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135A - 의료용 작업 테이블 - Google Patents

의료용 작업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135A
KR20150086135A KR1020140006329A KR20140006329A KR20150086135A KR 20150086135 A KR20150086135 A KR 20150086135A KR 1020140006329 A KR1020140006329 A KR 1020140006329A KR 20140006329 A KR20140006329 A KR 20140006329A KR 20150086135 A KR20150086135 A KR 2015008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holder
held
hold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823B1 (ko
Inventor
최원태
고기문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8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의료용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사용되며, 호스(hose)와 연결된 핸드피스(handpiece)가 홀딩(holding)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호스(hose)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handpiece)의 연결부가 홀딩되는 홀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어부; 그리고 홀더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로서, 홀더에 핸드피스가 홀딩된 때와 홀더로부터 핸드피스가 이탈된 때를 구분하여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작업 테이블{MEDICAL WORK TABL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의료용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성이 향상된 의료용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 및 치료는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환자가 누운 상태로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는 구강 내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 각종 치료 도구가 구비된 닥터 테이블(doctor table), 구강 내부를 보여주거나 CT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TV 시청 등을 위한 모니터를 설치하는 유니트 체어 모니터 암, 급수 장치, 환자 편의를 테이블 등이 설치된다.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는 상기 여러 가지 장치나 기구들은 환자나 시술자의 동선과 편의 및 시술시 충분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효율이 좋은 동선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동작이 편리하도록 구비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닥터 테이블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치과 유니트 체어의 닥터 테이블은 High Speed Hendpiece, Low Speed Handpiece, Scaler, 3-Way Sylinge 등의 치료 기구들을 홀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치료 기구들이 닥터 테이블에 홀딩되어 있는 상태에는 동작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치료 기구들이 닥터 테이블로부터 탈착시 센서(Sensor)가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술자가 치료 기구들을 닥터 테이블에서 탈착하였을 때만 동작이 되도록 되어있다. 만약 시술자가 두 가지 치료 기구들을 탈착하였을 때는 먼저 꺼내든 치료 기구가 동작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첫 번째는 시술자의 부주의이다. 시술자가 치료기구를 사용한 후 닥터 테이블에 잘못 홀딩하여 감지가 되지 않으면 다른 치료기구를 들고 사용하려고 해도 사용이 되지 않고 기존에 잘못 홀딩해 놓은 치료 기구가 동작하게 된다. Handpiece나 Scaler가 오동작하였을 때는 큰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다. 두 번째는 기기 오동작이다. 만약 센서가 고장난 상황이라면 잘못 홀딩된 치료 기구를 미리 확인할 수 없어서 시술자가 실수를 하지 않아도 들고 사용하려는 치료 기구가 아닌 다른 치료 기구가 동작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닥터 테이블은 이런 상황이 발생하기 전 시술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도 3은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298368호 개시된 치과 유니트 체어에 사용되는 닥터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298368호에는 치과 유니트 체어에 사용되는 닥터 테이블에서 신경치료 기구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 패널을 닥터 테이블에 구비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 개시된 닥터 테이블 및 콘트롤 패널에는 치료 기구가 닥터 테이블에 홀딩 및 이탈되는 것을 알리거나 홀딩 및 이탈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의 개시나 암시가 없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의료용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사용되며, 호스(hose)와 연결된 핸드피스(handpiece)가 홀딩(holding)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호스(hose)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handpiece)의 연결부가 홀딩되는 홀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어부; 그리고 홀더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로서, 홀더에 핸드피스가 홀딩된 때와 홀더로부터 핸드피스가 이탈된 때를 구분하여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닥터 테이블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3은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298368호 개시된 치과 유니트 체어에 사용되는 닥터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이 사용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블록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작동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다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작동 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이 사용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의료용 작업 테이블(500; 이하, 작업 테이블)은 유니트 체어(unit chair)의 폴(5; pole)에 구비된 암(40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작업 테이블(500)을 지지하는 암(400)은 일반적으로 외력에 의해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을 포함하여 3차원 운동을 할 수 있다. 작업 테이블(500)은 대표적으로 치과의 닥터 테이블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치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의료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작업 테이블(500)에는 치료 또는 진단용 의료 기구(예: 호스(581; hose; 도 5 참조)와 연결된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가 홀딩되며, 사용자(예: 의사)가 핸드피스(571, 572, 573, 574)를 작업 테이블(500)에 홀딩하거나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작업 테이블(500)은 홀더(510), 제어부(530) 및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551, 552, 553, 554)를 포함한다.
홀더(510)에는 호스(581)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연결부가 홀딩된다. 홀더(510)에는 복수의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각 연결부가 걸려 홀딩되는 복수의 개구(515; 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구(515)는 홀더(510)의 하측 단부로부터 좁게 개구(515)되어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홀딩되도록 약간 넓게 확장되어 있다. 개구(515)는 호스(581)는 쉽게 통과하고,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연결부는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551, 552, 553, 554)는 홀더(510)에 구비된다. 본 예에서 복수의 알림부(551, 552, 553, 554)가 복수의 개구(515)에 각각 대응하여 각 개구(515)의 주변 홀더(510)에 구비된다. 알림부(551, 552, 553, 554)는 제어부(530)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발광다이오드들 포함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가 점등 및 소등됨으로써 홀딩 및 이탈을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홀더(510)에 홀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한다. 제어부(530)는 알림부(551, 552, 553, 554)를 온 또는 오프 하는 등의 방법으로 홀더(510)에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홀딩된 때와 홀더(510)로부터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이탈된 때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예를 들어, 제어부(530)는 센서(531; 도 8참조) 및 회로부(535; 도 8참조)를 포함한다. 센서(531)는 홀더(510)에 구비되어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홀더(510)에 홀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한다. 센서(531)는 감지 바(sensing bar)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 바는 각 개구(515)에 구비되며,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개구(515)로부터 이탈된 때에 제1 위치(올라온 위치)에 있고, 개구(515)에 홀딩된 때에 핸드피스(571, 572, 573, 574)에 의해 제2 위치(눌려져 내려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회로부(535)는 홀더(510)의 후방에 위치하며, 핸드피스(571, 572, 573, 574)와 회로부(535)는 호스(58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호스(581)의 내부에는 핸드피스(571, 572, 573, 574)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선, 공기나 액체 등이 이동하는 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피스(571, 572, 573, 574)는 제어부(530)에 의해 동작(예: 온 및 오프)이 제어될 수 있다.
작업 테이블(500)은 디스플레이(540; 도 8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홀더(510)에 구비되어 회로부(535)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송받아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홀딩 및 이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핸드피스 중에는 대응하는 알림부가 구비되지 않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7에서 좌측 끝에 있는 3-Way Sylinge에는 대응하는 알림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3-Way Sylinge는 치료시 환부에 물 또는 공기를 제공하는 핸드피스로서 풋(foot)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다른 핸드피스(571, 572, 573, 574)와 다르게 손으로 동작이 제어되며, 의도하지 않은 동작의 경우에도 별다른 위험이 없다고 보기 때문에 대응하는 알림부 및 센서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3-Way Sylinge는 다른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동작 중에도 홀더(510)로부터 자유롭게 이탈되거나 홀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동작 중인 다른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림부(551, 552, 553, 554)가 발하는 알림은 직관적으로(예: 시각) 사용자가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홀더(510)에 잘못 홀딩된 것 또는 홀딩되지 않은 것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홀딩 상태를 미리 확인하여 의도하지 않은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블록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센서(531)는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홀딩 및 이탈을 감지(501)하여 신호(503)를 회로부(535)로 전송한다.
회로부(535)는 센서(531)로부터 전송된 신호(503)를 받아 홀딩 및 이탈을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알림부(551, 552, 553, 554)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회로부(535)는 신호(503)를 받아 알림부(551, 552, 553, 554)에 동작 신호(505)를 보내고 알림부(551, 552, 553, 554)는 빛을 내거나 오프된다(507).
일 예로, 회로부(535)는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홀더(510)에 홀딩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고, 홀더(510)로부터 이탈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소등한다. 이와 다르게, 회로부(535)는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홀더(510)에 홀딩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소등하고, 홀더(510)로부터 이탈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할 수도 있다.
또는, 회로부(535)는 동작 신호(505)에 의해 알림부(551, 552, 553, 554)가 단순한 점등 또는 소등 이외의 동작(예: 깜빡임)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알림부(551, 552, 553, 554)는 동작 신호(505)에 의해 경고음 등의 소리를 낼 수도 있다.
또한, 회로부(535)와 핸드피스(571, 572, 573, 574)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알림부(551, 552, 553, 554)에 대한 동작 신호(505)와 별개로 핸드피스(571, 572, 573, 574)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작동 또는 차단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부(551, 552, 553, 554)의 제어 및 핸드피스(571, 572, 573, 574)의 동작의 제어를 위해 회로부(535)는 인쇄회로기판과 회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작동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제1 핸드피스(571)가 해당하는 개구에 잘못 홀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이를 알지 못하고 제2 핸드피스(573)를 홀더(510)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잘못 홀딩된 경우란 일 예로 사용자는 홀딩시켰지만 위치가 잘못되어 센서(531)가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회로부(535)에는 센서(531)로부터 홀딩 신호가 없으므로 알림부(551)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등 상태가 된다. 그럼에도, 사용자가 실수로 소등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제2 핸드피스(573)를 홀더(510)로부터 탈착하여 사용하려 하는 때에 제1 핸드피스(571)가 작동하면 위험할 수 있다.
잘못 홀딩되는 경우 외에도 회로부(535)에 의한 알림부(551, 552, 553, 554)의 점등에 고장이 있는 상태에서 핸드피스(571, 572, 573, 574)가 잘못 홀딩되었지만 알림부(551, 552, 553, 554)가 점등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잘못 홀딩되거나 고장과 같은 비정상적인 경우에 회로부(535)는 사용자가 사용을 의도하지 않은 제1 핸드피스(571)의 동작을 차단하고 제2 핸드피스(573)가 동작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회로부(535)는 의도하지 않은 동작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핸드피스(571) 및 제2 핸드피스(573) 모두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535)는 호스(581)의 내에 구비된 전선으로 제1 핸드피스(571)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전기적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회로부(535)는 제1 핸드피스(571) 및 제2 핸드피스(573) 모두의 전기적 스위치를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비정상적인 경우들에서, 제1 핸드피스(571)의 알림부(551)가 깜빡이는 등 다른 패턴의 동작에 의해서, 또는 제2 핸드피스(573)에 대응하는 알림부(553)가 깜빡이는 등 다른 패턴의 동작에 의해서 제2 핸드피스(573)를 들고 있는 사용자에게 비정상적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알림부(551, 552, 553, 554)의 깜빡임에 추가하거나 별개로 알림부(551, 552, 553, 554)는 경고음을 낼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의료용 작업 테이블의 작동 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홀더(510)로부터 이탈된 제3 핸드피스(574; 도 5참조; 도 8에는 이탈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3 핸드피스(574)가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있을 때, 그 뒤에 제2 핸드피스(573)가 홀더(510)로부터 이탈될 때, 제어부(530)는 제3 핸드피스(574) 및 제2 핸드피스(573)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핸드피스(573)를 사용하고자 하였지만 실수로 먼저 제3 핸드피스(574)를 홀더(510)에 홀딩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회로부(535)는 홀더(510)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제3 핸드피스(574)의 동작을 차단하여 의도하지 않은 제3 핸드피스(574)의 동작을 방지한다. 또는, 이와 같은 경우 제3 핸드피스(574) 및 제2 핸드피스(573)의 동작을 모두 차단하도록 회로부(535)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535)는 센서(531)로부터 제3 핸드피스(574)의 홀딩 신호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제2 핸드피스(573)가 이탈된 신호를 받는 경우, 제3 핸드피스(574)로의 전원 또는 동작 신호를 차단하는 전기적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제2 핸드피스(573)의 전원을 턴온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핸드피스(573) 및 제3 핸드피스(574)의 전원을 모두 차단하는 전기적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비정상적인 경우들에서, 제3 핸드피스(574)의 알림부가 깜빡여서, 또는 제2 핸드피스(573)에 대응하는 알림부가 깜빡여서 제2 핸드피스(573)를 들고 있는 사용자에게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알림부(551, 552, 553, 554)의 깜빡임에 추가하거나 별개로 알림부(551, 552, 553, 554)는 경고음을 낼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알림부는 제어부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발광다이오드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2) 제어부는: 홀더에 구비되어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센서로부터 핸드피스 홀딩 및 이탈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고, 홀딩 및 이탈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3) 홀더에는 복수의 핸드피스의 각 연결부가 걸려 홀딩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복수의 알림부가 복수의 개구에 각각 대응하여 각 개구의 주변 홀더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4) 제어부는; 각 개구에 구비되는 센서;로서, 핸드피스가 개구로부터 이탈된 때에 제1 위치에 있고, 개구에 홀딩된 때에 핸드피스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감지 바(sensing bar)를 포함하는 센서; 그리고 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홀딩 및 이탈을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5) 홀더로부터 이탈된 제1 핸드피스가 있을 때, 그 뒤에 제2 핸드피스가 홀더로부터 이탈될 때, 제어부는 제1 핸드피스 및 제2 핸드피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6) 제2 핸드피스가 홀더로부터 이탈될 때, 제1 핸드피스에 대응하는 알림부 및 제2 핸드피스에 대응하는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가 깜빡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7) 제어부는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고, 홀더로부터 이탈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8) 제어부는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소등하고, 홀더로부터 이탈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9) 홀더에 구비되어 제1 핸드피스 및 제2 핸드피스의 홀딩 및 이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10) 더에는 복수의 핸드피스가 각각 걸려 홀딩되도록 홀더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알림부는 각 개구에 대응하여 홀더에 구비되어 핸드피스의 홀딩 및 이탈을 구분하도록 점등 및 소등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각 개구에 구비되어 핸드피스의 홀딩 및 이탈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그리고 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점등 및 소등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며, 개구로부터 이탈된 제1 핸드피스가 있을 때, 그 뒤에 제2 핸드피스가 개구로부터 이탈될 때, 제어부는 제1 핸드피스 및 제2 핸드피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본 개시에 의한 하나의 작업 테이블에 의하면, 사용자는 핸드피스의 홀딩 상태를 알림부에 의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서 핸드피스가 홀더에 잘못 홀딩된 것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본 개시에 의한 다른 하나의 작업 테이블에 의하면, 사용자는 알림부에 의해 미리 핸드피스 홀딩 및 이탈의 비정상적 상황을 알 수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핸드피스의 동작으로 인한 위험 또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500 : 의료용 작업 테이블 510 : 홀더
530 : 제어부 531 : 센서
535 : 회로부 540 : 디스플레이
551, 552, 553, 554 : 알림부 581 : 호스
571, 572, 573, 574 : 핸드피스 400 : 암

Claims (11)

  1. 의료용 유니트 체어(unit chair)에 사용되며, 호스(hose)와 연결된 핸드피스(handpiece)가 홀딩(holding)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호스(hose)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handpiece)의 연결부가 홀딩되는 홀더;
    적어도 하나의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어부; 그리고
    홀더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로서, 홀더에 핸드피스가 홀딩된 때와 홀더로부터 핸드피스가 이탈된 때를 구분하여 알리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알림부는 제어부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발광다이오드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는:
    홀더에 구비되어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센서로부터 핸드피스 홀딩 및 이탈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고, 홀딩 및 이탈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4.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에는 복수의 핸드피스의 각 연결부가 걸려 홀딩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복수의 알림부가 복수의 개구에 각각 대응하여 각 개구의 주변 홀더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어부는;
    각 개구에 구비되는 센서;로서, 핸드피스가 개구로부터 이탈된 때에 제1 위치에 있고, 개구에 홀딩된 때에 핸드피스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감지 바(sensing bar)를 포함하는 센서; 그리고
    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홀딩 및 이탈을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6. 청구항 4에 있어서,
    홀더로부터 이탈된 제1 핸드피스가 있을 때, 그 뒤에 제2 핸드피스가 홀더로부터 이탈될 때, 제어부는 제1 핸드피스 및 제2 핸드피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핸드피스가 홀더로부터 이탈될 때, 제1 핸드피스에 대응하는 알림부 및 제2 핸드피스에 대응하는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가 깜빡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8.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는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고, 홀더로부터 이탈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9.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는 핸드피스가 홀더에 홀딩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소등하고, 홀더로부터 이탈된 때에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10. 청구항 6에 있어서,
    홀더에 구비되어 제1 핸드피스 및 제2 핸드피스의 홀딩 및 이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더에는 복수의 핸드피스가 각각 걸려 홀딩되도록 홀더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알림부는 각 개구에 대응하여 홀더에 구비되어 핸드피스의 홀딩 및 이탈을 구분하도록 점등 및 소등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각 개구에 구비되어 핸드피스의 홀딩 및 이탈을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그리고
    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점등 및 소등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며,
    개구로부터 이탈된 제1 핸드피스가 있을 때, 그 뒤에 제2 핸드피스가 개구로부터 이탈될 때, 제어부는 제1 핸드피스 및 제2 핸드피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작업 테이블.
KR1020140006329A 2014-01-17 2014-01-17 의료용 작업 테이블 KR101588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29A KR101588823B1 (ko) 2014-01-17 2014-01-17 의료용 작업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29A KR101588823B1 (ko) 2014-01-17 2014-01-17 의료용 작업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135A true KR20150086135A (ko) 2015-07-27
KR101588823B1 KR101588823B1 (ko) 2016-01-26

Family

ID=5387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329A KR101588823B1 (ko) 2014-01-17 2014-01-17 의료용 작업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87A1 (ko) * 2017-06-15 2018-12-20 (주)클래시스 피부 치료용 레이저 발생장치
IT202100022874A1 (it) * 2021-09-03 2023-03-03 Btc S R L Riunito medic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563B1 (ko) * 2016-09-01 2018-01-25 최성숙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910A (ja) * 1995-04-21 1996-11-05 G C:Kk 歯科用インスツルメントホルダー
JPH11137620A (ja) * 1997-11-11 1999-05-25 Osada Res Inst Ltd インスツルメントホルダ
KR100972356B1 (ko) * 2008-06-24 2010-07-26 주식회사 메디슨 거치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910A (ja) * 1995-04-21 1996-11-05 G C:Kk 歯科用インスツルメントホルダー
JPH11137620A (ja) * 1997-11-11 1999-05-25 Osada Res Inst Ltd インスツルメントホルダ
KR100972356B1 (ko) * 2008-06-24 2010-07-26 주식회사 메디슨 거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987A1 (ko) * 2017-06-15 2018-12-20 (주)클래시스 피부 치료용 레이저 발생장치
IT202100022874A1 (it) * 2021-09-03 2023-03-03 Btc S R L Riunito medi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823B1 (ko)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1183A1 (en) Support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US20110125149A1 (en) Universal surgical function control system
KR101527176B1 (ko) 수술 로봇 장치 및 수술 로봇 장치의 제어 방법
US9517109B2 (en) Medical system
KR101588823B1 (ko) 의료용 작업 테이블
US20110144636A1 (en) Universal surgical function control system
TWI592131B (zh) 用於控制一外科手持件之裝置
JP2014124229A (ja) 手術ロボ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45434B1 (ko)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US11478313B2 (en) Surgical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the same
JP6535140B2 (ja) 内視鏡装置、内視鏡装置の作動方法及びビデオプロセッサ
KR101471884B1 (ko) 휴대용 핸드피스 레이저 치료 장치
EP2687181B1 (en) Surgical system
JP7122005B2 (ja) カテーテル装置
JP4813097B2 (ja) 手術装置
JP2012245284A (ja) 内視鏡システム
WO2004100775A1 (ja) 電動湾曲内視鏡
US20140219876A1 (en) Autoclave for sterilizing instruments
JP2001125012A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03265402A (ja) 腹腔鏡装置
JP2021512758A (ja) リング色インジケータを備えるカテーテルハンドル
KR101195952B1 (ko) 의료용 핸드피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WO2023171263A1 (ja) 制御装置および医療用ロボット
JP5112743B2 (ja) 血液浄化装置
JP2016214490A (ja) 制御装置、医療機器、および医療機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