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900A -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900A
KR20150090900A KR1020157015996A KR20157015996A KR20150090900A KR 20150090900 A KR20150090900 A KR 20150090900A KR 1020157015996 A KR1020157015996 A KR 1020157015996A KR 20157015996 A KR20157015996 A KR 20157015996A KR 20150090900 A KR20150090900 A KR 20150090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ilt lever
control
guide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하이단
하르트무트 에베르스트
마리우스 마르콰르트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9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60J7/0435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pivoting upwardly to vent mode and moving at the outside of the roof to fully ope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characterised by the height regulating mechanism of the slid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185Locking arrangements
    • B60J7/1856Locking arrangements for interlocking the roof linkage system when deplo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고정된 루프 컷아웃을 구비한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으로서, 폐쇄 위치, 틸트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에 의해 변위가능한 상기 루프 컷아웃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루프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은, 상기 루프 부분의 두 측면들 모두 상에서 전측 틸트 레버 및 후측 틸트 레버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전측 틸트 레버 및 상기 후측 틸트 레버는 피봇 지점에 의해 각각 상기 루프 부분에 피봇되게 연결되고, 안내 레일 구성체 내에서 이동가능한 제어 캐리지에 작동하게 연결되는 루프 시스템이 알려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측 틸트 레버 및 상기 후측 틸트 레버의 루프 부분 피봇 지점들은, 일체의,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체결 프로파일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체결 프로파일은 상기 루프 부분의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루프 부분의 상기 측면 에지 상에 체결된다. 상기 시스템은 자동차 내에서 이용된다.

Description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Roof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고정된 루프 컷아웃(fixed roof cutout)을 구비하는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으로서,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tilt and guide mechanism)에 의해 폐쇄 위치, 틸트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루프 컷아웃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루프 부분을 구비하는,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인바, 여기에서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은 -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에서 보았을 때 - 상기 루프 부분의 양 측면들 모두 상에 각각 전측 틸트 레버 및 후측 틸트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측 틸트 레버 및 상기 후측 틸트 레버는, 각각 피봇 지점(pivot point)에 의해 상기 루프 부분에 피봇되게 연결되며, 안내 레일 구성체 내에서 이동가능한 제어 캐리지(control carriage)에 작동하게 연결된다.
이 유형의 루프 시스템은 독일 특허출원 DE 10 2007 004 258 A1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알려진 루프 시스템은 루프 컷아웃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기능하는 이동가능 루프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은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의 폐쇄 위치와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은 상기 루프 부분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서 각각 전측 틸트 레버 및 후측 틸트 레버를 포함하는바, 상기 전측 틸트 레버 및 상기 후측 틸트 레버 둘 모두는 각각 안내 레일 구성체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어 연결에 의해 후측 틸트 레버를 작동시키는 제어 캐리지가 상기 틸트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방식(compact manner)으로 설계되고 신뢰성 있고 적은 유지보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루프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각각의 안내 레일 구성체의 결과로서 도입부에서 설명된 유형의 루프 시스템을 위하여 달성되는바, 각각의 안내 레일 구성체는, 서로 겹쳐져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2개의 안내 평면들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전측 틸트 레버의 안내 캐리지(guide carriage)는 하나의 안내 평면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 캐리지 및 상기 후측 틸트 레버는 다른 안내 평면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결과로서,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특히 콤팩트한 설계가 달성가능하다. 그 슬라이딩 안내들을 2개의 상이한 안내 평면들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는 감소된 마모를 겪는다.
본 발명의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전측 틸트 레버는 안내 캐리지 상에서 피봇 지점을 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후측 틸트 레버는 상기 제어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 캐리지는 제어 레버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의 걸쇠 리세스 안에 걸기 위한 걸쇠 수단, 특히 걸쇠 웨브(latching web), 및 동반부(entrainment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동반부에 의해 상기 안내 캐리지는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어 캐리지에 의해 동반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루프 표면 윤곽 너머로 상기 루프 부분의 후측 에지 영역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도록, 상기 후측 틸트 레버의 틸트 움직임 동안의 상기 전측 틸트 레버의 차단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상기 후측 틸트 레버를 위한 제어 캐리지는, 전체 루프 부분이 틸트되고 고정된 루프 부분 너머로 후방으로 움직여질 수 있는 즉시 상기 전측 틸트 레버를 위한 안내 캐리지를 바로 동반해야 하므로 본질적으로 더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비하여 개개의 구성요소들은 덜 복잡하고 더 적은 부품들이 요구되며 구성요소들 그 자체들은 더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걸쇠 리세스 안의 걸쇠 위치와 상기 제어 캐리지 상의 동반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된다.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제어 레버의 전체 이동 경로(entire movement path) 상에서 강제로 안내되고 상기 제어 레버에는 그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조인트(joint)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안내 캐리지 상에 일체로 구성(arranged integrally)되며, 그 재료의 탄성의 결과로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제어 레버는 결과적으로 굴곡 조인트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 레버는 상기 안내 캐리지와 일체로 플라스틱 재료 구성요소로서 생산될 수 있는바, 상기 안내 캐리지 또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안내 캐리지 상의 상기 제어 레버의 일체 구성을 얻기 위하여 상기 제어 레버를 별도로 생산하고 상기 제어 레버를 상기 안내 캐리지에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일체 구성은 특히 상기 제어 레버를 상기 안내 캐리지와 포지티브 로킹 방식(positive locking manner)으로 건(latch) 결과로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전측 틸트 레버는, 상기 틸트 레버를 전측 안내 연속체로부터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의 상부 안내 평면으로 이송하기 위한 지지 베어링(support bearing)을 포함하는바, 여기에서 상기 지지 베어링은 특히 상기 틸트 레버의 내측 옆에 그리고 외측 옆에 배치되는 2개의 슬라이드 슈들(slide shoes)에 의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 내에서 대칭적 지지가 달성되며, 그 결과로서, 상기 전측 틸트 레버의 지지 베어링을 위한 특별히 견고하고 단단한 안내(guiding)가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안내 캐리지는 상기 전측 틸트 레버의 후측 회동 지탱부(rear pivot bearing)를 위한 지탱 블록(bearing block)으로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상기 제어 레버는 지탱 블록 상에 일 단편(one piece)으로 일체로 몰딩(mold)되고, 상기 제어 캐리지의 방향으로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는 특히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국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캐리지는 상기 후측 틸트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연계부, 및 상기 제어 레버를 상기 제어 레버의 걸쇠 위치와 동반 위치 사이에서 제어하기 위한 지지 및 동반 프로파일링(support and entrainment profiling)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 캐리지는, 한편으로는 상기 후측 틸트 레버의 작동 기능(actuating function)을 맡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어 레버에 작동하게 연결되는 이중 기능을 포함하는바, 상기 제어 캐리지의 상기 제어 레버에 작동하게 연결함은, - 상기 루프 부분의 위치에 따라 - 상기 제어 캐리지가 상기 제어 레버의 걸쇠 위치를 고정하거나 상기 전측 틸트 레버를 위한 상기 안내 캐리지와 함께 상기 제어 레버를 동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 레버 및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 캐리지에 의한 상기 안내 캐리지의 동반은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연계부는 플라스틱-코팅된 금속 웨브(plastic-coated metal web)로 제공된다. 상기 금속 웨브는 상기 제어 캐리지의 대응되는 부분을 위한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푸시풀 수단(push-pull means)의 형태로 된 구동 전달 수단은 상기 제어 캐리지와 협동한다. 상기 푸시풀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구동 유닛에 의하여 변위가능한 유연성 샤프트(flex shaft)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대향되는 측면들 상에서 동기식(synchronous manner)으로 2개의 유연성 샤프트들을 움직이도록 하나의 단일 전기 구동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캐리지 상의 상보적 수용 수단 안으로 포지티브 로킹 방식(positive locking manner)으로 맞물리는 동반 캠(entrainment cam)은, 상기 푸시풀 수단의 단부면 영역 상에서 일체로 몰딩된다. 결과로서, 상기 푸시풀 수단, 특히 유연성 샤프트와 상기 제어 캐리지 사이의 특별히 간단한 연결이 달성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전측 회동 레버 및 후측 회동 레버의 루프 부분 피봇 지점들은, 일체의,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체결 프로파일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점이 규정되는바, 상기 일체의,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체결 프로파일은, 상기 루프 부분의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루프 부분의 측면 에지 상에서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조립-전 위치(pre-assembly position)에서조차 상기 전측 틸트 레버와 상기 후측 틸트 레버 사이의 견고한 결부가 달성된다. 상기 전측 틸트 레버와 상기 후측 틸트 레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부분의 측면 에지에 연결되는, 상기 일체의, 그리고 치수적으로 안정된 체결 프로파일에 의해 상기 루프 부분은 특별히 견고하고 작동상으로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로파일이 상기 루프 부분 상에 체결되는 2개 초과의 체결점들이 상기 체결 프로파일의 길이에 걸쳐 분포(distribute)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프로파일 상에 상기 루프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3개의 체결점들(fastening points)이 제공된다. 결과로서 상기 루프 부분과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 사이의 특별히 견고한 연결이 달성되는바, 이는 다시 한번, 상기 루프 부분의 개별의 다른 측면 상으로의 전달에 의해 특별히 좋은 방식으로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2개의 구동 측면들을 동기화(synchronize)시키기 위하여 기능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에는 그 전측에 2개의 연계 요소들이 제공되며, 상기 2개의 연계 요소들은, 상기 안내 연속체를 형성하며, 서로 거울 대칭이며, 하부 정지 위치(lower rest position)로부터 상부 안내 평면으로 상기 지지 베어링의 슬라이드 슈들을 슬라이드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외측에서 그리고 내측에서 상기 지지 베어링 옆에 배치된다.
결과로서, 상기 지지 베어링은 외측면 상에서 그리고 내측면 상에서, 즉 자동차 중심을 향해 그리고 자동차 외측을 향해, 특히 고정 방식(secure manner)으로 지지됨으로써, 특히 견고하고 단단한 방식으로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상부 안내 평면 방향으로 상기 전측 틸트 레버를 안내함이 달성가능하다. 상기 연계 요소들은 별개의 연계 인서트들(linkage inserts)로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연계 요소들은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으로부터의 일체 연속체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으로 상기 일체 연속체들은 가소적으로 변형가능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연속체들은 원하는 형태로 굽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 상기 걸쇠 리세스에는 플라스틱 재료 인서트가 제공된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 인서트는, 노이즈 댐핑(noise damping)과 함께, 한정된 인서트 형태(geometry)의 개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플라스틱 재료 인서트와 상기 제어 레버의 걸쇠 수단 사이의 좋은 적합화가 달성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및 특징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례의 다음 설명 및 청구항들로부터 얻어지는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례는 도면들을 통하여 도시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 이동가능 루프 부분을 가지는 루프 시스템의 실시례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2a 내지 2d에는 다양한 작동 위치들에서 도 1에 따른 이동가능 루프 부분을 위한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도면이 도시된다.
도 3a 내지 3d에는 도 2a 내지 2d에 따른, 그러나 외측으로부터 보여지지 않고 오히려 내측으로부터 보여지는 때의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이 도시된다.
도 4에는 - 외측으로부터 보여지는 때에 - 도 2a 내지 3d에 따른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좌측면의 등각 분해도(isometric exploded drawing)가 도시된다.
도 5에는 - 내측으로부터 보여지는 때에 - 도 4에 따른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좌측면의 등각 분해도가 도시된다.
도 6a 및 6b에는 외측으로부터 그리고 내측으로부터,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가 생략된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좌측부의 등각도가 도시된다.
도 7a 및 7b에는 도 2b 및 3b에 따른 중간 위치에서 도 6a 및 6b에 따른 구성요소 배치가 도시된다.
도 8a 및 8b에는 도 2c 및 3c에 따른 틸트 위치에서 도 6a 및 6b에 따른 구성요소 배치가 도시된다.
도 9a 및 9b에는 전측 틸트 레버의 제어 레버와 제어 캐리지 사이에서 걸려 들어간(latched-in) 동반 위치에서의 도 8a 및 8b에 따른 구성요소 배치가 도시된다.
도 10a 및 10b에는 도 2d 및 3d와 유사한 완전히 연장된 개방 위치에서의 상기 루프 부분과 함께 도 6a 내지 9b에 따른 구성요소 배치가 도시된다.
도 11에는 일체로 몰딩된 연속체를 갖는 안내 레일 구성체의 전측 부분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11을 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루프 시스템(1)은 자동차를 위하여 제공되고, 상기 자동차의 차체의 루프 영역에 포함된다. 상기 루프 시스템(1)은 덮개 형상의 이동가능 루프 부분을 포함하는바,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은 색유리(tinted glass)로 구성된다. 상기 루프 부분(2)은 루프 컷아웃(roof cutout)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기능하는바, 상기 루프 컷아웃을 통하여 신선한 공기 및 빛이 위로부터 상기 자동차의 차량 내부로 통과할 수 있다.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정지된 루프 부분(3) 또한 색유리로 생산되며, 통상 주행 방향(normal direction of travel)에서 보았을 때 뒤에서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에 연결된다.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 및 정지 루프 부분(stationary roof portion; 3)은 견고하나 프레임(4) 안에 포함되는바, 상기 프레임(4)은 상기 루프 시스템(1)이 미리-장착될 수 있게 하고, 자동차의 루프 영역 안으로의 설치를 위하여 차체의 대응되는 부분들에 적합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루프 시스템(1)은 상기 자동차의 루프 영역 안으로 밀봉 결합(sealingly fitted)된다.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광범위하게 연장되는 상기 루프 시스템(1)의 2개의 대향되는 길이방향 측면들 각각 상에서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상기 프레임(4)은 하나의 안내 레일 구성체(5)를 포함하는바, 상기 하나의 안내 레일 구성체(5)는,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의 폐쇄 위치와, 상기 루프 컷아웃이 전적으로 개방되는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을 틸트하고 변위시키기 위한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안내 및 지탱 구성을 위하여 기능한다.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에는 상기 루프 부분(2)의 대향되는 길이방향 측면들 상에 동일한 구성요소 배치들이 제공되는바, 바로 그 좌측으로부터가 - 통상 주행 방향에서 보았을 때 - 도 2a 내지 10b를 통하여 아래에서 보여진다. 대향되는 안내 레일 구성체(5)와 결부된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우측면은 동일하게 설계되었으나, 상기 자동차의 길이방향 중앙 수직 평면에 대하여 거울 대칭식으로 실현된다. 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은 상기 우측면은 이에 따라 상기 좌측면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도 2a 내지 10b에 따른 도면들에 따른 설명도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우측면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가능하다.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의 좌측면의 구성요소 배치의 개개의 부품들 및 부분들이 도 4 및 5에 따른 분해도들을 통하여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구성요소 배치는 체결 프로파일(fastening profile; 6)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은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의 길이에 걸쳐 배치된 3개의 체결점들(fastening points; 15)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나사-연결(screw-connecting) 또는 리벳 연결(riveting)의 결과로서,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의 측면 에지에 고정적으로 연결가능하다.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은 - 상기 자동차의 통상 주행 방향에서 보았을 때 -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의 전측 단부면 상의 전측 피봇 지점(16) 및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의 후측 단부면 상의 후측 피봇 지점(17)을 포함한다. 전측 틸트 레버(7)의 전측 레버 연속체는 베어링 볼트(18)에 의해 전측 피봇 지점(16) 상에 피봇되게 장착된다. 후측 틸트 레버(8)의 후측 연장 아암은 베어링 볼트(24)에 의해 후측 피봇 지점(17) 상에 피봇되게 장착된다.
상기 전측 틸트 레버(7)는 V-형(V-like) 설계를 포함하고, 후측 레그 연속체(rear leg continuation)를 통하여 베어링 볼트(21)에 의해 피봇되게 안내 캐리지(10) 상에 장착된다. 상기 전측 틸트 레버(7)에는, 상기 전측 레버 연속체와 상기 후측 연장 아암 사이의 연결 영역 내에 상기 틸트 레버(7) 상에 체결되는 지지 베어링(19)이 추가적으로 중심에 제공된다. 상기 지지 베어링(19)은, 상기 틸트 레버(7)의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틸트 레버(7)의 대향되는 측면들을 향하여 돌출된 지탱 저널들(bearing journals)을 포함하고, 각각의 지탱 저널 상에 각각 하나의 슬라이드 슈(slide shoe; 20)가 맞춰진다.
상기 틸트 레버(7)의 후측 연장 아암이 피봇되게 연결된 상기 안내 캐리지(10)는, 블록 형상 구성요소의 방식으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상기 안내 캐리지(10)는 상기 안내 캐리지(10)의 대향되는 길이방향 측면들 각각 상에 슬라이드 슈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캐리지(10)는 상기 슬라이드 슈들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상부 안내 평면(5a)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단편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제어 레버(11)는 상기 안내 캐리지(10)에 일체로 연결된다. 길이방향에서 상기 안내 캐리지(10)의 후측면으로부터, 상기 제어 레버(11)는 상기 후측 틸트 레버(8)의 방향으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어 레버(11)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무부하 정지 위치에서 하방으로 약간의 굴곡을 포함함으로써, 무부하 정지 상태에서 상기 제어 레버(11)는 상기 안내 캐리지(10)의 슬라이드 평면(slide plane)에 대하여 약간의 원호-형상 방식(slight arc-shaped manner)으로 상기 안내 캐리지(10)로부터 하방으로 만곡된다. 상기 안내 캐리지(10)로부터 먼 상기 제어 레버(11)의 단부면 상에, 상기 제어 레버(11)는, 한편으로는 상방으로 돌출된 걸쇠 웨브(latching web; 27), 및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캠(support cam; 32)(도 4)을 포함하는바, 상기 지지 캠(32)은 측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지지 캠(32)의 하단 표면은 상기 제어 레버(11)의 하단 표면과 같은 높이이다.
상기 후측 틸트 레버(8)는, 상기 후측 틸트 레버(8)의 하단 표면 영역의 중심에 배치된 슬라이딩 볼트(23)에 의해, 그리고 상기 후측 틸트 레버(8)의 전측면 영역에 제공된 다른 슬라이딩 볼트(22)에 의해, 제어 캐리지(9)의 제어 연계부(control linkage; 25) 내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어 캐리지(9)는 상기 제어 캐리지(9)의 전측 단부 영역의 한 쌍의 슬라이드 슈들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어 캐리지(9)의 후측 단부 영역의 한 쌍의 슬라이드 슈들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하단 안내 평면(5b) 내에 변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어 캐리지(9)는 - 자동차의 주행 방향에서 보았을 때 - 상기 안내 캐리지(10) 뒤의 공간(spacing)에서 배치된다. 상기 제어 연계부(25)의 형태는 특히 도 4 및 5에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제어 연계부(25)는, 칼-형상 방식(sword-shaped manner)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플라스틱-코팅된 금속 웨브로서 실현되는 웨브 몸체(web body)의 영역에서 제공된다. 자동차 중심을 향하여 마주 보는(facing) 내측 표면의 영역에서 상기 제어 캐리지(9)는 내향으로 돌출된 지지 웨브 구성체(inwardly projecting support web arrangement; 30)를 포함하는바, 상기 내향으로 돌출된 지지 웨브 구성체(30)는, 전체 구성요소 배치가 장착된 작동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제어 레버(11)의 하단 표면 및 지지 캠(32)과 상호 작용한다. 상기 지지 웨브 구성체(30)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이동 순서(movement sequence)의 일부 부분(part portion)에서 상기 제어 레버(11)를 유지하는바, 상기 제어 레버(11)는, 상기 제어 레버(11)의 무부하 정지 위치에 대하여 상방으로 긴장되는 지지 위치에서, 다소 선형 방식으로 정렬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어 레버(11)는 상기 제어 레버의 재료의 탄성으로 인하여 미리-긴장된(pre-stressed) 방식으로 상방으로 눌려진 채 유지된다.
상기 제어 캐리지(9)는 유연성 샤프트(13)의 형태로 된 구동 전달 수단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길이방향들 양쪽으로 움직여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 캐리지(9) 상의 상보적 수용 수단(26) 안으로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맞춰진 동반 캠(entrainment cam; 14)은, 상기 유연성 샤프트(13)가 대응되는 길이방향 방식으로 움직여지는 때에 상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후방으로 또는 전방으로 상기 제어 캐리지(9)의 유격-없는(play-free) 동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연성 샤프트(13)의 전측 단부면 상에 일체로 몰딩된다.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는, 차례로 쌓여져 하부 안내 평면(5b) 및 상부 안내 평면(5a)을 형성하는 2개의 안내 프로파일링들(guide profilings)을 포함한다. 상기 유연성 샤프트(13)는 상기 하부 안내 평면(5b)과 결부된다. 상기 제어 캐리지(9)는 상기 유연성 샤프트(13)에 의해 상기 하부 안내 평면(5b) 내에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대조적으로, 상기 전측 안내 캐리지(10)는 2개의 슬라이드 슈들에 의해 상기 상부 안내 평면(5a) 내에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상부 안내 평면(5a)의 상부 경계벽의 영역에서,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는 걸쇠 리세스(R)(도 4 및 도 3a 내지 3d를 참고)를 포함하는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방식으로 상기 걸쇠 리세스(R) 안으로 상기 제어 레버(11)의 걸쇠 웨브(27)가 걸릴 수 있다(latchable).
S-곡선-형상의 제어 곡선(29)을 포함하는 이중-셸 안내 연속체(12a, 12b)는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전측과 추가적으로 결부된다. 중심 지지 베어링(19)은 상기 제어 곡선(29) 내에서 상기 전측 틸트 레버(7)의 슬라이드 슈들(20)과 함께 안내된다. 상기 안내 연속체는 내부 이분할 셸(inner half shell; 12a) 및 외부 이분할 셸(outer half shell; 12b)에 의해 형성되는바, 상기 내부 이분할 셸 및 상기 외부 이분할 셸은 함께 결합되어 폐쇄된 안내 연속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베어링(19)의 대향되는 슬라이드 슈들(20)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경우에 S-곡선-형상 방식(S-curve-shaped manner)으로 만곡된 안내 프로파일링을 한정한다. 도 2a 내지 2d 및 3a 내지 3d를 통하여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 연속체(12a, 12b)는, 상기 틸트 레버(7)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베어링(19)이 들어올려져 상기 상부 안내 평면(5a) 안으로 변위되기 전에, 상기 하부 안내 평면(5b) 아래에 놓여지는 단부 위치(end position)에서 벗어나 특정 양만큼 초기에 수평으로 후방으로 상기 전측 틸트 레버(7)을 움직이는 목적을 다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루프 부분(2)이 들어올려지기 전에, 상기 루프 부분 상의 전측에서 작용하는 밀봉 립(sealing lip) 아래에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의 폐쇄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초기에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루프 부분(2)이 폐쇄된 때에 이에 따라 상기 전측 틸트 레버(7)의 지지 베어링이 상기 하부 안내 평면(5b)의 높이(level) 아래에 상기 안내 연속체(12a, 12b)의 안내 곡선(29) 내에 놓이는 반면, 상기 안내 캐리지(10) 또한, 심지어 전측 단부 위치에서조차도, 이미 상기 상부 안내 평면(5a) 내에 배치된다. 상기 루프 부분(2)의 폐쇄된 단부 위치에서 상기 후측 제어 캐리지(9)는, 아래로부터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상부 안내 평면(5a)의 걸쇠 리세스(R) 안으로 눌려지는 상기 제어 레버(11)의 지지 캠(32)을 상기 제어 레버(11) 아래에서 상기 지지 웨브 구성체(30)가 유지하는 방식으로 움직여진다. 개방 작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유연성 샤프트(13)는 상기 제어 캐리지(9)를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를 따라 후방으로 움직이며, 그 결과로서 2개의 슬라이드 볼트들(slide bolts; 22, 23)이 만곡된 제어 연계부(25) 내에서 움직여짐으로써, 상기 후측 틸트 레버(8)는 상방으로 작동(actuate)된다(도 2b, 3b 및 2c, 3c를 참고). 상기 루프 부분(2)은 결과적으로 상방으로 비스듬히 틸트(tilted obliquely)된다.
상기 제어 캐리지(9)의 변위 시작시에 상기 제어 레버(11)가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걸쇠 리세스(R) 안에 잠긴 채로 남으므로, 상기 안내 캐리지(10)도 상기 전측 틸트 레버(7)와 함께 전측 단부 위치에 남는다. 상기 제어 캐리지(9)가 후방으로 더 움직여지는 때에, 상기 제어 레버(11)의 지지 웨브는, 상기 제어 레버(11)의 지지 캠(32)이 삽입되는 지지 리세스(support recess) 안으로의 상기 제어 레버(11)의 하방 움직임을 상기 지지 웨브 구성체(30)가 해제할 때까지, 상기 제어 캐리지(9)의 지지 웨브 구성체(30)의 만곡부(curvature)를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진다. 상기 제어 레버(11)의 하단 표면의 영역에서, 상기 제어 레버(11)는 리세스(28)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바, 상기 리세스(28)는, 상기 지지 웨브 구성체(30)의 리세스 안으로 삽입된 상기 지지 캠(32)과 함께 상기 제어 캐리지(9)의 스톱(stop; 31) 뒤에 맞물린다. 아래로부터 지지 부하(supporting load)의 제거로 인한 상기 제어 레버(11)의 불가피한 하방 움직임은, 제어 레버의 미리-긴장된 상부 위치로부터 긴장되지 않은 정지 위치로 하방으로 움직이는 상기 제어 레버(11)의 활동(effort)의 결과로서 실시된다. 상기 지지 웨브 구성체(30)의 리세스 내의 상기 지지 캠(32)의 포지티브 로킹 맞물림 및 상기 리세스(28)와 상기 스톱(31) 사이의 뒤의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어 레버(11) 및 상기 안내 캐리지(10)는 움직임을 전달하기 위하여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상기 제어 캐리지(9)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캐리지(9)의 추가 후방 움직임은, 상기 제어 레버(11) 및 상기 안내 캐리지(10)의 동반을 또한 후방으로 이끈다. 결과로서, 상기 지지 베어링(19)은, 상기 지지 베어링(19)이 상기 지지 베어링(19)의 슬라이드 슈들(20)과 함께 상기 상부 안내 평면(5a)에도 도달할 때까지, 상기 지지 베어링(19)의 슬라이드 슈들과 함께 후방으로 그리고 상방으로 미끄러진다. 이 경우에 불가피한 동역학적 특성(inevitable kinematics)으로 인하여 상기 전측 틸트 레버(7)도 상방으로 틸트됨으로써,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은 상기 이동가능 루프 부분(2)과 함께 완전히 상방으로 틸트되며, 후방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도 10a 및 10b와 함께 도 2d 및 3d를 참고).
상기 루프 부분(2)은 대응되는 반대 움직임(reversed movement)의 결과로서 후방으로 움직여진 개방 위치로부터 다시 상기 루프 부분(2)의 폐쇄 위치로 이송된다. 이 경우에, 상기 지지 웨브 구성체(30)가 상기 제어 레버(11)를 다시 상기 걸쇠 리세스(R) 내측의 걸쇠 위치 안으로 누르자마자, 상기 전측 틸트 레버(7)의 전측 단부 위치가 상기 안내 연속체(12a, 12b)의 안내 곡선(29) 영역에서 다시 도달된다.
도 11에는 도 1 내지 10b에 따른 안내 레일 구성체(5)에 대하여 변경된 안내 레일 구성체(5’)가 도시되는바, 상기 변경된 안내 레일 구성체(5’)는 도 1 내지 10b를 통하여 미리 설명된 루프 시스템(1)의 경우에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경우에 있어서 본질적인 차이점은 전측 연계 요소(front linkage element)들이 도 1 내지 10b에 따른 실시례의 경우에서와 같이 별개의 연계 인서트(linkage insert)들로서 개발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일체로 몰딩된 연속체들(12’a, 12’b)로서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연속체들(12’a, 12’b)도, 미리 설명된 실시례들의 경우에서와 같은 안내 곡선(29)을 한정한다. 안내 연속체들로서도 지칭(designate)되는 연속체들(12’a, 12’b)의 일체 형태(integral form)는, 금속, 특히 가벼운 금속 합금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안내 레일 구성체(5’)의 결과로서 실시된다.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는 실질적으로 견고한 U-프로파일 몸체(sturdy U-profile body)로서 설계된다. 상기 연속체들(12’a, 12’b)이 형성되는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전측 영역에서 상기 U-프로파일 몸체의 하부 크로스 웨브(lower cross web)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연속체들(12’a, 12’b)은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측면벽 영역들로부터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된다. 상기 연속체들(12’a, 12’b)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핑거부들(fingers)을 형성하는바, 상기 핑거부들은 원하는 안내 곡선(29)에 대응되는 가소적 변형의 결과로서 굽혀질 수 있다. 미리 설명된 실시례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상부 안내 평면(5’a) 안으로 이송하는 안내 홈(guide groove)이 상기 연속체들(12’a, 12’b) 각각의 안에 제공된다. 핑거-형상의 연속체들(finger-shaped continuations; 12’a, 12’b)이 대각재 수단(cross-bracing means)의 결과로서 전측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5)

  1. 고정된 루프 컷아웃(roof cutout)을 구비한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으로서, 상기 루프 시스템은,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tilt and guide mechanism)에 의해 폐쇄 위치, 틸트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상기 루프 컷아웃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루프 부분(2)을 구비하고, 상기 틸트 및 안내 메커니즘은 - 상기 자동차의 주행 방향에서 보았을 때 - 상기 루프 부분의 두 측면들 모두 상에서 각각 전측 틸트 레버(7) 및 후측 틸트 레버(8)를 포함하고, 상기 전측 틸트 레버(7) 및 상기 후측 틸트 레버(8)는 각각 피봇 지점(pivot point; 18, 24)에 의해 상기 루프 부분(2)에 피봇되게 연결되고, 안내 레일 구성체(guide rail arrangement; 5) 내에서 이동가능한 제어 캐리지(control carriage; 9)에 작동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안내 레일 구성체(5)는, 서로 겹쳐져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2개의 안내 평면들(5a, 5b)을 포함하고, 상기 전측 틸트 레버(7)의 안내 캐리지(guide carriage; 10)는 하나의 안내 평면(5a)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어 캐리지(9) 및 상기 후측 틸트 레버(8)는 다른 안내 평면(5b)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2.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루프 시스템 또는 제1항의 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측 틸트 레버(7)는 피봇 지점(21)을 통하여 안내 캐리지(10) 상에 장착되고, 상기 후측 틸트 레버(8)는 상기 제어 캐리지(9) 상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 캐리지(10)는 제어 레버(1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레버(11)는,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걸쇠 리세스(latching recess; R)에 걸기 위한 걸쇠 수단(27) 및 동반부(28, 32)를 포함하며, 상기 동반부(28, 32)에 의해 상기 안내 캐리지(10)는 상기 제어 캐리지(9)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길이방향으로 동반가능(entrainable)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11)는 상기 걸쇠 리세스(R) 안의 걸쇠 위치(latching position)와 상기 제어 캐리지(9) 상의 동반 위치(entrainment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버(11)는, 상기 안내 캐리지(10) 상에 일체로 구성되고, 재료의 탄성의 결과로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틸트 레버(7)는 상기 틸트 레버(7)를 전측 안내 연속체(front guide continuation; 12a, 12b)로부터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상부 안내 평면(5a)으로 이송(transfer)하기 위한 지지 베어링(support bearing; 19)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베어링(19)은 상기 틸트 레버(7)의 내측 옆에 그리고 외측 옆에 배치되는 특히 2개의 슬라이드 슈들(slide shoes; 2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캐리지(10)는 상기 전측 틸트 레버(7)의 후측 피봇 지점(21)을 위한 지탱 블록(bearing block)으로서 플라스틱 재료로 생산되고, 상기 제어 레버(11)는 상기 지탱 블록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캐리지(9)의 방향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캐리지(9)는 상기 후측 틸트 레버(8)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연계부(25), 및 상기 제어 레버(11)를 상기 제어 레버(11)의 걸쇠 위치와 동반 위치 사이에서 제어하기 위한 지지 및 동반 프로파일링(support and entrainment profiling; 30, 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연계부(25)는 플라스틱-코팅된 금속 웨브(plastic-coated metal web)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9.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푸시풀 수단(longitudinally extended push-pull means; 13)의 형태로 된 구동 전달 수단(drive transmitting means)이 상기 제어 캐리지(9)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포지티브 로킹 방식(positive locking manner)으로 상기 제어 캐리지(9) 상의 상보적 수용 수단(complementary receiving means; 26)에 맞물리는 동반 캠(entrainment cam; 14)이 상기 푸시풀 수단(13)의 단부면 영역(end-face region) 상에 일체로 몰딩(mol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11.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틸트 레버(7) 및 상기 후측 틸트 레버(8)의 루프 부분 피봇 지점들(18, 24)은 일체의,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체결 프로파일(fastening profile; 6)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은 상기 루프 부분(2)의 측면 에지(side edge)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루프 부분(2)의 측면 에지 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이 상기 루프 부분(2) 상에 체결되는 2개 초과의 체결점들(15)이 상기 체결 프로파일(6)의 길이에 걸쳐 분포(distribute)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에는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의 전측에 2개의 연계 요소들(12a, 12b)이 제공되며, 상기 2개의 연계 요소들(12a, 12b)은, 상기 안내 연속체를 형성하며, 서로 거울 대칭이며, 하부 정지 위치(lower rest position)로부터 상부 안내 평면(5a)으로 상기 지지 베어링(19)의 슬라이드 슈들을 슬라이드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외측에서 그리고 내측에서 상기 지지 베어링(19) 옆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요소들(12’a, 12’b)은 상기 안내 레일 구성체(5’)로부터의 일체 연속체(integral continuations)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1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 리세스에는 플라스틱 재료 인서트(plastics material insert)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시스템.
KR1020157015996A 2012-11-29 2013-11-21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 KR20150090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21845 2012-11-29
DE102012221845.9 2012-11-29
DE102012223709.7 2012-12-19
DE102012223709.7A DE102012223709A1 (de) 2012-11-29 2012-12-19 Dach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PCT/EP2013/074417 WO2014082920A2 (de) 2012-11-29 2013-11-21 Dach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900A true KR20150090900A (ko) 2015-08-06

Family

ID=5072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996A KR20150090900A (ko) 2012-11-29 2013-11-21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6000B2 (ko)
EP (1) EP2925548B1 (ko)
JP (1) JP2015535506A (ko)
KR (1) KR20150090900A (ko)
CN (1) CN104968518B (ko)
DE (1) DE102012223709A1 (ko)
WO (1) WO20140829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4804B4 (de) * 2014-10-13 2020-06-18 Webasto-Edscha Cabrio GmbH Cabriolet-Verdeck mit Verschlusssystem
DE102014117151B4 (de) * 2014-11-24 2023-11-09 Webasto SE Anordnung für ein Fahrzeugdach
DE102015201232A1 (de) 2015-01-26 2016-07-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DE102015201587A1 (de) * 2015-01-29 2016-08-04 Bos Gmbh & Co. Kg Antriebssystem für einen beweglichen Dachteil eines Dachmodul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009305A1 (de) * 2015-07-22 2017-01-26 Webasto SE Steuerstange einer Verstellmechanik an einem Fahrzeugdach
EP3138711B1 (de) 2015-08-21 2019-03-27 BOS GmbH & Co. KG Dach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25811A1 (de) 2015-08-21 2017-02-23 Bos Gmbh & Co. Kg Dach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121533A1 (de) * 2015-12-10 2017-06-14 Webasto SE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umfassend Verstellkinematik mit Koppelstange
DE102016119450A1 (de) * 2016-10-12 2018-04-12 Roof Systems Germany Gmbh Schiebedachsystem
DE102017201402A1 (de) * 2017-01-30 2018-08-02 Bos Gmbh & Co. Kg Schiebedach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EP3552853B1 (en) 2018-04-12 2021-01-27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Sunroof system for a vehicle with rotating drive slide
EP4227128A1 (de) * 2022-02-14 2023-08-16 Webasto SE Anordnungen zum bewegen eines deckels und fahrzeugdac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5787A1 (de) * 1985-12-21 1987-06-25 Webasto Werk Baier Kg W Mittellager fuer einen windabweiser
FR2601303B1 (fr) 1986-07-12 1992-02-14 Webasto Werk Baier Kg W Dispositif de manoeuvre pour un toit ouvrant de vehicule dont le levier d'actionnement est relie avec le premier element de glissement.
NL8701492A (nl) * 1987-06-25 1989-01-16 Vermeulen Hollandia Octrooien Open 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JPH07100410B2 (ja) * 1990-03-20 1995-11-01 株式会社アルファ 自動車用スライドルーフ装置
JP3047132B2 (ja) * 1991-05-10 2000-05-29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サンルーフ装置
JP4374697B2 (ja) * 1999-05-28 2009-12-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装置
NL1013756C2 (nl) * 1999-11-01 2001-05-02 Inalfa Ind Bv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DE10205612C2 (de) 2002-02-11 2003-12-11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JP4367109B2 (ja) * 2003-11-27 2009-11-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DE102004018461A1 (de) * 2004-04-16 2005-11-03 Arvinmeritor Gmbh Schiebedachsystem
DE102004042450B4 (de) * 2004-08-31 2008-01-10 Edscha Cabrio-Dachsysteme Gmbh Fahrzeugdach
DE102005007032B4 (de) * 2005-02-15 2006-11-16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DE102006002064B4 (de) 2006-01-16 2008-03-20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eines festen Dachabschnitts verschiebbaren Deckel
EP1844967A1 (de) * 2006-04-04 2007-10-17 ArvinMeritor GmbH Schiebedachsystem
DE102007004258A1 (de) 2007-01-23 2008-07-24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öffnungsfähigen Dachteil
JP5423340B2 (ja) * 2009-11-19 2014-02-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68518A (zh) 2015-10-07
WO2014082920A2 (de) 2014-06-05
JP2015535506A (ja) 2015-12-14
EP2925548A2 (de) 2015-10-07
US9376000B2 (en) 2016-06-28
EP2925548B1 (de) 2020-01-01
WO2014082920A3 (de) 2014-07-24
US20150306942A1 (en) 2015-10-29
DE102012223709A1 (de) 2014-06-05
CN104968518B (zh)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0900A (ko) 자동차를 위한 루프 시스템
EP2425996B1 (en) Vehicle sunroof device
JP2015535506A5 (ko)
KR101477999B1 (ko) 차량용 개방 루프 구조
CN107428229B (zh) 用于机动车的顶盖模块的能够运动的顶盖部件的驱动系统
JP4741708B2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CN106467010B (zh) 用于机动车的车顶系统
US20110233365A1 (en) Vehicle seat rail assembly
US9688126B2 (en) Arrangement for a vehicle roof with a cover
CN102463878B (zh) 用于车辆的车顶装置
US10106020B2 (en) Arrangement having a cover for a vehicle roof
US9511653B2 (en) Vehicle sunroof device
JPH01282019A (ja) 特に、車両のスライドルーフのためのすべりシュー
US9592723B2 (en) Vehicle sunroof device
EP1084881A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6343833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CN111137118A (zh) 用于车辆的车顶系统
KR20140106192A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CN109291773B (zh) 车辆开式天窗结构
JP6544011B2 (ja) サンルーフ装置
US10857861B2 (en) Sunroof device
JP2004131069A (ja) スライド/チルトルーフのカバーのためのガイド機構
JPH06320957A (ja) スライドチルトルーフのスライド天蓋の駆動装置
EP1544013A1 (en) Folding roof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