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087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7087A KR20150067087A KR1020147031397A KR20147031397A KR20150067087A KR 20150067087 A KR20150067087 A KR 20150067087A KR 1020147031397 A KR1020147031397 A KR 1020147031397A KR 20147031397 A KR20147031397 A KR 20147031397A KR 20150067087 A KR20150067087 A KR 201500670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 stretchable
- waist region
- product
- width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2013/4903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round the target z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4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 A61F2013/49046—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being stretchable non-elastic panels at the cro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0)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연장되고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한 쌍의 다리 신축부(75)를 포함한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 다리 신축부(75)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D2)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에서 다리 신축부(75)의 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D1)보다 길다.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다.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앞 몸통둘레 영역에 파스닝 테이프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영유아에 주로 이용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고정용 파스닝 테이프가 마련된 소위 오픈형 일회용 기저귀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오픈형 일회용 기저귀의 공지된 구조에서는 파스닝 테이프의 선단부의 강성이 파스닝 테이프의 기단부의 강성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도 1).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개시한 일회용 기저귀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즉,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영유아가 신체를 움직이는 특정의 동작을 할 때, 일회용 기저귀가 하방으로 더 어긋나기 쉽다. 구체적으로는, 영유아가 신체를 구부리는 자세(앉는 자세)를 취할 때, 복부가 나온 영유아 특유의 체형도 같이 작용하여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에 부하가 더 걸리기 쉽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복부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 특히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높은 파스닝 테이프 및 파스닝 테이프가 부착된 타겟부가 압박되어,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의 신체 하방으로 더 어긋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 개시된 상황을 감안하여 달성된 것으로, 착용자(영유아)가 몸을 구부리는 자세를 취할 때도 어긋나기 어려운 일회용 기저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일회용 기저귀는, 앞 몸통둘레 영역, 뒤 몸통둘레 영역, 가랑이 영역,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한 제품 길이 방향,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 액유지성을 갖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체, 및 제품 폭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의 측연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을 포함한다. 파스닝 테이프는 상기 사이드 플랩의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 형성된 타겟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상기 사이드 플랩에 마련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에서 내측으로 오목하다. 한 쌍의 다리 신축부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신축 가능하다.
상기 다리 신축부의 각각은 상기 다리 신축부가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때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만곡되는 부분을 가진다.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의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상기 다리 신축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상기 다리 신축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다.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이격 거리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이격 거리보다 길다.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다리 신축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다.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하다.
즉, 다리 신축부는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의 방향으로 다리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 내측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되고(기저귀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해 볼록),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의 방향으로 다리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외측으로 만곡되고(기저귀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 다리 신축부의 내측 연부 사이의 제품 폭 방향에서의 거리는 앞 및 뒤 몸통둘레 영역 둘다에서보다 가랑이 영역에서 더 작고; 다리 신축부의 내측 연부 사이의 제품 폭 방향에서의 거리는 앞 몸통둘레 영역에서보다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 더 크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F1-F1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F2-F2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F1-F1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F2-F2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동일 또는 유사 부호가 사용된다. 도면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 제품과 상이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는 이하의 설명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 간에 있어서도, 각각의 치수 관계 또는 비율이 상이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F1-F1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F2-F2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1의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예컨대 톱시트(50) 및 사이드 플랩(70)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정도로 다리 신축부(75) 및 다리 사이드 개더(80)가 신장된 상태에 있는 도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둘레 영역(20), 가랑이 영역(25),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포함한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 몸통둘레(복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 몸통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 몸통둘레(등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영역(25)은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의 측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피트하도록 배치되는 부분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앞 몸통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 부르고, 상기 제품 길이 방향(L)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 부른다.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영역(25)을 가로지르고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40)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체(40)는 액유지성을 갖는 흡수성 코어(40a) 및 코어 랩(40b)으로 구성된다.
흡수성 코어(40a)는 분쇄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와 같은 재료 및 부재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상 코어 랩(40b)에 의해 감싸인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면측의 일부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의 부직포 또는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질량 약 10∼30 g/m2의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질량 약 10∼30 g/m2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폭이 좁은 폭협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크로치 신축부(200)가 마련되는 흡수성 코어(40a)의 부분이 폭협부에 해당한다.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에는 액투과성의 톱시트(50)가 마련된다. 또한,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에는 액불투과성의 백시트(60a)가 마련된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각각의 측연부에는 사이드 플랩(70)이 마련된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서로 중첩된 2장 이상의 부직포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에는,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볼록한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사이드 플랩(70) 각각에는 파스닝 테이프(90)가 마련된다.
파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고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며 앞 몸통둘레 영역의 타겟부(95)에 고정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파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양쪽 외측연으로 연장된다.
타겟부(95)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형성되고 한 쌍의 파스닝 테이프(90)가 거기에 각각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몸통둘레 유지부는 앞 몸통둘레 영역(20), 뒤 몸통둘레 영역(30) 및 파스닝 테이프(90)로 구성된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의 몸통둘레 유지부는 파스닝 테이프(90)의 계합 부재가 마련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에 해당한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에서의 몸통둘레 유지부는 타겟부(95)가 마련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에 해당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영역(25)의 흡수체에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크로치 신축부(200)를 포함한다. 크로치 신축부(200)의 구성은 상세히 후술한다.
흡수체(40)의 표면층(톱시트(50)측)은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주위에 형성된 한 쌍의 다리 신축부(75)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할 수 있다(즉, 신장 가능하고 수축 가능하다).
상기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상기 다리 신축부(75)는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으로 부분적으로 신축 가능하다.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더 길게 구성되고 제품 폭 방향(W)으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외측에 마련된다.
다리 신축부(75)는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충분하다. 이 목적을 위해, 다리 신축부가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거나, 또는 다리 신축부의 일부가 다리 둘레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또는 부분적으로 다리 둘레 개구부(35)에 대해 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리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는 부분에 해당하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생각될 수 있다. 다리 신축부(75)의 구성은 상세히 후술한다.
<다리측 개더>
또한, 한 쌍의 다리 신축부(75)의 내측에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중심에 가까이)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 사이드 개더(80)가 마련된다. 사이드 플랩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 마련되는 다리 사이드 개더(80)는 제품 폭 방향으로 다리 신축부 사이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즉, 한 쌍의 다리 사이드 개더는 사이드 플랩(70)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단부에서 상기 사이드 플랩(70)에 마련되므로 다리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으로) 기저귀의 내측을 향해 위치한다.
다리 사이드 개더(80)는 제품 폭 방향으로 다리 신축부(75) 사이에 배치된다. 다리 사이드 개더(80)는 사이드 플랩(70)과 상이한 시트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사이드 플랩(70)은 내측 단부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으로 톱시트측으로 되접어지고 이 접힘에 의해 형성된 2층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다. 즉, 각각의 사이드 플랩은 이의 내측에 접힌 단부를 가지며 이의 외측연이 아래로 접혀 이중층을 형성한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에서의 사이드 플랩(70)의 폭(W1)은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의 사이드 플랩(70)의 폭(W2)보다 작다. 또한, 접힌 부분에서 이 2층의 사이드 플랩(70) 사이에는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탄성 부재(71)(도 2 참조)가 마련된다. 이 사이드 플랩(70)과 탄성 부재(71)는 다리 사이드 개더(80)를 형성한다.
각각의 다리 사이드 개더(80)는 톱시트(50) 또는 백시트(60a)에 접합되는 접합 부분(81) 및 탄성 부재가 배치된 자유단 부분(82)을 가진다. 길이 방향으로 자유단 부분(82)의 중앙 부분은 탄성 부재(71)에 의해 제품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고 수축부(84)를 구성한다. 자유단 부분(82)의 중앙 부분은 가랑이 영역에 위치한다.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될 때, 각각의 다리 사이드 개더(80)는 접합 부분(81)을 기단부로 하여 기립하고 자유단 부분(82)의 수축부(84)는 정점부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즉, 접합 부분은 다리 사이드 신축부가 기립하는 기단부가 된다.
수축부(84)는 탄성 부재(71)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는 부분이며,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부분은 제외한다. 또한, 다리 사이드 개더에서 사이드 플랩(70)과 톱시트(50)(또는 백시트(60a) 등)가 함께 접합된 접합 부분(81)은 사선으로 표시되어 도 1에 도시된다.
복수의 접합 부분(81)이 마련되며, 여기서 제1 접합 부분(81A)은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접합 부분(81B)은 수축부(84)보다 제품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다리 사이드 개더(80)는 가랑이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이 착용자측을 향해 기립하도록 구성된다.
다리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1 접합 부분(81A)은 톱시트(50)에 접합된다.
다리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와 다리 신축부(75)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합 부분(81B)의 제품 길이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가 백시트(60a)(및 부분적으로 외장 시트(60))에 접합된다. 이로써, 다리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크로치 신축부(200)는 착용자의 가랑이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즉, 다리 신축부와 크로치 신축부 사이에 다리 사이드 개더(80)가 기립하는 지지점이 배치됨으로써 다리 사이드 개더(80)가 착용자의 신체와 이들 신축부의 사이에 말려들어가지 않고 다리 사이드 개더(80)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착용자를 향해 기립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샘 방지 기능을 마련할 수 있다.
다리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에는 여러 유형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접합 부분은 예컨대 기립의 기단부가 되도록 구성되고 제품 길이 방향으로 가랑이 부분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 연장되고 톱시트에 접합되는 부분이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40a)보다 폭 방향 외측에서 액불투과성 백시트 및 외장 시트에 접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다리 사이드 개더는 제품 폭 방향에서 다리 신축부 사이에 배치되는 기립성 개더이기만 하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 구성의 다리 사이드 개더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허리 둘레 신축부>
제품 폭 방향에서 한 쌍의 파스닝 테이프 사이에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마련된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폭 방향으로 파스닝 테이프 사이에서 신축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신축성 시트로 제조된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하는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가능한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으며 폭 감소가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 강성이 낮은 부재로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신체를 따라 구부러지기 쉬워 착용자의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고 신체를 따라 피트될 수 있다. 또한, 폭 감소가 작은 부재로 허리 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가 제품 폭 방향으로 신장된 경우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 방향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어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서 일회용 기저귀가 가랑이측을 향해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로서, 평량이 20∼45 g/m2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하였다.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서의 길이의 1.5∼2.5배로 신장된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에 의해 외장 시트(60)에 접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외장 시트(60)와 백시트(60a)의 사이에 배치된다(도 1 참조). 그러나,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코어 랩(40b)과 백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허리 둘레 신축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서, 허리 둘레 신축부는 사이드 플랩(70)과 백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허리 둘레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허리 둘레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치(110)>
뒤 몸통둘레 영역의 흡수체(40)에는, 흡수체의 다른 부위보다 평량이 낮거나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저강성 영역으로서 노치(110)가 마련된다. 노치(110)는 흡수체(40)의 뒤 몸통둘레 영역쪽 단부로부터 가랑이 영역쪽을 향해 서서히 제품 폭 방향 길이가 짧아진다. 즉, 노치는 제품 길이 방향으로 기저귀의 외측에 가장 가까운 단부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으로 기저귀의 내측에 가장 가까운 단부로 갈수록 줄어든다. 더 구체적으로, 노치(110)는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에서 쐐기 형상이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와 노치(110)의 경계는 제품 폭 방향(W)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과 같은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노치(110)보다 제품 폭 방향 외측에서 흡수체(40)는 뒤 몸통둘레 영역측의 단부를 향해 볼록한 형상과 같은 사다리꼴이다.
노치(110)의 일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에서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노치(110)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지만, 노치(110) 전체가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노치(110)을 형성함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신축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수축한 때에도, 노치(110)가 좁아져 노치(110)보다 제품 폭 방향 양측에서 흡수체의 각 측 사이의 공간도 좁아지기 때문에 흡수체(40)가 의도하지 않는 형상으로 융기하기 어려워진다. 노치(110)는 배설물의 샘 방지를 고려하면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 둘레 신축부(85)에 의해 흡수체(40)가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하여 노치(110)로부터 제품 폭 방향으로 흡수체의 각 측 사이의 공간도 좁아지면, 노치(110)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를 향한 부위가 가랑이 영역(25)을 향한 부위보다 제품 폭 방향(W) 내측으로 더 이동하므로, 뒤 몸통둘레 영역(30)측 부분과 가랑이 영역(25)을 향한 부위 간에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수축량의 차이가 발생하여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기립한다.
즉,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둘레 신축부(85)와 쐐기 형상의 노치(110)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시에 일회용 기저귀(10)가 피부 비접촉면측에서 팽윤하여 컵 형상을 형성하기 쉽다. 일회용 기저귀가 상기 언급한 컵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일부가 평면이 아닌 3차원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의 곡선을 추종하기 쉽다.
또한, 노치(110)에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고 노치(110)와 중첩되도록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를 향한 부위가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 위치보다 제품 폭 방향(W) 내측으로 더 이동하기 때문에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고 상기 언급된 컵 형상이 더 안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허리 둘레 신축부(85)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으로 측연을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가 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를 향하여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착용자의 신체에 적극적으로 추종할 수 있다. 또한, 허리 둘레 신축부(85) 및 저강성 영역(110)의 적어도 일부는 한 쌍의 파스닝 테이프(90)가 마련된 테이프 배치 영역(A1)에 존재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를 펼치고 착용자를 그 위에 눕힌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때도,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으로 측연을 넘어 존재하는 허리 둘레 신축부(85)가 착용자의 신체의 아래에 깔리지 않으며, 그 결과, 파스닝 테이프(90)를 잡아당김으로써 허리 둘레 신축부(85)의 측연이 신장하고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를 향한 컵 형상 부위가 더 확실히 착용자의 신체를 따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노치(110)보다 제품 폭 방향으로 외측의 흡수성 코어(40a)는 뒤 몸통둘레 영역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가 피부 비접촉면측에서 팽윤한 컵 형상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상기 언급한 사실 외에도, 흡수성 코어(40a)의 표면적이 유지되어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로부터의 배설물의 샘이 방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노치(110)는 쐐기 형상이며, 흡수성 코어(40a)와 노치(110) 사이의 경계는 가랑이 영역(25)을 향해 볼록한 형상과 같은 원호 형상이다. 원호의 반경은 50 mm 내지 200 mm이다. 따라서, 노치(11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폭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로 갈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므로,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져, 컵 형상이 더 안정하게 형성되기 쉽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와 노치(110) 사이의 경계가 가랑이 영역(25)을 향해 볼록한 형상과 같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노치(110)의 수축으로 인해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만곡된 컵 형상이 되므로 착용자의 만곡된 둔부를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다.
또한, 노치(110)의 형성으로 인해, 흡수체(40)의 뒤 몸통둘레 영역측의 단부에는 좌우 각각에 뒤 몸통둘레 영역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이 형성된다. 흡수체의 형상은 엉덩이를 얹는 것을 참고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저귀를 착용자에 있어 바른 위치로 더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데 효과적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굽힘 강성은 테이버(Taber)법(JISP8125)에 준거한 강성치에 기초하며 이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정하여 검토할 수 있다. 우선,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 상태로 하여 굽힘 강성 측정 대상 부분의 샘플(예컨대, 흡수체)을 채취한다. 샘플로서는, 샘플의 폭 방향 길이가 70 mm이고, 샘플의 제품 길이 방향 길이가 38 mm이다. 샘플에 신축 탄성 부재가 포함된 경우, 탄성 부재를 제거한다. 야스다 세이키 세이사쿠쇼 주식회사 제조의 테이버 강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강성치를 측정한다. 10개의 샘플을 취하여 각 샘플에 대하여 측정을 실시하고 평균값을 강성치로 한다.
측정 절차는 이하의 (a) 내지 (e)에 개시된 바와 같다.
(a) 채취한 샘플의 두께(A)를 측정한다.
(b) 이어서, 샘플이 시험기의 (하측) 척의 중심과 접촉하도록 샘플을 삽입한다.
(c) 지지 롤러와 샘플 사이의 총 좌우 간격을 (A)(샘플 두께) x 0.80(mm)로 조절한다.
(d) 지시 하중 스케일이 최대 스케일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 추를 적절히 선택한다.
(e) 샘플을 좌우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15도 지지 마킹선과 진자의 중심 마킹이 일치한 지점에서 멈추고, 시험기의 값을 읽는다. 스케일의 좌측의 수치를 (B)로 하고 스케일의 우측의 수치를 (C)로 한다.
강성치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한다:
식: 강성치(mN*m) = (((B)+(C))/2) x (보조추 계수) x 9.81 x 10-2
시험편에 대해 38 mm의 폭을 얻을 수 있는 경우, 38 mm 폭의 굽힘 모멘트로 환산한다.
38 mm 폭의 굽힘 모멘트로의 환산은 샘플 폭이 dmm인 조건에서 측정 결과에 38/d를 곱함으로써 할 수 있다. 두께는 OZAKI MFG. CO., LTD사 제조의 다이알 두께 게이지 PEACOC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직경 10 mm의 원에서 측정 단자로 6.0 gf/cm2의 하중을 갖도록 조절하였다.
이렇게 측정한 강성치가 높을수록 굽힘 강성이 높고, 측정치가 낮을수록 굽힘 강성이 낮다.
<파스닝 테이프 및 타겟부의 구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설치된다. 파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과 연결된 기재 시트(91), 및 상기 기재 시트(91)에 고정되고 복수의 계합 후크(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는 후크 시트(92)를 포함한다. 후크 시트(92)는 계합 부재가 마련된 영역이며 상술한 허리 둘레 유지부는 후크 시트(92)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후크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 구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후크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파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후크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점 형상, 선 형상 또는 나선 형상으로 간혈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또한 예컨대 열 밀봉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기재 시트(91)는 1층의 부직포 또는 서로 중첩된 2 이상 복수층의 부직포로 구성된다. 스펀본드(SB)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기재 시트(91)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량(또는 복수층인 경우 총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30∼120 g/m2, 더 바람직하게는 40∼90 g/m2이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90)의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으로 단위 길이당 굽힘 강성치는 바람직하게는 3.0 gf*cm2/c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 gf*cm2/cm 이하이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90)에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굽힘 강성치는 0.5 gf*cm2/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면적당 중량 또는 중첩 매수를 조절함으로써 파스닝 테이프(90)의 굽힘 강성치를 제어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의 굽힘 특성은 KATO TECH Co., Ltd사 제조의 KES 굽힘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B값(굽힘 강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KES법은 "촉감 평가의 표준화와 분석" 2권(일본 섬유 기계 학회 촉감 계량과 규격화 연구 위원회 1980년 7월 10일 발행)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각 기계적 특성의 측정 방법은 본 측정에 관련된 측정 조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굽힘 특성은 KATO TECH Co., Ltd사 제조의 KES-FB2를 이용하여 각 샘플을 척 사이에 고정하여 (기저귀에서 파스닝 테이프의 피부면측(내측)을 아래로 향하게 셋팅) 샘플을 최대 곡률+2.5 cm-1까지 표면측으로 굽히고, 샘플을 최대 곡률-2.5 cm-1까지 이면측으로 굽힌 후에 샘플을 원래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측정하였다.
이러한 유연한 굽힘 특성을 가짐으로써, 파스닝 테이프(90)가 신체 형상에 잘 추종하므로, 일회용 기저귀(10)가 복부측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다리 신축부(75)가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부로부터 다리 둘레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는 것과 같이 작용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어긋남이 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타겟부(95)는 앞 몸통둘레 영역의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마련된다. 파스닝 테이프의 계합 후크가 걸리도록 구성된 타겟부(95)는 후크-루프 파스닝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타겟부로서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 제조된 섬유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타겟부(95)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에 마련된 루프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엠보싱 처리하여 부직포의 표면의 보풀을 방지한 벌크 부직포를 타겟부(95)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겟부는 일회용 기저귀의 외장 시트(60)를 부직포로 형성한 다음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파스닝 테이프(90)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도안을 인쇄하거나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도안을 갖는 시트를 배치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2) 다리 신축부
다리 신축부(75)는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 외측에 마련된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으로 다리 신축부(75)의 최내 위치를 규정하고 가랑이 영역에 있는 폭 방향 내단 영역(75I)을 갖는다. 즉, 각각의 다리 신축부(75)에서 최내부(75I), 즉, 제품 폭 방향으로 기저귀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부분은 가랑이 영역(25)에 위치한다. 다리 둘레 개구부(35)와 다리 신축부(75)가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다리 신축부(75)는 특히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다리 신축부(75)의 폭 방향 내단 영역(75I)은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거나 제품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폭 방향 최내 영역은 가랑이 영역에 있으며 다리 신축부(75)의 폭 방향 내단 영역(75I)에 일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폭 방향 최내 영역은 다리 신축부(75)의 폭 방향 내단 영역(75I)에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다리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로 구성된다. 예컨대 우레탄 및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한 다음 필름 형상으로 하여 형성한 신축성 필름, 신축성 섬유로부터 형성한 신축성 부직포, 또는 부분적으로 신축성 필름 및 신축성 부직포로 절단되거나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함께 붙여 형성한 복합 시트가 신축성 시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및 천연 고무로 제조된 실형 또는 띠형 탄성 부재를 하나 또는 복수 배치하여 다리 신축부(75)를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다리 신축부(75)는 파스닝 테이프(90)를 타겟부(95)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 다리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일단부(75a)와 다리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타단부(75b)가 중첩되도록 구성된다(도 4 참조). 타겟부(95)의 소정 위치란 한 쌍의 파스닝 테이프(90)가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파스닝 테이프(90)가 타겟부(95)에 부착되는 각각의 부착 위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부착 위치를 기준 위치로서 함으로써, 신체로부터의 간극 또는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운 (영유아와 같은) 체형이 작은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10)가 적합하게 피트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가 이러한 체형이 작은 착용자에게 적합하게 피트될 수 있으면,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이점인 사이즈(몸통둘레) 조정 기능에 의해 체형이 큰 착용자에게도 적합하게 피트될 수 있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90)를 타겟부(95)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 파스닝 테이프(90)가 존재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 다리 신축부(75), 및 타겟부(95)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즉, 파스닝 테이프(90)를 타겟부(95)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 파스닝 테이프(90)가 존재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 다리 신축부(75), 및 타겟부(95)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파스닝 테이프(90)가 존재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이란 사이드 플랩(70)과 기재 시트(91)가 중첩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도 1 참조).
도 4는 타겟부(95)가 소정 위치로 잠긴 상태가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된 상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다리 신축부(75)는 사이드 플랩(70)과 외장 시트(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의 사이에 배치되는 백시트(60a)가 마련되는 영역에서, 다리 신축부(75)는 백시트(60a)와 사이드 플랩(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리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25)에서 5 mm(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폭) 이상 45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5 mm 이상 35 mm 이하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이 5 mm 미만이면, 부분적으로 조이는 힘이 집중되지 않도록 착용자의 다리 둘레 영역을 따라 다리 신축부의 면의 형태로 실질적으로 추종에 의해 달성되는 탄성 부재에 의한 피부에의 부하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다, 폭이 45 mm를 초과하면, 일회용 기저귀 전체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와 비교하여 다리 둘레 영역을 따른 영역이 지나치게 넓어져 신축성 시트가 착용자의 신체측에 말려들어가거나 뒤집힐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시한 치수는 신화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측정 테이프(테이프: 유리 섬유 함유 폴리염화비닐 코팅)를 측정 타겟 영역을 따라 두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개의 샘플을 치수 측정하였고 상기 개시된 치수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다.
다리 신축부(75)의 신장율은 바람직하게는 1.5배 내지 2.2배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다리 신축부(75)의 신장율은 1.8∼2.0배로 설정된다. 다리 신축부(75)의 신장율은 아래 개시된 바와 같이 측정한다. 다리 신축부(75)의 신장율이란 다리 신축부(75)의 신축의 정도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다리 신축부(75)의 신장율 = (신장 상태의 다리 신축부(75)의 길이)/(자연 상태의 다리 신축부(75)의 길이)
다리 신축부(75)의 신장율은 아래 개시한 바와 같이 측정한다.
먼저,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 일회용 기저귀(10)를 패키지에서 꺼낸다. 이어서, 다리 신축부(75)의 배치 영역을 잘라낸다.
이 때, 다리 신축부(75)에 접합되는 외장 시트도 포함하여 절단한다. 절단 후 다리 신축부를 포함하는 샘플의 신장율을 측정하고 다리 신축부의 신장율을 계산한다.
이러한 샘플을 20℃±2℃의 온도 및 60% RH±5% RH의 상대 습도를 갖는 분위기하에서 60분간 유지하고 신장 방향을 따라 다리 신축부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는 "자연 상태의 다리 신축부의 길이"이다.
두번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의 소정 영역의 신장 방향으로의 길이, 및 일회용 기저귀가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이 비신축성 시트 상에서 눈으로 보이지 않을 때까지 신장될 때 소정 영역의 신장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는 "신장 상태에서의 다리 신축부의 길이"이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고 상기 개시한 식에 따라 계산하여 신장율을 측정한다.
또한, 제품 폭 방향(W)으로 좌우 한 쌍의 다리 신축부(75)의 내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격 거리(D))은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을 향해 넓어지고, 또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해 넓어진다.
즉, 상기 쌍의 다리 신축부(75) 중, 제품 폭 방향(W)으로 다리 신축부(75) 사이의 이격 거리(D)는 다리 신축부가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길어진다. 또한, 각각의 다리 신축부(75)는 다리 신축부가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품 폭 방향(W) 외측으로 구부러진 부분(75w)을 갖는다.
착용자의 신체에 기저귀를 장착할 때,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서 좁고 착용자의 앞뒤 몸통둘레를 향해 넓어지는 형상으로 다리 신축부를 배치하는 경우, 다리 신축부가 신체의 라인을 따라 더 밀착할 수 있고 다리 신축부가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적합하게 피트하도록 신장 배치된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제품 폭 방향(W)으로 가랑이 영역(25)에서 다리 신축부(75) 사이의 이격 거리(D)는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 다리 신축부(75) 사이의 이격 거리(D)보다 작다. 또한,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의 이격 거리(D)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에서의 이격 거리(D)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앞 몸통둘레 영역(20)에서 다리 신축부(75)의 내측 단부 사이의 간격(도 1에서 D1)은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 다리 신축부(75)의 내측 단부 사이의 간격(도 1에서 D2)보다 좁다.
즉,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마련된 다리 신축부(75)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에 마련된 다리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W)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간격은 일회용 기저귀(10)를 자연 상태로부터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장시키고 유지한 후 측정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다리 신축부(75)의 내측 단부 사이의 거리이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D2>D1이라는 상승 효과로 인하여, 파스닝 테이프(90)를 타겟부(95)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 다리 신축부(75)의 일단부(75a)는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파스닝 테이프(90)의 기단부(90a)와 타겟부(9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외측단(95a)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격 거리(D)가 가장 작은 다리 신축부(75)의 부분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흡수성 코어(40a)의 폭협 부분(크로치 신축부(200)가 마련된 부분)과 중첩된다.
착용자의 신체의 피부 표면의 연신은 둔부에서 특히 크고 그 폭 방향 외측을 향한 위치에서 현저하다. 또한, 다리 신축부(75)는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한다. D2>D1이므로, 착용자의 움직임이 일회용 기저귀(10)에 전달되는 때에도, 둔부에서의 다리 신축부(75)가 신체와 접촉한 채로 연신될 수 있고, 연신 변화량이 큰 때에도, 다리 신축부(75)가 뻣뻣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다리 신축부(75)에 의해서 일회용 기저귀(10)의 어긋남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다리 사이의 공간은 가랑이 영역에서 가장 작고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복부측 또는 등측으로 갈수록 확장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 및 다리 신축부가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신됨에 따라 다리 둘레 개구부 및 다리 신축부(75)가 폭 방향 외측으로 연신되도록 형성되므로, 응력의 국소적 집중이 방지되도록 다리 둘레 개구부 및 다리 신축부(75)가 착용자의 다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어, 비교적 낮은 신장율에서 착용자와 밀착할 수 있음으로써, 피부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리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구부러짐으로써 일회용 기저귀를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다리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는 폭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배치되고 몸통둘레 유지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다리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각각의 단부는 몸통둘레 유지부와 함께 폭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중앙선(CT)을 전술한 이격 거리(D)가 가장 작은, 즉, 한 쌍의 다리 신축부(75)의 간격이 가장 작은 위치를 통과하고 제품 폭 방향(W)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으로 설정한 경우, 중앙선(CT)과 다리 신축부(75)의 파스닝 테이프(90)측에 위치한 일단부(75a) 사이의 길이(L2)는 중앙선(CT)과 다리 신축부(75)의 타겟부(95)측에 위치한 타단부(75b) 사이의 길이(L1)보다 크거나(L2>L1) 또는 같게(L2=L1) 설정된다. 또한,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이격 거리는 D2>D1이도록 설정되므로, 일회용 기저귀(10)가 장착될 때, 다리 신축부(75)의 타단부(75b)는 복부측(앞 몸통둘레 영역(20)측)의 다리 신축부(75)의 일단부(75a)를 가로질러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단(35a)을 향해, 즉, 복부측을 향해 돌출한다. 따라서, 다리 신축부(75)에 의해, 착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부하가 가장 인가되기 쉬운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길이 방향(L) 외측단(35a)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리 신축부(75)의 중앙선(CT)에 대하여 등측(뒤 몸통둘레 영역(30)측) 및 복부측 간에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다리 신축부(75)의 곡률 반경(R)을 비교한 경우, 등측의 곡률 반경이 복부측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예컨대, 복부측의 곡률 반경(R)은 250∼320 mm일 수 있는 반면, 등측의 곡률 반경(R)은 400∼470 mm일 수 있다. 또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불록한 반면,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하다.
따라서, 등측, 즉, 착용자의 둔부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다리 신축부(75)가 제품 폭 방향(W) 외측으로 더 돌출하므로, 신체의 불룩한 부위인 둔부가 넓게 커버될 수 있고 다리 신축부(75)가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길이 방향(L) 외측단까지 돌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 신축부(75)에 의해, 착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부하가 가장 인가되기 쉬운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길이 방향(L) 외측단의 어긋남이 억제될 수 있다.
(3) 크로치 신축부의 형상
이어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는 크로치 신축부(200)를 포함한다. 일회용 기저귀가 장착될 때, 크로치 신축부(200)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가랑이 영역의 일부에서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기 쉽도록 구성된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 또는 제품 폭 방향(W)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다리 신축부(75)와 별개로 독립하여 마련되며, 크로치 신축부가 흡수성 코어(40a)와 중첩되는 위치(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흡수성 코어(40a)를 감싸는 코어 랩(40b)과 백시트(60a) 사이의 위치)에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60% 이상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분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되고,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되지 않는 부분과 비교하여 평탄한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가랑이 영역(25)이 신체의 형상을 추종하므로, 일회용 기저귀(10)가 어긋나기 어렵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10)가 배설물을 흡수할 때 가랑이 영역(25)이 무거워지거나 흡수성 코어(40a)가 두꺼워지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이 신체의 형상을 추종하기 쉬우므로, 일회용 기저귀(10)의 어긋남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보다 제품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가 파스닝 테이프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 및 허리 둘레에 유지될 때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25)에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크로치 신축부(200)는 과도하게 신체에 밀착하지 않으므로 신체를 따라 적합하게 배치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가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경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쉽다. 일회용 기저귀가 장착될 때,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신체를 따라 평탄한 가랑이 영역이 형성된다.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은 크로치 신축부(200)로부터 기립하므로, 착용자에 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피트성이 개선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으로 인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배치되도록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안정하게 장착될 수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바람직하게는는 신축성 시트로 제조된다.
크로치 신축부(200)가 신축성 시트로 구성되고, 신축성 시트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흡수성 코어(40a)가 균일하게 수축하므로, 평탄한 형상이 더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신축성 시트로서는 다리 신축부(75)의 신축성 시트와 유사한 신축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시트 대신, 크로치 신축부(200)는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및 천연 고무로 제조된 복수의 실형 또는 띠형 탄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한 흡수성 코어(40a)의 균일한 수축을 위하여, 탄성 부재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7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를 균일하게 수축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탄성 부재 사이의 간격의 차는 2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율은 구체적으로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율은 1.4배로 설정된다.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율은 신축 방향(제품 길이 방향(L))으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정도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율 = (최대 신장 상태에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길이)/(자연 상태에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길이)
여기서 사용되는 신장율은 예컨대 아래 개시한 바와 같이 측정한다.
먼저,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 일회용 기저귀(10)를 패키지에서 꺼내고, 기저귀를 20℃±2℃의 온도 및 60% RH±5% RH의 상대 습도를 갖는 조건에서 60분간 유지하고 신장 방향을 따라 크로치 신축부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는 "자연 상태에서 신장 방향으로의 크로스 신축부(200)의 길이"이다.
두번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 오픈형 일회용 기저귀의 소정 영역의 신장 방향으로의 길이, 및 오픈형 일회용 기저귀가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이 눈에 보이지 않을 때까지 신장될 때 소정 영역의 신장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는 "최대 신장 상태에서 신장 방향으로 크로치 신축부(200)의 길이"이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고 상기 개시한 식에 따라 계산하여 신장율을 측정한다.
이렇게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율을 1.2∼1.8배로 설정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의 신장을 유리하게 추종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신체 앞측이 수축하도록 앞으로 구부릴 때, 신체가 연신된 상태에 비하여 착용자의 둔부측 피부에 약 30% 신장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율이 1.2배 이하이면,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이 불충분할 수 있고, 크로치 신축부(200)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크로치에서 흡수체 영역의 수축이 작아,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평탄한 형상을 충분히 취하여 신체를 추종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장율이 1.8배를 초과하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 방향으로의 수축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크로치 신축부(200)가 존재하는 영역이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기 보다 착용자의 신체와 밀착하기 쉬워,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하방으로 어긋나기 쉬울 수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으로의 수축량이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으로의 길이의 2∼8%가 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수축량은 샘플의 표면이 거의 평활하게 되도록 주름 수가 감소된 신장 상태에서의 샘플의 길이 "b(mm)"와 샘플의 신축 방향으로 배향된 자연 상태에서의 샘플의 길이 "a(mm)" 사이의 차이며, 수축량은 (b-a)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의 측정은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따라 자를 놓아 신화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 자(유리 섬유로 보강된 염화비닐로 코팅된 테이프 자)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로 설정하는 경우,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장착하는 과정에서, 크로치 신축부(200)가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적합하게 연장되기 쉽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8%보다 크게 하는 경우, 크로치 신축부(200)가 지나치게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가 불충분하여,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하기 어렵거나 일회용 기저귀(10) 및 착용자의 신체가 가랑이 영역(25)에서 과도하게 밀착하여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2%보다 작게 하는 경우, 크로치 신축부(200)가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접근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200x)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10x)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쪽에 배치된다. 그러나,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즉,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의 두께 및 탄성 부재의 배치 피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일회용 기저귀(10)의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했을 때,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전체 측연부가 수축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다리 신축부(75)의 구조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에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외측단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에 더하여, 착용시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외측단에 대한 부하가 크로치 신축부(200)로 인해 감소하여 흡수성 코어(40a)의 크로치부가 신체의 형상을 추종하는데, 이것은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하중이 파스닝 테이프(90)에 인가되는 상황을 완화한다. 이것은 특히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근방에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어긋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노치(115)(노치(125))는 흡수체(40)의 가랑이 영역에 형성된다. 노치(115) 및 노치(125)는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대응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노치(115) 및 노치(125)는 흡수성 코어(40a)의 평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의 평량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노치(115) 및 노치(125)를 형성하는 대신, 노치(115) 및 노치(125)의 영역은 흡수성 코어(40a)의 평량이 흡수성 코어(40a)의 다른 부분의 평량보다 낮도록 할 수 있다.
노치(115) 및 노치(125)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부를 따라 존재한다. 노치(115) 및 노치(125)가 형성될지라도,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가랑이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기보다 특히 폭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115) 및 노치(125)가 제품 폭 방향(W) 외측으로 갈수록, 제품 길이 방향(L)으로 노치(115) 및 노치(125)의 길이가 넓어진다. 이러한 형상의 결과,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 외측이 더 용이하게 수축되어, 평탄한 "저부"가 더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노치(115)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을 향해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노치(125)보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해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저부"로부터 기립하고, 착용자의 신체(복부 및 둔부)의 곡선을 따라 용이하게 만곡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의 형상이 착용자의 신체에 더 근접할 수 있다.
또한, 노치(115)(노치(125))의 앞 몸통둘레 영역(20)(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한 연부는 원호형일 수 있다. 노치(115)(노치(125))의 연부의 형상은 원호의 중심이 연부보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앞 몸통둘레 영역(20))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착용자의 신체의 곡선을 따른 변형이 더 용이하고 현저하게 일어난다.
(4)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이어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설명한다. 본원에 설명되지 않은 방법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제조 방법은 예일 뿐이며, 다른 제조 방법으로도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부품 형성 단계, 부품 재치(載置) 단계, 다래 둘레 개구 형성 단계 및 절단 단계를 포함한다.
부품 형성 단계에서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부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흡수 재료를 적층하고 흡수체(40)를 성형한다.
부품 재치 단계에서는, 백시트를 구성하는 웹 상에, 다리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 톱시트를 구성하는 웹과 같은 다른 웹, 샘 방지 시트, 흡수체 등과 같은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부품을 재치한다.
구체적으로, 다리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를 신장시키고, 이것을 폭 방향으로 변위시키면서 간헐 드럼 상으로 옮기긴 후, 간헐 드럼 상에서 개개의 제품 길이로 신축성 시트를 절단한다. 간헐 드럼의 회전에 따라 신축성 시트를 간격을 두고 이격시키고 연속 웹 상으로 옮긴다. 이렇게 해서, 다리 신축부를 곡선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리 둘래 개구부 형성 단계에서는, 톱시트(50), 외장 시트(60) 및 백시트(60a)를 다리 신축부(75)의 폭 방향 외측단을 따라 절단한다. 이렇게 해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절단 단계에서는, 톱시트(50), 백시트(60a) 및 흡수체(40)가 배치된 연속체를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한 제품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렇게 해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제조된다.
(5) 작용 및 효과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영유아)에 의해 착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에서, 파스닝 테이프(90)가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타겟부(95)에 부착되었을 때,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사이드 플랩(70)의 부분이 앞 몸통둘레 영역(20)에 중첩된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측복부 부분을 가로질러 복부측에 가까운 위치까지 도달하고 타겟부(95)에 부착된다.
착용자의 다리는 신체 측부로부터가 아니라 신체 측부보다 복부에 더 가까운 몸통둘레 부분으로부터 튀어나오기 때문에, 측부보다 앞에 좀 더 가까운 위치에 다리 개구를 형성하고 단면 형상이 원형인 다리 개구 영역을 따라 탄성 부재를 환형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다리 신축부(75)는 이것이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구부러지는 부분을 가지며,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W) 외측으로 볼록한 반면,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W) 내측으로 볼록하다. 또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반면,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75)는 제품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하다. 도 1은 다리 신축부(75)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볼록형인 부분(751) 및 다리 신축부(75)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형인 부분(752)을 나타낸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해 형성되는 착용자의 둔부로부터 착용자의 가랑이부 및 착용자의 서혜부로 연장되는 선은 측부보다 앞쪽에 더 가까이 위치한 다리 개구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리 둘레 개구부(35)는 타겟부(95)에 파스닝 테이프(90)가 부착할 때 복부측을 향해 개구되어 그 형상이 신체 형상에 더 적합하게 된다.
또한,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의 이격 거리(D2)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에서의 이격 거리(D1)보다 크다. 따라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연장되고 구부러지는 다리 신축부(75)는 파스닝 테이프(90)가 타겟부(95)에 부착될 때 타단부(75b)가 일단부(75a)를 덮어, 착용자의 복부측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된다.
그 결과,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이는 경우, 특히 착용자가 신체를 구부리는 자세(앉는 자세)를 취하여 둔부의 정상부로부터 대퇴부의 기저까지의 부위의 피부가 신장되고 일회용 기저귀(10)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이 복부의 나온 부분과 밀착하는 경우에도 그 형상이 신체의 형상에 더 적합해진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시트가 돌출하지 않아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90)를 타겟부(95)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 다리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일단부(75a)가 다리 신축부(75)의 타단부(75b)에 중첩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영유아에 의해 착용될 때, 각각의 다리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각각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원형 신축부를 형성한다. 또한, 다리 신축부(75)의 일단부(75a) 및 타단부(75b)가 타겟부(95)에 부착된 파스닝 테이프(90)에 의해 서로 밀착하게 되어, 잘 풀어지지 않는 강한 원형의 신축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원형 다리 신축부(75)가 착용자의 다리를 따라 피트하여, 착용자가 신체를 구부리는 자세(앉는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도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의 아래로 어긋나기 어렵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중앙선(CT)과 다리 신축부(75)의 파스닝 테이프(90)측에 위치한 일단부(75a) 사이의 길이(L2)는 중앙선(CT)과 다리 신축부(75)의 타겟부(95)측에 위치한 타단부(75b) 사이의 길이(L1)보다 크다. 다리 둘레 개구부(35)는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 내측으로 볼록하므로 만곡되고 이런 식으로 만곡된 다리 신축부(75) 및 L2>L1인 것으로 인해, 다리 신축부(75)가 착용자의 둥근 다리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이격 거리는 D2>D1으로 설정되므로, 다리 신축부(75)는 착용자의 움직임과 관련된 부하가 가장 인가되기 쉬운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길이 방향(L) 외측단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리 신축부(75)는 타겟부(95)보다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으로 돌출하므로, 타겟부(95)측의 다리 신축부(75)가 사이드 플랩(70)에 중첩되고/중첩되거나 파스닝 테이프(90)측의 다리 신축부(75)가 사이드 플랩(70)에 중첩됨으로써, 착용자의 다리의 전체 영역과 밀착한다. 또한, L2>L1이므로, 볼록한 둔부 둘레를 덮도록 타겟부(95)측의 다리 신축부(75)가 덮이므로, 다리 신축부(75)가 착용자의 다리의 전체 영역과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아래로 움직이려는 힘에 대항할 수 있어, 일회용 기저귀(10)가 다리 신축부(75) 및 다리 신축부(75)의 주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파스닝 테이프(90)가 타겟부(95)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파스닝 테이프(90)가 존재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 다리 신축부(75) 및 타겟부(95)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의 하방으로 이동하기 어려우나, 다리 신축부(75)가 파스닝 테이프(90)가 존재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 또는 타겟부(95)와 중첩되면, 이 중첩된 영역에서 종방향으로 수축이 발생하므로, 신체를 둘레 방향으로 유지하기 위한 이들 요소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앞 몸통둘레 영역(20)에서의 사이드 플랩(70)의 폭(W1)은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의 사이드 플랩(70)의 폭(W2)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전술한 측부보다 앞에 좀 더 가까운 위치에서 다리 개구가 형성되기 쉽다.
(6) 다른 실시형태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몇가지 실시형태를 개시하였으나, 본 개시의 논술 및 도면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맥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개시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마련된 다리 신축부(75)가 앞 몸통둘레 영역(20)에 마련된 다리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W)으로 외측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개시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이격 거리(D)는 다리 신축부가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길어진다. 그러나, 이격 거리(D)가 반드시 이런 식으로 변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90)가 타겟부(95)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파스닝 테이프(90)가 존재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 다리 신축부(75) 및 타겟부(95)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개시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선(CT)과 다리 신축부(75)의 파스닝 테이프(90)측에 위치한 일단부(75a) 사이의 길이(L2)는 중앙선(CT)과 다리 신축부(75)의 타겟부(95)측에 위치한 타단부(75b) 사이의 길이(L1)보다 크다(L2>L1). 그러나, 이러한 형상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여러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한다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일본 특허 출원 2012-218716호(2012년 9월 28일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착용자(영유아)가 신체를 구부리는 자세를 취할 때에도 어긋나기 어려운 일회용 기저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앞 몸통둘레 영역;
뒤 몸통둘레 영역;
가랑이 영역;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한 제품 길이 방향;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
액유지성을 갖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체;
제품 폭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의 측연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
상기 사이드 플랩의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 형성된 타겟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파스닝 테이프;
상기 사이드 플랩에 마련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 및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신축 가능한 한 쌍의 다리 신축부
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신축부의 각각은 상기 다리 신축부가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때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만곡되는 부분을 갖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상기 다리 신축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상기 다리 신축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고;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이격 거리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이격 거리보다 길고;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다리 신축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형으로 배치되는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기저귀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이하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상기 타겟부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신축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상기 다리 신축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 상에 중첩된다.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상기 타겟부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신축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는,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파스닝 테이프의 기단부와 상기 타겟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단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i) 상기 이격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제품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앙선과 (ii) 상기 다리 신축부의 파스닝 테이프측에 위치하는 일단부 사이의 길이는 (a) 상기 중앙선과 (b) 상기 다리 신축부의 타겟부측에 위치하는 타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상기 소정 위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존재하는 상기 사이드 플랩의 영역, 상기 다리 신축부, 및 상기 타겟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가랑이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좁은 폭협 부분을 갖고;
상기 다리 신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장 짧은 상기 다리 신축부의 부분은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폭협 부분 상에 중첩된다.
상기 다리 신축부는 신축성 시트로 제조되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의 다리 신축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5 mm 이상 45 mm 이하이다.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폭은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폭보다 좁다.
상기 가랑이 영역에 마련되고 제품 길이 방향 또는 제품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다리 신축부와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흡수성 코어 상에 중첩된다.
10 ... 일회용 기저귀
20 ... 앞 몸통둘레 영역
25 ... 가랑이 영역
30 ... 뒤 몸통둘레 영역
35 ... 다리 둘레 개구부
40 ... 흡수체
40a ... 흡수성 코어
40b ... 코어 랩
50 ... 톱시트
60 ... 외장 시트
60a ... 백시트
70 ... 사이드 플랩
71 ... 탄성 부재
75 ... 다리 신축부
75a ... 일단부
75b ... 타단부
75I ... 폭 방향 내측 단부 영역
80 ... 다리 사이드 개더
81 ... 접합 부분
81A ... 제1 접합 부분
81B ... 제2 접합 부분
82 ... 자유단 부분
84 ... 수축부
85 ... 허리 둘레 신축부
90 ... 파스닝 테이프
91 ... 기재 시트
92 ... 후크 시트
95 ... 타겟부
110, 115, 125 ... 노치
200 ... 크로치 신축부
20 ... 앞 몸통둘레 영역
25 ... 가랑이 영역
30 ... 뒤 몸통둘레 영역
35 ... 다리 둘레 개구부
40 ... 흡수체
40a ... 흡수성 코어
40b ... 코어 랩
50 ... 톱시트
60 ... 외장 시트
60a ... 백시트
70 ... 사이드 플랩
71 ... 탄성 부재
75 ... 다리 신축부
75a ... 일단부
75b ... 타단부
75I ... 폭 방향 내측 단부 영역
80 ... 다리 사이드 개더
81 ... 접합 부분
81A ... 제1 접합 부분
81B ... 제2 접합 부분
82 ... 자유단 부분
84 ... 수축부
85 ... 허리 둘레 신축부
90 ... 파스닝 테이프
91 ... 기재 시트
92 ... 후크 시트
95 ... 타겟부
110, 115, 125 ... 노치
200 ... 크로치 신축부
Claims (8)
- 앞 몸통둘레 영역;
뒤 몸통둘레 영역;
가랑이 영역;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한 제품 길이 방향;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
액유지성을 갖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체;
제품 폭 방향에서 상기 흡수체의 측연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
상기 사이드 플랩의 각각에 마련되고,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 형성된 타겟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파스닝 테이프;
상기 사이드 플랩에 마련되고 상기 제품 폭 방향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 및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신축 가능한 한 쌍의 다리 신축부
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신축부의 각각은 상기 다리 신축부가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때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만곡되는 부분을 갖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상기 다리 신축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상기 다리 신축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고;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이격 거리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이격 거리보다 길고;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다리 신축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다리 신축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한 일회용 기저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상기 타겟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신축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상기 다리 신축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 상에 중첩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상기 타겟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다리 신축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는,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파스닝 테이프의 기단부와 상기 타겟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단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i) 상기 이격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제품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앙선과 (ii) 상기 다리 신축부의 파스닝 테이프측에 위치하는 일단부 사이의 길이는 (a) 상기 중앙선과 (b) 상기 다리 신축부의 타겟부측에 위치하는 타단부 사이의 길이보다 긴 것인 일회용 기저귀.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상기 타겟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스닝 테이프가 존재하는 상기 사이드 플랩의 영역, 상기 다리 신축부, 및 상기 타겟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좁은 폭협 부분을 갖고;
상기 다리 신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장 짧은 상기 다리 신축부의 부분은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폭협 부분 상에 중첩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신축부는 신축성 시트로 제조되고;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의 다리 신축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서 5 mm 이상 45 mm 이하인 것인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폭은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폭보다 좁은 것인 일회용 기저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 마련되고 제품 길이 방향 또는 제품 폭 방향 중 한쪽 또는 양쪽을 따라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다리 신축부와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평면도로 보았을 때 상기 흡수성 코어에 중첩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18716A JP5291231B1 (ja) | 2012-09-28 | 2012-09-28 | 使い捨ておむつ |
JPJP-P-2012-218716 | 2012-09-28 | ||
PCT/JP2013/005767 WO2014050137A1 (en) | 2012-09-28 | 2013-09-27 | Disposable diap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7087A true KR20150067087A (ko) | 2015-06-17 |
KR102108254B1 KR102108254B1 (ko) | 2020-05-11 |
Family
ID=4939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1397A KR102108254B1 (ko) | 2012-09-28 | 2013-09-27 | 일회용 기저귀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9974696B2 (ko) |
EP (1) | EP2900190B1 (ko) |
JP (1) | JP5291231B1 (ko) |
KR (1) | KR102108254B1 (ko) |
CN (1) | CN104602656B (ko) |
AR (1) | AR092705A1 (ko) |
AU (1) | AU2013321824B2 (ko) |
IN (1) | IN2015DN00758A (ko) |
TW (1) | TWI581776B (ko) |
WO (1) | WO201405013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91214B1 (ja) * | 2012-03-30 | 2013-09-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57301A (ja) * | 1983-02-18 | 1984-09-06 | ジヨンソン・アンド・ジヨンソン・ベイビ−・プロダクツ・カンパニ− | 人体適合性および液体保持性を改善した使い捨ておしめ |
JPH10211236A (ja) * | 1996-11-29 | 1998-08-11 | Kao Corp | 使い捨ておむつ |
KR100234459B1 (ko) * | 1994-09-21 | 1999-12-15 | 데이비드 엠 모이어 | 굴곡된 차단 커프스를 갖는 흡수제품 |
JP2004057413A (ja) * | 2002-07-26 | 2004-02-26 | Kao Corp | 立位での装着が容易なおむつ |
KR20050007159A (ko) | 2003-07-09 | 2005-01-17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발광형 표시 장치 |
JP2010119463A (ja) * | 2008-11-17 | 2010-06-03 | Kao Corp |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0131196A (ja) * | 2008-12-04 | 2010-06-17 | Kao Corp | 使い捨ておむつ |
JP2010279813A (ja) * | 2010-09-27 | 2010-12-16 | Kao Corp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X9600133A (es) * | 1995-12-04 | 1997-06-28 | Kimberly Clark Co | Articulo absorbente con margenes elasticos y sistema de contencion mejorados. |
CA2166008A1 (en) * | 1995-12-18 | 1997-06-19 | Daniel Richard Laux |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elastic margins and containment system |
US20040059309A1 (en) * | 2002-09-18 | 2004-03-25 | Nortman Brian Keith | Absorbent article with untreated hydrophobic target area |
JP4359534B2 (ja) | 2003-05-27 | 2009-11-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着用物品 |
WO2006118214A1 (ja) * | 2005-04-28 | 2006-11-09 | Zuiko Corporation | 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
TWI501757B (zh) * | 2008-12-24 | 2015-10-01 | Kao Corp | Wearing artic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
-
2012
- 2012-09-28 JP JP2012218716A patent/JP5291231B1/ja active Active
-
2013
- 2013-09-27 AU AU2013321824A patent/AU2013321824B2/en not_active Ceased
- 2013-09-27 WO PCT/JP2013/005767 patent/WO201405013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9-27 US US14/431,773 patent/US9974696B2/en active Active
- 2013-09-27 AR ARP130103478A patent/AR092705A1/es active IP Right Grant
- 2013-09-27 KR KR1020147031397A patent/KR1021082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9-27 EP EP13840984.2A patent/EP2900190B1/en active Active
- 2013-09-27 CN CN201380044750.2A patent/CN104602656B/zh active Active
- 2013-09-27 TW TW102135074A patent/TWI581776B/zh active
-
2015
- 2015-01-30 IN IN758DEN2015 patent/IN2015DN00758A/en unknow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57301A (ja) * | 1983-02-18 | 1984-09-06 | ジヨンソン・アンド・ジヨンソン・ベイビ−・プロダクツ・カンパニ− | 人体適合性および液体保持性を改善した使い捨ておしめ |
KR100234459B1 (ko) * | 1994-09-21 | 1999-12-15 | 데이비드 엠 모이어 | 굴곡된 차단 커프스를 갖는 흡수제품 |
JPH10211236A (ja) * | 1996-11-29 | 1998-08-11 | Kao Corp | 使い捨ておむつ |
JP2004057413A (ja) * | 2002-07-26 | 2004-02-26 | Kao Corp | 立位での装着が容易なおむつ |
KR20050007159A (ko) | 2003-07-09 | 2005-01-17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발광형 표시 장치 |
JP2010119463A (ja) * | 2008-11-17 | 2010-06-03 | Kao Corp |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0131196A (ja) * | 2008-12-04 | 2010-06-17 | Kao Corp | 使い捨ておむつ |
JP2010279813A (ja) * | 2010-09-27 | 2010-12-16 | Kao Corp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N2015DN00758A (ko) | 2015-07-10 |
JP5291231B1 (ja) | 2013-09-18 |
US20150250657A1 (en) | 2015-09-10 |
TWI581776B (zh) | 2017-05-11 |
EP2900190A4 (en) | 2016-04-13 |
US9974696B2 (en) | 2018-05-22 |
JP2014068922A (ja) | 2014-04-21 |
EP2900190A1 (en) | 2015-08-05 |
CN104602656A (zh) | 2015-05-06 |
AR092705A1 (es) | 2015-04-29 |
WO2014050137A1 (en) | 2014-04-03 |
AU2013321824B2 (en) | 2017-03-09 |
CN104602656B (zh) | 2016-11-09 |
KR102108254B1 (ko) | 2020-05-11 |
EP2900190B1 (en) | 2017-03-22 |
TW201438683A (zh) | 2014-10-16 |
AU2013321824A1 (en) | 2015-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7227B1 (ko) | 일회용 기저귀 | |
JP5291214B1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6181407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TWI593398B (zh) | Disposable diapers | |
KR102153151B1 (ko) | 일회용 기저귀 | |
KR20150063961A (ko) | 일회용 기저귀 | |
JP6200677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5291213B1 (ja) | 使い捨ておむつ | |
KR101453251B1 (ko) | 일회용 기저귀 | |
WO2013077361A1 (ja) | 使い捨ておむつ | |
KR20160037886A (ko) | 일회용 기저귀 | |
JP5797295B1 (ja) | 使い捨ておむつ | |
KR20150067087A (ko) | 일회용 기저귀 | |
JP6147548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KR102312228B1 (ko) | 일회용 기저귀 | |
JP6240411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