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094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094A
KR20150083094A KR1020157013215A KR20157013215A KR20150083094A KR 20150083094 A KR20150083094 A KR 20150083094A KR 1020157013215 A KR1020157013215 A KR 1020157013215A KR 20157013215 A KR20157013215 A KR 20157013215A KR 20150083094 A KR20150083094 A KR 20150083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able
crotch
region
disposable diaper
wais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227B1 (ko
Inventor
야스히로 야마나카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the alarm be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omeric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both the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2013/4903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round the target 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2013/4904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having a specific location other than covered by groups A61F13/49011 - A61F13/49019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몸통둘레 유지부 및 레그 탄성 부재(7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에, 비신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크로치 신축부(200a)에 걸쳐 있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수분과 접촉하면 시각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600)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변화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면측(S1)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있고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의 교환 시기를 알리기 위해, 수분과 접촉하면 시각적으로 변화되는 친수성의 제(劑)를 인디케이터로서 가랑이 아래 영역에 형성하는 기술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37385호 공보
그러나, 착용자가 저월령의 유유아(乳幼兒)인 경우, 일회용 기저귀의 교환 횟수가 많고 밤중의 교환도 많은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착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장착시킨다는 관점에서 충분한 대책이 취해지지 않았다.
또한, 착용자가 고월령의 유유아인 경우,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시에도 착용자가 돌아다니려고 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착용자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시켜야 하는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착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장착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장착시에,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 아래 영역 및 착용자의 배설구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착용자가 배설한 경우에도, 인디케이터가 일회용 기저귀의 교환 시기를 알릴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착용자의 배설 위치와 인디케이터 배치 영역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가 배설했는데도, 인디케이터가 반응(변색)하지 않는다는 케이스가 상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 위치가, 정확한 위치로부터 좌우로 어긋났기 때문에, 흡수체의 제품 폭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배설액을 흡수했지만, 제품 폭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가 변색되지 않는다는 케이스가 상정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의 가랑이 아래 영역 및 착용자의 배설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위를 향하여 누운 자세에서 배설한 경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의 흡수체에서 배설액을 흡수하지 않고, 뒤 몸통둘레 영역에서의 흡수체에서 배설액을 흡수한다. 그 결과,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밖에 변색되지 않는다는 케이스가 상정된다.
특히, 착용 보조자는, 착용자가 롬퍼스를 입고 있는 경우, 롬퍼스의 가랑이 아래 영역만을 열고 인디케이터를 확인하여, 착용자가 배설했는지의 여부에 관해 판단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등측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밖에 변색되지 않은 케이스에서는, 착용 보조자는, 착용자가 배설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해 버린다.
이전에는, 일회용 기저귀의 교환 시기는, 착용 보조자의 경험칙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를 만지거나 냄새를 맡거나 하여 복합적으로 판단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착용 보조자가 육아에 익숙하지 않은 케이스의 증가나 착용 보조자의 육아 시간의 단축으로, 착용 보조자는, 일회용 기저귀의 교환 시기의 판단에 관해 인디케이터에 크게 의지하는 상황이 증가하여, 인디케이터를 적절히 변색시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착용 보조자의 청결 의식은 해마다 높아지고 있고, 착용자가 배설했다면 일회용 기저귀를 교환해 주고 싶다는 착용 보조자의 생각은 강해져, 인디케이터의 변색의 치우침은, 일회용 기저귀의 과도한 교환을 재촉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착용자에 대한 장착을 안정시켜, 인디케이터를 적절히 반응시킬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일회용 기저귀로서,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있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있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레그 탄성 부재와,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몸통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중심에 걸쳐 있고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몸통둘레 유지부 및 상기 레그 탄성 부재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측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측에, 비신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에 걸쳐 있고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분과 접촉하면 시각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변화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피부 접촉면측(S2))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피부 비접촉면측(S1))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F1-F1 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F1-F1 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표시한 F2-F2 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1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10)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면측(S1)으로부터 본 전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접촉면측(S2)으로부터 본 전개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표시한 F1-F1 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표시한 F2-F2 선을 따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톱 시트(50)나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신축부(75) 및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탄성 부재(레그 탄성 부재)(71)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여기서, 앞 몸통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 몸통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고, 뒤 몸통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 몸통둘레부(등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고,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뒤 몸통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고 하고,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고 하기로 한다.
여기서, 가랑이 아래 영역(25) 내에, 크로치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크로치부(200)보다 착용자의 배측의 영역을, 앞 몸통둘레 영역(20)으로 정의하고, 크로치부(200)보다 착용자의 등측의 영역을,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다리 둘레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폭 방향(W)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걸쳐 있고, 또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적어도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도 3∼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하고, 분쇄 펄프나 고흡수 폴리머 등, 공지된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흡수성 코어(40a)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 랩(40b)에 의해 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 접촉면측(S2)의 일부는, 액투과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혹은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코어 랩(40b)을 구성하는 부재로는, 질량 약 10∼30 g/m2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나, 질량 약 10∼30 g/m2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S2))에는, 액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되어 있고,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S1))에는, 액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시트(60a)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S1))에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걸쳐 있고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는 1장의 시트(61)(예컨대, 필름)가 구비되어 있고, 시트(61)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S1))에는, 외장 시트(6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걸쳐 있고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면측(S1)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시트(61) 상에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양측가장자리부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 중첩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사이드 플랩(70)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고,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부착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깃부(95)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배치되어 있고,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는, 타깃부(95)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90)와 앞 몸통둘레 영역(20)(타깃부(95))과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의해,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몸통둘레 유지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의 몸통둘레 유지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걸어맞춤 부재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범위이고, 앞 몸통둘레 영역(20)에서의 몸통둘레 유지부는, 타깃부(95)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크로치부(200) 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랑이 아래 영역(25) 내에서 제품 폭 방향의 중심에 걸쳐 있고 또한 흡수체(40)가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 배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 크로치 신축부(200a)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표면측(톱 시트(50)측)에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쌍의 레그 신축부(레그 개더)(75)가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긴 것과 동시에, 제품 폭 방향(W)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레그 신축부(75)의 일부는, 다리 둘레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하는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 레그 신축부(75)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내측(제품 폭 방향(W)에서의 중앙 근처)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사이드 플랩(70)의 제품 폭 방향(W)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종래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과 별도의 시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플랩(70)은,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 단부에 있어서 톱 시트(50)측으로 되접혀 있고, 2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된 상태의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장된 상태로, 탄성 부재(71)(도 3 및 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0) 및 탄성 부재(71)에 의해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형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톱 시트(50) 또는 백 시트(60a)에 접합되는 접합 부분(81)과,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자유단 부분(82)을 갖는다.
자유단 부분(82) 중,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앙 부분은, 탄성 부재(71)에 의해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하여, 수축부(84)를 구성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시에는, 접합 부분(81)을 기단부로 하여 기립하고, 자유단 부분(82)의 수축부(84)가 정점부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즉, 접합 부분은, 레그 사이드 신축부의 기립의 기단부가 된다.
또, 수축부(84)는, 탄성 부재(71)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수축한 부분이고,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레그 사이드 개더(80)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70)과 톱 시트(50)(또는, 백 시트(60a) 등)가 접합된 접합 부분(81)에 사선을 그어 표시한다.
접합 부분(81)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제1 접합 부분(81A)은,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접합 부분(81B)은, 수축부(84)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포함하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앙 부분이 착용자측으로 기립하도록 구성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접합 부분(81A)은, 톱 시트(50)에 접합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 중, 수축부(84)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폭 방향(W)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와 레그 신축부(75)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합 부분(81B)은, 제품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에서 백 시트(60a)(및, 제품 길이 방향(L)의 일부에서 외장 시트(60))에 접합된다. 또, 백 시트(60a)는,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누설 방지 시트로서 기능한다.
또,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접합 부분(81)은, 여러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합 부분(81)은, 예컨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 연장되고, 톱 시트(50)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고,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 액불투과성의 백 시트(60a)나 외장 시트(60)에 접합되는 부분이어도 좋고, 기립의 기단부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레그 신축부(75)보다 제품 폭 방향(W)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개더이면 되고,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주지의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웨이스트 신축부(웨이스트 개더)(100)>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형성되고,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패스닝 테이프(90) 사이를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하는 부재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능한 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고, 폭 축소율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굽힘 강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함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굽혀지기 쉬워져, 착용자의 신체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게 하여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폭 축소가 작은 재료에 의해 웨이스트 신축부(100)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가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장된 경우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수축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허리 둘레(웨이스트)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으로 끌려 내려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로서, 단위 중량이 20∼45 g/m2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했다.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서의 길이의 1.25∼2.5배로 늘여진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외장 시트(60)에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외장 시트(6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4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a)(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품 폭 방향(W) 및 제품 길이 방향(L)의 양쪽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40)에서의 저강성 영역(210)>
여기서, 흡수체(4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있어서, 흡수체(40)의 다른 부위보다 단위 중량이 낮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저강성 영역(210)을 갖는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은, 흡수체(4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방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저강성 영역(210)의 폭은, 흡수체(4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를 향함에 따라 넓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강성 영역(210)의 형상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쐐기형이다.
또한, 흡수체(40)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신축이 다른 영역보다 억제된 영역인 신축 억제 영역(220)을 갖는다.
여기서, 신축 억제 영역(2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강성 영역(210)의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신축 억제 영역(220)과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는,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의 흡수체(4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를 향해 볼록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착용자의 둔부 형상의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10)가,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10)인 경우에는, 착용자의 신체 밑에 일회용 기저귀(10)를 깔 때에, 흡수성 코어(40a)가 전술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 혹은,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전술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착용자의 둔부를 놓아야 할 위치를 상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일회용 기저귀(10)를 정확한 위치에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흡수체(4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적어도 일부에서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저강성 영역(2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저강성 영역(210)의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지만, 저강성 영역(210)의 전부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신축을 저해하지 않고,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수축하더라도, 저강성 영역(210)이 좁아져,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의 흡수체(40)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흡수체(40)가, 의도하지 않는 형상으로 잘 융기되지 않게 된다.
또, 저강성 영역(210)은, 배설액의 누설 방지를 고려하면,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체(40)가, 웨이스트 신축부(100)에 의해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되어,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의 흡수체(40)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면, 저강성 영역(210)에 있어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처의 부위가, 가랑이 아래 영역(25) 근처의 부위보다 크게 제품 폭 방향(W)의 중앙으로 밀려오기 때문에,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처의 부위와 가랑이 아래 영역(25) 근처의 부위에서는,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수축량의 차가 발생하여,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기립하게 된다.
즉, 일회용 기저귀(10)에는,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한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쐐기형의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시에, 피부 비접촉면측(S1)으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팽창되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에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고, 저강성 영역(210)과 중첩되도록,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존재하기 때문에, 저강성 영역(210)에 있어서,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 근처의 부위가,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 위치보다 크게 제품 폭 방향(W) 중앙으로 밀려와,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스트 신축부(100)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가장자리를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컵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측 근처 위치의 흡수성 코어(40a)에 관해서는, 착용자의 신체를 적극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웨이스트 신축부(100) 및 저강성 영역(210)의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0)를 밑에 깔고 착용자를 눕힌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게 장착할 때에도,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가장자리를 넘어 존재하는 웨이스트 신축부(100)가, 착용자의 신체 밑에 깔리지 않는다.
따라서, 한쌍의 패스닝 테이프(90)를 잡아 당김으로써 웨이스트 신축부(100)의 측가장자리가 신장되고, 컵 형상의 웨이스트측 근처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서의 흡수성 코어(40a)가,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을 향해 볼록 형상이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 비접촉면측(S1)으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팽창되는 컵 형상이 형성되기 쉽게 하는 것에 더하여, 흡수성 코어(40a)의 표면 면적이 유지되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40a)의 단부로부터의 배설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강성 영역(210)은, 일회용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쐐기형이고, 흡수성 코어(40a)와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원호의 반경은, 50 mm∼200 mm이다.
이 때문에, (자연 상태의) 저강성 영역(210)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길이(폭)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로 감에 따라 비선형으로 커지고,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기립이 보다 현저해지기 때문에, 컵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쉽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와 저강성 영역(210)의 경계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볼록해지는 원호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저강성 영역(210)의 수축에 의해 라운딩이 있는 컵 형상이 되어, 착용자의 라운딩이 있는 둔부를 따르기 쉬운 형상이 된다.
또한, 저강성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40)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단부(E9)에는, 좌우 각각에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을 향하는 볼록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체(40)의 형상은, 착용자의 둔부를 올려 놓는 것을 상기시키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는, 일회용 기저귀(10)를 보다 착용자에게 있어 정확한 위치에 맞추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있다.
<흡수체(40)의 굽힘 강성>
본 실시형태에서의 굽힘 강성은, 테이버법(JISP8125)에 준거한 강성치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우선, 일회용 기저귀(10)를 전개한 상태에서, 굽힘 강성의 측정 대상 부분의 샘플(예컨대, 흡수체(40))을 채취한다.
샘플은, 굽힘 강성의 측정 대상 부분에 관해, 70 mm(제품 폭 방향(W)의 길이)×38 mm(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의 치수로 한다. 샘플 중에,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탄성 부재를 제거해 둔다. 또, 강성치의 측정 시험기는, (주)야스다 세이키 제작소 제조의 테이버 스티프니스 테스터를 사용한다. 또한, 샘플수는 10이고, 각 샘플에 관해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강성치로 한다.
이러한 측정 순서는, 이하의 (a)∼(e)와 같다.
(a) 채취한 샘플의 두께(A)를 측정한다.
(b) 계속해서, 시험기의 척(아래측)의 중심에 닿는 정도로 샘플을 끼워 넣는다.
(c) 지지 롤러와 샘플의 좌우 간극의 합계를 (A)×0.80(mm)로 조절한다.
(d) 지시 하중 눈금이 최대 눈금의 15∼85%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보조추를 적절히 선택한다.
(e) 샘플을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15도 지지 각선(刻線)과 진자의 중심각(中心刻)이 일치한 점에서 정지시키고, 시험기의 눈금을 읽는다. 눈금의 좌측 수치를 (B)로 하고, 눈금의 우측 수치를 (C)로 한다.
강성치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식: 강성치(mN·m)=(((B)+(C))/2)×(보조추 계수)×9.81×10-2
또, 시험편의 폭이 38 mm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38 mm 폭의 굽힘 모멘트로 환산을 행한다.
이와 같이 측정한 강성치가 높을수록, 굽힘 강성이 높고, 강성치가 낮을수록, 굽힘 강성이 낮아진다.
<패스닝 테이프 및 타깃부의 구성>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걸어맞춤 부재로서의 걸어맞춤 훅(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훅 시트(92)를 구비한다.
훅 시트(92)는, 걸어맞춤 부재가 형성된 영역이고, 전술한 몸통둘레 유지부는, 훅 시트(92)로부터 제품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훅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구체적으로는,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훅 시트(92) 및 기재 시트(91)는, 점형, 선형 혹은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훅 시트(92) 및 기재 시트(91)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 중첩시킨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91)로는, SB(스펀본드) 또는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복수장인 경우에는, 합계 단위 중량)은, 30∼120 g/m2이고, 바람직하게는 40∼90 g/m2이다.
타깃부(95)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다. 타깃부(95)는, 패스닝 테이프의 걸어맞춤 훅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훅과 루프의 걸림 시스템의 루프로서 기능한다. 타깃부(95)로는,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타깃부(95)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섬유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깃부(95)에 부착된 루프는, 폴리올레핀계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깃부(95)로서, 부피가 큰 부직포이며, 그 일부를 엠보스함으로써 부직포 표면의 보풀 형성을 방지한 부직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외장 시트(60)를 부직포에 의해 형성하고, 패스닝 테이프(90)의 부착 위치를 나타내는 무늬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에 인쇄하거나, 혹은, 이러한 무늬의 시트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의 피부 비접촉면측(S1)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타깃부(95)로 할 수 있다.
<레그 신축부(75)>
레그 신축부(75)는, 흡수체(40)보다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에 형성된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위치가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폭방향 내단 영역(75I)을 갖고 있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는, 특히,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 레그 신축부(75)의 폭방향 내단 영역(75I)은,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속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둘레 개구부(3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위치가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레그 신축부(75)의 폭방향 내단 영역(75I)과 일치하지만,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형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형·띠형의 탄성 부재를, 1개 또는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해도 좋다.
혹은, 예컨대, 레그 신축부(75)는, 소정 개수의 탄성 부재(예컨대, 3개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레그 신축부(75)는, 사이드 플랩(70)과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혹은, 흡수체(40)와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는 백 시트(60a)가 구비되는 영역에서는, 레그 신축부(75)는, 백 시트(60a)와 사이드 플랩(7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서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폭)은,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5 mm 이상 4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mm 이상 3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측정은, 신와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 메저(테이프부: 유리 섬유가 들어 있는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게 하여 행했다(10 샘플).
여기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이 5 mm 미만에서는, 실질적으로 면에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름으로써, 부분적으로 조이는 힘이 집중되지 않고, 탄성 요소에 의한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부하를 낮춘다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이러한 신축성 시트 부재의 폭이 45 mm를 초과하면, (자연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0) 전체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비교하여 다리 둘레 개구부(35)를 따르는 영역이 지나치게 넓어져, 신축성 시트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말리거나, 젖혀지거나 하기 쉬워진다.
레그 신축부(75)의 신축률은, 1.5∼2.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신축부(75)의 신축률은, 1.8∼2.0배로 설정되어 있다.
또, 신축률은, 신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축률=(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축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낸다.
계속해서, 레그 신축부(75)의 배치 영역을 잘라낸다. 이 때, 레그 신축부(75)에 접합되는 외장 시트(60)도 포함시켜 잘라낸다. 잘라낸 후의 레그 신축부(75)의 샘플의 신장률을 측정하고, 레그 신축부(75)의 신장률을 계측한다.
각 샘플에 관해,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60분간 방치하고, 신축 방향을 따라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로 한다.
둘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되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신장 상태에서의 레그 신축부(75)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단의 간격은,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을 향함에 따라 넓어짐과 동시에,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향함에 따라 넓어진다.
착용자의 신체에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하는 경우, 가랑이 아래부에서 좁고 앞뒤의 몸통둘레를 향해 넓어지는 형상으로 레그 신축부(75)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레그 신축부(75)가 착용자의 신체 라인을 따르는 것이 가능해져,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적합하게 레그 신축부(75)가 신장 배치되게 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단부에서의 간격(도면 중의 D1)은,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단부에서의 간격(도면 중의 D2)보다 좁다.
또, 이들 간격은, 일회용 기저귀(10)를 자연 상태로부터 주름이 없는 상태로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으로 확폭하여 유지한 후, 좌우 한쌍의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내측단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착용자 신체의 피부 표면의 신장은, 둔부에 있어서 특히 크고, 그 폭 방향 외측 근처의 위치에서 현저하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있다. 그래서, D2>D1로 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에 착용자의 움직임이 가해진 경우에도, 착용자의 둔부측에서의 레그 신축부(75)가 밀착된 채로 신장될 수 있고, 신장의 변화량이 크더라도 레그 신축부(75)가 팽팽하게 당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레그 신축부(75)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양다리의 간격은, 가랑이 아래부가 가장 좁고, 가랑이 아래부로부터 배측이나 등측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이다.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의 외측 및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다리 둘레 개구부(35) 및 레그 신축부(75)를 배치할 수 있고, 국소적인 응력 집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신장률로 착용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고, 피부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그 신축부(75)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일회용 기저귀(10)를 만곡시켜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는, 제품 폭 방향(W)으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몸통둘레 유지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그 신축부(75)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는, 몸통둘레 유지부와 함께 제품 폭 방향(W)으로 수축하도록 작용한다.
<크로치 신축부(200a)>
다음으로, 크로치 신축부(200a)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장착시에 있어서, 가랑이 아래 영역(25)의 일부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고,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의 양쪽으로 신축 가능해도 좋다.
예컨대, 크로치 신축부(200a)는, 레그 신축부(75)와는 개별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40a)와 중첩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40a)를 싸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이러한 위치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자연 상태)의 60% 이상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분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하고,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하지 않는 부분과 비교하여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에 위치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이나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수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나 웨이스트 주위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크로치 신축부(200a)가 과도하게 신체에 밀착되지 않고,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가 적절히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가,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경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쉬워지고,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서 신체를 따라 평탄한 가랑이 아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기립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배치되도록, 안정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는, 신축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의 일부가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측(피부 비접촉면측(S1))의 표면에 요철의 주름이 형성된다.
이 결과,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또한 촉감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크로치부(200)가 명확히 존재하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크로치 신축부(200a)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신축성 시트에 의해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성 시트를 배치한 영역의 흡수성 코어(40a)가 고르게 수축하여, 평탄한 형상 유지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 신축성 시트는, 예컨대, 레그 신축부(75)와 동일한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형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형·띠형의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를, 서로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탄성 부재의 굵기나 배치하는 피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10)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서의 측가장자리부 전역이 수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끼리의 간격을, 7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를 고르게 수축시키기 위해, 인접하는 탄성 부재의 간격의 차를, 2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은, 1.4배로 설정되어 있다.
신축률은, 신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축률=(최대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축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서 60분간 방치하고, 신축 방향을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로 한다.
둘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서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이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되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신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신장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술한 식으로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2배 이상 1.8배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 피부의 신축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신체 앞쪽이 수축하는 것과 같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면, 착용자의 둔부측의 피부에 있어서, 신체를 늘인 상태에 대하여 30% 정도 신장되는 부위가 존재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2배 미만으로 하면, 자연 상태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고,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서의 흡수체 배치 영역의 수축이 작아,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서 신체를 따르도록 평탄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불충분해지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어긋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신축률을 1.8배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 방향에서의 수축 치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존재하는 영역이, 신체를 따르는 것보다 밀착되는 상태가 되기 쉽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아래측으로 어긋나기 쉬워진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수축량은, 주름이 충분히 작아져, 샘플의 표면이 평활에 가까워지도록 신장된 상태에서의 길이 「b(mm)」와, 샘플의 신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자연 상태에서의 길이 「a(mm)」의 차이고, (b-a)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의 2∼8%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 대하여 장착하는 과정에서,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바람직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기 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8%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지나치게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가 부족하고,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붙이기 어려워지거나, 일회용 기저귀(10) 및 착용자의 신체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과도하게 밀착되어 어긋나기 쉬워지거나 한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수축량을 2% 이하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시킨다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효과 자체가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중심(O2)은,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와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의 비율은, 1.1 이상 1.6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 1.5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이 1.6을 초과하면, 일회용 기저귀(10)의 배측과 등측의 밸런스가 무너져,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크로치 신축부(200a)를 따르게 한 경우에, 앞 몸통둘레 영역(20)이 과도하게 밀착되거나,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필요 이상으로 덮이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신체는, 일반적으로, 하복부보다 둔부가 보다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a)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를 맞춘 후에, 전술한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복잡한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가 보다 알맞은 형상이 된다.
즉, 치수가 부족한 부분이 생기는 것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의 부분적인 팽팽하게 당겨짐이나, 치수가 남는 부분이 생기는 것에 의한 일회용 기저귀(10)와 신체 사이의 불필요한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보행 개시 전 혹은 보행을 개시했을 즈음에 이용하는 유유아의 경우, 신체가 배측을 향해 둥글려진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그와 같은 자세에서는 둔부측의 피부가 신장된 상태가 되기 쉽고, 전술한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이러한 자세를 취하기 쉬운 유유아의 신체에 알맞은 상태가 된다.
일례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400 mm(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에 대하여, 앞 몸통둘레 영역(20)이 130 mm(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되고, 크로치부(200)가 80 mm(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되고,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190 mm(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된다.
이 경우,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자연 상태)의 비율은, 약 1.46이다. 이러한 비율로 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a)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 전체를 더욱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게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전후 방향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일회용 기저귀(10)가 정확하게 적합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디자인이 연동할 수 있게 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a)가 수축한 상태는, 크로치 신축부(200a)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흡수체 배치 영역에서의 비수축 상태와 비교하면 상이한 양태에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시키는 경우에는, 크로치 신축부(200a)를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맞춰 장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가 수축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부위의 강성 또는 두께가,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의 강성 또는 두께와 상이해지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가,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와 일치시킬 부위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 후에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서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고, 일회용 기저귀(10) 자체가 3차원적인 형상이 되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를 따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가 일치하여 장착되는 것이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중앙 위치(O2)에서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W5)(자연 상태)는,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크로치 신축부(200a)의 단부에서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W6)(자연 상태)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의 외관으로 본 형상이, 예컨대 여성 속옷의 가랑이 아래부와 같이 잘록해진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는,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시킬 때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배치되도록 장착하고, 또한 장착 위치가 정확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착용시에도,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에 크로치부(200)가 있는 것을 상기시켜, 보다 속옷에 가까운 이미지를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는,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보다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또,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를 형성하는 대신에,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을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보다 낮아지도록 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품 폭 방향(W)에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L)에서의 길이(자연 상태)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이, 보다 수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에 평탄한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110)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절결부(120)보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평탄한 「바닥부」로부터 기립하여, 착용자의 신체(복부 및 둔부)의 라운딩을 따르도록 만곡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 자체의 형상이 착용자의 몸의 형태에 보다 근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110)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 및 절결부(120)보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형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절결부(110)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이러한 가장자리부보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고, 절결부(120)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이러한 가장자리부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 신체의 라운딩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고 또한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절결부(11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는, 제1 변곡부(115)를 구성하고, 절결부(12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부는, 제2 변곡부(125)를 구성한다.
또, 제1 변곡부(115) 및 제2 변곡부(125)는,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굽힘 기점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제1 변곡부(115) 및 제2 변곡부(125)를 보다 좋은 상태로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a)는, 몸통둘레 유지부(즉, 몸통둘레 유지부를 구성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20), 뒤 몸통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의 움직임에 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자연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에 걸쳐 있고 좌우 대칭이어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을 경계로 하여, 크로치 신축부(200a)의 좌우 폭의 차가 10% 이내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착용자의 신체의 중심에 걸쳐 있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장착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는, 전술한 몸통둘레 유지부 및 탄성 부재(7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에, 비신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으로부터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짧아지고,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부터 가랑이 아래 영역(25)을 향해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짧아져 있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소정 길이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이나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제품 폭 방향의 길이가 긴 영역에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이다.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짧아져 있는 영역과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길어져 있는 영역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의 단위 길이당(예컨대, 10 mm당)의 흡수 용량이 상이하고, 이러한 소정 길이보다 짧아져 있는 영역 쪽이 흡수 용량이 작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 크로치 신축부(200a)에서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고 있는 점과 아울러, 이러한 영역에서는, 적은 배설량이라도 인디케이터(600)가 변색되기 쉽게 착용자의 배설구에 가까운 점에서, 흡수량이 적은 경우에, 이러한 영역이 우선 변색되는 영역이 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한 주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우선, 변색되는 영역(크로치 신축부(200a))과 그 앞뒤에 존재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서 인디케이터(600)의 모습이 상이하게 보인다.
일반적으로, 크로치 신축부(200a)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한 주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는, 이러한 영역과 비신축 영역에서, 이러한 인디케이터(600)의 변색의 모습이 상이하게 보인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면,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착용 보조자는, 이러한 영역에서의 인디케이터(600)의 변색으로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교환하지 않고, 이러한 영역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비신축 영역에서의 인디케이터(600)의 변색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교환하는 기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10)의 과도한 교환을 억제하면서, 적절한 일회용 기저귀(1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릴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0a)의 피부 접촉면측 및 피부 비접촉면측에, 크로치 신축부(200a)의 수축에 의해 요철 형상(주름)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부 접촉면측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주름)은, 피부 비접촉면측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주름)과 비교하여, 요철 형상의 높이가 높으며 또한 요철 형상의 피치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40a)의 피부 접촉면측에서는, 배설물의 액 흐름을 막기 위해, 요철 형상의 높이가 높고 그리고 피치가 큰 것이 필요한 반면, 흡수성 코어(40a)의 피부 비접촉면측에서는, 인디케이터(600)의 시인성을 변화시키면서도 시인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 요철 형상의 높이가 낮고 또한 피치가 작아지도록 컨트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축 시트를 흡수성 코어(40a)보다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하고, 신축성 시트보다 피부 접촉면측의 제품 구성의 두께 쪽이, 신축성 시트보다 피부 비접촉면측의 두께 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인디케이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인디케이터(60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600)는, 크로치 신축부(200a)에 걸쳐 있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시각적으로 변화되는 변색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장착시에, 착용자의 신체(가랑이 아래부)를 따름으로써, 인디케이터(600)가, 착용자의 배설구에 가까운 위치에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인디케이터(600)가 치우쳐서 변색된다는 사태나 착용자의 등측에서만 인디케이터(600)의 변색이 발생한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장착시에, 착용자의 배설구 및 크로치 신축부(200a)가 가깝기 때문에, 최초의 인디케이터(600)의 변색을 안정적으로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있어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6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O)에 대략 평행하게 복수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가, 액불투과성의 신축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600)는, 신축성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S2)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가, 액투과성의 신축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600)는, 크로치 신축부(200a)의 피부 비접촉면측(S1)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술한 인디케이터(600)의 변화(변색)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면측(S1)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예컨대, 인디케이터(600)가, 신축성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S2)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축성 시트의 광선 투과율은, 60% 이상 8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러한 광선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JIS-K7105의 규격에 준거하여 행한다. 여기서, 색차계로는, 닛폰 덴쇼쿠 공업(주) 교조 측광식 색차계 Z-300A를 이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10)로부터 취출한 측정 대상으로 하는 시트를, 폭 5 mm 및 길이 5 mm의 샘플로 하고, 탁도계에 협지하여 TT 치를 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TT 치를 전광선 투과율(%)로서 기록한다.
또, 이러한 측정에 관해 10 샘플에서 행하고, 그 평균치를 광선 투과율(%)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면측(S1)으로부터, 인디케이터(600)의 변화(변색)에 관해, 착용 보조자에게 있어 시인이 용이해진다.
흡수성 코어(40a)와 크로치 신축부(200a)가 중첩되는 영역에서의 가장 짧은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폭)에 대하여,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폭)가, 60% 이상 120%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600)는, 흡수성 코어(40a)와 크로치 신축부(200a)가 중첩되는 영역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으로 크로치 신축부(200a)를 넘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 및 인디케이터(600)를,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도록 들어 올려, 착용자의 신체를 따른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착용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의 수축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부분적으로 수축되어,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비접촉면측(외측)으로부터 상기 부위를 본 경우에, 평탄에 가까운 양태의 외관(형상)으로 할 수 있고, 크로치 신축부(200a)에 배치되어 있는 인디케이터(600)를 보다 시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폭)가,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비교하여 지나치게 좁으면, 크로치 신축부(200a)를 평탄하게 유지하면서, 흡수성 코어(40a)를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도록 들어 올리는 효과가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폭)가,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비교하여 지나치게 길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수축해 버려, 크로치 신축부(200a)의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대퇴부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걸리기 쉬워져 버려, 착용감을 저해시킨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a)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는, 보다 수축된 상태에서 장착되기 때문에, 부재끼리의 중첩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크로치 신축부(200a)가 딱딱해져, 착용감을 저해시킨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하지 않는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은 일례이며, 다른 제조 방법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제조 방법은, 구성 부품 형성 공정과, 구성 부품 적재 공정과, 다리 둘레 형성 공정과, 크로치 신축 형성 공정과, 절단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구성 부품 형성 공정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흡수 재료를 적층하여 흡수체(40)를 성형한다.
구성 부품 적재 공정에서는, 백 시트(60a)를 구성하는 웹 상에, 레그 신축부(75)를 구성하는 신축성 시트나, 톱 시트(50)를 구성하는 웹 등의 다른 웹이나, 누설 방지 시트나, 흡수체(40) 등의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을 적재한다.
다리 둘레 형성 공정에서는, 레그 신축부(75)의 MD 방향의 외측 단부를 따라, 톱 시트(50), 외장 시트(60) 및 백 시트(60a)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35)가 형성된다.
크로치 신축 형성 공정에서는, 비신장 상태에서(단, 반송에 필요한 텐션은 가해지고 있음), 크로치 신축부(200a)를 구성하는 시트를 반송하고, 2개의 롤을 이용하여 연신(프리스트레치) 롤의 속도차로 연신한다.
그 후, 전사 드럼 상에, 이러한 시트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고, 제품 개개의 길이로 전사 드럼 상에서 커트하고, 이러한 전사 드럼의 회전에 따라 리피치하고, 연속 웹 상에 전사한다.
절단 공정에서는, 톱 시트(50)나 백 시트(60a)나 흡수체(40) 등이 배치된 연속체를, MD 방향을 따라 1제품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10)가 제조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에 의해 수축된 흡수성 코어(40a)가,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평탄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장착시의 좌우 어긋남이나 전후 어긋남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장착 중에,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배치되어 있는 평탄하게 유지되는 영역이 잘 절곡되지 않게 되고, 인디케이터(600)가, 착용 보조자로부터 항상 보기 쉬운 위치에 유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되기 때문에,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높은 단위 중량이 되며, 또한, 흡수체(40)의 표면에 완만한 요철이 생기기 때문에, 배설액의 표면 흐름이 잘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흡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흡수체(40)의 흡수 용량을 초과한 경우, 전술한 비신축 영역에서의 인디케이터(600)가 변색되므로, 착용 보조자는, 배설액의 흡수량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일회용 기저귀(10)의 교환을 피하고, 적절한 타이밍에 일회용 기저귀(10)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47936호(2012년 11월 9일 출원)의 전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착용자에 대한 장착을 안정시켜, 인디케이터를 적절히 반응시킬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10: 일회용 기저귀, 20: 앞 몸통둘레 영역, 25: 가랑이 아래 영역, 30: 뒤 몸통둘레 영역, 35: 다리 둘레 개구부, 40: 흡수체, 40a: 흡수성 코어, 40b: 코어 랩, 50: 톱 시트, 60a: 백 시트, 60: 외장 시트, 61: 시트, 70: 사이드 플랩, 71: 탄성 부재, 75: 레그 신축부, 80: 레그 사이드 개더, 81: 접합 부분, 82: 자유단 부분, 90: 패스닝 테이프, 95: 타깃부, 100: 웨이스트 신축부, 110, 120: 절결부, 115: 제1 변곡부, 125: 제2 변곡부, 200: 크로치부, 200a: 크로치 신축부, 600: 인디케이터

Claims (7)

  1.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을 가지며,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있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다리 둘레 개구부를 따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걸쳐 있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레그 탄성 부재와,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몸통둘레 유지부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중심에 걸쳐 있고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 가능한 크로치 신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몸통둘레 유지부 및 상기 레그 탄성 부재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측 및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측에, 비신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에 걸쳐 있고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분과 접촉하면 시각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변화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코어를 갖고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향해 짧아지고,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을 향해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짧아져 있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코어를 갖고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이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피부 접촉면측 및 피부 비접촉면측에,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수축에 의해 요철 형상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부 접촉면측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은,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과 비교하여, 높이가 높으며 또한 피치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와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의 비율은, 1.1 이상 1.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코어를 갖고 있고,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상기 제품 폭 방향에서의 길이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 방향에서의 길이의 비율은, 60% 이상 1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수축량은,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의 2% 이상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신축부는, 신축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인디케이터보다 피부 비접촉면측에, 상기 신축 시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축 시트의 광선 투과율은, 60% 이상 8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57013215A 2012-11-09 2013-11-08 일회용 기저귀 KR101947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7936 2012-11-09
JP2012247936A JP5255150B1 (ja) 2012-11-09 2012-11-09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3/080238 WO2014073636A1 (ja) 2012-11-09 2013-11-08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94A true KR20150083094A (ko) 2015-07-16
KR101947227B1 KR101947227B1 (ko) 2019-02-12

Family

ID=4905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215A KR101947227B1 (ko) 2012-11-09 2013-11-08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5255150B1 (ko)
KR (1) KR101947227B1 (ko)
CN (1) CN104780879B (ko)
AU (1) AU2013342427B2 (ko)
MY (1) MY167585A (ko)
SG (1) SG11201503561RA (ko)
TW (1) TWI598082B (ko)
WO (1) WO2014073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2678B1 (en) 2003-02-12 2019-03-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DE60331115D1 (de) 2003-02-12 2010-03-11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PL2717823T5 (pl) 2011-06-10 2019-09-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CN103607989B (zh) 2011-06-10 2017-05-24 宝洁公司 用于吸收制品的吸收结构
MX2013014596A (es) 2011-06-10 2014-01-24 Procter & Gamble Centro de absorbente para articulos absorbentes desechables.
RU2630211C1 (ru) 2011-06-10 2017-09-05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подгузники
JP5291212B2 (ja) 2012-02-0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使い捨ておむつ
JP5977649B2 (ja) * 2012-11-09 2016-08-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193391B2 (ja) 2012-11-13 2017-09-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及びシグナルを備えた吸収性物品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PL2740449T3 (pl) 2012-12-10 2019-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ykuł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CN110013386B (zh) 2013-08-27 2021-10-01 宝洁公司 具有通道的吸收制品
US10292875B2 (en) 2013-09-16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886092B1 (en) 2013-12-19 2016-09-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c-wrap seals
EP2949299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CN107405223B (zh) 2015-03-16 2021-03-02 宝洁公司 具有改善的强度的吸收制品
GB2555016B (en) 2015-03-16 2021-05-12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CA2985807A1 (en) 2015-05-12 2016-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WO2016196069A1 (en) 2015-05-29 2016-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JP3218598U (ja) * 2018-08-14 2018-10-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653A (ja) * 1995-06-07 1999-06-15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伸縮性を有する衣類
KR20030011656A (ko) * 2001-07-30 2003-02-1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US20040064126A1 (en) * 1999-11-22 2004-04-01 Fletcher Amy Lyn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JP2004337385A (ja) 2003-05-16 2004-12-02 Kao Corp 吸収性物品
US20050065489A1 (en) * 2003-09-24 2005-03-24 Driskell Stacy J. Disposable Absorbent Artcle with Wetness Indicator
JP2008136515A (ja) * 2006-11-30 2008-06-19 Oji Nepia Kk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09145287A1 (ja) * 2008-05-29 2009-1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0279612A (ja) * 2009-06-05 2010-12-16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13158572A (ja) * 2012-02-07 2013-08-19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KR20140091613A (ko) * 2011-11-22 2014-07-2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597B2 (ja) * 2001-08-31 2011-04-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767875B2 (en) * 2001-12-31 2010-08-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indicator for alerting a wearer to urination
EP1875819B1 (en) * 2005-04-28 2010-08-11 Zuik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wearing article
JP4934499B2 (ja) * 2007-05-18 2012-05-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49942B2 (ja) * 2011-03-08 2015-07-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653A (ja) * 1995-06-07 1999-06-15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伸縮性を有する衣類
US20040064126A1 (en) * 1999-11-22 2004-04-01 Fletcher Amy Lynn Absorbent articles with refastenable side seams
KR20030011656A (ko) * 2001-07-30 2003-02-1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JP2004337385A (ja) 2003-05-16 2004-12-02 Kao Corp 吸収性物品
US20050065489A1 (en) * 2003-09-24 2005-03-24 Driskell Stacy J. Disposable Absorbent Artcle with Wetness Indicator
JP2008136515A (ja) * 2006-11-30 2008-06-19 Oji Nepia Kk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09145287A1 (ja) * 2008-05-29 2009-1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0279612A (ja) * 2009-06-05 2010-12-16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KR20140091613A (ko) * 2011-11-22 2014-07-2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JP2013158572A (ja) * 2012-02-07 2013-08-19 Uni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503561RA (en) 2015-06-29
JP5255150B1 (ja) 2013-08-07
MY167585A (en) 2018-09-20
KR101947227B1 (ko) 2019-02-12
CN104780879B (zh) 2018-03-30
CN104780879A (zh) 2015-07-15
JP2014094194A (ja) 2014-05-22
WO2014073636A1 (ja) 2014-05-15
TWI598082B (zh) 2017-09-11
AU2013342427B2 (en) 2017-07-20
AU2013342427A1 (en) 2015-06-18
TW201440740A (zh) 201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227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1768350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150063961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50090098A (ko) 일회용 기저귀
KR102153151B1 (ko) 일회용 기저귀
WO2014084230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3212193A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40122741A (ko)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KR20140091613A (ko) 일회용 기저귀
JP6200677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030933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453251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91213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40092927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60037884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60144386A (ko) 일회용 기저귀
TWI581776B (zh) Disposable disposable diaper
KR102312228B1 (ko) 일회용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