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829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829A
KR20150085829A KR1020157015325A KR20157015325A KR20150085829A KR 20150085829 A KR20150085829 A KR 20150085829A KR 1020157015325 A KR1020157015325 A KR 1020157015325A KR 20157015325 A KR20157015325 A KR 20157015325A KR 20150085829 A KR20150085829 A KR 2015008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sposable diaper
crotch
waist region
stret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151B1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흡수체(40)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크로치 신축부(200)를 갖는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가상 제품 중심선(VLT)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어 있다. 가상 크로치 중심선(VLC)은, 가상 제품 중심선(VLT)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고, 둘로 접는 선(FL)은, 가상 제품 중심선(VLT)보다 뒤쪽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설물의 누설을 막으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를 3분할로 함과 동시에,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의 외측에서, 제품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예컨대, 레그 개더 또는 입체 개더)를 배치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3분할된 흡수체는, 착용시에는, 인접하는 흡수체와의 간격이 좁아져 밀접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가 피트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 착용시의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이 억제된다.
그런데, 일회용 기저귀를 패키지에 봉입하는 경우에, 일회용 기저귀는, 피부 접촉면이 내측이 되도록 절첩된다(예컨대,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41270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29106호 공보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레그 개더 또는 입체 개더 등의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의 전체가 제품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밀착된다. 결과적으로,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이 가랑이 아래 방향으로 끌려 내려가기 쉽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가 배설물을 흡수한 후에는,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의 가랑이 아래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생겨, 착용자의 다리 둘레와 일회용 기저귀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이 생기기 쉽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는, 절첩되며, 또한, 압축된 상태에서 패키지에 봉입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진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는, 피부 접촉면이 내측이 되도록 절첩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에는, 착용자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 볼록 형상을 갖는 접힘 자국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힘 자국에서 기인하여,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조장된다. 접힘 자국에서 기인하여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억제하기 위해, 탄성 부재의 수축력을 강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의 가랑이 아래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커져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일회용 기저귀가 절첩된 상태에서 패키지에 봉입되는 경우에도,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억제하면서,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의 가랑이 아래 방향으로의 어긋남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특징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는,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다. 일회용 기저귀는,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을 갖는 크로치 신축부를 구비한다.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 제품 중심선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중첩시키기 위해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둘로 접는 선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중복되어 있다. 상기 일회용 기저귀가 신장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 크로치 중심선은, 상기 가상 제품 중심선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둘로 접는 선은,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제품 중심선보다 뒤쪽에 형성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F1-F1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변경예 1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변경예 2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의 개요]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는,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다. 일회용 기저귀는,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을 갖는 크로치 신축부를 구비한다.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 제품 중심선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의 앞쪽 단부의 높이와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뒤쪽 단부의 높이가 일정해지도록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둘로 접는 선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중복되어 있다. 상기 일회용 기저귀가 신장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 크로치 중심선은, 상기 가상 제품 중심선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둘로 접는 선은,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제품 중심선보다 뒤쪽에 형성된다.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와 중복되는 위치에 크로치 신축부가 형성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는, 가상 제품 중심선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둘로 접는 선과 중복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 개더 또는 입체 개더 등의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생기는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억제한 경우에도, 흡수체(즉, 다른 부위보다 강성이 높은 부위)에 있어서 가로 주름이 랜덤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는, 신축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흡수체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을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의 수축에 의해, 둘로 접는 선을 포함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은, 흡수체와 함께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도록 들려 올라간다. 따라서, 둘로 접는 선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가 절첩된 상태에서 패키지에 봉입되는 경우에도,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억제하면서,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의 가랑이 아래 방향으로의 어긋남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가상 크로치 중심선은, 가상 제품 중심선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고, 둘로 접는 선은, 가상 제품 중심선보다 뒤쪽에 형성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는,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의 앞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앞 몸통둘레 영역의 앞쪽 단부의 높이와 뒤 몸통둘레 영역의 뒤쪽 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쉽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크로치 신축부가 배치된다.
[제1 실시형태]
(1) 일회용 기저귀의 개략 구성
이하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의 개략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F1-F1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톱 시트(50),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신축부(75) 및 레그 사이드 개더(80) 등의 탄성 부재(71)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몸통 앞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 몸통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몸통 뒷둘레부(등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뒤 몸통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35)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고 하고,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고 한다.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걸쳐,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에 의해 구성된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하고, 흡수성 폴리머(SAP ; Super Absorbent Polymer) 및 소정 섬유에 의해 구성된다. 소정 섬유는, 예컨대, 펄프 섬유 또는 열가소성 섬유이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 랩(40b)에 의해 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면측의 일부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혹은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질량 약 10∼30 g/m2의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질량 약 10∼30 g/m2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에는, 액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또한,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에는, 액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된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가장자리부에는, 한쌍의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된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 중첩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사이드 플랩(70)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구비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고정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타깃부(95)는, 앞 몸통둘레 영역 내의 피부 비접촉면에 배치되고,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 몸통둘레 영역(20), 뒤 몸통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몸통 둘레 유지부가 구성된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계합 부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부위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타깃부(95)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부위이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흡수체(40)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을 갖는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 크로치 신축부(200)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흡수체(40)의 표면측(톱 시트(50)측)은,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주위에 형성되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쌍의 레그 신축부(75)가 구비된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긴 것과 동시에, 제품 폭 방향(W)에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일부가 다리 둘레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하는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 레그 신축부(75)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내측(제품 폭 방향(W)에서의 중앙 근처)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구비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사이드 플랩(7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품 폭 방향(W)에서 레그 신축부(75)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제품 폭 방향(W)에서 레그 신축부(75)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종래 주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과 별도의 시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플랩(70)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 단부에 있어서 톱 시트(50)측으로 되접혀 있고, 2층 적층되어 있다. 이 2층의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된 상태로 탄성 부재(71)(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플랩(70)과 탄성 부재(71)에 의해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형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톱 시트(50) 또는 백 시트(60a)에 접합되는 접합 부분(81)과, 탄성 부재가 배치된 자유단 부분(82)을 갖는다. 자유단 부분(82) 중,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중앙 부분은, 탄성 부재(71)에 의해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하여, 수축부(84)를 구성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착용시에는 접합 부분(81)을 기단부로 하여 기립하고, 자유단 부분(82)의 수축부(84)가 정점부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즉, 접합 부분은, 레그 사이드 신축부의 기립의 기단부가 된다.
또, 수축부(84)는, 탄성 부재(71)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한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레그 사이드 개더(80)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70)과 톱 시트(50)(또는 백 시트(60a) 등)가 접합된 접합 부분(81)에 사선을 그어 표시한다(도 1 참조).
접합 부분(81)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제1 접합 부분(81A)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 수축부(84)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폭 방향(W)에서 수축부(84)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측으로 기립하도록 구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제품 길이 방향(L)에서 수축부(84)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접합 부분(81A)은, 톱 시트(50)에 접합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제품 폭 방향(W)에서 수축부(84)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폭 방향(W)에서, 크로치 신축부(200)와 레그 신축부(75)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에서 백 시트(60a)(및 일부에서 외장 시트(60))에 접합된다. 또, 백 시트(60a)는,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누설 방지 시트로서 기능한다.
또,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은, 여러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접합 부분(81)은, 예컨대, 제품 길이 방향(L)에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고, 톱 시트(50)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에서 흡수성 코어(40a)보다 외측에서 백 시트(60a)나 외장 시트(60)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고, 기립의 기단부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제품 폭 방향(W)에서 레그 신축부(75)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개더이면 되고,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주지된 레그 사이드 개더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허리 둘레 신축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형성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패스닝 테이프 사이를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하는 부재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능한 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고, 폭축소율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 강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신체를 따라 굽혀지기 쉬워져, 착용자의 신체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폭축소가 작은 재료에 의해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가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장한 경우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수축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서 일회용 기저귀(10)가 가랑이 아래쪽으로 끌려 내려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로서, 단위 중량이 20∼45 g/m2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서의 길이의 1.5∼2.5배로 늘여진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외장 시트(60)에 접착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외장 시트(6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품 길이 방향(L)에서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4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a)(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허리 둘레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제품 폭 방향(W) 및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의 절결>
흡수체(40) 중,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형성되는 부위의 단위 중량은, 뒤 몸통둘레 영역(30) 이외에 형성되는 부위의 단위 중량보다 낮다. 혹은,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저강성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절결(110)을 갖는다. 절결(110)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40)의 뒤쪽 단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절결(110)의 폭은, 앞쪽을 향해 서서히 작은 쐐기 형상을 갖는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의 절결(110)과의 경계는,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로 형성된다. 제품 폭 방향(W)에서 절결(110)보다 외측의 흡수체(40)는, 뒤 몸통둘레 영역측의 단부를 향해 볼록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절결(110)의 일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에서 보아,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절결(110)의 일부와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지만,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전체와 절결(110)이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절결(1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을 저해하지 않고,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수축하더라도, 절결(110)이 좁아져, 제품 폭 방향(W)에서 절결(110)보다 외측의 흡수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흡수체(40)가 의도하지 않은 형상으로 잘 융기되지 않게 된다. 또, 절결(110)은, 배설물의 누설 방지를 고려하면,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 둘레 신축부(85)에 의해 흡수체(40)가 제품 폭 방향(W)에서 수축되어, 제품 폭 방향(W)에서 절결(110)보다 외측의 흡수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절결(110)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 근처의 부위가 가랑이 아래 영역(25) 근처의 부위보다 크게 제품 폭 방향(W) 중앙으로 밀려오기 때문에,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부위와 가랑이 아래 영역(25) 근처의 부위에서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수축량의 차가 발생하여,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기립하게 된다.
즉,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쐐기형의 절결(110)을 갖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시에, 비피부면측으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팽창되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절결(110)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고, 절결(110)과 중복되도록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 근처의 부위가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 위치보다 크게 제품 폭 방향(W) 중앙으로 밀려와,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가장자리부를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측 근처 위치의 흡수성 코어(40a)에 관해서는 착용자의 몸을 적극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 및 절결(110)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로부터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를 밑에 깔고 착용자를 눕힌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때에도,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가장자리부를 넘어 존재하는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착용자의 신체 밑에 깔리지 않는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90)를 잡아 당김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측가장자리부가 신장되고, 컵 형상의 허리측 근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몸을 따르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폭 방향(W)에서 절결(110)보다 외측의 흡수성 코어(40a)가, 뒤 몸통둘레 영역측을 향해 볼록 형상이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비피부면측으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팽창되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게 하는 것에 더하여, 흡수성 코어(40a)의 표면 면적이 유지되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40a) 단부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절결(110)은 쐐기형이고, 흡수성 코어(40a)의 절결(110)과의 경계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이다. 또, 원호의 반경은 50 mm∼200 mm이다. 이 때문에,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절결(110)의 폭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비선형으로 커지고,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쉽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의 절결(110)과의 경계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이기 때문에, 절결(110)의 수축에 의해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라운딩이 있는 컵 형상이 되어, 착용자의 라운딩이 있는 둔부를 따르기 쉬운 형상이 된다.
또한, 절결(1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절결(110)의 외측에서, 흡수체(40)의 뒤쪽 단부는, 뒤쪽으로 볼록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흡수체(40)의 형상은, 엉덩이를 올려 놓는 것을 상기시키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가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있어 정확한 위치에 맞추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있다.
<흡수체의 굽힘 강성>
제1 실시형태에서의 굽힘 강성은, 테이버법(JISP8125)에 준거한 강성치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우선,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 굽힘 강성의 측정 대상 부분의 샘플(예컨대, 흡수체)을 채취한다. 샘플은, 측정 대상 부분에 관해, 제품 폭 방향의 길이 70 mm×제품 길이 방향 38 mm의 치수로 한다. 샘플 중에 신축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를 제거해 둔다. 또, 강성치의 측정 시험기는, (주)야스다 세이키 제작소 제조의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샘플수는 10이고, 각 샘플에 관해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강성치로 한다.
측정의 순서는, 이하의 (a)∼(e)와 같다.
(a) 채취한 샘플의 두께(A)를 측정한다.
(b) 계속해서, 시험기의 척(하측)의 중심에 닿을 정도로 샘플을 끼워 넣는다.
(c) 지지 롤러와 샘플의 좌우 간극의 합계를 (A)×0.80(mm)로 조절한다.
(d) 지시 하중 눈금이 최대 눈금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추를 적절히 선택한다.
(e) 샘플을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15도 지지 각선(刻線)과 진자의 중심각(中心刻)이 일치한 점에서 정지시키고, 시험기의 눈금을 읽는다. 눈금의 좌측 수치를 (B)로 하고, 눈금의 우측 수치를 (C)로 한다.
강성치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식 : 강성치(mN·m)=(((B)+(C))/2)×(보조추 계수)×9.81×10-2
또, 시험편의 폭이 38 mm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38 mm 폭의 굽힘 모멘트로 환산을 행한다.
이와 같이 측정한 강성치가 높을수록, 굽힘 강성이 높고, 강성치가 낮을수록, 굽힘 강성이 낮아진다.
<패스닝 테이프 및 타깃부의 구성>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부위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계합 부재로서의 계합 훅(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훅 시트(92)를 구비한다. 훅 시트(92)는, 계합 부재가 형성된 부위이고, 전술한 몸통 둘레 유지부는, 훅 시트(92)로부터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부위이다.
훅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 구체적으로는 접합되어 있다.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가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점형, 선형 혹은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 중첩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91)로는, 스펀 본드(SB) 또는 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SMS)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복수장인 경우에는 합계 단위 중량)은, 30∼120 g/m2이고, 바람직하게는 40∼90 g/m2이다.
타깃부(95)는, 앞 몸통둘레 영역의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타깃부(95)는, 패스닝 테이프의 계합 훅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훅과 루프의 걸림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타깃부로는, 예컨대, 에어 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타깃부(95)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섬유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깃부에 부착된 루프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깃부(95)로서, 부피가 큰 부직포이며, 그 일부를 엠보스함으로써 부직포 표면의 보풀 형성을 방지한 부직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의 외장 시트(60)를 부직포에 의해 형성하고, 패스닝 테이프(90)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무늬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에 인쇄하거나, 혹은 무늬의 시트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타깃부로 할 수 있다.
(2) 레그 신축부
이하에 있어서, 레그 신축부(75)에 관해 설명한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W)에서 흡수체(40)보다 외측에 형성된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위치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폭방향 내단 부분(75I)을 갖고 있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는, 특히 뒤 몸통둘레 영역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 레그 신축부(75)의 폭방향 내단 부분(75I)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위치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는, 레그 신축부(75)의 폭방향 내단 부분(75I)과 일치하지만,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아도 좋다.
제1 실시형태의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형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형·띠형의 탄성 부재를, 1개 또는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해도 좋다.
레그 신축부(75)는, 사이드 플랩(70)과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혹은,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는 백 시트(60a)가 구비되는 부위에서는, 레그 신축부(75)는, 백 시트(60a)와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는,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폭 5 mm(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폭) 이상 4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mm 이상 3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mm 미만에서는, 실질적으로 면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름으로써, 부분적으로 조이는 힘이 집중되지 않고, 탄성 요소에 의한 피부에 대한 부하를 낮춘다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45 mm를 초과하면, 일회용 기저귀 전체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비교하여 다리 둘레를 따르는 영역이 지나치게 넓어져, 신축성 시트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말리거나, 젖혀지거나 하기 쉬워진다.
레그 신축부(75)의 신장률은, 1.5∼2.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신축부(75)의 신장률은, 1.8∼2.0배로 설정된다. 또, 신장률이란, 레그 신축부의 신장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장률=(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부의 길이)÷(자연 상태의 레그 신축부의 길이)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장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낸다. 계속해서, 레그 신축부의 배치 영역을 잘라낸다. 이 때, 레그 신축부에 접합되는 외장 시트도 포함시켜 잘라낸다. 잘라낸 후의 레그 신축부의 샘플의 신장률을 측정하여, 레그 신축부의 신장률을 계측한다.
각 샘플에 관해,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60분간 방치하고, 신축 방향을 따라 레그 신축부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레그 신축부의 길이」로 한다.
둘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이 비신축성 시트 상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되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신장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단의 간격은,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을 향함에 따라 넓어짐과 동시에,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함에 따라 넓어진다. 착용자의 몸에 기저귀를 장착하는 경우, 가랑이 아래 영역(25)에서 좁고, 앞뒤의 몸통 둘레를 향해 넓어지는 형상으로 레그 신축부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레그 신축부가 신체의 라인을 따르는 것이 가능해지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적합하게 레그 신축부가 신장 배치되게 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단부에서의 상기 간격(도면 중의 D1)은,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단부에서의 간격(도면 중의 D2)보다 좁다. 또, 상기 간격은, 일회용 기저귀(10)를 자연 상태로부터 주름이 없는 상태로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으로 확폭하여 유지한 후,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착용자 신체의 피부 표면의 신장은, 둔부에 있어서 특히 크고, 제품 폭 방향(W)의 외측 근처의 위치에서 현저하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있다. 그래서, D2>D1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움직임이 일회용 기저귀(10)에 가해진 경우에도, 둔부측에서의 레그 신축부(75)가 밀착된 채로 신장할 수 있고, 신장의 변화량이 크더라도 레그 신축부(75)가 팽팽이 당기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레그 신축부(75)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양다리의 간격은, 가랑이 아래 영역이 가장 좁고, 가랑이 아래 영역으로부터 배측이나 등측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이다. 다리 둘레 개구부 및 레그 신축부(75)는, 가랑이 아래 영역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을 향해 제품 폭 방향(W)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다리 둘레 개구부 및 레그 신축부(75)를 배치할 수 있고, 국소적인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신장률로 착용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고, 피부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그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일회용 기저귀를 만곡시켜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단부는, 제품 폭 방향(W)으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몸통 둘레 유지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 단부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함께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한다.
(3) 크로치 신축부의 형상
이하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의 일부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 또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길이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품 길이 방향(L)에서,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앞쪽 단부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앞쪽 단부까지의 길이이다. 마찬가지로, 제품 길이 방향(L)에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뒤쪽 단부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뒤쪽 단부까지의 길이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는, 가상 제품 중심선(VLT)에 걸쳐 형성된다. 가상 제품 중심선(VLT)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CT)을 지나고,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둘로 접는 선(FL)을 갖는다.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10)는, 둘로 접는 선(FL)을 기점으로 하여 둘로 절첩된 상태에서 패키지에 봉입된다. 둘로 접는 선(FL)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가상 제품 중심선(VLT)은, 일회용 기저귀(10)(탄성 부재(71))가 신장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CT)을 지나는 가상선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둘로 접는 선(FL)은, 일회용 기저귀(10)(탄성 부재(71))가 수축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둘로 접는 선(FL)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 가상 제품 중심선(VLT)보다 뒤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가 둘로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뒤쪽 단부의 높이 및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앞쪽 단부의 높이가 일정해지기 쉽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기저귀(10)가 신장 상태인 경우에, 제품 길이 방향(L)에서, 가상 제품 중심선(VLT)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단부까지의 길이 및 가상 제품 중심선(VLT)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LH”로 표시되고, 둘로 접는 선(FL)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X로 표시되고, 가상 크로치 중심선(VLC)으로부터 크로치 신축부(200)의 앞쪽 단부까지의 길이가 Af로 표시되고, 가상 크로치 중심선(VLC)으로부터 크로치 신축부(200)의 뒤쪽 단부까지의 길이가 Ab로 표시되고, 가상 제품 중심선(VLT)으로부터 둘로 접는 선(FL)까지의 길이가 X로 표시되는 경우에 관해 고려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이 “t”로 표시되고,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는 부위의 제품 두께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가 P로 표시되는 경우에 관해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X={[LH-Af(t-1)/t]-[LH-Ab(t-1)/t]}×1/2×t의 관계를 만족하는 위치로부터 ±P의 범위 내에 둘로 접는 선(FL)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관계를 만족하는 위치에 둘로 접는 선(FL)이 형성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가 둘로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뒤쪽 단부의 높이 및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앞쪽 단부의 높이가 일정해진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흡수체(40)와 중복되는 위치에 크로치 신축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가상 제품 중심선(VLT)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며, 또한, 평면에서 보아 흡수성 코어(40a)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둘로 접는 선(FL)을 포함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흡수성 코어(40a)와 함께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도록 들려 올라간다. 따라서, 둘로 접는 선(FL)에서,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이 억제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력에 의해 간극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레그 신축부(75) 또는 레그 사이드 개더(80) 등의 탄성 부재(71)의 수축력에 의해, 종래, 일회용 기저귀(10)의 흡수성 코어(40a)에 랜덤으로 생기는 가로 주름(간극의 발생 요인)을 크로치 신축부(200)에 집중시킬 수 있어, 레그 신축부(75) 또는 레그 사이드 개더(80) 등의 탄성 부재(71)의 수축력에 의해 생기는 가로 주름이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도록 들려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가 절첩된 상태에서 패키지에 봉입되는 경우에도,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에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억제하면서,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가랑이 아래 방향으로의 어긋남도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상 크로치 중심선(VLC)은, 가상 제품 중심선(VLT)보다 앞쪽에 형성된다. 가상 크로치 중심선(VLC)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CC)을 지나고,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이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가상 크로치 중심선(VLC)은, 가상 제품 중심선(VLT)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고, 둘로 접는 선(FL)은, 가상 제품 중심선(VLT)보다 뒤쪽에 형성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 일회용 기저귀(10)의 앞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가 착용자에게 근접하도록 들려 올라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크로치 신축부(200)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가 앞쪽으로 치우쳐 있음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앞쪽 단부의 높이와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뒤쪽 단부의 높이가 일정해지기 쉽고, 착용자의 신체가 앞뒤에서 대칭이 아니라, 배측보다 등측에 위치하는 둔부 쪽이 길다는 착용자의 신체 특징에 알맞은 상태로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를 패키지에 봉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앞쪽 단부의 높이와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뒤쪽 단부의 높이가 일정해지기 쉽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내에서 접히는 것이 억제되고, 크로치 신축부(200)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접음선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와 중복되는 중복 부위와, 중복 부위보다 앞쪽에 형성되는 앞쪽 부위와, 중복 부위보다 뒤쪽에 형성되는 뒤쪽 부위를 갖는다. 제품 폭 방향(W)에서, 중복 부위의 폭은, 앞쪽 부위의 폭 및 뒤쪽 부위의 폭보다 작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와 중복되는 부위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을 좁힘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력에 의해 생기는 흡수성 코어(40a)의 접힘 주름이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잘 걸리지 않고,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더욱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는 위치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의 1/2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는 위치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의 80% 이상이다. 이에 따라,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는 위치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를 들어 올려,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더욱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외측에서, 전술한 간격이 균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치 신축부(200)와 흡수성 코어(40a)가 중복되는 부위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력에 의해,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가 잘 수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의 유연성이 비교적 유지되고,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가 착용자의 다리에 닿더라도,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의 수축에 따르는 위화감을 착용자가 느끼기 어렵다.
예컨대,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는 위치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120 mm인 경우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60∼1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90∼1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는 위치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의 1/2 이상이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위의 일정 폭 이상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도록 흡수성 코어(40a)가 들려 올라간다. 이러한 흡수성 코어(40a)의 들려 올라감을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는 위치에서 실현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로 접는 선(FL)과 중복되는 위치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이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40)(흡수성 코어(40a))의 폭의 80% 이상인 경우에는,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이 흡수성 코어(40a)의 폭과 비교하여 지나치게 좁으면, 전술한 흡수성 코어(40a)를 들어 올리는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이 흡수성 코어(40a)의 폭과 비교하여 지나치게 넓으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수축하여,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외측 부위의 강성이 상승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대퇴부에 크로치 신축부(200)가 걸리기 쉽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 크로치 신축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는 부위보다 수축한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구성하는 부재가 중첩되어, 크로치 신축부(200)가 딱딱해지고,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감이 저해된다.
크로치 신축부(200)의 배치 영역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단부와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의 내측 단부 사이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간격은, 30∼6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가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함으로써, 레그 신축부(75)도 다리 주위(신체)에 피트되기 쉬워지고, 착용자의 움직임이 가해지더라도, 크로치 신축부(200)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제품 폭 방향(W)에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는, 가상 제품 중심선(VLT)에 대하여 10∼60 mm 앞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품 폭 방향(W)에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는, 가상 제품 중심선(VLT)에 대하여 20∼40 mm 앞쪽에 형성된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폭 방향(W)에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착용자의 좌우의 대퇴부가 서로 가장 근접하는 위치는, 착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앞쪽이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력에 의해, 제품 폭 방향(W)에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를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가 서로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적극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모친 등의 착용 보조자가 흡수성 코어(40a)의 위치 맞춤을 행하지 않아도, 흡수성 코어(40a)의 위치 맞춤이 자연히 이루어진다.
제품 길이 방향(L)에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이나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수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허리 주위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크로치 신축부(200)가 과도하게 신체에 밀착되지 않고,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가 적절히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가,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경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쉬워지고,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신체를 따라 평탄한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기립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배치되도록, 안정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 시트에 의해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성 시트를 배치한 영역의 흡수성 코어(40a)가 고르게 수축하고, 흡수성 코어(40a)와 함께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이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도록 들어 올릴 수 있어,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신축성 시트는, 예컨대, 레그 신축부(75)와 동일한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형·띠형의 탄성 부재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끼리의 간격이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면 된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수축시키기 위해, 인접하는 탄성 부재의 간격의 차는, 2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은, 구체적으로는,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은, 1.4배로 설정된다. 신장률은,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신장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장률=(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장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60분간 방치하고, 신축 방향을 따라 크로치 신축부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로 한다.
둘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되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2배 이상 1.8배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 피부의 신축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신체 앞쪽이 수축하는 것과 같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면, 착용자의 둔부측의 피부에 있어서, 신체를 늘인 상태에 대하여 30% 정도 신장되는 부위가 존재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2배 미만으로 하면, 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고, 크로치 신축부(2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부에서의 흡수체 영역의 수축이 작고,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신체를 따르도록 평탄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률을 1.8배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 방향에서의 수축 치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가 존재하는 영역이, 신체를 따르는 것보다 밀착되는 상태가 되기 쉽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아래쪽으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수축량은, 주름이 충분히 작아지고, 샘플의 표면이 평활에 가까워지도록 신장된 상태에서의 길이 「b(mm)」와, 샘플의 신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자연 상태에서의 길이 「a(mm)」의 차이고, (b-a)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 대하여 장착하는 과정에서, 크로치 신축부(200)가, 바람직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기 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이 8%보다 크면, 크로치 신축부(200)가, 지나치게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가 부족하고,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붙이기 어려워 지거나, 일회용 기저귀(10) 및 착용자의 신체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과도하게 밀착되어 어긋나기 쉬워지거나 한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이 2%보다 작으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시킨다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효과 자체가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탄성 부재의 굵기나 배치하는 피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10)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가장자리부 전역이 수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0)에는, 제1 변곡부(41) 및 제2 변곡부(42)가 형성된다. 제1 변곡부(41) 및 제2 변곡부(42)는,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된다. 제2 변곡부(42)는, 제1 변곡부(41)보다 뒤쪽에 위치한다. 제1 변곡부(41) 및 제2 변곡부(42)는, 일회용 기저귀(10)의 굽힘 기점이 된다.
제1 변곡부(41) 및 제2 변곡부(42) 사이에 끼워지는 부위에는, 흡수체(40)의 다른 부위보다 평탄한 형상이 유지되기 쉽도록 구성된 크로치 신축부(200)가 형성된다. 제1 변곡부(41) 및 제2 변곡부(42)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수축되는 부위와 수축되는 부위 이외의 부위 사이의 강성차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에 평탄한 「바닥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변곡부(41)(제2 변곡부(42))의 근방에는, 절결(115)(절결(125))이 형성된다. 절결(115)은, 제1 변곡부(41)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절결(125)은, 제2 변곡부(42)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결(115) 및 절결(125)은,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또, 절결(115) 및 절결(125)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절결(115) 및 절결(125)의 영역을,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하도록 해도 좋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제1 변곡부(41) 및 제2 변곡부(42)를 보다 좋은 상태로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절결(115) 및 절결(125)은,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가장자리를 따라 존재한다. 또, 절결(115) 및 절결(125)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가 넓어져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외측이 보다 수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에 평탄한 「바닥부」가 형성된다. 또한, 절결(115)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 근처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절결(125)보다 뒤 몸통둘레 영역(30) 근처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바닥부」로부터 기립하여, 착용자의 몸(복부 및 둔부)의 라운딩을 따르도록 만곡되기 쉬워진다.
절결(115)(절결(125))의 앞 몸통둘레 영역(20)(뒤 몸통둘레 영역(30)) 근처의 가장자리는, 원호형이다. 절결(115)(절결(125))의 가장자리는, 원호의 중심이 상기 가장자리보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앞 몸통둘레 영역(20))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착용자의 몸의 라운딩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또한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몸통 둘레 유지부를 구성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20),뒤 몸통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로부터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4)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형상
이하에 있어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자연 상태, 즉, 수축 상태에서의 길이에 관해 설명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품 길이 방향(L)에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LR)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LF)보다 길다. 구체적으로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LR)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LF)의 1.1배 이상 1.6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LR)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LF)의 1.2배 이상 1.5배 이하이다.
여기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LR)가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LF)의 1.6배를 초과하면, 일회용 기저귀(10)에서의 등측과 배측의 밸런스가 무너져,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영역에 크로치 신축부(200)를 따르게 한 경우에, 앞 몸통둘레 영역(20)이 과도하게 착용자에게 밀착되거나,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착용자로부터 튀어나오거나 한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신체 형상으로서, 일반적으로, 하복부보다 둔부가 보다 돌출되어 있다.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영역에 크로치 신축부(200)를 따르게 한 경우에,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LR)와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LF)의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알맞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형상이 실현된다.
즉, 치수 부족에서 기인하는 일회용 기저귀(10)의 돌출, 치수 여유분에서 기인하는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불필요한 간극의 발생이 억제된다.
특히, 보행 개시 전 혹은 보행 개시 직후의 유유아에 관해서는, 신체가 배측을 향해 둥글려진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자세에서는, 둔부측의 피부가 신장된 상태가 되기 쉽고,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LR)와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LF)의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유유아의 신체에 알맞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형상이 실현된다.
예컨대, 신장 상태에 있어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전체 길이(LT)(즉, 2LH)가 400 mm인 경우에,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LF)가 130 mm이고, 크로치 신축부(200)의 길이(LC)가 80 mm이며,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LR)가 19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수에 의하면,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LR)가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길이(LF)의 약 1.46배이다. 이에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뿐만 아니라,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전체로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방법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또,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지 않는 방법에 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방법은 일례이며, 다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방법은, 구성 부품 형성 공정과, 구성 부품 적재 공정과, 다리 둘레 형성 공정과, 절단 공정과, 접음선 형성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구성 부품 형성 공정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흡수 재료를 적층하여 흡수체(40)를 성형한다.
구성 부품 적재 공정에서는, 백 시트를 구성하는 웹 상에,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 톱 시트를 구성하는 웹 등의 다른 웹, 누설 방지 시트, 흡수체 등의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적재한다.
예컨대,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를 비신장 상태에서 반송함과 동시에, 2개의 회전롤의 회전 속도차에 의해 상기 신축성 시트를 신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성 시트를 2배 이상 신장한다. 계속해서, 상기 신축성 시트를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와 간헐 드럼의 속도차에 의해 상기 신축성 시트를 원하는 배율로 신장한다. 간헐 드럼 상에서 개개의 제품 길이로 신축성 시트를 절단한다. 간헐 드럼의 회전에 따라 신축성 시트끼리의 간격을 형성하고, 신축성 시트를 연속하는 웹 상에 전사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크로치 신축부(20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를 신장시키고, 또한 제품 폭 방향(W)으로 변위시키면서 간헐 드럼 상에 전사하고, 간헐 드럼 상에서 개개의 제품 길이로 신축성 시트를 절단한다. 간헐 드럼의 회전에 따라 신축성 시트끼리의 간격을 형성하고, 신축성 시트를 연속하는 웹 상에 전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레그 신축부(75)를 곡선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리 둘레 형성 공정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단부를 따라, 톱 시트(50), 외장 시트(60), 및 백 시트(60a)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절단 공정에서는, 톱 시트(50), 백 시트(60a), 흡수체(40) 등이 배치된 연속체를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1제품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가 제조된다.
접음선 형성 공정에서는, 피부면측으로부터 비피부면측을 향해, 제품 폭 방향(W)을 따른 라인형의 압력을 일회용 기저귀(10)에 인가함으로써, 둘로 접는 선(FL)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둘로 접는 선(FL)은, 전술한 바와 같이, X={[LH-Af(t-1)/t]-[LH-Ab(t-1)/t]}×1/2×t의 관계를 만족하는 위치로부터 ±P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경예 1]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관해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변경예 1에 있어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은, 부위에 따라 두께가 상이하다. 도 4는, 일회용 기저귀(10)가 둘로 접는 선(FL)을 기점으로 하여 둘로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도 1에 도시한 F3-F3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 몸통둘레 영역(30)은, 크로치 신축부(200)와 대향하는 대향 부위(30X) 및 다른 부위(30Y)를 갖는다. 다른 부위(30Y)는, 대향 부위(30X)에 연속되어 있고, 대략 일정한 두께를 갖는 부위이다.
대향 부위(30X)의 두께는, 다른 부위(30Y)의 두께보다 얇다. 이에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증대되는 두께가 대향 부위(30X)에 의해 완화되기 때문에,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10)를 중복시켜도, 크로치 신축부(200)의 형성에 따른 두께의 증대를 전체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또,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뒤쪽 단부의 높이 및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앞쪽 단부의 높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해져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두께의 측정>
대상 부위(예컨대,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두께에 관해서는, 이하와 같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대상 부위의 두께는, 직경 10 mm 원형에 있어서 2.5 gf/cm2의 하중이 대상 부위에 인가된 상태에서, 주식회사 오자키 제작소 제조의 PEACOCK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이러한 두께의 측정은,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이 비신축성 시트 상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일회용 기저귀를 연신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길이의 측정>
본 명세서에서의 「길이」의 측정은, 신와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 : 유리 섬유가 들어 있는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게 하여 길이를 측정한다. 10개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에서 전술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치를 길이로 한다.
[변경예 2]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관해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바꿔 말하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그 신축부(75)는, 띠형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변경예 2에서는, 레그 신축부(7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형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47871호(2012년 11월 9일 출원)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도입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일회용 기저귀가 절첩된 상태에서 패키지에 봉입되는 경우에도,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억제하면서,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의 가랑이 아래 방향으로의 어긋남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L : 제품 길이 방향
W : 제품 폭 방향
10 : 일회용 기저귀
20 : 앞 몸통둘레 영역
25 : 가랑이 아래 영역
30 : 뒤 몸통둘레 영역
35 : 다리 둘레 개구부
40 : 흡수체
40a : 흡수성 코어
40b : 코어 랩
41 : 제1 변곡부
42 : 제2 변곡부
50 : 톱 시트
60 : 외장 시트
60a : 백 시트
70 : 사이드 플랩
71 : 탄성 부재
75 : 레그 신축부
75I : 폭방향 내단 부분
80 : 레그 사이드 개더
81 : 접합 부분
81A : 제1 접합 부분
81B : 제2 접합 부분
82 : 자유단 부분
84 : 수축부
85 : 허리 둘레 신축부
90 : 패스닝 테이프
91 : 기재 시트
92 : 훅 시트
95 : 타깃부
110 : 절결
115 : 절결
125 : 절결
200 : 크로치 신축부

Claims (8)

  1.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중복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을 갖는 크로치 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 제품 중심선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중첩시키기 위해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둘로 접는 선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중복되어 있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가 신장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 크로치 중심선은, 상기 가상 제품 중심선보다 앞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둘로 접는 선은,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제품 중심선보다 뒤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폴리머 및 섬유에 의해 구성되는 흡수성 코어를 갖고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크로치 신축부와 중복되는 중복 부위와, 상기 중복 부위보다 앞쪽에 형성된 앞쪽 부위와, 상기 중복 부위보다 뒤쪽에 형성된 뒤쪽 부위를 갖고 있고,
    상기 제품 폭 방향에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중복 부위의 폭은, 상기 앞쪽 부위의 폭 및 상기 뒤쪽 부위의 폭보다 작고,
    상기 둘로 접는 선과 중복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폭은, 상기 제품 폭 방향에서의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수축량은,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2% 이상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은, 상기 일회용 기저귀가 상기 둘로 접는 선을 기점으로 하여 둘로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와 대향하는 대향 부위 및 다른 부위를 갖고 있고,
    상기 대향 부위의 두께는, 상기 다른 부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의 1.1배 이상 1.6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의 1.2배 이상 1.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기저귀는, 상기 둘로 접는 선을 기점으로 하여 둘로 절첩된 상태에서 패키지에 봉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기저귀가 신장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제품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LH로 표시되고, 상기 가상 크로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앞쪽 단부까지의 길이는, Af로 표시되고, 상기 가상 크로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뒤쪽 단부까지의 길이는, Ab로 표시되고, 상기 가상 제품 중심선으로부터 둘로 접는 선까지의 길이는, X로 표시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신장률은, t로 표시되고,
    상기 둘로 접는 선과 중복되는 부위의 제품 두께는, P로 표시되고,
    상기 둘로 접는 선은, X={[LH-Af(t-1)/t]-[LH-Ab(t-1)/t]}×1/2×t의 관계를 만족하는 위치로부터 ±P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57015325A 2012-11-09 2013-11-08 일회용 기저귀 KR102153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7871 2012-11-09
JP2012247871A JP5249461B1 (ja) 2012-11-09 2012-11-09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3/080232 WO2014073635A1 (ja) 2012-11-09 2013-11-08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829A true KR20150085829A (ko) 2015-07-24
KR102153151B1 KR102153151B1 (ko) 2020-09-07

Family

ID=4904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325A KR102153151B1 (ko) 2012-11-09 2013-11-08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5249461B1 (ko)
KR (1) KR102153151B1 (ko)
CN (1) CN104812344B (ko)
AU (1) AU2013342426B2 (ko)
BR (1) BR112015010614B1 (ko)
MY (1) MY174618A (ko)
SA (1) SA515360405B1 (ko)
SG (1) SG11201503550UA (ko)
WO (1) WO2014073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0959B1 (ja) * 2014-06-23 2015-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85812B2 (ja) * 2014-06-30 2018-0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755473B2 (ja) * 2017-12-22 2020-09-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09187B2 (ja) * 2017-12-28 2022-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75554B2 (ja) * 2018-08-14 2020-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4099152B (zh) * 2018-08-14 2022-12-0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一次性尿布
JP7215951B2 (ja) * 2019-03-29 2023-01-3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CN114206281B (zh) * 2019-08-30 2023-03-2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270A (ja) 2002-10-22 2004-05-20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5329106A (ja) 2004-05-21 2005-12-02 Daio Paper Corp 袋入り使い捨ておむつ
KR20060048882A (ko) * 2004-07-30 2006-05-18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WO2006118214A1 (ja) * 2005-04-28 2006-11-09 Zuiko Corporation 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6515A (ja) * 2006-11-30 2008-06-19 Oji Nepia Kk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0131196A (ja) * 2008-12-04 2010-06-17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0279612A (ja) * 2009-06-05 2010-12-16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66433A (zh) * 2005-04-28 2008-04-23 株式会社瑞光 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270A (ja) 2002-10-22 2004-05-20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US20060122570A1 (en) * 2002-10-22 2006-06-08 Takao Kasai Disposable diaper
JP2005329106A (ja) 2004-05-21 2005-12-02 Daio Paper Corp 袋入り使い捨ておむつ
KR20060048882A (ko) * 2004-07-30 2006-05-18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WO2006118214A1 (ja) * 2005-04-28 2006-11-09 Zuiko Corporation 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6515A (ja) * 2006-11-30 2008-06-19 Oji Nepia Kk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0131196A (ja) * 2008-12-04 2010-06-17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10279612A (ja) * 2009-06-05 2010-12-16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4618A (en) 2020-05-01
CN104812344B (zh) 2017-10-03
WO2014073635A1 (ja) 2014-05-15
AU2013342426A1 (en) 2015-05-28
SG11201503550UA (en) 2015-06-29
JP2014094187A (ja) 2014-05-22
CN104812344A (zh) 2015-07-29
AU2013342426B2 (en) 2017-08-03
JP5249461B1 (ja) 2013-07-31
BR112015010614B1 (pt) 2022-01-18
SA515360405B1 (ar) 2017-09-17
BR112015010614A2 (pt) 2019-12-17
KR102153151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227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91214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50085829A (ko) 일회용 기저귀
KR102182564B1 (ko) 일회용 기저귀
JP618140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768350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150090098A (ko) 일회용 기저귀
KR101919649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KR20140122741A (ko)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JP620067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453251B1 (ko) 일회용 기저귀
WO2013161954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91213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40092927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60037886A (ko) 일회용 기저귀
JP6147548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60144386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50067087A (ko) 일회용 기저귀
JP6240411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60037885A (ko) 일회용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