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870A -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870A
KR20230032870A KR1020220081272A KR20220081272A KR20230032870A KR 20230032870 A KR20230032870 A KR 20230032870A KR 1020220081272 A KR1020220081272 A KR 1020220081272A KR 20220081272 A KR20220081272 A KR 20220081272A KR 20230032870 A KR20230032870 A KR 2023003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island
socket
pitch direc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오모다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410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346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522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044297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Abstract

섬부(11)는, 섬부 본체(13)와, 복수의 소켓 컨택트(4)의 피치방향에 있어서 섬부 본체(13)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섬 단부(14)를, 포함한다. 각 섬 단부(14)는, 상면(14A)과, 피치 방향의 외방을 향하는 외방 종측면(14C)과, 폭방향을 향하는 2개의 횡측면(14B)을, 갖는다. 각 보호금구(6)는, 상면(14A)을 덮는 상면 보호부(22)와, 상면 보호부(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방 종측면(14C)을 덮는 외방 보호부(23)와, 상면 보호부(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2개의 횡측면(14B)을 각각 덮는 2개의 측방 보호부(25)를, 포함한다. 외방 보호부(23)와, 2개의 측방 보호부(25)는, 상면 보호부(22)를 개재시키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은, 본원의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대(對) 기판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개시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01)이 형성된 하우징(102)과, 보강금구(金具)(103)를 포함한다. 보강금구(103)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즉, 보강금구(103)는, 하우징(102)의 한 쌍의 장벽(長壁)(104), 하우징(102)의 단벽(短壁)(105), 하우징(102)의 섬형상의 돌출벽(106)의 단부(端部)를 보강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202095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보강금구(101)가 변형되기 쉬우며, 돌출벽(106)의 단부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 단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섬부(島部)와 상기 섬부를 둘러싸는 둘레벽(周壁)이 바닥판에서 상방으로 돌출해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컨택트와, 상기 섬부를 보호하는 보호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섬부는 섬부 본체와, 상기 복수의 컨택트의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섬부 본체와 서로 이웃하는 섬 단부(島端部)를 포함하고, 상기 섬 단부는, 상면과 상기 피치방향의 외방(外方)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피치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폭방향을 향하는 2개의 제2 측면을 갖고, 상기 보호금구는, 상기 상면을 덮는 상면 보호부와, 상기 상면 보호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측면을 덮는 제1 측면 보호부와, 상기 상면 보호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2개의 제2 측면을 각각 덮는 2개의 제2 측면 보호부를 포함하고, 제1 측면 보호부와 상기 2개의 제2 측면 보호부는, 상기 상면 보호부를 개재시키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섬 단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 제공된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며, 따라서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소켓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소켓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소켓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소켓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선 화살표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화살표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보호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보호금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XI-XI선 화살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소켓 보조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복수의 소켓 컨택트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5는, 소켓 커넥터를 피치방향에서 분단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소켓 커넥터를 폭방향으로 분단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9는,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특허문헌1의 도 4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는, 서로 평행해지는 2개의 기판을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 조립체(1)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조립체(1)는, 한쪽 기판으로서의 소켓측 기판에 탑재되는 소켓 커넥터(2)(제1 커넥터)와, 다른 쪽 기판으로서의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되는 플러그 커넥터(3)(제2 커넥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소켓 커넥터(2)는, 커넥터의 일종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라고도 불린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2)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4)(컨택트)와, 복수의 소켓 컨택트(4)을 유지하는 소켓 하우징(5)(하우징)과, 2개의 보호금구(6)와, 2개의 소켓 보조금구(7)(hold-down)을, 포함한다.
복수의 소켓 컨택트(4)는, 소켓측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2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소켓 보조금구(7)는, 소켓 하우징(5)을 소켓측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상하방향」, 「피치방향」, 「폭방향」을 정의한다. 상하방향 및 피치방향, 폭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은,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에 대해 삽발(揷拔)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상하방향은, 소켓 커넥터(2)의 높이방향과 일치하고, 또 플러그 커넥터(3)의 높이방향과 일치한다. 상하방향은, 상방(拔去方向) 및 하방(嵌合方向)을 포함한다. 상방은,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로부터 발거(뽑거나 빼어버림)하는 방향이다. 하방은,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에 결합하는 방향이다. 상방 및 하방은, 단순히 설명의 편의상 사용하는 용어에 지나지 않고, 커넥터 조립체(1)의 사용시의 자세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치방향은, 복수의 소켓 컨택트(4)가 나열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소켓 컨택트(4)가 서로 평행한 2열을 구성하는 경우, 피치방향은, 2열 중 한쪽 열에 속하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4)가 나열되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피치방향은, 피치방향 내방(inward in the pitch direction) 및 피치방향 외방(outward in the pitch direction)을 포함한다. 피치방향 내방은, 커넥터 조립체(1)의 피치방향에서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피치방향 외방은, 커넥터 조립체(1)의 피치방향에서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이다.
폭방향은, 상하방향 및 피치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다. 폭방향은 폭방향 내방(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및 폭방향 외방(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을 포함한다. 폭방향 내방은, 커넥터 조립체(1)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폭방향 외방은, 커넥터 조립체(1)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에서멀어지는 방향이다.
(소켓 커넥터(2))
이하, 도 2 내지 도 16을 참조해서 소켓 커넥터(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2)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4)와, 복수의 소켓 컨택트(4)를 유지하는 소켓 하우징(5)과, 2개의 보호 금구(6)와, 2개의 소켓 보조금구(7)를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5)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절연수지로 이루어지는 판체(板體)이며, 피치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5)은, 바닥판(10)과 섬부(11)와 둘레벽(12)을 포함한다.
바닥판(10)은, 판 두께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는 평판(平板)이다.
섬부(11)는, 바닥판(10)의 피치방향 및 폭방향에서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피치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섬부(11)는, 섬부 본체(13)와, 2개의 섬 단부(14)를 포함한다. 2개의 섬 단부(14)는, 각각 섬부(11)의 피치방향에서의 양단부에 상당한다. 섬부 본체(13)는, 2개의 섬단부(14) 사이의 부분이다. 2개의 섬단부(14)는, 섬부 본체(13)와 피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부(11)에는, 2개의 홈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홈부(11A)는, 2개의 섬 단부(14)를 섬부 본체(13)에서 피치방향으로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홈부(11A)는, 각 섬단부(14)와 섬부 본체 (1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섬 단부(14)는, 상방을 향하는 상면(14A)과, 폭방향 외방을 향하는 2개의 횡측면(橫側面)(14B)(제2 측면)과, 피치방향 외방을 향하는 외방 종측면(縱側面)(14C)(제1 측면)과, 피치방향 내방을 향하는 내방 종측면(14D)(제3 측면)을, 갖는다. 2개의 횡측면(14B)은 서로 반대를 향하는 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14A)은, 상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이다. 2개의 횡측면(14B) 및 외방 종측면(14C)은 약간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방 종측면(14D)은, 피치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섬 단부(14)의 내방 종측면(14D)과, 섬부 본체(13)의 피치방향 외방을 향하는 각 측면(13A) 사이에는, 각 섬 단부(14)와 섬부 본체(13)를 피치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부(11B)는, 각 섬 단부(14)의 내측 종측면(14D)의 하측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의 부분과, 각 측면(13A)의 하측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의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각 연결부(11B)는, 피치방향 외방을 향해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연결부 (11B)는 섬 단부(14)에 가까워짐에 따라 끝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로 돌아가서, 둘레벽(12)은, 섬부(11)를 평면에서 보아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둘레벽(12)은, 복수의 소켓 컨택트(4)를 유지하는 2개의 컨택트 유지벽(15)과, 2개의 소켓 보조금구(7)를 각각 유지하는 2개의 보조금구 유지벽(16)을, 포함한다. 섬부(11) 및 2개의 컨택트 유지벽(15)은, 피치방향에 있어서 2개의 보조금구 유지벽(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컨택트 유지벽(15)은, 섬부(11)에 대해 폭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컨택트 유지벽(15)에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4)를 각각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1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조금구 유지벽(16)은, 평면에서 보아 피치방향 내방으로 개구하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보조금구 유지벽(16)에는, 피치방향 외방으로 개구하면서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삽입홈(16A)과, 폭방향 외방으로 개구하면서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가로 압입홈(16B)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가로 압입홈(16B)은, 대응하는 소켓 보조금구(7)를 보조금구 유지벽(16)에 설치할 때에 이용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12)이 섬부(11)에서 피치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환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섬부(11)와 둘레벽(12) 사이에는 환상의 감합(嵌合)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보호금구(6)는, 섬부(11)의 2개의 섬 단부(14)를 각각 보호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보호금구(6)는, 1장의 금속판을 타발(打拔) 가공 및 드로잉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보호금구(6)는,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의 보호금구(6)에 관해서 설명하고, 다른 쪽의 보호금구(6)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보호금구(6)을 나타내고 있다. 보호금구(6)는, 컵 보호부(20)와 소켓 플랜지부(21)(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컵 보호부(20)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하방으로 개구되는 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컵 보호부(20)는, 상면 보호부(22)와, 외방 보호부(23)(제1 측면 보호부)와, 내방 피복부(24)(제3 측면 피복부)와, 2개의 측방 보호부(25)(제2 측면 보호부)를, 포함한다.
상면 보호부(22)는, 판 두께방향이 상하방향에 평행한 부분이다. 상면 보호부(22)는, 도 8에 나타내는 섬 단부(14)의 상면(14A)과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면 보호부(22)는, 섬 단부(14)의 상면(14A)을 덮어서 보호한다.
도 9로 돌아가서, 외방 보호부(23)는, 상면 보호부(22)의 피치방향에서의 외방의 끝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외방 보호부(23)의 판 두께방향은, 피치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구체적으로는 약간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방 보호부(23)는, 도 8에 나타내는 섬 단부(14)의 외방 종측면(14C)과 피치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외방 보호부(23)는, 섬 단부(14)의 외방 종측면(14C)을 덮어서 보호한다.
도 9로 돌아가서, 내방 피복부(24)는, 상면 보호부(22)의 피치방향에서의 내방의 끝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내방 피복부(24)의 판 두께방향은, 피치방향에 대해 평행하다. 내방 피복부(24)는, 도 8에 나타내는 섬 단부(14)의 내방 종측면(14D)과 피치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내방 피복부(24)는, 섬 단부(14)의 내방 종측면(14D)을 덮는다. 내방 피복부(24)는, 홈부(11A)에 삽입된다. 따라서, 내방 피복부(21)는, 섬부 본체(13)의 측면(13A)과 피치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방 피복부(24)에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노치(切欠)(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24A)는, 도 7에 도시된 연결부(11B)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노치(24A)를 구획하는 천장면(24B)은, 피치방향 외방을 향해서 하강하도록 경사져 있다.
도 9로 돌아가서, 2개의 측방 보호부(25)는, 상면 보호부(22)의 폭방향 외방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각 측방 보호부(25)의 판 두께방향은 폭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구체적으로는 약간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측방 보호부(25)는, 도 6에 나타내는 섬 단부(14)의 각 횡측면(14B)과 각각 폭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각 측방 보호부(25)는, 섬 단부(14)의 각 횡측면(14B)을 덮어 보호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방 보호부(23)와 각 측방 보호부(25)는, 상면 보호부(22)를 개재하지 않고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내방 피복부(24)와 각 측방 보호부(25)는, 상면 보호부(22)를 개재하지 않고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외방 보호부(23)와, 내방 피복부(24), 2개의 측방 보호부 (2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체(筒體)를 구성하고, 당해 통체의 상단이 상면 보호부(2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한편, 소켓 플랜지부(21)는, 판 두께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는 평판형상이며, 외방 보호부(23)의 하단, 내방 피복부(24)의 하단, 2개의 측방 보호부(25)의 하단에 대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컵 보호부(20)는, 소켓 플랜지부(21)에서 상방으로 융기되어 있다.
소켓 플랜지부(21)는, 평면에서 볼 때 C자가 되는 C자부(26)와, 2개의 지지부(27)를 포함한다.
C자부(26)는 평면에서 보아 컵 보호부(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C자부(26)는 피치방향 내방을 향해 개구하는 C자로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C자부(26)는, 외방 보호부(23)의 하단에서 피치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외방 플랜지부(26A)와, 2개의 측방 보호부(25)의 하단에서 각각 폭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방 플랜지부(26B)와, 내방 피복부(24)의 하단에서 피치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내방 플랜지부(26C)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방 플랜지부(26C)에는, 노치(24A)와 이어지는 슬릿(26D)이 형성되어 있다. 내방 플랜지부(26C)는, 슬릿(26D)에 의해 폭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즉, 내방 플랜지부(26C)는, 폭방향에 있어서 슬릿(26D)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는 2개의 내방 플랜지부 분할체(26E)를 포함한다. 외방 플랜지부(26A), 2개의 측방 플랜지부(26B), 2개의 내방 플랜지부 분할체(26E)는,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외방 플랜지(26A)와 2개의 측방 플랜지(26B)는, 동일 평면 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측방 플랜지부(26B)는, 2개의 내방 플랜지부 분할체(26E)에 대해서 각각 동일 평면 내에서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부(27)는, 각각 2개의 측방 플랜지부(26B)에서 피치방향 외방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방 플랜지부(26A)와 2개의 지지부(27)는, 평면에서 보아 피치방향 외방으로 개구하는 Y자로 형성되어 있다. 즉, 소켓 플랜지부(21)는, 피치방향 외방을 향해서 폭방향으로 분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금구(6)는 소켓 하우징(5)에 대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설치된다. 2개의 지지부(27)는, 인서트 성형시에 금형 내에서 보호금구(6)를 유지하는데 이용된다. 즉, 2개의 지지부(27)는, 인서트 성형시에 공통하는 캐리어에 연결되어 있다. 인서트 성형 후, 2개의 지지부(27)는 캐리어로부터 분리된다. 각 지지부(27)는, 피치방향 외방을 향하는 단면(27A)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소켓 보조금구(7)는, 소켓측 기판에 소켓 하우징(5)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소켓 보조금구(7)는, 1장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소켓 보조금구(7)는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하나의 소켓 보조금구(7)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른 쪽의 소켓 보조금구(7)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보조금구(7)는, 상면 보호부(30), 3개의 땜납 다리(31)와, 2개의 스프링편(32)을 포함한다.
상면 보호부(30)는, 평면에서 보아 피치방향 내방으로 개구하는 U자형으로서, 도 6에 나타낸 보조금구 유지벽(16)의 상면(16C)을 덮어서 보호한다. 상면 보호부(30)의 판 두께방향은 상하방향과 일치한다.
도 12로 돌아가서, 3개의 땜납 다리(31)는, 상면 보호부(3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땜납 다리(31)는, 2개의 가로 땜납 다리(33)와, 1개의 세로 땜납 다리(34)를 포함한다.
2개의 가로 땜납 다리(33)는, 상면 보호부(30)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가로 땜납 다리(33)는, 압입부(33A)와, 압입부(33A)의 하단에 형성되는 땜납부(33B)를 포함한다. 압입부(33A)는, 도 6의 대응하는 가로 압입홈(16B)에 압입된다. 땜납부(33B)는, 소켓측 기판의 전극 패드에 납땜된다.
세로 땜납 다리(34)는, 상면 보호부(30)에서 피치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로 납땜 다리(34)는, 연장부(34A)와, 연장부(34A)의 하단에 형성되는 땜납부(34B)를 포함한다. 연장부(34A)는, 도 6의 세로 삽입홈(16A)에 삽입된다. 땜납부(34B)는, 소켓측 기판의 전극 패드에 납땜된다. 땜납부(34B)는, 소켓 보조금구(7)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편(32)은, 각각 상면 보호부(30)에 지지되는 외팔보이며, 피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스프링편(32)은, 폭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폭방향 내방으로 융기하는 융기부(32A)를 갖는다.
도 13에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4)를 나타내고 있다. 한쪽 열에 속하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4)는,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3개의 신호용 컨택트(4A)와,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 2개의 전력 공급용 컨택트(4B)를, 포함한다. 3개의 신호용 컨택트(4A)는, 2개의 전력 공급용 컨택트(4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소켓 컨택트(4)는, 1장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소켓 컨택트(4)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U자형의 접촉부(40)와, 접촉부(40)의 폭방향 외방에서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땜납 다리(41)를 포함한다. 땜납 다리(41)는, 압입부(41A)와 땜납부(41B)를 포함한다. 압입부(41A)는, 도 5의 대응하는 슬릿(15A)에 압입된다. 땜납부(41B)는, 소켓측 기판의 전극 패드에 납땜된다.
도 14 내지 도 16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소켓 하우징(5)과 일체화된 보호금구(6)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금구(6)의 소켓 플랜지부(21)는 소켓 하우징(5)에서 하방으로 노출된다.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금구(6)의 소켓 플랜지부(21)의 2개의 지지부(27)는, 소켓 하우징(5)에서 피치방향 외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보호금구(6)의 소켓 플랜지부(21)의 2개의 지지부(27)의 단면(27A)은, 소켓 하우징(5)의 피치방향 외방을 향하는 단면(5A)과 동일 면 내에 있다. 각 단면(27A)은, 보호금구(6)의 소켓 플랜지부(21)를 캐리어로부터 분리할 때에 생기는 절단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플랜지부(21)는, 소켓 보조금구(7)의 세로 납땜 다리(34)의 땜납부(34B)를 우회하도록 폭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금구(6)와 소켓 보조금구(7)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
이어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해서 플러그 커넥터(3)를 설명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3)가 소켓 커넥터(2)에 끼워진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3)의 소켓 커넥터(2)에 대한 자세는 일의적으로 정해지므로, 이하, 플러그 커넥터(3)를 설명할 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정의된 각종 방향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50)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50)를 유지하는 플러그 하우징(51)과, 2개의 플러그 보조금구(52)를, 포함한다.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50)와 2개의 플러그 보조금구(52)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51)과 일체화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51)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판체이며, 피치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51)은, 바닥판(53)과 둘레벽(54)을 포함한다.
바닥판(53)은, 판 두께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는 평판이다.
둘레벽(54)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53)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둘레벽(54)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50)를 유지하는 2개의 컨택트 유지 벽(55)과, 2개의 플러그 보조금구(52)를 각각 유지하는 2개의 보조금구 유지벽(56)을 포함한다.
각 보조금구 유지벽(56)은, 평면에서 보아 피치방향 내방으로 개구하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컨택트(50)는, 1장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보조금구(52)는, 플러그측 기판에 플러그 하우징(51)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각 플러그 보조금구(52)는, 1장의 금속판을 타발 가공 및 드로잉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보조금구(52)는,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한쪽의 플러그 보조금구(52)에 관해서 설명하고, 다른 쪽의 플러그 보조금구(52)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도 19를 참조하면, 플러그 보조금구(52)는, 하면 보호부(57)와, 세로 보호부(58)와, 2개의 가로 보호부(59)와, 2개의 플러그 플랜지부(60)를 포함한다.
하면 보호부(57)는, 평면에서 보아 피치방향 내방으로 개구하는 U자형이며, 보조금구 유지벽(56)의 하면을 덮어 보호하는 부분이다. 하면 보호부(57)의 판 두께방향은 상하방향과 일치한다.
세로 보호부(58)는, 보조금구 유지벽(56)의 피치방향 외방을 향하는 종단면 (56A)을 덮어서 보호하는 부분이다. 세로 보호부(58)는, 하면 보호부(57)의 피치방향 외방에서의 단부(端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가로 보호부(59)는, 보조금구 유지벽(56)의 폭방향 외방을 향하는 2개의 횡단면(56B)을 각각 덮어서 보호하는 부분이다. 2개의 가로 보호부(59)는, 각각 하면 보호부(57)의 폭방향 외방에서의 양단(兩端)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플랜지부(60)는, 플러그측 기판에 납땜되는 부분이다. 2개의 플러그 플랜지부(60)는, 각각 2개의 가로 보호부(59)의 상단에서 폭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플러그 플랜지부(60)는 서로 연결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플러그 보조금구(52)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보호부(58)는 2개의 가로 보호부(59)에 대해 하면 보호부(57)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 보조금구(52)의 상하방향에서의 강도가 확보되어 있어서 플러그 보조금구(52)는 상하방향으로 압궤(壓潰)되기 어렵다.
(제조방법)
이어서, 소켓 커넥터(2)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소켓 하우징(5)과 2개의 보호금구(6)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복수의 소켓 컨택트(4) 및 2개의 소켓 보조금구(7)를 소켓 하우징(5)에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각 소켓 컨택트(4)의 땜납 다리(41)의 압입부(41A)를 도 4에 도시된 소켓 하우징(5)의 대응하는 슬릿(15A)에 아래로부터 압입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소켓 보조금구(7)의 2개의 가로 땜납 다리(33)의 압입부(33A)를 도 6에 도시된 소켓 하우징(5)의 대응하는 보조금구 유지벽(16)의 2개의 가로 압입홈(16B)에 각각 위로부터 압입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3)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50)와 플러그 하우징(51), 2개의 플러그 보조금구(52)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다.
(사용방법)
이어서, 커넥터 조립체(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2)를 소켓측 기판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각 소켓 컨택트(4)의 땜납부(41B)와, 각 소켓 보조금구(7)의 2개의 땜납부(33B) 및 땜납부(34B)를 소켓측 기판에 설치된 대응하는 전극 패드에 솔더 리플로우에 의해 각각 납땜한다.
마찬가지로, 도 17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3)를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각 플러그 컨택트(50)와 각 플러그 보조금구(52)를 플러그측 기판에 설치된 대응하는 전극 패드에 솔더 리플로우에 의해 각각 납땜한다.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와 상하방향으로 마주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를 향해 하강시키고, 플러그 커넥터(3)의 환상의 둘레벽(54)을, 소켓 커넥터(2)의 환상의 감합 오목부(17)에 삽입한다. 그러면, 각 플러그 컨택트(50)가 대응하는 소켓 컨택트(4)의 U자형의 접촉부(40)를 폭방향으로 넓히면서 접촉부(40)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각 플러그 컨택트(50)와 대응하는 소켓 컨택트(4)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각 플러그 보조금구(52)가 대응하는 소켓 보조금구(7)의 2개의 스프링편(32)을 폭방향 외방으로 밀어내면서 2개의 스프링편(32) 사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각 플러그 보조금구(52)와 대응하는 소켓 보조금구(7)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각 스프링편(32)의 융기부(32A)는, 대응하는 가로 보호부(59)에 대해 접촉한다. 각 플러그 보조금구(52)와 각 소켓 보조금구(7)와의 전기적 접촉을 전원 공급을 위해 이용해도 좋다.
그런데,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에 결합할 때, 플러그 커넥터(3)와 소켓 커넥터(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결합 직전까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은 쉽지는 않다. 따라서, 실제로는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에 대해 꽉 누른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3)를 피치방향 및 폭방향으로 흔들어서 플러그 커넥터(3)가 소켓 커넥터(2)의 결합 오목부(17)에 끼워지는 것을 기다리게 된다. 이 때, 플러그 커넥터(3)가 소켓 커넥터(2)에 대해 피치방향으로 정규의 위치에서 어긋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규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오인해서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에 대해 강하게 밀어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19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3) 중 한쪽의 플러그 보조금구(52)의 하면 보호부(57)가 도 2에 도시된 소켓 커넥터(2)의 대응하는 보호금구(6)의 컵 보호부(20)의 상면 보호부(22)에 접촉해서, 상면 보호부(22)에는 하방을 향하여 큰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금구(6)의 컵 보호부(20)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보호부(20)는, 적어도 외방 보호부(23)와 2개의 측방 보호부(25)를 포함하고, 2개의 측방 보호부(25)는, 외방 보호부(23)에 대해 상면 보호부(22)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컵 보호부(20)는, 외력에 대해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면, 컵 보호부(20)의 상면 보호부(22)에 하방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 외방 보호부(23)가 2개의 측방 보호부(25)에 대해서 상면 보호부(22)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방 보호부(23)도 2개의 측방 보호부(25)도 상하방향에서 독립적으로 좌굴 변형할 수 없다. 따라서, 컵 보호부(20)는 상하방향으로 압궤되기 어렵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보호금구(6)의 컵 보호부(20)가, 상면 보호부(22)와 외방 보호부(23), 2개의 측방 보호부(25)를 포함하고, 외방 보호부(23)와 2개의 측방 보호부(25)가 상면 보호부(22)를 개재하지 않고 서로 이어지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컵 보호부(20)가 외력에 대하여 변형하기 어렵고,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에 결합했을 때에 보호금구(6)가 파손되기 어렵다는 기술적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2)는, 섬부(11)와 섬부(11)를 둘러싸는 둘레벽(12)이 바닥판(10)에서 상방으로 돌출해서 이루어지는 소켓 하우징(5)(하우징)과, 소켓 하우징(5)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4)(컨택트)와, 섬부(11)를 보호하는 2개의 보호금구(6)를, 구비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부(11)는, 섬부 본체(13)와, 복수의 소켓 컨택트(4)의 피치방향에 있어서 섬부 본체(13)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섬 단부(14)를 포함한다. 각 섬 단부(14)는, 상면(14A)과, 피치방향의 외방을 향하는 외방 종측면(14C)(제1측면)과, 폭방향을 향하는 2개의 횡측면(14B)(제2측면)을 갖는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호금구(6)는, 상면(14A)을 덮는 상면 보호부(22)와, 상면 보호부(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외방 종측면(14C)을 덮는 외방 보호부(23)(제1 측면 보호부)와, 상면 보호부(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2개의 횡측면(14B)을 각각 덮는 2개의 측방 보호부(25)(제2 측면 보호부)를, 포함한다. 외방 보호부(23)와, 2개의 측방 보호부(25)는, 상면 보호부(22)를 개재시키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섬 단부(14)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헝태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2)는 2개의 보호금구(6)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어느 한쪽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섬 단부(14)는, 피치방향의 내방을 향하는 내방 종측면(14D)(제3 측면)을 갖는다. 각 보호금구(6)는, 상면 보호부(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내방 종측면(14D)을 덮는 내방 피복부(24)(제3 측면 피복부)를 더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컵 보호부(20)가 피치방향 외방으로 넘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방 피복부(24)에는, 노치(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부 본체(13)와 섬 단부(14)를 연결하는 연결부(11B)가 형성된다. 소켓 하우징(5)을 사출 성형할 때, 섬부 본체(13)에서 섬 단부(14)를 향하는 용융 수지의 유동이 확보되기 때문에, 금형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또한, 내방 피복부(24)에 노치(24A)를 형성하는 대신에, 내방 피복부(24)에 홀(孔)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제조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호금구(6)는, 외방 보호부(23) 및 2개의 측방 보호부(25)에 접속하는 소켓 플랜지부(21)(플랜지부)를 갖는다. 그리고, 소켓 플랜지부(21)는 하방에 노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컵 보호부(20)의 하단이 피치방향 외방 및 폭방향 외방으로 변위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컵 보호부(20)의 상하방향에서의 변형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플랜지부(21)는, 소켓 하우징(5)에서 피치방향에서의 외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소켓 하우징(5)과 각 보호금구(6)를 인서트 성형할 때, 소켓 플랜지부(21)를 이용하여 각 보호금구(6)를 캐리어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플랜지부(21)는 피치방향에서의 외방을 향해 폭방향으로 분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소켓 보조금구(7)의 세로 땜납 다리(34)의 땜납부(34B)와, 보호금구(6)의 소켓 플랜지부(21)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금구(6)과 소켓 보조금구(7)는 별도의 부품으로 하였지만, 대신에 보호금구(6)와 소켓 보조금구(7)를 하나의 부품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기술된 개시로부터,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많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명백한 모든 그러한 변형은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7)

  1. 섬부(島部)와 상기 섬부를 둘러싸는 둘레벽(周壁)이 바닥판(底板)에서 상방으로 돌출해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컨택트와,
    상기 섬부를 보호하는 보호금구(金具)를, 구비하고,
    상기 섬부는, 섬부 본체와, 상기 복수의 컨택트의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섬부 본체와 서로 이웃하는 섬 단부(島端部)를 포함하고,
    상기 섬 단부는, 상면과, 상기 피치방향의 외방을 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피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폭방향을 향하는 2개의 제2 측면을 갖고,
    상기 보호금구는,
    상기 상면을 덮는 상면 보호부와,
    상기 상면 보호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을 덮는 제1 측면 보호부와,
    상기 상면 보호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2개의 제2 측면을 각각 덮는 2개의 제2 측면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보호부와, 상기 2개의 제2 측면 보호부는, 상기 상면 보호부를 개재시키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 단부는, 상기 피치방향의 내방을 향하는 제3 측면을 갖고,
    상기 보호금구는,
    상기 상면 보호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측면을 덮는 제3 측면 피복부를 더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 피복부에는 홀 또는 노치(切欠)가 형성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금구는, 상기 제1 측면 보호부 및 상기 2개의 제2 측면 보호부에 접속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소켓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피치방향에서의 외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피치방향에서의 외방을 향하여 상기 폭방향으로 분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
KR1020220081272A 2021-08-31 2022-07-01 소켓 커넥터 KR20230032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41031 2021-08-31
JP2021141031A JP2023034689A (ja) 2021-08-31 2021-08-31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21152249A JP2023044297A (ja) 2021-09-17 2021-09-17 ソケットコネクタ
JPJP-P-2021-152249 2021-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870A true KR20230032870A (ko) 2023-03-07

Family

ID=852862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271A KR20230032869A (ko) 2021-08-31 2022-07-01 소켓 커넥터
KR1020220081272A KR20230032870A (ko) 2021-08-31 2022-07-01 소켓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271A KR20230032869A (ko) 2021-08-31 2022-07-01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230062405A1 (ko)
KR (2) KR20230032869A (ko)
CN (2) CN115732973A (ko)
TW (1) TWI8144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08339S (ja) * 2021-05-18 2022-02-25 コネクタ
JP1708453S (ja) * 2021-05-18 2022-02-25 コネクタ
JP1708338S (ja) * 2021-05-18 2022-02-25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202095A (ja) 2019-06-11 2020-12-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2359B2 (ja)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11605453U (zh) * 2020-02-26 2020-09-29 东台润田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板对板连接器母座结构
CN112542713A (zh) * 2020-11-27 2021-03-23 信维通信(江苏)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CN112670729B (zh) * 2020-11-27 2022-12-20 信维通信(江苏)有限公司 连接器
CN113131242B (zh) * 2021-03-01 2022-06-28 信维通信(江苏)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202095A (ja) 2019-06-11 2020-12-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66168A1 (en) 2023-03-02
TW202312591A (zh) 2023-03-16
CN115732974A (zh) 2023-03-03
TWI814464B (zh) 2023-09-01
TW202312592A (zh) 2023-03-16
KR20230032869A (ko) 2023-03-07
CN115732973A (zh) 2023-03-03
US20230062405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2870A (ko) 소켓 커넥터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6385815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935009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522217B2 (ja) 電気コネクタ
JP4522440B2 (ja) 基板搭載用コネクタ及びその相手方コネクタ並びに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JP5006610B2 (ja) コネクタ
US779425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KR2008007918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갖는 조합 커넥터
JP7309370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2156090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JP2020024851A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652383B1 (ko) 커넥터
JP2014191882A (ja) 電気コネクタ
JP697887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US20230246366A1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101307483B1 (ko) 커넥터
JP5805313B2 (ja) 保護されたダイレクトコンタクトを備えたダイレクトプラグエレメント
CN112186418B (zh) 连接器组件
TWI834206B (zh) 插座連接器
US2017026403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JP2023044297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