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82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824A
KR20150090824A KR1020140173493A KR20140173493A KR20150090824A KR 20150090824 A KR20150090824 A KR 20150090824A KR 1020140173493 A KR1020140173493 A KR 1020140173493A KR 20140173493 A KR20140173493 A KR 20140173493A KR 20150090824 A KR20150090824 A KR 2015009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ing
connector
terminals
plug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383B1 (ko
Inventor
케이스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상대측 접점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상대측 단자를 구비하는 상대측 커넥터와 상하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하다. 커넥터는,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는,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단자의 각각은, 제1 부위와, 제2 부위와, 연결부를 갖고 있다. 제1 부위는, 접점부 및 유도부를 갖고 있다. 접점부는, 상하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제2 부위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대측 접점부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접점부와 제2 부위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접점부는 상대측 접점부와 접촉하고 있다. 유도부는, 접점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끼워맞춤시에 상대측 접점부를 접점부까지 가이드한다. 연결부는, 제1 부위를 제2 부위와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접점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과 같은 대상물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217943호는, 이런 종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도 3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217943호의 커넥터 조립체는, 회로 기판에 고정된 커넥터와, 상대측 회로 기판에 고정된 상대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보유지지(保持)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하우징과, 상대측 하우징에 보유지지된 복수의 상대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하면, 상대측 단자는 부분적으로 커넥터에 삽입되고, 접점부가 상대측 접점부와 각각 접속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217943호
본 발명은, 대상물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보다 저배화(lower profile)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상대측 커넥터와 상하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접점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상대측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사용시에는 대상물에 탑재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단자의 각각은, 제1 부위와, 제2 부위와, 연결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부위는, 접점부 및 유도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위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기 상대측 접점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2 부위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대측 접점부와 접촉하고 있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접점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상대측 접점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할 때에,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한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접점부까지 가이드되고 있다.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커넥터의 사용시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부위를 상기 제2 부위와 연결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방향에 있어서 연결부의 위치는 접점부의 위치와는 상이하다. 즉, 연결부는 접점부를 통과하고 또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선과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대측 단자의 일부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접점부의 앞에 위치하는 공간에 수용된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그 공간의 크기를 연결부의 크기분만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대측 단자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연결부의 크기분만큼 커넥터를 낮게 할 수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바르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러그를 Ⅲ--Ⅲ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러그에 포함되는 플러그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러그 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리셉터클을 Ⅷ--Ⅷ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리셉터클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리셉터클 단자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리셉터클 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플러그 단자와 도 9의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4의 플러그 단자와 도 9의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4의 플러그 단자와 도 9의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4의 플러그 단자와 도 9의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플러그를 XⅧ--XⅧ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 플러그에 포함되는 플러그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플러그 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리셉터클을 XXV--XXV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리셉터클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리셉터클 단자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리셉터클 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19의 플러그 단자와 도 24의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19의 플러그 단자와 도 24의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9의 플러그 단자와 도 24의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19의 플러그 단자와 도 24의 리셉터클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217943호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서 개시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100)(상대측 커넥터, 도 1 참조)와, 리셉터클(200)(커넥터, 도 6 및 도 7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200)은, Z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100)와 끼워맞춤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 및 리셉터클(200)은, 모두 회로 기판이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100)는, 플러그 하우징(상대측 하우징)(110)과, 복수의 플러그 단자(상대측 단자)(150)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110)은 플러그 단자(15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플러그 하우징(110)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하우징(110)은 수지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10)은, 플러그 단자(150)를 보유지지하는 판 형상의 주부(main portion; 120)와, 2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130)를 갖고 있다. 위치 결정 볼록부(130)는, Y방향(제1 방향)에 있어서 주부(1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볼록부(130)의 각각은, Z방향에 있어서 -Z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부(120)에는, 2열로 나열된 플러그 단자(150)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각 열의 플러그 단자(150)는, Y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150)의 2열은, 한쪽 열의 플러그 단자(150)와 다른 한쪽 열의 플러그 단자(150)가, X방향(제2 방향)에 있어서의 주부(120)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에 대하여 선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주부(120)에는, 복수의 이격부(separation portion; 122)와, 복수의 위치 결정 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격부(122)의 각각은, Y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플러그 단자(15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이격부(122)는 Y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와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은, 이격부(122)보다도 -Z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은, Z방향에 있어서 이격부(122)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124)은, 플러그 단자(150)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위치 결정 구멍(124)의 각각은, X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15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은,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 내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구멍(124) 내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은, 대략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피(被)협지부(160)를 갖고 있다.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은,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피고정부(170)를 갖고 있다. 피협지부(160)에는 상대측 접점부(162)가 설치되어 있다. 상대측 접점부(162)는, 피협지부(160)의 외표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대측 접점부(162)의 각각은, 플러그 단자(150)의 각각이 플러그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에 면하고 있다(도 3 참조). 즉, 상대측 접점부(162)의 각각에는,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 내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다. 도 5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단자(150)의 상대측 접점부(162)는, Y방향에 있어서 피고정부(170)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피고정부(170)는, 상대측 접점부(162)를 통과하고 또한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선과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50)는, 피고정부(170)가 X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플러그 하우징(110)의 주부(120)에 각각 보유지지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단자(150)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성형시에 인서트 몰드법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110)에 조입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리셉터클(200)은, 리셉터클 하우징(하우징)(210)과,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단자)(250)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210)은 리셉터클 단자(25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리셉터클 하우징(210)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리셉터클 단자(250)의 각각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하우징(210)은 수지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단자(25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리셉터클 단자(250)는, 플러그 단자(150)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10)은, 판 형상의 주부(220)와, 2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240)를 갖고 있다. 주부(220)는 리셉터클 단자(250)를 보유지지하고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40)는, Y방향에 있어서 주부(2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40)의 각각은, Z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210)을 관통하고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40)는, 전술한 위치 결정 볼록부(130)(도 1 참조)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240)의 각각은,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대하여 끼워맞춤할 때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130)를 수용한다. 또한, 위치 결정 오목부(240)의 각각은, 대응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130)를 수용 가능한 것이라면, 리셉터클 하우징(210)을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주부(220)는, 박판부(thin plate portion; 222)와, 측부(226)를 갖고 있다. 측부(226)는 X방향에 있어서 박판부(222)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박판부(222)는, 주부(22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박판부(222)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 돌기(224)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224)의 각각은, +Z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224)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위치 결정 구멍(124)(도 1 참조)과 각각 대응하고 있다.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할 때에, 위치 결정 돌기(224)의 각각은, 후술하는 리셉터클 단자(250)의 일부와 함께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에 수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주부(220)는 2개의 측부(226)를 갖고 있다. 2개의 측부(226)의 각각은, 각봉(square bar-like)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측부(226)의 저면(-Z측의 면)의 각각은, 박판부(222)의 저면(-Z측의 면)보다도 상방(+Z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측부(226)의 하방(-Z측)에는, 스페이스(22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부(226)의 상면(+Z측의 면)의 각각은, 박판부(222)의 상면(+Z측의 면)보다도 상방(+Z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리셉터클(200)을 상측(+Z측)에서 보면, 박판부(222)는 측부(226)보다도 오목해져 있다. 환언하면, 박판부(222)와 측부(226)에 의해 오목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00)(도 1 참조)를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할 때에는, 이 오목 부분에 플러그(100)의 주부(120)가 수용된다. 즉,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는, 플러그(100)의 주부(120)는, X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200)의 측부(22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주부(220)에는, 박판부(222) 및 측부(226)에 걸치는 수용부(230)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30)는, 리셉터클 단자(250)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수용부(230)의 각각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의 각각은, 제1 부위(260) 및 제2 부위(270)와, 제1 부위(260)와 제2 부위(270)를 연결하는 연결부(280)를 갖고 있다.
제1 부위(260)는, 접점부(262)와, 탄성을 갖고 또한 접점부(262)를 지지하는 지지부(264)를 갖고 있다. 지지부(264)는, 접점부(262)가 적어도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접점부(262)를 지지하고 있다. 접점부(262)는, X방향에 있어서, 제2 부위(270)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제2 부위(270)측(도 9에 나타난 리셉터클 단자(250)에 있어서는 -X측)을 향하고 있다. 지지부(264)의 일부에는, Z방향 및 X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갖는 유도부(26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유도부(266)는 지지부(264)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266)는, 접점부(262)의+Z측(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유도부(266)의 각각은, 플러그(100)(도 3 참조)를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할 때에 리셉터클(2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Z방향(하방)으로 이동하는,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150)의 상대측 접점부(162)를 가이드하고, 이에 따라, 접점부(262)의 각각은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150)의 상대측 접점부(162)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부위(260)의, 접점부(262)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제2 부위(270)는, 압입부(272)와 피실장부(274)를 갖고 있다. 압입부(272)의 각각은, 리셉터클 하우징(210)에 압입된다. 피실장부(274)의 각각은 대상물로서의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납땜 실장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부위(270)의, 피실장부(274)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도 11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부위(260)는 제2 부위(270)와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접점부(262)와 피실장부(274)는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접점부(262)의 Y방향 중심은, 피실장부(274)의 Y방향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단자(250)의 각각은 2개의 연결부(280)를 갖고 있다. 2개의 연결부(280)는, 제1 부위(260)의 두 갈래와, 제2 부위(270)의 두 갈래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80)와 제1 부위(260) 및 제2 부위(270)는, 허용 영역(285)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허용 영역(285)은, XY평면 내에 있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허용 영역(28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0)(도 3 참조)를 리셉터클(200)(도 8 참조)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의 일부를 각각 수용하고, 당해 일부가 Z방향에 있어서 연결부(280)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각각 허용한다.
도 11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280)는, Y방향에 있어서 접점부(262)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연결부(280)는, 접점부(262)를 통과하고 또한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선과는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230)의 각각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의 일부가 수용되고, 압입부(272)의 각각이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주부(220)의 측부(226)에 압입된 상태에 있어서, 접점부(262) 및 유도부(266)는, Y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 돌기(224)와 각각 인접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접점부(262), 유도부(266) 및 대응하는 위치 결정 돌기(224)는,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할 때에, 위치 결정 구멍(124)에 각각 삽입된다. 그에 따라, 플러그 단자(150)의 피협지부(160)의 각각이,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의 제1 부위(260)와 제2 부위(270)와의 사이에 끼워지고, 플러그 단자(150)의 상대측 접점부(162)의 각각은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 내에 있어서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의 접점부(262)와 접촉한다. 즉, 플러그(100)가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의 상대측 접점부(162)의 각각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의 접점부(262)와 제2 부위(270)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플러그 단자(150)의 상대측 접점부(162)의 각각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의 접점부(262)와 접촉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가 리셉터클 하우징(210)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피실장부(274)의 각각은 스페이스(228) 내에 위치하고 있다. 즉, 피실장부(274)의 각각은, 측부(226)의 하측(-Z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8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가 리셉터클 하우징(210)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280)의 각각은 피실장부(274)보다도 약간 상측(+Z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연결부(280)의 각각은 변형 가능하고, 제1 부위(260)는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각 연결부(280)는, 제1 부위(260)가 적어도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제1 부위(260)를 지지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실장부(274)와 연결부(280)를 동일 XY평면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리셉터클(200)을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하여 피실장부(274)의 각각을 회로 기판 상에 고정했을 때에, 연결부(280)의 각각을 회로 기판과 접촉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단자(250)의 제2 부위(270)의 각각은, 측부(226)로부터 +Z측(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Y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부위(270)의 사이마다에 공간이 있고, 그 공간은 측부(226)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점부(262)와 제2 부위(270)와의 사이에는 허용 영역(285)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는 연결부(28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환언하면, Y방향에 있어서 연결부(280)의 옆에는 허용 영역(28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50)와 리셉터클 단자(250)와의 접속시(즉,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과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의 일부는, 허용 영역(285)에 각각 수용되고, 그에 따라 Z방향에 있어서 연결부(280)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협지부(160)의 높이를 높게 할(즉, 피협지부(160)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크게 함) 수 있고, 접점부(262)가 플러그 단자(150) 상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는 거리(즉, 유효 접촉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200)과 플러그(100)의 높이를 낮게 하면서, 충분한 유효 접촉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도 1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170)와 피실장부(274)는 Y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즉,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의 상방(+Z측)으로부터의 투시도로부터, 피고정부(170)와 피실장부(274)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부위(270)의 사이마다에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고, 그 공간은 측부(226)의 상방이기 때문에, 피고정부(170)의 각각은 당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피고정부(170)와 제2 부위(270)의 일부는, Y방향에 있어서 나열하여 위치할 수 있다. 환언하면, Z방향에 있어서, 피고정부(170)는 제2 부위(270)의 일부와 겹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러그(100)를 리셉터클(200)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 전체의 Z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실장부(274)는 Y방향에 있어서 접점부(262)와 동(同)위치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Y방향에 있어서 피실장부(274)가 연결부(280)의 한쪽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100A)(상대측 커넥터: 도 16 참조)와, 리셉터클(200A)(커넥터: 도 21 및 도 22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200A)은, Z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100A)와 끼워맞춤 가능하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와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100A) 및 리셉터클(200A)은, 모두 회로 기판이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되는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플러그(100A)는, 플러그 하우징(상대측 하우징)(110A)과, 복수의 플러그 단자(상대측 단자)(150A)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110A)은 플러그 단자(150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플러그 하우징(110A)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하우징(110A)은 수지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10A)은, 플러그 단자(150A)를 보유지지하는 판 형상의 주부(120A)를 갖고 있다.
주부(120A)에는, 2열로 나열된 플러그 단자(150A)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각 열의 플러그 단자(150A)는, Y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한쪽 열의 플러그 단자(150A)와 다른 한쪽 열의 플러그 단자(150A)는, X방향(제2 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응되고 있다. 한쪽 열의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과, 다른 한쪽 열이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150A)는, 그들의 위치로부터 등(等)거리에 있는 점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주부(120A)에는, 복수의 이격부(122A)와, 복수의 위치 결정 구멍(1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격부(122A)의 각각은, Y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플러그 단자(150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이격부(122A)는 Y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와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은, 이격부(122A)보다도 -Z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은, Z방향에 있어서 이격부(122A)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게, 위치 결정 구멍(124A)은, X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열의 플러그 단자(150A)와 대응하는 다른 한쪽 열의 플러그 단자(150A)의 쌍방에 공통되는 구멍으로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위치 결정 구멍(124A)의 총수는, 플러그 단자(150A)의 총수의 반이 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124A)의 각각은, X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2개의 플러그 단자(150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은,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A) 내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구멍(124A) 내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은, 대략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피협지부(160A)를 갖고 있다.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은,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피고정부(170A)를 갖고 있다. 피협지부(160A)에는 상대측 접점부(162A)가 설치되어 있다. 상대측 접점부(162A)는, 피협지부(160A)의 외표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대측 접점부(162A)의 각각은, 플러그 단자(150A)의 각각이 플러그 하우징(110A)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A)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A) 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도 18 참조). 즉, 상대측 접점부(162A)의 각각에는,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A) 내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다. 도 20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단자(150A)의 상대측 접점부(162A)는, Y방향에 있어서 피고정부(170A)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피고정부(170A)는, 상대측 접점부(162A)를 통과하고 또한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선과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50A)는, 피고정부(170A)가 X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플러그 하우징(110A)의 주부(120A)에 각각 보유지지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러그 단자(150A)는, 플러그 하우징(110A)의 성형시에 인서트 몰드법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110A)에 조입되어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리셉터클(200A)은, 리셉터클 하우징(하우징)(210A)과,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단자)(250A)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210A)은 리셉터클 단자(250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리셉터클 하우징(210A)은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50A)의 각각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하우징(210A)은 수지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단자(250A)의 각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 단자(250A)는, 플러그 단자(150A)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21 내지 도 2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10A)은, 리셉터클 단자(250A)를 보유지지하는 판 형상의 주부(220A)를 갖고 있다. 주부(220A)는, 박판부(222A)와, 측부(226A)를 갖고 있다. 측부(226A)는 X방향에 있어서 박판부(222A)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박판부(222A)는, 주부(220A)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박판부(222A)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 돌기(224A)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224A)의 각각은, +Z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결정 돌기(224A)의 각각은, 리셉터클(200A)을 상측(+Z측)에서 본 경우에, H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위치 결정 돌기(224A)의 각각은, X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한 홈을 2개 갖고 있다. 위치 결정 돌기(224A)는, 플러그 하우징(110A)의 위치 결정 구멍(124A)(도 18 참조)과 각각 대응하고 있다. 즉, 위치 결정 돌기(224A)의 총수는 리셉터클 단자(250A)의 총수의 2분의 1이다. 플러그(100A)를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할 때에, 위치 결정 돌기(224A)의 각각은 후술하는 리셉터클 단자(250A)의 일부와 함께 대응하는 위치 결정 구멍(124A)에 수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주부(220A)는 2개의 측부(226A)를 갖고 있다. 2개의 측부(226)의 각각은, 각봉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측부(226A)의 저면(-Z측의 면)의 각각은, 박판부(222A)의 저면(-Z측의 면)보다도 상방(+Z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측부(226A)의 하방(-Z측)에는, 스페이스(22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부(226A)의 상면(+Z측의 면)의 각각은, 박판부(222A)의 상면(+Z측의 면)보다도 상방(+Z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리셉터클(200A)을 상측(+Z측)에서 보면, 박판부(222A)는 측부(226A)보다도 오목해져 있다. 환언하면, 박판부(222A)와 측부(226A)에 의해 오목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00A)(도 18 참조)를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할 때에는, 이 오목 부분에 플러그(100A)의 주부(120A)가 수용된다. 즉, 플러그(100A)를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는, 플러그(100A)의 주부(120A)는, X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200A)의 측부(22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주부(220A)에는, 박판부(222A) 및 측부(226A)에 걸친 수용부(230A)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용부(230A)는, 전술한 위치 결정 돌기(224A)에 형성된 홈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수용부(230A)는, 리셉터클 단자(250A)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수용부(230A)의 각각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A)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이때, 리셉터클 단자(250A)의 일부의 각각은 위치 결정 돌기(224A)에 형성된 대응하는 홈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23 내지 도 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A)는, 제1 부위(260A) 및 제2 부위(270A)와, 제1 부위(260A)와 제2 부위(270A)를 연결하는 연결부(280A)를 갖고 있다.
도 23 내지 도 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부위(260A)는, 접점부(262A)와, 탄성을 갖고 또한 접점부(262A)를 지지하는 지지부(264A)를 갖고 있다. 지지부(264A)는, 접점부(262A)가 적어도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접점부(262A)를 지지하고 있다. 접점부(262A)는, X방향에 있어서, 제2 부위(270A)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제2 부위(270A)측(도 24에 나타난 리셉터클 단자(250A)에 있어서는 -X측)을 향하고 있다. 지지부(264A)의 일부에는, Z방향 및 X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갖는 유도부(266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유도부(266A)는 지지부(264A)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266A)는, 접점부(262A)의 +Z측(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유도부(266A)의 각각은, 플러그(100A)(도 18 참조)를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할 때에 리셉터클(20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Z방향(하방)으로 이동하는,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250A)의 상대측 접점부(162A)를 가이드하고, 이에 따라, 접점부(262A)의 각각은 대응하는 플러그 단자(150A)의 상대측 접점부(162A)에 접속된다. 도 24 내지 도 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A)의 제1 부위(260A)의, 접점부(262A)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3 내지 도 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부위(270A)는, 대상물인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납땜 실장되어 고정되는 피실장부(274A)를 갖고 있다. 도 24 내지 도 2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A)의 제2 부위(270A)의, 피실장부(274A)로부터 먼 쪽의 단부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6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부위(260A)는 제2 부위(270A)와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접점부(262A)는 피실장부(274A)와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접점부(262A)의 Y방향 중심은, 피실장부(274A)의 Y방향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단자(250A)는, 1개의 연결부(280A)를 갖고 있다. 연결부(280A)는, 제1 부위(260A)의 단부와, 제2 부위(270A)의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에 따라, Y방향에 있어서, 연결부(280A)의 옆에는 허용 영역(285A)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3 내지 도 26에 나타난 리셉터클 단자(250A)의 +Y측의 위치에, 허용 영역(285A)이 형성되어 있다. 허용 영역(285A)은, X방향에 있어서, 제1 부위(260A)와 제2 부위(270A) 사이에 끼워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0A)(도 18 참조)를 리셉터클(200A)(도 23 참조)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A)의 일부가 허용 영역(285A)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허용 영역(285A)은 당해 일부가 Z방향에 있어서 연결부(280A)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각각 허용한다.
도 26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280A)는, Y방향에 있어서 접점부(262A)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연결부(280A)는, 접점부(262A)를 통과하고 또한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선과는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A)의 일부의 각각이 대응하는 수용부(230A)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부위(260A)의 일부의 각각은 위치 결정 돌기(224A)의 대응하는 홈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점부(262A), 유도부(266A) 및 위치 결정 돌기(224A)는, 플러그(100A)를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할 때에, 한묶음이 되어 위치 결정 구멍(124A)에 각각 삽입된다(도 18 참조). 그에 따라, 플러그 단자(150A)의 피협지부(160A)의 각각이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A)의 제1 부위(260A)와 제2 부위(270A)와의 사이에 끼워지고, 플러그 단자(150A)의 상대측 접점부(162A)의 각각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A)의 접점부(262)와 대응하는 수용부(230A) 내에 있어서 접촉한다. 즉, 플러그(100A)가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50A)의 상대측 접점부(162A)의 각각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A)의 접점부(262A)와 제2 부위(270A)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플러그 단자(150A)의 상대측 접점부(162A)의 각각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250A)의 접점부(262A)와 접촉한다.
도 21 내지 도 2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A)가 리셉터클 하우징(210A)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피실장부(274A)의 각각은 스페이스(228A) 내에 위치하고 있다. 즉, 피실장부(274A)의 각각은, 측부(226A)의 하측(-Z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2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50A)가 리셉터클 하우징(210A)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연결부(280A)의 각각은 피실장부(274A)보다도 약간 상측(+Z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연결부(280A)는 변형 가능하고, 제1 부위(260A)는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연결부(280A)의 각각은, 제1 부위(260A)가 적어도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제1 부위(260A)를 지지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실장부(274A)와 연결부(280A)를 동일 XY평면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리셉터클(200A)을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하여 피실장부(274A)의 각각을 회로 기판 상에 고정했을 때에, 연결부(280A)의 각각을 회로 기판과 접촉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21 및 도 2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단자(250A)의 제2 부위(270A)의 각각은, 측부(226A)로부터 +Z측(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Y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부위(270A)의 사이마다에 공간이 있고, 그 공간은 측부(226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26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점부(262A)와 제2 부위(270A)와의 사이에는 허용 영역(285A)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는 연결부(280A)가 설치되지 않았다. 환언하면, Y방향에 있어서 연결부(280A)의 옆에는 허용 영역(28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7 내지 도 3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50A)와 리셉터클 단자(250A)와의 접속시(즉, 플러그(100A)와 리셉터클(200A)과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 상대측 단자(150A)의 일부는, 허용 영역(285A)에 각각 수용되고, 그에 따라 Z방향에 있어서 연결부(280A)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협지부(160A)의 높이를 높게 할(즉, 160A의 Z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크게 함) 수 있고, 따라서, 접점부(262A)의 유효 접촉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200A)과 플러그(100A)의 높이를 낮게 하면서, 충분한 유효 접촉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도 3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170A)와 피실장부(274A)와는 Y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즉, 플러그(100A)를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의 상방(+Z측)으로부터의 투시도로부터, 피고정부(170A)와 피실장부(274A)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부위(270A)의 사이마다에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고, 그 공간은 측부(226A)의 상방이기 때문에, 피고정부(170A)의 각각은 당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2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0A)를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피고정부(170A)는, 제2 부위(270A)의 일부와 Y방향에 있어서 나열하여 위치할 수 있다. 환언하면, Z방향에 있어서, 피고정부(170A)는 제2 부위(270A)의 일부와 겹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러그(100A)를 리셉터클(200A)에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 전체의 Z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실장부(274A)는 Y방향에 있어서 접점부(262A)와 동위치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Y방향에 있어서 피실장부(274A)가 연결부(280A)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러그(100)와 리셉터클(200)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단자(250, 250A)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던 부분(즉, 피협지부(160, 160A))은, 플러그 단자(150, 150A)의 일부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플러그 하우징(110, 110A)의 일부에 플러그 단자(150, 150A)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킨 상태 또는 플러그 단자(150, 150A)를 부착한 상태에서, 플러그 단자(150, 150A)의 일부와 플러그 하우징(110, 110A)의 일부가 리셉터클 단자(250, 250A)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리셉터클 단자(250, 250A)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을 플러그 단자(150, 150A)의 일부와 플러그 하우징(110, 110A)의 일부와 같은 절연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협지부(160, 160A)는, 리셉터클 단자(250, 250A)만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었지만, 리셉터클 단자(250, 250A)의 일부와 리셉터클 하우징(210, 210A)의 일부와 같은 절연체로 사이에 끼우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2개의 변형예를 조합해도 좋다.
본 발명은 2014년 1월 29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2014-014459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상대측 접점부를 각각 갖는 복수의 상대측 단자를 구비하는 상대측 커넥터와 상하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사용시에는 대상물에 탑재되는 것이고,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에 각각 대응하고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각각은, 제1 부위와, 제2 부위와, 연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부위는, 접점부 및 유도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위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기 상대측 접점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2 부위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상대측 접점부와 접촉하고 있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접점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 접점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할 때에,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고 또한 상기 유도부에 의해 상기 접점부까지 가이드되어 있고,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커넥터의 사용시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부위를 상기 제2 부위와 연결하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위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자는, 피(被)협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상대측 접점부는, 상기 피협지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기 제1 부위와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피협지부를 사이에 끼우고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접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있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부위가 적어도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부위를 지지하고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각각은, 1개의 상기 연결부를 갖고 있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각각은, 2개의 상기 연결부를 갖고 있는 커넥터.
  9. 제1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옆에는 허용 영역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했을 때에, 상기 상대측 단자의 일부는, 상기 허용 영역에 수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대상물에 탑재되는 것으로,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복수의 상기 상대측 단자와, 상기 상대측 단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상대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 단자의 각각은, 상기 상대측 대상물에 고정되는 피고정부를 추가로 갖고 있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부와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접점부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자와 교대로 위치하는 이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상대측 단자의 각각은, 상기 이격부보다도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1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상기 상대측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복수의 상기 상대측 단자와, 상기 상대측 단자의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상대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상대측 단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자와 교대로 위치하는 이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상대측 단자의 각각은, 상기 이격부보다도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는 상대측 커넥터.
KR1020140173493A 2014-01-29 2014-12-05 커넥터 KR101652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4459A JP6325262B2 (ja) 2014-01-29 2014-01-29 コネクタ
JPJP-P-2014-014459 201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824A true KR20150090824A (ko) 2015-08-06
KR101652383B1 KR101652383B1 (ko) 2016-08-30

Family

ID=5367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493A KR101652383B1 (ko) 2014-01-29 2014-12-05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56407B2 (ko)
JP (1) JP6325262B2 (ko)
KR (1) KR101652383B1 (ko)
CN (2) CN1048106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7360A (zh) * 2013-02-27 2015-11-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US9728872B2 (en) * 2014-09-22 2017-08-08 Xiaomi Inc Connector plug, connector socket, and connector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7845869B (zh) * 2017-12-06 2024-05-10 东莞明家防雷技术有限公司 一种电源插座铜片结构及电源插座
JP7178894B2 (ja) * 2018-12-18 2022-1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コネクタ組立体のコネクタ対、及び、コネクタ組立体の製造方法
JP7458224B2 (ja) * 2020-03-27 2024-03-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901603B1 (ja) * 2020-03-27 2021-07-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770A (ko) * 2006-09-29 2008-04-0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09217943A (ja) 2008-03-07 2009-09-24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11159507A (ja) * 2010-02-01 2011-08-1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178248A (ja) * 2011-02-25 2012-09-13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406A (en) 1993-12-17 1995-04-25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US5478248A (en) 1993-12-17 1995-12-26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JPH10116642A (ja) 1996-10-15 1998-05-06 Fujitsu Takamizawa Component Kk コネクタ
JPH11135178A (ja) * 1997-10-30 1999-05-21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ソケット
EP1523788B1 (en) * 2002-07-23 2011-03-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Low-profile connector
JP3969229B2 (ja) * 2002-07-23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CN2600941Y (zh) * 2003-01-28 2004-01-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5149770A (ja) * 2003-11-11 2005-06-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526428B2 (ja) * 2005-04-18 2010-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645475B2 (ja) * 2006-02-23 2011-03-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基板間接続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TWM300882U (en) * 2006-05-26 2006-11-1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2008146888A (ja) 2006-12-07 2008-06-2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117942Y (zh) * 2007-08-28 2008-09-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端子
JP2010073674A (ja) * 2008-08-22 2010-04-02 Alps Electric Co Ltd 基板間接続コネクタの接続端子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1997212B (zh) * 2009-08-11 2012-10-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667411U (zh) * 2010-03-31 2010-1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815277B2 (ja) * 2011-05-13 2015-11-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CN202308401U (zh) * 2011-09-28 2012-07-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端子
JP5522217B2 (ja) * 2012-08-21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770A (ko) * 2006-09-29 2008-04-0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09217943A (ja) 2008-03-07 2009-09-24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11159507A (ja) * 2010-02-01 2011-08-1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178248A (ja) * 2011-02-25 2012-09-13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41827A (ja) 2015-08-03
KR101652383B1 (ko) 2016-08-30
CN107425324A (zh) 2017-12-01
US9356407B2 (en) 2016-05-31
CN104810641A (zh) 2015-07-29
US20150214681A1 (en) 2015-07-30
JP6325262B2 (ja) 2018-05-16
CN104810641B (zh) 2017-05-17
CN107425324B (zh)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383B1 (ko) 커넥터
US948465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591251B2 (ja) コネクタ
KR101811248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20080296133A1 (en) Connector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US1061552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196984B2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using substrate connector
WO2019073933A1 (ja) コネクタ
KR20180053233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EP3660985A1 (en) Connector
US9325103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and a sealing member with contact portion and accomodated portion held in an accomodation portion of the housing
KR101514372B1 (ko) 커넥터
US10879633B2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12053996A (ja) 電気コネクタとキャップとを有する組立体、電気コネクタ用のキャップ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実装方法
US9118157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30032870A (ko) 소켓 커넥터
KR20180043742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N205488710U (zh) 一种电连接器组件及其底座
JP7002437B2 (ja) コネクタ
US2017026403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2022060207A (ja) コネクタ
JP2013012414A (ja) コネクタ
KR20170130740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