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764A -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764A
KR20150080764A KR1020140000228A KR20140000228A KR20150080764A KR 20150080764 A KR20150080764 A KR 20150080764A KR 1020140000228 A KR1020140000228 A KR 1020140000228A KR 20140000228 A KR20140000228 A KR 20140000228A KR 20150080764 A KR20150080764 A KR 2015008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weight
seed
mono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372B1 (ko
Inventor
이예진
이현섭
김한홍
황우성
이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0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214/06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초기에 산화-환원 개시제를 사용하여 특히 황변도(Yellow Index ; Y.I.)가 낮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수득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시드유화중합하여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a) 염화비닐계 단량체, b) 물, c) 시드 및 d) 유화제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에 e) 킬레이트제, 황산제1철 및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시키는 중합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vinyl chloride based paste resin}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합초기에 산화-환원 개시제를 사용하여 특히 황변도(Yellow Index ; Y.I.)가 낮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수득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계 수지(이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라 함)는 건축용 바닥 자재류, 벽지류, 인조 가죽, 직포류, 시트, 필름 등 일상 생활용품 및 산업용으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염화비닐계 수지라고 함은 염화비닐 단량체 만을 단독으로 중합하여 수득되는 염화비닐 단량체의 호모중합체는 물론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들)(이하 '공중합 단량체'라 함)을 함께 공중합하여 수득되는 비닐계 공중합체 및 폴리염화비닐 또는 비닐계 공중합체와 다른 중합체를 혼련 및/또는 합금(alloy)한 수지 조성물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미세현탁중합, 시드유화중합, 유화중합 등으로 제조된다. 이 중, 시드유화중합은 1종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시드(seed)의 존재 중에서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유화중합에 의하여 중합시키는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수득되는 라텍스 입자는 건조되어 분체 상의 수지로 가공된 후, 여기에 가소제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플라스티졸 형태로 가공된다.
특히, 시드유화중합에 의하여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조하는 경우, 중합 초기에서 특히 중합반응에서 중요한 개시제의 사용에 의한 반응성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초기 반응성을 조절하지 못하여 반응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초기 반응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른 첨가제들을 사용하는 경우, 종국적으로 수득되는 라텍스에 이러한 첨가제 등이 잔류하여 불순물로 기능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곧 라텍스의 물성 저하, 특히 황변도의 수치가 높아져서 수득되는 제품의 품질에 저하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시드유화중합에 있어서, 초기 반응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른 첨가제들을 사용함이 없이 중합초기에 산화-환원 개시제를 사용하여 특히 황변도가 낮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수득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은,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시드유화중합하여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시드유화중합이 a) 염화비닐계 단량체, b) 물, c) 시드 및 d) 유화제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에 e) 킬레이트제, 황산제1철 및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첨가제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초기 반응성을 조절함으로써 특히 황변도가 낮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황변도가 낮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은,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시드유화중합하여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a) 염화비닐계 단량체, b) 물, c) 시드 및 d) 유화제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에 e) 킬레이트제, 황산제1철 및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시키는 중합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혼합물은 상기한 바의 a) 염화비닐계 단량체, b) 물, c) 시드 및 d) 유화제를 포함하되, 그 조성비에는 원칙적으로 제한 없이 이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나, a)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b)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농도가 20 내지 75중량%에 달하게 되는 양의 물, c) 시드 1 내지 10중량부 및 d) 유화제 0.2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는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0.001 내지 2.0중량부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단계는 55 내지 65℃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등온반응법으로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등온반응법에 의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좁은 분자량 분포와 적절한 반응 속도와 평균 분자량을 모두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그로부터 수득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물성, 특히 황변도의 값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등온반응법이라 함은 중합 동안 반응온도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발열 시 제열을 수행하고, 흡열 시 가열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중합단계가 상기한 55 내지 65℃의 온도범위 이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반응속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하면서도 평균분자량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물성저하를 방지하고, 반응열이 너무 높아져서 제열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가교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득하고자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물성에 따라서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의 염화비닐계 단량체는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은 물론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공중합 단량체, 특히 통상의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단량체로는 구체적으로 아세트산비닐,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류,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또는 이들 지방산의 무수물 등을 공중합 단량체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은 예시적으로 열거되는 것들이고,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하여 중합체로의 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로서 기능하는 화합물들은 모두 사용이 가능함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b)의 물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이온 교환 등으로 이온 입자를 제거한 탈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의 시드(seed)는 시드유화중합에서 염화비닐계 단량체가 중합되는 반응사이트(reaction site)로 기능하여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중합속도를 상대적으로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시드는 1종 이상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크기가 다른 1 종 이상의 시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평균입경이 0.1 내지 0.2㎛인 시드와 평균입경이 0.4 내지 0.7㎛인 시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지름이 0.1㎛인 시드와 평균 입자 지름이 0.5㎛인 시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시드는 통상 미세현탁중합 및 유화중합으로 미리 제조되어 상기 시드유화중합에 투입되며, 통상, 유화중합으로 제조한 시드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0.2㎛이며, 미세현탁중합으로 제조한 시드는 통상 평균입경이 0.5 내지 0.6㎛ 정도이다.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상기와 같은 시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이때 시드는 그 내부에 중합개시제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반응 사이트를 형성하게 되며, 그에 의하여 시드유화중합에 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비교적 큰 입경의 수지를 라텍스 상으로 수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도 반응열의 제열 등 공정관리가 유리하다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d)의 유화제는 통상적인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유화제로서 소듐도데실벤젠술폰산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라우릴황산나트륨, 테트라데실황산나트륨 등의 알킬황산염;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 디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염; 라우릴산나트륨, 반경화 우지 지방산칼륨 등의 지방산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에톡시황산염; 알칸술폰산염; 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의 사용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당히 선정할 수 있으나, 통상은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2 내지 2.5중량부의 범위 이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음이온성의 유화제 외에,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라우릴에스테르등의 비이온성의 유화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 친유성의 보조유화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시드유화중합의 개시 이전에 반응혼합물에 산화-환원 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시키도록 함으로써 중합반응의 초기에서부터 반응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그에 의하여 수득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물성, 특히 황변도의 수치를 낮추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반응혼합물은 a) 염화비닐계 단량체, b) 물, c) 시드 및 d) 유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는 킬레이트제 및 레독스계 개시제로서 황산제1철과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를 구성하는 킬레이트제, 황산제1철 및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각각 직접 상기 반응혼합물에 투입하기 보다는 상기 킬레이트제, 황산제1철 및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먼저 상기 반응혼합물의 구성성분 중의 하나인 물 일부에 먼저 용해시킨 후, 이렇게 물에 용해된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를 상기 반응혼합물에 투입한 후, 중합반응, 특히 시드유화중합을 수행하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렇게 상기 킬레이트제, 황산제1철 및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물에 먼저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레독스계 개시제를 구성하는 황산제1철이 잘 용해되도록 하여 상기 반응혼합물 중에 잘 분산되도록 하고, 그에 의하여 중합반응, 특히 시드유화중합반응에서 반응에 고르게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초기 반응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총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0.001 내지 2.0중량부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합반응성을 유지하면서도 격렬한 중합반응을 피하도록 하여 중합 반응열의 제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및 에틸렌글리콜테트라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중합 반응을 마친 후, 수득되는 염화비닐계 라텍스를 건조, 이를 테면 분무 건조하여 분체상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좁으면서 적절한 분자량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낮은 황변도 값을 가져 우수한 물성을 갖는 다는 장점이 있다.
후속하여, 필요에 따라 분무 건조한 페이스트를 분급하거나 분쇄할 수도 있으며, 플라스티졸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종래 염화비닐계 수지 플라스티졸의 조제에 있어서 관용적으로 쓰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분체상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에 가소제를 비롯한 첨가제, 예를 들어, 열안정제, 충전제, 발포제, 발포 촉진제, 계면활성제, 점도 저하제, 접착성 부여제, 착색제, 희석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보강제, 그 외의 수지 등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하고, 플래니터리 믹서, 니더, 롤러, 뇌궤기 등을 사용해서, 균질하게 되도록 충분히 혼련시킴으로써 플라스티졸을 제조할 수 있다.
플라스티졸의 조제에 사용하는 가소제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이소부틸, 프탈산디헵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프탈산-n-옥틸, 디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디운데실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디페닐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 유도체, 이소프탈산 유도체, 아디프산 유도체, 세바스산 유도체, 말레산 유도체, 트리멜리트산 유도체, 피로멜리트산 유도체; 이타콘산 유도체, 올레산 유도체; 인산 유도체, 글리콜 유도체, 글리세린 유도체, 아디프산계 폴리에스테르, 세바스산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소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의 배합량은 용도에 맞게 당업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산화-환원 개시제의 제조
염화비닐 단량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킬레이트제로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0.008중량부, 황산제1철(FeSO4) 0.002중량부와 환원제로서 소듐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SFS) 0.036중량부를 25℃의 탈이온수 1중량부에 투입하고, 25℃를 유지하면서 1일 동안 교반시켜 용액상의 산화-환원 개시제를 제조하였다.
별도로 500ℓ 고압반응기에 탈이온수 66중량부, 염화비닐 단량체 100중량부, 유화제로서 소듐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0.75중량부를 투입하고, 혼합한 다음, 상기 고압반응기의 온도를 58℃로 상승시켰다. 상기 고압반응기의 내부온도가 58℃에 도달한 후, 상기 제조된 용액상의 산화-환원 개시제를 4시간 동안에 걸쳐 연속투입하되, 고압반응기의 반응압력이 저하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지속하였다. 이후, 상기 고압반응기의 압력이 3.5㎏/㎠에 도달하였을 때, 반응을 종결시키고, 미반응 염화비닐 단량체를 회수하여 제거한 후, 라텍스의 형태로 수지를 수득하였다. 총 반응에 소요된 시간은 260분이었으며, 이 라텍스를 분무건조시켜 분체상의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산화-환원 개시제의 제조에서 황산제1철 0.0008중량부를 탈이온수 1중량부에 투입하고, 25℃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소듐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 0.036중량부를 0.01중량부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 대신 황산구리 0.002중량부와 아스코르브산 0.036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산화-환원 개시제의 제조에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08중량부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0.08중량부, 황산제1철(FeSO4) 0.02중량부와 환원제로서 소듐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SFS) 0.036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소듐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SFS) 0.12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5
소듐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SFS) 0.036중량부 대신 아스코르빈산 0.036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6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를 메타중아황산칼륨(PMBS)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1
플라스티졸의 제조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로부터 수득되는 라텍스를 분무건조시켜 분체상의 페이스트 수지를 수득하고, 이 분체상 페이스트 수지 100중량부에 가소제로서 디옥틸프탈레이트 50.5중량부를 첨가하고 500rpm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다시 800rpm에서 10분간 교반시켜 페이스트졸을 제조한 후, 진공하에서 탈포시켰다.
수득된 페이스트졸을 1㎜ 직경의 유리봉에 코팅한 후, 205℃에서 1분간 열처리하여 사전-겔화(pregelling)시킨 후, 다시 205℃에서 5분간 방치한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황변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중합시간(분) 라텍스 안정성(초) 황변도(Y.I.)
실시예 1 260 87 64.39
실시예 2 340 40 62.32
실시예 3 360 53 70.52
비교예 1 280 90 155.87
비교예 2 420 30 152.30
비교예 3 250 85 160.00
비교예 4 450 50 140.00
비교예 5 270 80 80.00
비교예 6 500 30 90.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는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의 중합초기에서의 사용에 의한 중합반응에서의 초기 반응 안정성을 높여 특히 중합시간이나 라텍스 안정성 등 전반적으로 생산성 등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면서도 낮은 황변도를 갖는 페이스트 수지를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시드유화중합하여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a) 염화비닐계 단량체, b) 물, c) 시드 및 d) 유화제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에, e) 킬레이트제, 황산제1철 및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를 첨가하고 중합시키는 중합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킬레이트제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및 에틸렌글리콜테트라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혼합물이 a)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중량부, b)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농도가 20 내지 75중량%에 달하게 되는 양의 물, c) 시드 1 내지 10중량부 및 d) 유화제 0.2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가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중량부를 기준하여 0.001 내지 2.0중량부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단계가 55 내지 65℃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등온반응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환원 개시제가 킬레이트제 0.001 내지 0.1중량부, 황산제1철 0.001 내지 0.01중량부 및 소듐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 0.02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염화비닐계 단량체가 염화비닐 단량체 및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공중합 단량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단량체가 아세트산비닐,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메타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에틸렌, 프로필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및 이들 지방산의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시드가 평균입경이 0.1 내지 0.2㎛인 시드와 평균입경이 0.4 내지 0.7㎛인 시드를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10.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시드유화중합하여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i) 염화비닐계 단량체, ii) 물, iii) 시드 및 iv) 유화제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에, v) 킬레이트제, 황산제1철 및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개시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을 투입하여 중합시키는 중합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KR1020140000228A 2014-01-02 2014-01-02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KR101713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228A KR101713372B1 (ko) 2014-01-02 2014-01-02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228A KR101713372B1 (ko) 2014-01-02 2014-01-02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64A true KR20150080764A (ko) 2015-07-10
KR101713372B1 KR101713372B1 (ko) 2017-03-07

Family

ID=5379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228A KR101713372B1 (ko) 2014-01-02 2014-01-02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082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54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대용량 sms 전송 방법
KR20080053686A (ko) * 2006-12-11 2008-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KR20130026621A (ko) * 2011-09-02 2013-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산성이 향상된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293377B1 (ko) * 2009-12-2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포 물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54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대용량 sms 전송 방법
KR20080053686A (ko) * 2006-12-11 2008-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KR101293377B1 (ko) * 2009-12-2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포 물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 제조 방법
KR20130026621A (ko) * 2011-09-02 2013-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산성이 향상된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082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372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295B1 (ko)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US8916650B2 (en) Vinyl chloride-based copolymer resin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073336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4828B1 (ko) 경시 점도 변화가 적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 방법
KR101841356B1 (ko)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4469B1 (ko)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3372B1 (ko)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의 제조방법
KR101293377B1 (ko) 발포 물성이 우수한 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 제조 방법
KR101770016B1 (ko)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용 가공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품
KR101508037B1 (ko) 내습성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20160035544A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0540B1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용 염화비닐계 시드의 제조방법
EP4029885A1 (en) Method for preparing vinyl chloride-based polymer
KR101433998B1 (ko) 비발포성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24879B1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용 점도저하제 및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점도조절 방법
KR101715450B1 (ko) 페이스트 pvc 중합 방법 및 발포 성형품
KR101338652B1 (ko) 플라스티졸의 제조방법
KR101424878B1 (ko) 염화비닐계 시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20110008881A (ko) 투명하고 고전단 점도가 낮은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 수지로 제조되는 성형품
KR100682210B1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2118075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JP2756995B2 (ja) 塩化ビニル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101755079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4409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132753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