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685A -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685A
KR20150080685A KR1020140000078A KR20140000078A KR20150080685A KR 20150080685 A KR20150080685 A KR 20150080685A KR 1020140000078 A KR1020140000078 A KR 1020140000078A KR 20140000078 A KR20140000078 A KR 20140000078A KR 20150080685 A KR20150080685 A KR 2015008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ness
pad
mold
lower mold
sepa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425B1 (ko
Inventor
강석주
김규진
고봉철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4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461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in different places, e.g.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oaming agent, feeding one composition after the other
    • B29C44/0469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in different places, e.g.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oaming agent, feeding one composition after the other provided with physical separators between the different materials, e.g. separating layers, moul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66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completely encapsulated, e.g. for packaging purposes or as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1Seat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인체와 접촉하는 주착석부뿐만 아니라 인체 대퇴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부를 포함하여, 패드의 전 영역에 걸쳐 소프트(Soft)한 경도와 하드(Hard)한 경도의 패드가 적층 구조를 이루는 이경도 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락감과 내구성을 더욱 더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및 그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인체와 접촉하는 시트 패드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하부금형(100); 상기 하부금형(100)과 결합되어 시트 패드의 나머지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상부금형(200); 및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에 의해 형성된 성형 공간의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다른 경도의 패드 영역을 구분하는 경도분리부재(350)가 장착되는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Mold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 pad having different hardness}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와 접촉하는 상부 패드는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경도의 패드로 구성하고, 이를 지지하는 하부 패드는 내구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경도의 패드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안락감을 보장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트는 승객의 둔부를 받쳐주는 시트쿠션, 등을 기댈 수 있게 등받이 역할을 하는 시트백과, 시트백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승객의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 시트는 승객의 승차감, 쾌적함, 및 안락감을 보장하도록 승객의 둔부, 등 및 머리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해 쿠션 기능이 있는 패드(Pad)를 포함하여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시트용 패드는 하부금형 또는 상부금형 내측에 수지용액을 침투시킨 다음, 침투된 수지용액이 발포를 하여 형상을 갖추도록 한 다음, 경화과정을 거친 다음 형상을 완성하는 공지의 발포 성형 방식으로 제작된다.
한편 이러한 차량 시트용 패드로써 종래에는 단일 경도를 유지하는 단일 파트의 패드로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단일 경도 패드의 경우, 높은 쿠션 기능을 도모할 수 있도록 유연(Soft)한 경도를 갖도록 제작할 시에는 승객의 안락감은 줄 수 있으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딱딱(Hard)한 경도를 갖도록 제작할 시에는 내구성 결여에 대한 문제가 극복할 수 있으나 승객의 안락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일 경도 패드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체와 접촉하는 상부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경도의 패드를 구성하고, 이를 지지하는 하부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경도의 패드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안락감을 보장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증가시킨 이경도 패드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경도 패드는 역시 공지의 발포 성형 방식으로 제작하게 되는데, 발포 성형 과정에서 이경도의 파트(Part)를 가지도록 서로 다른 수지용액을 침투시킬 수 있도록 구분하기 위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 중간금형을 포함하여서 구성하는 것에 장치적인 차이가 있다.
참고로 이경도 패드를 제작하기 위한 상, 하부금형 및 중간금형을 포함하는 금형 장치(제조 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국내공개특허 제2000-63534호, 제2000-63535호 및 국내등록특허 제10-133578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제조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제조 장치는, 시트 패드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하부금형(1)과, 시트 패드의 나머지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상부금형(2), 및 상기 하부금형(1)과 상부금형(2)의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경도의 패드를 구분하기 위한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경도분리부재(9)를 설치하기 위한 중간금형(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금형을 통해 실제 시트 패드 제품은 반대로 눕혀진 상태로 성형 제작된다. 결국 하부금형(1)에는 인체와 접촉하는 시트 패드의 상부 외면을 형성하는 하부 성형면이 구비되고, 상부금형(2)에는 시트 패드의 하부 외면을 형성하는 상부 성형면이 구비되며, 중간금형(3)에는 소프트 패드(7)와 하드 패드(8)를 구분하기 위한 경도분리부재(9)가 장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부금형(1)과 상부금형(2)은 한쪽 단이 힌지(4)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또한 상기 중간금형(3)과 상부금형(2)은 한쪽 단이 링크구조의 회동수단(5)으로 연결되어, 이로 인해 하부금형(1)을 향해 상부금형(2)을 회전시켜 결합시키게 되면 하부금형(1), 중간금형(3) 및 상부금형(2)이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되는 구조를 만족하게 되고, 반대로 하부금형(1)으로부터 상부금형(2)을 분리(탈형)시키게 되면 하부금형(1)으로부터 중간금형(3) 및 상부금형(2)이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이경도 시트 패드의 제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로서,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 패드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를 참조하면 먼저 하부금형(1)의 성형면에 소프트 패드 발포용 수지류(S1)를 주입한다.
(b)를 참조하면 상기 소프트 패드 발포용 수지류(S1)가 주입된 하부금형(1)의 상부에 경도분리부재(9)가 장착된 중간금형(3)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경도분리부재(9)는 하부금형(100)의 성형면을 완전히 폐쇄시키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그 둘레는 자석, 압핀 등의 클램프수단에 의해 중간금형(3)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c)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금형(3)에 의해 경도분리부재(9)가 장착된 상태에서 중간금형(9)의 상부에 하드 패드 발포용 수지류(S2)를 주입한다.
(d)를 참조하면 상기 하드 패드 발포용 수지류(S2)가 주입된 중간금형(3)의 상부에 상부금형(2)을 결합시킨다.
(e)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금형(1), 중간금형(3) 및 상부금형(2)의 결합이 완료된 다음, 금형에 구비된 가열수단(온수관, 전열선 등)을 이용하여 소프트 패드 발포용 수지류(S1)와 하드 패드 발포용 수지류(S2)를 발포시킨다.
(f)를 참조하면 상기 발포 과정에 종료된 다음 하부금형(1), 중간금형(3) 및 상부금형(2)을 분리한다.
(g)를 참조하면 상기 성형 완료된 시트 패드의 주변부에 잉여 돌출된 경도분리부재(9)를 제거함으로써, 중앙에 경도분리부재(9)가 개재된 소프트 패드(7)와 하드 패드(8)를 일체로 하는 이경도 패드의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안락감과 내구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패드의 제작에 한계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제조장치로 얻어지는 시트 패드는 경도분리부재(9)를 중심으로 소프트 패드(7)와 하드 패드(8)가 상하로 구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체 대퇴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12:Bolster) 부분은 소프트 패드(7)로 제작되기 때문에, 볼스터(12) 부분에서의 안락감은 증가되나 지지감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금형의 구조가 복잡하여 금형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즉, 중간금형(3)은 기본적으로 경도분리부재(9)를 장착시키기 위한 금형으로써, 경도분리부재(9)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그 둘레부에는 자석, 압핀 등의 클램프수단이 구성된다. 이처럼 클램프수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중간금형의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셋째 제작 공정이 번거롭고 제작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중간금형(3)에 경도분리부재(9)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자석, 압판 등의 클램프수단을 이용하여 경도분리부재(9)를 일일이 체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또한 시트 패드의 성형이 완료된 후 금형을 분리하게 되면 시트 패드 완성품은 하부금형(1)상에 존재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일일이 허리를 숙여서 하부금형으로부터 시트 패드 완성품을 탈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며, 또한 시트 패드의 성형이 완료된 후 금형을 분리하게 되면 시트 패드 완성품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경도분리부재(9)의 돌출된 여분이 잔존하게 되는데 이를 작업자가 다시 제거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상의 번거로운 작업조건으로 인하여 시트 패드 제작 공정의 전체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문헌.1 국내공개특허 제2013-0027799호(2013.03.18) 문헌.2 국내공개특허 제2000-0063534호(2000.11.06) 문헌.3 국내공개특허 제2000-0063535호(2000.11.06) 문헌.4 국내등록특허 제10-1335783호(2013.12.02)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와 접촉하는 주착석부뿐만 아니라 인체 대퇴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 부분을 포함하여, 패드의 전 영역에 걸쳐 소프트(Soft)한 경도와 하드(Hard)한 경도의 패드가 적층 구조를 이루는 이경도 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락감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경도분리부재 설치용 중간금형의 단순화한 구조개선을 통해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제작 공정의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제작 공기를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체와 접촉하는 시트 패드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하부금형(100);
상기 하부금형(100)과 결합되어 시트 패드의 나머지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상부금형(200); 및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에 의해 형성된 성형 공간의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다른 경도의 패드 영역을 구분하는 경도분리부재(350)가 장착되는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100)에는 중앙에 제1 경도 패드(70)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간과 양측에 제2 경도 패드(80)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간을 구분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판(111)을 구비하는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의 결합 시 상기 코어형 중간금형(300)에 지지된 경도분리부재(350)가 상기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1 경도 패드용 성형 공간(70A)과 제2 경도 패드용 성형 공간(80A)이 서로 격리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을 구성하는 세로판(111)은 볼스터부(1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각 볼스터부의 좌우 영역을 구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와 접촉하는 전 영역에 대해 소프트한 경도의 패드로 구성함에 따라 시트의 안락감이 증대되고, 이러한 소프트한 경도의 패드를 커버하는 전 영역에 걸쳐 하드한 경도의 패드가 구비된 이경도 패드를 구성함에 따라 지지감이 증가되어, 전체적으로 시트의 내구성 및 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경도분리부재가 장착되는 중간금형을 코어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종래 클램프수단 등이 배제되는 등의 중간금형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금형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경도분리부재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금형으로부터 완성품의 탈거가 용이하게 때문에 작업속도를 증대시켜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경도 패드 제작 장치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2는 종래 이경도 패드 제작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인 제작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경도 패드 제작 장치를 보이는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금형의 경도분리형 판 금형을 보인 예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경도 패드를 제작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인 제작 순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이경도 패드의 단면도 및 사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경도 패드 제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작 장치는 시트 패드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하부금형(100)은, 인체와 접촉하는 시트 패드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성형면이 구비된다. 즉, 시트 쿠션의 경우 인체 둔부와 대퇴부를 지지하는 주착석부(11)와 대퇴부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볼스터부(12)의 상부 외면을 형성한다.
결국 최종 발포 성형 완료된 후 금형으로부터 시트 패드 완성품을 탈거하게 되면 전후 및 상하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제작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도분리형 판 금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하부금형(100)에는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이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은 박판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하부금형(100)의 성형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서 구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세로판(111)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세로판(111)은 인체 대퇴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부(12)에 대해 이경도 패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세로판(111)은 볼스터부(12)의 크기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한 쌍의 세로판(111)은 볼스터부(12)의 중앙부에 각기 배치될 수 있도록 양쪽 볼스터부(12)의 거리에 상응하는 사이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로판(111)의 한쪽 단에는 가로판(11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시트 쿠션의 경우 시트 백이 설치되는 후방부는 인체와 주된 접촉이 배제되는 부분으로 안락감을 부여하기 보단 내구성을 고려하여 하드(Hard)한 제2 경도 패드로만 형성할 필요가 있다. 결국 한 쌍의 세로판(111) 끝단에 가로판(112)을 구성하여 인체와 주 접촉되는 시트 패드(10)의 중앙 전면부에 대해 소정 두께의 제1 경도 패드(70: 도 11참조)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경도 패드(70)는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경도를 가지는 패드이고, 제2 경도 패드(80)는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경도를 가지는 패드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상부금형(200)은, 상기 하부금형(100)에 의해 형성된 시트 패드(10)의 측면을 제외한 시트 패드(10)의 나머지 측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성형면이 구비되며, 이러한 상부금형(200)은 상술한 종래의 상부금형(200)과 크게 구별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코어형 중간금형(300)은, 부여된 명칭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의 결합 시,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에 의한 성형 공간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것으로,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제1,2 경도 패드(70,80)를 구분하기 위한 경도분리부재(35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코어형 중간금형(300)은 상기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세로판(111)과 상응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각 코어형 중간금형(300)은 일측 고정단으로부터 타측 자유단으로 연장 형성된 봉 구조로 구성되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의 결합 시 세로판(111)의 상부 끝단 외측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정확하게는 금형 결합 시 코어형 중간금형(300)은 세로판(111)의 상부 끝단보다 더 낮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코어형 중간금형(300)에는 시트 패드의 발포 성형 전 경도분리부재(350)가 장착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분리부재(350)의 양쪽 끝단에는 코어형 중간금형(300)의 직경과 상응하는 장착홀(3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코어형 중간금형(300)에 간단히 끼워서 장착 완료된다. 이처럼 경도분리부재(350)의 양쪽 지지단이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제1,2 경도 패드(70,8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할 수 있고 차후 금형 분리 시 용이한 분리가 가능해진다.
상기 경도분리부재(350)는 제1,2 경도 패드(70,80)를 구분하는 수평 경계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와 제2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2)의 발포 과정에서 밀착되는 이경도의 영역 간 화학적인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경도분리부재(350)는 유연성이 부여된 펠트(Felt) 또는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의한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은 한쪽 단이 힌지(4)로 연결 구성되어, 하부금형(100)에 대해 상부금형(200)이 힌지(4)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형 중간금형(300)은 상부금형(200)과 링크 구조의 회동수단(5)으로 연결 구성되어, 상부금형(200)의 회동식 개폐 과정에서 코어형 중간금형(300)이 연동하면서 하부금형(100)에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국 코어형 중간금형(300)과 상부금형(200)은 하부금형(100)에 대해 한쪽 힌지를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회동하면서 하부금형(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제작 장치는 이상과 같은 하부금형(100), 상부금형(200) 및 코어형 중간금형(300)의 회동식 개폐 장치에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경도 패드를 제작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인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제작 장치를 이용한 이경도 패드의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하부금형(100)의 성형면에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를 주입한다. 즉,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의 안쪽 성형 공간에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를 주입한다.
상기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레탄 폼으로 소프트 패드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우레탄 폼은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과 같은 하이드록실(hydroxyl)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중합반응을 거쳐 생성되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와 폴리올(polyol)과의 부가 반응에 의한 우레탄 결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용액(S1)은 상술한 용액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연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용액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를 주입시킨 하부금형(100)의 상부에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장착시킨다.
앞서 코어형 중간금형(300)에는 경도분리부재(350)가 미리 장착되는데, 종래 중간금형(3:도 1참조)의 둘레부에는 자석, 압핀 등의 클램프수단을 이용하여 경도분리부재(9)를 고정시키는 것과 달리, 경도분리부재(350)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장착홀(351)을 코어형 중간금형(300)에 끼워서 간단히 고정 지지하여 줌으로써 준비 공정의 매우 간소화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하부금형(100)에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결합시키게 되면, 코어형 중간금형(300)은 하부금형(100)의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을 구성하는 세로판(111)의 상부 외측까지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경도분리부재(350)는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의 상단부에 안착됨으로써, 제1 경도 패드용 성형 공간(70A)과 제2 경도 패드용 성형 공간(80A)은 상기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과 경도분리부재(350)에 의해 완전히 구분된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이용하여 경도분리부재(350)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2 경도 패드용 성형 공간(80A) 즉,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의 외측과 경도분리부재(350)의 상부에 제2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2)를 주입시킨다.
상기 제2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2) 역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역시 단단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용액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2)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부금형(200)을 하부금형(100)의 상부에 장착시킨다. 이렇게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경도분리부재(350) 및 코어형 중간금형(300)은 하부금형(100) 및 상부금형(200)에 의해 형성된 성형 공간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금형의 결합이 완전히 완료된 다음, 금형에 구비된 가열수단(미 도시)을 이용하여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와 제2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2)를 발포시킨다.
여기서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와 제2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2)는 동시에 발포될 수 있고, 시간차를 두고 발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포 소요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소프트한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에 대해 먼저 발포 공정을 수행하고, 이어서 하드한 제2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2)에 대해 발포 공정을 수행하여, 비슷한 시간이 경과된 후 발포 공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열선 또는 온수 등을 이용한 발포 금형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구성으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발포 과정에서 펠트(Felt) 또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는 경도분리부재(350)에는 미세 통공이 존재하는 함에 따라 이러한 통공을 통해 제1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1)와 제2 경도 패드 발포용 수지류(S2)가 발포 과정에서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결합력이 강화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발포 과정이 종료된 다음 소정의 경화과정을 거친 후, 상부금형(200) 및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분리하고, 성형 완료된 시트 패드(10)를 탈거 시킨다.
여기서 실시 예에 의한 회동식 개폐 구조를 이루는 상부금형(200)을 회전시켜 하부금형(100)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이와 동시에 코어형 중간금형(300)이 링크 구조의 회동수단(5)에 의해 연동하여 일정 각도로 분리되는데, 이때 성형 완료된 시트 패드(10)는 코어형 중간금형(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코어형 중간금형(300)과 함께 하부금형(100)으로부터 분리된다.
결국 종래 작업자가 허리를 굽혀 하부금형(100)으로부터 시트 패드(10)를 번거롭게 탈거할 필요 없이 코어형 중간금형(300)에 결속되어 있는 시트 패드(10)를 잡고 전방 상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 금형으로부터 막 탈거한 시트 패드의 주변부에는 경도분리부재(9: 도 2f 참조)의 잉여 돌출부가 잔존하여 이를 작업자가 매번 제거해야 하는 후 공정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시트 패드(10)는 외부로 경도분리부재(350)의 잉여 돌출부가 전혀 생성되지 않아 이에 대한 후 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결국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의 제작 장치로부터 완성된 시트 패드(10)는, 인체와 접촉하는 주착석부(11)의 상부영역과 볼스터부(12)의 내측영역에는 안락감을 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제1 경도 패드(70)를, 주착석부(11)의 하부영역과 볼스터부(12)의 외측영역에는 지지감 및 내구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하드한 제2 경도 패드(80)를 구성하며, 이때 제1 경도 패드(70)와 제2 경도 패드(80)의 수평 경계부에 개재된 경도분리부재(350)는 제1 경도 패드(70)와 제2 경도 패드(80)를 결합력을 견고히 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부금형(100)에 구비된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 및 경도분리부재(350)를 통해 인체와 접촉하는 시트 패드(10) 주착석부(11) 및 볼스터부(12)에 대해 소프트(Soft)한 경도의 제1 경도 패드(70)와 하드(Hard)한 경도의 제2 경도 패드(80)의 이경도 패드로 구성함으로써, 소프트한 제1 경도 패드(70)를 통해 승객의 안락감을 부여하는 것과 동시에 제1 경도 패드(70) 및 승객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드한 제2 경도 패드(80)를 통해 시트의 지지감 및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도분리부재(350) 설치용 중간금형을 코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금형의 단순화가 가능해지고, 무엇보다 금형 준비 및 제작 공정의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보다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이경도 시트 패드
70: 제1 경도 패드
80: 제2 경도 패드
11: 주착석부
12: 볼스터부
100: 하부금형
110: 경도분리형 판 금형
111: 세로판
112: 가로판
200: 상부금형
300: 코어형 중간금형
350: 경도분리부재

Claims (8)

  1. 인체와 접촉하는 시트 패드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하부금형(100);
    상기 하부금형(100)과 결합되어 시트 패드의 나머지 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상부금형(200); 및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에 의해 형성된 성형 공간의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다른 경도의 패드 영역을 구분하는 경도분리부재(350)가 장착되는 코어형 중간금형(30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100)에는, 중앙에 제1 경도 패드(70)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간과 양측에 제2 경도 패드(80)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간을 구분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판(111)을 구비하는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의 결합 시 상기 코어형 중간금형(300)에 지지된 경도분리부재(350)가 상기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1 경도 패드용 성형 공간(70A)과 제2 경도 패드용 성형 공간(80A)이 서로 격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100)은 인체와 접촉하는 주착석부(11)와 상기 주착석부의 양쪽에 형성되어 대퇴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부(12)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을 구성하는 세로판(111)은 상기 각 볼스터부의 좌우 영역을 구분하도록 볼스터부(12)의 중앙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분리형 판 금형(110)은 세로판(111)의 한쪽 끝단을 연결하는 가로판(11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분리부재(350)의 양쪽 끝단에는 상기 코어형 중간금형(300)이 삽입되는 장착홀(3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분리부재(350)는 펠트(Felt) 또는 부직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형 중간금형(300)과 상부금형(200)은, 상기 하부금형(100)에 대해 한쪽 단이 힌지로 연결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회동하면서 하부금형(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8. 착석을 위해 형성되는 주착석부(11)와, 상기 주착석부의 양쪽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대퇴부의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볼스터부(12)를 일체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에 있어서,
    인체와 접촉하는 상기 주착석부(11)의 상부영역 및 상기 볼스터부(12)의 내측영역을 형성하는 제1 경도 패드(70);
    상기 주착석부(11)의 하부영역 및 상기 볼스터부(12)의 외측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경도 패드(70)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제2 경도 패드(80); 및
    상기 제1 경도 패드(70)와 제2 경도 패드(80)의 수평 경계부에 개재되어 제1 경도 패드(70)와 제2 경도 패드(80)를 연결하는 경도분리부재(3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KR1020140000078A 2014-01-02 2014-01-02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KR10157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078A KR101579425B1 (ko) 2014-01-02 2014-01-02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078A KR101579425B1 (ko) 2014-01-02 2014-01-02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685A true KR20150080685A (ko) 2015-07-10
KR101579425B1 KR101579425B1 (ko) 2015-12-22

Family

ID=5379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078A KR101579425B1 (ko) 2014-01-02 2014-01-02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4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46A (ko) 2017-06-27 201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
KR102135214B1 (ko) * 2019-03-04 2020-07-17 신동기 알루미늄 증착 작업용 부품 고정 지그
KR20210014476A (ko) * 2019-07-30 2021-02-09 (주)유피티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835B1 (ko) 2019-04-26 2019-10-30 덕일산업 주식회사 시트 쿠션과 발열 패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2510A (en) * 1981-05-25 1982-11-26 Inoue Mtp Kk Production of cushion body
JPH07108544A (ja) * 1993-10-12 1995-04-25 Nhk Spring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の製造方法
JPH09309118A (ja) * 1996-05-21 1997-12-02 Inoac Corp 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成形型および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KR20000063534A (ko) 2000-07-20 2000-11-06 정완영 중간몰드를 구비한 패드 발포 금형의 구조
KR20000063535A (ko) 2000-07-20 2000-11-06 정완영 체인식 중간몰드를 구비한 패드 발포 금형의 구조
JP2003094452A (ja) * 2001-09-21 2003-04-03 Toyo Tire & Rubber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成形型
KR20130027799A (ko) 2011-09-08 2013-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KR101335783B1 (ko) 2011-11-07 2013-12-02 (주)대륜엠유씨 차량용 발포패드 금형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2510A (en) * 1981-05-25 1982-11-26 Inoue Mtp Kk Production of cushion body
JPH07108544A (ja) * 1993-10-12 1995-04-25 Nhk Spring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の製造方法
JPH09309118A (ja) * 1996-05-21 1997-12-02 Inoac Corp 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成形型および異硬度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KR20000063534A (ko) 2000-07-20 2000-11-06 정완영 중간몰드를 구비한 패드 발포 금형의 구조
KR20000063535A (ko) 2000-07-20 2000-11-06 정완영 체인식 중간몰드를 구비한 패드 발포 금형의 구조
JP2003094452A (ja) * 2001-09-21 2003-04-03 Toyo Tire & Rubber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成形型
KR20130027799A (ko) 2011-09-08 2013-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KR101335783B1 (ko) 2011-11-07 2013-12-02 (주)대륜엠유씨 차량용 발포패드 금형의 체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46A (ko) 2017-06-27 201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
US10377283B2 (en) 2017-06-27 2019-08-1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slim foam pad for vehicle seats and slim foam pad for vehicle seat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2135214B1 (ko) * 2019-03-04 2020-07-17 신동기 알루미늄 증착 작업용 부품 고정 지그
KR20210014476A (ko) * 2019-07-30 2021-02-09 (주)유피티 친환경 충격흡수패드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425B1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0600B1 (en) Vehicle seat
US9783088B2 (en) Vehicle seat
JP6102901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579425B1 (ko)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US9132759B2 (en) Vehicle seat
RU2684252C2 (ru) Сиденье в сбор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7107797B (zh) 座椅
JP6771857B2 (ja) 車両用シート
JP5705733B2 (ja) クッション要素およびそれ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金型
JP2009291537A (ja) クッションパッド
JP7060445B2 (ja) シートパッド
JP2007512159A5 (ko)
CN110446442B (zh) 发泡成形体
JP2014205490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KR20130027799A (ko)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JP2010284249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JP2001070084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パッド、そのシートパッドの成形方法およびシートパッドの成形型
JP2015080502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JP2008307834A (ja) 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JP2019188973A (ja) 乗物用シート構成部材の製造方法
JP532343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9142458A (ja) 車両用バックパッド
JP5656707B2 (ja) シートパッド及び同製造方法
JP7404980B2 (ja) 乗物用シートの構成部材及びその成形型
JP2004174762A (ja) 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