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500A -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 Google Patents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500A
KR20150080500A KR1020157010949A KR20157010949A KR20150080500A KR 20150080500 A KR20150080500 A KR 20150080500A KR 1020157010949 A KR1020157010949 A KR 1020157010949A KR 20157010949 A KR20157010949 A KR 20157010949A KR 20150080500 A KR20150080500 A KR 2015008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lunger
lens holder
main body
ey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198B1 (ko
Inventor
윈프리드 와그너 크리스찬
요시타카 야마다
가쓰유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pushable plu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04Force
    • F04C2270/042Force radial
    • F04C2270/0421Controlled or regulated

Abstract

시술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확실하게 조작 가능하며 편리성이 높은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를 제공한다. 렌즈부 및 렌즈부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가지는 안구 내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와, 안구 내 렌즈에 맞닿아 안구 내 렌즈를 압출하는 플런저와, 플런저를 출퇴 가능하게 내삽하는 동시에, 렌즈 홀더를 플런저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장착 가능한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렌즈 홀더는, 압입 전의 초기 위치에 있는 플런저의 선단부와 렌즈부가 동일 평면 상의 배치에 의해, 지지부의 일부가 플런저에 올라탄 상태로 되도록, 지지부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INTRAOCULAR LENS INJECTOR}
본 발명은,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가지는 안구 내 렌즈(intraocular lens)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와, 안구 내 렌즈에 맞닿아 안구 내 렌즈를 압출(押出)하는 플런저(plunger)와, 플런저를 출퇴(出退) 가능하게 내삽(內揷)하는 동시에, 렌즈 홀더를 플런저의 축심(軸芯)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장착 가능한 장치 본체를 구비한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백내장 수술 방법 중 하나로서, 안구 내의 백탁(白濁)한 수정체를 적출(摘出)한 후, 인공의 안구 내 렌즈를 안구 내에 삽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안구 내에 안구 내 렌즈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인젝터라는 삽입 기구(器具)가 사용된다. 이 인젝터는, 안구 내 렌즈를 탑재하는 탑재부와 안구 내 렌즈를 안구 내에 안내하는 삽입부를 가지는 기구 본체와, 안구 내 렌즈를 선단에서 맞닿아 외부로 압출하는 압출 부재로 구성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안구 내 렌즈는, 압출 부재에 압입되고, 삽입부의 내부에서 절첩되면서 안구 내로 방출된다. 그러므로, 절개창(切開創; incised wound)을 작게 할 수 있어, 환자의 수술 부담이 경감된다.
특허 문헌 1에는, 원형의 광학부와, 광학부로부터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가지는 안구 내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안구 내 렌즈는 기구 본체에 의해 유지된다. 이 때, 안구 내 렌즈의 탑재부의 하부로부터 유지 부재를 삽입하여, 안구 내 렌즈를 압출축(押出軸)보다 위쪽에 위치시키고, 압출 부재의 선단부를 안구 내 렌즈의 아래에 잠입(潛入)시킨 상태로 공장으로부터 출시된다. 이어서, 인젝터 사용 시에 시술자가 유지 부재를 빼내면, 안구 내 렌즈의 지지부는 압출 부재의 선단부에 올라탄 상태로 된다. 이로써, 압출 부재의 압입(押入) 시에, 압출 부재의 선단부가 지지부를 가압하지 않아, 지지부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압출 부재는, 압출 작업의 후반 시점에서, 압출 부재의 선단부가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충분히 나오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안구 내 렌즈를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확실하게 방출시켜, 안구 내에 삽입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0―273985호 공보(도 5, 단락 [0016]및 [0030]―[0036])
그러나, 종래의 인젝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인젝터는, 안구 내 렌즈를 기구 본체에 세팅한 상태에서 공장으로부터 출시되는 프리로드 타입이다. 그러므로, 운반 시나 유지구를 빼낼 때 압출 부재의 선단부나 안구 내 렌즈의 위치가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기구 본체가 밀봉 상태이므로, 시술자가 압출 부재 등의 위치가 어긋난 상태를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압출 부재 등을 정확한 위치에 고쳐서 세팅하기 위해서는, 시술자가 기구 본체를 분해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편리성이 나쁘다.
한편, 지지부가 압출 부재에 올라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플런저의 압입을 개시하여, 플런저의 선단부가 지지부에 맞닿아 버리면, 지지부를 생각하지 않는 방향으로 변형시켜, 곡선 형상이 무너지거나 파손되거나 하여, 안구 내의 적정한 위치에 안구 내 렌즈를 삽입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프리로드 타입의 인젝터는, 안구 내 렌즈가 미리 기구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시술자 앞으로 도달할 때까지 안구 내 렌즈를 멸균수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인젝터 전체를 액체에 침지하여 둘 필요가 있어, 보존 용기가 대형화되는 동시에, 사용 시에는 시술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압출 부재의 선단부가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충분히 나오는 것과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시술자는, 압출 작업의 후반 시점에서, 압출 부재의 선단부가 안구 내 조직(組織)에 접촉하지 않도록 항상 주시하면서 작업을 한다. 일반적으로, 압출 작업의 후반 시점은, 안구 내 렌즈를 서서히 변형시키면서 안구 내에 삽입하므로, 안구 내 렌즈와 삽입부의 내면과의 접촉력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안구 내 렌즈를 압출하는 플런저의 압압력(押壓力)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를 압입 작업할 때의 시술자의 부담이 크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시술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확실하게 조작 가능하며 편리성이 높은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가지는 안구 내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
상기 안구 내 렌즈에 맞닿아 상기 안구 내 렌즈를 압출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를 출퇴 가능하게 내삽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플런저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장착 가능한 장치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압입 전의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와 상기 렌즈부가 동일 평면 상의 배치에서, 상기 지지부의 일부가 상기 플런저에 올라탄 상태로 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렌즈 홀더를 장치 본체에 대하여 플런저의 축심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장착하는 것으로 하고, 렌즈 홀더는, 압입 전의 초기 위치에 있는 플런저의 선단부와 렌즈부가 동일 평면 상의 배치에서, 지지부의 일부가 플런저에 올라탄 상태로 되도록, 지지부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렌즈 홀더를 장치 본체에 조립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지지부는 플런저의 선단부를 올라타게 된다. 따라서, 플런저를 압입했을 때, 선단부가 지지부를 파손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안구 내 렌즈를 멸균수로 보존할 때, 렌즈 홀더만을 용기로 보관하면 되므로, 인젝터 전체가 액체로 젖은 상태와 비교하여 시술자의 불쾌감을 경감하고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한, 렌즈 홀더에 미리 안구 내 렌즈를 설치한 상태에서, 렌즈 홀더를 장치 본체에 조립하는 조작에 의해서가 아니고, 장치 본체에 조립된 렌즈 홀더에, 핀셋 등을 사용하여 안구 내 렌즈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렌즈 홀더의 위치 규제부를 마크로 하여 지지부의 배치가 결정되므로, 지지부를 플런저의 선단부에 확실하게 올라타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를 플런저의 선단부에 확실하게 올라타게 함으로써, 플런저의 압입 조작에 의한 지지부의 파손이 없어지므로, 시술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확실하게 조작 가능하며 편리성이 높은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바닥부에는, 압입 전의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를, 상기 렌즈부와 동일 평면 상의 위치까지 받아들일 수 있는 절결부(切缺部)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과 같이 플런저의 선단부를 렌즈부와 동일 평면형으로 배치하므로, 플런저가 위치하는 부위에 대하여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은, 즉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은 부위에 대해서는 렌즈부나 지지부의 유지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결부 이외의 부위에 의해 안구 내 렌즈의 지지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렌즈 홀더를 장치 본체에 조립했을 때, 지지부를 확실하게 플런저의 선단부에 올라타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의 바닥부에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확실하게 조작 가능하며 편리성이 높은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규제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렌즈부와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된 돌기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과 같이, 렌즈부와 지지부와의 사이에 위치 규제부인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부를 렌즈부로부터 이격시켜, 지지부가 플런저 상에 확실하게 탑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후단(後端)에서 압압력을 부여하는 압압부(押壓部)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렌즈 홀더와는 반대측의 단면(端面)과 맞닿아 상기 플런저의 압입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에 의해, 플런저가 필요로 하는 조작량 이상으로 이동하여 버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플런저의 압절(押切)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플런저의 선단부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조작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플런저의 선단부가 안구 내 조직에 충돌하지 않도록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확실하게 조작 가능하며 편리성이 높은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렌즈 홀더와는 반대측의 단부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유지부와 상기 압압부와의 간격을 소정 간격으로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안구 내 렌즈를 서서히 변형시키면서 안구 내에 삽입할 때, 안구 내 렌즈와 선단 칩 내면과의 접촉력이 높아지는 것에 의해 플런저의 압압력이 큰 것으로 된다. 이로써, 시술자의 압압 부담이 커진다.
시술자는, 예를 들면, 장치 본체의 유지부에 집게 손가락과 중지(中指)를 걸어 플런저의 압압부를 엄지로 가압함으로써 안구 내 렌즈를 방출한다.
본 구성에서는, 스토퍼와 압압부와의 거리가 압입 작업의 후반 시점에서 가장 압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정함으로써, 시술자의 압압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간격은, 통상의 손의 크기의 사람이, 집게 손가락과 중지와의 제2 관절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플런저를 압입 조작할 수 있는 10∼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선단 칩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선단 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런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개방 상태에서의 렌즈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폐쇄 상태에서의 렌즈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조립 수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조립 수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조립 수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압절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런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홀더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1)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1. 전체 구성
도 1에, 본 실시형태의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1)[이하, 인젝터(1)라고 표기 함]의 전체도를 나타낸다. 이 인젝터(1)는, 통형(筒形)의 장치 본체(2)와, 장치 본체(2)에 접속되는 선단 칩(3)과, 장치 본체(2)에 장착 가능한 렌즈 홀더(4)와, 장치 본체(2)에 내삽되는 봉형(棒形)의 플런저(5)를 가진다. 안구 내 렌즈(7)는, 수정체의 대신으로 되는 렌즈부(7a)와, 렌즈부(7a)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방 지지부(7b) 및 후방 지지부(7c)로 이루어지고, 렌즈 홀더(4)에 유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부(7a)와 한 쌍의 지지부(7b, 7c)를 가지는 3피스 형의 안구 내 렌즈(7)를 일례로서 나타낸다.
플런저(5)의 축심 방향을 전후 방향, 축심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하여, 적절히 설명한다.
2. 장치 본체
장치 본체(2)는, 전방에 선단 칩(3) 및 렌즈 홀더(4)가 걸어맞추어지는 지지부(21)와, 전단(前端)의 외면에 시술자가 파지(把持) 가능한 복수의 환형(環形) 돌기부(22)와, 후단의 외면에 시술자가 손가락을 걸쳐 유지하는 칼라형(collar type)의 유지부(23)를 가진다. 장치 본체(2)는, 내충격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환형 돌기부(22)와 유지부(23)는, 필요로 하는 기능을 발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유지부(23)를 칼라형이 아니고 손가락을 걸 수가 있는 돌기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시술자는, 한쪽의 손으로 플런저(5)를 압입하면서, 다른 한쪽의 손으로 환형 돌기부(22)를 회동(回動) 조작하고, 안구 내 렌즈(7)를 전방 지지부(7b), 렌즈부(7a), 후방 지지부(7c)의 순서로, 환자의 안구 내로 방출한다. 환형 돌기부(22)를 형성함으로써, 시술자가 인젝터(1)를 파지하기 용이해져, 인젝터(1)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3. 선단 칩
도 2 및 도 3에는, 선단 칩(3)의 평면도 및 사시도가 나타낸다. 선단 칩(3)은, 안구 내 렌즈(7)가 방출되는 방출부(31)와,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內徑)이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부(32)와, 중앙이 개구된 직사각형의 외주(外周)를 가지는 직사각형부(33)를 가지고 있다. 직사각형부(33)를 장치 본체(2)의 지지부(21)에 걸어맞춤으로써, 선단 칩(3)은 장치 본체(2)에 접속된다. 그리고, 선단 칩(3)과 장치 본체(2)와의 걸어맞춤은, 예를 들면, 걸림 클릭과 걸림공에 의한 것 등, 어떠한 구성이라도 된다. 선단 칩(3)은, 내약품성이나 유연성이 있는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안구 내 렌즈(7)는, 플런저(5)에 압입되어 테이퍼부(32)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절첩된다. 이어서, 렌즈부(7a)의 양단이 절첩된 상태로, 안구 내 렌즈(7)가 방출부(31)에 도달한다. 방출부(31)에 도달한 안구 내 렌즈(7)는, 먼저 전방 지지부(7b)가 안구 내로 들어가고, 이어서, 렌즈부(7a)가 방출부(31)의 커팅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안구 내로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후방 지지부(7c)가 곡선 형상을 유지한 채로 안구 내로 들어가, 렌즈부(7a)가 지지된다.
직사각형부(33)는, 렌즈 홀더(4)의 후방 돌기(45)와 걸어맞추어지는 후방 오목부(35)와, 렌즈 홀더(4)의 걸림 클릭(49)과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공부(39)와, 전방에는 히알론산 나트륨 등의 탄점성(彈粘性) 물질을 주사기로 주입 가능한 주입공부(36) 및 그 주위에 주입 오목부(37)를 가진다.
인젝터(1)의 사용 시에는, 렌즈 홀더(4)가 직사각형부(33)의 개구에 삽입된다. 이 때, 선단 칩(3)의 직사각형부(33)의 전후는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시술자는, 렌즈 홀더(4)의 설치 방향을 잘못됨이 없이,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주사기의 주사침을 주입공부(36)에 삽입할 때, 주사침의 선단이 주입 오목부(37)에 의해 유도되므로, 확실하게 점탄성 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4. 플런저
도 4에는, 플런저(5)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플런저(5)는, 안구 내 렌즈(7)의 렌즈부(7a)와 맞닿는 면이 평탄 형상의 선단부(51)와, 장치 본체(2)의 후단에서 걸리는 걸림부(52)와,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53)와, 스토퍼(53)의 후방에 칼라형의 압압부(54)를 가진다. 플런저(5)는, 내충격성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선단부(51)와 스토퍼(53)와 압압부(54)는, 필요로 하는 기능을 발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선단부(51)의 렌즈부(7a)와 맞닿는 면에, 렌즈부(7a)를 협지(sandwich)하는 돌기 등을 형성해도 된다.
플런저(5)는, 장치 본체(2)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걸림부(52)가 장치 본체(2)의 후단에서 걸리는 것에 의해, 렌즈 홀더(4)의 절결부(46)에 선단부(51)가 들어가는 위치로 되도록 압입 전의 초기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플런저(5)의 압입 시, 안구 내 렌즈(7)가 선단 칩(3)의 테이퍼부(32)의 내부를 전진함에 따라, 선단 칩(3)의 내면과 렌즈부(7a)와의 접촉력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플런저(5)의 전진 스피드가 느슨해지므로, 안구 내 렌즈(7)가 강하게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걸림부(52)보다 선단부(51) 측의 플런저(5)의 외주면(外周面)과 장치 본체(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따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된다. 이로써, 플런저(5)의 압입 시에 탄성 부재로부터 반력(反力)을 받아, 안구 내 렌즈(7)가 플런저(5)의 선단부(51)로부터 강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탄성 부재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런저(5)의 압압부(54)와 장치 본체(2)의 후단과의 사이에 배치해도 되고, 플런저(5)의 압입 시에 탄성 부재로부터 반력을 받는 구성이면 된다.
한편, 안구 내 렌즈(7)가 외부로 방출되면, 안구 내 렌즈(7)의 탄성력이 개방되므로, 플런저(5)가 전방으로 급격하게 진행되기 용이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53)를 장치 본체(2)의 후단에서 정지시키도록 크게 돌출시키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절 완료 위치에서 플런저(5)의 이동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시술자의 압압력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안구 내 렌즈(7)의 탄성력이 개방된 후에 플런저(5)가 단번에 전진하여, 안구 내 조직에 선단부(51)가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3)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플런저(5)의 압절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플런저(5)의 선단부(51)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조작할 필요가 없다.
스토퍼(53)는, 장치 본체(2)의 유지부(23)와 플런저(5)의 압압부(54)를,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설정한다. 안구 내에 안구 내 렌즈(7)를 삽입할 때, 선단 칩(3)의 내면과 렌즈부(7a)와의 접촉력이 높아지므로, 압입 조작의 후반에서는 비교적 큰 압압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안구 내 렌즈(7)는, 전방 지지부(7b), 렌즈부(7a), 후방 지지부(7c)의 순서로 서서히 변성시키면서 안구 내에 삽입되어 가므로, 플런저(5)의 압압력이 높아진다. 즉, 안구 내 렌즈(7)를 방출할 때가, 가장 시술자의 압압 부담이 큰 것으로 된다.
시술자는, 예를 들면, 장치 본체(2)의 유지부(23)에 집게 손가락과 중지를 걸어 플런저(5)의 압압부(54)를 엄지로 가압함으로써 안구 내 렌즈(7)를 방출시킨다. 이 때, 장치 본체(2)의 유지부(23)와 플런저(5)의 압압부(54)와의 간격을, 시술자가 가장 압압력을 발휘할 수 있는 소정 간격으로 설정함으로써, 시술자의 압압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통상의 손의 크기의 사람이, 집게 손가락과 중지와의 제2 관절을 지점으로 하여 플런저(5)를 압입 조작할 수 있는 거리는, 0∼100㎜의 범위이다. 그러므로, 플런저(5)를 압절 시의 유지부(23)와 압압부(54)와의 간격은, 압입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10∼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플런저(5)를 압절 시의 유지부(23)와 압압부(54)와의 간격을 10㎜∼30㎜의 범위로 하면, 신중한 플런저(5)의 조작이 요구되는 안구 내 렌즈(7)의 방출 시에, 가장 양호하게 압압력을 발휘할 수 있다.
5. 렌즈 홀더
도 5 및 도 6에는, 렌즈 홀더(4)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렌즈 홀더(4)는, 안구 내 렌즈(7)를 탑재하는 바닥부(41)와, 바닥부(41)와 접속되고 개폐 가능한 커버부(48)로 구성된다. 바닥부(41)에 안구 내 렌즈(7)를 설치한 후, 커버부(48)를 닫음으로써, 안구 내 렌즈(7)를 유지한다. 렌즈 홀더(4)는, 내약품성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렌즈 홀더(4)의 바닥부(41)는, 중앙의 전후에 걸쳐 홈부(42)와, 홈부(42)의 후방의 좌우에 돌기부(43)(위치 규제부의 일례)와, 측방으로부터 돌출된 측방 돌기(44)와, 선단 칩(3)의 후방 오목부(35)와 걸어맞추어지는 후방 돌기(45)와, 후단의 중앙을 절결한 절결부(46)를 가진다. 또한, 바닥부(41)와 대향하는 렌즈 홀더(4)의 외면에는, 선단 칩(3)의 걸어맞춤공부(39)에 걸어맞추어지는 걸림 클릭(49)을 가진다. 그리고, 선단 칩(3)에 걸어맞춤공부(39)를 형성하지 않고, 렌즈 홀더(4)의 걸림 클릭(49)을 장치 본체(2)의 지지부(21)에 걸어맞추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43)나 절결부(46) 등은, 필요로 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돌기부(43)로부터 후방이 모두 개구된 절결부(46)를 가지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안구 내 렌즈(7)의 렌즈부(7a)와 후방 지지부(7c)와의 사이에는 돌기부(43)가 배치되고, 후방 지지부(7c)를 렌즈부(7a)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안구 내 렌즈(7)는 렌즈 홀더(4)에 유지된다. 이 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지지부(7c)가 후단의 중앙을 절결한 절결부(46)를 횡단한 상태로 된다. 또한, 전방 지지부(7b)가 측방 돌기(44)와 맞닿음으로써, 안구 내 렌즈(7)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돌기부(43)와 측방 돌기(44)에 의해, 안구 내 렌즈(7)는 렌즈 홀더(4)의 일정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인젝터(1)의 운반 시나 예기치 못한 외력에 의해, 안구 내 렌즈(7)의 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43)에서의 렌즈부(7a)와의 맞닿은 면은, 렌즈부(7a)의 주위 에지부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렌즈부(7a)와 돌기부(43)가, 렌즈부(7a)의 주위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맞닿는 것이 가능해져, 더욱 안정된 유지가 가능해진다.
후방 지지부(7c)가 절결부(46)를 횡단하여 유지되어 있으므로, 렌즈 홀더(4)를 장치 본체(2)에 위쪽으로부터 조립할 때, 후방 지지부(7c)는 플런저(5)의 선단부(51) 상에 올라탄 상태로 된다. 즉, 절결부(46)에 의해, 압입 전의 초기 위치에 있는 플런저(5)의 선단부(51)가, 안구 내 렌즈(7)로 동일 평면 형상의 위치까지 받아들여진 상태로 된다.
또한, 절결부(46) 이외의 부위에 의해 후방 지지부(7c)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렌즈 홀더(4)를 장치 본체(2)에 조립할 때, 후방 지지부(7c)를 확실하게 플런저(5)의 선단부(51)에 탑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4)의 바닥부(41)에 절결부(46)를 형성함으로써, 후방 지지부(7c)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홀더(4)를 장치 본체(2)에 위쪽으로부터 조립할 때, 돌기부(43)에 의해 후방 지지부(7c)를 렌즈부(7a)로부터 이격시키고 있으므로, 후방 지지부(7c)가 플런저(5) 상에 확실하게 탑재된다.
그러므로, 플런저(5)의 압입을 개시했을 때, 플런저(5)의 선단부(51)가 맞닿아, 후방 지지부(7c)가 생각하지 않는 방향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젝터(1)의 초기 설정이 완료된 후, 플런저(5)의 선단부(51)를 렌즈부(7a)에 접촉시키면서 홈부(42)를 따라 압입하면, 플런저(5) 상에 올라탄 후방 지지부(7c)는 돌기부(43)를 타고 넘어, 곡선 형상을 유지한 채 원활하게 전진한다. 이 때, 플런저(5)는, 홈부(42)를 따라 전진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커버부(48)의 외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부(把持部)(47)가 형성되어 있다. 안구 내 렌즈(7)를 설치하기 위해 렌즈 홀더(4)의 커버부(48)를 개폐할 때, 파지부(47)를 잡고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렌즈 홀더(4)가 장치 본체(2)에 미리 설치된 인젝터(1)에, 안구 내 렌즈(7)를 설치해도 되고, 파지부(47)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장치 본체(2)에 설치된 렌즈 홀더(4)에 안구 내 렌즈(7)를 설치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43)가 렌즈부(7a)와 후방 지지부(7c)와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핀셋 등을 사용하여 안구 내 렌즈(7)를 렌즈 홀더(4)에 설치하면 되므로, 편리성이 높다
6. 조립 수순
도 7∼도 9를 사용하여 인젝터(1)의 조립 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선단 칩(3)을 장치 본체(2) 위로부터 삽입하여 걸어맞춘다. 이어서, 플런저(5)를 장치 본체(2)의 후단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5)의 걸림부(52)가 장치 본체(2)의 후단에서 걸리는 것에 의해, 렌즈 홀더(4)의 절결부(46)에 플런저(5)의 선단부(51)가 들어가도록 위치 결정된다. 그러므로, 플런저(5)와 선단 칩(3)은, 반송(搬送) 시에 장치 본체(2)로부터 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적다.
이어서, 도 7을 사용하여, 렌즈 홀더(4)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구 내 렌즈(7)를 렌즈 홀더(4)의 바닥부(41)에 설치한다. 이 때, 렌즈부(7a)의 환자의 눈을 향하는 이면측(裏面側)의 면을 아래로 하여, 렌즈부(7a)의 주위 에지부가 돌기부(43)와 맞닿도록 탑재한다. 이로써, 후방 지지부(7c)는 돌기부(43)를 걸쳐 후방에 위치하고, 절결부(46) 상에 횡단한 상태로 된다. 동시에, 전방 지지부(7b)는 측방 돌기(44)와 맞닿아, 안구 내 렌즈(7)가 렌즈 홀더(4)의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48)를 씌워, 멸균수로 채워진 도시하지 않은 홀더 수용 용기에 넣어 밀폐 상태로 된다. 이 때, 안구 내 렌즈(7)는 돌기부(43)와 측방 돌기(44)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반송 시에 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적다.
또한, 렌즈 홀더(4)만을 멸균수가 들어간 용기에 보관하면 되므로, 인젝터(1)의 내부에 안구 내 렌즈(7)를 미리 세팅하여 보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술자는 액체로 젖은 용기를 접촉하는 저항감이 적다.
이어서, 도 8을 사용하여, 시술자에 의한 인젝터(1)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장에서 조립된 장치 본체(2) 등을 도시하지 않은 용기로부터 인출한다. 이 때, 시술자는 플런저(5)의 선단부(51)가 장치 본체(2)의 전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것을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한다. 장치 본체(2)의 전방은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시술자는, 압입 전의 초기 위치에 있는 플런저(5)의 선단부(51)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렌즈 홀더(4)를 도시하지 않은 홀더 수용 용기로부터 인출하여, 장치 본체(2) 위로부터, 즉 플런저(5)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렌즈 홀더(4)를 장치 본체(2)에 조립한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구 내 렌즈(7)의 후방 지지부(7c)는, 확실하게 플런저(5)의 선단부(51) 상에 올라탄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시술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선단 칩(3)의 주입공부(36)로부터 탄점성 물질을 주입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5)는 압입 조작 가능한 초기 상태로 설정된다.
장치 본체(2)에 설치된 렌즈 홀더(4)에 안구 내 렌즈(7)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장치 본체(2) 위로부터, 즉 플런저(5)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렌즈 홀더(4)를 장치 본체(2)에 조립한다. 이 조립은, 공장 조립 단계라도 되고, 사용 시라도 된다. 사용 시에 있어서, 시술자는 플런저(5)의 선단부(51)가 장치 본체(2)의 전단으로부터 나와 있는 것을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한다. 이어서, 안구 내 렌즈(7)를 도시하지 않은 렌즈 수용 용기로부터 인출하여, 돌기부(43)가 렌즈부(7a)와 후방 지지부(7c)와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핀셋 등을 사용하여 렌즈 홀더(4)에 설치한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구 내 렌즈(7)의 후방 지지부(7c)는, 확실하게 플런저(5)의 선단부(51) 상에 올라탄 상태로 되므로, 편리성이 높다. 이어서, 선단 칩(3)의 주입공부(36)로부터 탄점성 물질을 주입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5)는 압입 조작 가능한 초기 상태로 설정된다.
7. 조작 수순
도 10은, 압절 완료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젝터(1)를 초기 상태로 설정한 후, 시술자는 플런저(5)의 압입 작업을 개시한다. 이 때, 시술자는, 선단 칩(3)의 방출부(31)가 안구 내 조직에 접촉되지 않도록, 환자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플런저(5)를 압입 조작한다. 이어서, 시술자는, 플런저(5)의 스토퍼(53)를 육안으로 보면서 플런저(5)의 압입 상황을 확인하고 나서, 어느 정도 압입 조작이 진행된 시점에서 방출부(31)를 환자의 눈에 삽입한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플런저(5)의 선단부(51)가 방출부(31)로부터 나오기 직전의 상태에 있어서, 인젝터(1)를 천천히 회동시키면서 방출부(31)의 커팅하고 있는 측을 눈의 안쪽을 향해 안구 내 렌즈(7)를 안구 내로 방출한다.
[다른 실시형태]
(1)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5)의 스토퍼(55)는, 압압부(54)까지 이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상기 원기둥 형상에 관한 부위의 플런저(5)의 강성(剛性)이 높아져, 압입 방향의 강한 압압에 있어서 변형이 억제되므로, 안구 내 렌즈(7)의 압입 조작이 안정된 것으로 된다.
(2) 그 외에, 플런저(5)의 스토퍼(55)를, 예를 들면, 플랜지(flange) 형상이나 편평 형상으로 하는 등, 플런저(5)의 전진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3) 렌즈 홀더(4)의 위치 규제부는, 예를 들면, 돌기부(43)의 상면에 안구 내 렌즈(7)의 후방 지지부(7c)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후방 지지부(7c)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인젝터(1)의 반송 시에 있어서 안구 내 렌즈(7)의 이동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4) 그 외에, 렌즈 홀더(4)의 위치 규제부는, 후방 지지부(7c)가 렌즈 홀더(4)의 절결부(46)를 횡단하는 상태로 되고, 또한 안구 내 렌즈(7)의 보관에 적절한 구조이면,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5) 렌즈 홀더(4)에 설치한 측방 돌기(44)와 안구 내 렌즈(7)의 전방 지지부(7b)가 맞닿음으로써, 반송 시 등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안구 내 렌즈(7)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측방 돌기(44)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도, 돌기부(43)가 후방 지지부(7c)와 렌즈부(7a)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안구 내 렌즈(7)의 이동이 규제된다.
(6)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홀더(4)의 커버부(48)의 전방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규제핀(60)을 삽입해도 된다. 그 결과, 규제핀(60)은, 렌즈 홀더(4)에 유지된 안구 내 렌즈(7)의 전방 지지부(7b)와 렌즈부(7a)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안구 내 렌즈(7)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경우, 플런저(5)의 압입 조작은, 규제핀(60)을 없애고 나서 실행되므로, 플런저(5)의 압입 조작에 의해 안구 내 렌즈(7)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안구 내 렌즈를 안구 내에 삽입하기 위한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에 이용 가능하다.
1;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2; 장치 본체
23; 유지부
4; 렌즈 홀더
41; 바닥부
43; 돌기부(위치 규제부)
46; 절결부
5; 플런저
51; 선단부
53; 스토퍼
54; 압압부
7; 안구 내 렌즈
7a; 렌즈부
7b; 전방 지지부(지지부)
7c; 후방 지지부(지지부)

Claims (5)

  1.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로부터 곡선형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가지는 안구 내 렌즈(intraocular lens)를 유지하는 렌즈 홀더;
    상기 안구 내 렌즈에 맞닿아 상기 안구 내 렌즈를 압출(押出)하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를 출퇴(出退) 가능하게 내삽(內揷)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 홀더를 상기 플런저의 축심(軸芯)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장착 가능한 장치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압입(押入) 전의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와 상기 렌즈부가 동일 평면 상의 배치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일부가 상기 플런저에 올라탄 상태로 되도록, 상기 지지부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를 포함하고 있는,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injecto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의 바닥부에는, 압입 전의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를, 상기 렌즈부와 동일 평면 상의 위치까지 받아들일 수 있는 절결부(切缺部)를 형성하고 있는,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규제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렌즈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된 돌기부에 의해 구성되는,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후단(後端)에서 압압력(押壓力)을 부여하는 압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압부와는 상이한 위치에,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렌즈 홀더와는 반대측의 단면(端面)에 맞닿아 상기 플런저의 압입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한,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렌즈 홀더와는 반대측의 단부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유지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는, 상기 유지부와 상기 압압부와의 간격을 소정 간격으로 설정하는,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KR1020157010949A 2012-10-26 2013-10-28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KR102212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7001 2012-10-26
JPJP-P-2012-237001 2012-10-26
PCT/JP2013/079079 WO2014065426A1 (ja) 2012-10-26 2013-10-28 眼内レンズ用インジェ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500A true KR20150080500A (ko) 2015-07-09
KR102212198B1 KR102212198B1 (ko) 2021-02-03

Family

ID=5054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949A KR102212198B1 (ko) 2012-10-26 2013-10-28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27139B2 (ko)
EP (1) EP2913029A4 (ko)
JP (1) JP6379421B2 (ko)
KR (1) KR102212198B1 (ko)
CN (1) CN104755045B (ko)
TW (1) TWI608852B (ko)
WO (1) WO20140654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906A (ko) * 2015-12-15 2018-08-22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홀더 및 안내 렌즈용 인젝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3089B2 (en) 2012-05-21 2016-10-11 Novartis Ag Plunger system for intraocular lens surgery
US9757536B2 (en) 2012-07-17 2017-09-12 Novartis Ag Soft tip cannula
CN105473104B (zh) * 2013-11-15 2018-01-09 梅迪塞有限公司 用于容置眼内透镜的装置
JP7066320B2 (ja) * 2014-07-30 2022-05-13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US20170304046A1 (en) * 2014-10-22 2017-10-26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Intraocular lens injector
US10588780B2 (en) 2015-03-04 2020-03-17 Alc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CA3005340A1 (en) 2015-11-13 2017-05-18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BE1024131B1 (fr) * 2016-04-21 2017-11-20 Physiol S.A. Dispositif d'injection de lentille intraoculaire souple et navette de stockage pour sa mise en œuvre
CN107595434A (zh) * 2016-07-11 2018-01-19 上海中医药大学附属龙华医院 一体式人工晶体推注器
JP7086590B2 (ja) * 2016-12-19 2022-06-20 参天製薬株式会社 眼内レンズ用インジェクタ
US11000367B2 (en) 2017-01-13 2021-05-11 Alc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US10568735B2 (en) 2017-01-13 2020-02-25 Alc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CN108852558B (zh) * 2018-05-10 2021-01-15 辽宁美滋林药业有限公司 一种人工晶状体推注装置
EP3860509A1 (en) * 2018-12-13 2021-08-11 Alcon Inc. Haptic optic management system utilizing rotating cams
CN112515815B (zh) * 2019-09-17 2023-12-26 富螺(上海)医疗器械有限公司 人工晶体推注器以及人工晶体的植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196A (ja) * 2003-05-28 2004-12-16 Alcon Inc レンズ送出システム
JP2007307082A (ja) * 2006-05-17 2007-11-29 Canon Star Kk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JP2009160138A (ja) * 2007-12-28 2009-07-23 Menicon Co Ltd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2010273985A (ja) 2009-05-29 2010-12-09 Nidek Co Ltd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2011004979A (ja) * 2009-06-25 2011-01-13 Staar Japan Kk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眼内挿入用レンズ内装型挿入器具及び眼内挿入用レンズ内装型挿入器具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3154B1 (fr) * 2001-12-12 2004-11-19 Ioltechnologie Production Cassette et injecteur de lentille intraoculaire souple et procede d'injection de telles lentilles
JP2004041271A (ja) 2002-07-09 2004-02-12 Menicon Co Ltd 眼内レンズ挿入装置
WO2005070341A1 (ja) * 2004-01-27 2005-08-04 Hoya Corporation 眼内レンズ挿入装置及びそのカートリッジ
US7458976B2 (en) * 2005-03-02 2008-12-02 Advanced Medical Opt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toring, loading, and delivering an intraocular lens
JPWO2007080869A1 (ja) * 2006-01-13 2009-06-11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JP4648859B2 (ja) 2006-03-15 2011-03-09 スター・ジャパン株式会社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及び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システム
JP4873366B2 (ja) * 2006-07-05 2012-02-08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JP4908977B2 (ja) 2006-09-05 2012-04-04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5501658B2 (ja) * 2009-05-29 2014-05-2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GB2472873A (en) * 2009-08-18 2011-02-23 Carl Zeiss Meditec Sas Cassette for intraocular le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1196A (ja) * 2003-05-28 2004-12-16 Alcon Inc レンズ送出システム
JP2007307082A (ja) * 2006-05-17 2007-11-29 Canon Star Kk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JP2009160138A (ja) * 2007-12-28 2009-07-23 Menicon Co Ltd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2010273985A (ja) 2009-05-29 2010-12-09 Nidek Co Ltd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2011004979A (ja) * 2009-06-25 2011-01-13 Staar Japan Kk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眼内挿入用レンズ内装型挿入器具及び眼内挿入用レンズ内装型挿入器具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906A (ko) * 2015-12-15 2018-08-22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홀더 및 안내 렌즈용 인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1576A (zh) 2014-08-16
TWI608852B (zh) 2017-12-21
JP6379421B2 (ja) 2018-08-29
EP2913029A4 (en) 2016-06-15
WO2014065426A1 (ja) 2014-05-01
US9827139B2 (en) 2017-11-28
CN104755045A (zh) 2015-07-01
EP2913029A1 (en) 2015-09-02
JP2014100558A (ja) 2014-06-05
KR102212198B1 (ko) 2021-02-03
US20150272779A1 (en) 2015-10-01
CN104755045B (zh)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0500A (ko)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KR20150102952A (ko) 안구 내 렌즈용 인젝터
JP5470753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KR101622434B1 (ko) 안내 렌즈를 유지, 절곡 및 주입하는 장치
US10195019B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apparatus
EP1800623A1 (en) Insertion device for intraocular lens
EP2926770B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EP3278830B1 (en) Assembly for protecting puncture needle, syring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08029498A1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EP2974696B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and intraocular lens insertion system
WO2006070561A1 (ja)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KR20190021236A (ko) 안내 렌즈 삽입기
US20200139054A1 (en) Safety needle with deformable cannula for injector pen
EP2974697A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CN211535129U (zh) 预装式囊袋张力环推注器、预装式囊袋张力环
WO2016080497A1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CN112773597A (zh) 预装式囊袋张力环推注器、预装式囊袋张力环以及囊袋张力环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