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641A - 게임기, 그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게임기, 그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641A
KR20150082641A KR1020157015809A KR20157015809A KR20150082641A KR 20150082641 A KR20150082641 A KR 20150082641A KR 1020157015809 A KR1020157015809 A KR 1020157015809A KR 20157015809 A KR20157015809 A KR 20157015809A KR 20150082641 A KR20150082641 A KR 2015008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touch operation
designated
evaluation
specific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888B1 (ko
Inventor
다카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15008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09Input means, e.g. buttons,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8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pressure sensors, e.g.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involving timing of operations, e.g. performing an action within a time sl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7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daptively or by learning from player actions, e.g. skill level adjustment or by storing successful combat sequences for re-us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5Games involving skill, e.g. dexterity, memory, th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4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mapp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input arrangement into game comm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게임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기를 제공한다. 게임기(GM)는 터치 조작을 평가하는 음악 게임을 제공한다. 또한, 게임(GM)은 게임 영역(31) 내의 복수의 위치가 터치 조작된 경우에, 그 복수의 터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게임기(GM)는 터치 패널(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조작 위치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특정한 위치를,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 위치를 기준으로 취득하고, 그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터치 조작에 대한 평가로서 특정한 위치를 평가한다.

Description

게임기, 그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GAME MACHINE, AND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MPLOYED THEREUPON}
본 발명은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평가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 그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평가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가 존재한다. 이러한 게임의 하나로서, 플레이 행위로서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가 오브젝트를 통해서 안내되는 대전형의 음악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 497153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게임 시스템에서는, 터치 조작이 터치 패널을 통해서 검출되고, 그 터치 조작의 위치 및 시기가 평가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게임 시스템에서는,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 즉 오브젝트 자체를 터치하는 조작이 평가된다. 즉, 평가되는 터치 조작의 위치가 오브젝트에 의해 명확화되어 있다. 결과로서, 플레이어는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위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게임의 난이도는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게임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기, 그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게임기는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평가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소정 범위 내의 복수의 위치가 지정된 경우, 상기 플레이 행위에 의해 지정된 복수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는 지정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특정한 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취득하는 특정 위치 취득 수단과, 상기 특정 위치 취득 수단의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하는 위치 평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복수의 지정 위치가 검출된다. 그리고, 복수의 지정 위치와는 상이한 특정한 위치가 평가된다. 즉, 플레이어에 의해 실제로 지정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가 평가된다. 이로 인해, 지정 위치 자체가 평가되는 경우에 비하여, 플레이 행위와 평가 결과의 관련성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자기의 플레이 행위와, 평가 대상의 특정한 위치의 관련을 고려하면서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의해, 지정 위치 자체가 평가되는 경우에 비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로서, 게임의 내용에 변경을 가하지 않고, 게임의 흥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기의 일 형태에서, 상기 게임은 상기 위치 평가 수단에 의해 상기 특정한 위치가 평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에 대한 평가가 실행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특정한 위치만이 평가되는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정 위치가 평가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난이도가 높은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기의 일 형태에서,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에는 상기 소정 범위 내의 하나의 위치를 지정하는 통상 플레이 행위 및 상기 복수의 위치를 지정하는 특별 플레이 행위가 포함되고, 상기 위치 평가 수단은 상기 통상 플레이 행위가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를 평가하는 한편, 상기 특별 플레이 행위가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의 평가 대신에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위치 및 상기 특정한 위치 중 어느 한쪽을 평가해도 좋다. 이 경우, 통상 플레이 행위 및 특별 플레이 행위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에서, 상기 게임은 상기 통상 플레이 행위 및 상기 특별 플레이 행위를 서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통상 플레이 행위 및 특별 플레이 행위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구분 사용을 평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게임기의 일 형태에서, 상기 위치 평가 수단은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간을 직선으로 연결한 경우의 거리가 길수록 평가가 높아지도록,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해도 좋다. 복수의 위치를 지정하는 경우, 서로의 거리가 이격될수록 의도적인 지정이 어려워지는 케이스가 많다. 따라서, 이 경우, 의도적인 지정의 어려움을 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기는 각종 게임을 제공해도 좋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게임기의 일 형태에서,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실행해야 할 기준 시기가 기술된 기준 시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기준 시기에 대응하는 지시 표지 및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기준 표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시간순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시 표지가 상기 지시 표지에 의해 나타내어져야 할 기준 시기에 상기 기준 표지에 일치하도록 시간의 진행에 따라서 상기 지시 표지 및 상기 기준 표지 사이에 상기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상대적 변위를 발생시킴으로써, 각 기준 시기를 플레이어에게 안내하는 게임이 상기 게임으로서 채용되어도 좋다. 또한, 이 형태에서, 상기 게임은 복수의 기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게임 영역 내를 상기 지시 표지가 상기 지시 표지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시기에 상기 복수의 기준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도달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시 표지가 도달한 기준부가 상기 기준 표지로서 기능함과 함께, 상기 플레이 행위에 따라서 다음 기준부를 향하는 상기 지시 표지의 이동 경로가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대적 변위는 상기 지시 표지가 상기 기준 표지를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발생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들 형태에서 상기 위치 평가 수단은 상기 지시 표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함과 함께, 상기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플레이 행위가 실행된 시기를 평가해도 좋다.
지시 표지 및 기준 표지를 이용해서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실행해야 할 시기가 안내되는 형태의 하나로서, 악곡을 재생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와, 상기 악곡을 재생시키기 위한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악곡을 재생시키는 악곡 재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준 시기로서, 상기 악곡 중의 시기가 사용되는 형태가 채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게임기는 음악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음악 게임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소정의 플레이 행위가 평가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소정 범위 내의 복수의 위치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플레이 행위에 의해 지정된 복수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는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게임기에 적용되고, 상기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특정한 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취득하는 특정 위치 취득 수순과, 상기 특정 위치 취득 수순의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하는 위치 평가 수순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게임기용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의 플레이 행위가 평가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소정 범위 내의 복수의 위치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플레이 행위에 의해 지정된 복수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는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게임기에 내장되는 컴퓨터를, 상기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특정한 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취득하는 특정 위치 취득 수단 및 상기 특정 위치 취득 수단의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하는 위치 평가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게임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게임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게임기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모니터에 표시되는 게임 영역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통상 터치 조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특별 터치 조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2군데에 터치하는 특별 터치 조작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거리 평가 데이터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터치 판별 처리 루틴의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특별 터치 평가 처리 루틴의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게임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게임기 GM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게임기 GM은, 소정의 대가의 소비와 맞바꾸어, 그 대가에 상응한 범위의 음악 게임을 제공하는 업무용(상업용) 게임기이다. 음악 게임은,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서 플레이어에게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요구하는 게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임기 GM은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의 상면에는, 플레이어 P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모니터(3)가 배치되어 있다. 모니터(3)의 표면에는, 지정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투명한 터치 패널(4)이 중첩되어 있다. 터치 패널(4)은, 플레이어 P가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면, 그 접촉 위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공지된 입력 장치이다. 또한, 터치 패널(4)은, 예를 들어 적외선 센터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게임기 GM에는, 그 밖에도 선택 혹은 결정을 하기 위한 버튼, 전원 스위치, 볼륨 조작 스위치, 전원 램프와 같은 통상의 업무용 게임기가 구비되어 있는 각종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도 1에서는 그들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게임기 GM의 제어계에 관하여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게임기 GM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임기 GM은 제어 유닛(10) 및 기억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유닛(1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기억 장치(일례로서 ROM 및 RAM) 등의 각종 주변 장치를 조합한 컴퓨터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유닛(10)에는, 전술한 모니터(3) 및 터치 패널(4) 외에, 예를 들어 그 밖에도 음성 출력 장치(14)가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3)는, 제어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게임 화면 등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4)은 플레이어 P의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제어 유닛(10)에 출력한다. 음성 출력 장치(14)는, 제어 유닛(1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재생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음성(악곡 등을 포함함)을 재생 출력한다.
또한, 기억 장치(20)는 제어 유닛(10)에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20)는, 전원의 공급이 없어도 기억을 유지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DVDROM, CDROM 등의 광학식 기억 매체, 또는 EEPROM 등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 장치(20)에는, 게임 프로그램(21)이 기억되어 있다. 게임 프로그램(21)은, 게임기 GM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제어 유닛(10)이 게임 프로그램(21)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제어 유닛(10)의 내부에는 게임 제공부(26)가 설치된다.
게임 제공부(26)는, 게임기 GM에서의 게임의 개시, 진행 및 종료의 관리 및 플레이 요금(소정의 대가)의 징수와 같은 게임의 플레이에 관련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게임 제공부(26)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논리적 장치이다. 또한, 제어 유닛(10)의 내부에는, 그 밖에도 각종 논리적 장치가 설치될 수 있지만, 그들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기억 장치(20)에는 게임 프로그램(21)의 실행에 수반하여 참조될 수 있는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게임 중의 각종 오브젝트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 게임 중의 각종 효과음을 재생하기 위한 효과음 데이터 및 음악 게임을 제공할 때의 악곡을 재생하기 위한 악곡 데이터(27)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각종 데이터에는 기준 시기 데이터로서의 시퀀스 데이터(28) 및 거리 평가 데이터(29)가 포함된다. 시퀀스 데이터(28) 및 거리 평가 데이터(29)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게임기 GM에서 제공되는 음악 게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악 게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서 플레이어에게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요구하는 게임이다. 게임기 GM에서는, 이러한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게임 화면 내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터치 조작을 채용하는 음악 게임이 제공된다. 또한, 이 음악 게임은, 예를 들어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에 대응하는 지시 표지로서의 오브젝트가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기준 표지로서의 기준 라인으로부터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시간순으로 배치됨과 함께, 그 오브젝트가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에 기준 라인에 도달하도록 시간의 진행에 따라서 소정 범위로서의 게임 영역 내를 이동함으로써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례로서, 게임기 GM이 제공하는 음악 게임은, 게임 영역 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기준 라인간을 이동함과 함께, 플레이어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다음의 기준 라인을 향해서 이동하는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게임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각 변 근처에 각 기준 라인이 배치되어 있는 게임 영역이 이용된다. 그리고, 플레이어에게는 오브젝트의 기준 라인으로의 도달에 맞추어서, 이 오브젝트에 대한 적절한 터치 조작이 요구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그 터치 조작이 실제로 실행된 시기와 그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 사이의 어긋난 시간이 평가된다. 또한, 그 평가는 어긋난 시간이 작을수록 높다. 게임기 GM은, 일례로서, 이러한 음악 게임을 제공한다. 또한, 오브젝트의 모든 기준 라인으로의 도달이 평가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음악 게임은 복수의 기준 라인의 특정한 하나를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평가되는 특정한 기준 라인이 본 발명의 기준 표지로서 기능하고, 그 밖의 기준 라인이 본 발명의 기준부로서 기능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게임기 GM이 제공하는 음악 게임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모니터(3)에 표시되는 게임 영역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게임 영역의 일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준 라인 부근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임 영역(31) 내에는 기준 라인(32)을 향해서 이동하는 오브젝트(33)가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브젝트(33)는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에 기준 라인(32)에 도달하도록 게임 영역(31) 내의 이동 경로 W 상을 이동한다. 그리고, 플레이어에게는 오브젝트(33)의 기준 라인(32)으로의 도달에 맞추어서, 오브젝트(33)에 대한 적절한 터치 조작이 요구된다.
적절한 터치 조작은, 일례로서, 통상 플레이 행위로서의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플레이 행위로서의 특별 터치 조작의 2개의 조작을 포함하고 있다. 통상 터치 조작으로서, 예를 들어 오브젝트(33)의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조작이 채용된다. 도 4는, 통상 터치 조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4는 적절한 시기에 통상 터치 조작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터치 조작으로서 오브젝트(33)의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조작이 채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오브젝트(33)의 기준 라인(32)으로의 도달에 맞추어서 오브젝트(33) 자체의 위치가 플레이어에 의해 터치된다. 즉, 이 오브젝트(33)에 대응하는 하나의 위치가 터치 조작된다. 그리고, 이 터치 조작이 실제로 실행된 시기와 이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 사이의 어긋난 시간이 평가된다.
한편,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예를 들어 오브젝트(33)의 위치는 아니지만, 오브젝트(33)의 위치에 대한 터치 조작과 마찬가지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조작이 채용된다. 이러한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예를 들어 오브젝트(33)의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 및 세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의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이 채용된다. 도 5는, 특별 터치 조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5는 적절한 시기에 특별 터치 조작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2군데에 대한 조작이 채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한 위치가 오브젝트(33)의 위치와 일치하면, 오브젝트(33)에 대한 터치 조작으로 간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터치 조작 위치를 기준 라인(32)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로 방향 X 및 가로 방향 X와 직교하는 세로 방향 Y로 연장한 경우에 서로 연장선이 교차하는 위치가 특정한 위치로서 이용된다. 즉, 특정한 위치로서, 터치 조작이 실행된 어느 위치와도 상이한 위치가 이용된다. 도 5의 예에서는, 오브젝트(33)의 중심 위치 C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 X, 즉 기준 라인(32)을 따르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제1 위치 FT 및 세로 방향 Y, 즉 기준 라인(3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제2 위치 ST의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이 오브젝트(33)의 위치에 대한 터치 조작과 마찬가지로 취급되고 있다. 또한, 이들 제1 위치 FT 및 제2 위치 ST가 본 발명의 지정 위치로서 기능한다.
도 6은, 2군데에 터치하는 특별 터치 조작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일례로서, 가로 방향 X 및 세로 방향 Y의 위치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3종류의 특별 터치 조작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예는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 및 제1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1의 조합에 의한 제1 특별 터치 조작,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 및 제2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2의 조합에 의한 제2 특별 터치 조작 및 제2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2 및 제2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2의 조합에 의한 제3 특별 터치 조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 및 제2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2는 모두 오브젝트(33)로부터 가로 방향 X로 어긋나 있다. 한편, 제1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1 및 제2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2는 모두 오브젝트(33)로부터 세로 방향 Y로 어긋나 있다. 따라서, 제1 특별 터치 조작 내지 제3 특별 터치 조작 중 어느 것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한 위치도 오브젝트(33)의 위치와 일치한다. 즉, 이들 제1 특별 터치 조작, 제2 특별 터치 조작 및 제3 특별 터치 조작 모두 적절한 터치 조작으로서 통상 터치 조작과 마찬가지로 평가된다.
또한,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보다도 제2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2 쪽이 오브젝트(33)로부터 가로 방향 X로 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1보다도 제2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2 쪽이 오브젝트(33)로부터 세로 방향 Y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의 가로 방향 X에 관한 오브젝트(33)로부터의 거리와 제1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1의 세로 방향 Y에 관한 오브젝트(33)로부터의 거리는 동일한 정도이다. 한편, 제2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2의 세로 방향 Y에 관한 오브젝트(33)로부터의 거리는,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의 가로 방향 X에 관한 오브젝트(33)로부터의 거리보다도 이격되어 있다. 즉,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 및 제2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2의 오브젝트(33)로부터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다. 즉, 이러한 오브젝트(33)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한 조합도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통상 터치 조작과 마찬가지로 평가된다.
특별 터치 조작은 오브젝트(33)로부터 이격된 위치가 터치될수록 높게 평가된다. 도 6의 예에서는,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과 제1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1 사이의 제1 간격 D1보다도 제1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1과 제2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2 사이의 제2 간격 D2 쪽이 간격은 크다. 따라서, 제2 특별 터치 조작 쪽이 제1 특별 터치 조작보다도 평가는 높다. 또한, 제2 간격 D2보다도 제2 가로 방향 터치 위치 X2와 제2 세로 방향 터치 위치 Y2 사이의 제3 간격 쪽이 간격은 크다. 따라서, 제3 특별 터치 조작 쪽이 제2 특별 터치 조작보다도 평가는 높다. 제1 간격 D1, 제2 간격 D2 및 제3 간격 D3은, 모두 각 터치 위치간을 직선으로 연결한 거리이다. 즉, 특별 터치 조작의 평가는 2 터치 위치간의 거리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제1 특별 터치 조작, 제2 특별 터치 조작, 제3 특별 터치 조작의 순으로 높다.
또한, 2군데 이상의 위치가 터치 조작되고 있는 경우에는, 터치 조작이 되고 있는 위치 자체는 평가되지 않는다. 즉, 특별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통상 터치 조작 대신에 특별 터치 조작이 평가된다. 결과로서,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 중 어느 한쪽만이 평가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실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특별 터치 조작의 평가 결과는 터치 위치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통상 터치 조작보다도 높다. 즉, 특별 터치 조작을 실행한 쪽이 게임 결과는 좋다. 따라서, 특별 터치 조작은 플레이어가 보다 높은 평가를 얻고 싶은 경우에 실행된다. 그리고, 보다 높은 평가를 얻고 싶은 플레이어는 오브젝트(33)로부터 보다 이격된 2군데의 위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2종류의 적절한 터치 조작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음악 게임이 게임기 GM에 의해 제공된다.
이어서, 시퀀스 데이터(28) 및 거리 평가 데이터(29)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퀀스 데이터(28)는 적절한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퀀스 데이터(28)에는 기준 시기로서 적절한 터치 조작을 실행해야 할 시기가 악곡 중의 시기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시퀀스 데이터(28)에 기술된 시기는, 음악 게임 중에서 오브젝트(33)가 기준 라인(32)에 도달하는 시기로서 사용된다. 또한, 시퀀스 데이터(28)는 악곡의 종류 또는 난이도에 따라서 준비된다.
거리 평가 데이터(29)는 특별 터치 조작의 평가 결과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리 평가 데이터(29)에는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실행된 2군데의 터치 조작 위치간의 거리에 따른 평가 결과가 정의되어 있다. 도 7은, 거리 평가 데이터(29)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 평가 데이터(29)는 거리 및 평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거리 평가 데이터(29)는 이들 정보가 서로 대응되도록 기술된 레코드의 집합이다.
거리는,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실행된 2군데의 터치 조작 위치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거리의 정보로서, 하한 거리로부터 상한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일정 범위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가 이용된다. 평가는,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평가에는 평가가 관련지어지는 거리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 부여해야 할 평가의 정보가 기술된다. 일례로서, 도 7에서는 "A", "B"와 같은 거리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A"는 "10mm 내지 30mm"와 같은 범위의 거리에, "B"는 "31mm 내지 60mm"와 같은 범위의 거리에 각각 관련지어진다. 한편, "1.2", "1.5"와 같은 평가의 정보가 각 거리의 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다. 예를 들어, "1.2"는 통상 터치 조작을 "1"로 한 경우의 배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7의 예에서는, 2군데의 터치 조작 위치간의 거리가 "A"에 대응하는 "10mm 내지 30mm"인 경우에는, 통상 터치 조작의 1.2배의 평가가 얻어진다라는 식으로 거리 및 평가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거리 평가 데이터(29)는,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실행된 2군데의 터치 조작 위치간의 거리가 일정 범위마다 구분되고, 그 구분마다 평가 결과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이어서, 터치 판별 처리 및 특별 터치 평가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터치 판별 처리는,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을 판별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한편, 특별 터치 평가 처리는 특별 터치 조작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터치 판별 처리 및 특별 터치 평가 처리는, 예를 들어 게임 제공부(26)를 통해서 제어 유닛(1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이들 처리 이외에도 제어 유닛(10)은, 예를 들어 게임 제공부(26)를 통해서, 게임 영역(31) 내에서 오브젝트(33)를 적절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 또는 통상 터치 조작을 평가하기 위한 통상 터치 평가 처리와 같은 음악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주지의 처리를 실행하지만,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터치 판별 처리 루틴의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루틴은, 예를 들어 게임 중에 소정의 주기로 반복 실행된다. 도 8의 루틴을 개시하면, 게임 제공부(26)는 우선 스텝 S11에서,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이 소정의 시차 내에 실행되었는지 여부, 즉 특별 터치 조작을 의도한 터치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가 긍정적 결과인 경우, 즉 소정의 시차 내에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그리고,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12에서 특별 터치 평가 처리를 실행하고, 이번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1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 결과인 경우, 즉 소정의 시차 내에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 게임 제공부(26)는 터치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가 부정적 결과인 경우, 즉 터치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게임 제공부(26)는 이후의 처리를 스킵하고, 이번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3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 결과인 경우, 즉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하나의 위치에 대한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 또는 소정의 시차 내에는 하나의 위치에 대한 터치 조작밖에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 터치 조작이 실행되었다고 판별된다. 따라서, 계속되는 스텝 S14에서, 게임 제공부(26)는 통상 터치 평가 처리를 실행하고, 이번 루틴을 종료한다. 이에 의해, 통상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통상 터치 평가 처리가, 특별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특별 터치 평가 처리가 실행된다. 즉, 도 8의 루틴에 의해, 통상 터치 평가 처리 및 특별 터치 평가 처리가 선택적으로 실행되고,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 중 어느 한쪽이 평가된다. 또한, 통상 터치 평가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지된 처리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특별 터치 평가 처리 루틴의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루틴은, 예를 들어 도 8의 루틴의 스텝 S12에서 호출되어서 실행된다. 도 9의 루틴을 개시하면, 스텝 S21에서, 게임 제공부(26)는 실행된 2군데의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특정한 위치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제공부(26)는 각 터치 조작의 위치를 세로 방향 Y 및 가로 방향 X로 연장하고, 그들 연장선이 직교하는 위치를 특정한 위치로서 산출한다. 또한, 특정한 위치로서 2군데가 산출되기 때문에, 이후에서는 그들 2군데의 양쪽이 특정한 위치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그리고, 2군데의 특정한 위치 중 각 처리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쪽이 이후의 처리에서 특정한 위치로서 이용된다. 또한, 특정한 위치는 산출에 의해 취득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한 위치를 취득 가능한 테이블이 미리 준비되고, 그 테이블로부터 특정한 위치가 취득되어도 좋다.
계속되는 스텝 S22에서,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1에서 산출한 특정한 위치가 기준 라인(32)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소정의 영역으로서, 기준 라인(32) 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영역이 채용된다. 즉, 소정의 영역으로서, 기준 라인(32)으로부터 세로 방향 Y로 소정 거리 내의 영역이 채용된다. 그리고, 이 판별 결과가 부정적 결과인 경우, 즉 특정한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게임 제공부(26)는 이후의 처리를 스킵하고, 이번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2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 결과인 경우, 즉 스텝 S21에서 산출한 특정한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에서,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1에서 산출한 특정한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기준 라인(32) 및 그 기준 라인(32)에 관하여 시퀀스 데이터(28) 상에서 시간적으로 가장 접근한 시기를 판별한다.
계속되는 스텝 S24에서,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3에서 특정한 시기와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 중 늦은 쪽의 터치 조작의 시기 사이의 어긋난 시간을 취득한다. 다음 스텝 S25에서,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4에서 취득한 어긋난 시간이 평가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 판별은, 예를 들어 늦은 쪽의 터치 조작의 시기가 평가 범위 내로 설정된 복수의 레벨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복수의 레벨은 평가 범위를 일정 기간마다 구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퀀스 데이터(28)로 정의되는 시기를 중심으로 그 시기 전후를 일정 기간마다 구분함으로써, 평가 범위에 복수의 레벨이 설정된다. 그리고, 늦은 쪽의 터치 조작의 시기가 중심 시기에 가까운 구분에 속할수록 높게 평가된다. 이 판별 결과가 부정적 결과인 경우, 즉 늦은 쪽의 터치 조작이 평가 범위 내에 실행되지 않은 경우, 게임 제공부(26)는 이후의 처리를 스킵하고, 이번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5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 결과인 경우, 즉 늦은 쪽의 터치 조작이 평가 범위 내에 실행된 경우,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6에서,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1에서 산출한 특정한 위치와 오브젝트(33)의 위치 사이의 위치의 어긋남을 취득한다. 계속되는 스텝 S27에서,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6에서 취득한 위치의 어긋남이 평가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평가 범위로서, 예를 들어 오브젝트(33)의 외주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범위가 설정된다. 즉,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7에서, 위치의 어긋남이 오브젝트(33)의 외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수용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가 부정적 결과인 경우, 즉 위치의 어긋남이 오브젝트(33)의 외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수용되지 않는 경우, 게임 제공부(26)는 이후의 처리를 스킵해서 이번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7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 결과인 경우, 즉 위치의 어긋남이 오브젝트(33)의 외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수용되는 경우,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8로 진행한다. 스텝 S28에서, 게임 제공부(26)는 2군데의 터치 조작의 위치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 거리로서, 예를 들어 2군데의 터치 조작의 위치간을 최단 거리(직선)로 연결한 경우의 거리가 이용된다.
계속되는 스텝 S29에서,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8에서 산출한 거리에 기초하여 평가를 결정한다. 이 평가는, 예를 들어 거리 평가 데이터(29)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제공부(26)는 우선 스텝 S28에서 산출한 거리가 거리 평가 데이터(29) 중 어느 거리 범위에 속하는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거리 범위에 대응하는 평가를 이번 특별 터치 조작에 대한 평가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게임 제공부(26)는 스텝 S29의 평가를 실행한다. 스텝 S29의 처리를 종료하면, 게임 제공부(26)는 이번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이 처리에 의해 결정된 평가 결과는 모니터(3)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이 통상 터치 조작과 마찬가지로 평가된다. 또한, 2군데의 터치 위치간의 거리가 클수록 거리 평가 데이터(29)에 기초하여 높게 평가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루틴에 의해, 2군데의 터치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그 2군데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한 위치가 평가 대상으로서 사용되고, 터치 조작의 위치 자체는 평가되지 않는다. 즉, 이 루틴에 의해, 2군데가 터치 조작된 경우에는, 통상 터치 조작이 아니라,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특정한 위치만이 평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형태에 의하면 통상 터치 조작뿐만 아니라, 특별 터치 조작도 평가된다. 특별 터치 조작은, 특별 터치 조작을 실행한 위치(2군데)와 평가 대상의 특정한 위치의 관계가 통상 터치 조작일수록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특별 터치 조작은 통상 터치 조작에 비해서 난이도가 높다. 즉, 특별 터치 조작을 평가함으로써, 음악 게임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음악 게임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게임의 흥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별 터치 조작 및 통상 터치 조작의 양쪽이 평가되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이들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어의 선택지가 증가한다. 또한, 특별 터치 조작은 2군데의 거리에 따라서 평가가 변화된다. 즉, 플레이어는 실행 가능한 거리의 특별 터치 조작을 자기가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 행위의 변화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특별 터치 조작은 2군데간의 거리가 이격될수록 평가가 높다. 이에 의해, 특별 터치 조작의 난이도를 평가 결과에 반영할 수 있다.
이상의 형태에서, 제어 유닛(10)이 게임 제공부(26)를 통해서 도 8의 루틴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정 위치 취득 수단 및 위치 평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 유닛(10)이 악곡 데이터(27) 등을 이용하고, 음성 출력 장치(14)에 음성 재생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본 발명의 악곡 재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형태에서는, 음악 게임은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의 양쪽을 플레이어가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은 음악 게임에 의해 지정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지정은,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실행되어도 좋다. 이 경우,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그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을 평가할 수도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형태에 의해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이 지정되는 형태로도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의 지정은, 서로를 구별 가능한 각종 형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전술한 형태에서는, 통상 터치 조작 및 특별 터치 조작의 양쪽이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 터치 조작은 일절 평가되지 않고, 특별 터치 조작만이 평가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또한 난이도가 높은 음악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형태에서는,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2군데에 대한 터치 조작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별 터치 조작으로서, 3군데 이상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터치 조작이 채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각 터치 조작 위치의 세로 방향의 위치 및 가로 방향의 위치의 평균에 기초하여 특정한 위치가 취득되어도 좋다. 따라서, 복수의 터치 조작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한 위치가 취득되는 한, 특정한 위치로서 어떤 위치가 채용되어도 좋다.
전술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4)을 통해서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터치 조작이 검출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조작에 한정되지 않고, 게임 영역 내의 위치를 지정하는 각종 행위가 플레이 행위로서 채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플레이 행위로서, 예를 들어 위치를 지정하는 동작이 채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지정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카메라 등의 광학 센서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형태에서는, 기준 라인(32)에 오브젝트가 도달한 타이밍과 소정의 플레이 행위가 이루어진 것이 검출된 타이밍을 이용해서 평가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게임 영역 내를 이동하는 2 이상의 오브젝트가 중첩되는 타이밍에서,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요구하는 게임에 적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게임 영역 내에서 2 이상의 오브젝트가 중첩되는 위치가, 2군데로 이루어진 터치 조작의 종축 및 횡축 상의 교점 위치와 대략 일치하는지 여부 및 터치 조작의 타이밍을 평가의 대상으로 해도 좋다.
전술한 형태에서는, 게임기 GM은 음악 게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기가 제공하는 게임은 음악 게임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레이 행위가 평가되는 한(플레이 행위를 실행해야 할 시기가 지시되고, 그 시기에 기초하여 실제 플레이 행위의 시기가 평가되는 게임이 바람직함), 액션 게임, 스포츠 게임 등의 각종 게임이 게임기에 의해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게임기는 상업 시설에 설치되는 업무용 게임기, 가정용 거치형 게임기, 휴대형 게임기, 인터넷을 이용한 게임기 등, 적당한 형태로 실현되어도 좋다.
4 터치 패널(지정 위치 검출 수단)
10 제어 유닛(컴퓨터, 특정 위치 취득 수단, 위치 평가 수단)
14 음성 출력 장치
27 악곡 데이터
28 시퀀스 데이터(기준 시기 데이터)
31 게임 영역(소정 범위)
32 기준 라인(기준 표지)
33 오브젝트(지시 표지)
GM 게임기
W 경로(이동 경로)

Claims (11)

  1.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평가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소정 범위 내의 복수의 위치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플레이 행위에 의해 지정된 복수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는 지정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특정한 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취득하는 특정 위치 취득 수단과,
    상기 특정 위치 취득 수단의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하는 위치 평가 수단을 구비하는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상기 위치 평가 수단에 의해 상기 특정한 위치가 평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에 대한 평가가 실행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게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에는, 상기 소정 범위 내의 하나의 위치를 지정하는 통상 플레이 행위 및 상기 복수의 위치를 지정하는 특별 플레이 행위가 포함되고,
    상기 위치 평가 수단은, 상기 통상 플레이 행위가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를 평가하는 한편, 상기 특별 플레이 행위가 실행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위치의 평가 대신에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위치 및 상기 특정한 위치 중 어느 한쪽을 평가하는 게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상기 통상 플레이 행위 및 상기 특별 플레이 행위를 서로 구별 가능한 형태로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게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평가 수단은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간을 직선으로 연결한 경우의 거리가 길수록 평가가 높아지도록,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하는 게임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를 실행해야 할 기준 시기가 기술된 기준 시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기준 시기에 대응하는 지시 표지 및 현재 시각에 대응하는 기준 표지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시간순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시 표지가 상기 지시 표지에 의해 나타내어져야 할 기준 시기에 상기 기준 표지에 일치하도록 시간의 진행에 따라서 상기 지시 표지 및 상기 기준 표지 사이에 상기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상대적 변위를 발생시킴으로써, 각 기준 시기를 플레이어에게 안내하는 게임이 상기 게임으로서 채용되어 있는 게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복수의 기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게임 영역 내를 상기 지시 표지가 상기 지시 표지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시기에 상기 복수의 기준부 중 적어도 하나에 도달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시 표지가 도달한 기준부가 상기 기준 표지로서 기능함과 함께, 상기 플레이 행위에 따라서 다음 기준부를 향하는 상기 지시 표지의 이동 경로가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대적 변위는 상기 지시 표지가 상기 기준 표지를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게임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평가 수단은 상기 지시 표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함과 함께, 상기 기준 시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플레이 행위가 실행된 시기를 평가하는 게임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악곡을 재생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와,
    상기 악곡을 재생시키기 위한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악곡을 재생시키는 악곡 재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준 시기로서, 상기 악곡 중의 시기가 사용되는 게임기.
  10. 소정의 플레이 행위가 평가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소정 범위 내의 복수의 위치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플레이 행위에 의해 지정된 복수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는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게임기에 적용되고,
    상기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특정한 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취득하는 특정 위치 취득 수순과,
    상기 특정 위치 취득 수순의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하는 위치 평가 수순을 구비하는 제어 방법.
  11. 소정의 플레이 행위가 평가되는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이며,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소정 범위 내의 복수의 위치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플레이 행위에 의해 지정된 복수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는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게임기에 내장되는 컴퓨터를,
    상기 지정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 중 어느 것과도 상이한 특정한 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취득하는 특정 위치 취득 수단, 및 상기 특정 위치 취득 수단의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플레이 행위로서 상기 특정한 위치를 평가하는 위치 평가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도록 구성된 게임기용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7015809A 2012-12-25 2013-12-13 게임기, 그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97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0893 2012-12-25
JP2012280893A JP5890302B2 (ja) 2012-12-25 2012-12-25 ゲーム機、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CT/JP2013/083456 WO2014103748A1 (ja) 2012-12-25 2013-12-13 ゲーム機、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641A true KR20150082641A (ko) 2015-07-15
KR101697888B1 KR101697888B1 (ko) 2017-01-18

Family

ID=5102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809A KR101697888B1 (ko) 2012-12-25 2013-12-13 게임기, 그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73055B2 (ko)
JP (1) JP5890302B2 (ko)
KR (1) KR101697888B1 (ko)
CN (1) CN104884141B (ko)
WO (1) WO2014103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3480A4 (en) * 2017-03-29 2020-04-01 Sony Olympus Medical Solutions Inc. CONTROL DEVICE, EXTERNAL DEVICE, MEDICAL OBSERVATION SYSTEM, CONTROL METHOD,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11337606B1 (en) 2017-06-28 2022-05-24 Bertec Corporation System for testing and/or training the vision of a user
US11033453B1 (en) 2017-06-28 2021-06-15 Bertec Corporation Neurocognitive training system for improving visual motor responses
US11712162B1 (en) 2017-06-28 2023-08-01 Bertec Corporation System for testing and/or training the vision of a u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3957A (ja) * 2009-03-31 2010-10-21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4971533B2 (ja) 2010-04-28 2012-07-1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30225A (ko) * 2010-03-15 2012-11-29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게임 시스템, 그것에 이용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455A (ja) * 1999-02-16 2000-09-05 Konami Co Ltd 音楽演出ゲーム装置、音楽演出ゲーム方法および可読記録媒体
JP2001300132A (ja) * 2000-02-17 2001-10-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220340B2 (ja) * 2003-09-12 2009-02-04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US20060009979A1 (en) * 2004-05-14 2006-01-12 Mchale Mike Voc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with flexible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JP4903371B2 (ja) * 2004-07-29 2012-03-28 任天堂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3962059B2 (ja) * 2005-01-14 2007-08-2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01775B2 (ja) * 2005-03-02 2008-12-2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40744A (ja) * 2005-06-07 2006-12-21 Nintendo Co Ltd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KR100867401B1 (ko) * 2008-08-05 2008-11-06 (주)펜타비전 오디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5437003B2 (ja) * 2009-09-28 2014-03-1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50229B2 (ja) * 2010-03-15 2015-07-1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ゲームシステム装置用プログラム
JP5986734B2 (ja) * 2011-11-08 2016-09-06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3957A (ja) * 2009-03-31 2010-10-21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KR20120130225A (ko) * 2010-03-15 2012-11-29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게임 시스템, 그것에 이용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JP4971533B2 (ja) 2010-04-28 2012-07-1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0302B2 (ja) 2016-03-22
CN104884141B (zh) 2017-11-21
KR101697888B1 (ko) 2017-01-18
JP2014124215A (ja) 2014-07-07
CN104884141A (zh) 2015-09-02
US20150273324A1 (en) 2015-10-01
US9573055B2 (en) 2017-02-21
WO2014103748A1 (ja)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5986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68078B1 (ko) 게임 장치 및 게임 프로그램
JP4890624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66703B1 (ko) 게임 장치 및 게임 프로그램
US8771069B2 (en) Game machine, a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used thereof, and control method
KR101697888B1 (ko) 게임기, 그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4977224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079137A1 (en) Game system, control method,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used thereof
KR20160039256A (ko) 기록 매체, 게임 시스템 및 게임 제어 방법
US8821233B2 (en) Game machine, a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used thereof, and control method
US9463382B2 (en) Game system, control method,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used thereof
KR101354306B1 (ko) 게임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KR101541683B1 (ko) 게임기, 그것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JPWO2011030760A1 (ja) テキスト出力が可能な音楽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6195092B2 (ja) ゲーム機、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74046B1 (ko) 데이터 생성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데이터 생성 방법 및 기억 매체
CN216092192U (zh) 游戏装置
JP2020171863A (ja) ゲーム装置
JP6283852B2 (ja) ゲーム機、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