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509A - 곤포 용기 - Google Patents

곤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509A
KR20150079509A KR1020150083279A KR20150083279A KR20150079509A KR 20150079509 A KR20150079509 A KR 20150079509A KR 1020150083279 A KR1020150083279 A KR 1020150083279A KR 20150083279 A KR20150083279 A KR 20150083279A KR 20150079509 A KR20150079509 A KR 20150079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rip portion
hole
bag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043B1 (ko
Inventor
히로시 츠유키
도모미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65Integral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65D81/055Protectors contacting three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three-sided edge protectors
    • B65D81/056Protectors contacting three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three-sided edge protectors the surfaces being gener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e.g. three-sided corner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office or shop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곤포(梱包) 용기는, 내부에 피(被)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띠의 양단이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떨어진 2개의 위치에서 상기 봉지부에 접속된 고리 형상의 구성을 복수 가짐과 함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피곤포체가 수용된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통과구측의 면보다 상기 통과구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피곤포체가 수용된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상기 통과구를 따른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봉지부의 접속 부분의 위치는, 상기 피곤포체가 수용된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통과구측의 면보다 상기 통과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곤포 용기{PACKING CONTAINER}
본 발명은 곤포(梱包) 용기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와 같은 정밀 기기를 곤포하는 기술에 관하여, 이하의 일본국 특개2009-35269호 공보(「0024」, 도 1)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이다.
상기 공보에는, 화상 기록 장치(1)를, 봉지(袋) 형상의 보호 시트(7)로 피복하고 나서, 곤포용 완충체(3, 4)로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넣고, 곤포 상자(2)에 수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외장 용기를 소형화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의하면, 내부에 피(被)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를 구비한 곤포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띠의 양단이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가 떨어진 2개의 위치에서 상기 봉지부에 접속된 고리 형상의 구성을 복수 가짐과 함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피곤포체가 수용된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통과구측의 면보다 상기 통과구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피곤포체가 수용된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상기 통과구를 따른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봉지부의 접속 부분의 위치는, 상기 피곤포체가 수용된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통과구측의 면보다 상기 통과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장 용기의 상기 통과구가 닫혔을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통과구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수용됨과 함께, 상기 손잡이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곤포체의 외단(外端)보다,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봉지부의 접속 부분이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통과구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봉지부의 헐렁거린 부분이, 상기 봉지부의 상기 피곤포체의 외면을 따른 부분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의 헐렁거린 부분이,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가 한데 모아 파지되었을 경우에, 손잡이부의 연장상이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의 외표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접혀 있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끼리의 간격이,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봉지부의 접속부끼리의 간격보다 길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 봉지의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수용 봉지를 사이에 끼워 상기 피곤포체와 상기 외장 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방안에 의하면, 손잡이부를 갖지 않은 수용 봉지를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외장 용기와 피곤포체의 틈을 작게 할 수 있어, 외장 용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곤포의 개방시에 손잡이부를 움켜잡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수용 봉지의 파단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4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헐렁거린 부분이 피곤포체의 외표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제5 방안에 의하면, 수용 봉지를 외장 용기로부터 꺼낼 때에, 완충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피곤포체를 꺼낼 수 있어, 피곤포체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전체 설명도이며, 각 부재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진 상태의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2A는 곤포된 상태에서 외장 용기의 상부가 열린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곤포된 상태에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곤포된 상태에서, 상측의 완충재와 피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진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의 피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지고 또한 수용 봉지로부터 꺼내지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종래의 곤포 용기로부터 피곤포체를 꺼내는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2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2A에 대응하는 평면도.
도 7은 실시예 3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2B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예(이하, 실시예라고 기재함)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 있어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圖示)는 적절히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전체 설명도이며, 각 부재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2A는 곤포된 상태에서 외장 용기의 상부가 열린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곤포된 상태에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서, 실시예 1의 곤포 용기(1)는, 외장 용기의 일례로서의 직방체 형상의 외장 상자(2)를 갖는다. 실시예 1의 외장 상자(2)는, 골판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골판지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용기 등, 종래 공지의 임의의 용기를 채용 가능하다. 상기 외장 상자(2)는, 저부(底部)(2a)와, 전후좌우의 측부(2b)와, 각 측부(2b)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덮개부(2c)를 갖고, 덮개부(2c)가 닫힌 상태에서, 저부(2a), 측부(2b) 및 덮개부(2c)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의해 수용 공간(3)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2c)가 개방되면 수용 공간(3)의 상부에 통과구(3a)가 형성된다.
상기 외장 상자(2)의 내부의 수용 공간(3)에는, 피곤포체의 일례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4)가 수용된다. 상기 프린터(4)는, 장치 본체(4a)와,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의 일례로서, 장치 본체(4a)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급지 트레이(4b)와, 화상이 기록된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부의 일례로서, 장치 본체(4a)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 트레이(4c)를 갖는다.
도 2A에서, 실시예 1의 프린터(4)는, 좌우 방향의 길이(La)쪽이, 전후 방향의 길이(Lb)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즉, 프린터(4)나 수용되는 외장 상자(2)도, 좌우 방향이 장변 방향, 전후 방향이 단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곤포된 상태에서, 상측의 완충재와 피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피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지고 또한 수용 봉지로부터 꺼내지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도 4에서, 상기 프린터(4)는, 수용 봉지의 일례로서의 폴리 봉지(6)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장 상자(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는, 프린터(4)가 수용되는 봉지부(7)와, 프린터(4)가 봉지부(7)로부터 출입될 때에 통과 가능한 개구부(8)와, 한 쌍의 손잡이부(9)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는, 폴리에틸렌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또한, 폴리 봉지(6)는, 0.02∼0.1㎜ 정도, 특히, 5kg 정도의 프린터(4)의 경우, 0.04∼0.06㎜ 정도의 두께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린터(4)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손잡이부(9)를 들어도 파단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임의의 수지 재료나 두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에서는, 손잡이부(9)는, 띠의 양단이 상기 개구부(8)의 가장자리의 전후에 떨어진 2개의 위치에서, 봉지부(7)에 접속된 고리 형상의 구성을 2개 갖는다. 따라서, 손잡이부(9)는, 소위 루프(loop)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에 이용자가 손가락이나 팔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간(9a)이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손잡이부(9)끼리의 간격인 좌우 방향의 간격이, 손잡이부(9)와 봉지부(7)의 접속부(9b)끼리의 간격인 전후 방향의 간격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장변 방향의 양측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제작 비용의 저감을 위해, 봉지부(7)에 일체 형성되어 있지만, 별체 구성의 띠 형상의 손잡이부를 봉지부(7)에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4)가 수용된 폴리 봉지(6)가 외장 상자(2) 내에 수용되며, 또한, 손잡이부(9)를 통과구(3a)를 통과하는 방향인 상방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프린터(4)의 통과구(3a)측의 면인 상면보다 통과구(3a)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프린터(4)가 수용된 폴리 봉지(6)가 외장 상자(2) 내에 수용되며, 또한, 손잡이부(9)를 통과구(3a)를 따른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프린터(4)의 통과구(3a)를 따른 길이인 폭(La)의 절반 이상의 길이(L1)로 형성되어 있다. 즉, 손잡이부(9)의 길이(L1)가, 프린터(4)의 장변 방향의 폭(La)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며, L1≥La/2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상자(2)의 통과구(3a)가 닫혔을 경우에, 통과구(3a)를 따른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으며,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1≥La/2로 설정된 좌우의 손잡이부(9)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에서는, 손잡이부(9)끼리의 선단 부분이 상하로 겹친 상태로 접힌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에서는, 손잡이부(9)와 봉지부(7)의 접속 부분(9b)의 위치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4)가 수용된 폴리 봉지(6)가 외장 상자(2) 내에 수용되며, 또한, 손잡이부(9)를 상방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프린터(4)의 통과구(3a)의 면보다 통과구(3a)측인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폴리 봉지(6)에 프린터(4)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프린터(4)의 상면의 모서리(4d)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폴리 봉지(6)로 덮인 상태가 되도록, 폴리 봉지(6)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상자(2)가 닫힌 상태에서는, 접속 부분(9b)은, 프린터(4)의 외단(外端)의 모서리(4d)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도 2B, 도 3, 도 4에서,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에서는, 손잡이부(9)가 통과구(3a)를 따른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봉지부(7)의 헐렁거린 부분(7a)이, 접속 부분(9b)보다, 봉지부(7)의 프린터(4)의 외면을 따른 부분(7b)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9)를 한 손으로 움켜쥔 상태와 같이,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9)가 한데 모아 파지되었을 경우에, 봉지부(7)의 헐렁거린 부분(7a)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9)의 연장선상에서 프린터(4)의 외표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접혀 있다.
도 1, 도 2에서, 실시예 1의 곤포 용기(1)에서는, 외장 상자(2)에는, 폴리 봉지(6)에 수용된 프린터(4)가 수용될 경우에, 외력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부재의 일례로서의 쿠션재(11)를 통해 수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쿠션재(11)는, 외장 상자(2)의 저부의 네 개의 모서리에 배치된 4개의 하부 쿠션(12)과, 프린터(4)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 쿠션(13)을 갖는다. 상부 쿠션(13)은, 경량화를 위해 중앙부가 도려내진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부(13a)와, 프레임부(13a)의 하면의 네 개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또한 하부 쿠션(12)과 상하 대칭의 형상인 완충 본체부(13b)를 갖는다.
도 2에서, 실시예 1의 쿠션재(11)는, 외장 상자(2)의 내면과 프린터(4)의 외면의 틈(S1)이 20㎜가 되도록, 두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틈(S1)의 크기는, 20㎜로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곤포 용기(1)에서 채용되어 있던 크기인 40㎜보다 작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쿠션재(11)의 가공 정밀도 등에 따라, 10㎜ 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의 쿠션재(11)는, 발포 스티롤이나 골판지 등, 종래 공지의 임의의 재료에 의해 제작 가능하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곤포 용기(1)에서는, 프린터(4)가 꺼내질 경우, 우선, 외장 상자(2)의 덮개부(2c)가 개방되어, 도 2A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쿠션(13)이 꺼내진 후, 2개의 손잡이부(9)가 파지되어 들어올려지면, 폴리 봉지(6)와 함께 프린터(4)가 꺼내진다. 그리고, 손잡이부(9)를 들어 프린터(4)를 설치 장소까지 이동시킨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 봉지(6)의 개구부(8)로부터 프린터(4)를 꺼내면, 프린터(4)가 설치된다.
도 5는 종래의 곤포 용기로부터 피곤포체를 꺼내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에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외장 상자(01)로부터,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수납 봉지(02)에 수납된 피곤포체(03)를 꺼낼 경우에, 외장 상자(01)와 피곤포체(03) 사이에 손(04)을 끼워넣어 꺼낼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외장 상자(01)와 피곤포체(03)의 틈이 너무 좁으면, 손(04)을 끼워넣을 수 없어, 꺼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손(04)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외장 상자(01)와 피곤포체(03) 사이의 틈은, 일반적으로 약 4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부터 손(04)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외장 상자(01)의 외형은, 피곤포체(03)에 대하여, 40㎜×2=80㎜ 정도 크게 구성되어 있어, 대형화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프린터(4)에 먼지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외표면을 덮는 폴리 봉지(6)에 손잡이부(9)가 설치되어 있어, 종래 기술과 같이 손을 끼워넣지 않아도, 손잡이부(9)를 움켜쥐어,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프린터(4)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외장 상자(2)와 프린터(4)의 틈(S1)은, 종래에 비하여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종래에 비하여 외장 상자(2)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장 상자(2)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창고에 수용 가능한 수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보관에 필요한 면적이 저감되고, 보관에 필요한 비용도 억제된다. 또한, 외장 상자(2)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프린터(4)의 설치 후에 쓰레기가 되는 외장 상자(2)도 용량 절약화되어, 쓰레기의 감량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프린터(4)와 같이 어느 정도의 크기와 중량이 있는 피곤포체에서는, 외장 상자(2)로부터 꺼낼 경우에, 종래 기술과 같이, 양손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어, 작업시에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프린터(4)와 외장 상자(2) 사이의 정전기나 마찰에 의해 꺼낼 때의 저항이 클 경우, 양손을 모두 사용한 상태에서는, 혼자서는 외장 상자(2)를 누르는 것이 곤란하며, 두 사람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거나 하여, 작업성이 나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2개의 손잡이부(9)를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하며, 다른 손으로 외장 상자(2)를 누르면서, 손잡이부(9)를 움켜쥔 한 손으로 프린터(4)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한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L1≥La/2로 설정되어 있으며, 외장 상자(2)의 덮개부(2c)가 닫힌 상태에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9)가 상하로 겹친 상태로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쿠션(13)이 분리되면, 상하로 겹친 2개의 손잡이부(9)의 공간(9a)에 손을 넣는 것이 용이하여, 겹친 상태로 수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2개의 손잡이부(9)를 한 손으로 움켜쥐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폴리 봉지(6)는, 프린터(4)를 수용해도 여유가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부(9)가 움켜쥐어져 들어올려진 경우에, 봉지부(7)의 헐렁거린 부분(7a)이 발생한다. 그리고, 봉지부(7)의 헐렁거린 부분(7a)이, 프린터(4)의 외면을 따른 부분(7b)의 외측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손잡이부(9)를 움켜쥐어 들어올릴 때에 힘이 작용하는 부분이, 헐렁거린 부분(7a)과 외면을 따른 부분(7b)의 이중으로 되어 있어, 강도가 향상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9b)를 움켜쥐어 들어올릴 때에, 폴리 봉지(6)가 파단하기 어려워, 작업시에 폴리 봉지(6)가 찢어져, 프린터(4)가 낙하하여 파손하는 등의 뜻밖의 사고의 발생이 저감되고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4)가 외장 상자(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헐렁거린 부분(7a)이, 외면을 따른 부분(7b)의 외측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어, 손잡이부(9)를 그대로 들어올리면, 헐렁거린 부분(7a)과 외면을 따른 부분(7b)이 이중으로 된 띠 형상 부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2개의 손잡이부(9)가, 장변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단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될 경우에 비하여, 헐렁거린 부분(7a)의 띠가 형성되기 쉽고, 띠도 커지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단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될 경우에 비하여, 폴리 봉지(6)가 파단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손잡이부(9)와 봉지부(7)의 접속 부분(9b)이, 프린터(4)의 모서리(4d)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린터(4)의 모서리(4a)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폴리 봉지(6)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터(4)의 모서리(4a)가 노출되어 있을 경우에 비하여, 프린터(4)가 봉지부(7)로부터 탈락, 낙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실시예 2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2A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6에서, 실시예 2의 곤포 용기(1)에서는, 2개의 손잡이부(9)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서로 전후로 어긋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곤포 용기(1)에서는, 손잡이부(9)가 난잡하게 수용되거나, 뒤얽힌 상태로 수용되어 있을 경우에 비하여, 손잡이부(9)를 움켜쥐기 쉬워 작업성이 향상해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3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3은,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실시예 3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2B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실시예 3의 곤포 용기(1)에서는, 폴리 봉지(6)의 외측에 쿠션재(11)가 장착된 실시예 1과 달리, 쿠션재(11)가, 폴리 봉지(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실시예 3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3의 곤포 용기(1)에서는, 폴리 봉지(6)의 손잡이부(9)를 움켜쥐어 들어올리면, 쿠션재(11)도 프린터(4)와 함께 꺼내진다. 따라서, 외장 상자(2)로부터 꺼낸 후, 프린터(4)의 설치 장소까지 손잡이부(9)를 움켜쥐어 이동시키거나, 바닥 등에 둘 경우에, 책상에 접촉시키거나, 손이 미끄러지거나, 난폭하게 다루는 등 하여 충격이 발생해도, 쿠션재(11)가 완충하여, 프린터(4)가 파손 등 하는 것이 저감된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외장 상자(2)의 내면에, 폴리 봉지(6)가 접촉해 있어, 쿠션재(11)가 접촉할 경우에 비하여, 마찰 저항이 작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즉, 폴리 봉지(6)를 꺼내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H08)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피곤포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사기, FAX 등의 화상 형성 장치나,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 혹은, 퍼스널 컴퓨터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 기기 등의 임의의 상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9)의 수는 2개로 하는 구성이 취급을 알기 쉬워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피곤포체의 형상이 큰 것은, 전후좌우의 4개소에 설치하거나, 피곤포체가 삼각 형상이나 오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인 경우에는, 3개나 5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때, 3개 이상의 손잡이부(9) 전부를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9)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양손으로 각각 움켜쥘 수 있는 길이나, 각각의 손으로 움켜쥐는 손잡이부(9)의 개수가 다른 바와 같은 길이 설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9)의 길이(L1)는, L1≥La/2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L1 <La/2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9)와 봉지부(7)의 접속 부분(9b)의 위치는, 프린터(4)의 모서리부(4a)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서리부보다 하방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헐렁거린 부분(7a)을 이용하여, 폴리 봉지(6)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 봉지(6)의 강도가 충분할 경우에는, 헐렁거린 부분(7a)이, 외면을 따른 부분(7b)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9)를 장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 쿠션재(11)의 양쪽을 폴리 봉지(6) 내에 수용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부 쿠션(12)만을 폴리 봉지(6) 내에 수용하고, 상부 쿠션(13)은,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폴리 봉지(6) 밖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쿠션재(11)의 구성은, 실시예에 예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피곤포체의 외형에 따라, 임의의 형상의 것을 임의의 개수 채용가능하다. 또한, 상부 쿠션(13)은, 프레임부(13a)를 갖는 일체의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쿠션(12)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하거나, 우측의 2개가 접속된 우측 상부 쿠션과, 좌측의 2개가 접속된 좌측 상부 쿠션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등, 임의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7)

  1. 내부에 피곤포체(被梱包體)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袋)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띠의 양단이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떨어진 2개의 위치에서 상기 봉지부에 접속된 고리 형상의 구성을 복수 가짐과 함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통과구측의 면보다 상기 통과구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상기 통과구를 따른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봉지부의 접속 부분의 위치는, 상기 피곤포체가 수용된 상기 수용 봉지가 상기 외포 용기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통과구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피곤포체의 통과구측의 면보다 상기 통과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장 용기의 상기 통과구가 닫힌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통과구를 따른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수용됨과 함께,
    상기 손잡이부가 연장된 방향에 대해서, 상기 피곤포체의 외단보다,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수용 봉지의 접속 부분이,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통과구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의 헐렁거린 부분이, 상기 봉지부의 상기 피곤포체의 외면을 따른 부분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통과구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시켜서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가 정리해서 파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헐렁거린 부분이 손잡이부의 연장 상 또한 상기 피곤포체의 외표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통과구를 따라 연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끼리의 간격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봉지부에 접속된 2개의 위치끼리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2개의 위치의 간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의 헐렁거린 부분이,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가 한데 모아 파지되었을 경우에, 손잡이부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피곤포체의 외표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접힌 곤포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끼리의 간격이,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봉지부의 접속부끼리의 간격보다 긴 곤포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봉지의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수용 봉지를 사이에 끼워 상기 피곤포체와 상기 외장 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한 곤포 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봉지의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수용 봉지를 사이에 끼워 상기 피곤포체와 상기 외장 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한 곤포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와 상기 다른 띠의 중앙부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 용기.
KR1020150083279A 2011-05-30 2015-06-12 곤포 용기 KR101586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1081 2011-05-30
JP2011121081A JP5751023B2 (ja) 2011-05-30 2011-05-30 梱包容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55A Division KR20120133983A (ko) 2011-05-30 2011-12-28 곤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509A true KR20150079509A (ko) 2015-07-08
KR101586043B1 KR101586043B1 (ko) 2016-01-19

Family

ID=4723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279A KR101586043B1 (ko) 2011-05-30 2015-06-12 곤포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22233B2 (ko)
JP (1) JP5751023B2 (ko)
KR (1) KR101586043B1 (ko)
CN (1) CN1028070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9601B2 (ja) * 2013-01-29 2016-08-24 Toto株式会社 便器補助部材
CN104326168B (zh) * 2014-10-11 2018-01-1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包装底座
JP7204364B2 (ja) * 2018-07-25 202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2279U (ko) * 1975-11-01 1977-05-07
JP2003081343A (ja) * 2001-09-10 2003-03-19 T Hasegawa Co Ltd 軟質包装容器の回収使用方法
JP2003246366A (ja) * 2002-02-26 2003-09-02 Fuji Photo Film Co Ltd 包装箱
JP2005298050A (ja) * 2004-04-16 2005-10-27 Kyocera Mita Corp 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3589A (en) * 1936-09-23 1942-08-18 Wingfoot Corp Package
GB551164A (en) * 1941-08-06 1943-02-10 Dewey And Almy Chem Com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pour-proof storage and shipping cartons or containers
US3192680A (en) * 1960-11-25 1965-07-06 Royal Mcbee Corp Packaging method
JPH03200538A (ja) * 1989-12-28 1991-09-02 Taiyo Kagaku Kogyo Kk 収納容器
US5641068A (en) * 1995-06-15 1997-06-24 Hewlett-Packard Company Adjustable and reusable protective packaging system
JP3599307B2 (ja) * 1998-01-29 2004-12-08 麒麟麦酒株式会社 提げ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78497A (ja) 1998-03-31 1999-10-12 Fukusuke Kogyo Co Ltd 合成樹脂袋
US6206224B1 (en) * 1999-05-12 2001-03-27 Kenneth Lee Potts Shopping caddy and bag system
JP3080652U (ja) * 2001-03-28 2001-10-05 船井電機株式会社 梱包用箱
JP2003237846A (ja) * 2002-02-18 2003-08-27 Sato Corp 二重梱包箱
CN2585822Y (zh) * 2002-10-16 2003-11-12 倪永培 酒瓶包装盒
JP4172038B2 (ja) * 2002-11-29 2008-10-29 ヤマト包装技術研究所株式会社 商品の運送箱
US7143932B2 (en) * 2003-09-29 2006-12-05 Wen-Tsan Wang Folding collapsible storage box
CN2832716Y (zh) * 2005-05-18 2006-11-01 温文华 便携式电脑主机箱袋
JP4758373B2 (ja) * 2007-03-01 2011-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包装方法、及び包装容器
JP4978363B2 (ja) 2007-07-31 2012-07-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梱包構造
CN201268422Y (zh) * 2008-07-29 2009-07-08 王茜雯 可折叠购物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2279U (ko) * 1975-11-01 1977-05-07
JP2003081343A (ja) * 2001-09-10 2003-03-19 T Hasegawa Co Ltd 軟質包装容器の回収使用方法
JP2003246366A (ja) * 2002-02-26 2003-09-02 Fuji Photo Film Co Ltd 包装箱
JP2005298050A (ja) * 2004-04-16 2005-10-27 Kyocera Mita Corp 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51023B2 (ja) 2015-07-22
JP2012246038A (ja) 2012-12-13
KR101586043B1 (ko) 2016-01-19
US8622233B2 (en) 2014-01-07
CN102807049A (zh) 2012-12-05
CN102807049B (zh) 2017-12-01
US20120305552A1 (en)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463B1 (ko) 곤포 용기
KR101586043B1 (ko) 곤포 용기
TW201536641A (zh) 捆包裝容器
CN106586261A (zh) 一种液晶面板包装盒
JP6130657B2 (ja) 宅配用又は郵送用の包装袋体
JP2011073702A (ja) 梱包体
KR20120133983A (ko) 곤포 용기
JP2013249091A (ja) 収容袋
JP5134896B2 (ja) 画像形成装置の緩衝包装材
KR20120133984A (ko) 곤포 용기
CN217456870U (zh) 包装盒
CN109264196B (zh) 包装结构
JP5733862B2 (ja) 梱包物保護カバー
CN210149752U (zh) 包装盒
JPH08310560A (ja) セラミックシートの梱包構造
JP2001039436A (ja) 梱包材
JP2005153952A (ja) 包装容器
KR101700673B1 (ko) 이중 접착식 비닐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1097365A (ja) 梱包材
JP3101813U (ja) 包装体
JP2020001735A (ja) 物品保持部材及び物品収納箱
JP2019127325A (ja) ガラス板梱包体
JP2008030839A (ja) 梱包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梱包箱
JP2012101826A (ja) 梱包装置
JP2004102221A (ja) ロール状感光材料の包装用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