗静电运动毛精纺面料
CN103603123A (zh) 高强度阻燃牛仔布及其生产工艺和用途
KR101558312B1 (ko) 실크와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교직물
CN105442153A (zh) 一种大提花防钻绒面料及其生产方法
CN203284582U (zh) 经编弹力麂皮绒织物
KR20110111973A (ko) 저융점사를 이용한 광택소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5451B1 (ko) 무광택 및 경량의 한복안감 및 그 제조방법
CN104354450A (zh) 一种户外、工装防护涂层面料的加工工艺
KR101884973B1 (ko) 우수한 린넨느낌 및 실크터치감을 가지는 직물의 제조방법
CN104947290A (zh) 一种涤纶短纤弹性织物
CN108425172A (zh) 一种高密度织物
CN102534932A (zh) 一种立体提花面料织造工艺
CN102587001A (zh) 一种天然丝纤维与棉纤维纱线交织物及其生产方法
CN103820912A (zh) 一种环保面料的生产方法
KR20150110443A (ko) 린넨직물
CN105986350A (zh) 一种新材料与真丝复合而成的弹性面料及其制备工艺
KR101759864B1 (ko) 광택특성이 향상된 자카드 스판직물
KR101440388B1 (ko) 실크사와 폴리에스테르 융착사를 이용한 교직원단 및 그 제직방법
KR101716088B1 (ko) 양방향 신축성 및 시원한 느낌이 부여된 기능성 직물 제조방법
CN103388219A (zh) 一种涤竹提花布面料及其生产方法
KR102254463B1 (ko) 고감성 린넨 라이크 신축성 복합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