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927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927A
KR20140092927A KR1020147017073A KR20147017073A KR20140092927A KR 20140092927 A KR20140092927 A KR 20140092927A KR 1020147017073 A KR1020147017073 A KR 1020147017073A KR 20147017073 A KR20147017073 A KR 20147017073A KR 20140092927 A KR20140092927 A KR 2014009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region
crotch
disposable diaper
produc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222B1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2013/49038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ll around the absorbent article's peri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2013/490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decouple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on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onformable
    • A61F2013/4908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onformable with a multiplicity of rounded, i.e. spher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part with elevated absorp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6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e.g. n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0)는, 흡수체(40)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변곡부(110)와, 흡수체(40)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제1 변곡부(110)보다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120)와, 제1 변곡부(110)와 제2 변곡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크로치부(200)를 구비한다. 크로치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른 사이즈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 30 mm 이상, 150 mm 이하이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NAPPY}
본 발명은,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설물의 누설을 막으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탄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압박 자국이 착용자의 신체에 잘 생기지 않게 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또한,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는, 일반적으로, 몸통 둘레 개구부를 따라 별도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변과, 몸통 둘레 개구부의 주변을 조이는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가 배설물을 흡수하거나, 착용자가 격렬하게 움직이거나 해도, 일회용 기저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7807호 공보(도 1 및 도 2)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는,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변, 및 몸통 둘레 개구부의 주변을 주로 조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속옷과 같은 착용감과는 거리가 멀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인 속옷의 경우, 앞몸통 둘레부(전방부)와 뒷몸통 둘레부(후방부)가 전체적으로 신축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한편, 크로치(crotch)부(바대부)는, 그만큼 신축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고, 크로치부가 앞몸통 둘레부와 뒷몸통 둘레부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크로치부도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회용 기저귀라도 속옷과 동등한 착용감을 얻고자 하여 크로치부를 신체에 피트되는 구조로 하면, 배설물이 신체와 계속해서 접촉하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 등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한, 크로치부를 신체에 피트시키면, 체압에 의해 흡수체의 밀도가 높아져, 흡수체에 의한 액체의 흡수 속도가 저하되는 것, 및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체에 압력이 가해져, 피부로의 액 역류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몸통 주위 유지부로부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공간적인 여유(천의 여분)를 갖게 해왔다. 이것은, 복잡하게 요철이 있는 입체적인 신체에 대하여, 평면형의 흡수체를 대기 때문에, 가랑이 아래 영역 등에 여분을 갖게 하지 않으면 착용자의 자세 변화나 움직임에 의한 피부의 신장에 추종할 수 없어 일회용 기저귀가 아래로 처지기 때문이다.
공간적인 여유(천의 여분)를 갖게 했기 때문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변을 간극 없이 피트시킬 필요가 있어,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의 신축률을 높게 하는 등, 일회용 기저귀를 신체에 조이는 구조가 필요해진다. 즉, 조임이 강해지고, 과도한 조임은 착용자의 불쾌감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설 후의 쾌적성이나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속옷에 가까운 착용감,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양호한 장착감을 실현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앞몸통 둘레 영역(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뒷몸통 둘레 영역(뒷몸통 둘레 영역(30))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가랑이 아래 영역(25))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흡수체(40))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제품 길이 방향(L))과,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제품 폭 방향(W))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기저귀(10))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앞몸통 둘레 영역(20), 뒷몸통 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고, 제품 길이 방향 또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크로치부(크로치부(200))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제1 변곡부(110))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제2 변곡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독립하여 구비되고, 상기 크로치부의 제품 길이 방향을 따른 사이즈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30 mm 이상, 150 mm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는 크로치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외장 시트(백 시트(60))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독립하여 구비되고, 상기 크로치부의 제품 길이 방향을 따른 사이즈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30 mm 이상, 150 mm 이하이고,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부의 가장자리부에는, 적어도 상기 외장 시트를 집은 다트부(다트부(220))가 형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는 크로치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독립하여 구비되고, 상기 크로치부의 제품 길이 방향을 따른 사이즈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30 mm 이상, 150 mm 이하이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크로치부를 보강하는 보강 시트(보강 시트(230))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는 크로치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제1 변곡부 및 상기 제2 변곡부를 따라 절곡 가능하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다른 부분보다 평탄한 형상의 유지가 용이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배설 후의 쾌적성이나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속옷에 가까운 착용감,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양호한 장착감을 실현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크로치부(200)를 백 시트(60)측에서 본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장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와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자에 대한 장착 상태에서의 CT 스캔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경예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A)의 크로치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경예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B)의 크로치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함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또, 도 1에 도시한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톱 시트(50)나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개더(75) 및 레그 사이드 개더(80)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레그 사이드 개더(80)를 신축시킨 상태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뒷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부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뒷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뒷몸통 둘레부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뒷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5)(도 4 참조)가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뒷몸통 둘레 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고 하며,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고 한다.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걸쳐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에 의해 구성된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하여, 분쇄 펄프나 고흡수 폴리머 등, 공지된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 랩(40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면측의 일부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혹은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질량 약 10∼30 g/m2의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질량 약 10∼30 g/m2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에는, 액 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또한, 흡수체(40)의 이면측(비피부 접촉면측)에는,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60)가 구비된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 가장자리부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된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 중첩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사이드 플랩(70)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구비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20), 뒷몸통 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몸통 둘레 유지부가 구성된다.
흡수체(40)의 표면측(톱 시트(50)측)은, 신축성의 부직포 시트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레그 개더(75)가 구비된다. 부직포 시트는,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폭 5 mm(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폭) 이상, 3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mm 미만에서는, 실질적으로 면으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른다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35 mm를 초과하면, 다리 둘레를 따르는 영역이 넓어져, 부직포 시트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말려들거나, 젖힌 상태로 말리거나 말리기 쉬워진다.
또, 자연 상태에서의 사이즈(길이)란, 일회용 기저귀(10)를 포장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12시간 방치한 10개 샘플에 대하여, 신와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 : 유리 섬유가 들어 있는 폴리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고,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도록 하여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쌍의 레그 개더(75)의 내측(제품 폭 방향(W)에서의 중앙 근처)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구비된다. 또,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배치되는 웨이스트 개더를 구비해도 좋다.
흡수체(40)에는,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가 형성된다.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는,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된다. 제2 변곡부(120)는, 제1 변곡부(110)보다 뒷몸통 둘레 영역(30) 근처에 위치한다.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굽힘 기점이 된다.
가랑이 아래 영역(25), 구체적으로는 제1 변곡부(110)와 제2 변곡부(120) 사이에는, 크로치부(200)가 형성된다. 크로치부(200)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 평탄한 형상의 유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크로치부(200)는,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 또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200a)를 갖는다. 즉,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에 의해 줄어든 부위와, 줄어든 부위 이외의 부위의 강성차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에 평탄한 「바닥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변곡부(110)(제2 변곡부(120))의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의 영역에는, 절취부(115)(절취부(125))가 형성된다. 절취부(115)는, 제1 변곡부(110)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절취부(125)는, 제2 변곡부(120)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는,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는,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또,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를 형성하는 것을 대신하여,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의 영역을,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아지도록 해도 좋다.
또, 각 부분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은, 예컨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포장체에 의해 포장된 일회용 기저귀(10)의 포장체를 개봉하고, 절첩된 일회용 기저귀(10)를 전개하여, 단위 중량을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단위 중량을 측정하는 부분을 일회용 기저귀(10)로부터 잘라내고, 잘라낸 부분으로부터 톱 시트 및 백 시트 등의 흡수성 코어(40a)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고, 흡수성 코어(40a)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흡수성 코어(40a)의 중량과, 단위 중량을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에 기초하여,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을 산출한다.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는,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를 보다 좋은 상태로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는, 크로치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존재한다. 또,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는, 제품 폭 방향(W)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가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 외측이 보다 줄어들기 쉬워지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에 평탄한 「바닥부」가 형성된다. 또한, 절취부(115)보다 앞몸통 둘레 영역(20) 근처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절취부(125)보다 뒷몸통 둘레 영역(30) 근처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바닥부」로부터 기립하여, 착용자의 몸(복부 및 둔부)의 둥근 모양을 따르도록 만곡되기 쉬워진다.
절취부(115)(절취부(125))의 앞몸통 둘레 영역(20)(뒷몸통 둘레 영역(30)) 근처의 가장자리부는, 원호형이다. 절취부(115)(절취부(125))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상기 가장자리부보다 뒷몸통 둘레 영역(30)(앞몸통 둘레 영역(20))에 위치하는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착용자의 몸의 둥근 모양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고 또한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크로치부(200)는, 몸통 둘레 유지부를 구성하는 앞몸통 둘레 영역(20), 뒷몸통 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와 교차하지 않고 앞몸통 둘레 영역(20), 뒷몸통 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로부터 독립하여 구비된다.
(2) 크로치부의 형상
다음으로, 크로치부(200)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크로치부(200)를 백 시트(60)측에서 본 확대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치부(200)는 크로치 신축부(200a)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로서, 신축성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신축성 시트로는, 예컨대 우레탄,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시켜, 필름형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이들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또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 형상·띠 형상의 신축성 탄성 부재를, 서로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기타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탄성 부재의 굵기나 배치하는 피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10)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 가장자리부 전역이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하다. 이 때문에,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크로치부(200)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쉬워져,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부(200)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로 설정된다.
크로치부(200)의 신축률은, 크로치부(200)의 신축 방향(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신축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크로치부(200)의 신축률=(크로치부의 최대 신장시 길이)/(크로치부의 자연 상태시 길이)
또, 크로치부(200)의 신축률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계속해서, 신와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 : 유리 섬유가 들어 있는 폴리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고,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도록 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이 상태의 길이, 즉,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크로치부(200)의 길이와, 일회용 기저귀(10)를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했을 때의 크로치부(200)의 길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10개 샘플에 대하여 상술한 측정을 행하고, 그 평균치를 상술한 길이로 했다.
이러한 신축률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 신축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착용자의 피부는 신축되고, 예컨대 착용자의 둔부에 있어서는 신체 앞쪽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면, 둔부측의 피부는 신체를 신장시킨 상태에 대하여 30% 정도 신장되기 때문이다.
즉, 1.2배 이하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고 비수축과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굽힘 용이성의 차가 작아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가 목표로 하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1.8배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 방향에서의 수축 치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존재하는 영역(크로치 신축부(200a))이 신체를 따르는 것보다 밀착되는 상태가 되기 쉽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아래쪽으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크로치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른 사이즈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 30 mm 이상, 150 mm 이하이다. 또, 크로치부(200)의 상기 사이즈는, 착용자를 수평의 대(臺) 상에 위를 향하게 하여 눕히고, 착용자의 바로 옆에서 관찰을 한 경우에, 복부측에 관해서는 착용자의 배꼽을 통과함과 동시에 대 상과 평행한 가상의 선에 접하지 않고, 등측에 관해서는 대에 접하지 않고 착용자의 가랑이부 영역에 수용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즈가 30 mm 미만이면, 크로치부(200)가 착용자의 가랑이부 영역을 충분히 커버할 수 없고 착용자의 신체에 크로치부(200)가 가까워지기 어렵다. 한편, 상기 사이즈가 150 mm를 초과하면, 크로치부(200)가 착용자의 가랑이부 영역에 수용되기 어려워진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착용자의 복부측 및 등측의 몸통 둘레 주변의 영역에 의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영역으로 크로치부(200)가 연장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력에 의해 크로치 신축부(200a)가 신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밀착되면, 신체와 일회용 기저귀(10) 사이에 배설물의 유지 공간이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가 아래쪽으로 어긋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크로치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길이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길이보다 길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길이와,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길이의 비율은, 1.1 이상, 1.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1.5 이하이다. 1.6을 초과하면, 일회용 기저귀(10)의 복부측과 등측의 밸런스가 무너져,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기저귀의 크로치부(200)를 따르게 한 경우에, 앞몸통 둘레 영역(20)이 과도하게 밀착되거나,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필요 이상으로 덮이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신체는, 일반적으로, 하복부보다 둔부가 보다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치부(200)와, 착용자의 가랑이부를 맞춘 후에, 비율을 상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복잡한 신체의 형상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가 보다 알맞은 형상이 된다. 즉, 치수가 부족한 부분이 생기는 것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부분적인 당김이나, 치수가 남는 부분이 생기는 것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와 신체 사이의 불필요한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보행 개시 전, 혹은 보행을 개시했을 즈음에 이용하는 유유아의 경우, 신체가 배측을 향해 둥글게 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그와 같은 자세에서는 둔부측의 피부가 신장된 상태가 되기 쉽고, 비율을 상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이러한 자세를 취하기 쉬운 유유아의 신체에 알맞은 상태가 된다.
일례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400 mm(제품 길이 방향(L))에 대하여, 앞몸통 둘레 영역(20)이 130 mm, 크로치부(200)가 80 mm,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190 mm로 설정된다. 이 경우,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길이의 비율은, 약 1.46이다. 이러한 비율로 함으로써, 크로치부(200)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 전체를 더욱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폭과,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크로치 신축부(200a)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은, 적어도 일부에서 거의 동일하다. 여기서 「거의 동일」이란,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에 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흡수성 코어(40a)와 크로치 신축부(200a)의 폭의 차가 20% 이내인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폭은, 50∼11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을 따른 폭은, 크로치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가장 좁다.
크로치 신축부(200a)의 폭이 흡수성 코어(40a)와 비교하여 지나치게 좁으면, 크로치 신축부(200a)를 평탄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발현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수축되고, 크로치 신축부(200a)의 폭 방향 외측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대퇴부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걸리기 쉬워진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보다 수축된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부재끼리의 중첩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크로치 신축부(200a)가 단단해져, 착용감을 손상시켜 버린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와, 레그 개더(7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 단부와의 거리는, 30∼6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a)는, 레그 개더(75)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에 가까워지기 쉽고,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 크로치부(200),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을 따른 폭은, 크로치부(200)와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을 따른 폭보다 좁다.
다만,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 크로치부(200)의 제품 폭 방향(W)을 따른 폭과, 크로치부(200)와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분에서의 제품 폭 방향(W)에 따른 폭과의 차는, 20% 이하이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 크로치부(200)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분은, 제품 폭 방향(W)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선보다 10∼60 mm 앞몸통 둘레 영역(20) 근처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20∼40 mm 앞몸통 둘레 영역(20)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고, 그 부위를 걸쳐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의 대퇴부가 서로 가장 접근하는 위치는, 착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앞몸통 둘레 근처이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신체의 형상에 보다 합치된 위치에 변곡부를 형성하고, 흡수성 코어(40a)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면서, 크로치부(200)를 착용자의 가랑이부를 따르게 할 수 있다.
(3) 작용·효과
다음으로, 일회용 기저귀(10)의 작용·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장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의 (a) 및 (b)는, 일회용 기저귀(10)와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자에 대한 장착 상태에서의 CT 스캔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를 기점으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10)가 절곡되는 한편, 크로치부(200)에는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결과적으로 크로치부(200)는,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가랑이 아래)부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거의 평탄한 「바닥부」를 형성한다. 즉, 크로치부(200)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가 신축부와 비신축부의 경계에서 변곡된다(굴곡된다).
도 5의 (a)는,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장착한 상태에서 CT 촬영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으며, 일회용 기저귀(10)는, 도 5의 (b)에 도시한 크로치 신축부(200a)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비교하면, 착용 상태에서 평탄에 가까운 형상이 되는 크로치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부(200)와 복부측, 및 크로치부(200)와 등측의 각각 경계 부근에 변곡부(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가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비교하여, 복부측으로부터 가랑이 아래 영역, 등측으로부터 가랑이 아래 영역에 대한 굴곡의 정도(굽힘 각도의 변화)가 보다 현저해진다. 이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복부측과 등측이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됨으로써, 크로치부(200)는, 보다 신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크로치부(200)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몸을 따르게 된다.
또한,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를 기점으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10)가 절곡됨으로써, 앞몸통 둘레측과 뒷몸통 둘레측의 2개의 정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정점부 사이에, 거의 평탄한 크로치부(20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거의 평탄한 크로치부(200)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크로치부(200)를 착용자의 신체에 가까이 할 수 있어, 배설 후의 쾌적성이나 흡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속옷에 가까운 착용감,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양호한 장착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명확히 바대부(바닥부)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입체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따르게 함으로써, 과도한 탄성 부재에 의한 조임이 저감되어 있다. 즉, 이러한 「바닥부」가 형성되는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부(200)가 신체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다리 둘레를 조이지 않아도 피트될 수 있게 되어, 본래의 의미에서 크로치부가 존재하는 것(앞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아래 영역(25)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각각 신체를 따를 수 있음)이다.
한편,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실질적으로 전방부과, 후방부밖에 존재하지 않아, 착용된 상태에서는, 크로치부가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위치에 존재하기 쉽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좌우의 대퇴부에 끼워지는 위치보다 더욱 아래쪽에까지 흡수체가 존재하는 상태가 되어 버린다. 이 경우, 착용자의 대퇴부에 끼워진 흡수체는, 착용자의 다리부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전후 좌우로 움직이고, 흡수체를 구성하는 섬유나 고흡수 폴리머가 중앙에 치우쳐 버린다. 흡수체를 구성하는 섬유나 고흡수 폴리머가 중앙에 치우쳐 버리면,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와 일회용 기저귀의 크로치부 사이의 공극이 메워지는 상태가 되어, 배설물을 유지하는 공간이 적어지거나, 가랑이 하부에서의 흡수체의 밀도가 높아짐으로써 흡수 속도가 저하되어 버리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유유아나 유아가 빈번히 착용하는 롬퍼스(rompers)가 이용되는 경우, 롬퍼스의 가랑이 하부에서, 앞몸통 둘레측과 뒷몸통 둘레측을 훅 등으로 걸 때에, 일회용 기저귀의 크로치부가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장착 상태에서도 크로치부(200)가 필요 이상으로 가랑이 하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4) 그 밖의 실시형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변경예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크로치부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10A)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 대신에, 다트부(220)가 형성된다. 다트부(220)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부(20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4개소의 다트부(220)가 형성되어 있지만, 다트부(220)의 수는, 4개소보다 많아도 상관없다. 혹은, 다트부(220)의 수는, 4개소보다 적어도 상관없지만, 4개소 이상인 것이 크로치부(200)를 평탄하게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다트부(220)는, 흡수체(40)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외장 시트, 본 변경예에서는 백 시트(60)의 일부를 집은 부분이다. 또, 본 변경예의 경우, 다트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외측 위치 사이가 다트부(220)의 폭이 된다. 다트부(220)가 형성됨으로써, 다트부(220)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크로치부(200)가 평탄한 형상이 되기 쉽다. 즉, 일회용 기저귀(10A)에 의해서도, 상술한 일회용 기저귀(1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일회용 기저귀(10B)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 대신에, 보강 시트(230)가 형성된다. 또, 본 변경예의 경우, 보강 시트(230)가 형성되어 있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외측 위치 사이가 보강 시트(230)의 폭이 된다. 보강 시트(230)는, 크로치부(200)를 보강하여, 강성을 높이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크로치부(200)가 평탄한 형상이 되기 쉽고,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되는 레그 개더(75)의 수축력 등에 의해 보강 시트(230)의 존재 영역과 비존재 영역의 경계에 제1 변곡부(110) 및 제2 변곡부(120)가 형성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B)에 의해서도, 상술한 일회용 기저귀(1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시트(230)의 복부측·등측의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복부측·등측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형으로 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B)의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몸통 둘레 영역이 만곡하여 착용자 신체의 둥근 모양을 보다 따르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크로치부(200)가 신축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시키기 위해, 크로치부(200)의 톱 시트(50)측 또는 백 시트(60)측에 주위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된 부분이나 무늬 등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도 3에 있어서 1점 쇄선으로 나타낸 영역을 주위와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가 형성되는 것, 혹은 절취부(115) 및 절취부(125)의 영역을,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을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하는 것이 설명되어 있었지만, 이러한 구조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절취부나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낮은 부분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변경예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신축성의 부직포 시트로 형성된 레그 개더 대신에, 끈 형상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 레그 개더가 형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패스닝 테이프(90)가 형성된 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을 형성하는 외층 시트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가 접합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부와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를 갖는 팬츠 형상 기저귀에 관해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몸통 둘레 영역의 외층 시트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 및 신장 가능해지는 탄성 요소를 갖고 있고, 이들을 수축함으로써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일회용 기저귀가 유지된다. 즉,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되는 좌우 측 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있는 범위가 몸통 둘레 유지부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의 범위에 관련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10, 10A, 10B : 일회용 기저귀,
20 : 앞몸통 둘레 영역,
25 : 가랑이 아래 영역,
30 : 뒷몸통 둘레 영역,
35 : 다리 둘레 개구부,
40 : 흡수체,
40a : 흡수성 코어,
40b : 코어 랩,
50 : 톱 시트,
60 : 백 시트,
70 : 사이드 플랩,
75 : 레그 개더,
80 : 레그 사이드 개더,
90 : 패스닝 테이프,
110 : 제1 변곡부,
115 : 절취부,
120 : 제2 변곡부,
125 : 절취부,
200 : 크로치부,
200a : 크로치 신축부,
220 : 다트부,
230 : 보강 시트

Claims (13)

  1.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고, 제품 길이 방향 또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크로치(crotch)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독립하여 구비되고,
    상기 크로치부의 제품 길이 방향을 따른 사이즈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30 mm 이상, 150 mm 이하인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부는, 제품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부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는, 상기 크로치부보다 제품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부의 영역에서,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단위 중량이 다른 부분보다 낮은 저강성부가 형성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는,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는,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가 넓어짐과 동시에, 상기 절취부의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또는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근처의 가장자리부는, 원호형인 일회용 기저귀.
  6.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는 크로치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외장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독립하여 구비되고,
    상기 크로치부의 제품 길이 방향을 따른 사이즈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30 mm 이상, 150 mm 이하이고,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부의 가장자리부에는, 적어도 상기 외장 시트를 집은 다트부가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
  7.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는 크로치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독립하여 구비되고,
    상기 크로치부의 제품 길이 방향을 따른 사이즈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30 mm 이상, 150 mm 이하이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크로치부를 보강하는 보강 시트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부는,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중심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길이는,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길이보다 긴 일회용 기저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길이와,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길이의 비율은, 1.1 이상, 1.6 이하인 일회용 기저귀.
  10.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을 따른 폭은, 상기 크로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가장 좁은 일회용 기저귀.
  11.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부의 제품 폭 방향을 따른 폭은, 상기 크로치부와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상기 흡수체의 제품 폭 방향을 따른 폭보다 좁고,
    상기 크로치부의 제품 폭 방향을 따른 폭과, 상기 크로치부와 중첩되어 있는 영역에서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의 폭이 가장 좁은 부분에서의 제품 폭 방향을 따른 폭의 차는, 20% 이하인 일회용 기저귀.
  12.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곡부 및 상기 제2 변곡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다른 부분보다 단위 중량이 낮거나, 또는 상기 흡수성 코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회용 기저귀.
  13.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는 크로치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제1 변곡부 및 상기 제2 변곡부를 따라 절곡 가능하고,
    상기 크로치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다른 부분보다 평탄한 형상의 유지가 용이한 일회용 기저귀.
KR1020147017073A 2011-11-22 2012-11-21 일회용 기저귀 KR102052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5254 2011-11-22
JPJP-P-2011-255254 2011-11-22
PCT/JP2012/080183 WO2013077361A1 (ja) 2011-11-22 2012-11-21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927A true KR20140092927A (ko) 2014-07-24
KR102052222B1 KR102052222B1 (ko) 2019-12-04

Family

ID=4846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073A KR102052222B1 (ko) 2011-11-22 2012-11-21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907710B2 (ko)
EP (1) EP2783668B1 (ko)
JP (2) JP5291258B1 (ko)
KR (1) KR102052222B1 (ko)
CN (2) CN103945809B (ko)
AR (1) AR088928A1 (ko)
AU (1) AU2012341538B2 (ko)
BR (1) BR112014012225A2 (ko)
IN (1) IN2014CN04484A (ko)
TW (1) TWI569789B (ko)
WO (1) WO20130773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206A (ko) * 2014-07-25 2017-04-10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9788B (zh) * 2011-11-22 2017-02-11 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用後即棄式紙尿布
JP6115948B2 (ja) * 2013-06-19 2017-04-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06373B1 (ja) * 2015-06-08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807A (ja) 1999-07-27 2001-02-13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4057413A (ja) * 2002-07-26 2004-02-26 Kao Corp 立位での装着が容易なおむつ
US20060122570A1 (en) * 2002-10-22 2006-06-08 Takao Kasai Disposable diaper
US20070088302A1 (en) * 2005-10-14 2007-04-19 Oji Nepia Co., Ltd. Disposable diaper
JP2010131196A (ja) * 2008-12-04 2010-06-17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7085B1 (en) * 1997-12-31 2002-05-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a stretch outer cover and non-stretch grasping panels
JP3330076B2 (ja) * 1998-04-20 2002-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717397B2 (ja) * 2000-11-30 2005-1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119718B2 (ja) * 2002-08-31 2008-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TW200414909A (en) * 2003-02-14 2004-08-16 Kang-Wei Wang Disposable baby diaper
JP3645248B2 (ja) * 2003-08-05 2005-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273476B2 (en) * 2004-09-13 2007-09-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with elasticated topsheet
EP1875819B1 (en) * 2005-04-28 2010-08-11 Zuik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wearing article
CN101166433A (zh) 2005-04-28 2008-04-23 株式会社瑞光 穿着物品及其制造方法
JP4917365B2 (ja) * 2006-07-07 2012-04-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140295B2 (ja) * 2007-03-19 2013-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AU2008294197B2 (en) * 2007-09-05 2014-01-23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807A (ja) 1999-07-27 2001-02-13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4057413A (ja) * 2002-07-26 2004-02-26 Kao Corp 立位での装着が容易なおむつ
US20060122570A1 (en) * 2002-10-22 2006-06-08 Takao Kasai Disposable diaper
US20070088302A1 (en) * 2005-10-14 2007-04-19 Oji Nepia Co., Ltd. Disposable diaper
JP2010131196A (ja) * 2008-12-04 2010-06-17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9206A (ko) * 2014-07-25 2017-04-10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77361A1 (ja) 2013-05-30
JPWO2013077361A1 (ja) 2015-04-27
JP2013198754A (ja) 2013-10-03
EP2783668A4 (en) 2015-08-19
BR112014012225A2 (pt) 2017-05-30
KR102052222B1 (ko) 2019-12-04
CN103945809A (zh) 2014-07-23
EP2783668A1 (en) 2014-10-01
US20140330239A1 (en) 2014-11-06
JP5947750B2 (ja) 2016-07-06
JP5291258B1 (ja) 2013-09-18
EP2783668B1 (en) 2016-10-12
CN105055088B (zh) 2018-11-06
US9907710B2 (en) 2018-03-06
AU2012341538A1 (en) 2014-07-03
TW201340952A (zh) 2013-10-16
CN103945809B (zh) 2016-12-21
IN2014CN04484A (ko) 2015-09-11
AR088928A1 (es) 2014-07-16
TWI569789B (zh) 2017-02-11
CN105055088A (zh) 2015-11-18
AU2012341538B2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2337B1 (en) Disposable diaper
JP5291214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364213B2 (ja) 吸収性物品
KR101768350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55163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50083094A (ko) 일회용 기저귀
EP2926782A1 (en) Disposable diaper
KR20150063961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40122741A (ko)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KR20150085829A (ko) 일회용 기저귀
JP5592578B1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KR20140092927A (ko) 일회용 기저귀
KR101453251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00179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60037886A (ko) 일회용 기저귀
EP2637619B1 (en) Absorbent product and disposable diaper
KR20160144386A (ko) 일회용 기저귀
JP7297426B2 (ja) 吸収性物品
KR20150067087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60037885A (ko) 일회용 기저귀
JP2021106817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