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251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251B1
KR101453251B1 KR1020147017651A KR20147017651A KR101453251B1 KR 101453251 B1 KR101453251 B1 KR 101453251B1 KR 1020147017651 A KR1020147017651 A KR 1020147017651A KR 20147017651 A KR20147017651 A KR 20147017651A KR 101453251 B1 KR101453251 B1 KR 10145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tch
stretchable
product
disposable diap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156A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을 걸쳐, 적어도 흡수체(40)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a)는, 몸통 둘레 유지부(150)와 교차하지 않고 몸통 둘레 유지부(150)로부터 떨어져 구비된다. 흡수체(40)보다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접촉면측(S1)에, 액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톱 시트(50)와 흡수체(40) 사이에, 톱 시트보다 부피가 큰 액투과성의 세컨드 시트(51)가 구비된다. 세컨드 시트(51)는,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뒷몸통 둘레 영역의 적어도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배설액을 수용하여 유지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 흡수체와 톱 시트 사이에, 톱 시트보다 부피가 큰 액투과성의 세컨드 시트를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소61-14136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5-261126호 공보
도 4의 (a)에, 이러한 세컨드 시트(51)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4의 (b)에,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CT 스캔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는, 착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 있어서, 아래로 처져 버린다.
그 때문에,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세컨드 시트(51)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세컨드 시트(51)가, 절곡되어 더욱 아래로 처지게 되고, 이러한 세컨드 시트(51)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구로부터 배설되는 배설액(A)을 적절히 수용하여 유지하면서 확산시키는 것이 불충분해지고, 특히, 배설액(A)이 다량인 경우나, 복수회 배설된 후, 더욱 배설이 행해진 경우 등에는, 다량의 배설액(A)이, 착용자와 일회용 기저귀(1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게 되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의 밖으로 누설되어 버리는 상태가 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수체와 톱 시트 사이에 형성된 세컨드 시트의 흡수 유지 기능 및 확산 기능을 보다 바람직하게 발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착용자와 일회용 기저귀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배설액의 양을 줄이고, 착용자의 움직임에서 기인하는 배설액의 외부로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의 적어도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크로치(crotch) 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중심선을 걸쳐, 적어도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떨어져 구비되고,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접촉면측에, 액투과성의 톱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상기 톱 시트보다 부피가 큰 액투과성의 세컨드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크로치 신축부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F1-F1 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에 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함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10)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1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또, 도 1에 도시한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톱 시트(50)나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신축부(75) 및 레그 사이드 개더(80)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레그 사이드 개더(80)를 신축시킨 상태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F1-F1 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고,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CT 스캔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뒷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앞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부와 접하는 부분이고, 뒷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뒷몸통 둘레부와 접하는 부분이며,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뒷몸통 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뒷몸통 둘레 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고 하며,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고 한다.
여기서, 가랑이 아래 영역(25) 내에 크로치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크로치부(200)보다 착용자의 배쪽 영역을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 정의하고, 크로치부(200)보다 착용자의 등쪽 영역을 뒷몸통 둘레 영역(30)으로 정의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W)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걸치며, 또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적어도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하고, 분쇄 펄프나 고흡수 폴리머 등, 공지된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흡수성 코어(40a)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 랩(40b)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 접촉면측(S1)의 일부는, 액투과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혹은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코어 랩(40b)을 구성하는 부재로는, 질량 약 10∼30 g/m2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나, 질량 약 10∼30 g/m2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S1)에는, 액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되어 있고,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S2)에는, 백 시트(6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시트(50)와 백 시트(60) 사이에, 액 비투과성의 누설 방지 시트(6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톱 시트(50)와 흡수체(40) 사이에, 액투과성의 세컨드 시트(51)가 구비되어 있다. 세컨드 시트(51)는, 톱 시트(50)보다 부피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컨드 시트(51)나 톱 시트(50) 등의 부직포의 부피에 관해,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주식회사 오자키 제작소사 제조의 피코크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를 이용하고, 원형 측정자의 직경을 40 mm, 하중을 3.0 g/cm2가 되도록 조정하여, 측정 대상인 부직포의 부피에 관해 측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 측정 대상인 부직포의 사이즈가 40 mm 미만인 경우에는, 원형 측정자의 사이즈를 변경하고, 하중을 3.0 g/cm2가 되도록 조정하여, 측정 대상인 부직포의 부피에 관해 측정을 행해도 좋다.
여기서, 세컨드 시트(51)는, 가교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셀룰로오스 섬유는, (통상의 셀룰로오스 섬유에 비해) 섬유 사이의 수소 결합을 만들기 어렵다. 배설물의 흡수시에는, 통상의 셀룰로오스 섬유는, 수소 결합이 소실되어 시트의 부피가 소실되는 경향이 있다. 그에 반하여, 가교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본래 섬유 사이의 수소 결합이 적기 때문에, 배설물의 흡수에 의한 부피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부피가 소실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을 중복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는,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를 구비하고 있고,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소정 영역에서, 타깃부(9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패스닝 테이프(90)가 타깃부(95)에 부착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뒷몸통 둘레 영역(30)과 패스닝 테이프(90)와 타깃부(95)에 의해, 몸통 둘레 유지부(150)가 구성된다.
여기서, 뒷몸통 둘레 영역(30)에서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맞물림(係合) 부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범위이고, 앞몸통 둘레 영역(20)에서의 몸통 둘레 유지부는, 타깃부(95)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 내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크로치부(200) 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랑이 아래 영역(25) 내에서 제품 폭 방향의 중심을 걸치며 또한 흡수체(40)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 배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 크로치 신축부(200a)의 구성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표면측(톱 시트(50)측)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쌍의 레그 신축부(레그 개더)(75)가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긴 것과 동시에, 제품 폭 방향(W)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레그 신축부(75)의 일부는, 다리 둘레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하는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 레그 신축부(75)의 구성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내측(제품 폭 방향(W)에서의 중앙 근처)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사이드 플랩(70)의 제품 폭 방향(W)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종래에 있어서 주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과 별도의 시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플랩(70)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 단부에 있어서 톱 시트(50)측으로 절첩되어 있어, 2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된 상태의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된 상태로, 탄성 부재(71)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0) 및 탄성 부재(71)에 의해,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형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톱 시트(50) 또는 백 시트(60)에 접합되는 접합 부분(81)과,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자유단 부분(82)을 갖는다.
자유단 부분(82) 중,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앙 부분은, 탄성 부재(71)에 의해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하여, 수축부(84)를 구성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에는, 접합 부분(81)을 기단부로 하여 기립하고, 자유단 부분(82)의 수축부(84)가 정점부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즉, 접합 부분은, 레그 사이드 신축부의 기립의 기단부가 된다.
또, 수축부(84)는, 탄성 부재(71)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한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도 1에, 레그 사이드 개더(80)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70)과 톱 시트(50)(또는, 백 시트(60) 등)가 접합된 접합 부분(81)에 사선을 그어 나타낸다.
접합 부분(81)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제1 접합 부분(81A)은,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접합 부분(81B)은, 수축부(84)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측으로 기립하도록 구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접합 부분(81A)은, 톱 시트(50)에 접합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폭 방향(W)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와 레그 신축부(75)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에서 백 시트(60) 또는 누설 방지 시트(61)에 접합된다.
또,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은, 여러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부분(81)은, 예컨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고, 톱 시트(50)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고,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 백 시트(60)나 누설 방지 시트(61)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고, 기립의 기단부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개더이면 되고,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에 있어서 주지된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웨이스트 신축부(웨이스트 개더)(100)>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패스닝 테이프(90) 사이를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하는 부재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능한 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고, 폭 감소율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굽힘 강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함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굽혀지기 쉬워져, 착용자의 신체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착용자의 신체에 따르게 하여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폭 감소율이 작은 재료에 의해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가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장된 경우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W)의 수축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허리 둘레(웨이스트)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쪽으로 끌려 내려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로서, 단위 중량이 20∼45 g/m2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했다.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서의 길이의 1.25∼2.5배로 늘여진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백 시트(60)(또는, 누설 방지 시트(61))에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누설 방지 시트(61)와 백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또는, 누설 방지 시트(61))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4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또는, 누설 방지 시트(61))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품 폭 방향(W) 및 제품 길이 방향(L)의 양쪽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40)에서의 저강성 영역(210)>
여기서, 흡수체(40)는,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흡수체(40)의 다른 부위보다 단위 중량이 낮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저강성 영역(210)을 갖는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은, 흡수체(4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방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저강성 영역(210)의 폭은, 흡수체(4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를 향함에 따라 넓어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강성 영역(210)의 형상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쐐기형이다.
또한, 흡수체(40)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신축이 다른 영역보다 억제된 영역인 신축 억제 영역(220)을 갖는다.
여기서, 신축 억제 영역(2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강성 영역(210)의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신축 억제 영역(220)과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는,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의 흡수체(40)는,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를 향해 볼록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착용자의 둔부 형상의 이미지를 품게 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10)가,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10)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신체 밑에 일회용 기저귀(10)를 깔 때에, 흡수성 코어(40a)가 상술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 혹은,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상술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착용자의 둔부를 놓아야 할 위치를 상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일회용 기저귀(10)를 정확한 위치에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흡수체(4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에서 중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저강성 영역(210)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저강성 영역(210)의 일부와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지만, 저강성 영역(210)의 전부와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신축을 저해하지 않고,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수축하더라도, 저강성 영역(210)이 좁아져,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의 흡수체(40)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흡수체(40)가, 의도하지 않는 형상으로 융기되기 어려워진다.
또, 저강성 영역(210)은, 배설액의 누설 방지를 고려하면,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0)가, 웨이스트 신축부(100)에 의해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시켜져,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의 흡수체(40)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면, 저강성 영역(210)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처의 부위가, 가랑이 아래 영역(25) 근처의 부위보다 크게 제품 폭 방향(W)의 중앙으로 밀려오기 때문에,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처의 부위와 가랑이 아래 영역(25) 근처의 부위에서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수축량의 차가 발생하여,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기립하게 된다.
즉, 일회용 기저귀(10)에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쐐기형의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시에, 피부 비접촉면측(S2)으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팽창되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고, 저강성 영역(210)과 중복되도록,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존재하기 때문에, 저강성 영역(210)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처의 부위가,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 위치보다 크게 제품 폭 방향(W) 중앙으로 밀려와,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옆 가장자리를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측 근처 위치의 흡수성 코어(40a)에 관해서는, 착용자의 신체를 적극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저강성 영역(210)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를 밑에 깔고 착용자를 눕힌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때에도,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옆 가장자리를 넘어 존재하는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착용자의 신체 밑에 깔리지 않는다.
따라서,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를 당김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옆 가장자리가 신장되고, 컵 형상의 웨이스트측 근처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착용자의 신체에 따르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의 흡수성 코어(40a)가,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을 향해 볼록 형상이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 비접촉면측(S2)으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팽창되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게 하는 것에 덧붙여, 흡수성 코어(40a)의 표면 면적이 유지되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로부터의 배설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쐐기형이고, 흡수성 코어(40a)와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원호의 반경은, 50 mm∼200 mm이다.
이 때문에, (자연 상태의) 저강성 영역(21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폭)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로 감에 따라 비선형으로 커지고,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쉽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와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저강성 영역(210)의 수축에 의해 둥글려진 컵 형상이 되어, 착용자의 둥글려진 둔부를 따르기 쉬운 형상이 된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40)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에는, 좌우 각각에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을 향하는 볼록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체(40)의 형상은, 착용자의 둔부를 올려 놓는 것을 상기시키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는, 일회용 기저귀(10)를, 보다 착용자에게 있어 정확한 위치에 맞추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있다.
<흡수체(40)의 굽힘 강성>
본 실시형태에서의 굽힘 강성은, 테이버법(JISP8125)에 준거한 강성치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우선, 일회용 기저귀(10)를 전개한 상태에서, 굽힘 강성의 측정 대상 부분의 샘플(예컨대, 흡수체(40))을 채취한다.
샘플은, 굽힘 강성의 측정 대상 부분에 관해, 70 mm(제품 폭 방향(W)의 길이)×38 mm(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의 치수로 한다. 샘플 중에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탄성 부재를 제거시켜 둔다. 또, 강성치의 측정 시험기는, (주) 야스다 세이키 제작소 제조의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샘플수는 10이고, 각 샘플에 관해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강성치로 한다.
이러한 측정의 순서는, 이하의 (a)∼(e)와 같다.
(a) 채취한 샘플의 두께(A)를 측정한다.
(b) 계속해서, 시험기의 척(하측)의 중심에 닿을 정도로 샘플을 끼워 넣는다.
(c) 지지 롤러와 샘플의 좌우 간극의 합계를 (A)×0.80(mm)로 조절한다.
(d) 지시 하중 눈금이 최대 눈금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추를 적절히 선택한다.
(e) 샘플을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15도 지지 각선(刻線)과 진자의 중심각이 일치한 점에서 정지시키고, 시험기의 눈금을 읽는다. 눈금의 좌측의 수치를 (B)로 하고, 눈금의 우측의 수치를 (C)로 한다.
강성치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한다.
식 : 강성치(mN·m)=(((B)+(C))/2)×(보조추 계수)×9.81×10-2
또, 시험편의 폭이 38 mm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38 mm 폭의 굽힘 모멘트로 환산을 행한다.
이와 같이 측정한 강성치가 높을수록, 굽힘 강성이 높고, 강성치가 낮을수록, 굽힘 강성이 낮아진다.
<패스닝 테이프 및 타깃부의 구성>
패스닝 테이프(90)는,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맞물림 부재로서의 맞물림 훅(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훅 시트(92)를 구비한다.
훅 시트(92)는, 맞물림 부재가 형성된 영역이고, 상술한 몸통 둘레 유지부는, 훅 시트(92)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훅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구체적으로는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가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훅 시트(92) 및 기재 시트(91)는, 점형, 선형 혹은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훅 시트(92) 및 기재 시트(91)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을 중복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91)로는, SB(스펀본드) 또는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복수장인 경우에는, 합계 단위 중량)은, 30∼120 g/m2이고, 바람직하게는 40∼90 g/m2이다.
타깃부(95)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백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다. 타깃부(95)는, 패스닝 테이프의 맞물림 훅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훅과 루프의 걸림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타깃부(95)로는,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타깃부(95)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섬유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깃부(95)에 부착된 루프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깃부(95)로서, 부피가 큰 부직포이고, 그 일부를 엠보스함으로써 부직포 표면의 보풀 발생을 방지한 부직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누설 방지 시트(61)를 부직포에 의해 형성하고, 패스닝 테이프(90)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도안을 백 시트(60) 또는 누설 방지 시트(61)의 피부 비접촉면에 인쇄하거나, 혹은, 이러한 도안의 시트를 백 시트(60) 또는 누설 방지 시트(61)의 피부 비접촉면측(S2)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타깃부(95)로 할 수 있다.
<레그 신축부(75)>
레그 신축부(75)는, 흡수체(4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형성된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위치가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폭 방향 내측단 영역(75I)을 갖고 있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는, 특히,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 레그 신축부(75)의 폭 방향 내측단 영역(75I)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속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위치가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레그 신축부(75)의 폭 방향 내측단 영역(75I)과 일치하고 있지만,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형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 형상·띠 형상의 탄성 부재를, 1개 또는 복수 개 배치함으로써,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해도 좋다.
혹은, 예컨대, 레그 신축부(75)는, 소정 개수의 탄성 부재(예컨대, 3개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레그 신축부(75)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혹은, 흡수체(40)와 백 시트(60) 사이에 배치되는 누설 방지 시트(61)가 구비되는 영역에서는, 레그 신축부(75)는, 누설 방지 시트(61)와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폭)은,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5 mm 이상 4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mm 이상 3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측정은, 신와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부 : 유리 섬유가 들어 있는 폴리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고,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도록 하여 행했다(10 샘플).
여기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이 5 mm 미만에서는, 실질적으로 면으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름으로써, 부분적으로 조이는 힘이 집중되지 않고, 탄성 요소에 의한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부하를 낮춘다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이 45 mm를 초과하면, (자연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0) 전체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비교하여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르는 영역이 지나치게 넓어져, 신축성 시트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말려들거나, 젖혀져 말리거나 하기 쉬워진다.
레그 신축부(75)의 신축률은, 1.5∼2.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신축부(75)의 신축률은, 1.8∼2.0배로 설정되어 있다.
또, 신축률은, 신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축률=(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축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낸다.
계속해서, 레그 신축부(75)의 배치 영역을 잘라낸다. 이 때, 레그 신축부(75)에 접합되는 백 시트(60)도 포함시켜 잘라낸다. 잘라낸 후의 레그 신축부(75)의 샘플의 신장률을 측정하고, 레그 신축부(75)의 신장률을 계측한다.
각 샘플에 관해,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60분간 방치하고, 신축 방향을 따라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로 한다.
둘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신장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단의 간격은,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20)을 향함에 따라 넓어짐과 동시에,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뒷몸통 둘레 영역(30)을 향함에 따라 넓어진다.
착용자의 신체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하는 경우, 가랑이 하부에서 좁고 앞뒤의 몸통 둘레를 향해 넓어지는 형상으로 레그 신축부(75)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레그 신축부(75)가, 착용자의 신체 라인을 따르는 것이 가능해지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적합하게 레그 신축부(75)가 신장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단부에서의 간격(도면 중의 D1)은,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단부에서의 간격(도면 중의 D2)보다 좁다.
또, 이들 간격은, 일회용 기저귀(10)를 자연 상태로부터 주름이 없는 상태로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으로 확장하여 유지한 후,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착용자 신체의 피부 표면의 신장은, 둔부에 있어서 특히 크고, 그 폭 방향 외측 근처의 위치에서 현저하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있다. 그래서, D2>D1로 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에 착용자의 움직임이 가해진 경우에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의 레그 신축부(75)가 밀착된 채로 신장할 수 있어, 신장의 변화량이 크더라도 레그 신축부(75)가 버티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레그 신축부(75)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양 다리의 간격은, 가랑이 하부가 가장 좁고, 가랑이 하부로부터 배쪽이나 등쪽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이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 및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를 배치할 수 있고, 국소적인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신장률로 착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어, 피부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그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일회용 기저귀(10)를 만곡시켜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는, 제품 폭 방향(W)으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몸통 둘레 유지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함께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한다.
<크로치 신축부(200a)>
다음으로, 크로치 신축부(200a)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장착시에, 가랑이 아래 영역(25)의 일부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의 양쪽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다.
예컨대, 크로치 신축부(200a)는, 레그 신축부(75)와는 개별적으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40a)와 중복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40a)를 둘러싸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이러한 위치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자연 상태)의 60% 이상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분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줄어들고, 흡수성 코어(40a)가 줄어들지 않는 부분과 비교하여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에 위치하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이나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수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나 웨이스트 주위에 유지된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크로치 신축부(200a)가 과도하게 신체에 밀착되지 않고,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가 적절히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가,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경우,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쉬워지고,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서 신체를 따라 평탄한 가랑이 아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로부터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기립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안정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는,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의 일부가,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의측(피부 비접촉면측(S2))의 표면에 요철의 주름이 형성된다.
이 결과,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시각적이고 또한 촉감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크로치부(200)가 명확히 존재하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을 걸쳐, 적어도 흡수체(40)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체(40)(코어 랩(40b))와 백 시트(60) 사이에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또, 크로치 신축부(200a)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신축성 시트에 의해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성 시트를 배치한 영역의 흡수성 코어(40a)가 고르게 줄어들어, 평탄한 형상 유지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 신축성 시트는, 예컨대, 레그 신축부(75)와 동일한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형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 형상·띠 형상의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를, 서로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탄성 부재의 굵기나 배치하는 피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10)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옆 가장자리 전역이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줄어들게 하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끼리의 간격을, 7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줄어들게 하기 위해, 인접하는 탄성 부재의 간격의 차를 2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은, 1.3배로 설정되어 있다.
신축률은, 신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축률=(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축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60분간 방치하고, 신축 방향을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로 한다.
둘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2배 이상 1.8배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 신축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신체 앞쪽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면, 착용자의 둔부측의 피부에 있어서, 신체를 신장시킨 상태에 대하여 30% 정도 신장되는 부위가 존재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2배 미만으로 하면, 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고,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서의 흡수체 배치 영역의 수축이 작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서 신체를 따르도록 평탄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불충분해져,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어긋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8배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 방향에서의 수축 치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존재하는 영역이, 신체를 따르는 것보다 밀착되는 상태가 되기 쉽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아래쪽으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수축량은, 주름이 충분히 작아져, 샘플의 표면이 평활에 가까워지도록 신장한 상태에서의 길이 「b(mm)」와, 샘플의 신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자연 상태에서의 길이 「a(mm)」의 차로, (b-a)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 대하여 장착하는 과정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바람직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기 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8%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지나치게 줄어들어,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가 부족하여,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채우기 어려워지거나, 일회용 기저귀(10) 및 착용자의 신체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과도하게 밀착되어 어긋나기 쉬워지거나 한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2% 미만으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시킨다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효과 자체가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특히, 크로치 신축부(200a)는, 폭 감소율이 10% 이하인 신축성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폭 감소율은, 예컨대, 이하와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크로치 신축부(200a)를 일회용 기저귀(10)로부터 떼어내고, 떼어낸 크로치 신축부(200a)를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 24시간 방치한 후, 크로치 신축부(200a)의 일회용 기저귀(10)에 대한 배치시의 제품 폭 방향(W)의 중앙에 상당하는 위치의 폭을 자연 상태에서의 시트형 탄성 요소 폭(WA)으로 한다.
둘째로, 떼어낸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전폭을, 인장 시험기(시마즈 제작소사 제조의 오토그래프)의 측정 척에 유지하고, 100 mm/분의 속도로, 일회용 기저귀(10)에 대한 첩부시의 폭까지 신장하고, 일회용 기저귀(10)에 대한 배치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의 중앙에 상당하는 위치의 폭(WB)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한 (WA) 및 (WB)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폭 감소율을 산출한다.
폭 감소율(%)=((WA)-(WB))/(WA))×100
또,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중심(O2)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보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와 앞몸통 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의 비율은, 1.1 이상 1.6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 1.5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이 1.6을 초과하면, 일회용 기저귀(10)의 배쪽과 등쪽의 밸런스가 무너져,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크로치 신축부(200a)를 따르게 한 경우에, 앞몸통 둘레 영역(20)이 과도하게 밀착되어 버리거나,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필요 이상으로 덮이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신체는, 일반적으로, 하복부보다 둔부가 보다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a)와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를 맞춘 후에, 상술한 비율을 상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복잡한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가 보다 알맞은 형상이 된다.
즉, 치수가 부족한 부분이 생기는 것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부분적인 당김이나, 치수가 남는 부분이 생기는 것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와 신체 사이의 불필요한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보행 개시 전 혹은 보행을 개시했을 즈음에 이용하는 유유아의 경우, 신체가 배쪽을 향해 둥글려진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그러한 자세에서는 둔부측의 피부가 신장된 상태가 되기 쉽고, 상술한 비율을 상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이러한 자세를 취하기 쉬운 유유아의 신체에 알맞은 상태가 된다.
일례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400 mm(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에 대하여, 앞몸통 둘레 영역(20)이 130 mm(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되고, 크로치부(200)가 80 mm(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되고, 뒷몸통 둘레 영역(30)이 190 mm(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된다.
이 경우,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길이(자연 상태)의 비율은, 약 1.46이다. 이러한 비율로 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a)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 전체를 더욱 착용자의 신체에 따르게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전후 방향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일회용 기저귀(10)가 정확하게 맞아, 일회용 기저귀(10)의 디자인이 연동할 수 있게 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a)가 수축한 상태는,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측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흡수체 배치 영역에서의 비수축 상태와 비교하면 상이한 양태에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시키는 경우에는, 크로치 신축부(200a)를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 맞추어 장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가 수축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부위의 강성 또는 두께가, 다른 흡수성 코어(40a) 부위의 강성 또는 두께와 상이하게 되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가,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와 일치시키는 부위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 후에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서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고, 일회용 기저귀(10) 자체가 3차원적인 형상이 되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 따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가 일치하여 장착되는 것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중앙 위치(O2)에서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W5)(자연 상태)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단부에서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W6)(자연 상태)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외관으로부터 본 형상이, 예컨대 여성 속옷의 가랑이 하부와 같이 잘록해진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는,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10)를 입힐 때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장착하고, 또한 장착 위치가 정확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착용시에도,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에 크로치부(200)가 있는 것을 상기시켜, 보다 속옷에 가까운 이미지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세컨드 시트(51)는,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서 흡수성 코어(40a)가 아래로 처지는 부위를 형성하지 않고,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와 중복되는 영역의 세컨드 시트(51)의 배설물(A)의 확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에, 세컨드 시트(51)는, 크로치 신축부(200a)와 중복되기 때문에, 이러한 중복 영역이 수축하여,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컨드 시트(51)를 가교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함으로써, 세컨드 시트(51) 내의 섬유끼리의 수소 결합이 통상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적은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세컨드 시트(51) 내의 섬유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수축한 경우에도, 섬유의 자유도를 높인 것에 의해,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중복 영역에 있어서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섬유 밀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에 있어서(특히, 배설 전에 있어서), 배설물의 유지 및 확산에 우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는,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또,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를 형성하는 대신에,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을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보다 낮아지도록 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품 폭 방향(W)에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이, 보다 줄어들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에, 평탄한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110)보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절결부(120)보다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평탄한 「바닥부」로부터 기립하여, 착용자의 신체(복부 및 둔부)의 둥근 모양을 따르도록 만곡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 자체의 형상이 착용자의 몸의 형태에 보다 근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110)의 앞몸통 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 및 절결부(120)보다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는, 원호형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절결부(110)의 앞몸통 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는, 원호의 중심이, 이러한 가장자리보다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고, 절결부(120)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는, 원호의 중심이, 이러한 가장자리보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자의 신체의 둥근 모양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고 또한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절결부(11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몸통 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는, 제1 변곡부(115)를 구성하고, 절결부(12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는, 제2 변곡부(125)를 구성한다.
또, 제1 변곡부(115) 및 제2 변곡부(125)는,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굽힘 기점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제1 변곡부(115) 및 제2 변곡부(125)를 보다 양호한 상태로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는, 몸통 둘레 유지부(즉, 몸통 둘레 유지부를 구성하는 앞몸통 둘레 영역(20), 뒷몸통 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의 움직임에 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자연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을 걸쳐 좌우 대칭이어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을 경계로 하여, 크로치 신축부(200a)의 좌우의 폭의 차가 10% 이내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신체의 중심을 걸쳐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 장착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상술한 몸통 둘레 유지부 및 탄성 부재(7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몸통 둘레 영역(20)측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측에, 비신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짧아지고, 뒷몸통 둘레 영역(30)으로부터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짧아져 있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소정 길이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이나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가 긴 영역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이다.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짧아져 있는 영역과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길어져 있는 영역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의 단위 길이당(예컨대, 10 mm당)의 흡수 용량이 상이하고, 이러한 소정 길이보다 짧아져 있는 영역 쪽이 흡수 용량이 작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장착된 경우,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서 평탄한 「바닥부」가 형성되게 되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와의 사이에서 적절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고, 배설물(A)을 흡수한 후에도, 착용자의 가랑이 하부에서 아래로 처지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세컨드 시트(51)가, 절곡되어 버리는 사태도 발생하지 않고, 이러한 세컨드 시트(51)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구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A)을 적절히 수용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 평탄한 「바닥부」가 형성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가 아래로 처지는 경우에 비해, 세컨드 시트(51) 내에 수용된 배설물(A)의 확산이, 중력의 영향을 잘 받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배설물(A)의 확산이 적합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장착되기 때문에, 세컨드 시트(51)를 포함시켜 흡수체(40) 통째로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있지 않고, 세컨드 시트(51)가 밀착에 의한 가압을 받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세컨드 시트(51)에서의 배설물(A)의 수용 속도도 적합해진다.
즉, 세컨드 시트(51)가 갖는 기능인 배설물(A)의 유지나 확산이나 수용에 관해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다량의 배설물(A)이, 착용자와 일회용 기저귀(1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의 밖으로 누설되어 버리는 상태도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는, 몸통 둘레 유지부(150)와 교차하지 않고 몸통 둘레 유지부(150)로부터 떨어져 구비되어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는, 크로치 신축부(200a)가 존재하는 영역 내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의 1/2 이상이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위의 일정폭 이상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줄어들고,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도록 흡수성 코어(40a)가 들려 올라간다.
이러한 흡수성 코어(40a)의 들려 올라감을 가랑이 아래 영역(25)에서 실현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가, 크로치 신축부(200a)가 존재하는 영역 내의 흡수체(40)(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의 60% 이상인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경우에는,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가,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와 비교하여 지나치게 좁으면, 상술한 흡수성 코어(40a)를 들어 올리는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가,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와 비교하여 지나치게 넓으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는 부위보다 수축한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구성하는 부재가 중복되고, 크로치 신축부(200a)가 단단해져,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감이 손상된다.
예컨대, 크로치 신축부(200a)가 존재하는 영역 내의 흡수성 코어(40a)의 가장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가 좁은 부위의 치수(신장 상태에서의)가, 120 mm인 경우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는, 60∼11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10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가 가장 좁은 부위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심선에 대하여 10∼60 mm 앞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가 가장 좁은 부위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심선에 대하여 20∼40 mm 앞쪽에 형성된다.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가 가장 좁은 부위를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좌우의 대퇴부가 서로 가장 근접하는 위치는, 착용자 신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앞쪽이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가 가장 좁은 부위를 착용자의 좌우의 대퇴부가 서로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적극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친 등의 착용 보조자가 흡수성 코어(40a)의 위치 맞춤을 행하지 않아도, 흡수성 코어(40a)의 위치 맞춤이 자연스럽게 행해진다.
또, 흡수성 코어(40a) 중에 포함되는 섬유의 비율(중량)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40a) 중의 고흡수 폴리머 비율을 높이는 경우(80% 이상으로 하는 경우), 흡수 폴리머의 액 수용 속도가, 세컨드 시트(51)에 대한 배설물의 수용 속도보다 낮기 때문에,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세컨드 시트(51) 및 크로치 신축부(200a)의 배치에 의해, 배설물의 액 수용 속도나 확산성을 높이면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지 않고 따르게 함으로써 배설물의 유지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얇고, 유연성이 높고, 잘 누설되지 않는 일회용 기저귀(10)를 실현할 수 있다.
(변경예)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크로치 신축부(200a) 대신에,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가장자리에 다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크로치부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다트부는, 크로치부를 평탄한 「바닥부」로 하기 위해, 백 시트(60)의 일부를 집도록 구성되어 있다.
혹은, 크로치 신축부(200a)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크로치 신축부(200a) 대신에, 보강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크로치부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세컨드 시트(51)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변곡부(115) 및 제2 변곡부(125)의 변곡 상태를, 외관에 있어서 보다 둥글려진 완만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에게 제1 변곡부(115) 및 제2 변곡부(125)에 의한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59176호(2012년 11월 27일 출원)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도입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흡수체와 톱 시트 사이에 형성된 세컨드 시트의 흡수 유지 기능 및 확산 기능을 보다 바람직하게 발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착용자와 일회용 기저귀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배설액의 양을 줄이고, 착용자의 움직임에서 기인하는 배설액의 외부로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10 : 일회용 기저귀, 20 : 앞몸통 둘레 영역, 25 : 가랑이 아래 영역, 30 : 뒷몸통 둘레 영역, 35 : 다리 둘레 개구부, 40 : 흡수체, 40a : 흡수성 코어, 40b : 코어 랩, 50 : 톱 시트, 51 : 세컨드 시트, 60 : 백 시트, 61 : 누설 방지 시트, 70 : 사이드 플랩, 71 : 탄성 부재, 75 : 레그 신축부, 80 : 레그 사이드 개더, 81 : 접합 부분, 82 : 자유단 부분, 90 : 패스닝 테이프, 90a : 타깃부, 100 : 웨이스트 신축부, 200 : 크로치부, 200a : 크로치 신축부

Claims (8)

  1.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의 한쪽 또는 양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중심선을 걸쳐, 적어도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떨어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접촉면측에, 액투과성의 톱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상기 톱 시트보다 부피가 큰 액투과성의 세컨드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크로치 신축부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이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제품 폭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크로치 신축부가 존재하는 영역 내의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에서의 길이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뒷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갖고,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걸쳐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의 한쪽 또는 양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몸통 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되는 제1 변곡부와,
    상기 흡수체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굽힘 기점이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변곡부보다 상기 뒷몸통 둘레 영역 가까이에 위치하는 제2 변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중심선을 걸쳐, 적어도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와 교차하지 않고 상기 몸통 둘레 유지부로부터 떨어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접촉면측에, 액투과성의 톱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상기 톱 시트보다 부피가 큰 액투과성의 세컨드 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크로치 신축부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실 형상 또는 띠 형상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끼리의 간격은, 7 mm 이하이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이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제품 폭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크로치 신축부가 존재하는 영역 내의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에서의 길이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곡부 및 상기 제2 변곡부는,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흡수성 코어의 단위 중량이 다른 영역보다 낮은 영역, 혹은, 상기 흡수성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를 구성하는 상기 신축성 시트의 폭 감소율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시트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컨드 시트는, 가교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중앙 위치에서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자연 상태의 길이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단부에서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자연 상태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8.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 중에 포함되는 섬유의 중량 비율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47017651A 2012-11-27 2013-11-27 일회용 기저귀 KR101453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9176 2012-11-27
JP2012259176A JP5588498B2 (ja) 2012-11-27 2012-11-27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3/081860 WO2014084234A1 (ja) 2012-11-27 2013-11-27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156A KR20140096156A (ko) 2014-08-04
KR101453251B1 true KR101453251B1 (ko) 2014-10-22

Family

ID=5082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651A KR101453251B1 (ko) 2012-11-27 2013-11-27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88498B2 (ko)
KR (1) KR101453251B1 (ko)
CN (1) CN104066408B (ko)
SA (1) SA515360491B1 (ko)
WO (1) WO2014084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5457B1 (ja) * 2014-06-23 2014-10-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75571B2 (ja) * 2014-06-30 2018-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16092708A1 (ja) * 2014-12-12 2016-06-16 山田 菊夫 使い捨て衣類及び吸収体
JP7083489B2 (ja) * 2018-08-14 202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9830A (ja) 2006-07-05 2008-02-14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1055959A (ja) 2009-09-08 2011-03-24 Lived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JP2012095685A (ja) 2010-10-29 2012-05-24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12187152A (ja) 2011-03-08 2012-10-04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0621A (ja) * 2002-07-19 2004-02-19 Chisso Corp 複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04350809A (ja) * 2003-05-28 2004-12-16 Livedo Corporation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354827B2 (ja) * 2004-01-07 2009-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P2036521A4 (en) * 2006-07-05 2012-06-20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4685135B2 (ja) * 2008-07-18 2011-05-1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9830A (ja) 2006-07-05 2008-02-14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1055959A (ja) 2009-09-08 2011-03-24 Livedo Corporation 吸収性物品
JP2012095685A (ja) 2010-10-29 2012-05-24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12187152A (ja) 2011-03-08 2012-10-04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8498B2 (ja) 2014-09-10
JP2014104149A (ja) 2014-06-09
WO2014084234A1 (ja) 2014-06-05
CN104066408A (zh) 2014-09-24
CN104066408B (zh) 2016-02-24
KR20140096156A (ko) 2014-08-04
SA515360491B1 (ar) 201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227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91214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18140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768350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150063961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50090098A (ko) 일회용 기저귀
KR102153151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1453251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91213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200179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40092927A (ko) 일회용 기저귀
KR101735791B1 (ko) 일회용 기저귀
JP6147548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797295B1 (ja) 使い捨ておむつ
TWI581776B (zh) Disposable disposable diaper
JP624041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080809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60037885A (ko) 일회용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