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386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386A
KR20160144386A KR1020167028576A KR20167028576A KR20160144386A KR 20160144386 A KR20160144386 A KR 20160144386A KR 1020167028576 A KR1020167028576 A KR 1020167028576A KR 20167028576 A KR20167028576 A KR 20167028576A KR 20160144386 A KR20160144386 A KR 20160144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tretchable
crotch
contractibl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야스히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2013/494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elas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후에 있어서의 흡수 성능을 확보하면서, 배설후에 있어서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일회용 기저귀의 다리 둘레 신축부(75)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는, 제품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가랑이 신축부(130)가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41)와 협폭부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광폭부(42)를 갖는다. 가랑이 신축부 및 협폭부는,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제품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가랑이 신축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품 폭방향에서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다리 둘레 신축부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배치된 가랑이 신축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배설물의 누설을 막으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서 탄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그 탄성 부재에 의한 압박 흔적이 착용자의 신체에 생기기 어렵게 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서 배치된 탄성 부재와 별도의 탄성 부재가 몸통 둘레 개구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는,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변과 몸통 둘레 개구부의 주변을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가 배설물을 흡수하거나, 착용자가 심하게 움직이기도 하더라도, 일회용 기저귀가 아래로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흡수체에 중복되는 영역에 전후방향으로 신축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그 탄성 부재는,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배치되는 크로치부와,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배치되는 몸통 둘레부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일회용 기저귀는, 앞쪽의 몸통 둘레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뒤쪽의 몸통 둘레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7807호 공보 특허문헌 2 : 국제 공개 제2006/118214호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는, 다리 둘레 개구부의 주변과 몸통 둘레 개구부의 주변을 주로 체결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이 흡수체에 흡수되면, 흡수체가 체액의 무게에 의해 내려간다. 그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로부터 흡수체가 떨어져, 흡수 성능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의 일회용 기저귀는, 앞쪽의 몸통 둘레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뒤쪽의 몸통 둘레부의 외측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몸통 둘레부 전체가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일회용 기저귀는,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흡수체가 착용자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이 탄성 부재는, 크로치부와 몸통 둘레부에 걸쳐 있다. 그 때문에, 흡수체는,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대해서도 밀착된다. 특히 배설후에 있어서는, 체액을 흡수한 흡수체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및 몸통 둘레에 밀착되면, 땀이 차는 것 등에 의한 불쾌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설후에 있어서의 흡수 성능을 확보하면서, 배설후에 있어서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는, 앞몸통 둘레 영역(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뒤몸통 둘레 영역(뒤몸통 둘레 영역(30))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가랑이 아래 영역(25))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제품 길이방향(제품 길이방향(L))과, 제품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방향(제품 폭방향(W))과,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다리 둘레 개구부(35))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의 적어도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코어(흡수성 코어(40a))와,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방향으로 신장되어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다리 둘레 신축부(75))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둘레 신축부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는, 상기 제품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가랑이 신축부(가랑이 신축부(13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협폭부(41))와, 상기 협폭부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광폭부(광폭부(42))를 갖고 있고, 상기 가랑이 신축부 및 상기 협폭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상기 제품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랑이 신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품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1-F1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인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F1-F1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톱 시트(50),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다리 둘레 신축부(75), 가랑이 신축부(130) 및 레그 사이드 신축부(80)의 사이드 탄성 부재(71)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의 도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뒤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부(배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몸통 둘레부(등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뒤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부분이다. 또, 외측 가장자리는 제품 폭방향의 외측단이고, 내측 가장자리는 제품 폭방향의 내측단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몸통 둘레 영역(3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방향(L)이라고 부르고, 제품 길이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방향(W)이라고 부른다.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걸쳐서, 또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몸통 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으로 구성된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하며, 분쇄 펄프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 공지의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 랩(40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면측의 일부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혹은 티슈 시트로 구성된다. 예컨대, 질량 약 10∼30 g/㎡의 에어 스루 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질량 약 10∼30 g/㎡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에는 액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또한,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에는 액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된다.
흡수체(4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된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매 겹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사이드 플랩(70)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구비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방향(W)을 따라서 연장되어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고정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타겟부(95)는, 앞몸통 둘레 영역 내의 피부 비접촉면에 배치되어,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20), 뒤몸통 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몸통 둘레 유지부가 구성된다. 뒤몸통 둘레 영역(30)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계합 부재가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타겟부(95)가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또, 팬츠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뒤몸통 둘레 영역이 접합된 부분으로부터 제품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흡수체(40)의 표면측(톱 시트(50)측)은,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주위에 형성되고, 제품 길이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75)가 구비된다.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제품 길이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일부가 다리 둘레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품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는 부분이며,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은 상태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내측(제품 폭방향(W)에서의 중앙 근처)에는, 제품 길이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 사이드 신축부(80)가 구비된다.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는, 사이드 플랩(70)의 제품 폭방향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다리 둘레 신축부(75)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는, 다리 둘레 신축부(75)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는, 종래에 있어서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과 별도의 시트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플랩(70)은,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표면 시트측에 되접혀 있어, 2층 적층되어 있다. 이 2층의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사이드 탄성 부재(71)(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플랩(70)과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레그 사이드 신축부(80)가 형성된다.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는, 톱 시트(50) 또는 백 시트(60a) 등,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보다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이면측 부재에 접합되는 접합 부분(81)과,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배치되며, 이면측 부재에 접합되지 않고,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제품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는 수축부(84)를 갖는다. 접합 부분(81)은, 수축부(84)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 부분(81A)과,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접합 부분(81B)을 갖는다.
이면측 부재는,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보다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부재이면 되고, 예컨대 톱 시트(50), 백 시트(60a) 및 외장 시트(60)를 예시할 수 있다.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는, 착용시에는 접합 부분(81)을 기단부로 하여 기립하고, 수축부(84)가 정점부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즉, 접합 부분은 레그 사이드 신축부가 기립할 때 기단부가 된다.
또, 수축부(84)는,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방향으로 수축된 부분이며,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은 상태로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도 1에, 레그 사이드 신축부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70)과 톱 시트(50)(또는 백 시트(60a) 등)가 접합된 접합 부분(81)에 사선을 부여하여 나타낸다.
접합 부분(81)은, 복수 설치되어 있고, 제1 접합 부분(81A)은 수축부(84)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접합 부분(81B)은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 사이드 신축부(8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방향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측으로 기립하도록 구성된다.
레그 사이드 신축부(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접합 부분(81A)은, 제품 폭방향(W)에 있어서 협폭부(41)와 다리 둘레 신축부(75)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합 부분(81A)은, 제품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로 백 시트(60a)(및 일부에 있어서 외장 시트(60))에 접합된다. 또, 백 시트(60a)는,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샘방지 시트로서 기능한다.
레그 사이드 신축부(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접합 부분(81B)은 톱 시트(50)에 접합된다.
또, 레그 사이드 신축부(80)의 접합 부분(81)은 여러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접합 부분은, 예컨대 제품 길이방향으로 가랑이 아래부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뒤몸통 둘레 영역으로 연장되어, 톱 시트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고, 흡수성 코어(40a)보다 폭방향 외측에 있어서 액불투과성의 백 시트나 외장 시트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으며, 기립의 기단부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레그 사이드 신축부는, 다리 둘레 신축부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개더이면 되며,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에 있어서 주지의 레그 사이드 신축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품 폭방향에서의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는, 제품 폭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설치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패스닝 테이프 사이를 폭방향으로 수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신축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하는 부재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능한 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고, 폭감소율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 강성이 낮은 재료로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신체를 따라서 굴곡되기 쉬워져, 착용자의 신체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신체를 따라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폭감소가 작은 재료로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가 제품 폭방향으로 신장된 경우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방향의 수축을 억제하고,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가 가랑이 아래측으로 내려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로서, 단위 중량이 20∼45 g/㎡인 신축성 필름을 사용한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서의 길이의 1.5∼2.5배로 늘어난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외장 시트(60)에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외장 시트(6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허리 둘레 신축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흡수체(40)보다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체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허리 둘레 신축부는, 제품 폭방향으로 신축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허리 둘레 신축부가 제품 폭방향과 제품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40)의 흡수성 코어(40a)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41)와, 협폭부(41)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광폭부(42)를 갖는다. 흡수성 코어(40a)의 광폭부(42)는, 흡수성 코어(40a)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영역과, 흡수성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협폭부(41)는, 전후에 배치된 광폭부(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광폭부(42)의 제품 폭방향의 길이는, 광폭부(42)의 제품 길이방향의 외단 가장자리로부터 광폭부의 내단 가장자리(협폭부의 외단 가장자리)로 갈수록 서서히 짧아지고 있다. 흡수성 코어(40a)의 평면시 형상은 모래시계 형상이다. 또, 흡수성 코어(40a)뿐만 아니라, 코어 랩(40b)을 포함한 흡수체(40)의 형상이 모래시계 형상이어도 좋다. 또, 외단 가장자리는 제품 길이방향의 외측단이고, 내단 가장자리는 제품 길이방향의 내측단이다.
뒤몸통 둘레 영역의 흡수체(40)에는, 흡수체의 다른 부위보다 단위 중량이 낮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저강성 영역으로서의 절결(110)이 설치되어 있다. 절결(110)은, 흡수체(40)의 후단 가장자리의 제품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제품 폭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시에 있어서 쐐기 형상이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의 절결(110)과의 경계는, 제품 폭방향(W)의 중심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로 형성된다. 절결(110)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의 흡수체(40)는, 후단 가장자리를 향해서 볼록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절결(110)의 일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시에 있어서,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절결(110)의 일부와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전부와 절결(110)이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절결(1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을 저해하지 않고,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수축되더라도, 절결(110)이 좁아지고, 절결(110)보다 제품 폭방향 양측의 흡수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흡수체(40)가 의도하지 않은 형상으로 융기되기 어려워진다. 또, 절결(110)은, 배설물의 샘방지를 고려하면,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 둘레 신축부(85)에 의해 흡수체(40)가 제품 폭방향(W)에 있어서 수축되어, 절결(110)보다 제품 폭방향 양측의 흡수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절결(110)의 뒤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 근처의 부위가 가랑이 아래 영역(25) 근처의 부위보다 크고 제품 폭방향(W) 중앙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뒤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부위와 가랑이 아래 영역(25) 근처의 부위에서는 제품 폭방향(W)에서의 수축량의 차가 발생하고, 뒤몸통 둘레 영역(30)이 기립하게 된다.
즉, 제품 폭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쐐기형의 절결(110)을 갖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시에, 비피부면측에 일회용 기저귀(10)가 팽창된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110)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고, 절결(110)과 중복되도록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존재하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의 후단 가장자리 근처의 부위가 제품 폭방향(W) 중앙에 가까워지고, 뒤몸통 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흡수성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를 넘어서 존재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흡수성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측의 부분이 착용자의 몸을 적극적으로 따르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허리 둘레 신축부(85) 및 절결(110)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아래에 깔고 착용자를 눕힌 상태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때에도, 흡수성 코어(40a)의 외측 가장자리를 넘어 존재하는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착용자의 신체의 아래에 깔리지 않는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90)를 인장함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외측 가장자리가 신장되고, 컵 형상의 허리측 근처 위치가 보다 확실하게 몸을 따르도록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110)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의 흡수성 코어(40a)가 뒤몸통 둘레 영역측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이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비피부면측에 일회용 기저귀(10)가 팽창되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쉬워지는 것에 더하여, 흡수성 코어(40a)의 표면 면적이 유지되므로, 흡수성 코어(40a)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110)은 쐐기형이며, 흡수성 코어(40a)의 절결(110)과의 경계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이다. 또, 원호의 반경은 50 mm∼200 mm이다. 이 때문에, 절결(110)의 제품 폭방향(W)에서의 폭은, 후단 가장자리로 갈수록 비선형으로 커지고, 뒤몸통 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쉽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의 절결(110)과의 경계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서 볼록해지는 원호이므로, 절결(110)의 수축에 의해 뒤몸통 둘레 영역(30)이 라운딩이 있는 컵 형상이 되어, 착용자의 라운딩이 있는 둔부를 따르기 쉬운 형상이 된다.
또한, 절결(1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40)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좌우 각각에 뒤몸통 둘레 영역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흡수체 형상은, 엉덩이를 얹는 것을 상기시키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가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정확한 위치에 맞추기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수체(4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는 절결(115)(절결(125))이 형성된다. 절결(115) 및 절결(125)은,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결(115) 및 절결(125)은,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또, 절결(115) 및 절결(125)을 형성하는 것 대신에, 절결(115) 및 절결(125)의 영역을,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보다 낮아지도록 해도 좋다.
또, 절결(115) 및 절결(125)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뒤몸통 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특히 폭방향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결(115)(절결(125))의 앞몸통 둘레 영역(20)(뒤몸통 둘레 영역(30)) 근처의 가장자리부는 원호형이다. 절결(115)(절결(125))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그 가장자리부보다 뒤몸통 둘레 영역(30)(앞몸통 둘레 영역(20))에 위치하도록 한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착용자의 몸의 라운딩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고 또한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굽힘 강성은, 테이버법(JIS P8125)에 준거한 강성치에 기초하고 있고,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우선,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 굽힘 강성의 측정 대상 부분의 샘플(예컨대 흡수체)을 채취한다. 샘플은, 측정 대상 부분에 관해, 제품 폭방향의 길이 70 mm×제품 길이방향의 길이 38 mm의 치수로 한다. 샘플중에 신축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탄성 부재를 제거해 둔다. 또, 강성치 측정의 시험기는, (주)야스다 정기 제작소 제조의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샘플수는 10이며, 각 샘플에 관해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강성치로 한다.
측정의 순서는, 이하의 (a)∼(e)와 같다.
(a) 채취한 샘플의 두께(A)를 측정한다.
(b) 이어서, 시험기의 척(하측)의 중심에 닿을 정도로 샘플을 끼워 넣는다.
(c) 지지 롤러와 샘플의 좌우 간극의 합계를 (A)×0.80(mm)로 조절한다.
(d) 지시 하중 눈금이 최대 눈금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 추를 적절하게 선택한다.
(e) 샘플을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15도 지지 각선과 진자의 중심각이 일치한 점에서 정지시켜 시험기의 눈금을 읽는다. 눈금의 좌측의 수치를 (B)로 하고, 눈금의 우측의 수치를 (C)로 한다.
강성치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식 : 강성치(mNㆍm)=(((B)+(C))/2)×(보조 추 계수)×9.81×10-2
또, 시험편의 폭이 38 mm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38 mm 폭의 굽힘 모멘트로 환산을 행한다.
이와 같이 측정한 강성치가 높을수록 굽힘 강성이 높고, 강성치가 낮을수록 굽힘 강성이 낮아진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몸통 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계합 부재로서의 계합 후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후크 시트(92)를 구비한다. 후크 시트(92)는 계합 부재가 설치된 영역이며, 전술한 몸통 둘레 유지부는 후크 시트(92)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후크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 구체적으로는 접합되어 있다. 후크 시트(92)와 기재 시트(91)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크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점형, 선형 또는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크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매 겹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91)로는, 스펀 본드(SB) 또는 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SMS)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복수매의 경우는 합계 단위 중량)은 30∼120 g/㎡이고, 바람직하게는 40∼90 g/㎡이다.
타겟부(95)는, 앞몸통 둘레 영역의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타겟부(95)는, 패스닝 테이프의 계합 후크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크와 루프의 고정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타겟부로는, 예컨대 에어 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타겟부(95)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만들어진 섬유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에 부착된 루프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95)로서는, 부피가 큰 부직포이며, 그 일부를 엠보스함으로써 부직포 표면의 보풀을 방지한 부직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의 외장 시트(60)를 부직포로 형성하고, 패스닝 테이프(90)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도안을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측의 면에 인쇄하거나, 또는 도안의 시트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타겟부로 할 수 있다.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흡수체(40)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설치된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서 배치되고, 제품 길이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폭방향에서의 위치가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폭방향 내단 영역(75I)을 갖고 있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특히 뒤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제품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폭방향 내단 영역(75I)은,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폭방향에서의 위치가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폭방향 내단 영역(75I)과 일치하고 있지만, 반드시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형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진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한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실모양ㆍ띠모양의 탄성 부재를 1개 또는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다리 둘레 신축부(75)를 구성해도 좋다.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사이드 플랩(70)과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는 백 시트(60a)가 구비되는 영역에서는,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백 시트(60a)와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리 둘레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는,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폭 5 mm(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제품 폭방향(W)에서의 폭) 이상 4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mm 이상 3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mm 미만이면, 실질적으로 면으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름으로써, 부분적으로 체결하는 힘이 집중되지 않아, 탄성 요소에 의한 피부에 대한 부하를 낮춘다고 하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45 mm를 넘으면, 일회용 기저귀 전체의 제품 폭방향의 길이와 비교하여 다리 둘레를 따르는 영역이 지나치게 넓어져, 신축성 시트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감기거나, 젖혀서 말리거나 하기 쉬워져 버린다.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신장률은 1.6∼2.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신장률은 1.8∼2.0배로 설정된다. 또, 신장률이란 다리 둘레 신축부의 신장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장률=(신장 상태의 다리 둘레 신축부의 길이)÷(자연 상태의 다리 둘레 신축부의 길이)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장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밀봉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낸다. 이어서, 다리 둘레 신축부의 배치 영역을 절취한다. 이 때, 다리 둘레 신축부에 접합되는 외장 시트도 포함시켜 절취한다. 절취한 후의 다리 둘레 신축부의 샘플의 신장률을 측정하여 다리 둘레 신축부의 신장률을 계측한다.
각 샘플에 관해,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 있어서 60분간 방치하고, 신축 방향을 따라서 다리 둘레 신축부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다리 둘레 신축부의 길이」로 한다.
둘째,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원하는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을 비신축성 시트 상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했을 때의 원하는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신장 상태에서의 다리 둘레 신축부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제품 폭방향(W)에서의 내측단의 간격은,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 갈수록 넓어짐과 함께,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뒤몸통 둘레 영역(30)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착용자의 몸에 기저귀를 장착하는 경우, 가랑이 아래부에서 좁고, 전후의 몸통 둘레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다리 둘레 신축부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다리 둘레 신축부가 신체의 라인을 따르는 것이 가능해지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적합하게 다리 둘레 신축부가 신장 배치되게 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전단 가장자리에서의 그 간격(도면 중의 D1)은,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후단 가장자리에서의 간격(도면 중의 D2)보다 좁다. 또, 그 간격은, 일회용 기저귀(10)를 자연 상태로부터 주름이 없는 상태로 제품 길이방향(L) 및 제품 폭방향(W)으로 폭을 넓혀 유지한 후, 좌우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제품 폭방향(W)에서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착용자의 신체의 피부 표면의 신장은, 둔부에 있어서 특히 크고, 그 폭방향 외측 근처의 위치에서 현저하다. 또한,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D2>D1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움직임이 일회용 기저귀(10)에 가해진 경우에도, 둔부측에서의 다리 둘레 신축부(75)가 밀착된 채로 신장될 수 있어, 신장의 변화량이 크더라도 다리 둘레 신축부(75)가 자연스럽게 신장된다. 따라서, 다리 둘레 신축부(75)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양 다리의 간격은, 가랑이 아래 영역이 가장 좁고, 가랑이 아래 영역으로부터 배쪽이나 등쪽을 향해서 넓어지는 형상이다. 다리 둘레 개구부 및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가랑이 아래 영역으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을 향하여 폭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상이므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서 다리 둘레 개구부 및 다리 둘레 신축부(75)를 배치할 수 있고, 국소적인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신장률로 착용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고, 피부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를 만곡시켜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외단 가장자리(길이방향의 외단)는 폭방향으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몸통 둘레 유지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외단 가장자리(제품 길이방향의 외측단)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함께 폭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한다.
가랑이 신축부(130)는,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이자 다리 둘레 신축부(75)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랑이 신축부(130)는, 좌우 각각에 제1 가랑이 신축부(131)와, 제1 가랑이 신축부(131)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가랑이 신축부(13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랑이 신축부(131) 및 제2 가랑이 신축부(132)는,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에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랑이 신축부(130)는, 복수의 실모양의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가랑이 신축부(130)는, 톱 시트(5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가랑이 신축부(130)는, 외장 시트(6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가랑이 신축부(132)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는, 제1 가랑이 신축부(131)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또, 변형예로서, 제2 가랑이 신축부(132)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와, 제1 가랑이 신축부(131)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이어도 좋다. 또한, 가랑이 신축부(130)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는,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랑이 신축부(130)나 다리 둘레 신축부(75) 등의 신축부의 길이가 동일한 구성이란, 유효 길이(그 신축부와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가 접착제로 접착된 부분의 길이)의 차가 10% 이내인 구성이다.
가랑이 신축부(130)는, 제품 길이방향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측에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가랑이 신축부(130)의 제품 길이방향 중심은,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방향 중심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가랑이 신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제품 폭방향에 있어서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가랑이 신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란, 제1 가랑이 신축부(131)와 제2 가랑이 신축부(132) 중 한쪽, 또는 제1 가랑이 신축부(131)(제2 가랑이 신축부(132)) 중 일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가랑이 신축부(131)와 제2 가랑이 신축부(132)는 모두, 제품 폭방향에 있어서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는 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가랑이 신축부(131)와 제2 가랑이 신축부(13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제품 폭방향에 있어서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또는, 제1 가랑이 신축부(131)의 일부 또는 제2 가랑이 신축부(132)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광폭부의 측가장자리와 협폭부의 측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제1 가랑이 신축부(131)는, 흡수성 코어의 협폭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랑이 신축부는, 광폭부의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 FL1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광폭부의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이란,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중심이다.
가랑이 신축부(130)의 신장률은 1.2∼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 신축부(130)의 신장률은 1.3∼1.9배로 설정된다. 또, 신장률이란, 가랑이 신축부(130)의 신장의 정도를 의미하며, 다리 둘레 신축부의 신장률과 동일하게 규정할 수 있다. 가랑이 신축부(130)의 신장률이 2.5배보다 높으면, 가랑이 신축부가 지나치게 수축되어, 다리 가랑이부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가 몸으로부터 이간되어 버린다. 한편, 가랑이 신축부(130)의 신장률이 1.2배보다 낮으면, 흡수성 코어가 몸에 가까워지도록 들어 올릴 수가 없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장착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단면도는, 도 1에 나타내는 F1-F1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에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장착시에 아래 방향으로 드리워져, 착용자의 신체와 떨어지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신축부(130)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흡수성 코어(40a)를 인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와 착용자의 신체가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랑이 신축부(130)에 의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흡수성 코어(40a)를 계속 인상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40a)에 체액의 무게가 가해진 경우라 하더라도, 그 흡수성 코어(40a)가 착용자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후에 있어서도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몸통 둘레 유지부는,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일회용 기저귀를 유지하는 부분이며,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 그 몸통 둘레 유지부와 가랑이 신축부(130)가 중복되어 있으면, 가랑이 신축부(130)의 수축과 몸통 둘레 유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대해서도 흡수성 코어(40a)가 밀착된다. 따라서, 배설후에 있어서, 체액을 흡수한 흡수성 코어(40a)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 및 몸통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땀이 차는 것 등에 의한 불쾌감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가랑이 신축부(130)는,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제품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몸통 둘레 유지부와 가랑이 신축부(130)를 따로따로 기능시킬 수 있다. 즉, 몸통 둘레 유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일회용 기저귀를 밀착시키고, 또한 가랑이 신축부(130)에 의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가랑이 아래 영역의 흡수성 코어를 인상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후에 있어서의 흡수 성능을 확보하면서, 배설후에 있어서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신축부(130)로부터 제품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절결(115, 125)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랑이 신축부(130)에 의한 인상 효과가 더욱 발휘된다. 또한, 흡수성 코어는,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장착된 상태에서 가랑이 신축부(130)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부러진다. 흡수성 코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흡수성 코어가 매끄럽게 구부러져, 착용시의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신축부(130)는, 광폭부의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광폭부의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의 영역은, 흡수성 코어의 폭이 비교적 짧은 부분이며,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대응되는 부분이다. 그 부분에 가랑이 신축부(130)를 배치함으로써,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대응하는 부분의 흡수성 코어를 인상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신축부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는, 다리 둘레 신축부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다리 둘레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 전체를 따르도록 일회용 기저귀를 배치한다. 이에 비해, 가랑이 신축부(130)는, 흡수성 코어 중,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만을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도록 배치한다. 예컨대, 가랑이 신축부(130)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가 다리 둘레 신축부(75)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경우에는, 흡수성 코어 전체가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전술한 땀이 차는 것 등에 의한 불쾌감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나, 가랑이 신축부(130)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가, 다리 둘레 신축부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의 필요한 부분만을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서 배치할 수 있어, 땀이 차는 것 등의 불쾌감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가랑이 신축부는,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제2 가랑이 신축부는, 광폭부의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제2 가랑이 신축부(132)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는, 제1 가랑이 신축부(131)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흡수체의 측가장자리부는, 폭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제품 길이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그 구성에 의하면, 이 흡수체의 측가장자리부의 형상의 변화와, 가랑이 신축부의 길이방향의 길이의 변화가 일치하고, 흡수성 코어를 들어 올리는 효과가 현저해진다.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신축부(130)는, 제품 길이방향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측에 편의(偏倚)하여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영유아의 신체는 하복부보다 둔부가 더 튀어 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가랑이 신축부(130)가 앞몸통 둘레 영역측에 편의하고 있는 것에 의해, 가랑이 신축부(130)에 의해 착용자측에 인상되는 부분과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를 맞출 수 있다. 그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에 맞춰 균형있게 일회용 기저귀를 배치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신축부(130)는,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지 않는다. 예컨대, 가랑이 신축부(130)와 흡수성 코어가 중복되면, 부직포에 비해서 강성이 높은 전후의 흡수성 코어끼리 서로 가까워진다. 그 때문에, 크로치 영역에서 흡수성 코어가 폐쇄된 상태가 되고, 흡수성 코어가 몸에 가까워지도록 변형되지 않아, 흡수성 코어가 돌출된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가랑이 신축부(130)와 흡수성 코어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흡수성 코어가 과도하게 굴곡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가 몸쪽으로 들어 올려져, 흡수성 코어와 가까워지는 상태를 실현하기 쉽다.
이어서, 변형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를,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변형예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A)의 가랑이 신축부(130)는, 좌우에 각각 3개씩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1 가랑이 신축부(131)와, 제1 가랑이 신축부(131)보다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가랑이 신축부(132)와, 제1 가랑이 신축부(131)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제3 가랑이 신축부(133)를 갖는다.
제1 가랑이 신축부(131) 및 제2 가랑이 신축부(132)는,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지 않는다. 한편, 제3 가랑이 신축부(133)는,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어 있다.
제1 가랑이 신축부(131)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와, 제2 가랑이 신축부(132)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와, 제3 가랑이 신축부(133)의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이다.
복수의 가랑이 신축부 중 제3 가랑이 신축부(133)는,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는 제3 가랑이 신축부(133)에 의해 흡수성 코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 2014년 4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82582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인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설후에 있어서의 흡수 성능을 확보하면서, 배설후에 있어서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20 : 앞몸통 둘레 영역
25 : 가랑이 아래 영역
30 : 뒤몸통 둘레 영역
35 : 다리 둘레 개구부
40 : 흡수체
40a : 흡수성 코어
40b : 코어 랩
41 : 협폭부
42 : 광폭부
50 : 톱 시트
60 : 외장 시트
60a : 백 시트
70 : 사이드 플랩
71 : 사이드 탄성 부재
75 : 다리 둘레 신축부
75I : 폭방향 내단 영역
80 : 레그 사이드 신축부
81 : 접합 부분
81A : 제1 접합 부분
81B : 제2 접합 부분
84 : 수축부
85 : 허리 둘레 신축부
90 : 패스닝 테이프
91 : 기재 시트
92 : 후크 시트
95 : 타겟부
110 : 절결
130 : 가랑이 신축부
131 : 제1 가랑이 신축부
132 : 제2 가랑이 신축부
133 : 제3 가랑이 신축부
L : 제품 길이방향
W : 제품 폭방향

Claims (6)

  1.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뒤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제품 길이방향과,
    제품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방향과,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중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코어와,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둘레 신축부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는, 상기 제품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가랑이 신축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보다 상기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광폭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랑이 신축부 및 상기 협폭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상기 제품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랑이 신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품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랑이 신축부는, 제1 가랑이 신축부와, 상기 제1 가랑이 신축부보다 상기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가랑이 신축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가랑이 신축부는, 상기 광폭부의 상기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보다, 상기 제품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가랑이 신축부는, 상기 광폭부의 상기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보다, 상기 제품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가랑이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 가랑이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인 일회용 기저귀.
  2.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뒤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으로 향하는 제품 길이방향과,
    제품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방향과,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 중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코어와,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뒤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한쌍의 다리 둘레 신축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둘레 신축부보다 제품 폭방향 내측에는, 상기 제품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가랑이 신축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와, 상기 협폭부보다 상기 제품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광폭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랑이 신축부 및 상기 협폭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보다 상기 제품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랑이 신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품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협폭부의 외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랑이 신축부는, 상기 제품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측에 편의(偏倚)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신축부는, 상기 광폭부의 상기 제품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품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보다, 상기 제품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다리 둘레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것인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신축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지 않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신축부는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랑이 신축부 중 일부의 가랑이 신축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고, 상기 복수의 가랑이 신축부 중 다른 가랑이 신축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와 중복되지 않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KR1020167028576A 2014-04-14 2015-03-09 일회용 기저귀 KR201601443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2582 2014-04-14
JP2014082582A JP5797295B1 (ja) 2014-04-14 2014-04-14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5/056852 WO2015159610A1 (ja) 2014-04-14 2015-03-09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386A true KR20160144386A (ko) 2016-12-16

Family

ID=5432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576A KR20160144386A (ko) 2014-04-14 2015-03-09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797295B1 (ko)
KR (1) KR20160144386A (ko)
CN (1) CN106232071B (ko)
AU (1) AU2015248261B2 (ko)
MY (1) MY181472A (ko)
WO (1) WO2015159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9187B2 (ja) * 2017-12-28 2022-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25858B2 (ja) * 2018-05-18 2022-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807A (ja) 1999-07-27 2001-02-13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6118214A1 (ja) 2005-04-28 2006-11-09 Zuiko Corporation 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7687C (en) * 1991-09-11 2002-09-17 Georgia L. Zehner Newborn's growth adjustable absorbent diaper having variable overlapping and non-overlapping ears
JPH1075976A (ja) * 1996-09-02 1998-03-24 Oji Paper Co Ltd 使いすておむつ
FR2810879B1 (fr) * 2000-06-28 2003-09-26 Proteco Couche comportant une ame absorbante ayant en section une forme generale en omega
JP4833804B2 (ja) * 2006-11-16 2011-12-07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370348B2 (ja) * 2007-07-26 2009-11-2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吸収性物品
JP5095467B2 (ja) * 2008-03-27 2012-12-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583996B2 (ja) * 2010-03-23 2014-09-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Y188821A (en) * 2010-08-03 2022-01-05 Kao Corp Pull-on absorbent article
KR101851038B1 (ko) * 2011-03-31 2018-04-20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JP6068813B2 (ja) * 2012-03-26 2017-01-2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202682191U (zh) * 2012-07-04 2013-01-23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807A (ja) 1999-07-27 2001-02-13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06118214A1 (ja) 2005-04-28 2006-11-09 Zuiko Corporation 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2071B (zh) 2019-06-28
AU2015248261B2 (en) 2019-01-24
WO2015159610A1 (ja) 2015-10-22
JP2015202178A (ja) 2015-11-16
CN106232071A (zh) 2016-12-14
AU2015248261A1 (en) 2016-11-24
MY181472A (en) 2020-12-23
JP5797295B1 (ja)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1214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947227B1 (ko) 일회용 기저귀
EP2976055B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EP3351222B1 (en) Disposable worn article
AU2015326011A1 (en) Disposable diaper
KR20150090098A (ko) 일회용 기저귀
KR102153151B1 (ko) 일회용 기저귀
JP5947610B2 (ja) 吸収性物品
JP5243638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55163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50063961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40122741A (ko)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WO2013147016A1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453251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00179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60144386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40092927A (ko) 일회용 기저귀
KR101735791B1 (ko) 일회용 기저귀
JP5140374B2 (ja) 吸収性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47548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50067087A (ko) 일회용 기저귀
JP6891453B2 (ja) 吸収性物品
JP2015198822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