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984A - 곤포 용기 - Google Patents

곤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984A
KR20120133984A KR1020110144559A KR20110144559A KR20120133984A KR 20120133984 A KR20120133984 A KR 20120133984A KR 1020110144559 A KR1020110144559 A KR 1020110144559A KR 20110144559 A KR20110144559 A KR 20110144559A KR 20120133984 A KR20120133984 A KR 20120133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accommodated
tir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츠유키
도모미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14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3984A/ko
Publication of KR2012013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65D81/055Protectors contacting three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three-sided edge protectors
    • B65D81/056Protectors contacting three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three-sided edge protectors the surfaces being gener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e.g. three-sided corner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88Plastic elements
    • B65D5/509Foam plast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B65D5/60Loose, or loosely attach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65D81/058Protectors contacting five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five-sided en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office or shop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곤포(梱包) 용기는, 내부에 피(被)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와, 상기 피곤포체와 상기 통과구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곤포체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곤포체보다 통과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내곤포체와 함께 상기 통과구측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곤포 용기{PACKING CONTAINER}
본 발명은 곤포(梱包) 용기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와 같은 정밀 기기를 곤포하는 기술에 관하여, 일본국 특개2009-35269호 공보(「0024」, 도 1)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이다.
상기 호 공보에는, 화상 기록 장치(1)를, 봉지(袋) 형상의 보호 시트(7)로 피복하고 나서, 곤포용 완충체(3, 4)로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넣고, 곤포 상자(2)에 수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被)곤포체의 꺼내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의하면, 내부에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와, 상기 피곤포체와 상기 통과구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內)곤포체를 구비한 곤포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곤포체보다 통과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내곤포체와 함께 상기 통과구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피곤포체측으로부터 상기 통과구측으로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피곤포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상기 내곤포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내곤포체와 상기 외장 용기의 틈을 통하여, 상기 내곤포체보다 상기 통과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는, 내부에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와, 상기 피곤포체와 상기 통과구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곤포체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내곤포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내곤포체가 상기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질 경우에, 상기 내곤포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통과구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상기 내곤포체가 상기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졌을 경우에 상기 내곤포체로부터 탈락한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는, 내부에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통과구를 폐쇄하는 상기 외장 용기의 폐쇄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폐쇄부가 개방될 경우에, 상기 폐쇄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통과구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상기 통과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로 상기 폐쇄부가 이동했을 경우에 상기 폐쇄부로부터 탈락한다.
상기 제1, 제4, 제5 방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피곤포체의 꺼내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제3 방안에 의하면, 내곤포체가 분리될 경우에, 지지부가 손잡이부를 통과구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전체 설명도이며, 각 부재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진 상태의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2A는 곤포된 상태에서 외장 용기의 상부가 열린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곤포된 상태에서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곤포된 상태에서, 상측의 완충재와 피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진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실시예 1의 피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지며 또한 수용 봉지로부터 꺼내지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며, 도 5A는 내곤포체의 꺼내기가 개시된 상태의 설명도, 도 5B는 내곤포체를 꺼내는 도중의 설명도, 도 5C는 내곤포체의 꺼내기가 완료된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곤포 용기로부터 피곤포체를 꺼내는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2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2A에 대응하는 평면도.
도 8은 실시예 3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8A는 실시예 1의 도 2A에 대응하는 평면도, 도 8B는 실시예 1의 도 2B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4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9A는 실시예 1의 도 2B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 도 9B는 실시예 1의 도 5A에 대응하는 내곤포체의 꺼내기가 개시된 상태의 설명도, 도 9C는 실시예 1의 도 5C에 대응하는 내곤포체의 꺼내기가 완료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5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10A는 실시예 1의 도 2B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 도 10B는 실시예 1의 도 5A에 대응하는 덮개부의 개방이 개시된 상태의 설명도, 도 10C는 실시예 1의 도 5C에 대응하는 덮개부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의 설명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예(이하, 실시예라고 기재함)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 있어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圖示)는 적절히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전체 설명도이며, 각 부재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2A는 곤포된 상태에서 외장 용기의 상부가 열린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곤포된 상태에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서, 실시예 1의 곤포 용기(1)는, 외장 용기의 일례로서의 직방체 형상의 외장 상자(2)를 갖는다. 실시예 1의 외장 상자(2)는, 골판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골판지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용기 등, 종래 공지의 임의의 용기를 채용 가능하다. 상기 외장 상자(2)는, 저부(底部)(2a)와, 전후좌우의 측부(2b)와, 각 측부(2b)의 상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덮개부(2c)를 갖고, 폐쇄부의 일례로서의 덮개부(2c)가 닫힌 상태에서, 저부(2a), 측부(2b) 및 덮개부(2c)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의해 수용 공간(3)이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2c)가 개방되면 수용 공간(3)의 상부에 통과구(3a)가 형성된다.
상기 외장 상자(2)의 내부의 수용 공간(3)에는, 피곤포체의 일례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4)가 수용된다. 상기 프린터(4)는, 장치 본체(4a)와,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의 일례로서, 장치 본체(4a)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 급지 트레이(4b)와, 화상이 기록된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부의 일례로서, 장치 본체(4a)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 트레이(4c)를 갖는다. 도 2A에서, 실시예 1의 프린터(4)는, 좌우 방향의 길이(La)쪽이, 전후 방향의 길이(Lb)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즉, 프린터(4)나 수용되는 외장 상자(2)도, 좌우 방향이 장변 방향, 전후 방향이 단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실시예 1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곤포된 상태에서, 상측의 완충재와 피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피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지며 또한 수용 봉지로부터 꺼내지기 전의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도 4에서, 상기 프린터(4)는, 수용 봉지의 일례로서의 폴리 봉지(6)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장 상자(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는, 프린터(4)가 수용되는 봉지부(7)와, 프린터(4)가 봉지부(7)로부터 출입 될 때에 통과 가능한 개구부(8)와, 한 쌍의 손잡이부(9)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는, 폴리에틸렌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또한, 폴리 봉지(6)는, 0.02?0.1㎜ 정도, 특히, 5kg 정도의 프린터(4)의 경우, 0.04?0.06㎜ 정도의 두께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린터(4)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손잡이부(9)를 들어도 파단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임의의 수지 재료나 두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에서는, 손잡이부(9)는, 띠의 양단이 상기 개구부(8)의 가장자리의 전후에 떨어진 2개의 위치에서, 봉지부(7)에 접속된 고리 형상의 구성을 2개 갖는다. 따라서, 손잡이부(9)는, 소위 루프(loop)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에 이용자가 손가락이나 팔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간(9a)이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손잡이부(9)끼리의 간격인 좌우 방향의 간격이, 손잡이부(9)와 봉지부(7)의 접속부(9b)끼리의 간격인 전후 방향의 간격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장변 방향의 양측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제작 비용의 저감을 위해, 봉지부(7)에 일체 형성되어 있지만, 별체 구성의 띠 형상의 손잡이부를 봉지부(7)에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4)가 수용된 폴리 봉지(6)가 외장 상자(2) 내에 수용되며, 또한, 손잡이부(9)를 통과구(3a)를 통과하는 방향인 상방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프린터(4)의 통과구(3a)측의 면인 상면보다 통과구(3a)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프린터(4)가 수용된 폴리 봉지(6)가 외장 상자(2) 내에 수용되며, 또한, 손잡이부(9)를 통과구(3a)를 따른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프린터(4)의 통과구(3a)를 따른 길이인 폭(La)의 절반 이상의 길이(L1)로 형성되어 있다. 즉, 손잡이부(9)의 길이(L1)가, 프린터(4)의 장변 방향의 폭(La)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어, L1≥La/2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상자(2)의 통과구(3a)가 닫혔을 경우에, 통과구(3a)를 따른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수용되고 있으며,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1≥La/2로 설정된 좌우의 손잡이부(9)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태에서는, 손잡이부(9)끼리의 선단 부분이 상하로 겹친 상태로 접힌다.
또한, 실시예 1의 손잡이부(9)에서는, 손잡이부(9)와 봉지부(7)의 접속 부분(9b)의 위치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4)가 수용된 폴리 봉지(6)가 외장 상자(2) 내에 수용되며, 또한, 손잡이부(9)를 상방으로 연장시켰을 경우에, 프린터(4)의 통과구(3a)의 면보다 통과구(3a)측인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폴리 봉지(6)에 프린터(4)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프린터(4)의 상면의 모서리(4d)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폴리 봉지(6)로 덮인 상태가 되도록, 폴리 봉지(6)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상자(2)가 닫힌 상태에서는, 접속 부분(9b)은, 프린터(4)의 외단(外端)의 모서리(4d)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도 2B, 도 3, 도 4에서, 실시예 1의 폴리 봉지(6)에서는, 손잡이부(9)가 통과구(3a)를 따른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봉지부(7)의 헐렁거린 부분(7a)이, 접속 부분(9b)보다, 봉지부(7)의 프린터(4)의 외면을 따른 부분(7b)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9)를 한 손으로 움켜쥔 상태와 같이, 상기 복수의 손잡이부(9)가 한데 모아 파지되었을 경우에, 봉지부(7)의 헐렁거린 부분(7a)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9)의 연장선상에서 프린터(4)의 외측 표면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접혀 있다.
도 1, 도 2에서, 실시예 1의 곤포 용기(1)에서는, 외장 상자(2)에는, 폴리 봉지(6)에 수용된 프린터(4)가 수용될 경우에, 외력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 부재의 일례로서의 쿠션재(11)를 통해 수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쿠션재(11)는, 외장 상자(2)의 저부의 네 개의 모서리에 배치된 4개의 하부 쿠션(12)과, 내곤포체의 일례로서, 프린터(4)의 상부에 장착된 상부 쿠션(13)을 갖는다. 도 1, 도 2에서, 상부 쿠션(13)은, 통과구(3a)의 바깥 둘레를 따라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부(13a)와, 프레임부(13a)의 하면의 네 개의 모서리에 형성되며 또한 하부 쿠션(12)과 상하 대칭의 형상인 완충 본체부(13b)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부(13a)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지지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리지(bridge)부(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리지부(13c)와 프레임부(13a)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개구부(13d)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실시예 1의 곤포 용기(1)에서는, 덮개부(2c)가 닫힌 상태에서는, 좌우의 손잡이부(9)는, 상부 쿠션(13)의 좌우의 개구부(13d)를 상방으로 통과하여 브리지부(13c)에 하면이 지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도 2에서, 실시예 1의 쿠션재(11)는, 외장 상자(2)의 내면과 프린터(4)의 외면의 틈(S1)이 20㎜가 되도록 두께, 크기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틈(S1)의 크기는, 20㎜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곤포 용기(1)에서 채용되어 있던 크기인 40㎜보다 작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쿠션재(11)의 가공 정밀도 등에 따라, 10㎜ 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의 쿠션재(11)는, 발포 스티롤이나 골판지 등, 종래 공지의 임의의 재료에 의해 제작 가능하다.
(실시예 1의 작용)
도 5는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며, 도 5A는 내곤포체의 꺼내기가 개시된 상태의 설명도, 도 5B는 내곤포체를 꺼내는 도중의 설명도, 도 5C는 내곤포체의 꺼내기가 완료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곤포 용기(1)에서는, 프린터(4)가 꺼내질 경우, 우선, 외장 상자(2)의 덮개부(2c)가 개방되어, 도 2A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프린터(4)보다 통과구(3a)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부 쿠션(13)이, 프린터(4)보다 먼저 꺼내진다. 이때,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쿠션(13)의 꺼내기가 개시되면, 상부 쿠션(13)의 브리지부(13c)에 지지된 손잡이부(9)가, 상부 쿠션(13)의 이동에 수반하여, 브리지부(13c)에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는 상태를 거쳐,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쿠션(13)의 꺼내기가 완료되면, 들어올려진 손잡이부(9)끼리, 서로 의지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2개의 손잡이부(9)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들어올리면, 폴리 봉지(6)와 함께 프린터(4)가 외장 상자(2)로부터 꺼내진다. 그리고, 손잡이부(9)를 들어 프린터(4)를 설치 장소까지 이동시킨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 봉지(6)의 개구부(8)로부터 프린터(4)를 꺼내면, 프린터(4)가 설치된다.
도 6은 종래의 곤포 용기로부터 피곤포체를 꺼내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6에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외장 상자(01)로부터,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수납 봉지(02)에 수납된 피곤포체(03)를 꺼낼 경우에, 외장 상자(01)와 피곤포체(03) 사이에 손(04)을 끼워넣어 꺼낼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외장 상자(01)와 피곤포체(03)의 틈이 너무 좁으면, 손(04)을 끼워넣을 수 없어, 피곤포체(03)를 꺼낼 수 없게 되거나, 억지로 꺼내려고 하면, 피곤포체(03)를 낙하시켜 파손시키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외장 상자(01)와 피곤포체(03) 사이의 틈은, 사람의 손의 두께를 고려하여, 일반적으로는 약 40㎜ 이상으로 설정되어, 손(04)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부터 손(04)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외장 상자(01)의 외형은, 피곤포체(03)에 대하여, 40㎜×2=80㎜ 정도 크게 구성되어 있어, 외장 상자(01)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프린터(4)에 먼지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외표면을 덮는 폴리 봉지(6)에 손잡이부(9)가 설치되어 있어, 종래 기술과 같이 손을 끼워넣지 않아도, 손잡이부(9)를 움켜쥐어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프린터(4)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외장 상자(2)와 프린터(4)의 틈(S1)은, 종래에 비하여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종래에 비하여 외장 상자(2)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장 상자(2)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창고에 수용 가능한 수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관에 필요한 면적이 저감되고, 보관에 필요한 비용도 억제된다. 또한, 외장 상자(2)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외장 상자(2)의 재료비가 저감됨과 함께, 프린터(4)의 설치 후에 쓰레기가 되는 외장 상자(2)도 용량 절약화되어, 쓰레기의 감량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프린터(4)와 같이, 어느 정도의 크기와 중량이 있는 피곤포체에서는, 외장 상자(2)로부터 꺼낼 경우에, 종래 기술과 같이, 양손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있어, 작업시에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프린터(4)와 외장 상자(2) 사이의 정전기나 마찰에 의해 꺼낼 때의 저항이 클 경우, 양손을 모두 사용한 상태에서는, 혼자서는 외장 상자(2)를 누르는 것이 곤란하여, 두 사람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거나 하여, 작업성이 나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몸을 낮춘 상태에서 양손으로 들어올리면, 허리를 다칠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2개의 손잡이부(9)를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하여, 다른 한 손으로 외장 상자(2)를 누르면서, 손잡이부(9)를 움켜쥔 한 손으로 프린터(4)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부 쿠션(13)이 분리되면, 손잡이부(9)가 연동하여 들어올려져,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지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손잡이부(9)의 공간(9a)에 손가락을 넣기 쉬워, 움켜쥐기 쉽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L1≥La/2로 설정되어 있어, 들어올려진 손잡이부(9)끼리의 선단이 접촉하여, 서로 의지한 상태가 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9)가 L1 <La/2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비하여, 서로 의지한 상태가 되기 쉬워, 손잡이부(9)를 움켜쥐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9)의 선단끼리가 미끄러져서 손잡이부(9)끼리가 서로 의지한 상태가 되지 않아도, 한번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지면, 들어올려지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손잡이부(9)는 프린터부(4)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 즉, 들린 상태가 되기 쉽다. 따라서,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지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들린 상태의 2개의 손잡이부(9)를 들어올리기 쉽게 되어 있어, 2개의 손잡이부(9)를 한 손으로 움켜쥐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부 쿠션(13)이 분리될 때에,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지고, 들어올려지는 손잡이부(9)를 작업자가 시인하기 쉬워, 폴리 봉지(6)에 손잡이부(9)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아차리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지지 않을 경우에는, 손잡이부(9)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작업을 행해 버릴 우려도 있지만, 실시예 1에서는, 손잡이부(9)를 알아차리기 쉽게 되어 있어, 작업자가 손잡이부(9)를 사용하기 쉬워, 프린터(4)의 작업성이 향상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폴리 봉지(6)는, 프린터(4)를 수용해도 여유가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부(9)가 움켜쥐어져 들어올려졌을 경우에, 봉지부(7)의 헐렁거린 부분(7a)이 발생한다. 그리고, 봉지부(7)의 헐렁거린 부분(7a)이, 프린터(4)의 외면을 따른 부분(7b)의 외측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어, 손잡이부(9)를 움켜쥐어 들어올릴 때에 힘이 작용하는 부분이, 헐렁거린 부분(7a)과 외면을 따른 부분(7b)의 이중으로 되어 있어, 강도가 향상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9b)를 움켜쥐어 들어올릴 때에, 폴리 봉지(6)가 파단하기 어려워, 작업시에 폴리 봉지(6)가 찢어져, 프린터(4)가 낙하하여 파손하는 등의 뜻밖의 사고의 발생이 저감되고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4)가 외장 상자(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헐렁거린 부분(7a)이, 외면을 따른 부분(7b)의 외측을 따라 띠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어, 손잡이부(9)를 그대로 들어올리면, 헐렁거린 부분(7a)과 외면을 따른 부분(7b)이 이중으로 된 띠 형상 부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2개의 손잡이부(9)가, 장변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단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될 경우에 비하여, 헐렁거린 부분(7a)의 띠가 형성되기 쉽고, 띠도 커지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단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될 경우에 비하여, 폴리 봉지(6)가 파단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손잡이부(9)와 봉지부(7)의 접속 부분(9b)이, 프린터(4)의 모서리(4d)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린터(4)의 모서리(4a)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폴리 봉지(6)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터(4)의 모서리(4a)가 노출되어 있을 경우에 비하여, 프린터(4)가 봉지부(7)로부터 탈락, 낙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실시예 2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2A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서, 실시예 2의 곤포 용기(1)에서는, 2개의 손잡이부(9)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서로 전후로 어긋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곤포 용기(1)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부 쿠션(13)이 분리될 때에,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져, 손잡이부(9)의 존재를 알아차리기 쉽다. 그리고, 손잡이부(9)가 서로 의지한 상태가 되면, 서로 의지하지 않은 상태에 비하여, 움켜쥐기 쉬워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손잡이부(9)가 서로 의지하지 않아도, 프린터(4)의 상면에 대하여 들린 상태가 되기 쉬워, 들린 상태가 되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손잡이부(9)를 들어올리기 쉽게 되어 있어, 작업성이 향상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3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3은,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실시예 3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8A는 실시예 1의 도 2A에 대응하는 평면도, 도 8B는 실시예 1의 도 2B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에서, 실시예 3의 곤포 용기(1)에서는, 폴리 봉지(6)의 손잡이부(9)는, 상부 쿠션(13)의 완충 본체부(13b)의 외면과 외장 상자(2)의 측부(2b)의 내면 사이의 틈을 통하여, 상부 쿠션(13)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부 쿠션(13)의 외측을 돌아서 들어가도록 하여 손잡이부(9)가 상측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상부 쿠션(13)에서는, 브리지부(13c)가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3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3의 곤포 용기(1)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부 쿠션(13)이 분리될 때에,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져, 손잡이부(9)의 존재를 알아차리기 쉽다. 그리고, 실시예 3의 곤포 용기(1)에서도,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지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손잡이부(9)가 들린 상태가 되기 쉬워, 손잡이부(9)를 들어올리기 쉽게 되어 있어, 작업성이 향상한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4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4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실시예 4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9A는 실시예 1의 도 2B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 도 9B는 실시예 1의 도 5A에 대응하는 내곤포체의 꺼내기가 개시된 상태의 설명도, 도 9C는 실시예 1의 도 5C에 대응하는 내곤포체의 꺼내기가 완료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에서, 실시예 4의 곤포 용기(1)에서는, 폴리 봉지(6)의 손잡이부(9)는, 상부 쿠션(13)의 브리지부(13c)의 하면에 접착제(21)를 통해, 손잡이부(9)의 선단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21)는, 상부 쿠션(13)을 분리할 때에, 상부 쿠션(13)을 들어올려, 손잡이부(9)가 팽팽해진 상태가 되면, 접착제(21)가 박리되어, 손잡이부(9)가 탈락할 정도의 접착력이 되도록, 접착제의 재료 및 접착제의 양이 설정되어 있다. 즉, 실시예 4의 손잡이부(9)는, 상부 쿠션(13)에 대하여, 손잡이부(9)에 작용하는 장력(張力)에 의해 손잡이부(9)가 이탈 가능한 정도의 접착력의 접착제(21)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4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4의 곤포 용기(1)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부 쿠션(13)이 분리될 때에, 상부 쿠션(13)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9B,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져, 손잡이부(9)의 존재를 알아차리기 쉽다. 그리고, 상부 쿠션(13)이 들어올려져, 손잡이부(9)가 팽팽해진 상태가 되면, 접착제(21)가 박리되어, 손잡이부(9)의 선단이 탈락한다. 그리고, 도 5C에 나타내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손잡이부(9)끼리 서로 의지한 상태가 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손잡이부(9)를 움켜쥐기 쉬워, 작업성이 향상하고 있다.
[실시예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5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5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실시예 5의 곤포 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10A는 실시예 1의 도 2B에 대응하는 요부 단면도, 도 10B는 실시예 1의 도 5A에 대응하는 덮개부의 개방이 개시된 상태의 설명도, 도 10C는 실시예 1의 도 5C에 대응하는 덮개부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에서, 실시예 5의 곤포 용기(1)에서는, 폴리 봉지(6)의 외측에 쿠션재(11)가 장착된 실시예 1과 달리, 쿠션재(11)가, 폴리 봉지(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폴리 봉지(6)의 손잡이부(9)는, 외측의 덮개부(2c)의 내면에 접착제(21)를 통해,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21)에 의해 부착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전후 방향의 중앙부가 덮개부(2c)끼리의 접속 부분으로 되어 있어, 접착제(21)를 배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시예 5에서는, 전후 방향의 중앙부의 근방에서, 중앙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접착제(21)를 배치하여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5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5의 곤포 용기(1)에서는, 덮개부(2c)가 개방될 때에, 덮개부(2c)의 이동에 수반하여,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져 상방으로 이동하고,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2c)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손잡이부(9)가 덮개부(2c)로부터 탈락한다. 따라서, 실시예 5에서도, 실시예 1 등과 마찬가지로, 손잡이부(9)의 존재가 알아차려지기 쉬움과 함께, 손잡이부(9)를 움켜쥐기 쉬워, 작업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5의 곤포 용기(1)에서는, 쿠션재(11)가 폴리 봉지(6) 내에 수용되어 있어, 폴리 봉지(6)의 손잡이부(9)를 움켜쥐어 들어올리면, 쿠션재(11)도 프린터(4)와 함께 꺼내진다. 따라서, 외장 상자(2)로부터 꺼낸 후, 프린터(4)의 설치 장소까지 손잡이부(9)를 움켜쥐어 이동시키거나, 바닥 등에 둘 경우에, 책상에 접촉시키거나, 손이 미끄러지거나, 난폭하게 취급하는 등 하여 충격이 발생해도, 쿠션재(11)가 완충하여, 프린터(4)가 파손 등 하는 것이 저감된다. 또한, 실시예 5에서는, 외장 상자(2)의 내면에, 폴리 봉지(6)가 접촉해 있어, 쿠션재(11)가 접촉할 경우에 비하여, 마찰 저항이 작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즉, 폴리 봉지(6)를 꺼내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H014)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피곤포체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사기, FAX 등의 화상 형성 장치나, 토너 카트리지 등의 교환 부품, 혹은, 퍼스널 컴퓨터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 기기 등의 임의의 상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9)의 수는 2개로 하는 구성이 취급을 알기 쉬워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피곤포체의 형상이 큰 것은, 전후좌우의 4개소에 설치하거나, 피곤포체가 삼각 형상이나 오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인 경우에는, 3개나 5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때, 3개 이상의 손잡이부(9) 전부를 한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9)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양손으로 각각 움켜쥘 수 있는 길이나, 각각의 손으로 움켜쥐는 손잡이부(9)의 개수가 다른 바와 같은 길이 설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9)의 길이(L1)는, L1≥La/2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L1 <La/2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9)와 봉지부(7)의 접속 부분(9b)의 위치는, 프린터(4)의 모서리부(4a)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서리부보다 하방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헐렁거린 부분(7a)을 이용하여, 폴리 봉지(6)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 봉지(6)의 강도가 충분할 경우에는, 헐렁거린 부분(7a)이, 외면을 따른 부분(7b)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9)를 장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 쿠션재(11)의 양쪽을 폴리 봉지(6) 내에 수용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부 쿠션(12)만을 폴리 봉지(6) 내에 수용하고, 상부 쿠션(13)은,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폴리 봉지(6)의 밖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쿠션재(11)의 구성은, 실시예에 예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피곤포체의 외형에 따라, 임의의 형상의 것을 임의의 개수 채용 가능하다. 또한, 상부 쿠션(13)은, 프레임부(13a)를 갖는 일체의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쿠션(12)과 같은 구성으로 하거나, 우측의 2개가 접속된 우측 상부 쿠션과, 좌측의 2개가 접속된 좌측 상부 쿠션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등, 임의의 변경이 가능하다.
(H09)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브리지부(13c)의 형상이나 위치, 수는, 실시예에 예시한 형상이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손잡이부(9)를 지지 가능한 형상이면, 예를 들면, 돌기 형상이나 봉 형상, 갈고리 형상 등, 임의의 형태로 하거나, 브리지부(13)의 수를 2 이상으로 하거나, 위치도 좌우 방향이나 전후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0)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내곤포체의 일례로서, 상부 쿠션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취급 설명서나 접속 케이블 등의 첨부물이 수용된 상자 등의 내곤포체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1) 상기 실시예 4, 5에 있어서, 손잡이부(9)를 상부 쿠션(13)이나 덮개부(2c)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접착제를 이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임의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갈고리 형상, 후크 형상의 부재를 배치하여 손잡이부(9)를 걸어두고, 상부 쿠션(13) 등이 이동하면, 걸림이 빠지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2) 상기 실시예 5에 있어서, 폐쇄부의 일례로서의 외측의 덮개부(2c)에 손잡이부(9)를 지지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측의 덮개부(2c)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3과 실시예 4, 5를 조합하여, 실시예 1?3의 형태에 있어서,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3) 상기 실시예 4, 5에 있어서, 손잡이부(9)가 서로 의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손잡이부(9)를 상부 쿠션(13) 등에 접착하며, 또한, 손잡이부(9)의 선단끼리를 접착제로 접착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도, 실시예 1, 2에 있어서, 손잡이부(9)끼리를 접착제로 접착해 두고, 상부 쿠션(13)이 들어올려질 때에는, 접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9)가 들어올려져, 상부 쿠션(13)을 더 들어올림으로써 브리지부(13c)가 접착을 절단하여, 그 후에, 서로 의지하기 쉽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4) 상기 실시예 5에 있어서, 상부 쿠션(13)이나 하부 쿠션(12)은, 폴리 봉지(6)의 내부에 수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4에 있어서, 하부 쿠션(12)을 폴리 봉지(6)의 내부에 수용하거나, 상부 쿠션(13)을 폴리 봉지(6) 안에 넣고 또한 상부 쿠션(13)을 먼저 꺼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5)

  1. 내부에 피곤포체(被梱包體)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袋)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와,
    상기 피곤포체와 상기 통과구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內)곤포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곤포체보다 통과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곤포체가 외장 용기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내곤포체와 함께 상기 통과구측으로 이동하는 곤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피곤포체측으로부터 상기 통과구측으로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피곤포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상기 내곤포체를 구비한 곤포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내곤포체와 상기 외장 용기의 틈을 통하여, 상기 내곤포체보다 상기 통과구측에 배치된 곤포 용기.
  4. 내부에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와,
    상기 피곤포체와 상기 통과구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곤포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내곤포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내곤포체가 상기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질 경우에, 상기 내곤포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통과구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상기 내곤포체가 상기 외장 용기로부터 꺼내졌을 경우에 상기 내곤포체로부터 탈락하는 곤포 용기.
  5. 내부에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통과구를 갖는 상자 형상의 외장 용기와,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 가능한 봉지부와, 상기 봉지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곤포체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와, 이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피곤포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수용 봉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통과구를 폐쇄하는 상기 외장 용기의 폐쇄부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폐쇄부가 개방될 경우에, 상기 폐쇄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통과구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상기 통과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로 상기 폐쇄부가 이동했을 경우에 상기 폐쇄부로부터 탈락하는 곤포 용기.
KR1020110144559A 2011-05-30 2011-12-28 곤포 용기 KR20120133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559A KR20120133984A (ko) 2011-05-30 2011-12-28 곤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1080 2011-05-30
KR1020110144559A KR20120133984A (ko) 2011-05-30 2011-12-28 곤포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281A Division KR101558463B1 (ko) 2011-05-30 2015-06-12 곤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984A true KR20120133984A (ko) 2012-12-11

Family

ID=4751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559A KR20120133984A (ko) 2011-05-30 2011-12-28 곤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39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463B1 (ko) 곤포 용기
PH26888A (en) Easy open flexible bag filled with compressed flexible art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101586043B1 (ko) 곤포 용기
GB2319510A (en) Packaging
KR20120133984A (ko) 곤포 용기
JP2004276957A (ja) 物品輸送用梱包具
KR20120133983A (ko) 곤포 용기
JP2004217094A (ja) リール収納・搬送台車
US8601728B2 (en) Packaging system and carton
JP2013249091A (ja) 収容袋
JP5409512B2 (ja) 包装ケース
JP2005153952A (ja) 包装容器
KR101057831B1 (ko) 포장상자
JP2001039436A (ja) 梱包材
JP6809069B2 (ja) 梱包体
JP2573502Y2 (ja) 2重包装箱及び包装箱用胴枠
JP3133527U (ja) 角部取手穴付きカートンケース
CN114126984A (zh) 用于分配邮寄品包装物的系统、用于分配邮寄品包装物的容器
WO2011096346A1 (ja) 薄型映像等表示装置運送用エコバッグ
JP4776816B2 (ja) 包装箱
KR20210112054A (ko) 포장박스용 스트랩
JP5170712B2 (ja) 箱状部材、緩衝体、及び梱包装置
JP4288401B2 (ja) 装置用梱包箱
JP2003026249A (ja) ボンディングワイヤまたは中間加工材の梱包体
JP2001225862A (ja) ラック用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